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고시 제2008-647호(2008.11.10) 선박안전법 제2조제1호 및 제26조부터 제28조까지, 같은 법 시행규칙 제3조제1호 및 제2 호의 규정에 따라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 및 설비 등에 관한 기준 을 다음과 같이 제 정하여 고시합니다. 2008년 11월 10일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 및 설비 등에 관한 기준 제1편 총 칙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선박안전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같은 법 제 26조, 제27조 및 제28조의 규정에 따라 갖추어야 할 선박시설, 만재흘수선의 표시 및 복원 성유지의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선박안전법 시행규칙 제3조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부유 식 해상구조물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외판, 상갑판 또는 수밀격벽이 강( 鋼 ), 알루미늄, 강화플라스틱(FRP), 목( 木 ) 또는 콘크리트 이외의 재료인 것에 대하여는 이를 적용하지 아 니한다. 제3조(특수한 구조 및 설비에 대한 특례) 1 이 기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그 구조상 곤란하거나 적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특수한 구조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하여는 이 기준의 규정에 불구하고 국토해양부 장관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2 이 기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아니하거나 이 기준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한 특수한 설비가 이 기준의 규정에 적합한 것과 동등이상의 성능이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는 이 기준의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제2편 수상호텔 등 부유식 해상구조물 제4조 (기준적용의 특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설치와 관련하여 건축법, 소방시설설치유지 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 식품위생법 등 다른 법률에서 규정하는 것에 대하여는 이 기준의 규 정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제1장 선 체 제5조(재료 및 구조)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체재료 및 구조는 해당 구조물의 재료에 따른 관련 시설기준을 준용한다. 다만, 특수한 구조로서 이 기준을 적용하기 곤란한 형태의 부유 식 해상구조물에 대하여는 구조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제2장 계선 양묘설비 등 - 1 -
제6조(전저항 산정)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전저항(R)은 다음 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R = (kg) 이 식에서 Ra는 다음 산식에 의한 값 Ra = Ka Aa Va (kg) 이 식에서 Ka: 0.0735 (횡방향 풍압계수) (kg sec /m ) Aa : 흘수선 상부 횡방향 투영면적 (m2) Va : 상대풍속(m s)(평상시 15m s, 태풍시 44m s 이상. 다만, 기상청 자료에 따라 최대 풍속을 적용할 수 있다) Rw는 다음 산식에 의한 값 Rw = 0.1212Aw{(Vw+Vs) +0.330(Vw+Vs)} (kg) 이 식에서 Aw : 침수표면적 (m2) Vw : 조류속도 (m s) Vs : 구조물의 이동속도 (m s) Rv는 다음 산식에 의한 값 Rv = 1/2 ρ Cbd As (Vw+Vs) (Kg) 이 식에서 ρ : 물의 밀도 (해수 : 104.5 kg sec/m, 담수 : 102.0 kg sec/m) As : 구조물의 수선하 유속방향의 투영면적 (m ) Vs : 구조물의 이동속도 (m s) Cbd : 구조물의 선수 형상에 의한 저항계수로 다음 표의 값으로 한다. 저항계수(Cbd) V/L Le/d 0 1 2 3 4 5 6 7 0.08 0.10 0.12 0.14 0.16 0.18 0.20 0.22 0.24 0.710 0.755 0.805 0.850 0.905 0.960 1.025 1.120 1.230 0.245 0.260 0.280 0.305 0.325 0.380 0.455 0.550 0.670 0.150 0.160 0.180 0.200 0.225 0.249 0.285 0.335 0.400 0.117 0.128 0.138 0.152 0.165 0.181 0.201 0.222 0.258 0.106 0.111 0.121 0.131 0.144 0.156 0.170 0.187 0.208 0.100 0.107 0.113 0.122 0.131 0.142 0.154 0.168 0.187 0.098 0.103 0.108 0.115 0.122 0.130 0.140 0.153 0.170 0.096 0.102 0.105 0.111 0.117 0.120 0.132 0.141 0.156-2 -
제7조(닻 등의 규격 및 비치기준) 1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비치하는 닻 및 닻쇠사슬 등의 규격은 제6조의 규정에 따라 산정한 전저항 이상의 강도를 갖는 것이어야 한다. 이 경우 안전율, 닻쇠사슬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 닻의 중량은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안전율은 2이상으로 한다. 2. 닻쇠사슬에 작용하는 인장력(Tc)은 다음산식에 따른다. Tc = R/cos θ (θ는 닻쇠사슬의 경사각) 3. 닻의 중량은 다음 산식에 따른다. W = Wa 0.869 이 식에서 Wa는 닻의 수중 중량으로서 다음 산식의 값으로 한다. Wa = P - Kc Lc Wc/Ka 이 식에서 P는 닻쇠사슬 인장력(Tc)에 안전율을 곱한 값으로 하며, 닻을 2개 이상 비치하는 경우 에는 닻의 수량으로 나눈값으로 한다. Lc는 닻쇠사슬 길이 Wc는 닻쇠사슬 1미터의 수중 중량으로서 닻쇠사슬의 공기중 중량에 0.869를 곱한 값으 로 한다. Ka 와 Kc는 각 각 닻 파지력 계수 및 닻쇠사슬 파지력 계수로서 다음표의 값으로 한다. 종류 진흙 굳은흙 모래흙 모래 돌모래 바위 Ka 3 2 2 2 1.5 1.5 Kc 10 9 8 7 6 5 4. 계류용 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Tr)은 다음 산식에 따른다. Tr = R/cos θ (θ는 계류용 로프의 경사각) 5. 와이어로프 및 섬유로프의 규격등은 별표 1 및 별표 2에 따른다. 2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최소 2개의 닻을 설치하여야 하며 닻 및 닻쇠사슬은 제6조의 전 저항에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스톡앵커(Stock anch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톡(Stock)을 제외한 닻의 질량을 스톡 리스앵커(Stockless anchor) 중량의 0.8배로 할 수 있다. 4 파지력이 동일 질량의 스톡리스앵커(Stockless anchor)의 2배 이상인 닻을 사용하는 경우 - 3 -
에는 스톡리스앵커(Stockless anchor) 질량의 0.75배로 할 수 있다. 5 선수방향에 설치되는 닻은 쇠사슬로 연결되어야 하며 쇠사슬의 파지부 길이는 3샤클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닻에 연결되는 쇠사슬의 길이는 현수부 및 파지부 길이의 합 이상이어야 한다. 6 구조물의 횡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닻은 쇠사슬로 연결되어야 한다. 제8조(양묘설비) 중량 150킬로그램 이상의 닻을 비치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이에 적 합한 동력양묘설비를 하여야 한다. 다만, 수리 또는 기상악화 등 이외에는 이동을 하지 아니하는 부유식구조물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9조(계류설비)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비치하는 계류설비의 종류와 요건은 선박설비기준의 관련 규정을 준용한다. 제10조(예항설비)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예항설비에 대하여는 부선의 구조 및 설비 등에 관한 기준의 관련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수리 또는 기상악화 등 이외에는 이동을 하지 아니하 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장 방화구조 제11조(가연성재료의 사용제한 등) 선내의 노출면에 사용되는 가연성재료의 사용제한에 대하 여는 선박방화구조기준 제22조의 규정을 적용한다. 제12조(가구 및 비품등) 1 통로 및 계단 위벽내에는 가급적 가구를 비치하여서는 아니된다. 2 총톤수 1,000톤 이상 해상구조물의 거주구역 또는 제어장소에 비치되는 가구 및 비품 은 화재의 위험이 적은 것이어야 한다. 다만, 방화구조를 고려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지 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3조(난로 등의 설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난로 레인지 또는 전열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는 선박방화구조기준 제66조의 규정을 적용한다. 제14조(화염방지망의 설치) 연료유탱크 기타 인화성증기가 체류할 염려가 있는 장소의 공 기관의 개구 기타 개구에는 해당 장소로 화기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는 화염방지망을 설 치하여야 한다. 제15조(쓰레기통의 설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하는 쓰레기통은 불연성 재료로 된 것이어야 하며, 그 측면 및 아랫면에 개구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 제16조(경계격벽) 거주구역 및 공용실의 경계격벽은 불연성 재료로 된 것 이어야 한다. - 4 -
제4장 전기설비 제17조(전기설비)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하는 전기설비에 대하여서는 선박전기설비기준 을 준용한다. 이 경우 주전원(발전설비를 포함한다) 및 비상전원은 제 18조 및 제 19조에 의한다. 제18조(주전원)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되는 전기기기 등의 설비에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전원공급 설비를 갖추어야 하며, 이 경우 용량의 산정에 있어서는 부등율을 고려할 수 있다. 제19조(비상전원) 1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요건에 적합한 독 립된 비상전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1. 항상 필요한 전력이 충전되어 있는 축전지(방전지시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로서 과도하 게 전압이 강하되는 일이 없이 급전할 수 있는 것 2. 독립된 급유장치 및 국토해양부장관이 적당하다고 인정하는 기동장치를 가지는 유효한 원 동기(인화점이 섭씨 43도 이상의 연료유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한한다)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 이 경우 비상배전반은 비상전원에 가능한 한 근접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비상전원은 주전원이 고장 등으로 상실될 경우 자동적으로 급 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하는 비상전원은 다음 각 호의 설비에 대하여 적어도 6시 간 이상 급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 정박등 2. 다음 각 목의 장소에 설치되는 비상조명장치 가. 복도, 계단, 사다리 및 출입구 나. 주발전장치실 및 기관제어실 다. 기타 국토해양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장소 3. 전기식 경보장치 및 지시기 4. 화재탐지장치 및 수동화재경보장치 5. 통화장치 6. 소화펌프 7. 자동스프링클러장치 8. 엘리베이터 9. 비상표시등(피난 유도등) 4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하는 비상전원은 다음 각호의 요건에 적합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1. 최상층 전통갑판의 상방에 있을 것 2. 기관실 구역의 화재 기타 재해에 의하여 비상급전에 영향을 받지 아니할 것 3. 화기나 전기스파크로부터 격리되고 환풍이 잘 될 것 5 비상전원 설비에 사용하는 전선은 난연성의 것이어야 한다. - 5 -
제5장 소방설비 제20조(소방설비)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하는 소방설비에 대하여는 선박소방설비기준을 준용한다. 이 경우 연결 송수구의 비치, 거주구역등의 소방설비, 자동스프링클러장치 및 화재탐지장치는 제21조 내지 제 23조에 의한다. 제21조(연결 송수구의 비치) 총톤수 500톤 이상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연결송수관설비 의 화재안전기준 에 적합한 연결 송수구를 비치하여야 한다. 통 로 공용실 및 1실에 8인이상이 거주 하는 거실(조리 실제외) 조 리 실 도료창고 및 인화성 액체창고 수화물실 및 저장품실 매 점 통로길이 30미터 또는 그 단수마다 포말소화기 또는 분말소화기(인산염류 를 소화제로 하는 것에 한한다)중 1개 하부면적 200제곱미터 또는 그 단수마다 포말소화기 또는 분말소화기(인 산염류를 소화제로하는 것에 한한다)중 1개 포말소화기, 탄산가스소화기 또는 분말소화기 중 1개 1. 거주구역으로 통하는 출입구를 갖거나 바닥면적이 4m2이상인 창고 : 도 료창고 및 인화성액체창고 외부에서 작동할 수 있는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적합한 소화장치. 가. 보호되는 구역 총용적의 40퍼센트이상의 탄산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탄산가스소화장치 나. 세제곱미터당 0.5킬로그램이상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는 분말소화장 치. 다. 제곱미터당 매분 5리터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분무 또는 스프링클 러장치. 물분무장치는 선박의 소화주관에 연결할 수 있을 것. 라. 가목 내지 다목의 소화장치와 동등하다고 국토해양부장관이 인정하는 소화장치. 2. 거주구역으로 통하는 출입구를 가지지 아니하는 바닥면적이 4m2미만 인 창고 : 창고경계의 한 방출구를 통하여 방출할 수 있는 휴대식탄산 가스소화기 1개 출입구 부근에 포말소화기 또는 분말소화기(인산염류를 소화제로 하는 것 에 한한다)중 1개 포말소화기 또는 분말소화기(인산염류를 소화제로 하는 것에 한한다)중 1개 제22조(거주구역 등의 소방설비) 1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거주구역ㆍ업무구역 및 제어장 소에 다음 표에 의한 소방설비를 비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1000톤이상 부유식 해상구조 물에는 최소한 5개의 휴대식소화기를 비치하여야 한다. 2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조리실렌지로부터의 배기용닥트가 거주구역 또는 가연성물질이 있는 장소를 통과하는 경우 배기용닥트에는 선박소방설비기준 제54조제2항의 기준에 따 른다. 3 총톤수 1,000톤 이상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튀김기름을 사용하는 요리설비에는 선박소 방설비기준 제54조제6항의 기준에 따른다. 제23조(자동스프링클러장치 및 화재탐지장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소방시설설치유지및안 전관리에관한법률에 의한 자동스프링클러장치 또는 화재탐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6 -
제6장 거주 및 변소설비 제24조(객석설비의 종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침대, 좌석, 의자석 또는 입석의 객석설비 를 하여야 한다. 제25조(거주시설)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거주시설에 대하여는 선박설비기준의 여객실 관련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선박설비기준 제17조의 요건에 적합한 경우에는 폐위되지 아니한 장소를 객석으로 지정하여 임시승선자 정원을 산정할 수 있다. 제26조(정원산정 등)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임시승선자의 거실의 정원산정에 대하여는 선 박안전법시행규칙 별표 6 제6호에 따른다. 이 경우 항해예정시간 적용은 평수구역 1.5시 간을 적용한다. 제27조(직원실 등의 설치 등)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하는 직원실 등(직원이 이용하는 거주제실, 위생제실 및 직원실을 말한다)의 설비요건, 설치수량 등은 선박설비기준의 선 원실의 관련규정을 준용한다. 제28조(변소설비)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변소설비는 선박설비기준을 준용한다. 임시승선자 정원 60인까지 1개, 60인 초과시 60인 단수마다 1개를 추가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항상 육상에 계류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로서 육상 대합실 등에 대변소가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7장 구명설비 제29조(구명부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다음 표에 의한 수의 구명부환을 비치하여야 한 다. 이 경우 구명부환에는 30m의 구명줄을 부착하여야 하며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난간, 핸드레일 등에 비치하여야 한다. 구조물의 길이 (미터) 구 명 부 환 의 수(개) 60미만 8 60이상 120미만 12 120이상 180미만 18 180이상 240미만 24 240이상 30 제30조(구명동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소속직원 100%에 해당하는 수의 구명동의등 ( 橙 )이 부착된 구명동의를 비치하여야 하며, 구명동의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보관되어야 한다. 제31조(선내방송장치) 최대승선인원이 20인 이상인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소속직원과 수용 인원 또는 이들 모두가 있는 장소로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는 확성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8장 항해용구 제32조(정박등) 전장 50미터 미만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정박등은 갑종 백등 또는 을종 백등 1개, 전장 5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갑종 백등 2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 7 -
제9장 만재흘수선등 제33조(만재흘수선) 선박안전법 제27조의 규정에 따라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재흘수선은 선박만재흘수선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제34조(복원성)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복원성계산 등에 대하여는 선박복원성기준을 표시하는 만 적용한다. 제3편 이동식 시추선 제35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선박안전법 시행규칙 제3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이동식시추선 에 대하여 적용한다. 제36조(시설 및 운항요건) 이동식 시추선의 시설 및 운항요건 등은 별표 3의 이동식 해 저자원굴착선에 관한 국제기준 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부 칙(국토해양부고시 제2008-647호, 2008.11.10) (시행일) 이 기준은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 8 -
별표 1 와이어로프의 종류, 절단시험하중 및 질량(제7조제1항제5호 관련) 1. 와이어로프의 종류 호별 1호 2호 3호 4호 5호 6호 21호 단 면 스 랜 소 수 구 스 성 랜 트 드 선 7 12 19 24 30 37 36 트 드 6 6 6 6 6 6 6 의 수 중심 및 중심 및 중심 및 섬 유 중심 스트랜드의 중심 스트랜드의 스트랜드의 심 중심 중심 중심 중심 중심 구성기호 (6 7) (6 12) (6 19) (6 24) (6 30) (6 37) (6 WS (36)) - 9 -
- 10-2. 와이어로프의 절단시험 하중 및 질량 호별 1호 2호 3호 4호 5호 6호 21호 구성기호 (6 7) (6 12) (6 19) (6 24) (6 30) (6 37) (6 WS(36)) 와이어로 프의지름 (mm)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절단 하중 (kn) 1m의 질량 (kg) 10 12 14 16 18 52.4 75.4 103 134 170 0.371 0.534 0.727 0.950 1.20 33.3 48.0 65.3 85.2 108 0.273 0.393 0.535 0.699 0.885 47.9 71.6 97.4 127 161 0.364 0.524 0.713 0.932 1.18 45.5 65.5 89.1 117 147 0.332 0.478 0.651 0.850 1.08 41.1 59.1 80.5 105 133 0.310 0.446 0.607 0.793 1.00 48.9 70.5 96.2 126 159 0.359 0.517 0.704 0.920 1.16 50.5 72.8 99.0 129 164 0.396 0.570 0.776 1.01 1.28 20 22 24 26 28 210 253 302 354 411 1.48 1.80 2.14 2.51 2.91 133 161 192 225 261 1.09 1.32 1.57 1.85 2.14 199 240 286 336 389 1.46 1.77 2.10 2.47 2.85 181 221 262 308 357 1.33 1.61 1.91 2.24 2.60 164 199 236 278 322 1.24 1.50 1.79 2.10 2.43 195 237 281 330 382 1.44 1.74 2.07 2.43 2.82 202 244 291 341 396 1.58 1.92 2.28 2.68 3.10 30 32 34 36 38 472 536 605 679 756 3.34 3.80 4.29 4.81 5.36 300 341 385 432 481 2.46 2.80 3.16 3.54 3.94 447 509 575 644 718 3.28 3.73 4.21 4.72 5.26 410 466 526 589 657 2.99 3.40 3.84 4.30 4.79 369 421 475 533 593 2.79 3.17 3.58 4.02 4.48 439 501 566 634 707 3.23 3.68 4.16 4.66 5.19 454 517 583 654 730 3.56 4.06 4.58 5.13 5.72 40 42 44 46 48 838 5.93 533 4.37 795 877 963 1050 1150 5.82 6.42 7.05 7.70 8.39 728 802 881 963 1050 5.31 5.86 6.43 7.03 7.65 657 725 794 869 945 4.95 5.47 6.00 6.56 7.14 782 863 947 1040 1130 5.75 6.34 6.96 7.61 8.28 808 890 978 1070 1140 6.34 6.99 7.67 8.38 9.12 50 52 54 56 58 1250 9.10 1150 1230 1320 1420 1530 8.30 8.98 9.68 10.4 11.2 1020 1110 1200 1280 1380 7.74 8.38 9.04 9.71 10.4 1230 1320 1420 1530 1650 8.98 9.73 10.5 11.3 12.1 1260 1360 1470 1590 1700 9.90 10.7 11.5 12.4 13.3 60 62 65 1640 1750 1920 12.0 12.8 14.0 1470 1580 1740 11.1 11.9 13.1 1760 1880 2070 12.9 13.8 15.2 1810 1940 2140 14.3 15.2 16.7
별표 2 섬유로프의 종류 및 절단시험 하중(제7조제1항제5호 관련) 1. 섬유로프의 종류 합 성 섬 유 로 프 섬유로프의 종류 마닐라로프 비닐론 로프 폴리에틸렌 로프 폴리에스테르 로프 폴리프로필렌 로프 나일론 로프 1종 2종 1종 2종 1종 2종 원사(재료) 마닐라마 비닐론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 11 -
2. 섬유로프의 절단시험 하중(단위 : kn) 로프의 지름 (mm) 마닐라 (1) 로프 합성섬유로프 비닐론 (1) 폴리에틸렌 (2) 폴리에스 폴리프로필렌 (2) 테르 (1) 1종 2종 1종 2종 1종 2종 나일론 (1) 10 12 14 16 18 7.06 9.90 13.1 16.9 21.0 9.32 13.4 17.9 22.9 28.6 15.7 21.8 28.4 36.3 45.1 9.71 13.9 18.6 23.8 29.7 12.7 17.7 23.5 29.4 37.3 15.6 22.0 29.2 37.5 46.7 10.8 15.7 20.6 26.5 32.4 12.7 17.7 23.5 29.4 37.3 18.1 27.5 36.6 46.9 58.3 20 22 24 26 28 25.6 30.5 35.9 41.6 47.8 34.8 41.6 48.8 56.7 65.1 54.9 65.7 77.5 89.2 103 36.1 43.1 50.7 58.8 67.5 44.1 54.9 63.7 73.5 83.4 56.8 67.8 79.6 92.4 106 39.2 47.1 54.9 63.7 73.5 44.1 54.9 63.7 73.5 83.4 70.9 84.6 100 116 132 30 32 35 40 45 54.3 61.2 72.3 95.4 119 74.0 83.5 99.0 127 157 117 131 155 198 247 76.8 86.5 102 131 163 97.1 108 127 164 203 121 136 161 206 260 83.4 94.1 111 142 177 97.1 108 127 164 203 151 170 201 258 321 50 55 60 65 70 144 173 203 235 271 191 228 269 312 358 300 358 421 487 559 198 237 279 324 371 250 294 348 402 461 312 373 438 508 583 214 255 300 348 399 250 294 348 402 461 390 466 547 635 729 75 80 85 90 95 100 307 346 387 431 477 525 407 459 514 571 632 694 635 716 801 895 981 1080 422 476 533 592 655 721 525 593 667 735 814 897 663 747 837 931 1030 1140 453 511 572 635 702 772 525 593 667 735 814 897 829 935 1050 1170 1280 1410 (비 고) (1) 건조상태의 로프를 실내온도에서 인장할 경우의 절단시험하중. (2) 35 ± 2 C 의 온수 중에 30 분 이상 담근 후 꺼내어 즉시 젖은 상태의 로프를 실내온도에서 인장할 경우의 절단시험하중. - 12 -
[별표 3]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에 관한 국제기준(제36조 관련) 제1장 일반사항 1.1(목적)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에 관한 국제기준(이하 기준 이라 한다)의 목적은 구조물, 승조원 및 환경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식 해저 자원 굴착선에 대한 설계 기준, 건조 기준, 그리고 다른 안전조치들을 규정함 을 목적으로 한다. 1.2(적용) 1.2.1 이 기준은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에 적용한다. 1.2.2 연안국가에서는 운항에 대한 추가요건을 부과할 수 있다. 1.3(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3.1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 또는 구조물은 액체 혹은 기체, 탄화수소, 황 또는 소금과 같은 해저 아래의 자원을 개발하거나 탐색하기 위한 시추작업을 하는데 이용 가능한 선박이다. 1.3.2 "수상형 구조물"이라 함은 부양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단일 또는 복합선체의 구조로 된 선박 또는 부선형의 구조물을 말한다. 1.3.3 "갑판승강형 구조물"이라 함은 선체를 바다 표면 위로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할 수 있는 승강용 레그(leg)를 가진 구조물을 말한다. 1.3.4 "반잠수형 구조물"이라 함은 수면 하에 있는 잠수체 또는 중력식 기초 (footings)와 상부 작업용 갑판이 복수의 원통형 갑판지지 구조(columns) 또 는 케이슨(caissons)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물을 말한다. 1.3.5 "주관청"이라 함은 구조물의 기국 정부를 말한다. 1.3.6 "연안국"이라 함은 구조물의 시추작업에 행정적 통제를 가하는 국가의 주관청을 말한다. 1.3.7 "기구"라 함은 국제해사기구(IMO)를 말한다. 1.3.8 "증서"라 함은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의 안전증서를 말한다. 1.3.9 "1974 SOLAS 협약"이라 함은 개정된, 1974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을 말한다. 1.3.10 "1966 만재흘수선협약"이라 함은 1966 국제만재흘수선협약을 말한다. - 13 -
1.3.11 운전형식은 구조물이 정주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하는 중에 어떤 형태 로 운전 또는 운전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또는 방식을 말한다..1 운전상태 : 구조물이 목적지에서 설계하중 범위 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 여 착저 또는 부상하여 있는 상태.2 극한하중상태 : 구조물이 가장 심한 환경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로 작업을 중지하고 그 하중상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착저 또는 부상하여 있는 상태.3 이동상태 : 구조물이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이동 중인 상태 1.3.12 "건현"이라 함은 갑판선의 중앙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만재흘수선의 상 부 가장자리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거리를 말한다. 1.3.13 "길이(L)"라 함은 만재흘수선 상에 있어서 선수재의 전면으로부터 타 두재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만재흘수선상(최소 형깊이의 85퍼센트 이상) 구조물의 전 길이의 96퍼센트 중 큰 것을 말한다. 1.1314 "풍우밀"이라 함은 어떠한 해상상태에서도 빗물 등이 구조물 내부로 스며들지 않는 것을 말한다. 1.3.15 "수밀"이라 함은 계획된 구획구조 주변으로 최고수위 하부에 어떤 방 향으로든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1.3.16 "해수유입"이라 함은 비손상 또는 손상 복원성기준을 충족하기 위하여 수밀이나 풍우밀로 할 수 없는 개구부 또는 운항상 필요하여 개방해 둬야 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구조물의 부력공간이 침수하는 것을 말한다. 1.3.17 정상적인 운항 및 거주상태의 의미는 다음 각 호와 같다..1 안전한 항해를 위한 기계, 설비, 보조장비 등의 모든 장치, 작업장의 안전, 화재 및 침수로부터의 안전, 내외부적 통신 및 신호장치, 탈출수단 및 구명 정의 윈치, 최소한의 안락한 거주설비 등이 정상인 상태.2 시추작업 1.3.18 "기밀문"이라 함은 표준대기상태에서 가스의 흐름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된 단단하고 견고히 부착된 문을 말한다. 1.3.19 "주전원"이라 함은 구조물의 정상가동과 거주가능상태를 유지하기 위 하여 필요한 모든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말한다. 1.3.20 "데드쉽 상태"라 함은 주추진장치, 보일러 및 보조기관들이 전력공급 중단으로 가동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1.3.21 "주배전반"이라 함은 전력의 주전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받아 전기에너 - 14 -
지를 구조물의 각 설비로 배분하는 배전반을 말한다. 1.3.22 "비상배전반"이라 함은 전력공급계통의 메인시스템이 차단되었을 때 비상전원이나 비상전력의 임시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비상설비에 공급하는 배전반을 말한다. 1.3.23 "비상전원"이라 함은 주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필요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말한다. 1.3.24 "주조타장치"라 함은 구조물이 정상가동상태에 있을 때 조타를 위하여 키를 움직이도록 하는데 필요한, 기계, 전원장치 및 틸러, 쿼드런트와 같은 라다스톡에 힘을 전달하는 부속설비를 말한다. 1.3.25 "보조 조타장치"라 함은 주조타기가 고장일 때 조타를 위하여 키를 움 직일 수 있도록 하는 설비를 말한다. 1.3.26 "조타장치의 동력장치"란 다음 각 호를 말한다..1 전동조타기, 전기모터 및 부속장치.2 전동유압 조타기, 전기모터와 부속장치 및 연결펌프.3 기타 유압기어, 구동엔진 및 연결펌프 1.3.27 "최대전진항해속력"이라 함은 구조물이 바다에서 최대로 깊은 항해 흘 수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최대 속력을 말한다. 1.3.28 "최대 후진속력"이라 함은 최대로 깊은 항행 흘수 상태에서 설계 최대 후진동력으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속력을 말한다. 1.3.29 "A류 기관구역"이라 함은 다음 각 호 중 하나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설비한 공간을 말한다..1 주 추진 용.2 375킬로와트 이상의 다른 용도의 기관 또는 기름보일러 또는 기름 연료장 치 1.3.30 "기관구역"이라 함은 A급 기계장치구역과 추진기관, 보일러 및 다른 연소장치, 기름 연료장치, 증기 및 내연기관, 발전기 및 주요한 전기 기계, 기름 수급장치, 냉동장비, 복원성, 환기 및 공기조화장비 및 그와 유사한 공 간을 포함하고 있는 구역과 이 곳으로 통하는 통로를 말한다. 1.3.31 "제어장소"라 함은 구조물의 통신기 또는 주 항해장비, 또는 비상전원 설비가 되어 있거나 화재기록, 화재통제장비 또는 위치 제어장비가 집약되어 있거나 또는 여러 장소를 제어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이 설비되어 있는 곳을 - 15 -
말한다. 밸러스트 제어장소도 하나의 제어장소이다. 그러나 제9장의 적용에 있어서 비상전원 장치가 설치된 공간은 제어장소로 간주하지 아니한다. 1.3.32 "위험구역"이라 함은 시추작업으로 인하여 가연성 가스가 생길 수 있 거나, 기계나 전기장비의 취급 부주의로 인하여 화재위험이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1.3.33 폐쇄구역 이라 함은 층, 격벽 또는 갑판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문이나 창문을 가진 공간을 말한다. 1.3.34 "준 폐쇄구역"이라 함은 자연통풍상태가 지붕, 바람막이 또는 격벽과 같은 구조물이 있어서 폭로갑판(open deck)과는 다른 구역을 말하며, 가스의 분산이 일어나지 아니한 구역을 말한다. 1.3.35 "산업기계 및 요소"라 함은 시추작업에 사용되는 기계 및 요소를 말한다. 1.3.36 "불연성재료"라 함은 타지 않거나, 주관청에서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약 750도까지 가열하여도 자연점화에 필요한 정도의 충분한 가연성 증기를 배출하지 아니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 이외의 물질은 연소물질이다. 1.3.37 "A급 표준화재시험"이라 함은 해당 격벽 또는 갑판의 표본을 화재시험 절차 코드에서 정하는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로에서 표준 시간-온도곡선에 상응하는 온도의 화재에 노출하는 시험을 말한다. 1.3.38 "A급 구획"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격벽 또는 갑판으로 형 성된 구획을 말한다..1 강 또는 이와 동등한 재료를 사용한 것일 것.2 적절히 보강된 것일 것.3 60분의 표준화재시험이 끝날 때까지 연기와 화염의 통과를 막을 수 있는 것일 것.4 불연성재료로 방열시공을 한 것일 것 1.3.39 "B급 구획"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격벽, 갑판, 천정 또는 내장재로 형성된 구획을 말한다..1 불연성재료를 사용한 것일 것.2 불연성재료로 방열시공을 한 것일 것.3 30분의 표준화재시험이 끝날 때까지 화염의 통과를 막을 수 있는 것일 것 1.3.40 "C급 구획"이라 함은 인가받은 불연성재료로 건조된 구획을 말한다. 연 기와 화염의 통로에 관한 요건이나 온도상승에 관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 16 -
1.3.41 "강 또는 동등한 재료"라 함은 불연성재료, 즉 스스로 또는 단열재가 입혀져 있어서 표준화재검사에서 강과 동등한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말한 다.(예: 단열재가 입혀진 알루미늄 봉) 1.3.42 "화염확산이 느림"이라 함은 주관청이 제시하는 검사에 합격하고, 표면 이 화염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음을 뜻한다. 1.3.43 "연속 B급 천정 또는 내장재"라 함은 A 또는 B급 구획에서 마무리한 B급 천정이나 내장재를 말한다. 1.3.44 "작업구역"이라 함은 개방 또는 폐쇄된 공간으로, 시추작업과 관계되는 장비 중 1.3.30 또는 1.3.32에 포함되지 않는 장비를 갖고 있는 공간을 말한 다. 1.3.45 "거주구역"이라 함은 공용실(거주구역의 일부로 홀, 식당, 라운지 및 이 와 유사한 영구 폐쇄공간), 복도, 화장실, 침실, 사무실, 병원, 영화관, 게임 및 놀이실, 취사장비가 없는 식료품 저장실 및 이와 유사한 공간을 말한다. 1.3.46 "업무구역"이라 함은 갤러리, 취사기구가 있는 식료품 저장실, 탈의실 및 창고, 기관실에 속하지 않는 작업실, 이와 유사한 공간 및 이러한 공간으 로 통하는 통로를 말한다. 1.3.47 "연료유장치"라 함은 기름보일러의 연료공급 또는 내연기관에 가열된 연료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며 압력 0.18뉴턴/세제곱밀리미터 이상에서 기름을 취급하는 연료유 압력펌프, 필터 및 히터를 포함한다. 1.3.48. "생존정"이라 함은 퇴선으로부터 조난 중에 있는 사람의 생명을 유지 시켜 줄 수 있는 배를 말한다. 1.3.49 "구조정" 이라 함은 신속하게 물에 띄울 수 있고, 물에 빠진 사람을 빨 리 구조할 수 있으며, 구명뗏목을 위험으로부터 신속하게 예인하여 탈출할 수 있고 또한, 쉽게 조종이 가능한 동력을 가진 보트를 말한다. 1.3.50 "다이빙시스템"이라 함은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로부터 안전하게 다 이빙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비 및 장비를 말한다. 1.3.51 "연차일"이라 함은 증서 만기일에 해당하는 매년의 달과 날짜를 말한다. 1.4(면제) 이 규칙의 적용으로 새로운 구조물의 개발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 주 관청은 이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규정을 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주관청의 판단에 따라 작업을 적절히 수행하고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 - 17 -
전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주관청에서는 증서의 면제사항에 대한 사유 및 상세한 기록을 기구에 알려야 하며, 기구는 이 내용을 다른 나라 정부에 회 람하여야 한다. 1.5(동등효력) 1.5.1 이 규칙에 적합하지 않은 비품, 재료, 장비, 설비 등이 장착되거나, 이 규 칙이 아닌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 주관청은 이 규칙에서 요구되는 것과 동등 한 효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를 허용할 수 있다. 1.5.2 주관청은 적합하지 않은 어떠한 비품, 재료, 장비, 설비 등의 장착이나 다 른 어떤 규정, 새로운 설계 등을 허용한 경우 증빙서류가 첨부된 보고서를 작 성하여 기구에 통보하여야 하며, 기구는 이 내용을 다른 나라 정부에 회람하 여야 한다. 1.6(검사 및 증서) 1.6.1 구조물 검사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1 최초검사 : 운항하기 전 또는 최초로 증서를 발급받기 전에 받게 되는 검사.2 정기검사 : 주관청이 정하는 기간, 단 1.6.11.2.1 또는 1.6.11.5, 1.6.11.6가 적 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 받게 되는 검사.3 중간검사 : 제2회 연차검사일의 전후 3개월 또는 제3회 연차검사일의 전후 3개월 이내에 받게 되는 검사.4 연차검사 : 증서의 각 연차일 전후 3개월 이내에 받게 되는 검사.5 입거검사 : 1.6.11.5의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매 5년에 최소한 2회, 1.6.11.5가 적용되는 경우 5년의 기간은 증서의 유효기간 연장과 일치하게 연장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두 검사는 36개월이 넘지 않는 기간에 이루어져야 한다..6 무선설비검사 : 11.10에 따라 받게 되는 검사.7 추가검사 : 필요한 상황이 생길 때 추가로 받게 되는 검사.8 손상이 발견되거나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또는 큰 수리나 개조를 한 경우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수리나 개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규정에 맞게 수리 등이 이루어 졌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1.6.2 1.6.1에 따른 검사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실시하여야 한다. - 18 -
.1 최초검사 : 구조, 안전설비 및 기타 설비, 부속품, 자재의 배치 등이 규칙에 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지, 그리고 그 상태가 구조물을 가동하는데 만족한 상태인지 여부를 완전하게 점검하여야 한다..2 정기검사 : 1.6.2.1에 언급한 바와 같이 구조, 안전설비 및 기타 설비가 규 칙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지, 그리고 그 상태가 구조물을 가동하는데 만 족한 상태인지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3 중간검사 : 구조, 부속품, 장비 및 안전설비가 구조물을 가동하는데 만족한 상태인지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4 연차검사 : 1.6.2.1에 언급한 바와 같이 구조, 안전설비 및 기타 설비가 1.6.6.1의 규정에 적합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상태가 구조물을 가동 하는데 만족한 상태인지 여부를 전반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5 상가검사 : 입거검사 중 점검되는 항목은 그 상태가 구조물을 가동하는데 만족한 상태인지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주관청은 입거검사 대신 수중점검 을 허용할 수 있다..6 무선설비검사 : 통신설비가 규칙에 적합한지 그리고 그 상태가 구조물을 가동하는데 만족한 상태인지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7 추가검사 : 1.6.6.3에 정한 조사에 의한 수리 후 또는 주요 수리 또는 개조 후 상황에 따라 전반적 또는 부분적 검사를 실시한다. 이 검사는 수리와 개 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또한 재료와 작업기술이 만족하며 구조물이 규칙의 요건에 적합함을 확인하여야 한다. 1.6.3 1.6.2.3 내지 1.6.2.5에 언급된 중간, 연차 및 입거검사는 증서에 기재되어 야 한다. 1.6.4 1.6.2.2 및 1.6.2.3에 의한 정기 및 중간검사에 대신하여 정부는 소유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검사의 범위나 주기가 정기 및 중간검사와 동등하다고 인정 되는 경우 계속검사계획을 승인할 수 있다. 계속검사계획의 사본을 검사기록과 함께 구조물 내 비치하여야 하며, 증서에는 주석을 달아야 한다. 1.6.5 구조물의 점검 및 검사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실시하여야 한다..1 구조물의 점검 및 검사는 현행 규정의 적용 및 적용면제 사항에 대하여 주관청이 관리하여야 한다. 주관청은 점검 및 검사를 주관청이 인정한 기관 또는 검사원에게 위임할 수 있다..2 1.6.5.1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점검이나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주관청이 인정 - 19 -
한 기관 또는 검사원은 위임권한의 자격으로서 다음사항을 수행할 수 있다..1 구조물의 수리를 요구할 수 있다..2 항만국 관계 당국의 요청이 있을 때에는 점검이나 검사를 이행하여야 한 다. 주관청은 이 경우 지명검사관 또는 인정기관에 점검이나 검사를 위임 한 관계당국의 위임조건에 대하여 기구에 통보하여야 한다..3 검사원이나 인정기관은 구조물이나 설비의 상태가 증서에 기재된 것과 일 치하지 않는지 또는 구조물이나 승선하고 있는 사람들이 안전한 상태로 운 항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한 경우 검사원이나 기관은 즉시 결함 부분을 수정 하도록 지시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이 사실을 주관청에 통보하여야 한다. 만약 결함수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구조물이 다른 정부의 관할구역 에 있다면, 항만국의 관계당국에 즉시 통보하여야 한다. 정부 검사관, 임명검 사원 또는 인정기관이 항만국의 관계당국에 통보한 경우 관련 항만국 정부 는 이 규정에 따라 검사관, 임명검사원 또는 인정기관이 그들의 임무를 수행 하는 데 필요한 협조를 하여야 한다. 관련 항만국 정부는 구조물과 구조물에 승선한 승선객들에게 위험성이 없이 운항할 수 있을 때까지 그 구조물이 운 항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4 정부는 점검과 검사의 완결과 유효함을 보증하여야 하며, 점검과 검사가 만족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6.6 구조물 및 구조물 설비 등의 상태 유지, 보고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1 구조물과 구조물 설비의 상태는, 구조물이 모든 면에서 구조물 자체나 승 선하고 있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이 규칙의 제 규정에 맞 게 유지되어야 한다..2 이 규정에 의한 검사 후 주관청의 승인 없이 구조, 설비, 의장품 및 구조재 료의 배치를 변경할 수 없다..3 구조물에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결함사항이 발견된 경우, 즉 구조물의 안전 과 구조, 설비, 의장품, 구조재료배치의 효율성과 완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 우 구조물의 책임자나 소유자는 최대한 신속히 주관청, 검사원 또는 인정기 관에 이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보고를 받은 주관청, 검사원 또는 인정기 관은 이 기준에서 정한 검사가 필요한지 조사를 하여야 한다. 만약 구조물이 다른 정부의 관할구역 안에 있다면 책임자 또는 소유자는 항만국의 관계당 국에 즉시 보고하여야 하고, 검사관 또는 인정기관은 이 보고서를 확인하여 - 20 -
야 한다. 1.6.7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 안전증서(1989) 라고 불리는 증서는 규칙의 요건에 따라 최초 또는 정기검사 후에 발급된다. 이 증서는 주관청 또는 주 관청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개인 또는 기관에 의하여 발급되고, 이서된다. 어 떠한 경우에도 주관청이 증서에 대한 책임을 진다. 1.6.8 1.4에 의한 면제사항들은 증서에 명확히 기재되어야 한다. 1.6.9 1974 SOLAS 및 1966 만재흘수선협약 체약국은 주관청의 요청에 의하 여 구조물을 검사하고, 검사결과 이 규칙의 요건을 충족하면 증서발급, 발급 승인, 배서 또는 배서승인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발급된 증서는 구조물의 기 국 주관청의 요청에 의하여 발급된 것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제7항에 따라 발급된 증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1.6.10 증서는 이 규칙의 부속서에 제시된 양식과 일치하는 양식이어야 한다. 만약 사용언어가 영어나 프랑스어가 아닌 경우 영어나 프랑스어 중 하나로 번역된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1.6.11 각 종 검사증서의 유기간은 다음 각 호와 같다..1 이동식 해저자원 굴착선 안전증서(1989) 는 주관청에 의하여 5년이 초 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간을 정하여 발급하여야 한다..2.1 1.6.11.1의 요건에도 불구하고, 현 증서의 만기일 전 3개월 이내에 정기검 사가 완료되면 새 증서는 정기검사 완료일로부터 현 증서 만기일후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날짜까지 유효하다..2.2 정기검사가 현 증서의 만기일 후에 완료되면 새 증서는 정기검사의 완료 일부터 현 증서 만기일의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날짜까지 유효하다..2.3 정기검사가 현 증서의 만기일 전 3개월 보다 더 앞에 완료되면, 새 증서 는 정기검사 완료일로부터 정기검사완료일의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날짜까지 유효하다..3 증서가 5년 미만의 기간으로 발급되면 주관청은 1.6.11.1에 규정된 최대기 간까지 만기일을 넘어 유효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단 증서가 5년 기간으로 발급되는 경우 검사를 받아야 한다..4 정기검사가 완료되고도 현 증서의 만기일 전에 새 증서가 발급되지 못하 거나 구조물에 비치되지 못한 경우 주관청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자나 기관 은 현 증서에 배서를 하여 그 증서가 만기일로부터 5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 21 -
기간 동안 유효함을 인정할 수 있다..5 증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거나 구조물이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장소에 있지 아니할 때 주관청은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 물이 검사를 받을 장소로 이동하는 기간 동안만 연장이 가능하며 단 구조물 이 검사장소로 이동하는 데 적합한 상태여야 한다. 증서의 연장기간은 3개월 을 초과할 수 없다. 연장을 받은 구조물이 검사를 받을 장소에 도착하면 연 장의 효력은 상실되고, 새 증서를 소지하지 않고는 그 장소를 출항할 수 없 다. 정기검사가 완료되면 새 증서는 연장받기 전 현 증서의 만기일로부터 5 년을 초과하지 않는 날까지 유효하다..6 주관청이 인정하는 특수한 경우에는 1.6.11.2.2 또는 1.6.11.5의 규정에 따라 새 증서의 날짜 계산을 현 증서의 만기일로부터 기산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새 증서는 정기검사가 완료된 날로부터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날까 지 유효하다..7 연차 또는 중간검사는 관련 규정에 제시된 기간 이전에 완료되어야 한다..1 관련 증서 상 연차일은 검사완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이루어진 배서에 의하여 수정되어야 한다..2 다음 연차 또는 중간검사는 수정된 새 연차일을 사용하여 계산된 기간에 완료되어야 한다..3 만기일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연차 또는 중간검사는 1.6.1.3 및 1.6.1.4에 규정된 최대 검사주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집행하여야 한다..8 1.6.7 또는 1.6.9에 따라 발급된 증서는 다음 어느 한 경우에 효력이 정지된다..1 1.6.1에 규정된 기간 내 관련 검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2 1.6.3의 규정에 따른 배서가 되지 않은 증서.3 구조물의 국적을 변경한 경우, 새 증서는 새 증서를 발급할 주관청과 그 구조물이 1.6.6.1 및 1.6.6.2의 요건을 충족한다고 인정할 때 한하여 발급한 다. 1974 SOLAS 및 1966 만재흘수선협약 체약국 사이의 국적변경의 경우 국적변경이 있은 후 3개월 이내 요청이 있으면 앞의 기국의 주관청은 가능 한 한 빠른 시일내 증서 및 관련 검사보고서 사본을 다음 기국의 주관청에 넘겨주어야 한다. 1.6.12 구조물이 유효한 증서를 소지하고 있지 않으면 이 규칙에 의한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 - 22 -
1.7(통제) 1.7.1 다른 정부의 관할구역에 있는 모든 선박은 그 정부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은 검사관의 통제를 받아야 하며, 이 통제는 1.6에 의하여 발급된 증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에 국한되어야 한다. 1.7.2 이러한 증서가 유효하다면 증서를 인정되어야 한다. 다만, 구조물이나 구조물의 설비가 실질적으로 증서의 기재사항과 일치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구조물 및 그 설비가 1.6.6.1 및 1.6.6.2의 규정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할 만한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7.3 1.7.2에 언급한 경우 또는 증서가 만료되거나 효력이 정지된 경우 통제 를 행하는 관리는 구조물 또는 구조물에 타고 있는 사람들에게 위험을 주지 않도록 그 구조물로 하여금 운항을 중지하고 수리장소로 이동시키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7.4 이러한 통제 과정에 어떠한 조치를 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통제 를 행하는 검사관은 기국의 영사 또는 그의 부재 시에는 가장 가까운 외교대 표에게 즉시 서면으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을 통보하여야 하고, 증서를 발급 한 검사원 또는 인정기관에 대하여도 통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치에 대한 사항을 기구에 보고하여야 한다. 1.7.5 통제를 행하는 경우 억류가 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여야 하고 구 조물이 부당하게 출항정지되거나 지체되는 경우 피해손실 및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 1.7.6 1.7.1 및 1.7.2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1.6의 요건은 국제법에 의한 연안국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주권국가의 해양구역에서 천연자원의 탐사를 하거나 탐 사가 예정된 구조물에 대한 검사 및 점검에 대하여 요건을 부과하는 것이다. 1.8(사고) 주관청은 이 규칙의 적용을 받는 구조물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조사 결과를 기구에 제공하여야 한다. 기구는 이 조사결과의 보고서 및 권고 사항에도 그 구조물의 세부사항이나 국적을 표시하여서는 아니 되고 어떤 방 법으로도 구조물 또는 개인에게 책임을 지게 하거나 또는 그 책임을 암시하 여서는 아니 된다. - 23 -
1.9(개정) 1.9.1 설계, 설비 및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의 규정을 개정하여 공포할 필요가 있다면 기구는 규정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1.9.2 설계, 설비 또는 기술에 있어서 신개발이 있는 경우 이 규칙의 개정을 위하여 정부는 신개발의 상세내용을 기구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2장 건조, 강도와 재료 2.1(일반사항) 2.1.1 주관청은 이장에서 제공하는 실행과 적용 기준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 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1.2 각 구조물들의 설계 검토와 승인은 주관청 공무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주관청은 이 목적을 위해 선출된 보증기관 또는 정부에 의해 승인된 조직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관계 주관청은 설계치 의 완전성과 효율성에 대해 충분히 보증하여야 한다. 2.2(설계하중) 2.2.1 각 구조물에 대한 작동모드는 사용하고 있는 실제하중이 조사되어야 한다. 이것은 주위에서 발생하는 바람, 파도, 유속, 유빙, 해상상태, 온도, 바다이끼, 따 개비류 및 지진 등과 같은 환경조건하 중력하중을 포함하는 실제하중이다. 2.2.2 가능한 한 상기의 설계 환경 조건은 가장 악조건의 환경을 고려해 적어 도 50년 이내에 발생한 기간으로 산출한 데이터에 근거해야 한다. 2.2.3 관련모형시험의 결과는 계산결과에 대한 설명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2.2.4 각 작동모드의 설계치의 한도는 작동설명서에 기술되어야 한다. 2.2.5 바람하중은 지속 및 돌풍 풍속의 결정 바람하중이 고려되어야 한다. 압 력과 결과하중은 계산되어야 하는데, 그 값은 3.2에 언급된 공식에 의해 산정 하거나 주관청의 만족하는 다른 공식에 의해 계산되어야 한다. 2.2.6 파랑하중의 산정에 사용하는 설계파의 주기는 구조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기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조류 및 해류의 속도를 파랑의 속도에 더하여야 하며, 파랑은 구조물에 대한 모든 방향의 파도가 고려 되어야 한다. - 24 -
2.2.7 구조해석에 사용된 파랑하중은 잠수, 종경사, 유동의 가속 효과를 감안 하여야 한다. 파랑하중계산에 사용된 이론과 계수의 구분은 주관청에서 정한 범위 이내이여야 한다. 2.2.8 조류하중은 조류와 파도가 중복될 가능성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이 러한 경우에는 조류의 속도는 파도입자속도에 벡터로서 더하여 계산되어야 한다. 그 합성속도는 전체 힘을 산정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2.2.9 와류유동에 의한 하중은 수면 하에 있는 부재에 발생하는 와류유동에 의하여 그 구조부재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2.2.10 갑판하중은 각 가동 및 이동 상태에 있어서 갑판의 각 부분에 작용하 는 균일분포하중과 집중하중 값을 고려하여야 한다. 2.2.11 그 외 관련하중은 주관청이 정한 기준범위 이내이여야 한다. 2.3(구조해석) 2.3.1 모든 작동모드에 대한 충분한 하중상태는 계산된 모든 원래 구조성분 에 대한 극한 설계 값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하며 이 설계해석은 주관청의 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2.3.2 표준 치수계산은 복합적 표준 근거에 의해 결정하여야 하며 합리적인 방식과 각 구조부재의 독립응력성분에 따라 계산되어야 한다. 허용응력은 주 관청의 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2.3.3 국부응력, 원통형부재 주위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포함한 국부응력은 조 합응력에 의한 평가에 의해 주응력에 부가되어야 한다. 2.3.4 구조부재의 좌굴강도는 적정하여야 한다. 2.3.5 주관청에 의해 특별히 지정한 장소에서는 구조물이 설치될 작동장소와 환경의 피로해석이 제공되어야 한다. 2.3.6 노치의 효과, 국부응력집중과 다른 응력의 증가부분은 1차구조부재의 설 계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2.3.7 구조적 연결부는 접합부분과 만나는 판의 두께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주 요한 인장응력이 가능한 전달이 안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조 인트를 피할 수 없는 부분에서는 길이방향의 찢어짐(Lamellar tearing)이 발 생하지 않도록 판재의 품질성능과 검사절차는 주관청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 25 -
2.4(수상형구조물의 추가요건) 2.4.1 구조물 시추공의 이동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추공 웰 주위에는 적절히 보강하여야 한다. 특히 큰 집중하중을 받는 부분은 충분히 보강하여야 한다. 2.4.2 갑판에 웰 등의 큰 개구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보강하고 종강도 및 횡강도의 연속성을 양호하게 하여야 한다. 2.4.3 페어리더 및 윈치 등 계류장치가 있는 부분의 강도는 무어링 로프 또는 체인의 파괴강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5(갑판승강형구조물의 추가요건) 2.5.1 선체강도는 구조물이 최고위치로 상승한 상태를 기준으로 계산하여야 하며 그 조건은 최대하중이 걸리고 구조물이 모든 갑판승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특별한 환경조건일 때이다. 2.5.2 구조물은 선체가 최고설계파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갑판상승 후의 상태에서 구조물의 선각하면과 극한하중상태에서의 파정과의 수직거리 1.2미터 또는 황천시 조위, 만조시 조위 및 평균저수위의 최대파정의 높이를 합산한 값의 10퍼센트의 값보다 크게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5.3 갑판승강 지지대(leg)는 동적하중을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그 하중 은 수면 하로 높이를 낮출 때 갑판승강 지지대 가운데 지지되지 않은 길이에 의해 직면하는 하중, 그리고 선체의 파랑충격에 기인한 바닥의 쇼크를 견디도 록 설계하여야 한다. 최대설계운동범위, 해상상태와 지질상태는 작동을 위해 선체를 올리거나 내릴 때 운용지침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2.5.4 높은 위치에서 구조물의 갑판승강 지지대 응력을 계산할 때 최대전복모 멘트가 고려되어야 하며 그것은 적용 가능한 환경, 중력적재가 고려된 최악 의 역조합 상태이다. 2.5.5 갑판승강 지지대의 설계조건은 부유 상태에서 갑판지지대에 의한 승강 상태로 변환될 때를 최악의 상태로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그것은 바람모 멘트 그리고 중력모멘트와 구조물의 운동에 따른 가속결과의 영향을 받는 상 태를 말한다. 주관청에 이러한 모델시험에 기초한 계산과 해석결과 또는 이 들의 조합을 제출해야 한다. 동일한 상태변환 조건에서 보강이 필요하거나 갑판승강 지지대의 지지가 필요하거나 또는 이 구조물의 한계를 보증하기 위 - 26 -
해 단면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2.5.6 갑판승강 지지대와 선체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부재의 설계는 전 달되는 최대하중을 견디도록 하여야 하며 하중은 선체구조로 분산되도록 설 계하여야 한다. 2.5.7 갑판이 하중을 받치고 있는 지질로 전달되도록 설계할 경우 하중이 갑 판으로 분산되도록 갑판승강 지지대의 부착에 주의하여야 한다. 2.5.8 해수와 접하지 않는 갑판의 탱크가 있는 장소의 구조계산은 설계수두를 기초로 하여야 한다. 그 설계수두는 최대 수심과 해수효과를 이용해 산출한 값이다. 2.5.9 갑판의 설계는 하중에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그 하중은 갑판의 파 랑운동으로 인한 접촉, 지질의 쇼크 및 낮아지는 동안 직면하는 하중이다. 2.5.10 스코어링운동 효과(바닥지지대의 손실)는 가능한 한 고려하여야 하며 스커트판의 효과와 공급되는 장소는 특별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2.5.11 바닥갑판을 활용하는 몇몇 구조물들을 제외하고, 해당 장소에 초기위치를 정한 후에 각 갑판승강 지지대의 1차 하중과 적용가능 최대조합하중을 위해 그 성능기준을 제출하여야 한다. 1차 하중 절차는 운용지침서에 기술되어야 한다. 2.5.12 구조물의 외판에 근접한 갑판실은 비보호갑판실의 전면부와 동등하게 표준치수 계산을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외 다른 갑판실은 구조물의 크기, 기능 및 위치에 맞게 표준치수를 계산하여야 한다. 2.6(반잠수형구조물의 추가요건) 2.6.1 갑판구조물이 파랑충격에 대비한 설계가 되지 않았다면 주관청의 승인 가능한 범위는 파의 최고조(Crest)에 갑판구조물이 견디도록 하는 것이며 주 관청에 제출할 서류는 모형시험자료 및 동등지형에서 과거작동경력 등이 정 확성을 유지하도록 공급품을 나타내는 계산식이다 2.6.2 해저바닥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하는 구조물은 2.5.2에서 요구하는 요건 을 만족하여야 한다. 2.6.3 상갑판의 구조배치는 주거더의 가상붕괴 후에 구조물의 구조한계에 대 해 고려하여야 하며 주관청은 가동지역에서 1년에 한번 도래할 가능성이 있 는 가혹한 환경조건에서 어떤 가상붕괴가 발생하였을 때 구조물의 완전붕괴 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구조해석을 요구할 수 있다. - 27 -
2.6.4 상갑판의 계산치는 갑판하중계획에서 요구하는 하중 값 이하이어서는 아니 된다. 2.6.5 복원성 요구사항에 따른 가동 손상시 승인 조건은 상갑판이 수면위에 뜨게 되는 것을 허용할 때 이런 특별한 고려사항을 구조하중 결과 값에 가감 하여야 한다. 2.6.6 원통형 갑판지지 구조(column)의 표준치수계산, 하부선각(lower hull)과 푸팅(footing)은 수압하중값과 파랑, 해류(current)를 고려한 조합하중값을 기 초로 하여하여야 한다. 2.6.7 원통형 갑판지지 구조(column)의 표준치수계산, 하부선각(lower hull)과 푸팅(footing)이 구조물의 전체 구조부재의 일부분인 곳은 적용가능한 조합하 중 때문에 처침으로 인한 응력에 대한 고려하여야 한다. 2.6.8 외부손상, 파랑충격, 부분적재 탱크 또는 저부베어링작동 등으로 인한 높은 국부응력이 작용하는 구역의 구조배치와 상세도에 대해 특별히 고려하 여야 한다. 2.6.9 구조물이 해저바닥에 지지되어 작동 하는 동안에 대한 설계를 할 시에 중력식 기초는 선체 파랑충격으로 인한 지질쇼크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2.6.10 위치확보를 위한 계류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줄을 내리거나 당기는데 사 용되는 구성품을 포함한 구조부재는 응력에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이 응력은 계류삭에 파괴강도에 해당하는 하중을 걸었을 때의 응력이다. 2.6.11 지지부재는 구조를 효과적으로 제작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그것은 구 조물이 해저바닥에 의해 지지될 때 적용 가능한 한 조합하중인 불균일한 저 질베어링하중의 가능성에 대해서 효과적인 구조를 말한다. 지지부재는 조사 되어야 하며 적용 장소에서 부력에 의한 국부굽힘응력, 파력과 조력을 포함 하는 조합응력을 위해 조사되어야 한다. 2.6.12 구조물의 구조는 어떠한 경우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그 손상은 전 체붕괴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 중 제일 약한 부분의 지지부재 손상이 발생 할 수 있는 기간은 구조물 작동 해역에서 1년에 한번 도래할 수 있는 악조건의 환경부하가 걸릴 때이다. 2.6.13 적용 장소에서 파랑충격으로 인한 국부응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6.14 지지부재가 수밀구역에서는 수압으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도록 설계되 - 28 -
어야 하며 수면하 지지부재는 통상적으로 수밀이 되어야 하고 사전 피로균열 을 감지가 가능하도록 누수감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6.15 원통형 지지부재의 강도와 형상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원형 보강재가 고 려되어야 한다. 2.7(피로해석) 2.7.1 갑판승강형 구조물과 반잠수형 구조물의 반복적인 하중으로 인한 피로 손상의 가능성을 설계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2.7.2 구조물의 피로해석은 구조물의 가동 조건과 해역을 기본으로 하여 설계하여 야 한다. 2.7.3 피로해석에서는 설계수명의 반영과 검사를 위한 독립구조부재의 접근성 을 확보하여야 한다. 2.8(재료) 구조물은 강철 또는 주관청에서 허용하는 강도를 가지는 재료로 건 조하여야 한다. 2.9(건조계획) 건조계획은 준비되어야 하고 구조물의 선내에 사본을 보관하여 야 한다. 이 사본에는 재료의 강도와 등급별 적용범위와 장소, 재료의 상세와 용접시 용접절차서, 그 외 다른 건조정보뿐만 아니라 수리 또는 개조에 관한 제한 또는 금지에 대한 사항도 포함되어야 한다. 2.10(용접) 건조중 용접시공절차서는 주관청의 승인을 득해야 한다. 용접사는 용접절차서와 절차의 활용에 준한 품질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시험을 위한 용접의 취사선택과 시험방법은 주관청의 승인을 득해야 한다. 2.11(시험) 완성된 탱크의 경계는 주관청의 승인 시험을 득해야 한다. 제3장 구획, 복원성과 건현 3.1(경사시험) - 29 -
3.1.1 경사시험은 시리즈 건조인 경우 1호선에서 실시하여야 하며 실시시기 는 중량과 무게중심의 위치 등 경하상태의 정확성을 위해서 가능한 구조물의 완성단계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1.2 설계상 동일한 후속구조물의 경우는 경사시험을 대신하여 시리즈선의 1 호선의 경하상태자료만으로 주관청의 승인을 득할 수 있으나 이때 경하배수 량의 차이 또는 기계류, 의장품, 장비의 미세차이에 의한 중량변화로 인한 무게중심의 위치변화에 대한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제출된 재화중량변화에 대한자료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때 경하배수량은 차이가 1퍼센트 이하가 되 어야 하고 시리즈선의 1호선에서 결정된 주요 수직 치수는 오차범위 1퍼센 트 이하가 되어야 한다. 원통형 갑판지지 구조의 반잠수형 구조물의 시리즈 1호선인 경우 그 외 무게중심 및 중량이 변하기 쉬우므로 상세중량계산 등 1호선과 비교하여 세심한 주의를 기울려야 한다. 3.1.3 경사시험의 결과, 재화중량조사, 그리고 중량변화에 따른 경사시험은 운 용지침서에 명기되어야 한다. 3.1.4 경하중량자료에 영향을 주는 기계류, 구조, 의장품과 장비에 대한 모든 변화의 기록은 작동설명서, 경하상태 변화 기록부에 명기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일일 운용자에게 제시 되어야 한다. 3.1.5 원통형 갑판지지 구조의 반잠수형 구조물에 있어서 재화중량조사는 5년 을 초과하지 않는 간격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재화중량조사 결과, 계산된 경 하배수량이 가동 배수량의 1퍼센트를 초과하는 변화가 있다면 경사시험을 실 시하여야 한다. 3.1.6 경사시험 또는 재화중량조사는 주관청 공무원 또는 정식위임을 받은 자 또는 승인조직의 대표자의 입회하에 실시하여야 한다. 3.2(복원모멘트와 경사모멘트곡선) 3.2.1 계산을 지원하는 그림3-1과 같은 복원모멘트곡선과 바람경사모멘트곡 선은 부양상태에 대한 모든 범위의 흘수에 대하여 작성되어야 하며 이동 상 태에서의 이들 곡선과, 적용 가능한 가장 적합하지 않은 위치에서 최대 갑판 화물과 장비를 고려하여야 한다. 복원모멘트곡선과 바람경사모멘트곡선은 가 장 영향이 큰 축방향에 대하여 작성되어야 하고, 탱크내 액체의 자유표면효 과도 포함되어야 한다. - 30 -
3.2.2 장비가 낮춰지거나 적하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면 추가적인 바람경사모 멘트곡선이 요구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이 장비의 위치를 분명히 명시하여야 한다. 3.2.3 바람경사모멘트곡선의 바람하중 (F)는 다음 식에 의한다. F = 0. 5Cs CH P V 2A 이 식에서 F : 바람하중 Cs : 형상계수로써 구조부분의 형상에 따라 표 3-1에 의한 값 CH : 고도계수로써 구조부분의 고도에 따라 표 3-2에 의한 값 P : 공기의 밀도 V : 풍속(m/sec) A : 구조물의 직립상태 또는 경사상태에서 모든 노출표면의 투영면적(m2) 3.2.4 풍속은 구조물과 관련하여 어떤 방향에서도 고려되어야 하며 풍속은 다음 각 호에 따른다..1 일반적으로 가동상태에서는 풍압은 가동상태에서는 36미터/초(70 knots), 극한해상상태에서는 51.5미터/초(100 knots)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2 구보물이 바람을 직접 받지 않는 한정된 보호구역(호수, 항만, 강과 같은 보호된 수역)에서만 작업을 하는 상태에서는 일정풍속을 25.8미터/초(50 knots)이하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풍속을 감하여 적용할 수 있다. 3.2.5 수직면에 대한 투영면적계산시 경사와 트림으로 인한 바람을 받는 표면 의 면적 및 저부갑판 등 적절한 형상계수를 적용하여야 한다. 노출된 트러스 작업구역은 선수와 선미 단면을 합한 투영블록면적의 30퍼센트 즉, 한 면의 투영면적은 60퍼센트이다. 3.2.6 바람경사모멘트 계산시 바람에 의한 전복력 레버는 모든 투영표면의 풍 압중심으로부터 구조물의 수면하 구조부의 횡방향 저항중심까지 수직거리이 다. 이때 구조물은 계선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 부유라고 가정한다. 3.2.7 바람경사모멘트곡선은 구조물의 각 상태의 경사각마다 계산하여야 한다. 선박형 구조물의 경사모멘트곡선은 선박 경사각이 코사인함수로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3.2.8 바람경사모멘트는 대표모델의 풍동실험에 의해 구할 수 있는데, 3.2.3 내 지 3.2.7에 주어진 방식에 따른 변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사모멘트값 은 다양한 경사각에 따른 부양하고 끄는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야 한다. - 31 -
표 3-1 계수 C s 의 값 구조부분 C s 구형 선각 구조 0.4 원통형 구조 0.5 주선각 1.0 갑판실 1.0 독립된 구조부재(크레인, 형강, 보 등) 1.5 갑판하부분(평활면) 1.0 갑판하부분(노출된 보, 거더 등) 1.3 작업용타워(각 면) 1.25 시추용 데릭 1.25 와이어 1.2 밀집한 갑판실 또는 이와 동등구조 1.1 표 3-2 계수 C h 의 값 수직높이 ( m) 15.3 이하 15.3 초과 30.5 이하 30.5 초과 46.0 이하 46.0 초과 61.0 이하 61.0 초과 76.0 이하 76.0 초과 91.5 이하 91.5 초과 106.5 이하 1106.5 초과 122.0 이하 3122.0 초과 137.0 이하 4137.0 초과 152.5 이하 6152.5 초과 167.5 이하 167.5 초과 183.0 이하 183.0 초과 198.0 이하 198.0 초과 213.5 이하 213.5 초과 228.5 이하 228.5 초과 244.0 이하 244.0 초과 256.0 이하 256 초과 C h 1.00 1.10 1.20 1.30 1.37 1.43 1.48 1.52 1.56 1.60 1.63 1.67 1.70 1.72 1.75 1.77 1.79 1.80-32 -
그림 3-1 복원모멘트 및 경사모멘트곡선 3.3(비손상복원성기준) 3.3.1 작동상태의 각 단계별 복원성은 다음 각 호의 기준과 같이 일치하여야 한다.(그림 3-1참조).1 수상형구조물과 갑판승강형 구조물에 대한 두 번째 교점과 범람각도에 대한 복원모멘트곡선 아래면적은 적어도 동일한 제한각에서 바람경사모멘트 곡선 아래 면적보다 40퍼센트 이하가 되어서는 아니 된다..2 원통형 갑판지지 구조의 반잠수형 구조물의 범람각에 대한 복원모멘트 곡선 아래 면적은 동일한 제한각에서의 바람경사모멘트 아래 면적보다 적어 도 30%이하가 되어서는 아니 된다..3 복원모멘트곡선은 직립상태로부터 두 번째 교점까지 각의 영역은 양(+)의 복원력을 가져야 한다. 3.3.2 모든 구조물은 가상의 조건과 일치하는 기간 내에 가혹한 해상상태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추천 절차와 요구되는 대략적인 시간 간격 및 가동 조건과 이동상태는 운용지침서에 기술되어야 한다. 고체소모품의 제거 또는 재배치 다른 하중의 변화와 관계없이 가혹한 해상상태를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주관청은 제출된 허용 가능한 KG값이 초과하지 않는다면 다음 각 호의 조건에서 가혹한 해상상태에 견디도록 고체소모품을 제거 또는 재배치 하는 등의 행위를 허용할 수 있다. - 33 -
.1 극한 해상상태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구조물에 대해 기상 조건이 매년 또는 계절적으로 충분히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지리학적 위치에 있는 경우.2 구조물이 있는 장소가 일기가 좋은 짧은 기간동안 임시 갑판하중을 지지 하도록 요구되는 곳에 있을 경우, 지리적 위치, 허용 가능한 기상상태와 하중 조건은 운용지침서에 명시되어야 한다. 3.3.3 대체복원성기준은 공급된 안전성의 동등레벨이 유지되고, 그리고 적절한 양의 초기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입증 된다면 주관청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의 허용 결정에 대하여 주관청은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 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1 다양한 가동의 상태에서 전 세계적으로 견딜 수 있는 실제풍속과 파랑을 재현하는 환경조건.2 구조물의 동적응답이란 풍동시험, 파랑탱크모형실험, 비선형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포함한 해석이며, 사용된 바람과 파랑의 스펙트럼은 극한 운동의 응 답을 얻을 수 있는 충분한 주파수대역이어야 한다..3 황천 상태에서 계산된 동적응답을 가지는 해수유입 위치에너지.4 평균풍속과 최대동적 응답으로 인한 고려되는 복구에너지와 정적인 경향 을 전복하는데 대한 구조물의 민감성.5 불확실성에 대한 적합한 안전 여유 값 3.4(구획과 손상복원성) 수상형구조물과 갑판승강형구조물 3.4.1 구조물은 3.5에 나타난 손상추정과 동일한 시추작업 또는 이동상태에서 일반적인 해수유입에도 한 구획의 충분한 부력과 복원성을 유지하도록 충분 한 건현을 가져야 하고 수밀갑판과 수밀격벽으로 구획 분할되어야 한다. 3.4.2 구조물은 어떤 방향으로 과 부가된 풍속 25.8미터/초(50 knots)를 기본 으로 한 바람경사모멘트를 견딜 수 있는 손상조건에서 충분한 복원성을 가져 야 한다. 이런 조건에서 최종흘수는 해수유입후, 하부로 배출하는 어떤 개구 부의 낮은 모서리보다 아래 부분에 위치해야 한다. 반잠수형 구조물 3.4.3 구조물은 다음 각 호에 주어진 조건의 시추작업상태 또는 이동상태에 서 어떤 방향으로 과부가 된 풍속 25.8미터/초(50 knots)기본으로 한 바람경 - 34 -
사모멘트를 견딜 수 있는 손상조건에서 충분한 복원성을 유지하여야 한다..1 3.5.10.2의 손상후에도 경사각은 17도 이하이어야 한다..2 손상후 최종수선하부 개구는 수밀이 되어야 하며, 최종수선보다 상부 4미터 이하의 개구는 풍우밀폐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3 그림 3-2에서 손상 후 복원모멘트곡선은 바람경사모멘트와의 1차 교점으 로부터 2차 교차점 또는 풍우밀 상실범위 중 작은 것까지 최소 7도 이상의 범위를 가져야 하며, 이 범위 내에서 복원모멘트곡선은 바람경사모멘트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그림 3-2 복원모멘트 및 바람경사모멘트곡선 3.4.4 반잠수형 구조물은 어떤한 가동상태 또는 이동상태에서도 전체 또는 일 부가 수선하부에 위치한 펌프실, 해수냉각식 기관이 위치한 구획 또는 수면 근처의 한 개의 수밀구획 중 어느 하나의 구획이 침수되어도 다음 각호의 요 건에 적합하여야 한다..1 침수후 경사각은 25도 이하일 것.2 손상후 최종수선하부 개구는 수밀이 될 것.3 7도 양(+)의 복원력을 가질 것 모든 구조물의 구획과 손상복원성 3.4.5 3.4.1 내지 3.4.4까지의 요건은 구조물의 규모와 설계특성, 그리고, 손상 - 35 -
구획의 배치 및 구성을 고려하여 계산하고 결정되어야 한다. 3.4.6 펌프를 이용한 배수, 선박평형수, 계선력의 작용 등으로 경사각이 감소 하는 경우에는 그 요구사항을 엄격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3.4.7 대체 구획분할과 손상복원성기준은 주관청에 의해 승인되어야 한다. 그 리고 안전성이 유지되는 동등레벨의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준의 승인 결정에 있어서 주관청은 최소한 다음의 각호의 계산서를 검토하여야 한다..1 제27조에 나타난 손상의 범위.2 반잠수형 구조물에 있어서 3.4.4에 기술한 특정구역에 대한 해수유입.3 전복시를 대비한 적정여유치의 반영 3.5(손상범위) 수상형구조물 3.5.1수상형구조물의 손상복원성 계산을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손상 범위는 유효한 수밀격벽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1 수평방향의 손상범위는 1.5미터로 한다..2 수직방향의 손상범위는 저부외판으로부터 상방전역으로 한다. 3.5.2 효과적인 수밀격벽간의 거리 또는 수밀격벽과 수평관통범위로 추정되는 곳의 가장 가까운 단계의 위치가 3.0미터 이상 이어야 한다. 그 위치에서 수밀 격벽은 더 짧은 거리 이거나 더 많은 수의 인접한 격벽은 무시한다. 3.5.3 만약 3.5.1보다 더 작은 범위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그 위치가 복원성 을 저하시키는 조건이라면 작은 범위의 손상도 고려하여야 한다. 3.5.4 배관시스템, 통풍장치 및 트렁크 등 제1호에 언급된 손상범위가 손상을 받는 것으로 한다. 비 손상 구획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침수가 예상되는 경우 에는 폐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갑판승강형 구조물 3.5.5 갑판승강형구조물의 손상복원성 계산시 다음 각 호의 손상범위는 유효 한 수밀격벽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한다..1 수평방향의 손상범위는 1.5미터로 한다..2 수직방향의 손상범위는 저부외판으로부터 상방전역으로 한다. 3.5.6 효과적인 수밀격벽간의 거리 또는 수밀격벽과 수평관통범위로 추정되는 - 36 -
곳의 가장 가까운 단계의 위치가 3.0미터 이상 이어야 한다. 그 위치에서 수밀 격벽은 더 짧은 거리 이거나 더 많은 수의 인접한 격벽은 무시 한다. 3.5.7 만약 3.5.5보다 더 작은 범위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그 위치가 복원성 을 저하시키는 조건이라면 작은 범위의 손상도 고려하여야 한다. 3.5.8 플랫폼과 갑판은 손상범위 이상에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서로 결합 근접성 때문에 주관청이 필요가 없다고 인정한다면 동시에 적용하지 아니 할 수 있다. 3.5.9 모든 배관, 통풍장치, 트렁크 등 3.5.5에서 언급한 손상범위가 손상을 받 는 것으로 한다. 비 손상 구획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침수가 예상되는 경우에 는 폐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반잠수형 구조물 3.5.10 반잠수형 구조물의 손상복원성 계산시 손상범위는 다음 각 호에 따 른다..1 구조물의 외곽에 있는 컬럼, 수면하 선각 및 브레싱은 수선하부의 노출된 외측 부분만 손상 받는 것으로 한다..2 컬럼 및 브레싱은 운용지침서에 명시된 흘수상방 5미터, 하방 3미터 범위 에서 발생한 손상의 수직범위는 3미터로 하며, 이 범위에서 수밀플랫이 있는 경우에는 수밀플랫의 상하부구획 모두 손상 받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가상 손상 위치는 실제 가동상태를 고려하여 이들 손상위치보다 작게 가정할 수 있다. 다만, 손상범위는 고려하는 흘수 상하 각각 1.5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3 흘수선의 위치에 있어서 원주의 1/8보다 작은 범위 내에 있는 수직격벽을 제외하고 수직격벽은 손상을 받는 것으로 한다..4 수평방향의 손상범위는 1.5미터로 한다..5 푸팅 또는 하부선각은 경하상태 또는 이동상태에 있어서 3.5.10.1, 3.5.10.2, 3.5.10.4 와 3.5.10.3 또는 3.5.6의 규정에 따라 손상을 받는 것으로 한다..6 손상범위 내 모든 배관, 통풍시스템 및 트렁크 등은 모두 손상을 받는 것 으로 한다. 비 손상 구획의 외부로 점진적으로 침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폐 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37 -
3.6(수밀성) 3.6.1 수밀구획내 개구의 수는 설계와 시추선에서 작업하기 적합한 수량으로 최소한으로 하여야 하며, 접근통로로써의 수밀갑판과 격벽의 관통구가 설치 되는 장소는 배관, 통풍 및 전기케이블 등등 배치를 둘러싼 구역의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6.2 수밀구획에 수밀을 유지하여야하는 밸브는 펌프실 또는 다른 통상적인 승무원 거주구역, 풍우밀갑판, 해수유입후에 최종수선보다 상부에 있는 갑판 에서 작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반잠수형 구조물의 수밀에 필요한 밸브는 중 앙밸러스트 조정구역에서 작동이 가능하여야 하며, 또한 밸브개폐지시기는 원격조종구역에 있어야 한다. 3.6.3 갑판승강형구조물에서 수밀성이 유지되는 것이 요구되는 통풍시스템밸 브는 구조물이 부상상태에서 폐쇄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필요한 통풍장치는 승인후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6.4 내부개구의 수밀성 보증 방법은 다음 각 호에 따른다..1 구조물의 가동시 사용되는 출입문과 해치커버는 부상상태에서 밸러스트를 중앙통제장치에서 원격조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또한 각각의 설치위치 에서도 원격조종이 가능해야 하고, 개폐지시기는 제어실에 설치할 것..2 부상 중에는 항상 폐쇄하여야 할 것을 알리는 주의 경보장치를 문이 있는 장소에 비치하고, 그 경보장치는 중앙제어장치에서 출입문과 해치가 열려있는 지 폐쇄되어 있는지를 독립적으로 나타내어야 하며, 이러한 각 출입문과 해치 커버가 구조물이 부상 중에는 폐쇄하여야 할 것을 알리는 주의 표시판을 출 입문과 해치카버가 있는 장소에 비치 할 것. 3.6.5 구조물의 부상상태에서 가동 중의 수밀폐쇄 방법은 다음 각 호에 따른 다..1 구조물이 부상 중에는 항상 폐쇄하여야 할 것을 알리는 주의 표시판을 문이 있는 장소에 비치하여야 한다...2 볼트로 체결하여 덮개를 덮은 맨홀은 1호의 주의 표시판의 비치를 요하지 아니 한다..3 갑판승강형구조물의 경우에 부상 전에 모든 개구가 폐쇄된 것을 확인 한 개구 대상물, 기입사항들을 공식 로그북, 근무일지 및 그 외 다른 방법에 의 해 기록 되어야 한다. - 38 -
3.6.6 구조물이 본래의 복원모멘트와 바람경사모멘트사이 1차 교점까지 경사질 때 낮은 모서리가 잠기는 모든 하부유입개구와 손상조건은 가까이 배치된 볼 트로 체결된 뚜껑 같은 것도 적정수밀차단 적용조건에 적합해야 한다. 3.6.7 체인로커의 해수유입 또는 그 외 부양성 체적이 발생할 이들 장소의 개 구는 하부유입지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3.7(건현 일반) 3.7.1 1966 만재흘수선조약 증서와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모든 구조물에 적 용되어야 하며, 증서는 적합하게 발행되어야 한다. 조약에 근거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계산할 수 없는 구조물의 최소건현은 적용 가능한 비손상 및 손상 복원성과 위치 이동 상태와 부상 중 시추장치 가동시 구조적 요구사항을 기 본적으로 결정하여야 하고 건현은 적용된 조약에 의해 계산된 값보다 적어서 는 아니 된다. 3.7.2 갑판, 선루, 갑판실, 출입문, 해치커버, 그 외 개구, 통풍구, 배수구, 유입 구 및 배출구 등등의 풍우밀과 풍우밀에 대한 1966 만재흘수선조약의 요구조 건은 부양조건에서 모든 구조물에 기본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3.7.3 일반적으로 해치와 통풍구 빗물받이의 높이, 문턱 등, 노출된 위치와 이 들 폐쇄방식은 비손상 및 손상복원성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7.4 비손상 복원곡선이 도달하는 하부에 요구되는 구역에서 경사각전에 침 수될 수 있는 모든 하부유입개구는 수밀폐쇄장치에 적합해야 한다. 3.7.5 손상복원성을 고려하여 3.4.3.2, 3.4.4 및 3.6.6을 적용해야 한다. 3.7.6 주관청은 개구의 위치가 비상시 폐쇄될 수 없는 장소인 비상발전기를 위한 공기유입구, 추정손상후 비손상복원곡선과 최종수선과의 관계되는 것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상형구조물의 건현) 3.7.7 수상형구조물 만재흘수선은 1966 만재흘수선 조약을 기준으로 표시되 어야 하며 이 조약의 모든 요건들은 준수하여야 한다. 3.7.8 만재흘수선은 비손상 및 손상 복원성요구사항 또는 주관청에서 요구하 는 다른 한정하는 최소건현보다 크도록 지정할 필요가 있다. 1966 만재흘수 선조약의 규칙 6(6)을 적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건현이 지정될 때 원의 중심 - 39 -
보다 상방의 계절표식은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원의 중심보다 하부 쪽의 계 절표식은 표시하여야 한다. 만약 구조물 소유주의 요구로 최소건현보다 크게 지정하면, 규칙 6(6)의 적용을 아니 할 수 있다. 3.7.9 외부의 바다와 직접 통하는 문풀이 설치되는 경우 문풀의 용적은 배수 량의 계산에 포함되지 아니 하여야 하며, 웰과 오목한 곳보다 아래쪽에서 0.85D수선보다 상부에 있는 대형단면에 대해서는 부분은 추가해야 한다. 만 약 폐쇄된 상부구조가 문풀의 부분을 포함한다면, 선루의 유효거리를 감소하 여야 한다. 건현갑판에 개방형의 웰과 오목한 곳이 있는 경우 건현갑판까지 의 웰 또는 오목한 곳의 용적을 0.85D에서의 수선면적으로 나눈 것과 같은 수정값을 선수높이 수정을 제외한 모든 수정을 한 후 건현에 더하여야 한다. 복원성 계산시 침수한 웰 또는 오목한 곳의 자유표면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3.7.10 구조물의 선미에 구조물의 작은 틈 또는 좁은 개구부는 3.7.9의 규정을 따른다. 3.7.11 구조물의 선미에 좁고 길게 나온 부위는 구조물의 부속물로 간주 하고, 건현계산용 길이에는 포함시키지 아니 하며, 주관청은 길이(L)에 기초한 구 조물의 강도를 위해 요구되는 선미에 좁고 길게 나온 부분의 영향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갑판승강형 구조물의 건현) 3.7.12 갑판승강형 구조물의 만재흘수선은 1966 만재흘수선조약에 따라 계산 하여야 한다. 부상상태에서 가동 중이거나 위치 이동 중일 때 특별히 제외 사항이 없을 경우에는 조약에서 정한 모든 조건을 따라야 한다. 그러나 이들 구조물은 구조물이 해저 바닥에 지지되거나 구조물의 갑판승강 지지대를 낮 추거나 올리는 상태에서는 이 조약을 적용하지 아니 한다. 3.7.13 1966 만재흘수선조약에 의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계산할 수 없는 구조 물의 최소건현은 부상상태에서 비손상 및 손상복원성과 구조적 요구조건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7.14 만재흘수선은 비손상 및 손상 복원성요구사항 또는 주관청에서 요구하 는 다른 한정하는 최소건현보다 크도록 지정할 필요가 있다. 1966 만재흘수 선조약의 규칙 6(6)을 적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건현이 지정될 때 원의 중심 보다 상방의 계절표식은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원의 중심보다 하부 쪽의 계 - 40 -
절표식은 표시하여야 한다. 만약 구조물 소유주의 요구로 최소건현보다 크게 지정하면, 규칙 6(6)의 적용을 아니 할 수 있다. 3.7.15 외부의 바다와 직접 통하는 문풀이 설치되는 경우 문풀의 용적은 배수 량의 계산에 포함되지 아니 하여야 하며, 웰과 오목한 곳보다 아래쪽에서 0.85D수선보다 상부에 있는 대형단면에 대한 부분은 추가해야 한다. 만약 폐 쇄된 상부구조가 문풀의 부분을 포함한다면, 선루의 유효거리를 감소하여야 한다. 건현갑판에 개방형의 웰과 오목한 곳이 있는 경우, 건현갑판까지의 웰 또는 오목한 곳의 용적을 0.85D에서의 수선면적으로 나눈 것과 같은 수정값 을 선수높이 수정을 제외한 모든 수정을 한 후 건현에 더하여야 한다. 복원 성 계산시 침수한 웰 또는 오목한 곳의 자유표면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3.7.16 구조물의 선미부에 작은 틈 또는 상대적으로 좁은 개구부는 3.7.15의 절차를 적용한다. 3.7.17 구조물의 선미에 좁고 길게 나온 부위는 구조물의 부속물로 간주 하고, 건현계산용 길이에는 포함시키지 아니 하며, 주관청은 길이(L)에 기초한 구 조물의 강도를 위해 요구되는 선미에 좁고 길게 나온 부분의 영향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3.7.18 유인 갑판승강형 구조물이 예인 위치 보다 아래에 있을 때 이 구조물 의 경우 요구 선수 높이를 항상 만족하지 않더라도 요구하는 선수 높이를 따 라야 한다. 이런 환경에서 주관청은 구조물에 대한 적용범위를 고려하여야 한다. 예정된 경로와 탁월풍(항풍) 조건에 대하여 항해상에 주기적인 기상상 황을 고려하여야 한다. 3.7.19 갑판승강형 구조물이 구조물의 부양 중에 부력을 배분하는 넓은 갑판 또는 동등지지구조가 있을 경우에 갑판과 동등지지구조는 건현 계산시 무시 하고, 저부매트 또는 동등지지구조는 구조물의 복원성 계산시 고려될 수 있 으며, 상부선체가 위험할 수 있는 수직위치이상 기울어져 부양중인 때를 고려 해야 한다. (반잠수형 구조물의 건현) 3.7.20 반잠수형 구조물의 선체형상의 구조물은 실행 불가능한 지정학적 건현 계산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모든 반잠수형 구조물의 최소건현은 다음 각 호의 요구사 항을 따라야 한다. - 41 -
.1 구조물의 구조강도.2 파고와 갑판구조물간의 최소허용치(2.6.1 내지 2.6.3 참조).3 비손상 및 손상복원성 요구조건 3.7.21 최소건현은 구조물의 적당한 위치에 표시하여야 한다. 3.7.22 반잠수형 구조물의 폐쇄형갑판구조물은 풍우밀 구조이어야 한다. 3.7.23 반잠수형 구조물에서 창문, 현창, 환창, 볼트체결타입 개구, 또는 동등 한 개구는 갑판구조물하부에 위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3.7.24 주관청은 비상시 폐쇄할 수 없는 비손상복원성과 관련되고 추정 손상 후 최종흘수선에 관계있는 개구의 위치는 특별히 고려하여야 한다. 4장 구조물의 기계장치 4.1(일반사항) 4.1.1 제4장 내지 제8장의 기계장치 및 전기관련 규칙은 개인이 화재, 전기충 격 또는 그 외 신체적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이 규칙들은 해 양과 산업현장에 적용된다. 4.1.2 해양시추산업에 실제 적용하여 효과가 증명되고 동 규칙과 상충되지 아 니하는 규칙 및 기준은 이 규칙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4.1.3 모든 기계장치, 전기설비, 보일러 및 기타 압력용기, 파이프 관 계통, 부 착물 및 배선은 적절히 설계 제조되어야 하고, 장치의 움직이는 부분, 고온부 및 기타 위험요소로부터 승선원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설치하고 보호하여야 한다. 설계에는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사항과 장치의 용도(해상용 또 는 산업용), 운전상태 및 주위환경 상태에 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장 치의 안전에 필수적인 시스템 및 설비의 고장에 대한 결과가 고려되어야 한 다. 4.1.4 장치의 안전운전에 필수적인 기계장치, 장치요소 및 시스템은 다음 각 호 의 정적 경사조건하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다만, 주관청은 장치의 형식, 크기 및 운전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경사각 이외의 각을 인정 또는 요구할 수 있다..1 반잠수형 구조물은 모든 방향에 있어서 15도까지.2 갑판승강형 구조물은 모든 방향에 있어서 10도까지 - 42 -
.3 수상형 구조물은 15도의 횡경사와 동시에 5도 종경사 4.1.5 갑판승강형 구조물의 승강장치(Jacking mechanisms)는 어떠한 구성요소 의 고장으로 구조물의 하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여분의 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4.2(기계장치 규정) 4.2.1 내부압력을 받는 보일러, 기계장치 부품, 증기장치, 유압장치, 공기압장치 및 기타 장치와 관련 부착물은 최초 운전하기 전에 압력시험을 포함한 적절한 시험을 받아야 한다. 4.2.2 보일러 및 압력용기를 포함한 기계장치의 청소, 검사 및 정비를 위한 적 절한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4.2.3 기계장치의 과속회전(overspeed)이 있을 수 있는 경우에는 안전회전수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4.2.4 압력용기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또는 그 장치의 부품이 내부압력이 있 고 이 압력으로 인한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압력초과에 대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4.2.5 동력전달 장치의 기어, 축 및 커플링은 엔진의 형식을 고려한 최대운전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4.2.6 실린더 내경 200밀리미터 이상 또는 크랭크케이스 0.6세제곱미터 이상의 내연기관의 크랭크케이스에는 충분한 압력경감 면적을 가진 형식승인 된 도 출밸브가 설치되어야한다. 사람의 부상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릴리프밸 브로부터 배출이 직접 되도록 하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4.2.7 기계장치에는 장치의 급속한 손상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윤활유 공급문제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기계장치를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경고음을 울리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주관청은 자동차단장치를 대신할 수 있는 규정을 승인할 수 있다. 4.2.8 필수보조장치 중 하나가 운전이 되지 아니하는 경우 반잠수형 구조물의 밸러스트시스템, 갑판승강형구조물의 승강장치 또는 분출억제기와 같이 중요 시스템의 정상 운전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4.2.9 데드쉽 상태에서 외부 도움 없이 기계장치가 운전될 수 있는 조치가 마 - 43 -
련되어야한다. 4.3(증기보일러 및 급수장치) 4.3.1 증기보일러 및 증기발생장치에는 적절한 용량의 안전밸브를 2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주관청이 보일러 및 증기발생장치의 출력 및 기타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상에 문제가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1개의 안전밸브를 설치 할 수 있다. 4.3.2 사람이 기계를 감시하고 있지 아니하는 기름점화보일러에는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당직자가 있는 공간에 수위 낮음, 공기 부족 또는 점화실패 시에는 경보가 울려야 한다. 4.3.3 물공급 부족으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에는 급수펌프를 포함한 독립적인 급수장치를 2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고, 급수 시스템 상의 과압을 방지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증기 발생장치의 역할이 구조물의 안전에 필수적이지 아니하고, 급수의 부족 시 시스템을 정지할 수 있는 자동안전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급수시스템만을 설치할 수 있다. 4.3.4 보일러 급수의 질을 조절하고 감시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고, 기름의 유입과 보일러의 작도에 역효과를 낼 수 있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3.5 수위를 갖도록 설계되고 구조물의 안전에 필수적인 보일러에는 수위를 표시하는 장치를 2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며 이중 1개는 직접 읽을 수 있는 유리수면계로 하여야 한다. 4.4(증기관 시스템) 4.4.1 모든 증기관과 이에 접속하는 증기가 통할 수 있는 관부착물은 이들이 받을 우려가 있는 최대작동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고 제작 설치하여야 한다. 4.4.2 위험한 워터해머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모든 증기관에는 드레인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4.3 증기관 또는 관부착물이 그 설계압력보다 높은 압력의 증기관으로부터 증기공급을 받을 경우에는 적당한 감압밸브, 도출밸브 및 압력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 44 -
4.5(기계제어장치) 4.5.1 구조물의 안전에 필수적인 기계들은 그 운전과 제어를 위하여 효과적인 수단이 공급되어야 한다. 4.5.2 구조물의 안전에 필수적인 자동기동, 자동운전 및 자동제어장치는 원칙 적으로 수동조작에 의한 자동제어장치의 기능을 정지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자동 및 원격제어장치중 어느 한부분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수동조작 으로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수동정지장치의 작동유무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지시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4.6(공기압축장치) 4.6.1 모든 장치에는 압축공기장치에 의한 과잉압력을 방지하는 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특히, 공기압축기 및 냉각기의 워터자켓 및 케이싱에 압축공기 의 누설로 인하여 위험한 과다압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압력저감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6.2 내연기관의 시동공기장치는 관내부의 폭발 및 화재역류에 대하여 적절히 보호하여야 한다. 4.6.3 공기압축기의 공기토출관과 공기저장탱크의 내연기관 시동용 공기관은 완전히 분리하여야 한다. 4.6.4 시동공기압력계통의 오일 유입을 최소화하고 드레인 장치에 대한 규정이 만들어져야 한다. 4.7(연료, 윤활유 및 기타 가연성 기름에 대한 배치) 4.7.1 연료의 저장, 분배 및 이용을 위한 배치는 승선원과 기계장치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4.7.2 강압 윤활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름의 저장, 분배 및 이용을 위한 배치는 승선원과 기계장치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7.3 동력전달, 제어, 반응촉진장치 및 열전달 장치에서 압력을 받는 가연성 기름의 저장, 분배 및 이용을 위한 배치는 승선원과 기계장치의 안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7.4 화재의 위험을 고려하여 기계장치공간에서 가연성 기름을 이송하는 파이프, - 45 -
부착물 및 밸브는 주관청이 승인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4.8(빌지 펌프 설비) 4.8.1 빌지관장치는 청수, 밸러스트 수, 연료 및 액체화물을 이송하는 공간 이외의 수밀구역에 효과적으로 빌지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야하고 제35조 제4항에서 명시하는 직립 및 경사진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빌지를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주관청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큰 공간과 특수한 형태의 공간에는 추가적인 흡입관을 설치하여야 하며, 흡입관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빌지흡입관이 설치되지 아니한 공간에는 빌지를 흡입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빌지가 드레인 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해수 또는 액체 탱크에 인접한 구획과 액체가 흐르는 관이 통과하는 빈 공간에는 누수탐지장치 를 설치하여야 한다. 주관청에서 구조물의 안전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특정한 구역에 대한 빌지관장치 및 누수탐지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4.8.2 각 빌지 주관에는 최소한 2개의 자흡식 동력펌프(self-priming power pumps)를 설치하여야 하며, 빌지관장치에 연결부위가 서로 맞으면 위생수, 선박 평형수, 일반적인 서비스펌프 각각을 동력빌지펌프로 인정할 수 있다. 4.8.3 모든 빌지관은 강 또는 주관청이 인정한 재료로 만들어져야 하며, 빌지관 이 밸러스트 탱크를 통과하는 경우 부식 및 기타 저해요인을 고려하여 빌지관을 설계하여야 한다. 4.8.4 빌지관장치는 건 장소 내에 해수 유입 방지 또는 한쪽구역에서 다른 구역 으로 가지 않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4.8.5 빌지관장치에 연결된 모든 분배박스 및 수동조작 밸브는 정상적인 환경하 에서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만재흘수선하의 통상 사람이 근무 하지 않는 구역 안에 위치하고 빌지의 고액면경보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그 구역 밖에서 조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8.6 밸브의 조작이 가능한 모든 장소에서 해당 밸브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는 지시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지시장치는 밸브 스핀틀 작동에 의한 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4.8.7 폭발의 위험이 있는 위험한 구역의 드레인은 제57조제2항에 의거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8.8 반잠수형 구조물의 추가 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 46 -
.1 침수시 구조물의 복원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체인로커에는 원격 침수참지장치를 설치하고 영구적인 배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침수에 대한 가시가청의 경보장치를 중앙 밸러스트 제어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2 4.8.2의 규정에 의한 펌프 중 최소한 1대와 모든 펌프룸 빌지흡입관의 밸브는 원격 및 기계측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3 구조물의 하부선각 내의 무인추진실 혹은 무인펌프실에 가시가청의 경보를 발하는 독립된 2개의 빌지 고액면 경보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고, 중앙 밸러스트 제어장소에도 동일한 경보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9(반잠수형 구조물의 밸러스트장치) 4.9.1 구조물 작업, 항해 중에서 밸러스트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밸러스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주관청은 제어할 수 있는 중력 밸러 스트장치도 인정할 수 있다. 4.9.2 밸러스트장치는 3시간 내에 수평상태의 가장 깊은 정상작동흘수에서 극한 하중시의 흘수까지 또는 주관청이 지정하는 경우 더 큰 높이로 구조물을 부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4.9.3 밸러스트장치는 밸러스트펌프 고장 시에도 다른 펌프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2대의 독립된 펌프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펌프는 밸러 스트 전용펌프일 필요가 없으며 언제든지 밸러스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4.9.4 밸러스트 장치는 3.5.10에서 명시된 손상상태 하에서 작동될 수 있어야 하고 밸러스트 주입 없이 안전흘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어야 한다. 주관청은 운전절차에 다른 유량계측(counter-flooding)을 허용할 수 있다. 4.9.5 밸러스트장치는 구조물의 한쪽의 밸러스트를 상대쪽으로 부주의하게 이동 시키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장치는 역시 밸러스트 이동시 구조물의 복원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 탱크에서 다른 탱크로 단일 밸브를 통하여 밸러스트를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4.9.6 비상전원으로부터 4.9.3에서 요구하는 밸러스트 펌프의 운전이 가능하여 야 한다. 배치는 4.1.4.1의 규정에 의하여 경사로부터 구조물을 회복하고 동력 공급장치의 상실 후에도 안전한 흘수 상태로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4.9.7 모든 밸러스트장치는 강제이거나 주관청이 승인한 재질이어야 한다. 부식 - 47 -
및 기타 저해상황을 고려하여 밸러스트 탱크를 통과하는 밸러스트 관장치를 설계하여야 한다. 4.9.8 모든 밸브 및 밸브제어기기에는 기능이 명시되어야 하며, 밸브의 조작이 가능한 모든 장소에서 해당 밸브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는 지시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4.9.9 공기관은 각 밸러스트 탱크에 충분한 수로 설치하여야 하고, 4.9.1 내지 4.9.9에 언급한 상태에서 밸러스트 이송장치가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횡단면적에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구조물을 정상적인 흘수로 만들거나 손상 상태 하에 기울어지지 않도록 밸러스트 탱크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 공기관의 개구는 제3장에서 명시한 가장 최악의 수선 위에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기관은 제3장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손상 부위의 밖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4.9.10 중앙 밸러스트 제어장소는 구조물의 극한하중과 손상가정조건하에 있을 때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기상조건에 보호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들 장소가 제3장에서 정한 손상가정의 관통범위 내에는 배치하여서는 아니 되며, 손상시 최종수선보다 상부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 중앙 밸러스트 제어장소에는 다음 각호와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1 펌프 제어 장치.2 펌프 상태 표지 장치.3 밸브 제어 장치.4 밸브 위치 표시장치.5 탱크 액면 표시장치.6 흘수 지시장치.7 횡 종경사 표시장치.8 전원표시장치(주전원 및 비상전원).9 선박평형수장치 유압/공기압 표시 장치 4.9.11 중앙 밸러스트 제어장소와 밸러스트펌프 및 밸브에 대한 대체 제어수단 을 갖는 장소와의 통신수단 제어 및 지시장치는 어느 하나의 장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서로 독립적인 기증을 가져야 한다. 4.9.12 제1항의 제어 및 표시장치는 한 시스템의 고장으로 다른 시스템이 영향 을 받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운전을 할 수 있거나 충분한 여분장치를 가지고 - 48 -
있어야 한다. 4.9.13 동력 작동식 밸러스트밸브는 동력원이 상실된 경우, 닫힌 상태로 있어야 하며 동력원이 복구되었을 경우 이등 밸브는 시스템 복구가 확인될 까지 닫힌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각 밸러스트펌프의 기계측 제어장치 및 해당 펌프 에 관련된 밸러스트탱크 밸브의 현장 제어장치는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4.9.14 4.9.10.5의 탱크수위표시장치에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1 밸러스트 탱크 내의 수위를 표시하여야 한다. 측심관과 같은 2차 수위 확인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탱크 수위 센서는 탱크 주입관에 설치되어서는 아니 된다..2 다른 탱크(연료, 청수, 드릴링워터 또는 액체저장탱크, 주관청이 복원성 및 구조물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는 액체 주입 및 빈 탱크)의 액체수위를 표시하여야 한다. 4.9.15 흘수 표시장치는 구조물의 각 모서리 또는 주관청이 적절하다고 인정 하는 대표적인 위치의 흘수를 지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9.16 액체의 유입에 의하여 밸러스트 장치의 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장치의 전자장치는 제53조제21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4.9.17 밸브의 개폐를 표시하는 장치는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 어야 하고, 이 표시장치는 밸브 스핀들의 작동에 따라 표시하여야 한다. 4.9.18 밸러스트펌프 및 밸러스트밸브의 제어시스템을 그들의 전원, 공기압 또 는 유압의 동력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중앙 밸러스트 제어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4.9.19 구조물의 주동력원으로부터 독립적인 영구히 설치된 통신장치가 중앙 밸러스트제어 장소 및 밸러스트 펌프 및 밸브가 설치된 장소 또는 밸러스트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장소 사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4.10(해수유입 방지) 4.10.1 지정된 흘수선 아래의 공간에 설치된 해수 입 출구에는 다음 각 호의 밖에서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작동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1 모든 반잠수형 구조물.2 일반적으로 사람이 상주하지 아니하고 밸브가 설치된 공간 및 빌지 액면 검출장치가 설치되지 아니한 공간의 모든 구조물 - 49 -
4.10.2 3.6.4.1에 설치된 제어장치와 표시장치는 일반 상태 및 주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어야 하며, 주전원이 차단된 경우를 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을 시에는 이 용량은 주관청이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4.11(수상형 및 반잠수형 구조물의 계류설비) 4.11.1 구조물의 일시 계류상태를 위하여 단일 장치가 설치된 경우 묘박장치는 적절한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고, 모든 설계조건에서 구조물을 스테이션 에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계류설비는 어떤 하나의 구성요소가 손상 또는 유실되더라도 잔여 계류설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11.2 앵커, 케이블, 샤클 및 관련연결 장치는 승인된 기준에 따라 설계, 제 작, 시험 되어야 한다. 설비에 대하여 주관청은 시험 및 승인 관련 다는 증빙 자료를 유지하여야 한다. 장치의 변경 및 검사에 대하여 본선에서 기록을 하 도록 하는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4.11.3 앵커 케이블은 와이어, 로프, 체인 또는 조합으로 만들어 져야 한다. 4.11.4 주전원이 차단된 이후에도 구조물로부터 앵커 케이블을 풀 수 있도록 장 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11.5 페어리더 및 활차는 앵커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 및 마모를 방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선체 또는 구조물의 접합부는 앵커 케이블에 파괴강도가 전 가 되었을 때 전가된 강도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4.11.6 항해 중에 앵커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앵커 저장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4.11.7 각 양묘기에는 두개의 독립적인 동력정지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각 브레이크는 적어도 앵커 케이블 파괴강도 50퍼센트의 정적부하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주관청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중 하나는 수동으로 작동 이 가능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4.11.8 양묘기의 설계에는 양묘기의 최대 설계속도에서 앵커를 전개하는 동안 앵커, 앵커 케이블 및 앵커 취급선박으로부터 걸리는 부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는 충분한 동적브레이크용량이어야 한다. 4.11.9 양묘기 전원이 상실되었을 때 동력구동정지장치가 자동으로 작동시키 고 양묘기 총 정적정지용량의 50퍼센트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4.11.10 각 양묘기는 작동시 잘 보이는 위치로부터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