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8 Jongtae Kim 형을 가정하고, 선형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로지스틱성장곡선함수와 로지스틱 지수평활함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시계열 예측에 있어서 로지스틱 함수를 적용할 경우에 초기값에 큰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알려졌고 (김연형, 1994), 실제로



Similar documents
untitled

제 3 장평활법 지수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최근자료에더큰가중값, 과거로갈수록가중값을지수적으로줄여나가는방법 시스템에변화가있을경우변화에쉽게대처가능 계산이쉽고많은자료의저장이필요없다 예측이주목적단순지수평활법, 이중지수평활법, 삼중지수평활법, Wint

(001~006)개념RPM3-2(부속)

statistics

<4D F736F F F696E74202D FC0E5B4DCB1E220BCF6BFE4BFB9C3F8205BC8A3C8AF20B8F0B5E55D>

시계열분석의개요 (the nature of time series analysis) 시계열자료 (time series data) 연도별 (annual), 분기별 (quarterly), 월별 (monthly), 일별 (daily) 또는시간별 (hourly) 등시간의경과 (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04 Çмú_±â¼ú±â»ç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exp

Microsoft Word - ch2_smoothing.doc

10김묘선

= ``...(2011), , (.)''

CHO3. 수요예측 1

???? 1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비선형으로의 확장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352E20BAAFBCF6BCB1C5C320B1E2B9FDC0BB20C0CCBFEBC7D120C7D1B1B920C7C1B7CEBEDFB1B8C0C720B5E6C1A1B0FA20BDC7C1A120BCB3B8ED D2DB1E8C7F5C1D62E687770>

- 2 -

b77¹¼úÁ¤º¸š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src.hwp

- 1 -

표본재추출(resampling) 방법

<B9CCB5F0BEEEB0E6C1A6BFCDB9AEC8AD5F31322D32C8A35FBABBB9AE5FC3CAC6C731BCE25F6F6B5F E687770>

생존분석의 추정과 비교 : 보충자료 이용희 December 12, 2018 Contents 1 생존함수와 위험함수 생존함수와 위험함수 예제: 지수분포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 1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September Vol

F6-Á¤´ä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Resampling Methods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4D F736F F D20BDC3B0E8BFADBAD0BCAE20C1A B0AD5FBCF6C1A45FB0E8B7AEB0E6C1A6C7D E646F63>

【표 1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Microsoft PowerPoint - ºÐÆ÷ÃßÁ¤(ÀüÄ¡Çõ).ppt


09구자용(489~500)

<4D F736F F D20B1E2BBF3C5EBB0E85F36C0E55FC7D0BBFD2E646F6378>

DBPIA-NURIMEDIA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DBPIA-NURIMEDIA

목차 제1절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1 2. 이론적고찰 2 3. 연구내용및방법 10 제 2 절인구이동의요인분석 전국총이동규모의변동요인 지역별인구이동요인분석 22 제 3 절결론 요약 연구의한계 42 < 부록 > 45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Microsoft PowerPoint - IPYYUIHNPGFU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DBPIA-NURIMEDIA

Y Z X Y Z X () () 1. 3

<C1A4C3A55F D33385FC0C7B7E1B1E2BBE7C0CEB7C25FBFE4BEE0B9AE2E687770>

<31372DB9DABAB4C8A3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chap04-연산자.pptx

186최종

197

6,7월영상 내지_최종

<C1A634C0E52E687770>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³óÃÌ°æÁ¦ 64È£-Ä®¶ó¸é

¾Ë±â½¬¿îÀ±¸®°æ¿µc03ÖÁ¾š

¾Èµ¿±³È¸º¸ÃÖÁ¾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Vector Differential: 벡터 미분 Yonghee Lee October 17, 벡터미분의 표기 스칼라미분 벡터미분(Vector diffrential) 또는 행렬미분(Matrix differential)은 벡터와 행렬의 미분식에 대 한 표

서론 34 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B1B9BEEE412E687770>


(01)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슬라이드 1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4-Ç×°ø¿ìÁÖÀ̾߱â¨ç(30-39)

184최종

07Á¤Ã¥¸®Æ÷Æ®-pdf¿ë

200707Á¤Ã¥¸®Æ÷Æ®_³»Áö

DBPIA-NURIMEDIA

남사고의 유토피아 2

12È«±â¼±¿Ü339~370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 " (2014), `` ,'' .." " (2011), `` ,'' (.)"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4D F736F F F696E74202D EBCADBAF1BDBABDC3BCB3C0C720C0D4C1F6BCB1C1A4205BC8A3C8AF20B8F0B5E55D>

< FC1A4BAB8B9FDC7D D325FC3D6C1BEBABB2E687770>

A 목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G hwp

<35BFCFBCBA2E687770>

진단, 표시・광고법 시행 1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조사연구 using odds ratio. The result of analysis for 58 election polls registered in National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revealed that progr

PDF

No Title

Transcrip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9, 20(5), 857 86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학년진급률에 따른 학생수 예측방법 김종태 1 1 대구대학교 전산통계학과 접수 2009년 7월 13일, 수정 2009년 9월 16일, 게재확정 2009년 9월 21일 요 약 본 연구는 학년 (연령) 진급에 따른 인구증감률에 대하여 전국 학생수를 예측하는 다양한 방법들 을 제시하고, 제시된 예측 모형들을 이용하여 출생아들이 고3학생이 되는 18년 후인 2026까지의 학생 수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동평균과 시계열모형, 회귀분석 등 다양한 예측모형들이 사용되었고, 적합 척도들을 이용하여 이들의 오차들을 측정하였다. 예측오차를 측정하는 도구들을 기준으로 제시된 예 측방법들 중 이동평균에 의한 방법은 쉽고 단순한 장점을 지니면서도 기존에 예측되어진 한국교육개 발원의 예측결과 뿐 아니라 회귀분석 및 시계열예측의 고등기법들의 결과들 보다 예측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용어: 시계열분석, 이동평균, 인구통계, 홀트-윈터스모형, 회귀분석. 1. 서론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인 한국교육개발원 (2007)은 교육통계연구센터의 교육통계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서 초 중 고등학교 학생수를 2019년까지 예측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 예측 결과를 보면 2016년에서 2017년의 1년 사이에 고3학생수는 무려 10만 명이상이 감소한다고 예측하였다. 이러한 한국교육개발원 의 학생수 예측결과는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들뿐만 아니라 학생수급이 원활하지 않는 중소 대학들의 학 생수급에 대한 정책수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학생 (연령)수에 대한 예측은 학문적인 가치보다는 행정 정책의 결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 을 미친다. 측정 가능한 장래 인구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최근 출생아수의 데이터가 필수적인 요소이 다. 즉, 최근 출생아수는 18년 후인 2026년에 장래 고3학생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고, 출생 아수의 분포와 고3학생수의 분포와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2026년의 고3학생수는 2008년 의 0세인구로 추정이 가능하지만. 2027년 이후의 고3학생수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2009년 이후 의 출생아수를 예측하여야만 가능하다. 그러나 미래에 태어날 출생아수의 예측은 쉽지 않고, 출생아수 는 사회적인 환경과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 등,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학년 (연령) 진급에 따른 인구 증감률 추정모형을 기반으로 최근의 출생아수와 각 연령 별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출생아들이 고3학생이 되는 18년 후인 2026까지의 전국 초 중 고등학교 학생수 를 예측하는 다양한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예측모형으로는 이동평균, 회귀모형, 시계열 모형 의 선형이동과 홀트-윈터스 (Holt-Winters) 모형, SARIMA 모형 등이다. 기존의 초 중 고등학교의 학생수에 대한 연구로 한국교육개발원 (2005, 2006, 2007)이 제공한 교육예 측통계시스템에서 초 중 고등학교의 학생수를 2019년까지 예측하였는데, 예측 모형으로 시계열 선형모 1 (712-714)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면 내리동15, 대구대학교 전산통계학과, 교수. E-mail: jtkim@daegu.ac.kr

858 Jongtae Kim 형을 가정하고, 선형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로지스틱성장곡선함수와 로지스틱 지수평활함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시계열 예측에 있어서 로지스틱 함수를 적용할 경우에 초기값에 큰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알려졌고 (김연형, 1994), 실제로 비선형모형함수를 사용하여 예측한 결과 예측력이 매우 떨어짐을 발견하였다. Kim (2005 a, b)는 이동평균을 이용한 예측방법으로 2005년에서 2022년까지 대구 경북의 초 중 고등 학교의 학생수에 대한 예측과 고3학생수 대비 대학 입학정원과의 관계를 다루었다. 김종태 등 (2009)에 서는 2009년에서 2026년까지 대구 경북의 초 중 고등학교의 학생수에 대한 예측과 고3학생수 대비 대학 입학정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김종태 (2009)에서는 학년의 진급에 따라서, 초등1학년에서 고3학년 까지 12년 한 주기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전환과, 각 학년을 한 주기로 하는 시계열 데이터 전환방법 을 사용하여, 시계열 모형인 홀트-윈터스 가법모형을 이용하여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조찬혁 (2008)과 BakiBillah 등 (2006)의 연구에 따르면, 홀트-윈터스 (Holt-Winters) 모형은 기법의 간명성과 단순성에 도 불구하고 예측능력 만큼은 Box-Jenkins의 ARIMA과 같은 모형들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평가하고 있다. 2절에서는 학년 (연령)진급에 따른 인구의 표기 방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인구 증감률을 정의하였 다. 3절에서는 비례법, m이동평균법, m n이동평균법, 홀트-윈터스 가법모형, SARIMA모형, 회귀분 석모형을 이용한 예측방법을 설명하였다. 4절에는 모의실험을 사용하여 제시된 모형들에 대한 적합척도 들을 구하고, 각 모형에 따른 2026년까지의 학생수를 예측하고, 한국교육개발원 (2007)의 교육예측통계 시스템에 있는 고3학생수 예측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2. 학년 (연령)진급에 따른 인구 증감률 정의 X d,y 를 y연도의 d (d = 0, 2,, 18)인구수로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8 0, 1,, 6 각각 0세, 1세,, 6세 인구수, >< 7, 8,, 12 각각 초등 1, 2,, 6학년 학생수, d = 13, 14, 15 각각 중학 1, 2, 3학년 학생수, >: 16, 17, 18, 각각 고등 1, 2, 3학년 학생수. 여기서 0세 - 6세 인구는 주민등록인구를 사용하였다. 비록 주민등록 인구데이터는 0세에서 7세가 될 때까지 인구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순에도 불구하고, 통계청 (2006)의 장래인구추계 보다는 주민등록인구를 사용한 이유는 각 연령층의 증가와 감소가 매우 안정적 이기 때문이다. 초 중 고등학교의 학생수에 대한 통계는 한국교육개발원 (1982-2008)의 교육통계연감 에서 발표한 학생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위의 식 (2.1)에 대한 예를 들면, 2008년도의 0세 인구, X d,y = X 0,2008는 18년 후인 2026년에는 고3학 생수, X d+18,y+d+18 = X 18,2026가 된다. 학년 (연령)진급에 따른 연도의 이동을 표로 만들어 보면 다음 과 같다. 1991년 0세가 18년 후인 2009년 고3학생이 되고, 1992년 0세는 17년 후인 2009년에 고2학생, 18년 후인 2010년에는 고3학생이 된다. 이런 규칙에 따라서 2008년 0세는 1년 후인 2009년에는 1세, 2010년 에는 2세,, 18년 후인 2026년에는 고3학생이 된다. 학년 (연령)인구 증감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 다. (2.1) P (d+1,y+d+1) = X d+1,y+d+1 X d,y+d. y = 1982, 1983,, 2008. (2.2)

The methods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student based 859 표 2.1 출생연도를 기준한, 학년 (연령)진급에 따른 연도 이동표 연령 출생연도 1982년 1983년 2008년 0세 X 0,1982 X 0,1983 X 0,2008 1세 X 1,1983 X 1,1984 X 1,2009 2세 X 2,1984 X 2,1985 X 2,2010 고3 X 18,2000 X 18,2001 X 18,2026 식 (2.2)에서 d(d = 0, 1,, 17)는 식 (2.1)에 정의 된 것으로 d + 1 18이다. 표 2.1에서 나타낸 것 같이, 0세 인구가 시작되어 고3 인구가 되는 19년 동안을 한 주기로 볼 때, y(y =1982, 1983,,2008)는 0세 인구가 시작되는 연도를 의미한다. X d,y+d 는 y + d년도에 d연령의 인구수이고, X d+1,y+d+1 는 y + d + 1의 년도에 d + 1연령의 인구수이다. 예를 들어, y = 1982일 때, d = 0이면, X d,y = X 0,1982는 1982년의 0세 인구이다. 이들 0세 인구가 18년 후에는 d = 18이 되고, y + d = 2000에 고3이 되고, X d,y+d = X 18,2000은 1982년의 0세인구가 2000년에 고3이 되는 인구수이 다. 실제로 1982년의 고3학생수는 1982년으로부터 18년 전인 1964년 (y = 1964)에 0세 인구수가 출 발한 것이고, 1982년의 고2학생수는 1965년 (y = 1965)에 0세 인구수에서, 출발된 것으로 1983년에는 고3학생수가 된 것이다. 그러면 식 (2.2)에서 제시한 P (d+1,y+d+1) 는 y + d년도에서 y + d + 1년 사이에 한 해 동안의 인구증감률이 된다. 식 (2.2)에 의한 인구 증감률에 대한 분포를 최근 10년간 (1999년 - 2008년)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1.01 1.00 초1 초2 0.99 0.98 0.97 0.96 0.95 0.94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초3 초4 초4 초5 중1 중2 중2 중3 고1 고2 고2 고3 그림 2.1 초 중 고등학교의 진급률에 대한 분포

860 Jongtae Kim 3. 제시된 장래 학생수 예측 방법 X d+1,y+d+2 를 다음 해의 알지 못하는 (미지의) d + 1학년 (연령)의 인구수라고 가정하자. d + 1학년 (연령)의 미지의 인구 증감률 P (d+1,y+d+2) 을 추정함으로서 X d+1,y+d+2 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bx d+1,y+d+2 = P b (d+1,y+d+2) X d,y+d+1. (3.1) 식 (2.2)의 학년 (연령) 인구 증감률 P (d+1,y+d+2) 의 추정치 b P (d+1,y+d+2) 을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 음의 모형들을 고려한다. 3.1. 모형 A: 인구 증감률 비례법에 의한 추정 그림 2.2에서 진급률의 분포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관점에 직전 연도의 인구 증감률과 당해 연도의 인구 증감률이 같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비례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인구를 추정할 수 있다. 즉, X d+1,y+d+1 : X d,y+d = X d+1,y+d+2 : X d,y+d+1 라 가정하면, 증감률의 추정치 P b (d+1,y+d+2)은 A 다음과 같다. bp A (d+1,y+d+2) = P (d+1,y+d+1). (3.2) 식 (3.2)의 추정된 증감률을 이용하여, 미지의 학년 (연령) 인구수 X d+1,y+d+2 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 다. 모형 A: X b d+1,y+d+2 = P A (d+1,y+d+2) X d,y+d+1. (3.3) 그러나 직전 연도의 증감률을 당해 연도의 증감률로 사용한다는 것은 매우 강한 가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형 A를 사용하는 이유는 예측력은 떨어지지만 추정이 방법이 매우 쉽고, 단순하기 때문이 다. 3.2. 모형 B: 인구 증감률에 대한 m이동평균에 의한 추정 3.1절의 모형 A를 보완하기 위해서, 직전 연도의 증감률을 포함하는 최근 m개의 증감률에 대한 이동 평균을 다음 연도의 증감률의 추정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m이동평균 방법은 쉽고, 단순하면서도 우수 한 예측력을 지니고 있다. m이동평균에 대한 미지의 학년 (연령) 인구수 X d+1,y+d+2 에 대한 모형 추정 식은 다음과 같다. bp B (m, d+1,y+d+2) = 1 mx P (d+1,y k+d+2). (3.4) m 모형 B: Xm, b d+1,y+d+2 = P bb (m, d+1,y+d+2) X d,y+d+1. (3.5) 여기서 m은 d + 1연령의 최근 증감률을 포함해서 사용되는 증감률의 개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는 m = 3, 4, 5, 6을 사용하였다. k=1

The methods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student based 861 3.3. 모형 C: 인구 증감률에 대한 m n이동평균에 의한 추정 3.2절의 모형 B를 보완하기 위해서, 식 (3.4)의 증감률 m이동평균 b P B (m,d+1,y+d+2)들에 대하여 n개의 평균을 구하여 다음 연도의 증감률의 추정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bp C (m n,d+1,y+d+2) = 1 n nx bp (m,d+1,y k+d+2). B (3.6) 모형 C: Xm n, b d+1,y+d+2 = P bc (m n, d+1,y+d+2) X d,y+d+1. (3.7) 모형 B와 모형 C에서 이동평균의 정의는 시계열에서의 이동평균의 정의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시계 열에서의 이동평균은 데이터들의 중간값들을 추정하는 특성을 가지지만 모형 B와 모형 C의 이동평균의 개념은 가장 최근의 증감률에 대하여 가중치를 더해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m n이동평균 방법은 m이동평균들 보다 더 예측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모의실험 결과 4 4이동평균의 학생수에 대한 예측 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k=1 3.4. 모형 D: 홀트-윈터스 가법모형을 이용한 인구수 추정 계절성을 가지는 시계열 추정을 위해서는 학생수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로 전환 시킨 후에, 2008년 도 초등1학년의 학생수가 2019년에 고3학생수가 되기까지의 학생수에 대한 추정을 홀트-윈터스의 방법 을 가지고 예측하였다. 홀트-윈터스 모형은 다음과 같다. L t = α(y t S t s) + (1 α)(l t 1 + b t 1), b t = β(l t L t 1) + (1 β)b t 1, S t = γ(y t L t) + (1 γ)s t s, F t+m = L t + b tm + S t s+m. 여기서 Y t= 시점 t에서 관찰된 값, L t= 시점 t에서 시계열 평균수준, b t= 시점 t에서 시계열 추세성 분, S t= 시점 t에서 시계열 계절성분, F t+m= 시점 t에서 예측한 시점 t + m의 예측값, s= 계절성분의 길이, 그리고 α, β, γ= 평활모수이다. 모형 D는 김종태 (2009)의 추계에 대하여 2026년까지 확장한 것이다. 홀트-윈터스 모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998년 이전의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0세 - 6세 인구를 1982년 - 2005년까 지는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장래추계인구 데이터에서 2006년 - 2008년까 지는 예측 데이터이므로 실제 데이터인 주민등록인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모형 D1: Xd+1,y+d+2 b F t+1. (1주기 당 19개 데이터). (3.8) 모형 D1은 표 2.1에서 세로줄인 0세에서 고3 (19개)까지를 하나의 주기로 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생 성하여, 미지의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모형 D2: Xd+1,y+d+2 b F t+1. (1주기 당 27개 데이터). (3.9) 모형 D2는 표 2.1에서 가로줄의 각각의 연령층에 대하여 27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주기로 하여 시계 열 데이터를 생성하여, 미지의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모형 D1와 D2에서 평활모수 α, β, γ의 값은 절대오차의 평균을 가장 작게 하는 값들을 구하여 사용 하였다.

862 Jongtae Kim 3.5. 모형 E: 홀트 - SARIMA (p, d, q)(p, D, Q)모형을 이용한 인구수 추정 시계열 분석 모형인 SARIMA (p, d, q)(p, D, Q)모형을 이용하여 예측을 하였다. 그러나 증감률을 추정하기 위하여 시계열 모형의 ARIMA모형이나 평활모형 등을 사용할 경우에 각 연령별 계층 (19개 계층)들에 대한 증감률의 분포 변화에 따라서, 그리고 각 분포들의 연도별 변화에 따른 분포의 이동 변 위 등에 따라 각 모수들을 추정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3.6. 모형 F: 회귀분석을 이용한 인구수 추정 출생아수와 장래인구추계 0세 인구를 독립변수로 하여 각 학년 (연령)별 인구수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으로도 예측이 가능하다. 모형 F1: 각 학년 (연령) 의 인구수 i = α + β(출생아수 i ) + ϵ i, (3.10) 모형 F2: 각 학년 (연령) 의 인구수 i = α + β(장래인구추계 0세 인구 i ) + ϵ i. (3.11) 위의 모형 F1과 F2에서 각 학년 (연령)별 인구수는 출생아수 혹은 장래인구추계 0세 인구와 선형 상 관관계를 가지는 있는 것에 기초한 것이다. 3.7. 선형추세와 비선형 추세 방법들 선형추세를 보이는 시계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선형이동평균법, 선형추세법, 이중지수평활법, Holt의 선형지수 평활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예측한 결과들은 모의실험 결과 위에서 제시한 모형들 보다 예측력이 매우 낮았다. 비선형추세의 평활법들인 지수곡선, 지수성장 곡선, 로지스틱 곡선 로그 곡선 들의 모형들 역시 모의 실험 결과 위에서 제시한 모형들 보다 예측력이 매우 낮았다. 4. 학생수 추정오차와 예측결과와 결론 3절의 모형A에서 모형 E까지의 예측값과 실제값들의 오차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적합척 도들인, 평균절대편차 (Mean Absolute Deviation; MAD), 제곱근평균제곱오차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평균절대백분비오차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오차평균 (Mean of Error; ME)을 사용한다. MAD = MAPE = P n t=1 P n t=1 v Y t Y b u t t P n t=1 Y t b 2 Y t, RMSE =, n n 1 0 Y t b 1 Y t @ A 100 Y t, ME = 1 nx Y t Y n n b t. 표 4.1에서는 적합척도인, 평균절대편차 (MAD), 제곱근평균제곱오차 (RMSE), 평균절대백분비오차 (MAPE), 오차평균 (ME)를 기준으로 모의실험을 통해서 제시된 모형들의 추정값들과 실제값의 오차들 을 비교하여 예측 능력을 조사하였다. 표 4.1에서 모형 A의 비례법은 다른 모형들보다 상당히 큰 오차들을 가진다. 오차평균 (ME)를 기 준으로 할 때, 모형 B의 5이동평균이 가장 적은 값을 가지고, 5 5이동평균, 5 4이동평균, 4이동평 t=1

The methods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student based 863 균, 4 4이동평균 순으로 점점 커진다. 그러나 평균절대편차 (MAD), 제곱근평균제곱오차 (RMSE), 평 균절대백분비오차 (MAPE)들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모형 C의 4 4이동평균이 오차값들이 가장 적고, 4 3이동평균, 4이동평균, 5 4이동평균, 5 5이동평균 순으로 적합척도 값들이 점점 커짐을 알 수 있다. 시계열 분석 모형인 홀트-원터스 모형 D와 SARIMA 모형 E는 모든 적합척도의 결과들에서 이동평균 모형들과 비교할 때, 상당히 큰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4.1 모형 A에서 모형 E에 대한 적합척도 비교 모형 ME MAD MAPE RMSE SSE MSE 모형 A 비례법 13,582 15,022 2.207 21,731 5.15E+10 4.72E+08 3이동평균 1,457 4,937 0.773 6,879 5.16E+09 4.73E+07 모형 B 4이동평균 792 4,799 0.749 6,335 2.62E+09 2.40E+07 5이동평균 712 4,954 0.774 6,550 2.90E+09 2.66E+07 6이동평균 1,097 5,218 0.818 6,974 3.35E+09 3.07E+07 3 3이동평균 1,176 5,151 0.808 6,796 3.12E+09 2.86E+07 4 3이동평균 894 4,786 0.749 6,256 2.52E+09 2.31E+07 4 4이동평균 829 4,757 0.744 6,213 2.48E+09 2.28E+07 모형 C 5 4이동평균 778 4,901 0.767 6,387 2.70E+09 2.48E+07 5 5이동평균 749 4,928 0.770 6,488 2.81E+09 2.58E+07 6 5이동평균 1,054 5,103 0.800 6,779 5.01E+09 4.60E+07 6 6이동평균 1,097 5,218 0.818 6,974 5.30E+09 4.86E+07 모형 D 19주기 5,641 7,597 1.102 8,614 8.09E+09 7.42E+07 27주기 5,279 7,276 1.079 8,566 8.00E+09 7.34E+07 모형 E SARIMA -4,917 6,012 0.912 7,828 6.68E+09 6.13E+07 모형 D와 모형 E의 시계열 분석 방법인 홀트-윈터스 가법모형이나 SARIMA (p, d, q)(p, D, Q)모형 은 각각의 적합한 모수들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모형의 가정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문 제점들을 수반한다. 장래의 인구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시계열 분석 방법들인 모형 D와 모형 E는 이동 평균에 의한 방법들인 모형 B와 모형 C 보다 적합척도들의 값들이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모형 F의 회귀분석을 이용한 인구수추정은 다른 모형들과 비교해 볼 때, 측정 오차들이 매우 크게 추 정되는 결과를 가져오기에 다음의 표 4.1에서 생략하였다. 모형 F의 회귀분석에 의한 미래 학년 (연령) 인구수의 예측 역시 각 연령 또는 학년에 따른 회귀모형들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모든 학년 변수들을 사용할 경우에 매번 적절한 변수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지닌다. 식 (3.10)의 모형 F1은 예측력이 과대추정이 되고, 모형 F2는 과소추정이 된다. 표 4.2는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학생수 예측에 대한 것이고, 표 4.3은 모형 C의 4 4이동평균에 의 한 예측 값이다. 다른 모형들의 예측값들은 생략하였다. 그림 4.1에서 모형 A는 비례법 결과이고, 모형 B에서는 4이동평균법의 결과이고, 모형 C는 4 4이동 평균법의 결과이고, 모형 F는 식 (3.10)의 출생아수와 고3학생수에 대한 단순 회귀분석의 결과이고, 기 존의 출생아수를 18년 평행이동 시킨 결과와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학생수 예측를 비교한 것이다. 그림 4.1은 미래의 인구 예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인 출생아수들을 예측된 시점으로 평행 이동 시킨 후에, 고3학생수에 대한 제시된 모형들의 예측값의 분포 모양의 비교를 함으로서 모형들의 타 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모형 A, B, C, F는 출생아수의 분포와 거의 같은 분포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학생수 예측 모형은 출생아수의 모형과 매우 다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모형 F의 출생아 수 에 대한 고3학생수의 단순 선형회귀 추정 결과는 다른 모형들에 비해 과대 추정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 다.현재의 출생아수와 분포는 18년 후의 고3학생수의 분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침으로서 두 개의 분 포는 같은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어느 한 해에 태어난 출생아들이 자연발생

864 Jongtae Kim 표 4.2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학생수에 대한 예측 결과 초등1 초등2 초등3 초등4 초등5 초등6 중등1 중등2 중등3 고등1 고등2 고등3 2009 474,946 486,910 606,227 597,716 616,808 644,835 645,284 673,774 672,856 661,550 671,095 647,431 2010 450,528 476,941 486,563 605,458 597,178 615,500 615,867 642,444 669,778 658,393 648,464 664,750 2011 429,560 452,784 476,593 485,889 604,858 595,806 596,041 613,171 638,681 627,696 646,099 642,992 2012 431,929 431,850 452,450 475,873 485,363 603,354 603,536 593,367 609,619 599,012 616,638 641,216 2013 432,811 434,367 431,525 451,714 475,320 484,067 484,161 600,678 589,973 579,587 589,083 612,427 2014 430,038 435,390 434,037 430,776 451,149 473,967 473,964 481,658 597,286 586,651 570,568 585,383 2015 426,066 432,738 435,050 433,230 430,199 449,775 449,732 471,187 478,971 470,396 578,103 567,208 2016 421,020 428,879 432,396 434,190 432,607 428,813 428,729 446,628 468,593 460,110 468,750 574,822 2017 415,089 423,933 428,538 431,495 433,530 431,139 430,968 425,121 444,199 436,068 454,234 466,013 2018 408,537 418,094 423,587 427,592 430,799 431,973 431,757 426,431 422,834 415,013 430,903 451,563 2019 401,724 411,495 417,756 422,653 426,901 429,250 428,994 427,214 424,137 416,205 410,099 427,950 2020 394,959 404,632 411,163 416,833 421,975 425,369 425,028 424,479 424,919 416,887 411,283 406,817 2021 388,327 397,819 404,304 410,253 416,165 420,460 420,081 420,559 422,196 414,131 411,953 407,857 2022 382,292 391,138 397,494 403,410 409,592 414,666 414,254 415,662 418,298 410,221 409,229 408,523 표 4.3 모형 C의 4 4이동평균 학생수에 대한 예측 결과 초등1 초등2 초등3 초등4 초등5 초등6 중등1 중등2 중등3 고등1 고등2 고등3 2009 634475 2010 663426 650450 2011 668480 648539 635982 2012 673083 659548 639831 627679 2013 676498 672083 658928 639716 627448 2014 653963 651130 646971 634345 615664 603799 2015 640371 641843 639177 635071 622576 604159 592558 2016 611728 608977 610604 608024 604097 592185 574703 563691 2017 593231 590076 587673 588984 586494 582711 571279 554467 543820 2018 599719 596844 593894 591347 592717 590207 586412 574900 557943 547225 2019 529634 527145 524757 522132 519883 521120 518926 515584 505447 490533 481118 2020 472631 470894 468820 466702 464335 462343 463452 461494 458520 449506 436252 427879 2021 469486 467869 465806 463673 461316 459360 460431 458486 455533 446585 433420 425098 2022 451501 449956 447944 445881 443640 441741 442782 440912 438073 429465 416800 408797 2023 415433 413990 412129 410250 408180 406433 407395 405675 403062 395141 383488 376126 2024 427559 426061 424167 422231 420096 418300 419289 417518 414829 406677 394686 387109 2025 470945 469316 467224 465086 462736 460760 461845 459895 456933 447955 434746 426400 2026 446091 444546 442560 440534 438312 436437 437468 435620 432815 424310 411797 403892 적인 감소를 제외하고는 갑자기 한 연령대의 인구수가 격감하지 않기 때문이다. 출생아수의 연령이동 분포와 한국교육개발원 (2007)의 예측결과 분포를 비교해 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고3학생수에 대한 분포는 다르게 보인다. 즉, 18년 후로 연령이동 출생아수는 2017년 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2018년에 증가하고 난 다음에 2019년과 2020년까지 가파르게 감소한 후에 점 진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한국교육개발원 (2007)의 고3학생수 결과는 2016년에서 2017년 사이에 급격히 변화하고, 2022년까지 제시된 다른 모형들 보다 과소 추정된 결과들을 보인다. 이는 0세에서 6세의 인구자료를 본 연구에서는 주민등록자료를 사용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2007)의 고3학생수 추정에서는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래인구추계자료는 추계에 있어서 정교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는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언급 은 향후의 연구에서 다룰 것이다.

The methods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student based 865 800,000.00 750,000.00 700,000.00 교육개발원 650,000.00 모형 A 600,000.00 모형 B 550,000.00 모형 C 500,000.00 모형 F 450,000.00 출생아수 400,000.00 350,000.00 300,000.0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그림 4.1 출생아 수를 기준으로 한 고3학생수에 대한 예측 결과 비교 결론적으로 표 4.1의 적합척도와 그림 4.1의 결과들을 비교해 볼 때, 모형 C의 4 4 이동평균법의 예 측결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 표 4.4는 고3학생수에 대한 교육개발원 예측결과와 모형 C의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두 모형 간 의 예측의 차이는 2017년에서 2019년 사이에서 일어난다. 두 모형 사이의 차이는 2017년에 77,807명, 2018년에 95,662명, 2019년에 53,168명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2012년부터 현재 2009년의 고3학생수 보다 감소하기 시작하여, 교육개발원은 2016년 - 2017년 사 이에 108,809명의 고3학생수가 줄어든다고 예측하는 반면에 모형 C에서는 2018년 - 2019년 사이에 66,107명, 2019년 - 2020년 사이에 53,239명의 고3학생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2022년에 이르러서는 교육개발원의 고3학생수 예측이나 모형 C의 고3학생수 예측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교육개발원의 예측에 따르면 2017년에 고3학생수가 십만 명이상이 감소하고, 모형 C에 따르면 2019년과 2020년에 6만 명과 5만 명이상이 감소한다고 예측된다. 표 4.4 고3학생수에 대한 교육개발원 예측결과와 모형 C 결과 비교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교육개발원 647,431 664,750 642,992 641,216 612,427 585,383 567,208 574,822 466,013 Y t 1 Y t -17,319-21,758-1,776-28,789-27,044-18,175 7,614-108,809 모형 C 634,475 650,450 635,982 627,679 627,448 603,799 592,558 563,691 543,820 Y t 1 Y t 15,975-14,468-8,303-231 -23,649-11,241-28,867-19,871 교육-모형C 12,956 14,300 7,010 13,537-15,021-18,416-25,350 11,131-77,807 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교육개발원 451,563 427,950 406,817 407,857 408,523 Y t 1 Y t -14,450-23,613-21,133 1,040 666 모형 C 547,225 481,118 427,879 425,098 408,797 376,126 387,109 426,400 403,892 Y t 1 Y t 3,405-66,107-53,239-2,781-16,301-32,671 10,983 39,291-22,508 교육-모형C -95,662-53,168-21,062-17,241-274 Y t 1 Y t= (t 1)연도 고3학생수 - t연도 학생수이고, 교육-모형C= 교육개발원 고3학생수 예측결과 - 모형 C의 고3학생수 예측 결과이다.

866 Jongtae Kim 참고문헌 김연형 (1994). <시계열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김종태, 서효민, 이인락 (2009). 2026년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수에 대한 예측과 대학입학정원수와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159-169. 김종태 (2009). 홀트-윈터스 가법모형에 의한 전국 학생수 예측.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685-694. 조찬혁 (2008). 동해항 시멘트 물동량의 추정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18, 33-53. 통계청 (2006). <장래인구특별추계결과>, 통계정보시스템, 대전. 한국교육개발원 (2005). <교육통계 예측 결과>,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6). <교육통계 예측 결과>,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7). <교육통계 예측 결과>,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82-2008). <교육통계연보>, 교육통계서비스, 서울. BakiBillah, M., King, M. L., Snyder, R. D. and Koehler, A. B. (2006). Exponential smoothing model selection for foreca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22, 239-247. Kim, J. T. (2005a). The forecasting about the numbers of the third graders in a high-school until 2022 Year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6, 933-942. Kim, J. T. (2005b). The forecasting for the numbers of a high-school graduate and the number limit of matriculation in Kyungbook.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6, 969-977.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9, 20(5), 857 86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The methods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student based on promotion proportion Jongtae Kim 1 1 Department of Computing & Statistics, Daegu University Received 13 July 2009, revised 16 September 2009, accepted 21 September 200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s of forecasting for the number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 based on the proportion of promotion until 2026 year. The suggested methods are the proportion of promotion, mov baseverage, Holt-W bters model, SARIMA, regression fit. As the result, the abilities of forecasting by the method of moving average are better than those of other methods. Keywords: Holt-Winters model, moving average, regression, time series. 1 Professor, Department Computing & Statistics, Daegu University, Kyoungsan 712-714, Korea. E-mail: jtkim@daeg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