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프-276호-20p.indd

Similar documents
I. 2

ㅇ ㅇ

CR hwp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제1강 인공지능 개념과 역사

Ch 1 머신러닝 개요.pptx

수정보고서(인쇄용).hwp


2016남서울_수시모집요강_단면.pdf

융합WeekTIP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Layout 1

Ⅰ Ⅱ Ⅲ Ⅳ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4 차산업혁명과지식서비스 l 저자 l 한형상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지식서비스 PD 김 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oT 연구본부장 SUMMARY 4차산업혁명의성격은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의세키워드로요약된다. 초연결은사람, 사물등객체간의상호연결성이확장됨을말하며이는곧실시간데이

Europe 2020 Strategy 글로벌산업기술생태계의융합과발전을선도하는일류산업진흥기관 EU 기술협력거점 *EU Issue Paper EU : KIAT EU ( ,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장애인건강관리사업

( 1 ) ( 2 )


사회수요에맞는교육을위한정책방안연구 연구책임자 : 박 동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2003report hwp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Data Industry White Paper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2ÀåÀÛ¾÷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C0CEBBE7B9DFB7C92DC3D6C1BE2E687770>

hwp

G lobal M arket Report 유럽재정위기 2 년, 주요국변화동향

Microsoft Word - IT부품정보.doc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소준섭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차 례

2010교육프로그램_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2003report250-9.hwp

hwp

( ) 0 Ⅰ 02 Ⅰ 03 Ⅰ 04 Ⅰ LBR00 05 Ⅰ 06 Ⅰ.0 4 G G G G G G Ⅰ.0 0 G Ⅰ.0 9 J30 LBR ,9 D45 * 과목은 학

HANDONG G L O B A L UNIVERSITY 한 동 대 학 교 학 년 도 재외국민과외국인전형계획 재외국민 전형 1학기(3월 입학)만 선발 전교육과정 이수 재외국민 및 외국인 전형 1학기(3월 입학), 2학기(9월 입학) 선발 북한이탈주민 전형

hwp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4D F736F F D20C3D6BDC C0CCBDB4202D20BAB9BBE7BABB>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2report hwp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ICT À¶ÇÕÃÖÁ¾

건 학 정 신 나는 이 집에 온 젊은이들에게 이 나라를 키우신 위대한 선인들의 거룩하신 뜻 자기의 이익보다 나라의 이익을 먼저하였고 자기의 명예보다 겨레의 명예를 먼저 높인 그 뜻과 공적을 가리키고 아울러 인류문화를 높인 세계만방의 지혜와 영혼을 높여 그들이 찬란한 새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 2 -


- 1 -

#유한표지F

01정책백서목차(1~18)

센터표지_ 수정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 ii - - iii -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해외과학기술동향

목차 C O N T E N T S

ÃѼŁ1-ÃÖÁ¾Ãâ·Â¿ë2


ÁÖ5Àϱٹ«Á¦Á¶»ç(03).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allinpdf.com

³»ÁöinÇ¥Áö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ISSU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Print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01-S&T GPS 10대트렌드


2017 1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Transcription:

www.khidi.or.kr, www.khiss.go.kr 발행일 _ 2019. 02. 25 발행처 _ 한국보건산업진흥원발행인 _ 이영찬 보건산업브리프 Vol. 276 주요국가별인공지능 (AI) 인력양성정책및시사점 미래산업기획단미래산업기획팀김용민 Contents Ⅰ. 서론 Ⅱ. AI 개념및글로벌동향 Ⅲ. 해외주요국의 AI 인력양성정책 Ⅳ. 결론및시사점 1

보건산업브리프 Ⅰ 서론 2016 년세계경제포럼 (WEF) 에서 4 차산업혁명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이라는개념이등장한이후전세계적으로혁신성장에대한강한요구가발생 특히, 알파고를통해널리알려진인공지능 ( 이하 AI) 은범용기술로서의특성 1) 을가지고있어보건산업을비롯한다양한산업분야에이미확산되어사회 경제적부가가치를창출 - McKinsey(2018.4) 에따르면미국 19 개전통산업과 9 개비즈니스영역에 AI 기술을접목할경우, 연간 3.5~5.8 조달러규모의경제적효과창출전망 4 차산업혁명의핵심동력이라고할수있는 AI 의기술선도를위해주요국들은적극적인투자를하고있지만 AI 전문인력이부족하여인재확보경쟁이치열 - 국가 산업분야를막론하고 AI 전문가는부족한실정이며, AI 선도국인미국, 중국, 영국등국가들은한발앞서 AI 경쟁력의핵심인우수인재확보를위해대책마련분주 우리나라도 AI 육성및인력양성정책을추진하였으나경쟁국대비기술력은물론전문인력의양적 질적수준은여전히미흡 - 지능정보산업발전전략 ( 16.3), 지능정보사회중장기종합대책 ( 16.12), 4 차산업혁명대응계획 ( 17.11) 등 경쟁국대비늦지않은 AI 관련정책들을발표하였으나 17년 AI 기술력은중국에역전되는등경쟁국과의기술격차는심화추세 - AI 전문인력부족도심각하여삼성전자, LG전자등기업은부족한 AI 인력확보를위해미국, 캐나다등해외에연구센터설립 이에본고에서는글로벌 AI 동향을살펴본후 AI 선도국가들의인력양성정책을비교적으로검토하여, 국내 AI 분야의글로벌경쟁력확보에기여할수있는정책적시사점을도출 1) 1 다른분야로급속히확산, 2 지속적개선가능, 3 혁신을유발하여경제사회에큰파급효과를미침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11.1) 2

Ⅱ AI 개념및글로벌동향 AI 의개념및발전 AI 란 인지 학습등인간의지적능력의일부또는전체를컴퓨터를이용해구현하는지능 으로정의 2) - 1950 년앨런튜링 (Alan Turing) 의논문 3) 에서기계도사람처럼생각할수있다는내용을다룬이후, 1956 년존매카시 (John McCarthy) 가처음으로 AI 를정의 * * 기계를인간행동의지식에서와같이행동하게만드는것 AI 는목표, 사고여부등분류기준에따라여러가지로구분가능 - 사고 (Thinking) 및행동 (Acting) 여부, 즉목표에따라 4 가지로구분 4) [ 표 1] 목표에따른 AI 의구분 Thinking Humanly (Haugeland(1985), Bellman(1978)) Acting Humanly (Kuzweil(1990), Rich and Knight(1991)) Thinking Rationally (Charniak and McDemott(1985), Winston(1978)) Acting Rationally (Schalkoff(1990), Lugar and Stubblefield(1993)) - 일반적으로사고여부 ( 정도 ) 에따라약 (Weak) AI, 강 (Strong) AI 로구분 5) 되며, 현재약 AI 를중심으로 상용화가활발히진행 * 약 AI: 스스로사고하여문제를해결할수있는능력이없는컴퓨터기반 AI( 예 : 구글알파고, 로봇청소기등 지능적인행동만수행 ) ** 강 AI: 스스로사고하여문제를해결할수있는컴퓨터기반 AI 로스스로인식하여지각력및독립성을갖춤 ( 예 : 영화 아이언맨의자비스 ) AI 는데이터축적, 데이터과학발전, 딥러닝 (Deep Learning) 등알고리즘의발달등을통해산업전반에적용가능한수준으로발전 - 80 년대단순제어프로그램부터 90 년대 DB 검색, 00 년대머신러닝, 이후알파고로대변되는현재의딥러닝 수준으로발전 [ 표 2] 수준에따른 AI 분류 수준내용예시 수준 1 단순제어프로그램단순한제어프로그램을탑재한다양한전자제품 ( 예 : 에어컨, 청소기등 ) 수준 2 수준 3 수준 4 고전적인인공지능 기계학습된인공지능 딥러닝된인공지능 출처 : 마쓰오, 2015; 백승익외, 2016 재인용 적절한판단을내리기위해추론 / 탐색을하거나, 기존에보유한지식베이스를기반으로판단하는시스템 ( 예 : 전문가시스템 ) 정제되어진데이터를바탕으로학습하고, 문제해결을위한해결책을판단하는인공지능시스템 ( 예 : 온라인쇼핑몰의추천시스템 ) 대규모의데이터를기반으로자동적으로학습하고, 복잡한문제해결을위해사용되는인공지능 ( 예 : 자연어처리, 영상인식 )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3)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Mind A Quarterly Review of Psychology and Philosophy, 1950.10. 4) Russell 외 (2013) 5) 중소기업벤처부 (2017). 해당보고서에서는초 (Super) AI도제시하였으나타문헌고찰을통해약 AI, 강 AI로구분 3

보건산업브리프 - 특히, 심층신경망이수많은반복과수정과정을거쳐디지털화된데이터를패턴을통해인식하는딥러닝 6) 기술이가장빠르게확산될것으로보이며, 향후딥러닝관련기술이시장주도할것으로전망 [ 표 3] AI 기술별관련매출액전망 (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Cognitive Computing 11.6 12.4 13.2 14.2 15.0 16.0 6.5 Machine Learning 13.6 16.2 17.9 19.8 21.4 23.5 9.6 Deep Learning 222.1 453.1 929.5 1,904.6 3,884.9 7,944.6 104.5 Predictive APIs 22.9 26.4 30.8 36.0 43.4 50.5 16.4 Natural Language Processing 10.1 13.0 16.6 21.1 26.3 33.5 27.5 Image Recognition 32.6 44.7 61.7 85.7 119.1 163.5 37.3 Speech Recognition 16.6 19.3 22.6 26.4 30.9 35.9 16.1 Other 2.4 2.6 2.8 3.1 3.5 3.8 9.1 Total 24,826 30,268 36,901 44,490 54,123 82,713 20.3 출처 : 중소기업벤처부 (2018) AI 글로벌동향 ( 시장규모 ) 다양한응용분야에 AI 기술이확대적용되면서시장규모는지속적으로성장할것으로예상 - 시장예측기관 Statista( 18.6) 에따르면 18년세계 AI 시장규모는 17년대비 52.5% 성장한 74억달러규모에이르고 25년에는 898.5억달러달성이전망 7) - Gartner(2018) 의 Hype Cycle 8) 을통해살펴보면, 곡선내위치하고있는 AI 기술들의절반이상이 5년이내에생산안정기 (Plateau of Productivity), 즉시장에서주류기술로활용될것으로예상 [ 그림 1] 2018년 AI 분야 Hype Cycle 출처 : Gartner(2018) 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7) 주요시장조사기관들이전망한 AI 시장규모는차이가있으나전반적으로연평균 50% 이상의고성장추세를보이는것으로나타남 8) Gartner 社가개발한기술의성숙도를표현하기위한시각적도구 4

- 현재미국이 AI 시장을주도하고있지만중국이정부의적극적인지원과기업의투자로급격한성장추세를보이고있어 AI 국가경쟁력측면에서미국과함께최상위로분류 9) * 미국이소매와금융분야를중심으로 2018년세계 AI 시장의 3/4을차지 10) 하고있으나, 글로벌 AI 스타트업투자 1위 (48%, 17) 를차지하는등중국이급격히발전 [ 그림 2] 중국의글로벌 AI 투자증가추세 China dominates global AI funding US vs. China total equity funding to startups in 2017 Cross-border AI investments are on the rise Equity deals, 2013-2017 출처 : CBINSIGHTS(2018.2.14) ( 산업적용 ) AI 는기반기술로의성격이강하여헬스케어등여러산업에응용이활발 - 기술발전과더불어타산업으로의적용을통해기존산업의생산성및효율성증대등파급효과가발생 [ 그림 3] AI 활용을통한분야별주요성과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 특히, 영상진단, 신약개발등 AI 가헬스케어분야에미치는영향이타산업대비클것으로예상 11) 되어투자도 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으며, 시장규모는 2018 년 21 억달러에서 2025 년 361 억달러로 50.2% 의 CAGR 이 예상 12) 9) McKinsey&Company(2018.9) 10) IDC(2018) 11) PwC(2018) 에따르면시간절약, 질향상, 개인맞춤화향상가능성측면에서 AI가타산업에비해헬스케어분야에가장큰영향을줄것으로전망 12) MarketsandMarkets(2018) 5

보건산업브리프 [ 그림 4] 헬스케어분야 AI 투자추이 (Q1 13 ~ Q2 18) 출처 : CBINSIGHTS(2018.9.13) - 헬스케어 AI 를통해질환의조기진단및정밀진단, 의료비절감, 건강향상등사회 경제적효과달성이가능 * 미국의경우, 연간 1 조달러이상의의료비가과도한치료, 치료실패등으로낭비되고있는데, AI 를통해 26 년까지연간 1,500 억달러의비용절감가능 13) ( 기업동향 ) 글로벌 AI 기업들은 AI 플랫폼 14) 공개및스타트업의적극적인수를통해시장점유를확대 - 주요 AI 기업들은 AI 플랫폼을개발하고외부에개방하는추세인데, 일반기업들은플랫폼을활용하여 AI 기반 제품 서비스를개발하고플랫폼기업들은산업생태계를주도함으로써시장을지배 * Google(TensorFlow), Amazon(Alexa), Facebook(Caffe2) 은범용 AI 플랫폼중심으로개발하고있으며 IBM 은 Watson 으로대표되는의료등산업별전문 AI 플랫폼중심개발 - Google 을선두로글로벌기업들은기술력과인재확보를위해전세계 AI 스타트업들을적극적으로인수 * 12 년이후글로벌기업들의 AI 스타트업인수는 200 여건으로 17 년도에만 115 건의인수추진 15) [ 표 4] 글로벌기업의 AI 스타트업인수주요현황 ( 17~) 기업명 인수기업명 ( 국가 ) 핵심분야 Google Halli Labs( 인도 ) AI와머신러닝 Semosis Health( 미국 ) 질환진단프로그램개발 Amazon Harvest.ai( 미국 ) 사이버보안 Graphiq( 미국 ) 검색, 데이터시각화 Microsoft Maluuba( 캐나다 ) 자연어처리 Lobe( 미국 ) AI 시각화 Apple Realface( 이스라엘 ) 안면인식 SensoMotoric( 독일 ) AI 시각화 Facebook Bloomsbury( 영국 ) 자연어처리 13) Accenture(2017) 14) AI 플랫폼이란자연어처리, 이미지인식등의 AI 기술을통해관련서비스나제품을개발하기위한도구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6). 서비스적용범위에따라일반소비자를대상으로다양한서비스제공이가능한 범용 AI 플랫폼 과의료 금융 법률등특정산업영역에특화된 전문 AI 플랫폼 으로구분 15) CBInsights(2018.2.27) 6

( 전문인력 ) 기술발전과산업확대에도불구하고전세계 AI 인력이부족하여국가 기업간인재확보경쟁이치열 - 현재필요한 AI 인력의수는전세계적으로절대적으로부족하며, 기존인력들도미국등특정국가에편중 * 현재 AI 업체들이필요로하는전문인력의수는약 100 만명수준이나, 현재활동중인인력은 30 만명수준 ( 학계 순수연구인력 10 만명포함 ) 이며, 전세계 AI 교육기관 (367 개 ) 에서배출되는 AI 인력은연간약 2 만명으로시장수요에크게미치지못하는수준 16) * 전세계 AI 인력은총 204,575 명 ( 17 년말기준 ) 으로미국 (28,536 명, 13.9%), 중국 (18,232 명, 8.9%), 인도 (17,384명, 8.5%) 순이며한국은 2,664명 (1.3%) 수준. 반면, 세계적 (Top) 수준의 AI 인력은북미, 유럽, 일본등선진국에집중 17) [ 표 5] 국가별 AI 인력분포현황 ( 17) 국가 Top AI 인재수 ( 명 ) 전체 AI 인재수 ( 명 ) Top/ 전체 AI 인재비율 (%) 미국 5,158 28,536 18.1 중국 977 18,232 5.4 영국 1,117 7,998 14.7 프랑스 1,056 6,395 16.5 캐나다 606 4,228 14.3 일본 651 3,117 20.9 출처 : China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t Tsinghua University(2018) - Amazon, Google, BAT 18) 등미국과중국기업을중심으로전세계 AI 인재를확보하기위한대규모투자및경쟁이심화 * ( 미국 ) Amazon($3억 ), Microsoft($1.2억 ), Apple($1억 ) 등주요기업들은 AI 인재확보를위해약 13.5억달러투자 19). 특히, Google AI 중국센터, Amazon AWS AI 연구원, Microsoft 아시아연구원등중국에 AI R&D 거점을마련하고중국 AI 인재확보모색 * ( 중국 ) BAT 는대규모 AI 인력양성계획을발표하고중국과미국에수백명규모의 AI 연구조직운영 [ 표 6] BAT 산하 AI 연구조직현황 기업명 연구조직 인원수 ( 명 ) 설립입 딥러닝연구원 81 13.1 Baidu 실리콘밸리 AI Lab 300 13.4 빅데이터 Lab 50 14.7 Alibaba AI Lab( 중국, 미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 싱가포르만약 50명 18 데이터과학및기술연구원비공개 (150) 14 Tencent AI Lab 370 16.6 AI Lab( 시애틀 ) 20 17 출처 : KIEP(2018), Baidu Research(2018), CNBC(2017, 2018), Tencent(2019) 16)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12.14) 17) China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t Tsinghua University(2018) 18) AI를비롯한중국 ICT 분야를선도하는 3대기업인 Baidu, Alibaba, Tencent 19) Globe Newswire(2017) 7

보건산업브리프 - 기업뿐만아니라 AI 를선도하고있는국가들도글로벌경쟁력을확보하고유지하기위해정부차원에서적극적인 인재영입및양성정책을추진 Ⅲ 해외주요국의 AI 인력양성정책 1. 미국 개요 미국은세계 AI 인력의독보적인공급및수요국가로민간주도로 AI 산업육성및인력양성이이루어지고있으나, 연방정부도 AI 를전략분야로인식하고 STEM 교육등 AI 기초교육강화를통해장기적으로 AI 인력양성을추진 - 주요 AI 정책들에도 STEM 교육강화 20), 대학원인재양성, 산업계협력등 AI 분야인력양성을위한주요방향을제시 - 최근트럼프정부는 FY 19 예산요구에서 AI의정부 R&D 우선순위제시, 대통령산하 AI 특별위원회설치, The American AI Initiative 21) 발표등 AI 선도국위상유지를위해인력양성을포함한일련의 AI 활성화정책을발표 AI 인력양성주요정책 AI 미래를위한준비 (Preparing for the Future of AI, 16.10) - 대통령직속 NSTC(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산하머신러닝및 AI 소위원회는 AI 활성화를위한 7개분야, 23개의권고안을제시 - 권고안 14 에서 AI 연구자, 사용자등 AI 인력의규모, 질적수준, 다양성을증가시키기위한 AI 인력파이프라인에관한연구의필요성과 AI 인력양성을위한 STEM 교육강화, 연구인력양성등정부와교육기관의구체적역할을제시 [ 표 7] AI 미래를위한준비 의인력양성위한정부기관 - 교육기관간역할 주체 정부기관 역할 NSTC, OSTP( 과학기술정책국 ) 등정부기관은 STEM 교육강화를통한 AI 인력문제해결노력 NSF( 국립과학재단 ) 와교육부는경제발전목표달성을위해교육질과유연성향상위해민관협력 NSTC CoSTEM(STEM 위원회 ) 은 STEM 교육을지원하는연방기관들과 AI 교육관련조율 연방정부는 AI 인재양성을위해대학원생지원, AI 커리큘럼디자인 영향력 AI 교육프로그램인증등연방 STEM 교육프로그램내 AI 중요성강조 20) 최근미국 STEM 교육의방향을제시하는 5 개년계획 (Charting a Course for Success: America s Strategy for STEM Education) 발표 ( 18.12). STEM 생태계구축, 컴퓨터활용능력강화등 AI 관련기초능력함양을위한정책방안을제시하고있지만 AI 를중심으로하는정책은아니기때문에고찰대상에서제외 21) 트럼프대통령은새로운 AI 기술들이미국에서개발될수있도록연방정부가 AI R&D 에투자를우선하도록하는행정명령서명 ( 19.2.11). 연방기관은미국인들이 AI 관련기술을습득할수있는방안을모색하고 STEM 교육을강화하도록하는내용포함 8

교육기관 컴퓨터과학자, 통계학자, SW 프로그래머등연구인력양성 AI 방법론, 응용 AI 강의코스, AI 및데이터과학관련문제의조율통한전문인력훈련 사용자인력 ( 민관학기관및종사자 ) 대상 AI 시스템교육제공 연구비지원, 성과달성장려금, 인턴십, 펠로우십등훈련프로그램제공 교수채용 유지방안강구 출처 : NSTC(2016) AI, 자동화, 그리고경제 (AI, Automation, and the Economy, 16.10) - AI가주도하는자동화가미국의일자리시장과경제를어떻게변화시킬지에대해조사하고변화에대응할수있는정책방안을제시한대통령실보고서 - AI 주도자동화가미칠영향들에대비하는포괄적인전략 22) 을제시하고있으며 미래일자리대비교육및훈련 * 이주요전략으로포함 * 세부방안으로모든학생에게 STEM( 특히, 컴퓨터과학 ) 교육제공, 모든이에게컴퓨터과학을 (Computer Science for All) 프로젝트기반 K-12 단계학생에게컴퓨팅적사고방식과정제공, 교사전문성개발프로그램수립, 미국대학진학약속프로그램 (College Promise) 통한우수학생무료교육, 직업재교육지원, 견습기회확대등포함백악관 AI 정상회의 (2018 White House Summit on AI for American Industry, 18.5.10) - 백악관은산학연이참석한회의에서국가 AI R&D 지원, AI 교육강화, 규제개선등 국민을위한 AI(AI for the American People) 을발표하고 6대부문 * 별정책을소개 * 1 AI R&D 예산우선지원 2 AI 혁신을위한장벽제거 3 미래미국인력훈련 4 전략적군사우위달성 5 정부서비스의 AI 활용 6 국제 AI 협상주도 - 인력훈련의주요내용으로 AI 인력양성을위한고품질의 STEM 교육도입및매칭펀드 ( 정부 2억달러, 민간 3억달러규모 ) 방안 * 및산업계인정견습프로그램도입방안 ** 을논의 * Presidential Memorandum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17.9.25.) **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Expanding Apprenticeships in America( 17.7.15) - AI 글로벌경쟁력유지를위해 AI 인력지원등연방정부의정책조율역할을수행하는 NSTC AI 특별위원회 (Select Committee on AI) 설치 ( 18.5.9) 발표 2. 중국 개요 중국의 AI 산업은빠르게성장하고있으며특히, 정부가강력한지원정책 * 을제시하고 BAT 를중심으로한기업이적극적으로참여하여산업발전과인력양성추진하는정부주도형정책을추진한다는점에서미국과차이가존재 * 30 년까지 AI 분야세계선도국가가되는것을목표로차세대 AI 발전계획위원회설립 ( 17.11) 을통해 3 년간 1 천억위안규모투자등추진 - 중국정부는 AI 를국가전략산업으로선정하고 R&D 와산업화뿐만아니라인재양성을종합적으로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17년부터구체적인인력양성규모및계획을발표하고빠르게실행하고있어최근 AI 전공개설대학이증가추세 22) 1 AI 투자및개발 2 미래일자리대비교육및훈련 3 전환기노동자지원및역량강화 9

보건산업브리프 * 18 년초기준, AI 관련전공학과가개설된대학교는베이징대학, 칭화대학등총 32 곳 23) AI 인력양성주요정책차세대 AI 발전계획 ( 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 17.7) - 중국최초의국가차원 AI 발전중장기계획으로혁신적인 AI 국가및세계적인과학기술강국건설을목표로제시하고 30년까지 AI 선도국가로도달하기위한 3단계전략목표및 6대중점과제를제시 [ 표 8] 중국 차세대 AI 발전계획 3단계전략목표 단계 1 단계전략 (~ 20) 2 단계전략 (~ 25) 3 단계전략 (~ 30) 전략목표 20 년까지선진국에맞설수있는 AI 기술 응용개발 AI 핵심산업 1,500 억위원이상및연관산업 1 조위안규모육성 25 년까지 AI 기초이론의획기적돌파구마련, 세계선도 AI 기술 애플리케이션개발 AI 핵심산업 4,000 억위원, 연관산업 5 조위안규모육성 30 년까지 AI 이론, 기술, 응용측면에서세계선도국가부상 AI 핵심산업 1 조위안, 연관산업 10 조위안이상규모육성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 1대중점과제 ( 개방 협력중심의 AI 및과학기술혁신체계구축 ) 의세부전략으로 고급 AI 인재훈련및확보추진 이포함 [ 표 9] 차세대 AI 발전계획 의인력양성방안 [ 고급 AI 인재영입을위한정책실행 ] 신경인지, 머신러닝, 지능형로봇등분야국제전문가영입 천인계획 과같은기존인재유치프로그램들도 AI 인재영입에활용 AI 인재영입을위한기업체및연구기관지원정책개선 [AI 교육체계수립 ] AI 분야교과목체계개선, AI 단과대학및전공신설, AI 전공석박사인력양성 수학, 물리학생물학등타학문과결합된 AI + X 모델추구 산 학 연협력 (AI 교육체계개발 ) 강화 출처 :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 (2017) - 또한국가지식교육프로그램 ( 全民智能教育项目 ) 도입을통해초 중 고등학교에 AI 교육을마련하도록하였으며최근교재까지개발 24) 대학 AI 혁신행동계획 ( 高等学校人工智能创新行动计划, 18.4) - 차세대 AI 발전계획의인력양성방안실행을위한교육부의세부계획으로, 대학등고등교육기관의 AI 기술혁신및인재양성을위한세부방안을제시 - 차세대 AI 발전계획을토대로 3단계목표 * 를설정하고학과목개선, 전문역량강화등대학교의 7가지역할을제시 * (~ 20) 대학의과학기술혁신시스템과 AI 발전에적응할수있는교육시스템구축 (~ 25) 대학의 AI 과학기술혁신능력과인력양성의질의최대한개선, 국제적성과달성 (~ 30) 대학은세계최고의 AI 혁신센터구성및새로운 AI 개발의핵심역할수행 23) ZDNet Korea(2018) 24) 중국과학원자동화연구소는총 3 년의편집기간을거쳐유치원부터대학교까지사용할수있는교재 ( 인공지능실험교재 ) 발간 ( 18.7). 유치원부터전문교육까지총 33 개교재로구성되어있으며, Google 등 AI 전문가가참여하여실험과검증강의가이루어질수있도록개발 10

[ 표 10] 대학 AI 혁신행동계획 의인력양성방안 대학학과목개선 - AI와컴퓨터, 양자, 신경과학, 수학, 경제학, 사회학등통합강화 - 컴퓨터공학및기술교과목내 AI 교과목신설 전문역량강화 - 우수공학자교육및훈련프로그램의실행가속, 최고수준전문가, 대학생인재구성증진 - AI와타학문과의통합을위한 AI+X 모델추진 ( 20년까지 100개복합전공신설 ) 강의교재개발강화 - AI 분야성과및자료들을교육및강의로활용 - AI 핵심내용을교재, 온라인강의로개발 ( 20년까지세계적수준의교재및온라인강의개발 ) 인력양성강화 - 복수기관협동교육체계개선, 대학 ( 교수 ) 와산업 ( 전문가 ) 간협력 ( 소통 ) 강화 - AI 단과대학, 연구소설립등지원 ( 20년까지 50개 ) 보편적교육강화 - 대중을위한 AI 공공서비스플랫폼개발, 대학내비학위프로그램에 AI 코스개설 - 교수의 AI 초등학교교육지원, 초중고교사교육프로그램에 AI 수업개설 혁신과창업지원 - 대학및기업들의 AI 혁신및창업프로젝트및학생의창업장려 - 인터넷플러스대학생혁신및창업콘테스트에 AI 추가등다양한대회개최 국제교류및협력강화 - AI 분야선진국유학장려및국가장학금지원 - UNESCO 중국기업가정신연맹 을통해국제교육및협력강화 출처 :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2018) 대학 AI 인재국제양성계획 ( 中国高校人工智能人才国际培养计划, 18.4) - AI 첨단인재양성을가속화하고미국과 AI 분야협력교류촉진목적의계획으로 5년내 AI 교수 500명과 5,000명의학생양성이목표 ( 18년교수 100명, 학생 300명확보 ) * 북경대학교, 중국과학원대학, 국방과기대학등에서프로그램개설 운영 ( 18.4~) - 대학내 AI 교수및강사를집중육성하기위해 교수 AI 육성반 을구성하고디캠프 (DeeCamp) 프로그램을통해머신러닝, 딥러닝기술, 자연어처리등과목을통해학생을교육 * AI 분야세계적권위자인 John E. Hopcroft, Geoffrey Hinton, Li Kaifu 등멘토영입 - 중국-미국대학 AI 인재협력훈련프로그램 을설립하여미국과의 AI 협력을강화하고 AI 교수및인재의역량강화를목표 3. 영국 개요 영국은 AI 의개념을제시한앨런튜링 (Alan Turing) 이태어난곳이자알파고를개발한세계적 AI 기업인딥마인드 (DeepMind 25 ) 가탄생한곳으로산업계와의협력을통해 AI 와데이터경제분야활성화를위한국가차원의발전전략과인력양성정책을추진 25) - 성장률둔화와생산성정체문제를해결하기위해자국강점인 AI 육성정책을 17년부터발표하고있으며, 정부와산업계의협력통한구체적인력양성방안을제시하는등민간의역할을강조하는민관공동정책추진이특징 25) 딥마인드 (DeepMind Technology Limited) 는데미스허사비스 (Demis Hassabis) 가동료들과함께 2010 년에영국에서창업하였으며 2014 년 Google 이 4 억달러에인수. 딥마인드의본사는아직까지영국런던에위치 11

보건산업브리프 AI 인력양성주요정책영국 AI 산업발전 (Grow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in the UK, 17) - 영국정부는 AI 사회의도래에대비하여 4개영역 ( 데이터접근개선, 전문역량공급개선, 영국 AI 연구극대화, AI 활용지원 ) 에대해총 18개의권고안을발표 - 전문역량공급개선관련영역에는인력다양성, 석사인력지원등 6개권고안이포함 [ 표 11] 영국 AI 산업발전 의인력양성권고안 영역 전문역량공급개선 권고안 1. 정부, 산업계및학계는 AI 인력의다양성의가치와중요성인정하고서로협력 2. 산업계는초기 300명의 AI 석사수준코스를밟는학생지원 3. 대학은컴퓨팅혹은데이터과학외전공대학원생의 AI 석사전환프로그램 (1년) 에대해고용주와학생대상잠재수요파악 4. 정부는선도대학에최소 200개수준의 AI 박사과정추가개설 ( 개설수매년증가 ) 5. 대학은 STEM 분야지식이있는사람들이석사학위 (MSc) 를취득하여보다전문적지식을획득할수있도록 AI MOOC 및온라인평생교육과정개설장려 6. Alan Turing 연구소와협력하여 The Turing AI Fellowships * 개설 * 특별기금을통해전세계 AI 전문인력파악및영입 출처 :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 Industrial Strategy(2017) 산업전략-AI 분야합의안 (Industry Strategy 26) -Artificial Intelligence Sector Deal, 18.4) - AI의 5개기초분야 ( 아이디어, 인재, 인프라, 비즈니스환경및지역 ) 에약 10억파운드자금을투자하는내용의정부-산업간 AI 분야합의안 - 인재양성 (People) 분야에는 3개의정부방안과 2개의산업계방안을제시하고있으며, 영국 AI 산업발전 ( 17) 의인력양성방안이더욱구체화되어제시 27)28) [ 표 12] AI 분야합의안 의인력양성방안 주체방안세부내용 정부 고급인재확보위한교육기관및산업계와협력 글로벌고급인재확보 AI 개발다양성촉진 Turing Fellowship 프로그램개발을통해 AI 인력의유치및확보 20~ 21까지추가 200개의 AI 박사과정개설 ( 개설수는매년증가 ) 25년까지최소 1,000개의박사과정확보 EPSRC 27) 박사훈련센터통한 1억파운드의 AI 장학금지급 최대 8천명의컴퓨터과학교육자지원및국립컴퓨팅센터설립등수학 디지털 기술교육집중훈련자금 4.06억파운드투자 ( 국가재교육정책 (National Retraining Scheme) 수립추진 ) 정부는 AI의산업과정부에적용방안에대한전략적사고를알리기위해 Alan Turing 연구소의 AI 산업영역별적용검토에대해언급예정 AI를비롯한과학 디지털기술 공학등창의인재유치를위해연간 2천명수준의 Double Tier 1(Exceptional Talent) 비자발급 AI 인재유치와다른비자경로등에대해 Tech Nation 28) 과협력 Tier 1 비자로입국한선진과학자 연구자들의정착위한이민법변경 학위를취득한고급인재학생들이영국에서일할수있고해외연구자들을고용할수있도록관련규정개정 AI 연구기반과인력의다양성의중요성을홍보하기위해 AI Council과협력 26) 영국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는영국경제발전을위한장기비전을제시하고실현할백서인 Industrial Strategy 를발표 ( 17.11). 영국의생산성향성을위한 5 대요소 ( 아이디어, 인재, 인프라, 비즈니스환경, 지역 ) 를제시. 특히, 비즈니스환경요소에서는산업별로정부와민간의협력프로그램 (Sector Deal) 을추진하도록하고 AI 가주요산업으로포함 27) EPSRC(The Engineering and Phys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영국과학공학연구위원회 28) Tech Nation: 영국디지털기술분야스타트업지원프로그램으로 Tier 1 비자발급대행기관 12

산업 AI 인력규모의확대를위한투자 인력다양성증대협력 영국선도대학내민간지원 AI 석사과정개설을위해대학과협력 타분야대학원의 AI 분야전환방안에대해정부 - 대학과협력 6 천만파운드의박사과정장학금지원 AI 연구원들을확보하기위해 Turing Fellowship 프로그램지원 150 명의 18 세이하청소년대상 AI( 머신러닝, 자연어처리등 ) 교육을통해 AI 분야의진로를탐색하도록하는 Sage FutureMakers Lab 운영 AI 인력의다양성증대를위한노력과이를위한 AI Council 지원 출처 :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 Industrial Strategy(2018) 영국의 AI: 준비, 의지, 가능성 (AI in the UK: ready, willing, and able?, 18.4) - 영국상원 AI 특별위원회 (Select Committee on AI) 는 9개월간전문가인터뷰를토대로영국의 AI 전략의방향을제시하는보고서를발간 - 영국 AI 기업의발전을위해국영영국기업은행은 AI 투자를위한 25억파운드의별도기금을조성하고 AI 정책프레임워크개발을담당하는정부기관들의역할을명확하게하도록제언 [ 표 13] 영국의 AI: 준비, 의지, 가능성 의 AI 관련정부기관별역할분담 기관 AI 위원회 (AI Council) 데이터윤리및혁신센터 (Center for Data Ethics and Innovations) 앨런튜링연구소 (Alan Turing Institute) 인공지능 (AI) 청 (Government Office for AI) 역할 AI 국가정책프레임워크실행감독 AI 실행에따라사람이입게될영향에대한산업의관심유도 AI 활용촉진수단과장애파악 시민데이터의안전한활용관리방안제시 공공데이터공유를위한적절한접근법과가이던스개발 데이터공유, 통제및프라이버시를위한툴과프레임워크개발 AI 규약 (Code) 도입 AI 로의직무이동을위한석 박사급단기코스전환프로그램개발 대학내창업자문 국가 AI 프레임워크개발준비 신설 AI 관련기관, 기존조직및규제기관간업무협력조정 공공분야데이터세트에대한접근성확대방안조사 AI 관련규제파악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 특히, AI 인력양성과관련하여, 기존정책중중요한내용을강조하거나개선이필요한부분에대해서는 개선방안을제언 [ 표 14] 영국의 AI: 준비, 의지, 가능성 의 AI 인력양성관련주요제언 제언숙련된 AI 개발자양성다양한인재영입재교육 세부내용 공공-민간매칭기전도입 ( 재정부담분담 ) 을통한 AI 박사과정확대 앨런튜링연구소-AI 위원회간협력통한졸업후단기전환비학위프로그램개발 여성 소수인종등다양한사회구성원에게공적지원박사과정적용확대 머신러닝등분야는 Tier 1 대비요구수준이낮은 Tier 2 부족직업리스트에포함하여 AI 연구자와개발자영입확대 국가재교육정책 (The National Retraining Scheme) 을통해기존인력을재교육하여새로운일자리대비필요 * 국가재교육정책은공공 - 민간이재원매칭방식등협력필수 교과과정의새로운기술중심내용들에대해교사들이훈련할수있도록추가시간보장 교사들에대한훈련과정기적인재교육을위한전국평생학습시설활용 출처 : House of Lords, Select Committee on AI(2018) 13

보건산업브리프 4. 일본 개요 인구감소와고령화등사회문제를겪고있는일본은범부처차원에서경제활성화를위해 AI 를적극활용하는정책을추진중이며필수요소로인력양성방안을제시 - 과학기술정책뿐만아니라경제성장정책에도 AI 육성과부족한 AI 인력확보를위한양성방안을포함하고 있으며, 정책의목표가분명하고일관되게추진 - 특히, AI 역량강화를위한컨트롤타워로 3 성합동 ( 총무성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 으로 AI 기술전략회의 를 설치 ( 16.4) 하고내각부종합과학기술 혁신회의 (CSTI) 가의장을담당 - 최근에는과학기술관련내각부산하협의체들의기능을합친 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 를설치하여 AI 를전략 분야로선정하고 CSTI 가전략사령탑으로서기능을수행 29) - 즉, 통합혁신전략을토대로 CSTI 가주축이되어 AI 활성화와인력양성정책을추진하고있으며주요대학의 AI 인재양성이본격화 * 도쿄공대, 사이타마공대등주요대학은 19 년 4 월부터 AI 전문가양성을위한학부 전공개설 30) [ 표 15] 일본주요대학교 AI 인재양성계획 대학 도쿄공과대학 사이타마공업대학 무사시노대학 AI 인재양성계획 컴퓨터과학부내 AI 전공과정신설 ( 컴퓨터과학부 290명중 70~80명 AI 전공전환 ) - 휴먼인터페이스등 3개코스로세분화 의료보건학부, 응용생물학부등타전공과교차연구통해융복합 AI 인재양성 정보시스템학과에 AI 전공도입 - 일본딥러닝협회가수여하는 AI 엔지니어자격증취득지원 AI 기술진전을견인할딥러닝을체계적으로학습할수있는환경정비 데이터과학부 (70명정원 ) 신설, 2개 AI 전공 (AI 창작, AI 알고리즘디자인 ) 도입 20년까지 13명의 AI 전문가신규채용및교원배치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8.1) AI 인력양성주요정책 AI 기술전략 ( 人工知能技術戦略, 17.3) - AI 기술전략회의는일본재흥전략 2016 등과거정책에서제시한 AI 정책의연장선에있는 AI 3단계발전로드맵과 3대우선분야 ( 생산성, 건강 의료 복지, 이동성 ) 발전방안등을포함한 AI 기술전략 을발표 - AI 3대 R&D 기관인 NICT( 정보통신연구기구 ), RIKEN( 이화학연구소 ), AIST( 산업기술종합연구소 ) 의 R&D 및인력양성, 스타트업지원등방안제시 - 특히, AI를비롯한 IT 인력의부족이심각 * 하다고판단하고, 1단계 (~ 20) 에는기업 교육기관 정부간긴밀한협력을통해최고수준의 AI 인력을즉각양성하고 2~3단계에는다양한분야에 AI가활용될수있도록하는인력양성을권고 * 20년까지 IT 선도인력은약 47,810명부족할것으로예상되는반면, 일본주요대학교 (11개) 에서연간양성되는인력은석사약 860명, 박사약 150명수준 (FY 15 기준 ) 29) CSTI 와 IT 본부, 지식재산본부, 건강 의료본부, 우주본부등내각부산하과학기술관련회의의수석장관을중심으로 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 각의결정 ( 18.6.15, 의장 : 관방장관, 사무국실장 : 총리보좌관 ) 하여총리실주도의 AI 전략을수립하고부처별예산 세제 ( 안 ) 에반영모색 3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8.1) 14

[ 표 16] AI 기술전략 의인력양성방안 (1 단계 (~ 20)) 방안 AI 인력의즉각적양성교육프로그램개발 실행 대학교 - 기업간협력연구증진 정부및연구기관의인력양성 세부내용 AI 관련종사자를발굴하고 AI 관련체계적지식및실제업무에서필요로하는정보제공, 데이터학습을통한가치창출역량향상지원 대학교 - 기업협력연구에개인의참여기회확대 OJT 를통한인력양성 NICT, RIKEN, AIST 내젊은연구자의대우, 공동연구자및인력교환 NEDO( 신에너지 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 의특별프로그램, R&D 프로젝트, JST(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 ) 펀딩등통한인력양성 출처 : 人工知能技術戦略会議 (2017) 미래투자전략 2018( 未来投資戦略 2018, 18.6) - 국가차원의경제성장전략인미래투자전략의최신판에서 Society 5.0 31) 도래에따른 11개프로젝트와경제구조혁신을위한기반조성을위한과제를제시하고기반조성과제에 AI 시대에대응하는인재육성및최적활용 방안이포함 [ 표 17] 미래투자전략 2018 의 AI 인력양성방안 방안 문과, 이과불문물리 수리능력의제고 대학등에서실천적 AI IT 인재육성확대 산업계등에서 AI IT 인재활용확대 세부내용 교육내용의충실 - 초등학교부터고등학교까지외부인재활용등통계 정보교육강화 - 학교의 ICT 환경정비가속화 (~ 20) 대학입시개혁 - 대학입학공통시험기초과목에 정보 를추가하는방안검토 ( 24~) 전체학교에서대응 - 전국학교에서수리 데이터과학교육을이수하는대학전국확대 ( 19~) 유연한프로그램 - 공학과이학의융합 (AI 등 ), 전공경계를넘는인재육성 학위프로그램 실현 ( 20~) 실천적 AI 교육 - 전문인재등의육성거점대응전개 - 민관컨소시엄등을통해인턴십과 PBL 등실천적산학연계교육확대 ( 18~) AI 인재최적활용 - 노후 IT 시스템보수 운용으로부터 IT 인재해방, 리커런트교육및인재최적활용촉진 - 기업, 대학등에서 AI를비즈니스와혁신에활용할수있는조직만들기와우수인재의해외와동등한대우실현촉진 AI 스킬표준화 - IT 리터러시 기준을책정 시험화하고, 기업의채용선발과처우에반영촉진 ( 18~) 리커런트교육 - 대학등에서 AI IT 분야등에서실천적인리커런트교육확대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8) AI 기술전략실행계획 ( 人工知能技術戦略実行計画, 18.8) - AI 기술전략회의는 AI 기술전략 을구체화하고강화하기위한실행계획을발표하고인재확보가급선무임에도불구하고검토가지연되고있어대책마련이시급함을강조 - 특히, 장기적으로부족할것으로예상되는 AI IT 인력확보를위해양성인력의규모와산 관 학협력및기관별역할을제시 31) 일본정부의과학기술정책지침중하나로 제 5 기과학기술기본법 ( 16~ 20) 의캐치프레이즈로등장. 사이버공간과물리적공간을고도로융합시킨시스템을통해경제발전과사회적과제를동시에해결하는인간중심적사회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8) 15

보건산업브리프 [ 표 18] AI 기술전략실행계획 의인력양성방안 인력구분 학교및정부 양성방안 기업 인력규모 첨단 IT 인재 (5 만명부족, 20) 일반 IT 인재 (30 만명부족, 20) 일반국민 톱인재육성 - 선진연구자연구비중점배분 - 연구자육성위한해외연수장려 신규졸업자 사회인재교육 - 인턴십통한실천적교육 - IT 기술자교육훈련확대 전문지식리터러시양성 - 수리 데이터과학교육강화 - 기초 IT 리터러시자격 검정 고용촉진 - 인재요건명확화 공유 - 대학교육커리큘럼개발참여 / 커리큘럼이수생채용 - AI 관련학과장학금 기부강좌개설 외국인활용 - 글로벌수준에따른고용대우조건개선 - 해외인재채용활동실행 IT 리터러시의양성 ( 초중등교육 ) - 교원연수충실 교재개발촉진 ( 프로그램교육대응 ) - 수리교육강화위한대학입시방안검토 연 2~3 만명추가육성 - 선진연구통한인재 젊은연구자연 200 명 - 사회인재교육연 2,500 명 - 대학교졸업자연 300 명 - 외국인인재연 500 명 연 15 만명추가육성 - 정보학부교육강화, 사회인재교육등 출처 : 総合科学技術 イノベーション会議 (2018) 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 ( 統合イノベーション戦略推進会議 ) - 제1회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 ( 18.6.5) 에서과학기술혁신을목표로하는 통합혁신전략 을발표하고, 정부가정책적으로강화해야할부분으로 AI를선정하고 AI 인재기반확립 * 을세부추진계획목표로설정 32) * 25년까지 AI, 빅데이터등전문가연 6~7천명육성및수용인프라조성을위해 21년까지도쿄대등 6개대학을중심으로 IT 인재육성위한수리 데이터과학교육표준과정등개설 - 제2회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 ( 18.9.28) 에서 AI를국가핵심전략산업으로육성하기위한 AI 전략사령탑의일원화및 AI 전략패키지 * 를발표하고 AI 종합전략을최종확정 ( 19.4) 하여 G20 정상회의 ( 19.6) 에서공표 투자유치를계획 * 3개분야 ( 교육개혁, 연구개발, 사회구현 ) 로구성되며교육개혁에는 AI 교육강화등포함 [ 표 19] AI 전략패키지 의교육개혁방안 보통고교 전문고교 고등전문학교에서 AI 수리 데이터과학교육충실화, 이과 과학계열교원확충, 고등학교전반에걸쳐 STEAM 교육충실화 대학입시개혁 ( 대학전학부에수학, 정보과목적용 ) AI 수리 데이터과학교육을 3년이내에대학전학부학생에게필수화 ( 온라인교재혹은민간인활용등 ) 모든분야에서 AI, 수리, 데이터과학의지식을활용할수있는인재를배출하는대학 대학원구조 / 체제정비 - 복수전공, 메이저-마이너학위제도도입 ( 예 : 농학 AI, 생물학 AI, 심리학 AI 등 ) - 훌륭한인재가기업, 행정등에서활약할수있도록환경정비 (PBL, 채용인센티브등 ) - 인재의질을보장하기위해레벨인증구조 체제정비, 일정이상의대학과목이수시수료증발급 리커런트교육에의한사회인에게 AI 수리 데이터과학교육충실화 출처 : 首相官邸 (2018) - 최근제3회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 ( 18.12.04) 에서 AI 인재육성기반구축을위한교육개혁방안에대해다시논의한후, CSTI는교육시스템개혁과창업가정신육성을골자로하는인력양성방안을제시 ( 18.12.20) 32)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8.7.5) 16

[ 그림 5] CSTI 의 AI 인재육성방안 모든사람이 AI 데이터사이언스를활용할수있는능력획득 세계최고수준인재육성에서교양교육까지정책을총동원하여교육시스템강화 출구를명확화하여교육시스템개혁 ( 신규졸업 100 만명이 AI 활용기능습득 ) 소양기술 ( 출구 ) 에따른인재의질을보증하는시스템구축 수요를반영한 AI 수리 데이터사이언스교육프로그램및자격을수준별로인정하는시스템 산업계에서채용및처우개선 ( 경단련등과연계 ) 전문분야 AI 를위한학위과정의탄력적설치를가능케하는제도구축 초 중 고 대교육시스템개혁 글로벌전문가교육 전문가교육 교양교육 AI 수리 데이터사이언스교육을전체학교로확대 창업가육성 산업과지역사회의실제과제를 AI로해결하는실천력및창업가정신을육성하는육성플랫폼마련 경쟁적환경하에과제해결형학습 (PBL) 을통한육성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12.20) Ⅳ 결론및시사점 해외정책고찰결론 ( 정책의일관성 ) 인력양성을위해기존정책의후속세부계획을발표하거나타정책에도기존인력양성방안을구체화하는등 AI 인력양성정책을비교적일관되게추진 - 중국, 일본은기존 AI 인력양성정책의후속세부실행계획을발표하였고, 영국은산업전략에 17 년정부 AI 권고안의인력양성내용을구체화 - 특히, 중국과일본은 AI 정책을총괄하는컨트롤타워를구축하여체계적으로인력양성등 AI 육성정책을추진 ( 고급인재양성 확보강조 ) AI 고급인재양성을위한대학교의역할, 특히석 박사급인력양성과함께글로벌고급인재확보를강조 - AI+X 복합전공등 AI 전공개설, AI 교과목신설등학과목체계변경을강조 - 고급연구인력양성을위해 AI 석 박사과정을신설 확대및지원을강화 * * 장학금지원, 연구비중점배분, 해외연수지원, 인턴십확대등 - 비자발급및정착지원, 글로벌수준의대우등지원을통해글로벌 AI 인재를확보 ( 산업계협력강화 ) AI 인력양성을위해기업과의협력및기업의역할을강조 - 대학원생지원 ( 장학금등 ), 커리큘럼개발, 인턴십, STEM 교육매칭펀드, 인재채용등국가별로형태는다양하지만 AI 인력양성을위한기업의구체적인역할을제시 17

보건산업브리프 ( 기초교육강화 ) 초 중 고등교육단계부터 AI 를교육하거나 AI 기초지식함양을위한 STEM 분야교육을강화 - AI 선도국가들은모두 AI 기초교육을위해대학교이전교육단계에서 AI 를교육하거나수리 통계 데이터과학등 기초학문의교육을강화 ( 보편적교육확대 ) 일반국민, 사회인, AI 비전공자대상 AI 관련보편적교육확대를통해사회의 AI 수용성향상을모색 - AI 비학위프로그램개설, 온라인강의개발, 비전공자대상 AI 교육강화, 기존인력재교육등을통한사회전반의 AI 활용능력을제고 국내시사점 우리나라가글로벌 AI 주도권경쟁에서앞서지못하는데에는인재부족이주요원인중하나 - 국내 AI 인력은수준에관계없이부족 * 하며국내기업들도인력부족의심각성을체감 * AI 분야인력수급격차 ( 18~ 22) 는 9,986 명이부족할것으로예상되며초급 중급 고급인력모두부족전망 33) 이에정부도 AI 경쟁력확보를위해일련의정책을발표하고있으며비교적일관된인력양성방안을핵심전략으로제시하고있다는점은긍정적 - AI R&D 전략 ( 18.5), 4 차산업혁명선도인재집중양성계획 ( 18.12), 데이터 AI 경제활성화계획 ( 19.1) 등 최근정책에서공통된 AI 인력양성방안 * 을제시 * AI 대학원설립, 프로젝트기반교육, 실무형인재양성, 글로벌기업파견교육등 그러나인력양성정책의특성상양성된인력이기업에투입되기까지일정기간이소요되기때문에선도국과의경쟁력격차를단기간에줄이기는어려울것 따라서주요 AI 선도국들의정책을참고하여구체적인전략을수립하고지속적으로점검 수정하는장기적인 AI 인력양성정책추진이필요 특히, 산 관 학간적극적인협력을통해실무능력을갖춘 AI 인재의양성및지원이중요 - 석 박사급고급인력과함께학부의 AI 교육체계개발과기존종사자들의재교육을통한수준별인력양성을 양성하여기업의수요에대응할필요 - 현장맞춤형교육프로그램개발, 산학협력을통한공동연구, 인턴십등교육분야와장학금및연구비, 채용등 지원분야에기업과의적극적협력이중요 또한고급 AI 인력을단기간에양성하는것은어려우며수학, 컴퓨터공학등기초과학과연관학문의뒷받침이전제되어야하므로초기교육단계에서부터 AI 및 STEM 교육투자를통해데이터과학및컴퓨팅적사고방식을기르는것이필요 - 우리나라도 STEAM 교육 ( 11), SW 의무교육 ( 18) 등을 AI 관련기초교육을도입하였지만교육의양적 질적수준의개선이필요한상황 - 미국과같이 STEM 교육을교육전반에활용하거나중국처럼유치원부터 AI 교육을할수있는교재개발등교육전반에걸쳐지속가능한 AI 기초교육기반확립이중요 무엇보다 AI 인력의해외유출을막고국내에서활동할수있도록스타트업창업등산업육성지원과규제개선을통한 AI 생태계조성이중요 33)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8) 18

- AI 선도국들은공통적으로육성정책과규제개선을통해 AI가헬스케어를비롯한타산업에적용 활용될수있도록하여자국의 AI 산업을육성 - 우리나라도적극적인 AI 활성화와함께데이터가안전하고합법적으로수집 활용될수있도록지속적인규제개선노력이필요 < 참고문헌 >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Korea 4.0 실현을위한인공지능 (AI) R&D 전략, 2018.05. 2. China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t Tsinghua University, China AI Development Report 2018, 2018.7. 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인공지능 (AI) 산업현황및발전전망, 2018.2.27. 4.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인공지능 (AI) 플랫폼산업동향, 월간 SW 중심사회, 2016.6. 5.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유망 SW분야의미래일자리전망, 2018.4.19. 6. 아산나눔재단, 구글캠퍼스서울, 4차산업혁명을주도하기위한스타트업코리아!, 2017.7 7.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인공지능플랫폼동향과정책적시사점, 주간기술동향 1795호, 2017.5.10. 8.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능정보기술연구개발방향, 주간기술동향 1820호, 2017.11.1 9.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AI 인재부족현상우려, 국가별대책마련에분주, ICT Brief 2017-47, 2017.12.14. 10.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해외주요국의 4차산업혁명대응인재양성정책동향, 해외 ICT 정책동향 2018-02호, 2018.6.22 1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일본, 글로벌인공지능 (AI) 인재확보경쟁에가세, ICT Brief 2018-25, 2018.7.5. 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인공지능 : 파괴적혁신과인터넷플랫폼의진화, 2015.6.15. 13.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로드맵 2018-2020, 2018.1.30. 14. ZDNet Korea, 중국대학들, AI인재육성 소매걷었다, 2018.03.21. 1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주요대학에서 AI 인재양성 본격돌입, S&T GPS, 2018.8.1. 1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일본, 종합과학기술 혁신회의 (CSTI) 이슈별논의, S&T GPS, 2018.12.20. 1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일본의 미래투자전략 2018, 2018.7. 18. 한국정보화진흥원, 중국의인공지능 (AI) 전략 : 차세대인공지능발전계획 을중심으로, 2017.9.29. 19. 한국정보화진흥원, 영국상원, 인공지능 (AI) 전략보고서발표, 2018.5. 20. 한국정보화진흥원, 월간디지털정부최신해외정책 기술동향, Vol.37, 2018.5. 21. Accenture,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s New Nervous System, 2017. 22. Baidu Research, Baidu Research Announces the Hiring of Three World-Renowned AI Scientists, 2018.1.18. 23. CBInsights, Top AI trends to watch in 2018, 2018.2.14. 24. CBInsights, The race for AI: Google, Intel, Apple in a rush to grab AI startups, 2018.2.27 25. CBInsights, AI industry series: Top healthcare AI trend to watch, 2018.9.13. 26. CNBC, Alibaba says it will invest more than $15 billion over three years in global research program, 2017.10.11. 27. CNBC, Alibaba just set up its first joint research center outside China to focus on A.I., 2018.02.28 28.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 Industrial Strategy, Grow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UK, 2017. 29.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 Industrial Strategy, Industrial Strategy Artificial Intelligence Sector Deal, 2018.4.26. 30.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US, AI, Automation, and the Economy, 2016.12. 19

31. Gartner, Hype Cyc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18, 2018.7.24. 32. Globe Newswire, New Paysa Study Reveals U.S. Companies Across All Industries Investing $1.35 Billion in AI Talent, 2017.11.29. 33. PwC, 2018 AI Predictions, 2018. 34. MarketsandMarkets,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Market by Offering(Hardware, Software, Services), Technology(Machine Learning, NLP, Context-Aware Computing, Computer Vision), End-Use Application, End User, and Geography Global Forecast to 2025, 2018.12. 35. McKinsey&Company, Notes from the AI frontier insights from hundreds of use cases, 2018.04 36. McKinsey&Company, Notes from the AI frontier Modeling the impact of AI on the world economy, 2018.09 37.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Preparing for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16.10. 38. Russell,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3rd Edition, 2013 39. House of Lords Select Committee on AI, AI in the UK: ready, willing and able?, 2018.4.16. 40. Tencent AI Lab, https://ai.qq.com/hr/ailab.shtml, 2019.2.11. 41. The White Hous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American People, 2018.5.10. 42.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高等学校人工智能创新行动计划, 2018.4.3. 43.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高校人工智能人才国际培养计划, 2018.4.3. 44.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 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 2017.7.8. 45. 人工知能技術戦略会議, 人工知能技術戦略, 2017.3. 46. 総合科学技術 イノベーション会議, 人工知能技術戦略実行計画の策定について, 2018.4 47. 首相官邸, 政策会議, 統合イノベーション戦略推進会議 ( 第 2 回 ), 2018.9.28. 집필자 : 미래산업기획단미래산업기획팀김용민문의 : 043-713-8191 본내용은연구자의개인적인의견이반영되어있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공식견해가아님을밝혀둡니다. 본간행물은보건산업통계포털 (http://www.khiss.go.kr) 에주간단위로게시되며 PDF 파일로다운로드가능합니다. 2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