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36권 3호2015년 9월 J Int Korean Med 2015:363308-322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 虛 證 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최제인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Fungiform Papillae and its Correlation with Rome III Classification and Spleen Qi Deficiency in Functional Dyspepsia Jane Choi Jin-sung Kim Dept of Gastroenter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Whether there exists a distinct pathogenesis in subgroup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e classification of epigastric pain syndrome and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remains controversia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FP in the subgroups of FD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Methods: Patients with FD were enroll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All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Rome Ⅲ criteria for FD The severity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were separately assessed by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NDI-K version and 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SQDQ The number of FP was measured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within an area of 9 mm 2 using a digital camera Results: The NDI-K score SQDQ score and number of FP in the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group Also the group had more patients diagnosed with spleen qi deficiency The number of F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pigastric pain and burning Furthermore the number of F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core of some items in NDI-K and SQDQ even though not with the total score Conclusions: Thus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FP could be a new evaluation indicator for allocation into FD subtypes and to investigate the severity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reflecting visceral hypersensitivity Key words: functional dyspepsia Rome Ⅲ criteria fungiform papillae spleen qi deficiency visceral hypersensitivity Ⅰ 서 론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전체 투고일: 20150824 심사일: 20150924 게재확정일: 20150925 교신저자: 김진성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한방3내과 TEL: 02-958-8895 FAX: 02-958-9136 E-mail: oridoc@khuackr 이 논문은 2015년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석사학위 논문임 인구에서의 유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약 11~30% 우리나라의 경우는 약 155% 정도로 추정되는 질 환으로 다수의 환자들에게서 삶의 질 저하를 유발 하며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질환이 다 12 2006년 개정된 로마기준 ⅢRome Ⅲ criteria 에 따르면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진단시점으로부 터 적어도 6개월 이전에 증상이 발생하여 지난 3 개월간 만성적인 소화불량 증상이 지속되면서 검 308
최제인 김진성 사 상 증상을 설명할 만한 특별한 기질적 질환이 없는 경우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기능성 소화불 량증은 뚜렷한 검사 소견이 없고 다양한 병태생리 가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어 명확한 진단이나 치 료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질환이다 때문에 로마기준 Ⅲ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보다 세부적으로 명치통증증후군 과 식후불편감증후군 의 두 아형으로 분류한다 로마기준 Ⅲ의 아형분류는 주로 환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에 근거하게 되고 명확한 과학적 근 거 및 분류기준에 대한 유효성 평가가 아직 부족 한 실정이지만 병태생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위 배출 시간이나 호산구 수 위벽의 긴장도 등에서 아형과 아형의 의미 있는 차이를 관찰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 역시 진료실에 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임상에 서 실제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의학의 여러 진단방법 중 하나인 설진 舌診 은 인체의 생리기능과 병리변화를 파악하기 위하 여 주로 설질과 설태의 상태를 관찰하는 진단법이 지만 현대적으로는 혀에 분포하는 설유두 의 특성을 관찰하기도 한다 특히 혀에 존재하는 네 종류의 유두 가운데 설첨부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심상유두 의수 로 미뢰의 밀도를 간접적으로 추산할 수 있어 이를 특정 질환의 진단 지표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예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는 건강인에 비하여 심상유 두의 수가 유의하게 많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이 는 의 여러 병태학적 요인 중에 중추신경계에 서 미각과 유해수용성 기전이 상호작용하여 나온 결과로 보고 있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혀를 之外候라 하며 經 主 " 在竅爲 "과 難經 通於 和則能 矣 " 등의 구절에서 보이듯 미각과 관 련된 부분을 기능과 연관시켜 보고 있다 가 3 epigastric syndrome pain postprandial 4 distress syndrome 5 6-8 lingual 9 papillae fungiform papillae 10 burning BMS 11 口 知五味 口 12 內 13 氣 口 胃 氣 化 14 15 visceral hypersensitivity 16 60 15 氣 Spleen i Deficiency uestionnaire S D 연구대상 및 방법 Ⅱ mouth syndrome BMS 생리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물질적 기초인 가 부족해지면 運 기능이 상실되어 소화불량 식욕감 소 전신피로 등의 다양한 소화기계 증상이 발생한 다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한 한 연구에 서는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의 정도와 심상유두 수 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심상유두 수가 많아 미각이 예민하여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가 발생된 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유발 하는 여러 병태생리학적 요인 중에 내장 과감각 이 아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과 혀와 식도는 발생학적 기원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내장 감각이 더 예민한 아형이 미각에 대한 민감성 또한 높아져 있을 것 으로 보아 명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대상 으로 로마기준 Ⅲ에 근거하여 아형을 분류한 후 소화불량 증상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을 평가하 였다 더불어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 의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 등의 증상은 가 부족한 비기허증 의 대표적인 증상이므로 비기허증 환자가 비기허 증이 아닌 환자에 비해 미각이 더 예민하여 상기 증상을 호소할 것으로 보고 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 Q Q Q Q를이 용하여 대상자의 비기허증 여부 및 정도를 파악하여 심상유두 수와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 에 대해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대상 본 연구는 년 월부터 년 월까지 경희 대학교 한방병원 한방 내과에서 진행한 임상연구 인 만성적인 소화불량 환자 및 건강대조군의 설 영상 자료 수집 에 참여한 지원자들 중 포함기준 및 제외기준 을 적용하여 적합하다고 선 정된 명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전원은 연구 목적 및 과정 등에 대하여 연 1 2014 8 2014 11 3 Table 60 1 309
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虛證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기능성 소화 구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들었으며 자발적인 동 의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의학연구윤리에 대 한 헬싱키 선언을 준수하였으며 경희대학교 한방 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의 승인 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IRB No KOMCIRB-140821-HR-004-02 Table 1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① ② Inclusion criteria Over the age of 20 Patients who complain of dyspepsia within the previous 3 months and reporting the onset of symptoms at least 6 months before Those who have 1 or more of the following symptoms: bothersome postprandial ③ ④ ⑤ ① ② ③ ④ fullness early satiety and epigastric pain or burning No evidence of structural disease on upper endoscopic examination that could explain dyspepsia symptoms No difficulty in communication; such as reading writing seeing hearing etc Patients who sign a written informed consent spontaneously Exclusion criteria Severe systemic organ diseases such as cancer infectious or other serious consumptive diseases Pregnancy or mental disorders Patients unable to limit oral activitieseating gargling etc at least 4 hours Patients considered unsuitable for this study by clinical research associate 연구방법 인구사회학적 조사 전체 연구대상자 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한 면 담을 실시하여 성별 연령 년 이환기간 개월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흡연력 음주력 등을 조사하였다 로마기준 Ⅲ에 근거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아형 분류 연구대상자들이 호소하는 다양한 소화불량 증상의 아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로 마기준 Ⅲ를 적용하였다 년 개정된 로마기준 Ⅲ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진단시점으로부터 적어 도 개월 전에 발생하여 지난 개월간 지속되는 만 성적인 소화불량 증상이 있으며 상부 위장관 내시 경검사 등으로 증상을 설명할 수 있는 기질적 질 환이나 대사성 및 전신적 원인이 없는 경우에 기 능성 소화불량증이라 진단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화불량 증상이란 불쾌한 식후포만감 조기만복 감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네 가지 증상을 뜻한다 2 1 60 cm kg 2 kg/m body mass index BMI 2 6 2006 3 310 317 문진을 통해 연구대상자들이 주로 호소하는 증상 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여 식후포만감 및 조기만복 감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는 식후장애증후군인 아형으로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을 주로 호소하는 환 자는 명치통증증후군인 아형으로 분류하였다 한국판 소화불량증 설문지 시행 연구대상자들의 소화불량 상태를 평가하고자 한 국판 소화불량증 설문지 를 작성하게 하였 다 소화불량증 설문지 는 등 이 개발한 소화불량증의 질병 특이적 삶의 질 평가도구이다 를 국내에 서 이용하기 위하여 원저자의 승인을 받아 번역과 역번역 및 국문과 교수의 수정을 거쳐 한국판으로 번역한 설문지인 는 내적 일치도와 검사 재 검사 신뢰도가 높고 공존타당도 변별타당도 구성 타당도 등이 검증된 설문지이다 는 증상 점수표 삶의 질에 관한 문항 가중치에 대한 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증상 점수표 3 Nepean Nepean index-korean Nepean dyspepsia version NDI-K Nepean index NDI Nepean dyspepsia 18 Talley - NDI NDI-K - 1819 NDI-K
최제인 김진성 를 이용하여 소화불량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증상 점수표는 상복부 통증 상복부 불쾌감 상 복부 쓰림 가슴 쓰림 상복부 경련 가슴의 통증 조기 만복감 위산 역류 식후 포만감 상복부 압박 감 상복부 팽만감 구역 트림 구토 및 숨쉬기가 좋지 않음 등의 가지의 증상에 대해 각각 빈도 강도 및 괴로운 정도를 나누어 평가한다 증상의 빈도는 지난 주 동안 증상이 나타난 일 수에 따라 단계로 평가하였으며 전혀 없었다 지난 주간 일 일 일 매 일 또는 거의 매일 있었다 강도는 심한 정도에 따 라 단계로 전혀 없었다 매우 약하였다 약하였다 조금 심하였다 심하였다 매우 심하였다 괴로운 정는 심한 정도에 따라 단계로 평가하였다 전혀 없었다 매우 미약하였다 미약하였다 심하였다 매우 심하였다 각 증상의 점수는 빈도 강도 및 괴로운 정도의 점수를 더하여 구하였고 가지 증상의 점수를 모 두 합하여 총 점수를 구하였다 총 점수가 높을수록 소화불량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를 이용한 비기허증 판정 연구대상자의 비기허증 證 여부를 진단 하기 위하여 오 등 이 문헌조사를 통한 비기허증 의 증상 추출 국어화 작업 및 전문가 자문의 과정을 거쳐 개발한 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 설문지 Q Q 를 이용하였다 비기허증이란 소화불량 식욕부진 식사량 감소 체중 감소 전신 피로 등의 소화기계 이상 증상을 주증상으로 하는 병증으로 알려져 있 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얻어진 비기허증의 주요증 상 중에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가지 항목 便溏 薄 胀 后尤甚 肢体倦怠 納少 面色萎黄 少 懶言 瘦 疲 欲减退 舌 苔 脈緩 에 대하여 심한 정도에 따라 단계로 평가하였다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가끔 Appendix 1 15 2 5 1= 0= 2 1~4 2=5~8 3=9~12 4= 6 0= 1= 3= 4= 2= 5= 5 0= 2= 3= 1= 4= 15 NDI-K NDI-K 4 氣虛 20 spleen qi deficiency Appendix questionnaire S D 2 11 腹 食 消 神 食 大 淡 白 氣 弱 5 1= 0= 2= 그렇다 자주 그렇다 항상 그렇다 총 개 문항 중 개 문항은 연구대상자가 직접 작성하게 하였고 설진 및 맥진은 한의사가 연구대 상자를 진찰 후 중증도를 평가하였다 각 응답점수 에서 가중치를 반영하여 최종합산점수를 구한 후 선행연구를 통해 마련한 최적절삭점인 점을 기준으로 이를 초과한 경우에는 비기허증으로 진 단하고 미만인 경우에는 비기허증이 아닌 것으로 진단하였다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측정 연구대상자들이 호소하는 상복부 통증과 쓰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적 상사 척도 를 이용하였다 먼저 상복부 통 증 및 쓰림 각각의 증상이 있는지 여부를 묻고 증 상이 있다면 지난 주간 그 정도가 어떠하였는지 답하게 하였다 가로선에 지점을 없음 으로 지점을 매우 심함 으로 설정하 여 연구대상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정도를 가로선 위에 직접 표시하게 하였다 지점에서 표시 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자로 측정하여 점수화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 하였다 심상유두 수의 측정 심상유두 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혀 표면 일부에 분포하는 심상유두 수 를 이용해 혀 전체의 심상유두 수를 유추할 수 있 다는 선행연구 의 측정 방법을 참고하여 전체 연구 대상자에서 동일하게 심상유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설첨 부위를 디지털 카메라 로 촬영하여 단위면적당 심상유두의 수를 구하였다 심상유두를 보다 선명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측 정 시간 전에 일체의 구강활동을 금하도록 미리 안내한 후 심상유두는 염색이 되지 않거나 연하게 염색시키는 반면 사상유두는 진하게 염색시키는 청색 호 식용색소를 이용하여 측정 부위를 염색 하였다 촬영을 위하여 혀는 전방으로 내밀도록 한 후 미리 직경 의 구멍을 뚫어놓은 멸균 거즈 3= 4= 11 9 4318 5 VAS Visual Analog Scale VAS 2 100 mm 100 mm 0 mm 0 mm 6 fungiform papillae 21 SAMSUNG NX300M 4 1 6 mm 311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 虛 證 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를 설 첨부 중앙에서 1 cm 떨어진 곳에 완전히 밀 착시키는 방법으로 전체 대상자의 측정 부위와 면 적을 일치시켰다Fig 1 혀 끝은 자연스럽게 떨어 뜨리고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한 후 사진을 5~6 매 연달아 촬영하여 심상유두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 난 사진을 선택하여 직경 6 mm의 단위면적 내에 분포하는 심상유두 수를 세었다Fig 2 유두의 수와 소화불량증의 정도 및 비기허증의 정 도에 대한 상관관계는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에 따른 비기허증 여부에 대한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value<005로 하였 고 연구 자료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PASW Statistics 18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다 Ⅲ 연구결과 Fig 1 Measuring area on the anterior part of the tongue A B 1 일반적 특성 60명의 연구 대상자 중 남성은 10명1667% 여 성은 50명8333%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평균 연령은 남성 3020세 여성 4196세 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소화불량 이환기간은 남성의 경우 평균 416년 여성의 경우 평균 894년으로 여성이 더 길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184 BMI 는 남성의 경우 평균 2344kg/m 2 여성의 경우 평균 2260kg/m 2 으로 남성이 조금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58Table 2 Fig 2 A-B Measurement of fungiform papillae in a human tongue 3 통계분석 A A tongue is stained with the blue food dye and a sterilized gauze with a perforation of 6 mm diameter is placed on the anterior part of the tongue B Arrows indicate typical lingual fungiform papillae 수집된 모든 자료는 Mean±Standard deviation SD 또는 Number%로 나타내었다 일반적 특 성에 따른 각 변수의 평균 비교 및 로마기준 Ⅲ 아 형별 심상유두의 수 소화불량 및 비기허증의 정도 비교는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였고 심상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60 Patients with Chronic Dyspepsia Gender Male Female p N % 10 1667 50 8333 Age year 3020±895 4196±1252 0005* Duration year 416±263 894±925 0184 BMI 2344±263 2260±354 0258 N : number of subjects BMI : body mass index Values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P-value is calculated by Mann-Whitney U test *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312
최제인 김진성 2 로마기준 Ⅲ 아형별 심상유두의 수 소화불량 및 비기허증의 정도 비교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에 근거하여 각 연구대상자의 주 호소 증상에 따라 아형과 아형으로 나누었다 이 중 증상과 증상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형 환자 들은 보다 통증에 민감한 유형으로 보고 아형 에 포함시켰다 이에 최종적으로 아형은 39 명 아형은 단독형 3명과 혼합형 18명을 포함 한 21명으로 분류되었다Table 3 1 심상유두 수의 비교 심상유두 수의 경우 아형이 단위면적당 평균 764개 아형이 평균 1033개로 아형 에서 더 많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Table 3 2 상복부 통증 및 쓰림 정도의 비교 상복부 통증의 VAS 점수는 아형이 평균 1374점 아형이 평균 3462점으로 아형이 더 높았으며 상복부 쓰림의 VAS 점수도 아 형이 평균 1962점 아형이 평균 4433점으로 역시 아형에서 더 높았다 두 아형 간의 상복부 통증과 쓰림의 VAS 점수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0000Table 3 3 NDI-K 점수와 SQDQ 점수의 비교 소화불량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총 NDI-K 점수는 아형이 평균 1246점 아형이 평 균 2519점으로 아형이 더 높았으며 비기허증 의 정도를 나타내는 총 SQDQ 점수는 아형이 평균 4598점 아형이 평균 5367점으로 역시 아형에서 더 높았다 두 아형 간의 총 NDI-K 점수와 총 SQDQ 점수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0023Table 3 Table 3 Comparisons of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the Degree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between and Groups p N % 39 65 21 35 Number of Fpap 764±364 1033±332 0007* VAS of Heartburn 1962±1898 4433±1870 0000* VAS of Epigastric pain 1374±1717 3462±2113 0000* NDI-K score 1246±861 2519±1442 0001* SQDQ score 4598±1240 5368±1159 0023* :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 epigastric pain syndrome N : number of subjects Fpap : fungiform papillae VAS : visual analog scale NDI-K :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SQDQ : 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Values are the mean±standard Deviation P-value is calculated by Mann-Whitney U-test *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3 심상유두 수와 상복부 통증 및 쓰림과의 상관성 연구 대상자의 단위면적당 심상유두의 수와 상 복부 통증 및 쓰림 정도 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단위면적당 심상유두의 수는 상복부 통증의 VAS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18 p=0013 상복부 쓰림의 VAS 점수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r=0447 p=0000table 4 Table 4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and VAS of Epigastric Pain and Heartburn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r p VAS of epigastric pain 0318 0013* VAS of heartburn 0447 0000* VAS : visual analog scale P-value is calculated by Spearman's correlation r :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 : p<005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pearman two-tailed 313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 虛 證 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4 심상유두 수와 NDI-K와의 상관성 연구 대상자의 단위면적당 심상유두의 수와 NDI-K 점수 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NDI-K 점 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r=0231 p=0076 NDI-K 설문지의 몇 가지 세부 문항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15가지의 세부 문항 중 상복부 통증 에 해당하는 1번 문항r=0287 p=0026 상복부 쓰림 에 해당 하는 3번 문항r=0321 p=0012 및 식후팽만감 에 해당하는 9번 문항r=0411 p=0001에서 각각 심상유두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를 나타내었다Table 5 5 비기허증 판정 결과 및 심상유두 수와의 상관성 전체 연구 대상자 60명에게 비기허증 진단평가 도구 설문지를 시행한 결과 설문지의 최적절삭점인 4318점을 기준으로 비기허증에 해당하는 환자는 총 41명 비기허증에 해당하지 않는 환자는 총 19명 이었다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에 근거한 39명의 아형에서 비기허증에 해당하는 환자는 24명 비기 허증이 아닌 환자는 15명이었으며 21명의 아 형에서 비기허증에 해당하는 환자는 17명 비기허 증이 아닌 환자는 4명이었다 로마기준 Ⅲ 아형분 류에 따른 비기허증 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χ 2 =2378 p=0123table 6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and NDI-K Scor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r p No 1 Pain in upper abdomen 0287 0026* No 2 Discomfort in upper abdomen 0024 0858 No 3 Burning in upper abdomen 0321 0012* No 4 Heartburn 0140 0284 No 5 Cramps in upper abdomen -0116 0379 No 6 Chest pain 0052 0695 No 7 Inability to finish regular meal 0056 0672 No 8 Bitter tasting fluid that comes 0203 to your mouth 0119 No 9 Fullness after eating 0411 0001** No10 Pressure in upper abdomen 0173 0186 No11 Bloating in upper abdomen 0188 0150 No12 Nausea -0048 0717 No13 Belching 0124 0344 No14 Vomiting -0023 0863 No15 Bad breath 0094 0474 Total Score 0231 0076 NDI-K :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P-value is calculated by Spearman's correlation r :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 : p<005 ** : p<001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pearman two-tailed Table 6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According to Subtype of Rome Ⅲ Criteria Spleen Qi Rome Ⅲ deficiency pattern Total criteria Yes No n% χ 2 p n % n % 24 615 15 385 39 1000 2378 0123 17 810 4 190 21 1000 SQDQ : 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 epigastric pain syndrome 연구 대상자의 단위면적당 심상유두의 수와 SQDQ 점수 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SQDQ 점수 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 고p=0152 11가지의 설문지 세부 문항 중 살이 빠졌다체중 감소 에 해당하는 7번 문항에서는 심 상유두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440 p=0000table 7 314
최제인 김진성 Table 7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and SQDQ Score Number of papillae 便溏薄 後尤甚 体倦怠 胀 肢 No 2 Distention and fullness 腹 食 No 3 Overexertion and fatigue 納少 面色萎黄 No 4 Torpid intake No 5 Sallow complexion 少 懶言 No 6 Shortage of qi and hollow voice 氣 瘦 疲 欲减退 脈 No 7 Loss of weight 消 No 8 Lassitude of spirit 神 No 9 Appetite decrease 食 緩 舌 苔 No10 Moderate and weak pulse 弱 No11 Pale QQ S D tongue 淡 and white fur 白 p 0144 0273 0107 0417 0204 0117-0067 0613 3 3 0034 0795 0218 0095 ** 0440 0000 0126 0337 0064 0627 0030 0822-0047 0719 0187 0152 epigastric pain postprandial syndrome distress syndrome 4 ' : 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 6 r P -value is calculated by Spearman s correlation 523 r : Spearman s correlation coefficient : p 2006 34 criteria Total score ** < Rome fungiform No 1 Sloppy stool 大 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로 증상에 근거하여 진단을 하게 되며 대표적인 진단기준이 년 개 정된 로마기준 Ⅲ Ⅲ 이다 로마기준 Ⅲ에 따르면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진단시점으로부터 적어도 개월 이전에 증상이 발 생하여 지난 개월간 만성적인 소화불량 증상이 있으면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비롯한 검사 상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 질환 혹은 대사성 및 전신적 원인이 없는 경우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화불량 증상이란 식후포만감 조기만복 감 상복부 통증 혹은 쓰림의 네 가지 증상을 의미 하며 이 중 환자가 주로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상 복부 통증과 쓰림을 주증상으로 하는 명치통증증 후군 과 식후포만 감과 조기만복감을 주증상으로 하는 식후불편감증 후군 의두 아형으로 나뉜다 현재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와 의 두 아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하여 역학연구 병태생리 연구 치료방법 연구 등이 행해진 바 있지만 아직 명확한 과학적 근거 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연구 자체가 제한적인 실정 이다 이 중 아형과 아형을 구분하는 병태생리학적 특징으로는 아형에서 아 형보다 위배출이 지연되어 있고 호산구 증가 소 견이 보이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위벽의 긴장도를 측정하였을 때는 아형에서 아형보다 전 정부의 긴장도가 더 높다 는 등의 연구 결과가 있 다 하지만 이러한 소견들은 진료실에서 환자를 진 찰할 때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실 제 임상에서 활용도가 떨어진다 맥진 脈診 과 더불어 대표적인 한의학적 진단방 법인 설진 舌診 은 혀를 관찰하여 신체의 이상 여 부를 진단하고 질병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현 재까지도 임상에서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다 설 질과 설태의 상태를 파악하는 전통적인 설진 방법 외에도 현대적으로 혀에 존재하는 유두의 특성을 관찰하는 방법도 있다 혀에는 네 종류의 유두가 001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pearman two-tailed 6 Ⅳ 고찰 7 소화불량증은 뚜렷한 원인 질환이 존재하는 기 질성 소화불량증과 검사 상 특별한 이상이 없거나 이상이 있더라도 증상과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 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나눌 수 있다 만성적 인 소화불량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내 원하면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포함한 다양한 검사 를 시행하여 기질적 원인이 있는지 확인하고 관련 질환을 배제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라 진단하는 배제진단을 시행하게 된다 한편 절대진단으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경우 진단을 위한 생체지표 22 8 9 315
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虛證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기능성 소화 있으며 이 중 심상유두는 설첨부에 많이 분포하고 미뢰를 포함하고 있는 유두로 이를 특정 질환의 진단 지표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심 상유두가 미각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몇 차 례 보고가 된 바 있으며 특정 질환과 관련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에서 건강인에 비하여 심상유두의 수가 많 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는 의 병태학적 요 인중 의 존재와 관련해서 미각과 유해 수용성 기전의 상호작용에 근거한다고 제시한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미각과 통증 감각이 연결되어 있어 미각 손상의 결과 말초 및 중추신경계가 상 호작용하여 통증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위장관의 운동성 장애 내 장 과감각 의 감염 경도의 염 증 및 정신 신경성 장애 등 다양한 병태생리 기전 이 제시되고 있다 아형은 여러 병태생리 기 전 중 내장 과감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 져 있으며 이러한 내장 과감각은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증상을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혀와 식도는 연결된 소화기계로 발생학적 기원을 같이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내장 감각이 민감한 아형에서 미각에 대한 민감성 또한 높을 것으로 보고 미뢰를 포함하고 있는 심상유두의 수와 상복 부 통증 및 쓰림이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편 한의학에서는 혀를 之外候라 하며 經 主 " 在竅爲 "과 難經 通於 和則能 矣 " 등의 구절에서 미각과 관련된 부 분을 기능과 연관시키며 혀를 관찰함으로써 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는 가 생리활동을 수행하는 물질적 기초로 가 부 족하여 運 기능이 상실되면 소화 및 흡수 기능의 감퇴를 위주로 소화불량 식욕감소 전신피로 등의 다양한 소화기계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 등 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소아 및 청소년에서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의 정도와 심상유두 수가 양 2425 Burning mouth syndrome BMS BMS supertaster 11 11 Helicobacter pylori 17 16 26 口 知五味 內 13 口 氣 口 胃 氣 氣 化 14 316 胃 15 12 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저체중군에서 더 큰 상관성 을 가진다고 보고한 바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심상유두의 수와 비기허증의 정도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로마기준 Ⅲ 분 류와의 연관성도 함께 살펴보았다 로마기준 Ⅲ에 따라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아형 을 분류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명 중 단독형은 명 단독형은 명 와 의 혼합형은 명이었다 박 등 이 수행한 만성적인 위장관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 명을 대 상으로 한 우리나라 연구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명 중 아형이 아형이 로 보고되어 이와 유사한 분포비율을 나타냈으나 이 연구에서는 두 아형으로 분류되지 않은 환자가 로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 서는 대상자 모집 단계에서 스크리닝을 통하여 로 마기준 Ⅲ를 적용하였기에 대상자 모두를 아 형 아형 및 의 혼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발생한 차이로 보인다 분류 결과 상 와 아형의 비율이 차이가 있어 본 연 구에서는 아형이 보다 통증에 민감한 특징을 갖는다고 보고 와 혼합형을 최종적으로 아형에 포함시켜 분석을 시행하였다 아형과 아형의 심상유두 수를 비교한 결과 아형은 단위면적당 심상유두 수가 평균 개 아형은 평균 개로 아형에서 심상유두의 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심상유두 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다룬 등 의 연구에 따르 면 기존 심상유두 관련 연구에서 많이 활용한 직경 원의 단위면적이 유효성이 있으며 한 연구 내에서 측정 부위를 통일 시킨다면 이를 통해 전 체를 유추하여 그 수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미리 직경 의 구멍을 뚫어 놓은 멸균거즈를 이용 하였고 측정 부위도 설첨부에서 떨어진 중앙 부위로 통일시켜 전체 대상자의 단위면적당 심상 유두 수를 측정하였으므로 타당한 방법으로 심상 60 39 18 3 27 391 180 744% 50% 183% / 1033 764 Maryam 21 6 mm 6 mm 1 cm
최제인 김진성 유두 수를 비교하였다 할 수 있고 그 결과 통증에 더 민감한 특징을 갖는 아형에서 심상유두의 수가 유의하게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형과 아형의 상복부 통증과 쓰림 정도를 비교한 결과 두 증상 모두 아형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아형과 아형을 나눌 때 통증에 더 민감 한지에 중점을 둔만큼 상복부 통증과 쓰림의 VAS 점수는 두 아형에서 뚜렷한 차이가 났으며 이는 두 군의 설정이 올바르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주기 도 한다 또한 심상유두 수와 상복부 통증 및 쓰림 정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 를 나타내어 심상유두 수가 많을수록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정도도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는 심상유두가 내장 과감각의 정도를 확인하는 지 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형과 아형의 소화불량 증상 정도를 비교한 결과 아형에서 아형보다 총 NDI-K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소화불량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NDI-K를 이용하여 기능성 소화 불량증에 대한 위운동촉진제의 효과를 평가한 연 구 28 에서는 NDI-K가 소화불량증과 관련된 질병에 특이적이며 증상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여 기 능성 소화불량증의 임상 연구에서 적절한 평가 도 구가 될 수 있다고 제시한 바 있다 NDI-K 문항 에는 식후포만감 조기만복감 상복부팽만감 등의 의 주된 증상을 비롯하여 상복부의 통증 상복부 쓰림 위산 역류 등의 의 주된 증상 등이 같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혼합형이 포함된 아형이 통증과 관련된 문항에서 점수가 더 높게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NDI-K 점수와 심상유두 수와의 상관성을 보면 NDI-K 총 점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세부 문항 중 3개의 문항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해당 세부 문항은 상복부 통증 에 해당하는 1번 문항과 상복부 쓰림 에 해당하는 3번 문항 식후팽만감 에 해당하는 9번 문항인데 이 중 상복부 통증 과 상 복부 쓰림 은 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앞에 나온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VAS 점수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다만 식후팽만감 은 의 주증상인 데 심상유두 수와 양의 상관성이 있다는 것은 와 의 혼합형에서 단독형보다 식후팽만 감의 정도 자체가 더 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 러나 아형과 아형 모두 한 가지 증상으 로만 정의되는 유형이 아니기 때문에 식후팽만감 의 한 가지 결과만으로는 위와 같이 단정 짓기에 는 어려움이 있고 추후 대상자 수를 늘려 추가적 인 역학 조사를 해본다면 더욱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연구 대상자 60명에게 비기허증 여부를 판 별할 수 있는 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 설문지를 시 행한 결과 설문지의 최적절삭점인 4318점을 기준 으로 비기허증으로 진단되는 환자는 41명 비기허 증이 아니라고 진단되는 환자는 19명에 해당하였 다 각 아형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아형에서는 비기허증의 비율이 615% 아형에서는 비기허 증의 비율이 810%에 해당하여 유의한 차이는 아 니지만 아형에서 비기허증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SQDQ 점수를 비교한 결과 아형에서 아형보다 더 점수가 유 의하게 높아 아형이 아형보다 비기허증 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상유두 수와 섭식과 관련한 일련의 선행연구 2930 에서 6-n-propylthiouracilPROP을 이용하여 연 구대상자를 맛에 대한 민감한 그룹 보통 그룹 둔 감한 그룹으로 나누고 심상유두 수를 비교하였는 데 그 결과 맛에 민감한 그룹일수록 심상유두의 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 30 에서는 PROP에 민감한 그룹은 설탕 수용액의 농도가 높 아질수록 선호도가 감소하였지만 PROP에 둔감한 그룹은 설탕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선호도 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심상유두 수에 따라 미 각 전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실제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소아 및 청소년을 317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 虛 證 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 15 에서 심상유두 수가 많은 환아일수록 설문지로 평가한 식욕부진의 정도가 더 심했으며 특히 저체중 그룹에서 더욱 큰 양의 상관성을 보인다고 밝혔고 이러한 상관성은 식욕 부진의 다양한 이유 가운데 정서적 요인과 연관이 깊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심상유두 수와 비기허증 진단평가 도구 설문지 항목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총 SQDQ 점수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했 으며 개별 문항 중 체중 감소 라는 한 가지 항목 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선행 연구 152930 들과 같은 맥락으로 심상유두 수가 많을 수록 맛을 민감하게 느끼게 되어 식습관에 변화가 생기게 되고 정서적으로 혹은 감각적으로 예민하 여 체중 감소가 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그 러나 SQDQ의 다른 관련 항목인 식사량 감소 와 식욕 감소 등 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얻지 못 하였는데 이는 문항의 맥락상 대상자들이 감소 라 는 단어를 해석하는 데에 오해의 여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기허증 환자의 경우 식사량이 나 식욕이 평소에 워낙 적었기 때문에 평소보다는 줄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답했 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설문지의 한 문항에서만 유 의한 상관성을 보여 비기허증과 심상유두 수의 관 계에 대해 단정하긴 힘들지만 다른 문항과는 달리 체중 감소 의 경우 객관적인 수치의 변화이며 이 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으로 식사량이나 식욕의 감소도 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맥락에서 비기허증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을 엿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로마기준 Ⅲ 아 형분류 및 비기허증 여부와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을 확인하고자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는 의미가 있 다 연구 결과 아형에서 아형보다 심상 유두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상유두 수는 상복부 통증 및 쓰림 일부 소화불량 증상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화불량 증상 중 식후팽만감 과의 상관성은 각 아형별 대상자 수를 늘린 역학연구를 해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비 기허증과 심상유두 수에 대하여는 전체 비기허증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체중 감소 라는 항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식사량 감소 식욕 부진 등과 연계된 전반적 인 비기허증 증상과의 상관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설문지 문항을 다듬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하여 심상유두의 수 가 내장 감각의 민감성을 확인하는 새로운 지표가 될 가능성이 있고 소화불량 및 비기허증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에도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 구를 바탕으로 추후 각 아형별 대상자 수를 늘린 대규모의 역학 연구 및 실제 임상에서 진단 지표 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절삭점을 마련하는 등의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심상유두의 관찰이 소화기 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Ⅴ 결 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로마 기준 Ⅲ 아형분류에 근거한 아형과 아 형의 심상유두의 수 소화불량 및 비기허증의 정도 를 비교하고 더불어 심상유두 수와 소화불량 및 비기허증의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연구대상자 60명 중 남성은 10명 여성은 50명으로 여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남녀 간에 연령 외에 이환기간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상 아형에서 아형보다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VAS 점수 총 NDI-K 점수 총 SQDQ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 으며 단위면적당 심상유두의 수도 유의하게 많 았고 비기허증으로 진단되는 비율도 높았다 318
최제인 김진성 3 심상유두의 수는 상복부 통증 및 쓰림의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상유두의 수는 총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개별 항목인 상복부 통 증 상복부 쓰림 식후팽만감 의 점수와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상유두의 수는 총 Q Q 점수와는 유의한 상 관관계가 없었지만 개별 항목인 체중 감소 의 점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VAS 4 792:65-72 7 Talley NDI-K S T MM Aro Hindley P LA Ronkainen Harmsen J WS and duodenal eosinophilia: an adult endoscopic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7;510:1175-83 D Walker Zinsmeister AR Agreus L Non-ulcer dyspepsia 5 NJ Storskrubb 8 Ahmed AB Matre K Hausken T Gregersen H Gilja 참고문헌 OH dyspepsia antral Rome Ⅲ exhibit subgroups different contraction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measured by strain of rate imaging - a pilot study Ultraschall Med 2012; 337:E233-40 1 Mahadeva S Goh KL Epidemiology of functional dyspepsia: a global perspective World J Gastroenterol 9 2006;1217:2661-6 2 Lee EH Hahm KB Lee JH Park JJ Lee DH Kim SK Choi SR Lee ST Development Talley NJ Camilleri M Pagan D Fungiform papillae density in patients Holtmann G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nd xerostomia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2;173:e362-6 12 1305:1466-79 KL NJ Stanghellini Malagelada gastroduodenal JR V Heading Tytgat disorders GN Gut RC Functional 2014;643:133-41 6 Shindo T Futagami S Hiratsuka T Horie A Hamamoto T Ueki N Kusunoki M Miyake K Gudis K Tsukui Comparison of T Iwakiri gastric K emptying Sakamoto and C plasma ghrelin level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non-erosive reflux disease Digestion 2009; 黃 內 : ; 윤창열 김용진 難經硏究集成 서울 주민출판 사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한방병리학 서울 한의문화사 최현 배선재 이상용 이은혜 소아 및 청소년 에서 버섯 유두 개수로 산출한 설 미뢰 밀도와 식습관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2007 p 634-47 14 : 13 1999;45Suppl2 박종규 허규찬 신철민 이혁 윤영훈 송경호 민병훈 최기돈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최근 동 향 대한소화기학회지 裵秉哲 今釋 帝 經 素問 서울 성보사 2012 p 75-103 Koch :II37-42 5 1992 11 Camacho-Alonso F Lopez-Jornet P Molino-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06; Talley ; Brain Res 2002;1382:135-46 Hu P Malagelada JR Stanghellini V Functional 4 : taste pore density in adults and children Dev ol scale in South Korea J Gastroenterol H epatol 2006;1:268-74 Tack J A quantitative study of fungiform papillae and and Q 3 10 Segovia C Hutchinson I Laing DG Jinks AL validation of a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fd- 이봉교 편저 한방진단학 서울 성보사 p 41 70-91 15 ; 2008 p 411-4 2010;241:1-8 16 Wang RF Wang ZF Ke MY Fang XC Sun XH Zhu LM Zhang J Temperature can influence gastric accommodation and sensitivity in functional dyspepsia with epigastric pain 319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 虛 證 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syndrome Dig Dis Sci 2013;589:2550-5 17 Rita Brun Braden Kuo Functional dyspepsia Ther Adv Gastroenterol 2010;33:145-64 18 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Holtmann G Verlinden M Jones M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2:225-35 19 Lee SY Choi SC Cho YK Choi MG Validation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Korean version Kor J Neruogastroenterol Motil 2003;9suppl:48 20 오혜원 이지원 김제신 송은영 신승원 한가진 노환옥 이준희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4;351:157-70 21 Maryam Shahbake Ian Hutchinson David G Laing Anthony L Jinks Rapid quantitative assessment of fungiform papillae density in the human tongue Brain Research 2005;10522 :196-201 22 Hu WH Talley NJ Functionalnon-ulcer dyspepsia: unexplained but not unmanageable Med J Aust 1998;16810:507-12 23 정혜경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배제진단 vs 절대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0;782:163-9 24 Miller SL Mirza N Doty RL Electrogustometric threshold: Relationship to anterior tongue locus area of stimulation and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Physiol Behav 2002;755:753-7 25 한동훈 박지일 임회순 김재형 젊은 성인에서 심상유두개수와 전기미각역치의 상관성 대한 구강내과학회지 2011;361:1-10 26 Voiosu TA Giurcan R Voiosu AM Voiosu MR Functional dyspepsia today Maedica Buchar 2013 Mar;81:68-74 27 Park JM Choi MG Cho YK Lee IS Kim JI Kim SW Chung IS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agnosed by Rome Ⅲ questionnaire in Korea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1;173 :279-86 28 조유경 최명규 김세희 이인석 김상우 정인식 이상열 최석채 설상영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삶의 질에 대한 모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 기학회지 2004;433:160-7 29 Yackinous CA Guinard JX Relation between PROP6-n-propylthiouracil taster status taste anatomy and dietary intake measures for young men and women Appetite 2002;38:201-9 30 Yeomans MR Tepper BJ Rietzschel J Prescott J Human hedonic responses to sweetness: Role of taste genetics and anatomy Physiol Behav 2007;91:264-73 320
최제인 김진성 Appendix 1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NDI-K NDI-K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다음의 질문에서는 지난 2주 동안에 아래의 위장 증상들이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지 / 그 증상은 어느 정도 심하였는지 / 또한 얼마나 당신을 괴롭게 하였는지에 대하여 그 답이 5가지또는 6가지로 나와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해당되는 번호에 표 하여 주십시오 얼마나 자주 증상의 강도는 증상으로 인한 있었습니까? 어떠했습니까? 괴로운 정도는 0=전혀 없었다 0=전혀 없었다 어떠했습니까? 1=하루에서 4일 2=5일에서 8일 1=매우 약하였다 2=약하게 나타났다 0=전혀 없었다 1=매우 미약하였다 합계 3=9일에서 12일 3=조금 심하였다 2=미약하였다 4=매일 거의 매일 4=심하였다 3=심하였다 5=매우 심하였다 4=매우 심하였다 상복부의 통증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상복부의 불쾌함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상복부의 쓰림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가슴쓰림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상복부의 경련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가슴의 통증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조기만복감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위산 역류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식후 포만감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상복부의 압박감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상복부 팽만감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구역메스꺼움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트림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구토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숨쉬기가 좋지 않음 0 1 2 3 4 0 1 2 3 4 5 0 1 2 3 4 총 점 321
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Ⅲ 아형분류 및 氣虛證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기능성 소화 Appendix 2 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SQDQ 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SQDQ 다음 각 증상에 대하여 평소최근 1개월 이내 또는 최근최근 2주 이내의 상태를 기재 바랍니다 전혀 거의 가끔 자주 항상 그렇지 그렇지 그렇다 그렇다 그렇다 가중치 점 수 않다 않다 질 문 0 1 2 3 4 대변이 무르다 便溏薄 늘 윗배가 더부룩하고 식사 후에 더 심해진다 胀 后尤甚 온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肢体倦怠 식사량이 줄었다 納少 얼굴에 윤기나 핏기가 없고 얼굴빛이 누렇다 面色萎黄 기운이 없어 말할 힘이 없거나 말을 많이 하면 기운 이 빠진다 少 懶言 살이 빠졌다 瘦 정신적으로 쉽게 피곤해지거나 집중력이나 의욕이 쉽 게 떨어진다 疲 입맛 또는 밥맛 이 줄었다 欲减退 한의사 설진소견 舌 苔 * 한의사 맥진소견 脈緩 * * 한의사 설진 및 맥진소견은 한의사 인이 진단 및 작성한다 최적절삭점 점을 초과한 경우 비기허증이다 총점 미만인 경우 비기허증이 아니다 1 2 大 636 腹 食 4 1109 1554 978 5 1165 6 7 氣 636 消 神 639 8 9 3 食 10 11 淡 777 1165 白 857 弱 483 1 4318 1 2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