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 1 -
연구 요약 1.연구 필요성 필요성 및 목적 국가 차원 효율적인 응급의료 정보체계를 구축하므로 응급환자의 의료의 질과 환자 안전 확보의 기반이 됨 -현재,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지,빠른 이송,병원 진료를 위한 응급의료 전달체 계의 강화가 필요 - 사회적 안전장치로 응급환자의 질환별 적정치료를 받아야하는 골든타임(golden time)이 있어,이에 대한 정보기반의 이송 및 의료자원 간의 균형 배분이 중요시됨 다양한 응급의료 자료원을 확보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전반적인 응급의료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반이 요구됨 -응급의료 환자발생,이용,의료결과 등 지표 생산 필요 국가,지역,의료기관 단위의 지표 값 비교 생산 미국,영국 등은 국가 차원의 응급의료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지역별 지표를 생산하여 정책적 관리를 하고 있음 -응급의료 분야별 근거에 기반한 정책 기획 및 적용 응급의료기관평가에 따른 응급수가 차등화 및 성과 결과 적용 등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국가 차원의 응급의료 정보 시스템 플랫폼 구축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수집된 정보(gatheringdata)를 중심으로 후향적 응급의료 이용 행태 분석 둘째,응급의료 모니터링을 통한 질 향상 및 환자 안전을 위한 정책 방향 제시 -응급의료 전 과정의 지표를 선정하여 자원 배분 및 이용의 형평성과 효율성 파악 -또한,외부자료를 연계한 의료 수요와 공급 간의 예측시스템 - 2 -
연구의 틀 그림 1.주요 연구의 내용 - 3 -
우리나라 응급의료 현황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에서 발생하는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응급의료 정보체계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함 응급환자 발생의 증가와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이 필요함 -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정보체계 및 감시체계 마련 응급 환자 이용행태에서 상위 병원 과밀화,부적절한 전원 현상 등으로 인한 의료 결과에 악영향으로 작용 -합리적인 응급의료 체계를 구축하여 전반적인 환자의 흐름을 효율화하여야 함 1.응급환자 발생 증가 응급환자 다양한 발생 요소를 파악하고,예측하여 정책적 대책을 마련하여야 함 -환자,지역별,보건의료서비스 요인과 외부 요인을 파악하여야 함 주요 증가요인 1)환자 요인:연령,소득 등 -영국은 노인 및 소아(영국은 65세 이상,5세 이하),저소득층에서 응급의료 이용율의 차이 2)지역별 요인:(교통)사고율,사회경제적 수준 등 -지역별 교통사고 발생률(기상,환경 등),환자의 구성을 파악(임상적 질환,자살 등 사고로 인한 환자 발생 예측 등)하여 지역별 자원배치 대책마련 미국은 사고를 예측하여 그 지역에 응급의료시설,엠블런스 등을 배치하여 대응함 3)보건의료서비스 요인:의료제공 여건 등 -외부적 요인으로 역학적인 감염병 등의 발생 한편,정책적으로 응급 이용의 형평성 고려 -사회 약자에 대한 이용율의 차이 등을 확인하여 정책적 방안 마련(장애유형별) -지역별,임상 질병별 및 지역별 발생을 예측하여 이에 대한 대처 강화하여야 할 것임 2.불필요한 응급실 이용 행태 문제 응급의료기관 유형에 따른 적절한 환자 분류 배치가 이루어져야 하나,경증질환 자의 상위기관 이용 등으로 응급실 과밀화 초래 -환자 중심의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요인 파악 수요자 요인:경증,휴일/야간,소아 등 이용 가능 기관 부재,상급기관 선호, 응급실 창구로 한 입원 등임 공급자 요인:전문의에 의한 초기 대응으로 빠른 처치 및 진단으로 대기시간과 - 4 -
병상점유율을 줄임 -환자 발생 초기 중 경증 환자를 적절히 분류할 수 있는 이송체계가 요구됨 초기 구급대 역할 및 의료기관의 정보체계 등이 기반이 되어야함 3.부적절한 전원 문제 부적절한 전원을 줄이기 위해 이미 언급한 초기 적절한 의료기관으로의 이송이 우선되어야 하나,불가피한 경우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전원이 이루어져야함 -전원은 상하위 및 동급 기관 간에 이루어지며,이는 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 4.환자 및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의료 모니터링 정보체계 구축 필요 -국가 차원의 응급환자 질병별 발생관리시스템 환자의 이동경로 파악 및 약물 처방에 따른 환자 발생 예측 등의 감시체계 요구됨 -응급의료이용 정보지원 체계 마련(실시간) 기존에 NEDIS에서 병원의 가용 병상,인력 등 확인하며,개별 병원에서도 정보 체계를 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음 119구급대에서 환자 질병력과 기초 임상상태 파악 - 5 -
2.연구 내용 가.응급의료 현황 분석 응급의료의 청구 현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응급의료의료 이용행태를 파악 -2010~2014년 응급 환자수,건강보험 청구건수,내원일수,다빈도 상병 등 분석함 1)응급의료 청구 현황 분석 1) 응급 환자수는 2010~2014년 661~861만명으로 약 30% 증가함(연평균 6.8%증가) -전체 응급환자 중 입원 환자가 약 25%임 응급의료 총진료비용은 2010~2014년 4조 2,276~4조 9,900억원으로 증가함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54조원(2014년 통계연보)이며 이 중 응급의료는 9.2%차지(약 5조원,본 연구자료) -동 기간 총 진료비용 중 본인부담금은 약 20%를 차지함 응급의료 청구건수는 2010~2014년 677~915만건으로 증가함 -2010~2014년 환자당 응급의료 청구건수는 1.0~1.1건임 2010~2014년 환자당 입원일수,총진료비용은 약간 감소함 환자당 입원일수는 10.5~8.5일로 감소함(외래 1.2~1.0일) 환자당 총진료비용은 639~580만원으로 감소(본인부담 122~110만원) 전체,유형별 및 지역별 현황은 참고 1. 나.응급의료기관 현황 분석 응급의료기관 유형별로 총 540개이며,기타 응급진료 기관이 959개이었음 표 1.2014년 응급의료 입원 및 외래 청구기관 수 구분 상급 종합 종합 병원 요양 병원 의원 보건 의료원 한방 병원 합계 권역응급의료센터 11 7 - - - - - 18 전문응급의료센터 1 1 - - - - - 2 지역응급의료센터 31 91 - - - - - 122 지역응급의료기관 - 152 89 1-12 - 254 그외시도신고기관 - 16 77 1 - - - 94 기타 - 19 399 235 281-25 959 합계 43 286 565 237 281 12 25 1,449 1) 2010~2014년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함 -자료 추출 기준은 응급실 도착하여 입원한 경우,응급의학과로 진료과목이 청구된 외래 건으로 정의함 -시계열적 자료 외 분석에서는 2014.1~2015.6월 심사완료된 청구자료 중 진료년도가 2014년인 자료를 이용함 - 6 -
다.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향 다양한 자료원으로 응급의료 전반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응급의료 프랫폼 구성 -환자의 발생,이동,결과 등 경로를 중심으로 세부 지표를 구성함 -중앙응급의료원(NEDIS),응급의료기관평가,건강보험심사평가원(청구자료),건강 보험관리공단,사회정보진흥원,등 외부 환경요인도 고려한 모형을 제시함 -교통사고(TAAS),기상,환경,자살 등 -응급의료 발생예측 모형 및 실시간 활용방안 등을 모색함 1)응급의료 모니터링시스템 모형 응급의료 정보 플랫폼 -응급의료 빅데이터 구성 및 분석 구조 제시 분석관점은 환자 및 의료기관별로 구분함 세부 영역은 구조,환자 이용,결과,만족도 등임 -응급의료 전반의 정책에 문제점 파악 및 근거 제시 -제시 방향 다차원별:지역,질병 등의 수치 및 변이값 제시 시계열별:1개월/분기별/1~5년 자료(청구,NEDIS,외부자료) 응급의료 환자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Dashboard(현황판) -국가 수준의 실시간(RealTimeSystem) 2) 환자 발생 현황 제시 -주요 감염병 등 이상 징후 및 처방약물 감시시스템을 통한 사전보고 및 대응체계 마련 -제시 방향 다차원별:주요 응급질환 및 감염성 질환 등의 환자수,발생지역 등 파악 -활용 자료원 NEDISReal-time응급의료기관 자료와 응급의료기관 평가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청구자료와,Real-time응급환자발생자료(안) 응급환자 안전을 위한 이력 정보 제공 서비스(의료기관)제공(안) -응급 환자의 과거 임상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응급의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 심평원 청구자료에서 주요 안전 임상정보 제공기준 체계 마련 필요 -환자 과거1~5년간의주상병,처치코드,약처방등의주요임상적주의정보추출및생성하여,신속한진료및처치활용 심평원 DUR:의약품 중복 등의 역할을 응급의료에 적용->법적,내용 등 구체화 필요 2) (기존:NEDIS의료기관 공유)응급진료 가능 의료기관 정보 제공:인력,병상,장비 등 대기 병상 및 임상의 정보에 따른 환자 이송 및 전송(구급대,병원 등의 통신체계 및 환자 정보 접근 등 고려) - 7 -
그림.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모형(EmergencyMedicineMonitoringSystem,EMS) 그림 7.응급의료모니터링 체계 - 8 -
3.응급의료 모니터링 후보 지표 및 통계 자료 응급의료 구조,과정(이용),의료결과 지표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지표 선정 -현재 응급의료 지표 및 국내외 문헌고찰에 의한 지표 요약 정리 -최종 핵심 지표는 전문가 조사에 의해 분야별로 선정 표 3.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표 산출 영역 나.지표 영역 가.분석 관점 1)환자 특성 2)의료기관 특성 1)응급의료 구조 지표 1-1)인력 1-2)시설,장비 등 2)응급의료 이용 지표 2-1)이용 환자 2-2)환자 전원 2-3)의료의 질 2-4)비용 3)응급의료 결과 지표 3-1)사망률 3-2)재방문 및 재입원 3-3)만족도 및 경험 평가 3-4)재난 대비 가.분석 관점 1)환자 특성 관점 환자의 특성은 1)일반적 특성으로 연령과 성별 2)보험관련 특성은 진료형태(입 원 및 외래),보험유형(건강보험,의료급여,보훈 등)3)사회경제적 특성은 소득 수준,거주지 4)임상적 특성은 응급 구분,응급실 환자 분류의 적절성,응급실 내 원 다빈도 상병,DRG 중증도 등 -환자정보는 청구자료,NEDIS에 공통으로 연령,성별,보험유형 등의 변수가 있음 환자의 소득,장애유형,사망원인 등의 외부자료는 필수 환자 정보임 응급의료환자 수는 발생관련 기초 통계 자료임 -미국 ACEP 응급의료 시설수(100만명당),입원병상수(10만명당) 총량:인구당 환자수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 가능 표 3-1.환자 특성 - 9 -
근거 문헌 구분 지 표 자료원 주기 N 평 가 청 구 연 구 외 국 1-1.일반 연령:세(소아),10세 구분 N 연간 적 특성 성별:남/여 N 연간 진료형태:입원/외래 연간 1-2.보험 관련 특성 보험유형: 건보/의료급여/보훈/산재(공단, 장애등급 등) N/외 부 연간 소득 수준(공단) 공단/국 세청 연간 1-3.사회 가-1. 경제적 거주지(지역내,외)(공단) 공단/행 자부 연간 환자 계절(4분기별) N 연간 특성 응급실 내원 다빈도 상병(10순위) H 연간 응급 및 비응급환자 -외상(교통사고,자살 등)(경찰청) N 연간 1-4.임상 3대 중증(심뇌외상) 적 298상병분류별 H 연간 DRG 중증도 -미분류/0(mild)/1(moderate)/2(severe)/3(catastrophic) H 연간 (Real-time)환자질환 보유여부 (주부상병,1/3/6/1년) 실시간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기존 생산지표 1-1)응급환자 중 노령자 이용율이 높으며,이에 따른 정책적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임(예를 들어,65세 이상 및 5세 이하:영국 및 일본도 동일 상황임) 1-2)보험 유형으로 건강보험,의료급여 등에 따른 이용 및 결과 등 차이를 파악(형평성:의료급여 등) 1-3)계절적 변이를 파악하여 다빈도 발생 계절에 응급의료 자원 배치를 강화 나)추가 지표 1-3)환자의 소득 수준에 따른 의료 행태 파악(형평성:소득,장애유형 등) -환자 거주지에 따른 응급의료 이용 거리를 파악하여,기관 배치 등 검토 가능 또한,거주지 기반의 전원 행태를 분석할 수 있음 1-4)다빈도 상병 3) 을 분석하여 지역별 자원 배치 등 대처 가능 -응급실 다빈도 상병 10순위 입원과 외래로 구분 제시 가능 다)핵심 지표 1-1)환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성별을 선정 1-4)환자의 임상적 특성으로 응급실 내원 다빈도상병 및 298상병분류를 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청구자료 확인가능) 3) 2010~2014년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였다.자료 추출 기준은 응급실 도착하여 입원한 경우,응급의학과로 진료과목이 청구된 외래 건으로 정의함 - 10 -
2)응급의료기관 특성 의료기관 특성은 1)응급의료기관 유형 2)의료기관 종별 3)지역구분 4)의료취 약지역 5)교육훈련기관 6)소유 구분 등 -의료기관의 정보는 심평원 자원신고자료(기관특성,병상수,의료인력 등),청구자 료(지역,종별 등),NEDIS에 있음 응급의료기관 관련 통계는 자원의 기초 자료임 -미국 ACEP응급의료 시설수(100만명당),입원병상수(10만명당) 총량:100만명당 응급의료기관수,10만명 당 응급의료 병상수 등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가능 표 3-2.의료기관 특성 구분 지 표 N 평 가 가-2. 의료기 관특성 2-1.의료 기관 특성 N:NEDIS자료 가)기존 생산지표 의료기관 유형 N 연간 -권역,전문,지역 센터,지역기관,기타 N 연간 -상급종합/종합/병원(요양,한방)/의원 N 연간 -지역(17개 시도/시군구/252시군구) N 연간 -의료취약지역(59개)소득세법/농어촌법 N 연간 -교육훈련기관여부,이외 N 연간 -소유구분,민간 및 공공기관 N 연간 (Real-time)의료기관병상및인력가능여부 N 실시 간 2-1)현재 응급의료기관 유형은 변경 적용 예정임 -지역별로 자원배분 형평성 보완 가능 현재 의료기관의 병상 가능 및 인력 근무 여부 등의 실시간 자료가 NEDIS에서 제공되고 있으며,병원들이 보다 신속히 최적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도화가 필요할 것임 청 구 연 구 외 국 자료 원 주기 나)핵심 지표 2-1)의료기관의 특성으로 응급의료기관 유형별,종별 선정 -소유구분으로 민간 및 공공 기관 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청구자료 확인가능) - 11 -
나.응급의료 지표 영역 1)응급의료 구조 지표:인력 및 시설 등 구조지표는 의료의 질 측면에서 접근성,환자 안전 등과 연관 있음(인력 전문성 및 경험 등) 구조지표는 의료기관 단위의 인력,시설,장비 등 의료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임 -인력지표 중 1)기관당 응급실 전담 응급의학전문의 2)간호사 수는 주요한 지표임 -시설지표 중 3)병상수는 자원의 기초 자료 응급의료전문의 자료는 정확도를 고려하여 응급의학회자료를 활용 가능함(청구자 료는 최신 정보 수집 안됨) 구조 관련 통계는 응급의료인력 및 환자수 등에 대한 자료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응급의학 전문의수(10만명당),응급 병상수 미국 ACEP 응급의료 전문의 당(10만명당),신경외사,정형외사,성형외과,이비인 후과 등과 간호사 수가 포함됨 총량:10만명당 응급의료 인력수,응급의료인력 당 환자수 (의사:전문의,응급의학전문의,간호사,응급구조사)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가능 표 3-3.응급의료 구조 지표:인력,시설 등 구분 병원 단계 N 평가 청구 연구 외국 자료원 주기 나-1. 구조 3-1.인력 3-2.시설 1.의사 응급의학 전문의 수 (국가지표,십만명당) 필수 학회 A 연간 -응급실 전담 응급의학 전문의 수 필수 A 연간 응급실 전담 전문의 수 필수 A 연간 응급실 전담 의사 충족률 필수 A 연간 응급의학 전공의 수 (십만명당) 학회 N 연간 24시간 전담의사 근무 개소수 A 연간 2.간호사 응급실전담 간호사 수 필수 A 연간 -응급실 간호사 인력 전문성 구조 응급유형별 기관수 N/A 연간 응급실 병상 수 필수 A/H 연간 구조 응급실 병상당 면적의 적절성 시범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기존 지표 3-1)기관당 응급실전담 응급의학전문의 수(전문의 보유기관 비율,전문의 수)는 진 료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지표임 -24시간 전담의사 근무 개소수(평가지표)는 응급의료기관 유형별로 기준을 정하여 충족도를 값으로 제시함 또한,응급실전담 의사 충족률은 인력 충원을 판단할 수 있는 질적 지표임 A(정성) 연간 - 12 -
-응급실 전담 간호사수는 적절한 진료를 위한 필수 인력 지표임(경험자 보유수준) 3-2)시설 중 병상수는 응급실 과밀화와 연계되어,병상당 기준으로 자료 산출 가능 -응급실 병상당 면적의 적절성(평가지표)시설의 기준을 정하여,준수하는 정도를 측정함 나)핵심 지표 3-1)응급의료 구조 지표는 인력 중 응급실 전담 전문의수/의사수/간호사수 선정 3-2)응급의료 구조 지표는 병상은 응급실 병상수(기관당)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청구자료 확인가능) 2)응급의료 과정 지표 2-1)이용 지표 의료의 질 측면에서 접근성,환자 안전 등과 연관 있음(수용성 등) 응급의료 환자 발생 및 이용은 특성에 따른 효율적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함 -이용지표 1)청구건수 및 내원일수,인력대비 환자수 등 -세부지표 2)환자재실시간,장기체류 환자 비율 등 3)병상밀집도 관련 포화지수 및 점유율 등 4)환자 구성관련 응급/비응급,최종치료 제공률 등 청구자료를 이용한 건수 및 환자수 등과 NEDIS재실시간과 밀집도 등과 의료기관 평가자료에서 장기체류환자비율,응급환자구분,최종치료제공률 등이 생산됨 이용 관련 통계는 환자의 구성과 관련된 자료임 -미국 ACEP 병상점유율(100만명당),재실시간(중위수 60분 단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응급의학 전문의당 환자수(일당),응급병상당 환자수(일당) 총량:응급의학 전문의당/간호사당/병상당 환자수,재실(체류)시간,포화지수 등 변이:지역별,유형별 가능 표 3-4.응급의료 이용 지표(기관 단위) - 13 -
구분 병원 단계 N 평가 청구 연구 외국 자료원 주기 나-2.과 정 4-1.이 용:청 구자료 4-2.이 용 청구건수(기관 및 환자 단위) N 연간 내원일수(재원일수)(기관 및 환자 단위) N 연간 단기,장기입원(2일이사,2일 초과 UK) 1 이용자수/내원환자수 (천명당) N 연간 응급의학 전문의당 환자수(일당) -응급실 전담 의사 인력의 적절성 -응급실전담응급의학전문의인력의적절성 N 연간 간호사당 환자수 -응급실 전담 간호사 인력의 적절성 N 연간 -응급실 병상당 내원환자 수(일당) N 연간 재실시간 장기 체류 환자 비율 A 연간 응급실 체류시간 N 연간 응급실 병상 포화지수 신규 A 연간 응급실 병상 점유율 :-변이 1(기획) A 연간 중증응급환자 구성비 과정 A 연간 응급 및 비응급환자 -외상(교통사고,자살 등)(경찰청) N 연간 응급실 환자분류의 적절성 A(정성) 연간 최종치료제공률 과정 A 연간 응급실 내원 다빈도 상병(10순위) H 연간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기존 지표 4-1)응급의학 전문의 및 간호사,병상 당 환자수(일당)를 산정 비교할 수 있을 것임 4-2)과밀화 지표로 병상 점유율,포화지수 등(평가지표)이 생산되고 있음 -장기체류환자비율(평가),응급실 체류시간(N)등은 내원기간에 따른 응급실 회전율을 산정 -중증응급환자 구성비는 의료기관별 중증응급환자를 진료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음(평가) -응급 및 비응급 이용자 구분(통계지표,응급이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의거, 응급증상 및 이에 준하는 증상을 가진 환자)있음 -응급환자관리료는 응급환자는 급여가 되나 비응급환자는 비급여 청구를 함 나)추가 지표 4-1)청구자료에 의해 환자의 내원일수,입원기간을 파악 다)핵심 지표 4-1)응급의료 이용 지표는 인력 중 응급실 전담 전문의수/의사수/간호사수 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 4-2)병상 포화지수,중증응급환자 구성비(기관별),최종치료제공율 선정 -의료기관평가자료를 사용 - 14 -
2-2)응급의료 전원 지표 의료의 질:환자 안전,접근성 환자의 병원간 전원 자료를 산출할 수 있으며,3대 응급질환(심혈관,뇌혈관,외상 등 구분) -환자수,상하위기관 이동경로에 대해 세부 분석 -전원지표 1)전체 및 질환별(3대 응급질환별)전원율,2)상하위기관 전원 경로, -(증증질환자)전원 적절성,중증응급환자의 비치료 재전원률,중증응급환자 전입 수용비,전원거부율,응급환자 유출률 등 청구자료를 이용한 병원간 전원의 경로를 파악할 수 있음 응급의료 전달체계과정에서 전원관련 통계임 -미국 ACEP 병상점유율(100만명당),재실시간(중위수 60분 단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전원 관련 지표를 산정함 총량:전원율:증증질환별,3대 응급질환별(전원 평균 횟수)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 표 3-5.응급의료 환자 전원수(기관/환자 단위) 구분 병원 단계 N 평가 청구 연구 외국 자료원 주기 5-1.전원 병원간 전원 연간 전체전원율(건수,환자수,상하위기관이동) 연간 심혈관질환 A/N 연간 뇌혈관질환 A/N 연간 나-3 전원 외상 (증증질환자)전원 적절성 과정 A/N A 연간 연간 과정 중증응급환자의 비치료 재전원률 시범 A 연간 중증응급환자 전입 수용비 과정 시범 A 연간 전원거부율 A 연간 응급환자 유출률 N 연간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추가 지표 5-1)전체 전원 횟수 :3대 응급의료질환별(심혈관/뇌혈관/중증외상) 나)핵심 지표 5-1)전체 전원율:3대 응급의료질환별(심혈관/뇌혈관/중증외상) -청구자료에 의한 전원기관 분석(전원의 정의에 따라 전체 의료기관 및 응급의료기 관간의 전원의 유형을 파악하여 산정) 또는 NEDIS자료에서 전원에 대한 분석후 청구자료에서 추가 확인작업 가능(추가 전원 기관 포함하여 추가 분석) -응급환자 유출률:특정지역 응급의료 이용 행태를 파악 - 15 -
2-3)응급의료 비용 지표 응급의료 진료비용 관련 지표는 -응급실 이용 1)총급여비용(환자 부담액),1인당 응급의료 치료비 2)응급의료대불 금 지급 실적 3)응급의료관리료(청구건수 및 비용)등 -임상 질 지표는 4)급성심근경색 환자 재관류 요법의 적절성,뇌경색 환자 혈전 용해요법 신속성,뇌졸중 환자 뇌영상검사의 신속성 5)활력징후 이상 환자 모니 터링 적절성 등임 청구자료를 이용한 비용관련 지표,응급의료대불금 등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심평원에서 임상 질 지표 자료가 생산됨 -미국 ACEP 내원비용(메디케이드) 의료의 질 관련 효율성 등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비용자료(수가 등)임 총량:응급실 진료비용,임상평가 자료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 표 3-6.응급의료 비용(환자/보험유형,남녀,질병별 등,기관 단위) 구분 지 표 N 평가 청구 연구 외국 자료원 주기 나-4 비용 나-5 임상 특성 6-1.진료 비용 7-1.임상 적 특성 진료비용 응급실 이용 총급여비용(환자 부담액) H 연간 1인당 응급의료 치료비 H 연간 응급의료대불금 지급 실적 H 연간 응급의료관리료(청구건수 및 비용) H 연간 적정시간내치료 급성심근경색환자재관류요법의적절성 과정 H 연간 뇌경색 환자 혈전용해요법 신속성 과정 H 연간 뇌졸중 환자 뇌영상검사의 신속성 과정 H 연간 활력징후 이상 환자 모니터링 적절성 A(정성) 연간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추가 지표 6-1)응급실 이용 총급여비용(환자 부담액):응급실을 이용환 환자의 급여비용은 질 병 및 중증도별 차이를 감안하여야 함 -응급의료관리료:응급의료환자는 급여되나 비응급의료환자는 비급여임 -응급의료대불금 지급 실적:현재 심평원에서 대불금을 지불하며 환자 및 기관별 비용을 산출할 수 있음 - 16 -
나)핵심 지표 6-1)응급실 이용 총급여비용(환자 부담액)과 1인당 응급의료 치료비 -청구자료를 사용 7-1) 급성심근경색 환자 재관류 요법의 적절성, 뇌경색 환자 혈전용해요법 신속성 - 심평원의 적정성평가 자료를 사용 중증외상 응급수술 시간(환자 사고발생~퇴실): 자료원 중증외상 registry 사용 3)응급의료 결과 지표 응급의료 결과지표는 재방문,사망 지표를 고려할 수 있음(3/7/30일) -재방문 및 사망 지표는 3/7/30일로 구분하여 제시 원내 사망은 청구자료,전체 사망률은 행자부 및 공단의 자료를 활용해야함 의료의 질 관련 환자 안전 등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의료결과로 재방문,사망률 등임 총량:재방문,사망률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의사/의사별) 표 3-7.응급의료 재방문 및 사망률(기관/환자 단위) 구분 병원 단계 N 평가 청구 연구 외국 자료원 주기 나-6. 결과 8-1. 재방문 8-2.사망률 재방문(unplannedre-atenance<72hirs) 30일내 재방문(재정 페널티,UK) 사망률 1(안 전 H 연간 교통사고 TAS 연간 산업재해 발생률 (산재 장애유형,등급) 산재 연간 익수 산재 연간 3일내 사망률,원내사망(공단,행자부) H(공단) 연간 7일내 사망률,원내사망(공단,행자부) H(공단) 연간 30일내 사망률,원내사망(공단,행자부) H(공단) 연간 중증도보정사망률 외상환자 A 연간 급성심근경색환자 A 연간 급성기 뇌졸중 환자 A 연간 심정지환자심폐소생술생존율 A 연간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추가 지표 8-1)재방문에서는 영국에서는 72시간내 계획되지 않은 재방문일 경우 재정적으로 페널티를 주고 있음 임상적 판단에 의해 계획되지 않은 방문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함 - 17 -
8-2)3/7/30일내 사망률 긴급한 응급의료의 특성상,원내 사망 및 3일 내 재방문을 선정지표로 타당할 것임 나)핵심 지표 8-1)재방문에서는 72시간내 계획되지 않은 재방문을 선정 -청구자료 이용 8-2)사망률은 2일내 사망을 선정 -원내 사망은 청구자료 및 일반 사망은 공단/행자부(사망자료),통계청(사망원인) 등이 필요함 4)응급의료 만족도 및 경험 지표 의료의 질 관련 환자 안전,의료의 질,공공보건 등임 응급의료 만족도 및 경험 지표는 1)응급실 이용 경험,만족도,2)의료기관평가, 교육실적 등 -재난 관련 지원태세 적절성,예비병상 확보,훈련 등 본 지표는 의료기관평가 및 중앙응급의료센터의 만족도 조사 등에서 자료를 수집 하여 제시하여야 함 -미국 ACEP에서 실시간 증후군 및 응급실 감시시스템 등 실시간정보체계가 평가됨 교통사고 사망자(100만명당),자전거,보행,음주 등,오토바이 헬멧착용,안전벨트법 등 재난대비 기금 예산항목을 포함 자동차 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수,인구당 응급의료 국가 예산(감사원,2011년) 응급의료 관련 만족도는 전반적인 응급의료의 인식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통계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응급의료 만족도 등임 총량:만족도(경험평가) 변이:지역별,유형별,환자 특성별 표 3-8.응급의료 만족도 및 경험 평가(기관 단위) - 18 -
구분 병원 단계 N 평가 청구 연구 외국 자료원 주기 응급실 이용 환자 보호자의 경험 평가 N(정성) 연간 응급실환자만족도 N(정성) 연간 대외교육훈련실시량 N 연간 9-1.기타 응급의료기관평가결과 A 연간 나-7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현황 N 연간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및 훈련 실적 N 연간 의료사고 및 소송 횟수 법원등 연간 나-8 10-1.재난 재난 지원태세의적절성 N(정성) 연간 재난 대비 예비병상 N 연간 재난 대비 훈련 N(정성) 연간 N:NEDIS자료,A:응급의료기관평가 자료 H:HIRA 자료 이용 가)기존 생산지표 9-1)응급의료기관평가,응급실 이용 경험,만족도평가는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실시 하며 그 결과를 사용 나)추가 고려 지표 -의료사고 및 소송 횟수는 현재 자료 조사 기반은 없으나 추후 관리가 필요함 다)핵심 지표 9-1)응급실 이용 만족도평가는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실시한 결과 사용 10-1)재난 대비 태세의 적절성 등 - 19 -
4.응급의료 모니터링 지표 분석: 청구자료 이용 2014년 청구자료 4) 를 이용한 산출가능한 지표 값을 분석함 -기존의 NEDIS,응급의료기관평가,통계자료 등에서 산출되는 값은 본 자료에서 제시하지 않음 가.환자 관점 지표 1)다빈도 상병 2014년 내원일수를 기준으로 다빈도 10순위 상병을 입원 및 외래별 분석함 -입원은 폐렴,뇌경색증,골절,신장질환,치매 등임 -외래는 위장 및 대장염,기관지염,열,손가락 상처,복통 등임 표 4.내원일수 기준 다빈도 상병 입원 외래 NO 상병명 % 상병명 % 1 J18 상세불명의 폐렴 3.3 A09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대장염 5.0 2 I63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2.6 J20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 2.5 3 S72 넓적다리 전자부 골절 1.4 R50 상세불명의 열 2.5 4 N18 만성 신장질환(5기) 1.3 S61 손톱의 손상이 없는 손가락의 열린 상처 2.4 5 F00 상세불명의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1.2 R10 기타 및 상세불명의 복통 2.3 6 S72 대퇴골 경부의 골절 1.2 A09 감염성기원의기타및상세불명의 위장염및대장염 1.8 7 S32 요추골의 골절 1.1 J03 상세불명의 급성편도염 1.8 8 S06 외상성 경막하 출혈 1.1 L50 상세불명의 두드러기 1.7 9 C34 상세불명의 기관지 또는 폐 악성신생물 1.1 J06 상세불명의 급성 상기도 감염 1.7 10 N10 급성 세뇨관-사이질성 신염 1.1 R42 현기 및 어지러움 1.6-20 -
나.과정 지표 1)응급의료 이용 지표 응급의학 전문의당 환자수(일당) 5) 약 28명이며 유형별로는 전문(5명),권역(15),지 역응급의료센터(30),지역응급의료기관(32)순으로 상위 유형이 낮았음 응급실 병상당 환자수 6) 는 일당 약 3명이며 유형별로는 1~3명으로 상위기관에서 낮음 중증응급질환율 평균은 7.6%이며,유형별로는 6~14%로 상위기관이 높음 최종치료제공율 평균은 57.0%이며,유형별로는 49~82%로 상위기관이 높음 응급환자 구성비는 53%이며,유형별로는 42~81%로 상위 유형이 높음 2)전원 지표 응급의료 전원 7) 은 환자별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분석함 -전원 지표는 전체 환자의 평균 전원 횟수(중증응급 중 3대 응급질환자는 중복 적용됨)임 -전체 응급환자수 중 1 전원환자는 약 5%(2 3회 이상은 약 4천명),중증응급자는 14%,3대 응급 질환자(중증외상 17%,뇌졸중 18%,심근경색증 24%)로 심근경색증 환자 전원율이 높았음 2 3회 이상 전원율은 0.1%내외이었음(2회 이상은 0.4~1.8%) 전원자 중 입원에서는 응급의료기관 유형이 하위기관보다 3 상위기관으로의 이동이 많았으며,심 근경색증(약 3천명)및 뇌졸중(약 6천명)환자의 이동이 높았음 표 5.응급의료 전원 환자수:입원 및 외래,횟수별(전원 기관) 응급환자 전원 횟수(환자수,%) 구분 전체 중증응급 3대 응급질환(98,004명) (전체중비율) 중증외상 뇌졸중 심근경색증 (100%) (7.4%) (0.2%) (1.2%) (0.3%) 전체 5,714,547 100 421,552 100 12,830 100 65,967 100 19,207 100 전원 없음 5,421,563 94.9 364,643 86.5 10,594 82.6 11,914 81.9 14,540 75.7 입원 1,012,435 17.7 256,806 60.9 5,004 47.2 46,147 85.4 13,465 92.6 외래 4,409,128 77.2 107,837 25.6 5,590 52.8 7,906 14.6 1,075 7.4 1전원 있음 292,984 5.1 56,909 13.5 2,236 17.4 54053 18.1 4667 24.3 1회 266,982 4.7 50,806 12.1 1,993 15.5 10,545 16.0 4,303 22.4 2회 21,575 0.4 5,448 1.3 213 1.7 1,216 1.8 336 1.8 23회이상 4,427 0.0 655 0.1 30 0.2 153 0.2 28 0.1 1전원 있음 외래 164,590 2.9 8,104 1.9 460 3.6 828 1.3 271 1.4 입원 128,394 2.2 48,805 11.6 1776 13.8 11,086 16.8 4,396 22.9 3입원상위 56,291 1.0 25,325 6.0 894 6.9 6,243 9.5 3,001 15.6 하위 14,863 0.3 4,407 1.0 251 2.0 1,107 1.7 93 0.5 기타 52,240 0.9 19,073 4.6 631 4.9 3,736 5.6 1,302 6.8 5)490기관 중 응급의학전문의가 있는 것으로 신고된 146기관 6) 476기관 분석(응급실병상 미신고 14개 제외). 7)응급의료 전원 자료는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1,449개를 포함 - 21 -
응급환자 전원 여부에 따른 사망률과 재방문율을 제시함 -전체 응급환자(570만명)는 원내/3/7일 사망 0.8~0.9%,30일 재방문은 8.3%임 -질병별로는 심근경색 응급의료환자(1만9천명)는 원내/3/7/30일 사망 7.7~8.1%,뇌졸중 30일 재방문은 11.3%로 가장 높았음 전원 환자의 사망률 및 재방문률이 높았으며,심근경색을 제외하고 입원 전원 이 외래보다 높았음 다.결과 지표 1)사망률 및 재방문 지표 전체 응급환자(570만명)는 원내/3/7일 사망 0.8~0.9%,30일 재방문은 8.3%임 -전원(약 5%)은 원내/3/7일 사망 2.4~2.6%,30일 재방문율 14.1%임 입원의 3일내 사망은 5.1%이며 30일내 재방문은 12%(참고 자료)임 그림 11.전체 응급의료환자 사망률 및 재방문율 중증응급환자(42만명)는 원내/3/7/30일 사망 5.4~5.7%,30일 재방문은 8.8%임 -전원(약 14%)은 원내/3/7/30일 사망은 7.5~8.0%,30일 재방문은 11%임 입원의 원내/3/7/30일 사망 8.0~8.5%,30일내 재방문은 11%임 심근경색 응급환자(1만9천명)는 원내/3/7/30일 사망 7.7~8.1%,30일 재방문은 8.7%임 -전원 없음(약 76%)은 원내/3/7/30일 사망은 7.6~8.0%,30일 재방문은 9.7%임 -전원(약 24%)은 원내/3/7/30일 사망은 8.0~8.8%,30일 재방문은 8.4%임 외래의 원내/3/7/30일 사망 23.3%,30일내 재방문은 6.3%임 입원의 원내/3/7/30일 사망 7.0~7.5%,30일내 재방문은 9.9%임 전원 없음의 사망률이 높았으며,전원 중 외래가 입원 보다 높았음 - 22 -
그림 11.중증응급 및 심근경색증 사망률 및 재방문율 뇌졸증 응급환자(6만6천명)는 원내/3/7/30일 사망 6.1~6.5%,30일 재방문은 11.3%임 -전원(약 18%)은 원내/3/7/30일 사망은 9.6~10.3%,30일 재방문은 12.8%임 입원의 원내/3/7/30일 사망 10.1~10.7%,30일내 재방문은 12.9%임 중증외상 응급환자(1만3천명)는 원내/3/7/30일 사망 4.4~4.6%,30일 재방문은 7.7%임 -전원(약 17%)은 원내/3/7/30일 사망은 6.3~6.5%,30일 재방문은 10%임 입원의 원내/3/7/30일 사망 7.4~7.7%,30일내 재방문은 10.2%임 그림 12.뇌졸중 및 중증외상 사망률 및 재방문율 - 23 -
5.응급의료 모니터링 핵심 지표 응급의료 후보지표 중 영역별 핵심 모니터링 지표는 다음과 같음 -영역별 대표성이 있으며 산출가능한 자료원이 있는 경우를 우선으로 선정 전문가 조사 및 실무자 의견 반영 그림 13.응급의료 영역별 모니터링 핵심지표 - 24 -
가.국가 통계 자료 가. 분석 관점 국가 통계 자료(2014년) 1. 환자 특성 1) 인구당 응급 환자수 2. 응급의료 1)100만명당 응급의료기관수, 지역별,유형별 백만명당 8.3개소: 지역별 기관 특성 4.9~22 2)10만명 당 응급의료 병상수 등 나. 응급의료 지표 영역 1) 구조 2) 과정 2-1) 이용 2-2) 전원 - 전원율 1)10만명당 응급의료 인력수(응급의 학전문의,의사,간호사) 지역별,유형별 응급의학 전문의수 2.4명 응급의학 전공의수 1.1명 2)기관당 응급의료 인력수 기관당 전문의수 2.3명 기관당 간호사수 14.2명 1)응급의학 전문의당/병상당 환자수 (일당) 지역별,유형별 천명당 응급실 환자수 203 명) 전문의당 환자수 9,609명 간호사당 환자수 1,543명 병상당 환자수 1,293명 - 응급실 진료비용 세부 내용 2. 의료기관당 응급실 이용자수 - 응급실 환자수 - 연령 - 소유구분: 공공 및 민간 - 보험유형: 건강보험, 자동차보험, 산업재해, 사보험, 의료급여 1/2종, 일반 기타, 미상 및 미입력 응급환자구성비, 재실시간 -응급실 이용자 수:외래 및 입원,사망,도착 전사망 -내원경로별 응급실 이용자:직접내원,외부에 서전원,외래에서 의뢰,기타,미상및 미입력 응급질환 환자수 -급성 심근경색,뇌줄중,중증외상,중 독,화상,심정지 등 2-3) 비용 - 임상평가 자료 2-4) 결과 - 재방문 - 사망률 2-5) 만족도 - 만족도(경험평가) - 재난 대비 태세의 적절 응급진료결과: - 귀가, 사망, 입원, 기타 - 전원 및 전원 이유 (병실부족, 중환자실 부족, 응급수술처치 불가, 상급병원으로 전원, 1,2차의료기 관 전원, 장기시설로 전원, 환자사정으 로 전원, 기타) - 25 -
1)환자 특성 관점 응급의료환자 수는 발생관련 기초 통계 자료임 -미국 ACEP 응급의료 시설수(100만명당),입원병상수(10만명당) 총량:인구당 환자수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 가능 다)핵심 지표 1-1)환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성별을 선정 1-4)환자의 임상적 특성으로 응급실 내원 다빈도상병 및 298상병분류를 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청구자료 확인가능) 2)응급의료기관 특성 응급의료기관 관련 통계는 자원의 기초 자료임 -미국 ACEP응급의료 시설수(100만명당),입원병상수(10만명당) 총량:100만명당 응급의료기관수,10만명 당 응급의료 병상수 등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가능 나)핵심 지표 2-1)의료기관의 특성으로 응급의료기관 유형별,종별 선정 -소유구분으로 민간 및 공공 기관 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청구자료 확인가능) 나.응급의료 지표 영역 1)응급의료 구조 지표:인력 및 시설 등 구조지표는 의료의 질 측면에서 접근성,환자 안전 등과 연관 있음(인력 전문성 및 경험 등) 구조 관련 통계는 응급의료인력 및 환자수 등에 대한 자료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응급의학 전문의수(10만명당),응급 병상수 미국 ACEP 응급의료 전문의 당(10만명당),신경외사,정형외사,성형외과,이비인 후과 등과 간호사 수가 포함됨 총량:10만명당 응급의료 인력수,응급의료인력 당 환자수 (의사:전문의,응급의학전문의,간호사,응급구조사)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가능 나)핵심 지표 3-1)응급의료 구조 지표는 인력 중 응급실 전담 전문의수/의사수/간호사수 선정 3-2)응급의료 구조 지표는 병상은 응급실 병상수(기관당)선정 - 26 -
-NEDIS자료원으로 사용(청구자료 확인가능) 2)응급의료 과정 지표 2-1)이용 지표 의료의 질 측면에서 접근성,환자 안전 등과 연관 있음(수용성 등) 이용 관련 통계는 환자의 구성과 관련된 자료임 -미국 ACEP 병상점유율(100만명당),재실시간(중위수 60분 단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응급의학 전문의당 환자수(일당),응급병상당 환자수(일당) 총량:응급의학 전문의당/간호사당/병상당 환자수,재실(체류)시간,포화지수 등 변이:지역별,유형별 가능 다)핵심 지표 4-1)응급의료 이용 지표는 인력 중 응급실 전담 전문의수/의사수/간호사수 선정 -NEDIS자료원으로 사용 4-2)병상 포화지수,중증응급환자 구성비(기관별),최종치료제공율 선정 -의료기관평가자료를 사용 2-2)응급의료 전원 지표 의료의 질:환자 안전,접근성 응급의료 전달체계과정에서 전원관련 통계임 -미국 ACEP 병상점유율(100만명당),재실시간(중위수 60분 단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전원 관련 지표를 산정함 총량:전원율:증증질환별,3대 응급질환별(전원 평균 횟수)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 나)핵심 지표 5-1)전체 전원율:3대 응급의료질환별(심혈관/뇌혈관/중증외상) -청구자료에 의한 전원기관 분석(전원의 정의에 따라 전체 의료기관 및 응급의료기 관간의 전원의 유형을 파악하여 산정) 또는 NEDIS자료에서 전원에 대한 분석후 청구자료에서 추가 확인작업 가능(추가 전원 기관 포함하여 추가 분석) -응급환자 유출률:특정지역 응급의료 이용 행태를 파악 - 27 -
2-3)응급의료 비용 지표 -미국 ACEP 내원비용(메디케이드) 의료의 질 관련 효율성 등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비용자료(수가 등)임 총량:응급실 진료비용,임상평가 자료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 나)핵심 지표 6-1)응급실 이용 총급여비용(환자 부담액)과 1인당 응급의료 치료비 -청구자료를 사용 7-1)급성심근경색환자재관류요법의적절성,뇌경색 환자 혈전용해요법 신속성 -심평원의 적정성평가 자료를 사용 중증외상 응급수술 시간(환자 사고발생~퇴실):자료원 중증외상 registry사용 3)응급의료 결과 지표 의료의 질 관련 환자 안전 등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의료결과로 재방문,사망률 등임 총량:재방문,사망률 변이:지역별,유형별,질병별,(의사/의사별) 나)핵심 지표 8-1)재방문에서는 72시간내 계획되지 않은 재방문을 선정 -청구자료 이용 8-2)사망률은 2일내 사망을 선정 -원내 사망은 청구자료 및 일반 사망은 공단/행자부(사망자료),통계청(사망원인) 등이 필요함 4)응급의료 만족도 지표 의료의 질 관련 환자 안전,의료의 질,공공보건 등임 응급의료 관련 만족도는 전반적인 응급의료의 인식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통계임 -국가수준의 지표로는 응급의료 만족도 등임 총량:만족도(경험평가) 변이:지역별,유형별,환자 특성별 다)핵심 지표 9-1)응급실 이용 만족도평가는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실시한 결과 사용 10-1)재난 대비 태세의 적절성 등 - 28 -
6.자료원간 매칭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기반구축 -지역별,시간대별,질환군별 응급의료 수요와 공급을 파악하여,취약점을 도출하 고 응급자원의 적절한 배치에 활용 응급실전ㆍ후단계 정보 병원전단계 이송 정보 (소방 구급일지) 배후 진료 정보 응급환자진료정보 NEDIS (690만명,2014년) 심평원 응급의료기관 데이터 (560만명,2014년) (53만건,2014년) 타기관 연계정보 건보 가입자정보 (환자의 거주지역, 가구구성,소득수준 등) 안행부 주민등록자료 (사망여부,일시) 사전 사후 진료 정보 병원별 응급의료기관 데이터 장애인 등록정보 (장애유형,등급) 환자 이력정보 (질병력 및 투약정보) 자료원:청구자료 유형별 분석(참고 자료 8.표 3.) 그림 14.응급의료 모니터링 빅데이터 교통사고 발생, 기상 및 환경 변화 가.청구자료와 NEDIS자료 매칭 1)NEDIS 자료와 청구자료 내용 및 특성 국립중앙의료원 NEDIS자료는 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개별 의료기관의 응급환자 별로 수진건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적재되어지는 자료임 -환자의 개인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가 없어,환자 구분이 불가능한 바 개별의료 기관의 환자의무기록와 의료기관(5개 주요변수)을 통하여 구분 -동일 의료기관(응급의료센터)응급환자의 경우 환자의무기록번호는 동일하지만, 타 요양기관으로 전원 및 이동 시 상이해짐 -NEDIS자료는 환자별로 구축되어 있으며,건강보험,산재,자동차보험 등 구분함 청구자료는 개인식별번호가 있어, 코호트, 패널자료 구축 및 자료연계의 용이성 -전국민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포함하며 임상자료는 미비한 행정자료임(비급여 부재) 2)매칭 과정 및 결과 - 29 -
2014년 NEDIS자료와 심평원 청구자료의 매칭기준은 5가지 변수로 다음과 같음 (1)의료기관번호:8자리 숫자로 구성된 각 의료기관의 고유번호 (2)내원일자:응급환자(수진자)가 응급서비스를 이용한 일자 (3)생년월일: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 응급환자의 생년월일 (4)성씨:응급환자의 이름의 첫글자 (5)성별:응급환자 성별 -추가로 외부기관 자료에서 사망,환자주소지 등은 매칭 예정임 매칭 모수는 2014년 NEDIS자료 6,942,342건과 2014년 청구자료 925,892,175건(약국제외)임 -NEDIS자료 중 5가지 매칭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매칭 모집단을 정의함 5가지 기준(요양기관기호,성별,내원일자,성씨,생년월일)으로 추출함(and조건을 만족) 매칭 모수 6,280,976건(100%)대상 첫째,개인식별번호(청구자료)와 환자의무기록번호(NEDIS자료)로 매칭건(1:N,N:1) 추출 및 의료기관 오류기재 등 이상건(14,020건)제외함 NEDIS자료의 5,372,820건(약 86%)매칭됨 둘째,수진자 1:1매칭건 추출 및 요양기호(2기관)이상건 수정 NEDIS자료의 5,144,373건(약 82%) 셋째,처치코드를 추가 매칭함[매칭되지 않는 1,136,603건(약 18%)대상] NEDIS자료의 5,625,134건(약 89.6%)매칭됨 넷째,수진자대체키 오류:343,952건 (수정)332,167건 -DB간 변수타입 차이로 인하여 오류 발생 5,625,134(89.6%) 5,948,204(94.7%) 3)비매칭 건에 대한 분석 매칭된 5,625,134건(약 89.6%)제외한 약 4.6%인 83,794건임 -비매칭 원인은 N(청구자료):1,1(청구자료):N의 문제임 청구자료:1인 주민번호 = 의료기관:환자의무기록번호가 2개 이상인 경우 등임 의료기관에서 한 환자가 여러 개의 의무기록번호 보유할 수 있음 (예를 들면:응급실 방문 초기 번호를 재방문시 새로 부여하여 생기는 문제 등) 비매칭 자료 현황 특성 1(청구자료):N N(청구자료):1 건수 비중 건수 % 전체 비매칭 34,756 1.8% 49038 2.8% 권역 5,370 0.72 9,069 1.22 전문 32 0.11 60 0.22 지역기관 5,964 0.27 7,165 0.33 지역센터 23,390 0.71 32,744 0.99-30 -
나.청구자료와 공단 및 사회보장정보원 자료 매칭 1)공단자료 내용 및 특성 건강보험 가입자 자료:가입자의 자격(직장,지역,피부양자),소득수준(건보료 납부 액,자격분위),주소정보,사망일자 등 의료 이용 및 전원,사망 등 측정 장애인 등록 자료(장애유형 및 등급,장애등록일자 등):사회약자인 장애 정도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변수 연번(아래 표 참조) 건강보험관리공단 1 사망자료 -사망년원(DTH_YM):사망년월 -사망원인_세분류(DTH_CODE1):통계청자료 -사망원인_중분류(DTH_CODE2) 2 거주지(시군구) -시군구 코드(SGG) 3 소득분위 (별첨 3-3.가입자구분) 4 장애자료 (장애중증도 구분,장애유형구 분,장애등록년월), 사회보장정보원 자료 1 장애유형(세부유형).등 급 2 장애등록일자 3 장애대상자정보 - 소득분위(CTRB_PT_TYPE_CD):지역 및 직장가입자 각 10분위,의료급여는 0분위 *세대단위보험료 부과 -가입자 구분 1:지역세대주,2.지역세대원,5:지역가입자 6:직장피부양자,7:의료급여세대주,8:의료급여 세대원 -장애중증도구분(DFAB_GRD_CD) 0:정상,1:중증(1~2등급),2:경증(3~6등급)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장애인등급표 참고 -(DFAB_PTN_CD)장애유형구분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8장등급표 0:정상,1:지체장애인,2:뇌병변장애인 3:시각장애인,4:청각장애인,5:지적장애인,6:정신장애인 7:신장장애인,8:기타장애인, -장애등록년월(DFAB_REG_YM) -유형 및 등급: -종합장애 -주장애 -부장애 주,부장애 진단일자 -자격취득일 -신청일자 -진단 관련 등록일(최초등록시점) -성명,주민번호,지역(시군구,읍면동),주소,성별,연령, 사망여부 및 일자 - 31 -
7.응급의료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방안 우리나라 응급의료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여 주요 응급의료 현황 및 문제점을 상시 파악하고,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임 본 연구는 응급의료 통계 및 지표를 통해 응급의료의 흐름을 다각도에서 파악할 수 있는 응급의료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함. 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모형(Emergency Medicine Monitoring System, E2MS) -다양한 화면 제공에 의한 응급의료 전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응급의료 모 니터링 시스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함 -세부 영역은 구조,환자 이용,결과,만족도 등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분석관점 은 환자 및 의료기관별로 구분하였고 이로서 응급의료 전반의 문제점을 파악하 고 정책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가.응급의료 환자 발생 모니터링:현황판(Dashboard) 국가 수준의 응급환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이다.일일 및 시간대 별 환자 발생을 실시간(RealTimeSystem) 8) 으로 주요 특성별(지역,질환,약처방 등)로 다양하게 제시함 -질병별로는 응급 중증질환 및 3대 응급질환,감염성 질환 등으로 주요 약제(감 염성 질환 등)의 처방약물감시시스템과 지역별 등을 세분화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음 자료원은 NEDIS Real-time응급환자 발생보고 자료로 구축할 수 있다.추가로 이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Real-timeDUR 시스템 등을 점목하여 개발을 검토할 수 있을 것임 이상 징후 알람 기능을 추가하여 응급환자 발생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환자 및 의료기관,지역별 특성을 보이는 경우, 처방약물 감시시스템 등으로 사전보 고 및 대응체계 마련할 수 있을 것임 8) (기존:NEDIS의료기관 공유)응급진료 가능 의료기관 정보 제공:인력,병상,장비 등 대기 병상 및 임상의 정보에 따른 환자 이송 및 전송(구급대,병원 등의 통신체계 및 환자 정보 접근 등 고려) - 32 -
1-1) 현황판(Dashboard): 응급의료 이용 환자 발생 추이 -응급 환자 발생 현황(예시,2015.12.01),일별 및 월별 누적 자료 사용자 기반의 지역별,의료기관 유형별,질병별(감염병),처방약제 등 주요 지표별 자 료 조회 가능 [그림 1] 응급 환자 발생 모니터링: 현황판(Dashboard) - 33 -
1-2) 응급 환자 모니터링: 특성별 - NEDIS,응급의료학회 자료:후향적 자료 1 응급환자 이용행태 분석:후향적 자료 2 응급전담 전문의/간호사/응급실병상 당 환자수 - 지역별 GIS,기관 유형별 제시 [그림 2] 응급 환자 모니터링: 특성별 - 34 -
나. 응급의료 이용 모니터링: 시계열 분석 후향적 자료를 이용하여 응급의료 주요 이용 행태를 분석하며,연간 경향을 시 계열로 파악할 수 있음 -환자의 이동경로는 추적하여 의료기관 전원과 진료의 결과와 응급의료 3대 중증 질환,지역별,응급의료기관 유형별,기관별로 분석이 가능할 것임 -또한 환자 발생 예측 시스템을 추가 할 수 있을 것임 다차원적으로 지역,질병 등의 수치 및 변이값을 제시하고 시기적 변화를 파악 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로서 1개월/분기별/1~5년 자료(청구,NEDIS,외부자료) 를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구조화할 수 있음 2-1) 응급의료 구조 모니터링: 응급의료기관 특성별 -NEDIS자료 1 응급의료기관 현황:기관수 2 국제비교 10만명당 기관수 - 지역별 GIS,기관 유형별 제시 [그림 3] 응급의료 구조 모니터링: 응급의료기관 특성별 - 35 -
2-2) 응급의료 구조 모니터링: 전문 인력 -NEDIS,응급의학회(전문의수) 1 전문인력:응급의학전문의,의사수,간호사수 2 지역별 GIS,기관 유형별 제시 [그림 4] 환자의료 구조 모니터링: 전문 인력 - 36 -
3-1) 응급의료 이용 모니터링: 건강보험 자료 -심평원 건강보험 청구자료/NEDIS후향적 자료 1 응급 환자수:시계열 연간 제시 2 건강보험 진료비용(본인부담비용),내원일수 및 청구건수 -환자당,입원 및 외래별로 제시 -지역별 GIS 및 유형별 제시 [그림 5] 응급의료 이용 모니터링: 건강보험 자료 - 37 -
3-2) 응급의료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후향적 자료를 이용하여 환자 전원 행태 제시 1 응급 환자 전원율 및 전원횟수:중증응급,3대 응급질환 등 2 전원의 행태:상하위 기관 전원율 :질환별,지역별,기관 유형별 등 제시 [그림 6] 응급의료 전원 모니터링: 건강보험 자료 - 38 -
3-3) 응급의료 결과 분석 -심평원 청구자료(NEDIS 확인) 1 응급환자 진료 결과:재방문 및 사망률 2 전체,중증응급,3대 응급질환(심근경색,뇌졸중,중증외상) -전원여부에 따른 진료결과 분석 [그림 7] 응급의료 결과 모니터링: 건강보험 자료 - 39 -
다. 응급의료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이하 GIS)은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교통 통신 등 과 같은 지형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임 -국가 수준의 지역 차이와 특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최적 시스템으로 인포그래 픽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을 것임 [주제도 화면예시] [지도 & 그래프 화면예시] 대분류 소분류 내용별 응급의 료 GIS 시스템 1. 현황판 2. 의료구조 3. 의료이용 1-1. 실시간발생 1-2. 누적 발생 2-1. 시설 2-2. 인력 3-1. 이용행태 3-2. 전원 1-1. 실시간 환자 발생 수 1-2. 응급환자 발생 누적(시계열, 연간) - 환자발생수(천명당) 1) 응급의료기관수(천명당), -국내 및 국제 비교 2) 응급 병상수(천명당) 1) 응급의료전담 전문의수(천명당) 2) 응급의료전담 의사수(천명당) 3) 응급의료전담 간호사수(천명당) 1) 응급의료비용(본인부담금) - 응급환자당: 입원 및 외래 별 2). 응급의료 내원일수 - 응급환자당: 입원 및 외래 별 3) 응급의료 청구건수- - 응급환자당: 입원 및 외래 별 전원율(전체, 중증응급 및 3대 응급중증 질환) 전원횟수 전원행태(상하위 등) 4. 의료결과 3-3. 결과 재입원율(3일내) 사망률(2일내) - 40 -
라. 응급의료 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응급환자 안전을 위한 이력 정보 제공 서비스(의료기관)제공(안) -응급 환자의 과거 임상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응급의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 심평원 청구자료에서 주요 안전 임상정보 제공기준 체계 마련 필요 -환자 과거1~5년간의주상병,처치코드,약처방등의주요임상적주의정보추출및생성하여,신속한진료및처 치활용 심평원 DUR:의약품 중복 등의 역할을 응급의료에 적용->법적,내용 등 구체화 필요 라. 응급의료 환자 발생 예측 시스템 응급환자 안전을 위한 이력 정보 제공 서비스(의료기관)제공(안) -응급 환자의 과거 임상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응급의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 심평원 청구자료에서 주요 안전 임상정보 제공기준 체계 마련 필요 -환자 과거1~5년간의주상병,처치코드,약처방등의주요임상적주의정보추출및생성하여,신속한진료및처 치활용 심평원 DUR:의약품 중복 등의 역할을 응급의료에 적용->법적,내용 등 구체화 필요 - 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