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복증을보이는감염성요막관기형 Infected Urachal Remnants with Symtoms of the Acute Abdomen: The Differential Diagnosis & Proper Management Jan Dy Lee, M.D., Chee Young Lim, M.D. 1, Hyoung Il Kim, M.D. 1, Chul Woon Chung, M.D., Jong Woo Kim, M.D., Dae Ho Ahn, M.D., Seung Ki Kim, M.D., Suk Woo Sohn, M.D., Kyung Po Lee, M.D. and Kyung Sik Lee, M.D. Purpose: Urachal anomalies are rare, but often give rise to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infection, rupture, sepsis and malignant change. The abdominal manifestation of urachal remnants often prompts referral to general or urologic surgeons. Herein, our clinical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guide lines for the preoperative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of complicated urachal anomalies suggested. Methods: Twelve cases of urachal cyst, who visited the surgery department of Pochon CH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1, 1995 and December 10, 2002, were studied. Clinical data, including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tic modalities and treatment methods were reviewed. Results: Of the twelve cases reviewed, nine were males and three were females with a mean age of 33.6 years. Th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 was abdominal pain (58%), followed by a palpable mass (25%). The accuracies of the diagnostic modalities were 60 and 37% for abdominopelvic computed tomography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diagnosis rate was 50%, with one case not even diagnosed during surgery. Conclusion: Persistent urachal remnants can present at any age, with a variety of clinical manifestations.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is a reliable diagnostic tool, and additional diagnostic studies are not generally warranted. The early surgical treatment seems to be the best solution prior to the onset of complications that would expose patients to difficult surgical operations and protract hospitalization. (J Korean Surg Soc 2004;67:320-324) Key Words: Urachal anomalies, Urachal remnants, Urachal cyst, Acute abdomen :,,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Seongnam, 1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322 대한외과학회지 제 67 권 제 4 호 200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ig. 2. Prevesical abscess pocket of urachal cyst and operative findings. 애가 동반된 경우는 없었고, 1예에서는 동반 기형으로 서혜 부 탈장 및 음낭수종이 동반되어 있었다.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11예에서 시행하였는데, 복부 컴퓨 터 단층촬영을 시행한 10예 중 6예 및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8예 중 3예, 누관조영술을 시행한 4예 중 2예, 자기 공명영상술을 시행한 1예 에서 수술 전 요막증을 의심하였 다. 소장 및 대장 조영술은 수술 전 진단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진단을 위한 검사로 복부컴퓨터단층촬영 및 복부 초음파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Fig. 1) 정확도는 복부컴퓨 터단층촬영의경우가 60%로 복부초음파의 37%보다 높았다 (Table 1). 방사선학적인 검사 없이 수술을 시행한 1예의 경 우에는 수술 전에 급성충수돌기염의 천공이나 멕켈씨 게실 의 천공을 의심하였고, 수술 도중에 감염성 요막관 낭종이 발견되었다. 임상증상과 방사선학적 검사만으로 요막관염이 진단된 경우는 방사선 검사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평균 50% (6예/12예)였고, 개복 후에도 정확한 진단이 불가능하 였던 경우가 1예 있었다. 이 경우 수술전 복부 초음파 검사 및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결과 우하복부 염증소견 외에 특 이 소견이 없었으므로 급성 충수돌기염 의심하에 충수돌기 절제술만 시행하였으나, 수술 직후 지속되는 복강내 농양 으로 재수술을 시행 후 염증성 요막관 낭종으로 진단되었 다(Fig. 2). 전체 12예 중에서 11예가 감염성 요막관 낭종이었고, 제 대부 분비물이 관찰되었던 1예에서 염증성 요막관동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환자가 외래나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한 시기부터 수술 적 치료를 받을 때까지 소요된 시간은 4시간에서 47시간으 로, 평균 20.7시간이었다. 내원 당시부터 외과적인 치료가 필요한 급성 복증임을 의심하는 데는 큰 시간이 소요되지 않았지만, 방사선학적 검사 등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시간 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혈액학적 검사 백혈구 증가가 12예 중 11예에서 발견되 었고, 그 외 일반화학검사 및 뇨화학 검사상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세균배양 검사는 모두 5예에서 시행되어 졌고, 4예에서 포도상구균이 1예에서 E. coli가 검출되었다. 치료는 12예 중 8예가 수술적 완전 절제술 및 항생제 치료 로 완치되었고, 2예에서는 부분 방광절제술, 1예에서는 부 분소장 절제술이 필요하였다. 나머지 1예에서는 1차 수술 에서 충수돌기 절제술 및 배액술 시행 후 반복되는 복강내 농양으로 2차 수술 시행하여 완전절제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1예의 상처감염이 있었고 부분 방광 절제술 후 일시적인 혈뇨가 1예 관찰되었다. 수술 후 평균 재원일수는 11.75일이었다. 고 찰 요막관 기형은 아주 드문 질환의 하나로 보통 출생시 혹 은 유아기 때 발견된다. 요막관 기형에 대한 증례에 대해서 는 1550년부터 Bartholosmaeous Cabronus 등에 의해 기록이 남아 있지만, 비특이적인 다양한 임상증상 때문에 진단에 어려움이 있어왔다.(5,6) 따라서 최근까지 외과와 비뇨기과 의사들이 많은 관심을 가져왔지만 정확한 진단 방법과 치 료방법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Minevich 등에 따르면 수 술 전 요막관염 진단이 정확하게 되지 못한 경우가 55%에 이른다고 보고하였다.(6) 요막관기형의 빈도는 매우 드물어서, Nix 등에 따르면 Boston에서 200,000명의 입원환자 중에 3예, New Orienans 에서 1,168,760의 입원환자 중 3예를 보고하였다. 소아부검 예에서는 7,610명의 환자 중 1예의 완전개방성 요막관이, 5,000명의 환자 중 1예에서 요막관 낭종이 보고되었다. 최 근의 Blichert-Toft 및 Nielsen 등에 의하면 외과에 입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