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034C7D0BCFAB4EBC8B85FB1C7BFC0BCBA2E687770>



Similar documents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ABBB9AE2E687770>

歯kjmh2004v13n1.PDF

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ÇѸ¶´ç 32P

03¹ü¼±±Ô

민속지_이건욱T 최종

- 2 -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歯1.PDF

#Ȳ¿ë¼®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01김경회-1차수정.hwp

<C5F0B0E8C7D032352D3030B8F1C2F C1FD292E687770>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Output file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11¹Ú´ö±Ô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4번.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09김정식.PDF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2011´ëÇпø2µµ 24p_0628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12Á¶±ÔÈŁ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IKC43_06.hwp

433대지05박창용

<BFACBCBCC0C7BBE7C7D E687770>


DBPIA-NURIMEDIA

歯M PDF

02À±¼ø¿Á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02양은용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 E687770>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국악누리5월호2차내지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DBPIA-NURIMEDIA

02이용배(239~253)ok

1..


03-ÀÌÁ¦Çö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untitled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2-1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정의 2-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특징 2-3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시장 현황 2-4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사례 연구 2-5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

27송현진,최보아,이재익.hwp

<303220C7D1C5C2B9AE2E687770>

012임수진

6자료집최종(6.8))

06_ÀÌÀçÈÆ¿Ü0926

서론

2 환경법과 정책 제16권( ) Ⅰ. 들어가며 Ⅱ. 가습기살균제 사건의 경과 Ⅲ.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제조물 책임 Ⅳ.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인과관계 입증 완화 Ⅴ. 나가며 Ⅰ. 들어가며 피해유발행위(혹은 인자)가 직접적인 손해를 즉각적으로 유발하는 경우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01이정훈(113~127)ok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Output file

레이아웃 1

¹ýÁ¶ 12¿ù ¼öÁ¤.PDF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04 형사판례연구 hwp

step 1-1

슬라이드 1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00약제부봄호c03逞풚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32B1B3BDC32E687770>

304.fm

Transcription: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The Transcontextualization of Music of Korean "Bukcheong Saja Nori" 권 오 성 /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Kwon, Oh-sung / Prof. emeritus, Hanyang Univ.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1) 권 오 성* 이번 아시아 태평양 음악 국제 학술회의 가 아시아 탈놀이에 관련된 것으로서 탈춤 과 음악과의 관계에 대하여 흥미 있는 정보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필자는 이미 다 알려진 것들이지만 사자춤과 관련된 음악에 대하여 간단히 생각해보 려고 한다. 먼저 장사훈의 [한국전통무용연구(일지사 1977)] 를 참고하여 사자춤 에 대하여 살 펴보기로 하자. 적어도 AD551년 이전에 우륵의 12곡 중에 사자기 에 이름이 보이지만 그 이외의 내용에 대하여는 알 수가 없다. 또한 최치원의 [향악잡영 5수] 중 산예 는 사자무에 대하여 읊은 시이기는 하나 역시 그 음악에 대하여는 알 수가 없다. 그런데 조선 1893년 고종 때 [궁중정재홀기]에 사자무가 실려 있다. [국연정재창사초록]에 의 하면 사자무는 본래 성천 잡극으로서 정해년(고종 24년 :1887)에 비로소 쓰게 되었다 고 하였다. 즉, 1887년에 북한 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성천지방의 사자춤을 처음으로 궁 중에 들여온 것이다. 홀기의 사자춤은 영산회상에 맞추어 청사자 황사자가 요신 족도( 搖 身 足 蹈 )하며 앞으로 나가 동서로 나누어 선 다음 엎드렸다가 일어나 사자의 여러 동작 을 흉내 내며 춤을 춘다. 사자춤이 서역의 구자악 중 사자기 음악에서 전승된 것으로 볼 때 사자춤의 음악은 서역의 음악과 연관이 있을 개연성이 있다. 하지만 고대 서역의 음악도 현재 전해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고대 서역의 구자악 중 사자기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 조직을 역시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여빈이나 곡포와 같은 중국 음악학자들이 구자악의 흔적을 현재 남아 있는 민간음악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음은 다행한 일이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사자춤 음악은 7음 음계로 된 구자음계와는 물론 다르며 [수서음악지]에 의하면 구자악에 5단 7조에 대한 설명이 보이나 이러한 설명은 그렇게 쉽게 해석되어 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자악조와 우리나라의 남쪽과 북쪽에 있는 사자춤 음악을 비교 하는 것은 조금 문제가 있지만 7성 음계라는 점에서 약간 합치되는 점을 발견할 수 있 다. 그러므로 앞으로 계속하여 현재 중앙아시아 각 지역에 남아 있는 민간 음악들을 조 *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109-

아시아 태평양음악 국제학술회의 사 정리하여 우리 사자춤 음악과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진원은 [함경도 사자춤 음악고(한국악기학 창간호 2003)]에서 칼춤 과장은 근래 해방 이후에 남한에서 사자놀이에 합쳐져 연주되던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 다고 하였다. 또 다른 북한 자료에 의하면 칼춤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자놀이 음악의 악 기 편성 중에서 현재 사용되지 않는 악기로 피리 해금 생황 등 다양한 선율 악기들이 퉁 소와 함께 연주되었고 쇄납은 마당놀이에만 사용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남북한에서 전 승되는 사자춤 음악의 음조직이 서로 다르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진원의 설명은 그가 음반해설을 한 [신용춘의 국악세계(정창관 국악 녹음집 5-2002)]의 음악과 해설을 보 면 사자춤과 관련되어 있고 또한 함경도나 연변 지역에서 연주되고 있는 신아우 와 심 방곡 등이 신용춘에 의해 현재도 연주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변 지역과 북한지역에 전승되는 검춤 영산곡 도 들어 볼 수 있어 북한 지역 전승 탈춤곡(사자놀음)에서도 산 대춤, 마당놀이, 사자춤, 사자놀이음악 등으로 구분되어 연주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 다. 위 논문의 북한지역 사자춤 음악보는 장승욱 편저 [민족기악곡집1 (평양 조선문학 예술총동맹출판사 1996)]를 인용하였다. 이와 같이 사자춤은 중국 외에도 화교들이 살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많은 종류가 있다. 그 외에도 한국 일본 등에도 각기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자춤과 그에 따른 음 악들이 있기 때문에 비교문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사자춤과 사자춤음악은 상당한 맥락 변환(transcontextualrzation)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예로서 연구되어야 할 가치 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Janos KARPATI의 [Musical structure of the Pukchong lion dance (한국음악연구 제 22집 (1994)]는 일본의 사자춤과 한국의 사자춤 음악에서 비교적 관 점에서 새로운 출발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야마구치 오사모( 山 口 修 ) 등이 쓴 [비교문화론 - 異 문화의 이해 - (세계사상사 1995)]에서 70여 종의 일본 사자춤의 각기 다른 모습이 바로 문화의 맥락 변환과 관련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자춤음악의 북한 자료에 의하면 남쪽의 시나위와는 또 다른 북쪽의 신아 우 가 있으며 그러한 여러 음악들이 직간접으로 북청사자놀이의 반주음악과 관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북한 자료 중에서 [조선민요곡집 제 1집(조선음악출판사 1959)]에 김상각 창, 한시영 채보인 함경도 무산지방의 신방곡 악보가 있으며 리청수 창, 함경도 북청지방의 북청 닐리리 악보도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되고 있다. 역시 북한 자료인 박은 용의 [조선음악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2.5) 중 신아우에 대하여 ]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요약해서 말하면 신아우 의 악곡 형태는 연쇄곡 형태를 취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하 -110-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여지고 있는 함경도의 퉁소 신아우 는 하나의 독립된 소품 악곡으로 되어 있으나 40~50년 전 시기까지만 하여도 나위뒤푸리 즉 신아우 뒤푸리가 있었는바 신아우 와 나위뒤푸리 가 연결되어 연쇄곡을 이루고 있었다고 한다. 광천군의 퉁소명수의 한 사 람인 전용선의 구술 자료에 의하면 당시 함경도 일대에서 가장 뛰어난 명퉁소의 한 사 람인 엄퉁소 가 생존하던 시기에는 나위뒤푸리를 연주하였다고하나 이후 시기는 단절 되고 말았다. 나위뒤푸리에 대하여는 현재 알 길이 없으나 우리나라 민족 음악에서의 연쇄곡의 특징으로 보아 뒤푸리가 더욱 빠르고 그의 표현이 더욱 적극적이며 앙양되었 으리라는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신아우 의 연쇄곡 형태는 그 자체로서 인간의 긴장된 사고, 심오한 정신적 체험 및 예리한 사회적 갈등의 어떤 측면의 반영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아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설명이 북쪽의 시나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아우 독주의 기본 악기로는 퉁소나 대금인데 함경도 지방에서는 주로 퉁소 를 더 많이 연주하였다면 남도지방에서는 대금이 그러하며 때에 따라서는 가야금, 해금 등 현악기로도 연주된 경우가 있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신아우가 중주로 연주되는 경우는 비교적 다양한 양식이 적용되었는바 함경도 일대 에서는 두개의 퉁소로 중주하거나 때에 따라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리고 남도에서는 피리, 가야금, 거문고, 장구 등의 중주로 또는 삼현육각으로 되는 경우 가 있었다. 이때는 강력한 성격적 다성 수법들이 적용되었다. 이어서 이진원의 [한국음악사학보 27집(2001) 중 시나위의 새로운 정의 시론 ]에서 결론적으로 정의를 내린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남도시나위를 보면 전라도, 경상도 서 부 등지에 전해지는 육자배기토리의 허튼 가락의 기악곡(합주 또는 독주)으로 무속 음 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악곡 으로 정의하며, 경기 시나위는 한강 이남 지역의 경기 지방에서 전해오는 육자배기 토리의 허튼 가락의 기악곡으로 무속 음악과 밀접한 관련 이 있는 악곡 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함경도 시나위는 함경도지방에 전승되는 기악곡으로 주로 명절에 연주되는 메나리토리에 즉흥성이 강한 되돌이 가락형 악곡으 로 주로 퉁소로 연주한다. 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는바 함경도의 신아우는 퉁소로 만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악기로도 연주를 하며 북청 사자놀이의 반주음악과도 상 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음악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남쪽의 시나위는 그 악보는 없지만 안민영의 [금옥총부]에 나오는 가야금 심방 곡과도 연관이 있으며, [양금신보]의 중대엽을 심방곡이라고 한 것과는 별개의 곡이다. 그리고 박연이 말한 '진아우'는 세종 무렵의 음악으로 시나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 상되나 그 음악의 실제는 알 수가 없다. -111-

아시아 태평양음악 국제학술회의 참고로 이제까지 한국의 탈춤 음악과 관련된 여러 가지 글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탈놀이 음악 일반 이혜구, 산대극과 기악, 한국음악연구, 서울: 국민음악연구사, 1957. 이혜구, 양주산대놀이 옴, 먹중, 연잎과장, 예술논문집 제8집, 서울: 대한민국 예술원, 1969. 이혜구, 양주산대가면극의 등장과 퇴장의 형식, 동방학지 제20집, 서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8. 임혜정, 양주별산대놀이의 음악, 양주별산대놀이 (CD),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임혜정,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봉산탈춤의 음악, 한국음반학 제16집, 서울: 한국고음반학회, 2006. 임혜정, 한국 가면극의 음악 고찰 - 본산대놀이계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이용식, 한국의 탈놀이 음악, 전통문화연구 제3호. 용인: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04. 이용식, 탈놀이음악,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서울: 집문당, 2006. 김호석, 봉산탈춤 음악본, 서울: 민속원, 2006. >>> 탈놀이 노래 이보형, 오독도기소리연구, 한국민요학 제3집, 서울: 한국민요학회, 1996. 장휘주, 사당패소리 갈까부다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27집, 서울: 한국국악학회, 1999. 이소라, 수영야류의 노래 고찰, 고전희곡연구 제5집, 서울: 한국고전희곡학회, 2002. 이소라, 봉산탈춤의 <놀량> 연구, 공연문화연구 제7집, 서울: 한국공연문화학회, 2003. 임혜정, 백구타령과 가사 백구사, 한국음악연구 제34집, 서울: 한국국악학회, 2003. >>> 탈놀이 반주음악 이보형, 무형문화재음악조사보고서 - 삼현육각, 서울: 문화재관리국, 1984. 심혁철, 양주별산대놀이 춤사위에 따른 반주음악의 기능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임혜정, 삼현영산회상 염불도드리와 긴염불에 관한 연구, 한국음반학 제8집, 서울: -112-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한국고음반학회, 1998. 임혜정, 향제삼현육각 긴염불 연구, 한국음반학 제12집, 서울: 한국고음반학회, 2002. 임혜정, 해주삼현육각고, 한국음반학 제13집, 서울: 한국고음반학회, 2003. 이용식, Pookchuung Lion Dance Music, SONUS; A Journal of Investigations into Global Musical Possibilities, vol. 20, no. 2 (2000) 이용식, 통영오광대의 반주음악 연구 - 통영 삼현육각 음악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15집. 서울: 한국공연문화학회, 2007. 김호석, 해서탈춤 반주음악 (황해도피리가락), 봉산탈춤 (CD),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원혜진, 양주별산대놀이 반주음악의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제30집, 서울: 한국음악사학회, 2003. >>> 탈놀이 악사 조동일, 악사의 유래와 구실, 탈춤의 역사와 원리, 서울: 홍성사, 1981. 김혜정, 가면극 반주음악의 계통과 악사의 성격, 청계논총 제2집,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0. >>> 노랫말에 관한 국문학적 접근 정상박, 들놀음 양반마당의 대사 전개 양상, 한국문학논총 제2집, 서울: 한국문학회, 1979. 정상박, 고성오광대의 대사 전승 양상, 민속문화 제3집, 부산: 동아대학교 민속문화연구소, 1981. Dieter Eikmeier, 가면극 내의 백구타령, 의민 이두현박사 회갑기념논문집, 학연사, 1984. 박광옥, 탈춤가요의 기능연구 - 양주별산대놀이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이노형, 양주별산대 삽입가요 연구 1, 어문학 제59집, 서울: 한국어문학회, 1996. 이노형, 양주별산대 삽입가요 연구 2, 울산어문논집 제11집, 울산: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정형호, 가면극에 나오는 가요의 수용 양상 -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 제6집, 서울: 한국민요학회, 1999. 한창훈, 가면극 삽입가요의 기능과 성격, 백려어문 16, 서울: 백려어문학회, 2000. (이상 국립국악원 이용식 제공) -113-

아시아 태평양음악 국제학술회의 The Transcontextualization of Music of Korean "Bukcheong Saja Nori" 2) Kwon, Oh-sung*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Pacific Music, which the suggested topic is Asian mask games, is expected to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k dances and music. I propose to comprehend the music of lion dances that are previously analyzed by other scholars. First of all, I will discuss Sajachum, the lion dance, based on Jang Sahun's Hanguk Jeontong Muyong Yeongu (1977). At least before 551 A.D., the name appeared in "Sajagi," among Ureuk's twelve pieces; however, other information is missing. Also, Choi Chiwon's "Sanye," one from Hyangakjapyeong 5 Su, is a poet singing about the lion dance but the music is unknown. However, the lion dance was included in Gungjung Jeongjae Holgi (manuel for the court dance) in 1893 during the reign of Emperor Gojong. According to Gugyeon Jeongjaechangsa chorok, Sajamu or the lion dance was originally a seongcheon Japgeuk and was finally performed as a court dance in 1887, the 24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Gojong. In other words, Sajachum, that had been transmitted in North Korean regions, especially Seongcheon region, was firstly included in the court dance repertoire in the year of 1887. Sajachum in Holgi (manual, handbook) is accompanied by Yeongsan Hoesang; the blue lion and the yellow lion stand on the east and the west sides respectively and imitate a lion's movements. In the analysis of Sajamu, when it is interpreted as an imported dance from Gujaak (music of Kucha) of the west of China, the music of the lion dance * Prof., emeritus, Hanyang University -114-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is related to the music of the west of China. Nevertheless, the ancient music of the west of China does not survive, and thus the pitch scale of Sajagi, the lion dance and music of the west of China, is hard to be determined. It is fortunate that Chinese music scholars like Yeobin and Gokpo keep trying to find such traces of Gujaak from folk music that remain to survive till today. The music of Korean lion dance is different from Gujaak, which consists of a heptatonic scale. According to Suseo Eumakji, an explanation on the "5 dan 7 jo" appear but the interpretation on this seems uneasy. Thus, it is problematic to compare the lion dance music of Guja (Kucha) and the North and South Korean lion dances; however, the use of heptatonic scales in both lion dances are corresponded although the consisting tones may be different. As the result, further researches on the surviving folk music of Central Asia will benefit the comparison between the lion dances of Korea and ones from the west of China. Yi Jinwon, in "Hamgyeong-do Sajachum Eumakgo (2003)," claimed that the kalchum gwajang ("sword dance act") was included in the lion dance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ization. According to another resource of North Korea, the sword dance was also included, and piri, haegeum, and saenghwang, instruments that are not used in Saja Nori today, were played with tungso. Besides, taepyeongso was played at madang nori ("outside performances"). In addition, Yi discussed that scales that are used in the lion dance of North Korea and the lion dance of South Korea are different. Yi explained such differences related to lion dances in a recording, Sin Yongchun-eui Gugak Segye (2002), which he wrote the explanation (reference booklet). In addition, Sinawoo and Simbanggok which are performed in Yeonbyeon (China) or Hamgyeong-do (North Korean regions) are still performed by Sin Yongchun. In addition, "Geomchum Yeongsangok," that is transmitted in Yeonbyeon and North Korea, is included in the recording, and thus it is predictible that Sandaechum, Madang Nori, Sajachum, and Saja Nori are distinguished and performed among Talchumgok (mask dance songs). I refered to Jang Seunguk's Minjok Giakgokjip 1 for the music notation of North Korean lion dances that are explained above. In fact, there are many types of lion dances not only in China but also -115-

아시아 태평양음악 국제학술회의 in South East Asia where a number of Chinese emigrants are distributed. Thus, in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es, the lion dance, which the music and dance of each culture contain different or similar aspects, is a faithful example of transcontextualization to be further studied. For that matter, Janos Karpati suggested a new comparative approach on the music of Korean lion dance and the music of Japanese lion dance in "Musical Structure of the Pukchong Lion Dance (1994)." Also the discussion on seventy different types of lion dances in Japan by Yamaguchi Osamo ( 山 口 修 ) in his article, Bigyo Munhwaron - Yi Munhwa-eui Ihae (1995),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nscontextualization of cultures. According to those of North Korean resources, there is "Sinawu," which is different from Sinawi of South Korea, and Sinawu i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music of lion dances in North Korea. In Joseon Minyogokjip Je 1 jip (1959), which is a recording made in North Korea, there is a notation of Sinbanggok of Musan region of Hamgyeong-do which was sung by Kim Sanggak and transcribed by Han Siyeong. Besides, it also contains the notation of Bukcheong Niliri of Bukcheong region of Hamgyeong-do sung by Lee Cheongsu. Park Eunyong, in "Sinawu-e Daehayeo," in Joseon Eumak (1962), which is another resource of North Korea, discusses on Sinawu as followed. The composition of Sinawu is a combination form like consecutive form although it is instrumental piece/genre. The tungso Sinawu of Hamgyeong-do that is still played is an independent piece but Nawi Duipuri used to follow Sinawu in the past (about 40-50 years ago) and they formed a "consecutive form (yeonsoae gok)." According to the oral resources of Jeon Yongseon, who is one of tungso master players in Gwangcheon-gun, when Eom Tungso, the most famous tungso player of the time, survived, he played Nawi Duipuri but it disappeared later. Nawi Duipuri is unknown today bu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consecutive form of Korean traditional folk music, Duipuri is predicted to be faster and aggresively expressing compared to Sinawu. The consecutive form of Sinawu reflects the tension of human thoughts, empirical psychology of human nature, and social conflicts. The following explanations on Sinawu can be helpful to comprehend -116-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sinawi (as a genre) of North Korea. The fundamental solo instrument of Sinawu is either tungso or daegeum and tungso was more often played in Hamgyeong-do regions while daegeum was more often played in Nam-do areas; string instruments like gayageum or haegeum were sometimes played. When Sinawu wass played as duets or ensembles, relatively diverse styles were applied. In Hamgyeong-do areas (North Korea) it was sometimes played in deouble tungso or samhyeon yukgak instrumentation. In Nam-do areas (South Korea), emsembles consist of piri, gayageum, geomungo, and janggu or samhyeon yukgak instrumentation applied. At such cases, str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s were expressed. Yi Jinwon made the conclusion in "Sinawi-eui Saeroun Jeongeui Siron," Hanguk Eumaksahakbo (2001), as it follows. First of all, Sinawi of Nam-do regions is defined as "music that is closely related to shaman ritual music that is instrumental (solo or ensemble) and consists of scattered melodies based on yukjabaegitori ("yukjabaegi mode") of Jeolla-do and the west of Gyeongsang-do. Gyeonggi Sinawi is an instrumental music,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haman rituals, of the south of the Han River playing scattered melodies based on yukjabaegitori. Hamgyeong-do Sinawi is an improvisational and repeated instrumental music based on menaritori, especially played with tungso, that is usually played during the holiday seasons in Hamgyeong-do." However, Hamgyeong-do Sinawu is also played with other instruments and closely related to the music of Bukcheong Saja Nori, and thus the defini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Although there are no notations for Sinawi of the south, it is related to Gayageum Simbanggok that is included in An Minyeong's Geumok Chongbu, and is a separate piece from Jungdaeyeop of Yanggeum Sinbo, which they also called it Simbanggok. In addition, Jinawu, which is music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at Park Yeon talked about seems to be related with Sinawi but the real musical aspects are unknown. -117-

아시아 태평양음악 국제학술회의 * Further Readings related to the subject of Tal Nori. >>> Music of Tal Nori in General Yi (Lee) Hyegu, "Sandaegeuk-gwa Giak," Hanguk Eumak Yeongu, Seoul: Gukmin Eumak Yeongusa, 1957. Yi (Lee) Hyegu, "Yangju Sandae Nori Om, Meokjung, Yeonip Gwajang," Yesul Nonmunjip Je 8 jip, Seoul: Daehanminguk Yesulwon, 1969. Yi (Lee) Hyegu, "Yangju Sandae Gamyeongeuk-eui Deungjanggwa Toejang-eui Hyeongsik," Dongbanghakji Je 20 jip, Seoul: Gughak Yeonguwon, Yonsei University, 1978. Im Hyejeong, "Yangju Byeolsandae Nori-eui Eumak," Yangju Byeolsandae Nori (CD), Seoul: Guknip Munhwajae Yeonguso, 2003. Im Hyejeong, "Yuseonggi Eumban-e Surokdoen Bongsan Talchum-eui Eumak," Hanguk Eumbanhak Je 16 jip, Seoul: Hanguk Goeumban Hakhoe, 2006. Im Hyejeong, "Hanguk Gamyeongeuk-eui Eumak Gochal - Bonsandae Nori Gyetong-eul Jungsimeuro," Ph.D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Yi (Lee) Yongshik, "Hanguk-eui Tal Nori Eumak," Jeontong Munhwa Yeongu Je 3 ho, Yongin: Jeontong Munhwa Yeonguso, Yongin University, 2004. Yi (Lee) Yongshik, "Talnori Eumak," Minsok, Munhwa, grigo Eumak, Seoul: Jipmundang, 2006. Kim Hoseok, Bongsan Talchum Eumakbon, Seoul: Minsogwon, 2006. >>> Songs of Tal Nori Yi Bohyeong, "Odokdogi Sori Yeongu," Hanguk Minyohak Je 3 jip, Seoul: Hanguk Minyo Hakhoe, 1996. Jang Hwiju, "Sadangpaesori Galggabuda Yeongu," Hanguk Eumak Yeongu Je 27 jip, Seoul: Hanguk Gugak Hakhoe, 1999. Yi Sora, "Suyeong Yaryu-eui Norae Gochal," Gojeon Huigok Yeongu Je 5 jip, Seoul: Hanguk Gojeon Huigok Hakhoe, 2002. Yi Sora, "Bongsan Talchum-eui 'Nollyang' Yeongu," Gongyeon Munhwa Yeongu Je 7 jip, Seoul: Hanguk Gongyeon Munhwa Hakhoe, 2003. -118-

한국 북청사자놀이 음악의 맥락 변환 Im Hyejeong, "Baekgu Taryeong-gwa Gasa Baekgusa," Hanguk Eumak Yeongu Je 34 jip, Seoul: Hanguk Gugak Hakhoe, 2003. >>> Tal Nori Banju Eumak, (Mask Game Accompaniment Music) Yi Bohyeong, Muhyeong Munhwajae Eumak Josa Bogoseo - Samhyeon Yukgak, Seoul: Munhwajae Gwanriguk, 1984. Sim Hyeokcheol, "Yangju Byeolsandae Nori Chumsawi-e Ttareun Banju Eumak-eui Gineung Yeongu," MA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1986. Im Hyejeong, "Samhyeon Yeongsanhoesang Yeombul Dodeuriwa Gin Yeombul-e Gwanhan Yeongu," Hanguk Eumbanhak Je 8 jip, Seoul: Hanguk Goeumban Hakhoe, 1998. Im Hyejeong, "Hyangje Samhyeon Yukgak Gin Yeombul Yeongu," Hanguk Eumbanhak Je 12 jip, Seoul: Hanguk Goeumban Hakhoe, 2002. Im Hyejeong, "Haeju Samhyeon Yukgakgo," Hanguk Eumbanhak Je 13 jip, Seoul: Hanguk Goeumban Hakhoe, 2003. Yi (Lee) Yongshik, Pookchuung Lion Dance Music, SONUS; A Journal of Investigations into Global Musical Possibilities, vol. 20, no. 2 (2000) Yi Yongshik, "Tongyeong Ogwangdae-eui Banju Eumak Yeongu - Tongyeong Samhyeon Yukgak Eumak-eul Jungsimeuro," Gongyeon Munhwa Yeongu Je 15 jip, Seoul: Hanguk Gongyeon Munhwa Hakhoe, 2007. Kim Hoseok, "Haeseo Talchum Banju Eumak (Hwanghae-do Piri Tunes)," Bongsan Talchum (CD), Seoul: Guknip Munhwajae Yeonguso, 2003. Won Hyejin, "Yangju Byeolsandae Nori Banju Eumak-eui Yeongu," Hanguk Eumaksahakbo Je 30 jip, Seoul: Hanguk Eumaksahak hoe, 2003. >>> Musicians of Tal Nori, Mask Games Jo Dongil, "Aksa-eui Yurae-wa Gusil," Talchum-eui Yeoksawa Wonri, Seoul: Hongseongsa, 1981. Kim Hyejeong "Gamyeongeuk Banju Eumak-eui Gyetonggwa Aksa-eui Seonggyeok," Cheonggye Nonchong Je 2 jip, Seongnam: Hanguk Jeongsin Munhwa Yeonguwon Hanguk Daehagwon, 2000. -119-

아시아 태평양음악 국제학술회의 >>> Korean Literary Approach on the Song Texts Jeong Sangbak, "Deul Noreum Yangban Madang-eui Daesa Jeongae Yangsang," Hanguk Munhak Nonchong Je 2 jip, Seoul: Hanguk Munhakhoe, 1979. Jeong Sangbak, "Goseong Ogwangdae-eui Daesa Jeonseung Yangsang," Minsok Munhwa Je 3 jip, Busan: Minsok Munhwa Yeonguso, Dong-a University, 1981. Dieter Eikmeier, "Gamyeongeuk Nae-eui Baekgu Taryeong," Euimin Yi Duhyeon Baksa Hoegap Ginyeom Nonmunjip, Seoul: Hagyeonsa, 1984. Park Gwangok, "Talchum Gayo-eui Gineung Yeongu - Yangju Byeolsandae Norireul Jungsimeuro," MA Thesis, Seoul: Seogang University, 1986. Yi Nohyeong, "Yangju Byeolsandae Sabip Gayo Yeongu 1," Eomunhak Je 59 jip, Seoul: Hanguk Eomun Hakhoe, 1996. Yi Nohyeong, "Yangju Byeolsandae Sabip Gayo Yeongu 2," Ulsaneomunnonjip Je 11 jip, Ulsan: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Ulsan University, 1996. Jeong Hyeongho, "Gamyeongeuk-e Naoneun Gayo-eui Suyong Yangsang - Bongsan Talchum-eul Jungsimeuro," Hanguk Minyohak Je 6 jip, Seoul: Hanguk Minyo Hakhoe, 1999. Han Changhun, "Gamyeongeuk Sabip gayo-eui Gineung-gwa Seonggyeok," Baengnyeo Eomun 16, Seoul: Baengnyeo Eomun Hakhoe, 2000. (Provided by Lee Yongshik at the NCKTPA)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