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



Similar documents
<BDC5C7D0B0FA20BCB1B1B C1FD2E687770>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4-01

* pb61۲õðÀÚÀ̳ʸ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장석정 (, ) I. 1),. 2) 1),.. 2). C. Wright, God s People in God s Land: Family, Land, and Property i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 Eerdmans Publishing

00시작(1-5)

내지-교회에관한교리


엔코위논문조귀삼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7단원 1(252~269)교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08-심상길(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88. (wasf) , ( ) ( ). ( ) ; (wasf). (description). 3,,, Michael V. Fox, The Cairo Love Songs, JAOS 100 (1980): 1

CNVZNGWAIYSE.hwp

에너지 포커스 (제2권 제2호 통권12호, ·4)

(......).hwp

최승락(강의안).hwp

7-2.hwp

성공회잡지 3호(3교).indd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ADU

- 2 -

152*220


114 2, 115,,?,,,, (Distinctiveness of Humanity),, (eternity),,, 1),,, (, 1998), 344 (David Brower) 6 8, 4, 11 2/3, 2?, 2) ) 4) 5), 6) 2) John He

◆교과과정

<28C0DAB7E1C1FD2920C4DDB7CEC4FBBEF62034C2F720C6EDC1FDBABB2E687770>

킹제임스 성경의 역사

의정연구_36호_0828.hwp

HT hwp

00½ÃÀÛ 5š

<30312DC8ABBDC2C7E52E687770>


003_°³Á¤3ÀúÀ۱dz»Áö

United Methodist Women: The Bible and Human Sexuality - Leader's Guide - Korean

과목설명본세미나는구약성경의책을선택하여설교적측면들을이끌어내어강해설교를준비하는일에초점을지닌다. 이세미나는모델을제공하여학생들이연구와설교준비의효과적인평생훈련을확립하기위한목적을가진다. 주해부분은대개구약성서전공교수에의해, 그리고강해설교부분은설교학교수에의해가르쳐진다. 본과목은다른구

DBPIA-NURIMEDIA

- 2 - <위기의 한반도> 한 반도는 몇 가지 측면에서 그 어느 때보다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그 첫째는 이슬람이 계획적으로 한반도( 韓 半 島 ) 안으로 교묘하게 침투해서 기독교 를 위협하는 동시에 테러세력으로 나타나 분쟁을 일으키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북한의 위

국제무역론-02장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정도와 발화 행동 사이의 관계는 자연화된 인식론의 탐구 주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콰인의 이러한 설명은 여전히 의문을 남긴다. 그것은 과학자들이 산술과 논리를 아예 의심의 범위 밖 에 두는 이유일 것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정도의 차이가 아닌, 원리적인 차이가 작동하고


- 4 -

권두 칼럼 쁜 활동과 끊임없이 따라다니는 질투와 감시의 눈길을 피해 스도의 부활을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다시 사신 그리스도를 예수께서 이 집에 오시면 언제나 정성이 가득 담긴 음식을 그들이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 보았는데 도무지 아니라고 대접받고 휴식을 취했던 것으로

04 Çмú_±â¼ú±â»ç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³»Áö_10-6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 ),,., ,..,. OOO.,, ( )...?.,.,.,.,,.,. ( ),.,,,,,.,..,

CC hwp

041~084 ¹®È�Çö»óÀбâ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ÅëÀϹ®Á¦ÀÌÇØÓMì272»¹®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남북한교과서에서나타난 민족정체성


이에 이렇게 되었나니 주께서 그들에게 일러 이르시되, 일어나 내게로 나아와서 너희 손을 내 옆구리에 넣어 보고, 또 내 손과 내 발의 못 자국을 만져 보아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요, 온 땅의 하나님이며, 세상의 죄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였음을 알지어다. 그들이 이를 행

.....hwp

JSRT ( ) ( ) ( ) (K. Barth) (Christological). (Christomonism).. (Christological-centric theology).. 1. (Calvin).., (reality), (realities). cf.,, ( :,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3.황아란

2002report hwp

쌍백합23호3

歯jeong-shik.PDF

»êÇÐ-150È£

ePapyrus PDF Document

Microsoft Word - Jeong_Korean.doc


<C3D6C1BEBCF6C1A42DC1A4BDC5B9AEC8AD C8A32E687770>

µ¶¸³Á¤½Å45È£

< F35C2F7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2016-국가봄-6-정은숙( ).hwp

스타벅스도서목록-최종

4.기획특집5-최종

1) 이논문은 2009 년도성신여자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2) Francis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No. 16 (Summer 1989), p. 4. 3) 이러한구분에관해서는존베일리스

44-6대지.07전종한-5

동학의 절대자와 개인의 관계 연구

01¸é¼öÁ¤

**09콘텐츠산업백서_1 2

º»¹®ÃÖÁ¾2008°¡À»È£2

09

#³óÃÌ°æÁ¦ 64È£-Ä®¶ó¸é

¾Èµ¿±³È¸º¸ÃÖÁ¾

¾Ë±â½¬¿îÀ±¸®°æ¿µc03ÖÁ¾š

<B1B9B9CEC5EBC7D5C0BB20C0A7C7D120C0CCB3E4B0A5B5EE20C1F8B4DCB0FA20B1B9C8B8C0C720BFAAC7D220B8F0BBF62E687770>

<3036C0CCBCB1BFEC2E687770>

5 291

<C7C1B7CEBDC3B5F95FC1DFBED3BEC65FB1B9B3BB E687770>

Transcription: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1) 배정훈 <<< 대전신학대학교 교수 / 구약학 유대 묵시문학은 신구약 중간기(주전 200년-주후 100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독특한 장르의 형태로 나타난 문헌들이다. 기독교와 신약의 문 헌들은 갑자기 태동한 것이 아니라 구약문헌들로부터 중간기를 거치는 기 간 동안 일정한 사상적인 영향을 받아 나타났다. 구약의 말기에 시작된 유 대 묵시문학은 예수의 가르침, 초기 팔레스타인 교회에 관한 관점, 바울의 가르침, 그리고 원시 헬레니즘 기독교의 신학에 영향을 주고 있기에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신구약의 연구를 위하여 유대 묵시문학사를 추적 하고, 이 배경 아래 다니엘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피려고 한다. 1) 이 글은 이전의 연구사를 목회자와 신학생들을 위해 쉽게 설명하고 그동안 진행된 연구를 보완하였다. 배정훈, 최근의 묵시록 연구의 동향과 방향, 한국기독교신학 논총 23집(2002년), 7-43.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77

용어정의 2) 유대 묵시문학을 논할 때 제일 먼저 제기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아포캘립스(apocalypse)는 단지 문학적인 장르로 서 묵시문학을 말한다. 2) 한동안 묵시문학이라는 장르가 표현하는 묵시 현상의 의미로 아포캘립틱(apocalyptic)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더이 상 묵시현상을 뜻하기 위하여 명사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최근에 는 아포캘립틱이라는 용어 대신 묵시문학이 그리고 있는 묵시현상을 아 포캘립티시즘(apocalypticism)이라고 표현하면서 그것을 초자연적인 계시, 천상의 세계, 종말론적인 심판 등을 포함한 특별한 생각의 태도를 보여 주는 가치관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묵시문학의 장르에 관하여는 콜린스( J. J. Collins)가 묵시문학의 형태와 내용의 공통 특징에 기초하여 문학적으로 연구하였는바 아포캘립스를 종 말론적인 구원을 보여 주는 한에서 시간적이며, 또 다른 초자연적인 세계 를 보여 준다는 면에서 공간적인 초월적인 실재를 드러내면서, 계시가 저 세상의 존재에 의하여 수납자 인간에게 중재되는 설화 구조를 가진 계시 문헌의 장르 라고 정의한다. 유대 묵시문학 연구사: 묵시문학의 기원과 형성 그동안 유대 묵시문학을 논할 때는 주로 묵시문학의 기원은 무엇이며, 2) K. Koch, The Rediscovery of Apocalyptic (London: SCM, 1972); J. J. Collins, Apocalypse: The Morphology of a Genre, Semeia 14 (1979): 1-20; P. D. Hanson, Apocalypticism, In IDBS: 28-34; Michael E. Stone, Lists of Revealed Things in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Magnalia Dei: The Mighty Acts of God. Edited by F. M. Cross et al. (Garden City, N.Y.: Doubleday, 1976), 414-52; F. J. Murphy, Apocalypses and Apocalypticism: the State of the Question, CR: BS 2 (1994): 147-79. 78 2009년 가을호 성서마당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3) 묵시문학의 기원을 논하기 위해서는 예언전승과 지혜전승의 영향을 추적하여야 하며, 정경인 다니엘 서의 형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다니엘서를 여러 묵시문학의 문맥(context) 위에서 살펴야 하는 것이다. 묵시문학에 대한 최초의 연구들은 묵시문학 을 이스라엘의 전승과는 관계없이 단지 예언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 가하였다. 벨하우젠은 포로 이후 시대의 묵시주의자들을 기껏해야 예언서 와 페르시아 문헌들로부터 빌려 온 모방주의자인 에피고넨(Epigonen)이라 고 불렀다. 찰스(R. H. Charles)는 묵시문학이 유대교의 핵심요소이고, 율 법에의 신실함이라는 면에서 유대교의 정신을 이어받을 뿐 아니라 기독 3) 코흐의 작품은 묵시현상에 관한 연구사( 硏 究 士 )를 추적한 첫 번째 최근 시도라고 볼 수있다. 그 뒤를 이은 묵시문학 연구사에 관한 논의는 다음 연구에 나타난다: James Barr, Jewish Apocalyptic in Recent Scholarly Study, BJRL 58 (1975): 9-35; Earnest W. Nicholson, Apocalyptic, in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ed. G. W. Anderson (Oxford: Clarendon, 1979), 189-213; M. A. Knibb, Prophecy and the Emergence of the Jewish Apocalypses, in Israel s Prophetic Tradition: in Honour of P. R. Acroyd, ed. R. Coggins, et a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155-80; Michael E. Stone, Apocalyptic Literature, in Jewish Writings of the Second Temple Period, ed. M. E. Stone (Philadelphia, 1984), 383-441; J. J. Collins, Apocalyptic Literature, in Early Judaism and Its Modern Interpreters, ed. R. A. Kraft & G. E. Nickelsburg (Chico, CA: Scholars Press, 1986), 345-70; P. R. Davies, Social World of Apocalyptic Writings, in The World of Ancient Israel: Sociological, Anthropolog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 ed. R. E. Clement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51-71. 핸슨은 이 역사를 비평적으로 검토하였지만, 그의 작품은 묵시적인 종말론에 대한 강조의 그늘 아래 있 다: P. Hanson, The Dawn of Apocalyptic(Philadelphia: Fortress, 1975); idem, Prolegomena to the Study of Jewish Apocalyptic, in Magnalia Dei: The Mighty Acts of God, ed. F. M. Cross, W. Lemke, and P. D. Miller, Jr. (Garden City, N.Y.: Doubleday, 1976), 389-413; idem, Apocalyptic Literature, in The Hebrew Bible and Its Modern Interpreters, ed. Douglas A. Knight and Gene M. Turker (Philadelphia: Fortress, 1985), 465-488. 사회 학적인 접근에 관하여는, 다음을 참조하라: Robert R. Wilson, From Prophecy to Apocalyptic ; F. J. Murphy, Apocalypses and Apocalypticism: the State of the Question, CR: BS 2 (1994): 147-79: Stephen L. Cook, Prophecy & Apocalypticism: The Postexilic Setting (Minneapolis: Fortress, 1995); Jon L. Berquist, Judaism in Persia s Shadow: A Social and Historical Approach I (Minneapolis: Fortress, 1995).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79

교가 유대교의 묵시적인 측면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궁켈(H. Gunkel) 은 양식비평을 사용하여 묵시문학에 나타나는 신화를 바벨론의 갈등 신 화와 동일시했다. 나아가서 모빙켈은 묵시문학이 페르시아의 이원론에서 왔다고 보았다. 로울리는 묵시문학을 독창적인 작품이라기보다는 예언의 아들임을 강조하면서 예언서 안에서 원-묵시문서를 추적하려는 노력을 했을 뿐 아니라, 다니엘서의 연대를 안티오쿠스 4세 치하의 박해 시기인 주전 2세기로 보면서 다니엘서를 최초의 묵시문학이라고 강조한다. 이주 장은 쿰란에서 발견된 에녹서의 아람어판의 발견으로 유효성을 잃게 되 었다. 4) 이후에 학자들의 관심은 묵시문학의 기원을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부터 제2성전 시대 이스라엘의 사회적인 배경에서 보려는 것이었다. 프로스트 (S. B. Frost)는 이스라엘의 묵시문학을 종말론과 신화의 조합으로 그리고 있다. 플뢰거(Otto Plöger)와 핸슨(P. Hanson) 등은 사회학적인 모델을 사 용하여 묵시문학의 기원을 예언전승에서 온 종말론과 연결하고 있다. 이 들은 한결같이 포로후기 사독 제사직을 율법전승의 옹호자라고 이해하면 서, 묵시문학의 기원을 종말론에 두고 있다. 플뢰거는 제2성전 시대를 안 티오쿠스 에피파네스에 맞선 두 가지 다른 그룹들인, 하시딤(다니엘서)과 마카비 운동(제1마카비서)의 갈등으로 보면서 묵시문학의 기원을 설명한 다. 그에 따르면, 신정체제를 옹호하는 자들은 현재 필요한 인간의 행동 을 선택했고 (제1마카비서), 종말론자들은 하나님의 개입을 기다렸다는 것 이다(다니엘서). 핸슨은 제2성전시대 성직제도(hierocratic institution)와 이 상주의자(visionaries) 사이의 갈등으로 묵시문학의 기원을 설명한다. 핸슨 은 사회학에서 유래한 박탈이론을 이용하여, 피지배계층인 이상주의자들 이 지배계층인 제사장 계층에 대항하여 묵시문학을 만들거나 사용했다고 본다. 핸슨의 박탈이론에 반대하여 쿡(Cook)은 묵시문학이 반드시 소외 계층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유대 회복 시기에 제사장계열에 서 있는 그룹 4) H. H. Rowley, The Relevance of Apocalyptic. 3rd ed.(new York: Association Press, 1963). 80 2009년 가을호 성서마당

들이 묵시문학을 만들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겔 38-39, 슥 1-8, 요 엘서). 데이비스(P. R. Davies)도 핸슨의 주장을 비판하는 가운데, 다니엘 서가 더 이상 피지배 계층의 산물이 아님을 주장하면서 지배계층이 이념 적인 제어를 통하여 그들의 신분을 정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장한다. 폰라드는 묵시문학의 기원을 예언전승에서 지혜전승으로 돌리는 시도 를 하였다. 폰라드는 묵시문학과 예언의 연속성을 포기하면서, 묵시문학 과 지혜의 연속성을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1) 묵시문헌에서의 영웅들은 다니엘, 에녹 그리고 에스라 같은 지혜자나 서기관이다; 2) 이 전승들은 역사와는 관계없고, 보편적인 역사에 관한 지식과 자연에 관한 지식 등을 포함한 지식과 관련 있는 것이다; 3) 두 전승들은 역사에 관한 염세적인 견해와 시간의 결정론을 포함하고 있다; 4) 두 전승들은 신정론과 관련 있 다. 그러나 폰라드의 묵시문학 연구 방법론은 예언을 역사와 관련시키되, 묵시문학이 예언과는 불연속적으로 구분되고 예언자의 메시지로부터 분 리된 역사에 관한 염세주의를 담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폰라드 이 후에 학자들은 전통적인 잠언과는 다른 묵시적인 지혜에 관한 연구를 발 전시킨다. 5) 점차적으로 학자들은 묵시문학의 기원을 예언전승이나 지혜 전승 중 어느 하나로 보지 않고, 두 전승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묵시문학 의 독특성을 강조하게 된다. 묵시문학의 형성, 특히 다니엘서의 형성을 말할 때 우리는 다니엘서만 을말할수없다. 다니엘서가 형성될 때 묵시문학적인 문맥이 어떻게 형 성되었는지를 살펴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살펴볼 수 있는 것은 묵시문학 에서 차지하는 다니엘서의 위치이다. 최근의 묵시문학 연구는 다니엘서 중심의 연구와 에녹서 중심의 연구라는 두 가지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다니엘서 중심의 연구는 다니엘서가 묵시문학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 주 5) 뮐러(H. P. Müller), 스미스(J. Z. Smith), 콜린스(J. J. Collins), 존슨(E. E. Johnson), 퀘 클러(Koechler), 밴더캄(J. C. VanderKam) 등을 통하여 묵시적인 지혜의 중요성이 드 러났다.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81

는 최초의 묵시문학으로 보며, 이 묵시문학의 중요한 특징으로 임박한 종 말과 박해라는 역사적인 상황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사해사본에 서 나타난 에녹서의 아람어 사본의 발견을 통하여 다니엘서보다 더 오래 된 묵시문학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에녹서 1-36장에 해당되는 파수꾼의 책은 주전 200년 정도에 쓰였고, 다니엘서의 주요 부분은 주전 164년경인 안티오쿠스의 박해시기에 현재 상태로 편집된 것으로 보임으 로 다니엘서는 파수꾼의 책보다 40년 정도 늦게 쓰였음을 알 수 있다. 6) 다니엘서는 임박한 종말론을 강조한 반면에, 파수꾼의 책은 제사장 문헌 과 지혜문헌에서 나타난 우주론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다니엘 서 전체가 묵시문학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1-6장은 토라에 충실했 던 디아스포라들의 이야기이며 7-12장만이 묵시문학이라는 특징을 어떻 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하여 주목하게 되었다. 학자들 중에는 다니엘서가 이상적인 묵시문학이 아니라, 오히려 토라의 권위에 도전하는 파수꾼의 책에 대하여 토라의 권위를 옹호하기 위하여 묵시문학의 장르를 이용한 것이라고 강조하는 자들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니엘서의 형성을 설 명하기 위하여 파수꾼의 책과의 상호 주고받은 영향을 검토해야 할 것 이다. 6) J. T. Milik, The Books of Enoch: Aramaic Fragments of Qumran Cave 4 (Oxford: Clarendon, 1976), 140-41. 에녹1서에 관한 논의에 관하여는 다음 글들을 참조하라. Margaret Barker, The Older Testament (London: SPCK, 1987); idem, The Lost Prophet: The Book of Enoch and its Influence on Christianity (London: SPCK, 1988). Gabriel Boccaccini, Middle Judaism: Jewish Thought 300 B.C.E. to 200 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1); idem, Beyond the Essene Hypothesis (Grand Rapids: Eerdmans, 1998); J. J. Collins, Genre, Ideology, and Social Movements, in Mysteries and Revelations: Apocalyptic Studies since the Uppsala Colloquium, eds. J. J. Collins and H. H. Charlesworth, JSP Sup 9 (Sheffield: JSOT Press, 1991), 22-23. 82 2009년 가을호 성서마당

다니엘서 연구사 묵시문학 연구사에서 드러난 대로 다니엘서의 형성에 관한 입장이 정 리되고 나면 이제 다니엘서 자체에 대한 연구를 어떻게 하였는지를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다니엘서의 형성에 관한 고전적인 연구 이외에도 최근 20여 년 동안에 다니엘서에 관한 연구가 계속 되었다. 현재 다니엘서가 어떻게 연구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제를 모은 모음집들이 7) 다루 고 있는 주제들을 살펴보면 된다: 아람어와 히브리어의 이중언어, 그리스 어 편집본, 역사비평 문제(문헌비평, 양식비평, 전승비평 등), 다니엘서의 삶의 자리, 역사적 종교사적인 문제들, 고대근동 국가 배경에 비추어 보 는 다니엘서, 쿰란 문서를 포함한 문학적 문맥(context), 유대교와 기독교 에서 다니엘서의 수납, 본문 문헌의 역사, 장르 문제, 그리고 다니엘서의 신학. 최근 20년 동안에도 다양한 주석류들이 발간되었다. 8) 이 글에서는 학자들의 주장을 나열만 하지 않고 자료를 적절히 다루면서 방향을 제시 하려고 한다. 7) H. O. Thomson, The Book of Daniel: An Annotated Bibliography (Books of Bible, 1; New York: Grand, 1993); A. S. Van der Woude ed., The Book of Daniel in the Light of New Findings (BETL, 106;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1993); J. J. Collins and P. W. Flint eds, The Book of Daniel: Composition and Receptiom (VTSup, 83; 2 vols; Leiden: E. J. Bill). 8) J. J. Collins, Daniel: A Commentary on the Book of Daniel (Hermenia;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P. M. Lederach, Daniel (Believers Church Bible Commentary; Scottsdale, 1994); S. R. Miller, Daniel (NAC, 18; Nashville: Broadman & Holman, 1994); Di Lella, A. A. Daniel: A Book for Troubling Times (Hyde park, NY; New City Press); D. Berrigan, Daniel, Under the Siege of the Divine (Farmington, PA: Plough Publishing House, 1998); P. L. Reddit, Daniel (New Century Bible;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G. W. Buchanan, The Book of Daniel (Mellen Biblical Commentary Old Testament Series, 25; Lewiston, NY: Mellen Biblical, 1999); D. E. Gowan, Daniel (Abingdon Old Testament Commentaries; Nashville: Abingdon press, 2001); E. C. Lucas, Daniel (Apollos Old Testament Commentary, 20; Downers Grove, IL: Inter Varity Press, 2002); C. L. Seow, Daniel (Westminster Bible Companion; Louisville, KY: Westminster/John Knox Press, 2003).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83

제일 먼저, 한국 교회의 입장에서 궁금한 것은 다니엘서에 관한 보수 적인 입장과 비평적인 입장의 차이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19세기까지 보수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는 다니엘서는 주전 6세기의 현자 인 다니엘의 예언으로 여겨졌다. 보수적인 입장에서 다니엘서는 주전 2세 기와는 상관없이 주전 6세기 다니엘을 비롯한 디아스포라의 삶과 다니엘 의 예언만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예언은 주전 2세기뿐 아니 라 다가오는 종말에 관한 시간표를 제시하는 것으로까지 해석된다. 18세 기부터 시작된 비평적인 이해는 다니엘서의 저작권, 연대규명과 성격의 문제에 집중되었다. 학자들은 언어와 역사와 신학과 논리에 근거하여 다 니엘서가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박해에 저항하는 유대인들을 격려하 기 위하여 마카비 시대에 쓰인 작품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 입장에서는 주전 2세기의 공동체가 종말에 관한 계시를 받을 만큼 토라에 순종한 다 니엘의 이야기를 창작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비평학적인 입장에서 보면 다니엘서 7-12장에 나타나는 다니엘의 예언은 사후예언이라는 형 식으로 다니엘의 권위를 옹호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이해된다. 즉, 주 전 2세기의 예언자가 마카비서의 저자들처럼 자신의 시대를 새로운 계시 의 시대로 이해하지 않고 주전 6세기 다니엘의 예언이 성취되는 시대로 이해하면서 사후예언이라는 장르를 사용하고 있다. 다니엘서를 해석하는 자들은 주전 6세기의 역사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1-6장의 이야기와 주전 2세기의 역사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7-12장의 묵시문학을 교회 정경의 차 원에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와 이 해석이 장차 올 종말에 대하 여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로 오래전부터 논의된 이 책의 형성에 관한 가설들이다. 다니엘서 의 형성에 관한 이론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로울리(H. H. Rowley) 로 대표되는 통일 가설(한 저자의 작품이라고 보는 견해)과 긴스버그(H. L. Ginsberg)로 대표되는 단편가설(여러 저자의 작품으로 보는 견해)이다. 로울리는 마카비 시대에 한 저자가 이 책을 네 단계로 썼다고 말한다: 1) 84 2009년 가을호 성서마당

이야기의 아람어 편집(다니엘서 2-6장); 2) 아람어로 쓰인 종말론적인 이 상(다니엘서 7 장); 3) 히브리어로 쓰인 나머지 종말론적인 이상들(다니엘 서 8-12장); 그리고 4) 히브리어로 쓰인 더 상세한 서론(다니엘서 1장). 긴 스버그는 로울리와는 달리 최종 편집자가 원래 독립적인 이야기와 묵시 문학들을 편집하였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다니엘서는 두 가지 문서 로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첫째로 다니엘서 1-6장은 한 개의 일반적인 묶 음이다(주전 292-261년 또는304년). 둘째로 최종 편집자인 다니엘서 9 장의 저자는 다른 저자에 의하여 쓰인 네 층을 조합하였다: 다니엘서 7장 (마카비 시대, 주전175년과 167년 사이), 다니엘서 8장과 10-12장(주전 166-165년), 그리고 다니엘서 9장(최종 편집자). 이어서 최종 편집자는 다 니엘서 7-12장을 1-6장에 연결함으로써 한 권의 전체 책을 만들었다. 최 근에는 다니엘서의 형성에 관한 통시적인 논의에 머물지 않고, 다니엘서 의 통일성을 전제로 하는 최종 본문의 공시적인 특성이 교회를 위하여 어 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셋째로 다니엘서의 언어와 주제를 통한 단락 구분과 관련된 통찰들이 다. 1) 다니엘서 1-6장은 다니엘을 이상(vision)을 해석하는 지혜자로 묘 사하고, 다니엘서 7-12장은 다니엘을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계시를 받는 사람으로 묘사한다; 2) 다니엘서는 히브리 부분(1:1-2:4a와 8:1-12:13)과 아람어 부분(2:4b-7:28)이라는 이중언어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다니엘 서 1:1-2:4a는 주제적으로는 다니엘서 2-6장과 관련되지만, 언어적으로 는 7-12장과 관련되어 있다. 다니엘서 7장은 주제적으로 8-12장과 관련 되지만, 언어적으로는 2-6장과 관련 있다. 1-6장은 다니엘을 지혜의 해 석자로 보고 삼인칭 서술을 하고 있는 반면에, 8-12장은 다니엘을 비록 박해 현장에 서 있지는 않지만 계시를 받는 자로 묘사되는 차이를 보이 고있다. 8-12장의 주제를 인도하는 7장은 2장에 나타난 네 왕국 주제를 발전시키면서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박해에 대한 해법을 에녹1서에서 취한 인자 전승과 지극히 높으신 자의 성민의 주제를 통해 표현한다. 7장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85

에서 인자의 기원과 기능에 대하여 논쟁이 이어진다. 다니엘서는 초기 편 집에서 거룩한 자를 천사로 사용하는 초기 전승을 따르고 있지만(단 4:10, 14, 20; 8:13), 다니엘서 7장은 그것을 이스라엘 백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변형하였다. 다니엘서가 히브리어와 아람어로 쓰인 의도에 관하여는 최근에 더 많 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여러 가지 가설 중에서 한 저자가 두 개의 언어를 자유롭게 사용하였다는 주장과 오래전에 아람어로 쓰인 자료들이 히브리 어로 쓰인 작품 안으로 들어왔다는 견해가 설득력이 있다. 저자는 서로 다른 관점을 표현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히브리어와 아람어를 의도적으 로 사용하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9) 즉, 아람어 부분은 이스라엘 포로와 의 관계에서 이방국가와 관련된 창작물이고, 히브리어 부분은 안티오쿠스 4세 치하의 고난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10) 히브리어는 지역적인 거룩한 어 휘들을 제시하고, 아람어는 세속적인 국제적이고 정치적인 언어를 상징한 다. 아람어는 살아 있는 언어(living language)로서 대중적이며, 히브리어는 사어로서 엘리트들의 언어로서 민감한 정치적인 실재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넷째 이슈는 다니엘서 1-6장과 7-12장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2-6장 이 처음 전승이 이루어진 후에 안티오쿠스 시대에 7-12장의 신학에 맞 게 재편집되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 주제는 최근 대두되는 다니엘서의 최종 형태를 강조하는 입장과 관련이 된다. 다니엘서 2-6장과 7-12장과 의 관계에 대하여서는 어떻게 후기 마카비 저자가 포로의 6세기의 옷을 입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차일즈는 후기 저자(단 7-12장)가 자기자 신의 고유한 새로운 예언을 만들거나, 의식적으로 창조적이고 문학적인 장치를 고안하지도 않고 차라리 성경의 계속적인 계시라는 기준 아래 마 9) B. T. Arnold, The Use of Aramaic in the Hebrew Bible: Another Look at Bilingualism in Ezra and Daniel, JNSI, 22: 1-16. 10) J. P. Tanner, The Literary Structure of the Book of Daniel, BSac 160, 255, 269-82. 86 2009년 가을호 성서마당

카비 시대의 청중을 위하여 다니엘서 2장에 근거한 다니엘서의 비전을 확 증하고 설명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주장한다. 다니엘서 7-12장은 예언의 진리 됨을 증명하고 이스라엘 안의 신실한 자들을 격려하려는 목표를 가 지고 마카비 시대의 저자와 동시대로 2장의 이상을 확대한 것이다. 로울 리는 다니엘서 2-6장의 이야기들이 주전 2세기에 문서의 모음으로 존재 하다가 마카비 시대에 더 적절한 의미가 있도록 편집되어 마카비 시대의 편집자에 의하여 그의 작품 안으로 들어와 7-12장과 관련되었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다섯째로, 역사비평의 남용으로 인하여 사용하기를 꺼려하면서도 양식 비평에서 나온 장르와 삶의 자리 연구는 다니엘서에서 계속 되어 다니엘 서 안에서의 장르인식, 삶의 자리 그리고 다른 문학적 이슈 연구에 적용 되었다. 최근에 주목할 것은 다니엘서를 저항문학의 예로 제시하고 있다 는 것이다. 다니엘서에서 바벨론식의 이름을 거절하거나 채식을 고집하는 것은 이방 제국에 대한 저항의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니엘서는 적응 보다는 저항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나아가서 이 책은 헬레니즘 치하에 유 대인들의 정체성 상실 위기에 직면하여 위협에 대한 저항을 보여 주고 있 다고 이해한다. 다니엘서를 저항문학으로 이해할 때에 왕에 대한 긍정적 인 평가를 하는 1-6장과 왕에 대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7-12장의 관계를 논할 필요가 제기된다. 다니엘서가 쓰인 삶의 자리는 이방 제국의 권위가 전제되는 디아스포 라이다. 디아스포라들은 이방 땅에서도 왕에 대한 충성을 통하여 적절한 보상을 기다린다. 다니엘서 1-6장에서는 하나님을 향한 충성이 성공으로 이끄는 원리를 강조한다. 다니엘서를 쓴 계층인 마스길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다니엘서를 쓴 계층은 문헌을 다루는 서기관이요 교육을 받은 상류층의 가치를 반영한다. 이 가치는 지혜와 제의에 대한 관심을 보여 준다. 그러나 본문에서 이 계층들은 기득권을 상실하여, 현 재의 질서가 뒤바뀌는 종말론적인 소망을 가진 자들이다. 데이비스는 다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유대 묵시문학과 다니엘서 연구동향 87

니엘서를 쓴 마스길림은 디아스포라에 뿌리를 두고, 하스모니안 왕조에 저항하여 종파 운동에 참여하는 기득권을 상실한 사독 제사장 계층으로 대중들보다는 상류층의 관심을 표현하였다고 강조한다. 11) 학자들은 다니엘서 나오는 이야기가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대중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문이 이방 왕과 관리와 관련된 이야기라 고 해서 반드시 궁중이라는 삶의 자리를 가졌다기보다는 오히려 기득권 을 상실한 비천한 계층의 상상력을 반영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이야 기는 디아스포라들에게 소망을 주기 위하여 유대 포로들의 국가적인 소 망을 구현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풍자적인 저항을 고취하는 상황을 제시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다니엘서의 기원에 관한 관심보다는 이 운동의 사회학적인 위치에 더 관심을 갖기도 한다. 1-6장에서 유머와 풍자를 사 용한 것은 7-12장에 나타나는 왕과 제국에 대한 저항에 대한 암시를 보 여 주면서, 이 부분의 궁극적인 목적은 제국에 대한 저항이며 이 이야기 가 발생하였을 때 대중들이 사회에 대하여 무엇을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보여 준다. :: 배정훈 서울대학교(B.E.)와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를 나와 미국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Th.M.)와 Graduate Theological Union(Ph.D.)에서 공부 했다.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로 있다. 11) P. R. Davies, Reading Daniel Sociologically, in The Book of Daniel : in The Light of New Findings, eds. Van der Woude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Peeters, 1993), 345-61; The Scribal School of Daniel, in The Book of Daniel: Composition and Reception, eds. John J. Collins and Peter W. Flint (Leiden; Boston: Brill, 2001), 247-65. 88 2009년 가을호 성서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