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박형순 (강남대학교) 1. 들어가는 말 문화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cultura에서 파생한 culture를 번역한 말 로 본래의 뜻은 경작(耕作)이나 재배(栽培)였는데, 나중에 교양 예술 등의

Similar documents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내지-교회에관한교리

152*220

º´¹«Ã»Ã¥-»ç³ªÀÌ·Î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¾ç¼ºÄÀ-2

#7단원 1(252~269)교

- 4 -

**09콘텐츠산업백서_1 2

....pdf..

»êÇÐ-150È£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10월추천dvd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178È£pdf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ok.

* pb61۲õðÀÚÀ̳ʸ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012~031)223교과(교)2-1

01정책백서목차(1~18)

³»Áö_10-6

hwp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03report hwp

CC hwp

With_1.pdf

È޴ϵåA4±â¼Û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R hwp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Untitled-1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쌍백합23호3

- 2 -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hwp

ÀÚ¿øºÀ»ç-2010°¡À»°Ü¿ï-3

연구노트


0.筌≪럩??袁ⓓ?紐껋젾 筌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중등용1)1~27

나하나로 5호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¼øâÁö¿ª°úÇÐÀÚ¿ø

Çѹ̿ìÈ£-197È£

#유한표지F

coverbacktong최종spread

감사회보 5월

2015년9월도서관웹용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04 Çмú_±â¼ú±â»ç

05 ƯÁý

A 목차

120~151역사지도서3




ITFGc03ÖÁ¾š

- 89 -

기본소득문답2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와플-4년-2호-본문-15.ps

(초등용1)1~29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BC1A62D31>


2009_KEEI_연차보고서

<B1B9C8B8C0D4B9FDC1B6BBE7C3B3BAB85F BB0DCBFEFC8A35B315D2E706466>

DBPIA-NURIMEDIA

5 291

2006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1. 경영대학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041~084 ¹®È�Çö»óÀбâ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핵심조직행동론,13판.indd



엔코위논문조귀삼

? !

Transcription: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박형순 (강남대학교) 1. 들어가는 말 문화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cultura에서 파생한 culture를 번역한 말 로 본래의 뜻은 경작(耕作)이나 재배(栽培)였는데, 나중에 교양 예술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영국의 인류학자 E. B. 타일러 저서 원시문 화 Primitive Culture (1871)에서 문화란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 률 관습등인간이사회의구성원으로서획득한능력또는습관의총체 라고 정의를 내렸다. 19세기의 신학자들은 이러한 문화의 가치를 가능하 게 하는 힘을 인간에게 선험적으로 부여된 이성, 감정 또는 의지, 즉 자유라고 생각하고 문화의 실체를 규명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 중에서 트뢸치(E. Troeltsch)는 종교와 문화의 일치를 주장한 문화 개신 교 신학(Kulturprotestantismus)을 주장하였다. 트뢸치의 제자이면서 1) 2) 1) Schleiermacher, Kant, Ritzel, Herman, Troeltsch 등의 학자들. 2) 이정배, 종교 다원주의와 신학적 미래, 서울: 종로서적, 1989, pp. 105-143.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03 해 보고자 한다. 2. 한국의 토속 종교의 조직 문화 한국 문화의실체는 일반적으로토속신앙, 유교, 불교, 도교적신앙이 기초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한국의 전통신앙은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화의 모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 종교를 일반적으로 무속신앙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종교학자 유동식은 한국의 전통 종교를 무속(巫俗) 이란 용어보다는 종교적 차원의 의미가 담긴 무교(巫敎) 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학자 정진 홍은 한국의 토속신앙을 정령숭배(精靈崇拜: animism)를 특징으로 하는 무속신앙(shamanism)과 제천(祭天)사상을 특징으로 하는 천신사상(天 神思想)의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정진홍은, 한국의 전통종교는 긴 역사의흐름을통해서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와같은외래종교가유입 될 때마다 전통 종교의 기초 위에 새로운 외래 종교의 요소들을 추가로 흡수하여 왔다고 주장한다. 즉, 한국의 종교는 전통종교의 현세성, 불교 의 신비스러움, 유교의 로고스(logos: 合理性), 기독교의 신관(神觀)이 서로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서로 간에 새로운 요소를 수용하면서 함께 발전해 왔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현실적이고 경험적 세계에 치중되어 있던 무속종교가 불교의 초월적이고 신비적 세계를 수용하게 되었고, 불교는 유교적 로고스의 합리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한국의 무속 종교와 불교, 유교는 기독교의 인격적 신의 개념과 신앙 공동체 개념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사회가 복수 종교 사회이면서, 모든 종교가 다른 종교의 요소를 5) 6) 5) 유동식, 민속종교와 한국문화, 서울: 현대사상사, 1978, p. 43. 6) 정진홍, 한국종교문화의 전통, 서울: 집문당, 1986, p. 26.

204 대학과 선교 제5집 자체 속에 차례로 축적해온 누적된 신앙(cumulative faiths)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갤럽 조사 연구소에서 1984년에 실시한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 의식 에 관한 조사 보고서는 그러한 한국 종교의 혼합 된 신앙의 단편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갤럽연구소의 설문서에는 한국인의 사후 세계에 대한 신앙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간이 죽은 후 어떤 형태로든지 다시 태어난다 는 설문항목을제시하고있는데 이에대한응답자들의반응이 도표 VI 1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7) 8) <표 VI 1> 한국인의 종교의식 명 구분 그렇다 전체 20.7 불교 29.1 개신교 21.4 천주교 24.5 무종교 16.9 N: 1,946 단위 %) 계 ( 아니다 모른다(무응답) 46.8 32.5 100.0 38.6 32.3 100.0 54.9 23.8 100.0 50.5 25.0 100.0 47.3 35.7 100.0 이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정진홍 교수의 7) Smith, W. C.,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 New York: Harper & Row, 1978, p. 154. 8) 박무익편,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한국갤럽조사연구>, 1984, p. 320: 표 4 7, 종교적 성향(윤회사상)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05 주장과 같이 한국인의 종교 의식 속에는 다종교 사회에서 각 종교가 다른 종교의 요소들을 수용하여 축적해 온 누적된 신앙(cumulative faiths) 의 흔적을 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많은 불교 신자들 이 윤회설(transmigrationism)을 믿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불교도라고 주 장하며, 반면에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윤회설을 믿으면서도 자신을 개 신교인, 또는 천주교인이라고 응답하고 있다. 한국 사회의 다원종교적 상황 속에서 각 종교들이 지니고 있는 이러 한 누적된 신앙 의 요소들은 조직신학적 측면에서는 신학적 논쟁의 주제들이 되겠지만 리더십과 같은 실천신학 분야에서는 리더십의 유형 을 결정하는 중요한 종교 문화적 특성들이 될 것이다. 한국과 같은 다종 교(多宗敎) 사회에서의 종교적 리더십은 초문화적(超文化的: inter cultural), 초 종교적(超宗敎的: inter religion), 초 교파적(超敎派的: inter denomination) 개방성을 통해 토착 문화를 수용(inculturation)과 변용(acultration)의 과정을 통해 한국적 기독교 문화를 개화시켜 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크리스천 리더십은 본질적으로 변혁적이며 개방성을 지녀야 한다. 유동식은 그러한 종교적 개방성이 부분적으로 혼합 종교적 (syncretism) 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긍정적 측면에서 보면 그러한 개방성과 포용력을통해 종교가창조적인 사회변혁의 길을모색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의 올바른 토착화는 종교적 본질이 훼손됨이 없이대상 지역의문화에 적응하고그 문화를변용시켜 나가는 것을의미한다. 그러한목적에서한국의토속종교와유교문화가내포하 고 있는 리더십의 특성을 고찰하고 기독교 리더십과의 공감대를 모색하 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9) 9) 유동식, "한국무교의 종교적 특성', 민족문화연구총서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2, pp. 129-145.

206 대학과 선교 제5집 한국문화와 단군신화(Dangun myth) 단군신화는 한국 문화의 원형적 틀로서의 상징성을 지닌다. 삼국유 사 에 기록되어 있는 단군신화는 천지인(天地人)의 세 가지 요소가 결합 된 신화이다. 첫째, 인간의 몸으로강림한 천신(天神)의 아들환웅은 하늘 (天)을 상징하며, 둘째, 곰이 인간의 몸을 입어 나타난 웅녀(熊女)는 지모 신(地母神)을 상징하며, 환웅과 웅녀 사이에 태어난 단군왕검은 인간을 대표하는 존재이다. 단군신화는 인간 세계의 근본 원리를 천지인(天地 人) 삼재(三材)의 결합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상은 인간의 문화가 하늘, 땅, 인간의 세 요소의 조화와 융합을 통해 생성되고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삼재 존중의 정신은 고조선 이후 한국 민족의 국가관 형성에 기초가 되었으며 한국적 문화의 핵심 요소를 형성하여 왔다. 이러한 단군 설화의 삼재 사상은 본질적 차이는 있지만 기독교의 창조론 속에 나타나는 하나님, 인간, 자연의 세 요소와 외형적 공감대를 공유한다. 2.1 무교(巫敎, shamanism) 무교(巫敎)는한국의종교중에서가장 오랫동안한국 문화의 저변을 다스린 무의식의 창고 역할을 하였다. 무교가 이렇게 중요한 민간 신 앙으로서 한국인의 종교 현상의 저변을 지배해 온 것은 그 의식 표현이 평범하고 쉬우며,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인 질병의 치유, 재앙의 제거와 기복사상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한국 무교의 구조속에는 이러 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두 가지 기능이 있다. 그것은 탓하기(Tatagui) 와 2.2. 10) 11) 10) 정희수 외 9인 공저, 기독교와 현대사회, 용인: 강남대학교 출판부, 1998, p. 35. 11)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9, p. 24.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07 한풀이(Hanpuri) 라는 것이다. 탓하기 는 문제의 원인을 찾아냄으로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려는 해석학적 원리이다. 여러 질병이나 문제들을 만나게 될 때 한국인들은 그 원인의 탓을 자연질서의 파괴. 원령(怨靈)들 과의 관계 등에서 찾았고 종교적 중재자인 무당을 통해 그 원인들을 제거하는 의식인 한풀이 를 하게 된다. 이 한풀이 의 해석학적 의미는 초월적 존재의 능력을 통해 인간들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 즉, 초월적인 것과 비초월적인 세계를 융합시키는 통합의 과정이다. 이러한 무교적 탓하기 와 한풀이 의 기능은 한국인의 의식의 저변 에 스며들어 한국 사회의 조직 문화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직이 문제에 봉착하게 되면 제일 먼저 표출 되는 현상이 탓하기 현상이다. 탓하기 의 대상은 조직의 최고 책임자 보다는 주로 중간 리더들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탓하기의 대상으로 지목된 구성원들이 희생양이 되 어 한풀이 의 과정을 통해 제거되어야 비로소 조직의 문제가 해결되었 다고 믿는다, 다만 여기에서 무교적 한풀이 와 다른 점은 조직에서의 한풀이 는 종교적 중재자의 역할을 조직의 책임자가 수행하는 것이 다 를 뿐이다. 한국 교회에도 이러한 무교적 영향이 신도들의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다. 서구 교회의 신학적 특성이 말씀(logos)과 실천(praxis)이라고 한다 면 한국 교회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인 질병의 치유, 재앙의 제거와 기복신앙(祈福信仰)에 관한 성향이 비교적 강하다. 일부 한국 교회에서 는 이러한 신도들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목회자가 종교적 중재자로서 탓하기 와 한풀이 의 기능을 수행한다. 탓하기 의 대상은 무교에서와 마찬가지로 귀신 또는 악령 으로서. 신도들의 삶의 문제나 질병, 가난, 재앙 같은 것들의 원인을 개인보다는 이들 사탄이나 악령의 12) 정희수 외, op., cit p. 36. 12)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09 풍류도(風流道)와 조직 문화 한국 민족은 중국과는 다른 차원에서 고유한 도(道)를 지니고 있었는 데 그것은 신라 시대의 화랑(花郞)들을 중심으로 형성 되었던 풍류도(風 流道: poong ryu do)라는 것으로서 이 풍류도를 한국의 고유한 영성(靈 性)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사기 의 진흥왕 37년 의 기록에 나오는 최치원(崔致遠)의 난랑비서(鸞郞碑序) 에 나타 나고 있는데 최치원은 한민족의 고유의 영성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2.3 우리나라에는 현묘(玄妙)한 도(道: 靈性)가 있다. 이것을 풍류(風流) 라고 한다.... 이는 실로 三敎(儒, 佛, 道)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뭇 생명들에게 접해서는 그들을 교화(敎化)한다. 14) 최치원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영성을 풍류도라고 하면서 이것은 유 불선 삼교(三敎)의 본질을 포괄하는 것이며,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생명들 을 교화하여 그들로 올바른 삶을 살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풍류도 는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생명 있는 것들을 다 교화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사상을 모두 포괄한 것보다 너 넓고 심오 한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풍류도는 신(神)과 인간과 자연이 하나 로 서 융화를이루고 있는 도이다. 풍류도는 본질적 차원에서 단군설화가 내포하고 있는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과 15) 16) 14) 김부식, 삼국사(三國史), 신라본기(新羅本紀).四, 眞興王 37. 15) 도광순, "풍류도와 신선사", 현대와 종교, 제11집, 대구: 현대종교문제연 구소, 1988, pp. 211-242. 16) 양근석, "한민족의 풍류도와 화랑사상 연구", 국민윤리연구 38호, 서울: 한국국민윤리학회, 1998, p. 86.

210 대학과 선교 제5집 그 맥락을같이 하고있음을 알수 있다. 그러므로 풍류도는한국 문화의 기초 이념이며 한국 민족의 의식 속에 살아 있는 영성이다. 최치원이 사용한 풍류(風流) 라는 용어는 한자어이지만 이를 순수한 한글로 표현 해 보면 풍류도의 본래의 의미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풍류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속되지 않고 운치가 있는 일, 풍 치를 찾아 즐기며 멋스럽게 노니는 일 이다. 이러한 사전적 의미의 풍류 에 가장 적합한 우리말은 멋 이라고 할 수 있다. 멋 은 한국인의 독특한 미의식(美意識)을 표현하는 용어로서 그 안에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미의 식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즉, 그것은 태도나 몸가짐에서 풍기는 세련 된 기품, 격에 어울리게 운치 있는 맛, 흥취를 자아내는 재미스러운 맛 등을 의미한다. 멋 에 적합한 영어 단어들로는 세련된 몸매나 태도를 의미하는 smartness, stylishness, 맵시나 흥취를 의미하는 taste, charm, elegance, 또는 멋 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reason, ground, cause 등의다양한의미로번역할수 있을것이다. 한국적 멋 의 진정한 의미는 이와 같이 복합적 개념을 갖춘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말하자면 이상적인 실존의 기초개념을 내포한 용어이다. 이 단어 속에 들어있는 흥취 라는 뜻은 본래 한국의 종교적 체험에 그 뿌리를 가진 감정으로서 신명나다 란 말과 통한다. 한국적 멋은 곧 신명나는 (excited, elated) 삶 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국적 멋 으로서의 신바람 은 한국인의 일상의 삶의 생동감을 주었고 그들의 종교적 체험에 활력을 주었으며 한국적 문화의 특성으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한국인들 의 가무(歌舞)를 즐기는 성향이나, 2002년 월드컵 축구 대회에서 나타난 한국인들의 붉은 악마(Red devil) 응원단의 열기를 통해서 입증되고 있다. 17) 17) 유동식, "한국인의 영성과 종교문화", 동방학지, Vol.54,55,56, No.0, 서 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 p. 405.

212 대학과 선교 제5집 자산(frozen assets) 과 같았던 평신도 계층을 교회 성장의 폭발적 에너 지로 전환시켰다. 한국적 크리스천 리더십에 있어서 신도들의 이러한 종교적 신바람은 조직의 활성화와 성장을 위해 목회자들이 필수적으로 연구해야 할 문화적 특성이다. 풍류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생명 있는 것들을 모두 교화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불도(儒佛道) 세 종교의 사상을 모두포괄한 것보다너 넓고심오한 정신이라고할 수있다. 유동 식 교수는 풍류도의 이러한 포괄적 성질을 나타내는 적합한 한국말을 한 이라고 표현하였다. 유동식은 한(Han) 이라는 말의 의미를 두 가 지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는 숫자적인 의미로서의 하나(one) 이다. 이 경우의 하나는 구성원 상호간의 일치와 조화를 의미한다. 둘째는 위대하 고 크다는 의미로서의 한(greatness) 이다. 이 때의 한 은 하늘(天) 을 의미하는데 거기에 인격적인 존칭을 붙인 존재가 한님, 즉 하느님이다. 세상을 다스리는 하느님을 믿고 동방으로 이주해 온 한민족은 스스로를 한 이라고 했으며 오늘날 한국(韓國) 이란 명칭은 이로부터 유래 하였 다는 것이다. 풍류도는 인간을 교화하여 사람다운 삶을 살게 하는 도이니 그 것을 상징하는 한국 말은 삶 이다. 이 삶 이란 단어는 생물학적 목숨이나 생 명을 뜻하는 동시에 사회학적으로는 살아가는 일 이란 뜻을 가지고 있 다. 그러므로 삶 이란 말에서 사람 이란 말이 나왔으며 이 사람 은 문화 적 가치를 생산하는 사회적 존재이며 삶 은 사람 의 준말이라고 유동식 은 설명한다. 18) 19) 20) 18) Kraemer, Hendrick, A Theology of the Laity, London: Lutterworth Press, 1962, p. 176. 19) 유동식, op. cit., p. 406. 20) Ibid., p. 406.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13 이상에서의 풍류도의 세 가지 의미를 종합해 볼 때 그것이 지니고 있는 깊은의미를 다음과같이 요약할수 있다. 풍류도의 세가지 요소는 멋 과 한 과 삶 이다. 즉 한국에서의 조직 문화의 개념은 위대하고 멋있는 삶 이며 동시에 그것은 하늘 과 인간 과 삶 이 조화와 일치를 이루는 멋 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적 조직문화의 특성은 멋 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조직의 삶 자체가 질서 있는 긍정적 신바람의 삶이 되고 하늘과인간과삶이조화를이루는멋으로충만할때그조직의잠재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엄격한 율법주의나 교조주의(敎條主義: dogmatism) 는 한국인의 심성에는 적합하지 앉다. 조선시대의 유교적 율법주의는 한국인의 생동감 넘치는 풍류도적 기질을 저하시킨 것이 사실이다. 새 시대의 한국 문화는 한국인의 풍류적 기질을 고양시킴으로 멋스러움이 충만한 문화가 되어야 하며 이 멋 을 한국의 조직 문화 속에 특성화 시키는 노력이 지속 되어야 한다.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한국 기독교는 이러한 한국 풍류도의 특성인 멋 과 한 과 삶 에 올바른 기독교적 방향 성을 제시하여 그 특성이 한국의 조직 문화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서구의 조직문화와 경쟁할 수 있는 힘을 배양시키는 원동력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며, 한국 교회는 이러한 멋스러운 조직 문화의 실천 모델을 교회라는 공동체를 통해 실현해야 할 과제를 지니고 있다. 21) 3. 유교적 조직 문화의 특성 유교는 고구려 소수림왕(AD 372) 때 태학(太學) 을 세워 경전(經典) 과 궁술(弓術)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유교는 이미 고구려 시대에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22) 21) Ibid., p. 407.

214 대학과 선교 제5집 그 후 삼국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동안 고려 시대를 제외하고는 한국의 문화 형성에 가장 깊은 영향을 끼친 종교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토속신앙과 유교는 한국의 전통 문화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유교의 영향은 한국의 마지막 왕조인 조선왕조의 시조인 태조(太祖) 이성계(AD1392)로부터 1910년 마지막 임금인 순종(純宗)에 이르기까지 519년간 지속되었다. 조선은 성리학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내세움으로써 어느 왕조보다도 뚜렷한 유교국가(儒敎國家)로서의 면모 를 보여 주었으나, 유교가 종교의 기능을 담당할 수는 없었다. 그리하여 초기에는 불교 도교 민간신앙을 국가신앙으로 다시 흡수하기도 하였 으나, 16세기 이래 사림(士林)에 의해 성리학이 융성해지면서 교조주의 로 흐르게 되자 다른 일체의 사상과 종교를 이단(異端)과 사교(邪敎)로 규정하였고 유교에서의 조상숭배 사상을 종교적 단계로 끌어올려 제사 를매우중시하였다. 결과적으로불교나도교를포함한민속신앙은민간 에서만 전승되었으며 유교는 한국의 마지막 왕조인 조선 시대 500여 년간 국가적 차원의 건국 이념으로서 조선의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 철학적 원리와 윤리적 규범으로 정착되어 500여 년에 걸쳐 지대한영향력을미치게되었다. 그렇다고하면한국적조직문화의뿌리 가 되는 유교적 리더십의 개념과 특성은 무엇인가? 유교는 조선의 문화에 형성 과정에서 예(禮)를 인간 관계의 기준으로 삼았다. 유교의 중심사상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이다. 인(仁)은 나와 너, 나와 사회를융합 시키는어짐이요, 의(義)란추악함과 고상함, 참과 거짓 을 구분하는 옳음이다. 이 인(仁)과 의(義)는 만물의 존재 가치의 차등을 의미한다. 즉만물에는각기제분수가있어서이것을지키는것을예(禮) 라고 한다. 따라서 예는 인간 관계의 기본규범으로서 그 본질적 특성은 22) 김부식, op., cit. 고구려본(高句麗本紀).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15 차별(discrimination)이다. 유교에서의 리더십의 개념은 따라서 인간관 계에 있어서 상하(上下)와 귀천(貴賤), 남녀(男女)와 노소(老少)를 엄격히 구별하는 예사상(禮思想)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예사상에 근거 한 차등개념은 1600여년 동안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한국적 문화의 특성으로 정착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초 한국사회에 서구문화가 급속히 유입되면서 이러한유교적 차등개념은 서구의수평적 사고개념에 의해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되면서 두 개념은 한국 사회에서 갈등과 대립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전통적인 예사상은 한국 인들의 의식의 저변에서 여전히 조직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적 리더십의 핵심적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 로유교적예사상은그것이지나치게율법적권위를갖게될때는조직을 경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그것이 조직의 가치관으로서 적절하게 유지된다면 조직의 구심력을 형성하여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 하게 해주며, 조직의 질서와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공자는 지도자를 군자(君子: a wise man), 선인(善人: a good man), 항심(恒心: consistency)이 있는 사람 이라고 정의했다. 물론 이 중에서 도 공자가 의미하는 진정한 지도자는 군자 이다. 군자는 평탄하여 여유 가 있고, 소인은 늘 걱정스러워 한다. 고 공자는 말했다. 즉, 군자는 하늘의이치를따르므로항상몸과마음이편하고여유가있으며, 소인은 현실적인 환경에 끌려 다님으로 근심이 많다는 의미이다. 공자는 군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서 지(知), 인(仁), 용(勇)의 세가지를 알면 자기를 다스리고, 남을 다스리며, 세상을 다스릴 수 있는 군주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23) 24) 23) 장기근, 동양고전 논어(論語, 서울: 명문당, 1973. (述而) 36. 24) 知는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노력을 의미하고, 仁은 열린 마음, 어 진 마음, 일을 열심히 실천하려는 마음을 의미하며, 勇은 잘못한 것에 대한

216 대학과 선교 제5집 공자는 군자가 나라와 조직을 다스리고 관리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리더십의 요소들로서 아홉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수신(修身), 존현(尊賢), 친친(親親), 경대신(敬大臣), 체군신(體君臣), 자서 민(子庶民), 래백공(來百工), 유원인(柔遠人) 회제후(懷諸候) 의 아홉 가지이다. 공자는 이 아홉 가지 원리 중에서도 수신(修身)을 가장 강조했는데이는 군자가자기 자신을다스리는 것이무엇보다 중요 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공자는 이 아홉 가지 원리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확고한 실천의지와 자세가 중요하며 지도자로서 가 장 중요한 자세로서는 성(誠: faithfulness, sincerity)을 강조하였는데 이 는 지속적으로 선(善: goodness)을 선택해 실행하려는 변함 없는 정성과 성실함을 의미한다. 25) 26) 30) 27) 28) 31) 29) 32) 33) 4. 유교적 리더십의 자질과 기독교 리더십 유교적 리더십에 있어서 공자가 제시하는 리더의 자질의 본질적 요 소들은 무엇인가? 유교적 리더십의자질적 특성들은한국적 기독교리더 십의 자질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부끄러움과 개관적이고 철저한 반성과 인정 및 개선을 의미한다. 25) 수신(修身): 마음 행실을 바르게 하도록 자신의 심신을 닦음. 26) 존현(尊賢): 현명한 사람을 존경하는 것. 27) 친친(親親): 친족과 가까이 지내는 것. 28) 경대신(敬大臣): 대신을 공경하는 것. 29) 체군신(體君臣): 신하를 격려하는 것. 30) 자서민(子庶民): 서민을 중시하는 것. 31) 래백공(來百工): 장인이 편히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 32) 유원인(柔遠人): 먼 곳의 사람과 화목하게 지내는 것. 33) 회제후(懷諸候): 제후들을 대우하는 것.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17 공자가 제시하는 유교적 리더십의 여러 가지 자질 중에서 9 가지 핵심적 인 자질을중심으로 그의미와 기독교리더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로 한다. 용기: 결단성과 실천력 공자는 지도자의자질로서 탁월한 용기와 결단성을 강조하면서 동시 에 지도자의 언행일치(言行一致)와 솔선수범(率先垂範)을 강조하였다. 공자는 의(義)를 보고 행하는 것이 곧 지도자의 용기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4.1 의(義)를 보고도 실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 먼저 그 말한 것을 실행하고, 그 뒤에 말이 행동을 따르게 하는 것이다. / 군 자는 말은 어눌하게 하고, 실행에는 민첩하고자 한다. / 계강자(季 康子)가 물었다. 중유(仲由)는 정사에 종사하게 할 만 합니까? 공자께 서 말씀하셨다. 유(由)는 과단성이 있으니 정사에 종사하는데 무슨 어 려움이 있겠는가? 34) 35) 36) 37) 여기에서 공자가 말하는 용기는 단순한 용기나 혹은 만용(蠻勇)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자의 제자 자로가 자신의 용맹스러움을 믿고 스승인 공자에게 삼군을 출동할 때 누구를 데려가겠느냐고 묻자, 공자는 그를 꾸짖으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34) 장기근, op., cit., 서울: 명문당, 1973. 위정(爲政) 24. 35) Ibid., 13. 36) Ibid., 이인(里仁) 24. 37) Ibid.,옹야(雍也) 6.

218 대학과 선교 제5집 맨손으로 범을 잡으려 하고 맨몸으로 강하를 건너려 하다가 죽어도 후회함이 없는 자를 나는 함께 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반드시 일에 임하여 두려워하고, 도모하기를 좋아하여, 성공하는 자를 데리고 할 것이다. 38) 공자가 의미하는 용기와 결단성은 단순한 용맹이나 혹은 무모한 만 용(蠻勇)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공자는 인(仁: benevolence)을 갖춘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기가 있는 자는 반드시 인(仁)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고 말했다. 즉 공자가 의미하는 용기와 결단성 은 인(仁: benevolence)에 기초한 용기이다. 진정한 인을 소유한 사람은 사회의 불의를 그대로 방관하지 않는다. 용기와 결단성은 성서적 리더십에서도 중요한 자질의 하나이다. 모 세와 여호수아를 포함하는 구약의 지도자들과, 예수를 중심으로 하는 신약의 지도자들의 대표적 특성 중 하나는 용기라는 것이다. 그 용기 때문에 예수는 기꺼이 십자가에 달려 죽었으며 그의 제자들 역시 그 용기 때문에 기꺼이 순교자의 대열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용기는 영웅주의나 정치적 이익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용기는 인간의 생명에대한거룩한사랑에기초한것이었다. 즉기독교의용기가경천애 인(敬天愛人)의 믿음과 사랑(愛)에 기초한 것이라면, 유교의 용기는 인 (仁)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9) 변화와 개혁성 한국사회에서 유교는 일반적으로 보수적이고 수구적 성향을 지닌 종교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자의 가르침 속에는 4.2 38) Ibid., 술이(述而) 10. 39) Ibid., 헌문(憲問) 5.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19 본질적으로 변화와 개혁 지향적 요소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공자는 지도자가 사회적 환경에 민감해야 하고 변화와 개혁 지향적이어야 함을 강조하였고 스스로 이를 실천하였다. 그는 옛 것을 충분히 습득하고 나아가서 새로운 것을 알아야 스승이 될 수 있다 고 설파하였다. 공자 의개혁성의구체적사례를보자. 공자가 19세에하급관리로임명을받았 을 때 그는 고참 관리들의 방해와 제지에도 불구하고 부정과 비리를 척결하고 종전의 납세제도를 혁신적으로 개혁하여 공평과세를 실시함 으로 세수(稅收)를 늘렸다. 공자가 51세에 노 나라의 재상에 임명되자 정실 인사의 배제, 관혼상제의 간소화. 미풍양속의 양양에 힘써 1년 만에 자신이 관할하는 성읍의 모습을 완전히 개혁하였다. 이듬해 다시 대사공 (지금의 재무장관)과 대사구(지금의 법무장관)로 승진을 한 후에도 지속 적으로 개혁을 단행하였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대재상(지금의 국무총리) 으로 임명받아 국정을 다스렸다. 40) 상황인식과 위기관리 능력 지도자로서 사회적 환경에 민감하고 변화 지향적이며개혁성을 유지 하기 위해서는 지도자가 상황에 대한 탁월한 인식 능력과 위기 능력을 지녀야 한다. 공자는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혼란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탁월한 상황 인식 능력을 발휘하여 사회적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정치철학을 제시하였다. 제 나라 경공이 공자에게 나라를 부강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자문을 구했을 때 그는 당시의 혼란한 상황과 위기 를극복할수 있는정책으로서, 절약, 공평한정치, 현명한인재의발굴과 적재적소등용, 공정한법 집행, 위계질서의 확립, 신뢰감구축등의방안 을 제시하였다. 또한 백성들의기아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안으로, 부역 4.3 40) Ibid.,위정(爲政) 11, 子溫故而知 可以爲師矣.

220 대학과 선교 제5집 면제, 토목공사 감축, 가축 도살 금지, 제사의식의 간소화, 부족한 곡물의 수입과 방출, 국가 보유미와 부유한 관리들의 곡물 방출 등의 정책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가뭄에 대한 대책으로 치수(治水)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가의 위기 상황 뿐 아니라 공자 자신이 여러 나라를 방문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 속에서 그는 매번 침착하게 위기를 극복하였다. 신뢰성 유교적 리더십에서 지도자의 신뢰성은공자가 특별히강조하는 자질 로서 언급되고 있다. 공자는 국가의 존립에 필요한 세 가지 요소를 양식 과 군대, 그리고 신뢰라고 하면서, 그 중에서 불가피하게 어느 하나를 포기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면, 군대를 먼저 포기하고, 그 다음은 식량 을버리고국민의신뢰는가장중요하므로버려서는안된다고하였다. 공자는 지도자가신뢰성을 얻기위해서는 정직성과 공정성이 중요하 다고강조하였다. 공자는정직한것을좋아하고굽은것을미워함은천하 의인정임으로이순리를따르면백성은복종하고, 이를거스리면백성이 배반하게 되는 것이 필연적인 이치라고 했다. 그러나 이를 도(道)로서 판단하지 않으면 정직한 것을 부정하게 여기고, 부정한 것을 정직하게 여기게될위험성이있음을경계하였다. 그러므로군자는이를잘판단해 야 한다고 가르쳤다. 4.4 4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야! 내가 네게 아는 것을 가르쳐 주겠다. 아 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아는 것 이다. 애공(哀公)이 어떻게 하면 백성이 복종합니까? 라고 질문하자, 41) Ibid., 안연(顔淵) 7.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21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정직한 사람을 들어 쓰고, 모든 굽은 사람을 버 리면 백성들이 복종하며, 굽은 사람을 들어 쓰고, 모든 정직한 사람을 버리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습니다. 42) 공자는 나라의 원로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 으면서도 제자들을 벼슬에 앉히기 위해 인맥, 연줄, 인연 등의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으며, 일의성격과상황에 가장적합하다고판단되는 사람 을 추천하는 공정성을 지킴으로 모든 사람들의 신뢰를 받을 수 있었다. 겸손과 관용 노 나라의 재상으로 임명된 자로가 공자에게 지도자의 자질에 대한 가르침을 요청하자 공자는 강한 힘, 인내와 노력, 충실성, 신뢰, 겸손 등의다섯가지자질을언급하였다. 지도자는강력한힘이없이는목적에 도달할 수 없고, 인내와 노력이 없이는 공을 세울 수 없으며, 매사에 충실치 않으면 친한 이가 생기지 않고, 한번 신뢰를 잃으면 다시 회복하 기 어려우며, 겸손하지 않으면 예를 잃게 되니 이 다섯 가지를 명심하고 행하면 다른 것을 구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안희란 사람이 송나라를 방문하기 전에 공자를 찾아 입신(立身)할 수 있는 방법을 묻자 공자는 다음과 같이 겸손, 공경, 충실, 신뢰, 덕목들 을 강조하였다. 4.5 43) 그것은 공(恭: 겸손), 경(敬: 존경), 충(忠: 충실), 신(信: 신뢰)의 네 글 자를 지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겸손하면 자연히 화를 멀리할 수 있고, 공경하면 자연히 남과 친해질 수 있으며, 충실하면 자연히 사람들과 42) Ibid., 위정(爲政) 19. 43) 주선, 공자 인간경영, 서울: 중명, 2001. p. 40.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23 다. 나머지 기업들은 좋은 경영 성과에 자만한 나머지 위대한 기업의 문턱에서 좌절하거나 또는 나쁜 회사로 전락하고 말았다. 콜린스는 좋 다 는 사실이 위대함 의 적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좋은 기업을 위대한 기업으로 발전시킨 원동력은 위대한 리더십이었다. 위 대한 기업으로 성공한 11개 기업은 모두 이를 주도한 위대한 지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 위대한 지도자들의 자질의 핵심적 요소는 겸손이 라고 지적하였다.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아들임에도 불구하고, 죽음을 앞둔 마지막 만 찬석상에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는 모범을 통해 지도자의 겸손과 봉사의 자세를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을 기독교 리더십 의 핵심 원리로서 보여 주었다. 공자 역시 군자의 핵심적 자질로서 겸손 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공자는 주공과 같은 재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매사에 교만하고 인색하다면 그 나머지는 볼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공자는 또한, 교만은 인색함의 지엽이고, 인색함은 교만함의 근본이라고 하면서, 교만하면서인색하지 않은자가 없고, 인색하면서교만하지 않은 자가 없다고 말했다. 46) 47) 사회적 권력 욕구(Socialized need for power) 공자는 지도자에게 있어서 권력 욕구는 필연적으로 있어야 하는 것 이지만 그것은 개인화 된 권력 욕구(personalized need for power)가 아니라 사회화 된 권력 욕구(socialized need for power)여야 함을 강조 하였다. 개인화된권력욕구는개인의이익과안녕을추구하는이기주의 적 권력 욕구이지만 사회화 된 권력 욕구는 조직이나 구성원의 이익과 4.6 46) 장기근, op., cit. 태백(泰伯) 11. 47) Ibid., 자공(子空) 3.

224 대학과 선교 제5집 안녕을 추구하는 것이다. 공자는 군자는 의로움에 밝고, 소인은 이로움 에 밝다 고 말함으로 개인화 된 권력 욕구를 이(利)로움을 추구하는 소인배적 욕구로 본 반면, 사회화 된 권력 욕구를 의(義)로움 을 추구하 는 군자적 욕구로 구별하였다. 공자는 공직에 종사하면서 일체의 사심을 버리고 오직 나라와 백성 을 위한 정치에 헌신 할 것을 당부하였다. 공자의 이러한 철학은 다음의 글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48)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 할 때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을 민첩 하고 말을 삼가며... 이른 바 대신이란 도(道)로써 군주를 섬기다가 불가능하면 그만두는 것이 다. 49) 그러나 공자는 사회적 권력 욕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면서도 자신 은그러한사회적권력욕구에소극적이었다. 그는자신이주장한사회적 권력 욕구를 적극적으로 실현하기보다는 권력의 실세들이 자신에게 그 러한 기회를 제공하기까지 기다리는 수동적 자세를 견지하였다. 또한 공자는 관직에 올랐을 때에도 자신의 경륜을 펼치는 일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군주와 이상이 맞지 않다고 생각하면 미련 없이 관직을 포기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자는 학자로서는 훌륭한 업적을 남겼지만 정 치가와 행정가로서는 학문에 비례할만한 많은 업적을 남기지는 못했다. 자신의 학문적탁월성이 사회적권력 욕구와충분히 조화를이루지 못했 기 때문이다. 크리스천 리더십에서도 공자가 제기한 사회적 권력 욕구의 의미는 48) Ibid., 이인(異仁) 16. 49) Ibid., 선진(先進) 23.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이 지녀야 할 한국 전통 종교의 문화적 특성들에 관한 고찰 225 매우 중요하다. 사도 바울은 그것을 명예로운 야심(an honorable ambition) 이라고 표현했다. 여기에서 사도 바울이 말하는 야심은 기 독교의또다른중요한가치관인겸손과대치되는것처럼보인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인간이 고상하고가치 있고명예로운 야심을추구하는 것은 공자가 말한 사회적 권력 욕구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서, 인간이 마땅히 추구해야할고상한가치임을강조한다. 그러나사도바울은공자와마찬 가지로개인화된권력욕구에대해서는엄중히경계하고있다. 그리스도 인들의 삶에 있어서 명예로운 야심 은 거룩한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특히 크리스천 리더들에게 그러한 야심은 사역의 역경을 이겨내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50) 거시적 안목과 통찰력 공자는 군자는 하나의 기물이나 기계처럼 자잘한 직능공 노릇을 아니한다(君子 不器). 라고 말했다.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즉, 군자란 학식과 덕행을 겸비한 실천력을 가지고 수신(修身)에서 출발 하여 제가(齊家), 치국(治國)을 거쳐 평천하(平天下)를 이룩하기 위해 현 실사회에 참여하는 정치지도자인 동시에 대중을 이끌어 가는 사회의 중추적 집단이다. 그러므로 지도자는 하나의 재주나 기예(技藝)에 능한 부분적 전문가인 직능공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지도자는 부분적 전문지식 을 넘어서는 폭 넓은 안목과 통찰력을 지님으로 사회의 전반적 측면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연속성을 통해 사물을 살필수 있는능력을필요로한다. 공자는 군자는두루통하면서 도 편당적이 아니지만, 소인은 편당적일 뿐 두루 통하지 못한다. 라고 4.7 51) 50) 신약성서, 디모데전서 3:1. 51) 장기근, op. cit.,위정(爲政) 12.

226 대학과 선교 제5집 말했다. 지도자는 용도가 한정된 하나의 그릇이 되지 말고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높은 안목과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넓은 통찰력을 지닌 큰그릇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공자는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공자가 말하는 이러한 지도자의 특성은 고도로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 가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더욱 필요한 리더십의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각 분야에서 고도의 분업적 전문가를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세분화된 모든 분야를 조정하고 통합하는 기술과 안목을 지닌 지도자가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만일 지도자가 이런 조정과통합을 위한안목과 통찰력을지니지 못하면사회는 계층과 각 분야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결국은 분열되고 말 것이다. 52) 학문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균형과 조화 공자는 학문을 연구하고(학문적 지식), 몸을 닦아(실천적 지식), 나라 의 살림을 바로잡는 큰그릇이 되려는 삶의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즉, 공자는 이론적지식과 실천적지식의 접목과균형을 통해자신의 비전을 구현하려고 하였다. 공자는 군자는 학문을 널리 배우고 예(禮)로서 이를 단속해야 비로소 도에서 어긋나지 않는다. 라고 말했다. 지도자는 학 문과지식을넓게가져야한다. 그러나학식만으로는사회에나가서지도 자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다. 예(禮)로서 삶의 규범을 삼고 이를 실천해야 하며, 또한 학문적 지식을 현실 사회에 알맞게 문화적, 인륜적 으로 잘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공자의 리더십은 행동하는 지도자상을 강조하고 있다. 공자는 군자는 말은 어 눌하게 하고, 행동은 민첩하고자 한다. 군자는 자기의 말이 행동보 4.8 53) 54) 52) Ibid., 13. 53) Ibid., 옹야(雍也) 25.

228 대학과 선교 제5집 이(利)로움보다는 의(義)로움을 추구하고, 솔선수범해야 하며, 국민의 신 뢰를 얻어야 하고, 말보다 실천을 앞세워야 하며, 인재를 발굴하여 적재 적소에 등용하고, 불편부당의 공정성을 가져야 한다. 기독교 리더십 역시 관계 지향적 리더십이다. 예수께서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를 목자와 양의 관계로 비유하였다. 이것은 목자로서의 리더와 양으로서의 신도들의 긴밀한 관계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교의 관계지향적 리더십은 인간 관계에 있어서 상하(上下)와 귀천(貴 賤), 남녀(男女)와 노소(老少)를 엄격히 구별하는 예(禮) 사상에 근거하고 있으나 기독교의 관계지향성은 사랑의 원리에 기초한 수평적 인간 관계 를 의미하는 것이 구별되는 점이다. 4. 나가는 말 이상에서살펴본바와 같이, 한국의토속종교가지니고있는 삼재사 상(神, 人間, 自然)과, 기복사상, 풍류도가 지니고 있는 신바람 과 한 (하 나, 하느님) 사상, 그리고 특히 유교의 예(禮) 사상에 기초한 차등적 가치 관의 특성들은한국 기독교의토착화 과정에서반드시 고려해야할 중요 한 문화적 특성들이며 따라서 한국적 기독교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을 형성하는 작업에서 한국 문화의 특성적 요소들로서 반드시 수용(변 용)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유교는 일반적으로 보수적이고 수구적이며 그 시조인 공자는 수구성을 상징하는 인물로 인식되고 있으나 실제로 공자 의 가르침을 통해 살펴본 유교적 리더십은 변혁 지향적이고 실용적이라 는 점에서 21세기 현대 사회에서도 그 효용성이 입증 될 수 있는 리더십 임을 확인하였다. 공자는 지도자의 성격적 특성으로 용기와 결단성(실천

Callahan, Kennon L. Effective Church Leadership, San Francisco: Harper & Row, 1990. Collins, Jim. Good to Great, New York, NY: Harper Collins, 2001. Hofstede, Geert. Culture and Organizations, New York, NY: McGraw Hill, 1997. Kraft, Charles H. Christianity in Culture, Maryknoll, NY: Orbis Books, 1979. Kraemer, Hendrick, A Theology of the Laity, London: Lutterworth Press, 1962..

Lindsell, Harold. Harper Study Bible, Grand Rapids, Michigan, 1971. Luzbetak, Louis J. The Church and Culture, Maryknoll, NY: Orbis Books, 1988. Niebuhr, R. Christ and Culture, New York: Harper San Francisco, 2002. Peters, George W. Contextualization, Grand Rapids, Michigan: Baker Book House, 1989. Smith, W. C.,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 New York: Harper & Row, 1978. Tillich, Paul, Theology of Culture, New York: Oxford Press, 1959.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TANAKH The Holy Scripture, New York. NY: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