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생산 전망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봉재 주임연구원 Ⅰ. 개 요 59 1. 셰일가스의 개념 59 2. 셰일가스 분포 현황 60 Ⅱ. 동향 분석 61 1. 국내 동향 61 2. 해외 동향 63 Ⅲ. 향후 전망 66 1. 셰일가스 생산 전망 66 2. 셰일가스 사용 확대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의 영향 69 <참고문헌> 70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57
Green Technology Trend Report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생산 전망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봉재 주임연구원 Ⅰ. 개 요 최근 시추기술의 발달과 천연가스 가격 상승 등으로 셰일가스(Shale gas)가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셰일가스는 퇴적암층인 셰일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로 화학적 조성은 기존의 천연가스와 동일하다. 미국에너지정보기관(EIA)에 따르면 셰일가스의 매장량은 6,622 Tcf(Trillion cubic feet)로 2010년에 측정한 전통 천연가스 매장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향후 전 세계적으로 59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추정된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는 이러한 셰일가스가 본격적으로 개발될 경우 세계 에너지원에서 천연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30년부터 석탄을 제치고 석유에 이어 2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 셰일가스 개발 확대에 따라 천연가스 순 수입량이 점차 줄어들어 2022년부터는 천연 가스 수출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중동 및 러시아 중심의 국제 가스 공급구조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요 측면에서도 천연가스 발전에 의한 CO2배출량은 석탄대비 55%, 석유대비 70%에 불과하므로, 셰일가스와 천연가스의 사용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국의 셰일가스 개발 동향에 따른 국내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셰일가스의 개념 천연가스는 일반적으로 전통가스(conventional gas)와 비전통가스(unconventional gas)로 구분 되는데, 셰일가스는 비전통가스 중 한 종류로 셰일층(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층) 내에 존재 하는 천연가스를 지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셰일가스는 1980년대에 발견되었으나, 수평시추 등의 채굴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생산 이 불가능하였다. 2000년대부터 미국의 석유공급업체 Mitchell Energy & Development 등이 개발을 위해 노력한 결과 미국 내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후 각국에서도 탐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59
자료: 주요국의 셰일가스 개발동향과 시사점,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그림 1> 셰일가스 채굴 개념도 2. 셰일가스 분포 현황 셰일가스는 기존의 가스가 중동이나 러시아 등에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는 것과 달리 셰일가스는 전 세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특히 에너지 수요가 높은 중국과 미국에 많은 양이 매장되어 있다. 자료 : EIA(2012), Shale Gas: A Global Resource <그림 2> 전 세계 셰일가스 부존 현황 60_녹색기술동향보고서 (www.gtnet.go.kr)
지금까지 부존량이 밝혀진 나라별 셰일가스 가채매장량은 다음과 같다. <표 1> 주요국의 셰일가스 가채매장량 (단위 : tcf) 폴란드 187 유럽 프랑스 180 노르웨이 83 미국 862 북아메리카 멕시코 681 캐나다 388 중국 1,275 아시아 호주 396 인도 63 남아공 485 아프리카 리비아 290 알제리 231 아르헨 774 남아메리카 브라질 226 칠레 64 기타 - 437 합 계 6,622(Tcf) 자료 : 미국에너지정보청(EIA) Ⅱ. 동향 분석 1. 국내 동향 국내에는 셰일가스가 매장되어 있지 않지만, 자원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새로운 에너지원 으로 각광받고 있는 셰일가스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동 지역에서 석유 및 가스를 대부분 수입하고 있는 현실에서 수입원 다변화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셰일가스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이유이며, 가스공사, 석유공사 등이 해외 가스전 지분, 개발 등에 참여하고 있지만 아직은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석유공사는 2007년 우리나라 최초로 비전통 자원개발사업(캐나다 오일샌드 사업)에 참여했으며, 2011년 3월에 미국의 셰일 회사 자산 지분을 인수하였다. 캐나다 BlackGold 오일샌드 광구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셰일오일과 셰일가스가 있는 미국 Eagle Ford 사업은 미국 기업 Anadarko가 운영하고 있으나, 석유공사가 지분 23.7%를 투자하였다. 향후 셰일가스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이며, 독자적인 비전통 가스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해외 셰일가스전 지분 인수와 더불어 최근 셰일가스를 LNG로 도입하는 장기계약을 체결하여 중동 및 동남아에 편중된 천연가스 장기 LNG 도입선을 다변화하고, 천연가스 액화사업 에도 진출하였다. 세계 제1의 LNG 구매자로서의 위치를 활용하여 메이저 기업과 비전통 자원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61
공동 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캐나다 Horn River, Jack Pine, Noel 셰일가스 광구의 지분 50%와 Cordova 셰일가스 광구 지분 5%를 확보하고 액화플랜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2년 초에 미국의 시니어 에너지(Cheniere Energy)와 루이지애나주 소재 세이바인 패스(Sabine Pass) LNG 기지로부터 2017년 이후 20년간 연 350만 톤의 셰일가스 등을 원료로 하는 LNG를 수입하는 내용의 계약 체결(지난해 국내 소비량의 약 10% 규모)에 따라 향후 낮은 가격으로 LNG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 셰일가스 개발 및 천연가스 산업 동향, 한국가스공사, 2012 <그림 3> 한국 가스공사가 참여한 캐나다의 비전통 광구 위치도 국내 투자기관인 더커자산운용과 마이에셋자산운용은 미국의 광구에 투자하여 셰일가스를 개발 하고 있다. <표 2> 국내 기업 비( 非 )전통자원 개발 현황 사업내용 업체 지분 규모(MBOE/Day) 비고 미) 이글 포드 석유공사 23.7% 11.8 셰일오일, 셰일가스 캐) 블랙 골드 석유공사 100% - 셰일오일 캐) 혼리버/ 웨스트컷뱅크 가스공사 50% 0.3 치밀가스 캐) 코르도바 가스공사 5% 0.2 셰일가스 미) 세이바인 패스 LNG 터미널 가스공사 - 350만 톤 LNG 수입 계약 미) 미시시피안 라임 더커자산운용 - 0.7 셰일오일 미) 울프베리 더커자산운용 - 0.3 셰일오일 미) 트리아나 더커자산운용 - 0.2 셰일가스 미) 마르셀루스 더커자산운용 - 0.1 셰일가스 미) 베르넷 셰일 마이에셋자산운용 - 0.1 셰일가스 자료 : 셰일가스 개발 및 천연가스 산업 동향, 한국가스공사, 2012 62_녹색기술동향보고서 (www.gtnet.go.kr)
2. 해외 동향 가. 미국 1) 세일가스 분포 현황 미국의 셰일가스는 주로 북동지역, 남서지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 알려진 총 가채 매장량은 862Tcf로 세계 2위에 이르고 있다. 또한, 수평채굴, 수압파쇄 등 기술개발의 진보로 셰일가스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약 6개의 지역에서 주로 셰일가스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세일가스 부존량 및 생산량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 미국의 세일가스 가채매장량 현황 주요 지역 셰일가스전 부존량(Tcf, 조 입방피트) 북동지역 중부지역 마셀러스(Marcellus) 410 헤인스빌(Haynesville) 75 파이어트빌(Fayetteville) 32 우드포드(Woodford) 22 바넷(Barnett) 43 남서지역 바넷우드포드(Barnett-Woodford) 32 앤트림(Antrim) 248 합 계 862 자료 : EIA, 글로벌 셰일가스 개발동향(2012), 외교통상부 재인용 자료 : IEA, Golden Rules for a Golden Age of Gas <그림 4> 미국지역의 비( 非 )전통가스 분포 현황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63
2) 생산 및 개발 현황 미국의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은 최근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아래 그림과 같이 전통 천연가스의 생산량이 점차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셰일가스 등 비전통 천연가스 생산이 늘어난 데 기인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미국 에너지 정보청(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자료에 의해서 확인되고 있으며, EIA는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이 2010년 5 Tcf로 총 천연가스 생산분 21 Tcf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나, 2035년에는 13.6 Tcf로 49%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자료 : EIA, Annual Energy Outlook 2012 <그림 5> 유형별 천연가스 생산량 또한, EIA는 셰일가스 외에 치밀가스(tight gas) 및 석탄층 메탄까지 포함하는 비전통가스의 경우 2010년에 전체 천연가스의 58%, 2035년에 77%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자료 : EIA, Annual Energy Outlook 2012 <그림 6>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량 현황 및 전망(1990-2035) 64_녹색기술동향보고서 (www.gtnet.go.kr)
미국의 지역별 셰일가스 생산현황을 보면 2010년 기준으로 총 4.68tcf로 Barnet지역, Fayetteville, Haynesville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자료: EIA, Annual Energy Outlook 2012 <그림 7> 미국의 지역별 셰일가스 생산 현황 3) 수출입 현황 미국의 천연가스 순수입량은 비전통가스 생산량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2009년 2,679Bcf 에서 2010년 2,604Bcf, 2011년 1,949Bcf로 매년 20% 이상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입 추이 (단위: Mtpa)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수입(PNG) 108.9 104.4 93.0 93.3 88.1 수입(LNG) 21.8 9.9 12.8 12.2 10.0 수입합계 130.7 114.3 105.8 105.5 98.1 수출(PNG) 22.0 26.2 29.5 30.3 40.7 순수입 108.7 88.1 76.3 75.2 57.4 자료 : 셰일가스의 개발과 의미, 한국가스공사, 2012 주: PNG(Pipe Natural Gas), LNG(Liquified Natural Gas) 나. 중국 중국은 셰일가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셰일가스를 생산하는 데에는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아직 본격적으로 셰일가스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복잡한 지질구조, 둘째, 탐사 및 기술 부족, 셋째, 인프라부족이 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셰일가스 매장량은 주로 지하 4~6Km에 위치하여 미국보다 깊고 지질구조 유형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미국의 개발 기술을 적용하기에 다소 어려운 점이 존재하며, 아직 중국의 여건에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65
맞는 기술 개발을 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셰일가스 운송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중국의 에너지공기업은 네덜란드의 로열더치셀, 미국의 세브론 등 오일 메이저기업 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1) 의 에너지국은 12차 5개년 계획 2) 기간 동안 시추 기술 연구 강화를 위해 셰일가스 R&D 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CNPC는 사천 남부, 귀주 북부, 귀주 동남부에서 약 20여 개 가스정 시추를 완료하여, 가스정당 10,000m3/일 세일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SINOPEC은 귀주 동남부, 충칭 동남부, 호북 서부, 사천 동북부, 안휘 남부에서 탐사 중이며, CNOOC은 안휘성 무후시 양쯔 서부 지역에서 CNOOC 육상 최초의 석유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셰일가스 탐사개발을 위한 시험지역을 지정하였으며, 사천, 충칭, 귀주, 호복성 지역, 강소, 안휘, 절강에 위치하고 있다. 3) 2011년 6월까지 중국은 총 16개 셰일가스 시험가스정을 시추하였으며, 그 중 10개 가스정에서 셰일가스의 일일 생산량이 2,000m3를 초과해 개발 전망이 밝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외국 기업 간 합작 사례 - 시노펙(Sinopec): 엑손모빌(ExxonMobil)과 프랑스 토탈피나엘프(Total Fina Elf)와 세일가스 개발 협력 체결 - 중국투자공사: 미국 에너지정보그룹(EIG)의 지분 10% 매입 - 중국석유공사(CNPC): 쉘(Shell)이 보유한 캐나다 셰일가스 프로젝트 지분 20% 인수 및 중국 셰 일가스 공동 개발 추진 Ⅲ. 향후 전망 1. 셰일가스 생산 전망 IEA의 가스 황금시대를 위한 황금룰(Golden Rules for a Golden Age of Gas) 보고서에서는 정책입안자, 규제기관, 운영자 등이 비전통 가스 개발에 따른 환경 및 사회적 영향에 대처할 수 있도록 황금룰(Golden Rules)을 제정하였다. 또한 비전통 가스공급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황금룰 케이스(Golden Rule Case)와 여러 제약요인을 극복하지 못해 비전통 가스가 개발되지 못하는 비전통 가스개발 부진 케이스(Low Unconventional Case)로 나누어 각 케이스에서의 가스수요 및 공급, 가스 수출입변화, 가스 가격 등과 지역별 수급변화를 전망하였다. 황금룰은 셰일가스 생산 시 예상되는 환경적 요인들을 해결하는 기술에 대한 투자를 통하여 셰일가스 생산에 따른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황금룰을 적용하면 비전통 가스 1) NDRC(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국가발전개혁위원회 2) 2011년부터 2015년 3) 중국 셰일가스 개발 현황,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 66_녹색기술동향보고서 (www.gtnet.go.kr)
생산에서 환경, 사회에 대한 위험 완화 노력이 수반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일부 증가하게 된다. 반면, 셰일가스 개발과정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으며, 생산과정 전반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황금룰을 적용하기 위해 발생하는 투자비용은 1) 시추비용, 2) 수압파쇄, 3) 폐수처리, 4) 개발 지역에 대한 사전 준비 비용 등이다. <표 5> 황금룰 케이스(Golden Rule case)와 비전통 가스개발 부진 케이스(Low Unconventional case) 비교 구분 황금룰 케이스 비전통 가스 개발 부진 케이스 - 셰일가스 생산시 환경 요인 방지기술에 대한 정의 투자를 통하여 셰일가스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시키는 사례 - 시추비용, 수압파쇄, 폐수처리, 개발 지역에 추가 비용 대한 사전 준비비용 자료: Golden Rules for a Golden Age of Gas - 황금룰을 적용하지 않고 낮은 비용으로 셰일가스를 개발하는 사례 - 없음 황금룰 케이스의 경우, 총 가스 공급량은 2010년 3.3 tcm에서 2035년 5.1 tcm으로 55%가 증가한다고 예측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비전통가스 생산은 2010년 470 bcm에서 2035년 1.6 tcm으로 크게 증가한다고 전망하였다. 개요 <표 6> 황금룰 케이스의 지역별 천연가스 생산량 합계 2010 2020 2035 비전통가스 비율 합계 비전통가스 비율 합계 (단위: bcm) 비전통가스 비율 OECD 1,183 36% 1,347 49% 1,546 60% USA 609 59% 726 67% 821 71% Europe 304 0% 272 4% 285 27% Asia 58 9% 121 49% 172 64% Non-OECD 2,094 2% 2,635 7% 3,567 20% E.Europe/Eurasia 826 3% 922 3% 1,123 6% Russia 637 3% 718 4% 784 6% Asia 431 3% 643 20% 984 56% China 97 12% 246 45% 473 83% World 3,276 14% 3,982 21% 5,112 32% EU 201 1% 160 7% 165 47% 자료 : Golden Rules for a Golden Age of Gas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67
비전통 가스개발 부진 케이스의 경우 2010년 470bcm, 2020년 570bcm으로 증가할 예정이나 2035년에는 550bcm으로 오히려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총 가스 생산량 중 비전통 가스 비중은 2010년 14%에서 2035년 12%로 감소하여, 황금룰 케이스의 2035년 비전통 가스 비중인 32%와는 대조적이다. 그 이유는 셰일가스 생산의 부진 때문이다. 자료 : Golden Rules for a Golden Age of Gas <그림 8> 케이스별 비전통가스의 생산량 또한, 미국에너지정보청(EIA)에서는 천연가스의 생산량은 화석연료 중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일 것이며, 2008년에서 2035년까지 연평균 1.6%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Non-OECD 국가는 OECD 국가의 거의 3배 정도의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 는 비전통가스의 생산량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중국, 미국, 캐나다, 유럽의 비전통가스 생산량은 2035년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표 7> 지역별 천연가스 생산량 전망 (단위: Tcf) 개요 2009 2015 2020 2030 2035 연평균 성장률 (CAGR) OECD 39.6 42.3 43.7 48.7 51.8 0.9 Non-OECD 66.0 81.3 90.0 109.1 117.4 2.0 World 105.6 123.6 133.8 157.8 169.2 1.6 자료 : EIA, IEO 2011 지금까지 셰일가스의 생산 전망은 대체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그러한 전망은 1) 부존량, 2) 기술개발 및 가격, 3) 환경적 문제와 같은 제약 요인에 의하여 좌 우될 것으로 보인다. 각 요인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68_녹색기술동향보고서 (www.gtnet.go.kr)
첫째, 셰일가스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현재 상당기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셰일가스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미국 이외 여타 지역에서 셰일가스 개발이 부진한 이유가 관련 기술 개발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만큼, 기술개발이 진행되면 미국 이외 지역의 생산량은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럽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셰일가스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로 셰일가스의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기술개발을 통해 셰일가스 생산시 온실가스 누출문제를 해소한다면 셰일가스 사용에 대한 저항감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보면 단기적으로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서 셰일가스 생산이 시작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및 유럽 등 여타 지역에서도 제도적 정비 및 기술개발을 통하여 셰일가스 생산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 분 세계 천연가스생산량 비전통가스 생산량 <표 8> 2035년 국제에너지기구별 천연가스의 수요 전망 2010년 황금룰 비전통 가스개발 부진 2035년(IEA) 신 정책 시나리오 현재정책 시나리오 450 시나리오 (단위: bcm) 2035년 (EIA) 3,284 5,112 4,583 4,955 5,286 3,971 4,791 460 1,636 550 1,288 1,322 1,072 903 비전통가스 비율 14% 32% 12% 26% 25% 27% 19% 자료 : EIA, IEO 2011 2. 셰일가스 사용 확대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의 영향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각국의 정책적 영향 및 청정무한 에너지로의 전환이라는 큰 틀에서 보면 제한적으로 보인다. 또한, 앞으로 셰일가스에 대한 연구가 심도있게 진행될수록 급격한 개발 확대에 따른 추가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부각될 것으로 보이지 만 셰일가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정책적으로 다음과 같은 면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효과적인 에너지 믹스 전략으로서 셰일가스의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셰일가스는 향후 기술개발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할 여지가 있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의 적용에 따라 그러한 가능성이 높다. 이에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여타 화석연료 및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믹스 정책을 통해 에너지의 가격 및 리스크를 분산하면서 저렴한 에너지 공급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의 비중 확대로 나아가기 위한 효과적인 에너지 믹스 전략을 구성하는데 셰일가스가 필요 불가결한 요인이 될 셰일가스 도입 및 셰일가스 사용 확대가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_69
수 있다. 최근 원자력발전의 환경 및 안정성 측면에서의 한계 등을 감안할 때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에너지 전략의 전환을 위해 과도기적 연료로 셰일가스의 이용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셰일가스는 분산 발전용 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신재생에너지와함께 사용할 수 있다. 셰일가스를 이용한 연료전지로 분산 발전을 하게 되는 경우 셰일가스는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전망이다. <참고문헌> 1. 셰일가스 개발 및 천연가스 산업 동향, 한국가스공사, 2012 2. EIA, International Energy Outlet 2011 3. EIA, Annual Energy Outlook 2012 4. 비전통 에너지 자원의 전망과 시사점, 기획재정부, 2012 5. 서부캐나다 셰일가스 개발현황, 주밴쿠버총영사관 6. IEA, Annual Energy Outlook 2012 7.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실행계획, 지식경제부, 2012 8.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전략, 지식경제부, 2010 9.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정부관계부처 10. 주요국의 셰일가스 개발 동향과 시사점, KIEP, 이권형, 강부균, 이시은, 2012 11. Golden Rules for a Golden Age of Gas, IEA, 2011 12.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2 13. 주요국의 셰일가스 개발동향과 시사점, 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4. 셰일가스가 일으킬 에너지산업 지형 변화, LG경제연구소, 이지평, 2012 15. 셰일가스가 가져올 3대 변화, 삼성경제연구소, 정유경, 2012 16. 국내외 셰일가스 개발 현황 및 전망, 외교통상부, 2012 70_녹색기술동향보고서 (www.gtne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