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1 서 언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본격적으로 접어들면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한 미디어 간 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개인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날로 깊어져 가고 있습니 다. 한편으로는 과도한 시청률 경쟁에서 방송의 질에 대한 전반적인 위기감이 더해 져 가고 있기도 합니다. 방송 프로그램의 질적 관점에서 좋은 방송 을 측정하기 위 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시청자들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과도한 시청률 경쟁을 지양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시청자들의 의견 을 반영한 조사결과를 방송 평가에 직접 반영하여 양질의 프로그램을 생산할 수 있 도록 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습니다. 2005년부터 시작된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현재 지상파(KBS1, KBS2, MBC, SBS)와 종합편성(TV조선, JTBC, 채널A, MBN) 8개 채널에서 방영되고 있는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각 프로그램을 시청한 시청자들이 직접 전반적인 만족도와 질 적 우수도를 평가하여 수행됩니다. 본 조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출연사업으로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한 지난 2010년부터 올해로 6년째를 맞이하였습니다. 2011년 시청자평가 품질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수립을 비롯하여, 국내외 주요 방송 품질평가 사례 조사, 수용자 초점집단인터뷰, 연계보조조사 등을 통해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신지형 부연구위원의 책임 하에, 정부연 부연구 위원과 주재욱 연구위원이 수행하였고, 시청자평가지수(KI) 의 산출을 위한 조사 실 무는 마크로밀엠브레인에서 담당하였습니다. 본 연구과제 수행 과정에서 귀중한 의견을 주신 대진대 박은희 교수, 중부대 송인덕 교수, 순천향대 심미선 교수, 상지 대 양문희 교수, 인하대 하주용 교수, 동국대 황하성 교수에게도 이 자리를 빌려 심
2 심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본 연구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방송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15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김 도 환
3 목 차 서 언 1 요약문 13 제 1 장 서 론 31 제 2 장 조사 설계 34 제 1 절 개 요 34 제 2 절 평가 대상과 평가 지표 36 제 3 절 표본 구성과 평가 시기 38 1. 모집단과 표본 패널 구성 38 2. 조사 방법과 시기 39 제 4 절 평가 과정 41 1. 사전 준비 41 2. 패널 모집과 사전 조사 42 3. 본 조사 42 4. 조사 참여 독려 47 5. 데이터 검증 및 처리 48 6. 결과 분석과 보고서 작성 48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49 제 1 절 지상파 방송사 평가 결과 49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49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49
4 3. 채널별 분기별 평가 변동 추이 50 4. 응답자 특성별 지수 비교 53 제 2 절 종합편성채널 평가 결과 56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56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56 3. 분기별 평가 변동 추이 57 4. 응답자 특성별 지수 비교 60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63 제 1 절 지상파 방송사별 평가 결과 63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63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65 3. 채널별 속성 평가 66 4. 분기별 평가 결과 67 5. 항목별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평가 결과 69 제 2 절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평가 결과 76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76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78 3. 채널별 속성 평가 80 4. 분기별 평가 결과 81 5. 항목별 채널 성과지수 분기별 평가 결과 82 제 5 장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검증 90 제 1 절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산출 과정 검증 90 1. 조사 대상 패널 대표성 평가 90 2. 패널 관리와 유지 검증 91 3. 온라인 조사시스템 안정성 검증 91
5 4. 온라인 조사 프로세스 검증 92 5. 패널 응답자 의견 조사 92 6. 평가대상 프로그램 포함률 검증 93 제 2 절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안정성 평가 94 1. 전체 시간대와 주시청 시간대의 평가 결과 비교 94 2. 프로그램 최소 시청자수 제한에 따른 평가 결과 비교 95 3. 평가자 연령 기준 변화에 따른 평가 결과 비교 96 4. 일주일간 평가 기준 변화에 따른 평가 결과 비교 97 5. 시청자평가지수(KI) 설문문항의 상관 분석 98 6. 평가자 수와 시청자평가지수(KI)의 상관 분석 99 제 3 절 연계보조조사를 통한 시청자평가지수(KI) 산출의 타당성 검증 100 1. 조사 설계 및 조사 내용 102 2. 조사 결과 108 3. 소결 및 시사점 111 제 4 절 FGI를 통한 KI시청자평가지수 산출과정의 타당성 검증 113 1. 조사대상 113 2. 시청자 집단토론(FGI) 설계 및 주요 조사 내용 116 3. 시청자 대상 초점집단인터뷰(FGI)결과 117 제 6 장 결 론 120 제 1 절 조사 결과의 요약 120 제 2 절 결론 및 시사점 125 [부록 1] KI 시청자평가 기간 중 채널별 주요 이슈 127 [부록 2] 2015년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 자체 방송 프로그램 질 평가 세부 항목 131
6 [부록 3] 연계보조조사 결과 133 참고문헌 145
7 표 목 차 <표 1-1>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연혁 및 관련 연구 31 <표 2-1> 조사 개요 34 <표 2-2> KI 지수와 설문 문항 37 <표 2-3> 채널 성과지수 평가 항목 37 <표 2-4> 성, 연령, 지역별 패널 구성 39 <표 2-5> 조사 일정 39 <표 2-6> 상황별 독려 SMS 문구 48 <표 3-1> 지상파방송의 2015년 채널별 KI, SI, QI 지수 49 <표 3-2> 지상파방송의 2014~2015년 채널별 지수 비교 50 <표 3-3>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51 <표 3-4>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52 <표 3-5>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53 <표 3-6> 지상파방송의 응답자 특성별 KI 지수 비교 54 <표 3-7> 지상파방송의 응답자 특성별 SI 지수 비교 54 <표 3-8> 지상파방송의 응답자 특성별 QI 지수 비교 55 <표 3-9> 종합편성채널의 2015년 채널별 KI, SI, QI 지수 56 <표 3-10> 종합편성채널의 2014~2015년 지수 비교 56 <표 3-11>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57 <표 3-12>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58 <표 3-13>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59 <표 3-14> 종합편성채널의 응답자 특성별 KI 지수 비교 60 <표 3-15> 종합편성채널의 응답자 특성별 SI 지수 비교 61
8 <표 3-16> 응답자 특성별 QI 지수 비교 62 <표 4-1>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63 <표 4-2>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64 <표 4-3> 지상파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65 <표 4-4> 2015년 지상파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68 <표 4-5> 2014년 지상파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68 <표 4-6> 지상파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69 <표 4-7> 지상파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0 <표 4-8> 지상파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1 <표 4-9> 지상파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2 <표 4-10> 지상파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3 <표 4-11> 지상파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4 <표 4-12> 지상파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5 <표 4-13>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77 <표 4-14>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78 <표 4-15>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79 <표 4-16>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81 <표 4-17> 2014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82 <표 4-18>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3 <표 4-19>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3 <표 4-20>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4 <표 4-21>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5
9 <표 4-22>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6 <표 4-23>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7 <표 4-24>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8 <표 5-1> 온라인 조사 프로세스 검증 과정 92 <표 5-2> 방송사별 평가된 프로그램 비율 94 <표 5-3> 전체 시간대와 주시청 시간대의 방송채널별 평가 결과 비교 95 <표 5-4> 시청자 수가 30명 미만인 평가점수를 제외한 평가 결과 비교 96 <표 5-5> 연령대에 따른 전체 평가 결과 비교 96 <표 5-6> 완료자와 미완료자의 평가개수 97 <표 5-7> 평가 과정 완료자수와 미완료자수의 평가 결과 비교 98 <표 5-8> 방송프로그램 시청자 평가 지수 간 상관관계 99 <표 5-9> 평가자 수와 KI, SI, QI 지수의 상관관계 100 <표 5-10> 연구문제 102 <표 5-11> 조사 개요 103 <표 5-12> 조사 항목 및 내용 104 <표 5-13> 방송 채널별 조사 대상 프로그램 106 <표 5-14> 성, 연령, 지역별 응답자의 구성 107 <표 5-15> 보도 분야 평가기준 비교 111 <표 5-16> 교양 분야 평가기준 비교 111 <표 5-17> 오락 분야 평가기준 비교 111 <표 5-18> 시청자평가지수(KI) FGI(Focus Group Interview) 응답자 특성 114 <표 5-19> 시청자평가지수(KI) FGI 주요 조사 내용 116
10 그 림 목 차 [그림 2-1]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의 평균 응답자 수 35 [그림 2-2]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의 평가된 평균 프로그램 수 36 [그림 2-3] 평가 진행 절차 41 [그림 2-4] 조사 공지 및 참여 방법 43 [그림 2-5] 시청 프로그램 선택 절차 44 [그림 2-6] 프로그램지수 평가 절차 44 [그림 2-7] 방송채널평가 절차 45 [그림 2-8] 시청 프로그램 선택 화면 46 [그림 3-1] 지상파방송의 2014~2015년 채널별 지수 비교 50 [그림 3-2]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51 [그림 3-3]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52 [그림 3-4]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53 [그림 3-5] 종합편성채널의 2014~2015년 지수 비교 57 [그림 3-6]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58 [그림 3-7]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59 [그림 3-8]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60 [그림 4-1]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64 [그림 4-2]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65 [그림 4-3] 지상파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66 [그림 4-4] 2015년 지상파 채널별 속성 평가 67 [그림 4-5] 지상파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0 [그림 4-6] 지상파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1
11 [그림 4-7] 지상파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2 [그림 4-8] 지상파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3 [그림 4-9] 지상파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4 [그림 4-10] 지상파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5 [그림 4-11] 지상파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76 [그림 4-12]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77 [그림 4-13]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 (방송사-전체) 78 [그림 4-14]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80 [그림 4-15]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2015년 채널별 속성 평가 80 [그림 4-16]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3 [그림 4-17]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4 [그림 4-18]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5 [그림 4-19]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6 [그림 4-20]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7 [그림 4-21]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8 [그림 4-22]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89 [그림 5-1] 점수 상/중/하 부여 기준 119 [그림 6-1] KBS1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1
12 [그림 6-2] KBS2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1 [그림 6-3] MBC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2 [그림 6-4] SBS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2 [그림 6-5] TV조선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3 [그림 6-6] JTBC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4 [그림 6-7] 채널A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4 [그림 6-8] MBN의 2015년 채널성과지수조사 결과 125
요약문 13 요 약 문 1. 조사 배경 및 개요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시청률 경쟁을 지양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을 위해 시청자가 직접 방송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도입되었고, 채널별 프로그램 각각의 만족도 지수와 질평가 지수를 합산하여 계산된 산술평균을 통해 산출된다. 또한, 보조적 지표로 방송채널 질평가 지수를 7가지 항목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평가 항목으로는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이 있다.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과 조사 문항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표 1>에 제 시된 바와 같다. 1) 1) 2015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의 평균 응답자 수는 지상파 방송사의 경우 4만 6 천명이며,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지상파 방송사 평균 대비 약 57% 수준인 2만 6천 5백 명을 기록했다. 평가된 평균 프로그램 수의 경우 지상파 방송사는 평균 1,265개 이며, 종합편성채널은 지상파 방송사 평균의 약 1/3 수준인 406개를 기록했다. 또한 지상파 방송사의 경우 보도 프로그램 비중이 약 14.5% 수준이었으나 종합편성채널 의 경우 24.1% 수준으로 높아 프로그램 다양성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 이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편성채널 방송사 간 응답자 수와 평가된 프로그램 수에 차 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은 통계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할 필요가 있다.
14 <표 1>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개요 구분 조사대상 조사방법 패널구성 내용 중앙 지상파TV 4개 채널(KBS1 2, MBC, SBS) 종편PP 4개 채널(TV조선, JTBC, 채널A, MBN) 총 57,600명 대상 온라인 패널 조사 연간 4차례, 분기별 6회(1회당 2,400명 대상) 실시 전국 13세~69세, 14년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 연령, 지역별 표본 추출 조사기간 2월, 5월, 8월, 11월(연 4 회) 프로그램 평가 지수(KCC Index, KI) KI: SI와 QI의 평균,(SI+QI)/2 각 항목(11점척도/0~10점) SI(Satisfaction Index): 귀하께서 시청하신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 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QI(Quality Index): 귀하께서 시청하신 프로그램이 질적으로 얼마 나 우수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조사내용 채널평가지수 7개 평가 항목(5점 척도/1~5점) 흥미성: 채널 [ ]는 재미있다 다양성: 채널 [ ]는 다양한 내용을 전달했다 창의성: 채널 [ ]는 새롭거나 신선했다 신뢰성: 채널 [ ]는 믿을 수 있는 내용을 전달했다 유익성: 채널 [ ]는 유익했다 공정성: 채널 [ ]는 공정했다 공익성: 채널 [ ]는 공익의 이익을 우선했다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2005년 처음으로 시작되었고, 조사 대상은 지상파TV 4채널인 KBS1, KBS2, MBC, SBS이며, 2006년부터 방송평가에 그 결과를 반영 2) 하였 다. 2011년 12월 종합편성채널이 개국한 이후 2012년부터는 TV조선, JTBC, 채널A, MBN을 평가 대상에 추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2) 14년, 지상파방송 900점 만점에 70점(7.8%), 종편PP 700점 만점에 35점(5%)
요약문 15 2. 각 방송사별 주요 조사 결과 가. KBS1 2015년 KBS1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47로 나타났으며, 2011년 이후 지속적으 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4년은 전년대비 변동이 없었고, 2015년에는 전년 대비 0.01점 하락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QI가 SI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고, 2014년 이후 QI와 SI가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림 1] KBS1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KBS1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 가지 조사 항목 중 유익성, 다양성, 신뢰성, 흥미 성, 공익성, 공정성, 창의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작년에 비해 전 항 목에서 지수는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 [그림 2] KBS1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17 나. KBS2 2015년 KBS2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13으로 나타났으며, 2012년 이후 지속적 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1년 이래 2015년까지 매년 SI가 QI보다 항상 높았다. [그림 3] KBS2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18 KBS2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유익성, 신뢰성, 공정성, 창의성, 공익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작년에 비해 공정성과 공익성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나머지 항목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림 4] KBS2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19 다. MBC 2015년 MBC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02로 나타났으며, 2011년 이후 지속적으 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1년 이래 2015년까지 SI가 QI보다 항상 높았다. [그림 5] MBC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20 MBC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유익성, 창의 성, 신뢰성, 공정성, 공익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작년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소폭 상승하였다. [그림 6] MBC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21 라. SBS 2015년 SBS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09로 나타났으며,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1년 조사 이래 2015년까지 SI가 QI보다 항상 높았다. [그림 7] SBS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22 SBS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유익성, 신뢰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공익성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 모두 작년에 비해 소폭 하락하거나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림 8] SBS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23 마. TV조선 2015년 TV조선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6.89로 나타났으며, 2012년부터 2014년까 지 KI가 증가하다 2015년 소폭 하락했다. 2012년 조사 시작 이래 SI는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QI는 2013년 전년대비 상승했으나, 2013년 이후 하락 추세이다. [그림 9] TV조선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24 TV조선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유익성, 신 뢰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흥미성을 제외한 나머 지 항목 모두 작년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다. [그림 10] TV조선 채널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25 바. JTBC 2015년 JTBC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34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 QI, SI 지수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2년 조사 이래로 SI가 QI보다 항상 높았다. [그림 11] JTBC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26 JTBC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유익 성, 신뢰성, 공정성, 공익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모든 항목에서 작년에 비 해 상승했으며, 2012년 이후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그림 12] JTBC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27 사. 채널A 2015년 채널A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06으로 나타났으며, 2012년 이후 지속적 으로 감소하다가 2015년에는 소폭 상승하였다. 2012년 이래 2015년까지 SI가 QI보 다 항상 높았다. [그림 13] 채널A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28 채널A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유익성, 신뢰 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작년에 비해 모든 항목에 서 소폭 하락하였다. [그림 14] 채널A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요약문 29 아. MBN 2015년 MBN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7.00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QI, SI 지수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2년 이래 2015년까지 SI가 QI보다 항상 높 았다. [그림 15] MBN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결과 추이
30 MBN의 경우 채널 성과지수는 7가지 조사 항목 중 흥미성, 다양성, 유익성, 신뢰 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창의성과 유익성을 제외 한 나머지 항목에서 작년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그림 16] MBN 채널 평가지수 조사 결과 추이
제 1 장 서 론 31 제 1 장 서 론 시청자평가지수(KI)는 시청자가 직접 프로그램 평가에 참여하는, 시청자 중심의 방송 평가 제도를 확립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지난 2001년 방송 평가제 시행으로 방송평가에 관한 규칙 이 제정됨에 따라 기존의 방송국 재허가 제도에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영역에서의 평가를 포함함으로써 형식적이고 일괄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좀 더 다각적이고 고차원적인 평가로 거듭나 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청자의 의견을 반영한 방송프로그램의 평가를 내용 영역에 반영하고자 2005년부터 시작되었다. 시청자평가지수(KI) 의 도입 배경, 조사 이력 및 변천 과정과 그에 대한 관련 연구 를 정리하면 다음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1>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연혁 및 관련 연구 연 도 2003년 2004년 상반기 2004년 하반기 2005년 4월 2005년 12월 추진 내역 및 관련 연구 기본정책 방향 검토 방송평가제 실효성 향상방안 연구, 방송평가제 개선방향 검토 KI 방향성에 관한 기초연구 KI 도입기반 구축연구( 한국언론학회와 공동연구) 방송평가제 개선연구 수용자평가지수 개발연구 수용자평가지수 도입방안 연구 수용자평가지수 검증조사 실시 조사 실시 세부방안 마련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시작 - 온라인 조사 방법 채택 - 온라인 전일조사 시스템 구축 내용영역 평가항목으로 프로그램 질 평가 항목 도입 개정 방송평가에 관한 규칙 공포
32 연 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추진 내역 및 관련 연구 2006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365일 전일조사 KI 수용자평가지수 개선 및 조사결과 활용방안 연구 - 2007년도 조사에 반영 2007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2006년도부터 방송평가내 내용 영역 평가항목으로 KI점수 반영 2008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채널성과 지수 도입 - 방송사 이미지 지수(2개 영역 각 5개 항목), 채널 성과 지수(5개항목) 개발, 조사 2009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연 5회 조사로 변경 - 방송통신위원회 주관사업 수행 2010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KISDI가 출연사업으로 수행하기 시작 - 연 4회 계절성을 감안한 분기별 조사로 조사 시기 변경 2011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지수 산출 과정에서의 최소 만족 요건 기준을 확립 2012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2012년 종합편성채널로 조사 영역 확대 2013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국내외 방송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품질 평가 사례를 분석하며 정략적, 정 성적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산출된 지수에 있어서 타당성과 신뢰성 을 담보 - 방영되는 프로그램 대비 평가된 프로그램 비율의 검증을 통해 지수의 신뢰 성 확보 방송 프로그램 품질평가 제도 개선방안 연구 수행(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 평가지수 추가 개발 연구 수행(한국방송학회) 2015년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실시 - KI조사의 기반이 된 2004년 수행된 KI 도입기반 구축연구 조사 내용을 2015년 1천명을 대상으로 연계보조조사를 실시하여 KI 평가 기준을 비교 하고, KI 시청자 평가 조사의 진행 적정성을 진단 본 보고서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방송법과 방송평가에 관한 규칙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시청
제 1 장 서 론 33 자평가지수(KI) 조사의 도입 배경과 조사 이력 및 변천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조사 의 궁극적 목표와 결과를 이해하는데 뒷받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2장 <조사설계>에서는 조사의 개요, 평가 대상과 평가 지표에 대한 설명, 응답 자의 표본 구성과 평가 시기, 사전준비부터 패널 모집, 본 조사, 조사 참여 독려, 데 이터 검증 및 처리, 결과 분석과 보고서 작성에 따른 평가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하 여 자세한 설명을 수록하였다. 제 3장과 제 4장은 <방송프로그램 평가 결과>와 <방송사 채널 성과지수 조사 결 과>를 제시하고, 지난 2010년부터의 분기별 평가 변동 추이를 제시하여 평가 결과 를 시계열적으로 비교하였고, 채널별, 응답자별 특성에 따라 심층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 5장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검증>에서는 다양한 각도로 시청자 평가 지수 의 산출과정을 검증하였는데, 먼저, 조사 대상의 대표성, 패널 관리 등 응답자 특성 에 대한 편향을 검증하고, 평가 대상의 프로그램의 포함률 등 조사의 구조적인 면에 대한 과정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시청시간대, 프로그램 최소 시 청자수, 평가자 연령 기준, 설문문항 간의 상관관계, 평가자수와 평가 결과와의 상관 관계 분석 등 지수 산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 가적으로, 연계 보조조사를 통하여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인식과 KI 평가 기준을 비교하고, KI 시청자 평가 조사의 진행 적정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시청자 평가지수(KI) 조사에 참여하고 있는 응답자들 중 상대적으로 패널 모집이 어려운 10대와 50대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조사 과정에 편향 등이 없는지에 대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제 6장 <결론>에서는 시청자평가지수(KI)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을 다 루었다.
34 제 2 장 조사 설계 제 1 절 개 요 2015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지상파 채널과 종합편성채널의 모든 프로그램 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이다. 각 분기별로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2월, 5월, 8월, 11월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분기 조사가 실시되는 월 을 기준으로 전월 마지막 주부터 익월 첫 주까지(예를 들어, 2월 조사의 경우 1월 마 지막 주부터 3월 첫째 주까지) 총 6주에 걸쳐 조사한다. 조사 대상인 평가단은 2014 년 12월 주민등록 기준으로 전국 13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를 대상으로 성, 지역, 연 령 비율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매주 최대 2,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분기별로 최대 14,400명의 평가자가 조사에 참여한다. <표 2-1> 조사 개요 구분 평가 대상 모집단 정의 표본 추출 평가 방법 평가 기간 내용 지상파 채널(KBS1, KBS2, MBC, SBS)과 종합편성채널(TV조선, JTBC, 채널 A, MBN)의 모든 프로그램 전국 13세 이상 69세 이하 TV 시청자 2014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기준(성, 연령, 지역별 배분) 조사 전용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조사 2월, 5월, 8월, 11월(해당 월 6주간씩 연 4회 진행) 평가자 규모 주간 2,400명 연간(24주) 57,600명(응답률 75.7%) 자문 교수진 박은희 교수(대진대 신문방송학과), 황하성 교수(동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송인덕 교수(중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심미선 교수(순천향대 신문방송학 과), 양문희 교수(상지대학교 언론정보학부), 하주용 교수(인하대 언론정보 학과)
제 2 장 조사 설계 35 조사방법은 온라인 조사를 이용한다. 본 조사를 위해 별도의 온라인 홈페이지가 구축되었으며, 평가단은 KBS1, KBS2, MBC, SBS 총 4개의 지상파 채널과 TV조선, JTBC, 채널A, MBN 총 4개의 종합편성채널의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각각 시청 한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또한 조사 기간 중 평가단은 매주 한번씩 8개 채널에 대 한 채널 평가를 실시하며, 모든 평가에 응답한 평가자의 응답만이 유효 표본으로 선 정되었다. 본 조사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 방법이나 시청한 기기에는 제한을 두 지 않았으나, 편성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인터넷 다운로드 등을 통하여 시청한 경우 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015년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의 최종 응답자 수는 지상파 방송사는 총 46,274 명, 종합편성채널은 지상파 응답자의 약 57% 수준인 총 26,522명으로 나타났다. 2012년 최초로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평가가 실시된 이래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조사 응답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지상파 채널과 비교했을 때 크게 떨어 지는 수준이다. [그림 2-1]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의 평균 응답자 수 주: 동일 프로그램 2회 이상 시청 시 1회만 응답자로 적용 올해 평가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수를 살펴보면 지상파의 경우 총 1,265개, 종합편 성채널의 경우 총 지상파의 약 32% 수준인 406개로 나타났다.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36 지상파 채널에 비해 응답자 수가 낮은 것을 감안하더라도 평가 대상 프로그램 수가 상대적으로 그보다 더 낮은 이유는 지상파 방송에 비해 재방송 비율이 높고 다양성 측면에서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도 프로그램 비중의 경우 지상파는 14.5%인 반면 종합편성채널은 24.1%로 지상파채널과 종합편성채널 사이에는 유의 한 차이가 존재한다. [그림 2-2]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의 평가된 평균 프로그램 수 주: 지역방송 프로그램, 재방송 프로그램 수 제외, 연간 지속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분기별로 적용하지 않고 연간 1회만 적용 제 2 절 평가 대상과 평가 지표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KBS1, KBS2, MBC, SBS 총 4개의 지상파 채널과 TV 조선, JTBC, 채널A, MBN 총 4개의 종합편성채널의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시 된다. 본 조사는 크게 1) 프로그램 평가와 2) 채널 평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프로그램 평가의 경우, 평가단이 시청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품질에 대해 각각 11점 척도(0점~10점)로 평가를 하며,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 별로 산술평균을 구하여 최종 적인 프로그램 평가지수를 확정한다. 만족도에 대한 평가지수를 SI(Satisfaction Index), 품질에 대한 평가지수를 QI(Quality Index)라 하며, 이들 두 값의 산술평균을 KI
제 2 장 조사 설계 37 (KCC Index)라 한다. 최종적인 평가지수는 연단위로 산출되며, 공영방송과 민영방 송은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3) 시청자평가지수(KI)의 내용 및 설문 문항은 <표 2-2>와 같다. <표 2-2> KI 지수와 설문 문항 구분 내용 설문 문항 SI QI KI 프로그램 만족도 (11점 척도/0~10점) 프로그램 질 (11점 척도/0~10점) 귀하께서 시청하신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귀하께서 시청하신 프로그램이 질적으로 얼마나 우수하다고 생각하십니까? SI와 QI의 평균, KI=(SI + QI)/2 채널 평가의 경우, 평가단은 각 채널 별로 흥미성, 다양성, 신뢰성, 유익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 총 7개의 평가 항목에 대하여 5점 척도(1점~5점)로 평가하며, 이렇 게 평가한 결과를 채널성과지수라 한다. 채널성과지수 또한 조사기간 동안 매주 평 가를 실시하는데,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일주일 동안 프로그램 평가를 완료한 평 가자에 한해 주별 평가 프로그램이 속해 있는 방송사만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채널 성과지수의 평가 항목은 <표 2-3>과 같다. <표 2-3> 채널 성과지수 평가 항목 항목 흥미성 다양성 신뢰성 설문 문항 채널 [ ]는 재미있다 채널 [ ]는 다양한 내용을 전달했다 채널 [ ]는 믿을 수 있는 내용을 전달했다 3) 영국의 경우 지상파텔레비전방송사는 공공서비스 방송(PSB: Public Service Broadcasting) 으로 간주하여 소유구조와 무관하게 공영방송과 민영방송 모두 동일 척도를 적용 하고 있다.
38 항목 유익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 설문 문항 채널 [ ]는 유익했다 채널 [ ]는 새롭거나 신선했다 채널 [ ]는 공정했다 채널 [ ]는 공공의 이익을 우선했다 제 3 절 표본 구성과 평가 시기 1. 모집단과 표본 패널 구성 조사 모집단은 전국 만 13세 이상 69세 이하의 텔레비전 시청자로 정의하였고, 표 본은 2014년 12월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성, 연령, 지역 비율에 따라 할당표본추출 (quota sampling)하였다. 연령 기준으로는 13세~19세, 20세~29세, 30세~39세, 40 세~49세, 50세 이상 다섯 개 범주로 구분하였고, 지역 기준으로는 서울, 경기 인 천, 강원,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총 일곱 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표본 규모는 연 4회, 매회 6주, 매주 최대 2,400명으로 평가단 총 인원은 최대 57,600명이나 온라인 패널의 특성상 동일한 응답자가 각각 다른 분기에 응답할 가 능성도 있으며, 이를 인위적으로 배제하지 않았으므로 실제 인원은 이보다 적은 수 준이다. 다만 반복 조사 시 피로도가 증가하고 학습효과에 의한 응답의 편향이 발생 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 분기 동일 평가자가 2주 이상 응답할 수 없도록 매 주 패널을 교체하였다. 중도 탈락하는 패널을 고려하여 응답표본 비율의 목표는 75%로 설정하였다. 본 조사에서 산출되는 모든 지수는 성, 연령 및 지역별 응답자 비율에 따라 사후 층화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성, 연령 및 지역별 조사 패널 구성은 <표 2-4>와 같다.
제 2 장 조사 설계 39 <표 2-4> 성, 연령, 지역별 패널 구성 남 여 구분 합계 서울 경인 강원 경남 경북 전라 충청 13~19세 828 144 258 24 132 84 102 84 20~29세 1,224 258 366 36 192 120 126 126 30~39세 1,404 306 438 36 216 126 144 138 40~49세 1,596 306 510 48 246 156 174 156 50대 이상 2,298 444 642 78 384 252 264 234 소 계 7,350 1,458 2,214 222 1,170 738 810 738 13~19세 750 132 234 24 114 72 96 78 20~29세 1,110 258 336 30 162 102 114 108 30~39세 1,332 300 426 30 198 120 132 126 40~49세 1,548 306 492 42 240 150 168 150 50대 이상 2,310 474 630 78 390 246 270 222 소 계 7,050 1,470 2,118 204 1,104 690 780 684 계 14,400 2,928 4,332 426 2,274 1,428 1,590 1,422 2. 조사 방법과 시기 조사는 2월, 5월, 8월, 11월을 기준으로 전월 마지막 주부터 익월 첫 주까지 매 분 기 6주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기별 조사는 계절에 따른 변동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 며, 채널 별로 서로 다른 계절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보다 공정한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기별 평가일정은 <표 2-5>와 같다. <표 2-5> 조사 일정 2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그룹 1/25 26 27 28 29 30 31 2그룹 2/1 2 3 4 5 6 7 3그룹 8 9 10 11 12 13 14 4그룹 15 16 17 18 19 20 21 5그룹 22 23 24 25 26 27 28 6그룹 3/1 2 3 4 5 6 7
40 5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그룹 4/26 27 28 29 30 5/1 2 2그룹 3 4 5 6 7 8 9 3그룹 10 11 12 13 14 15 16 4그룹 17 18 19 20 21 22 23 5그룹 24 25 26 27 28 29 30 6그룹 31 6/1 2 3 4 5 6 8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그룹 7/26 27 28 29 30 31 8/1 2그룹 2 3 4 5 6 7 8 3그룹 9 10 11 12 13 14 15 4그룹 16 17 18 19 20 21 22 5그룹 23 24 25 26 27 28 29 6그룹 30 31 9/1 2 3 4 5 11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그룹 10/25 26 27 28 29 30 31 2그룹 11/1 2 3 4 5 6 7 3그룹 8 9 10 11 12 13 14 4그룹 15 16 17 18 19 20 21 5그룹 22 23 24 25 26 27 28 6그룹 29 30 12/1 2 3 4 5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는 온라인조사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총 8개 방송사 에서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연 4회(분기별 6주 조사) 실시하는 조사이 니만큼 조사 피로도가 높고, 제한된 조사 예산으로 일정 수준의 표본 규모를 확보해 야 하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이다. 또한 본 조사를 위해 참고한 해외 사례를 보면 대 부분의 국가에서 온라인조사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4) 4)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11년 시청자평가조사(KI) 보고서에는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를, 2012년 시청자평가조사(KI) 보고서에서는 호주, 캐나다, 벨기에의 사례를 다루었다.
제 2 장 조사 설계 41 제 4 절 평가 과정 5) 본 조사의 평가는 1) 패널 모집 및 사전조사, 2) 본 조사, 3) 자료 검증 및 분석, 4) 결과 보고의 과정으로 진행되며 주요 작업흐름은 [그림 2-3]과 같다. [그림 2-3] 평가 진행 절차 1. 사전 준비 조사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전 준비단계가 필요하다. 사전 준비단계에 서는 조사 설계를 확정하고, 필요사항을 점검하며, 전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한다. 조사 설계가 확정되면 표본 규모, 추출 방법, 가중치 산출 등 표본 설계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사항들을 확정한다. 필요사항 점검 단계에서는 채널 별로 방송편성표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5) 평가과정은 2014년 시청자평가조사(KI)과 동일하다.
42 전용 웹사이트 제작, 설문 프로그램 개발 및 테스트 등을 진행한다. 2. 패널 모집과 사전 조사 응답률을 고려하여 일정규모의 유효 응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규모의 표 본이 필요하다. 본 조사에서는 사전 설정한 분기별 표본 규모인 14,400명의 2.5~3 배 규모로 평가자를 모집하였다. 또한 1년 내내 진행되는 조사의 특성상 연초에 모 집한 패널은 연말이 다가오면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탈자 규모를 최 소화하기 위해 매년 1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서 패널을 모집하였다. 또한 조사 피 로도를 감안하여 2014년 조사에 참여한 평가자는 최대 50%로 제한하였다. 6) KI 지수 산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은 아니지만, 심층분석을 염두에 두고 패널 모집 시 텔레비전 시청행태와 관련된 패널 특성의 추가 정보 확인을 병행하였다. 3. 본 조사 조사 참여자에 대한 사전 공지는 조사 경험자와 미경험자로 나누어 다르게 실시 하였다. 즉, 미경험자의 경우 조사 개시 전 주 목요일에 공지를 발송하고, 기경험자 의 경우 조사 개시 전 주 금요일에 공지를 발송하였다. 조사 피로도와 학습효과에 의한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1주간 평가를 마친 평가자는 해당 분기에 다시 평가하 지 않도록 하였다. 시청자가 직접 시청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조사이므로, 평가는 평가 대상 날짜의 프로그램이 모두 종료된 후에 평가가 가능하도록 익일 오전 5시에 홈 페이지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일주일 간의 프로그램이 모두 종료된 후에 는 다음 주 화요일까지 홈페이지 접속을 허용하였다. 수요일까지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참여를 독려하였고, 목요일까지도 조사에 참여하 6) 2013년 이전 조사에 참여했던 패널은 신규 패널로 인정하였다.
제 2 장 조사 설계 43 지 않은 경우 전화 통화로 독려하였다. 채널성과지수의 경우 앞서 기술한 대로 프로그램 평가를 완료한 평가자에 한해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평가를 완료한 평가자 중 채널 평가를 하지 않은 평가자의 경우 조사 시작 다음 주 월요일과 화요일에 독려전화를 시도하였다. 조사의 세부 과 정은 [그림 2-4], [그림 2-5], [그림 2-6], [그림 2-7]과 같다. [그림 2-4] 조사 공지 및 참여 방법
44 [그림 2-5] 시청 프로그램 선택 절차 [그림 2-6] 프로그램지수 평가 절차
제 2 장 조사 설계 45 [그림 2-7] 방송채널평가 절차 지방 거주자가 지상파 방송의 지역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한 경우에는 프로그램 선 택 화면에서 지역방송을 시청함 (검은색 음영표시)을 선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46 [그림 2-8] 시청 프로그램 선택 화면 응답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가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도 지 수와 품질 지수를 한 번에 하나씩만 응답할 수 있도록 화면을 설계하였다. 또한 만
제 2 장 조사 설계 47 족도 문항과 품질 문항 중 어느 것을 먼저 응답할 것인지를 평가자 선호에 따라 변 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조사 참여 독려 조사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규모의 응답자수를 확보하고 응답률 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조사는 다양한 형태의 무응답자 또는 이탈 패널로 하 여금 평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체계적인 독려 체계를 구성하였다. 조사 개시 이후 조사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 패널은 무반응 패널로 분류하여 조사 개시 2일 후 이메일과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3일 후에는 전화 통화를 통한 독려활 동을 하였다. 조사가 시작되기 전에는 이메일을 통해 참여를 독려하였고, 조사 기간 중에는 패널의 참여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패널의 특성에 맞는 독려 방법을 선택하였다. 1) 조사 기간 중 웹사이트에 전혀 접속하지 않은 무반응 패널, 2) 접속은 하였으나 응답은 하지 않은 부분 무반응 패널, 3) 조사에는 참여했으나 며 칠간 텔레비전을 시청하지 않은 패널, 4) 평가 결과가 사전 조사 내용과 현격한 차 이를 보여 결과가 의심되는 패널 등으로 구분하여 집중관리하였다. 참여 독려 이메일의 경우, 하이퍼링크를 이용하여 이메일을 읽으면서 직접 평가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조사 독려 문자메시지 또한 시기(조사 시작 전, 조사 기간 중, 채널 평가 미완료)에 따라 상황별로 구분하여 각각 다른 평가 독 려를 실시하였다. 전화를 통한 독려의 경우 멘트들을 상황에 따라 표준화시켰다. 구 체적인 내용은 <표 2-6>과 같다.
48 <표 2-6> 상황별 독려 SMS 문구 구 분 발송 시기 SMS 내용 1차 발송 2차 발송 수시 발송 채널 평가 미완료자 조사 시작 전주 목, 금요일(1차 메일 발송 후 SMS 공지) 조사 시작 주 월요일 수시 미완료 시 패널님, 1월 일부터 TV방송 프로그램 수용자 평가 에 참여 바랍니다(Email 참조). 패널님, 오늘부터 TV방송 프로그램 수용자 평가 에 참여 바랍니다(Email 참조). 패널님, TV방송 프로그램 수용자 평가 에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Email 참조). 패널님, TV프로그램 평가의 방송채널 평가 까지 완료 부탁드립니다. 5. 데이터 검증 및 처리 의심되는 결과에 대한 검증 절차는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절차이 다. 본 조사는 피로도가 높은 특성으로 인해 부정확한 응답이 조사결과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평가자의 평가 결과와 사전 조사 결과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 별도 검증을 실시한다. 또한 동일한 값을 반복적으로 평가결과로 기입했거나, 지나치게 많은 프로그램을 시청한 것으로 응답 한 결과에 대해서도 별도의 검증을 실시한다.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재방송 비율이 높은 특성을 감안하여, 동일한 프로그램을 재방송을 통해 여러 번 시청한 경우, 한 번만 시청한 것으로 처리하는데, 본방송을 시청한 경우에는 본방송 하나만을 인정 하고, 재방송만 시청한 경우에는 가장 먼저 시청한 재방송 하나만 인정하였다. 6. 결과 분석과 보고서 작성 결과는 기본적으로 매주 분석하며, 또한 매 분기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다. 주별, 분기별 분석결과는 전주, 또는 전분기 및 전년도 같은 시기의 평가 결과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특히 비교 결과 현격한 차이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시청행태 에 변화를 가져온 원인(대형 스포츠 이벤트 또는 뉴스)을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49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제 1 절 지상파 방송사 평가 결과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2015년 지상파 채널의 전체 시청자평가지수(KI)는 KBS1이 7.47로 가장 높았고 1위 채널과 4위 채널의 KI 차이는 0.38이었다. 신뢰구간은 다음 표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3-1> 지상파방송의 2015년 채널별 KI, SI, QI 지수 구분 KI(신뢰구간 7) ) SI QI KBS1 7.47(7.46, 7.48) 7.47 7.47 KBS2 7.13(7.13, 7.14) 7.19 7.07 MBC 7.02(7.01, 7.02) 7.09 6.95 SBS 7.09(7.09, 7.10) 7.16 7.02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2015년 지상파 채널의 시청자평가지수(KI) 결과는 2014년에 비해 QI, SI 모두 전 반적으로 하락하였다. 시청자평가지수(KI)의 하락폭은 MBC가 가장 컸고, 그 다음 으로 SBS의 하락폭이 컸다. 7) 신뢰수준은 95%
50 <표 3-2> 지상파방송의 2014~2015년 채널별 지수 비교 구분 KI SI QI 2014(A) 2015(B) B-A 2014(A) 2015(B) B-A 2014(A) 2015(B) B-A KBS1 7.48 7.47-0.01 7.48 7.47-0.01 7.48 7.47-0.01 KBS2 7.16 7.13-0.03 7.22 7.19-0.03 7.11 7.07-0.04 MBC 7.07 7.02-0.05 7.12 7.09-0.03 7.01 6.95-0.06 SBS 7.13 7.09-0.04 7.19 7.16-0.03 7.07 7.02-0.05 [그림 3-1] 지상파방송의 2014~2015년 채널별 지수 비교 3. 채널별 분기별 평가 변동 추이 전 기간에 걸쳐 KBS1의 SI, QI 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채널의 경우에는 시 기에 따라 순위의 변동이 나타났다. 2015년의 분기별 평가 추이를 보면, KBS1과 KBS2는 각각 1, 2위를 유지하였고, MBC는 매분기 4위로 유지되었다.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51 <표 3-3>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7.47 7.57 7.57 7.53 7.49 7.47 7.47 7.50 7.53 7.41 7.47 7.52 7.44 7.49 7.51 7.44 KBS2 7.28 7.28 7.40 7.18 7.29 7.21 7.20 7.12 7.20 7.15 7.12 7.18 7.16 7.13 7.11 7.13 MBC 7.09 6.99 7.16 7.04 7.07 7.11 7.09 7.02 7.16 7.03 7.04 7.02 7.02 7.01 7.04 7.01 SBS 7.17 7.19 7.37 7.14 7.21 7.14 7.16 7.13 7.27 7.08 7.05 7.08 7.08 7.11 7.11 7.07 [그림 3-2]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SI의 경우 KBS1이 지속적으로 1순위를 차지하였으며 SBS가 2위를 했던 2014년 2 월을 제외하고, 2012년 이후 모든 기간에 걸쳐 KBS2가 2위, SBS가 3위 MBC가 4위 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2 <표 3-4>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7.46 7.56 7.56 7.53 7.48 7.46 7.46 7.49 7.53 7.42 7.46 7.52 7.44 7.50 7.51 7.44 KBS2 7.34 7.33 7.45 7.23 7.34 7.26 7.24 7.18 7.26 7.20 7.18 7.23 7.22 7.20 7.17 7.18 MBC 7.17 7.05 7.21 7.09 7.14 7.18 7.15 7.09 7.20 7.08 7.10 7.08 7.10 7.08 7.10 7.07 SBS 7.24 7.26 7.41 7.20 7.28 7.19 7.22 7.19 7.32 7.14 7.10 7.14 7.13 7.19 7.18 7.15 [그림 3-3]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QI의 경우도 SI와 마찬가지로 KBS1이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SBS가 2 위로 나타났던 2014년 2월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기간에 걸쳐 KBS2가 2위, SBS 가 3위 MBC가 4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53 <표 3-5>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7.48 7.58 7.58 7.54 7.50 7.48 7.48 7.51 7.53 7.41 7.48 7.51 7.44 7.49 7.50 7.44 KBS2 7.21 7.23 7.36 7.13 7.24 7.16 7.16 7.06 7.14 7.09 7.07 7.13 7.09 7.07 7.06 7.08 MBC 7.01 6.93 7.12 7.00 7.00 7.04 7.02 6.95 7.11 6.97 6.98 6.96 6.94 6.94 6.98 6.94 SBS 7.09 7.12 7.33 7.09 7.14 7.09 7.10 7.06 7.22 7.02 7.00 7.01 7.02 7.03 7.05 7.00 [그림 3-4] 지상파방송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4. 응답자 특성별 지수 비교 2015년 KI, SI, QI 평균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연령별로는 20대 연령층의 경우 평가 결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모든 연령층 및 모든 지역에서 KBS1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54 <표 3-6> 지상파방송의 응답자 특성별 KI 지수 비교 성별 연령별 지역별 KI 구분 KBS1 KBS2 MBC SBS 전체 7.47 7.13 7.02 7.09 남자 7.52 7.16 7.08 7.17 여자 7.40 7.11 6.97 7.02 10대 7.68 7.27 7.06 7.24 20대 7.02 6.83 6.85 7.02 30대 7.35 7.01 6.97 7.10 40대 7.25 7.09 7.00 7.10 50대 이상 7.59 7.32 7.12 7.08 서울 7.53 7.14 7.01 7.12 경인 7.46 7.11 7.04 7.14 경남권 7.51 7.17 7.15 7.19 경북권 7.50 7.09 7.01 7.12 전라권 7.72 7.23 7.09 7.12 충청권 7.03 7.00 6.59 6.65 강원 7.60 7.32 7.21 7.29 <표 3-7> 지상파방송의 응답자 특성별 SI 지수 비교 성별 연령별 지역별 구분 SI KBS1 KBS2 MBC SBS 전체 7.47 7.19 7.09 7.16 남자 7.53 7.21 7.14 7.23 여자 7.40 7.17 7.05 7.10 10대 7.62 7.35 7.14 7.32 20대 7.01 6.90 6.94 7.11 30대 7.37 7.07 7.05 7.17 40대 7.26 7.16 7.08 7.17 50대 이상 7.59 7.36 7.17 7.13 서울 7.54 7.21 7.09 7.19 경인 7.46 7.17 7.12 7.21 경남권 7.52 7.23 7.22 7.27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55 지역별 구분 SI KBS1 KBS2 MBC SBS 경북권 7.51 7.15 7.08 7.19 전라권 7.74 7.29 7.15 7.20 충청권 7.01 7.04 6.64 6.69 강원 7.62 7.39 7.28 7.36 <표 3-8> 지상파방송의 응답자 특성별 QI 지수 비교 성별 연령별 지역별 구분 QI KBS1 KBS2 MBC SBS 전체 7.47 7.07 6.95 7.02 남자 7.51 7.10 7.02 7.11 여자 7.41 7.04 6.89 6.94 10대 7.74 7.19 6.98 7.16 20대 7.03 6.76 6.76 6.93 30대 7.33 6.95 6.89 7.03 40대 7.24 7.03 6.93 7.02 50대 이상 7.58 7.27 7.07 7.02 서울 7.52 7.08 6.94 7.05 경인 7.47 7.04 6.97 7.06 경남권 7.49 7.12 7.08 7.12 경북권 7.50 7.04 6.94 7.06 전라권 7.71 7.17 7.02 7.04 충청권 7.05 6.95 6.54 6.61 강원 7.58 7.25 7.13 7.21
56 제 2 절 종합편성채널 평가 결과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2015년의 시청자평가지수(KI)는 JTBC가 7.34로 가장 높았 다. 세부 신뢰구간은 다음 표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3-9> 종합편성채널의 2015년 채널별 KI, SI, QI 지수 구분 KI(신뢰구간 8) ) SI QI TV조선 6.89(6.88, 6.90) 6.91 6.87 JTBC 7.34(7.33, 7.35) 7.39 7.29 채널A 7.06(7.05, 7.07) 7.09 7.03 MBN 7.00(6.99, 7.01) 7.03 6.96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2015년 평가는 2014년에 비해 시청자평가지수(KI)는 TV조선을 제외하고 모두 상 승하였다. 시청자평가지수(KI) 상승폭은 JTBC가 0.20으로 가장 컸고, MBN과 채널A 가 각각 0.04, 0.01 상승, TV조선은 0.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0> 종합편성채널의 2014~2015년 지수 비교 KI SI QI 구분 2014(A) 2015(B) B-A 2014(A) 2015(B) B-A 2014(A) 2015(B) B-A TV조선 6.90 6.89-0.01 6.91 6.91 0.00 6.88 6.87-0.01 JTBC 7.14 7.34 0.20 7.19 7.39 0.20 7.09 7.29 0.20 채널A 7.05 7.06 0.01 7.07 7.09 0.02 7.03 7.03 0.00 MBN 6.96 7.00 0.04 6.99 7.03 0.04 6.94 6.96 0.02 8) 95% 신뢰수준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57 [그림 3-5] 종합편성채널의 2014~2015년 지수 비교 3. 분기별 평가 변동 추이 2015년의 경우 4회에 걸친 분기별 조사 결과 모두 JTBC의 KI, SI, QI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3-11>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구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6.92 6.85 6.85 6.97 6.90 6.92 6.90 6.84 JTBC 7.04 7.11 7.14 7.22 7.25 7.39 7.35 7.36 채널A 7.16 6.99 6.94 7.10 7.11 7.09 7.03 7.01 MBN 6.95 6.94 6.91 7.04 6.98 7.03 6.97 7.00
58 [그림 3-6]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KI 지수 현황 (단위: 점/11점 척도) <표 3-12>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구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7.04 7.00 6.99 6.99 6.92 6.94 6.92 6.87 JTBC 6.93 6.86 6.86 7.27 7.31 7.44 7.39 7.4 채널A 7.09 7.16 7.19 7.12 7.15 7.13 7.06 7.04 MBN 7.18 7.01 6.96 7.07 7.02 7.07 7.02 7.03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59 [그림 3-7]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SI 지수 현황 (단위: 점/11점 척도) <표 3-13>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구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6.98 6.95 6.93 6.95 6.87 6.91 6.89 6.82 JTBC 6.91 6.83 6.84 7.17 7.19 7.34 7.30 7.32 채널A 6.98 7.07 7.08 7.08 7.08 7.06 7.00 6.98 MBN 7.13 6.98 6.91 7.02 6.94 7.00 6.92 6.97
60 [그림 3-8] 종합편성채널의 분기별 QI 지수 현황 (단위: 점/11점 척도) 4. 응답자 특성별 지수 비교 종합편성채널의 평가 결과를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채널에 따라 남녀의 평가 결과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JTBC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게 평가하 였고, TV조선과 MBN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게 평가하였다. 연령별로는 지상파 와 유사하게 20대 응답자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지역별로는 모든 지역에서 JTBC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3-14> 종합편성채널의 응답자 특성별 KI 지수 비교 구분 KI TV조선 JTBC 채널A MBN 전체 6.89 7.34 7.06 7.00 성별 남자 6.84 7.41 7.05 6.88 여자 6.96 7.28 7.07 7.09 연령별 10대 6.50 7.62 6.93 6.87 20대 6.40 7.15 6.67 6.40
제 3 장 방송 프로그램 평가 결과 61 연령별 지역별 구분 KI TV조선 JTBC 채널A MBN 30대 6.75 7.36 7.13 6.87 40대 6.85 7.37 7.10 6.97 50대 이상 7.13 7.33 7.11 7.18 서울 6.87 7.39 7.11 7.08 경인 6.91 7.33 7.13 6.90 경남권 7.13 7.36 7.25 7.17 경북권 6.87 7.30 7.13 6.94 전라권 7.08 7.49 7.20 7.06 충청권 6.41 7.09 6.35 6.76 강원 7.03 7.51 7.24 7.08 <표 3-15> 종합편성채널의 응답자 특성별 SI 지수 비교 구분 SI TV조선 JTBC 채널A MBN 전체 6.91 7.39 7.09 7.03 성별 남자 6.86 7.45 7.09 6.91 여자 6.98 7.34 7.10 7.13 10대 6.50 7.69 6.92 6.89 20대 6.39 7.21 6.70 6.43 연령별 30대 6.77 7.41 7.17 6.90 40대 6.89 7.41 7.14 7.03 50대 이상 7.16 7.36 7.14 7.21 서울 6.89 7.44 7.16 7.12 경인 6.94 7.39 7.17 6.94 경남권 7.15 7.41 7.28 7.22 지역별 경북권 6.89 7.35 7.17 6.98 전라권 7.11 7.55 7.27 7.12 충청권 6.40 7.10 6.32 6.76 강원 7.07 7.56 7.26 7.12
62 <표 3-16> 응답자 특성별 QI 지수 비교 구분 QI TV조선 JTBC 채널A MBN 전체 6.87 7.29 7.03 6.96 성별 남자 6.82 7.37 7.01 6.84 여자 6.94 7.23 7.05 7.05 10대 6.50 7.55 6.95 6.84 20대 6.41 7.09 6.64 6.38 연령별 30대 6.74 7.30 7.08 6.83 40대 6.81 7.32 7.05 6.92 50대 이상 7.11 7.29 7.08 7.14 서울 6.85 7.34 7.07 7.03 경인 6.89 7.28 7.09 6.86 경남권 7.10 7.31 7.22 7.13 지역별 경북권 6.85 7.25 7.09 6.90 전라권 7.05 7.44 7.14 7.01 충청권 6.42 7.07 6.39 6.76 강원 6.98 7.47 7.22 7.05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63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제 1 절 지상파 방송사별 평가 결과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2015년 채널성과지수의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은 SBS가 가장 높았고,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은 KBS1이 가장 높았다. 세부 속성별로 살펴보면, 흥미성 항목은 SBS(3.72), MBC(3.69), KBS2(3.65), KBS1(3.40) 순으로 나 타났으며, 다양성 항목은 SBS(3.59), KBS1(3.56), KBS2(3.55), MBC(3.52) 순이다. 창의성은 SBS(3.37), MBC(3.32), KBS2(3.23), KBS1(3.16) 순이며, 신뢰성 항목은 KBS1(3.56), SBS(3.42), KBS2(3.39), MBC(3.31) 순으로 나타났다. 유익성은 KBS1이 3.65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KBS2(3.48), SBS(3.47), MBC(3.42) 순이며, 공정성은 KBS1(3.34), SBS(3.29), KBS2(3.26), MBC(3.17)이고, 공익성은 KBS1(3.38), SBS(3.24), KBS2(3.22), MBC(3.14) 순서로 나타났다. <표 4-1>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KBS1 3.40 3.56 3.16 3.56 3.65 3.34 3.38 KBS2 3.65 3.55 3.23 3.39 3.48 3.26 3.22 MBC 3.69 3.52 3.32 3.31 3.42 3.17 3.14 SBS 3.72 3.59 3.37 3.42 3.47 3.29 3.24
64 [그림 4-1]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각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결과를 전체 평균과 비교해 보면, SBS가 유익성을 제외 한 모든 항목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반면 KBS2와 MBC는 대부분 항목에서 열세 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BS1은 다양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 익성에서, KBS2는 흥미성에서 MBC는 흥미성, 창의성 항목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 타났다. <표 4-2>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구분 전체 방송사 차이(방송사-전체) KBS1 KBS2 MBC SBS KBS1 KBS2 MBC SBS 흥미성 3.64 3.40 3.65 3.69 3.72-0.23 0.01 0.06 0.08 다양성 3.55 3.56 3.55 3.52 3.59 0.01-0.01-0.03 0.04 창의성 3.28 3.16 3.23 3.32 3.37-0.12-0.05 0.04 0.09 신뢰성 3.41 3.56 3.39 3.31 3.42 0.15-0.02-0.10 0.02 유익성 3.49 3.65 3.48 3.42 3.47 0.16-0.01-0.07-0.02 공정성 3.26 3.34 3.26 3.17 3.29 0.08 0.00-0.08 0.03 공익성 3.23 3.38 3.22 3.14 3.24 0.15-0.01-0.09 0.01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65 [그림 4-2] 2015년 지상파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2015년 결과를 2014년도 결과와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항목에서 전년도 채널성과지수보다 상승하였다. 방송사별로는 KBS1, MBC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전 년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KBS2의 경우 흥미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승하였다. <표 4-3> 지상파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구분 KBS1 KBS2 MBC SBS 14(A) 3.37 3.66 3.65 3.76 15(B) 3.4 3.65 3.69 3.72 B-A 0.03-0.01 0.04-0.04 14(A) 3.52 3.54 3.47 3.62 15(B) 3.56 3.55 3.52 3.59 B-A 0.04 0.01 0.05-0.03 14(A) 3.1 3.22 3.25 3.4 15(B) 3.16 3.23 3.32 3.37 B-A 0.06 0.01 0.07-0.03
66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구분 KBS1 KBS2 MBC SBS 14(A) 3.49 3.36 3.27 3.42 15(B) 3.56 3.39 3.31 3.42 B-A 0.07 0.03 0.04 0 14(A) 3.58 3.47 3.36 3.48 15(B) 3.65 3.48 3.42 3.47 B-A 0.07 0.01 0.06-0.01 14(A) 3.26 3.21 3.12 3.29 15(B) 3.34 3.26 3.17 3.29 B-A 0.08 0.05 0.05 0 14(A) 3.28 3.17 3.09 3.23 15(B) 3.38 3.22 3.14 3.24 B-A 0.1 0.05 0.05 0.01 [그림 4-3] 지상파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3. 채널별 속성 평가 방송사별 속성 평가의 차이가 큰 항목은 흥미성과 유익성이며, 특히 흥미성은 SBS와 KBS1 두 방송사 간 차이가 크고, 유익성은 KBS1과 MBC 두 채널 간 차이가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67 큰 것으로 나타났다. MBC의 경우 흥미성과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낮아 2014년 결과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다. [그림 4-4] 2015년 지상파 채널별 속성 평가 4. 분기별 평가 결과 2015년 조사 결과 2014년과 동일하게 흥미성과 다양성이 전 기간에 걸쳐 다른 속 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채널별로 살펴보면, KBS1은 유익성이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지수를 유지했으 며, 그 다음으로 신뢰성과 다양성 항목이 높았다. 반면, KBS2, MBC, SBS는 흥미성 이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다양성 항목이 높아 대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2014년 조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68 <표 4-4> 2015년 지상파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2015년 2월 2015년 5월 2015년 8월 2015년 11월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전체 3.64 3.55 3.28 3.41 3.49 3.27 3.24 KBS1 3.40 3.56 3.19 3.56 3.66 3.35 3.38 KBS2 3.68 3.56 3.25 3.40 3.50 3.28 3.23 MBC 3.69 3.49 3.29 3.31 3.41 3.17 3.14 SBS 3.72 3.58 3.38 3.43 3.46 3.31 3.25 전체 3.64 3.56 3.27 3.39 3.48 3.24 3.21 KBS1 3.41 3.58 3.14 3.57 3.65 3.32 3.37 KBS2 3.67 3.57 3.25 3.38 3.49 3.24 3.21 MBC 3.67 3.51 3.31 3.29 3.4 3.15 3.12 SBS 3.72 3.59 3.35 3.4 3.44 3.27 3.21 전체 3.64 3.56 3.29 3.42 3.51 3.27 3.24 KBS1 3.41 3.57 3.15 3.58 3.66 3.35 3.40 KBS2 3.65 3.54 3.22 3.40 3.49 3.27 3.23 MBC 3.71 3.55 3.36 3.33 3.46 3.20 3.17 SBS 3.73 3.59 3.38 3.44 3.48 3.29 3.24 전체 3.62 3.54 3.27 3.40 3.48 3.25 3.23 KBS1 3.38 3.54 3.15 3.53 3.62 3.32 3.36 KBS2 3.60 3.52 3.20 3.38 3.46 3.24 3.22 MBC 3.70 3.53 3.32 3.32 3.40 3.17 3.14 SBS 3.72 3.59 3.37 3.43 3.49 3.30 3.26 <표 4-5> 2014년 지상파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2014년 2월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전체 3.69 3.6 3.31 3.45 3.53 3.28 3.24 KBS1 3.42 3.59 3.15 3.6 3.66 3.35 3.36 KBS2 3.73 3.62 3.28 3.45 3.54 3.29 3.24 MBC 3.68 3.52 3.28 3.33 3.4 3.17 3.13 SBS 3.84 3.69 3.48 3.48 3.55 3.34 3.27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69 2014년 5월 2014년 8월 2014년 11월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전체 3.57 3.46 3.17 3.27 3.38 3.11 3.09 KBS1 3.28 3.36 2.97 3.29 3.42 3.08 3.1 KBS2 3.58 3.44 3.11 3.23 3.36 3.07 3.04 MBC 3.61 3.42 3.18 3.2 3.31 3.06 3.03 SBS 3.73 3.58 3.35 3.38 3.44 3.24 3.19 전체 3.63 3.54 3.26 3.37 3.47 3.22 3.2 KBS1 3.38 3.54 3.13 3.51 3.6 3.29 3.31 KBS2 3.66 3.54 3.23 3.37 3.49 3.22 3.19 MBC 3.67 3.47 3.26 3.27 3.37 3.13 3.11 SBS 3.73 3.59 3.38 3.41 3.47 3.28 3.24 전체 3.63 3.55 3.27 3.40 3.48 3.24 3.22 KBS1 3.42 3.57 3.14 3.56 3.64 3.33 3.36 KBS2 3.67 3.55 3.25 3.40 3.50 3.25 3.21 MBC 3.65 3.48 3.27 3.29 3.37 3.14 3.11 SBS 3.72 3.59 3.38 3.42 3.47 3.27 3.22 5. 항목별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평가 결과 흥미성 항목은 2011년 MBC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2012년부터 3위로 하락했다가, 2015년부터 2위로 상승하였다. 2012년 이후에는 SBS가 높은 점수를 유 지하고 있는 반면, KBS1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표 4-6> 지상파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구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39 3.41 3.43 3.44 3.39 3.43 3.51 3.47 3.44 3.45 3.42 3.43 3.42 3.28 3.38 3.42 3.40 3.41 3.41 3.38 KBS2 3.75 3.75 3.76 3.73 3.79 3.77 3.81 3.77 3.83 3.75 3.72 3.72 3.73 3.58 3.66 3.67 3.68 3.67 3.65 3.60 MBC 3.89 3.88 3.86 3.83 3.68 3.53 3.62 3.64 3.65 3.74 3.73 3.72 3.68 3.61 3.67 3.65 3.69 3.67 3.71 3.70 SBS 3.73 3.74 3.74 3.74 3.78 3.79 3.82 3.79 3.83 3.77 3.78 3.78 3.84 3.73 3.73 3.72 3.72 3.72 3.73 3.72
70 [그림 4-5] 지상파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다양성 항목은 2011년까지 MBC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2012년에는 큰 폭 으로 하락하였다. SBS의 경우 2012년 5월 이후 꾸준히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표 4-7> 지상파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61 3.62 3.62 3.62 3.59 3.61 3.65 3.63 3.64 3.65 3.60 3.61 3.59 3.36 3.54 3.57 3.56 3.58 3.57 3.54 KBS2 3.62 3.62 3.62 3.62 3.64 3.65 3.69 3.65 3.69 3.64 3.62 3.61 3.62 3.44 3.54 3.55 3.56 3.57 3.54 3.52 MBC 3.75 3.73 3.71 3.69 3.37 3.31 3.43 3.43 3.44 3.55 3.53 3.53 3.52 3.42 3.47 3.48 3.49 3.51 3.55 3.53 SBS 3.57 3.58 3.58 3.60 3.60 3.65 3.71 3.66 3.68 3.65 3.64 3.62 3.69 3.58 3.59 3.59 3.58 3.59 3.59 3.59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71 [그림 4-6] 지상파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창의성 항목은 2011년에 MBC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SBS의 경우 2012년부 터 1위로 올라서면서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표 4-8> 지상파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06 3.13 3.13 3.18 3.07 3.15 3.20 3.18 3.13 3.16 3.16 3.18 3.15 2.97 3.13 3.14 3.19 3.14 3.15 3.15 KBS2 3.28 3.30 3.31 3.31 3.29 3.31 3.35 3.33 3.36 3.31 3.28 3.29 3.28 3.11 3.23 3.25 3.25 3.25 3.22 3.20 MBC 3.55 3.51 3.50 3.46 3.15 3.06 3.23 3.21 3.22 3.36 3.33 3.33 3.28 3.18 3.26 3.27 3.29 3.31 3.36 3.32 SBS 3.37 3.40 3.39 3.41 3.38 3.45 3.50 3.44 3.47 3.43 3.43 3.43 3.48 3.35 3.38 3.38 3.38 3.35 3.38 3.37
72 [그림 4-7] 지상파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신뢰성 항목은 KBS1이 2011년부터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오다 2014년 5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2위를 기록하였으나, 2014년 8월 이후 회복세를 보이면서 2015년에는 지상파 채널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표 4-9> 지상파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63 3.62 3.63 3.63 3.60 3.60 3.69 3.64 3.68 3.67 3.63 3.60 3.60 3.29 3.51 3.56 3.56 3.57 3.58 3.53 KBS2 3.44 3.46 3.46 3.46 3.42 3.44 3.53 3.47 3.50 3.49 3.46 3.46 3.45 3.23 3.37 3.40 3.40 3.38 3.40 3.38 MBC 3.53 3.53 3.52 3.49 3.26 3.18 3.27 3.20 3.21 3.33 3.30 3.32 3.33 3.20 3.27 3.29 3.31 3.29 3.33 3.32 SBS 3.37 3.39 3.39 3.40 3.38 3.42 3.51 3.47 3.46 3.46 3.44 3.44 3.48 3.38 3.41 3.42 3.43 3.40 3.44 3.43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73 [그림 4-8] 지상파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유익성 항목은 KBS1이 2011년부터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오다 2014년 5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2위를 기록하였으나, 2014년 8월 이후 회복세를 보이면서 2015년에는 채널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MBC는 2012년 큰 폭 으로 하락한 이후 가장 낮은 평가를 보이고 있다. <표 4-10> 지상파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71 3.70 3.71 3.70 3.70 3.69 3.74 3.70 3.73 3.73 3.69 3.69 3.66 3.42 3.60 3.64 3.66 3.65 3.66 3.62 KBS2 3.52 3.54 3.55 3.54 3.53 3.55 3.62 3.57 3.62 3.57 3.55 3.54 3.54 3.36 3.49 3.50 3.50 3.49 3.49 3.46 MBC 3.62 3.60 3.59 3.57 3.32 3.25 3.35 3.32 3.33 3.45 3.42 3.42 3.4 3.31 3.37 3.37 3.41 3.40 3.46 3.40 SBS 3.41 3.43 3.43 3.45 3.44 3.48 3.56 3.51 3.52 3.51 3.50 3.50 3.55 3.44 3.47 3.47 3.46 3.44 3.48 3.49
74 [그림 4-9] 지상파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2011년의 공정성 항목은 전반적으로 방송사 간 큰 차이 없이 비슷한 평가를 보였 으나, MBC가 2012년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2010년까지 지속적으로 우위를 차지한 MBC의 경우 2010년 11월부터 하락세를 보이면서 2011년 9월, 11월에 2위에 머물렀 다가 2012년 이후부터는 가장 낮은 평가를 보이고 있다. 2015년에는 KBS1과 SBS가 계속 우위를 차지하였다. <표 4-11> 지상파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31 3.32 3.35 3.38 3.27 3.31 3.41 3.37 3.37 3.41 3.35 3.35 3.35 3.08 3.29 3.33 3.35 3.32 3.35 3.32 KBS2 3.26 3.27 3.28 3.29 3.22 3.26 3.36 3.31 3.32 3.32 3.27 3.27 3.29 3.07 3.22 3.25 3.28 3.24 3.27 3.24 MBC 3.35 3.36 3.34 3.33 3.05 2.98 3.09 3.03 3.03 3.16 3.14 3.16 3.17 3.06 3.13 3.14 3.17 3.15 3.20 3.17 SBS 3.22 3.24 3.25 3.26 3.22 3.28 3.36 3.33 3.32 3.34 3.30 3.31 3.34 3.24 3.28 3.27 3.31 3.27 3.29 3.30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75 [그림 4-10] 지상파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공익성에서도 MBC는 2010년까지 가장 높은 점수를 유지하다가 2011년 이후 하 락 추세가 나타나면서 2012년부터는 전 기간 가장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KBS1은 2011년부터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오다 2014년 5월 큰 폭으로 하락 하면서 2위를 기록하였으나, 2014년 8월 이후 회복세를 보이면서 2015년에는 지상 파 채널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표 4-12> 지상파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KBS1 3.32 3.32 3.36 3.40 3.29 3.34 3.43 3.40 3.41 3.45 3.39 3.40 3.36 3.1 3.31 3.36 3.38 3.37 3.40 3.36 KBS2 3.19 3.19 3.22 3.24 3.16 3.22 3.32 3.27 3.27 3.28 3.24 3.24 3.24 3.04 3.19 3.21 3.23 3.21 3.23 3.22 MBC 3.28 3.29 3.28 3.28 2.97 2.91 3.05 3.00 2.99 3.14 3.12 3.13 3.13 3.03 3.11 3.11 3.14 3.12 3.17 3.14 SBS 3.14 3.18 3.18 3.20 3.16 3.22 3.30 3.27 3.25 3.28 3.25 3.25 3.27 3.19 3.24 3.22 3.25 3.21 3.24 3.26
76 [그림 4-11] 지상파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제 2 절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평가 결과 1. 채널별 연간 평가 결과 2015년 종합편성채널 채널성과 지수의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항목에서 JTBC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흥미성 항목은 JTBC (3.91), MBN(3.59), 채널A(3.53), TV조선(3.47)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양성 항목은 JTBC(3.82), MBN(3.54), 채널A(3.49), TV조선(3.43) 순이다. 창의성은 JTBC(3.77), MBN(3.37), 채널A(3.33), TV조선(3.30) 순이며, 신뢰성 항목 은 JTBC(3.60), 채널A(3.38), MBN(3.37), TV조선(3.30) 순으로 나타났다. 유익성은 JTBC가 3.7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MBN(3.49), 채널A(3.47), TV조선(3.40) 순이 며, 공정성은 JTBC(3.46), MBN(3.24), 채널A(3.21), TV조선(3.13)이고, 공익성은 JTBC (3.38), MBN(3.20), 채널A(3.19), TV조선(3.12) 순서로 나타났다.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77 <표 4-13>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TV조선 3.47 3.43 3.30 3.30 3.40 3.13 3.12 JTBC 3.91 3.82 3.77 3.60 3.72 3.46 3.38 채널A 3.53 3.49 3.33 3.38 3.47 3.21 3.19 MBN 3.59 3.54 3.37 3.37 3.49 3.24 3.20 각 방송사 채널성과 지수 결과를 전체 평균과 비교해 보면, JTBC가 모든 항목에 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반면, TV조선, 채널A, MBN은 모든 항목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12]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78 <표 4-14>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구분 전체 방송사 차이(방송사-전체) TV조선 JTBC 채널A MBN TV조선 JTBC 채널A MBN 흥미성 3.67 3.47 3.91 3.53 3.59-0.19 0.25-0.13-0.08 다양성 3.61 3.43 3.82 3.49 3.54-0.17 0.22-0.11-0.07 창의성 3.49 3.30 3.77 3.33 3.37-0.19 0.28-0.16-0.12 신뢰성 3.44 3.30 3.60 3.38 3.37-0.14 0.17-0.05-0.07 유익성 3.55 3.40 3.72 3.47 3.49-0.15 0.17-0.07-0.05 공정성 3.29 3.13 3.46 3.21 3.24-0.16 0.18-0.08-0.05 공익성 3.24 3.12 3.38 3.19 3.20-0.12 0.13-0.05-0.04 [그림 4-13]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차이(방송사-전체) 2. 2014년과 2015년 결과 비교 2015년 결과를 2014년도 결과와 비교하면, JTBC의 경우 모든 항목이 전년도 성과 지수보다 상승한 반면 채널A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하락하였다.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79 <표 4-15>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구분 TV조선 JTBC 채널A MBN 13(A) 3.47 3.81 3.56 3.57 14(B) 3.47 3.91 3.53 3.59 B-A 0 0.1-0.03 0.02 13(A) 3.44 3.7 3.51 3.54 14(B) 3.43 3.82 3.49 3.54 B-A -0.01 0.12-0.02 0 13(A) 3.32 3.68 3.36 3.4 14(B) 3.3 3.77 3.33 3.37 B-A -0.02 0.09-0.03-0.03 13(A) 3.32 3.49 3.4 3.36 14(B) 3.3 3.6 3.38 3.37 B-A -0.02 0.11-0.02 0.01 13(A) 3.43 3.58 3.48 3.51 14(B) 3.4 3.72 3.47 3.49 B-A -0.03 0.14-0.01-0.02 13(A) 3.14 3.38 3.23 3.22 14(B) 3.13 3.46 3.21 3.24 B-A -0.01 0.08-0.02 0.02 13(A) 3.13 3.28 3.2 3.17 14(B) 3.12 3.38 3.19 3.2 B-A -0.01 0.1-0.01 0.03
80 [그림 4-14]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14~ 15 채널성과지수 연간 비교 3. 채널별 속성 평가 방송사별 속성 평가의 차이가 큰 항목은 흥미성과 창의성이며, 특히 TV조선과 [그림 4-15]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2015년 채널별 속성 평가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81 JTBC 두 방송사 간 차이가 크다. 이는 JTBC는 모든 속성에서 타 채널 대비 평가가 두드러진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분기별 평가 결과 2015년 조사 결과 흥미성과 다양성이 전 기간(2월, 5월, 8월, 11월)에 걸쳐 다른 속 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현상은 2014년에도 동일했다. <표 4-16> 2015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2015년 2월 2015년 5월 2015년 8월 2015년 11월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TV조선 3.48 3.44 3.33 3.31 3.44 3.16 3.15 JTBC 3.88 3.79 3.76 3.56 3.67 3.44 3.35 채널A 3.52 3.50 3.34 3.39 3.50 3.24 3.22 MBN 3.61 3.54 3.39 3.37 3.53 3.25 3.20 TV조선 3.47 3.43 3.29 3.30 3.41 3.11 3.10 JTBC 3.94 3.85 3.82 3.60 3.74 3.44 3.35 채널A 3.55 3.51 3.34 3.40 3.50 3.21 3.17 MBN 3.58 3.54 3.37 3.36 3.48 3.23 3.19 TV조선 3.49 3.44 3.31 3.29 3.38 3.13 3.13 JTBC 3.91 3.81 3.76 3.61 3.72 3.47 3.38 채널A 3.53 3.48 3.34 3.37 3.45 3.20 3.18 MBN 3.58 3.53 3.37 3.36 3.47 3.24 3.20 TV조선 3.45 3.41 3.27 3.28 3.36 3.13 3.11 JTBC 3.92 3.83 3.75 3.63 3.73 3.5 3.42 채널A 3.53 3.49 3.31 3.36 3.44 3.19 3.18 MBN 3.58 3.54 3.36 3.37 3.49 3.24 3.20 채널별로 살펴보면, 4개 종합편성채널 모두 전 기간에 걸쳐 흥미성이 가장 높은 수치를 유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다양성 항목이 높았다. 반면, JTBC는 그 다음으로 창의성이 높았던 반면, TV조선, 채널A, MBN은 유익성이 높아 대조를 보였다. 이러
82 한 결과는 2014년 조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 4-17> 2014년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추이 2014년 2월 2014년 5월 2014년 8월 2014년 11월 구분 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 TV조선 3.27 3.35 3.19 3.19 3.27 3.03 3.00 JTBC 3.47 3.41 3.37 3.16 3.28 3.03 2.98 채널A 3.47 3.51 3.35 3.34 3.43 3.13 3.10 MBN 3.40 3.48 3.32 3.30 3.43 3.15 3.09 TV조선 3.28 3.34 3.18 3.16 3.26 3.02 3.01 JTBC 3.54 3.48 3.48 3.15 3.30 3.04 3.00 채널A 3.45 3.46 3.30 3.26 3.37 3.08 3.06 MBN 3.41 3.47 3.33 3.27 3.38 3.15 3.10 TV조선 3.38 3.40 3.25 3.25 3.37 3.06 3.06 JTBC 3.59 3.47 3.44 3.18 3.33 3.06 3.02 채널A 3.56 3.54 3.37 3.39 3.49 3.17 3.16 MBN 3.49 3.48 3.33 3.30 3.42 3.15 3.10 TV조선 3.44 3.43 3.29 3.32 3.42 3.11 3.12 JTBC 3.77 3.57 3.62 3.33 3.44 3.20 3.10 채널A 3.59 3.54 3.37 3.44 3.53 3.23 3.21 MBN 3.55 3.53 3.39 3.39 3.51 3.20 3.16 5. 항목별 채널 성과지수 분기별 평가 결과 흥미성 항목은 2013년 5월 이후 JTBC가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2012년 이후 1, 2위 평가를 받아온 채널A는 2014년 이후에는 MBN이 2위로 올라가면서 3위로 낮아졌다. 한편, TV조선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83 <표 4-18>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3.03 3.22 3.27 3.28 3.27 3.28 3.38 3.44 3.44 3.43 3.50 3.50 3.48 3.47 3.49 3.45 JTBC 3.22 3.39 3.40 3.41 3.47 3.54 3.59 3.77 3.76 3.74 3.85 3.88 3.88 3.94 3.91 3.92 채널A 3.11 3.35 3.46 3.48 3.47 3.45 3.56 3.59 3.63 3.55 3.52 3.53 3.52 3.55 3.53 3.53 MBN 3.12 3.23 3.31 3.34 3.40 3.41 3.49 3.55 3.57 3.55 3.58 3.59 3.61 3.58 3.58 3.58 [그림 4-16]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흥미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다양성 항목은 2015년 전 기간에 걸쳐 JTBC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TV조선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19>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2.99 3.24 3.33 3.32 3.35 3.34 3.40 3.43 3.46 3.42 3.45 3.44 3.44 3.43 3.44 3.41 JTBC 3.06 3.32 3.39 3.38 3.41 3.48 3.47 3.57 3.60 3.68 3.73 3.77 3.79 3.85 3.81 3.83 채널A 3.06 3.39 3.49 3.50 3.51 3.46 3.54 3.54 3.58 3.50 3.47 3.49 3.50 3.51 3.48 3.49 MBN 3.12 3.33 3.43 3.45 3.48 3.47 3.48 3.53 3.53 3.53 3.54 3.56 3.54 3.54 3.53 3.54
84 [그림 4-17]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다양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창의성 항목은 2014년에 이어 2015년 역시 JTBC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MBN의 경우 2014년 5월 채널A를 앞서면서 2014년, 2015년 2위를 기록했다. <표 4-20>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2.96 3.12 3.20 3.20 3.19 3.18 3.25 3.29 3.32 3.29 3.34 3.34 3.33 3.29 3.31 3.27 JTBC 3.10 3.30 3.36 3.35 3.37 3.48 3.44 3.62 3.58 3.62 3.73 3.75 3.76 3.82 3.76 3.75 채널A 3.00 3.27 3.36 3.35 3.35 3.30 3.37 3.37 3.44 3.33 3.31 3.33 3.34 3.34 3.34 3.31 MBN 2.99 3.18 3.25 3.29 3.32 3.33 3.33 3.39 3.41 3.36 3.39 3.43 3.39 3.37 3.37 3.36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85 [그림 4-18]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창의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신뢰성 항목은 채널A와 MBN이 2012년, 2013년에 걸쳐 1, 2순위를 보이다, 2014 년 5월 JTBC가 1위로 상승하면서 JTBC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가장 높은 평가 를 받았다. <표 4-21>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2.94 3.11 3.19 3.17 3.19 3.16 3.25 3.32 3.33 3.31 3.31 3.31 3.31 3.30 3.29 3.28 JTBC 2.98 3.12 3.18 3.16 3.16 3.15 3.18 3.33 3.39 3.57 3.51 3.50 3.56 3.60 3.61 3.63 채널A 2.99 3.25 3.32 3.33 3.34 3.26 3.39 3.44 3.45 3.39 3.36 3.38 3.39 3.40 3.37 3.36 MBN 3.09 3.24 3.32 3.32 3.30 3.27 3.30 3.39 3.36 3.34 3.35 3.40 3.37 3.36 3.36 3.37
86 [그림 4-19]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신뢰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유익성 항목 역시 신뢰성 항목과 유사하게 채널A와 MBN이 2012년, 2013년에 걸 쳐 1, 2순위를 보이다, 2014년 5월 JTBC가 1위로 상승하면서 JTBC는 2015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표 4-22>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2.98 3.16 3.25 3.26 3.27 3.26 3.37 3.42 3.44 3.42 3.44 3.43 3.44 3.41 3.38 3.36 JTBC 3.02 3.20 3.29 3.28 3.28 3.30 3.33 3.44 3.48 3.60 3.61 3.62 3.67 3.74 3.72 3.73 채널A 3.01 3.30 3.40 3.41 3.43 3.37 3.49 3.53 3.53 3.48 3.43 3.48 3.50 3.50 3.45 3.44 MBN 3.09 3.29 3.39 3.40 3.43 3.38 3.42 3.51 3.50 3.49 3.50 3.54 3.53 3.48 3.47 3.49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87 [그림 4-20]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유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공정성 항목은 채널A와 MBN이 2012년, 2013년에 걸쳐 1, 2순위를 보이다, 2014 년 JTBC가 1위로 상승하면서 JTBC는 2015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표 4-23>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2.85 2.98 3.06 3.04 3.03 3.02 3.06 3.11 3.13 3.14 3.16 3.15 3.16 3.11 3.13 3.13 JTBC 2.91 3.03 3.07 3.03 3.03 3.04 3.06 3.20 3.26 3.45 3.39 3.39 3.44 3.44 3.47 3.50 채널A 2.93 3.10 3.16 3.13 3.13 3.08 3.17 3.23 3.25 3.21 3.20 3.23 3.24 3.21 3.20 3.19 MBN 2.99 3.12 3.18 3.17 3.15 3.15 3.15 3.20 3.21 3.19 3.22 3.26 3.25 3.23 3.24 3.24
88 [그림 4-21]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정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공익성 항목은 2012년, 2013년 채널 간 분기별 두드러진 차이가 없었으나, 2014년 5월 JTBC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TV조선은 2015년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표 4-24>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2월 5월 8월 11월 TV조선 2.82 2.96 3.04 3.02 3.03 3.01 3.06 3.12 3.12 3.12 3.13 3.15 3.15 3.10 3.13 3.11 JTBC 2.85 2.98 3.03 2.99 3.03 3.00 3.02 3.10 3.16 3.36 3.30 3.29 3.35 3.35 3.38 3.42 채널A 2.87 3.06 3.12 3.10 3.13 3.06 3.16 3.21 3.24 3.18 3.18 3.22 3.22 3.17 3.18 3.18 MBN 2.93 3.07 3.14 3.12 3.15 3.10 3.10 3.16 3.15 3.14 3.18 3.22 3.20 3.19 3.20 3.20
제 4 장 방송사 채널성과지수 조사 결과 89 [그림 4-22]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별 공익성 항목의 채널성과지수 분기별 현황
90 제 5 장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검증 본 장에서는 시청자평가지수(KI)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패널의 대표성 및 관 리, 온라인조사시스템의 안정성과 프로세스 검증 등의 산출 과정의 검증뿐만 아니 라 여러 가지 형태로 측정된 응답값의 분석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더불 어 2004년에 수행된 KI도입기반 구축연구 와 연계한 보조조사와 FGI를 통해 KI시 청자평가지수 산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제 1 절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산출 과정 검증 1. 조사 대상 패널 대표성 평가 본 조사의 패널은 성별, 연령별, 전국 7대 지역별 만 13세 이상 69세 이하의 남녀 를 대상으로 한다. 표본 추출의 방법으로는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 9) 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할당표본추출 방식은 처음 정의된 집단의 분포에 따라 표본의 수를 할당하는 확률표본추출 원칙을 따르고 있으나 온라인 조사의 경우 할 당된 표본의 수가 조사되는 시점까지 지원자 표본을 모집하는(volunteer sampling) 비확률추출법(non probability sampling) 사용하고 있어서 본 조사도 이 방식을 사용 하였다. 본 조사에서 발생하는 표본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효 표본 크기를 확대해 모집했다. 사전에 모집하여 상황에 따라 저조할 수 있는 응답률에 대비해 2015년 조 9) 할당표본추출은 전체 모집단에서 서로 상호 배제(mutually exclusive)된 집단을 정의 해 각 집단의 분포에 따라 패널의 수를 할당한 후, 할당된 표본 수에 맞추어 비확률 적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다.
제 5 장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검증 91 사에서는 각 집단별 목표 표본수의 2.5~3배에 해당하는 패널을 유효 표본으로 선 정해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 참여한 각 집단별 표본수와 응답률을 고려해 최종 지수의 산출에 사용된 가중치의 값과 산포를 살펴본 결과 표본 수는 매우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정 오차의 범위는 충분한 표본 수의 확보 와 가중치를 통해 적절히 통제되었다. 2. 패널 관리와 유지 검증 본 조사의 패널의 관리와 표본유지에 대한 검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패널 모집 방식은 1년에 분기별로 진행하는 조사방식에서 연 초에 한번 패널을 선정하는 방식은 효율적이지 않으므로 상반기와 하반기에 두 차례 대규모의 패널 모집을 실 시하였다. 패널 관리방법은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콜센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문 자 메시지와 전화통화를 통한 응답을 독려하고 있으며, 응답자들에게 적절한 보상 을 제공함으로써 패널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주 2회 이상 참여한 패널의 응답만 유효 패널로 간주하고 있다. 3. 온라인 조사시스템 안정성 검증 표본조사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조사방법에 따라 최적의 방법을 선택해 수행해야 한다. 본 조사는 온라인 조사로서 온라인 조사방법에서 적합한 안 정성 검증 방법을 채택해 운영하고 있다. 구체적인 표본조사시스템의 안정성 검증 을 위해 첫 번째로 보는 것은 온라인 조사의 핵심인 조사 시스템의 안정성이다. 조 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이트의 안정적인 접속뿐 만 아니라 수많은 데이터의 처리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보안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신뢰성 있는 연산과정을 확보하여 온라인 연산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