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Similar documents
139~144 ¿À°ø¾àħ

012임수진

<C6EDC1FD2D32382D34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Lumbar spine

16_이주용_155~163.hwp

ePapyrus PDF Document

04조남훈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DC1A4BFB5C3B62E687770>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12이문규

hwp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DBPIA-NURIMEDIA

γ

Àå¾Ö¿Í°í¿ë ³»Áö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세란봄호(2010).qxd

■ 경희대학교 약사

<30345F D F FC0CCB5BFC8F15FB5B5B7CEC5CDB3CEC0C720B0BBB1B8BACE20B0E6B0FCBCB3B0E8B0A120C5CDB3CE20B3BBBACEC1B6B8ED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109~120 õÃʾàħ Ä¡·á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PDF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DBPIA-NURIMEDIA

내지4월최종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 1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DBPIA-NURIMEDIA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1..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최우석.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6±Ç¸ñÂ÷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177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cls46-06(심우영).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년 충 남 지 역 어 조 사 보 고 서 국 립 국 어 원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8B1E8C1BEB9E8292E687770>

삼교-1-4.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권3호(최종)_ hwp

mo200706kor.hwp

도비라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10(3)-09.fm

PJTROHMPCJPS.hwp

03-ÀÌÁ¦Çö

03-서연옥.hwp

-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진행과정 후쿠시마 제1원전(후쿠시마 후타바군에 소재)의 사고는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 을 강타한 규모 9.0의 대지진으로 인해 원자로 1~3호기의 전원이 멈추게 되면서 촉발되었다. 당시에 후쿠시마 제1원전의 총 6기의 원자로 가

04_이근원_21~27.hwp

005송영일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歯kjmh2004v13n1.PDF

?

Transcript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85-92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5.28.2.085 Case Report / 증례 지혈겸자 적출술을 이용한 비용종 환자의 치험 1례 김동현 홍승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The Case of Nasal Polyp Extraction which was treated with Hemostat Forceps Dong-Hyun Kim Seung-Ug Hong Dept. of Orient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kuk University Abstract Object : To report the case of the improved patient after the extraction with hemostst forcept. Methods : We treated one patient who visited Gabsan Korean medical clinic. First two times, We used acupuncture, fumigation, exsanguination, external medincine. He had some agonistic response. But It was not satisfactory. So We operated extraction with hemostat forceps. Result and Conclusion : 1. We extracted nasal polyp, the length of polyp was 5.5 cm 2. After extraction, the patient had not headache, nasal congestion and so on. 3. On intranasal endoscopy, left nose did not have polyp any more. 4. Hemostat forceps extraction is effective to nasal polyp. Key words : nasal polyp; Extraction; Forceps c 2015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 Access journal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85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1). 크기가 작은 경우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크기가 커지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주로 비폐색 을 호소하고 이 외에도 후각장애, 비루, 두통, 폐쇄성 비성, 코골이, 비출혈 등을 동반할 수 있고, 전비공으 로 돌출되어 비중격 혹은 외비에 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 1,2). 치료에 있어서는 증상을 없애고 호흡기능과 후각기 능을 복구함과 동시에 부비동을 정상화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로 약물치료를 하거나 수술을 한 다. 약물치료는 항히스타민제, 혈관수축제, 항생제, 항 루코트리엔 길항제,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하며, 적 절한 약물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나 반복되거나 지 속적인 감염이 있는 경우, 또는 부비동염과 동반된 합병 증이 있는 경우는 수술과 동반하여 약물치료를 한다 3). 한의학에서는 鼻 痔, 鼻 瘜 肉 의 범주에 속하는데 증 상으로 鼻 塞, 鼻 齆, 鼻 窒 등의 증상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2). < 靈 樞 邪 氣 臟 腑 病 形 篇 > 4) 에 肺 脈 急 甚 爲 癲 疾 : 微 急 爲 肺 寒 熱, 怠 惰, 咳 唾 血, 引 腰 背 胸, 若 鼻 瘜 肉 不 通 이라 하여 최초로 기재되어 있다. 중국 의 일부에서는 < 諸 病 源 候 論 >에 최초로 기재되었다고 보기도 하며, 이 외에도 여러 문헌에서 鼻 贅, 鼻 中 肉 贅, 瘜 肉, 鼻 中 肉 螻 蛄, 鼻 中 肉 塊, 鼻 出 紅 絲 등으로 표 현되기도 했다 5,6). 中 醫 의 경우 鼻 茸 에 관한 연구는 전부 西 洋 의 내시 Corresponding author: Seung-ug Hong, Dept. of Ophthalmol Otolatyngol Dermatol,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donggukro 27, Ilsan dong-gu, Goyang-si, Gyeonggi-do, 420-774, Korea (Tel : 031-961-9082, E-mail : heenthsu@duih.org) Recieved 2015/4/8 Revised 2015/4/24 Accepted 2015/5/1 경적 수술요법과 스테로이드 제제와 중의치료를 결합 하여 치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한방적으로 소수의 증례보고만 있었을 뿐 임상적으로 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이 7) 의 논문에 이르러서야 한방적 치료에 관한 종합적 인 임상적 논문이 발표되어 鼻 茸 에 대한 한약치료, 침 구치료, 사혈요법 및 외과적인 적제술 등의 한방치료 가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기존의 한방치료의 유효성에도 불구하고 鼻 茸 의 치 료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茸 腫 을 완전히 제거해줄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는데, 잘 다뤄지지 않은 외과적 적제술을 적용하여 이를 중심으로 치료한 결과 양호 한 결과를 얻었기에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Ⅱ. 증 례 1. 증례의 일반적 사항 1) 환자 : 김, 남성, 97년생(만 16세) 2) 발병일 1 비염증상의 발병일: 초등학교 입학 전후 2 용종증상의 발병일: 2014년 9월 이후 비염증상 이 심해짐. 2014년 10월 이비인후과 진료 중 용종 발견 3) 치료기간 : 2015년 1월 5일 ~ 2015년 1월 23 일 (19일간, 총 치료횟수 3회) 4) 주소증 : 鼻 塞, 頭 不 淸, 後 鼻 漏, 涕 內 在 특히 좌 측 코의 코막힘이 심하여 호흡이 전혀 불가한 상태. 5) 비내시경상 소견 : 좌측의 비용종 돌출로 하비 갑개 안쪽으로 관찰 불가, 우측은 비용종 없음. 소량의 콧물과 염증반응이 있음(Fig. 1). 86

김동현 외 1인 : 지혈겸자 적출술을 이용한 비용종 환자의 치험 1례 6) 전신증상 소화상태 : 정상 대변 : 다소 軟 便, 1회 / 1day 소변 : 문제없음. 3~4회 / 1day 맥진, 설진 : 脈 緩, 舌 淡 白 紅 기타 : 微 惡 7) 과거력 : 없음. 8) 가족력 : 없음. 9) 현병력 : 초등학교 입학 후 알레르기 비염 진단 을 받고 간간히 증상발현 시 치료를 받던 만 16 세의 남자환자로 2014년 9월 이후 심해진 콧물, 코막힘 증상으로 10월에 근처의 이비인후과에서 만성 비염과 비용종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받 았으나 12월까지 무효하여 수술치료를 권유받던 중 예전에 다니던 기억을 더듬어 2015년 1월 5 일에 갑산한의원에 내원. 한의원 초진 당시 코막 힘, 특히 좌측의 코막힘이 심하고 후각을 거의 잘 느낄 수 없으며, 가벼운 두통이 있음. 비염증 상은 2015년 9월 당시보다 많이 완화된 상태임. 2. 치료 재료 및 방법 1) 침구치료 1 百 會, 通 天, 前 頂, 上 星, 頭 維, 印 堂, 鼻 通, 迎 香, 巨 髎, 合 谷, 曲 池 에 毫 鍼 0.2mm 30mm(동방의료 기, 한국)을 사용하여 20분간 자침한다. 2 鼻 通 穴 上 方 에 斜 刺 로 毫 鍼 0.3mm 40mm(동방의 료기, 한국)을 사용하여 1의 穴 位 와 같이 자침 한 다음, 저주파자극기(H-306, 한일티엠, 한국) 을 사용하여 연속파 1.6FREQ-Hz 2.5Hz의 전기 자극을 20분간 준다. 2) 훈증치료 麻 黃, 川 芎 各 4g 艾 葉 12g을 전기증기발생기에 물 1000cc와 같이 넣어 10분간 燻 蒸 을 한다. 3) 사혈요법 1.5mm 60mm의 三 稜 鍼 (한솔의료기, 한국)으로 하비 갑개, 중비갑개, 鼻 茸 根 部 를 瀉 血 한다. 4) 외치제 사용 果 蔕 4 錢, 甘 遂 1 錢, 白 礬 螻 蛄 草 果 各 5 分 을 곱 게 가루로 내어 配 合 한 瓜 礬 散 을 원뿔형 거즈에 杏 仁 油 를 발라 코에 넣은 다음 1시간 정도 막아둔다. 5) 적출술 비경으로 비강 내의 鼻 茸 을 확인하면서 體 部 나 頸 部 를 겸자 모스키토(바다르산스, 파키스탄)를 이용하 여 잡은 다음 떼어낸다(Fig. 2). 3. 치료경과 1) 2015년 1월 5일, 2015년 1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서 침구치료, 훈증치료, 사혈요법 시행. 처음에 비 해서 VAS값으로 10에서 7~8정도로 코막힘의 증 상이 감소되었고 안에 고여 있는 콧물의 양이 줄었 으며, 내시경상 茸 腫 의 크기도 다소 감소. 아직 중 비도 관찰 불가. 2) 2015년 1월 23일 3차 내원 내시경 촬영 시 초기보 다 鼻 茸 의 크기가 감소는 하였으나 환자가 아직도 불편감을 느끼고 있어서 외과적 적출술을 시도해 보기로 결정(Fig. 3). 3) 기타 치료없이 겸자 모스키토로 鼻 茸 의 경부를 잡 아서 당겼으나 혹이 지나치게 비대하여 1차시도 실패. 三 稜 鍼 으로 根 部 를 자락한 다음 잠시 지혈을 기다린 다음에 2차시도 하여 5.5 cm 정도의 비용 종을 적출(Fig. 4). 4) 다른 치료 없이 지혈이 된 다음. 내시경 상으로 보 았을 때 혹이 완벽히 제거되어 중비도가 관찰 가능 87

Fig. 1. The first intranasal endoscopy photo Fig. 4. Extracted nasal polyp. Fig. 2. Hemostat forceps Fig. 5. Intranasal endoscopy photo of after extraction. (We know that left nose is clear. He does not have nasal polyp any more.) 함. 코 막힘 증상 전혀 없음. 치료종결(Fig. 5). 3개월 뒤 추적조사하기로 함. Ⅲ. 임상고찰 및 결론 Fig. 3. Intranasal endoscopy photo (The third visiting. January 23th) 그리스어인 Polypus(many footed)에서 유래된 鼻 茸 은 일반적으로 중비도에서 유래된 양성 부종성 점 막이 비강 내로 돌출된 것을 말하는데 비강과 부비동 에 발생하는 종괴 가운데 가장 흔하고, 국소 비점막의 반복적인 부종의 결과로 형성된다고 생각되어 진다. 88

김동현 외 1인 : 지혈겸자 적출술을 이용한 비용종 환자의 치험 1례 명확한 기전을 설명되지 못했지만 알레르기설과 감염 설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으며 면 역관련설도 대두되고 있다. 또한 관련 질환이 있는 경 우 발생빈도가 높아지는데, 아스피린 과민증, 천식. 낭성섬유증(특히 소아의 경우), 알레르기성 진균성 부 비동염, 원발성 섬모운동이상증, Young증후군(기관지 확장증, 부비동염, 무정자증)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1,3,8). 양방에서는 그 치료에 있어서 약물요법이 비용의 크기를 줄여줄뿐만 아니라 재발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술요법보다 먼저 시행하는데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 화시키기 위해서는 항히스타민제나 혈관수축제를 사 용하고 부비동염과 동반되는 경우 macrolide계 항생 제로 염증을 치료하는 한편 비용의 성장을 억제해주 며 아스피린 과민증과 동반하여서는 항 루코트리엔 길항제를 쓰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염증세포의 유입을 감소시키고 염증세포에서 화학매개물질의 합성 및 분 비를 억제하고 호산구의 침윤 및 활성화도 억제할 수 있기에 증상완화 및 치료 목적으로 스테로이드제제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수술요법과 겸하여 수술 후에 염 증완화와 재발방지를 위해 항생제나 스테로이드를 같 이 사용해주는 경우도 있다 3). 약물치료를 4~6주간 사용하여도 효과가 없는 경우 나 비염증상의 재발, 반복적인 용종절제술의 시행, 다 른 병변이 동반되거나 염증이 심한 상태, 비용이 너무 큰 상태 등으로 약물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수술요 법을 고려하게 되는데 수술요법은 단순 비용절제술에 서 부비동 근치요법까지 다양한데 대부분 내시경을 이용해서 시행가능하다. 하지만 수술 후에도 흔하게 재발을 하는 질환으로 그 치료의 한계성을 가지는데 특히 그 이환기간이 길거나 전체 비강과 부비동에 걸 쳐 광범위하게 발생한 범발성 비용의 경우 재발률이 높고 천식, 아스피린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과 잦은 상기도 감염이 있는 예에서 재 발률이 높다 1,9). 한의학에서는 鼻 痔, 鼻 瘜 肉 의 범주나 鼻 塞, 鼻 齆, 鼻 窒 등의 증상에 속한다. 그 원인으로는 素 質 적으로 肺 氣 가 虛 寒 하여 衛 表 가 不 固 된 경우에 風 寒 에 感 受 되거나 또는 風 寒 이 자주 침범하여 閉 塞 不 利 로 진액 이 鼻 竅 에 停 聚 하여서 발생하거나 肺 經 에 風 寒 이 오 랫동안 있어서 火 熱 로 변하거나 濕 熱 로 인해 肺 氣 不 淸 되어 肺 經 燥 熱 로 발생되거나 또는 膏 粱 厚 味, 肥 甘 한 음식을 과다섭취하여 胃 中 에 食 積 이 있는 상태에 서 熱 痰 이 流 注 되어서 발생된다고 하였고, 鼻 鼽, 噴 嚔, 鼻 塞 등이 오랫동안 지속된 鼻 齆 에서도 나타난다 고 하였으며, 그 치료로는 肺 氣 虛 寒 한 경우는 溫 肺 止 流 丹 을, 肺 經 熱 盛 한 경우는 淸 肺 陰 계열이나 防 風 通 聖 散 을, 風 濕 熱 鬱 滯 에는 辛 夷 消 風 散 이나 勝 濕 湯 을, 脾 胃 濕 熱 에는 星 夏 湯, 鬱 金 散 을 가감하여 쓰고 白 礬, 氷 片, 雄 黃 등의 외용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2). 鼻 茸 을 한방으로 치료하려고 내원한 환자들은 스테 로이드를 기반으로 한 약물치료를 몇 달간 받았으나 큰 호전을 못 느낀 상태에서 병원에서 수술을 권유받 았을 때 불신감과 수술 자체에 대한 두려움으로 오거 나 스테로이드 사용을 권고 받았으나 그 부작용에 우 려감을 느껴 한의원으로 내원한 경우가 많았고, 예전 에 수술을 받았으나 재발되어서 온 경우에는 재발로 수술자체에 회의감을 느끼거나, 예전 수술 뒤 마취가 깬 이후에 너무 심한 통증을 느낀 것에 대한 기억으 로 한방치료는 어떤지 알아보려고 왔거나, 지나친 갑 개와 콧벽의 절제로 인해서 위축성 비염이 발생하거 나, 호흡기능이나 후각 기능의 장애 등이 생긴데 대한 거부감으로 안전하고 근본적 치료라는 인식으로 한의 원을 찾은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단순히 코막힘, 농성 비루, 두통 등의 증상이나 축농증 진단을 받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내원하였다가 물혹의 존재를 알고 치 료하고자 한 환자들도 있었다. 이렇듯이 한방치료에 대한 선호도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아직까지 鼻 茸 은 한의학계에서는 잘 다뤄지지 못한 치료영역이기도 하다. 한의학계에서 나온 논문 자체가 적고 치료에 관한 논문은 한의학에서는 이 7) 의 논문 외에 이 10), 오 11) 가 비용환자 치험례에 대해서 보 89

고한 소수에 불과하다. 이들 논문에서 쓴 처방은 香 附 子 茅 根 湯 藿 香 正 氣 散 加 減, 加 味 荊 芥 連 翹 湯, 十 全 大 補 湯 등으로 특화된 약물보다는 증상에 따라 쓴 처방이 많았는데 임상적으로도 증상에 대응하여 탕약치료나 외치약 등 약물치료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지만 다른 질환에 비해 약물치료의 효과가 크게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물혹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닌 물혹을 잘 유발할 수 있는 천식, 알레르기비염 등의 환경을 개선해주거나 농성비루, 두통, 후비루 등의 제반 증상 을 잡아주는데는 약물치료가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鼻 科 질환에 대한 환자들의 한방신 뢰도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자의 요구와 치료율의 간격에서 고민을 하던 중 그 답을 외과술에서 찾고자 했다. 비염환자를 보는 중에 물혹이 있는 경우 간간히 혹을 같이 적출 해주기는 하였지만 다른 치료와 같이 이루어져서 절 제술만의 효과를 확실히 검증하기는 쉽지 않았다. 그러던 중에 본 연구는 2015년 1월 5일에서 2015 년 1월 23일까지 3차례 내원한 만 16세의 남자환자 1 례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침구치료, 훈증치료, 외용제 사용, 사혈요법 등 2회에 걸친 다른 한의학적 치료에 도 호전반응을 보였으나 3회 차 시술에서 외과적 적 출술만으로 완벽히 용종을 제거할 수 있었기에 이에 대해 보고한다. 침구치료는 이전부터 갑산한의원에서 경험적으로 쓰인 자리들로 각 穴 位 의 穴 性 에서 그 근거를 찾아 볼 수 있다 12). 그리고 이때 전침을 해준 자리는 鼻 通 穴 의 상부로 鼻 骨 과 鼻 背 軟 骨 이 만나는 곳인데, 코 외 부에서 용종이 흔히 발생하는 부위 중 하나인 중비도 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이 곳에 좀 더 강한 자극을 주기 위해서이다 13). 훈증치료 역시 이전 부터 경험상 많이 쓰여온 약물로 發 汗 散 寒 宣 肺 平 喘 하는 麻 黃, 活 血, 祛 風, 行 氣 시키는 川 芎, 溫 經 散 寒 하는 艾 葉 을 섞어서 鼻 病 의 주원인인 風 寒 을 없애고 氣 血 을 순행시켜서 코 증상의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 고자 했으며, 외치제로 쓰인 瓜 礬 酸 은 東 醫 寶 鑑 에 나 와 있는 처방으로 비강에 농이나 고여 있는 콧물을 빼내는 한편 이를 통해 물혹의 크기까지 줄여보고자 하는 의도로 사용하였다 14,15). 비용종 절제술은 그 근거를 < 外 科 正 宗 > 16) 에서 찾 을 수 있는데 中 醫 에서는 이전부터 중의요법과 수술 요법을 결합한 치료법을 주로 사용하여 그 우수성을 보고하고 있는데 17-19), 우리의 경우 이분화된 의료체계 로 인해 中 醫 와 같은 수술법은 불가능하지만 비교적 간단한 외과적 적출법의 경우는 시행될 수 있다고 생 각되어진다. < 外 科 正 宗 >에서는 가느다란 구리관 두 개의 가지고 한 쪽에 구멍을 뚫어 오 푼 정도 띄워서 실로 연결한 다음 구리관을 鼻 茸 의 根 部 에 넣은 다음 비틀어 꼬아서 아래로 한번 튕겨주면 혹이 떨어진다 고 하여( 取 鼻 痔 秘 法 :... 用 細 銅 箸 二 根, 箸 頭 鑽 一 小 孔, 用 絲 綫 穿 孔 內, 二 箸 相 离 五 分 許, 以 二 箸 頭 直 入 鼻 痔 根 上, 將 箸 綫 絞 緊, 向 下 一 撥, 其 痔 自 然 撥 落...)소개하 였는데 이는 오늘날의 혹의 頸 部 나 體 部 를 잡아서 혹 을 적취해내는 방법과 많은 연계성이 있다. 다른 중의서적 5) 에서도 이 방법을 소개하면서 내복 약이 鼻 瘜 肉 치료에 있어서 효과는 크지 않고 耿 山 之 肉, 愈 割 愈 多 라 하여 약물적 외치와 수술적제를 위주 로 췌생물을 제거하고 처방으로 비강의 회복을 도와 주는 것이 최고의 치료법이라 언급하고 있다. 또한 < 外 科 眞 詮 >에서도 탕약치료와 함께 麻 油 를 비공 전 체에 바른 다음 鳳 鉤 라는 갈고리로 痔 瘡 을 당겨서 침 을 측면에 넣은 다음 火 酒 調 降 丹 을 약간 넣어 痔 가 스스로 떨어지게 한다는 외치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 으며, < 黃 帝 內 徑 >< 素 問 病 能 論 >에서도 癰 氣 之 息 者 는 먼저 鍼 으로 開 除 하라 고 한 것도 그 의미에서 다 소 개연성이 있다 20,21). 이 외에도 전통적으로 瘜 肉 에 많이 쓰인 방법으로 < 五 十 二 病 方 >에 최초로 언급된 이래로 < 太 平 聖 惠 方 >, < 外 科 大 成 >등 많은 책에서 언급되고 있는 방법 인 결찰요법이 언급되어지며 외치법 중에서 貼 藥 법, 熏 蒸 법, 熨 법, 洗 법등의 방법도 유효하다고 언급되어 진다 22,23). 90

김동현 외 1인 : 지혈겸자 적출술을 이용한 비용종 환자의 치험 1례 결찰요법이나 주사요법 등의 경우 지혈이 안 될 것 을 걱정하여 췌생물로 혈류순환을 막아서 썩혀서 떨 어지게 하는 것인데 이 7) 의 연구에 따르면 단발성으로 무경성인 경우 적제술이 용이하나 유경성의 경우는 한방적 적제술이 어렵다고 하였는데 이 경우 위의 결 찰요법이나 주사요법을 응용해볼 수 있겠다. 또한 사 혈침을 이용하여 근경부를 자락하여 주는 것도 임상 상 유의성이 있다. 아직까지 한방에서는 비용종에 대한 치료가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임상에서 한방치료를 받은 환 자를 보면 거의 대부분 다른 치료 없이 한약만 내복 한 경우였으며, 이 경우에도 용종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지만 약만 가지고는 혹의 크기가 줄어드는 정도나 축농증이나 비염이 동반된 경우에 증상이 완화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본원에서도 외과술 없이 약이나 침구치료만 했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 진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외과적 시술방법이 적극적 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이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 해보았다. 임상상 여러 가지 문제로 외과적 적출술만 시행한 예가 적어서 아직은 보편화시켜서 보고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나 타 치료를 겸한 경우에도 적출 술이 동반되었을 때, 茸 腫 이 제거되거나 환자의 만족 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양방 수술 에 비교하면 有 莖 性 이거나 혹이 살과 얽혀 있는 경우 에는 완벽하게 혹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얼 마간의 불편감이 유발되기도 하지만 입원이나 후처치 가 적게 들고 침구치료를 하면서 동시에 시행이 가능 하여 비용상, 시간상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다발성 용종의 경우 매번 수술하기 곤란한 점이 있는데 한의 학적 외치술을 이용할 경우 비교적 간단하게 제거해 주면서 환자를 관리하기 용이하다는 측면도 양방에 비해서 강점을 가지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혹 자체가 하비갑개, 중비갑개, 구상돌기 등의 살과 얽혀있는 경우, 중비도 이상 부비동과 같이 깊은 곳에 있는 경우 등 혹 자체의 위치나 구조의 문제로 한방적 외과술만으로 완벽하게 치료되기 어려운 부분 이 있으니 의심되는 경우는 반드시 영상의학적 검사 나 양방적인 시술을 권고해야 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심신박약자, 유소아, 연세가 많은 사람 등 체질적인 부분과 항혈소판제제, 아스피린 등의 지혈을 방해할 수 있는 약을 먹는 사람과 오래된 혈압이나 당뇨를 가진 사람 등에 있어서는 시술이 다소 곤란한 부분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시술 전에 선행되어야 한 다. 앞으로 鼻 茸 에 외용제, 사혈요법 등과 더불어 적출 술이나 결찰법 같은 외과술도 좀 더 시술된다면 한의 학적인 치료가 좀 더 효용성을 가질 것이므로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Kore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Otolaryngology. Seoul: Ilchokak. 2006:325-7. 2. Rho SS. Primary Color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Seoul:Joomin publishing company. 2003:540-3. 3. Kim JS, Jang SO, Lim HO, Lee JK, Lee CH, Wang SG et al.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Ⅱ[Nose Head and Neck Surgery]. Seoul: Ilchokak. 2002:215-6, 1039-45. 4.Bae BC translation. The present translation Huang Di Nei Jing (Yellow Emperor s Inner Canon) <YoungChoo>. Seoul:Sungbosa. 2001:63-4. 5.Wang YY. Wang P. The present Chinese Medicine Surgery. Beijing:Inminwisang publishing company. 1999:577-9. 6.Kim HA. A Literature study on the Nasal Polyps. J Korean Med Ophthalmol 91

Otolaryngol Dermatol. 1999;12(1):338-55. 7. Lee SM, Hong SU. A Clinical Study on the Patients with Nasal Polyp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6;19 (2):180-91. 8. Kim DJ, Kim IT. Measurement of superoxide free radical and xanthine oxidase in nasal polyps. Korea J Otolaryngol. 1995;38:75-80 13. Frank H. N. ATLAS OF HUMAN ANATOMY. Seoul:jungdam(trans.) 1999:31-8 9. Baek MK. The present Otorhinolaryngology. Seoul:Ilchokak. 1999:196-7 10. Lee HJ, Park EJ. A Clinical Study on Herbal Medicine Therapy Treating Nasal Polyps. J Pediatr Korean Med. 1999;13(1):191-204. 11. Oh EY, Jo SH, Jee SY. A Reports on completely removed Nasal polyp by the more various Hanbang-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 (1):219-25. 12. An YK. Gyunghyulhakchongseo. Seoul:Sungbosa. 2002. 13. Frank HN. Atlas of Human Anatomy. Seoul:Jungdam. 1999:31-8 14.The whole professor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al Medicine(Bonchohak). Seoul;Younglimsa. 2000:121,405,409. 15. Heo Jun. Donguibogam. Seoul: Bubinmoonhwasa. 2002:593-594,1176. 16. Lee HB. Joonguioighwasangghwamyung- jeojibsung Beijing:hwaha publishing company. 1997:470. 17. Wu MM, Sun H, Nan Q. Express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PLUNC protein in nasal polyp and chronic sinusitis tissue. J. ENT: Ear, Nose & Throat. 2012;91(7):282-5. 18.Xiong Z, Zhang S, Fang R. Effect on the Recovery Process of Nasal Sinus Mucosa with Nasosinusitis and Nasal Polyps Influenced by Applying Chinese Herbal Preparation. J Chinese integrated tradition & Western med. 2005;25(8):707-9. 19. Youzhong L, Yongde L, Shenglei G. Effect of Budesonide on recovery of operative cavity and repair of its mucous membrane after nasal endoscopic surgery. J integrated Chinese tradition & Western med 2008;17(34):5264-6 20. Oh B. Oighwajinjun. Mulueng publishing company. 56. 21.Bae BC translation. The present translation Huang Di Nei Jing (Yellow Emperor s Inner Canon) <Somoon>. Seoul:Sungbosa. 2001 22. Ko JP etc. Silyongjoonguioighwahak. Sanghae- Science-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1985:530-72. 23. Wang P, Lee WK, Jang YS. Joonguioighwachiryodaesung. 1997:654-5.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