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12DB1E8C7F6C8AD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30312DB1E8C7F6C8AD2E687770>"

Transcription

1 < /tkl > 한국문학논총 제71집( ) 5~48쪽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김 현 화 * 차 례 1. 서론 2. 전승 양상의 성격 1) 구비 전승의 비장미 2) 문헌 전승의 절제미 3.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질 1) 인물의 형상화와 곡( 哭 )의 연대 2)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대 3) 낭만적 세계관의 해원의식 4. 결론 국문초록 이 논문은 맹강녀 설화가 관( 官 )과 민( 民 )을 아우르며 2000년 간 유전 해 올 수 있었던 서사문학적 특질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문헌 전승 기록과 구비 전승 기록의 차이점을 살펴, 전승 집단의 의식에 따라 캐릭터의 변이와 새로운 서사구조의 등장, 보다 명징해진 주제의식을 이 해할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한국 서사문학과의 교섭 양상을 살폈다. 좌전 에서부터 민을 교화하고 계몽하는 목적으로 기록된 기량 처 이야기는 당대( 唐 代 )에 이르러 맹강녀 설화로 자리 잡는다. 연못 상봉과 * 충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초빙교수

2 6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적혈로 남편의 뼈를 찾는 새로운 화소가 추가되었지만 감정보다는 이성 을 앞세운 절제된 미덕이 강조되었다. 당대의 위정자는 그것을 여성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당대 이후의 구비 전승 자료 가운데 8편을 채택해 민이 추구하던 서 사적 비장미에 대해 살폈다. 민의 전승에서는 적강, 인신공희, 관탈민녀, 세 가지 조건, 지명전설, 인명전설, 이계, 밀고자, 변신담 등이 새롭게 추 가된다. 이 화소들은 인물들의 절제된 이성보다는 솔직한 감정 상태를 살리고, 짜임새를 갖춘 서사 구조로,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기 위해 죽음 도 불사하는 비장한 주제의식을 발현한다.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질은 인물의 형상화 과정이 그녀의 곡 ( 哭 )과 연대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에서 먼저 눈에 띤다. 이러한 곡의 형 태가 한국의 고대시가 <공무도하가>와 <도미전>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해하였다. 두 번째 특질은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대란 점이다. 맹강녀 설화의 주요 공간 배경이 크게 세 가지, 곧 가택의 후원 연못에 서 장성으로, 다시 바다로 확장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후원 연못은 두 남녀 주인공의 만남과 이별이 이루어지는 서사무대로, 장성은 남편의 주검을 위안하고 위정자에 대한 징치를 하는 서사무대로, 바다는 설화 속 등장인물은 물론 민의 해원의식이 치러지는 서사공간으로 접근하였 다. 후원 연못을 배경으로 하는 한국적 서사무대로 삼국유사 <무왕> 조를 살폈고, 장성 서사무대로는 삼국사기 <개로왕>조의 축성 상황 과 전란 상황이 맹강녀 설화의 시대상황과 근접함을 고구하였다. 바다가 배경인 서사 무대로 <공무도하가>와 삼국유사 에 산재한 바다에 관 한 기록들, 고전소설 <최척전>과 희곡 작품 <만강홍>을 예로 들었다.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대는 당대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노출하고자 했던 민의 비원을 담고 있다. 세 번째 특질은 낭만적 세계관의 해원의식이란 측면이다. 맹강녀 설화

3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7 는 그녀의 죽음으로 비장미를 더한다. 맹강녀의 바다 투신은 이 설화에 의탁한 민의 원성을 풀어 주는 해원의식이다. 민은, 자신들의 현실적 불 의를 풀어 준 그녀를 다시 낭만적 죽음의 세계로 돌려보낸다. 이후 출현 한 현실적 열부 형의 여성들은 지고지순한 열녀형 인물이지만, 여전히 맹강녀와 도미 처의 맥을 잇는 낭만적 세계관 속의 인물이라고 할 수 있 다. 주제어 : 맹강녀, 기량, 중국 전설, 서사 문학, 서사 공간, 구비 전승, 문헌 전승 1. 서론 설화는 인간의 생로병사와 우주 자연의 섭리, 개아와 세계의 갈등과 희원을 담아내며 그 문학적 존재성을 입증해 왔다. 이른바 인간이 추구 하는 가치 있는 삶의 척도를 제시하며 문학의 한 영역을 지탱해 온 것이 다. 비극적이기도 하고 숭고하기도 하고, 때로 어수룩하고 희화적이기까 지 한 설화 속 군상을 통해 인간은 보다 가치 있는 삶에 다가서고자 하 였다. 그만큼 설화가 삶의 다원성을 다루며 유희적 기능뿐만 아니라 교 시적 기능까지도 구현한 문학물이기 때문이다. 맹강녀 설화는 그러한 바탕 위에서 2000여 년에 걸쳐 세인들의 이목 을 집중시켰던 작품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맹강녀 설화는 <우렁 각시> <양산백과 축영대> <백사전>과 아울러 중국 4대 전설 가운데 하나이다. 민( 民 )의 문학 속에서는 통속적이고 유희적인 속성으로, 관 ( 官 )의 문학 속에서는 이념적이고 교시적 속성으로 넘나들며 유전하였 다. 맹강녀 설화는 위정자들의 정치 이념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거 듭 재구성되기도 하였고, 그 비극적이고도 숭고한, 게다가 낭만적이기까

4 8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지 한 서사와 캐릭터의 영향으로 연희, 창사 등 민중이 애호하는 속문화 로서도 거듭 재구성되었다. 이것이 맹강녀 설화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서사적 변이와 교섭을 자연스럽게 호환하며 오랜 세월 유전할 수 있 었던 이유였다. 국내 맹강녀 설화 연구에 있어 거개의 논자들은 이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시도한 고힐강( 顧 頡 剛 ) 1) 의 연구를 선편으로 삼았다. 역사적 인물 인 기량( 杞 梁 ) 처와 전설적 인물인 맹강녀( 孟 姜 女 )의 상호 대비를 통해 설화의 발전 단계에서 보이는 소재의 증감과 내용의 변천을 살핀 논의 2) 는 설화 향유층의 세계관과 민간 문학의 위치를 중점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맹강녀 설화를 강창문학의 한 양식인 보권( 寶 卷 )의 속 성과 연결한 논의는 충효와 정절을 중시하던 봉건주의 분위기를 중점적 으로 다루었고, 3) 기량 처의 미화된 죽음을 통해 고대 중국 여인의 열녀 상을 정립함으로써 열녀라는 미명 하에 순절해야만 했던 왜곡된 시대상 을 살핀 논의는 4) 당대의 여성상을 남성적 이데올로기 안에서 고심해 보 았다는 데 의미 있다. 맹강녀 설화와 국내 작품 간 비교 연구는 그 원형을 소급시켜 이루어 졌다. 5) 맹강녀 설화의 원형인 기량 처 이야기와 후대 작품과의 비교 연 1) 고힐강, 맹강녀 이야기의 변천( 孟 姜 女 故 事 的 轉 變 ), 맹강녀고사연구집( 孟 姜 女 故 事 硏 究 集 ), 上 海 : 上 海 古 籍 出 版 社, ) 양윤정, 맹강녀설화 연구, 숙명여대 중어중문과, 석사논문, ) 김우석, 보권에 대한 연구:소극적 대안으로서의 이단과 미신, 도피적 위안과 마 취적 오락의 문학, 중국문학 32집, 한국중국어문학회, 허윤정, 맹강녀보권연구( 孟 姜 女 寶 卷 硏 究 ),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석사논문, (허윤정은, 현재 맹강녀 설화는 티벳과 대만을 제외하고 약 1500여 종의 관 련 텍스트가 수집되었는데, 그 가운데 이야기가 800종이고, 민간 가요와 창사가 약 700여 종이라고 했다. 나아가 맹강녀 설화가 공연 지향형의 강창문학을 만나 민간으로 보다 활발하게 전파된 측면을 부각했다.) 4) 조숙자, 고대 여인의 죽음과 그 그림자-기량의 아내 이야기를 중심으로-, 중 국어문학지 9집, 중국어문학회, ) 맹강녀 설화와 중국 고전 서사물과의 비교 연구는 양윤정의 논문에서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주나라 좌전 기록에서 시작된 기량 처 이야기가 맹강녀 설화로 변

5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9 구를 진행한 논의였다. 기량 처 이야기는 일찍이 좌전 과 예기 에 서부터 시작되는데, 이것이 전한 말기의 대학자였던 유향의 열녀전 <정순전>에 제기량처( 齊 杞 粱 妻 ) 로 입전되면서 정절과 순절을 상징하 는 인물로 정형화되었다. 이 책은 한대 이후부터 청 말에 이르는 장구한 유교적 여성관의 연원이 되어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의 여성 교육에도 다대한 영향을 미친 바, 6) 우리 서사문학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한국의 열부에 관한 최초 기록으로, 삼국사기 <열전>에 수록된 <도미전( 都 彌 傳 )>이 중요하게 거론된다. 도미 처에 관한 열녀 전승적 성격 때문이다. 도미 처의 열행에 중점을 둔 논의는 고전 서사물에 등장 하는 여성인물의 규범적 성격을 창조하는 데 집중했다. 7) 그래서 도미 처 이야기는 왕왕 기량 처 이야기와 비견되어 언급되었지만 이후 상세 한 연구 상황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공무도하가>의 배경 설 화를, 기량 처의 배경 설화와 대비, 그 등장인물 간의 특질을 살핀 논의 는 8) 이 설화의 변이와 교섭 양상을 살피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천한 뒤 청나라 말기까지 전기 변문 희곡 등의 번성에 활력을 주었음을 파악 하였다. 6) 정재서,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 열녀전 에 대한 여성학적 탐구, 이화여자대 학교출판부, ) 장덕순, 도미설화와 아랑의 정조,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 출판부, 최래옥, 관탈민녀형 설화의 연구, 장덕순선생회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한 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정상박, 도미부부 설화 전승고, 어국문학 8집,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진옥, 삼국 열녀전승의 성격과 그 서사문학적 의의,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Ⅱ, 중앙문화사, 최운식, 도미설화의 전승 양상, 고문화 49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2, 쪽. 손정인, 도미전의 인물형상과 서술방법, 어문학 80호, 한국어문학회, 2003, 쪽. 8) 이영태,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에 나타난 광부 처의 행동, 민족문학사연구 33집,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7, 쪽.

6 10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지금까지 살펴 본 논의는 기량 처 이야기에서 맹강녀 이야기로 발전 하는 과정에 일어난 소재나 내용의 변천에 관한 연구였거나, 혹은 기량 처 이야기만을 가지고 타 작품과 연결지어 언급한 연구였다. 그런데 맹 강녀 설화의 전통적 속성, 곧 구비 전승을 통한 서사의 변이와 개작, 그 를 통한 여타의 문학 작품 간의 교섭 양상은 살피지 못한 듯하다. 맹강 녀 설화는 2000여 년 동안 각 지역별로 유전하며 독특한 관점으로 구비 전승되었다. 문헌 기록에서는 보이지 않는 다양한 허구적 사건의 개입은 물론, 한층 유기적으로 짜인 서사 구조가 나타난 것이다. 맹강녀 설화는 이러한 변이 속에서 후대 문학 작품과 상통하는 서사문학적 위치를 획 득한다.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조선조 연행록 안에 실린 맹강녀 설화 기록 양상을 살핀 논의 9) 는 논자의 이해처럼 동아시아문화의 상호 교류 와 이해, 전파와 수용, 새로운 가치의 생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위에서 살핀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 학적 가치에 대해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우선 Ⅱ장에서는 맹강녀 설화 의 전승 양상이 구비물과 문헌물에 따라 그 성격이 달리 나타난다는 점 에 주목했다. 중국 내 여덟 지역의 구비 전승 자료에서 드러나는 비장미 와, 기량 처 이야기가 맹강녀 설화로 전승되며 드러나는 문헌 전승의 절 제미를 비교해 봄으로써 그 전승 양상의 성격을 살필 것이다. Ⅲ장에서 9) 김철, 연행록 중의 맹강녀 전설 기록 양상 소고, 민족문화연구 63집, 고려대 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159쪽-161쪽 참조.(논자는 700년에 달하는 한중 교류 사를 필기체로 담아 놓은 연행록 속에 나타난 맹강녀 전설 관련 이야기를 거론하 며, 19세기 말까지 수많은 조선조 문인들이 이 전설과 관련한 기록을 남겼다고 밝혔다. 조선조 연행 기록 가운데 가장 이르게 맹강녀를 소개한 인물로 <표해기 행록>을 쓴 최부를 거론하며, 세상에 전하기를 망부대( 望 夫 臺 )는 곧 진나라가 장성을 쌓을 적에 맹강녀가 남편을 찾았던 곳이라고 한다( 出 自 關 東 城 門, 門 之 上 建 東 關 樓, 門 外 有 東 關 橋, 誇 海 子 關 外 有 望 鄕 臺, 望 夫 臺, 該 傳 望 夫 臺, 卽 奏 築 城 時, 孟 姜 女 尋 夫 之 處 ) 라는 부분을 인용했다. 아울러 연행록 안에 수용된 맹강녀 설화 는 일기, 시, 잡록 등 총 250여 건이며, 그 중에 일기와 잡록이 166여 건, 시가 84 수라고 부연했다.

7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1 는 맹강녀 설화가 관( 官 )과 민( 民 ), 두 층위를 두루 포섭하며 유전해 올 수 있었던 서사문학적 특질을 살펴봄으로써 그 가치 탐색에 주력할 것 이다. 인물의 형상화와 곡( 哭 )의 연대,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대, 그리고 낭만적 세계관의 해원의식 등으로 나누어 그 특질을 재구성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특질이 한국 서사문학과 교섭하며 나타난 양상에도 주목하 기로 한다. 그런 가운데 고금에 이르도록 진정성을 갖는 한 편의 서사문 학으로 자리하게 된 맹강녀 설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한다. 10) 2. 전승 양상의 성격 1) 구비 전승의 비장미 당대( 唐 代 ) 이후 맹강녀 11) 이야기는 장성 축조와는 거리가 먼 강남 지 역까지 전파되는데, 이때부터 이야기는 더욱 다채로운 면모를 띤다. 새 로운 인물의 성격과 새로운 사건의 발생, 또한 그로부터 야기되는 비장 미 넘치는 결말이 부가되어 민초들의 현실을 긴장감 있게 반영한다. 구 비 전승 자료로 여덟 지역의 맹강녀 설화를 채택하였다. 각 지역 별 맹 강녀 설화의 지속과 변천을 보고 구비 전승 자료의 특색인 비장미를 살 피기로 한다. 우선 8편의 맹강녀 설화를 자료 별로 단락 지어 보면 다 음과 같다. 10) 이 논문의 텍스트는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집위원회에서 발간한 중국민간고 사집성 을 대상으로 한다. 8편의 자료에 대한 자세한 발행 사항은 본문 각주로 대신하기로 한다. 11) 기량의 처가 후대 맹강녀라는 이름으로 고정되는 것과 달리, 여덟 편의 구비 자 료에서 보듯 그 남편의 이름은 만기량, 만희랑, 범희랑 등 다양하게 구전된다. 구비 자료에 따라 이 이름들을 그대로 혼용해 쓰기로 한다.

8 12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자료 [1] (1) 하늘의 선녀였던 맹강녀는 인간세계를 훔쳐본 죄로 땅으로 쫓겨나 다. (2) 맹강녀는 맹 씨와 강 씨 집 울타리 박 속에 숨어 있다가 나중에 박 을 타자 어린 여자아이 모습으로 튀어나오다. 자식이 없던 맹 씨가 맹강녀를 거두다. (3) 처녀가 된 맹강녀는 온 몸이 하얀 사람이 자신의 배필 이라고 부모 에게 말하다. (4) 당시 진시황은 부왕의 108 후궁 중 가장 어린 애비 를 자신의 비로 들이고자, 옥황상제를 윽박질러 서쪽에서 해가 뜨게 하고, 다시 그 해를 가릴 장성을 쌓기 위해 11002명의 젊은 남자를 성벽 아래다 생 매장하려고 하다. (5) 옥황상제가 진시황의 꿈에 나타나 범 家 의 희량이란 자를 잡아 만천 량( 万 千 良 ) 12) 을 대신하라고 이르다. (6) 범희량이 도주하다 맹강녀의 집 후원 연못에 빠지는데, 맹강녀가 그 의 흰 몸을 보고 자신의 배필임을 알다. (7) 두 사람이 혼인하는 날 주갈 이란 자의 밀고로 범희량은 장성으로 끌려가다. (8) 맹강녀가 장성으로 찾아가 곡을 하자 성벽이 10리 씩 무너지다. (9) 진시황이 맹강녀의 미색에 빠져 후궁으로 삼고자 하니 그녀는 세 가 지 조건을 요구하다. 첫째, 진시황이 용포 대신 흰 상복을 입고 조문 하러 와서 세 번 아버지 라고 부를 것. 둘째, 범희량의 관을 이고 산 으로 가서 장례를 치러 줄 것. 셋째, 맹강녀 자신도 상복을 입고 바 닷가로 가 세 번 울게 해 줄 것. (10) 진시황이 세 가지 조건을 들어주자, 맹강녀는 범희량을 세 번 부르 며 바다로 뛰어들다. 13) 12) 방언으로 범희량과 발음이 같은 데서 비롯된 것 같다. 일만일천의 사람을 대신 한다는 의미. 13) 맹강녀, 중국민간고사집성 (절강권 주산시 정해구), 중국민간고사집성전국편 집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1993, 쪽.

9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3 자료 [2] (1) 범희량은 맹강녀와 결혼하자마자 장성을 축조하러 와 죽다. (2) 맹강녀가 찾아와 곡을 하자 장성 800리가 무너져 내리며 범희량의 시신이 나오다. (3) 진시황이 맹강녀를 후궁으로 삼고자 하니, 그녀는 진시황이 상복을 입고 남편의 장례를 치러 줄 것을 요구하다. (4) 진시황이 그 요구를 들어주자 맹강녀는 바다로 몸을 던지다. (5) 이에 진시황이 산편( 山 鞭 )으로 바다를 후려쳐 용궁을 위태롭게 하 다. 이에 용왕의 아홉 째 딸이 맹강녀로 변신해 나타나 진시황의 후 궁이 되다. (6) 진시황이 유력( 出 遊 )을 나간 사이 용녀는 산편을 훔쳐 바다로 달아 났는데, 용녀가 산편을 내리칠 때마다 장성이 바다 쪽으로 따라 달 리다. 용녀는 바닷가에서 아이를 해산하고 용궁으로 돌아가다. (7) 바닷가에 버려진 아이에게 범이 와서 젖을 물리고 독수리가 와서 날 개로 해를 가려주다. 항 씨 성을 가진 노인이 아이를 거두고 항우라 는 이름을 지어 주다. 그는 후에 서초의 패왕이 되다. 14) 자료 [3] (1) 범희량이 장성 축조에 끌려와 죽다. (2) 맹강녀가 곡을 하며 적혈로 남편의 뼈를 찾다. (3) 진시황이 맹강녀를 후궁으로 취하려고 하자, 그녀는 세 가지 조건을 요구하다. 첫째, 단향목 관에 남편의 뼈를 거둘 것. 둘째, 문무백관들 이 남편의 장례에 참석할 것. 셋째, 맹강녀가 상복을 입고 강가에서 남편의 제사를 지내게 해 줄 것. (4) 진시황이 이를 들어주자 맹강녀는 물 속으로 뛰어들다. (5) 맹강녀를 잃고 상사병에 빠진 진시황에게 절름발이가 찾아와 두 송 이 꽃 15) 을 바치다. 14) 맹강녀, 중국민간고사집성 (요녕권 수중현),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집위원 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1999, 쪽. 15) 꽃망울이 부푼 꽃과 만개한 꽃.

10 14 한국문학논총 제71집 (6) 황후와 태후가 꽃을 머리에 꽂으니 맹강녀처럼 미색의 용모로 변하 다. 진시황이 이성을 잃고 젊어진 모후를 귀빈으로 취하고자 하니, 황궁 성벽이 태양을 가리지 않고서는 아들이 어미를 아내로 맞을 수 없다고 모후가 격노하다. (7) 이에 진시황은 아랑곳하지 않고 산편으로 하늘을 덮는 거대한 성을 쌓다. (8) 해가 반으로 가려지는 것을 보고 모후가 곡을 하자 성이 무너지다. (9) 진시황은 만조백관을 볼 낯이 없어 천하를 둘러본다는 명목으로 길 을 나섰다 객사하다. (10) 꽃 두 송이는 바로 맹강녀가 변한 것으로, 남편의 복수를 위해 찾 아온 것이라고 전하다. 16) 자료 [4] (1) 맹 씨 강 씨 노파의 집 울타리 박 속에서 어린 여자아이가 튀어나 오다. 두 노인은 아이를 키워 줄 허 씨 성을 가진 새어머니를 들이 고, 허맹강이라 이름을 짓다. (2) 혼담이 오고가자, 맹강녀는 박 속에서부터 차고 나온 팔찌를 처음 보는 사람과 결혼하겠다고 하다. (3) 범희량이 장성 축조 부역을 피해 도주하다 맹강녀의 집 후원으로 숨 어들다. 마침 연못물에 손을 씻는 맹강녀의 팔찌를 보다. (4) 맹강녀와 혼인한 지 사흘 만에 범희량은 장성으로 끌려가다. (5) 맹강녀가 장성으로 찾아가 곡을 하자 성이 무너지며 백골이 나오다. (6) 맹강녀는 적혈로 남편의 뼈를 찾다. (7) 진시황이 맹강녀를 후궁으로 취하려고 하자, 세 가지 조건을 요구하 다. 첫째, 금 은으로 된 덮개를 씌운 관을 마련해 줄 것. 둘째, 문무 백관은 물론이요 진시황까지 장례 행렬에 참여해 줄 것. 셋째, 강변 으로 가서 남편의 시신을 매장해 줄 것. (8) 진시황이 이를 들어주자 맹강녀는 강으로 뛰어들다. 17) 16) 맹강녀가 꽃으로 변해 남편의 복수를 갚은 이야기, 중국민간고사집성 (복건 권 복정현),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집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1998, 쪽. 17) 맹강녀, 앞의 책, 2002, 쪽.

11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5 자료 [5] (1) 맹장군과 맹강녀는 복중 애기혼사로 맺어져 15년 뒤 혼인을 하다. (2) 맹장군이 만리장성 축조 현장으로 끌려가다. (3) 맹강녀는 후원 연못에서 음산한 날씨 속에 맹장군이 홀연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보고 남편이 이미 死 者 가 되었음을 직감하다. (4) 맹강녀는 진시황에게 바칠 황룡포와 자신을 위해 준비한 검은 옷을 들고 황궁으로 떠나다. (5) 진시황이 맹강녀를 후궁으로 취하려고 하자, 그녀는 장성 아래 묻힌 남편의 주검을 찾아 북과 노래로 장례지내 주길 요구하다. (6) 맹강녀가 장성 아래 앉아 곡을 하니 성벽이 무너지며 백골이 나타나 다. (7) 맹강녀가 적혈로 남편의 유골임을 확인하다. (8) 제사가 진행되는 중에 맹강녀는 남편의 유골을 끌어안고 바다로 뛰 어들다. 18) 자료 [6] (1) 효부인 란향녀는 시어머니가 중병에 걸리자 북방지역으로 신선 약 을 구하러 떠나다. (2) 절벽 위에서 요귀를 만나 생사의 기로에 선 란향녀는 신선 약을 구 하러 갈 수 없음을 한탄하다. (3) 발아래 있던 흰 바위가 말로 변해 란향녀를 태우고 일어나다. 란향 녀가 나무막대기로 땅에 붙은 말 꼬리를 치자 백마는 하늘로 날아올 랐고, 그 꼬리는 산 정상으로 떨어져 만리장성 최초의 한 단이 되다. (4) 백마는 란향녀의 시어머니가 이미 완쾌되었음을 알리고 땅으로 떨 어지다. 란향녀도 미련 없이 백마와 함께 땅으로 떨어지다. 백마는 바위가 되고, 란향녀는 박씨가 되어 그 위로 떨어지다. 백마 꼬리에 서 떨어진 피가 장성이 되었는데, 란향녀를 태우고 날아간 거리가 곧 장성의 길이가 되다. 18) 맹강녀 전설, 중국민간고사집성 (산서권 양천시),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집 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1998, 쪽.

12 16 한국문학논총 제71집 (5) 백 년 뒤 까치가 박씨를 물어 맹 씨와 강 씨 집 울타리 아래 떨어트 렸는데, 박이 열리고 그 속에서 어린 여자아이가 나오다. 맹강녀라 고 이름 짓다. (6) 후에 맹강녀가 남편을 찾아 장성 아래서 울자 성벽 800리가 무너졌 는데, 이는 장성이 란향녀를 기억하기 때문이라고 전하다. 장성은 곧 란향녀를 태우고 날아가던 백마의 피가 떨어져 변한 것이기 때문 이다. 19) 자료 [7] (1) 진시황은 만리장성이 거듭 무너지자 산 사람을 묻고 제사 지내기로 하다. (2) 일만 명을 대신하는 万 씨 성을 가진 만기량이 조정으로 잡혀오다. (3) 만기량의 아내 맹강녀가 황궁 앞에서 남편을 찾으며 곡하다 (4) 진시황이 맹강녀를 후궁으로 삼고자 하니 세 가지 조건을 요구하다. 첫째, 강변에 제단을 세우고 남편의 장례를 치러 줄 것. 둘째, 스님 72명을 모셔 시주하게 해 줄 것. 셋째, 진시황이 직접 제사를 지내 줄 것. (5) 진시황이 이를 들어주자 맹강녀는 물 속으로 뛰어들다. (6) 화가 난 진시황이 맹강녀의 시신을 찾아 갈기갈기 찢어 물고기 밥으 로 던지다. 토막 난 시체가 병어로 변했는데, 상복 때문에 흰색의 물 고기가 되었고 잘게 찢긴 살이 꼭 국수 같아서 면어( 面 條 )라고도 불 리게 되다. 20) 자료 [8] (1) 범희량이 장성 부역장에서 일하다 도주하던 중 맹강녀의 집 후원으 로 숨어들다. (2) 범희량은 계수나무 속에서 때마침 시녀들과 연못에서 목욕을 하던 19) 맹강녀와 만리장성의 최초 한 단, 중국민간고사집성 (북경권 연경현), 중국 민간문학집성전국편집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1995, 쪽. 20) 맹강녀와 병어, 중국민간고사집성 (강소권 남통시),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 집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1998, 쪽.

13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7 맹강녀를 훔쳐보다. (3) 눈치 빠른 시녀들이 죽대로 계수나무를 찔러 범희량을 땅으로 끌어 내리다. (4) 범희량은 장성 부역을 피해 도주한 사실을 밝히며 일부러 엿볼 의도 가 없었음을 밝히다. (5) 맹강녀는 범희량의 인물됨을 알아보고 부모에게 간청해 혼인하다. (6) 후에 맹강녀는 범희량을 찾아 천리 길을 걸어가 곡을 했는데, 장성 이 무너지고 범희량의 시신을 찾았다고 전하다. 21) 민( 民 )의 구비 전승에서 교훈적 효용성과 아울러 재미와 감동이 배가 된 서사로 발전한 것은 설화 전승 집단의 기대치에 부응한 결과이다. 민 ( 民 )의 기대치는 재미와 흥미에만 머물지 않고 맹강녀를 통해 현실에 포 진한 부조리한 문제의 징계로 나아간다. 진시황과 장성 축조를 당대의 삶과 연결함으로써 민( 民 )의 고통을 드러낸 것이 그 한 예이다. 장성 축 조 기량의 도주 기량과 맹중자의 연못 상봉 기량의 죽음 맹 중자의 곡( 哭 ) 그로 인한 붕장성( 崩 長 成 ) 적혈 등의 화소로 이루 어진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로부터 확대 발전한 화소들을 보면 적강(신 이한 탄생 포함), 인신공희 22), 관탈민녀, 23) 세 가지 조건, 지명 전설, 인 물 전설, 이계, 밀고자, 변신담, 등이 새롭게 추가된다. 우선 두드러진 화소는 적강 화소 이다. 적강 화소는 인간세계에서 벌 21) 맹강녀와 범희량, 중국민간고사집성 (호남권 례현),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 집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2002, 쪽. 22) 인신공희 사례를 살필 수 있는 연구는 다음과 같다. 유우선, 심청전의 근원설화 와 배경사상, 용봉논총:인문과학연구 11집, 전남대 인문과학연구소, 1981; 최 운식, 인신공희설화 연구, 한국민속학보 10집, 한국민속학회, 1999; 황인덕, 에밀레종 전설의 근원과 전래, 어문연구 56집, 어문연구학회, ) 최래옥은 앞의 논문에서 官 吏 가 평민의 여자를 빼앗으려는 사건을 담은 설화를 관탈민녀형설화 라고 명명하였다. 이때 남자의 신분은 가장 높은 왕, 다음은 그 고을의 長 인 원님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여자는 미천한 백성으로 반 드시 미색을 갖춘 조건으로 등장한다고 하였다. 이를 근거로 관탈민녀형 고전 서사물을 비교 연구하였다.

14 18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어질 맹강녀의 삶이 순탄치 않음을 예고한다. 적강녀마저 어쩌지 못하는 생이별이 존재하는 곳이 바로 현실세계이다. 그러니 범부의 삶 속에 든 생이별이야 오죽하겠는가 하는 비애가 표출된다. 적강은 아니지만 맹강 녀가 박씨 속에서 태어나는 자료 [4]와 [6] 역시 이와 같은 의미에서 장 치된 듯하다. 자료 [5]에서 맹강녀와 기량은 복중 혼사로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배필로 맺어지지만 관( 官 )의 부당한 개입으로 생이별을 겪는다. 이처럼 신이한 출생은 생이별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인신공희 화소 는 자료 [1]과 [7]에서 볼 수 있다. 범희량은 장성 축조 의 인신공희 대상으로 잡혀 오는데, 11002명 혹은 10000명을 대신할 목 숨이기 때문이다. 이는 좌전 이나 열녀전 의 기량이 충( 忠 )을 위 해 목숨을 바치는 것과 사뭇 다른 점이다. 구비 전승 자료 속의 기량은 오히려 관( 官 )의 부당한 압력에 어쩔 수 없이 인신공희 제물이 되기 때 문이다. 게다가 기량은 자신이 인신공희로 바쳐질 것이라는 사실을 알자 왕의 명을 거스르고 도주까지 한다. 비록 자신의 죽음으로 만 명의 목숨 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인간적인 두려움은 뿌리치지 못한 모습이다. 인신공희 화소는 관의 폭정 앞에 희생되었던 당대 민 ( 民 )의 고통을 드러낸 것이다. 관탈민녀 화소 와 세 가지 조건 화소 는 자료 [1]과 [2], [3]과 [4], 그 리고 [7]에서 동일하게 볼 수 있다. 맹강녀를 후궁으로 들이려고 하는 진 시황에게 맹강녀는 세 가지 조건을 요구하는데, 예외적으로 자료 [2]에 서만큼은 한 가지 조건만 요구한다. 그 요구 조건은 일관되게 남편의 장 례를 엄숙한 예법으로 치러 달라는 것이다. 이는 좌전 의 기량 처가 조문을 교외에서 받지 않고 예법을 지켜 자신의 집에서 받는 내용과 상 통한다. 전사자인 남편의 죽음을 흉사가 아닌 열사( 烈 士 )의 위치로 상승 시키는 효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녀는, 진시황과 만조백관이 장례 행렬 을 따르는 것은 물론 운구까지 요구한다. 더군다나 자료 [1]에서는 진시 황이 조문 와서 아버지 라고 세 번 부를 것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15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9 대범한 요구는 문헌 전승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구비 설화는 증거물이 있는 경우 강한 전승력을 획득하고 전승 집단 이 이 증거물에 대한 외경심이 강하면 강할수록 전승력이 강화된다. 24) 이러한 구비 설화의 특성을 자료 [6]에서 읽을 수 있다. 맹강녀의 전생인 란향녀 이야기를 통해 만리장성이 생긴 지명전설 을 만들어 냈다. 만리 장성이 위치한 북경 지역의 특수성에서 기인한 지명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의 만리장성은 열부가 아닌 효부의 효행으로 서사가 변형됐다 는 데 그 특징이 있다. 효부로서의 맹강녀를 그린 자료는 이 한 편에 그 친다. 25) 자료 [2]를 보면 맹강녀로 변신한 용녀가 진시황의 후궁으로 들 어가 항우를 낳는다. 맹강녀 설화의 서사적 포용성은 역사적 인물의 출 생담을 담은 인물전설 의 바탕이 되기도 하였다. 기량 처 이야기에서 시작해 맹중자 이야기로 전승된 문헌 기록에서는 이계 의 개입이 드러나지 않는다. 구비 전승 자료 [1]과 [2], 그리고 [3] 에서는 옥황상제와 용왕, 그리고 용궁 같은 이계와 그 세계의 인물이 등 장한다. 또한 진시황이 성을 쌓거나 용궁을 위협하는 데 쓴 이계의 물건 인 산편도 등장한다. 반면에 비록 한 편에 그친 화소이지만 이계와는 반 대로 가장 현실적인 인물이 자료 [1]에 등장하는데 바로 밀고자로 등장 한 주갈 이란 자이다. 장성에서 도주해 온 기량이 맹강녀와 결혼하는 날 주갈 이란 자가 관에 밀고해 기량이 장성으로 끌려가는 비극을 맞이한 다. 당대의 다양한 인간 군상에도 관심을 가졌던 민( 民 )의 의식이 반영 된 화소이다. 다음으로 변신담 화소 를 자료 [2]와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료 [2] 24) 정상박, 앞의 논문, 30쪽. 25) 그러나 명청대를 지나며 나타난, 소석맹강녀충렬정절현량보권( 銷 釋 孟 姜 女 忠 烈 貞 節 賢 良 寶 卷 ) 같은 맹강녀보권 작품에는 충효, 정절, 현량이 세 가지 덕목이 맹강녀에게 부과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유가 중심의 봉건주의 예법을 강요 하던 당시의 사회적인 분위기에서 우선적으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김우석, 앞의 논문)

16 20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에서는 용녀가 맹강녀로 변신하는데, 그 목적은 용궁을 위협하는 진시황 의 산편을 훔쳐 돌아오기 위해서이다. 반면에 자료 [3]의 변신담은 맹강 녀가 꽃으로 변해 남편을 죽인 진시황에게 찾아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진시황을 패륜으로 이끌어 마침내 황실의 문을 닫게 하고 객사하게 하 는 복수담을 그린다. 변신 복수담은 비록 현실적인 화소는 아니지만 맹 강녀의 복수가 성사되었다는 점에서 민( 民 )의 분노를 상징하는 의미로 다가온다. 자료 [8]을 보면 나머지 자료들과 다른 구조가 눈에 띈다. 장성 축조 공사장에서 도주한 기량은 맹강녀의 집 후원 연못에서 목욕을 하고 있 던 맹강녀를 엿본다. 하녀들에게 발각되어 곤욕을 치르는 이야기로 진행 되는데, 이때 맹강녀는 기량의 인물 됨됨이를 알아보고 부모에게 간청해 혼인을 맺는다. 그런 뒤 맹강녀가 장성에서 곡을 하고 성벽을 무너트려 기량의 시신을 찾는다는 짤막한 이야기를 전승담처럼 부연하고 있다. 중 요한 뒷부분을 이처럼 축약하고 맹강녀와 범희량의 혼사담이 강조된 점 이 특이하다. 장성 축조, 도주, 규시(몰래 엿보기), 발각, 해명, 혼사 등 다른 자료에서 볼 수 없는 현실적이고도 극적인 요소들이 넘친다. 곧 맹 강녀 설화는 사실적이고도 현실적인 서사 전개가 가능할 정도의 서사문 학적 역량을 갖추고 있었던 셈이다. 투신 은 새로운 화소가 아니지만 이야기의 주제와 관련된 중요한 부 분이므로 간과할 수 없다. 자료 여덟 편 중 일곱 편에서 맹강녀의 투신 이 일어난다. 그런데 이때의 투신은 전대( 前 代 ) 문헌 전승 속의 투신과 는 그 양상이 다르다. 전대의 투신은 올곧이 남편의 죽음에 동조한 죽음 이었다. 커다란 동요도 복수도 계획도 없이 그저 순리처럼 따른 순절이 었다. 그런데 이때의 투신은 비장한 계획 뒤의 죽음이라는 데 그 의미가 깊다. 맹강녀는 강물이나 바다에 투신하기 전 반드시 진시황에게 세 가 지 조건을 요구하는데, 복수의 의미를 담고 있는 조건이었다. 진시황은 맹강녀가 투신하고 나자 그 분함을 이기지 못해 자료 [7]에서처럼 맹강

17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21 녀의 시신을 훼손하기도 한다. 그렇게 잘게 찢긴 살점이 병어라는 물고 기가 되었다는 후일담까지 낳는다. 자료 [2]에서는 그녀가 빠져 죽은 바 다를 진시황이 산편으로 후려쳐 용궁을 위험에 빠트릴 만큼 분노한다. 혹은 자료 [3]에서처럼 자신의 추한 행적을 뒤로 하고 황궁을 나섰다가 객사하기도 한다. 부당한 관( 官 )을 징계한 맹강녀의 죽음, 범부의 장례 행렬에 왕과 만조백관을 행차시키고, 관을 지게 하는 행위를 마친 뒤의 죽음은 여느 영웅 못지않은 비장함을 준다. 맹강녀 설화는 이처럼 다양한 화소의 변이와 등장으로 한층 생동하는 서사적 성격을 갖추었다. 그 주제는 열부의 비장한 죽음에 맞추어져 전 승되었다. 비장함은 민( 民 )의 속내를 대변하기에 더없이 적절한 감정의 분출구였다. 역사 이래 민( 民 )의 말하고자 하는 욕구는 다양한 구비 전 승물로 이입되어 당대의 현실을 담아냈다. 맹강녀 설화 역시 그러한 민 중의 희원을 담아 끊임없이 구비 전승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중 심의 미학적 근간은 비장미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화소들을 도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자료 중국민간 조옥집 고사집성 요녕권 복건권 하남권 산서권 북경권 강소권 호남권 맹중자 절강권 자료 2 자료 3 자료 4 자료 5 자료 6 자료 7 자료 8 화소 전설 자료1 장성축조 도주 연못상봉 곡 붕장성 적혈 적강 인신공희 관탈민녀 세가지 조건

18 22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지명전설 인물전설 이계 밀고자 변신담 투신 기타 한가지 조건 변신 복수담 신이 탄생 복중 혼사 효부 병어 맹강녀 후일담 혼사담 2) 문헌 전승의 절제미 맹강녀 설화의 원형인 기량 처 이야기가 최초로 관( 官 )의 기록으로 실 린 때는 주나라 때이고, 그것이 다시 변천하여 하나의 서사문학적 골격 을 갖춘 맹강녀 이야기로 탄생한 시기는 당나라 때이다. 양윤정은 이 당 대( 唐 代 )의 서사물이 남송대에 이르러 <맹강>이라는 정식 명사로 정형 화되었고, 이후 명대에는 맹강녀 입묘( 立 廟 ) 운동이 일어날 만큼 번성하 였던 사실을 들어 이 작품이 당대의 사회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음을 파악 26) 하였다. 문학작품이 관( 官 )의 입장에서 기록될 경우, 맹강녀 설화의 문헌 전승 에서 보듯 지배 계층의 정치이념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기량 처 이야기가 실린 좌전 이나 예기, 그리고 맹자 등의 제사서 ( 諸 史 書 )는 백성들을 계몽하는 전통 도덕, 군신의 도리, 부부의 예와 같 은 것을 기재함으로써 교화의 목적 27) 을 다했다. 맹강녀 설화의 원형은 좌전 양공( 襄 公 ) 23년(B.C.550)의 기록에서 볼 수 있다. 제나라 군주가 진나라에서 자기 나라로 돌아가지 않고, 바로 거나라 를 기습 공격하였다. (생략) 거나라 군주는 뇌물을 주고 그들을 죽이지 않겠다며, 그대들이 내게 맹세하고 돌아가기를 바라네. 하였다. 화주 26) 양윤정, 앞의 논문, 2쪽. 27) 양윤정, 위의 논문, 5쪽.

19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23 ( 華 周 )는 재물을 탐하여 임금의 명령을 저버리는 것은 당신도 싫어할 것입니다. 어두울 때 명령을 받고 해가 한 나절이 되기도 전에 이를 버 린다면 어떻게 군주를 섬길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그러자 거나라 군 주는 친히 북을 쳐, 거들을 정벌하고 기량을 사로잡았다. 그 뒤에 거나 라 사람이 제나라에 화친을 맺었고, 제나라 군주는 귀환했다. 제나라 군 주가 귀환하다가 도읍의 교외에서 기량의 부인을 만났다. 사람을 시켜 기량이 죽은 것에 대해 조문을 하게 하니, 그 부인은 조문 받기를 거절 하면서, 제 남편에게 죄가 있다면 어찌 외람되게 군주의 조문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만약 죄가 없다면 선대로부터의 누추한 집이 저 아래쪽에 있으니 저는 교외에서 조문을 받을 수 없습니다. 라고 하였 다. 제후는 기량의 집에 가서 조의를 표하였다. 28) 이를 주요 사건 단락으로 축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주나라의 제후국인 제( 齊 )의 장공이 기식과 화한을 시켜 거( 莒 )를 공격하다. (2) 거나라 왕이 재물로 기량을 매수해 동맹을 맺고자 하나 거절당하자 그를 죽이다. (3) 제의 장공이 교외에서 기량의 부인을 만나 사람을 시켜 조문하게 하 다. (4) 기량의 부인이 이를 거절하고 집 안에서 왕의 조문을 받다. 이 기록으로 보아 기식(기량)은 주나라의 제후국이었던 제( 齊 ) 장공이 거( 莒 )를 습격할 때 전사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장공이 사람을 시 켜 교외에서 위로하고자 하니, 기량의 처가 이를 거절하고 예법에 맞춰 집 안에서 조문을 받게 된 일을 서술하고 있다. 당시 춘추시대 제나라 지방에서는 전사한 사람을 조문할 때에는 반드시 교외에서 했다. 타지에 28) 諸 侯 還 自 晉, 不 入, 逐 襲 莒 (생략) 莒 子 重 賂 之, 使 無 死 曰 : 請 有 盟 華 周 對 曰 : 貪 貨 棄 命 亦 君 所 惡 也, 昏 而 受 命, 日 未 中 而 棄 之, 何 以 事 君? 莒 子 親 鼓 之, 從 而 伐 之 獲 杞 梁. 莒 人 行 成 諸 侯 歸, 萬 杞 梁 之 妻 于 郊, 使 吊 之 辭 曰 : 殖 之 有 罪, 何 辱 命 焉? 若 免 于 罪, 獲 有 先 人 之 敝 廬 在, 下 妾 不 得 于 郊 吊. 諸 侯 吊 諸 其 室.

20 24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서의 전사는 흉사라고 여겨 교외에서 조문 받는 것이 관례였으나 결국 기량 처로부터 그 풍속이 바뀌게 되었으니, 기량 처의 이러한 예법 때문 에 유향의 열녀전 에 채택된 것이 아닌가 하는 유추 29) 도 타당성 있 다. 전사한 남편의 주검 앞에 선 기량 처는 의연하다 못해 엄숙하기까지 하다. 무엇이 이토록 그녀의 감정적 분출을 막고 이성적 판단을 전면에 내세우게 하였는가. 우선 기량이 보여 준 행동을 보자. 거나라 왕이 기량 을 재물로 매수하려고 하니 그는, 재물을 탐하여 임금의 명령을 저버리 는 것은 당신도 싫어할 것이다. 어두울 때 약속하고 해가 한나절도 되기 전에 어긴다면 어떻게 임금을 섬기겠는가. 30) 라고 제나라 왕에 대한 충 성을 강조하였다. 기량 처의 의연했던 태도는 바로 이러한 기량의 충성 심과 상응하는 것이다. 남편인 기량은 적국 왕의 회유를 물리치고 죽음으로써 군신 간의 도 리를 다하였다. 이에 기량 처는 비통한 심정을 드러내는 대신 남편의 주 검을 흉사가 아닌 열사의 죽음으로 승화시키며 부부 간의 절의를 다하 였다. 기량 처의 이와 같은 절제된 이성은 곧 당대의 만민( 萬 民 )을 교화 하고자 하는 상층의 의도에서 확보된 것이다. 군신의 도리와 부부 간의 절의는 봉건 제도를 유지하는 데 중핵이 된다. 주나라 황실과 제후국과 의 결속을 도모하는 데 기량 부부가 보여 준 이와 같은 충과 열은 관민 ( 官 民 )을 하나로 묶어 주는 중요한 구심점이 되기에 충분했다. 그래서 감정적 인물보다는 예를 바탕으로 한 이성적 인물을 내세운 것이다. 이러한 절제미, 개아의 감정보다는 세계의 존립이 우선인 이성을 앞세 웠기 때문에 기량 처 이야기는 좌전 을 거쳐 한 대의 열녀전 으 로 문헌 전승되었다. 서한( 西 漢 ) 말기 유향의 문헌 속으로 전승된 기량 29) 조숙자, 고대 여인의 죽음과 그림자-기량의 아내 이야기를 중심으로-, 동아 시아 여성의 기원-열녀전에 대한 여성학적 탐구, 이화여대 출판부, 2002, 쪽. 30) 貪 貨 棄 命, 亦 君 所 惡 也, 昏 而 受 命, 日 未 中 而 棄 之, 何 以 事 君.

21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25 처 이야기 31) 는 새로운 내용이 부가된 것이 특징이다. 즉, 기량 처의 곡 ( 哭 )과 장성의 붕괴( 崩 城 ), 그리고 치수 투신이라는 새로운 결말이 그것 이다. 기량의 전사 소식을 듣고 기량 처가 곡을 하니 성이 무너졌다는 내용은 그녀의 곡이 여느 범부의 통곡과 달리 신적( 神 的 ) 경지의 것임을 드러낸다. 그래서 기량 처의 가곡( 歌 哭 )은 신앙적인 측면에서 논의되는 데, 대개는 당시 민간의 가곡 풍속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본다. 가곡은 천지를 감동시키고 귀신을 울릴 만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특히 무 속 신앙에서 천신과 지지( 地 祗 )에게 마음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식되 었다. 32) 천지를 감동시켜 성을 무너트릴 만큼 곡을 하는 기량 처의 모습은 좌전 의 기록과 달리 상당히 감정적이고도 격정적이다. 예법 숭앙을 강조하기 위해 다분히 이성적으로 그려졌던 기량 처의 모습이 이처럼 변천한 데에는 결론적으로 치수 투신이라는 당대의 명분을 구축하기 위 함이었다. 달리 말해 한대( 漢 代 )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 때문이기도 하였 다. 주나라를 지탱하였던 종족의 해체와 더불어 전국시대 이후 중국 사 회는 하나의 전제 군주가 지배하는 국가와 하나의 가장이 지배하는 가 족이라는 두 개의 영역을 기본 축으로 구성되었다. 33) 기량 처는 그와 같 은 정치 이념을 실현하는 인물로 부각되었다. 유향의 열녀전 <정순전 제기량처>에 실린 내용의 서사 단락을 31) 1 설원( 說 苑 ) 입절 : 기량과 화주가 전투를 벌여 27명을 죽이고 전사하였는 데, 그 아내가 이 소식을 듣고 소리 내어 울자 성이 기울고 그 귀퉁이가 무너졌 다. 杞 梁 華 周 ( 舟 ) 進 鬪, 殺 二 十 七 人 而 死, 其 妻 聞 之 而 哭, 城 爲 之 阤 隅 爲 之 崩. 2 설원 선설 : 옛날에 화주와 기량이 전쟁에 참여하여 죽었다. 그 아내가 그를 슬퍼하여 성을 향해 소리 내어 울었는데 성의 귀퉁이가 무너지고 성이 무 너졌다. 昔 華 周 杞 梁 戰 而 死, 其 妻 悲 之, 向 城 而 哭, 隅 爲 之 崩, 城 爲 之 阤. 3 열녀전 정순전 제기량처 : 이 부분은 본문에서 기록하기로 한다. 32) 조숙자, 앞의 논문, 283쪽. 33) 정재서, 열녀전의 여성 유형학,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열녀전에 대한 여성학 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16쪽.

22 26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살피면 다음과 같다. (1) 기량이 거나라와의 전투에서 전사하다. (2) 기량 처의 요구로 제나라 장공이 예를 갖춰 기량의 집에서 조문하 다. (3) 기량 처가 기량의 시신을 성 아래 두고 열흘간 곡을 하니 성이 무너 지다. (4) 위로는 아버지도 없고, 가운데로는 남편도 없고, 아래로는 아들이 없 음을 한탄한 기량 처는 치수로 가 죽다. (5) 군자에 의해 칭송 받다. (2)의 예법을 이행하고, (4)의 가부장적 논리에 포섭되어 마침내 치수 에 투신하는 기량 처의 모습에서 당대 여성상의 실마리가 잡히고, 34) (5) 의 논리를 통해서는 유학을 내세운 위정자의 이데올로기를 읽어낼 수 있다. 좌전 에서 보이는 기량 처의 이성적인 판단은 (3)의 격정적인 태도로 그 절제미를 잃는 듯하다. 그러나 치수 투신이라는 정당성 확보 를 위한 의도적 장치일 뿐 그녀의 절제된 미덕은 변함이 없다. 오히려 남편을 따라 순절한다는 점에서 더욱 절제미를 강조한 모양새를 갖춘다. 기량 처의 이러한 기록은 문헌 전승이 여성 교육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저술이라는 특성 때문에 구현된 것이다. 정절을 강조한 기량 처 이야기는 당대( 唐 代 )에 이르러 맹강녀 설화로 자리 잡는다. 조옥집( 琱 玉 集 ) <감응편>에 실린 맹중자 설화를 단락 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량이 만리장성을 쌓다 도주하다. (2) 기량은 맹초의 후원 연못으로 숨어들어 목욕을 하던 초의 딸 중자를 34) 최진아는, 한대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줄곧 이어진 여성들의 순절, 곧 왕이나 남편을 따라 죽는 순사의 원전이 유향의 열녀전 에서 시작되었다고 파악하고, 중국과 조선의 각 시대별 열녀전 을 연구하였다.(최진아, 견고한 원전과 그 계보들-동아시아 여성 쓰기의 역사,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열녀전에 대한 여 성학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쪽 참조.)

23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27 보다. (3) 기량은 중자와 부부의 예를 맺고 장성으로 돌아가지만 진시황이 죽 여 성벽 아래 묻다. (4) 중자가 장성으로 찾아가 곡을 하니 성벽이 무너지며 백골이 쏟아지 다. (5) 적혈로 35) 기량의 뼈를 찾아 장사지내다. 진기한 것은 진시황의 출현과 함께 만리장성에 얽힌 그의 만행( 蠻 行 ) 이 언급되고 있다는 점이다. (1)에서는 민( 民 )이 도주를 할 만큼 장성 축 조 부역이 고된 노동이었다는 사실이다. (3)에서는 민의 죽음을 예우로 대하지 않고 성벽에 묻어버리는 진시황의 만행을 그리고 있다. 전대( 前 代 )의 문헌 전승 기록보다 훨씬 현실적인 서사로 전개되고 있다. 맹강녀 는 (2)에서 보듯 자신의 몸을 맨 처음 본 남자와 결혼할 것을 다짐하는 절제된 사고의 인물이다. (4)에서는 적혈로 남편의 뼈를 찾지만, 구비 전 승 기록에서처럼 진시황을 향해 복수를 계획할 만큼 능동적이지는 못하 다. 그러나 이는 정절 의식을 표방하는 문헌 전승 기록물의 특징에서 비 롯한 결과이다. 기량 처 이야기보다 분명 그 부가된 내용이나 구조적인 면, 새로운 인물의 등장으로 변천을 하였으나, 여성의 열을 강조하는 주 제적인 측면은 오히려 더욱 견고해졌다. 열녀전 의 <제기량처>와 조옥집 의 <맹중자>에 보이는 아내의 곡( 哭 )은 감정 노출보다는 절 제된 여성상을 표현하는 장치로 다가온다. 열녀전 의 곡은 치수 투신 이라는 명제를 위한 것이고, 조옥집 의 곡은 남편의 백골을 찾는 열 부의 정절을 강조한다. 장성을 붕괴시킬 만큼 요란한 감정 노출로 보이 지만, 사실은 당대의 정형화된 여성상을 구축하는 곡이었다는 데 공통점 이 있다. 35) 피를 떨어트려 혈육을 분별하는 것. 피를 물에 떨어트려 서로 뭉쳐지거나, 뼈에 떨어트려 그 속으로 스며들면 혈육 간으로 여김.

24 28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조선조 사신들이 연경으로 들어가는 길목인 산해관 부근에 강녀묘( 姜 女 廟 )가 위치해 있었는데, 사행사들은 관행처럼 이 묘에 들러 한 구절씩 이라도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남겼다. 그 이유는 유교적 덕목의 실천자 로서의 열녀 맹강녀에 대한 관심이 충성심과 굳은 지조를 바탕으로 하 는 자신들의 유교적 이념과 일치했기 때문이다. 요컨대 열녀에 대한 숭 배를 시대적 풍조인양 유도한 것은 유교적 충절, 즉 당시 통치자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기 위한 데 목적 36) 이 있었다. 사건 서술 중심의 원형 이야기 를 변형 이야기 로 바꾸는 힘은 바로 인간이 본원적으로 지니는 모종의 결핍과 욕망에서 기인한다. 인간 정신 의 내면에 존재하는 본원적 결핍은 대개 집요한 욕망의 양상으로 드러 난다. 37) 맹강녀 설화는 바로 이와 같은 당대인의 결핍과 욕망을 위장한 이면을 지닌 이야기이다. 감정보다는 이성을 앞세운 절제된 미덕, 당대 의 위정자는 그것을 여성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관( 官 )은 설화의 전승력에 기대어 민( 民 )을 교도할 목적으로 맹강녀 설화를 적극 활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3.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질 1) 인물의 형상화와 곡( 哭 )의 연대 봉건 사회는 개인이 욕망하는 꿈이나 열망을 실현하기에는 현실적 제 약이 클 수밖에 없었다. 개인보다는 집단의 건재와 존립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문헌 전승의 맹강녀 설화에 나오는 인물을 보면 이처럼 세습 적이고도 숙명적인 계층 결정 때문에 고통 받는 현실 안에서 존재한다. 36) 김철, 앞의 논문, 183쪽-184쪽. 37) 장준영, 이야기( 故 事 )의 고금 변형을 통한 인문학적 소통의 가치 읽기, 중국 연구 64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5, 442쪽.

25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29 그 단적인 예가 범기량(혹은 만기량)인데, 그는 애초부터 부역에서 벗어 날 수 없는 계층이다. 그래서 혼인을 마치기도 전에 장성을 축조하는 공 사장으로 끌려가고, 거기서 도주한 죄 때문에 죽임을 당하는 힘없는 백 성이다. 그에 반해 맹강녀는 신과 인간의 경계에 선 신이한 인물이다. 곡( 哭 ) 의 경지가 얼마나 신이했던지 장성이 붕괴될 정도였다. 물론 좌전 의 기량 처 이야기에서는 이와 같은 신이한 경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한대 ( 漢 代 ) 유향의 열녀전 이나 설원 등에서 보이기 시작한 특이한 설정이다. 이에 대해 논자들은 기량 처가 잘 우는 부인으로 유명하기 때 문에 본래의 기량 처 이야기 와 성이 무너진다 는 전설이 서로 결합해 기량 처가 울어서 성이 무너졌다 는 전설이 형성 38) 되었다고 보기도 하 였다. 구비 전승 자료에서도 맹강녀의 신이한 곡은 중심 화소이다. 조숙자 는, 은대 이전부터 이미 특이한 소리(울음을 포함해서)를 이용해서 하늘 에 기도하였음을 전제하고, 신을 향하여 자신의 소원을 비는 데 가장 효 과적인 방법으로 곡을 내세웠으며, 잘 울었다 고 하는 것은 민간 신앙 에서 자연스럽게 신과 대화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식 39) 되었다고 했다. 맹강녀의 곡은 단순히 남편의 죽음에 따른 상실과 분노 때문에 폭발한 원성이 아니라, 위령제에서 불리는 곡과 같은 의미로 망자를 위로하고 산 자를 징계하는 신이성을 띤 것이다. 이와 같은 신이한 곡의 형태를 한국의 고대서사물인 <공무도하가>에 서도 살필 수 있다. 백수광부가 물에 빠진 순간 그의 처가 부른 노래는 횡사한 사람의 혼령을 위무하는 위령제에 쓰인 사설 40) 과도 같아서 맹강 녀의 곡과 그 성격이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공무도하가>의 배경 설화에 나타난 광부 처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중국의 <기량처 38) 조숙자, 앞의 논문, 쪽. 39) 조숙자, 위의 논문, 285쪽. 40) 김태곤, 한국고대종교사상, 집문당, 1984, 293쪽.

26 30 한국문학논총 제71집 가>배경 설화에 주목한 논의 41) 가 있어서 주목되는데, 이 두 문헌이 동 일하게 금조 (채옹, )와 고금주 (최표, )에 실려 있 다는 사실에 기인한 연구였다. 기량 처의 곡( 哭 )이 일정한 선율이 있는 처연한 가( 歌 ) 형태라는 점에서 <공무도하가>의 가( 歌 )와 일맥상통한다 고 본 견해는 두 서사문학의 교섭 양상을 살필 수 있는 고무적인 성찰이 다. 좀 더 후대의 삼국사기 권48 <열전>8 <도미전>에 나오는 도미 처의 곡도 이러한 신이성을 띤 것으로 접근해 볼 수 있다. 개로왕의 난 행을 피해 강가로 도망쳐 왔으나 그 물을 건널 길이 없자 도미 처가 하 늘을 향해 곡을 하니 홀연히 배 한 척이 나타난다. 맹강녀의 곡( 哭 )처럼 천지를 감응시킨 신이한 곡이었다. 다만 다른 점은 이 곡이 끝난 뒤 맹 강녀는 바닷가로 가 투신을 하였고, 도미 처는 남편을 만난다는 점이 다 르다. 여성인물의 곡이 사건 전개의 중요 화소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눈 에 띠는 대목이다. 부연하자면 맹강녀의 곡은 곧 이 설화의 신이성을 드러내는 중심 화 소인데, 문헌 전승 자료에서는 어떻게 해서 그녀가 이러한 경지에 들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구비 전승 자료에서는 갖가지 화소들이 나타나 신이한 인물의 신빙성을 더해 준다. 예컨대 자료 [1]에서는 맹강 녀가 적강녀로 등장함으로써 단락 (8)의 곡( 哭 )과 단락 (9)의 붕장성( 崩 長 城 )이 조합된다. 단락 (3)을 보면 맹강녀는 자신의 배필이 온 몸이 하 얀 사람 이 될 것임을 알고 있다. 이 역시 적강녀라는 배경에서 개연성이 선다. 자료 [5]에서도 맹강녀의 비범한 예감이 나타나는데, 환영처럼 나 타난 맹장군(범기량)을 보곤 그가 이미 사자( 死 者 )가 되었음을 직감하고 장성으로 떠난다. 이러한 배경 뒤에 나타나는 맹강녀의 곡은 마땅히 신 이한 경지일 수밖에 없다. 42) 41) 이영태,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에 나타난 광부 처의 행동, 민족문학사연구 33집,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7, 쪽. 42) 조숙자는, 현재까지도 맹강녀의 신성한 영역이 이어져 호남 상덕의 한극( 漢 劇 )

27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31 그러나 맹강녀가 하늘과 천지를 감응시켜 장성을 붕괴시키는 신이한 존재로서만 회자되었다면 비현실적인 요소로 인해 그 감동이 반감했을 것이다. 맹강녀 설화는 현실적 고통을 대리 해소하고자 하는 민( 民 )의 희구가 담긴 서사문학이다. 그래서 맹강녀는 인간적이고도 현실적인 성 격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었다. 맹강녀의 이러한 성격은 그녀의 출생 부 분과 진시황의 권력 앞에 맞서는 의연한 모습을 통해 드러난다. 맹강녀 는 적강녀의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하지만 거개는 평범한 인간으로 태어 난다. 여느 사람처럼 혼담이 오가고 배필인 범기량을 만나 혼인하는 인 간적인 길을 걷는다. 다만 특이하게도 자료 [1]과 [4]에서는 박의 씨 속에 몸을 의탁하고 있 다가 어린 여자아이 몸으로 튀어나오는데, 그녀에게 둘 혹은 세 명의 부 모가 나선다. 자료 [1]에서는 맹 씨와 강 씨 노인이 서로 부모가 되려고 옥신각신하다 자식이 없는 맹 씨 노인이 맹강녀를 키운다. 이름은 맹 씨 와 강 씨 성을 따서 맹강녀이다. 자료 [4]에서도 맹강녀가 박 속에서 튀 어나오자 맹 씨와 강 씨 노인은 아이를 잘 키워 줄 허 씨 성을 가진 새 어머니를 들이고 이름도 허맹강이라 짓는다. 서로 앞 다투어 부모가 되 어 줄 만큼 맹강녀는 동정심을 자극하는 인간적인 인물이었다. 맹강녀가 신이성뿐만 아니라 현실적 인간이라는 측면은 무엇보다도 세 가지 조건 화소에서 잘 드러난다. 자료 [1]과 [2], 그리고 [3]과 [4], 또 한 [7]에서 보면 곡을 하는 맹강녀의 미색에 빠진 진시황이 그녀를 후궁 으로 들이려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맹강녀는 그 요구를 수용하는 조건 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는데, 하나같이 남편 범기량의 주검을 예법에 맞 게 장사지내되 진시황과 만조백관이 조문을 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전대 ( 前 代 )의 기록에서처럼 맹강녀의 곡으로 장성이 무너지는 것만으론 현 에서 온갖 병을 없애 주고 구원의 별을 내려 주는 인물로 맹강녀가 등장하며, 강소 남통의 동자희( 童 子 戱 )에서도 말을 탄 여신 오방현량을 부르는 가운데 맹 강녀가 그 다섯 신 중 하나인 북방현량으로 나타남을 밝혔다.(앞의 논문, 293쪽)

28 32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실적 징계를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듯하다. 그래서 민( 民 )은 자신들의 부당한 불의를 대신해 맞서 줄 인물로 맹강녀를 선택했고, 그녀의 용기 와 의연함을 서사문학 속에서 성장시켰다. 이러한 성장 문학적 특질은 한국의 작품에서도 그 단면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백수광부의 처와 도미 처 같은 한국적 서사 주인공을 탄생시킨 지점이 그것이다. 다시 말해 맹강녀는 물론 백수광부의 처와 도미의 처 는 처연하고도 신이한 곡( 哭 )이 연대해 형상화된 인물이란 점이다. 인물의 형상화는 그를 에워싼 세계와 우주 자연을 통해서도 이루어지 지만 이처럼 인간적인 행위, 바깥 세계의 문제에 대응하는 가장 솔직하 고도 진솔한 울음 을 통해서도 발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2)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대 맹강녀 설화는 맹강녀의 신성함과 위정자들에 대항한 의연한 절개로 끊임없이 추앙 받아 왔다. 그래서 현재도 향촌의 제사 연극인 나희( 儺 戱 )에서 빠질 수 없는 레퍼토리로 간주되고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는 재 앙과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안휘성 지주 지역에서는 여전히 <심부기( 尋 夫 記 )>나 <맹강녀심부기>, 또는 <맹강녀>등의 제목으로 공연되고 있다. 43) 여기서 주목해 볼 것은 그 연희적 서사 무대의 특징이다. 구비 전승 자료에 보면 맹강녀 설화의 주요 공간 배경은 크게 세 가지 로 나타난다. 먼저 맹강녀의 집 후원 연못과 장성, 그리고 바닷가(혹은 강) 등이다. 후원 연못은 가택의 담장 안에 있어 장성이나 바닷가처럼 투명한 시각을 주지는 못하는 공간이다. 이 세 가지 배경의 특징은 점층 43) 조숙자, 앞의 논문, 293쪽; 양윤정, 앞의 논문 2쪽 참조.(남송에 이르러 맹강은 정식명사로 정형되었고, 남희( 南 戱 )와 북극( 北 劇 )에서는 무대의 입체적 연출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희극( 戲 劇 )의 감염력은 강하여 명대 중엽 각 지역에서 맹강 녀 입묘운동이 일어나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29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33 적인 확장을 하는 공간이란 사실이다. 가택 안의 연못에서 장성으로 확 장되고, 다시 주변 환경이 트인 바닷가로 이어진다. 그 연희적 무대가 보 다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즈음해서 인간을 신에게 제물로 바치는 인신공희의 제의적 실체에 대해 고심해 볼 필요가 있다. 구비 전승 자료 안의 맹강녀는 투신을 하 는데, 이는 항해형 인신공희 설화의 시발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항해형 인신공희 설화는 바다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면서, 주로 항해의 도중에 섬에 표착한 집단이 풍랑 등의 재해로 위기에 처하고, 신의 계시 로 집단의 일원을 제물로 바쳐 전멸의 위험에서 벗어난다는 서사의 골 격을 가지고 있다 44) 는 점에서 집단적 제의, 집단적 연희가 이루어졌던 무대의 설정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서사 공간의 확대는 맹강녀 설화의 배경이 민( 民 )의 현실과 괴 리되지 않은 일상적인 곳임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선계의 별궁이거나 지하세계, 혹은 용궁세계의 거처가 주요 서사 무대가 되었다 면 애초 맹강녀 설화에 담긴 민중의 현실적 비원은 비현실성을 띠게 되 고 그만큼 감동이 덜할 수밖에 없다. 이 세 가지 서사 무대는 극적 긴장 감의 조성과 긴밀히 연결되었는데, 각각의 무대마다 극적 사건이 전개되 고 있기 때문이다. 서사 공간의 점층적 확대로 인해 민( 民 )은 그 극적 긴 장감을 더욱 밀도 있게 공유할 수 있었다. 후원 연못은 맹강녀와 범기량 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여덟 편의 자료 가운데 다섯 편의 자료에 서 후원 연못 무대가 나올 만큼 비중이 크다. 이곳은 가장 인간적인 추 구, 곧 선남선녀가 만나 사랑을 키우고 결혼을 기약하는 평온하고 안정 된 공간이다. 물론 자료 [6]에서는 사자( 死 者 )인 범희량과 맹강녀가 대면 하는 곳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이미 그곳은 복중 혼사로 태어 나 가연을 맺은 두 사람의 행복한 시간이 담겨 있는 장소이다. 후원 연 못은 가택이라는 안온한 현실이 관( 官 )의 부당한 외압으로 비극적 현장 44) 김영호, 항해형 인신공희 설화 연구, 어문학 129집, 한국어문학회, 2015, 117쪽.

30 34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으로 변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특히 자료 [8]은 이러한 연희적 서사 공간의 특성이 강조되어 있다. 장 성에서 도주한 범기량과 맹강녀의 만남이 이루어지고, 혼사가 이루어지 는 부분만으로 서사 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그 이후의 곡장성( 哭 長 城 )과 바닷가 투신은 짤막하게 전승담 식으로 부연한다. 계수나무 위에 숨어 목욕하는 맹강녀를 엿보는 기량의 감정 상태는 물론 시녀들이 범기량을 끌어내려 희롱하는 부분, 맹강녀가 범기량의 인물 됨됨이를 살피며 그와 의 혼사를 타진하는 속마음까지 희곡적 무대에서 가능한 감정과 동선으 로 짜여 있다. 이 후원 연못은 극의 결말을 암시하는 복선 공간이기도 하다. 두 남녀 가 만나는 첫 장면을 보면 범희량이 연못물에 빠진다든지(자료1), 맹강 녀가 연못물에 손을 씻고 있다든지(자료4), 목욕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자료8) 자료 [1]은 결말 부분에 이르러 맹강 녀가 범희량의 유골을 안고 바다로 투신하는(자료5) 것과 일치한다. 자 료 [4]와 [8] 역시 맹강녀의 투신 장면과 맥이 닿아 있다. 이처럼 연못물 은 등장인물의 이합이 드러나는 서사 공간이다. 삼국유사 <기이편> <무왕>조를 보면 서사 공간으로 후원 연못 배경이 등장한다. 그 어머니는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가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그녀는 그 못의 용과 관계하여 장을 낳았다. 라는 기록에 서 가택 내 연못이 서동 어머니와 용왕의 기이한 인연이 맺어진 공간으 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비극적 결말의 암시는 나타나지 않 지만, 두 남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는 데서 맹강녀 설화와 비교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두 번째 주요 공간인 장성은 말 그대로 관( 官 )의 폭정과 불의가 상징 화된 곳으로, 가장 중요한 서사 공간이라고 할 것이다. 민간인에게 성벽 이라는 것은 막강한 권력과 군사력, 혹은 그것의 견고함과 중압감을 뜻 하는 것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자연 재난, 혹은 사악한 귀신에 의하여 저

31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35 질러진 재난보다도 더 무서운 것이 바로 통치자의 폭정이라고 여겼다. 통치자의 폭정은 대게 혹독하고 가혹한 세금 징수나 의무적으로 참여하 여야 하는 부역 활동 45) 으로 표현되었다. 범희량이 장성 부역장에서 죽 음을 맞이하는 것도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고통스러운 장성 축조 부역과 그 부역을 강행한 관에 대한 민중의 원 성은 마침내 진시황의 반인륜적이고도 부도덕한 행실을 드러내는 서사 공간을 마련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자료 [1]을 보면 진시황이 장성을 축조하려는 의도가 패륜적인 이유 때문이란 사실을 부각한다. 즉 부왕의 108 후궁 중 애비 라는 후궁을 자신의 비로 들이려고 하는 것이 그것이 다. 애비는 패륜을 저지를 수 없다고 하나 진시황은 옥황상제를 윽박질 러 해가 서쪽에서 뜨게 하였으며, 그 해를 가릴 장성을 쌓는 데 젊은 남 자 11002명을 생매장하려고 하였다. 이에 범희량이 잡혀 와 11002명을 대신해 장성 아래 묻힌다. 자료 [7]에서는 장성 축조 중에 그 붕괴를 막 기 위해 1만 명의 산 사람을 묻고 제사 지내기로 한다. 이때 만 씨 성을 가진 만희량이 잡혀 와 장성에 묻힌다. 이처럼 장성은 만인의 희생을 강 요하는 인신공희 공간이었다. 자료 [3]은 두 번의 곡( 哭 )을 반복해 진시황의 불의와 반인륜적인 면 을 부각한 공간이다. 첫 번째 곡은 맹강녀가 남편의 시신을 찾기 위한 것이고, 두 번째 곡은 특이하게도 진시황 모후의 것이다. 갑자기 젊음을 찾은 모후의 미색에 빠져 진시황이 자신의 어미를 후궁으로 삼으려고 하는 패륜을 저지른다. 모후가 황궁 성벽이 태양을 가리지 않고서는 어 미를 아내로 맞을 수 없다고 격노한다. 진시황이 장성을 쌓아 태양을 가 리려고 하니 이에 모후가 곡을 하고 성이 무너진다. 진시황의 모후까지 등장시켜 관( 官 )의 부정을 상징할 만큼 장성 공간은 민( 民 )의 울분이 극 대화된 무대이다. 이와 관련한 한국적 서사 무대는 <도미전> 46) 에서 살필 수 있다. 도미 45) 조숙자, 앞의 논문, 286쪽.

32 36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처가 처했던 시대 상황은 맹강녀가 처했던 시대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 삼국사기 권제25 백제본기 3 <개로왕>조를 보면, 15년 겨울 10 월에 쌍현성을 수축하고, 청목령에 큰 목책을 세우고, 북한산성의 병졸 들을 나누어 수비하다 라는 기록이 보인다. 이때의 정황을 외부의 시각 으로 살펴보면 18년 개로왕이 고구려와의 전쟁을 위해 위나라에 구원병 을 청했을 때 위나라 현조( 顯 祖 )가 보낸 조서에 이르기를, 그대는 선대 임금의 옛 원수를 갚는다고 핑계하여 백성들을 편케 하는 큰 덕을 버리 고 있으며, 전쟁이 여러 해에 걸치고 환난이 변경에 맺혀 신포서 47) 의 정 성을 겸하게 하였으며, 나라는 초( 楚 )와 월( 越 )처럼 위급함을 나는 잘 알 고 있다 라고 하여 당시 백제 상황을 소상히 밝힌다. 군주의 덕 없음과 축성, 전란으로 인한 민( 民 )의 고통 등은 맹강녀 설화의 시대적 배경과 다르지 않다. 관( 官 )에 맞서는 민녀( 民 녀)의 절행은 부부의 예를 다하는 것으로 끝 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인의 현실을 이입시켜 민의 속내를 풀어 주는 데 더 큰 목적이 있었다. 맹강녀가 곡으로 장성 붕괴를 일으켜 관을 징치했 듯, 도미 처 역시 신이한 곡으로 개로왕의 난행을 고발했다. 그녀의 곡은 천지를 감응시켜 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는 배를 불렀고, 마침내는 천성 46) 채록된 도미 설화 는 경남 진해와 충남 보령이라는 두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진해 지역의 도미 설화가 대체로 삼국사기 의 내용을 축약한 형태로 전개된 반면, 보령 지역의 도미 설화는 주변 지형지물과 연관된 여러 증거물을 남기고 있다. 특히 오천면 교성리의 작은 항구가 도미항 으로 명명되고, 도미항 건너편 의 빙도라는 섬은 도미부인이 태어난 미인도 로 부른다. 가장 특징적인 변이 부 분은 도미의 직업이 목수 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왕이나 권력자가 목수인 도 미에게 마구간과 같이 특정한 건물을 짓게 하고, 그 틈에 부인을 취하려 하거나, 아니면 건물이 제때 지어지지 못한 것을 핑계로 도미를 처벌하고 부인을 겁탈 하려 한다. 이는 도미의 직업에 따라 서사가 변이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정 제호, 삼국사기 소재 도미설화의 구비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72권 제2호,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2015, 쪽 참조.) 47) 申 包 胥 :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으로, 나라가 오나라에 점령되자 진나라로 가서 7 주야를 울며 구원병을 요청.

33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37 도에 이르러 도미를 만났다. 이러한 곡의 신이성은 서사 공간의 독창성 을 구현하는 기능으로 이해된다. 세 번째 서사 공간인 바다는 맹강녀의 투신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시 야가 가장 넓게 트인 공간이다. 너른 대해로 홀연히 뛰어드는 맹강녀의 모습은 그 공간의 확장으로 인해 비장미를 더한다. 그녀의 마지막 순절 이 폐쇄된 공간에서 다른 형태로 이루어졌다면 이와 같은 비장미는 덜 했을 것이다. 광대한 자연 앞에서 치러지는 순사는 인간적 연민을 자아 내기에 적절하다. 더군다나 그것이 관의 횡포에 맞선 의로운 죽음이 될 때 바다라는 외경스러운 자연과 합일되어 비장한 미의식마저 들게 한다. <공무도하가>배경 설화에 등장하는 광인부처( 狂 人 夫 妻 )의 비극은 명 실 공히 비극 그 자체요, 따라서 희곡이 되는 48) 것으로 볼 때, 백수광부 의 처가 투신하는 서사 공건과 맹강녀가 투신하는 서사 공간은 당대 민 ( 民 )이 추구하던 비장미가 강조된 곳이다.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대는 삼국유사 에 이르러 용과 관련한 바다가 주요 서사 무대로 등장하는 대목에서도 볼 수 있다. 거타지 설화 는 불의와 운명해 항거하는 인간의 모습을, 바다라는 공간을 통해 극대화한다. 후대의 <최척전>같은 고전 소설은 등장인물의 인연을 20여 년에 걸쳐 떠돌게 하는 공간으로 등장 한다. 그리고 <만강홍>같은 희곡 작품에서는 극중 인물들의 표착 공간 으로 바다가 등장 49) 하는 것을 살필 수 있다. 이러한 서사 공간의 확대는 광대한 바다와 작고 미약한 인간을 조화시킴으로써 작품의 주제의식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맹강녀 설화가 구전되는 가운데 민( 民 )은 자신들의 속내를 한층 강렬 하게 드러낼 수 있는 너른 서사 무대를 갈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나타난 것이 바다였다. 이는 곧 당대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노출시키고 싶어 했던 민( 民 )의 비원이 담긴 개방된 공간이다. 문헌 기록에서는 보 48) 사재동, 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Ⅱ, 중앙인문사, 2000, 16쪽. 49) 경일남, 만강홍의 공간구조와 작가의식, 고전희곡연구 2집, 한국고전희곡학 회, 2001, 127쪽.

34 38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이지 않던 현실에 대한 민( 民 )의 말하고자 하는 욕구가 마침내 사방이 트인 바다라는 서사 공간을 구현한 것이다. 3) 낭만적 세계관의 해원의식 맹강녀와 기량의 애정 이야기는 인간의 삶 속에 들어 있는 가장 보편 적인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부당한 외압으로 비극적인 결말로 치닫게 되고 마침내는 두 남녀 주인공의 죽음이 현실로 되면서 더 이상 보편적 인 이야기에 머물지 않는다. 그러나 맹강녀는 죽음에 관해 초연한 여인 이다. 곡으로 천지를 감응시키고 장성을 붕괴시킬 만큼 그녀는 이미 지 상적 삶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둔 인물이다. 범희량이 인신공희 재물로 거론되자 이를 두려워 해 도주한 모습과 상당히 대조적이다. 맹강녀의 곡은 장성을 붕괴시켜 남편의 시신을 찾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현실을 제공한 위정자를 징치하는 데 더 큰 비중이 있었다. 그래서 그 뒤에 행해지는 그녀의 초연한 죽음(투신)은 타당성을 얻으며 비장함을 안겨 준다. 맹강녀 설화의 이와 같은 낭만성은 그녀의 죽음에 함몰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맹강녀의 투신은 단순히 육신을 버리는 것이 아니다. 물론 열녀화를 주도하던 관의 개입으로 그녀의 죽음이 관습에 따른 순절이란 혐의를 벗을 수는 없다. 그러나 구비 전승 자료에서 맹강 녀가 생사의 경계에서 보여 주는 초연함은 분명 비장한 낭만성을 내포 하고 있다. 예컨데 자료 [2]를 보면 맹강녀의 전생인 란향녀가 시어머니 의 약을 구하러 떠난 길에 아무 미련 없이 백마와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이 나온다. 백마를 통해 이미 시어머니의 병이 치유되었음을 알게 되었으면서도 란향녀는 더 이상 이 세상에 미련을 두지 않는다. 하늘을 나는 백마와 함께 몸을 던진다. 이처럼 초연한 의식은 범희량의 억울한 죽음을 풀어 주는 해원의식으 로 나타난다. 범희량은 두 가지 이유로 죽음을 맞이하는데 자료 [1]과

35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39 [7]에서는 인신공희 대상으로, 자료 [8]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에서는 부 역을 피해 도주한 죄의 대가로 죽임을 당하거나 아니면 힘든 부역으로 지쳐 죽는 대상으로 등장한다. 인신공희 대상으로 죽게 된 경우에는 일 만 명을 대신한 것이고, 나머지 자료에서의 죽음은 개인적 비극으로 일 어난 것이다. 어찌 되었건 그 죽음은 하나같이 장성과 연결되어 있고, 맹 강녀의 곡으로 그 장성이 무너진다는 공통점을 보여 준다. 곡을 통한 장 성의 붕괴 안에서 비명에 죽은 범희량의 해원의식이 치러진다. 이와 같은 해원의식이 잘 드러나는 곳은 자료 [5]이다. 남편이 사자( 死 者 )가 되었음을 알고 검은 옷을 준비해 장성으로 떠나는 맹강녀의 모습 이 보인다. 이미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행동인 동시에 남편의 혼을 위무 하러 떠나는 숙연한 모습이다. 뒤이어 이어지는 그녀의 곡과 장성 붕괴 는 그래서 더더욱 비장미를 획득한다. 맹강녀의 죽음은 현실 세계의 비극을 끊고 또 다른 세계로의 이입을 그린다. 붕장성이 남편의 해원의식을 치른 결과였다면, 맹강녀의 바다 투신은 이 설화에 의탁한 민( 民 )의 원성을 풀어 주는 해원의식인 셈이 다. 관( 官 )에 대해 그처럼 의연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여성은 현실 세계에 서는 볼 수 없는 존재이다. 그녀는 어디까지나 민의 낭만적 세계관 속에 살아 있는 인물이다. 그녀를 통해 당대인의 울분을 토로하고 관을 징계 하고자 곡장성( 哭 長 城 ), 붕장성( 崩 長 城 )이라는 낭만적 세계를 창조해 낸 것이다. 이상으로 맹강녀 설화가 민( 民 )의 가슴 속에서 면면히 유전할 수 있었 던 서사문학적 특질을 살펴보았다. 부당한 외압에 항거하는 민( 民 )의 호 소가 관과 민의 대결 구도를 장치했으며, 그 속에서 가치 있는 삶을 추 구하였던 맹강녀의 삶이 조명되었다. 또한 연희적 서사 공간의 확장으로 맹강녀 이야기가 입체적이고도 실사적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민( 民 )의 억눌린 속내를 풀어주는 해원의식을 통해 고금을 넘나 드는 주제의식을 선보였다. 타 문학과의 교섭 양상을 가능하게 한 이러

36 40 한국문학논총 제71집 한 특질들 때문에 맹강녀 설화는 그 서사문학적 가치가 높다. 4. 결론 이 논문은 맹강녀 설화가 관( 官 )과 민( 民 )을 아우르며 2000여 년 간 유전해 올 수 있었던 서사문학적 특질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문 헌 전승 기록과 구비 전승 기록의 차이점을 살펴, 전승집단의 의식에 따 라 캐릭터의 변이와 새로운 서사구조의 등장, 보다 명징해진 주제의식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한국적 교섭 양상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살폈다. 먼저Ⅱ장에서는 맹간녀 설화가 최초로 관의 기록으로 실린 좌전 기록을 살펴, 그것이 민을 교화하고 계몽하는 목적이었음을 이해하였다. 기량 처 이야기는 당대( 唐 代 )에 이르러 맹강녀 설화로 자리 잡는다. 새 로운 화소가 추가되는데 바로 기량과 맹강녀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연못 상봉이 그것이다. 또 하나 새롭게 등장한 화소는 맹강녀가 적혈로 남편 의 뼈를 찾는 대목이다. 새로운 화소와 새로운 사건이 추가되었지만 구 비 전승 자료에 비해 여전히 절제된 미덕을 강조하고 있다. 감정보다는 이성을 앞세운 절제된 미덕, 당대의 위정자는 그것을 여성을 통해 구현 하고자 하였다. 당대 이후 다채롭게 변모한 구비 전승 자료 가운데 8편을 채택해 민 이 추구하던 서사적 비장미에 대해 살폈다. 문헌 기록에서의 결말 부분 은 적혈 화소로 끝난다. 그런데 민의 전승에서는 적강(신이한 탄생 포 함), 인신공희, 관탈민녀, 세 가지 조건, 지명전설, 인명전설, 이계, 밀고 자, 변신담 등이 새롭게 추가된다. 이 화소들은 인물들의 절제된 이성보 다는 솔직한 감정 상태를 살리고, 짜임새를 갖춘 서사 구조로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기 위해 죽음도 불사하는 비장한 주제의식을 발현한다.

37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41 Ⅲ장에서는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질을 살펴 그 가치를 가늠해 보았다. 맹강녀의 신이성이 형상화되는 데 그녀의 곡( 哭 )이 주요한 배경 으로 작용했음을 지목했다. 그녀의 신이성은 곡에서 기인하며, 그 능력 은 곧 망자를 위안하고 산 자를 징계하는 장치로 쓰였다. 이러한 곡의 형태가 한국의 고대시가 <공무도하가>와 삼국사기, <도미전>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해하였다. 맹강녀 설화의 주요 공간 배경은 크게 세 가지, 가택의 후원 연못에서 장성으로, 다시 바다로 확장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는 연희적 서 사 공간의 확대를 살필 수 있는 실마리이다. 이 공간들의 극대화된 너비 로 인해 극적 긴장감을 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었다. 후원 연못은 두 남 녀 주인공의 만남과 이별이 이루어지는 서사무대로, 장성은 남편의 주검 을 위안하고 위정자에 대한 징치를 하는 서사무대로, 바다는 설화 속 등 장인물은 물론 민의 해원의식이 치러지는 서사공간으로 접근하였다. 후원 연못을 배경으로 하는 한국적 서사무대로 삼국유사 <무왕> 조를 살폈고, 장성 서사무대로는 삼국사기 <개로왕>조의 축성 상황 과 전란 상황이 맹강녀 설화의 시대상황과 근접함을 고구하였다. 바다가 배경인 서사 무대로 <공무도하가>와 삼국유사 에 산재한 바다에 관 한 기록들, 고전소설 <최척전>과 희곡 작품 <만강홍>을 예로 들었다. 서사무대의 개방성은 당대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노출시키고자 했던 민 의 비원이 담긴 결과물이라 할 것이다. 맹강녀 설화는 그녀의 죽음으로 비장미를 더한다. 맹강녀의 바다 투신 은 이 설화에 의탁한 민의 원성을 풀어 주는 해원의식인 셈이다. 민은, 자신들의 현실적 울분을 풀어 준 그녀를 다시 낭만적 죽음 속으로 돌려 보낸다. 한국에서는 <춘향전>이 현실적 열부 형을 만들지만 지고지순한 사랑을 향한 의지를 지키는 모습에서 여전히 맹강녀와 도미 처의 맥을 잇는 낭만적 세계관 속의 인물임을 살폈다. 이상으로 민( 民 )의 가슴 속에 면면히 유전될 수 있었던 맹강녀 설화의

38 42 한국문학논총 제71집 특질을 살펴 그 서사문학적 가치에 주목해 보았다. 그러나 중국의 구비 전승 자료가 8편에 한정되어 있어 보다 상세한 비교 연구는 전개되지 못한 부분은 후일의 연구를 통해 개진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 구비 전승 자료들과 각 지역의 지리는 물론 역사와 문화를 함께 살핀 논의도 이루 어지지 못했다. 중국의 구비 전승 자료와 한국의 구비 전승 자료의 보다 개괄적 논의 역시 후속 과제로 남긴다.

39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43 참고문헌 삼국유사 삼국사기 중국민간고사집성, 중국민간문학집성전국편집위원회, 중국 ISBN 중심 출판 강진옥, 삼국 열녀전승의 성격과 그 서사문학적 의의, 한국서사문학 사의 연구Ⅱ, 중앙문화사, 경일남, 만강홍의 공간구조와 작가의식, 고전희곡연구 2집, 한국고 전희곡학회, 2001, 245쪽-265쪽. 고힐강, 맹강녀 이야기의 변천( 孟 姜 女 故 事 的 轉 變 ), 맹강녀고사연구집 ( 孟 姜 女 故 事 硏 究 集 ), 上 海 : 上 海 古 籍 出 版 社, 김우석, 보권에 대한 연구:소극적 대안으로서의 이단과 미신, 도피적 위 안과 마취적 오락의 문학, 중국문학 32집, 한국중국어문학회, 1999, 쪽. 김철, 연행록 중의 맹강녀 전설 기록 양상 소고, 민족문화연구 6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쪽. 김태곤, 한국고대종교사상, 집문당, 사재동, 공무도하 전승의 희곡적 전개 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Ⅱ, 중 앙인문사, 손정인, 도미전의 인물형상과 서술방법, 어문학 80집, 한국어문학회, 2003, 쪽. 양윤정, 맹강녀설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유강하, 21세기의 새로운 변신 이야기: 벽노집 속이 변형 이미지와 신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중국어문학논집 54집, 중국어 문학연구회, 2009, 쪽.

40 44 한국문학논총 제71집 유우선, 심청전의 근원설화와 배경사상, 용봉논총:인문과학연구 11 집,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1, 쪽. 이영태,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에 나타난 광부 처의 행동, 민족문학 사연구 33집,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7, 110쪽 -128쪽.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정상박, 도미부부 설화 전승고, 국어국문학 8집, 동아대학교 국어국 문학과, 1988, 15-30쪽. 정재서,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열녀전에 대한 여성학적 탐구, 이화여 자대학교출판부, 정재서, 열녀전( 列 女 傳 )의 여성 유형학,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 열 녀전 에 대한 여성학적 탐구, 이화여대출판부, 정제호, 삼국사기 소재 도미설화의 구비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72권 제2호, 서울대학교 인문 학 연구원, 2015, 쪽. 조남현, 소설원론, 고려원, 조숙자, 고대 여인의 죽음과 그 그림자-기량의 아내 이야기를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지 9집, 중국어문학회, 2001, 쪽. 최래옥, 관탈민녀형 설화의 연구,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최운식, 도미설화의 전승 양상, 고문화 49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2, 151쪽-170쪽., 인신공희설화 연구, 한국민속학보 10집, 한국민속학회, 1999, 쪽. 최진아, 견고한 원전과 그 계보들-동아시아 여성 쓰기의 역사, 동아 시아 여성의 기원-열녀전에 대한 여성학적 탐구, 이화여대 출 판부, 2002.

41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45 허윤정, 맹강녀보권연구( 孟 姜 女 寶 卷 硏 究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 문, 황인덕, 에밀레종 전설의 근원과 전래, 어문연구 56집, 어문연구학 회, 2008, 쪽.

42 46 한국문학논총 제71집 <Abstract> Restoration of The Value of Narrative Literature of Maengkangnyeo Tale Kim, Hyun-hwa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literature Maengkangnyeo tale to know how the tale has been able to be handed down from both the ruling class and the subjects for about two thousand year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Maengkangnyeo tale in literately and orally transmitted records and found out that the characters of the tale changed; narrative structure appeared;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became more solid depending on the awareness of a transmission group. In the meantime, this paper looked into the aspect of negotiation between Maengkangnyeo tale and Korean narrative literature. The story of Kiryang's wife, which had originated from Jwajeon, was written to reform and enlighten the subjects and settled down as Maengkangnyeo tale in Dang Dynasty. Although a new material was added such as 'finding her husband's bones and red blood by change at an pond, the virtue of moderation based on rationality was more emphasized than emotion. The politicians during Dangdae Dynasty tried to realize it through a woman. This study chose 8 records of orally transmitted data after Dang Dynasty to examine the narrative tragic beauty that the subjects had

43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47 pursued. The records transmitted from the subjects have such newly added motives to the story as reincarnation, a proposal of human sacrifice, the event of taking away a subject woman, three conditions, legend for the name of a region, legend for the name of a person, ideal world, informer and a story of an animal turning into a human. These motives manifested the tragic thematic consciousness of risking a life to pursue a valuable life through a well-organized narrative structure where the candid emotions of the characters stand out more than moderate rationality.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literature of Maengkangnyeo tale is that the process of characterization is made in concert with her kok. It was understood that the types of the kok are closely related to Korean classical poems (Kongmudohaga and Domijeon), too.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openness of narrative space for an event. The major spatial background of Maengkangnyeo tale consists three at large; it moves from a pond in the backyard of the house to a long castle and to the sea again. The pond at the back garden is the narrative space for the main couple characters who meet and separate from each other there while the long castle is the narrative space where she condoles her husband's death and castigates the politicians. And the sea is space for narration of the ritual of revenge by the subjects as well as the main character. This study found some similarity between Maengkangnyeo tale and other Korean classic literature in terms of narrative stage: Samkukyusa and MuWang use a pond at backyard as the space for Korea-styled narration while Samkuksaki and Kaerowang use a long castle for their narrative stage regarding building a castle and

44 48 한국문학논총 제71집 war situation. And Kongmudohaga and Samkukyusa use the sea as narrative space and such narrative stage is found in the classic novel Choecheokjeon and play Mankanghong. The openness of narrative space is the result from the subjects' tragic wish that they wanted to reveal the reality nakedly.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rite of revenging, which is the view of romantic world. Tragic beauty is added to Maengkangnyeo tale as she dies. Maengkangnyeo throwing herself into the sea is a ritual of consoling the resentment of the objects. The subjects send her who solves the injustice they suffer from back to the world of romanic death. And the women appearing after then are realistically virtuous woman in type, but they are characters, in romantic world, succeeding to the legacy of Maengkangnyeo's Domi's wife. Key Words : Maengkangnyeo, Kiryang, Chinese legend, Narrative Literature, narrative space, literately transmitted, orally transmitted 논문접수 : 2015년 11월 4일 심사완료 : 2015년 12월 9일 게재확정 : 2015년 12월 20일

歯M991101.PDF

歯M991101.PDF 2 0 0 0 2000 12 2 0 0 0 2000 12 ( ) ( ) ( ) < >. 1 1. 1 2. 5. 6 1. 7 1.1. 7 1.2. 9 1.3. 10 2. 17 3. 25 3.1. 25 3.2. 29 3.3. 29. 31 1. 31 1.1. ( ) 32 1.2. ( ) 38 1.3. ( ) 40 1.4. ( ) 42 2. 43 3. 69 4. 74.

More information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동화 텍스트를 활용한 패러디 광고 스토리텔링 연구 55) 주 지 영* 차례 1. 서론 2. 인물의 성격 변화에 의한 의미화 전략 3. 시공간 변화에 의한 의미화 전략 4. 서사의 변개에 의한 의미화 전략 5. 창조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하여 6. 결론 1. 서론...., * 서울여자대학교 초빙강의교수 300 구보학보 12집. 1),,.,,, TV,,.,,,,,,..,...,....,...

More information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오용록의 작품세계 윤 혜 진 1) * 이 논문은 생전( 生 前 )에 학자로 주로 활동하였던 오용록(1955~2012)이 작곡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음악이론이 원 래 작곡과 이론을 포함하였던 초기 작곡이론전공의 형태를 염두에 둔다면 그의 연 구에서 기존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창의적인 분석 개념과 체계를 적용하려는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45) * 김경남 차 례 Ⅰ. 서론 Ⅱ. 근대 계몽기 이순신 서사와 뺷유년필독뺸 Ⅲ. 일제 강점기 실기(實記)와 뺷문예독본뺸의 이순신 Ⅳ. 광복 이후의 이순신 서사 Ⅴ. 결론 국문초록 이 연구는 근대이후 교재에 나타난 이순신상을 중심으로, 영웅 서사가 어떻게 변화하 는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More informati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ttp://www.wonjeon.org http://dx.doi.org/10.14369/skmc.2013.26.4.267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 2 *117)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1, Baik 1

More information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延 世 醫 史 學 제12권 제2호: 29-40, 2009년 12월 Yonsei J Med Hist 12(2): 29-40, 2009 특집논문 3 한국사회의 낙태에 대한 인식변화 이 현 숙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 들어가며 1998년 내가 나이 마흔에 예기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을 때, 내 주변 사람들은 모두 들 너무나도 쉽게 나에게 임신중절을 권하였다.

More information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동남아시아연구 20권 2호(2010) : 73~99 한국 영화와 TV 드라마에 나타난 베트남 여성상 고찰* 1) 육 상 효** 1. 들어가는 말 한국의 영화와 TV 드라마에 아시아 여성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베트남 여성이다. 왜 베트남 여성인가? 한국이 참전한 베트 남 전쟁 때문인가? 영화 , , 드라마 을

More information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한국학연구 56(2016.3.30), pp.33-6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세종시의 지역 정체성과 세종의 인문정신 * 1)이기대 ** 국문초록 세종시의 상황은 세종이 왕이 되면서 겪어야 했던 과정과 닮아 있다. 왕이 되리라 예상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세종은 왕이 되었고 어려움을 극복해 갔다. 세종시도 갑작스럽게 행정도시로 계획되었고 준비의 시간 또한 짧았지만,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구비전승의 지속과 변천 117 구비전승의 지속과 변천 < 南 白 月 二 聖 努 肹 夫 得 怛 怛 朴 朴 >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 헌 선* 1. 머리말 2. 구비전승 의 성격규명 3. < 南 白 月 二 聖 努 肹 夫 得 呾 呾 朴 朴 >의 구비전승적 성격 4. 마무리 1. 머리말 구비전승은 문헌전승과 일정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구비전승과

More information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18세기 馬 兵 의 한글일기 난리가 연구 1)정우봉 * 1. 서론 2. 난리가 의 장르, 작가 및 창작 시기 3. 난리가 의 주제의식과 표현방식 4. 결론 난리가( 亂 離 歌 ) 는 1728년에 발생한 戊 申 亂 (일명 李 麟 佐 의 난)을 진압하 기 위해 官 軍 으로 참전한 訓 練 都 監 소속의 한 馬 兵 이 산문으로 기록한 한글 일기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설화에 나타난 사회구조와 그 의미 23) 박유미 * 차례 Ⅰ. 문제제기 Ⅱ. 서사 내부의 사회구조 Ⅲ. 사회문제의 해결방식과 그 의미 Ⅳ. 설화와 후대전승과의 상관관계 Ⅴ. 결론 국문초록 삼국유사 의 조에는 왕거인 이야기와 거타지 이야기가 하나의 설화에 묶여 전하고 있는데, 두 이야기는 해결구조에서 차이를

More information

Stage 2 First Phonics

Stage 2 First Phonics ORT Stage 2 First Phonics The Big Egg What could the big egg be? What are the characters doing? What do you think the story will be about? (큰 달걀은 무엇일까요? 등장인물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요? 책은 어떤 내용일 것 같나요?) 대해 칭찬해

More information

01김경회-1차수정.hwp

01김경회-1차수정.hwp 한국민족문화 57, 2015. 11, 3~32 http://dx.doi.org/10.15299/jk.2015.11.57.3 장복선전 에 나타난 이옥의 문제의식 고찰 - 심노숭의 사가야화기, 정약용의 방친유사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김 경 회 * 1. 들어가며 2. 장복선의 행적 비교 1) 입전 동기 2) 장복선의 처지 3) 장복선의 구휼 및 연대 3. 장복선의

More information

<313120B9DABFB5B1B82E687770>

<313120B9DABFB5B1B82E687770> 한국민족문화 40, 2011. 7, 347~388쪽 1)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공업교육제도 변화* 2)박 영 구** 1. 머리말 2. 1973년, 중화학공업화선언과 과학기술인력의 부족 3. 1973년 전반기의 교육제도 개편과 정비 1) 계획과 개편 2) 기술교육 개선안과 인력개발 시책 4. 1973년 후반기의 개편과 정비 5. 정비된 정규교육제도의 특징

More information

<BEEEB9AEB7D0C3D1203539C8A3C7D5BABB283132BFF93330C0CF292E687770>

<BEEEB9AEB7D0C3D1203539C8A3C7D5BABB283132BFF93330C0CF292E687770> 어문론총 제59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3.12. 앙드레 지드 좁은문 의 조선적 전유방식 - 모윤숙의 散文集 렌의 哀歌 (1937,일월서방)를 중심으로 - 안 미 영* 1. 서론 2.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 : 신에 대한 인간의 성실성 3. 조선적 전유방식 : 시점의 전환과 주제의 변용 3.1. 구원의 연인과 정신적 연애에 대한 향유 3.2. 연애를

More information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271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현황과 특징 정 규 식* 1) - 목 차 - Ⅰ. 서론 Ⅱ.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전반적 현황 1. 이야기꾼의 여성 편중성 2. 구연 자료의 민요 편중성 3. 이야기꾼의 가변적 구연력 4. 이야기 유형의 제한성 5. 이야기꾼 출생지의 비부산권 강세 Ⅲ.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특징 Ⅳ. 결론 개 요 본고의 목적은

More information

IKC43_06.hwp

IKC43_06.hwp 2), * 2004 BK21. ** 156,..,. 1) (1909) 57, (1915) 106, ( ) (1931) 213. 1983 2), 1996. 3). 4) 1),. (,,, 1983, 7 12 ). 2),. 3),, 33,, 1999, 185 224. 4), (,, 187 188 ). 157 5) ( ) 59 2 3., 1990. 6) 7),.,.

More information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313032362E687770>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313032362E687770>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의 변화 : 97년부터 26년까지의 텔레비전 광고 내용분석* 2) 정기현 한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가족주의적 가치관을 사회통합의 핵심 중의 핵심으로 올려놓았던 전통이 현대사회에서 아직 영향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에서의 가족변동은 사회전반의 변동으로 직결된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97년부터 26년까지 텔레비전에서

More information

(2005) ,,.,..,,..,.,,,,,

(2005) ,,.,..,,..,.,,,,, (2005)... 20...,,.,..,,..,.,,,,, 24. 24. 1). 24. 24. 24. 24. PC,,, 24..,. (Paul Virilio).... (George Ritzer),.,,,. 2). 1), 24,,, 2001. 17. 2),,,, 2001, 22. . 3)... 4) 1. 20 1989.. 24.. 5),.,,,,,. 6).,,

More information

<BEEEB9AEB7D0C3D13630C8A32836BFF93330C0CFBCF6C1A4292E687770>

<BEEEB9AEB7D0C3D13630C8A32836BFF93330C0CFBCF6C1A4292E687770> 어문론총 제60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4. 6. 김종삼 시의 생명의식과 은유의 상관성 연구* 26) 박 선 영** 27) 1. 2. 3. 4. 5. 들어가는 말 시적 자아의 변신과 생명의식의 성화 타자의 사물화 양상과 초월적 삶의 추구 음악의 공간화 이행과 초월세계 가닿기 나오는 말 1. 들어가는 말 전후 시인들1)의 시에는 죽음의식이 농후하고

More information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제2장 사천교육의 발자취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1. 근대 이전의 교육 가. 고대의 교육 인류( 人 類 )가 이 지구상에 살면서부터 역사와 함께 교육( 敎 育 )은 어떠한 형태로든 지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이곳에서 삶을 꾸려왔는지는 여 러 가지 유적과 유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당시 우리조상들의 생활을 미루어

More information

............

............ 제2장 1. 모월곶, 석곶, 서곶, 개건너 검단지역이 편입되기 전, 인천의 서구 전체는 지난날 서곶으로 불리던 지역이었다. 1914년 4월 1일 부평군 모월곶면과 석곶면을 통합되어 서곶 면이 되었다. 서곶이라는 지명은 군 소재지인 부평에서 서쪽 해안에 길 게 뻗어있으므로 그렇게 지어졌다. 이 지명은 반세기 이상 사용되었다. 그래서 인천시가 구제( 區 制 )를

More information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경상북도 자연태음악의 소박집합, 장단유형, 전단후장 경상북도 자연태음악의 소박집합, 장단유형, 전단후장 - 전통 동요 및 부녀요를 중심으로 - 이 보 형 1) * 한국의 자연태 음악 특성 가운데 보편적인 특성은 대충 밝혀졌지만 소박집합에 의한 장단주기 박자유형, 장단유형, 같은 층위 전후 구성성분의 시가( 時 價 )형태 등 은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More information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정지용의 시어 조찰한 의 의미 변화 연구 배호남 *1) 차례 Ⅰ. 머리말 Ⅱ. 종교적 순수성의 정신세계 : 勝 利 者 金 안드레아 의 경우 Ⅲ. 차가운 겨울밤의 정신세계 : 溫 井 과 長 壽 山 1 의 경우 Ⅳ. 명징한 여름 낮의 정신세계 : 白 鹿 潭 의 경우 Ⅴ. 맺음말 국문초록 본 논문은 정지용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 개별 작품에서 보다 더 미시적으로

More information

현대영화연구

현대영화연구 장률 감독의 : 트랜스-로컬 시네마 삼부작의 완성 김시무 경기대학교 강사 목 차 1. 장률, 그리고 트랜스-로컬 시네마(trans-local cinema) 삼부작 2. 두 도시 이야기: 과 3. 의 시퀀스 분석 4. 주제의식( 主 題 意 識 )과 독특한 스타일 5. 춘화( 春 畵 )와 문인화( 文 人 畵 ) 사이 국문초록 장률

More information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발 간 사 국악학 기초연구 활성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국악원논문집 은 1989년 제1집을 시작으로 2004년 제16집까지 연1회 발간하였고, 잠시 중단되었던 학술지는 2008년 제17집부터 발간횟수를 연간 2회로 늘려 재발간하고 있습니다. 국악원논문집 은 공모를 통해 원고를 모집하고 편집회의를 통한 1차 심사,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의 2차 심사를

More information

장양수

장양수 한국문학논총 제70집(2015. 8) 333~360쪽 공선옥 소설 속 장소 의 의미 - 명랑한 밤길, 영란, 꽃같은 시절 을 중심으로 * 1)이 희 원 ** 1. 들어가며 - 장소의 인간 차 2. 주거지와 소유지 사이의 집/사람 3. 취약함의 나눔으로서의 장소 증여 례 4. 장소 소속감과 미의식의 가능성 5.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 :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1)2) 주창윤 **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중반 불어 닥친 댄스 열풍과 관련된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 대중은 댄스를 자유, 민주주의, 현대, 문화(교양) 의 표현으로 정당화했다. 댄스 열풍으로 적지 않은 사회적 사건들이 발생하자 지배 담론은

More information

<303220C7D1C5C2B9AE2E687770>

<303220C7D1C5C2B9AE2E687770> 한국민족문화 47, 2013. 5, 63~91쪽 통신사 사행록에 반영된 히로시마( 廣 島 )* 1)한 태 문** 1. 머리말 2. 통신사행에 있어서 히로시마의 역할 1) 사행의 水 路 노정 경유지 2) 정성을 다한 接 待 와 支 供 3. 사행록에 들어앉은 히로시마의 모습 1) 仙 境 으로 여겨진 빼어난 경치 2) 독특한 생활방식과 특산물로 이름난 공간 3)

More information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3 1 2 4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3 1 2 4 Journal of Women s Studies 2001 Vol 16 123~142 Racine s Phèdre, a Tragic Woman (Jung, Hye Won, ) 17 (Racine) (Phèdre),,,,,,,, 1 2 3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More information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29)韓 相 吉 ** 차 례 Ⅰ. 머리말 1. 불자필람 의 구성 Ⅱ. 석문의범의 간행 배경 2. 석문의범 의 구성과 내용 1. 조선후기 의례집의 성행 Ⅳ. 근대불교 대중화와 석문의범 2. 근대불교 개혁론과 의례 Ⅲ. 석문의범의 체재와 내용 간행의 의미 Ⅴ. 맺음말 한글요약 釋門儀範 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More information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하우봉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브루스 배튼(Bruce Batten)의 정의에 따르면 전근대의 국경에는 국경선으로 이루어진 boundary가 있고, 공간으로 이루어진 frontier란 개념이 있다. 전자 는 구심적이며 내와 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후자는 원심적이며

More information

민속지_이건욱T 최종

민속지_이건욱T 최종 441 450 458 466 474 477 480 This book examines the research conducted on urban ethnography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though most people in Korea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6.1.201604.1 *,..,,,.,.,,,,.,,,,, ( ).,,,. * 2014. 2015. ** 1, : (E-mail: cajoo@pusan.ac.kr)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251-273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7.2.201706.251 : 1997 2005 Research Trend Analysis on the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More information

12È«±â¼±¿Ü339~370

12È«±â¼±¿Ü339~370 http://www.kbc.go.kr/ k Si 2 i= 1 Abstract A Study on Establishment of Fair Trade Order in Terrestrial Broadcasting Ki - Sun Hong (Professor,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More information

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동화 속에 나타난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2004. 8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 지 하 동화 속에 나타난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지도교수 송 효 섭 이 論 文 을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論 文 으로 提 出 함 2004년 7월 西 江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국어교육 專 攻 한 지 하 ABSTRACT

More information

歯kjmh2004v13n1.PDF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

<C5F0B0E8C7D032352D3030B8F1C2F7283235C1FD292E687770>

<C5F0B0E8C7D032352D3030B8F1C2F7283235C1FD292E687770> 第 25 輯 社 團 法 人 退 溪 學 釜 山 硏 究 院 2015. 06 이 도서는 부산광역시 보조금으로 간행되었습니다. 第 25輯 퇴계학 退溪詩에 나타난 마음의 의미 李 貞 和 7 退溪 詩 의 학문적 맥락 읽기 김 병 권 27 사상 先秦儒家美学的范畴体系 张 黔 51 试析孟子 民贵 说的 尊君 实质 刘 清 平 65 儒家儀禮의 方位 에 관한 文化解釋 趙

More information

` Companies need to play various roles as the network of supply chain gradually expands. Companies are required to form a supply chain with outsourcing or partnerships since a company can not

More information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181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 조명근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연구교수 Ⅰ. 머리말 근대 국민국가는 대내적으로는 특정하게 구획된 영토에 대한 배타적 지배와 대외적 자주성을 본질로 하는데, 그

More information

<30322D3031BCD5B5BFC8A32DC6EDC1FD2E687770>

<30322D3031BCD5B5BFC8A32DC6EDC1FD2E687770> 한국민족문화 53, 2014. 11, 113~139 http://dx.doi.org/10.15299/jk.2014.11.53.113 동아일보 소재 독자문단( 讀 者 文 壇 ) 연구 1)손 동 호 * 1. 서론 2. 독자문단 란의 등장과 전개 3. 독자문단 소재 작품의 특질과 의미 4. 결론 독자문단 은 동아일보 가 문예물을 전면에 내세운 최초의

More information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2011 어르신 생활문화전승프로그램 柯 亭 里 義 兵 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는다 주관 춘천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원 연합회 문화체육관광부 -차 례- 제1장 구술 자료의 가치 1. 역사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미래 삶의 터전 제2장 지명으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제3장 구술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1. 의암제를 준비하는 사람 류연창 2. 고흥 류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金 台 俊 의 學 術 硏 究 와 國 故 整 理 作 業 *1) - 朝 鮮 漢 文 學 史 서술을 중심으로 崔 英 成 ** ` Ⅰ. 머리말 Ⅱ. 天 台 山 人 의 생애 개관 Ⅲ. 天 台 山 人 의 학문 역정 Ⅳ. 조선한문학사 의 위치 Ⅴ. 조선한문학사 의 방법론과 한계 요 약 1930년대 국문학자, 문학사가( 文 學 史 家 )로 활약했던, 전설적인 인물

More information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EMF Health Effect 2003 10 20 21-29 2-10 - - ( ) area spot measurement - - 1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ore information

step 1-1

step 1-1 Written by Dr. In Ku Kim-Marshall STEP BY STEP Korean 1 through 15 Action Verbs Table of Contents Unit 1 The Korean Alphabet, hangeul Unit 2 Korean Sentences with 15 Action Verbs Introduction Review Exercises

More information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연구논문 이와이 슌지 영화 속에 나타난 화면구성 연구 -러브레터, 4월 이야기를 중심으로- 최광영 *38) 여주대학교 방송미디어제작과 강사 진승현 **39) 호서대학교 문화예술학부 영상미디어전공 조교수 Ⅰ. 서론 한국에서 일본대중문화 개방 정책에 따라 일본영화가 정식으로 수입되어 들어온 지도 벌써 10여년이 넘었다. 한국에 소개된 일본영화를 살펴보면 기타노

More informatio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

Breathing problems Pa t i e n t: I have been having some breathing problems lately. I always seem to be out of breath no matter what I am d o i n g. ( Nurse : How long have you been experiencing this problem?

More information

Output file

Output file connect educational content with entertainment content and that production of various contents inducing educational motivation is important. Key words: edutainment, virtual world, fostering simulation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헤이안 문학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 복수의 남성에게 사랑받는 미녀의 비극 ** 김 수 희 kshfolo417@hanmail.ne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Life and death as it appeared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In particular, it explores

More information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수시과제 2015-13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연구책임자 : 최 윤 선 (본원선임연구위원) : 남 승 연 (본원연구위원) 연 구 지 원 : 이 상 아 (본원위촉연구원) 연 구 기 간 : 2015. 9 ~12 2015 발 간 사 여성 일자리는 사회 내 여성과 남성간의 차이를 좁히고 개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중요 한 부분입니다. 이에 정부는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朝 鮮 後 期 白 羊 寺 의 僧 役 에 대한 고찰* 1) 김 문 경(백양사박물관) Ⅰ. 머리말 Ⅱ. 麗 末 鮮 初 佛 敎 界 와 白 羊 寺 Ⅲ. 白 羊 寺 의 僧 役 負 擔 Ⅳ. 僧 役 減 免 의 背 景 과 推 移 Ⅴ. 맺음말 白 羊 寺 는 백제 무왕 33년(632) 신라의 異 僧 如 幻 禪 師 에 의해 창건되었다. 고려 말부터 현대에

More information

320110.PDF

320110.PDF *.. 1. 2. < > 3. 4...,.,.?. * - 150 - (, ),,,.,,.,,. 2-4.. 50. ( ),,.. - 151 - ., : : :,,,......, - 152 - .. 1.,,,,.... ( ) ( ) ( ) ( ),,,,.,,, - 153 - ,,. (BC 1 ),,. (BC 37 ),,,,,, (BC 18 ),,,,.. (, ),.,,,,.,,.,,.

More information

- iii - - i - - ii - - iii - 국문요약 종합병원남자간호사가지각하는조직공정성 사회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관계 - iv - - v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α α α - 15 - α α α α α α

More information

, ( ) 1) *. 18..,.,. I.. (2002), 35.69% %, 38.1%, 34.74%, 35.45%, 37.54%, 37.6%, 44.07%, 34.54%, 41.78%, 37.9%, 35.8%, 37.11%, 38.4

, ( ) 1) *. 18..,.,. I.. (2002), 35.69% %, 38.1%, 34.74%, 35.45%, 37.54%, 37.6%, 44.07%, 34.54%, 41.78%, 37.9%, 35.8%, 37.11%, 38.4 , 40 1 2 (2006 6 ) 1) *. 18..,.,. I.. (2002), 35.69%. 30.46%, 38.1%, 34.74%, 35.45%, 37.54%, 37.6%, 44.07%, 34.54%, 41.78%, 37.9%, 35.8%, 37.11%, 38.4%, 38.82%, 39.99%, 42.9%.. ( ). 18, * 214, 40 1 2..

More information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1 의사학 제24권 제1호(통권 제49호) 2015년 4월 Korean J Med Hist 24 ː1-34 Apr 2015 c대한의사학회 http://dx.doi.org/10.13081/kjmh.2015.24.1 pissn 1225-505X, eissn 2093-5609 간호부 이정숙의 독립운동 김숙영* 1. 서론 2. 본론 1) 출생에서 정신여학교 수학시절까지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1 - - 2 - - 3 - 1) 통계청고시제 2010-150 호 (2010.7.6 개정, 2011.1.1 시행 ) - 4 -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에따른골밀도검사기준 (2007 년 11 월 1 일시행 ) - 5 - - 6 - - 7 - - 8 - - 9 - - 10 -

More information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미래지향 고령친화 주거디자인을 위한 예비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of the Pre-Elderly for Future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 류 혜 지 청운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교수 Ryu hye-ji Dept. of Interior Design, Chungwoon University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시사만화의 텍스트성 연구* 이 성 연**1) Ⅰ. 머리말 Ⅱ. 시사만화의 텍스트 구조 Ⅲ. 시사만화의 텍스트성 Ⅳ. 맺는말 요 약 본고의 분석 대상 시사만화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관련 사건들 인데, 시사만화의 그림 텍스트와 언어 텍스트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하며 어떤 특징이 있는가 를 살펴본

More information

E1-정답및풀이(1~24)ok

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More information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More information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173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More information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More information

0429bodo.hwp

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More information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More information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More information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More information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More information

cls46-06(심우영).hwp

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More information

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More information

38--18--최우석.hwp

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More information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More information

6±Ç¸ñÂ÷

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More information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More information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

More information

177

177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2) 양주조씨 사마방목에는 서천의 양주조씨가 1789년부터 1891년까지 5명이 합격하였다. 한산에서도 1777년부터 1864년까지 5명이 등재되었고, 비인에서도 1735년부터 1801년까지 4명이 올라있다. 서천지역 일대에 넓게 세거지를 마련하고 있었 던 것으로

More information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여는말 풀꽃, 제주어 제주어는 제주인의 향기입니다. 제주인의 삶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삶의 향기이고, 꿈의 내음입니다. 그분들이 어루만졌던 삶이 거칠었던 까닭에 더욱 향기롭고, 그 꿈이 애틋했기에 더욱 은은합니다. 제주어는 제주가 피워낸 풀잎입니다. 제주의 거친 땅에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고, 비바람 맞고 자랐기에 더욱 질박합니다. 사철 싱그러운 들풀과 들꽃향기가

More information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정보나눔 섭이와 함께하는 여행 임강섭 복지과 과장 여름이다. 휴가철이다. 다 들 어디론가 떠날 준비에 마음 이 들떠 있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여행 매니아까지는 아니 지만, 나름 여행을 즐기는 사 람으로서 가족들과 신나는 휴 가를 보낼 계획에 살짝 들떠 있는 나에게 혼자만 신나지 말 고 같이 좀 신났으면 좋겠다며 가족들과 같이 가면 좋은 여행 눈이 시리도록

More information

01Report_210-4.hwp

01Report_210-4.hwp 연구보고서 210-4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 론 Ⅱ 국회 및 지방의회에서의 여성참여 Ⅲ 정당조직내 여성참여 및 정당의 여성정책 Ⅳ 여성유권자의 투표율 및 투표행태 Ⅴ 여성단체의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운동 Ⅵ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More information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총선 이후 우리 교육의 방향 당 체제에서 우리 교육의 전망과 교육행정가들의 역할 박 호 근 서울시의회 의원 교육위원회 위원 서론 년 월 일 제 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선거는 바로 민의 의 반영이기 때문에 총선결과를 살펴보고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가를 분석해 본 후 년 월 일을 기점으로 제 대 국회의원들의 임기가 시 작되는 상황에서 우리 교육이 어떻게

More information

목 차 營 下 面 5 前 所 面 71 後 所 面 153 三 木 面 263 龍 流 面 285 都 已 上 條 367 同 治 六 年 (1867) 正 月 日 永 宗 防 營 今 丁 卯 式 帳 籍 범례 1. 훼손 등의 이유로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는 로 표기함. 단, 비정 이 가능한 경우는 ( ) 안에 표기함. 2. 원본에서 누락된 글자는 [ ] 안에 표기함. 단, 누락된

More information

639..-1

639..-1 제639호 [주간] 2014년 12월 15일(월요일) http://gurotoday.com http://cafe.daum.net/gorotoday 문의 02-830-0905 대입 준비에 지친 수험생 여러분 힘내세요 신도림테크노마트서 수험생과 학부모 600명 대상 대입설명회 구로아트밸리서는 수험생 1,000명 초대 해피 콘서트 열려 구로구가 대입 준비로 지친

More information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2 와 같습니다. 3.

More information

시험지 출제 양식

시험지 출제 양식 2013학년도 제2학기 제1차 세계사 지필평가 계 부장 교감 교장 2013년 8월 30일 2, 3교시 제 3학년 인문 (2, 3, 4, 5)반 출제교사 : 백종원 이 시험 문제의 저작권은 풍암고등학교에 있습니다. 저 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전재와 복제는 금지 되며, 이를 어길 시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전근대 시기 (가)~(라)

More information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통합 우리나라 ⑵ 조상님들이 살던 집에 대 해 아는 어린이 있나요? 저요. 온돌로 난방과 취사를 같이 했어요! 네, 맞아요. 그리고 조상님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에서 살았어요. 주무르거나 말아서 만들 수 있는 전통 그릇도 우리의 전통문화예요. 그리고 우리 옷인 한복은 참 아름 답죠?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남자는 바지와 조끼를 입어요. 명절에 한복을 입고 절을

More information

상품 전단지

상품 전단지 2013 2013 추석맞이 추석맞이 지역우수상품 안내 안내 지역우수상품 지역 우수상품을 안내하여 드리오니 명절 및 행사용 선물로 많이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경기동부상공회의소 임직원 일동 -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More information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시 민 문서번호 어르신복지과-1198 주무관 재가복지팀장 어르신복지과장 복지정책관 복지건강실장 결재일자 2013.1.18. 공개여부 방침번호 대시민공개 협 조 2013년 재가노인지원센터 운영 지원 계획 2013. 01. 복지건강실 (어르신복지과)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More information

2

2 1 2 3 4 5 6 또한 같은 탈북자가 소유하고 있던 이라고 할수 있는 또 한장의 사진도 테루꼬양이라고 보고있다. 二宮喜一 (니노미야 요시가즈). 1938 년 1 월 15 일생. 신장 156~7 센치. 체중 52 키로. 몸은 여윈형이고 얼굴은 긴형. 1962 년 9 월경 도꾜도 시나가와구에서 실종. 당시 24 세. 직업 회사원. 밤에는 전문학교에

More information

화이련(華以戀) 141001.hwp

화이련(華以戀) 141001.hwp 年 花 下 理 芳 盟 段 流 無 限 情 惜 別 沈 頭 兒 膝 夜 深 雲 約 三 십년을 꽃 아래서 아름다운 맹세 지키니 한 가닥 풍류는 끝없는 정이어라. 그대의 무릎에 누워 애틋하게 이별하니 밤은 깊어 구름과 빗속에서 삼생을 기약하네. * 들어가는 글 파르라니 머리를 깎은 아이가 시린 손을 호호 불며 불 옆에 앉아 있다. 얼음장 같은 날씨에 허연 입김이 연기처럼

More information

ÆòÈ�´©¸® 94È£ ³»Áö_ÃÖÁ¾

ÆòÈ�´©¸® 94È£ ³»Áö_ÃÖÁ¾ 사람 안간힘을 다해 행복해지고 싶었던 사람, 허세욱을 그리다 - 허세욱 평전 작가 송기역 - 서울 평통사 노동분회원 허세욱. 효순이 미선이의 억울한 죽음에 대 해 미국은 사죄하라는 투쟁의 현장에 서 그 분을 처음 만났다. 평택 대추리 의 넓은 들판을 두 소녀의 목숨을 앗 아간 미군들에게 또 빼앗길 순 없다며 만들어 온 현수막을 대추초교에 같이 걸었다. 2007년

More information

歯1##01.PDF

歯1##01.PDF 1.? 1.?,..,.,. 19 1.,,..,. 20 1.?.,.,,...,.,..,. 21 1,.,.,. ( ),. 10 1? 2.5%. 1 40. 22 1.? 40 1 (40 2.5% 1 ). 10 40 4., 4..,... 1997 ( ) 12. 4.6% (26.6%), (19.8%), (11.8%) 23 1. (?).. < >..,..!!! 24 2.

More information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제3편 정 치 제3편 정치 제1장 의회 제1절 의회 기구 제2절 의회기구 및 직원 현황 자치행정전문위원회 자치행정전문위원 산업건설위원회 산업건설전문위원 제1장 의회 321 제3절 의회 현황 1. 제1대 고창군의회 제1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성 명 생년월일 주 소 비 고 322 제3편 정치 2. 제2대 고창군의회 제2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More information

120229(00)(1~3).indd

120229(00)(1~3).indd 법 률 국회에서 의결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을 이에 공포한다. 대 통 령 이 명 박 2012년 2월 29일 국 무 총 리 김 황 식 국 무 위 원 행정안전부 맹 형 규 장 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관) 법률 제11374호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 공직선거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제1항에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구국회의원

More information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 제 13권 제 2호 2006년 11월 30일 pp.81~103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 - 회고와 전망 宋 錫 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Ⅰ. 머리말 Ⅱ. 1945년 이전의 한국연구 Ⅲ. 1945년 이후의 한국연구 < 목 차 >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중심용어): 한국학(Korean studies), 식민지지배(colonial

More information

도비라

도비라 광고학연구 : 제24권 5호(2013년)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5 (2013). pp.99 116 대학생 광고공모전이 광고업계 취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과 실무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차 유 철 우석대학교 광고이벤트학과 교수, 언론학박사 이 희 복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언론학박사* 신

More information

공연영상

공연영상 한국형 크로스오버 무비의 제안 121 122 한국형 크로스오버 무비의 제안 -인조( 仁 祖 )가 재위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TV드라마들을 중심 으로 최지운 1) Ⅰ. 머리말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인조가 재위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TV드라마들의 유사성 Ⅲ. 인조가 재위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크로스오버 무비의 제안 1. 스토리 구성

More information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