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Ear Measurement in Preschoolers 이가 난다. 따라서 성인과 같은 기준등가역치음압수준(reference equivalent threshold sound pressure level: ETSPL) 과 청력역치를 대입하는 방식의 처방으로는 과



Similar documents
슬라이드 1

012임수진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12): 하는 반면 등 소음 자체를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지 측정하는 것도 임상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용소음레벨 은 목표 이야기 와 배경 화자 잡음 을 들려주어 청취

DBPIA-NURIMEDIA

1..

12이문규

<4D F736F F F696E74202D20B9E8B0E6BCD2C0BDC0BDC7E2BAB8C1A4>

KISEP Reviews Korean J Audiol 6(1):9-13, 2002 TEOAE 를이용한신생아청각선별검사의의의 문성균 1 박홍준 2 박기현 1 Significance of Newborn Hearing Screening Program Using TEOAE S

The Occlusion Effect of Hearing Aids 저주파수의 이득이 너무 낮은 경우 어음인지에 필요한 정보를 듣지 못할 수도 있다 물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폐쇄효과를 해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외이도 안에서 재생성된 에너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Microsoft Word - 청능41-12.doc

139~144 ¿À°ø¾àħ

???? 1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C3BBB0A2BEF0BEEEC0E7C8B0C7D0C8B85F E525FC7D1B1B920B3ADC3BBC0CEC0BB20C0A7C7D120BAB8C3BBB1E228B1E8C1F8BCF7292E687770>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7;13(4): / RESEARCH PAPER Korean Speech Dynamic Range Acco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DBPIA-NURIMEDIA

A 617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Jkcs022(89-113).hwp

서론 34 2

03이경미(237~248)ok

44-4대지.07이영희532~

08김현휘_ok.hwp


서론

Kbcs002.hwp

Rheu-suppl hwp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Microsoft Word doc

DBPIA-NURIMEDIA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노영남

09권오설_ok.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06_À̼º»ó_0929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Microsoft Word - 청능42-10.doc

(01) hwp

DBPIA-NURIMEDIA

433대지05박창용

09È«¼®¿µ 5~152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04_이근원_21~27.hw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DBPIA-NURIMEDIA

Microsoft PowerPoint - ch03ysk2012.ppt [호환 모드]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Otology online ML Comm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462-6 / DOI /kjorl-hns pissn / eissn

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8;14(1):59-64 / CLINICAL CASE A Case Study of Auditory Training fo

Ot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6): / pissn / eissn Cl

다문화 가정의 부모

04조남훈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IKC43_06.hwp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Æ÷Àå82š


김범수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영어교육연구제 22 권 4 호 2010 년겨울 대학생들의영어모음발음과지각 ( ) Yang, Byunggon. (2010). College student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English Language Te

PJTROHMPCJPS.hwp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16(1)-3(국문)(p.40-45).fm

hwp

DBPIA-NURIMEDIA


16_이주용_155~163.hwp

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6;12(3): / RESEARCH PAPER Critical Bandwidths of a Basic

歯kjmh2004v13n1.PDF

(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example code are examined in this stage The low pressure pressurizer reactor trip module of the Plant Protection System was programmed as subject for

<B8F1C2F72E687770>

<31372DB9DABAB4C8A32E687770>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590호(01-11)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歯5-2-13(전미희외).PDF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Regular Paper) 21 1, (JBE Vol. 21, No. 1, January 2016) ISSN 228

(JH)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Transcription: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Korean J Audiol 2010;14:181-186 pissn 2092-9862 / eissn 2093-3797 Feasibility of Real Ear Measurement for Hearing Aid Fitting in Preschoolers Heil Noh, Mu Gil Heo, Shi-Nae Park, Kyung Ho Park and Sang Won Ye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학동기전 소아 실이측정의 실행 가능성 노혜일 허무길 박시내 박경호 여상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Received September 8, 2010 Revised November 12, 2010 Accepted November 13, 2010 Address for correspondence Heil Noh,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93-6 Ji-dong, Paldal-gu, Suwon 442-723, Korea Tel +82-31-249-7450 Fax +82-31-257-3752 E-mail hinoh@catholic.ac.kr Background and Objectives: Fitting hearing aids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 presents a unique set of problems in performing real ear measurement (REM). The hearing aids selected must be adjusted to account for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small ear canal.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the biggest limitation is their inability to sit still long enough to allow for obtaining accurate measurement in a time-efficient mann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REM in preschoolers in a busy clinical setting.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0 preschoolers who had undergone hearing aid fitting with REM in a secondary referral center from August 2007 to July 201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est time, subjects waking or sleeping state during REM, and a number of fine tuning and verification methods. Results: Only one of twenty cases of measurement could not be completed. To complete the REM, fourteen out of twenty measurements succeeded in the waking state and two in natural sleep, while three required drug-induced sleep. The mean test time for REM was 6.3±2.8 minutes. The mean number of fine tunings was 1.6± 0.8. Conclusions: Even in a busy clinical setting, REM was feasible for 95% of preschoolers. The clinician needs to decide whether each subject in the preschool age group can sit still long enough to obtain accurate measurements or must have sleep induced to save time during measurement. Korean J Audiol 2010;14:181-186 KEY WORDS: Hearing aids Child. 서 론 같은 크기의 소리 자극이라도 각 대상의 외이도내에서 형 성되는 음압의 크기가 다르다는 사실은 소아 보청기 적합 에 중요한 개념이다. 1987년 이후 소아의 외이도 공명상태 에 의한 연구가 활발히 시작되었는데, 1-4) 이 연구들을 통하 여 소리압력의 물리적인 값이 실제 고막 바로 앞에서 어떤 값으로 바뀌는 지와 이를 보정하는 값을 알게 되었다. 5) 외 이도 공명에 의한 최대 증폭이 성인에서 3~4 khz에서 나 타나는 것에 비해 소아는 4~7 khz에서 나타나고, 6) 외이도 를 막은 상태에서 소리 자극을 주는 폐쇄형 보청기를 착용 하게 되면 외이도에 새로 형성되는 작은 용적으로 인해 더 큰 소리 압력이 발생된다. 7) 또한 외이도 용적만의 차원이 아닌 전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치는 외이도 모양, 부피, 길이 와 주위 조직의 물리학적인 요소들이 모두 관여하므로, 8) 연 령별 평균 예측값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개별 측정을 통해 야만 정확한 값을 알 수 있다. 6) 이렇게 소아에서 연령에 따 른 외이도의 해부학적인 차이가 외이도내 공명상태와 임피 던스의 차이로 반영되어 소아의 작은 외이도 내의 주파수 별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이 성인과 분명한 차 Copyright 2010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181

Real Ear Measurement in Preschoolers 이가 난다. 따라서 성인과 같은 기준등가역치음압수준(reference equivalent threshold sound pressure level: ETSPL) 과 청력역치를 대입하는 방식의 처방으로는 과증폭을 일으 키거나 주파수별 공명 차이를 제대로 맞출 수 없게 된다. 이 런 이유로 소아 보청기의 적합(fitting)과 미세조절(fine tuning)에 실이측정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소아의 실이측정이 임상에서 잘 시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각성 상태에서 대상의 협조를 얻기가 어려우며 자 연 수면상태에서 시행할 때 대상이 움직여 실패하기 쉽고 실 이측정만을 위해 약물을 투여하여 수면상태를 만들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검사자 가 실이측정을 꼭 해야 한다는 의식이 부족하거나 짧은 시간 에 검사를 정확히 시행하기 위한 술기에 미숙한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진료현장에서 소아난청의 재활치료를 위하여 보청기를 처방하면서 적합 과정 중, 선진 외국에서는 보편화 되어있는 소아 실이측정이 국내에서는 잘 시행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1인 환자 진 료 시간이 짧은 국내 의료 현실에서도 소아의 실이측정이 어 느 정도 실행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실이측정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개선할 방법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3년간 본 연구기관에서 보청기를 이용한 청각 재활 을 받는 학동전기 7세 이하 청신경병증 및 감각 신경성 난 청 소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성 혹은 자연 수면 상태 에서 Hearing Aids Analyser[Audioscan RM500(MAI- COMH-20)]를 이용하여 실이측정을 시행하였고 그 시행 과 정 중 대상의 협조 상태와 검사성공 여부, 일측 실이측정에 소 요된 시간(5분 단위), 미세조절 횟수 및 적합확인(verification) 방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본 기관의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심의를 거쳐 시행하였다. 대상의 청력역치를 얻는 방법과 보청기 처방방식 순음청력검사가 가능한 소아는 순음청력역치를 이용하였 고 순음청력검사가 아동의 협조 문제로 가능하지 않거나 결 과의 신빙성이 낮았던 3세 이하, 7명은 청성지속반응의 역치 를 사용하였다. 청신경병증 환아의 경우는 행동 반응 검사를 청각유발전위검사에 병행하여 시행하였고 일측 난청의 경우 는 차폐를 한 역치와 차폐를 하지 않은 역치를 모두 얻어 보 청기 적합에 사용하였다. 3세 이하의 경우 초진과 첫 적합시 에는 청성지속반응검사의 역치를 사용하였더라도 성장하면 서 순음청력검사나 어음청력검사를 이용한 역치를 얻게 되면 이 결과를 이용하여 미세조절을 시행하였다. 보청기 처방방식은 실이측정값이 목표값(target)에 일치하 는지를 실이내 음압을 측정하면서 목표값을 맞추는 Desired Sensation Level(DSL) 방식을 이용하였고 DSL 4.1 (www.dslio.com)을 이용하여 청력 역치를 입력한 후 2 cc coupler 값과 실이측정의 목표값을 얻었다. 청성지속반응검사를 시행하고 수면 상태가 지속된 경우 에는 삽입형송화기(insert microphone)와 프로브송화기 (probe microphone)를 이용하여 외이도내 주파수별 음압 값을 얻고 이들 차이를 이용하여 real ear to coupler difference(recd)값을 얻었다. 이 값을 이용하여 2 cc-coupler에 보청기를 연결하여 일차 조정을 할 수 있었으나 실이에서 주파 수별 반응 곡선을 얻기 위해 보청기를 낀 상태에서 실이증폭 반응(real ear aided response: REAR)을 측정하였다. 보청기를 적합프로그램이 있는 노트북 컴퓨터에 Hi-Pro 와 연결하여 계산된 삽입이득값을 주고 2 cc 커플러에 연결하 여 50, 65, 80, 90 db 자극에 대한 주파수반응을 확인하 여 목표값에 맞도록 일차 적합을 시행하였다. 실이측정 방법과 적합성 평가 실이측정 장비의 탐색송화기를 고막 앞 5 mm내에 위치시 키고 저음부터 고음으로 상승하는 순음(pure tone sweep) 을 자극으로 하여 외이도내 주파수별 음압을 측정하였다. 보 청기를 끼지 않은 상태에서 실이공명반응(real ear unaided response: REUR)을 먼저 측정한 후 보청기를 낀 상태에서 실 이증폭반응을 50, 65, 80 db 자극에 대한 주파수반응을 확 인하여 목표값에 맞도록 확인하면서 미세조절을 시행하였다. 대상 아동의 협조 정도에 따라 일단 비수면 각성 상태에 서 일차 시도를 하여 아동이 실이측정 과정에 움직이지 않고 협 조가 잘되면 검사를 바로 진행하고 움직임이 심해 협조가 잘 안 되는 경우에는 우선 낮잠을 자는 연령이면 낮잠 시간에 재워서 오도록 하였고, 낮잠을 전혀 자지 않는 경우는 약물 을 이용한 수면을 시도하였다. 실이측정 후 적합성 판정(수행평가)은 대상의 나이에 따라 보호자 관찰에 의존하거나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성 지속반응검사를 시행하였고, 대상이 순음청력검사와 어음청 력검사가 가능했던 경우에는 음장에서 어음청취역치를 측정 하였다. 결 과 총 20명의 대상군은 모두 학동기전 아동으로(평균 나이 182 Korean J Audiol 2010;14:181-186

Noh H, et al. Table 1. Case summary of the preschool children with hearing aids No Age/sex Dx HL (db) Rt/Lt Ear HA- type REM-condition REM-time Fine tuning Verification method 1 1/M AN 80/80 Rt BTE Drug-sleep 5 min. Twice Parent-observation 2 1/M AN 70/70 Both BTE Natural-sleep 5 min. Thrice Parent-observation 3 1/F AN 60/60 Rt BTE Drug-sleep 5 min. Twice Parent-observation 4 2/M SN 80/70 Lt BTE Awake 15 min. Once Sound field-srt 5 2/F SN 90/70 Both BTE Natural-sleep 5 min. Twice ASSR with HA on 6 2/F SN 90/90 Both BTE Drug-sleep 5 min. Once Parent-observation 7 3/M SN 80/30 Rt BTE Awake 5 min. Twice Sound field-srt 8 4/F AN 70/10 Rt BTE Awake 5 min. Twice Sound field-srt 9 5/F SN 50/60 Both ITE Awake 5 min. Once Parent-observation 10 5/F SN 90/95 Lt BTE Awake Failure Once Parent-observation 11 5/F SN 50/50 Both ITE Awake 5 min. Once Sound field-srt 12 5/M SN 65/10 Rt ITE Awake 5 min Twice Sound field-srt 13 6/F SN 60/60 Both ITE Awake 5 min. Once REM only 14 6/F SN 45/35 Both ITE Awake 5 min. Once REM only 15 6/F SN 45/55 Both ITE Awake 10 min. Thrice Sound field-srt 16 6/M SN 10/70 Lt BTE Awake 10 min. Thrice Sound field-srt 17 6/F SN 55/45 Both CIC Awake 5 min. Once Sound field-srt 18 6/F SN 45/45 Both ITE Awake 5 min. Once Sound field-srt 19 6/M SN 50/60 Both ITE Awake 5 min. Once Sound field-srt 20 7/M SN 70/65 Lt CIC Awake 10 min. Once Sound field-srt Dx: diagnosis, AN: auditory neuropathy, SN: sensoryneural hearing loss, HL (db) Rt/Lt: 0.5,1,2,4 khz mean hearing level in decibel of right and left ear, HA: hearing aids, BTE: behind the ear, ITE: in the ear, CIC: completely in the earcanal, REM: real ear measurement, ASSR: auditory steady state response, SRT: speech reception thresholds 4.3±2.1세, 남녀 각각 8, 12명) 난청의 원인은 감각신경성 난청 16명과 청신경병증 4명이었다. 이들 대상군의 청력역 치와 사용한 보청기 종류, 실이측정 시간과 상태, 미세조절횟 수, 적합성 평가 방법 등은 표 1과 같다(Table 1). 자연 수면 상태에서 시행한 1~2세 소아 2명과 약물 수면 을 시행한 0.5~2세 3명, 각성 상태에서 측정을 시도하여 성공 한 14명을 합하여 95%에서 실이측정이 가능하였다(Fig. 1). 낮잠을 자는 연령에서는 자연수면과 약물 수면을 유도하 기 쉬우나 낮잠을 자지 않는 유치원생들 중에 잠시도 가만 히 앉아있지 못해 검사가 불가능하면서 보호자가 실이측정만 을 위해 수면제를 이용한 약물 수면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가 발생하여 1예에서 실이측정을 마치지 못하였다. 실이측정이 가능했던 19명에서 한쪽 귀의 실이측정 평균 소요 시간은 6.3±2.8분이었고 미세조절횟수는 1~3회(평균 1.6±0.8회)로 청신경병증의 경우처럼 대상의 반응을 잘 확 인해야 하는 경우와 착용 후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미 세조절을 3회까지 2주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측정 과정 중 50, 65, 80 db 상승 순음(pure tone sweep)에 대한 실이증폭반응을 얻어 목표값과 비교하면서 미 세조절을 시행할 수 있었다. 탐색송화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검사 값과 일치하였다. 자연수면이나 약물 수면을 유도하여 실이측정을 해야 했 던 5예에서는 1회 실이측정에서 얻은 RECD값을 이용하여 미세조절을 하였다. 그 외 각성상태에서 실이측정이 가능하 였던 경우에는 첫 적합시부터 실이측정을 하면서 목표값을 맞추었고, 첫 적합에서 목표값을 맞추지 못해 2차 조정이 필 요했던 4예에서는 미세조절시에 실이측정 결과를 보면서 조 율이 가능하였다. F irs t trial: 20 R E M in a wake s ta te 14 S uc c es s 6 F a ilure S ec ond trial: R E M in na tural s leep or Na p 2 S uc c es s 4 F a ilure 3 S uc c es s 1 F inal F a ilure Drug induc ed s leep for R E M R efused to undergo drug induc ed sleep just for R E M Fig. 1. A: Schematic drawings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real ear measurement (REM) in 20 preschoolers. The first trial was REM in awake state which succeeded in 14 out of 20 cases. Second trial was REM in natural sleep or nap state which succeeded in 2 out of 6 cases. Among 4 cases, 3 underwent drug induced sleep for REM, in one case the parent refused to undergo drug induced sleep just for REM. Overall success rate was 95%. 2세 이하 6명 중 4명은 보청기를 사용한 상태에서 실이 www.audiology.or.kr 183

Real Ear Measurement in Preschoolers 측정과 보호자 반응 관찰만으로 적합성을 판정하였다. 청각 수행능력을 평가하기에 보호자의 관찰 반응이 불분명한 2 례 중 1예에서는 보청기를 사용한 상태에서 청성지속반응 을 시행하였고 다른 1예에서는 이음절을 이용한 어음청취역 치를 얻을 수 있었다. 그 이상 연령에서는 음장에서 보청기 를 사용한 상태에서 어음청력검사를 시행하여 어음청취역 치를 측정하였다. 이 연령군에서도 보호자 관찰이나 실이 측정만으로 적합성 검사를 마친 경우도 각각 2예가 있었다. 고 찰 소아에서 보청기 적합과정에 실이측정을 할 수 있으려면 소아에서는 실이측정이 꼭 필요하다는 인식을 먼저 지니고 실이측정이 가능한 보청기 검사 장비를 갖추어야 하며 검사 시행의 기본 술기를 빠른 시간 내에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대상의 협조 상태를 평가하고 수면을 유도할지를 결정 해야 하는데 학동전기 아동 중 낮잠을 자거나 수면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3세 이하 연령에서는 각성 상태에서 실이측정 을 시도해 봐서 협조가 잘 되지 않으면 자연수면을 유도해 시행해 보고 그래도 안 되면 약물을 이용한 수면을 유도해 시행하였다. 오히려 자연 수면(낮잠)을 유도하기 어렵고 5분 정도도 가만히 검사에 협조를 잘 하지 못하는 4~6세 학동 전기 소아들이 대상에 따라 협조 상태가 매우 다양하여 실 패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외국의 실이측정 의 실행 가능성은 93.3%로 해부학적인 이유와 협조 관계로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9) 실이측정을 포기하는 경우는 대 상과 보청기 소리에 대해 어느 정도 의사 소통이 가능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적합성을 판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각피질유발전위(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를 시행하는 방법이 보고되었으 며, 10) 이 방법은 객관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검사 시 대상의 각성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성인의 경우처럼 어떤 처방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환자와 의 의사 소통에 문제가 없으면 실이측정을 꼭 실행하지 않 고서도 미세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의사 소통이 가능한 경 우에도 실이측정은 미세조절시에 환자의 불편함을 듣고 그 문제를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소아의 경우는 이득과 최대출력 등을 각 기종의 회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적합(auto-fit or quick fit)으로 적합이 이루어졌을 때 실이측정을 시행하지 않으 면 실제로 각 소아의 귀에서 그 역치에 맞는 적당한 출력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1회의 정확한 실이측정값 이 얻어지면 미세조절 시 매번 실이측정을 하지 않고 RECD 값을 이용하여 2 cc 커플러에서 조정을 하면서 보정만 해주 면 되지만 이는 보청기를 사용한 상태의 실이측정값과 차이 가 생길 수 있다. 11,12) 일반적으로 청력검사 시 자극음을 줄 때 모든 트랜스듀서 (스피커, 삽입형송화기, 헤드폰 등)들은 정상 성인의 역치를 0 db HL로 맞추어 조정한 것이다. 소아의 외이도에서 일 어나는 공명상태는 성인과 다르기 때문에 트랜스듀서의 보 정(calibration)부터 성인과 차이가 난다는 것을 계산해서 청력수준(hearing level: HL)을 정해야 한다. 이러한 역치 를 기준으로 하여 보청기의 이득과 최대출력을 정하게 되 므로 현재 일반 성인 집단을 기준으로 정해진 보정값을 혼 용해서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삽입형송화기(insert microphone)을 사용하는 경우, 1세 소아가 4,000 Hz에서 dial level(dl)로 10 db 역치를 나타냈다면 이는 성인에서 는 20 db DL이면서 20 db HL이다. Marcoux와 Hansen 은 이를 equivalent adult threshold(eat)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13) 그러나 이들도 소아를 정상 성인과 같다고 볼 수 없으므로 db HL을 이용 한 청각 검사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트랜스듀서 사이의 보정값을 적용하는 문제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소아에서는 청력수준보다는 고막에 이르는 음압 수준(sound pressure level)을 이용하여 청력 역치를 정 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어왔고, 13) 이에 대해 보정값을 프로그 램에 삽입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방 법은 청성지속반응의 AM/FM 소리나 ABR의 클릭음처럼 SPL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므로 성인의 HL로 역치값이 표 시되는 경우는 sound pressure level(spl)로 통일하기 어 렵다. 그러므로 역치를 얻을 때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그 값이 estimated HL(전기생리학적방법으로 얻은 HL의 예측치: ehl)인지 normalized HL(tone ABR을 이용하 여 얻은 HL: nhl)인지를 분명히 명시하여야 한다. 이 문제 를 자세히 다룬 Western Ontario Group은 그들이 개발 한 DSL program을 5.0 version으로 올리면서 이 문제를 자세히 다루었으며 실제 귀 안에서의 SPL과 행동검사(behavioral test)와 유발전위(electrophysiologic test)를 통 해 얻어낸 역치값 사이에 차이를 보정하는 방법을 추가하였 다. 14) 청성지속반응을 이용하여 nhl을 얻은 경우에도 소 아용 보정값이 있으면 바로 이를 적용하여 ehl을 얻고 이를 대입하면 된다. 15) 청성지속반응을 통해 얻어진 역치를 대입 하는 경우 normalized HL이 아닌 estimated HL을 입력하 여야 한다. 소아들은 보청기를 맞춘 후 출력 확인을 2 cc 커플러에 184 Korean J Audiol 2010;14:181-186

Noh H, et al. 서 일차 확인하고 실이에서도 확인한 뒤 실제로 보청기의 출력값이 프로그램에서 계산되어 나온 목표값과 일치하는 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사용중인 보청기 분석기에서 보 정된 어음자극음(calibrated speech signals measured in 1/3 octave band level)이 출력되면 이를 이용하여 65 db SPL, 0.25, 0.5, 1, 2, 4, 6 khz 자극음으로 검사하고 마지 막으로 90 db SPL의 상승 순음(pure tone sweep)을 이 용한 실이포화반응(real ear saturated response: R- ESR)까지 측정한다. 이때 소아가 큰 소리에 불편함이나 괴 로움을 표현하는지 확인한다. 16) 사용하는 자극음의 크기와 종류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보청기가 잘 맞추어졌다고 생각하면 보청기를 착용한 상 태에서의 역치값(aided threshold)을 음장에서 측정하였 으며 자극음은 순음을 사용하지 않고 wable tone을 사용 하였다. 소아에서는 이러한 기능 이득(functional gain)을 얻는 것 보다 이음절어를 이용한 어음청취역치(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를 측정하는 것이 검사 시간을 절약하고 대상의 협조를 얻어내기가 쉽다. 17) 보청기 착용 후 큰 소리에 불편감을 측정하는 과정도 중요하였으며 소아 는 특히 loudness discomfort level(ldl)를 측정하지 않 고 보청기를 맞추게 되는 경우가 많아 보청기를 낀 상태에 서 85 db 이상의 소리에 괴로운 반응을 보이는지 직접 확인 해야 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보청기를 처음 끼고 괴로운 소리를 경험하는 것이 앞으로 보청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좋 지 않은 기억으로 남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검사해야 한다. 객관적으로 LDL을 측정하기 위해 음향반사(acoustic reflex)를 사용할 수 있다. 18,19) 소아의 수행능력(performance)를 확인하는 것도 성인 과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인 평가를 위한 설문지중 소아 용으로 개발된 것들이 있고 보호자의 관찰에 의존하는 설 문지도 개발되었다. 20) 그러나 이러한 설문지를 사용하지 않 더라도 추적검사 기간에 보청기를 소아가 잘 사용하고 있는 가와 그렇지 않다면 이유를 물어보고 조용한 곳과 소음 환경 모두에서 대화가 가능한지, 환경음에 대한 반응을 질문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첫 적합 후에는 1~2개월 간격으로 검 사하고 이후 추적기간의 간격은 특별한 문제가 없어도 최소 6개월 단위로 정하여 방학 때는 반드시 외래를 방문하도록 교육하였다. 결 론 학동전기 소아에서 시행한 보청기 착용상태에서의 실이 측정은 각성과 자연 수면상태에서는 약 80% 가능하였고 약 물 수면을 포함하면 95%에서 실행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가능한 짧은 시간 내에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이 숙 달되어 있다면 국내 의료 상황에서도 학동전기 소아의 실이 측정은 충분히 시행 가능하였다. 각성 상태에서 실이측정을 시도하여 대상의 협조가 어려운 경우, 자연수면이나 약물 수 면을 유도하여 시행할지를 임상의가 결정해야 한다. 향후 소 아에서는 보청기 적합과 미세조절 과정 중에 실이측정이 꼭 필요하다는 인식과 실이측정 결과를 비롯한 보청기 조절 기 록을 청력검사 결과와 같이 의무기록에 보존하도록 하는 제도적인 규정이 생겨야 과증폭 등 부적합 문제들의 발생 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REFERENCES 1) Bentler RA. External ear resonance characteristics in children. Th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989;54:264-8. 2) Bentler RA.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n children. Ear and Hearing 1991;12:89-90. 3) Kruger B. An update on the external ear resonance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Ear and Hearing 1987;8:333-6. 4) Kruger B, Ruben RJ. The acoustic properties of the infant ear. A preliminary report. Acta Oto-laryngologica 1987;103:578-85. 5) Bentler RA, Pavlovic CV. Transfer functions and correction factors used in hearing aid evaluation and research. Ear and Hearing 1989; 10:58-63. 6) Westwood GF, Bamford JM. Probe-tube microphone measures with very young infants: real ear to coupler difference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real ear unaided response. Ear and Hearing 1995; 16:263-73. 7) Feigin JA, Kopun JG, Stelmachowicz PG, Gorga MP. Probe-tube microphone measures of ear-canal sound pressure levels in infants and children. Ear and Hearing 1989;10:254-8. 8) Keefe DH, Bulen JC, Arehart KH, Burns EM. Ear-canal impedance and reflection coefficient in human infants and adul-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993;94:2617-38. 9) Bingham K, Jenstad LM, Shahnaz N. Longitudinal changes in real-ear to coupler difference measurements in infants. J Am Acad Audiol 2009;20:558-68. 10) Golding M, Pearce W, Seymour J, Cooper A, Ching T, Dillon H. The relationship between obligatory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 (CAEPs) and functional measures in young infants. J Am Acad Audiol 2007;18:117-25. 11) Bagatto MP, Scollie SD, Seewald RC, Moodie KS, Hoover BM. Real-ear-to-coupler difference predictions as a function of age for two coupling procedures. J Am Acad Audiol 2002;13:407-15. 12) Munro KJ, Toal S. Measuring the real-ear to coupler difference transfer function with an insert earphone and a hearing instrument: are they the same? Ear and Hearing 2005;26:27-34. 13) Marcoux A, Hansen M. Ensuring accuracy of the pediatric hearing aid fitting. Trends Amplif 2003;7:11-27. 14) Bagatto M, Moodie S, Scollie S, Seewald R, Moodie S, Pumford J, et al. Clinical protocols for hearing instrument fitting in the Desired Sensation Level method. Trends Amplif 2005;9:199-226. 15) Scollie S, Seewald R, Cornelisse L, Moodie S, Bagatto M, Laurnagaray D, et al. The Desired Sensation Level multistage input/output algorithm. Trends Amplif 2005;9:159-97. 16) Strauss S, van Dijk C. Hearing instrument fittings of pre-school children: do we meet the prescription goal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2008;47 Suppl 1:S62-71. 17) Rissatto MR, Novaes BC. Hearing aids in children: the importance www.audiology.or.kr 185

Real Ear Measurement in Preschoolers of th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rocesses. Pro Fono 2009;21:131-6. 18) Kiessling J. Input-output function of the acoustic reflex and objective hearing aid evaluation. Audiology 1980;19:480-94. 19) Rawool VW. Can maximum comfortable loudness levels in hearing impaired listeners be predicted from ipsilateral acoustic reflex thresholds recorded with high frequency probes? Scand Audiol 2001; 30:96-105. 20) Ching TY, Hill M. The Parents Evaluation of Aural/Oral Performance of Children (PEACH) scale: normative data. J Am Acad Audiol 2007;18:220-35. 186 Korean J Audiol 2010;14:18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