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포커스 모바일 바이오 인식기술 동향 김정훈* 바이오 인식은 사람의 신체 또는 행동 특징인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등을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여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이다.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등의 바이오 정보는 유일하며, 평생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바이오 인식기술이 스마트폰과 결합되면서 그 활용성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문이나 홍채 등을 이용한 바이오 인식기술은 모바일 쇼핑이나 금융결제 등으로 활용되고 있어, 수년 내 대중화될 것으 로 예상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바이오 인식기술의 시장과 표준화 동향, 업체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 차 Ⅰ. 서론 Ⅱ. 주요 바이오 인식기술 Ⅲ. 바이오 인식기술 시장과 표준화 동향 IV. 바이오 인식기술 업체 동향 V. 맺음말 * 용인송담대학교 컴퓨터게임과/교수 I. 서 론 바이오 인식은 사람의 신체 또는 행동 특징인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등을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여 개인을 식별하거 나 인증하는 기술로 생체인식이라고도 한다.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등을 바이오 정보라고 하며, 바이오 정보는 유일하여 평 생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 정보는 특히 비( 非 )대면 전자거 래에서 강력한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 가 능하며, 비밀번호, 보안카드 등 전통적인 본 인 인증 수단과 비교하여 편리성과 보안성 이 뛰어나다. 그러나 개인의 바이오 정보가 불법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고, 일부 바 이오 정보의 경우 에러 발생률이 낮지 않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1
주간기술동향 2014. 10. 29. 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바이오 인식기술은 사용자 특징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등록(registration/enrollment), 많은 사람 중에 사용자를 찾아내는 식별(identification), 사용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인증 (verification)의 3 단계로 세분화시킬 수 있다[1]. 식별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특정 다수의 바이오 정보 중 일치하는 하나를 찾아내는 1:n 방식이고, 인증은 등록된 정보와 제시된 개인 정보를 비교하여 같다, 아니다 를 판별하는 1:1 방식이다[2]. 바이오 인식기술의 정확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본인거부율(False Rejection Rate, FRR)과 타인수락률(False Acceptance Rate, FAR)이 있다[3]. FRR 과 FAR 의 비 율은 낮을수록 정확하다고 볼 수 있으며, 홍채 인식기술이 다른 바이오 인식기술보다 더 정확하다고 평가된다. 홍채 인식기술의 오류율은 약 100 만 분의 1 이다. 최근에는 바이오 인식기술이 본인 인증 수단을 넘어 계좌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 결제 정보와 결합하여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대체하는 지급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활용 범위가 모바일 쇼핑과 금융 결제까지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지문 인식 이나 얼굴 인식 등의 바이오 인식기술을 스마트폰에 적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본 고 에서는 주요 바이오 인식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모바일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소개하 고자 한다. 또한, 표준화 동향과 최근 기술 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II. 주요 바이오 인식기술 II 절에서는 바이오 인식기술을 세분화하여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인식 등에 대 해 자세히 살펴본다. 1. 지문 인식 지문 인식(fingerprint recognition)은 가장 오래된 바이오 인식기술이다. 지문 인식기 술은 전 세계 바이오 인식기술 시장에서 약 66%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애플, 삼성전 자 등의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지문 인식기술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하여 지문 인식 기술은 일반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시스템은 지문의 골이나 곡점 등 지문 이미지의 특징을 파악한 뒤 저장된 원본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다른 바이오 인식기술보다 더 오랫동안 연구되어 저 2 www.iitp.kr
포커스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인증 시점의 피부 상태에 따라 인증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지문 인식은 인식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지문이 닿는 면적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정전(capacitive) 방식이고, 또 다른 하나는 LED 등 광원이나 이미지 센서를 활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광학 방식이다[2]. 정전 방식은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특수 한 모양을 전기적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방식이다. 손가락을 실리콘 칩 표면에 접촉하면 손 가락과 센서표면에 미세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부분과 밀착되는 부분이 존재한다[4]. 이때 센서표면으로부터 피부까지의 거리 정도에 따라 정전용량이 서로 다른 값을 보인다. 이러한 방식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광원, 렌즈, CCD 카메라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소 형화가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접촉 시에 칩이 미세하게 손상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광학 방식은 지문 인식 초기 기술로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손끝을 플래튼 (platen)에 놓고 플래튼으로 강한 빛을 쏘아 손끝의 지문 형태를 반사시킨다. 반사된 지문 이미지는 고굴절 렌즈를 거쳐 CCD 카메라에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지문 이미지는 디 지털화되어 원본 데이터와 비교된다. 광학 방식은 정밀도가 좋고 기계적 안정성이 높은 대신 광원, 렌즈, CCD 카메라 등의 장비가 필요하여 소형화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제조 원가와 크기 문제로 광학 방식은 모바일에 적용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모바일에서는 정전 방식을 활용한 지문 인식기술이 사용된다. 같은 정전 방식을 택한 지문 인식 스마트폰이라도 사용자가 지문을 어떻게 입력하는지 에 따라 스와이프 타입(swipe type)과 에어리어 타입(area type)으로 나눌 수 있다[5]. 스 (그림 1) 스와이프 타입 (그림 2) 에어리어 타입[6]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3
주간기술동향 2014. 10. 29. 와이프 타입은 사용자가 지문 센서에 손가락을 대고 위에서 아래로 문질러 지문을 입력하 는 방식이고, 에어리어 타입은 센서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스와이프 타입을 채택한 대표적인 스마트폰은 팬택의 베가 LTE-A 와 베가 시크릿노 트이며, 아이폰 5S 는 에어리어 타입을 채택하고 있다. 에어리어 방식은 지문 인식이 빠르 고 정확하지만 센서 소형화가 어렵고 가격이 스와이프 방식보다 3 배 이상 비싸다. 스와이 프 방식은 센서 크기가 작아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적용 가능하지만 인식률이 낮다는 단 점이 있다. 향후 모바일에서의 지문 인식기술은 특정 부위 터치가 아니라 화면 전체를 통해 지문 을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전될 것이다. 화면 전체가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되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바이오 인식기술의 대중화를 더욱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2. 홍채 인식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은 홍채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이다. 홍채 인 식기에 사용자가 눈을 위치시키면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자의 홍채를 이미지화하고, 이후 홍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 고유의 홍채 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2]. 사람의 홍채는 쌍둥이조차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고 있어 통계학적으로 DNA 분석보다 더 정확하다고 알려져 있다. 홍채는 외상 또는 아주 드문 질병을 제외하고는 평생 변하지 않는 특징도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착용하더라도 인식할 수 있고,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며 비접촉 방식이어서 위생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3. 정맥 인식 정맥 인식(vein recognition)은 사람마다 서로 다른 혈관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에 근거한 인증 기술이다. 정맥 인식은 혈관 인식 위치에 따라 손가락, 손등, 손바닥 정맥 등 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혈관 투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잔영을 분석한다. 사람의 혈관은 지문이나 안구와 달리 표면에 보이지 않는 정보를 이용하므로 신체의 훼손 등을 통한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고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 구성이 복잡하고 시스템 구축 비용이 커서 활용 범위가 제한되기도 한다. 4 www.iitp.kr
포커스 4. 얼굴 인식 얼굴 인식은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만들어 놓고, 입력된 얼굴 영상을 데이터베이 스에 저장된 얼굴과 비교하는 기술이다. 비접촉 방법으로 위생적이지만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표정이 변할 수 있고, 조명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5. 음성 인식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기술은 음성 경로, 비강과 구강 모양의 음성학적 특성을 이용하는데, 인식 단말기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아 분석하고 특징을 추출한 다음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것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음성 인식기술은 오류 발생 빈 도가 높지만 다른 바이오 인식기술과는 다르게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마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인식 단말기의 구입에 대한 부담이 적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주변 소음 등 외부 환경이나 마이 크의 성능에 따라 인식률이 달라지기도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 맥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등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바이오 인식기술 비교 구분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정맥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인식 정확도 정확 매우 정확 매우 정확 보장이 어려움 보장이 어려움 장점 단점 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인식이 정확함 손의 상처나 변형에 영향을 받음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고 매우 안정적 인식기 비용이 고가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고 매우 안정적 정보 추출이 어려움 쉽고 빠르고 비용이 저렴함 표정이나 자세, 조명에 영향을 받음 비용이 매우 저렴함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음 특징 신체적 특징 신체적 특징 신체적 특징 신체적 특징 행동적 특징 III. 바이오 인식기술 시장과 표준화 동향 1. 바이오 인식기술 시장 동향 최근 금융권과 IT 업체들을 통해 개인정보가 많이 유출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정보 보 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보안 시장 규모는 국내 시장의 경우 2011 년 4 조 9,800 억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5
주간기술동향 2014. 10. 29. (단위 건) 500 400 300 200 100 0 394 271 216 2011 2012 2013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65 51 163 100 134 160 2011 2012 2013 22 29 25 지문 홍채 얼굴 (그림 3) 바이오 인식기술 출원 동향 (그림 4) 바이오 인식기술 분야별 출원 비중 원, 2015 년에 10 조 800 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7]. 세계 시장은 2011 년 2,995 억 달러, 2015 년 4,674 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안 기술은 1990 년대의 시 스템 보안, 2000 년대의 네트워크 보안, 2010 년대의 개인 정보 보안으로 그 경향이 계속 변해 가고 있으며, 개인 정보 보안을 위해 바이오 인식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특허청의 발표로는, 최근 3 년간 바이오 인식기술 관련 출원은 2011 년 216 건, 2012 년 271 건, 2013 년 394 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얼굴, 지문, 홍채 인식이 차지 하는 비중은 각각 44.7%, 31.7%, 8.6%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3)과 (그림 4)는 각각 바이 오 인식기술의 최근 3 년간 출원 동향과 세부 항목을 표시한 것이다[8]. 최근 공공 영역에서 주로 이용되었던 바이오 인식기술이 민간 영역으로 확대되기 시작 하면서 2010 년 45 억 달러였던 전 세계 바이오 인식 시장은 2012 년에는 58 억 달러로 성장하였다. 조사 전문 기업인 Frost & Sullivan 은 바이오 인식 시장이 연평균 14% 이상 성장하면서 2019 년 150 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바이오 센서가 탑재 된 스마트폰의 확산이 이러한 꾸준한 성장의 근거로 제시되었다[9]. 바이오 인식기술 중 홍채 인식기술 시장은 다른 부분보다 크게 성장할 것이고, 세계 홍채 기술 시장의 규모는 2012 년 1.6 억 달러에서 2016 년 5.2 억 달러로, 비중은 9.1% 에서 11.3%로 확대가 예상되며, 국내 홍채 인식기술 시장의 규모는 2011 년 35 억 원에 서 2016 년 600 억 원으로 성장하고, 비중 역시 2.8%에서 17%로 확대될 전망이다[9]. 전 세계 모바일 바이오 인식기술 시장규모는 2011 년 3,000 만 달러에서 2015 년 1 억 6,100 만 달러로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애플 등이 바이오 인식기술을 채택한 스마트폰을 계속해서 출 6 www.iitp.kr
포커스 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2. 표준화 동향 바이오 인식기술의 표준화는 2002 년 미국의 주도 하에 ISO/IEC JTC 1 SC 37 (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가 설립되면서 진행중에 있다. ISO/IEC JTC 1(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Joint Technical Committee 1)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 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의 첫째 합동기술위원회로 1987 년에 설립되었다. JTC 는 ISO 의 표준안과 IEC 표준안의 충돌을 막고, 정보 기술의 표준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SC 37 은 하위 위원회로, 바이오 인식기술의 표준화를 담당한다[10]. 국내에서의 모바일 바이오 인식 신융합기술 관련 표준안은 KISA 모바일 바이오 인식 표준연구회와 TTA 바이오 인식 프로젝트그룹의 전문가그룹을 통해 진행중에 있다. 이러 한 국내 표준 개발작업은 ITU-T SG17, ISO/IEC JTC1/SC27, SC37 등의 국제표준과 연 계될 수 있게 추진중이다. 최근 모바일 결제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구글, 페이팔, 마스터카드, 비자카드 등 다수 의 다국적 기업이 바이오인식 협의체인 FIDO(Fast IDentity Online) 연합(alliance)과 Natural Security 연합을 통해 지급결제서비스에 사용되는 바이오 인식기술의 표준 규격 을 발표한 바 있다. FIDO 연합은 온라인 환경에서 바이오 인식기술을 활용한 인증방식에 대한 기술표준을 정하기 위해 2012 년 7 월에 설립되었다. 특히, 2014 년 10 월에는 FIDO 연합의 연례총회가 한국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는 알리바바, 구글, MS, 삼성, ARM 등 휴대폰 제조사와 전자 상거래 업체, 바이오 인증 및 보안 솔루션 전문 업체 등 100 여개 업체가 참여하였다. 이 총회에서 온라인 및 모바일 국제 인증 표준 기술에 대한 최종 합의 안이 도출되었다. IV. 바이오 인식기술 업체 동향 이번 절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바이오 인식기술이 모바일 단말기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 는지 업체들의 동향을 살펴본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7
주간기술동향 2014. 10. 29. 1. 애플 애플은 2012 년 지문인식 솔루션 업체 어센텍을 3 억 5,600 만 달러에 인수하여 2013 년 9 월 아이폰 5S 에 지문 인식기술을 적용하였다[11]. 정전식 방식으로 피부를 갖다 대 면 진피층까지 스캔한다. 인체에서 나오는 미약한 전기를 감지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아닌 물체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Siri 와 같은 음성인식기술은 보안 용도보다는 음성검색 등의 인터페이스 기술로 사용되었다. 최근 공개된 아이폰 6 에서는 지문 인식 센서인 터치아이디(에어리어 방식)와 NFC 를 활용한 모바일 결제시스템인 애플페이가 공개되었다. 애플페이는 애플의 새로운 간편결제 서비스로 단말기 홈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른 채 결제 단말기에 가까이 가져가면 미리 등록 해둔 카드로 결제가 되는 서비스이다. 결제 완료까지 약 5 초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애플은 사물인터넷 시장의 핵심 기술로 비콘(Beacon)을 활용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블루투스 기반으로 5cm~49m 거리에서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GPS 는 수십미터 수준의 오차가 존재하지만, 비콘은 오차가 5cm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정확하다. 과거보다 더욱 정교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비콘은 홈네트워크뿐 아 니라 유통 산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 비콘의 문제는 보안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애플은 바 이오 인식기술로 비콘의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2. 구글 구글은 얼굴 인식기술 개발업체인 Neven Vision(2006 년), PittPatt(2011 년)을 인수하 여 2011 년 10 월, 안드로이드 4.0 버전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잠금해제 기술 인페이스 언 락(Face Unlock)을 공개하였다. 페이스 언락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등록하고 얼굴인 식 잠금해제 기능을 설정하여 이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소유자가 아닌 사람이 소유자의 사진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보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글의 구글나우 (Google now)라는 음성인식기술도 보안 용도는 아니며, 음성검색 등의 인터페이스 기술 로 활용되고 있다. 3. 팬택 팬택은 2013 년 8 월, 안드로이드 패블릿 스마트폰인 베가 LTE-A 의 뒷면에 지문스캐 8 www.iitp.kr
포커스 너를 통해 지문 인식기술을 도입하였다. 지문 인식에 슬라이딩(스와이프) 방식을 썼는데 손가락을 지문스캐너에 대고 위에서 아래로 문질러 내려야 한다. 다소 불편하지만, 일반화 된 기술로 양산과 도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베가 LTE-A 는 지문 인식을 통해 잠금상 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지문 인식을 통해 비밀 모드를 만들 수 있다. 비밀 모드에서 일반 적인 잠금해제로 해제할 경우 전화번호부나 사적인 용도의 앱은 보이지 않게 된다. 은밀 한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장치로서 지문 인식기술을 사용한 것이다. 4. 삼성 삼성도 2014 년 2 월, 갤럭시 S5 를 발표하면서 바이오 인식기술을 적용하였다. 아이폰 과 동일하게 홈키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지만, 터치아이디 방식이 아닌 슬라이딩 방식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키에 손가락을 대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야 한다[12]. V. 맺음말 본 고에서는 사람의 신체 또는 행동 특징인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등을 자동화 된 장치로 추출하여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인 바이오 인식기술에 대해 설명하 였다. 또한, 바이오 인식기술의 시장과 표준화 동향, 바이오 인식기술 업체의 동향을 살펴 보았다. 현재 바이오 인식기술 중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지문 인식과 얼 굴인식이다. 홍채 인식기술은 아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고유한 패턴 과 평생 변하지 않는 특성, 약 266 개의 측정 가능한 식별특징을 활용할 수 있는 홍채 인 식은 40 개 정도의 식별특징을 활용하는 지문 인식보다 더 정확한 인증이 가능하다. 때문 에, 향후 홍채 인식기술은 바이오 인식기술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 근에는 스마트폰의 부피와 무게가 크게 증가되지 않으면서 홍채 인식기술을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특허출원되고 있다. 향후, 금융기관에서 홍채 인식기술을 모바일 뱅킹의 인증방식으로 채택할 경우 휴대용 홍채 인식기술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개인 바이오 정보의 유출, 바이오 인식기술의 부정확성, 바이오 인식기술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부재 등 바이오 인식기술의 문제로 거론되는 부정적인 측면이 해결되면 바이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9
주간기술동향 2014. 10. 29. 오 정보의 유일성과 보안성, 편리성으로 인해 모바일 쇼핑이나 금융 결제 등과 같은 다양 한 응용 분야가 나타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ICT 중점기술 표준화전략맵 Ver. 2011 종합보고서 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1. 1. 31, pp.458-467. [2] 이재득, 바이오 인식기술의 금융서비스 적용 현황 및 발전과제, 지급결제와 정보기술 제 57 호, 2014. 7, pp.4-11. [3] 한송이, 박강령, 박소영, 휴대폰 환경에서 얼굴 및 홍채 정보를 이용한 암호화키 생성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 44 권 제 6 호 통권 제 318 호, 2007. 11, pp.422-423. [4] 바이오 인증 시대를 열다 지문 인식기술, 전자신문, 2009. 7. 15. [5] 생체인식, 스마트폰의 핵심 경쟁요소로 부상, 방송지원본부 방송기획부, 2014. 3, pp.76-80. [6] TechnoBuffalo, 2013. 9. 10. [7] 진화하는 생체인식기술, 얼굴과 지문을 넘어 홍채 인식까지, 헤럴드경제, 2014. 3. 13. [8] 홍채ㆍ지문이어 정맥ㆍ심전도까지 생체인식 특허 봇물, 매일경제, 2014. 3. 13. [9] 이기주, 2012 국내 지식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11, pp.165-207. [10] 신용녀, 모바일 텔레바이오인식 보안기술 표준화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2, pp.21-40. [11] 애플, 지문인식 업체 어센텍 인수, 전자신문, 2012. 8. 1. [12] G 프로 2 or 갤럭시 S5, 나에게 필요한 스마트폰은?, 베타뉴스, 2014. 4. 15.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10 www.iit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