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선식료학의 내용 최윤희 교수
약선식료학의 내용 음식양생( 飮 食 養 生 ) 음식치료( 飮 食 治 療 ) 음식절제( 飮 食 節 制 ) 음식의기( 飮 食 宜 忌 )
음식양생( 飮 食 養 生 ) 식양( 食 養 ), 식보( 食 補 ) 라고도 한다. 음식을 이용해 인체에 영양을 공급하고 건강을 유지하 거나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체질( 體 質 ) 증강 형상( 形 象 ) 개선 정신 조양( 調 養 ) 지력( 智 力 ) 증강 노화( 老 化 ) 방지 건강한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
대상과 기능에 따른 양생 대상에 따른 양생( 養 生 )) 기능에 따른 양생( 養 生 )) 노인양생( 老 人 養 生 ) 소아양생( 小 兒 養 生 ) 임산부양생( 姙 産 婦 養 生 ) 건미감비( 健 美 減 肥 ) 강장증비( 强 壯 增 肥 ) 미발오발생발( 美 髮, 烏 髮, 生 髮 ) 윤부양안( 潤 膚 養 顔 ) 연년익수( 延 年 益 壽 ) 명목증시( 明 目 增 視 ) 총이조청( 聰 耳 助 聽 ) 익지건뇌( 益 智 健 腦 ) 증력내로( 增 力 耐 勞 )
건미감비( 健 美 減 肥 ) 건미감비( 健 美 減 肥 )) 건강하게 살을 빼고 몸을 가볍게 하는 것 이수화담( 利 水 化 痰 ), 건비소식( 健 脾 消 食 ), 보기조양( 補 氣 助 陽 ) 의이인( 薏 苡 仁 ), 복령( 茯 苓 ), 택사( 澤 瀉 ), 동과( 冬 瓜 ), 하엽( 荷 葉 ), 와거( 萵 苣 ) 등 약선방( 藥 膳 方 ) : 하엽감비차( 荷 葉 減 肥 茶 ), 의이인연자죽( 薏 苡 仁 蓮 子 粥 ), 삼화감비차( 三 花 減 肥 茶 ) 등
강장증비( 强 壯 增 肥 ) 강장증비( 强 壯 增 肥 )) 건강하게 살을 찌개 하는 것 건비익기( 健 脾 益 氣 ), 개위진식( 開 胃 進 食 ) 전보정혈( 塡 補 精 血 ), 자음양액( 滋 陰 養 液 ) 인삼( 人 蔘 ), 산약( 山 藥 ), 백합( 百 合 ), 소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 등 약선방( 藥 膳 方 ) : 복령협병( 茯 苓 夾 餠 ), 백합율자계( 百 合 栗 子 鷄 ), 저두산약죽( 猪 肚 山 藥 粥 ), 생지증오계( 生 地 蒸 烏 鷄 ) 등
미발( 美 髮 )오발( 烏 髮 )생발( 生 髮 ) 미발( 美 髮 )오발( 烏 髮 )생발( 生 髮 )) 모발을 윤기있고 건강하게 하는 것 자양간신( 滋 養 肝 腎 ), 배보정혈( 培 補 精 血 ) 당귀( 當 歸 ), 숙지황( 熟 地 黃 ), 하수오( 何 首 烏 ), 흑지마( 黑 芝 麻 ), 흑두( 黑 豆 ), 호도( 核 桃 仁 ), 동물의 간( 肝 )과 신장( 腎 臟 ) 등 약선방( 藥 膳 方 ) : 지마호도죽( 芝 麻 胡 桃 粥 ), 수오황정죽( 首 烏 黃 精 粥 ), 상심고( 桑 椹 膏 ),토사자죽( 菟 絲 子 粥 )과 저신핵도( 豬 腎 核 桃 ) 등
윤부양안( 潤 膚 養 顔 ) 윤부양안( 潤 膚 養 顔 )) 피부가 촉촉하고 얼굴이 아름다워지게 하는 것 자신조간( 滋 腎 調 肝 ), 양혈자음( 養 血 滋 陰 ), 이기거어( 理 氣 祛 瘀 ), 청열량혈( 淸 熱 凉 血 ) 황정( 黃 精 ), 갑어( 甲 魚 ), 해삼( 海 蔘 ), 사원질려( 沙 苑 蒺 藜 ), 진주( 珍 珠 ), 구기자( 枸 杞 子 ), 의이인( 薏 苡 仁 ), 백지( 白 芷 ), 산약( 山 藥 ), 우유 등 호도우유차( 胡 桃 牛 乳 茶 ), 청호갑어탕( 菁 蒿 甲 魚 湯 ), 불수순첨( 佛 手 笋 尖 ) 등이 있다.
연년익수( 延 年 益 壽 ) 연년익수( 延 年 益 壽 )) 장부( 臟 腑 ) 기능활동의 정상을 유지해 수명을 연장하는 것 조리음양( 調 理 陰 陽 ), 보양비신( 補 養 脾 腎 ), 조화기혈( 調 和 氣 血 ) 인삼( 人 蔘 ), 황기( 黃 芪 ), 백출( 白 朮 ), 산약( 山 藥 ), 별어( 鱉 魚 ) 등
명목증시( 明 目 增 視 ) 명목증시( 明 目 增 視 )) 시력을 좋게 하거나 시력감퇴를 예방하는 것 간신( 肝 腎 )기능 증강과 전신의 장부기능의 조화 국화( 菊 花 ), 구기자( 枸 杞 子 )), 야명사( 夜 明 砂 ), 결명자( 決 明 子 ), 소간, 돼지간, 닭간 등 약선방( 藥 膳 方 ) : 결명자국화음( 決 明 子 菊 花 飮 ), 명목기국주( 明 目 杞 菊 酒 ), 명자계간(( 決 明 子 鷄 肝 ) 등
총이조청( 聰 耳 助 聽 총이조청( 聰 耳 助 聽 )) 청력을 좋게 하는 것 자양간신( 滋 養 肝 腎 ), 전보정혈( 塡 補 精 血 ) 목이( 木 耳 ), 석창포( 石 菖 蒲 ), 하수오( 何 首 烏 ), 저신( 猪 腎 ), 어표( 魚 鳔 ) 약선방( 藥 膳 方 ) : 두충오계죽( 杜 冲 烏 鷄 粥 ), 저신호도죽( 猪 腎 胡 桃 粥 ), 어표탕( 魚 鳔 湯 ) 등
익지건뇌( 益 智 健 腦 ) 익지건뇌( 益 智 健 腦 )) 사고( 思 考 )가 민첩하고 기억력이 좋으며 정신을 맑게 하는 것 보신( 補 腎 ), 보심( 補 心 ), 보기보혈( 補 氣 補 血 ), 화담( 化 痰 ), 개규( 開 竅 ) 인삼( 人 蔘 ), 복령( 茯 苓 ), 복신( 茯 神 ), 백합( 百 合 ), 산약( 山 藥 ), 익지인( 益 智 仁 ), 산조인( 酸 棗 仁 ), 백자인( 柏 子 仁 ), 용안육( 龍 眼 肉 ), 어두( 魚 頭 ), 동물심장 등 약선방( 藥 膳 方 ): 용안죽( 龍 眼 粥 ), 익지당( 益 智 糖 ), 건뇌죽( 健 腦 粥 ), 산약오어권( 山 藥 烏 魚 卷 ) 등
증력내로( 增 力 耐 勞 ) 증력내로( 增 力 耐 勞 )) 몸을 강건하게 하고 기운을 내 피로하지 않게 하는 것 보간이강근( 補 肝 以 强 筋 ), 보신이장골( 補 腎 以 壯 骨 ), 건비이강기육( 健 脾 以 强 肌 肉 ) 인삼, 당귀, 두충, 산약, 나미( 糯 米 ), 동물의 힘줄, 뼈, 고기 등 약선방( 藥 膳 方 ) : 삼조죽( 蔘 棗 粥 ), 기정대조탕( 氣 正 大 棗 湯 ), 삼기계( 蔘 芪 鷄 ), 신선압( 神 仙 鴨 ) 등
음식치료( 飮 食 治 療 ) 식료( 食 療 ), 식치( 食 治 ) 라고도 하며 음식을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혹은 질병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 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음식치료( 飮 食 治 療 ) 해표약선( 解 表 藥 膳 ) : 외감표증( 外 感 表 證 ) 사하약선( 瀉 下 藥 膳 ) : 열결변비( 熱 結 便 秘 ), 숙식정체( 宿 食 停 滯 ), 수음정체 ( 水 飮 停 滯 ), 어혈( 瘀 血 ) 등의 리증( 裏 證 ) 청열약선( 淸 熱 藥 膳 ) : 열사( 熱 邪 ) 혹은 음허내열( 陰 虛 內 熱 )등의 열성병( 熱 性 病 ) 거한약선( 袪 寒 藥 膳 ) : 한사( 寒 邪 ) 혹은 양허( 陽 虛 )로 인한 한성병( 寒 性 病 ) 거습약선( 袪 濕 藥 膳 ) : 수습정체( 水 濕 停 滯 ) 소도화적약선( 消 導 化 積 藥 膳 ) : 식체( 食 滯 ), 식적( 食 積 ) 보익약선( 補 益 藥 膳 ) : 허증( 虛 證 ) 이기약선( 理 氣 藥 膳 ) : 기기불창( 氣 機 不 暢 ) 이혈약선( 理 血 藥 膳 ) : 혈행불창( 血 行 不 暢 ) 혹은 출혈( 出 血 ) 거담지해약선( 祛 痰 止 咳 藥 膳 ) : 담연내성( 痰 涎 內 盛 ), 해수기천( 咳 嗽 氣 喘 ) 거풍약선( 袪 風 藥 膳 ) : 풍습내성( 風 濕 內 盛 ) 안신약선( 安 神 藥 膳 ) : 심신불안( 心 神 不 安 ), 불면( 不 眠 )
음식절제( 飮 食 節 制 ) 식절( 食 節 ) 또는 節 食 이라고도 한다. 이는 식사 방법과 방식에 관한 내용으로 합리적인 식습관 및 음식위생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건강에 바람직한 식습관(음식의 절제)-1 1. 먹는 것은 되도록 적게 자주 먹고, 한 번에 많이 먹지 않는다. 폭음폭식( 暴 飮 暴 食 )을 자주하면 병에 걸리기가 쉽다. 2. 너무 허기진 뒤에 배부르게 먹지 말고, 갈증이 심한 뒤에 지나치 게 물을 많이 마시지 않는다. 3. 음식을 먹고 싶지 않을 때 억지로 더 먹으면 비위가 손상된다. 4. 음식에 절도를 지켜서 배고픔과 배부름의 중도를 지킨다. 5. 음식을 줄이면 살이 빠지고, 음식을 절제하면 수명을 연장한다. 6. 음식은 규칙적으로 먹고, 먹고 싶은 대로 아무 때나 먹지 않는다. 7. 아침은 일찍 먹고, 점심은 든든하게 먹고, 저녁은 모자라게 먹는 다.
건강에 바람직한 식습관(음식의 절제)-2 8. 음식을 너무 뜨겁게 먹거나 너무 차게 먹지 않는다. 9. 위장은 편안하고 유쾌함을, 비장은 아름다운 음악을 좋아한다. 10. 음식은 되도록 많이 씹어서 천천히 먹고, 대충 씹어 빨리 먹지 않는다. 11. 음식을 먹을 때는 잡생각 하지 말고 감사하고 오롯한 마음으로 먹는다. 12. 나쁜 음식과 좋은 음식을 잘 가려서 적당한 영양을 섭취한다. 13. 오미를 고루 섭취하여 편식하지 않는다. 14. 식후에는 배를 문질러 주고 산책하며, 누워서 자거나 쭈그리고 앉지 않는다.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목표 1. 에너지와 단백질은 권장량에 알맞게 섭취한다. 2.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민의 섭취를 늘린다. 3. 지방섭취는 총에너지의 20%를 넘지 않도록 한다. 4. 소금은 1일 10g 이하로 섭취한다. 5. 알코올의 섭취를 줄인다. 6. 건강체중(18.5<BMI*<25)을 유지한다. 7. 바른 식사습관을 유지한다 8. 전통식생활을 발전시킨다. 9. 식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자료: 보건복지부, 2003 10. 음식의 낭비를 줄인다. * BMI=체중(kg)/신장(m) 2
음식의기( 飮 食 宜 忌 ) 식기( 食 忌 ), 식금( 食 禁 ) 이라고도 한다. 계절, 체질, 지역에 따라 다른 금기, 음식과 음식, 음식과 약 물 사이의 배오( 配 伍 ) 금기, 음식배합과 조리ㆍ제조상의 금 기 및 환병( 患 病 ) 기간의 음식 금기 등이 있다 * 단, 약선식료학에서는 현재 그 사람이 처해져 있는 병 리적 상태에 근거한 증후( 證 候 )에 관한 금기가 가장 중요 한 위치를 차지한다. 음식금기에 관한 최초 기록- 五 十 二 病 方 脈 痔 (맥치) ㆍ 癰 (옹) 의 치료에는 돼지고기ㆍ생선을 먹지 말라.
삼인제의( 三 因 制 宜 ) 1) 인인제의( 因 人 制 宜 ) : 사람의 성별, 연령, 체질 등에 따라 2) 인시제의( 因 時 制 宜 ) : 사계절의 기후변화 등에 따라 3) 인지제의( 因 地 制 宜 ) : 지리적인 특징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약물 상호간의 배오 금기- 십팔반( 十 八 反 ) 십팔반( 十 八 反 )) 오두( 烏 頭 ) 反 반하( 半 夏 ), 과루인( 瓜 蔞 仁 ), 패모( 貝 母 ), 백렴( 白 蘞, 豨 薟 ) 감초( 甘 草 ) 反 대계( 大 戟 ), 감수( 甘 遂 ), 해조( 海 藻 ), 완화( 芫 花 ) 여로( 藜 蘆 ) 反 五 蔘 ( 人 蔘, 玄 蔘, 丹 蔘, 沙 蔘, 苦 蔘 ), 세신( 細 辛 ), 작약( 芍 藥 )
약물 상호간의 배오 금기- 십팔반( 十 八 反 ) 십구외( 十 九 畏 )) 유황( 硫 黃 ) 畏 망초( 芒 硝 ) 수은( 水 銀 ) 畏 비상( 砒 霜 ) 낭독( 狼 毒 ) 畏 밀타승( 密 陀 僧 ) 파두( 巴 豆 ) 畏 견우( 牽 牛 ) 정향( 丁 香 ) 畏 울금( 鬱 金 ) 망초( 芒 硝 ) 畏 삼릉( 三 稜 ) 천오( 川 烏 ), 초오( 草 烏 ) 畏 서각( 犀 角 ) 인삼( 人 蔘 ) 畏 오령지( 五 靈 脂 ) 육계( 肉 桂 ) 畏 적석지( 赤 石 肢 )
약물과 食 物 간의 배오 금기-1 감초 - 해조 녹각교 - 대황 단삼 - 오수유, 검정콩, 식초, 신 음식 당귀 - 석창포, 해조 대추 - 생선, 파 더덕 - 방기, 검정콩 반하 - 창포, 엿, 양고기, 양피 보골지 - 감초, 유채 복령 - 식초 복숭아씨 - 자라고기 사향 - 마늘 산수유 - 도라지(길경), 방풍, 세신 상륙 - 개고기 석창포 - 엿, 양고기, 양피 세신 - 황기, 산수유 오두 - 반하, 과루실, 패모, 백급, 백렴, 서각 오미자 - 둥글레(옥죽) 오수유 - 단삼, 진피( 秦 疲 ) 웅담 - 조각자, 방기, 지황, 참깨 육계 - 적석지, 천산갑 인삼 - 검정콩, 무, 무씨 지황 - 무, 무씨(나복자), 패모, 웅담 창출 - 고수, 참새고기, 청어, 복숭아, 추 리, 마늘 하수오 - 모든 피, 무, 파, 마늘 황기 - 백선피, 세신, 별갑 후박 - 택사, 검정콩, 붕어 * 식품영양학적 관점에서 영양소의 흡수율저하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식품간의 상호관계도 포함
약물과 食 物 간의 배오 금기-2 개고기 - 오리, 살구씨, 잉어, 마늘 검정콩 - 피마자씨, 후박, 인삼, 더덕 게 - 감, 꿀, 대추 꿀 - 부추, 파 꿩고기 - 메밀, 사슴고기, 돼지간, 붕 어, 참나무버섯, 호두 녹두 - 잉어, 비자 닭고기 - 겨자, 개고기, 자라고기, 추 리, 토끼고기 돼지고기 - 황련, 도라지, 콩, 메밀, 양간, 사슴고기, 메추리고기, 붕어, 자라고기, 아욱, 고수, 매실, 오매, 백 합, 감초, 행인, 오수유. 무 - 숙지황, 하수오 밀 - 무씨, 조피나무열매(산초) 붕어 - 갓, 닭고기, 마(산약), 더덕, 후 박, 맥문동, 주사, 돼지간, 사슴고기 사슴고기 - 꿩고기, 새우, 생나물 새우 - 개고기, 닭고기 쇠고기 - 개고기, 돼지고기, 달래, 밤 양고기 - 반하, 석창포, 팥, 콩장, 메밀 오리고기 - 추리, 자라고기 오리알 - 오이, 추리 오이 - 참외, 수박 우유 - 생선 잉어 - 자소엽, 용골, 천문동, 닭고기, 돼지간, 개고기, 주사, 자라고기 - 돼지고기, 토끼고기, 오리 고기, 달걀, 닭고기, 복숭아, 겨자, 박 하 참나무버섯 - 꿩고기, 메추리고기 참새고기 - 추리, 된장, 간장, 생강 파 - 꿀, 대추 호두 - 물오리고기
환병( 患 病 )기간의 금기 1 忌 生 冷 (찬 것을 忌 한다): 冷 飮 ㆍ 冷 食, 대량의 날 채소나 생과일 등은 비위 가 虛 寒 하거나 설사 환자에게 忌 한다. 2 忌 黏 滑 (찰진 것, 끈적거린 것을 忌 한다): 찹쌀ㆍ보리ㆍ밀 등으로 만들어진 면류 식품은 비허납매( 脾 虛 納 呆 ) 또는 外 感 초기 者 에게 忌 한다. 3 忌 油 膩 (기름진 것, 느끼한 것을 忌 한다): 지방이 많은 육류ㆍ 薰 油 ㆍ유제품, 기름에 튀긴 음식 등은 脾 虛 나 痰 濕 환자에게 忌 한다. 4 忌 腥 羶 (비린내ㆍ누린내 나는 것을 忌 한다): 바다 물고기, 비늘 없는 생선, 새우ㆍ게ㆍ패각류(홍합ㆍ전복 등)ㆍ양고기ㆍ개고기ㆍ사슴고기 등은 風 熱 證 ㆍ 痰 熱 證 ㆍ 斑 疹 瘡 瘍 환자에게 忌 한다. 5 忌 辛 辣 (너무 매운 것을 忌 한다): 파ㆍ생강ㆍ마늘ㆍ고추ㆍ 花 椒 ㆍ부추ㆍ술 등은 내열증 환자에게 忌 한다. 6 忌 發 物 (발물을 기한다): 發 物 이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거나 독소를 발생 시켜 火 또는 邪 를 조장하거나 動 風 生 痰 하여 舊 疾 은 재발하고 新 病 은 악화되 게 하는 食 物 을 가리킨다. 효천( 哮 喘 )ㆍ동풍( 動 風 )ㆍ피부병 환자에게 忌 한다.
임신ㆍ산욕기( 産 褥 期 )와 산후의 飮 食 宜 忌 임신기: 대게 陰 虛 陽 亢 의 상태 宜 甘 平 하거나 甘 凉 한 보익음식 忌 : 맵거나 비린 음식 입덧이 있는 경우 宜 : 健 脾 ㆍ 和 胃 ㆍ 理 氣 하는 類 의 음식 忌 : 느끼하거나 기름진 음식 임신 후기- 忌 메밀ㆍ수수ㆍ고구마ㆍ토란 같은 가스가 차거나 澁 腸 시키는 음식 산후: 부종, 陰 血 虧 虛 혹은 어혈정체, 수유 宜 : 음양기혈을 平 補 하되 특히 益 氣 養 血 을 위주. 甘 平 또는 甘 溫 한 음식 忌 : 辛 燥 하여 傷 陰 하는 음식이나 寒 性 의 生 冷 한 음식과 發 物.
임신ㆍ산욕기( 産 褥 期 )와 산후의 飮 食 宜 忌 임신 중 禁 用 藥 (맹독성 혹은 약성이 준맹( 峻 猛 )한 약물) 수은( 水 銀 )ㆍ비상( 砒 霜 )ㆍ웅황( 雄 黃 )ㆍ경분( 輕 粉 )ㆍ반묘( 斑 蝥 ㆍ 斑 猫 )ㆍ섬수( 蟾 酥 )ㆍ마전자( 馬 錢 子 )ㆍ담반( 膽 礬 )ㆍ조협( 皂 莢 )ㆍ여로 ( 藜 蘆 )ㆍ과체( 瓜 蒂 )ㆍ건칠( 乾 漆 )ㆍ오공( 蜈 蚣 )ㆍ사향( 麝 香 )ㆍ감수 ( 甘 遂 )ㆍ대극( 大 戟 )ㆍ원화( 芫 花 )ㆍ파두( 巴 豆 )ㆍ파두상( 巴 豆 霜 )ㆍ천 금자상( 千 金 子 霜 )ㆍ상륙( 商 陸 )ㆍ천오( 川 烏 )ㆍ초오( 草 烏 )ㆍ맹충( 虻 虫 )ㆍ수질( 水 蛭 )ㆍ망초( 芒 硝 )ㆍ번사엽( 番 瀉 葉 )ㆍ노회( 蘆 薈 )ㆍ삼릉 ( 三 棱 )ㆍ아출( 莪 朮 ) 등.
임신ㆍ산욕기( 産 褥 期 )와 산후의 飮 食 宜 忌 임신 중 愼 用 藥 (통경거어( 通 經 祛 瘀 )ㆍ행기파체( 行 氣 破 滯 ), 신열활 리( 辛 熱 滑 利 )한 약물) 도인( 桃 仁 ), 홍화( 紅 花 ), 대황( 大 黃 ), 지실( 枳 實 ), 지각( 枳 殼 ), 부자 ( 附 子 ), 건강( 乾 姜 ), 육계( 肉 桂 ), 반하( 半 夏 ), 남성( 南 星 ), 동규자( 冬 葵 子 ), 익모초( 益 母 草 ), 목단( 牧 丹 ), 목통( 木 通 ), 유향( 乳 香 ), 몰약( 沒 藥 ), 오령지( 五 灵 脂 ), 왕불유행( 王 不 留 行 ) 등과 의이인( 薏 苡 仁 ), 우 슬( 牛 膝 ), 후박( 厚 朴 ), 상산( 常 山 ), 망초( 芒 硝 ), 생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