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06. 9. 8. 제목 : 의 치의학 복합학위(M.D./D.D.S-Ph.D.) 과정 도입 추진계획 발표 - 빠르면 2007학년도부터 의학교육 기본과정(4년, 전문석사, M.D.)과 박사학위(P h.d.)과정이 결합된 프로그램 개설 -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총 입학정원의 3~5% 정도를 선발, 최고 7년간 학자금 및 생활비 지원, 전문연구요원 편입자격 부여 - 21세기 첨단 생명과학 연구를 주도하는 의과학자 (Physician Scientist) 양성 기반 마련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 9월 8일(금)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의 치의학 복합학위(M.D./D.D.S.-Ph.D.) 과정 도입 추진 계획 을 확정 발표하였다. 추진계획 주요 내용 : 붙임 1 동 계획에 따르면,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 에서는 빠르면 2007년부터 의학교육 기본과정(4년, M.D.) 과 학술박사 학위과정(3년, Ph.D.) 을 동시에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석 박사 과정이 통합된 프로그램(복합학위과정)을 개설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전문대학원별 M.D-Ph.D. 과정 도입 계획 : 붙임 2-1 -
다만, 제도 도입 초기인 점을 감안하여 전문대학원 전체 입학정원의 3~5%정도의 학생을 제한적으로 선발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하되, - M.D.-Ph.D.과정 졸업자에 대한 사회적 수요, 지원예산 규모 및 병역특례 혜택 등 제반 선결조건의 충족상황을 고려하여 점진적 으로 선발인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치의학 복합학위(D.D.S./D.M.D.-Ph.D.)는 의학 복합학위 과정을 준용 M.D. (의무석사, Doctor of Medicine) :의학전문대학원의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수여되는 전문석사 학위 D.D.S.(Doctor of Dental Surgery), D.M.D. (Doctor of Dental Medicine) : 치의학전문대학원의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수여되는 전문석사 학위 동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에게는 의사면허 시험 응시 자격과 함께 전문석사(M.D.)학위와 관련분야 박사(Ph.D.)학위를 동시에 수여하게 되어, 임상의학 전문성을 가진 의사( M.D.)일 뿐만 아니라 박사학위 ( Ph.D.) 과정을 이수하여 기초과학 연구능력을 동시에 갖춘 의과 학자(Physician Scientist)로 양성된다. 의과대학, 전문대학원, M.D.-Ph.D. 과정 비교 (예시) 의학박사 (2~4년, Ph.D.) 의학박사 (2~4년, Ph.D.) 전문대학원 3~ 4학년 박사 과정 ( 3년) 의학석사 (2년, M.S.) 의무석사 (4년, M.D.) 전문대학원 1~ 2학년 본과 (4년, 학사) 예과 (2년) 학사 (4년) 학사 (4년) 의과대학 전문대학원 전문대학원 M.D.-Ph.D.과정 - 2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고등학교 이과계 우수 학생 대다수가 의 치과대학으로 진학하지만 졸업후 대부분이 의학연구보다는 진료 의사를 선택하고 있으며, 의과학이 21세기 대표적인 성장지식산업인 생명공학 원천기술의 바탕을 이루고 있고, 백신과 항생제의 개발, 항암제, 소염제, 당뇨병 치료제, 고혈압 치료제 등 모든 신약개발의 중심에 의과학이 있음 에도 불구하고 생명공학 연구 인력 확보 및 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비하여 크게 뒤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생명공학 연구 인력은 약 8,200명으로 미국의 2.7%( 95), 일본의 6.4%( 98) 수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01)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중 바이오 신약 산업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60% (과기부, 05) 서울대 의대 졸업자 중 기초의학 전공자 비율 : 1.1% ( 97~ 05년 평균) 이에 따라 의학계열 학생 중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여 세계적인 의학 기초과학 지식과 술기( 術 技 )를 겸비한 교수 연구 인력으로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M.D.-Ph.D.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고자 한다. - 미국의 경우, 1964년부터 생명 의과학자(Physician Scientist) 인력 양성을 위하여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MSTP, 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제도를 운영하여 매년 40개 대학, 900여 명을 선발하여 학자금 생활비 등을 지원하여 생명과학 분야의 핵심연구를 담당케 하고 있다. 미국의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MSTP) 현황 : 붙임 4 동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된 의과학자들은 의학과 공학 분자생물학 나노화학 등 IT, BT, NT 분야가 융합된 학문분야의 고급 연구를 수행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어, 그간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평가 받던 21세기 생명공학(BT) 분야 연구에 전기를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0년도 국제 바이오 산업 규모 약 3,400억$(추정치)의 생산은 미국(50%), EU(20%), 일본(20%)에서 담당할 전망이며, 나머지 10%를 기타 각 나라에서 나누어 가진다고 예측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06) - 3 -
이번에 도입되는 M.D.-Ph.D. 과정 의 성공여부는 프로그램의 질 관리와 유능한 지원자 유치에 있는 바, 프로그램의 질 관리는 일단 과정 개설대학에 부여하되, 과정 운영과 관련한 최소요건 또는 우수사례를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협의회 차원에서 가이드라인 형식으로 제정하여 제시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고, - 교육부에서는 운영상황 모니터링 및 평가결과에 따른 행 재정적 지원 역할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 특히,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위해 2단계 BK21사업 중간평가(2008년 예정)시 본 프로그램을 평가하여 운영상 문제가 있는 경우 관련 예산 지원을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2단계 BK21사업(전문서비스 인력 양성 분야) 사업단 선정시( 06. 1), M.D.-Ph.D. 과정 운영 대학에 가점부여 및 M.D.-Ph.D. 교육과정 개발비와 과정생 지원비 지원 우수학생 확보를 위한 인센티브로서, 선발된 학생에게 각 대학에서 장학금이나 수업료 면제를 통해 등록금을 지원하고, 2단계 BK21 사업* 지원금에서 월 최대 90만원의 수련지원금을 별도로 지급 할 계획이다. (*BK21사업 미선정 대학은 자체조달 자금으로 지원) BK21사업을 통한 국가 지원 예산 규모 (월 90만원 지원시) 3%(총 43명) 선발시 : 연간 4.6억원(1년차)~32.5억원(7년차), 총 130억원 *교당 연간 최대 1.6억원 소요(7년차, 편제완성년도) 5%(총 72명 ) 선 발 시 : 연 간 7.8 억 원(1년 차 )~ 54.5억 원(7년 차 ), 총 219 억 원 *교당 연간 최대 2.7억원 소요(7년차, 편제완성년도) 산출기초 (명, 억원) 구 분 총 정원 3% (43명) 총 정원 5% (72명) 연 도 06 07 08 09 10 11 12 누계 연도별 지원 인원 (교당 2.1명) 43 86 129 17 2 215 25 8 301 1, 204 지원액 4.6 9.3 13.9 18.6 23.2 27.9 32.5 130.1 연도별 지원 인원 (교당 3.6명) 7 2 144 216 288 360 432 5 04 2, 016 지원액 7.8 15.6 23.3 31.1 38.9 46.7 54.5 218.8 *BK21사업 선정대학(21교)의 전문대학원 정원 : 1, 441명(치의학 포함) - 4 -
아울러, 군 미필자에게는 M.D.-Ph.D. 과정중 박사과정에 진학한 경우 전문연구요원으로 편입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국방부 등)와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전문연구요원 제도 : 현역입영대상자(보충역 포함)중 병무청장의 지정업체 (대학연구기관)에 편입되어 학문 기술연구분야에서 일정기간(병역의무 부과 연령 상한선인 35세 이전) 의무종사하면 병역을 필한 것으로 보는 병역대체제도 * 관련 법령 : 병역법 제37조 및 동법시행령 제78조 붙임 : 1. 의 치의학 복합학위(M.D./D.D.S-Ph.D.) 과정 도입 계획 2. 전문대학원별 M.D.-Ph.D. 과정 도입 계획 3. M.D.-Ph.D. 교육과정 운영 모형 4. 미국의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MSTP) 현황. 끝. - 5 -
붙임 1 의 치의학 복합학위(M.D./D.D.S-Ph.D.) 과정 도입 계획 주요 내용 구 분 주 요 내 용 1. 개설요건 및 재정지원 2. 교육과정 이수 편제 3. 수업 연한 4. 수여 학위 명칭 5. 선발인원 6. 선발시기 7. 학생지도 및 프로그램의 질 관리 8. 중도탈락 학생 관리 9. 재정지원 등 인센티브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한 대학은 별도의 요건 없이 자율적으로 과정 개설 가능 정부재정 지원은 2단계 BK21사업 선정대학으로 한정 BK21사업 중간평가( 08년 예정)시 M.D.-Ph.D. 과정의 적절성 및 운영 성과를 평가, 문제가 있는 경우 관련 예산 지원을 중단하는 방안 검토 M.D.과정(1, 1.5, 2년) Ph.D.과정(3년) M.D.과정(3, 2.5, 2년)으로 운영 권장 수업연한 : 7년 이상(석사 4년 + 박사 3년 이상) 2002년 기본계획에서는 원칙적으로 6~8년으로 운영하도록 제시 박사학위의 통일성 확보, 국민의 혼란예방 등을 위하여 의 치의학전문 대학원협의회 논의 등을 통하여 공통된 학위 수여 권장 <예시> M.D.와 Ph.D. 2개 학위를 수여하지 않고, 별도의 학위인 의과학 박사(M.D.-Ph.D.) 수여 제도 도입의 초기인 점을 감안하여 의학 전문대학원 전체 입학정원의 3~5% 정도에서 제한적으로 선발하되, 구체적 선발기준은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결정 M.D.-Ph.D. 과정 졸업자에 대한 사회적 수요, 지원예산 규모 지원 및 병역특례 혜택 등 제반 선결요건의 충족상황을 고려하여 점진적 으로 확대 전문대학원 1학년 학생을 선발하는 당해연도에 복합학위 과정 입학생을 선발하는 것을 원칙 지도교수, 학위수여 조건, 이수학점, 복합학위 과정 자격 유지 조건, 학업성취도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을 학칙 등으로 규정 - 교육과정 개발 경험 공유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최소요건 또는 우수사례를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협의회 등에서 가이드라인 형식으로 제정하여 제시하도록 권장 각 대학의 학년별 M.D.-Ph.D. 과정생은 약 1~5명 이내이므로 이들을 별도로 교육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일부 강좌의 경우 워크샵 개최, 합동 특별강의 개설 등 특별 교육기회 제공 추진 복합학위과정 중도탈락자에 대한 학위 수여 원칙, 정부지원 및 대학 지원금의 반환 요건 등에 대하여 사전에 학칙 등으로 규정 동 과정에 선발되는 학생에게 등록금 지원, 수련지원금 지원 등 기타 졸업 후 교수직 진출시 가점부여 등 인센티브 부여 권장 - 6 -
추진과제별 일정 및 추진기관 시행주체 추진 사항 추진시기 비 고 과정개설 대 학 M.D.-Ph.D. 과정 개설 운영 계획 수립 - 교육과정 운영, 이수편제, 수업연한, 수여학위, 학생선발 및 지도계획, 중도탈락 학생 관리(수여학위, 지원금 반환요건 등), 기타 과정 개설 운영 관련 사항 M.D.-Ph.D. 과정 개설 운영 규정(학칙 등) 마련 06.하반기~ (신입생 선발전) 대학별 M.D.-Ph.D. 과정 운영 위원회 설치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협의회 프로그램 질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 지도교수, 학위수여 조건, 수여학위 명칭, 이수학점, 복합학위 과정 자격 유지 조건, 학업성취도 평가 등에 관한 공통 사항 06.하반기~ 과정개설 대학의 협조 필요 M.D.-Ph.D. 과정생 특별교육 프로그램 추진계획 수립 07.상반기~ 교육부 M.D.-Ph.D. 과정 운영 모니터링 및 평가 - M.D.-Ph.D. 과정 운영 모니터링 - BK21사업 중간평가( 08)시 M.D.-Ph.D. 과정 평가 복합학위과정 근거조항 마련을 위한 고등교육법시행령 개정 검토 추가 재원 마련 노력 07.상반기~ 06.하반기~ 06.하반기~ 전문연구요원 편입 및 선발인원 증원 추진 06.하반기~ - 7 -
붙임 2 전문대학원별 M.D.- P h.d. 과정 도입 계획 상기 내용은 잠정적인 도입계획에 대한 의견수렴( 06. 8) 결과이며, 현재 대학별 도입여부 및 구체적 도입시기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에 있으므로 향후 변경 가능성이 있음 도입 예정 시기 도입시기 07년 '08년 '09년 '11년 시기 미정 대학원수 8교(24) 3교(9) 10교(45) 1교(1) 2교(9) 의 학 건국대(3) 이화여대(2) 경희대(6) 부산대(3) 가천의대(2) 포천중문의대(2) 강원대(2) 경북대(5) 경상대(2) 가톨릭대(3) 서울대(13) 성균관대(2) 아주대(5) 인하대(3) 조선대(6) 중앙대(미정) 충남대(5) 한양대(6) 치의학 경북대(3) 전남대(3) 연세대(2) 조선대(1) 경희대(4) 서울대(5) ( )는 대학원별 모집예정 학생수, 밑줄은 BK21사업 미선정 대학 동아대, 충북대, 영남대는 미도입(예정) 도입 학교수 및 선발인원 20교 24개 대학원(의학 18, 치의학 6), 88명(입학정원 1, 637명 대비 5.4%) 정원대비 비율 ~2% 2~4% 4~6 % 6~8% 8 ~10% 10.9 % 25% 미정 대학원수(교) 2 3 11 4 1 1 1 1 선발인원 : 1명 1교, 2명 7교, 3명 6교, 4명 1교, 5명 4교, 6명 3교, 13명 1교, 미정 1교 학생 인센티브 제공내역 (중복 응답) 구 분 학비 장학금지급 생활비 연구비 지급 기숙사 연구실 제공 교수임용시 가점 대학원수(교) 22교 16교 5교 3교 기타 해외연수 및 학회 참가비 지원, 전공의 전공선택권 부여 등 - 8 -
붙임 3 M.D.- P h.d. 교육과정 운영 모형 교육과정 모형 (예시) 입학 Ph.D. M.D.-Ph.D. 0년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전문학위과정 학술학위과정 전문학위과정 PhD 논문실험 5 MD-PhD 특별교육프로그램 (특별강의, 세미나, 수련회, 워크샵 등) 참고 : 미국의 M.D.- P h.d. 과정 1 ) 2-3 - 2 모형 전문대학원 1 2학년 박사과정 3년 전문대학원 3 4학년 대 학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하버드대* Preclinical course Lab rotation 스탠포드대 Preclinical course 예일대 콜럼비아대 Preclinical/basic science coursework Medical School Course and Graduate Level Course core clinical clerkship Graduate course Thesis Research clinical clerkship Thesis Thesis Thesis Research Thesis Research Research Research Clinical clerkship Preclinical course clinical clerkship The Major Clinical Year * 의학교육을 받는 첫 2년 동안 2회의 Lab rotation을 통해 Ph.D.학위 실험을 할 연구실을 결정하지만, Ph.D.과정 졸업에 필요한 대학원 학점을 따려면 첫 2년 동안 M.D.수업을 받음과 동시에 Ph.D. 대학원 수업을 최소한 한 한기에 한 코스씩 이수하여 학점을 받아야 함 <임인경, 예측의학 시대를 선도하는 의사연구자(MD-PhD) 양성 방안, '06 한국의과대학장 협의회 워크숍 발표자료> 2 ) 일부 통합 모형 형태로 운영 : 박사과정 수업 연구와 의학교육 임상실습을 학년에 따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이수 (Case Western Reserve 대학) - 9 -
붙임 4 미국의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M STP) 현황 M.D.- P h.d. 프로그램 운영 과정 설치 : 의학전문대학원(Medical School) 치과대학은 D.D.S.-Ph.D. 프로그램 운영 교육연한 : 최소 7년 (기초의학 2년 + Ph.D.과정 3년 + 임상의학 2년) M.D.-Ph.D. 학위 취득 후 진로 - 대부분 전문의 수련 과정 이수 - 수련의 박사후 연구과정 등을 마친 후, 대부분 의과대학 또는 연구소 등의 연구기관에서 의과학 관련 연구에 종사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 MST P 제도) 개 요 - 1964년, 미국의 국립보건원(NIH)에서 기초 생명 의과학 분야의 연구자 양 성을 위하여 MSTP(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 운영 -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중 M.D.-Ph.D. 과정 희망자를 선발하여 학위 수료 시 까지 약 6년간 장학금(Fellowship Grant) 지급 지원 현황( 06년) - 지원 대학 수 : 41교 (M.D.-Ph.D. 과정 개설 대학 115교, 전체 126개 대학) * 수여대학 : 하버드, 존스홉킨스, 워싱턴, 콜롬비아, 듀크, 예일 등 - 지원학생 수 : 933명(연 선발 170명, 6년간 지원) * 연간 선발 규모 : 하버드(10명, 2.5%), 콜롬비아(10명, 4%) 등 - 1인당 지원 금액 : 연 $15,000이상 (수업료+장학금+연구비) 졸업생 진로 - 대부분 의학연구센터 혹은 연구기관 근무하며 임상연구자(Clinician Researcher), 임상과학자(Phisician Scientist)로 활동 * 졸업후 임상연구자 비율 : 존스홉킨스대 86%, 펜실바니아대 92%, 워싱턴대 85%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