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Original Articles 臨床耳鼻 : 第 11 卷 第 1 號 2000 J Clinical Otolaryngol 2000;11:73-77 구개골수직판제거술을통한상악동자연공확장술 윤주헌 홍정표 Creation of Large Maxillary Sinus

Similar documents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373~377 와점막이상에관하여보고하고자한다. 탁까지를포함하였다. [~λ~ OJ t::jj 닙 ~ Od 7~ E 프 19 89년 6월부터 199 2년 6월까지부비동염이있거나, 의심되어부비동 CT를시행한환자 95명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만성부비동염환자에서의 99mTc-MDP 골 SPECT 를이용한골염의연구 장용주 1 구태우 1 박석건 2 정필상 1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

노영남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Microsoft Word doc

ORIGINAL ARTICLE J Rhinol 2018;25(1): pissn / eissn 편측성비부비동염에서최근유병률변

001-학회지소개(영)

KISEP Rhinology Koean J Otolaryngol 1998;41 12 : 전두개저에대한전사골관의해부학적관계 : 전산화단층촬영에의한사골와의유형별분석 홍순관 1 엄준형 1 변성완 1 김종남 1 김춘동 1 정승용 1 장주애 1 최혜영 1 Ana

황지웅

A 617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재발성안와주위염및급성누낭염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04조남훈

김범수

KISEP Abstract 산탄총에의한두경부손상 1 례 이대원 김종규 김형진 최득록 A Case of Shotgun Wound on Head and Neck Dae Won Lee, M.D., Jong Kyu Kim, M.D., Hyung Jin Ki

비강부비동안와 금속 이물 Fig. 1. Simple paranasal sinus Xray showing two pieces of foreign body. Right one penetrates right ethmoid sinus, septum, and left ethmo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2;45: 이개연골과측두근막의자유복합이식을이용한비중격천공의비내재건술 홍순관 1 민양기 2 Repair of Nasal Septal Perforation by Intranasal Appro

Kjhps016( ).hwp

( )Jkstro011.hwp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online ML Comm Rhi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632-6 / pissn / eissn

( )Kju269.hwp

(49-54)Kjhps004.hwp

歯kjmh2004v13n1.PDF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9): / pissn / eissn

hwp

Continuing Education Column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of Cervical Spine Ki Hong Cho,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jou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2;45:164-8 Microdebrider 를이용한아데노이드절제술의임상적효과 문지호 송영호 신승엽 박기환 홍남표 안회영 Clinical Efficiency of Adenoidectomy U

Jkbcs016(92-97).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REVIEW J Rhinol 2018;25(2): pissn / eissn 부비동내시경수술후후각변화에대한예측인자 대구가

012임수진


대상및방법 결과 Table 2. Total numbers of operations Corrective Rhinoplasty 56 Augmentation Rhinoplasty 86 Reduction Rhinoplasty 39 Nasal Tip Surge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 ) Jkra076.hwp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Lumbar spine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김한수 외 Type I Type IAA Type III AA IM Type IV Fig. 1. Kinds of procedures. Type I thyroplasty was the most commo

Fig. 1. Laryng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Yonekawa Fig. 2. possible etiologic factors. 2A Smoking, 2B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2C Skin

CASE REPORT J Rhinol 2016;23(2): pissn / eissn 진균구와동반된상악동에발생한원발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Microsoft Word doc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Can032.hwp

Microsoft Word doc

골화범위의 측정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for division of thyroid lamina and calculation of ossification height in thyroid cartilage. Ossification heigh


대한밤사선의학회지 1994; 31( 3): 격으로연속스캔하였고, 관상스캔은환자를복와위로하 여목을과신전시킨후횡단스캔변에수직이되게전두동 전연에서후사골동전연까지는 3mm, 후사골동전연부터 접협동후연까지는 5mm 절펀두께및간격으로연속스 캔하였다. 관상스캔은 OM


이형석외


서론 34 2

±è¹ÎÁö

Microsoft Word doc

DBPIA-NURIMEDIA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뾰π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29(5) : 9DI~9D6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September, 1993 염증성부비동질환의전산화단층촬영상 고려병원진단방사선과 - Abstract- 오원자 윤은경 이영욱 권혜수 Maj

( )Kjhps043.hwp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 2000 급성경막하혈종에서응급두개골천공의위치 문수현 김근회 권택현 박윤관 정흥섭 서중근 = Abstract = Emergency Trephination Site o

45-51 ¹Ú¼ø¸¸

Jksvs019(8-15).hwp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¼Û±âÇõ

12이문규

Crt114( ).hwp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2001;44: 비 - 안와 - 두부형모균증 2 예 전은주 박용진 박용수 정일성 Two Cases of Rhino-Orbito-Cerebral Mucormycosis Eun-ju Jeon

歯1.PDF

32 J Rhinol 2017;24(1):31-36 된 주요 병태생리로는 기류의 차단으로 인해 후각 점막에 냄새가 도달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전도성 후각장애 와 후각점막의 손상이나 후각전달 신경계통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감각신경성 후각장애 - 로 구분할 수 있다 후각장애의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Ȳ¿ë¼®


02Á¶ÇýÁø

DBPIA-NURIMEDIA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 )Jksc057.hwp

Kaes017.hwp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482-7 수직반고리관기능짝에대한회전검사 한규철 Analysis of Vertical Semicircular Canal Rotational Test in Healthy Adults Gyu Ch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민속지_이건욱T 최종

원고스타일 정의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391-5 소아만성부비동염의원인균분석 최영철 김태철 전은주 박용수 Microbiologic Study of Chronic Sinusitis in Children Young-Chul Choi

Rhi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7): / pissn / eissn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01[1].ȲÁßÇõ( ).hwp

Ȳ¼º¼ö

6.Kaes013( ).hwp

상악측절치(dh)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측두골에발생한사구종 6 예 남정권 윤태현 이광선 Six Cases of Glomus Tumor Jeoung Kueon Nam, MD, Tae Hyun Yoon, MD and Kwa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èÇ¥³â

005송영일

Transcription:

KISEP Original Articles 臨床耳鼻 : 第 11 卷 第 1 號 2000 J Clinical Otolaryngol 2000;11:73-77 구개골수직판제거술을통한상악동자연공확장술 윤주헌 홍정표 Creation of Large Maxillary Sinus OstiumA Modified Antrostomy Technique Removing Perpendicular Plate of Palatine Bone for Improved Patency Joo-Heon Yoon, MD and Jung-Pyoe Hong,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sSince the concept of functional sinus surgery and optical aids such as endoscopes and surgical microscopes have been introduced, more precise excision of pathologic lesions under a clear view has become popular in the treatment of chronic maxillary sinusitis. Although middle meatal antrostomy MMA is repor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nferior meatal antrostomy, spontaneous closure rate of antrostomy opening is still high.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our modified method of MMA capable of creating a considerably large antrostomy opening and to report our results for the patency of a surgically created maxillary sinus opening. Patients and MethodA total of 50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46 patients with severe maxillary sinusitis. We applied our modified antrostomy technique removing palatine bone for improved patency. ResultsOur procedure proved very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patency of the large antrostomy opening in 100% of cases. During the procedure, arterial bleeding, which was controlled without difficulty by electrocautery, was noted in four cases. ConclusionOur modified MMA technique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surgical procedure for maintaining large MMA openings. J Clinical Otolaryngol 2000;11:73-77 KEY WORDSChronic maxillary sinusitis Middle meatal antrostomy. 서 론 73

J Clinical Otolaryngol 2000;11:73-77 meatal antrostomy)로서, 중비도를 통하여 구상돌기와 이에 저자들은 충분히 넓은 크기의 상악동 개구부를 사골포를 제거한 후 상악동 자연공을 확장하는 방법이 만들 수 있는 변형된 경중비도확장개방술을 소개하고 수 다. 일반적으로 경중비도개방술이 경하비도개방술보다 효 술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Mann 등은 경하비도개방 수술방법 술 2년 후의 자연폐쇄율이 29%로,1) Lund 등은 27개 2) 월간의 추적관찰에서 자연폐쇄율이 45%로, Reck 등 은 경하비도개방술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생성된 상악동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서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 개구부의 25%에서 자연폐쇄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혈압성 마취를 이용하였으며 혈관수축을 위하여 2% 리 3) 하였다. 또한 환자의 증상과 개구부의 자연폐쇄율 사이 도카인과 1 100,000 에피네프린을 사용하였다. 비내 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는 대조 사골동적출술과 경중비도개방술 시행시에 수술 현미경 적으로 David 등은 경중비도개방술 후의 자연폐쇄율이 과 자가현수비경(Park s Retractor, Nagashima Co., 6%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4) Stankiewicz 또한 경중비 Japan)을 사용하였으나 수술현미경으로 접근이 어려운 도개방술을 받은 90례 중 4례(4.4%)에서 자연폐쇄가 일 부위인 상악동 내부와 자연공, 비전두관의 확인은 30 5) 어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상 악동 개구부의 개방성 유지에 있어서 경중비도개방술이 경하비도개방술보다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그 러나, 이 결과는 개구부의 검사방법, 즉, 부비동 전산화단 층촬영을 이용하여 상악동의 통기여부를 관찰하였는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상악동 개구부를 직접 관찰하였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자들이 경험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수술도중 출혈이 심하여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어려운, 심한 용종증이 Fig. 1. The medi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Hatched area indicates the portion of palatine bone removed by our modified middle meatal antrostomy. 동반된 만성 부비동염 환자들이었으므로, 전신마취 하에 서 수술 현미경과 자가현수비경(Park s self-retaining retractor)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부비동 수술 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확장된 상악동 개구부의 술후 폐 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술시 충분히 넓은 개구부를 만 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개구부를 넓게 개방하였을 때 상 악동 내의 병변제거가 보다 용이하며 염증성 점막부종이 나 재발성 부비동 용종에 의한 개구부의 폐쇄율이 감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악동 자연공을 전천 문과 연결시키거나 후천문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현재까 지의 방법으로는 상악동 용종증이나 진균성 부비동염 등 의 특정질환에서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술시 더욱 큰 크기의 상악동 개구부를 만들 고 술후에도 잘 유지되는 새로운 술식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상악동 개구부를 크게 만들어 둘 경우 상 Fig. 2. Surgical view of the medial wall of the right maxillary sinus. A surgically created ostium (arrow), fontanelle, and palatine bone (arrowhead) are demonstrated. 악동의 환기가 증가될 뿐 아니라 술후 추적조사시 상악 동 내의 이상유무를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74

윤주헌 외 구개골 수직판 제거술을 통한 상악동 자연공 확장술 A B Fig. 3.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scans in the case that underwent modified middle meatal antrostomy. A. Preoperative finding shows total hazziness of the right maxillary sinus. B. Postoperative finding demonstrates well-aerated right maxillary sinus and completely removed palatine bone (arrow) 12 months after modified middle meatal antrostomy. forceps를 사용하여 자연공의 위치를 확인한 후 전방으 로는 비루관까지, 하방으로는 하비갑개까지 back-biting forceps를 사용하여 자연공을 확장한다. 천문의 전 방부는 자연공이 위치하므로 분비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 해 이 부위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으로, sickle knife로 구상돌기의 후하방부를 제 거하여 후천문에 도달한다. 중비도 후방 1/3의 천정을 이 루는 기저판(ground lamella)의 수평부를 후천문과 함 께 제거하여 상악동 내벽의 후방 골부(posterior bony portion)를 이루는 구개골의 수직판을 노출시킨다. 이때 수술적으로 개창된 개구부와 구개골, 상비갑개는 동일한 시야에서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상악동 후벽과 상비갑개 의 전방부는 동일한 평면에서 관찰된다. Cutting forfig. 4. Endoscopic finding of a surgically created opening in a case 3 weeks after modified middle meatal antrostomy. ceps를 이용하여 구개골의 수직판을 제거한다(Figs. 1 and 2). 구개골 수직판 제거시에 출혈은 거의 없으나 하 비갑개의 후상부 점막 제거시에 동맥출혈이 일어날 수 와 70 내시경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있으며 이는 전기소작술로 용이하게 지혈된다. 구개골의 수술 현미경을 사용하는 비내 사골동적출술의 원칙은 후상부 제거시에 접형구개공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 내시경 사용시와 동일하며, Messerklinger 또는 Wi- 의하여야 하는데, 접형구개공은 상악동 후벽에서 3 4 gand의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저자들은 경중비도개방술 mm 후상방에 있기 때문에 상악동 후벽을 기준으로 그 을 수술시 마지막 술식으로 시행하였다. 앞쪽부분만 제거하면 안전하다. 경중비도개방술 시행시 자가현수비경의 끝은 비강의 결 외측을 향하도록 고정시킨다. 사골동 적출술의 필요성 여 과 부에 무관하게 구상돌기의 전상부를 제거하여 그 부위에 넓은 수술시야를 확보한다. 작은 curette이나 up-ward 46명의 비용을 동반한 중증 만성 상악동염 환자(남자 75

J Clinical Otolaryngol 2000;11:73-77 고찰 76

중심단어 REFERENCES 1) Mann W. How effective is the inferior meatal antrostomy in chronic maxillary sinusitis? Arch Otorhinolaryngol 1978 219345-7. 2) Lund VJ. Functional considerations of the design and function of intranasal antrostomies. Rhinology 198523 231-6. 3) Reck R. Die therapeutischen Grenzen der endonasalen Kieferhohlenfernterung. Laryngorhinootologie 198665 673-5. 4) Davis WE, Templer JW, LaMear WR. Patency rate of endoscopic middle meatus antrostomy. Laryngoscope 1991 101416-20. 5) Stankiewicz JA. Complication in endoscopic intranasal ethmoidectomy and update. Laryngoscope 198999686-90. 6) Levine HL, May M. Endoscopic Sinus Surgery. New York Thieme1993. p.80-92. 7) Stammberger H. Endoscopic sinus surgeryconcepts in the treatment of recurring rhinosinusitis. Part II. Surgical technique.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694147-56. 8) Wigand ME. Endoscopic Surgery of the Paranasal Sinusitis and Anterior Skull Base. Thieme New York1990. p.134. 9) Coleman JR, Duncavage JA. Extended middle meatal antrostomy the treatment of circular flow. Laryngoscope 19961061214-7. 10) Chanbers DW, Davis WE, Cook PR, Nishioka GJ, Rudman DT. Long-term outcome analysis of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correlation of symptoms with endoscopic examination findings and potential prognostic varables. Laryngoscope 1997107501-10. 11) Kennedy DW, Zinreich SJ, Shaalan H, Kuhn F, Naclerio R, Loch E. Endoscopic middle meatal antrostomy, theory, technique and patency. Laryngoscope 198797Suppl 43 1-9. 12) Schaefer SD, Manning S, Close LG. Endoscopic paranasal sinus surgery indications and considerations. Laryngoscope 1989991-5. 13) Sanderson BA. Physiologic maxillary antrostomy-update. Laryngoscope 198393180-3. 14) Bartal H, Puterman M, Gringerg L. A simple and advantageous system for continuous lavage of the maxillary sinus. Laryngoscope 198394976-7. 15) Escajadillo JR. A Silastic grommet for maxillary sinus surgery. Oper Tech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2 209-12. 16) Shikani AH. A new middle meatal antrostomy stent for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Laryngoscope 1994 104638-41.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