Microsoft Word _2010년01월08일_ 005 HPMC의~_강길선외6명_-ok.doc

Similar documents
<4D F736F F D D F B3E23037BFF93230C0CF5F BEC6BCBCC5ACB7CEC6E4B3AB7E5FB0ADB1E6BCB1BFDC3130B8ED5F2EA1A6>

12.077~081(A12_이종국).fm

(15-024).fm

(12-070).fm

???춍??숏

14.fm

<4D F736F F D D F B3E23038BFF93233C0CF5F20BAD0B9ABB0C7C1B67E5FB0ADB1E6BCB12CC0CCC7D8B9E6BFDC38B8ED5F2E646F63>


jaeryomading review.pdf

歯_ _ 2001년도 회원사명단.doc

<4D F736F F D D F B3E23031BFF93230C0CF5F BAB8C1B6B0E8B8E9C8B0BCBAC1A67E5FB0ADB1E6BCB1BFDC38B8ED5FA1A6>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QbD 적용을위한품질심사해설서 ( 예시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18(3)-10(33).fm

DBPIA-NURIMEDI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30(9),

82-01.fm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012임수진

DBPIA-NURIMEDIA

139~144 ¿À°ø¾àħ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03-ÀÌÁ¦Çö

???? 1

Lumbar spine

Jkafm093.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Microsoft Word - 3_ _ ´ÏÆäµðÇÉÀÇ~_°�±æ¼±¿Ü5¸í_-2.doc

개최요강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15-106).fm

( )Kju269.hwp

ºÐ¸»¾ß±Ýȸº¸%1ȱÇ

04_이근원_21~27.hwp

untitled

untitled

<30352DB1E2C8B9C6AFC1FD2028C8ABB1E2C7F D36362E687770>

19(1) 02.fm

10.063~070(B04_윤성식).fm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main.hwp

hwp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Microsoft PowerPoint Free Papers (Abstracts)12.ppt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untitled

한약재품질표준화연구사업단 작약 ( 芍藥 ) Paeoniae Radix 생약연구과

(12-154).fm

歯111

03-2ƯÁý -14š

DBPIA-NURIMEDIA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00º½Çмú-¾Õ

表紙(化学)

14.531~539(08-037).fm

공학박사학위 논문 운영 중 터널확대 굴착시 지반거동 특성분석 및 프로텍터 설계 Ground Behavior Analysis and Protector Design during the Enlargement of a Tunnel in Operation 2011년 2월 인하대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한약재품질표준화연구사업단 고삼 ( 苦參 ) Sophorae Radix 생약연구과

07.045~051(D04_신상욱).fm

(72) 발명자 장종산 대전 중구 수침로 138, 103동 204호 (태평동, 유등 마을쌍용아파트) 박용기 대전 유성구 어은로 57, 119동 302호 (어은동, 한 빛아파트) 황동원 경기 안양시 만안구 양화로147번길 7, 102동 403호 (박달동, 박달동동원베네스

16(5)-03(56).fm

09김정식.PDF

06_ÀÌÀçÈÆ¿Ü0926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4D F736F F D205F D F20C0CFB9DDC3D1BCB35FB1E8BAB4BCF62CC0B1C1D6BFEB2CB1E8C1F6BFF52CB1E8B9AEBCAE2CB0ADB1E6BCB12CC0CCA1A

한약재품질표준화연구사업단 단삼 ( 丹參 ) Salviae Miltiorrhizae Radix 생약연구과

(JH)

10(3)-09.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09구자용(489~500)


04조남훈

α α α α α

최종보고서_경기과학기술진흥원 김진규_ 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èÀº¿µ³»Áö9-191š

untitled

06-구인회

03이경미(237~248)ok

00약제부봄호c03逞풚

04김호걸(39~50)ok

DBPIA-NURIMEDIA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물과 암모니아수와 헥산 산과 히드라진 수화수용액을 포함하는 환원액을 조정하는 조액( 調 液 )공정과, 질산은 수용액을 상기 환원액에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은 반응공정과, 상기 은 반응공정의 생성물을 회

17(1)-06.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exp

- 1 -

Transcription:

Polymer(Korea), Vol. 34, No. 3, pp 269-273, 2010 의점도에따른염산알푸조신과립정제의용출률조절 김원ㆍ송병주ㆍ김대성ㆍ김수진ㆍ이선경ㆍ김혜린ㆍ이동원 ㆍ강길선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2010년 1월 8일접수, 2010년 2월 9일수정, 2010년 2월 10일채택 ) Effect of the Viscosity of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on Dissolution Rate of Alfuzosin-HCl Granule Tablet Won Kim, Byung Joo Song, Dae Sung Kim, Su Jin Kim, Seon Kyoung Lee, Hye Lin Kim, Dongwon Lee, and Gilson Khang Department of BIN Fusion Technology & Department of Polymer Nano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664-14 Dukjin Ku, Jeonju 561-756, Korea (Received January 8, 2010; Revised February 9, 2010; Accepted February 10, 2010) 초록 : 본연구는염산알푸조신의서방화를위한과립제의최적구성을찾기위해수행되었으며, 이에따라고분자의점도에따른염산알푸조신과립정제를제조하였다. 사용된고분자는경구를통한약물전달시스템설계에가장널리사용되는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이며, 의팽윤성은가장중요한특성으로약물의방출에큰영향을미친다. 염산알푸조신과립정제의구조변화를확인하기위하여적외선분광법 (FTIR) 을분석하였으며, 결정학적특성을알아보기위해 X선회절분석법 (XRD)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과립정제를제조하여인공장액에서의방출거동을알아보았으며, 본연구를통해첨가제로사용된 의점도에따라모델약물인염산알푸조신의방출거동을조절할수있었다. Abstra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granule tablet formulation of alfuzosin-hcl that aims to achieve a sustained drug releas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olymer as a drug formulation and therefore has been utilized in this study as an excipient. Alfuzosin-HCl granule tablet was developed using the various viscosities of and the effects of viscosity on drug release was investigated.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and X-ray diffraction (XRD)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ructure and crystallization of alfuzosin-hcl in the formulation. We prepared the granule tablet by a direct compression method and studied the release profile in the stimulated intestinal fluid (ph 6.8). As the viscosity of increased the release of alfuzosin-hcl decreased, demonstrating that controlled release of alfuzosin- HCl can be achieved by varying the viscosity of. Keywords: alfuzosin-hcl,, granule tablet, drug delivery system, release behavior. 서 전립선비대증은요도주위의전립선이비정상적으로비대해짐으로써전립선한가운데를통과하는요도를압박하여배뇨장애나성기능장애를일으키는질환이다. 이질환은 60 세남성의 50% 이상, 85 세남성중에서는 90% 정도로중년이후남성에게서흔하게발생하며, 1-4 고령인구의증가와더불어환자들도계속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5 전립선비대증의치료는불과 10 년전까지만해도경요도전립선절제술인수술적치료가주종을이루었으나, 수술에대한합병증과고령인구의증가로마취가불가능한환자가많아최근에는요도내스텐트 론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mail: gskhang@jbnu.ac.kr, dlee@jbnu.ac.kr 삽입, 온열요법, 풍선확장술그리고경요도전립선침파괴술등의최소침습적치료와 6 알파1A- 아드레날린성수용체차단제또는 5알파 - 항원효소억제제를사용하는약물치료가제시되고있다. 7 그중에서도증상의개선정도가좋지못하고, 재시술률도높은최소침습적치료보다약물치료가상대적으로비용대비효과면에서높은효율을보이고있어약물전달시스템을이용한전립선비대증치료에관한연구들이활발히진행되고있다. 약물전달시스템을이용한치료중에서도알파1A- 아드레날린성수용체차단제는전립선평활근에많이분포되어있는알파1A 수용체를선택적으로차단함으로써더욱효과적이며, 상대적으로부작용이적은약물이다. 8,9 이러한알파 1A- 아드레날린성수용체차단제로는염산알푸조신, 탐술로신, 테라조신, 독사조신등이있다. 10-13 그중염 269

270 김원 ᆞ 송병주 ᆞ 김대성 ᆞ 김수진 ᆞ 이선경 ᆞ 김혜린 ᆞ 이동원 ᆞ 강길선 산알푸조신 (Alfuzosin-HCl) 은전립선비대증치료약물로서 14,15 그효능과안정성을 FDA 로부터인정받았으며, 16-18 실험적또는임상적으로도비뇨기선택적약물이라는것이밝혀짐에따라심혈관계에관한부작용이거의나타나지않는것으로보고되었다. 19-21 염산알푸조신을이용한시판제제로는사노피-아벤티스사의자트랄 XL 정이있으며, 이정제는약물방출조절을위해고분자의팽윤특성을이용한삼중층구조로이루어져있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는수분을머금게되면팽윤하는특성을가진대표적인고분자로서 22 경구용제제설계시널리이용되고있다. 23-25 제제설계시에이용되는 의분말입자크기와점도에따라용해도가달라지는데, 의입자크기가클수록팽윤속도및겔층형성속도가느려지게된다. 또한, 의점도가높아질수록겔의강도를상승시켜수분의침투를어렵게하고, 이는수화되는속도를감소시키므로약물의방출을늦어지게한다. 26-28 따라서, 를이용한정제의약물방출속도를조절하는데가장편리한방법은 의점도등급을적절히조절하여선택하는방법이다. 본연구의목적은속방형약물인 29 염산알푸조신의초기빠른방출로인한급격한혈중농도의증가에따른부작용을 30 최소화시키기위해초기방출을지연시키고장에서꾸준히방출이이루어지도록함으로써높은생체이용률을가진경구용제제를설계하는것이다. 따라서, 본실험에서는고분자인 의점도에따른염산알푸조신의과립제를제조하였는데, 이는과립제가산제에비해비산성이작고유동성이크므로타정시충전성을높일수있을뿐만아니라비표면적이작아보존성이좋기때문이다. 31 정제는직접분말압축법을통해제조하였으며, 제조된과립정제의형태학적및화학적특성변화를관찰하기위해전자현미경 (SEM), Fourier 변형 IR(FTIR), 열시차주사열량계 (DSC) 분석을수행하였다. 32 또한, 생체외방출거동을알아보고이를시판제제인자트랄 XL 정과비교하였다. 실험시약및재료. 본실험에사용한약물인염산알푸조신은 GL Pharm Tech( 한국 ) 에서제공받았으며, KLVCR, K4MCR, K15MCR, KMCR( 점도 : 각각, 4000, 15000, 000 cps) 는 ( 주 ) 화원약품 ( 한국 ) 으로부터구입하여사용하였다. 제조된정제와방출거동을비교하기위한대조군으로시판제제인자트랄 XL정 (Xatral XL, 사노피- 아벤티스, 한국 ) 을구입하여사용하였다. 본연구에사용한용매및기타시약은 HPLC 등급을사용하였다. 과립제의제조. 염산알푸조신 ( mg) 을각고분자 ( mg) 와섞은후, 95% 에탄올 (0.5 ml) 을붓고연합한다. 연합된것을 12 호 (1700 μm) 체에거른후, 열풍건조기에 20 분간건조시킨후, 다시 14호 (1400 μm) 체와 45호 (355 μm) 체를이용하여입자크기가 355 1400 μm 인과립제를얻는다. 모든시료는제조한후사용하기전까지데시케이터에보관하였다. 염산알푸조신과립정제의제조. 정제의제조방법은 점도별로제조한과립제와활택제인스테아린산마그네슘 (1.0%, w/w) 을균일하게혼합한후직경이 8 mm 인몰드에넣고가압프레스 (MH- 50Y CAP 50 ton, 일본 ) 를이용하여 20 초동안 40 kg/cm 2 의힘을가하여제조하였다. 제조된정제는사용시까지데시케이터에보관하 였다. 형태학적특성분석. 과립제의입자상태및표면을관찰하기위하여 SEM(LV-SEM S-3000N, Hitachi Co, Tokyo, 일본 )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33 SEM 사진촬영을위한전처리는시료를금속판위에고정시킨후, 아르곤가스를충진하여백금코팅을실시하였으며, 코팅이완료된시료는전자현미경을이용하여 10 kv 에서관찰하였다. 결정학적특성분석. 염산알푸조신과 그리고제조된과립제샘플의결정학적구조를 XRD(D/MAX02200V, Rigaku, Japan)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X선회절은 0.3 mm 의투명한유리기판에일정량의시료를충분히적층하여배향이발생하지않도록 5 /min의속도로 10 50 범위내에서 30 ma, 40 kv 조건으로측정하였다. 또한, 염산알푸조신의결정성과열적특성을관찰하기위하여 DSC (TA Instrument DSC 3, Dupont, 미국 ) 를이용하여 10 /min 의승온속도로 70 260 범위에서온도를증가시켜결정성을확인하였다. 구조학적특성분석. 염산알푸조신과 의점도에따른과립제의화학변화를알아보기위해서 FTIR(GX, Perkin Elmer, 미국 ) 을이용하였으며, 과량의 KBr에시료를 :1로혼합하여투명한디스크형태로준비한후 400 4000 cm -1 파장에서분석하였다. 생체외방출거동. 대조군으로는염산알푸조신약물만을 mg 으로정제하여만든것과자트랄 XL 정 10 mg 을사용하였고실험군으로는제조된과립제로타정한정제를사용하였다. 방출실험은대한약전 9개정용출시험제 2법패들법으로실시하였으며, 용출액은인공장액 (ph 6.8) 으로대한약전 ( 제 9개정붕해시험법제 2액 -인공장액 ) 에따라제조하여사용하였다. 용출기는 DST-6(Fine Sci Instr, 한국 ) 을사용하였으며패들속도는 50 rpm, 용출액의온도는 37±0.5, 용출액의양은각각 ml로설정하였다. 34 정해진시간에따라시료를 1 ml 취하여 0.45 μm PTFE 필터로여과후 HPLC 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HPLC 분석. 염산알푸조신의방출거동을확인하기위한 HPLC 분석기는 NS-4000 HPLC system(futecs, 한국 ) 과 NS-6000 autosampler(futecs, 한국 ) 로구성되었다. 이동상은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포름산수용액 (0.2%), (20:20:60%, v/v/v) 로제조하였으며, N N H NH 2 HCl CH 3 N CH 3 N CH 3 (a) CH 2 R R R n R R CH 2 R (b) Figure 1. Chemical structures of (a) alfuzosin-hcl; (b). 폴리머, 제 34 권제 3 호, 2010 년

271 의 점도에 따른 염산 알푸조신 과립정제의 용출률 조절 나타내었다. (a)는 염산 알푸조신을 5천배율로 관찰한 SEM 분석결 과로서 특유의 결정성 형태를 가진 10 30 μm 크기의 입자임을 확 인할 수 있는 반면 (b)는 KMCR로서 무정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c) (f)는 각각 Batchs 1 4로서 비교적 매우 작은 크기의 염산 알푸조신 입자가 포접되어 있는 긴 형태의 무정형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첨가물로 긴 형태를 가진 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과립제 제조과정 중 체로 걸러내는 과정에서 그러한 형태를 가지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과립제의 결정학적 분석. 염산 알푸조신과 그리고 제조된 과립제 샘플의 결정학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XRD 분석을 수행하였 으며, 분석결과는 Figure 3에 나타내었다. (a)는 염산 알푸조신으로 서 고유 회절피크가 20 30 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결정성 약물 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b)는 KMCR로서 회절피크가 나 타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무정형임을 알 수 있었다. Batchs 1 4 의 분석결과는 각각 (c) (f)에 나타내었는데, 25 부근에서 염산 알 푸조신의 고유 회절피크가 약간 나타남으로써 과립제조 과정에서 약 물의 고유 결정성을 거의 잃었지만 완전한 무정형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4는 결정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DSC 분석결과이다. (a)는 염산 알푸조신의 분석 결과로서 염산 알푸조신은 결정성 약물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235 245 부근에서 나타난 뚜렷한 흡 열피크가 증명하고 있다. (b)는 KMCR로서 115 부근 에서 약한 흡열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DSC 분석과 정에서 높은 온도로 인한 고분자의 탈수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 다.37-39 (c) (f)는 제조된 과립제의 분석결과이다. (c) (f)는 각각 사용하기 전에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잔존가스를 제거한 후 사용 하였다. 염산 알푸조신의 검출파장은 250 nm로 사용하였으며 분석 에 이용한 컬럼은 ProntoSIL 120-5-C18-ace-EPS(5 μm, 250 4.6 mm)를 사용하였다. 유속은 1.0 ml/min로 하였고 시료 주입량 은 20 μl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론 염산 알푸조신 과립정제의 제조. 염산 알푸조신과 각 점도별 를 이용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과립제는 직접분말압축 법을 통해 정제로 제조되었다. 과립제 제조시 사용된 약물 및 고분자 의 함량은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정제를 제조할 때 활택제로 스테 아린산 마그네슘을 사용함으로써 분체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분체 의 유동성을 높였다.35,36 과립제의 형태학적 분석. SEM 분석을 통한 염산 알푸조신 및 점 도별 와의 과립제들의 입자상태 및 표면관찰을 Figure 2에 Table 1. Preparation Condition of Granule Batch No. 1 2 3 4 Alfuzosin- HCl KMCR - K4MCR - K15MCR KMCR (a) (b) (c) (d) (e) (f) Figure 2. SEM microphotography of (a) alfuzosin-hcl; (b) KMCR, granule of alfuzosin-hcl with various viscosity; (c) cps; (d) 4000 cps; (e) 15000 cps; (f) 000 cps. Polymer(Korea), Vol. 34, No. 3, 2010

272 김원 ᆞ 송병주 ᆞ 김대성 ᆞ 김수진 ᆞ 이선경 ᆞ 김혜린 ᆞ 이동원 ᆞ 강길선 Intensity % Transmittance 10 20 30 40 50 2θ(degree) Figure 3. XRD spectra of (a) alfuzosin-hcl; (b) KMCR, granule of alfuzosin-hcl with various viscosity; (c) cps; (d) 4000 cps; (e) 15000 cps; (f) 000 cps.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0 500 Wavenumbers(cm -1 ) Figure 5. FTIR spectra of (a) KMCR; (b) alfuzosin- HCl, granule of alfuzosin-hcl with various viscosity; (c) cps; (d) 4000 cps; (e) 15000 cps; (f) 000 cps. Heat flow(w/g) Cumulative release(%) 80 60 40 20 150 200 250 Temperature( ) Figure 4. DSC thermograms of (a) alfuzosin-hcl; (b) KMCR, granule of alfuzosin-hcl with various viscosity; (c) cps; (d) 4000 cps; (e) 15000 cps; (f) 000 cps. 0 0 200 400 600 800 0 1200 1400 1600 Time(min) Figure 6. Dissolution behaviors in the simulated intestinal juice, ph 6.8(n=3). Batchs 1 4에해당하며, 모두 115 에서고분자의탈수로인한약한흡열피크와염산알푸조신의결정성을보여주는 240 부근에서의흡열피크를보여주고있다. 제조된과립제는과립제조과정중에염산알푸조신의결정성을거의잃었으며, 이에따라약물의결정학적특성을약간갖고있지만무정형에가까워졌음을 XRD 와 DSC 의분석결과를통해확인할수있었다. 과립제의구조학적분석. 염산알푸조신및 점도별과립제의 FTIR 분석결과를 Figure 5에나타냈으며, (a) 는염산알푸조신의분석결과로서 3300 cm -1 에서아민의 N-H 스트레칭, 1650 cm -1 에서아마이드의 C= 스트레칭이나타났다. (b) 는 의분석결과로서 3400 cm -1 에서 -H 스트레칭, 1 cm -1 에서 C--C 스트레칭이나타났으며, (c) (f) 는과립제의분석결과인데염산알푸조신의아민의 N-H 스트레칭과아마이드의 C= 스트레칭그리고 의 -H 스트레칭및 C--C 스트레칭이모두나타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는염산알푸조신과 사이에서수소결합을통해염이형성된것으로사료된다. 생체외방출거동. Figure 6은실험군인 Batchs 1 4를인공장액 (ph 6.8) 에서용출실험한결과를나타낸것으로써, 모델약물인염산알푸조신을 의점도별 ( 각각 000 cps) 로과립제 Cumulative release(%) 80 60 40 20 0 0 200 400 600 800 0 1200 1400 1600 Time(min) Figure 7. Dissolution behaviors in the simulated intestinal juice, ph 6.8(n=3). 조후정제화한것이다. Figure 6을보면 의점도가높은과립제일수록완만한방출곡선을나타내는것을알수있는데, 이를통해첨가제인 의점도가높을수록초기방출률이낮으면서 24 시간후의최종용출률은거의유사함을알수있다. Figure 7은실험군중가장완만한방출곡선을나타낸 Batch 4를 폴리머, 제 34 권제 3 호, 2010 년

의점도에따른염산알푸조신과립정제의용출률조절 273 대조군인자트랄 XL 및시판제제인순수염산알푸조신을정제화한것과비교하여나타낸것이다. 대조군으로서시판제제인자트랄 XL 정은서방정답게용출실험 24 시간동안지연된방출거동을보였으며, 최종용출률은 81% 을나타내었다. 반면, 또다른대조군인순수염산알푸조신정제는속방형약물방출특성을그대로보여주며용출실험시작 15 분만에 90% 를상회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Figure 7에나타낸생체외방출거동결과를통해제조된과립정제가순수한염산알푸조신의속방성을서방화시켰음을알수있었고, 또한시판제제인자트랄 XL 보다도높은용출률을보였음을알수있었다. 이는첨가제로사용된 가수분을머금어팽윤하는과정에서이에포접된약물의방출을지연시키기때문으로사료된다. 결 본연구의모델약물이자전립선비대증치료약물로알려진염산알푸조신은속방성약물로서하루 1정복용을위해 24 시간에걸친지속적인약물방출제어, 즉약물의서방화가요구된다. 따라서, 본연구는고분자로서 를 cps부터 000 cps까지점도별로사용하여과립제를제조하였으며, 이를직접분말압축법을통해정제를제조하였다. 제조된과립제는 SEM 을통해형태학적인관찰을할수있었으며, DSC 와 XRD 분석을통해과립제조과정동안비록완전하지는않지만결정성이많이감소됨으로써무정형에가까워졌음을알수있었다. 또한, FTIR 의분석결과를통해약물과고분자의수소결합을통한염형성을확인할수있었으며, 인공장액 (ph 6.8) 에서수행된생체외방출거동을통해과립제제조시에첨가된 의점도가높아질수록더욱서방성의약물방출거동이나타남을알수있었다. 실험군의모든 Batch 가 24 시간내에 % 에가까운방출거동을나타내었으며, 특히염산알푸조신과 KMCR(000 cps) 로제조된 Batch 4는시판제제인자트랄 XL 정과유사한방출곡선을보여주면서도 24 시간의최종용출률은훨씬높게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바탕으로첨가제로사용된 의점도에따라모델약물인염산알푸조신의방출거동을조절할수있었으며, 대조군에비해향상된용출률을가진경구용제제로서의가능성을확인할수있었다. 감사의글 : 본연구는 WCU(R31-2009) 의연구지원에의하여이루어졌으므로이에감사드립니다. 론 참고문헌 1. D. B. Patel and N. J. Patel, Int. J. Chem. Tech. Res., 1, 985 (2009). 2. K. T. McVary, J. Urol., 175, 35 (2006). 3. S. J. Berry, D. S. Coffey, P. C. Walsh, and L. L. Ewing, J. Urol., 132, 474 (1984). 4. W. M. Garraway, G. N. Collins, and R. J. Lee, Lancet, 338, 469 (1991). 5. G. P. Hoke, Am. J. Med., 121, S3 (2003). 6. S. H. Lee, J. Korean Acad. Fam. Med., 28, 193 (2007). 7. H. S. Chang and C. H. Park, J. Korean Continence Society, 7, 25 (2003). 8. C. Franklin and M. D. Lowe, Clin. Ther., 26, 1701 (2004). 9. M. Miner, T. Matt, and Rosenberg, Clin. Ther., 28, 13 (2006). 10. J. Y. Lee, N. K. Choi, S. Y. Jung, Y. J. Kim, J. M. Seong, S. J. h, and B. J. Park, J. Prev. Med. Public Health, 42, 165 (2009). 11. C. R. Chapple, Rev. Urol., 7, 22 (2005). 12. W. J. G. Hellstrom and S. C. Sikka, J. Urol., 176, 1529 (2006). 13. M. C. Blouin, J. Cataract Refract. Surg., 33, 1227 (2007). 14. N. A. Gomes, A. Pudage, S. S. Joshi, V. V. Vaidya, S. A. Parekh, and A. V. Tamhankar, Chromatographia, 69, 9 (2009). 15. H. N. Mistri, A. G. Jangid, A. Pudage, D. M. Rathod, and P. S. Shrivastav, J. Chromatogr. B, 876, 236 (2008). 16. A. E. Lacerda, Y. A. Kuryshev, Y. Chen, M. Renganathan, H. Eng, S. J. Danthi, J. W. Kramer, T. Yang, and A. M. Brown, J. Pharmacol. Exp. Ther., 324, 427 (2008). 17. S. Pattnaik, K. Swain, and S. Mallick, Lat. Am. J. Pharm., 28, 62 (2009). 18. Q. Liu and R. Fassihi, Int. J. Pharm., 348, 27 (2008). 19. B. H. Chung, Korean J. Urol., 48, 233 (2007). 20. A. Jardin, H. Bensadoun, M. C. Delauche-Cavallier, A. Stalla-Bourdillon, and P. Attali, Br. J. Urol., 74, 579 (1994). 21. N. Mottet, F. Bressolle, V. Delmas, M. Robert, and P. Costa, Eur. Urol., 44, 101 (2003). 22. S. C. Jeong, S. K. Chon,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9, 288 (2005). 23. J. Siepmann and N. A. Peppas, Adv. Drug Deliv. Rev., 48, 139 (2001). 24. P. Colombo, Adv. Drug Deliv. Rev., 11, 37 (1993). 25. J. Y. Youn, S. W. Park, S. Y. Lee,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32, 322 (2008). 26. J. L. Ford, M. H. Rubinstein, and J. E. Hoagen, Int. J. Pharm., 24, 327 (1985). 27. K. Mitchell, J. L. Ford, M. H. Rubinstein, D. J. Armstrong, P. N. C. Elliot, J. E. Hoagen, and C. Rostron, Int. J. Pharm., 156, 49 (1997). 28. H. Kurahashi, H. Kami, and H. Sanada, Chem. Pharm. Bull., 44, 829 (1996). 29. L. S. Marks, C. G. Roehrborn, and M. Gittelman, Adult Urol., 62, 888 (2003). 30. J. H. Park, S. H. Kim, J. M. h, S. I. Ahn, Y. T. Kim, S. H. Jung, J. H. Choi, D. Lee, I. Yoo,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995 (2009). 31. B. J. Lee, et al., Galenical Pharmacy, Hanrimwon, Seoul, 2004. 32. J. H. Im, Y. Lee, and K. M. Huh, Polymer(Korea), 32, 143 (2008). 33. J. S. Park, J. S. h, J. M. h, Y. T. Kim, J. H. Lee, J. H. M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32, 193 (2008). 34. J. Y. Youn, J. Ku, S. Y. Lee, B. S. Kim,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31, 329 (2007). 35. D. S. Kim, K. Y. Seong, W. Kim, H. K. Hong, S. I. Ahn, J. H. Park, J. M. h, Y. T. Kim, E. Y. Lee, D. Lee,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903 (2009). 36. S. Virtanen, H. Salokangsa, and J. Yliruusi, Eur. J. Pharm. Sci., 34, S27 (2008). 37. P. Mura, M. T. Fauucci, A. Manderioli, G. Bramanti, and L. Ceccarelli, J. Pharmaceut. Biomed., 18, 151 (1998). 38. A. C. Williams, P. Timmins, M. Lu, and R. T. Forbes, Eur. J. Pharm. Sci., 26, 288 (2005). 39. J. H. Park, J. Ku, S. I. Ahn, J. H. Lee, Y. T. Kim, D. S. Kim, W. Kim,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729 (2008). Polymer(Korea), Vol. 34, No. 3,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