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그림 1> 몽골국내발해유적지위치 Ⅱ. 발해유적과유물 1_ 친톨고이성터유물 친톨고이성터는울란바타르시에서서쪽으로 200km 떨어진 볼강 아이막 ( 한국의행정단위 道 에해당 ) 의 다싱칠렝 솜 ( 한국의행정단의 邑 에해당 ) 지역, 좌표는북

Similar documents
untitled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BFACBCBCC0C7BBE7C7D E687770>

1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歯kjmh2004v13n1.PDF

2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03¹ü¼±±Ô

본문01

2016 년몽골통계연보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축산농가동향및가축방역 KOPIA 몽골센터연수생김진용 자료출처 :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MONGOLIA - 1 -

pdf 16..

4번.hwp

e01.PDF

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Preflight (2)

조사연구 권 호 DOI 연구논문 몽골의가축통계조사를위한표본설계연구 A Study on Sampling Design for the Mongolian Livestock Statistics Survey 주제어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µ¿¼�Çѹ溴¿øb60Ü¿ïÈ£š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服飾

296 동북아역사논총 34호 명 여진의 관계와 조선 여진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는 중국 의 주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중국의 주장은 조선, 여진, 명 3세력 사이에 놓 인 변경지대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용됨으로써 사실과 다른 왜곡된 변경이론을 만들어 내고


09김정식.PDF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 E687770>

(연합뉴스) 마이더스

~

아태연구(송석원) hwp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07_Àü¼ºÅÂ_0922

<303220BAAFB1A4BCAE2E687770>

1

1

1

1

1

1

1

ÇÁ·Î±×·¥Áý

12Á¶±ÔÈŁ



<C7F6B4EBBACFC7D1BFACB1B B1C72033C8A E687770>

03신경숙내지작업

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03권동희(17-26)ok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C8ADB7C220C5E4C3EBC0E5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편 5. 오비맥주 카스 카스 후레쉬 테이블 맥주는 천연식품이다 편 처음 스타일 그대로, 부탁 케어~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지속적인 모발 관리로 끝까지 스타일이 유지되도록 독보적이다! 근데 그거 아세요? 맥주도 인공첨가물이


Issue Report Vol 지역이슈 -07 ( )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 ) : ( )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Ç2¿ù-ÃÖÁ¾

ÇÁ·Î±×·¥Áý


IKC43_06.hwp

11¹Ú´ö±Ô

#Ȳ¿ë¼®

2011´ëÇпø2µµ 24p_0628

04 Çмú_±â¼ú±â»ç

서론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ABBB9AE2E687770>

Stage 2 First Phonics

ÃѼŁ1-ÃÖÁ¾Ãâ·Â¿ë2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도큐-표지

통합 창원시의 해양관광 현황과 개선방안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 )탐스런해설OK

<B8F9B0F120BAB8B5B5C0DAB7E15F32C2F7BABB5F 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¹ýÁ¶ 12¿ù ¼öÁ¤.PDF

<30342DB3EBBBF3C8A334382D315FBFACB1B8BCD220BCF6C1A42E687770>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 BFCFB7E15FC7D1B1B9C1A4BAB8B9FDC7D0C8B85F31352D31BCF6C1A4C8AEC0CE2E687770>

도큐-표지

¹Ìµå¹Ì3Â÷Àμâ

*논총기획(1~104)

01이정훈(113~127)ok

ePapyrus PDF Document

10송동수.hwp

목 록( 目 錄 )

02-1기록도전( )

03-1영역형( )

04최원석(53-72)ok

<C0CEBCE2BFEB5FBFACB1B85F D32322D3528BAAFBCF6C1A4295F FBCF6C1A42E687770>

¨è ¿¬Â÷º¸°í¼Ł³»Áö-1 PDF

#반룡리_본문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Transcription: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21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A. 오치르몽골국제유목문명연구소 L. 에르덴볼드몽골사회과학대학 Ⅰ. 유적소개 몽골국 볼강아이막 과 투브아이막 (Bulgan and Tuv aimag) 지역에서거란국 (10~12 세기 ) 군대가주둔했던일부성터에대한발굴조사가 2004~2008 년에실시되었다. 이조사를통해 톨 (Tuul) 강중류지역의 10~11 세기에해당되는일부성터에서발해식고고유적과유물이발견되었다. 현러시아연방극동지역및연해주, 중국동북지방에거주했던발해인의고고유적과유물이멀리서쪽에자리잡고있는몽골에서발견된것은학술적으로도실용적으로도흥미를끌고있다. 이글에서는몽골국중부지역인항가이산맥동부에서발견된발해인과관련있는이들유적과유물의발견장소, 형태와유형에대하여간단하게살펴보고자한다. 투고일 : 2010 년 4 월 9 일, 심사일 : 2010 년 5 월 11 일, 게재확정일 : 2011. 02. 28.

322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그림 1> 몽골국내발해유적지위치 Ⅱ. 발해유적과유물 1_ 친톨고이성터유물 친톨고이성터는울란바타르시에서서쪽으로 200km 떨어진 볼강 아이막 ( 한국의행정단위 道 에해당 ) 의 다싱칠렝 솜 ( 한국의행정단의 邑 에해당 ) 지역, 좌표는북위 47 052 810, 동경 107 014 460 이며해발고도는 977m에위치한다. 친톨고이성터는흙을다지는판축공법으로축조된네모구조의성곽이있는토성이다. 이토성은북쪽에서남쪽으로 260 로향하는배치이다. 성의북벽과남벽은각각 680m, 서벽과동벽은각각 1,260m 이다. 이토성안쪽에있었던많은건물흔적을지금도알수있다. 또한이토성바깥에도어떤구조물들이있었던것으로보인다 ( 그림 2). 몽골 러시아공동조사단은 2006~2008 년에친톨고이성터내두군데에대한소규모발굴조사를실시하였다. 1) 발굴조사과정에서위구르와거란식유물이외에발해식유물들도발견되었다.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23 1. 친톨고이발가스상부구조 2. 건물잔해가있는성터의礎石들 3. 성외곽의건물 < 그림 2> 친톨고이성터평면도 1) 본조사단에는몽골측에서오치르 (A. Ochir) 교수, 에르덴볼드 (L. Erdenebold) 박사, 앙흐바야르 (B. Ankhbayar) 석사, 러시아측에서러시아과학아카데미극동역사고고민속학연구소의크라딘 (N. N. Kradin) 교수, 이블리예프 (A. L. Ivliyev) 박사, 니키틴 (Yu. A. Nikitin) 박사, 또한러시아과학아카데미시베리아지부몽골티베트불교학연구소다닐로프 (S. V. Danilov) 박사가참여하였다.

324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1) 토기의손잡이 친톨고이성터에서실시한발굴조사과정에서이른바발해형태의수평식손잡이와그러한손잡이조각들이발견되었다 ( 그림 3, 첨부사진 1). 이러한종류의토기손잡이는러시아극동지역의발해시대성터에서발견되는유물이다. 위구르및거란시대의이러한수평식손잡이가달린토기는몽골땅에서이전에는발견되지않았다. 그들중에서손잡이한점만간략히소개하면다음과같다. 이손잡이는길이 82mm, 너비 34mm 이다. 이토기는물방울문양이그려진것으로, 손잡이아래에너비 2mm의수직선이그려져있다. 이선을그린다음에도장을찍고손잡이를만든것으로보인다. 토기안쪽벽에도문양이그려져있다. 손잡이양쪽은토기에붙어진부분이약간넓어졌다. 이손잡이는직경이약 0.4mm 의석영부스러기가섞인진흙반죽으로만들었다. 토기벽두께는손잡이와연결되는부분이 4~4.2mm 이다. < 그림 3> 친톨고이에서발견된토기손잡이파편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25 2) 장기알 ( 놀이말 ) 토기파편들은둥근모양으로다듬어만든장기알 ( 놀이말 ) 이거의모든토층에서발견되었다. 이러한말을만들때주로거란시대물방울문양이그려진토기파편을사용했으며, 또한아무문양도없는토기파편을사용한경우도있다. 일부말들은너무오래사용되어서많이마모된상태이다. 발견된말의일부는한가운데에뚫은구멍이있고, 어떤말은그러한구멍이없다. 이들말은직경이평균 2.6~7cm 이다 ( 그림 4, 첨부사진 2). 2006 년도발굴조사과정에서는흰색의얇은법랑칠을한도자기파편으로만들어진장기알 ( 놀이말 ) 도발견되었다. 상기말과동일한점토로만든장기알 ( 놀이말 ) 들은몽골땅에있는하르보흐 (Kharbukh), 헤르멩덴지 (Khermen denj), 울란헤렘 (Ulaan kherem) 등요나라 ( 거란 ) 군대가주둔했던성터에서발견된다. 2) < 그림 4> 친톨고이에서출토된점토로만든장기알 ( 놀이말 ) 2) A. 오치르, N. N. 크라딘, A. L. 이블리예프, S. V. 다닐로프, L. 에르덴볼드, Yu. 니키틴, A. 엥흐투르, B. 앙흐바야르, G. 바트볼드, 2008, 친톨고이 몽골 러시아공동학술조사보고서 (2004~2007), Ulaanbaatar, 61~63, 80~82, 133~135, 266 쪽.

326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한국과러시아고고학자들의연구를보면, 러시아연방극동지역과동북아시아발해인의성터에서상술한말과동일한말들이흔히발견된다. 3) 대부분의연구자들은이러한말들을물레돌림판으로보고있다. 필자들도거란시대성터에서발견되는이러한유물들을장기알 ( 놀이말 ) 로보고있다. 우리가실시한발굴조사에서발견된이러한종류의유물들가운데거의반정도에구멍이없다는점은그것들을물레돌림판으로볼수없게만들기때문이다. 또한그들크기 (2.6~7.0cm) 는대부분의경우물레돌림판보다작다. 이러한장기알 ( 놀이말 ) 의말들은처음에는발해에서발생했고후에는거란과여진에전래되었을것으로보인다. 3) 발해식문양이그려진토기파편 친톨고이성터유적에서실시된발굴조사에서발견된토기파편중에발해인의토기형태와문양을연상케하는유물들이있다. 예를들면, 물결무늬가그 < 그림 5> 친톨고이성터에서발견된문양이그려진토기편 3) 2007 러시아연해주크라스키노발해성발굴보고서, 동북아역사재단, 2007, 157 쪽.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27 1. 2. < 그림 6> 문양이그려진토기편 (1. 친톨고이성터에서출토된토기편, 2. 크라스키노성터에서출토된토기편 4) ) 려진구연부가밖으로크게벌어져있고, 대야처럼생긴용기가발견되었는데, 그것은러시아연해주지역발해성터에서발견되는유물과동일하다 ( 그림 5, 첨부사진 4). 또한경부및어깨에물결무늬가그려진토기편도발견되었다. ( 그림 6). 경부와어깨부분에손으로붙인토기구연부편이발견된것은발해인의토기제작기술과동일하다 ( 첨부사진 3). 4) 혼합형태와문양이그려진토기편 발굴조사과정에서발해식수평손잡이가달린것이지만, 거란시대것으로일컬어지는이른바물방울문양이그려진토기편이출토되었다. 일부토기의형태와문양이다양한동시에같은토기에그려진문양이다양하다는것이주목을끈다 ( 그림 7). 또한거란식문양이그려진토기어깨에발해식수평손잡이가달린경우도있다 ( 그림 8). 친톨고이성터에서발견된일부건물의온돌시설과연기 ( 온기 ) 가순환하도록파놓은여러개의연도구조는어떤면에서는동아시아의발해와여진성터에서발견되는난방시설과유사하다 ( 그림 9). 또한친톨고이성터에서발견된격자문이그려진토기편들이러시아극동 4) 2007 러시아연해주크라스키노발해성발굴보고서, 동북아역사재단, 2007.

328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그림 7> 혼합형문양이그려진토기편 < 그림 8> 거란식문양이그려진토기배에붙여진수평식손잡이 난방용연도유구 III b 난방용연도유구 III a 지구 II, III 제 4 층 벽돌돌기와 뼈뒤집힌기와 연도유구비교적높은곳 < 그림 9> 친톨고이성터에서발견된난방용연로 연도유구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29 1. 2. < 그림 10> 격자문이그려진토기편 (1. 친톨고이성터, 2. 크라스키노성터 5) ) 지역에서도발견된바있다 ( 그림 10). 친톨고이성터에서는단지거란과발해관련유물뿐만아니라위구르와거란시기의문양을같은토기에함께그린특이한유물도새로이발견되었다. 이러한자료를통해서 10~11 세기에몽골땅에거란, 위구르, 발해의문화요소들이서로융합되어공통적인문화형태를이루어갔던흥미로운과정을볼수있다. 2_ 차강덴징성터 이토성은 볼강아이막 의 바양노오르솜 내 톨 강서남안언덕에있다. 좌표는북위 47 057 214, 동경 104 039 918 이고, 해발 978m 에위치한다. 차강덴징 성터는네모꼴이다. 흙을다지는판축공법으로이성을축조하였다. 이성의구조특징중하나는대형외성안쪽에내성이있다는점이다 ( 그림 11). 대형외성의서벽과동벽은각각 200m, 북벽과남벽은각각 165m 길이이다. 이성의평균높이는 0.6~1.2m, 기단은 9~10m, 상단은 3m 너비이다. 성곽남쪽의가운데부분에는문이있으며, 문의간격은약 33m이다. 이문은안 5) 2007 러시아연해주크라스키노발해성발굴보고서, 동북아역사재단, 2007, 157 쪽.

330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그림 11> 차강덴징성터평면도 쪽으로 30m 들어간두치성이있다. 안쪽으로낸이치성의두끄트머리를토성으로가까이하였으며, 약 7m 간격을두고입구를내었다. 안쪽으로낸치성내에는약 5m 간격으로역시가로지르는토성이있다. 그높이는외성과거의동일하다. 이내성중간부분에바깥으로낸치성주변에양쪽을높인웅장한문이있었던듯하다. 이문이있었던부분은다른곳보다상당히높아보인다. 이치성양쪽의문짝자리였을법한곳에는네모지게손질한하얀화강암두개가있다. 외성서벽안쪽 8m 거리에내성인토성을구축하여, 남쪽의내성과연결하였다. 이성곽은기본성곽보다야트막하고또한약간좁았던것같다. 차강덴징성터의중앙부에는흙구조물 3기가있다. 이남측과가운데구조물은똑같이길이 30m, 너비 10m, 높이 0.6m 로네모꼴이다. 북쪽구조물은약간작다. 그길이는 12m, 너비 10m이며, 높이는다른두구조물보다는약간높다. 이세구조물은흙으로조성하였으며윗부분은평평하다. 그사이를목덮개처럼좁고도긴토대가잇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이토대역시내성으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31 로서방형토성이었던것같다. 대형외성의동측에는어떤흙구조물이있었던흔적인토대가있다. 실제어떤형태였으며, 구조물이있었는지지금으로서는알수없게되었다. 대형외성북쪽가운데가약간벌어져있는데, 입구흔적인지아니면쓸리면서생긴공간인지는불분명하다. 차강덴징성터근처에서는건축자재, 갖가지토기파편을전혀발견하지못하였다. 본성벽안의구조물들을서로긴토대로연결한형태와쌍성벽구조는발해성구조를연상케한다. 3_ 엠겐팅헤렘 이성터는 볼강아이막 부렉항가이솜 하르보흐 강기슭에위치한다. 이성은처음 Kh. 페를레가발견하였으며그는평면도를제작하였다. 6) 이성곽은북위 48 05 146, 동경 106 08 931 지점, 해발 973m 에위치한다 ( 그림 12). 성곽은대체로네모난구조이다. 성곽의유구는현재약 1.2~0.9m 높이이다. 성의북쪽과남쪽두곳이 3 3.5m 로트여있는데, 문이었던것같다. 성곽의동벽과서벽은각각 390m, 북벽과남벽은각각 370m 이다. 성벽너비는기단이약 10m이다. 몽골 러시아공동조사단은 2009 년도에엠겐팅헤렘에대한소규모시험발굴조사를실시하였다. 7) 본조사는이성터의문화층과거주자, 해당연대등을밝히는것을목표로하였다. 성터서북벽바깥쪽에있는뚜렷하지않은도랑으로부터동쪽을향하여성벽을넘도록너비 2m, 길이 25m의트렌치를파서발굴을실시하였다. 트렌치 6) Х. Пэрлээ, 1961, Монгол ард улсын эрт, дундад үеийн хот суурины тов чоон(kh. Perlee, 몽골인민공화국의고대및중세성진의略史 ), Ulaanbaatar, 61 쪽. 7) 본조사단에는몽골측에서오치르 (A. Ochir) 교수, 에르덴볼드 (L. Erdenebold) 박사, 러시아측에서러시아과학아카데미극동역사고고민속학연구소의이블리예프 (A. L. Ivliyev) 교수, 크라딘 (N. N. Kradin) 교수, 케메레와 (Kemerova) 대학교와슈틴 (S. A. Vasyutin) 교수가참여하였다.

332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그림 12> 엠겐팅헤렘평면도 의성벽밖길이는 7m, 성안길이는 18m 로하였다. 트렌치의오른쪽부분인 1 25m를 A, 왼쪽부분인 1 25m 를 B로각각부르기로하였다. 발굴층깊이는평균 10~15cm 로하였다. 성안에는어떠한건물흔적이발견되지않았다. 이성터문화층깊이는최소 50~60cm, 최대 1.5m 였다. 실험발굴과정에서저장고 5곳이확인되었으며, 이들저장고에곡물과음식물을저장하였으며, 후에쓰레기를넣은것으로보인다. 그가운데일부에서는곡물의흔적이발견되었다. 성벽을잘라본단면도에서보면이성을축조할때먼저지표에서높이 60~70cm 의진흙을다진후에그위에는두줄의벽을평행을이루어돌로쌓고, 두줄의돌벽사이에는황토와흙을잘다지는공법으로성을만든것으로보인다. 두줄의돌벽너비는각각 60cm 로서로 200cm 간격을두고있다. 바꾸어말하면, 성벽너비는기단이약 3.2m 정도이다. 성돌벽높이는약 0.9~1m 이며, 성곽의유구는현재약 2.2m 높이이다. 돌벽밑에있는기단을만들때 9~10 개의층으로흙을다져서만든것으로보인다.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33 < 그림 13> 엠겐팅헤렘성벽단면도 발굴과정에서발견된토기편을보면, 색깔은남색이고배부분이주로튀어나온것으로구연부가밖으로벌어져있으며, 어깨와목, 그리고배에물방울문양이그려져있다. 출토토기들은액체와음식물을담는것으로모두다거란시대에해당된다. 또한세발 [ 三足 ] 솥조각들이발견되었는데, 목과어깨둘레에평행선의띠가있고, 그사이에는물결문양이그려져있다. 그외에물결문양이그려져있는것으로문양각도가예각으로되어있는토기구연부도발견되었다. 토기밑바닥조각들이발견되었는데, 모두다둥글고평평하며, 물레를사용하여만들어진것으로보인다. 그들의직경은 11~18cm 이다. 격자문이묘사된토기편 1점이발견되었으며, 그크기는 4.5 2.0 0.5cm 이다. 토기표면에는격자문이새겨져있는가하면, 내면에는아무문양도없고매끈하다. 금번발굴에서반원형이면서서로막는듯이묘사된위구르식으로보이는문양이그려진, 크기 4.5 4.2 0.5cm 의토기편 2점이발견되었다. 이것은위구르의토기제작기술이거란시대에도전해져일정기간동안사용되었다는것을보여주는근거일것이다. 또한몽골내거란시대성터에서발견되는장기알 ( 놀이말 ) 의말들이엠겐팅헤렘에서도출토되었다. 이것들은토기파편들을둥근모양으로다듬어만든것으로한가운데구멍이있는것과구멍이없는것의두종류가있다. 직경은 5~7cm 이다. 장기알 ( 놀이말 ) 일부에는거란시대물방울문양이묘사되어있다 ( 그림 14). 엠겐팅헤렘은축조법과구조에서이전에몽골땅에서발견된거란시대다른성과는다르고특이하다.

334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그림 14> 엠겐팅헤렘출토장기알 ( 놀이말 ) 두줄로쌓은돌벽사이에흙을다지는판축공법으로축조된성터는러시아연방연해주, 극동, 중국동북지역에서확인되었으며, 그러한성터는발해유적이라는사실이이미학자들에의해밝혀졌다. 8) 발굴조사결과엠겐팅헤렘은발해식도시건설방법을이용하여축조되었다는사실이밝혀졌다. 이성터의또다른하나의특징은성안쪽에어떠한건물흔적도확인되지않고, 문화층이얕다는점이다. 이것은이성안에사람들이장기간거주하지않았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따라서이성에는게르 ( 몽골전통가옥 ) 나텐트를쳐서소수의사람이살았을것으로보인다. 엠겐팅헤렘은거란 ( 요나라 ) 말기에축조되었을가능성이있으며, 이성은발해식건축방법을어느정도아는사람들이축조했을것이라고말할수있겠다. 이러한형태와구조의성터는몽골국에서이전에는발견되지않았다. 8) Н. Г. Артемьева, 1998, Демостроительство чжурчженейприморья (Xll~ Xlll BB.), Владивосток, Дальпресс [ 연해주지역여진족주거건축 (12~13 세기 ), Vladivostok, Dal press], 84~94 쪽.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35 < 그림 15> 엠겐팅헤렘예비조사발굴에서출토된토기다리조각 Ⅲ. 맺음말 고대에동해와발해만서안, 동아시아에거주했던발해인의고고유적지와유물이몽골땅에서발견되는것은우리뿐만아니라많은학자의흥미를끌고있다. 그렇다면여기에서 무슨이유로발해고고및건축유적이몽골땅에전래했을까 라는의문이당연히생긴다. 이것은사실요나라군사 정치적활동과관련이있는것으로보인다. 10~12 세기초에요나라는현몽골국토를자신의영향권하에두기위하여그곳에군대를주둔시켰다. 거란병사들과함께당시에거란지배를받았던발해와여진족들이몽골땅에들어와서살았다. 이사실에대하여 遼史 에다음과같이서술하고있다.

336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鎭州, 建安軍, 節度. 本古可敦城. 統和二十二年皇太妃秦置. 選諸部 族二萬餘騎充屯軍, 專捍禦室韋, 羽厥等國. 凡有征討, 不得抽移. 渤 海, 女直. 漢人配流之家七百餘戶, 分居鎭, 防, 維三州. 9) 위기록에서언급된진주는현재의친톨고이이다. 그러나나머지두성이어디에있었는지는아직밝혀지지않고있다. 이와같이요나라지배층은 10세기말부터 12세기초까지오늘날몽골국토에여러차례에걸쳐성채들을축조하여자신의군대를주둔시킬때다수의발해, 여진, 한족家戶를몽골땅에이주시켰다. 그들가운데또한위구르인들도있었던것으로보인다. 거란군대를따라몽골땅에주둔하고있었던이민족가호들은식량으로쓸곡물과야채를재배하거나, 무기를제작하거나, 성을축조하기도하였다. 이런식으로몽골땅에와서거주했던발해인은자신의전통적인방법으로토기를제작하거나성을축조했기때문에발해문화의특징을갖는고고유적과유물이톨강유역에남은것으로보인다. 몽골땅에살았던발해인은군인보다는대부분이수공예업자나농민이었다는점이특징적이다. 뿐만아니라그들이생산했던물품, 그리고수공예품과농법이당시현지몽골인에게영향을주어, 몽골인들도그들의문화를어느정도받아들였던것으로볼여지가있다. 몽골땅에서발견된발해유적과유물은몽골인과동아시아의거주민, 그중에서한국인의조상들과의경제및문화교류를예상했던시기보다몇세기나앞당길수있게해준다. 한편으로는고비사막이북에서최초로발견된발해유적과유물은발해고고유적및유물분포의서쪽경계를항가이 (Khangai) 산맥까지넓혀주는것으로서새로운학술성과이기도하다. 몽골땅에서발견된상기유적과유물은고대몽골인과한국인들의교류를고고학적측면에서추적해볼새로운방도가있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톨강유역에서확인된 20여곳의거란시대성터가운데다만세곳에대한 9) 脫脫撰, 1993, 遼史 第二冊, 中華書局, 450~451 쪽.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37 소규모발굴조사를실시해볼때그중두곳에서발해식유물이발견되었다는사실에대해앞에서서술하였다. 톨강유역이외에헤를렝강유역의몇곳에서도거란성채유적이확인되었지만아직도그들유적에대한고고학적인발굴조사가실시되지못한상태이다. 앞으로몽골땅에있는거란시대성터에대해추가적으로지속적이고깊이있는발굴조사를실시하면발해와여진문화자취가더많이발견되어고대몽골인과동아시아거주민의교류가더욱분명해질가능성이높다는것을우리들이실시한일차적조사를통해서알수있었다. 오늘날한국민족의선조인발해인과몽골인의고대문화 경제교류를밝히는것은두민족간의상호이해와교류협력을발전시키는데한가지중요한기초를마련해줄것으로기대한다. 번역 : T. 체렝도르지 ( 몽골과학아카데미역사연구소 )

338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 첨부사진 > 1 0 4cm 0 5cm 2 < 사진 1> 수평식토기손잡이파편 (1. 친톨고이성터, 2. 연해주크라스키노성터 )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39 0 3cm 0 2cm 1 2 < 사진 2> 점토로만든장기알 ( 놀이말 ) (1. 친톨고이성터, 2. 연해주크라스키노성터 ) 0 3cm < 사진 3> 친톨고이성터에서발견된주둥이가달린토기편

340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0 5cm < 사진 4> 친톨고이성터에서발견된문양이그려진토기편 < 사진 5> 친톨고이성터항공사진 < 사진 6> 차강덴징성터항공사진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41 < 사진 7> 엠겐팅헤렘성터항공사진

342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참고문헌 Артемьева, Н. Г., 1998, Домостроительство чжурчженейприморья(xll Xlll BB.), Владивосток., Дальпресс[ 연해주지역여진족주거건축 (12~13 세기 ), Vladivostok, Dal press]. Kradin, N. N., Ivliev, A. L., Ochir, A., Danilov, S. V., Erdenebold, L., 2008, Bohai population in Mongolian exile, Cultural exchang in East sea and the Primorye region of Russia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North East Asian Cultures, Busan. Очир, А., Энхтөр, А., Эрдэнэболд, Л., 2005, Хар бух балгас ба Туул голын сав дахь хятаны хот, суурингууд, УБ. ( 오치르, A., 에르덴볼드, L., 엥흐투르, A., 하르보흐성터와톨강유역거란시대성터 ), Ulaanbaatar. Очир, А., Крадин, Н. Н. ба бусад, 2008, Чин толгой балгасны судалгаа, УБ. ( 오치르, A., 크라딘, N. N. 등저, 친톨고이성터조사 ), Ulaanbaatar.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м городище Примор ского края России в 2007 г., Сеул, 2007( 2007 러시아연해주크라스키노발해성발굴보고서, 2007). Пэрлээ, Х., 1961, Монгол ард улсын эрт, дундад үеийн хот суурины товчо он, УБ. (Perlee, Kh., 몽골인민공화국의고대및중세성진의略史, Ulaanbaatar). 오치르, A., 다닐로프, S. V., 에르덴볼드, L., 몽골의거란시대성진연구, 시대의프리즘을통해본러시아와몽골, 국제학술대회발표집, Ulan Ude. 오치르, A., 에르덴볼드, L. 등편, 2008, 친톨고이 몽골 러시아공동학술조사프로젝트몽골측보고서 (2004~2007), Ulaanbaatar.( 몽골국립중앙박물관도서관보관 ) 오치르, A., 에르덴볼드, L., 엥흐투르, A., 2005, 몽골국내거란시대성진및시설, 중세동북아시아인물및물품과기술다이너미즘, 국제학술대회발표집, Vladivostok. 크라딘, N. N., 이블리예프, A. L., 오치르, A., 에르덴볼드, L., 2005, 2004 년친톨고이성터의개략적인연구성과, Sociogenesis in North Asia 제1부, Irkutsk. 脫脫撰, 1993, 遼史 第二冊, 中華書局.

몽골국내발해고고유적 343 [ABSTRACT] Archaeological Sites of Balhae in Mongolia A. Ochir L. Erdenebold Since 2004 Mongolian Russian joint expedition have been carried out archaeological excavation of the some Qidan( 契丹 ) settlements, fortresses in the area of Bulgan and Tuv aimag in Mongolia. During the expedition in Tuul river valley from ruins of the 10 11 century settlement sites were found some archaeological finds associated with Balhae( 渤海 ) culture. Practically and scientifically very interesting that found Balhae period archaeological discovery on the territory of Mongolia. As we know Balhae settled in present day Russia s Far East, Primorskii territory and eastern China. In this article we concluded materials, artifacts from Chin tolgoi, Tsagaan denjiin balgas and Emgentiin herem, which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Balhae culture. We have a question: When and why in the territory of Mongolia settled Balhae people. This is due to military policy of Qidan. From 10th to the 12th century into the territory of present day Mongolia housed many Qidan soldiers, established their own military district and formed own policy. In History of the Liao dynasty( 遼 ) mention, that on the territory of Mongolia however Qidan settled Balhae and Zurchid people. In Tuul river valley until nowadays preserved cultural monuments with a special Balhae ornament and decoration. Balhae people, who migrated

344 동북아역사논총 31 호 to the territoryof Qidan and build houses, palaces, produced pottery and etc., on their own technology. Most Balhae people were craftsmen, blacksmiths and of course peasants. And their knowledge of agriculture and craft is bearing on the Mongols. Cultural relation between Balhae or Korean and Mongolian people have not been clarified. Balhae archaeological finds from the territory of Mongolia confirmed that Mongolia had a significantly long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 wi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eastern boundary of culture Balhae becomes Gobi and the Khangai mountains, thus limit the spread of culture Balhae much wider. These sites confirm that the archaeological side, you can update the date of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ancient Mongolia and Korea. keywords Qidan, Balhae, Zurchid, Chin tolgoi, Tsagaan denjiin balgas, Emgentiin her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