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PowerPoint - 13.ppt

Similar documents
* pb61۲õðÀÚÀ̳ʸ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Print


CSG_keynote_KO copy.key

1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³À°È°µ¿Áö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MOBIS 12<110B><116F><11AF>_<110E><116C><110C><1169><11BC>.pdf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152*220

185

4임금연구겨울-지상토론

01Àå

사람을중심에놓는인문학의힘을믿습니다. 인문학 문화예술교육포털 아트앤스터디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9달력-대(판형키워)

5 291

<C3CA36B0FAC7D020B1B3BBE7BFEB2E687770>

È޴ϵåA4±â¼Û

•••••1301(•••).pdf

10월추천dvd

Fashionbiz

2003report hwp

178È£pdf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3635B1E8C1F8C7D02E485750>


C# Programming Guide - Types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7

2015년9월도서관웹용

hwp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7단원 1(252~269)교

BN H-00Kor_001,160


Python과 함께 배우는 신호 해석 제 5 강. 복소수 연산 및 Python을 이용한 복소수 연산 (제 2 장. 복소수 기초)

01정책백서목차(1~18)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_¸ñÂ÷(02¿ù)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hwp

041~084 ¹®È�Çö»óÀбâ

Chapter ...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ù.PDF

Microsoft PowerPoint _Monthly InsighT 19년 1월.pptx


....pdf..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c04....

- 2 -

= " (2014), `` ,'' .." " (2011), `` ,'' (.)"

Microsoft Word - PLC제어응용-2차시.doc

ÃʵîÇлý¿ë1021

<BFACBDC0B9AEC1A6C7AEC0CC5F F E687770>

120~151역사지도서3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Microsoft Word - Lab.4

쌍백합23호3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KMC.xlsm

Microsoft PowerPoint 산업전망_통장전부_v9.pptx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변경금지. 귀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C hwp

ePapyrus PDF Document

2),, 312, , 59. 3),, 7, 1996, 30.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 B3E220C1A631C8B820B0A1B1B8BCB3B0E8C1A6B5B5BBE720C7CAB1E22042C7FC28C0CEBCE2292E687770>

82-대한신경학0201

<35C2F7C3D6C1BE2D31302DB9CCBCFA2DC0E7C6EDC1FD2E687770>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hwp

유니티 변수-함수.key

2015현엘 내지.indd

Á¤Ã¥¹é¼Ł_Ç¥Áö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PowerPoint Presentation

JAVA PROGRAMMING 실습 08.다형성

4-Ç×°ø¿ìÁÖÀ̾߱â¨ç(30-39)

캐비노티에 임페리얼 타이거 캐비노티에 머제스틱 타이거 캐비노티에 와일드 팬더 개요 두 가지의 특별한 기법 야생 동물을 향한 찬사, 메종의 유서 깊은 기술로 완성 워치메이킹 기술과 예술 공예의 조화를 통해 완성된 탁월한 타임피스 파운싱 장식의 인그레이빙과 마르퀘트리 기법

Jkafm093.hwp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Transcription:

13 강. 사진의의미 1. 사진과회화 2. 사실주의 3. 기계의눈 4. 현대사진 참고문헌 : 사진과회화, 이토우도시하루지음 ( 시각과언어 ) 디지털시대의사진이미지. 마틴리스터엮음. ( 시각과언어 ) Magagine Photographies A New History Of Photography. Michel Frizot. 1994

1. 사진과회화 ( 원근법의변천 ) 사진은 19 세기중엽에출현한새로운시각형식으로서사회속에서여러가지역할을부여받으며빠른속도로확산되어사회기반자체에엄청난영향력을행사한다. 하지만이이미지는오랜역사를자랑하며그당시를지배해왔던회화와형식적측면에서매우유사했기때문에사진의출현이후사진과회화의상호영향력에대한문제는자연스럽게제기되어져왔다. 사진과회화의관계는시각형식의측면에서만이아니라시대적, 문화적상황과복합적으로얽혀져있다. 즉사진과회화의관계는다양한사고및세계관과관련이있으며또한예술이사회현실에대해개방성을지녔던 19 세기특유의시대상황과도밀접한관련이있다는것이다. 사실상예술이라는뿌리깊은구조를크게흔들어놓기시작한최초의엄청난사건은다름아닌사진의출현이었다. 사진은처음예술적, 미학적맥락이아니라과학, 기술적측면에서탄생한것으로알려지게되었고이후회화의전통과구조를전복시키려는이질적이고생소한것으로인식되어져왔던것이사실이다. 사진이회화의전통과구조를전복시켰다는주장에따르면사진이회화의 재현기능 을공격하여회화가구상에서추상의길로접어들게되었다는근본적인문제를내포하고있다. Anonymous, 1850

사진과회화에관한많은이론들을뒤로하고우리들안에서일반적으로통용되고있는 사진적시각 이라고하는화면의표현이란과연무엇이며그리고그것은과연사진만의독자적영역의문제인가? 이러한문제의실마리로서원근법의개념을도입하고있는몇가지논의들을살펴보자. 1981년뉴욕현대미술관에서열린 사진이전 : 회화와사진의발명 이라는전시회에서피터가라시는원근법이라는개념을통해특정순간, 특정시점에서대상을재현하는형식의공통적특성으로부터사진과회화의관계를읽어내려시도하고있다. 그는프레임과시점의위치를결정하는방법등의사진적재현과표현방식들이 18 세기의특수한회화 ( 스케치나드로잉 ) 에이미나타나있었다고본다. 이들의스케치나드로잉에는나뭇가지가화면의가장자리에서잘리거나원경의초점이흐릿하게보이는데, 가라시는이것들을사진과비슷한 단편적으로잘려진것같은화면 중심이없는혼란스러운화면 이라고말하면서평면적인단편을확대시켜놓은것같은공간을재현하고있다고하였다. 가라시에의하면르네상스초기의원근법은이론적이며구성적이고또한외부의세계를총체적으로표상하려는의도를지니고있었으나, 시간이지남에따라위에서언급한 18 세기스케치나드로잉과같이분석적이며단편적이되었고, 그결과사진과같은이미지로나타나게되었다고주장한다. Alvain Langdon Coburn, 1904 Alvain Langdon Coburn, 1904

즉회화는형식적구조를위한원근법에서선택적묘사를위한원근법으로변해왔다는것이다. Durandelle And Chevojon, 1889

최초의사진기라고할수있는카메라옵스쿠라는르네상스시기에선원근법의도구로고안되어졌다. 하지만사진은형식적구조를위한원근법 ( 완전한상징성이나질서를표현하기위한 ) 에는맞지않는매체였으며, 세계의단편을잘라내어보여주는선택적묘사 ( 자의적인시점을통한 ) 에적합한매체였다. 이러한사진적시각은세계를있는그대로묘사하고표현하고자하는사실주의의문제까지끌어들이게된다. 즉사진은 보는것 의의미가변화하는과정에서변형되어발생한것으로사진은보편적이고안정된것이아니라유동적이고우발적인것이다. 또한사진은현실세계에대한뛰어난감수성을지닌다. 이렇듯사진이라는매체는어떤의미에서근대회화의흐름을이끌어간조형어법이라말할수있다. 더나아가근대적시각을형성하는데있어결정적인역할을수행하게되는것이다. Camera Obscura,

Man Ray, 1930

2. 사실주의 오늘날 사실주의 는매우명백한것처럼논의되고있지만사실사실주의의역사는결코일관적이지않았으며원근법의변천과마찬가지로리얼리티또한다양하게변모해왔다. 어떤의미에서사진의출현은사실주의가고정된것이아니라가변적이라는것을사람들에게인식시켜준사건이었다. 르네상스시기에재발견된원근법의체계는필연적으로사실주의의문제와연결된다. 일반적으로원근법은대상을 사실적 으로그리는것을지향하는것으로인식하지만여기에서말하는 사실적 이라는단어는결코 있는그대로 라는의미가아니다. 그것은불안전하게보이는자연과대상의부족한점을보충하고수정하는것을의미했으며따라서초기의원근법은 사실적 real 이라는의미보다는 이상적 ideal, 즉이상화의의미를지녔다고말할수있는것이다. 19 세기사실주의회화의선구자로알려져있는귀스타브쿠베르가비난을받았던것도 이상화 로서의사실적임을부정하고있는그대로의사실주의를주장했기때문이다. 쿠베르의그림에대한비판은주로 그의그림은다게레오타입 (daguerreotype) 에지나지않는다 라는것이었다. 즉 너무나사실적으로정교하게 그렸기때문에창의성이결여되어있다는것이다. 실제로쿠베르는자신의작품을제작할때사진을충실히참조했다는사실로유명하다. 그의작품들중에는사진의독특한색조나광택까지도세밀히묘사했을정도이다. Gustave Courbert (1819-77), 1854, 안녕하십니까? 꾸르베씨.

여기서중요한것은화가와사진가의관계가아니라사실주의회화가사진의발생과나란히성립해온과정에관한것으로, 그과정을통해우리는시대흐름의하부구조의공통적인충동이다양한표현양식속에서나타났다는사실을알수있다. 극히몇몇을제외하고는당대의조형언어가표현하는시대상과현실사이에는커다란간극이존재해왔다. 그러나사진의출현과함께사실주의회화가대두되면서이간극은없어졌으며, 이제현실과조형표현이시대라고하는캔버스위에서교차하게되었다. 즉표현이현실세계의생생한측면을이상화하기보다는공공연하게드러내고자애쓰게된것이다. 사진은회화보다더욱강하게현실이나대상그자체를반영하는매체로서상상이나이상화를허용하지않는다. 쿠베르는어떤의미에서사진적인현실성을발견함으로써현실세계로부터떨어져있던회화의표현을현실로끌어들인것이다. Jean-August-Dominique Ingre (1780~1867), 1808, 목욕하는여인

사진의발명이래회화와사진은상호긴밀한관계를맺으면서새로운시각이미지의역사를형성해왔다. 하지만사진은과학기술적측면에서도큰의미를지니고있었다. 어떤의미에서 19세기는과학과예술이공존하면서아직예술적행위와기술적생산이별개의것으로존재하던시대였다. 이러한두개의입장은화해와반발, 그리고공존을거듭하며예술을둘러싼많은논의들을만들어내었던것이다. 19세기저명한비평가존러스킨은사진을 마술사가현실을축소하여마법의나라로옮긴것같이 정교하고분명한 태양의드로잉 이라평하면서사진의발명을경탄했다. Daguerre,1838-39

낭만주의회화의거장이자프랑스사진협회의창립회원이었으며사진을이용해다수의작품을완성시킨적이있는위젠느들라크르와 (Eugene Delacroix : 1798-1863) 도동일한견해를보였다. 하지만한편으로는그는사진의사실성에대한의문을떨쳐버릴수가없었다. 우리가다게레오타입을통해자연의신비를보다깊숙이알수있게된것은사실이다. 그러나사진이훌륭한리얼리티를보여준다고해도현실의반영이며모사에지나지않는다. 더구나지나칠정도로정교하기때문에오히려비현실적일때가있다 Charles Matton, 1933

이러한사진영상에대한충격도 19 세기후반기에사회상황의변화와함께급격한변화를맞이한다. 처음사진의발명에대해경탄을아끼지않았던존러스킨은다게레오타입에대한초기의신뢰를부정하고, 기계의사실주의로인해인간의직관적인사실주의가해체되는것을반대하면서사진이가능하게했던회화의새로운수법에대해경고하였다. 보들레르가사진을비판했던것도같은관점에서였다. 그는있는그대로를정확히포착하고자하는사진의방법을비웃으면서, 이는순진하게 진실 을추구하는사람들의욕망의산물이라단정하였다. 사람들은이렇게말한다. 나는자연을믿는다. 오로지자연만을믿는다. 나는예술이자연을있는그대로조금도틀리지않게재현하는것이라고믿으며, 또한이것만이유일한예술이라고생각한다. 따라서과학기술이자연과동일한것을우리에게줄수있다면그것이야말로완전한예술이라고말할수있을것이다. 이러한대중의요구에복수의신이귀를기울여다게르를메시아로세상에보냈다. 그를믿는신자들은이렇게말한다. 사진은우리들이기대할수있는최대한의정교함을보여주기때문에사진과예술은동일한것이다. 이때부터우리들의야비한사회는나르시스로부터평범한사람에게이르기까지한조각의급속에찍힌자신의초라한모습을보려고몰려들었다. 이상한광기가사람들에게달라붙었던것이다. Man Ray, 1928

보들레르의사진에대한비판은낭만주의적인입장에서출발한것으로, 그것은외형상의리얼리티에열중하는화가들에대한반론이었다. 그는사진은아무것도창조하지않으며이상화하지않는다고비난하면서사진은거울과같은차가움과명쾌함을지니지만정밀함으로관습을베끼는일에불과하다고말한다. 만약만질수없는상상력의영역에, 인간의영혼에무엇인가보탬을주어야만가치를지닐수있는영역에사진이발을들여놓는다면, 그때야말로우리들에게불행이닥쳐오는때이다. 이미불행한결과들이여기저기나타나고있다. 매일매일예술의자존심은외부의현실에굴복하고말았고화가는시간이지날수록꿈을표현하는것을포기하고눈에보이는것을그리게되었다. 그러나꿈을꾸는것은행복이며상상력을통해보았던것을표현하는것은영광이다. 그러나화가들이과연이행복을알수있을까? 보들레르는 19 세기의진보를물질의점진적인지배과정이라고보았으며, 사진의예술로의유입은이러한물질적, 기술적측면의강조로이는비물질적이며포착하기힘든것을느낄수있게해주는상상력을소실시키게만드는원인으로취급했던것이다. Moholy-Nagy, 1928

이러한사진비판이나사진의비예술론에맞선반대의입장들도나타났다. 1850 년대영국에서이미형성되고있던예술사진운동등이그것인데, 런던사진가협회부회장인윌리암뉴튼은 사진은과학이아니라자연의대상을재현하는예술이다. 라고주장하면서, 편차와과장에의한공간의확대, 분위기및색조의조절, 네거티브나포지티브의적극적인수정과같은기술적인방법등을통해대상의자연스러움을파손하지않고상상의폭을넓히는것이가능하다고역설한다. 이러한선언은 사진의회화적정체성 에대한최초의선언이되었고, H.P. 로빈슨의 < 사진에있어서의회화적효과 >(1869) 등과같은예술사진에대한지침서가나오는계기가된다. 이후사진의영역은기록적인차원에서벗어나합성이나수정에의한예술사진운동을계속벌여나간다. 이러한움직임은회화적사진을만들려는성향이무척강했으며따라서이러한예술사진의흐름은필연적으로당시의회화경향을쫒아가게됨은당연한현상이었다. 이와같은예술사진의경향은 19 세기부터 20 세기에걸쳐끊임없이나타나지만이러한시도들의대부분은사진의특성을회화적인것으로한정시켰기때문에단명하고말았다. Robert Demachy, 1900 Alvain Langdon Coburn, 1904 Alvain Langdon Coburn, 1904

이에반해 사진은단지사진이며, 낭만주의적인예술이아니다. 라고주장하면서사진의고유하고본질적인특성을파악한사람은영국의 P.H. 에머슨이었다. 그는사진과기존의예술과의차이점을보다잘인식하고과학적법칙의연장선상에서새로운예술개념을개척해나가야한다고주장하면서이와같은이념을 자연주의사진 이라명하였다. 따라서마침내 20 세기초에자연주의사실과예술사진의혼란속에서사진의본질을재인식하려는스티글리츠등의 < 스트레이트포토그래피 Straight Photography> 운동이발생하여근대적인사진의구조가구축된다. Alfred Stieglitz, 1900

Eugene Atget, 1905

3. 기계의눈 어떤의미에서사진의출현은이미지를 인간의눈 에가깝게하려고한 19세기사람들의노력이한계에부딪힌시점에서발생한다. 그것은 인간의눈 의한계를대신할수있는새로운지평을개척하려는움직임이기도했다. 하지만원근법의장치로고안된카메라옵스쿠라가만드는이미지인사진은이미 인간의눈 의연장이라는차원을뛰어넘어 기계의눈 으로서의독자적인전개를보이기시작한다. 모홀리 - 나기와라울하우스만, 만레이, 게오르게그로츠등과같은 20 세기초다다및초현실주의의선구자들은인간의눈을대신할수있는가능성을 기계의눈 에의한사진에서발견한다. 사진은지금까지기계적인측면때문에예술적인창조성이결여된것으로취급되어왔다. 그러나이 1 세기동안사진은스스로의힘으로본질적인가치를발견하고객관적인시각의형태를수립했다. 사진은회화가아니며또한전통적인미학에의해해석되는것도아니다. 이제부터라도그것은이상적인표현수단으로서다시말하면진화하기위하여스스로발전해나가는소통방식으로서추구되어야할것이다. 모홀리 - 나기 < 물감에서빛으로 > 이것이만들어내는사진은사실 인간의눈 과는이질적인구조를지닌다. 이형식은보는이의눈의위치를한쪽눈으로고정시킨것으로, 끊임없는움직임으로역동성을지니는인간의양쪽눈의시각과는다른것이었다. 19 세기사람들은그이질적인것을인간화하고인간의눈처럼받아들였다. Moholy-Nagy, 1922

모홀리-나기는기계의눈을사용해인간의눈을더욱발전시키고인간의이성적조작을통해인간의눈이인식하는광학적현상을공간적, 형태적으로보안하여이해할수있게되기를원했다. 모홀리-나기의사진을중심으로한 새로운시각 및 물질세계의즉물적응시 를주제로한사진운동이 1920년대부터독일을중심으로활발히전개된다. 이렇게이당시의사진은기술혁신에의한클로즈업, 렌즈의특성에의한폭넓은원근감, 다양한카메라앵글, 화학처리에의한빛의텍스츄어, 운동의순간포착과같은다양한표현기술이구사되면서빅토리아니즘으로부터벗어나기시작했던것이다. Moholy-Nagy, 19231 Man Ray, 1922

Man Ray, 1930 Man Ray, 1929

4. 현대사진 대상의외관에대한우리들의감각은끊임없이사진에의해공격받고있습니다. 따라서뭔가를볼때는이미사진을통해변형된감각으로보는것입니다. 프란시스베이컨 사진영상은언제나우리들의감각을장악하고있다. 사진은우리가전혀의식하지못한상태에서생각지도못한형태로의식속에파고들어오며감각중에 사진 이란개념을교묘하게끼워넣는다. 이와같은감각의사진화가가속화된것은특히 20 년간의대중매체의발달에따른사진영상의광범위한침투에서비롯된것이라고할수있다. 1960 년대를지나면서매체의중심은기계적물질영상에서전자적비물질영상으로이행해갔으며그매체의단층으로부터지금까진깨닫지못했던시각의구조, 즉사진의제도와구조가드러났다. 이러한가능성을일찍이파악했던작가들은본질적인지각의추구라는측면에서사진을이용하기시작했다. 그들의작품에서사물은일상의시간이나공간으로부터이탈하여촬영자와카메라의체계를통과함으로써새롭고특별한공간을성립시키며기존의모습과는다른의미를띠게된다. 1970 년대에는시퀀스사진, 분할사진, 다중적사진, 시점이동사진등이러한사진적시각의가능성을탐색하는다양한사진작업들이시도된다. Georges Rousse, 1947 Bernard Faucon, 1950

1980 년대에들어서면서사진과미술의구분이모호해진다. 작가들은미술을하는것도사진을하는것도아니었으며, 단지인용하고체험하고느끼고있을뿐이었다. 그들은개인과세계, 현실과비현실을오가고있었다. 이러한차원에서사진의본질적인문제를제기한것이 80 년대의메이킹포토 making photo 나콘스트럭티드포토 constructed photo 라고불리는새로운표현방식들일것이다. 다시말해 찍는시대 에서 창조하는시대 로이행했던것이다. 베르나르포콘, 데이비드호크니, 신디셔먼, 샌디스코글런드, 바바라갸스틴등의사진작가들이이시기에활동하던대표적인사진가들이라할수있다. 이러한새로운사진들은사진의근본적인특성으로여겨오던현실세계의재현이라고하는것에서완전히벗어나개개의상상력을바탕으로게임을즐기고있는것같은허구의세계를만들기시작했다. 그들이교류하고즐기고반영하는것은이미지들의침투로매체화되어버린현실세계였다. 그들은사물의표면에서접촉하고현실보다는매체를통해세계를인식하며그접촉의증거를작품화한다. Sandy Skoglund, 1946

David Hockney, 1974

Cindy Sherman 의작품들 Cindy Sherman, 1985

그러므로오늘날의사진을이해하기위해서는사진의독자성뿐만아니라기존의이미지, 매체, 표현양식등의고찰이병행되어져야만하는것이다. 그들은시대적공간을구성하는여러가지특질들을선택적으로구체화하거나또는의식속에서재구성하여상상과현실의역동적인관계를사진에표현하고자했다. 따라서실제로새로운사진들은세계의재현이라는표현구조를통하여인간의반복적인일상을선명하게제시하고있는것이다. 70 년대까지의사진을객관성과개성이결합된 구 에비유할수있다면 80 년대에는다양한표현양식과접근방식이수없이교차하고갈라져나간나뭇가지모양의이상한형태가되었다고할수있다. 이제는개인이나객관성모두정확하게정의내릴수없는시대가된것이다. Leonardo da Vinci(1452-1519), 1502 Philippe Halsman, 1953

1990 년대를멀티미디어의시대라부른다. 사진에관한많은논의들은디지털테크놀러지에의해형성된하이퍼미디어환경에둘러싸인영역에서새로운시각적담론과사진적맥락을필요로한다. 사진이미지가지금까지성립시켜온많은의미와가치들은디지털테크놀러지의출현과함께얼기설기엉켜버린느낌이다. 디지털이미지는이제사진이미지와는매우상이한속성을가지고 새로운종류의기호 를구성한다. 이러한새로운이미지들은새로운이해형식을낳을것이고또한편안하게안주했던경계들을허물어버리고그동안지켜왔던규칙들을바꾸도록종용하면서우리를방해하고혼란스럽게할것이다.

Photo Gallery. Robert Doisneau Paris, 1934 Paris, 1953 Paris, 1953 Paris, 1949 St-Denis, 1945

Paris, 1953 Paris, 1933 Aubervilliers, 1945 Montrouge, 1945 Paris, 1953

Hebert, 1957 Paris, 1936 Paris, 1956 Paris, 1934 Paris, 1953

Paris, 1950 Paris, 1953 Paris, 1951 Paris, 1949 Paris, 1961

Paris, 1952 Paris, 1953 Paris, 1950 Paris, 1948 Vienne,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