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BC6EDC1FD5DBDC3C0E5B0E6C1A6BFACB1B8203435C1FD2031C8A3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141018_m

- 2 -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1, Number 2, September 2012 : pp. 1~26 실물옵션을이용한해상풍력실증단지 사업의경제성평가 1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大学4年生の正社員内定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exp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1, Number 2, September 2012 : pp. 57~83 발전용유연탄가격과여타상품가격의 동조화현상에대한실증분석 57

II. 기존선행연구

hwp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2018~2019 V- 리그 1R ( 남녀부 ) / 여 : 세계선수권대회일정조정 10/13( 토 ) 10/14( 일 ) 10/15( 월 ) 10/16( 화 ) 10/17( 수 ) 10/18( 목 ) 10/19( 금 ) 인천 14:00 대한항공현대캐대전 14:00 삼성화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목 차 전반 기 5 시간 이상 경기 8 9 회 최장 시간 경기 9 2 시간 이하 경기 회 이상 연장전 경기 11 연속경기 연장전 12 무득점 무승부 (0-0) 경기 13 최다 득점 무승부 경기 14 동일대진 연속 무승부 경기 경기 15 몰수 경기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에너지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hwp

01¸é¼öÁ¤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나하나로 5호

ad hwp

???德嶠짚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한국정책학회학회보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 ``...(2011), , (.)''


8 두산 ( 對 삼성 )~4. 13( 對 SK) 7 청보 (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4. 29) 쌍방울 17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pdf..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00-10.hwp

CC hwp

188 최 영 환 청률을 통한 가치측정을 통한 자기 권리를 주장할 수 있 는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방송사가 주장하는 낮은 중계권료를 주장할때는 프로야구가 낮은 시청률을 기록했을 때만이 정당하다. 하지만, 프로야구의 뜨거운 열기만큼이나 시청률도 급 성장세를


<4D F736F F D20BDC3B0E8BFADBAD0BCAE20C1A B0AD5FBCF6C1A45FB0E8B7AEB0E6C1A6C7D E646F63>

프로야구 선수들의 선수에이전트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 D28BCF6C1A4292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ad hwp

04 Çмú_±â¼ú±â»ç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행당중학교 감사 7급 ~ 성동구 왕십리로 189-2호선 한양대역 4번출구에서 도보로 3-4분 6721 윤중중학교 감사 7급 ~ 영등포구 여의동로 3길3 용강중학교 일반행정 9급 ~ 1300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35~55 학술 전력시장가격에대한역사적요인분해 * 35

¾ç¼ºÄÀ-2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1, March 2018 : pp. 37~65 가정부문전기수요의결정요인분석 : 동태적패널 FD GMM 기법을중심으로 37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2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_1.hwp

슬라이드 1

DBPIA-NURIMEDIA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노동경제논집 38권 4호 (전체).hwp

- 1 -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¾Æµ¿ÇÐ´ë º»¹®.hwp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0001³»Áö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325FC6AFC1FD2D345FB9FDC1A4B1D9B7CEBDC3B0A320B4DCC3E0B0FA20C0CFC0DAB8AE20B8B8C1B7B5B528BFC0BCB1C1A4292E687770>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사회에대한공정성인식도가 행복에미치는영향 서울시주민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정영아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No Title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³»Áö_10-6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4D F736F F F696E74202D EBCADBAF1BDBABDC3BCB3C0C720C0D4C1F6BCB1C1A4205BC8A3C8AF20B8F0B5E55D>

ÃѼŁ1-ÃÖÁ¾Ãâ·Â¿ë2

³»Áöt310£š


dsvDFSv

DBPIA-NURIMEDIA

Transcription:

市 場 經 濟 硏 究 제45집 1호 (2016년) pp. 67~87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김덕파 * 남재현 *4) * 형 준 *** 본 논문은 야구장 신축 및 개축이 관중 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 한다. 지난 1982년부터 2014년까지 구단별 프로야구 관중 수를 계량분석한 결 과 야구장의 수용규모는 관중 수에 양의 효과를 지니며, 그 수용규모는 팀 승률 이 높을수록 더 큰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은 구장 규모 크기 변화와 별도로 야구장 신축 자체의 관중증가 효과를 살펴보았다. 핵심주제어: 한국프로야구, 관중 수, 구장 신축, 구장 수용규모 JEL Classification: J14, J24, D24 (접수일: 2015. 11. 24, 수정일: 2016. 02. 13, 게재 확정일: 2016. 02. 15) * 논문심사과정에서 유익한 심사평을 준 논문 심사자분들과 자료수집 확인에 도움을 준 윤사로나에게 감사드린다.. ** 제1저자,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Tel: 02-3290-5131, E-mail: dukpakim@korea.ac.kr *** 교신저자,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Tel: 02-3290-2221, E-mail: shnahm@korea.ac.kr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석사과정, E-mail: honeysky36@korea.ac.kr

68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Ⅰ. 서론 한국프로야구는 지난 30년간 팀 수의 확대, 관중 수 증가 등 규모와 질 적 측면에서 높은 성장을 이루었으며,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의 비중 또 한 증가하였다. 다음 그림은 연도별 관객 수 변화추이를 보여준다. <그림 1> 한국프로야구 연도별 관객 수 추이 <그림 1>에서 실선은 경기당 티켓 판매 수를(좌측 세로축), 점선은 이를 구단 수로 나눈 경기당 구단 평균 티켓 판매 수를 나타낸다(우측 세로축). <그림 1>이 보여주듯,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연도 별 증감은 있으나, 관중 수는 1990년대 중반까지 지속적으로 증가의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90년대 중반 이후 프로야구 관객 수는 상당 규모 감소하였고, 1) 관중 수는 2000년 중반까지 정체 현상을 보인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관중 수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고, 2010년부터는 1990년대 중반에 기록한 관중 최고수준 을 추월하여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 1) 이영훈(2002)은 1990년대 후반 관중 수 감소의 원인으로, 외환위기, 부도위기에 처한 일 부 팀이 우수선수를 현금으로 트레이드함에 따라 나타난 홈 팬의 외면, 전력평준화 수준 의 악화, 그리고 미국 메이저리그의 대체효과를 그 원인으로 지목하였다. 2) 이주연 이예원(2011)은 1996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프로야구 관중 수가 계속 감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69 본 논문에서는 1982년부터 2014년까지 구단별 프로야구 관중 수를 계량 분석하여 야구장 신축 및 개축이 관객 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한 다. 본 연구는 다음 측면에서 기여도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스포츠 산업 측면에서 프로야구 구단들은 프로야구 경기라는 제품을 제공하는 공급자 이며, 경기장을 찾는 관중은 소비자 내지 수요자들이다. 야구장의 개축 및 신축이 관중동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분석하는 것은 야구장 개축 및 신 축이 가지는 제품 및 서비스 수요효과 분석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기아 타이거즈는 기존의 광주 무등경기장 대신 새로운 홈 구 장으로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를 2014년부터 사용하고 있다. 3) 2015년도 한국프로야구연감 자료에 의하면 2013년도 기아 타이거즈의 경기당 평균 관객유치 수는 7,352명이었고, 신 구장을 개장한 2014년도에는 41.0% 증가 한 10,366명이었다. 관객 수 증가는 자연히 입장수입 및 기타 부수입의 증 가로 이어진다. 2014년도 기아 타이거즈의 경기당 평균 입장수입은 2013 년도 53,444,473원에서 82.3% 증가한 97,444,759원으로 집계되었다. 개별 구단은 구장 신축으로 인해 직접적인 수입증가를 얻을 수 있고, 이는 구장 신축의 유인으로 작용한다. 프로야구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증가하는 관중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신규 구장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 되어 왔다. 예로, 2016년 넥센 히어로즈의 고척 스카이돔 이전, 삼성 라이 온즈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이전 계획, 2018년 NC 다이노스의 신축 창원마산야구장 이전계획 등 야구장 신축 및 개축이 활발한 상황이다. 이 와 같이 야구장 신축 및 개축이 활발한 시점에서 과거 야구장 신축 및 개 축이 가지는 관중동원 증가에 대한 분석은 시의적절할 수 있다. 먼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프로야구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미국에서는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 별 경기장 수용인원 및 신축, 개축과 관중동원 효과간 관계에 대한 여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Hakes and Clapp (2005)은 1950년부터 2002년 사이 메이저리그 팀 별 관중 수 패널데이터를 소한 원인으로 2002년 월드컵 유치로 인한 야구에 대한 상대적인 관심도 저하, 외환위기 로 인한 여가활동 위축, 스포츠 국제화로 인한 국내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저하, 인터넷 보급에 따른 여가활동 변화 등을 지목하였다. 3)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의 소유자는 광주광역시이며, 총 사업비 994억 원이 소요되었고, 기아 타이거즈가 300억 원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25년 간 관리권을 보유한다.

70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이용하여, 경기장 신축이 가지는 관중 수 증가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 였다. 4) Gitter and Rhoads(2014)는 마이너리그의 경기장 신축이 관중동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A, AA, AAA 마이너리그 팀의 1992 년부터 2006년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마이너리그에서의 경기장신축의 관 중동원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스포츠 경제학에 관한 연구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은 비교 적 최근의 일이며, 관중동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는 국내 선행 실증연구로는 이영훈(2001, 2002, 2004)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영훈(2001, 2002)은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연간관중 수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팀 간 전력평준화 지수가 관중동원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 혔다. 5) 또한, 이영훈(2002)는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경기침체와 그에 따 른 구단 별 재정 불균형에 의한 전력의 불균형 현상, 그리고 메이저리그 경기 중계가 국내 프로야구 경기 수요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킨 것을 보였 다. 6) 이영훈(2004)에서는 프로야구 경기 상품의 소비 행위를 분석하기 위 해 습관적 소비를 고려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한국프로야구에서는 습관적 소비성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되어 미국 메이저리그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을 고려하여 습관성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과 정교한 입장요금 전략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영훈(2004)은 구장 규모와 관중 수의 관계 역시 분석하였다.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차별 화된 내용을 제공하여 야구장 신축의 관중동원효과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먼저, 구장 수용규모의 변동이 관중 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구단의 시즌 성적에 의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용규모의 증가가 관중 수의 증 가를 가져오지만, 그 구단의 성적이 좋을수록 관중 증가효과는 커지는 것 4) Hakes and Clapp(2006)는 야구장 신축에 따른 관중 수 증가 및 관련 편익을 그 신축 비용 과 비교하는 야구장 신축에 따른 비용편익분석을 수행하였다. 5) 이영훈(2001)은 전력평준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지수(플레이오프 불확실성, 경 기결과 불확실성, Tail likelihood)를 조사하고 새로운 지수를 개발하여 한미일 프로야구의 관중동원능력을 비교하며, 여러국내 주요 제도들의 개선을 통해 프로야구산업의 발전을 모색하였다. 6) 그 연구는 한국프로야구 경기에 대한 수요를 경기당 평균 관중 수로 측정하였으며, 설명 변수로 입장 요금, 1인당 국민소득, 전력평준화 지수, 메이저리그 경기 중계 등을 포함하 였다.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71 이다. 이를 계량모형 측면에서 보면, 관중 수를 설명하는 데 있어 구장 수 용규모와 시즌 성적이 모두 중요하나 그 둘 사이의 상호작용항(interaction term)이 (+)의 부호를 갖는 것을 뜻한다. 야구장 신축효과 중 증가한 수용 규모와 시즌 성적 간 일정한 보완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야구장을 신축 하고자 하는 구단에게 일정한 시사점을 지닌다. 실제로, 이러한 신규 구장 개장과 팀 성적간의 상호보완성을 인식하여 구단은 구장 신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새로운 구장의 개장에 맞추어 팀 구성원의 개편을 동시 에 진행한 여러 예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메이저리그에 대한 기사로도 쉽 게 접할 수 있다. 7) 또한, 국내에서 이뤄진 선행연구는 경기장 수용 규모 변화에 따른 관중 동원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 논문은 수용규모 변화와 별개로 경기장 신축 요소가 관중 수 증가에 직접적으로 가지는 효과를 살 펴보고자 한다. 구장 신축의 효과는 구장 규모 증가에 따른 관중 수의 변 화와 새로운 구장 자체가 볼 거리를 제공하여 관중을 끌어들이는 '개업효 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업효과는 신축 후 일정 기간 존재한 후 없어진다 는 점에서 구장 규모의 확대에 따른 효과와 차이가 있다. 8) 따라서 추정모 형에 구장 수용규모 변수와 신축 구장에 대한 더미변수를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의 주요 내용을 보면, 구장신축 자체는 관중동원에 대체로 양 의 개업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모형 및 추정방법에 따라 그 추 정치에 차이가 있었는데, 1계차분 추정량을 사용한 경우, 신축 이후 최초 3년간 일정한 추가적인 티켓판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내부추정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축에 따른 개업효과가 유의하지 않았 다. 반면, 신축에 따른 구장의 수용규모 증가는 모형이나 추정방법에 관계 7) 가장 최근의 예로 2015년 메이저리그 시카고컵스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시카고컵스는 선발 FA시장에서 최대 화두였던 Jon Lester를 영입함으로써 전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Wrigleyfield 홈 구장을 리모델링 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http://www.chicagotribune.com/ sports/baseball/cubs /ct-wrigley-field-physics-spt-0331-20150330-story.html. 또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2017년 완공예정인 신축구장인 SunTrust Park로의 이전을 앞둔 시점에 나 머지 기존 주축 선수들과 장기계약을 성사시키며 관중동원을 증진시키겠다는 계획을 세 운 바 있다. http://breslan ta.com/2013/11/11/braves-moving-to-cobb-county 8) 구장을 신축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MBC 청룡은 동대문야구장에서 잠실종합운동장 야구 장(1982 시즌 중)으로, 롯데 자이언츠는 부산 구덕야구장(1982~1985)에서 사직야구장 (1986~)으로, SK 와이번스는 인천 숭의야구장(2000~2001)에서 SK행복드림구장(2002~)으 로, 기아 타이거스는 무등경기장(1982~2013)에서 기아챔피언스 필드(2014~)로 이전하였다.

72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없이 관중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2장에서 본 분석에 사용된 자료에 대하여 설명을 제시하 고, 3장에서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관중 수를 설명하는 회귀식을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하며, 구장 신축 및 개축에 따른 관중동원 효과에 대한 분석결 과를 제시한다. 4장에서는 결론을 제시한다. Ⅱ. 자료설명 한국야구위원회가 매년 발행하는 한국프로야구연감 기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1982년 한국프로야구 출범 이후 2014년까지 33년간 11개 구단 의 각 구단 및 전체 구단의 경기당 입장관객 패널(unbalanced panel)자료를 분석한다. 한국프로야구는 1982년 6개 팀으로 리그를 구성하여 출범하였 으며, 이후 1986년에 제 7구단, 1991년에 제 8구단, 2013년에 제 9구단, 2015년에 제 10구단을 추가하며 리그를 확장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한국프로야구는 9개 구단이 팀 별 128경기를 치렀다. 각 구단의 창단연도 가 상이하고 중간에 인수된 구단이 존재한다. 원년부터 지금까지 동일한 지역기반을 유지한 구단은 삼성 라이온즈와 롯데 자이언츠 두 구단이며, 다른 구단들은 연고지 등 여러 변화가 있었다. 다음 표는 이러한 변경사항 들을 정리해서 보여준다. <표 1> 구단 별 페널데이터 팀번호 팀명 Start End 1 삼성 라이온즈 1982 2014 2 해태 타이거즈 1982 2000 기아 타이거즈 2001 2014 3 롯데 자이언츠 1982 2014 삼미 슈퍼스타즈 1982 1984 4 청보 핀토스 1985 1987 태평양 돌핀스 1988 1995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73 팀번호 팀명 Start End 5 현대 유니콘스 1996 2007 6 7 8 MBC 청룡 1982 1989 LG 트윈스 1990 2014 OB 베어스 1982 1998 두산 베어스 1999 2014 빙그레 이글스 1986 1993 한화 이글스 1994 2014 9 쌍방울 레이더스 1991 1999 10 SK 와이번스 2000 2014 11 넥센 히어로즈 2008 2014 12 NC 다이노스 2013 2014 일례로, 서울을 연고지로 한 MBC 청룡은 프로야구 원년에 창단되었으 나 1990년 LG 트윈스로 변경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해태 타이거즈 와 기아 타이거즈 역시 동일 연고지를 바탕으로 구단의 변경을 거쳐 유지 되고 있다. 위 표에서 같은 팀번호에 있는 팀들은 동일한 고정효과 (individual fixed effects)를 가지는 것으로 설정하여 패널분석을 수행하였 다. 이에 반하여 현대 유니콘스, 쌍방울 레이더스, SK 와이번스는 각각의 고정효과를 갖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9) 프로야구 각 구단들의 구장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새로 운 야구장 신축은 다음의 경우를 포함하였다. MBC 청룡의 동대문야구장 에서 잠실종합운동장 야구장으로의 이전 (1982년 시즌 중), 롯데 자이언츠 의 부산 구덕야구장 (1982~1985)에서 사직야구장 (1986~)으로 이전, SK 와 이번스의 인천 숭의야구장 (2000~2001)에서 SK행복드림구장 (2002~)으로 의 이전, 그리고 기아타이거즈의 광주 무등경기장 (1982~2013)에서 기아챔 9) <표1>의 분류방식에 다양한 논의가 가능하다. 한 예로, OB 베어스는 초기 대전을 연고지 로 가졌으나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였다. 이러한 경우 대전을 연고지로 한 OB 베어스와 서울을 연고지로 한 OB 베어스를 같은 팀 고정효과를 가진 것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논의할 수 있다. 본 분석에서는 <표1>에 따른 팀 고정효과를 부여하고 분석을 수행한다.

74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피언스 필드 (2014~)로의 이전이 있다. 다음으로, 구장의 신축은 없었으나 지역 연고의 변경에 따라 구장이 바뀐 경우로는, 현대 유니콘스의 인천 숭 의야구장 (1982~1999)에서 수원 야구장 (2000~2007)으로의 이전, OB 베어 스의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1982~1984)에서 서울 동대문야구장 (1985)으 로 그리고 다시 잠실종합운동장 야구장 (1986~)으로의 이전이 있다. 이러 한 경우는 구장의 변화를 구장 수용 규모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그 밖에도 구장의 개보수에 따라 수용규모가 변경된 경우는 다수가 있다. 다음의 그림들은 롯데 자이언츠, SK 와이번스, 해태/기아 타이거즈 구단 의 구장 수용인원, 승률 및 관객 수를 보여준다. 본 분석에서 경기당 관객 수는 티켓 판매 수로 측정한다. 롯데 자이언츠는 1982년 구단 창단 시 홈 구장으로 부산 구덕야구장을 사용하다가 1985년 부산 사직야구장이 완공 되면서 부산 사직야구장을 구덕야구장을 대신하여 1986년부터 현재까지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림 2>는 롯데 자이언츠의 이러한 변화에 따른 관객 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 롯데 자이언츠 연도별 티켓 판매 수, 구장수용인원, 통합승률 위 그림에서 사직야구장으로 구장변경 후 관중 수 증가가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위 그림에서 위의 실선은 시즌 별 롯데 자이언츠의 승률을 보여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75 주는데, 승률과 평균 관중 수 역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SK 와이번스는 2000년 출범부터 2001년까지 인천 숭의야구장을 홈 구 장으로 사용하다가 2002년 인천 문학동 소재 인천SK행복드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림 3>에서 SK 와이번스의 이러한 변화 에 대한 관중 추이를 볼 수 있다. <그림 3> SK 와이번스 연도별 티켓 판매 수, 구장수용인원, 통합승률 기아 타이거즈는 1982년 해태 타이거즈 창단부터 사용한 홈 구장 광주 무등경기장을 대신하여 2013년 12월에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를 완공하 여 2014년부터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다음 그림은 이러한 변 화에 따른 관객 수의 변화를 보여준다.

76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그림 4> 해태/기아 타이거즈 연도별 티켓 판매 수, 구장수용인원, 통합승률 위의 세 경우 모두에서 각 팀의 관중 수는 해당 구단의 승률 및 구장 수 용 인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구장 수용인원과 관 련하여 위의 세 구단은 각 구장의 수용능력이 부족하지 않았음에도 구장 을 신축하였으며, 신축 이후에는 관중 수가 증가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규 구장의 개장이 관객을 유인하여 티켓 판매 수를 증가시키 는 효과가 갖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 경기당 평균 관중 수를 설명하는 회귀분석식을 구성하고자 한다. 분석의 종속변수 또는 피설명변수는 경기당 관중 수(tix) 로, 이는 경기당 평균 티켓 판매 수로 측정한다. 10) 관중 수를 설명하는 설명변수들은 다음의 변수들을 고려한다. 먼저, 홈 구장 수용인원(cap)을 고려한다. 11) 이 수용인원의 변화는 야구장의 이전, 신축 또는 개축(보수 포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수용인원과 별개로 해당 구단의 홈 구장이 건설된지 3년 이내의 신축구장인 경우, 이를 신축 자체 의 효과를 의미하는 더미변수(new)로 표기하여 회귀분석식에 포함한다. 10) 익명의 논문 심사자는 개별 경기에서 관중 매진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연평균 관중 수는 실제 개별 경기 관중 수요를 과소추정할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11) 만약 홈 구장이 둘 이상 존재하는 구단의 경우에는 제1 구장의 수용인원을 기준으로 수용인원을 측정하였다.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77 이러한 설정에 따르면 야구장의 이전이나 개축인 경우는 수용인원 변수에 만 변화가 생긴다. 반면, 야구장을 신축하는 경우 수용인원과 신규구장 더 미변수 모두에 영향을 가지게 된다. 12) 구장 신규가 아닌 증개축이나 연고 지 이전에 의한 수용규모의 변화가 여러 차례 있었기에 수용 규모 변화와 구장신축 더미 변수간에는 다중공선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관객 수 설명변수로 개별 구단의 시즌 승률, 플레이오프 및 한국시리즈 진출 여부 등의 변수를 포함하였다. 개별 구단의 성적이 좋을수록 해당 구 단 팬의 관심이 증가하고, 플레이오프 및 한국시리즈 진출 여부 (또는 그 진출 가능성)은 개별 구단의 관중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회귀분 석 식은 해당 구단의 플레이오프 진출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po)를 포 함한다. 그 더미 변수는 해당 팀이 그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시 1, 그 외의 경우는 0이 된다. 그리고, 각 구단의 통합승률(wrate)을 포함한다. 한국프로 야구리그 출범 이후 각 팀의 순위를 결정하는 승률계산 방식은 지속적으 로 변경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승률계산 방식으로 전 기간 승률 산정 방식을 통일한다. 13) 승률 = 승+(무*0.5) / 경기수 더불어, 구단별 고정효과(individual fixed effects)와 시즌별 고정효과(time 12) 신규더미는 구장을 새로 건설한 경우에만 해당되는 반면, 수용인원은 구장의 신축은 물론, 기존 구장의 증개축 또는 연고지 이전 등에 영향을 받는다. 13) 각 시즌에서 팀 간 순위를 결정하는 승률계산법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 왔다. 먼저,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승률=승/(승+패)로 계산하였고 무승부는 승률계산에서 제외 하였다. 1987년부터 1997년까지는 무승부를 0.5승으로 인정, 승률계산에 포함하여 승률 =(승+무*0.5)/총경기수로 계산하였고, 1998년부터 2002년까지는 다시 이전의 방식을 적 용하여 승률=승/(승+패), 무승부 제외로 계산하였다. 2003년과 2004년은 양대리그제를 채택하며 다승제방식을 택하였고, 이에 따라 공식적으로 승률계산은 이뤄지지 않았다. 2005년 양대리그제를 폐지하며 다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승률=승/(승+패), 무승부 제외로 계산하였으며, 2008년은 승률계산 자체는 전년과 동일하나 무승부경기 자체를 폐지하며 승과 패만이 존재할 수 있는 리그경기를 통해 승률=승/총경기수 방법으로 계 산하였다. 이듬해 다시 무승부경기를 부활시켰으나, 2009부터 2010년까지 승률=승/총경 기수 방법을 택하여 무승부는 패로 간주하였다. 2011년부터 현재까지는 다시 초기의 승률=승(승+패), 무승부 제외로 계산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크게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승률= 승/(승+패)계산방식은 82-86년, 98-02년, 05-08년, 11-13년 사용되었고, 승률= 승+(무*0.5)/경기수산정방식은 87-97년 사 용되었다. 승률을 승/경기수로 산정하는 방식은 09-10년 사용되었다.

78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fixed effects)도 포함하였는데, 구단별 고정효과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 으나 각 구단이 지닌 고유의 특성을, 시즌별 고정효과는 국내 프로야구 전 반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 등 시간에 따라 변하나 모든 구단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받는 요인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경기 결과의 확실성도 고려하였다. 14) 성적이 아주 좋거나 나쁠 경우 경 기결과가 대체로 예측 가능하면 관중으로서는 경기에 대한 관심이 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경기의 확실성은 여러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경기 확실성 = 승률-0.5 먼저, 본 논문에서 사용한 자료 및 기초 통계량은 다음과 같다. <표 2> 1982-2014 사용 데이터의 기초통계량 최대값 중간값 평균 최소값 경기당 평균 관중 수 (tix) 21.9 6.69 7.77 0.76 홈 구장 수용인원 (cap) 30.5 12.5 19.13 10 플레이오프 진출 (po) 1 0 0.27 0 한국시리즈 진출 (ks) 1 0 0.25 0 승률 (wrate) 0.7 0.51 0.5 0.19 신축효과 (new) 1 0 0.03 0 경기 확실성 (gu) 0.31 0.06 0.07 0 주. 경기당 평균 관중 수 및 홈 구장 수용인원은 1000 단위임. 14) 경기 확실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회귀식에 포함한 것은 익명의 심사자께서 제안해 주신 것임을 밝힌다.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79 Ⅲ. 회귀분석모형 설정 및 분석 1. 분석 모형 본 연구에서는 패널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을 분석모형으로 사 용하여 평균관객 수를 구장의 규모, 승률, 플레이오프 진출 여부, 신규구장 더미변수 그리고 경기 결과의 확실성을 포함하여 회귀분석한다. 그리고, 팀 별 고정효과와 시즌 타임더미를 포함한다. 팀별 고정효과는 티켓 판매 수에 영향을 주는 관측되지 않는 각 구단의 이질적인 특성을 통제하기 위함이며, 시즌 고정효과는 한국프로야구 전반의 인기도 변화 또는 월드컵 개최 등 모 든 팀에 공통적으로 발생한 외생적인 요인을 통제하기 위함이다. 설정된 회귀분석 모델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승률과 구장 수용인원 규모간에는 상호작용항을 포함하여 구장 수용인원의 변화가 관중 동원에 가지는 효과가 승률에 의존할 수 있음을 허용한다. 이러한 고정효과모형에서 첫번째 모델에서는 평균티켓 판매 수 (tix)와 관중 수(cap)변수를 level 자료로 사용하고, 두번째 모델에서는 이들 변수를 로그(log) 전환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팀별 고정효과는 <표 1>에서 주어진 팀번호에 따라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MBC청룡과 LG 트윈스는 같은 팀으로 취급되었다). 추정모형은 회귀모형 계수값을 내부추정량(within estimator)과 1계차분 추정량(first difference estimator) 모두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내부 추정법 은 각 모델과 패널 그룹별 평균으로 이루어진 between 모형의 차를 이용한 within 변환을 적용하여 고정효과를 제거하고, OLS 추정을 통해 각 변수의 계수에 대한 일치추정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1계차분 추정법은 오차항과 고정효과를 제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우선 t기 및 t+1기의 차를 이용하 여 고정효과를 제거한 후, OLS 추정을 통해 각 변수의 계수에 대한 일치 추정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15)

80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2. 추정 결과 1) 모형 1 분석 다음 표는 회귀분석식의 추정 결과를 보여준다. <표 3> 모형 1 추정 결과 추정방법 tix 내부 (t-value) (robust t-value) 1계차분 (t-value) (robust t-value) cap -0.29 (-2.42)** (-1.68)* -0.21 (-2.18)** (-1.28) cap wrate 0.92 (4.17)*** (2.77)*** 0.65 (4.55)*** (2.38)** po 0.76 (2.27)** (2.76)*** 0.45 (2.50)** (1.58) wrate -5.99 (-1.39) (-1.34) -1.15 (-0.41) (-0.30) new -0.44 (-0.56) (-0.48) 2.10 (2.70)*** (7.34)*** gu -3.65 (-1.26) (-1.48) -0.84 (-0.48) (-0.59) 주: ***, **, * 는 각각 유의수준 1%, 5%,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 Robust t-values는 robust 표준편차를 이용한 것[Arellano(1987)]. 모형1의 추정결과를 보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t-value와 로버스트 (robust) t-value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먼저 수용인원과 통합승 률의 상호작용항 (cap wrate)은 추정방법이나 표준오차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인원 (cap)과 플레이오프 진출더미 (po)도 1계차분 추정량(first difference estimator)을 사용할 경우 다소 유의 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대체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승률 (wrate)의 경우 내부 추정법을 사용하는 경우, 신규구장 더미변수(new)의 경우 1계차 분 추정법을 사용하는 경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확실성(gu)의 15) 이 두 추정방법은 시계열 자료가 2기간에 대하여만 존재하는 경우에는(T=2) 동 일하다. 하지만, 분석자료의 시계열이 2기간 이상인 경우(T>2)에는 자료의 시계 열 길이(T)와 횡단면 자료의 수(N)에 따라 그 추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Wooldridge(2012) 내용을 참조.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81 경우 음의 계수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어 직관에 부합하는 효과가 있는 것 으로 판단된다. 승률항의 부호가 음(-)이더라도, 승률항과 구장규모간의 상호작용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wrate의 한계효과(marginal effect)가 음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승률과 구장규모의 상호작용항(cap wrate) 은 양의 계수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구장 수용인원이 티겟 판 매에 미치는 영향이 통합승률이 높을수록 커짐을 뜻한다. 승률(wrate)의 중 간값 0.51을 이용해보면, 구장 수용인원 (cap)의 관객증가에 대한 (한계)효 과는 내부추정량 기준으로 0.17( -0.29+0.92*0.51) 그리고 1계차분 추정량 기준으로 0.13( -0.21+0.65*0.51)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구장 수용인원이 1000명 증가할 경우, 5할의 승률을 지닌 팀의 경 우, 그 관중 수가 각각 170명과 130명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 어 7할의 승률을 가진 우수한 팀이라면 구장 수용인원 1000명 증가에 따 라 내부 추정량 기준으로 354명, 1계차분 추정량 기준으로 245명의 증가하 는 것을 추정한다. 이영훈(2004)은 승률과 구장 수용인원간의 상호작용항 없이 구장 수용인원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는데, 구장 수용인원이 2만명 에서 3만명으로 증가하면 연간 관중이 15.8%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 다. 이는 수용인원이 1000명 증가할 경우 158명의 증가에 해당하는 것으 로, 그 추정치는 본 논문의 추정값 (5할 승률을 가진 팀의 경우 관중 증가 수 추정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야구장 신축은 일반적으로 구장 규모증가 효과와 신축 자체의 효과를 지닌다. 구장 규모증가 효과를 제외하고 그 신축자체의 효과를 추정하면, 추정모형에 따라 야구장 신축 그 자체의 효과는 다르게 추정되었다. 내부 추정에서 야구장 신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음(-)의 부 호를 띄고, 반면에 1계차분 추정에서는 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 (+)의 부호를 가진다. 구장 신축에 따른 구장규모 증가 효과를 제외하고 그 개업효과 자체만을 살펴보면, 그 효과는 내부 추정량 기준으로는 매 경 기 440명의 티켓 판매 감소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16) 1계 차분 추정량 기준으로는 최초 3년간 매 경기 2100명의 티켓 판매 증가를 16) 다만, 이 경우 유의수준 10% 하에서도 유의하지 않았다.

82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야구장이 신축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신 축효과 자체와 관중규모 증가가 동시에 이루어 진다. 승률(wrate)의 중간값 0.51을 이용하는 경우 구장 수용인원 (cap)의 관객증가에 대한 (한계)효과 는 내부추정량의 경우 0.17, 그리고 1계차분 추정량 기준으로 0.13이다. 야 구장 신축 시 발생하는 관중 효과를 야구장 신축자체의 효과와 규모 증가 에 따른 효과로 분배하는 과정에서 내부추정량은 수용인원의 효과를 (1계 차분 추정에 비하여) 크게 추정하고 이에따라 야구장 신축효과는 그 신뢰 구간이 0을 포함하게 되는 반면에, 1계차분 추정에서는 수용인원 효과를 상대적으로 작게 추정하여 야구장 신축자체의 효과가 양으로 추정된 것으 로 보인다. 비록, 새구장 신축효과와 수용인원 증가가 다르게 추정되었으 나, 신규 구장의 경우 관중 수 증가에 구장신규 효과와 규모 증가의 효과 를 가지고, 그 두 효과를 합한 총합의 (야구장 신축에 따른) 관중 수 증가 효과는 그 두 추정방식에서 유사할 수 있다. 2) 모형 2 분석 다음 표는 모형 2 분석에 따른 회귀분석식의 추정 결과를 보여준다. <표 4> 모형 2 추정 결과 tix 내부 (t-value) (robust t-value) 추정방법 1계차분 (t-value) (robust t-value) log(cap) 0.09 (0.33) (0.16) 0.19 (0.80) (0.48) log(cap) wrate 1.07 (2.04)** (1.14) 0.67 (1.82)* (1.16) po 0.05 (1.28) (1.58) 0.02 (0.86) (0.94) wrate -1.32 (-0.90) (-0.54) -0.22 (-0.22) (-0.15) new 0.03 (0.35) (0.24) 0.21 (2.00)** (2.91)*** gu -1.09 (-3.02)*** (-2.42)** -0.68 (-2.92)*** (-2.56)** 주: ***, **, * 는 각각 유의수준 1%, 5%,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 Robust t-values 는 robust 표준편차를 이용한 것이다[Arellano(1987)].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83 모형2의 경우 승률과 구장규모의 상호작용항은 통상적인 t값을 사용할 경우 내부 추정법과 1계차분 추정법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모형1과는 다르게 수용인원(cap), 플레이오프 진출더미(po), 통합승률 (wrate)의 유의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구장 더미변수(new)는 1계차분 추정량을 사용하는 경우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확실 성(gu)은 두 가지 추정법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장수용인원(cap)과 티켓 판매 수(tix)를 로그변환하여 사용함에 따라, 위 추정결과의 해석은 계산이 필요하다. 승률변수 wrate의 중간값을 사용하 여 추정한 log(cap)의 log(tix)에 대한 한계효과는 내부추정의 경우 0.64( 0.09+1.07*0.51), 1계차분추정의 경우 0.53( 0.19+0.67*0.51)로 추정되었다. 구장수용인원(cap)의 중간값인 12.5 주변에서 1 증가하는 경우 log(cap)은 대략 0.08 증가한다. 따라서 cap이 1 증가하는 경우 log(tix)는 내부 추정법 의 경우 0.051( 0.08*0.64), 1계차분 추정법의 경우 0.043( 0.08*0.53) 증 가한다. 이는 관중 수(tix)의 중간값 6.69의 5.1%인 0.34, 4.3%인 0.28의 증 가를 의미하며, 구장수용 인원이 1000명 증가할 경우 티켓 판매 수는 각각 추정방법에서 340장, 280장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에 포스트시즌 진출더미(po)의 추정계수는 내부추정의 경우 0.05, 1계차분 추정의 경우 0.02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포스트시즌 진출이 티켓 판매를 각각 5%와 2%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역시 관중 수(tix)의 중간 값 6.69 기준으로 다시 계산해 보면, 각각 360장과 140장 증 가에 해당한다. 같은 방법으로 신규 구장의 효과는 각 분석방법에 따라 230장과 1370장에 해당한다. 모형 별, 추정방법 별 관중 수 증가에 대한 한계효과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5> 변수별 티켓 판매에 대한 한계효과 모형1 모형2 추정방법 내부 1계차분 내부 1계차분 구장규모 1,000명 증가 170 130 340 280 플레이오프 진출 760 450 360 140 신규 구장 -440 2,100 230 1,370 주: 위 표의 단위는 명. 모든 수치는 십 단위로 반올림하였다.

84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3. 구장신축에 따른 관중동원 효과 구장 신축에는 신축 그 자체의 효과와 구장 수용 규모의 증가 에 따른 효과가 동시에 존재한다. 앞 분석에서는 구장신축의 효과가 3년간 동일하 게 나타나는 것으로 상정하고, 신축구장의 경우 3년간 동일한 더미를 부여 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절에서는 구장신축의 효과가 3년간 나타나되 그 효과가 각 연도에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허용하고 그 기본 모형을 재 추정한다. 구장신축 당해 년도, 익년 그리고 익익년에 각각의 더미변수 (new1, new2, new3)를 사용하였다. 1계차분 추정방식을 통한 추정결과는 <표 6>과 같다. 17) 두 모형 모두에서 신축의 효과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 도별 신축효과의 평균값은 3년간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을 가정한 경우의 그 신축에 따른 효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 6> 구장 신축효과 분석 1계차분 추정 tix 모형1 (t-value) (robust t-value) 모형2 (t-value) (robust t-value) cap -0.23 (-2.37)** (-1.50) 0.16 (0.62) (0.42) cap wrate 0.66 (4.58)*** (2.36)** 0.66 (1.79)* (1.15) po 0.45 (2.49)** (1.60) 0.02 (0.84) (0.91) wrate -1.31 (-0.46) (-0.34) -0.22 (-0.21) (-0.15) new1 2.73 (2.65)*** (3.81)*** 0.25 (1.88)* (2.27)** new2 1.79 (1.66)* (6.61)*** 0.24 (1.67)* (4.34)*** new3 1.70 (1.92)** (2.54)** 0.17 (1.49) (1.52) gu -0.95 (-0.53) (-0.62) -0.69 (-2.93)*** (-2.60)*** 17) 내부 추정치를 사용할 경우 앞서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장신축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 게 나타났다.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85 Ⅳ. 결론 한국프로야구가 하나의 독립된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정도로 성 장함에 따라, 산업의 발전을 위한 수요분석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프로야구의 과거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 야구장 신축에 따 른 관중동원 효과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 야구장 규모의 증가는 그 자체 뿐만 아니라 해당 구단의 승률과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관중 수 증가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장 규모 증가효과를 제외한 구장신 축 자체의 개업효과는 대체로 관중 수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추정방법에 따라 그 유의성은 다르게 추정되었다. 본 분석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확장의 가능성 및 한계점을 지닐 수 있다. 먼저, 본 분석은 과거 야구장 수용인원의 변화 또는 야구장 신축에 따른 관중 수 증가 효과를 측정하고 있다. 그 효과를 측정함에 있어 야구 장 입지(location)의 변화를 명시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새로운 야구 장과 예전 야구장이 상당히 다른 입지를 가진다면, 야구장 신축에 따른 효 과는 신축자체 효과 외에도 야구장 입지 변화에 따른 효과를 포함하게 된 다. 이러한 면에서 차후 연구는 야구장 입지 조건까지를 고려하여 야구장 신축에 따른 효과 등을 분석할 수 있기를 바란다.

86 시장경제연구 45집 1호 참고문헌 1. 이영훈(2001), 한국프로야구산업의 제도개선방향, 규제연구 제 10권 1호, 231-265. 2. 이영훈(2002), 한국프로야구산업의 경쟁력분석, 체육과학연구 제 13권 4호, 20 02, 85-102. 3. 이영훈(2002), 한미일 프로야구산업의 경쟁력 비교,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 15권 2호, 273-287. 4. 이영훈(2004), 프로야구산업의 이벤트마케팅 생산성에 관한 연구 입장요금 전략을 중심으로, 생산성연구 제 18권 1호, 127-146. 5. 이주연 이예원(2011), 한국 야구 관람문화 변천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스 포츠 사회학회지 제 24권 2호, 169-198. 6. 전현배 오승연(2012), 수직적 산업연관과 외국인소유, 시장경제연구 제 41 집 1호, 서강대 경제연구소, 89-110. 7. 한국야구위원회(2014), 2014년 한국프로야구연감, 한국야구위원회 8. Hakes, J. K., and C. M. Clapp(2005), How Long a Honeymoon? The Effect of New Stadiums on Attendance in Major League Baseball, Journal of Sports Economics 6, 237-263. 9. Hakes, J. K., and C. M. Clapp(2006), The Edifice Complex: The Economics of Publi c Subsidization of Major League Baseball Fac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Finance 1, 77-95. 10. Gitter, S. R., and T. A. Rhoads(2010), Determinants of Minor League Baseball Attendance, Journal of Sports Economics 11, 614-628. 11. Gitter, S. R., and T. A. Rhoads(2014), Stadium Construction and Minor League Baseball Attendance, Contemporary Economic Policy 32, 144-154. 12. Wooldridge, J. M.(2012), Introductory Econometrics: A Modern Approach, South Western Educational Publishing

야구장 신축/개축 관중 수 효과 분석 87 ABSTRACT The Everlasting Honeymoon Effect? Dukpa Kim Department of Economics, korea University Jae Nahm Department of Economics, korea University Jun Hyung Department of Economics, korea University This paper offer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new stadium availability and increased stadium capacity on ticket sales. We perform panel data analysis o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games from 1982 to 2014. Our main findings show that the number of tickets sold increases in both stadium capacity and winning percentage of the team attached to it, and suggest that these two features are complementary. Key Words: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icket sales, New stadium, Capacity JEL Classification: J14, J24, D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