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는 판단에 따라, 현 정부는 NCS의 조기 개발을 목표로 하여 2013년에는 250개 분야의 신규개 발을 하였고, 2014년에는 241개 분야의 신규개발과 286개 분야의 수정 보완을 추진 중에 있다. 2) 이러한 NCS에 기반을 둔 능력중심사회의 구현을 위해, 특히



Similar documents
습모듈과관련한주요이슈는 활용 에초점을두게된다고할수있다. NCS 및학습모듈의활용은크게네가지의국면으로전개될것이다 ( 고용노동부, 2014a; 교육부 고용노동부, 2014). 첫째, 인력양성체계에 NCS 및학습모듈을활용함으로써일 ( 직무 )-자격- 교육훈련이연계된인력양성체계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위탁연구 대분야자격재설계종목의 내용구성적합성연구

CR hwp

국가직무능력표준을기반으로하는교육과정개편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발굴 창출하기위하여산업명장참여형현장실습 체계및취업지원시스템구축등도함께추진할예정이다 또한 국가직무능력표준을직업훈련과정에반영되도록하기위하여 년에걸쳐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 보완과연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에맞게훈련기준개발을완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13년도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일정 ] (1차개발, 68개 ) 개발기관선정및개발진구성완료 5 11월까지개발 (2차개발, 182개 ) 5월중개발기관선정및개발진구성후 6 12 월까지개발 지금까지국가직무능력표준은일부만개발 개직무분야중 개기개발 된데다교육 훈련 자격제도및현장에의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31C2F7C6EDC1FD2DC1F7BEF7B4C9B7C2B0B3B9DFB0E8C1C2C1A620C8C6B7C3B0FAC1A420B0B3B9DF2E2E2E2DC0CEBCE2BABB E687770>

**09콘텐츠산업백서_1 2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B3B2C0E7C7F62E687770>

2. NCS는 무엇인가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 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을 말한다( 자격기본법 제2조). 다시 말하면, NCS는 모든 산 업 분야의 일터에서 일을 할 때 필요한 내용들을 담아낸 산

2003report250-9.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키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인적자원과 자격에 대한 주요 정책 이슈들을 논의한다. Ⅱ. 인적자원의 형성과 활용의 흐름 인적자원의 흐름은 사람이 태어나서 무덤에 이르는 생애기간 동안 학습하고, 학습결과를 일터 에서 활용하는 것을 망라하는 넓은 영역을 포괄한다. 우선 이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목차 Ⅰ Ⅱ (2013)

¾ç¼ºÄÀ-2

_1.hwp



2003report hwp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제 2 권제 1 호 pp.29~52 부동산분야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의개발현황과과제 Issues and Assignme

- 1 -

G hwp

15 홍보담당관 (언론홍보담당) 김병호 ( 金 秉 鎬 ) 16 (행정담당) 박찬해 ( 朴 鑽 海 ) 예산담당관 17 (복지행정담당) 이혁재 ( 李 赫 在 ) 18 (보육담당) 주사 이영임 ( 李 泳 任 ) 기동근무해제. 19 (장애인담당) 박노혁 ( 朴 魯 爀 ) 기동

고용노동부 공고 제2014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Layout 1


<B1B9C8B8C0D4B9FDC1B6BBE7C3B3BAB85F BB0DCBFEFC8A35B315D2E706466>

<4E4353C5E4B7D0C8B820C0DAB7E1C1FD2E68777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차 례

소개 는 국내 산업계 IC 전문 인재양성과 기술 보급을 위한 IC 표준화 및 시험인증 전문 교육기관입니다. IC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교육세나 및 자격시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교육 훈련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을 운영합니다

- 2 -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pdf..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내재화평가 결과서

자기개발능력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연구노트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 89 -

<28BAD9C0D C0FCB9AEB4EBC7D020B1B3C1F7BFF820BFACBCF620BBE7BEF720B0E8C8B9BEC E687770>

2ÀåÀÛ¾÷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Àϻ꺴¿ø 10³â»ç Á¦3Æí

671_02.pdf

사회수요에맞는교육을위한정책방안연구 연구책임자 : 박 동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382DB3AAC7F6B9CC2E687770>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자기소개서 작성법 & 예제

2002report hwp

중증장애인의 현황과 정책방향 (4)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3년을 맞이하여, 전국에 있는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 를 통해 향후 활동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제공기관 측면에서의 과제를 살펴보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아시아직업교육허브대학동양미래대학교 1. NCS 교육운영지원센터소개 NCS 기반교육과정운영지원 NCS기반교과목의개발, 운영, 평가및교육품질관리수행 NCS교육관리시스템을통한체계적이고효율적인 NCS기반교육과정운영 NCS기반교과목수강생및졸업생대상학과별직무능력성취도산출 NCS기

»êÇÐ-150È£

0.筌≪럩??袁ⓓ?紐껋젾 筌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1 제14장 선진형 공정거래제도의 구축

주요과제 1 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및확산 v NCS 는직업교육훈련및자격제도를현장 ( 일 ) 에맞도록체계적으로개편하고기업의능력중심인사관리 ( 채용 임금 승진등 ) 를유도하는기준 그간추진상황및과제 현정부들어 능력중심사회를위한여건조성 을국정과제로채택하고 그기본인프라 로서 를명확

수정보고서(인쇄용).hwp

<BFA1B3CAC1F62C20C8AFB0E62CB0C7BCB320BAD0BEDFC0C720B9CCB7A1C0AFB8C1B1E2BCFABCB1C1A42E687770>

00-10.hwp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ÀÚ¿øºÀ»ç-2010°¡À»°Ü¿ï-3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6 연구시설장비 부처별 6T분야별 투자 및 구축현황 27 연구시설장비 부처별 중점투자분야별 투자 및 구축현황 부처별로 투자한 국가연구시설장비의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별 투자액, 구축 수에 대한 통 부처별로 투자한 국가연구시설장비의 중점투자분야별 투자액, 구축수에

2017년 11월 30일발행 제20권 6호 ( 통권 95호 ) 등록제 호 ( ) ISSN ( 비매품 ) 편집처Ⅰ한국직업능력개발원발행처Ⅰ한국직업능력개발원발행인Ⅰ이용순 편집위원회 Ⅰ 유한구 ( 위원장 ), 김봄이, 김성남, 김

목 차 Ⅰ. 2013년 성과 및 평가 1 Ⅱ. 2014년 정책 환경과 비전 3 Ⅲ. 201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6 1. 국민 문화체감 확대 6 2. 인문 전통의 재발견 문화기반 핵심 서비스산업 육성 문화가치의 확산 33 Ⅳ. 세부 추진 일정 및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Microsoft Word - (3)平成27年度入学者選抜の手続(韓国・朝鮮語版)

한국어교재_2급 1~12과_선-인쇄용.indd

2009_KEEI_연차보고서

01정책백서목차(1~18)

untitled

³»Áö_10-6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규정집(2015ver11).hwp

- ii - - iii -

ITFGc03ÖÁ¾š

Level 학습 성과 내용 1수준 (이해) 1. 기본적인 Unix 이용법(명령어 또는 tool 활용)을 습득한다. 2. Unix 운영체계 설치을 익힌다. 모듈 학습성과 2수준 (응용) 1. Unix 가상화 및 이중화 개념을 이해한다. 2. 하드디스크의 논리적 구성 능력

피해자식별PDF용 0502

능력중심사회 를위한직업능력개발혁신 3 개년실천계획 발표순서 Ⅰ Ⅱ Ⅲ Ⅳ 추진배경및경과現직업능력개발의문제와원인혁신방향및기대효과주요실천과제 2


A 목차

유아-주요업무내지(1-3)

민간개발 NCS 인정절차및기준연구 연구기관 한국직업자격학회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Transcription: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의 개발 현황과 과제 최동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I. 논의의 배경 및 목적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만들기 는 현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스펙보다 실력과 능력이 존중 받는 사회 구현 을 위해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국가직무능 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 구축,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도입, 직업자 격체계(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 구축 1), 직무능력평가제 도입, 평생직업능력개발체 제 구축 등을 주요 추진 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능력중심사회는 교육 훈련뿐만 아니라 채용, 배치, 승진 등의 인사관리 및 경력 개발에서도 개인의 능력(competencies) 개발 및 활용을 강조함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하고 개인의 안녕을 추 구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일의 현장과 교육훈련 사이의 괴리를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스펙 쌓기 를 줄이고 산업 현장에서의 인사관리 및 계속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기대도 담 겨 있다. 이러한 능력중심사회를 구현하는 근간에 NCS가 있다. NCS는 산업계가 해당 분야의 산업 규 모와 전망, 인력수급 현황 분석 등을 통해 필요한 인력 수준과 질에 대한 정보를 표준화한 것으 로 고용안정 및 인력양성, 노동시장 불일치 해소에 활용성이 크다(정향진 외, 2013). 즉, 특정 분 야에서 성공적인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직무능력을 국가 수준에서 표 준화함으로써 산업 직업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훈련이나 인력양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02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한 NCS는 2012년까지 활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331개 분 야(자격정책심의회 인증 고시된 NCS는 35개)에 걸쳐 개발되었으나, 개발 속도가 지나치게 더디 1)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직업자격체계 라는 명칭으로 제안한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 은 이후 국가역량체계 라는 용어로 변경되었음. 50

다는 판단에 따라, 현 정부는 NCS의 조기 개발을 목표로 하여 2013년에는 250개 분야의 신규개 발을 하였고, 2014년에는 241개 분야의 신규개발과 286개 분야의 수정 보완을 추진 중에 있다. 2) 이러한 NCS에 기반을 둔 능력중심사회의 구현을 위해, 특히 효율적인 인력양성체계로의 개 편을 위해 현 정부 출범과 함께 새롭게 도입한 것이 NCS 학습모듈 이다(교육부 고용노동부, 2013). NCS 학습모듈은 NCS의 능력단위를 교육훈련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수 학습 자 료를 의미한다(정향진 외, 2013). 3) 즉, 교육훈련기관에서 NCS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을 효과적 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교육훈련의 실질적인 교두보 역할을 NCS 학습모듈에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1. NCS 학습모듈 교육과정 개념도 2013년에 신규개발한 NCS는 55개이고, 세분류로 468개의 학습모듈이 개발되었으며, 2014 년에는 2013년에 개발한 학습모듈 중 미개발 NCS 세분류 195개의 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NCS 개발 일정에 따라 2015년까지 NCS 학습모듈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교육부 고용노동부, 2013). 이처럼 2013년에 NCS 및 학습모듈을 전면 개발하는 체제를 구축 추진하여 왔으나, 여 2) 2014년 6월 NCS 분류체계 개편에 따라 2013년 신규개발 240종, 2014년 신규개발 288종, 수정 보완 269종, 2015년 신규개발 31종으로 개발계획이 조정됨. 3) 자격기본법시행령 제8조 5 교육부 장관은 개발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 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 호에 따른 산업교육기관 및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제4조에 따른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 맞추어 관련 학습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2014년 9월 51

전히 NCS 및 학습모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낮은 수준이고, 활용 확산을 위한 저변이 취약하다 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용노동부 교육부, 2014).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지난 1년간 추진되어 온 NCS 학습모듈 개발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Ⅱ. NCS 학습모듈 개발 현황 진단 1. 산업현장 직무 반영을 위한 NCS 개발 NCS 학습모듈은 산업 현장의 직무요구서라 할 수 있는 NCS가 기준이 된다. NCS 능력단위 별로 구성된 요소들을 교육훈련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한 것이 학습모듈이며, NCS의 능력단위명, 능력단위의 정의, 능력단위 요소명, 능력단위 요소별 수행준거 등을 NCS 학습모듈 에서도 거의 그대로 준용할 정도로 최대한 NCS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 므로 양질의 NCS 학습모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산업 현장 직무를 NCS에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 정부는 그동안 NCS 개발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다는 지적에 따라 고용노동부와 교육부 의 협업을 토대로 NCS 관련 정책을 총괄 기획 조정하기 위한 NCS 운영위원회 및 NCS 개발 T/F 를 구성하였고, NCS 분류체계의 개선, 관계부처 추천을 받아 부문별로 NCS 개발 담당을 통 한 협업형 개발체계 구축, NCS 개발 프로세스의 정비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직업교육 및 훈련, 자격분야에서 뿐 아니라 공공부문 및 민간기업에서의 NCS를 적용한 인사평가 훈련 경력개발 구축 등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용노동부 교육부, 2014). 이처럼 NCS 조기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통해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 하고, 다음 몇 가지의 이슈들이 더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슈들은 향후 NCS 학습모듈의 효율 적인 활용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첫째, NCS 학습모듈의 원활한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는 개발의 기본단위인 NCS 능력단위가 적절하게 도출되어야 한다. 현재 NCS는 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로 구성된 분류체계에 따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세분류는 NCS 개발 및 활용의 핵심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52

하지만 분야에 따라서는 NCS 분류체계가 수정되어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으며, 세분류의 특성상 산업 직종별 의견에 따라 분류체계의 변동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는 세분류를 기 준으로 도출되는 NCS 능력단위가 산업 직업의 여건에 따라 조정될 여지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 는 결국 NCS의 효율적인 활용이나 NCS 학습모듈 개발 활용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 타날 가능성도 있다. 둘째, NCS는 산업수요를 체계화한 것으로 교육훈련의 영역에서 NCS 능력단위에 집중하는 것은 산업수요가 능력단위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NCS를 개발하는 과정에 산업수요 를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NCS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부문별 대표기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며, 워킹그룹(Working Group) 심의 위원회를 통한 검증 절차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개발된 NCS가 표준 으로 정착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산업별 협회 및 직능단체, 해당 사업체 등의 검토와 협의에 기반을 둔 표준화 과정은 미 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단시일 내에 표준화된 NCS가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 인 정책 추진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활용 과정에서 확인되는 의견들이 적절한 방식으로 NCS 에 반영되어 해당 분야의 다양한 산업수요를 NCS에 반영 유지할 수 있는 체계가 운영될 때, 이 를 토대로 개발된 NCS 학습모듈의 질적 제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NCS 세분류 간 일관성 및 체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산업현 장과 구분되어 세분류별로 독립적인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세분류 간 또는 소분류 간 능력단위 가 중복되는 현상이 종종 발견되고 있다. 또한 세분류별 능력단위가 능력(competency)보다는 과 업(task) 또는 특정 산출물을 생산하는 활동으로 도출되는 경우도 발견되고 있어 도출된 능력단 위를 교육 훈련 과정 또는 자격구조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넷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 요소별로 제시되는 수준(level)의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2013년에 개발한 NCS 세분류 254개에서 2,667개의 능력단위가 도출되었는데, 이 가 운데 4 6수준이 6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2 3수준은 25.3%에 불과하였다. 이러 한 분포는 2013년의 개발을 통해 도출된 능력단위별 수준이 다소 상향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 다. 게다가 세분류의 능력단위별 수준의 분포(세분류별 최고수준과 최저수준의 차이)가 4단계 이 상인 경우도 24.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NCS 세분류가 직무 수준으로 정의됨을 고려할 2014년 9월 53

때 일부 세분류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폭넓은 범위를 형성하고 있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어 재검토 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표 1. 2013년 신규개발 NCS의 능력단위 수준의 분포 구분 2013년 개발 254개 NCS 수준별 분포 (단위: 개, (%)) 세분류별 최고 수준과 최저 수준의 차이 1 2 3 4 5 6 7 8 계 0-1 2 3 4-6 2 (0.1) 177 (6.6) 499 (18.7) 699 (26.2) 651 (24.4) 428 (16.0) 184 (6.9) 27 (1.0) 2,667 (100.0) 15 (5.9) 주: 세분류별 최고 수준과 최저 수준의 차이는 NCS 세분류별로 도출된 최고 수준과 최저 수준의 차이를 의미함. 66 (26.0) 112 (44.1) 61 (24.0) 2. NCS 기반 교육훈련의 원활한 구축을 위한 NCS 학습모듈 개발 NCS 체제 구축을 위해 새롭게 도입한 NCS 학습모듈 개발을 위해 현 정부에서는 학습모듈 개 발체제를 구축하고, 매뉴얼을 개발하여 2013년에 55개 세분류에 대한 학습모듈 개발을 시작하여 2015년 완성을 목표로 학습모듈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도 NCS 학습모듈 개발과정에 서 대두된 이슈들을 중심으로 개발 현황을 진단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 학습모듈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그 활용 방안도 구체적으로 정립할 필요 가 있다. NCS 학습모듈은 NCS 능력단위에 대한 교수 학습 자료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개 별 교육기관에서는 NCS 능력단위를 토대로 교육 훈련 과정을 구성하거나 또는 NCS 능력단위 로 구성된 자격구조를 기반으로 교육 훈련 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이러한 NCS 기반 교육 훈련 과정이 능력단위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능력단위별로 개발되는 학습모듈이 해당 교육 훈 련 과정의 교수 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의미로 NCS 학습모듈은 NCS 능력단위로 구성된 NCS 기반 교육 훈련 과정의 교수 학습 자료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 한 이유로 교육 훈련 과정이 NCS 능력단위의 단순 조합으로 구성되었을 때 NCS 학습모듈의 활 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의 이유로 개별 교육 훈련기관에서 NCS 능력단위를 재 구성하거나 능력단위의 일부만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NCS 학습모듈의 의미나 활용도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NCS 학습모듈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개 념이 우선적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NCS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함에 있어 NCS 능력단위들 54

이 적절하게 도출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이러한 체계 안에서 학습모듈이 NCS 능 력단위와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있는지, 교재 형태의 교수 학습 자료로 개발하는지 등에 대한 논 의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NCS 학습모듈은 대부분의 구성체계가 NCS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NCS와의 정합성 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나 이러한 요소가 학습모듈 개발 과정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상 황이다. 예를 들어 단기간에 NCS 개발과 학습모듈의 개발이 병행되는 과정에서는 NCS의 수정 보완 사항이 학습모듈 개발에 충분히 반영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 슈는 앞서 언급한 NCS의 개발과 관련하여 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단기간에 개발된 NCS 능력단 위들이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되는 과정에서 수정 보완될 여지가 높다. 그런데 NCS와 학습모듈 사이의 엄밀한 정합성을 유지하려 한다면 능력단위의 수행준거가 수정되더라도 학습모듈의 중단 원 수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의 검토 보완을 요구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정합성 유지를 위해 어떠한 개발 관리 체계를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이다. 셋째, NCS 학습모듈에 대한 많은 질문 가운데 하나가 특정 모듈이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것 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예를 들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인지, 아니면 교수자를 대상으로 하 는 것인지, 또는 학습자라면 고교생, 대학생, 재직자 등의 대상자 가운데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도 종종 제기되는 것이다. 현재의 개념하에서 NCS 학습모듈은 NCS 능력단 위별로 개발되고, NCS 능력단위는 자체 방식을 통해 8단계로 수준이 부여된다. 따라서 NCS 학 습모듈의 수준도 해당 능력단위의 수준이 무엇인가에 의해 결정되며, 해당 학습모듈이 어느 학교 급을 대상으로 하는가의 문제는 해당 능력단위가 어떠한 수준의 자격구조나 교육과정으로 포함 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교수 학습 자료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NCS 학습모 듈의 일차적인 대상자는 학습자라는 설명도 가능하다. 이러한 개념과 설명에도 불구하고 특정 학 습모듈의 대상자에 대한 질문이 계속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능력단위별로 부 여되는 수준에 대한 문제제기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는 있다. NCS 능력단위별 수 준에 관한 문제는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게 설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세분류 간 일관성도 낮다 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NCS 능력단위별 수준에 관한 문제제기는 개선될 여지가 높지 만 NCS 개발과정에 부여된 능력단위별 수준이 완전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한다면, 이를 학습모듈 2014년 9월 55

개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요구한다. 특히 특정 수준의 학습모듈이 여러 학교급에 적용될 수 있다는 가정은 학습모듈 개발자들에게 혼란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따 라서 해당 능력단위가 교육과정이나 자격에서 어떻게 활용될 것인지를 토대로 적절한 학습자료 를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하나의 독립된 개발물로서 NCS 학습모듈은 일정 수준 이상의 개체로 개발 유지되도 록 질 관리 체계가 구축 운영되어야 한다. 특히 NCS 학습모듈은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교과서를 대체할 계획이라는 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검토 및 인증 절차가 구축될 필 요가 있다. NCS 학습모듈의 질 관리 체계는 개발단계와 활용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먼 저 개발단계에서의 질 관리 체계는 NCS 능력단위와의 정합성 여부, 해당 능력단위의 학습을 촉 진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관리체계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활 용단계에서의 질 관리 체계는 개발된 NCS 학습모듈이 NCS의 수정 보완 등과 연계하여 지속적 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업데이트의 주체 및 방법, 예산 등에 대한 논의를 수반하는 것으로, 개발된 NCS 학습모듈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검증 절차를 구축하고, NCS의 개편에 따른 학습모듈 업데이트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관리 방 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Ⅲ. NCS 학습모듈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개선 과제 NCS 학습모듈은 교육훈련 영역에서 NCS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매개체로 도입된 것이다. 따 라서 NCS 학습모듈은 적극적인 활용을 전제로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개선 되어야 할 사항이 존재한다. 첫째, NCS 학습모듈의 개발과 활용이 NCS의 활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무엇보다 산업계 주도의 NCS 개발체제가 정착되어야 한다. 산업분야별 대표성을 갖춘 역량 있는 산업별 협회나 직능단체가 NCS 및 학습모듈 개발 등을 담당할 수 있도록 선정하되, 이들 협회나 단체가 NCS를 활용한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인증, 교육자료 개발, 자격검정, HRM에서의 활 56

용 등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NCS 및 학습모듈 개발 체제 개선을 통한 질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우선 NCS 개발 단 위를 개선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산업현장의 여건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 록 상호 유사성이 높은 소분류 또는 중분류 수준에서 묶어 NCS를 개발하되, 세분류의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주인중, 2013). 이와 함께 NCS의 표준화 절차도 개선될 필요가 있 으며, 특히 NCS 개발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폭넓은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준화 절차를 강 화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NCS 학습모듈도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된 NCS 학습모듈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검증 절차를 구축하고, NCS의 개편에 따 른 학습모듈 업데이트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NCS 학습모듈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업계 주도의 학습모듈 개발 및 보완의 주 체를 내실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NCS에 기반을 둔 활용에서의 질 관리를 위한 체제 구축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NCS 및 학습모듈은 교육 훈련, 평생학습, 자격제도, 인사관리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활용 방안이 논의 되고 있으나, 세부 분야 안에서의 NCS 및 학습모듈 활용 방안의 체계성, 세부 분야 간 연계성 등 은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NCS 기반 체제 구축을 위해 일(직무)-교육훈련-자격의 연계가 강 화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필수/선택 능력단위의 설정, NCS 기반 자격구조의 개발 등 NCS 능력단위의 연계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특히 일(직무)-교육훈련-자격의 수직적 수평적 연계를 촉진할 수 있도록 NCS 능력단위(요소)별 수준체계를 정교화해야 한다. 또한, 교육 훈련 기관의 기획력 제고, 학습자의 직무수행 평가체계 및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그리고 이를 위한 산학연계 체계의 구축 등을 통해 NCS 기반 활용체제가 정교하게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처 간 협업체계를 기 반으로 NCS 개발-적용-활용의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2014년 9월 57

참고문헌 고용노동부 교육부(2014). 제3차 국가직무능력표준 운영위원회 보고 안건.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교육부 인재직무능력정책과(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구축을 위한 2014년도 학습모듈 개발 계획(안). 교육부 고용노동부(2013).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활용계 획, 제1차 국가직무능력표준 운영위원회 자료.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NCS 학습모듈 개발 매뉴얼. 정향진 외(2013).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핵심과제와 추진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인중(2013). NCS 및 학습모듈의 개발 및 활용의 질관리 방안. 제3차 NCS 포럼 NCS 및 학습모듈 의 활용 방안 발표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8

2014년 9월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