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 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C4A5B0EE20B3ABBBEAB8AE 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슬라이드 1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¹ßÇ¥¿äÁö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untitled

¼øâÁö¿ª°úÇÐÀÚ¿ø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지표조사보고제 집 세종송학리산 10-9 번지관상수식재사업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C3CAC1A DC1DFB1B92E687770>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BCBCC1BE20C0E5B1BAB8E920B4EBB1B3B8AE D34B9F8C1F620C0CFBFF8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1362È£ 1¸é

토픽 31호( ).hwp

- 2 -

역사 51 창화현이라고도 한다. 현종 9년(1018) 양주에 예속시 키고 후에 감무를 두었는데, 본조(조선) 태조 6년 (1397)에 양주에서 치소를 이곳 견주로 옮겼다가 뒤 에 지금의 치소로 옮겼다. 지금의 古 州 內 이다. 라고 하여 두 기사간에 다소의 차이점이 있

<3429BFC0C1F8BCAE2E687770>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01¸é¼öÁ¤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단양군지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200706ºÎµ¿»êÆ®·£µåc02ªš

- 2 -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³»Áö_10-6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untitled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untitled

표1 고려불화의 本 地 : 직조방식 場 160 本 地 3 平 織 A 奈 良 國 博 明 代 1 a 善 導 寺 14 變 化 平 織 B b 鏡 神 社 1310 本 地 畵 幅 奉 安 4 A B 1 2 A 5 Ⅱ. 고려불화의 本 地 : 絹 織 物 의 조직 160 zoom B A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39-0 머리말외.indd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BFACB1B82D30352DBFC0C7F6BCF62DC8B8B3B2C0DA20B1E2C0E720A1AEB0A5BCAEA1AFB0FA20A1AEBFE4BCF6A1AFB8A62D31C2F7BCF6C1A42E687770>

src.xls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sme_beta[1](류상윤).hwp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見 積 書

박광현발표.hwp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Microsoft Word - GMJOVBDSVHIL

[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B1E8BCF8BCAE2DC3D6C1BE312E687770>


jc0inb001a.HWP

23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권 생각해야 한다는 제안이 일어나게 되었다. 예를 들면 貫 井 正 之 씨는 豊 臣 秀 吉 의 대외적 인 정복의도 전반을 검토하고 책 이름에 海 外 侵 略 이라는 문구를 채택했으며( 豊 臣 政 権 의 海 外 侵 略 과 朝 鮮 義 兵

국사관논총107집(전체화일)

<5B DB4EBC7D0BFE4B6F D B1E2B1B82E687770>

<31352D322D3620B9DABCADBEE728C3D6C1BE292E687770>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Transcription: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지표조사보고 15-99 [국비지원 지표조사]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2015

[ 목 차 ] Ⅰ. 조사개요 1 Ⅱ. 조사지역 및 그 주변의 환경 2 1. 청주시의 자연 지리적 환경 2 2. 청주시의 고고 역사적 배경 8 3. 조사지역의 환경과 주변의 문화재 현황 20 Ⅲ. 조사내용 24 1. 고고분야 24 2. 지명 민속 분야 26 3. 조사결과 29 Ⅳ. 조사단 의견 31 도면 33 사진 43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서 55

[ 도 면 목 차 ] [도면 1] 조사지역 위치 및 주변유적 분포도 35 [도면 2] 조사지역 지질도 36 [도면 3] 조사지역 고지도 ; 대동여지도( 大 東 輿 地 圖 ) 37 [도면 4] 조사지역 고지도 ; 청구요람( 靑 丘 要 覽 ) 37 [도면 5] 조사지역 근대지형도 ; 1918년 38 [도면 6] 조사지역 주변 지형도 39 [도면 7] 조사지역 세부지형도 40 [도면 8] 조사지역 세부지적도 41 [도면 9] 사업지역 계획평면도 및 시설물 실측도 42

[ 사 진 목 차 ] [사진 1] 조사지역 위성사진(http://map.naver.com) 45 [사진 2] 조사지역 동쪽 경작지(산28-2전 산28-1임 560전 일원) 모습 46 [사진 3] 조사지역 서쪽 경작지(산28-4임 일원) 모습 46 [사진 4] 조사지역 서쪽 경작지(산28-2전 산28-1임 일원) 모습 47 [사진 5]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과수원 조성 모습 47 [사진 6]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묘역 조성 모습 48 [사진 7]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경작지 조성 모습 48 [사진 8]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경작지 조성 모습 49 [사진 9] 조사지역 외곽 동쪽지역 558-1~5번지 일원 전원주택 조성 모습 49 [사진 10] 조사지역 외곽 동쪽지역 558번지 전원주택 조성 모습 50 [사진 11] 조사지역 외곽 남쪽지역 산27-1임 모습 50 [사진 12] 조사지역 외곽 남쪽지역 560-3전 일원 모습 51 [사진 13] 조사지역 외곽 남쪽지역 572답 572-1답 573-6유 일원 모습 51 [사진 14] 조사지역 외곽 서쪽지역 538-1전 모습 ; 남 북 52 [사진 15] 조사지역 외곽 서쪽지역 573유(꼬꼴랭이방죽) 모습 ; 북동 남서 52 [사진 16] 주변유적 ; 청주 지동동 고락골유적 53 [사진 17] 주변유적 ; 청주 지동동 고철원 고종은 공적비 53

Ⅰ. 조사개요 조 사 명 :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화재 지표조사 조사경위 : 김영길 최성복 氏 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에 태양광발전소를 건립하고자 한다. 이에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해당지역에 대한 문화재 지표조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지난 2015 년 9월 9일에 재단법인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에 국비지원 지표조사를 의뢰하였 다. 조사지역 및 범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 외 4필지 (중심좌표 : 북위 36 38'36.25" 동경 127 24'28.81") 조사면적 : 9,094m2 조사기간 : 2015. 9. 16 ~ 2015. 9. 21 (현장조사 1일) 사업시행자:김영길 氏 최성복 氏 조사단 구성 - 조 사 단 장 : 장 준 식(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원장) - 책 임 조 사 원 : 노 병 식(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장) - 조 사 원 : 이 미 란(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선임연구원) - 준 조 사 원 : 강 문 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지표조사는 지난 2015년 9월 16일 착수하였으며, 현지조사에 앞서 해당 지역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하여 조사지역과 주변의 문화재 현황을 파악 하였다. 현장조사는 9월 18일에 실시하였으며, 이후 해당지역과 관련된 각종 학술조사 보 고서 등을 토대로 보고서 작업을 진행하였다. 보고서의 작성은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이미란ㆍ강문희가 원고를 작성하였으며, 강문희가 도면ㆍ사진을 편집하였으며, 이를 노병식이 검토ㆍ수정하여 장준식이 최종 교열하였다. - 1 -

Ⅱ. 조사지역 및 그 주변의 환경 1. 청주시의 자연 지리적 환경 1) 위치 청주시는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한 내륙도시로서 충청북도의 도청소재지이며, 행정ㆍ경제ㆍ문화ㆍ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청주시의 수리적 위치는 동쪽 끝은 상당구 미원면 계원리로 북위 36 35 55 ㆍ동 경 127 46 20 이며, 서쪽 끝은 흥덕구 강외면 상봉리로 북위 36 24 30 ㆍ동경 127 30 00 이며, 북쪽 끝은 청원구 북이면 옥수리로 북위 36 46 35 ㆍ동경 127 3 4 00 이며, 남쪽 끝은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로 북위 36 24 30 ㆍ동경 127 30 30 로서, 동-서 간과 남-북 간의 거리는 각각 44.2km, 41.7km 정도이다. 청주시의 외곽은 동쪽으로는 좌구산( 坐 龜 山, 657m)을 경계로 증평군과 접하고, 국사봉( 國 師 峰, 586.7m)ㆍ피반령( 皮 盤 嶺, 547m)을 경계로 보은군과 접한다. 서쪽으 로는 조천( 鳥 川 )과 낮은 구릉성산지를 경계로 충청남도 천안시와 접하고 있다. 남쪽 으로는 금강을 경계로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연기군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보강천 과 불당산( 佛 堂 山, 264.4m)ㆍ서림산(345m)을 경계로 진천군ㆍ괴산군과 접하고 있 다. [도면 1] 조선시대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 에서는 청주 중심부로 부터 주변의 주요 도시에 대한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동쪽으로 청안현( 淸 安 縣 )의 경계까지 42리, 같은 현 시화역( 時 化 驛 )의 경계까지 44리, 남쪽은 문의현( 文 義 縣 )의 경계까지 20리, 회인현( 懷 仁 縣 )의 경계까지 24리, 보은현( 報 恩 縣 )의 경계까 지 22리, 서쪽으로 전의현( 全 義 縣 )의 경계까지 54리, 목천현( 木 川 縣 )의 경계까지 55리, 연기현( 燕 岐 縣 )의 경계까지 38리, 북쪽으로 진천현( 鎭 川 縣 )의 경계까지 32리, 서울까지의 거리는 2백 93리로 기록되어 있다. 1) 2) 지형 청주시 중심부의 지형은 동고서저( 東 高 西 低 )형으로 동쪽으로는 속리산에서 시작 1)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卷 15, 淸 州 牧, - 2 -

된 한남금북정맥( 漢 南 錦 北 正 脈 )이 보은군과 경계인 피반령을 거쳐 낭성면 머구미고 개를 지나 선두산( 先 頭 山, 527m) ㆍ선도산( 仙 到 山, 547m)ㆍ것대산( 巨 叱 大 山, 488m)ㆍ상당산( 上 黨 山, 491m)을 지나고, 다시 구녀산( 九 女 山, 484m)을 지나 좌구 산( 座 龜 山, 657m)까지 이어진 후 괴산군으로 향한다. 한남금북정맥이 지나는 주위 로 국사봉( 國 師 峰, 587m)ㆍ인경산( 仁 景 山, 582m)ㆍ미동산( 米 東 山, 558m)이 가지처 럼 뻗어 솟아 있으며, 상당산성에 이르고 있다. 1751년 이중환( 李 重 煥 )이 지은 택리지( 擇 里 志 ) 에는 청주 동쪽 지역을 산동( 山 東 ) 이라는 명칭으로 불러 동쪽지역이 높음을 반영하고 있었다. 청주시 중심부의 동쪽에 위치한 상당산성은 청주시 동쪽에서 가장 높은 지세를 형성하며, 동남쪽으로 것대산(486m)ㆍ선도산( 先 到 山, 547.2m)ㆍ낙가산( 洛 迦 山, 483m) 등과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우암산( 牛 岩 山, 338m) 2) 으로 이어져 급격히 낮 아져 미호천의 지류인 무심천과 만난다. 무심천 3) 은 서쪽으로 부모산( 父 母 山, 231.7m)ㆍ제전봉( 祭 典 峰, 151m)ㆍ수타리봉(126m) 등의 낮은 산들이 솟아 있어 구 릉지 및 평야가 발달하였으며 저산성산지로서 지형적으로 개방적인 성격을 갖는다. 청주시 중심부로부터 동남부쪽으로 낭성면ㆍ미원면ㆍ가덕면ㆍ남일면의 남부ㆍ문 의면지역과 서북쪽으로 오창면 북부지역ㆍ옥산면 북서부 지역은 300 400m 정도 로서 높은 편이다. 반면에 북이면ㆍ강내면ㆍ강외면ㆍ현도면ㆍ남일면 등의 서부지역 은 100m 이하의 잔구성 산지가 발달하고 있다.[도면 1] 3) 지질 청주시의 지질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변성퇴적암류( 變 性 堆 積 岩 類 )인 편마암류( 片 麻 岩 類 )와 흑운모편마암류( 黑 雲 母 片 麻 岩 類 )가 있고, 이들을 관입하고 있는 화강암( 花 崗 岩 )과 이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편마암류, 그리고 그 위를 또 다시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충적층( 沖 積 層 )으로 대별된다. 그 밑으로 쥬라기의 반상화강암( 斑 狀 花 崗 岩 )과 흑운모화강암( 黑 雲 母 花 崗 岩 ) 및 섬록암( 閃 綠 岩 )이 관입하여 있다. 쥬라기나 백악기에는 다시 이들을 관입한 염기성암맥( 鹽 基 性 岩 脈 )과 산성암맥( 酸 性 岩 脈 )으로 된 맥암류( 脈 岩 類 )가 있고 신생대 제4기에는 이들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충적층이 있다. 2) 우암산은 형상이 황소가 누워 있는 것 같다하여 일명 와우산( 臥 牛 山 )이라고도 하는데 청주시의 상징적인 산으 로서 시민들의 휴식처로 사랑을 받고 있다. 3) 무심천의 명칭은 통일신라시대에는 남석천( 南 石 川 ), 고려시대에는 심천( 沁 川 ), 조선시대에는 석교천( 石 橋 川 ) 혹 은 대교천( 大 橋 川 )이라 하였다. 무심천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세기 중엽의 지도에서이며 일제시대 에는 무성뚝이라 불리기도 하였으나, 20세기에 들어 현재 명칭으로 굳어졌다. - 3 -

저반형태의 청주화강암이 관입한 청주 주변의 기반암은 동쪽으로 캠브리아기의 백봉리층군( 白 峰 里 層 群 )과 오오도뷔스기 옥천누층군( 沃 川 累 層 群 )의 퇴적암층이 두껍 게 발달하여 지하수 여과작용을 함에 따라 청주 주변지역이 양질의 음용수 공급지 로 유명하다. 서쪽에는 선캠브리아기의 흑운모편마암이 북동 ~ 남서로 넓게 뻗어 있다. 흑운모편마암과 백봉리층군 및 옥천누층군 사이에 반상흑운모화강암( 斑 狀 黑 雲 母 花 崗 岩 )이 관입되어 주변 지역보다 낮게 형성된 침식층이 미호천 보강천( 寶 崗 川 ) 무심천에 흐른다. 이에 따라 편마암류는 주로 강외면과 옥산면에 분포하는 것 으로 주로 흑운모 호상편마암이다. 흑운모 호상편마암은 유색광물로는 흑운모ㆍ녹 니석 등이 주로 나타나고, 무색광물인 석영ㆍ사장석ㆍ칼리장석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고 유색부분과 무색부분이 교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편마암의 변성시기에 여러 번의 광역 변성작용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복운모편마암류는 포획암체로서 쥐라기 화강암 내에 포획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쥐라기 이전의 퇴적암이 분명하며 접촉변성작용을 받아서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본 암의 구성광물로는 무색광물로 석영ㆍ사장석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고, 유색광물로는 흑운모ㆍ백운모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다. 반상화강암은 일명 청주화강암으로 청주시 강내면ㆍ남이면ㆍ남일면ㆍ부용면ㆍ현 도면ㆍ문의면 등지에 넓게 분포하며, 본 암체는 한반도의 중부지방을 횡단하는 대 저반체( 大 底 盤 體 )의 일부로서 소위 대보화강암체( 大 寶 花 崗 巖 岩 體 )의 주체가 된다. 중립( 中 粒 ) 내지 조립( 組 粒 )으로 흑운모와 약간의 각섬석( 角 閃 石 )이 유색광물로 포 함되고, 정장석( 正 長 石 )의 반정( 斑 晶 )이 포함되어 전형적인 반상화강암의 특징을 보 이고 있다. 본 암의 분포지는 지형적으로 저지를 이루고 있다. 흑운모화강암은 강내면과 강외면 등지에 분포하고 서북쪽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인 흑운모 호상편마암이나 화강암질 편마암을 관입하고 있다. 이때 광역변성작용을 주었으며 남부의 여기저기에서 복운모편암을 포획암으로 갖고 있다. 본 암의 구성 광물은 석영ㆍ정장석ㆍ흑운모ㆍ각섬석 등이 주요하며, 특히 정장석이 반정으로 나 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암의 흑운모는 일반적으로 갈색을 띠는 것이 많으며 풍 화가 심하여 주로 사질토양을 형성하고 저평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청주의 토양은 6개의 토양군으로 구별된다. 하성평탄지( 河 成 平 坦 地 )로 배수가 매 우 양호한 하성충적층( 河 成 沖 積 層 )의 사질토양( 沙 質 土 壤 )인 낙동 ~ 화봉 토양군이 다. 신흥 ~ 함창 토양군은 하성평탄지로 배수가 약간 불량한 하성충적층의 식양질 ( 埴 壤 質 ) 사양질( 沙 壤 質 ) 토양이다. 사촌 ~ 상주 토양군은 곡간 및 선상지( 扇 狀 地 ) 로 배수는 양호하거나 약간 불량한 곡산 충적층의 사양질 토양이다. 화동 ~ 극락 토양군은 기반암( 基 盤 岩 ) 풍화토( 風 化 土 )로 식배수는 약간 양호하거나 약간 불량한 - 4 -

식질토양( 埴 質 土 壤 )이다. 예산 ~ 오산 토양군은 저구릉 및 구릉지로 식배수가 양호 한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계( 花 崗 片 麻 巖 系 )에 기인한 잔적층의 사양질 토양이다. 삼 각 ~ 외산 토양군은 구릉 및 산악지역에 나타나는 것으로 배수가 매우 양호하며 화강암, 화강편마암계에 기인된 잔적층의 사양질 이다. 4) [도면 3] 4) 수계 청주지역의 수계는 상당산성을 경계로 하여 크게 서쪽의 금강수계와 동남쪽의 남 한강수계로 구분할 수 있다. 금강수계는 넓은 평지를 흐르기 때문에 유량이 풍부하여 크고 작은 하천들이 지 류를 이루고 있다. 청주 중심부에는 미호천의 지류인 무심천( 無 心 川 )이 시가지 중심 을 남에서 북서로 가로질러 흐르고 있다. 무심천 상류지역의 가덕면ㆍ남일면 지역 에도 비교적 넓은 평야가 이루어져 있다. 남한강수계는 동남쪽의 산곡지역을 흐르며 하천 폭이 좁고 유속이 빠른 편이어서 상대적으로 평야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달천의 상류에 속하는 미원천변에 비교적 양호한 충적지가 발달해 있다. 미호천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북이면ㆍ북일면ㆍ옥산면ㆍ오창면ㆍ강외면ㆍ강내면 등지에 비옥한 미호평야가 발달하여 충북 제일의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 고 청주시 중심에 해당하는 청주평야( 淸 州 平 野 )는 무심천 하류에 발달된 범람원( 汎 濫 原 ) 곡저평야( 谷 底 平 野 )로서 현재 대부분이 시가지화( 市 街 地 化 ) 진행 되었으며, 남쪽에 대머리평야, 북쪽에 오창평야( 梧 倉 平 野 ), 그리고 서쪽에 신대평야( 新 垈 平 野 ) 가 있다. 청주 주변의 평야지대는 수량이 풍부하고 토질이 비옥하여 이곳에서 생산 되는 쌀은 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도면 1] 각각의 수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금강권 수계 미호천은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면서 진천평야, 증평평야를 형성시키고 청주시와 연기군에 이르는 미호평야를 발달시켰다. 미호천의 지류로는 보강천ㆍ병천천ㆍ성암천ㆍ무심천ㆍ조천 등이 있으며, 연기군 동면 합강리에서 금강 에 합류한다. 보강천은 증평군 청안면의 청안천과 괴산군 사리면의 사리천에서 발원하는 하천 이 백마령에서 발원하는 문암천과 도안면 화성리에서 합류하여 증평읍을 통과하여 4) 청주시, 2006, 淸 州 市 地 上 p17. 청원군지편찬위원회, 2006, 淸 原 郡 地 p191. - 5 -

흐르고 있다. 진천군 초평면과 청주시 북이면의 경계를 따라 서류하다 북이면 석성 리에서 미호천에 유입된다. 무심천은 낭성면 선도산에서 발원하여 서류하다가 청주를 관통하여 북일면 정상 리(까치내)에서 미호천에 합류한다. 무심천 지류로 서쪽지역의 무심천과 부모산 사 이로 흐르는 석남천( 石 南 川 )은 북쪽의 미호천과 이어진다. 이밖의 하천으로는 무심 천의 지류인 미평천( 米 坪 川 )ㆍ명암천( 明 岩 川 )ㆍ율량천( 栗 陽 川 ) 등이 있으며, 이들 상 류지역에는 명암( 明 岩 )저수지ㆍ용정( 龍 亭 )저수지를 비롯하여 소규모의 방죽들이 곳 곳에 위치하고 있어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조천은 충남 천안시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강외면과 연기군의 전동면ㆍ조치원읍ㆍ 동면을 경계로 남류하다가 연기군 동면에서 미호천 본류에 합류한다. 병천천은 충남 천안시 북면에서 발원하여 동류하면서 옥산면을 거쳐 강내면 석화 리에서 미호천 본류에 유입된다. 외천천은 청주시 남이면 용덕산에서 발원하여 부 용면 외천리를 남류하여 현도면 죽전리를 지나서 임목리에서 금강본류에 유입되어 흐른다. 백천은 청원군 남이면 산막리에서 발원하여 강내면의 은적산에서 흐르는 지류와 남이면 갈원리를 흐르는 갈원천이 부용면 행산리에서 합류하여 충남 연기군 동면으 로 흘러 금강의 본류에 합류한다. 용두천은 천안시 병천면 덕성리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면서 오창면을 지나 옥산면 장남리에서 병천에 유입되는 하천이다. 성암천은 진천군 진천읍 만뢰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 오창면을 지나면서 동남 쪽으로 흘러 북이면 화상리에서 미호천 본류에 유입되는 하천이다. 동막천은 강내면 연정리 은적산에서 발원하여 서류하다가 강내면 사곡리에서 미 호천 본류에 유입된다. 석남천은 동쪽의 무심천과 서쪽 부모산 사이로 흐르고 있다. 일명 망천이라 하며 남이면 용덕산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다가 팔봉산 쪽에서 발원된 물과 합류한다. 석 실ㆍ석곡 앞을 지나 용정ㆍ바우배기ㆍ반송ㆍ동양촌ㆍ동터골 앞까지 흘러 용덕산의 다른 줄기와 망일산에서 발원하여 석판ㆍ죽림ㆍ경동까지 온 물이 화이산 쪽에서 내 려온 물과 과장산 쪽에서 흘러온 물이 죽천 앞에서 합류하여 북류하다 미호천에 유 입된다. 병암천은 낭성면 머구미재에서 발원하여 서류하면서 가덕면 병암리를 관통하여 흐르고 있다. 여기에 인차리를 지나 남일면에서 무심천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2) 남한강권 수계 - 6 -

달천은 속리산 천황봉에서 발원하여 속리천이라는 이름으로 서류하다가 미원천을 합류한 후 박대천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화양구곡에서 흘러나온 화양천과 합하여 달천이 된다. 달천은 괴산군을 종단하여 남에서 북으로 흐르다 충주시의 탄금대에 서 남한강에 유입된다. 박대천은 속리천이 미원면 운암리에서 옥화구경을 곡류하는 하천이다. 미원천은 미원면 구녀산에서 발원하여 남동류하다가 미원면 내산리에서 안족실과 막은골에서 흘러내리는 중리천과 합류하여 미원리를 거쳐서 박대천에 합류하는 하 천이다. 감천은 청주시 산성동 상당산성의 동사면에서 발원하여 낭성면을 동남쪽으로 가 로질러 인경천과 합류하여 흐르다 미원면 성대리에서 미원천에 합류되는 하천이다. 구룡천은 미원면 대덕리 좌구산 동사면에서 발원하여 괴산군 청천면 방향으로 동 류하여 박대천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5) 기후 청주시는 중부 내륙분지에 자리하고 있어 기온의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특성이 나타내며, 연평균기온 11.6, 1월 평균기온 -3.5, 8월 평균기온 25.3 이다. 연평균강수량 1,216mm이며 가을철에는 분지의 지형적 특성 및 대청댐의 영향 으로 안개가 많은 편이다. 식생은 침엽수림과 낙엽수림이 혼재되어 있는 특징을 보 인다. 6) 교통 청주시의 중심 교통망은 조선후기 대동여지도( 大 東 輿 地 圖 ) 에서 보면 사방으로 7개의 도로망이 표시되어 있으며, 현재의 도로망과 큰 차이가 없다. 청주시의 중심 교통망은 17번 국도가 북-남으로 안성 진천 청주 신탄진 대 전 방향으로 이어져 지나고 있고, 36번 국도가 서-동으로 조치원 청주방향으로 이 어지다가 592지방도(옛36번 국도)로 분기하여 북동쪽 증평방향으로 갈라지고, 동쪽 으로는 512번 지방도가 괴산방면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남동쪽으로는 25번 국도가 청주 회인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청주시의 서쪽으로는 최근에 개통된 중부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가 북-남의 방 향으로 이어지고 있고, 충북선이 남서-북동으로 조치원 오송 오근장 방향으로 이 - 7 -

어지고 있다. 그리고 청주공항과 청주역 등이 인근에 있어 충북지역 내 교통의 중심지의 역할 을 담당하고 있다.[도면 1ㆍ2] 7) 인구 청주시는 2014년 7월에 청원군과 통합하면서 현재 상당ㆍ흥덕ㆍ청원ㆍ서원 4개 구 30동ㆍ3읍ㆍ10면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면적은 약 943.3km2이다. 청주시 인구는 1960년에 92,342면에 불과하던 것이 1963년 청원군 사주면( 四 州 面 )을 편입한 이루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청원군 지역의 편입이 가속 화되어 인구 증가폭이 더욱 커졌다. 1983년에 30만명, 1994년에 50만명을 넘어섰 고, 2013년에 약 67만의 인구를 갖추다가 2014년 7월에 청원군과 통합하여 인구 는 약 84만의 대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5) 2. 청주시의 고고ㆍ역사적 배경 1) 고고학적 배경 청주지역은 주변의 완만한 구릉지와 하천유역을 따라 주변에 넓은 충적대지가 형 성되어 비옥하고 넓은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어 일찍부터 사람이 모여살기 좋은 천 연의 환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청주지역은 지리적으로 큰 수로( 水 路 )가 없으나, 육로( 陸 路 )의 역할이 강조되어 내륙의 남-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교통의 요충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한강유역 및 소백산맥 이남의 영남지역과의 관계에서 지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청주지역의 고고학 유적은 대부분 미호천 유역을 중심으로 실시된 지표조사 및 각종 개발 공사와 관련한 구제발굴조사의 성과 등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이 지역 은 일찍이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확인되 어 6) 지역의 문화사를 통사적( 通 史 的 )으로 살필 수 있기도 하다. (1) 선사시대 5) http://www.cheongju.go.kr 6)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83, 中 原 文 化 圈 遺 蹟 精 密 地 表 調 査 報 告 書 ( 淸 原 郡 ). 國 立 淸 州 博 物 館, 1993, 美 湖 川 流 域 地 表 調 査 報 告 書. - 8 -

1 구석기시대 현재까지 청주지역에서 확인된 구석기시대 한데 유적(Open site)은 청주 개신동 유적( 開 新 洞 遺 蹟 ) 7), 문덕리 샘골유적 8), 명암동유적( 明 岩 洞 遺 蹟 ) 9), 석소동유적( 石 所 洞 遺 蹟 ) 10), 연제리유적 11), 소로리유적 12), 봉명동유적( 鳳 鳴 洞 遺 蹟 ) 13), 노산리유적 14), 율량동유적( 栗 陽 洞 遺 蹟 ) 15), 원평유적 16), 만수리유적 17) 등이 있다. 그리고 동굴유적 (Cave site)으로는 두루봉동굴 18), 큰용굴 19), 작은용굴 20) 등이 있다. 2 신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유적은 가호리 아득이유적 21), 쌍청리유적 22), 봉명동유적Ⅳ지구( 鳳 鳴 洞 遺 蹟 ) 23), 상당산성 남문 유적( 上 黨 山 城 南 門 遺 蹟 ) 24) 등이 있다. 7) 李 隆 助, 1976, 새로이 발견된 구석기 전통유물의 몇 예, 白 山 學 報, 20쪽. 8) 충북대학교박물관, 1979, 美 湖 川 流 域 地 表 調 査 報 告 書. 9) 李 隆 助 外, 1985, 忠 北 遺 蹟 ㆍ 遺 物 地 名 表,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1쪽. 10)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2, 京 釜 高 速 道 路 擴 張 工 事 區 間 內 文 化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1) 국립청주박물관, 1993, 美 湖 川 流 域 地 表 調 査 報 告 書. 12) 충북대학교박물관, 1998,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청원 옥산 소로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이융조 우종윤, 2000, 청원 소로리 구석기 유적. 13)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9, 淸 州 鳳 鳴 洞 遺 蹟 發 掘 調 査 略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2,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Ⅰ)-Ⅰ 地 區 調 査 報 告. 14) 충북대학교박물관, 2002,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淸 原 展 示 場 新 築 工 事 豫 定 敷 地 內 老 山 里 遺 蹟 試 掘 調 査 報 告 書 15)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5, 淸 州 栗 陽 洞 舊 石 器 遺 蹟. 16)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1, 청원 원평유적-청원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부지 A지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청원 초막골유적-청원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부지 A지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청원 만수리유적(10지점)-청원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예정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17)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1,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부지 내 원평A-3구역) 청원만수리 구석기 유적(1 2 3지점). 18) 청원 두루봉 동굴유적에 대한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세대학교선사연구실, 1983, 두루봉 9굴 살림터. 이융조, 1984, 한국의 구석기문화(Ⅱ), 탐구당., 1988, 청원 두루봉 새굴 처녀굴 출토유물 자연환경연구 - 식물상의 자료를 중심으로 -, 손보 기박사 정년기념 고고 인류학논총, 지식산업사. 충북대학교박무로간, 1991, 청원 두루봉 흥수굴 발굴조사보고서. 이융조 외, 1991, 청원 두루봉 새굴 처녀굴 출토유물의 고고학적 연구, 선사와 고대 12. 19) 충북대학교박물관, 2005, 중원지역의 구석기유적 20) 충북대학교박물관, 2005, 청원 작은용굴 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21)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文 化 財 管 理 局 文 化 財 硏 究 所, 1979, 앞의 책. 청원군지편찬위원회, 2006, 앞의 책. 22) 國 立 淸 州 博 物 館, 1993, 淸 原 雙 淸 里 住 居 址. 도문선, 2005, 淸 原 雙 淸 里 多 重 環 濠 遺 蹟 원삼국시대 문화의 지역성과 변동, 韓 國 考 古 學 會.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6, 淸 原 雙 淸 里 遺 蹟.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6, 淸 原 雙 淸 里 多 重 環 濠. 23)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9, 위 책. 24) 忠 北 大 學 校 湖 西 文 化 硏 究 所, 1997, 上 黨 山 城 - 西 將 臺 및 南 門 外 遺 蹟 址 調 査 報 告. 車 勇 杰 外, 1999, 上 黨 山 城 - 綜 合 地 表 調 査 및 文 獻 資 料 集 忠 北 大 學 校 中 原 文 化 硏 究 所. - 9 -

청원 가호리 아득이 돌무덤유적은 돌무덤 1기와 빗살무늬토기 11점이 출토되었 다. 빗살무늬토기는 암사동의 가는 줄무늬와 동삼동식 굵은 줄무늬토기와 같이 혼 합되어 나타난다. 이 돌무덤은 서해안에서 금강줄기를 따라 올라 온 신석기시대 사 람들의 매장풍습을 입증하는 것으로 충북의 신석기문화 성격을 밝혀주는 중요한 유 적으로 평가된다. 25) 쌍청리유적은 주거지 2기를 비롯하여 빗살무늬토기와 숫돌ㆍ간돌도끼ㆍ보습ㆍ반 달돌칼 등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남부지방과 한강유역의 빗살무늬토기 문화와의 연결관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중부내륙지방(금강유역권)에 발달된 이 시기 농경문화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중요 유적이기도 하다. 26) 3 청동기시대 청동기시대 유적은 크게 미호천과 무심천 주변으로 형성된 낮은 구릉성 산지지역 에 주로 분포하며, 미호천과 무심천을 따라 많은 수의 유적이 조사되었다. 미호천의 본류를 따라 상류에서부터 풍정리유적 27) 대율리유적 28), 내수리유적 29), 중류의 송대리유적 30), 하류의 쌍청리유적 31) 궁평리유적 32) 황탄리유적 33) 등이 있다. 무심천 주변으로는 중심으로 향정동유적( 香 亭 洞 遺 蹟 ), 외북동유적( 外 北 洞 遺 蹟 ) 34) 봉명동유적( 鳳 鳴 洞 遺 蹟 ) 35), 내곡동유적( 內 谷 洞 遺 蹟 ) 36) 과 주변으로 비하동유적( 飛 下 洞 遺 蹟 ) 37), 가경동유적( 佳 景 洞 遺 蹟 ) 38), 용정동유적( 龍 亭 洞 遺 蹟 ) 39), 송절동유적( 松 節 25) 충북대학교 박물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79, 앞의 책. 청원군지편찬위원회, 2006, 앞의 책. 26) 中 央 文 化 財 硏 究 員, 2006, 앞의 책. 27)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5, 淸 原 大 栗 里 馬 山 里 楓 井 里 遺 蹟. 28) 淸 州 大 學 校 博 物 館, 2000,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淸 原 郡 -.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5, 淸 原 大 栗 里 ㆍ 馬 山 里 ㆍ 楓 井 里 遺 蹟. 29) 國 立 文 化 財 硏 究 所, 1995, 淸 原 內 水 里 遺 蹟 先 史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書. 30)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1997, 淸 原 梧 倉 科 學 地 方 産 業 團 地 (2 段 階 ) 文 化 遺 蹟 試 掘 調 査 報 告 書., 1998, 梧 倉 科 學 團 地 松 垈 里 遺 蹟 發 掘 調 査 -자문위원회 및 현장설명회자료-. 31)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6, 淸 原 雙 淸 里 靑 銅 器 時 代 遺 蹟. 32) 忠 北 大 學 校 先 史 文 化 硏 究 所, 1994, 淸 原 宮 坪 里 靑 銅 器 遺 蹟. 33) 高 麗 大 學 校 埋 葬 文 化 硏 究 所, 1997, 淸 原 黃 灘 里 遺 蹟 發 掘 調 査 略 報 告 書. 34) 尹 武 炳, 1986, 淸 州 香 亭 洞 ㆍ 外 北 洞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中 部 高 速 道 路 文 化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35)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9, 淸 州 鳳 鳴 洞 遺 蹟 發 掘 調 査 略 報 告 書 調 査 報 告 第 63 冊,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2,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Ⅰ-Ⅰ 地 區 調 査 報 告,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4,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Ⅲ -Ⅳ 地 區 調 査 報 告 2 -,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5,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Ⅱ -Ⅳ 地 區 調 査 報 告 1 -. 36) 車 勇 杰, 1986, 淸 州 內 谷 洞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中 部 高 速 道 路 文 化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37) 韓 國 考 古 學 會, 1974, 淸 原 飛 下 里 出 土 一 括 遺 物, 考 古 學 2. 38) 李 隆 助 ㆍ 禹 鍾 允 ㆍ 趙 詳 記, 2002, 淸 州 佳 景 3 地 區 遺 蹟,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39)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ㆍ 韓 國 土 地 公 社, 2000, 淸 州 龍 亭 洞 遺 蹟 Ⅰ. - 10 -

洞 遺 蹟 ) 40) 등이 알려져 있다. 청주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은 크게 청동기시대 전기~중기에 해당하는 유구와 유물이 다량으로 발굴 조사되었다. 전기는 토광형노지를 갖춘 소위 역삼동유형( 驛 三 洞 類 型 )의 특징과 위석식 노지를 갖춘 가락동유형( 可 樂 洞 類 型 ) 41) 의 특징이 모두 나 타난다. 42) 중기는 송국리형주거지( 松 菊 里 形 住 居 址 )를 갖춘 송국리유형( 松 菊 里 類 型 ) 의 특징이 나타난다. 후기는 점토대토기문화를 갖춘 주거지가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청주 봉명동유적 43) 이나 송절동유적 44) 에서 점토대토기편이 확인된 바 있어 앞으로 의 조사 사례가 기대된다. 청원 쌍청리유적에서 모두 46기의 주거지가 발견되었으며 대형 취락에 해당한다. 이 유적은 전기의 가락동식주거지와 역삼동식주거지 중기의 휴암리식주거지와 송국 리식주거지가 모두 확인되면서 오랜 기간에 걸쳐 점유된 것으로 생각되며, 청동기 시대 다양한 문화유형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청주지역의 송국리문화는 주거지를 비롯한 대부분의 문화요소가 송국리문화 요소 로 구성되어 있지만, 석도의 경우에는 삼각형석도가 한 점도 확인되지 않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 45) 한편 선돌 및 고인돌유적으로는 복대동고인돌( 福 臺 洞 支 石 墓 ) 46) 문의면 도원리선 돌, 가덕면선돌, 미원 내산리ㆍ미원리선돌, 가호리ㆍ쌍이리선돌 및 고인돌, 북이면 화하리유적ㆍ내둔리고인돌 47) 등이 있다. 40) 趙 詳 紀, 1993,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發 掘 調 査 報 告, 第 36 回 全 國 歷 史 學 大 會 發 掘 要 旨. 趙 詳 紀, 1993, 淸 州 地 域 原 三 國 時 代 古 墳, 성인문화강좌 종합과제, 國 立 淸 州 博 物 館. 趙 詳 紀, 1993, 淸 州 松 節 洞 古 墳 A 地 區 發 掘 調 査 槪 報 年 報 2,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3, 松 節 洞 古 墳 群. 車 勇 杰 ㆍ 趙 詳 起, 1994,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群 1 次 年 度 (92) 調 査 報 告 書 漣 川 三 串 里 百 濟 赤 石 冢 發 掘 調 査 報 告 書, 文 化 財 管 理 局 文 化 財 硏 究 所. 車 勇 杰 ㆍ 趙 詳 起, 1995,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93 年 度 發 掘 調 査 -, 百 濟 文 化 開 發 硏 究 院 ㆍ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41) 유형의 범위에 대하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 42) 이학권, 2003,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가락동유형의 지역적 분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9, 淸 州 鳳 鳴 洞 遺 蹟 發 掘 調 査 略 報 告 書 調 査 報 告 第 63 冊,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2,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Ⅰ-Ⅰ 地 區 調 査 報 告,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4,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Ⅲ -Ⅳ 地 區 調 査 報 告 2 -,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5,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Ⅱ -Ⅳ 地 區 調 査 報 告 1 -. 44) 趙 詳 紀, 1993,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發 掘 調 査 報 告, 第 36 回 全 國 歷 史 學 大 會 發 掘 要 旨. 趙 詳 紀, 1993, 淸 州 地 域 原 三 國 時 代 古 墳, 성인문화강좌 종합과제, 國 立 淸 州 博 物 館. 趙 詳 紀, 1993, 淸 州 松 節 洞 古 墳 A 地 區 發 掘 調 査 槪 報 年 報 2,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3, 松 節 洞 古 墳 群. 車 勇 杰 ㆍ 趙 詳 起, 1994,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群 1 次 年 度 (92) 調 査 報 告 書 漣 川 三 串 里 百 濟 赤 石 冢 發 掘 調 査 報 告 書, 文 化 財 管 理 局 文 化 財 硏 究 所. 車 勇 杰 ㆍ 趙 詳 起, 1995,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93 年 度 發 掘 調 査 -, 百 濟 文 化 開 發 硏 究 院 ㆍ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45) 李 東 揮, 014, 湖 西 地 域 松 菊 里 文 化 地 域 性 硏 究,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李 隆 助, 2000, 淸 州 地 域 先 史 文 化, 淸 州 文 化 院, 137쪽. 47) 淸 州 大 學 校 博 物 館, 2000,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淸 原 郡 -. - 11 -

(2) 원삼국~삼국시대 청주지역은 고대 삼국의 영유가 교차된 지역이다. 하지만 청주 중심지역에서 확 인되는 이 시기의 고고학적 조사 성과는 대부분 마한~백제 등과 관련한 유적과 유 물 등이며, 반면에 신라 및 고구려에 대한 자료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 시기의 유적은 주로 고분 및 주거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 졌다. 마한~백제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신봉동고분군( 新 鳳 洞 古 墳 群 ) 48) 을 비롯하여 청 원 상평리유적 49), 송절동유적( 松 節 洞 遺 蹟 ) 50), 하복대유적( 下 福 臺 遺 蹟 ) 51), 송대리유 적 52), 오창유적( 梧 倉 遺 蹟 ) 53), 명암동유적( 明 岩 洞 遺 蹟 ) 54), 용암동유적( 龍 岩 洞 遺 蹟 ) 55) 과 주성리유적( 主 城 里 遺 蹟 ) 56), 봉명동유적( 鳳 鳴 洞 遺 蹟 ) 57), 가경동 4지구유적( 佳 景 洞 4 地 區 遺 蹟 ) 58), 석소동 유적 59), 만수리 분묘유적 60) 등이 있다. 그리고 신라고분군으로 남쪽의 미천리유적( 米 川 里 遺 蹟 ) 61) 이 있으며, 인접하여 일 모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청주지역의 성곽유적으로는 미호천과 무심천이 합류하는 지역에 초기 백제 시기 에 축성된 것으로 보이는 정북동토성( 井 北 洞 土 城 ) 62) 이 있으며, 주변에 산성이 분포 하고 있다. 청주 중심지역에는 서쪽으로 부모산성( 父 母 山 城 ) 63), 동쪽으로 우암산성( 牛 岩 山 48)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83, 淸 州 新 鳳 洞 百 濟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書 - 1982 年 度 調 査 -.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0, 淸 州 新 鳳 洞 百 濟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書 - 1990 年 度 調 査 -. 金 成 明 ㆍ 申 鍾 煥 ㆍ 李 在 烈, 1993, 淸 州 新 鳳 洞 B 地 區 2 次 發 掘 調 査 報 告, 考 古 學 誌 第 5 輯, 韓 國 考 古 美 術 硏 究 所. 車 勇 杰 ㆍ 趙 詳 紀 ㆍ 吳 允 淑, 1995, 淸 州 新 鳳 洞 百 濟 古 墳 群,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車 勇 杰 ㆍ 趙 詳 紀, 1996, 淸 州 新 鳳 洞 古 墳 群,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車 勇 杰 外, 2002, 淸 州 新 鳳 洞 百 濟 古 墳 群 - 2000 年 度 發 掘 分 調 査 報 告 書 -,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49) 金 秉 模, 1986, 淸 原 上 平 里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中 部 高 速 道 路 文 化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1999, 淸 原 梧 倉 遺 蹟 Ⅰ Ⅳ. 50)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3, 松 節 洞 古 墳 群. 車 勇 杰 ㆍ 趙 詳 紀, 1994,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群 1 次 年 度 (92) 調 査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車 勇 杰 ㆍ 趙 詳 紀, 1995, 淸 州 松 節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書 - 1993 年 度 發 掘 調 査 -,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51)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6, 淸 州 下 福 臺 地 區 文 化 遺 蹟 發 掘 調 査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52)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1999, 앞의 책. 53)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1999, 淸 原 梧 倉 遺 蹟 Ⅰ~Ⅲ. 54) 國 立 淸 州 博 物 館, 2000, 淸 州 明 岩 洞 遺 蹟 (Ⅰ). 55)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2000, 淸 州 龍 岩 遺 蹟. 56)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2000, 淸 原 主 城 里 遺 蹟. 57)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2002, 淸 州 鳳 鳴 洞 遺 蹟 (Ⅰ) - Ⅰ 地 區 調 査 報 告 -. 58) 禹 鍾 允 外, 2004, 淸 州 佳 景 4 地 區 遺 蹟 (Ⅱ). 59) ( 財 ) 中 原 文 化 財 硏 究 院, 2009, 淸 州 石 所 洞 遺 蹟. 60)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7, 淸 原 萬 水 里 墳 墓 遺 蹟. 61) 國 立 文 化 財 硏 究 所, 1995, 淸 原 米 川 里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書. 62) 忠 北 大 學 校 中 原 文 化 硏 究 所 ㆍ 淸 州 市, 1999, 淸 州 井 北 洞 土 城 (Ⅰ). 63) 忠 北 大 學 校 中 原 文 化 硏 究 所, 1999, 淸 州 父 母 山 城 - 地 表 調 査 報 告 書 -, - 12 -

城 ) 64) 상당산성( 上 黨 山 城 ) 65) 등이 위치한다. 특히 상당산성에 관해 삼국사기 에 의 하면 신라 문무왕( 文 武 王, 661~681)대에 김유신( 金 庾 信 )의 맏아들 삼광( 三 光 )이 집 정하였을 때에 열기( 裂 起 )가 오늘날의 보은지역인 삼년산군( 三 年 山 郡 )의 태수( 太 守 ) 가 되었고, 그와 함께 김유신을 보좌하던 친구 구근( 仇 近 )은 김유신의 셋째아들인 원정( 元 貞 )을 따라 서원술성( 西 原 述 城 )을 쌓고 있었고 하는데 66) 여기에 기록된 서 원술성은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 성곽( 城 郭 ) 조에 고상당성이라 고 기록되어 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청주 북쪽으로는 미호천을 따라 산성이 위치하는데 북이면의 낭비성( 娘 臂 城 ) 67) 과 노고성, 장자성, 목령산성 등이 있다. 지금도 오창에서 미호천을 따라 진천까지 이어지는 교통의 요충지에 해당한다. 청주 동쪽으로는 한강 수계를 따라 낭성산성, 돌봉산성, 구라산성 68) 등이 위치한 다. 이러한 산성의 배치는 신라의 북진로와 관련이 있어 보이며, 지금도 보은에서 증평 진천으로 향하는 통행이 빈번한 곳이다. 청주 서남쪽으로는 삼국의 격전지로서 많은 관방유적이 분포하는데 테뫼산성, 남 성골산성, 백제산성, 화봉산성, 석화리토성 등이 알려져 있다. 청주 남쪽의 금강유역을 따라서도 백제와 신라의 산성이 분포하는데 작두산성, 구룡산성, 청개산성, 양성산성 69), 샘봉산성 등이 있다. 특히 청원 남성골 유적은 금 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유적의 발견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청주 서쪽으로는 미호천 일대를 관할하던 동림산성과 동림산보루, 시루봉산성, 병 마산성 등이 있다. 청주지역의 삼국시대 불교문화재로는 비중리 일광삼존불상( 飛 中 里 一 光 三 尊 佛 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4호)이 있다. 이 불상은 원통형으로 표현된 불신과 X자 형 옷주름 등이 6세기 보살상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최초의 일광 삼존석불( 一 光 三 尊 石 佛 )로 크게 주목되고 있다. 70) 청주시 (사)충청북도문화유산연구회, 2012, 청주 부모산, 충북대학교박물관, 2012, 청주 부모산성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64)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80, 우암산지역 문화유적 地 表 調 査 報 告 書 -, 국립청주박물관 (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0, 청주 와우산, (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2, 상당공원~명암로간 도로개설공사구간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65) 李 元 根, 1978, 淸 州 上 黨 山 城 과 그 復 元 試 考, 檀 國 大 學 校 大 學 院 學 術 論 叢 2 輯.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82, 上 黨 山 城 地 表 調 査 報 告 書. 忠 北 大 學 校 湖 西 文 化 硏 究 所, 1997, 앞의 책. 66) 三 國 史 記 列 傳 第 7, 裂 起. 後 庾 信 之 子 三 光 執 政 裂 起 就 求 郡 守 不 許 裂 起 與 祗 園 寺 僧 順 憬 曰 我 之 功 大 請 郡 不 得 三 光 殆 以 父 死 而 忘 我 乎 順 憬 說 三 光 三 光 授 三 年 山 郡 太 守 仇 近 從 元 貞 公 築 西 原 述 城. 67) 國 立 中 原 文 化 財 硏 究 所, 2005, 淸 原 狼 臂 城 地 表 調 査 報 告 書. 68) 忠 北 大 學 校 中 原 文 化 硏 究 所, 2001, 淸 原 謳 羅 山 城. 69) 忠 北 大 學 校 中 原 文 化 硏 究 所, 2001, 淸 原 壤 城 山 城. 70) 忠 淸 北 道, 1982, 文 化 財 誌. - 13 -

(3) 통일신라시대 통일신라시대 유적 가운데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유적은 다음과 같다. 청원 양촌리유적에서 건물지 1동과 관련 시설들이 조사되었으며, 종형토기뚜껑과 주름무늬토기저부편 등이 출토되었다. 71)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이 지역에서는 새로이 방어시설이 출현하게 되는데, 대표적 인 유적인 청원 쌍청리 다중환호유적( 多 重 環 濠 遺 蹟 )에서는 환호가 11개 가량 조사 되었으며, 환호 안에서 주름무늬병 등이 출토되었다. 72) 분묘유적으로는 하복대유적( 下 福 臺 遺 蹟 ) 73), 용암동유적( 龍 岩 洞 遺 蹟 ) 74), 명암동유적 ( 明 岩 洞 遺 蹟 ) 75) 등에서 6~8세기에 해당하는 석곽묘가 조사되었다. 용암동유적에서 는 수혈식ㆍ횡구식ㆍ횡혈식 석실분 등이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76) 청주지역은 일찍이 불교문화가 발달하하여 현재 알려진 통일신라시대의 절터로는 대한불교수도원 원사지( 大 韓 佛 敎 修 道 院 原 寺 址 ), 목우사지( 牧 牛 寺 址 ), 용암사( 龍 岩 寺 ), 운천동사지( 雲 泉 洞 寺 址 ), 운천동 산직말사지( 雲 泉 洞 산직말 寺 址 ) 등이 있다. 하 지만 통일신라의 불교유적은 대부분 원형을 잃고 절터만 전해져 올 뿐이다. 운천동사지에서는 신라사적비( 新 羅 寺 蹟 碑 )가 발견되어 청주의 오랜 역사를 말해 주고 있는데 수공이년세차병술( 垂 拱 二 年 歲 次 丙 戌 ) 이라는 구절이 있어 당( 唐 )의 측 천무후( 則 天 武 后 ) 수공( 垂 拱 ) 2년(신라 신문왕 6년, 686)의 사적비로 추정되며, 비 문에는 불법을 찬양하고 아울러 국왕의 덕을 칭송하며 삼한을 통일한 위업을 서술 한 내용이 있어 아마도 신문왕 5년( 神 文 王, 685) 서원소경이 설치된 이후 그와 관 련하여 세워진 사찰의 사적비로 추정되어진다. 77) (4) 고려~조선시대 고려~조선시대 유적 가운데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유적으로 백현리유적 78) 에 서 건물지가 발굴된 바 있고, 청원 주성리유적과 오창유적 79) 에서 청자가 부장된 석 71)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3, 淸 原 陽 村 里 遺 蹟. 72) 도문선, 2005, 淸 原 雙 淸 里 多 重 環 濠 遺 蹟 원삼국시대 문화의 지역성과 변동, 韓 國 考 古 學 會. 中 央 文 化 財 硏 究 院, 2006, 淸 原 雙 淸 里 多 重 環 濠. 73)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6, 앞의 책. 74)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2000, 淸 州 龍 岩 遺 蹟 (Ⅰ), 608쪽. 75) 國 立 淸 州 博 物 館, 2000, 앞의 책. 76)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2000, 위의 책. 77)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8,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淸 州 市 -, 163쪽. 淸 州 大 學 校 博 物 館, 1985, 淸 州 雲 泉 洞 寺 址 發 掘 調 査 報 告 書. 78) 忠 北 大 學 校 湖 西 文 化 硏 究 所, 1997, 淸 原 栢 峴 里 建 物 址 發 掘 調 査 報 告 書. - 14 -

곽묘 또는 토광묘 등이 발굴ㆍ조사된 바 있다. 고려시대는 국가의 정책적인 영향으로 불교문화가 발달하였고, 청주 지역에는 이 와 관련한 불교유적이 많이 전해져 오고 있다. 고려시대 청주의 불교유적으로는 용 두사지( 龍 頭 寺 址 ), 흥덕사지( 興 德 寺 址 ), 보살사( 菩 薩 寺 ), 대성동사지( 大 成 洞 寺 址 ), 탑 동사지( 塔 洞 寺 址 ), 만수선원 사지( 萬 壽 禪 院 寺 址 ), 천흥사지( 天 興 寺 址 ), 흥천사지( 興 泉 寺 址 ), 관음사( 觀 音 寺 ), 사뇌사지( 思 惱 寺 址 ), 부처당골사지 등이 있다. 용두사지는 청주시의 도심 한복판에 위치하던 사찰로 용두사지 철당간( 龍 頭 寺 址 鐵 幢 竿, 국보 41호)이 남아있다. 철당간은 주성기( 鑄 成 記 )가 남아 있어 고려 초 호 족의 활동을 살펴볼 수 있다. 철당간은 청주의 대표적 호족인 김예종( 金 芮 宗 ), 김희 일( 金 希 一 ) 형제 양가의 발원에 의해 준풍( 峻 豊 ) 3년(고려 광종 13, 962)에 건립되 었다. 이로 보아 고려시대 청주지역의 중심사찰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80) 흥덕사는 폐사되어 절터만이 전해져 오지만, 이곳이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물인 불조직지심체요절( 佛 祖 直 指 心 體 要 節 ) (1377)을 찍어낸 청주목 흥덕사지 임이 밝혀져 81) 당시 청주지역의 수준 높은 활자문화가 융성하였을 알 수 있게 되 었다. 청주 외곽의 고려시대 불교문화재로는 계산리 5층석탑( 桂 山 里 五 層 石 塔 ; 보물 제511호)과 가덕면 백족사 3층석탑( 白 足 寺 三 層 石 塔 )이 있다. 계산리 5층석탑은 기 단부나 탑신부가 가지런하지 못하고 여러 곳에 거친 수법이 보이나 받침돌이나 몸 돌 등의 체감 비례가 적절해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혀 있다. 단층 받침돌의 구성 양식과 지붕돌의 조립 수법 등으로 보아 고려 중기로 추정된다. 82) 조선시대는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숭상하는 숭유억불( 崇 儒 抑 佛 ) 정책이 사회 문 화 분야에도 커다란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변화로 청주지역에는 이전 고려시대에 비해서는 많지 않으나 여전히 불교유적이 전해져 오고 있다. 안심사 대웅전( 安 心 寺 大 雄 殿 ; 보물 제664호)과 안심사 세존사리탑( 世 尊 舍 利 塔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안심사 비로전( 毘 盧 殿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2 호)은 조선 인조 4년(1626년) 송암대사가 중수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월리사 대웅전( 淸 原 月 裡 寺 大 雄 殿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8호)등은 효종 8년 (1657년) 원학대사( 元 學 大 師 )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살사는 청주지역의 대표적인 사찰로 여지도서( 輿 地 圖 書 ) 를 비롯한 조선시대 의 각종 지리지에 빠짐없이 등장하고 있는 사찰이다. 보살사는 위덕왕 14년( 威 德 王, 79) 韓 國 文 化 財 保 護 財 團, 1999, 앞의 책., 2000, 앞의 책. 80)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8,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淸 州 市 -, 83쪽. 81) 淸 州 大 學 校 博 物 館, 1986, 淸 州 興 德 寺 址 發 掘 調 査 報 告 書. 82) 이은창, 1964, 청원군 계산리 오층석탑, 고고미술 44. - 15 -

567)에 법주사를 창건한 위신이 창건하였고, 혜공왕 14년( 惠 恭 王, 778) 진표( 眞 表 ) 의 제자 융종( 融 宗 )이 중창하였다고 전해져온다. 그러나 숙종 9년(1683)에 세워진 보살사 중수비에 의하면 고려 공민왕대( 恭 愍 王, 1352~1374)에 토전이 하사되었고, 조선 세조 4년(1458)에 어명으로 중수되었으며, 그후 벽암대사( 碧 岩 大 師 )의 제자 경특( 瓊 特 )으로 하여금 관리하도록 하였다는 기록이 보여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절 임을 알 수 있다. 현재 보살사에는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4호인 석조이존병립여래 상( 石 造 二 尊 竝 立 如 來 像, 고려추정)ㆍ제56호인 극락보전( 極 樂 寶 殿, 1683년 중건)ㆍ 제65호인 오층석탑(1703년 건립)과 보물 제1258호인 영산회괘불탱( 靈 山 會 掛 佛 幀, 1649제작)이 남아있다. 83) 청주지역은 2014년 7월 1일부로 통합청주시가 출범하여 앞으로도 도시의 확장 및 각종 산업단지의 건설에 따른 대규모 구제 발굴조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새롭게 찾아질 자료들은 기왕에 알려져 있는 문화재들과 함께 청주의 문화사를 규 명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2) 역사적 배경[도면 4~13] 청주지역의 역사는 주변의 고고학적 유적 등을 고려하면 일찍이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하여 끊임없이 이어오고 있으나, 실제 기록에 있어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지금의 청주는 고대 마한( 馬 韓 )의 한 국읍( 國 邑 )세력이 자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 으나, 이와 관련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삼국시대에 들어와 청주를 가장 먼저 차지한 세력은 백제이다. 고대 백제의 청주 지역 진출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三 國 史 記 ) 의 신라본기( 新 羅 本 紀 ) 와 백제 본기( 百 濟 本 紀 ) 에 따르면 다루왕( 多 婁 王, 28~76)은 서기 63년에 낭자곡성( 娘 子 谷 城 )까지 영토를 확장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삼국 중에 백제가 먼저 진출 하였던 것 으로 보인다. 84) 그리고 같은 책 잡지( 雜 誌 ) 에서는 신라 서원경을 언급하고 백 제 웅천주( 熊 川 州 )에 서원을 언급하여 비성( 臂 城 )ㆍ낭자곡( 娘 子 谷 )으로 기록하고 있 어 85) 삼국시기에는 백제 웅천주( 熊 川 州 )에 소속된 서원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서 원은 비성ㆍ낭자곡으로 불렸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 高 麗 史 ) 의 지리지( 地 理 志 ) 와 신증동국여지승람(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 에서 백제 상당현( 上 黨 縣 )으로 기록하고 있음은 주목된다. 86) 이러한 사 83) 忠 北 大 學 校 博 物 館, 1998,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淸 州 市 -, 114~116쪽. 84) 三 國 史 記 新 羅 本 紀 第 1 脫 解 尼 師 今 七 年 冬 十 月 百 濟 王 拓 地 至 娘 子 谷 城 遣 使 請 會 王 不 行 三 國 史 記 卷 23 百 濟 本 紀 第 1 多 婁 王 脫 三 十 六 年 冬 十 月 王 拓 地 至 娘 子 谷 城 乃 遣 使 新 羅 請 會 王 不 從 85) 三 國 史 記 雜 誌 第 5. 新 羅 西 原 京 神 文 王 五 年 初 置 西 小 原 京 景 德 王 改 名 西 原 京 今 淸 州 三 國 史 記 雜 誌 第 6. 百 濟 熊 川 州 ( 一 云 熊 州 ) 熱 也 山 縣 伐 音 支 縣, 西 原 ( 一 云 臂 城 一 云 ( 娘 ) 子 谷 ) - 16 -

실은 삼국사기 에서는 보이지 않고 있지만, 아마도 백제 웅천주( 熊 川 州 ) 소속의 상당현( 上 黨 縣 )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상당현은 서원보다는 이른 시기의 이름이었을 수도 있고, 비성ㆍ낭자곡은 상당현의 옛 이름일 수도 있겠다. 87) 고대 삼국시대의 한때는 지금의 청주지역 서쪽이 백제지역이며, 북쪽의 진천지역 과 동쪽의 도안 및 동남쪽의 청천지역은 모두 고구려지역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 다. 그리고 이 시기 청주는 백제 및 신라의 중간 위치에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고구 려의 영향을 받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88)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신문왕 5년(685)에 신라의 영토를 9개 주( 州 )로 나누 어 통치하는 지방제의 개혁 일환으로 서원소경을 두고 아찬( 阿 湌 ) 원태( 元 泰 )를 사 신으로 삼았다 89). 소경의 구조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으며, 689년 서원경성( 西 原 京 城 )을 축조하여 이 지역의 정치 군사적 지배를 확고히 다져 나아갔다. 경덕왕 16 년( 景 德 王, 757) 서원경으로 승격되어 정치ㆍ군사적으로 중요시 되었으며 90), 혜공 왕 6년(770)에는 왕이 순행( 巡 幸 )을 하기도 하였다 91). 후삼국시대에는 궁예( 弓 裔 )의 후고구려와 견훤( 甄 萱 )의 후백제가 대립하던 접경지 대로 군사상 중요한 요충지였다. 특히 청주는 궁예의 지지기반이었던 곳 92) 으로 궁 예는 청주인호일천( 淸 州 人 戶 一 千 )을 철원성( 鐵 圓 城 )으로 옮겨 서울로 삼을 정도였 다. 93) 이를 계기로 청주인들이 중앙에 많이 진출하게 되었고, 중앙의 청주인들과 지방의 청주인들은 이후 궁예와 왕건의 정권교체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고려시대로 들어와서는 태조 23년(940)에 주( 州 )ㆍ부( 府 )ㆍ군( 郡 )ㆍ현( 縣 )의 명칭 이 개정되면서 청주로 고쳐졌다. 94) 성종 14년(995)에 12목( 牧 )이 폐지되고, 10도( 道 ) 12절도사( 節 度 使 ) 체제로 개편 될 때 전절군( 全 節 軍 )이라는 절도사가 파견되고 중원도( 中 原 道 )에 속하였다 95). 현종 2년(1011)에는 거란( 契 丹 )의 침입으로 왕이 나주( 羅 州 )로 피난하였다가 개 경( 開 京 )으로 돌아갈 때 이곳에 들러 행궁( 行 宮 )에서 연등회( 煙 燈 會 )를 베풀기도 하 86) 高 麗 史 地 理 志 請 州 牧, 本 百 濟 上 黨 縣 新 羅 神 文 王 五 年 初 置 西 原 小 京 景 德 王 陞 西 原 京 太 祖 二 十 三 年 改 爲 淸 州...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卷 15, 請 州 牧, 建 置 沿 革, 本 百 濟 上 黨 縣 一 云 娘 臂 城 一 云 娘 子 谷 神 文 王 五 年 初 置 西 原 小 京 景 德 王 陞 西 原 京... 87) 이러한 비성ㆍ낭자곡에 대해서는 조선후기 大 東 地 志 청주 연혁조에서는 本 百 濟 上 黨 縣 三 國 史 百 濟 地 志 云 西 原 縣 一 云 娘 子 谷 城 一 云 娘 臂 城 者 皆 誤 也 娘 子 谷 城 今 忠 州 娘 臂 城 無 所 考 라고 하여 충주지역을 말하고 있기 도 하다. 88) 중원문화재연구원, 2006, 청워IC-부용간 도로구간내 남성골 유적. 충북대학교 박물관, 2002, 청워 남성골 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89) 三 國 史 記 券 8 新 羅 本 紀 8 神 文 王 條. 90) 三 國 史 記 券 36 雜 志 地 理 3 新 羅 條. 91) 三 國 史 記 券 9 新 羅 本 紀 9 惠 恭 王 條. 92) 申 虎 澈, 1993, 後 三 國 建 國 勢 力 과 淸 州 地 方 勢 力, 湖 西 文 化 硏 究, 第 11 輯. 93) 三 國 史 記 卷 50, 弓 裔 傳. 94) 高 麗 史 券 56 志 10 地 理 淸 州 牧 條. 95) 高 麗 史 券 56 志 10 地 理 淸 州 牧 條. - 17 -

였는데, 96) 이를 계기로 하여 이후 2월 보름에 연등회를 행하는 것을 하나의 예로 삼았다. 다음해 절도사를 혁파하고 대신 안무사( 安 撫 使 )를 파견하였다. 현종 9년(1018) 전국에 8목을 설치할 때 다시 청주목( 淸 州 牧 )이 되었다. 그 후 5 도 양계( 兩 界 )의 지방제도가 정착되어 양광도( 楊 廣 道 )에 속하였고, 연산군( 燕 山 郡 )ㆍ 목주( 木 州 )ㆍ진주( 鎭 州 )ㆍ전의현( 全 義 縣 )ㆍ청주현( 淸 州 縣 )ㆍ도안현( 道 安 縣 )ㆍ청당현 ( 靑 塘 縣 )ㆍ연기현( 燕 岐 縣 )ㆍ회인현( 懷 仁 縣 ) 등을 속현으로 거느렸다. 97) 공민왕 10년(1361)에 홍건적( 紅 巾 賊 )의 침입으로 왕이 복주( 福 州 )로 피난하였다 가 다음해 청주로 옮겨 7개월간 머물렀다. 98) 조선 태조 2년(1393)에 한양천도와 동시에 양광도 일부가 경기( 京 畿 )에 이속되고 나머지 지역이 충청도( 忠 淸 道 )로 개칭되면서 충주목( 忠 州 牧 )과 함께 계수관( 界 首 官 ) 이 되었다. 99) 세종 31년(1449) 충청도 관찰사( 觀 察 使 )로서 판목사( 判 牧 事 )를 겸하게 하였다가 곧 폐지하였다. 100) 세조 때에 진( 鎭 )을 설치하였으며, 2개 군( 郡 ) 10개 현( 縣 )을 관할하였다. 연산군 11년(1505) 청주 출신 사람이 환관 이공신( 李 公 臣 )을 죽인 사건으로 청주 목을 나누어 이웃 고을들에 분속시켰다가 중종 때 복구하였다. 101)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에는 왜장 구로다 나가마사( 黑 田 長 政 )에게 점거됐는 데, 지금의 복대동 일원에서 의병을 일으킨 박춘무( 朴 春 茂 )와 함께 조헌( 趙 憲 )ㆍ영 규( 靈 圭 )의 의병이 청주성을 수복하였다. 102) 다음해 원균( 元 均 )이 병사로 부임하였 다. 한편 다음해 원균( 元 均 )이 병사로 부임하였다. 선조 27년(1594) 옥천( 沃 川 )에서 진( 鎭 )을 옮겨와 영장( 營 將 )은 성 밖에, 우후( 虞 候 )는 상당산성에, 찰방( 察 訪 )은 율봉역( 栗 峰 驛 )에 각각 주재하였다. 103) 효종 2년(1651) 충청도 54개 고을의 육군을 총괄하는 충청도병마절도사( 忠 淸 道 兵 馬 節 度 使 )의 주둔지인 병영이 해미( 海 美 )로부터 청주로 옮겨졌다. 104) 효종 7년(1656)에는 종 억이( 億 伊 )가 주인을 죽인 사건으로 서원현( 西 原 縣 )으로 강등되었다가, 현종 8년(1667)에 복구되었다. 105) 숙종 6년(1680)에도 생원 박상한( 朴 尙 韓 )의 기우제 제문 가운데 반역의 뜻이 있 96) 高 麗 史 券 4 世 家 4 顯 宗 辛 亥 2 年 條. 97) 高 麗 史 券 3 顯 宗 9 顯 宗 戊 午 9 年 條. 98) 高 麗 史 券 27 恭 愍 王 10 恭 愍 王 辛 丑 10 年 條. 99) 朝 鮮 王 朝 實 錄 太 祖 4 卷 2 年. 100) 新 增 東 國 輿 地 勝 覽 淸 州 牧. 101) 朝 鮮 王 朝 實 錄 燕 山 君 57 卷 11 年. 102) 朝 鮮 王 朝 實 錄 宣 祖 26 卷 25 年. 103) 朝 鮮 王 朝 實 錄 宣 祖 48 卷 27 年. 104) 朝 鮮 王 朝 實 錄 孝 宗 6 卷 2 年. 105) 輿 地 圖 書 淸 州 牧 建 置 沿 革. - 18 -

다하여 서원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89년 복구되었다. 106) 영조 4년(1728)에 이인좌( 李 麟 佐 )의 난으로 강등되었다가 1740년 복구되었고, 정 조 1년(1777)에는 역적 효임( 孝 任 )의 태생지라 하여 서원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순 조 2년(1812) 다시 복구되었다. 107) 또, 1826년 역적 박형서( 朴 亨 瑞 )의 태생지라 하여 서원현으로 강등되었다가 헌종 1년(1835) 복구되었다. 108) 철종 13년(1862) 대역죄인 김순성( 金 順 性 )의 태생지라는 이유로 또다시 서원현으 로 강등되었다. 109) 고종 7년(1870) 청주목으로 복구되었고, 1895년에는 청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10) 1896년 13도제의 실시로 충청북도에 속하였으며, 1908년에는 충주에 있던 관찰부 ( 觀 察 府 )가 청주로 이관되어 부임하였다. 111) 1914년 부ㆍ군ㆍ현이 폐합되면서 청주면( 淸 州 面 )으로 되고, 112) 1931년 청주읍 ( 淸 州 邑 )이 되었다. 1946년 청주는 청주부( 淸 州 府 )로 승격되었으며, 이때 청주와 청원군으로 분리되 었다. 113) 이후 1949년에는 청주시( 淸 州 市 )가 되었다. 1963년에는 청원군 사주면( 四 州 面 ) 일원이 편입되었으며 114), 1983년 청원군 강 서면( 江 西 面 ) 일원과 강내면( 江 內 面 )ㆍ남일면( 南 一 面 )ㆍ낭성면( 琅 城 面 ) 일부가 편입 되었다. 115) 1987년에는 강내면ㆍ남이면 일부가 편입되었으며 116), 1990년에는 남이 면( 南 二 面 ) 장성리( 長 城 里 )를 비롯하여 남일면의 5개리와 북일면( 北 一 面 )의 9개리가 각각 청주시( 淸 州 市 )에 편입되었다. 117) 1995년 1월 1일 출장소가 상당ㆍ흥덕구청으로 승격하였으며, 2012년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이 결정되면서 2014년 7월 1일부터 청주시는 새롭게 행정구역 및 행 정명이 변경되었다. 현재 2014년 청주시는 상당 흥덕 청원 서원 4개구로 나눠지며, 61개 행정동으 로 되어있고, 인구는 약 84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상당구는 5면 11동으로 5면은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문의면, 11동 106) 輿 地 圖 書 淸 州 牧 建 置 沿 革. 107) 忠 淸 道 邑 誌 淸 州 牧 建 置 沿 革. 108) 忠 淸 道 邑 誌 淸 州 牧 建 置 沿 革. 109) 大 東 地 志 卷 6, 淸 州 沿 革. 110) 勅 令 第 98 號 (1895.5.26 公 布 ). 111) 忠 淸 北 道 觀 察 道, 1909, 韓 國 忠 淸 北 道 一 般. 112) 朝 鮮 總 督 府 令 第 111 號 (1913.12.29 公 布 ). 113) 軍 政 法 令 第 84 號 (1946.5.1 公 布 ). 114) 法 律 第 1175 號 (1962.11.21 公 布 ). 115) 大 統 領 令 第 11027 號 (1983.1.10 公 布 ). 116) 大 統 領 令 第 12007 號 (1985.12.23 公 布 ). 117) 大 統 領 令 第 13046 號 (1990.7.9 公 布 ). - 19 -

은 중앙동 성안동 탑동 대성동 영운동 금천동 용담동 명암동 신성동 용암1동 용암2동이다. 서원구는 2면 11동으로 2면은 남이면 현도면, 11동은 사직1동 사직2동 사창 동 모충동 수곡1동 수곡2동 산남동 분평동 성화동 개신동 죽림동이다. 흥덕구는 1읍 2면 10동으로 1읍은 오송읍, 2면은 강내면 옥산면, 10동은 운천 동 신봉동 복대1동 복대2동 가경동 봉명1동 봉명2동 송정동 강서1동 강서2동이다. 청원구는 2읍 1면 6동으로 2읍은 내수읍 오창읍 1면은 북이면, 6동은 우암동 내덕1동 내덕2동 율량동 사천동 오근장동이다. 118) 3. 조사지역의 환경과 주변의 문화재 현황 1) 조사지역의 환경 (1) 위치 및 연혁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 산28-4 560 560-1 560-2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중심지역의 지리적인 좌표는 북위 36 38'36.25" 동경 127 24'28.81"이다. 조사대상면적은 9,094m2이다. 지동동( 池 東 洞 )은 청주시의 중심지역에서 무심천을 건너 서쪽으로 약 8km가량 떨 어져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서촌동, 동쪽으로는 향정동, 남쪽으로는 비하동, 서 쪽으로는 정봉동과 인접하고 있다.[도면 1] 지동동은 조선말기에 청주군 서강내일상면( 西 江 內 一 上 面 ) 지역으로 마을에 큰 못 이 있어 못골 목골 지동이라 하였다. 1914년에 시행된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서강내일상면의 동원리( 東 園 里 ) 지서리( 池 西 里 ) 일원과 신기리( 新 基 里 ) 비하리( 飛 下 里 )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청주군 강서면 지동리가 되었다. 1946년 청주군이 청 원군으로 개칭되어 청원군 강서면 관할이 되었으며, 1983년 청원군에서 청주시로 편입됨에 따라 지동동으로 개칭되어 청주시 강서1동 관할의 법정동이 되었다. (2) 지형 118) http://www.cheongju.go.kr - 20 -

지동동의 지형은 현행 1:25,000 지형도에서 보면 부모산( 父 母 山 ; 232m)에서 북 쪽으로 뻗어내린 산사면 구릉말단부에 위치한다. 현재 조사지역은 계단식 논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으로는 송말 꼬꼴랭이 방죽 이 자리하고 있다. 주변의 자연마을로는 새터말ㆍ고락골ㆍ지동ㆍ작은목골 등의 마 을이 촌락을 이루고 있다. 북쪽으로는 석남천( 石 南 川 ) 건너에 서촌동이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미호천 의 지류인 석남천의 주변으로 충적지대가 형성되어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남 쪽으로는 부모산( 父 母 山 ; 232m)과 제천봉이 위치하고 있어 산지지형을 형성하고 있고, 산사면 말단부에는 촌락이 형성되어있다. 주변으로는 꼬꼴랭이 방죽ㆍ송말 방 죽ㆍ피악골 방죽 등 다수의 방죽이 조성되어 있다. 서쪽에 주변으로는 미호천의 동 안으로 충적대지가 넓게 형성되어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도면 1] 조사지역은 남쪽의 부모산에서 북쪽으로 뻗어내린 동향사면부로 임야와 전 지역 을 포함하고 있다. [도면 6] (3) 지질 청주시의 지질은 변성퇴적암류인 편마암류와 흑운모편마암류가 있고, 이들을 관 입한 쥬라기의 반상화강암과 흑운모화강암 및 섬록암이 있으며, 쥬라기나 백악기에 는 다시 이들을 관입한 염기성암맥과 산성암맥으로 된 맥암류가 있다. 지동동의 지질은 미호천과 미호천의 지류인 석남천을 따라 넓게 발달한 충적층과 부모산에서부터 이어져 오는 구릉성 산지를 따라서 반상화강암이 발달해 있다. 조사지역은 부모산에서 북쪽으로 뻗어내린 능선의 영향으로 형성된 구릉지대로서 반상화감암지대에 해당한다.[도면 2] (4) 교통망 청주지역의 교통망은 18세기에 제작된 대동여지도( 大 東 輿 地 圖 )에서 살펴보면 크게 6갈래의 교통로로 이어져 있다. 조치원 청주 증평으로 이어지는 도로는 지금의 592 번 지방도(옛 36번 국도)이고, 청주시에서 남동쪽 회인으로 이어지는 도로는 지금의 25번 국도이며, 안성 진천 청주 신탄진 대전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는 지금의 17번 국도로 추정된다. 이들 도로는 고대 이래 청주의 중요한 교통로였던 것으로 보 인다. - 21 -

지동동의 교통망은 596번 지방도가 동쪽에서 북-남 동-서로 이어지고 있고, 동쪽에 인접하여 중부고속도로로 통하는 서청주 IC가 위치하며, 중부고속도로가 북-남으로 지나가고 있다.[도면 3,4] 2) 조사지역 주변의 문화재 현황[도면 1] 조사지역 주변에 분포하는 문화재의 현황에 대해서는 1998년도에 충북대학교박 물관에서 발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청주시( 淸 原 郡 - 와 문화 재청 문화재 지리정보 서비스(http://gis.cha.go.kr/)를 비롯한 관련 자료를 참조하 였다. 주변지역의 문화유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조사지역 주변 1km 이내의 지역에 위치한 문화재는 1:25,000 지형도와 1:5,000지형도에 표시하였다.[도면 1] 조사지역 주변 500m 이내의 지역에 위치한 문화재에 대해 문화유적분포지도(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청주시( 淸 原 郡 - 과 문화재 지리정보 서비스(http://gis.cha.go.kr/) 에 기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청주 지동동 고락골 유적 [도면 1, 사진 15] 위 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530-1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2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7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532-2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4(전) 시 대 : 근대~조선시대 비지정문화재 지동동 고락골마을 동쪽의 낮은 구릉지역으로 현재 배나무가 자라고 있다. 유물 이 분포하는 범위는 배나무를 심은 곳과 주변의 밭이다. 여기에서는 분청사기조각 과 백자조각, 도기조각 등이 수습되었다. 119) 119) 문화재 지리정보 서비스(http://gis.cha.go.kr/). - 22 -

(2) 청주 지동동 고철원, 고종은 공적비[도면 1, 사진 16] 위 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시 대 : 현대 비지정문화재 청주시 지동동의 濟 州 高 氏 문중에서 매출한 地 方 有 志 高 澈 遠 과 高 鐘 殷 의 사적비. 청주시 지동1동 마을 입구 도로변 왼쪽에는 방형대좌 위에 높이 149cm 폭 54cm 두께 24cm의 烏 石 碑 身 을 세우고 그 위에 가첨석을 얹은 2 基 의 비석이 있는데, 왼 쪽의 비석에는 ' 錫 崙 濟 州 高 公 鐘 銀 功 績 碑 '라고 碑 題 를 새겼으며, 오른쪽의 비석에는 ' 淸 隱 濟 州 高 公 澈 遠 功 績 碑 '라고 새겼다. 모두 1991년 제주고씨 종중에서 세운 것인 데, 그 뒷면에 새긴 공적의 내용을 보면, 高 澈 遠 은 11대조의 추모단 건립 및 종친 회사업에 헌신한 공로로, 高 鐘 殷 의 경우는 추모단 건립 종친회사업에 헌신한 공로 및 마을이장 강서면의원 강서면 노인회장 등을 지내면서 마을 청년 수십명에게 국문 해독의 사업을 펼친 공로를 기려 그 공적비를 세웠다. 청주시 지동1동 큰못골은 제 주고씨의 집성촌이다. 120) 120) 문화재 지리정보 서비스(http://gis.cha.go.kr/). - 23 -

Ⅲ. 조사내용 1. 고고분야 1) 조사개요 김영길 최성복 氏 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에 태 양광발전소를 건립하고자, 재단법인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에 지표조사를 의뢰하였 다. 조사지역의 지리적인 좌표는 북위 36 38'36.25" 동경 127 24'28.81"이고, 조사 대상면적은 9,094m2이다. [조사지역의 지적현황] 소 재 지 지 번 지 목 지적면적(m2) 편입면적(m2) 비 고 산28-1 임 2,678 2,678 청 주 시 흥 덕 구 지 동 동 산28-4 임 595 595 560 전 893 893 560-1 전 664 664 560-2 전 4,264 4,264 합 계 5필지 9,094 9,094 사전조사는 1998년도에 충북대학교박물관에서 발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文 化 遺 蹟 分 布 地 圖 ) 청주시( 淸 原 郡 - 을 비롯하여 문화재 지리정보 서비스(http://gis.cha.go.kr/) 등을 참고 하였다. 현장조사는 1:5,000 지형도 및 지적도 등을 참고하여 조사지역과 조사지역 외곽 50m이내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으로부터 500m이내의 지역에 국가에서 지정하여 관리하는 문화재는 없 - 24 -

다. 조사의 진행은 전체를 도보하여 유구나 유물의 잔존여부를 확인하고, 조사지역 외 곽에 대해서는 50m이내의 범위까지 포함하여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조사하였 다. 조사단에서는 조사결과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원지형의 보존상태, 지형조건, 유물 산포도, 유구노출여부, 주변유적 현황 등을 고려하여 조사단 의견을 제시하였다. 조사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조사내용 (1) 조사지역[도면 1 6~7, 사진 2~4] 조사지역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 산28-4 560 560-1 560-2 번지 일원의 5필지이며, 조사대상 면적은 9,094m2이다. 조사지역은 남쪽의 부모산( 父 母 山, 232m)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낮은 구릉지대 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은 약 69.1m이다. 조사지역은 지적상으로 5개의 필지로 구분되어 있으나, 현지조사 결과 경작지를 종성 하면서 2개의 필지로 통합하였다. 조사지역의 동쪽에 조성된 경작지는 산28-4임과 산28-1 560-1 560-2전의 동쪽 지역을 포함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주변지역과의 지형을 비교해 살펴봤을 때 일부지역 을 삭평하여 계단식으로 경작지를 조성하였으며, 현재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확인된 유구나 유물은 없다. [사진 2~3] 조사지역의 서쪽에 조성된 경작지는 560전과 산28-1 560-1 560-2전의 서쪽지 역을 포함한 지역으로 이전까지 과수원으로 이용되어 왔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은 이미 경작지를 조성하면서 지형삭평 등의 평탄화작업이 이루어져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서 확인된 유구나 유물은 없다. [사진 4] 조사지역은 주변의 지형을 살펴봤을 때 대체적으로 지형삭평 및 경작지 조성으로 인해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태로 원래의 지형을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지역에 유적이 잔존할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조사지역 외곽 50m이내 지역[도면 1ㆍ6~7, 사진 5~14] - 25 -

조사지역 주변 50m이내의 지역에 대해서 북쪽ㆍ동쪽ㆍ남쪽 서쪽으로 나누어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북쪽지역은 지적상 산29-2임 557전 일원이다. 산29-2임은 현재 여러개의 필지 로 나누어져 과수원이나 경작지, 또는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들 지적 은 이미 과수원 경작지 묘역조성으로 인해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 며,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사진 5~8] 동쪽지역은 지적상 558 558-1 558-2 558-3 558-4 558-5번지 일원이다. 이 지역은 이미 전원주택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발행위로 인해 이미 형질변 경이 이루어져 원래의 지형을 확인할 수 없다.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 았다. [사진 9~10] 남쪽지역은 지적상 산27-1임 560-3전 560-4전 일원으로 조사지역과 연결되는 구릉능선부이다. 산27-1임과 560-3전 일부지역은 현재 경작지 조성 임도개설 등으 로 인해 지형이 삭평되어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560-3전 일부지역과 560-4전은 원지형을 절토하여 경작지를 조성하였으며, 현재까지도 고구마 등의 밭 경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지적은 이미 경작지 조성으로 인해 형질변경이 이루 어진 상태이며,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사진 11~13] 서쪽지역은 지적상 538-1전 573유 일원(꼬꼴랭이 방죽) 573-6유 572답 571-1 답 일원이다. 538-1전은 주변의 작은 소로와 같은 높이로 지형이 삭평되어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573유 일원은 저수지이며, 573-6유 572답 571-1답 일원은 계단식 경작지로 현재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들 지 적은 경작지 및 저수시설 조성 등으로 인해 이미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 되며,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사진 14] 따라서 조사지역 외곽 50m 이내의 지역은 대부분의 지역이 경지조성이나 개발행 위로 인하여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해당지역에 유적이 잔존할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지명ㆍ민속분야 1) 지동동의 지명 121) 121) 한글학회, 1985, 한국지명총람 3, pp. 531~532. - 26 -

(1) 연혁 지동동( 池 東 洞 )은 본래 청주군( 淸 州 郡 ) 서강내 일상면( 西 江 內 一 上 面 )에 속해 있 던 지역으로 큰 못이 있으므로 못골ㆍ목골 또는 지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정책에 따라 동원리( 東 圓 里 )ㆍ지서리( 池 西 里 )ㆍ신기리( 新 基 里 )ㆍ비하동( 飛 下 洞 )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지동리( 池 東 里 )라 하여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 월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2) 자연마을 및 산천 강당골 골 : 못골과 비하리 사이에 있는 골짜기. 전에 강당이 있었음. 강당골 방죽 못 : 강당골에 있는 못. 고락골(고락동, 동원리) 마을 : 목골 서쪽에 있는 마을. 금반량(금반형) 산 : 산형이 금반( 金 盤 )처럼 생겼다 함. 돌팍재1 고개 : 돌팍재 줄기에 있는 고개. 못골에서 새터말로 감. 돌팍재2 산 : 못골 서남쪽에 있는 산. 돌이 많음. 뚱게들 들 : 못골 앞에 있는 들. 땅이 메말라서 수확한 것을 찧으면 왕겨 만 난다 함. 마래골 마을 : 새터 위쪽에 있는 마을. 마래방죽 못 : 마래골에 있는 못. 멍석바위 바위 : 못골 위쪽에 있는 멍석처럼 넓고 펀펀한 바위. 목골(못골) 마을 : 지동리 사실 들 : 작은 못골 뒤에 있는 들. 새터말(신기) 마을 : 고락골 남쪽에 새로 된 마을. 송말 버덩 : 못산에 있는 버덩. 전에 소나무가 많았으며, 마을이 있었음. 송말방죽(위못골방죽) 못 : 위못골에 있는 못. 애금바위 바위 : 새터말 위쪽에 있는 바위. 모양이 병풍처럼 생겼음. 약샘 우물 : 못골 뒤에 있는 샘. 옻 오른데 효험이 있음. 약샘골 골 : 약샘이 있는 골짜기. 약샘골방죽 못 : 약샘골에 있는 못. 淸 原 郡 誌 編 纂 委 員 會, 1990, 淸 原 郡 誌 - 27 -

옻나무골 골 : 새터 뒤쪽에 있는 골짜기. 옻나무가 있음. 위못골 골 : 못골 위에 있는 골짜기. 작은목골(지서) 마을 : 못골 서쪽에 있는 마을. 잿말 들 : 전에 기와집만으로 된 마을이었는데, 폐동되었음. 주막거리 마을 : 전에 주막이 있었음. 지동( 池 東 ) 마을 : 지동리. 지서( 池 西 ) 마을 : 작은목골. 할미샘 우물 : 새터말 뒤쪽에 있는 샘. 2) 민속분야 금번 조사에서는 조사지역을 포함하고 있는 지동동에 대한 민속조사를 직접적으 로 실시하지 못했다. 지동동에 전해져 내려오는 공동체적인 민간신앙ㆍ민요ㆍ전설 및 개별 민속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겠지만, 여기에 대한 조사보고가 미흡한 실정 이다. 따라서 점차 도시화되면서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민속이 기록으로나마 보전 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조사연구가 요구된다. 여기에 지동동과 주변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이 있어 그대로 옮겨 적고자 한 다. (1) 짐대마루( 福 臺 村 ) 선조 때 토정 이지함과 박춘무가 아양산에 올라 복대동 일대를 보니 행주형( 行 舟 形 )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이곳에는 장차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번창하게 될 것이지만 정착하는 사람은 적고 뜨내기가 많을 것을 알았다. 그것은 달리는 배에 짐대(돛)이 없기 때문이며, 행주형 지세에 물이 귀하다는데 그 원인이 있음을 알았 다. 그들은 이곳에 번창한 도시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무쇠로 만든 당간 을 세우고, 그곳 마을을 짐대마루라고 불렀다. 그리고 배가 함부로 떠내려가지 않도 록 하기 위해서 아양산 동쪽 기슭( 現 강서 지동동)에 쇠대를 박았다. 지금도 이곳을 쇠대막이라고 하는 것은 여기에서 연유된다. 그 후 토정 일행은 우암산에 올라가 청주를 바라보고 청주 땅이 진정한 행주형임 을 알았다. 그리고 짐대마을보다 청주가 더 큰 발전을 하게 될 것이며 뒤이어 짐대 마루도 크게 번창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 예언대로 오늘날 복대동 일대는 큰 건 물과 주택이 즐비한 번화가가 되어 있다. 122) - 28 -

(2) 부모산( 父 母 山 ) 부모산은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에 위치한 해발 232m의 작은 산이다. 이 산은 본 래 아양산( 我 養 山 ), 악양산( 岳 陽 山 ), 아미산( 俄 彌 山 ) 등으로 불려 졌으나 지금은 부 모산으로 불린다. 이 산이 아양산에서 부모산으로 불리게 된 내력은 다음과 같다. 임진왜란 때 화전당 박춘무가 복대에서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을 탈환하고 아양산 을 마저 탈환하여 그곳에 머물고 있었다. 번번이 화천당에게 패한 왜장은 군사로 아양산을 포위하고 식량보급을 차단했다. 더욱이 아양산에는 물이 없다는 것을 알 고 있는 왜장은 포위를 굳게 해서 식량과 물의 보급을 완전히 막았다. 화천당이 이 끄는 의병은 굳게 단결하여 항전하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식량과 물이 부족하여 큰 어려움을 겪었다. 보름을 넘기자 아사자가 속출했다. 화천당도 기진하여 산기슭 큰 소나무 밑에 쓰러지고 말았다. 한동안 의식이 희미해져 가는 중에 지팡이를 짚은 백발노인이 나타나 화천당을 독려하고 일어나라고 소리쳤다. 그리고 화천당 머리맡 에 있는 소나무를 가리켰다. 화천당이 깜짝 놀라 일어나 보니 군사들이 눈물을 흘 리며 주위에 몰려 있었다. 화천당은 군사들에게 머리맡에 있는 소나무를 뽑게 했다. 소나무가 채 뽑히기도 전에 그 자리에서 많은 양의 물이 솟구쳐 나왔다. 수량이 많 아 식수는 물론 말을 목욕까지 시킬 정도였다. 군사들은 용기백배하여 항전했고 산 중에 많은 수량의 수맥이 발견된 것을 안 왜병은 포위를 풀고 북쪽으로 빠져나갔 다. 왜병이 물러나자 화천당은 목이 타 죽어가는 병사들에게 물을 내린 것은 마치 굶 어 죽어가는 어린아이를 돌보고 음식을 주는 어버이의 은혜와 같다고 하여 재단을 모으고 산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이때부터 아양산을 부모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화천당이 죽음 직전에 계시를 받아 판 우물을 모유정( 母 乳 井 )이라 불렀 다. 부모산 중턱쯤에 연화사( 蓮 華 寺 )라는 절이 있는데 절 뒤쪽 산 모퉁이를 돌아가 면 모유정이 있다고 한다. 123) 3. 조사결과 조사지역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 산28-4 560 560-1 560-2 번지 일원의 5필지이며, 조사대상 면적은 9,094m2이다. 122)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淸 州 市 誌, p.617~623. 123)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앞의 책. - 29 -

조사지역은 해발은 약 69.1m의 낮은 낮은 구릉지대로 산28-1번지 외 4개의 필지 이며, 조사대상 면적은 9,094m2이다. 조사지역은 경작지 조성으로 인해 삭평되어 이미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태로 원 래의 지형을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지역 외곽 50m 이내의 지역은 대부분의 지역이 계단식으로 경작지를 조성하 거나, 전원주택단지 조성 등의 개발행위로 인해 형질변경이 이루어져 원래의 지형 을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금번 조사지역에는 유적이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희박하므로 예정대로 공사를 시행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 30 -

Ⅳ. 조사단 의견 김영길 최성복 氏 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에 태 양광발전소를 건립하고자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문화재 지 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조사지역 중심지역의 수리적인 좌표는 북위 36 38'36.25" 동경 127 24'28.81" 이고, 면적은 9,094m2이다. 조사지역은 지동동 남쪽에 위치한 부모산의 영향으로 형성된 낮은 구릉지대에 위 치하고 있다. 이 지역은 경작지조성 등으로 인해 삭평되어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 태로 원래의 지형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 되지 않았다. 조사지역 외곽 50m 이내의 지역은 대부분의 지역이 계단식 경작지 조성 및 전원 주택건립 등의 개발행위로 인하여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여기에서 유구나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조사지역 500m이내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하여 관리하는 문 화재는 없다. 금번 조사지역에 대한 전체 현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지표조사 현황] (면적단위 : m2) 총 면적 사업시행 면 적 입회조사 면 적 분포확인 조사면적 발굴조사면적 보존면적 시굴조사 표본조사 정밀조사 일부보존 이전보존 9,094 9,094 따라서 조사지역에 매장된 문화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예정대로 공사를 시 행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표상에 드러난 유구 및 유물의 흔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표상에 노출되지 않았거나 지하에 매장되어 있 는 유적의 존재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는 없으므로 혹시라도 공사 진행시 유구 및 유물이 드러날 경우 즉각 공사를 중지하고 관계기관이나 전문기관에 통보하여 매 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의한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다. - 31 -

약보고서-간지_레이아웃 1 13. 5. 28. 오후 4:06 페이지 1 도 면

[도면 1] 조사지역 위치 및 주변문화재 분포도 - 35 -

[도면 2] 조사지역 주변 지질도 - 36 -

[도면 3] 조사지역 주변 고지도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도면 4] 조사지역 주변 고지도 ; 청구요람(靑邱要覽) - 37 -

[도면 5] 조사지역 근대지형도(1918년) - 38 -

[도면 6] 조사지역 주변 지형도(1:5,000) - 39 -

[도면 7] 조사지역 세부지형도 - 40 -

- 41 - [도면 9] 사업지역 계획평면도 및 시설물 실측도

약보고서-간지_레이아웃 1 13. 5. 28. 오후 4:06 페이지 2 사 진

[사진 1] 조사지역 위성사진(http://map.naver.com) - 45 -

[사진 2] 조사지역 동쪽 경작지(산28-2전 산28-1임 560전 일원) 모습 ; 북동 남서 [사진 3] 조사지역 서쪽 경작지(산28-4임 일원) 모습 ; 남 북 - 46 -

[사진 4] 조사지역 서쪽 경작지(산28-2전 산28-1임 일원) 모습 ; 북동 남서 [사진 5]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과수원 조성 모습 ; 남동 북서 - 47 -

[사진 6]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묘역 조성 모습 ; 북동 남서 [사진 7]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경작지 조성 모습 ; 북서 남동 - 48 -

[사진 8] 조사지역 외곽 북쪽지역 산29-2임 경작지 조성 모습 ; 북동 남서 [사진 9] 조사지역 외곽 동쪽지역 558-1~5번지 일원 전원주택 조성 모습 ; 남 북 - 49 -

[사진 10] 조사지역 외곽 동쪽지역 558번지 전원주택 조성 모습 ; 남서 북동 [사진 11] 조사지역 외곽 남쪽지역 산27-1임 모습 ; 북 남 - 50 -

[사진 12] 조사지역 외곽 남쪽지역 560-3전 일원 모습; 남 북 [사진 13] 조사지역 외곽 남쪽지역 572답 572-1답 573-6유 일원 모습; 북동 남서 - 51 -

[사진 14] 조사지역 외곽 서쪽지역 538-1전 모습 ; 남 북 [사진 15] 조사지역 외곽 서쪽지역 573유(꼬꼴랭이방죽) 모습 ; 북동 남서 - 52 -

[사진 16] 주변유적 ; 청주 지동동 고락골유적 [사진 17] 주변유적 ; 청주 지동동 고철원 고종은 공적비 - 53 -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표 1 연번 2문화 재명 3 소재지 4면적 5시대 6종류 (m2) 7유적 구분 기존 신규 8의견 구분 조사의견 9조사 10사유 면적(m2) 11 비고 1 - - - - - - - 사업 시행 - 유적없음 -

청주 지동동 산28-1번지 외 4필지 태양광발전소건립부지 내 문 화 재 지 표 조 사 보 고 서 발 행 일: 2015년 9월 인 쇄 일: 2015년 9월 발행인 편집:(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8443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393 (송정동 140-50) TEL:(043)258-5813 FAX:(043)258-5814 www.chungbuk.re.kr 인 쇄 제 작: 일광(주) 28508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446-45 TEL:(043)221-2948 FAX:(043)222-8461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