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EC7A5B9CEC2F9284F4B292E687770>

Similar documents
2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에너지경제연구 제14권 제1호

, ( ) * 1) *** *** (KCGS) 2003, 2004 (CGI),. (+),.,,,.,. (endogeneity) (reverse causality),.,,,. I ( ) *. ** ***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歯Product1.PDF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hwp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세종대 요람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11_LG»ó»ç_ÃÖÁ¾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1, Number 2, September 2012 : pp. 57~83 발전용유연탄가격과여타상품가격의 동조화현상에대한실증분석 57

00내지1번2번

¨ë Áö¸®ÇÐȸÁö-¼Û°æ¾ðOK

<313120B9DABFB5B1B82E687770>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è ¿¬Â÷º¸°í¼Ł³»Áö-1 PDF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레이아웃 1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½Å½Å-Áß±¹³»Áö.PDF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35~55 학술 전력시장가격에대한역사적요인분해 * 35

Çö´ëÀ§¾Æ½Ã¾È10

DBPIA-NURIMEDIA

조재욱D)-63-88


¨èÂ÷·Ê

#유한표지F

DBPIA-NURIMEDIA

IDP www idp or kr IDP 정책연구 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와개혁방향 민주정책연구원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SKC_AR_±¹¹® 01pdf

Main Title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06_À̼º»ó_092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Ȳ¿ë¼®

Microsoft Word - 7FAB038F.doc

<C4DAC6AEB6F320C6F7B7B32E696E6464>

12È«±â¼±¿Ü339~37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BED6C7C3BCD2BDBA5F4B5350BBFDBBEABCBA31C0E5312D32302E70312E504446>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Á¶´öÈñ_0304_final.hwp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DBPIA-NURIMEDIA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일시 : 2013 년 6 월 12 일 ( 수 ) 10:00 ~ 18:00 장소 : 중소기업중앙회중회의실 (2 층 ) 주최 : 한국경제연구원 ( 사 ) 한국규제학회 ( 사 ) 한국규제학회 Korea Society For Regulatory Studies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09김정식.PDF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5-김재철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시안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1, Number 2, September 2012 : pp. 1~26 실물옵션을이용한해상풍력실증단지 사업의경제성평가 1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1, March 2018 : pp. 37~65 가정부문전기수요의결정요인분석 : 동태적패널 FD GMM 기법을중심으로 37

FSB-6¿ù-³»Áö

대표이사 등의 확인


Microsoft Word - USW 英語課清單 Fall 2009

歯4차학술대회원고(장지연).PDF

주요국 에너지 Profile 분석_아랍에미리트

H_AR_ P


Energy Insights Vol. 1, No. 12

(강의자료)구매단가 절감 전략 및 예상효과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歯1.PDF

국제무역론-02장

레이아웃 1

2010희망애뉴얼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Best of the Best Benchmark Adobe Digital Index | APAC | 2015

기업은행현황-표지-5도

歯동아시아.PDF

......(N)

제 2 장 골프장의 경영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07_À±¿ø±æ3ÀüºÎ¼öÁ¤

One Stop Service,

수신

공휴일 전력 수요에 관한 산업별 분석

<C1A1C1A2C2F8C1A6BDC3C0E55F E786C7378>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9, Number 2, September 2010 : pp. 19~41 석유제품브랜드의자산가치측정 : 휘발유를 중심으로 19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4D F736F F D20BFF8C8ADB0ADBCBCBFA1B5FBB8A5BBEABEF7BFB5C7E2B9D7BDC3BBE7C1A12E646F63>

Transcription:

ISSN 1598-2769 203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 1)1 鄭 武 燮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 moosup.jung@samsung.com ** 表 旻 燦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minpyo@uos.ac.kr 본고는 중국 상장기업 데이터를 이용해 각 산업별 개별 기업들의 총요소생산성을 추정 하고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1999년 이래 기계, 전기 및 전자, 통신, 자동차산업의 생산성이 빠르게 향상됐음을 발견했다. 둘째, 매출규모 상위 50% 기업과 하위 50%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최상위 10대 기업의 생산성 증가는 미약해, 한국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나타났던 선두기업의 생 산성 견인역할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넷째, 산업별 상위 5대 기업의 생산 성 추이를 살펴본 결과, 각 산업 선두기업의 생산성 증가속도가 추격기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시장에서 중국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동안 기업 차 원에서 중국경제를 연구한 논문은 희박했다. 본고는 기업 수준에서 각 산업으로 분류된 개별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분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핵심용어: 중국, 생산성, 경쟁력 * 이 논문은 2009년도 서울시립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 교신저자

ISSN 1598-2769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Studies Vol. 13, No. 2, December 2009 Productivity(TFP) and Competitiveness of Listed Firms in China Moosup Jung Economis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moosup.jung@samsung.com Min-Chan Pyo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Seoul minpyo@uos.ac.kr This paper measure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of listed firms in the China stock market by employing the balanced panel data from 1999 to 2007.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FPs of Chinese firms have increased considerably especially in machinery, electric and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 and automobile industries which are major exporting industries in Korea.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TFP gap between large and small firms has increased since 1999. The TFP gap between large and small firms was 9.7 points in 1999, increasing to 14.9 points in 2007.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TFP growth rate of the leading firm in each industry is much lower than those of followers which may become potential competitors to Korea exporting firms. Keywords: China, Productivity, Competitiveness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05 I. 서론 1978년 개혁ㆍ개방 정책이 시작된 이후 중국경제는 급속히 성장했으며, 중 국기업들도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포춘지가 발표한 2008년 세계 500대 기 업에서 정유업체인 중국석유화공( 中 國 石 油 化 工 )은 16위, 전력공급업체인 국 가전망( 國 家 電 網 )은 24위, 중국석유천연가스(CNPC)는 25위를 기록했으며 통 신업체인 차이나모바일은 148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중국기업은 대부분 거대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양적 성장에 성공했다. 그러나 기술력 기반의 생 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은 양적 성장은 한정된 자원의 고갈에 처하게 되 면 성장동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Krugman(1994)과 Young(1995)은 노동과 자 본 투입에 의존하는 개발도상국들은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성장세가 둔화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동안 중국기업의 성장이 생산성 진보 없이 농촌에서 공급된 풍부한 노동 력이나 높은 저축률 및 외국자본 유입에만 의존했다면 향후 중국기업의 발전 속도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또 양적 성장에 치중한 중국기업들은 시장개방 의 확대로 외국기업의 진입이 늘어날 경우 시장경쟁에서 퇴출될 수 있다. 따 라서 중국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늠해 보기 위해 중국기업의 성장 에서 생산성의 기여도를 동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기업의 생산성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총요소생산성(TFP: Total Factor Productivity)을 추정했다. 1930년대에 처음 소개된 총요소생산성은 모든 생산요소를 고려해 측정한 생산성 지표로 기업 의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나타낸다. 1)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면 해당 기업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이를 분석해 중국기업들이 양적 성장에 머물지 않고 생산성 향상을 통한 질적 성장을 이루어왔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국제시장에서 주목받는 중국기업들이 증가하면서 기업차원에서 1) 생산성 지표로 사용되는 노동생산성 및 자본생산성은 단지 하나의 생산요소에 대한 산출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른 생산요소에 의한 변화를 통제하지 못하는 단점을 안고 있 다. 예를 들어 자본의 과다투입으로 생산이 늘어난 경우, 노동생산성은 높게 나타나지만 전체적인 생산성은 상승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동과 자본을 비롯한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을 고려해 투입대비 산출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206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중국의 총요소생산성을 추정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袁 堂 軍, 劉 德 强, 深 尾 京 司 2007; 박승록 2007). 袁 堂 軍 外 (2007)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중국 상장기업의 생산성은 총 7%(연평균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제조업인 금속산업, 전기ㆍ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의 생산 성은 각각 14%, 12%, 13% 증가해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袁 堂 軍 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개별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됐다고 판단하기에는 한계 가 있다. 袁 堂 軍 의 연구는 1999년 이후 새롭게 상장된 기업 데이터까지 모두 포함해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기간인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생존한 개별기업 차원의 지속적인 생산성 변화를 대변하기 어렵다. 2) 또 2004년까지 의 자료만을 사용해 최근의 변화를 반영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박승록(2007)의 연구는 상장기업 대신 중국 기업발전출판사에서 발간하는 中 國 企 業 發 展 報 告 에 수록된 500대 중국기업들을 대상으로 생산성을 분석 했다.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불과 3년간의 자료만을 대상으로 분 석해서 생산성의 동태적인 변화를 측정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 中 國 企 業 發 展 報 告 에 포함되는 500대 기업의 목록도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개별기 업 차원에서 생산성의 추이를 측정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 中 國 企 業 發 展 報 告 가 제공하는 기업 자료는 매출액, 자산, 종업원 수 정도에 불과 해 신뢰성 있는 생산성 분석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측면도 있다. 이와 같은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장되어 있는 기업만을 대상으로 생산성을 분석했 다. 또 2007년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해 최근의 변화를 고려한 기업차원에서의 생산성 변화를 측정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통계자료에 대한 설명과 총요소 생산성 및 변수 측정방법을 논의한다. 제Ⅲ장에서는 산업별, 기업별 총요소생 산성의 추이를 분석한다. 제Ⅳ장에서는 측정된 총요소생산성의 추이를 근거 로 중국기업의 질적 성장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2) 산업차원에서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진입하는 기업과 퇴출기업을 모 두 포함해 분석하는 것이 적합하다. 생산성이 높은 신규기업의 진입과 생산성이 낮은 퇴 출기업의 배제를 통해 산업 전체의 생산성 변화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장 기업만을 분석하는 경우, 신규 상장기업을 새롭게 산업에 진입하는 기업으로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산업차원에서의 생산성 분석에도 신규 진입기업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07 II. 분석방법 1. 통계자료 본 연구는 國 泰 安 金 融 敎 育 集 團 (GTA Finance & Education Group)이 제공하는 중국 상장기업 데이터베이스 CSMAR(China Stock Market Financial Statement)을 이용했다. CSMAR이 제공하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개별 기업의 데이터를 분석해, 기업 차원에서 생산성 추이를 측정하는 데 부적합한 데이터를 제외했 다.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장된 기업만을 분석하기 위해 2000년 이후 새롭게 상장된 기업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또 총요소생산성 추정에 반드시 필요한 기본 자료가 누락된 기업들도 연구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와 같은 선별 작업을 통해 선정된 25개 산업 642개 기업을 대상으로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개별 기업 차원에서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고 그 변 화양상을 분석했다. 산업분류는 深 尾 京 司 外 (2007)와 Jung, Lee, and Fukao (2008)의 연구에서 사용된 ICPA(International Comparison of Productivity among Asian Countries) 분류방식을 사용했다. ICPA 분류는 일본 통산산업성 산하 연구소인 RIETI(Research Institute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가 아시아 국가간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해 만든 산업분류 방식이다. 본고는 CSMAR데 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산업분류를 ICPA 체계에 맞도록 수정해 사용했다. 화학산업에 포함된 제약관련 기업들은 대부분 의료기기를 만드는 업체로 나 타나 화학산업에서 분리했다. 산업 기업수 산업 기업수 산업 기업수 농업 10 석탄광업 6 건설 10 음식료품 35 직물 30 의류 7 제지 7 인쇄, 출판 2 화학 44 표 1. 연도별, 산업별 분석대상 기업 수 석유, 석유 화학 5 유리, 석재, 도자기 33 제철 31 철제품 6 기계 20 전기전자 76 자동차 31 기타운송기계 2 의료기기, 특수기계 72 고무, 플라스틱 5 운송 31 통신 6 전기공급 31 도소매 70 기타 서비스업 55 공공서비스 17 총합계 642

208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2. 총요소생산성 측정 본고에서는 중국 상장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Caves et al.(1982)과 Good et al.(1999)에 의해 개발된 인덱스 방법을 사용했다. 인덱스 방법은 Copeland(1937), Tinbergen(1942), Kendrick(1955) 등에 의해 사용됐으 며, Solow(1957)의 성장회계 모형이 개발되면서 자연로그를 활용하는 방법으 로 발전했다. 이후 Diewert(1976), Caves et al.(1982), Good et al.(1999)의 연구 에서는 지수(Index)를 개발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와 같은 기존 연구를 근거로 최근에는 기업의 생산성 측정을 위해 기준 연도의 산업평균 생산성으로부터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상대적 생산성지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회귀분석으로 생산함수를 추정하는 모 수적 추정방법(parametric method)과 비교해 개별 기업의 시계열적 생산성 변 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동종 산업에 속한 개별 기업간 생산성 차이를 파악하거나, 국가간 생산성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유용한 틀을 제공 한다. 인덱스방법의 장점을 활용해 深 尾 京 司 外 (2007)의 연구에서는 한국, 중 국, 일본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시계열적 생산성 변화, 개별기업 및 산업 간 생 산성 비교, 국가간 생산성 비교분석 등을 수행했다. Jung, Lee, and Fukao (2008)에서는 생산성 지수방식을 통해 한국과 일본기업의 생산성을 비교하고, 한국기업의 일본기업에 대한 기술추격 방식을 분석했다. 본고에서도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深 尾 京 司 外 (2007)와 Jung, Lee, and Fukao(2008)에서 사용된 수식을 이용했다. 중국 상장기업의 생산성 지수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수식은 아래와 같다. lntfp + f, t t s= 1 = (ln Q (ln Q s f, t ln Q ) ln Q s 1 t ) n i= 1 t 1 ( Si, f, t + Si, t )(ln X i, f, t ln X i, t ) 2 n 1 ( Si, s + Si, s 1 )(ln X i, s ln X i i 2 s= 1 = 1, s 1 ) (1) Qf,t는 t연도에 기업f의 산출량을, ln Qt 는 t연도 동종 산업에 속한 모든 기업 들의 산출량 자연로그 값의 평균을 의미한다. Xi,f,t는 t연도 기업 f에 투입된 생 산요소로 본고에서는 노동, 자본, 중간재를 사용했다. Si,f,t는 t연도 기업 f에 투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09 입된 전체 생산요소비용 중 특정 생산요소 i에 투입된 비용의 비율을 의미한다. 수식 (1)의 첫째 행은 t연도 개별 기업의 생산성이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생산성 평균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t연도에 동종 산 업에 속한 기업간 생산성 비교에 사용될 수 있다. 둘째 행은 t연도 산업의 평 균생산성과 기준연도의 평균생산성 간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에 사 용된 데이터의 시작연도인 1999년을 기준으로 설정했다. 3. 변수측정 산출량을 나타내는 Q f,t 는 CSMAR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중국 상장기업 의 연도별 명목 총매출액에서 물가상승 효과를 제거한 실질가치로 전환하여 사 용했다. 실질매출액 사용을 통해 물가상승이 생산성 증가로 인식될 수 있는 가 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통계연감 에서 제공되는 산업별 생산 자물가지수 3) 를 실질가치로 전환하기 위한 디플레이터로 활용했다. 투입된 생산요소 X i,f,t 중 노동은 각 기업의 연도별 종업원 수로 측정했다. 자본은 대차대조표상의 유형고정자산을 활용했다. 자본의 실질가치를 구하기 위해 감가상각을 차감한 순고정자산을 자본재디플레이터로 나눈 값을 사용했 다. 각 자본재디플레이터는 중국 인민은행의 자료를 활용했다. 중간재도 중간 투입비용을 중간재디플레이터를 활용해 실질값으로 전환하여 사용했다. 중간 투입비용은 손익계산서상의 매출원가와 판매 및 일반관리비의 합에서 감가상 각비와 인건비를 제외한 값으로 측정했다. 중국의 손익계산서는 매출원가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판매 및 일반관리비와 함께 총운영비용(Total Operating Expense)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직접 이용했다. 중간재디플레이터는 중국 의 투입산출표(Input Output Table)와 산업별 생산자물가지수를 활용해 산업 별로 추정했다. 투입된 생산요소비용의 비율 S i,f,t 측정을 위해 각 기업의 인건비, 중간투입 비용을 사용했다. 자본비용은 유형고정자산과 아래 식 (2)에 표시된 자본사용 자의 기회비용 비율(c k )을 곱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z는 단위 투자당 감각상각 처리로 발생하는 세금 절감효과를 나타냈다. 4) 3) 해당 연도 중국통계연감 의 9-16항목을 활용했다. 4) 이 방법은 Jorgensen (1963), Fukao et al.(2003)의 연구에 기초하고 있으며, 자본사용자의

210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c k 1 z p& = pk{ λr + (1 u)(1 λ) i + δ ( 1 u p ( z = ( u δ ) /[{ λr + (1 u)(1 λ) i} + δ ] ) k k )} (2) u는 실효법인세율로 중국 전체 상장기업의 연도별 순익과 법인세 납부액 자료를 토대로 추정했다. 중국 상장기업들이 부담한 실효법인세율은 1999년 18.8%에서 2007년 25.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λ는 자기자본 비율로 대차대조표상의 총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을 사용했으며, r은 자기자본의 기회비용으로 장기국채의 이자율을 활용했다. 타인자본 기회비용인 i는 장기 회사채 수익률을 사용했다. δ는 감가상각률로 연도별 실제 감가상각과 유형 고정자산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했다. 5) 표 2. 중국 상장기업의 실효법인세율 추정 (단위: %) 연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실효법인세율 18.8 19.1 27.5 30.0 26.9 27.8 32.2 27.7 25.6 III. 중국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정결과 1.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분석 [표 3]은 수식 (1)에 근거해 추정한 중국 상장기업의 총요소생산성지수를 나타내고 있다. 6) 1999년을 기준연도로 추정한 총요소생산성지수에 따르면, 중국 상장기업의 생산성은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6%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7) 특히 2006년 이후 중국기업들의 생산성 증가속도가 빨라진 것 기회비용 측정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深 尾 京 司 外 (2007)와 Jung(2008)을 참조할 것. 5) 본고에서 추정한 중국의 전체 산업 감가상각률은 8.9%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감가상각률이 9.2%로 다소 높았으며, 서비스업은 7.8%로 나타났다. 6) 분석의 편의를 위해 식 (1)의 lntfp에 100을 곱한 후 다시 100을 더하는 방식으로 지수화 했다. 따라서 이 지수와 100과의 차이가 증가율을 의미한다.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11 으로 분석됐다. 1999년 전체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평균을 100으로 했을 때, 2005년은 105.1로 나타나 1999년 이후 6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0.85%에 불 과했다. 반면, 2006년과 2007년 총요소생산성지수는 각각 107.7과 112.4를 기 록해 연평균 6.9% 증가하는 등 최근 들어 중국기업의 생산성이 빠르게 높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2006년과 2007년 중국의 경제성장률도 각각 11.1%와 13%에 달하는 등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해, 이 기간 중국경제의 양 적 성장은 물론 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질적 성장도 함께 이루어진 것으 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기계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총요소생산성이 연평균 4.1% 증가해 전체 산업 중 가장 높은 생산성 증가를 보였다. 다음으로 전기 및 전자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연평균 3.6%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신산업도 연평균 3.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자동차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도 2.8%로 나타나 중국 전체 상장기업의 연평균 증가율인 1.6%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국 상장기업들의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1999년 이후 하이테크 제조업을 중심으로 생산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이 전 세계에 상품을 공급하는 제조기지 역할을 하면서 양적인 팽 창과 함께 생산성의 상승도 동반된 것이다. 높은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기록 한 기계, 전기전자, 자동차산업은 다국적 기업들의 중국진출이 활발한 분야 로, 중국 로컬기업과 다국적기업 간 경쟁 또는 협력과정에서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자산업의 경우 치열한 시장경쟁으로 중국기업 간 인수합 병(M&A)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중국 메이디전기( 美 的 電 器 )는 룽스다( 榮 事 達 )를 인수한 데 이어 세탁기 제조업체인 샤오톈어( 小 天 鵝 )의 지분 24%를 16.8억 위안에 인수해 하이얼( 海 爾, Haier)과 함께 대표적인 세탁기 업체로 성 장했다. 창훙( 長 虹 )도 2005년 메이링( 美 菱 )을 인수한 후 냉장고 생산규모를 200만 대 이상 확대했다. 기계산업은 2000년대 들어 올림픽을 앞둔 베이징을 7) Jung, Lee, and Fukao(2008)의 연구에 따르면, 1984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 상장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은 연평균 2.2% 증가해 본고에서 추정한 중국 상장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 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해 생산성을 분석하는 경우, 물가상승으로 인한 착시현상을 제거하 기 위해 반드시 실질값으로 전환하여 사용해야 한다. 2006년과 2007년 중국은 비교적 저 물가를 유지했을 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산업별 물가지수를 활용해 실질값으로 생산 성을 추정했다.

212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비롯해 중국 전역에서 건설 붐이 일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미국 칼라일그룹이 인수에 실패하면서 널리 알려진 중국의 쉬궁( 徐 工 )그룹을 비롯한 7개 중국업 체들이 세계 50대 중장비업체에 이름을 올렸다. 9) 반면 제조업 중 제철, 조선, 화학 등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중공업 분야에서 는 생산성 증가가 미약했다. 제철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0.9%, 조선 및 기타운송기계산업은 0.8%, 화학산업은 0.4%로 나타나 상장기업 전체 표 3.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지수 추이(1999=100) 산업명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평균 증가율(%) 기계 100 106.0 103.6 102.9 113.5 122.2 124.7 125.9 132.6 4.1 전기전자 100 104.8 107.6 107.9 114.2 123.4 122.4 128.5 128.8 3.6 통신 100 104.6 94.1 83.8 108.0 122.2 119.5 113.2 127.2 3.4 유리, 석재, 도자기 100 103.5 98.3 99.2 108.9 107.8 105.7 110.6 123.3 2.9 자동차 100 95.7 92.6 96.8 109.5 109.4 111.2 117.4 122.8 2.8 인쇄, 출판 100 99.9 93.3 101.8 102.9 106.5 109.3 98.2 122.5 2.8 고무, 플라스틱 100 95.7 93.2 101.3 89.9 111.3 108.3 109.4 121.3 2.7 의료기기, 특수기계 100 100.3 95.0 103.5 105.7 107.3 111.8 111.8 118.3 2.3 음식료품 100 106.5 99.4 98.8 98.0 101.2 102.3 108.6 115.6 1.9 기타 서비스업 100 104.8 106.4 109.6 111.0 105.3 101.1 108.3 115.1 1.9 제지 100 100.2 93.0 77.6 101.9 104.8 110.4 112.5 114.2 1.8 운송 100 88.8 86.7 88.0 92.5 98.1 103.2 102.7 112.4 1.6 공공서비스 100 89.6 102.1 102.3 100.5 106.8 99.1 102.4 107.4 0.9 제철 100 101.3 100.9 102.3 97.5 95.9 97.4 100.4 106.9 0.9 기타 운송기계 100 91.2 101.8 101.9 102.7 100.0 98.8 101.7 106.2 0.8 건설업 100 99.1 92.5 100.1 104.2 100.8 101.5 104.5 106.1 0.8 직물 100 102.1 94.7 98.4 102.8 100.3 101.8 106.6 104.8 0.6 화학 100 101.8 97.5 96.2 100.6 103.4 98.8 101.9 103.5 0.4 전기공급 100 98.8 99.4 99.1 104.3 103.1 99.5 101.3 102.8 0.3 철제품 100 103.1 104.0 100.1 101.6 107.1 101.1 101.1 100.2 0.0 도소매 100 99.5 98.3 100.0 99.1 97.0 93.1 92.3 97.0-0.4 농업 100 96.6 96.2 84.8 89.0 91.4 85.0 87.3 91.8-1.0 의류 100 105.0 99.1 90.1 100.6 85.1 106.1 98.2 87.9-1.5 석유, 석유 화학 100 93.2 88.6 107.8 101.9 89.1 98.9 85.8 82.7-2.2 석탄광업 100 100.5 99.8 79.9 66.2 79.2 83.8 66.5 72.3-3.5 전체기업 평균 100 100.8 98.9 100.4 103.9 105.5 105.1 107.7 112.4 1.6 9) 각종 언론보도에서 인용.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13 평균증가율보다 낮았다. 중화학공업은 단기간에 기술추격이 어려울 뿐 아니 라, 다국적기업의 대중국 투자가 제한되어 있어 기술이전이나 경쟁을 통한 생 산성 향상효과가 크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0)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2006년 이후 부동산 개발업체 11) 의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도소매업의 경우 생산성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 업과 광업 등 1차 산업도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생산성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2.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 분석 가. 기업규모별 생산성 양극화 현상 중국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기업규모별 공헌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 기업과 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규모에 따른 생산성 분석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고속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의 양극화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대상 642개 상장기업을 2007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상위 50%에 포함되는 321개 기업과 하위 50% 기업으로 분할하여 총요소생산성의 추이를 분석했 다. 12) [표 4]는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의 변화 추이를 추정한 결과이다. 중국 상장기업 중 매출규모 상위 50%에 속하는 기업과 하위 50%에 포함되 는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기업에서 발견되는 생산성 양 극화 현상이 중국기업에도 나타나고 있지만, 중국의 양극화 수준은 한국에 비 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1999년의 상위 50% 기업과 하위 50% 기업 간 10) 본 연구는 거시적 측면에서 중국 상장기업의 생산성 추이를 분석하는 데 국한하고 있으 며, 향후 산업별 생산성 변화가 차이를 보이는 원인을 검증하는 구체적인 실증연구가 필 요하다. 11) 기타 서비스업으로 분류된 기업 중 대부분이 부동산 개발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12) 본고에서 추정한 생산성지수는 각 산업별 평균에서 로그차분 거리를 구한 값으로, 해당 산업의 평균에서 각 기업의 생산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생산성지수 가 110인 기업은 해당 연도의 산업평균에서 생산성이 10%만큼 높다는 의미다. 따라서 각 산업의 특성은 이미 산업의 평균값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 추정한 생산성 지수를 기반으로 이종 산업간 비교도 가능하다. 13) Jung, Lee, and Fukao(2008)는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 양극 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985년 상위 50%에 속하는 기업과 하위

214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표 4. 중국 상장기업의 기업규모별 총요소생산성지수 추이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매출 상위 10% (64개 기업) 104.4 105.2 105.1 106.9 108.5 110.4 112.4 113.7 116.6 매출 상위 50% (321개 기업) 99.5 101.1 100.1 102.7 106.1 109.4 109.9 111.3 115.4 매출 하위 50% (321개 기업) 89.8 91.0 88.1 88.5 92.7 94.6 90.8 94.7 100.5 매출 하위 10% (64개 기업) 71.6 77.2 74.4 72.5 77.5 72.7 60.7 65.7 68.7 상위50% - 하위50% 9.7 10.1 12.1 14.2 13.4 14.8 19.1 16.6 14.9 생산성 격차는 9.7포인트인 반면, 2007년 14.9포인트로 확대돼 약 1.5배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Jung, Lee, and Fukao(2008)의 연구에 나타난 한국기업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중국의 생산성 양극화 속도는 한국보다 낮지만 절대적 인 생산성 격차는 한국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중국 상장기업 데이터 중 상위 10%에 속하는 64개 기업 과 상위 50%에 포함되는 기업 간 생산성 격차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1999 년 상위 10% 기업과 상위 50% 기업 간 생산성 격차는 4.9%였지만, 이후 격 차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2007년에는 1.2%에 불과하다. 이는 대규모 기업과 중간규모 기업 간 생산성 수렴(Convergence) 현상으로, 대규모 기업의 기술이 중간규모 기업으로 이전하는 효과(Spillover)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하위 10%에 포함되는 기업들의 생산성은 오히려 하락하는 등 규모가 작은 기업으로의 기술이전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나. 최상위 10대기업의 생산성 추이 중국정부는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기업을 육성하고 있어, 상장기업 중 규모가 큰 기업들의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매출 규모를 기준으로 최상위 10대 기업의 생산 50%에 포함되는 기업 간 생산성 격차는 4포인트 수준으로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5포인 트를 넘지 않았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두 그룹 간 생산성 격차가 커지면서 2005년에는 12포인트까지 확대되는 등 3배 이상 격차가 증가했다.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15 성 추이를 분석했다. 14) [표 5]는 매출규모 10대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최 상위 10대 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0.5%로, 전체 상장기업 평균인 1.6%의 1/3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국 10대 기업 중 4개 기업의 생산성은 1999년 이후 오히려 하락했으며, 특히 5대 기업 가운데 생산성이 높아진 기업 은 2개에 불과했다. 이와 같은 추정결과를 통해 중국정부의 대기업 육성정책 에도 불구하고 최상위 10대 기업들의 생산성은 하락하여 질적 성장에는 실패 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최상위 기업의 생산성 하락은 중국기업에서 나타 나는 독특한 현상이다. 15) 최상위 10대 기업 중 일부 기업의 생산성은 증가하지 않았지만, 생산성의 수준 자체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상장기업 가운데 가장 매출이 가장 높은 SAIC(상하이자동차)의 경우 2007년 생산성지수는 131.2로 동종 산업평균(122.8)보다 8.4포인트 높았다. 제철산업으로 분류된 Shanxi Taigang Stainless Steel의 2007년 생산성지수는 108.3으로 동종 산업평 균보다 1.4포인트 높았다. 중국 10대 상장기업의 높은 생산성 수준 대비 낮은 생산성 증가율을 통해, 이들 기업이 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 고 있지만, 생산력 향상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는 소홀히 했다고 추정할 수 있 다. 16) 중국정부는 신중국 건국 이래 중공업 육성정책을 추진하면서 대기업 설 립에 주력했으며, 1990년대 이후에도 기업간 인수ㆍ합병을 통한 경쟁력 확대 를 유도했다. 17) 중국정부의 주도하에 형성된 대기업은 독점적 지위를 보장받 게 되고, 단위 생산당 생산요소 투입을 절감하고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노력에 힘쓸 필요가 없었다. 실제로 중국 경제체제 개혁과정에서 형성된 대형 국유기 업들은 정부의 역할을 일정 부분 대신하면서 인력감축은 소홀히 하는 경향이 14) 개별기업의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균형패널데이터(Balanced Panel)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일부 대기업 자료는 제외됐다. 본고에서 언급되는 10대 상장기업은 생산성 추 정을 위해 구성한 균형패널데이터에 포함된 기업들 중 최상위 10개 기업을 의미한다. 15) 한국 상장기업을 분석한 Lee and Jung(2008)의 연구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대기업의 생산성 증가가 다른 기업들과 비교해 월등히 높았다. 일본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深 尾 京 司 外 (2007)의 연구에서도 도요타자동차를 비롯한 최상위 기업 들이 생산성 견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6) 이와 같은 추정은 향후 추가적인 검증과 실증분석이 필요하다. 17) 중국 대기업 육성정책과 기업경쟁력에 대해서는 SERI China Review 2008-3호를 참조할 것.

216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강하다. 반면 최상위 기업과 경쟁을 해야 하는 중견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1999년 이래 매출규모 상위 10%에 속하는 64개 기업들의 생 산성은 최상위 10대 기업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지 원을 받고 있는 최상위 기업과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중견기업들은 생산성 확대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했던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표 5. 매출규모 최상위 10대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지수 추이 연평균 순 기업명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위 (%) 1SAIC Motor 142.2 134.5 128.6 130.5 128.6 135.5 132.3 126.8 131.2-1.4 2 Minmetals Development 114.7 113.5 118.8 122.3 122.4 111.4 111.9 111.8 109.9-0.6 Shanxi Taigang 3 Stainless Steel 103.1 103.7 103.6 104.2 100.8 95.1 102.2 106.1 108.3 0.7 4Angang Steel 99.8 102.6 102.2 104.5 104.5 100.8 106.9 122.9 117.0 2.1 Sinopec Shanghai 5 Petrochemical 93.9 93.6 94.2 105.3 99.4 109.1 98.2 84.3 81.8-1.5 6 Wuhan Iron and Steel 108.6 109.6 113.1 114.0 106.9 113.1 115.4 114.7 121.7 1.6 7 Maanshan Iron & Steel 79.2 94.7 97.4 101.9 110.6 105.3 104.1 106.7 104.6 3.2 China International 8 127.8 132.9 139.6 136.7 109.8 118.1 113.8 108.2 104.8 Marine Containers -2.9 Hunan Valin 9 Steel Tube & Wire 99.8 100.2 103.8 103.0 100.3 92.2 95.8 100.5 103.9 0.5 China Eastern 10 Airlines 59.9 63.6 64.0 65.7 63.6 72.1 79.5 74.2 89.1 3.7 10대 기업 평균 102.9 104.9 106.5 108.8 104.7 105.3 106.0 105.6 107.2 0.5 3. 산업별 기업간 총요소생산성 비교 분석 선두기업과 추격기업 간 생산성 추이를 좀 더 면밀히 비교하기 위해 산업 별로 기업수준에서 생산성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선두기업과 추격기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17 업 간 생산성 비교는 향후 경쟁구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부의 지원을 받는 선두기업이 추격기업에 비해 높은 생산성 증가를 보인다면, 향후 선두기업의 독점적 지위는 더욱 공고해질 가능성이 높다. 반 면 추격기업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일 경우, 선두기업과 추 격기업 간 시장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 본고에서는 2007년 매출을 기준으로 각 산업별 상위 5개 기업을 선정하고, 이들 기업의 생산성 변화를 비교했다. 18) 연구의 편의상 전체 패널데이터를 노 동집약적 제조업, 일반 제조업, 건설 및 서비스업으로 분류했다. 전통 제조업 에는 음식료품, 직물, 의류산업이 포함됐으며, 일반 제조업에는 전기전자, 화 학, 석유 및 석유화학, 금속 및 비금속, 기계, 자동차 및 운송기계 등이 포함됐 다. 건설 및 서비스업은 건설업, 운송, 통신, 전기공급, 도소매업 등을 포함하 고 있다. 본고에서 대분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동일 산업으로 분류된 기업들 이 이질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있어, 기업간 생산성 비교가 무의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중국기업들이 사업다각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부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기업간 생산성 비교도 의미가 있다. 19) 가. 노동집약적 제조업 [표 6]에 표시된 총요소생산성 추이에 따르면, 노동집약적 제조업으로 분류 된 모든 산업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한 선두기업보다 높은 생산성 증가율을 보 이는 추격기업들이 다수 존재했다. 음식료품산업을 제외하면 매출규모와 생 산성 증가율이 오히려 역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직물업의 경우 선두기업인 China Union Holdings의 생산성 증가율이 동종 산업 상위 5개 기업 중 가장 낮았다. 반면 직물업 분야 5위 기업인 Aerospace Communications의 연평균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4.1%로, 선두기업과 비교 18) 본 연구에 사용된 패널데이터 중 기타 운송기계에 포함된 기업은 모두 2개에 불과해, 이 들 2개 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19) 중국기업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국유기업을 제외한 기타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다각화를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민간기업이 특정 상 품에서 두각을 나타내면 자본주의흑공장( 資 本 主 義 黑 工 場 ) 이라는 오명을 쓰고 정부규 제의 대상이 됐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단일 제품에 특화하지 않고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성장을 모색했다.

218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해 3.5%포인트 높았다. 음식료품 4위 기업인 Wuliangye Yibin의 연평균 생산 성 증가율도 선두기업인 Henan Shuanghui Investment & Development보다 1.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의류산업의 경우에도 5위 기업인 Hubei Eastern Gold Jade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이 2.7%로 가장 높았으며, 선두기업인 Youngor Group의 생산성 증가율은 0.6%에 불과했다. 표 6. 전통제조업 상위 5대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지수 추이 연평균 기업명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 (음식료품) Henan Shuanghui 95.4 101.5 103.7 105.0 107.0 103.9 111.0 115.6 115.0 2.5 Investment & Development Inner Monglolia Yili Industrial Group 98.5 104.9 103.7 105.0 111.4 109.5 112.7 114.2 112.2 1.7 Beijing Yanjing Brewery 101.9 110.0 105.1 102.7 114.0 108.8 104.5 106.4 110.5 1.1 Wuliangye Yibin 111.1 123.4 112.3 105.3 113.5 117.7 118.4 128.8 142.5 3.9 Sichuan New Hope Agribusiness 94.7 96.3 97.0 95.7 99.3 97.2 102.1 103.9 101.6 0.9 (직 물) China Union Holdings 96.6 101.5 103.7 105.2 99.3 95.5 108.5 113.4 101.5 0.6 Shanghai Shenda 104.6 101.3 99.5 103.5 104.4 104.0 109.8 111.6 112.1 0.9 Shen Ma Industry 94.2 95.8 87.7 93.9 99.7 105.5 106.3 105.9 110.8 2.1 Shanghai Dragon Corporation 100.9 99.8 92.3 100.6 100.7 91.0 102.9 104.0 111.4 1.3 Aerospace 105.9 110.2 115.9 122.1 126.5 128.1 133.7 120.7 138.3 Communications Holdings 4.1 (의 류) Youngor Group 111.1 111.7 109.7 107.1 111.0 113.8 114.0 116.4 118.1 0.9 Ningbo Shanshan 100.8 103.2 100.2 107.0 105.5 108.3 107.7 107.0 109.5 1.1 Shanghai Worldbest Industry Development 90.8 94.5 84.7 85.4 91.8 93.7 84.9 84.0 68.9-2.7 Shanhai Sanmao Enterprise(Group) 101.6 101.7 103.4 99.5 103.0 93.4 105.4 106.1 116.3 1.8 Hubei Eastern Gold Jade 90.2 93.4 101.2 106.8 82.6-9.8 108.6 114.1 111.4 2.7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19 나. 일반 제조업 [표 7]에 표시된 총요소생산성 추이에 따르면, 일반 제조업으로 분류된 산 업 중 유일하게 고무 및 플라스틱산업 분야에서 선두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고무 및 플라스틱 산업 선두기업인 Double Coin Holdings의 연 평균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4.4%로, 2위 기업인 Qingdao Doublestar보다 4.1%포인트 높았다. 전기 및 전자, 기계산업 분야에서는 선두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전기 및 전자 산업 선두기업인 Glee Electric Appliance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은 4.2%로 5위 업체인 Dongfang Electric 보다 3.7%포인트 낮지 만, 2위 업체인 ZTE Corporation, 4위 업체인 Qingdao Haier보다는 높게 나타 났다. 기계산업 분야 1위 기업인 CNHTC Jinan Truck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 율은 5.4%로, 2위 업체인 Shenyang Machine Tool 보다는 4.4%포인트 낮았지 만, 기타 기계산업 기업들 보다는 높았다. 전기 및 전자, 기계산업에 속한 상위 5개 기업의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들 산업에 속한 기업간 생산성 격차는 1999년 이후 꾸준히 줄어들면서 생산성 수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기계산업의 경우 1999 년 가장 효율적인 기업과 비효율적인 기업간 생산성 격차는 59.1포인트에 달했 지만, 2007년에는 그 격차가 14.4포인트까지 줄었다. 전기 및 전자산업에 속한 기업간 생산성 격차도 1999년 27.5포인트에서 2007년 17.5포인트로 줄었다. 고무 및 플라스틱, 전기 및 전자, 기계 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조업 분야 에서 선두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다. 특히 유리ㆍ석재ㆍ도자기, 철제품, 자동차, 의료기기 및 특수기계 산업의 경우 선두기업의 생산성 증가 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산업 매출 1위 기업인 SAIC의 생산 성 증가율은 연평균 -1.4%로 1999년 이후 생산성이 오히려 악화됐다. 반면 4 개 추격기업의 평균 생산성 증가율을 2.0%로 선두기업과의 생산성 격차가 줄 어들고 있다. 의료기기 및 특수기계 산업의 경우, 선두기업인 Shanghai Pharmaceutical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은 1.5%인 반면, 5위 기업인 Shenzhen Accord Pharmaceutical의 생산성 증가율은 15.5%에 달했다. 제철산업에서도 4위 기업 인 Maanshan Iron & Steel의 생산성 증가율이 3.2%로 가장 높았으며, 생산성 수준에서는 3위 업체인 Wuhan Iron and Steel이 가장 높았다.

220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표 7. 일반 제조업 상위 5대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지수 추이 연평균 기업명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 (전기전자) Gree Electronic Appliances 106.8 110.2 113.6 115.4 118.4 121.5 128.6 132.5 140.0 4.2 ZTE Corporation 118.6 123.1 131.0 129.0 133.3 134.8 140.1 139.9 145.2 3.3 GuangDong Midea Electric 100.5 108.3 110.1 111.1 115.3 119.0 125.8 129.3 136.7 Appliances 4.5 Qingdao Haier 110.2 112.8 122.1 119.5 126.9 125.3 127.1 129.4 137.3 3.4 Dongfang Electric 91.1 88.2 43.2 100.2 111.2 138.3 149.2 155.1 154.2 7.9 (화 학) Shandong Haihua Company 100.5 107.4 107.6 103.5 101.6 102.3 101.6 104.1 104.7 0.5 Yunnan Yuntianhua 139.9 127.6 115.1 121.8 121.7 138.1 136.2 121.3 121.2-2.3 Sichuan Lutianhua Company 101.5 102.5 98.8 106.3 114.0 120.9 120.1 113.4 114.6 1.6 Shenyang Chemical Industry 94.7 97.2 94.4 95.5 102.7 103.1 101.4 106.4 106.5 1.5 Zhejiang JuHua 103.2 103.6 99.2 102.6 104.1 105.0 104.5 96.3 104.6 0.2 (석유, 석유화학) Sinopec Shanghai Petrochemical 93.9 93.6 94.2 105.3 99.4 109.1 98.2 84.3 81.8-1.5 Maoming Petro-Chemical 104.7 98.4 101.7 113.9 107.8 99.8 93.9 88.3 85.0 Shihua -2.5 Chang Jiang Shipping Group Phoenix 94.7 97.1 96.0 114.2 111.9 106.2 101.7 78.9 71.2-2.9 Shanxi Meijin Energy 82.4 70.2 48.7 101.0 96.2 96.8 92.9 81.4 87.8 0.7 Ningxia Dayuan Chemical 90.3 88.3 88.2 69.5 56.9 22.9 89.8 76.2 55.9-4.3 (고무, 플라스틱) Double Coin Holdings 92.9 93.0 89.7 111.2 115.9 125.0 124.7 121.5 128.1 4.4 Qingdao Doublestar 114.5 104.3 103.7 107.2 107.8 112.2 115.3 112.0 117.3 0.3 Guizhou Tyre 101.5 101.5 90.1 104.7 109.4 112.5 115.8 116.5 118.7 2.2 Giti Tire 98.3 94.1 79.0 62.1-17.1 123.5 117.6 110.5 120.7 2.8 Shanghai Dingli Technology 88.4 82.4 101.5 119.8 128.0 84.1 66.9 82.2 121.8 Development (Group) 4.2 (유리, 석재, 도자기) Fuyao Group Glass Industry 111.4 129.3 123.7 123.9 127.0 129.3 124.3 129.0 136.8 3.2 Huaxin Cement 70.7 91.5 93.1 97.8 110.3 115.7 109.3 115.1 123.5 6.6 CSG Holding 75.9 110.8 109.5 119.2 127.6 134.5 126.9 124.4 131.9 7.0 Tangshan Jidong Cement 93.9 105.2 107.0 106.8 110.1 110.8 111.4 114.4 125.5 4.0 Beijing New Building Materials 103.5 109.6 108.6 111.2 113.5 115.6 126.4 128.2 132.4 3.6 (제 철) Shanxi Taigang Stainless Steel 103.1 103.7 103.6 104.2 100.8 95.1 102.2 106.1 108.3 0.7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21 표 7. 계속 연평균 기업명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 (제 철) Angang Steel 99.8 102.6 102.2 104.5 104.5 100.8 106.9 122.9 117.0 2.1 Wuhan Iron and Steel 108.6 109.6 113.1 114.0 106.9 113.1 115.4 114.7 121.7 1.6 Maanshan Iron & Steel 79.2 94.7 97.4 101.9 110.6 105.3 104.1 106.7 104.6 3.2 Hunan Valin Steel Tube & 99.8 100.2 103.8 103.0 100.3 92.2 95.8 100.5 103.9 Wire 0.5 (철제품) China Internatioanl 127.8 132.9 139.6 136.7 109.8 118.1 113.8 108.2 104.8 Marine Containers (Group) -2.9 Xinxing Ductile Iron Pipes 99.9 106.4 110.5 113.0 117.6 113.5 107.9 108.6 107.8 1.0 Xinyu Iron &Steel 92.0 96.4 97.2 102.5 102.8 106.0 104.9 106.7 101.2 1.1 Ning Xia Heng Li Steel Wire Rope 85.0 92.1 89.1 83.0 81.5 94.9 91.0 87.3 92.2 0.9 China Fangda Group 97.6 100.0 93.5 55.0 91.1 93.7 81.2 90.1 92.4-0.6 (기계류) CNHTC Jinan Truck 100.2 101.5 84.2 40.9 72.7 126.7 129.7 134.5 143.6 5.4 Shenyang Machine Tool 55.7 80.8 92.6 101.1 110.5 124.4 129.3 133.4 134.0 9.8 Shanghai Diesel Engine 110.1 112.5 115.5 129.4 134.7 139.1 141.9 134.8 137.5 3.4 Weifu High-Technology 114.8 119.0 122.7 125.4 127.9 135.9 136.8 141.4 144.4 3.7 Changchai Company,Limited 109.4 108.0 86.7 81.1 115.6 122.0 124.1 128.0 130.0 2.6 (자동차) SAIC Motor 142.2 134.5 128.6 130.5 128.6 135.5 132.3 126.8 131.2-1.4 Beiqi Foton Motor 104.1 98.1 101.0 105.9 110.1 114.1 112.2 116.7 121.4 2.2 Chongqing Changan Automobile 104.0 103.8 106.9 119.7 124.4 123.7 119.3 123.9 120.1 2.0 FAW CAR 115.9 108.1 102.3 112.6 116.3 120.0 122.4 122.9 127.9 1.5 Dongfeng Automobile 107.7 111.5 114.7 116.3 120.6 122.8 122.0 122.1 126.5 2.4 (기타 운송기계) Guangzhou Shipyard International 103.1 73.0 100.3 96.2 103.1 101.8 102.6 107.6 117.4 1.8 Xian Aircraft International 95.2 104.6 100.7 104.3 98.3 96.9 92.3 94.1 91.7-0.4 (의료기기, 특수기계) Shanghai Pharmaceutical 113.0 112.1 112.6 116.7 116.2 116.4 118.6 119.6 125.3 1.5 NanJing Pharmaceutical 113.8 106.5 106.4 114.7 120.9 122.7 127.4 130.5 136.4 2.8 Harbin Pharmaceutical Group 100.7 101.7 102.3 109.2 114.5 113.4 119.2 119.0 120.5 2.5 Guangxi Liugong Machinery 98.5 96.4 99.6 114.2 120.9 120.8 123.1 124.0 128.2 3.7 Shenzhen Accord Pharmaceutical 1.5 59.4 102.9 106.5 108.8 109.7 115.0 121.2 122.9 15.4

222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다. 건설업 및 서비스업 [표 8]에 표시된 총요소생산성 추이에 따르면, 건설업에서도 매출규모 1위 기업인 China Gezhouba Group의 연평균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0.9%로 동 종 산업 5대 기업 중 가장 낮았다. 반면 5위 기업인 Longjian Road & Bridge 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은 2.1%로 가장 높았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운송업 분야 1위 기업인 China Eastern Airlines의 연평 균 생산성 증가율이 동종 산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생산성 수준은 오 히려 가장 낮았다. 운송업을 제외한 서비스 산업에서는 매출 1위 기업의 생산 성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통신업, 전기공급, 도소매업에 서는 1위 기업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다. 통신분야 매출 3위 기업인 Chendu B-ray Media는 1999년 이후 높은 생산성 증가율을 기록해 생산성의 수준도 이미 선두기업인 CITIC Guoan Information Industry 를 넘어섰다. 표 8. 건설 및 서비스업 상위 5대 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지수 추이 연평균 기업명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 (건 설 업) China Gezhouba Group 104.3 105.6 100.1 99.8 91.8 89.5 54.3 51.9 97.2-0.9 Shanghai Tunnel Engineering 95.5 98.9 97.1 100.6 102.7 102.0 99.1 99.3 102.0 0.8 China Non-ferrous Metal Industry s Foreign Engineering and 95.8 116.2 78.2 82.7 100.6 105.6 102.8 121.4 110.5 1.8 Construction Shenzhen Tonge (Group) 109.4 100.8 107.2 110.3 109.9 107.4 107.3 103.6 105.5-0.5 Longjian Road & Bridge 74.4 70.6 79.9 99.9 98.1 96.7 95.0 94.2 91.6 2.1 (운 송) China Eastern Airlines 59.9 63.6 64.0 65.7 63.6 72.1 79.5 74.2 89.1 3.7 Zhongchu development stock 100.5 76.3 78.4 79.7 83.3 78.5 94.3 95.2 100.3 0.0 Shanghai International Airport 174.8 117.6 101.9 107.5 135.7 157.5 145.2 139.8 152.7-2.8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23 표 8. 계속 연평균 기업명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증가율 (%) (운 송) Tianjin Port 89.9 96.3 105.4 104.7 106.5 104.6 102.8 108.0 116.8 3.4 Zhuhai Zhongfu Enterprise 79.0 73.0 70.7 76.5 72.9 82.7 80.0 86.9 97.5 2.3 (통 신) CITIC Guoan Information 141.7 143.3 122.8 108.3 112.4 129.1 126.0 123.1 131.8 Industry -1.2 Shanghai Jinling 97.4 100.1 98.7 103.8 105.4 110.3 116.7 121.9 126.7 3.7 Chengdu B-ray Media 90.7 94.2 97.8 137.5 127.7 127.5 131.7 134.8 143.4 6.6 Chinasatoom Guomai Communication 118.7 97.7 100.5 104.3 106.9 111.0 115.6 105.7 105.3-1.7 Changan Information Industry (Group) 52.9 96.9 96.2 79.3 122.6 129.6 102.1 68.4 115.7 7.9 (전기공급) GD Power Development 112.6 71.4 88.7 86.1 88.0 101.4 99.7 101.8 108.5-0.5 Guangdong Electric Power Development 141.0 142.1 138.0 131.6 136.3 122.9 120.8 123.4 121.3-2.5 Shenergy Company Limited 107.2 113.2 125.1 139.5 154.9 147.7 125.1 119.4 121.7 1.8 Guangzhou Development 99.0 109.2 117.8 122.9 122.7 116.9 113.2 113.0 116.2 Industry (Holdings) 2.1 Inner Mongolia MengDian 87.3 99.3 93.5 96.6 97.5 96.9 92.2 89.3 88.6 HuaNeng Thermal Power 0.2 (도소매) Minmetals Development 114.7 113.5 118.8 122.3 122.4 111.4 111.9 111.8 109.9-0.6 Shanghai Material Trading 101.2 100.5 105.0 108.9 109.4 105.8 109.9 109.3 106.7 0.7 Xiamen C&D Inc 109.3 107.7 108.9 111.5 107.4 104.2 103.4 104.7 104.8-0.6 Shanghai Friendship Group Incorporatd 82.9 100.7 103.9 104.4 105.7 102.8 101.8 103.1 102.8 2.5 Xiamen ITG Group 108.0 107.3 105.4 108.4 110.0 106.6 108.8 107.9 106.0-0.2 (기타 서비스업) China Vanke 106.1 107.6 108.3 114.4 117.1 121.3 129.8 133.2 135.9 3.7 Tsinghuatongfang 110.7 111.6 111.9 107.9 107.1 111.1 112.6 115.5 121.0 1.3 Insigma Technology 88.8 94.0 98.5 105.2 103.9 104.8 111.6 110.3 110.0 2.6 Financial Street Holdings 86.8 115.9 136.2 141.6 140.1 144.5 151.7 137.4 135.2 6.0 Oceanwide Construction Group 121.7 135.4 144.0 132.3 134.1 128.1 115.8 134.7 140.4 2.3

224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IV. 결론 본고는 중국 상장기업 데이터를 이용해 각 산업별 개별 기업들의 총요소생 산성을 추정하고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했다. 중국기업의 생산성을 분석한 결 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1999년 이래 기계, 전기 및 전자, 통 신, 자동차산업의 생산성이 빠르게 향상됐다. 특히 2006년 이후 생산성 증가 속도가 빨라져, 중국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정책이 성과 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매출규모 상위 50% 기업과 하위 50%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상위 50% 기업 간 기술이전 효과로 생산성 격차가 줄어드는 생산성 수렴현상이 발 생했지만, 이와 같은 효과가 하위기업까지 전달되지는 못했다. 셋째, 최상위 10대 기업의 생산성 증가는 미약해, 한국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나타났던 선두 기업의 생산성 견인 역할이 이루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최상위 10대 기업들은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생산력 향상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는 소홀히 한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산업별 상위 5대 기 업의 생산성 추이를 살펴본 결과, 각 산업 선두기업의 생산성 증가속도가 추 격기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최상위 기업들은 정부 주도의 계획경제 특성을 기반으로 시장을 장악하면서 경쟁력 향상에는 소홀히 한 반 면, 시장 지배기업과 경쟁해야 하는 추격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생산성 향상에 치중한 결과로 추정된다. 본고는 중국의 상장기업을 산업별로 분류한 후, 기업 수준에서 각 산업으로 분류된 개별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분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최근 국제시 장에서 중국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기업 차원에서 중국경제를 연 구한 논문은 희박했다. 본 연구는 산업별로 개별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분석 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과 기업을 제시했다. 산업별 개별 기업의 생산성 을 추정한 결과, 산업별로 매출 1위 기업들의 생산성 견인 역할이 크지 않으 며 오히려 추격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높다는 점을 발견한 것도 큰 의미가 있다. 본고의 중국기업 생산성 분석 결과는 수출 및 해외투자에서 대중국 의존도 가 높은 국내 기업들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중국의 생산성 향상속도가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25 높게 나타난 기계, 전기 및 전자, 통신, 자동차산업은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 으로 국제시장에서 중국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 로 2000년대 들어 중국의 100대 수출 상품 중 기계, 전기 및 전자 관련 상품 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양평섭, 박기임 2006), 중국의 전체 수출에서 기계, 전자, 통신 관련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이다(산업연구 원 2006). 특히 생산성 향상속도가 빠른 중국 추격기업들의 변화에 주의를 기 울일 필요가 있다. 이들 기업은 향후 주요 경쟁자로 성장할 수 있으며, 혹은 훌륭한 사업파트너로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양국 기업 간 기술협력에 앞서 기업수준에서 양국의 생산성 차이를 직접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본고에서 대분류를 사용해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 중 기업 간 생산성 비교에서는 개별 기업의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는 연구 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승록. 2007. 한ㆍ중ㆍ일 기업 경쟁력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산업연구원. 2006. 교역구조의 고도화 추이와 한중비교. 중국경제 기초정보 시리즈 제2006-22호. 양평섭 박기임. 2006. 100대 수출상품으로 본 한중일 3국간 경쟁관계 분석. 무역연구소 이슈페이퍼. 企 業 管 理 出 版 社. 2002. 中 國 企 業 發 展 報 告 (2002).. 2003. 中 國 企 業 發 展 報 告 (2003).. 2004. 中 國 企 業 發 展 報 告 (2004). 中 國 國 家 統 計 局. 2002. 中 國 統 計 年 鑑 2002. 中 國 統 計 出 版 社.. 2003. 中 國 統 計 年 鑑 2003. 中 國 統 計 出 版 社.. 2004. 中 國 統 計 年 鑑 2004. 中 國 統 計 出 版 社.. 2005. 中 國 統 計 年 鑑 2005. 中 國 統 計 出 版 社.. 2006. 中 國 統 計 年 鑑 2006. 中 國 統 計 出 版 社.. 2007. 中 國 統 計 年 鑑 2007. 中 國 統 計 出 版 社. 深 尾 京 司 乾 友 彦 権 赫 旭 袁 堂 軍 金 榮 愨 鄭 武 燮 劉 徳 強 李 根 伊 藤 恵

226 對 外 經 濟 硏 究 제13권 제2호 2009년 12월 子 可 部 繁 三 郎 竹 内 文 英. 2007. 日 本 中 国 韓 国 企 業 の 生 産 性 デー タベースの 作 成. 度 国 際 経 済 研 究 報 告 書, 日 本 経 済 研 究 センター. 袁 堂 軍 劉 徳 強 深 尾 京 司. 2007. 中 国 上 場 企 業 の 生 産 性 分 析, 第 3 章. 深 尾 京 司 外. 日 本 中 国 韓 国 企 業 の 生 産 性 データベースの 作 成. 度 国 際 経 済 研 究 報 告 書, 日 本 経 済 研 究 センター. Qiu, Gang, G. Sheng, Y. T. Yi, X. L. Zhang, L. Y. Xu, and X. F. Sun. 2008. 中 國 大 企 業 大 而 不 强. SERI China Review Series 2008-3. Caves, D. W., L. R. Christensen, and W. E. Diewert. 1982. Multilateral Comparisons of Output, Input, and Productivity using Superlative Index Numbers. Economic Journal, No. 92, pp. 73-86. Copeland, Morris A. 1937. Concepts of National Income. In Studies in Income and Wealth Vol. I, pp. 3-63. New York: NBER. Diewert, W. Eerwin. 1976. Exact and superlative index numbers. Journal of Econometrics, No. 4, pp. 115-145. Good D. H., M. I. Nadiri, and R. C. Sickles. 1999. Index number and factor demand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productiviy. In Pesaran, H. and P. Schmidt Eds. Handbook of Applied Econometrics: Microeconomics, vol. II, pp. 14-80. Oxford: Blackwell Publisher. Fukao, K., T. Miyagawa, H. Kawai, T. Inui, X. Yue, Y. Okumoto, M. Nakamura, M. Hayashida, K. Nakata, K. Hashikawa, N. Okumura, Y. Murakami, S. Hamagata, Y. Yoshizawa, S. Maruyama, and C. Yamauchi. 2003. Sectoral Productivity and Economic Gwowth in Japan: 1970-98. Economic Analysis Series No. 170. The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ESRI). Jorgensen, Dale W. 1963. Capital theory and invenstment behavior.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3, No. 2, pp. 247-259. Jung, Moosup., K. Lee, and F. Kyoji. 2008.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the Korean firms and Catching up with the Japanese firms.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 21, No. 1, pp. 93-137. Jung, Moosup. 2008. Productivity(TFP) and Catching Up of the Korean Firms with the Japanese Firms; Sectoral Innovation Systems and Firm Level Learning.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중국 상장기업의 산업별 경쟁력 추이 연구: 총요소생산성을 중심으로 227 Kendrick, J. W. 1955. Productivity. In Government in Economic Life. Ed.: Solomon Fabricant. 35th Annual Report, pp. 44-47. New York: NBER. Krugman, Paul. 1994. The myth of Asia's miracle. Foreign Affairs, Nov/Dec, pp. 62-78. Lee, Keun and M. Jung. 2008. Productivity Catch-up in Korea and Japan: Conjectures for China. SERI Quarterly, Vol. 1, No. 2. pp. 49-57. Solow, Robert M. 1957.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39, pp. 312-320. Tinbergen, Jan. 1941. Econometrie. Gorinchem: J. Noorduijn en zoon n. v.(in German). Young, Alwyn. 1995. The tyranny of numbers: confronting the statistical realities of the East Asian growth experienc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0, No. 3, pp. 641-680. 논문접수: 2009년 09월 02일 논문수정: 2009년 10월 06일 게재확정: 2009년 10월 26일

정무섭( 鄭 武 燮 )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를 졸업하고, 동 대학 경제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기업 경쟁력과 기술추 격, 인도를 비롯한 신흥국 경제 등이 주요 연구분야이다. 표민찬( 表 旻 燦 )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했으며, 미국 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국 제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매일경제신문사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FDI와 국제무역, 중국경제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Moosup Jung Moosup Jung is a research fellow a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He received his B.A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h.D. in Economic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firm competitiveness, technology catch-up, and emerging market economies. Min-Chan Pyo Min-Chan Pyo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d was a research fellow a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until recently. He received his MBA from National Taiwan University and Ph.D. in international business from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His areas of expertise include FDI, trade, and the Chinese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