图 书 在 版 编 目 (CIP) 数 据 韩 国 文 学 作 品 选 读 / 池 水 涌, 裴 圭 范 著. 上 海 : 上 海 外 语 教 育 出 版 社,2015 新 世 纪 高 等 学 校 韩 国 语 专 业 本 科 生 系 列 教 材 ISBN Ⅰ. 1
|
|
- 인환 옹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韩 国 文 学 选 读 池 水 涌 裴 圭 范 编 著 上 海 外 语 教 育 出 版 社 제1강 고대가요( 古 代 歌 謠 ) / 향가( 鄕 歌 ) 1
2 图 书 在 版 编 目 (CIP) 数 据 韩 国 文 学 作 品 选 读 / 池 水 涌, 裴 圭 范 著. 上 海 : 上 海 外 语 教 育 出 版 社,2015 新 世 纪 高 等 学 校 韩 国 语 专 业 本 科 生 系 列 教 材 ISBN Ⅰ. 1 韩 Ⅱ. 1 池 2 裴 Ⅲ. 1 朝 鲜 语 文 学 高 等 学 校 教 材 2 文 学 作 品 介 绍 韩 国 Ⅳ. 1 H559.4:I 中 国 版 本 图 书 馆 CIP 数 据 核 字 (2015) 第 号 出 版 发 行 : 上 海 外 语 教 育 出 版 社 ( 上 海 外 国 语 大 学 内 ) 邮 编 : 电 话 : ( 总 机 ) 电 子 邮 箱 :bookinfo@sflep. com. cn 网 址 : sflep. com. cn sflep. com 责 任 编 辑 : 排 版 : 南 京 展 望 文 化 发 展 有 限 公 司 印 刷 : 公 司 经 销 : 新 华 书 店 上 海 发 行 所 开 本 : /00 印 张 字 数 千 字 版 次 :2015 年 月 第 1 版 2015 年 月 第 1 次 印 刷 印 数 : 册 书 号 :ISBN / 定 价 :00.00 元 本 版 图 书 如 有 印 装 质 量 问 题, 可 向 本 社 调 换 2 제1부 고전문학( 古 典 文 學 )
3 前 言 自 中 韩 建 交 以 来 逐 渐 兴 起 的 高 等 学 校 韩 国 语 专 业 教 育, 经 过 20 多 年 的 探 索 和 建 设 已 走 上 了 良 性 发 展 的 轨 道 在 过 去 20 多 年 的 时 间 里, 与 韩 国 语 专 业 教 育 相 关 的 教 材 和 教 学 资 料 不 断 得 到 开 发 和 利 用, 如 今, 在 一 定 程 度 上 满 足 了 韩 国 语 专 业 最 基 本 的 教 学 需 要 在 韩 国 语 专 业 课 程 体 系 中, 韩 国 文 学 是 一 门 重 要 的 专 业 必 修 课 程 之 一, 虽 然 它 所 占 的 比 重 不 大, 但 在 韩 国 语 专 业 教 育 中 却 是 不 可 或 缺 的 一 方 面, 语 言 是 一 种 文 化 现 象, 要 学 好 一 门 语 言, 就 要 了 解 和 掌 握 相 关 的 社 会 文 化 知 识, 而 对 韩 国 语 专 业 学 生 来 说, 学 习 和 掌 握 韩 国 社 会 文 化 以 及 文 学 则 是 必 不 可 少 的 ; 另 一 方 面, 在 韩 国 语 专 业 教 育 中, 韩 国 文 学 课 程 并 不 仅 仅 是 韩 国 语 教 学 的 一 种 手 段, 它 的 主 要 功 能 则 在 于 提 高 韩 国 语 专 业 学 生 的 人 文 素 养, 而 这 种 功 能 符 合 立 德 树 人 这 一 大 学 教 育 的 终 极 目 标 到 目 前 为 止, 由 国 内 专 家 编 写 出 版 的 韩 国 文 学 教 材 已 有 多 部 应 该 说, 这 些 教 材 在 国 内 韩 国 语 专 业 教 育 的 发 展 过 程 中 起 到 了 积 极 的 作 用 但 是 考 察 以 往 韩 国 文 学 教 材, 我 们 会 发 现 这 些 教 材 基 本 沿 用 传 统 的 编 写 方 式, 按 部 就 班, 没 有 充 分 考 虑 到 韩 国 语 专 业 的 特 点 韩 国 文 学 在 韩 国 语 专 业 课 程 体 系 中 所 占 的 比 重 和 韩 国 语 专 业 学 生 的 学 习 需 要 和 接 受 能 力 等 等, 从 而 导 致 韩 国 文 学 教 材 在 针 对 性 和 实 用 性 方 面 的 缺 失 有 鉴 于 此, 我 们 经 过 多 年 的 酝 酿 和 筹 备, 推 出 了 这 本 韩 国 文 学 作 品 选 读 教 材 为 了 改 进 以 往 韩 国 文 学 教 材 中 存 在 的 不 足, 该 教 材 做 了 一 些 新 的 探 索, 归 纳 起 来 有 如 下 几 个 方 面 : 第 一 本 教 材 用 一 本 书 囊 括 了 从 上 古 时 期 到 20 世 纪 80 年 代 的 韩 国 文 学 总 的 概 貌, 并 且 试 图 把 文 学 史 和 作 品 选 读 这 两 个 版 块 有 机 地 融 合 在 一 起, 使 之 成 为 双 管 齐 下 的 综 合 性 的 韩 国 文 学 教 材 通 过 这 本 教 材, 师 生 能 够 在 规 定 课 时 内 ( 韩 国 文 学 课 程 一 般 安 排 在 第 六 和 第 七 两 个 学 期, 每 个 学 期 大 概 上 34 课 时 左 右 ) 完 成 对 韩 国 文 学 发 展 脉 络 的 讲 授 和 理 解, 同 时 充 分 有 效 地 鉴 赏 各 种 文 学 体 裁 在 各 个 时 期 的 代 表 作 品 第 二 本 教 材 打 破 按 时 代 发 展 顺 序 叙 述 文 学 发 展 进 程 的 传 统 定 式, 采 用 依 文 体 来 划 分 前 言 1
4 叙 述 版 块 的 方 式, 按 体 裁 分 类 描 述 对 韩 国 语 专 业 的 学 生 来 说, 了 解 韩 国 文 学 产 生 和 发 展 的 历 史 背 景 固 然 重 要, 但 更 重 要 的 是 掌 握 个 别 文 学 体 裁 的 特 征 以 及 相 关 作 品 的 创 作 情 况 本 教 材 这 样 做, 不 仅 可 以 集 中 论 析 某 一 文 体 的 体 式 特 征 和 艺 术 构 成, 而 且 可 以 不 间 断 地 描 述 某 一 体 式 的 文 学 产 生 发 展 兴 盛 衰 落 的 全 过 程, 由 此 突 破 历 史 本 位 而 回 归 文 学 本 位 第 三 本 教 材 考 虑 到 韩 国 语 专 业 学 生 的 学 习 兴 趣 和 接 受 能 力, 尽 量 采 用 图 文 并 茂 的 简 明 体 叙 述 方 式, 而 避 免 采 用 学 术 色 彩 较 浓 的 长 篇 散 文 体 叙 述 方 式 在 作 品 选 读 部 分, 精 选 各 种 文 学 体 裁 在 各 个 时 期 的 代 表 作 品, 并 按 照 相 对 统 一 的 格 式, 即, 按 照 作 家 简 介 作 品 年 代 体 裁 创 作 背 景 ( 或 作 品 梗 概 ) 作 品 ( 或 作 品 节 选 ) 作 品 鉴 赏 作 品 整 理 补 充 资 料 等 顺 序 进 行 整 理, 让 学 习 者 感 到 容 易 接 近 和 接 受 本 教 材 为 了 方 便 学 习 者 阅 读 理 解, 还 对 人 名 地 名 书 名 及 一 些 汉 字 词 加 上 了 对 应 的 汉 字 第 四 本 教 材 在 大 部 分 章 节 后 面, 均 设 置 了 阅 读 栏, 提 供 与 本 章 节 相 关 的 文 学 史 知 识 或 补 充 的 作 品, 并 对 它 们 做 一 些 必 要 的 说 明 或 分 析 此 外, 本 教 材 在 每 个 作 品 选 读 后 面 都 提 出 了 两 三 个 思 考 题, 目 的 是 让 学 习 者 通 过 这 些 思 考 题 深 入 理 解 和 掌 握 每 个 作 品 的 思 想 内 容 和 艺 术 风 貌, 从 而 真 正 提 高 自 身 的 文 学 修 养 和 作 品 鉴 赏 能 力 本 教 材 是 我 们 以 多 年 的 韩 国 文 学 教 学 实 践 为 基 础 编 写 而 成 的, 其 主 要 的 适 用 对 象 为 国 内 高 等 学 校 韩 国 语 专 业 高 年 级 学 生 当 然, 韩 国 语 专 业 研 究 生 和 其 他 韩 国 文 学 爱 好 者 也 可 以 把 这 本 教 材 作 为 参 考 书 来 使 用 本 教 材 在 编 写 过 程 中 参 考 和 引 用 了 国 内 外 有 关 资 料 和 图 片, 在 此 不 一 一 列 举 书 名 和 出 处, 谨 对 作 者 表 示 衷 心 的 感 谢 由 于 编 者 的 水 平 有 限, 错 误 和 不 足 之 处 在 所 难 免, 恳 请 专 家 和 读 者 给 予 批 评 指 正 编 者 2015 年 3 月 31 日 于 武 汉 桂 子 山 2 前 言
5 목차 제1부 제1강 고전문학 ( 古典文學 ) 고대가요 ( 古代歌謠 ) / 향가 ( 鄕歌 ) 3 고대가요, 장르적 특징 3 향가, 장르적 특징 3 읽을거리 향가계 가요 7 작품 1 구지가 ( 龜旨歌 ) 7 작품 2 공무도하가 ( 公無渡河歌 ) 10 작품 3 황조가 ( 黃鳥歌 ) 12 작품 4 처용가 ( 處容歌 ) 14 읽을거리 처용이 서역인 ( 西域人 ) 인 이유는? 16 작품 5 제 망매가 ( 祭亡妹歌 ) 17 읽을거리 윤회 사상 ( 輪廻思想 ) 18 제2강 고려가요 ( 高麗歌謠 ) / 경기체가 ( 景幾體歌 ) 19 고려가요, 장르적 특징 19 경기체가, 장르적 특징 21 작품 6 가시리 23 작품 7 청산별곡 ( 靑山別曲 ) 24 읽을거리 서경별곡 ( 西京別曲 ) 27 작품 8 한림별곡 ( 翰林別曲 ) 29 목차 1
6 읽을거리 한림별곡 翰林别曲 원문 32 제3강 시조 ( 時調 ) / 가사 ( 歌辭 ) 34 시조, 장르적 특징 34 가사, 장르적 특징 39 읽을거리 시조의 경우와 달리 가사가 현대에까지 계승되지 못한 이유는? 43 작품 9 단심가 ( 丹心歌 ) 44 작품 10 한산 ( 閑山 ) 셤 달 밝은 밤의 45 읽을거리 임진왜란 ( 壬辰倭亂 ) 46 작품 11 가노라 삼각산 ( 三角山 ) 아 47 읽을거리 67 세의 척화론자 ( 斥和論者 ) 48 작품 12 지아비 받 갈나 간 되 49 작품 13 오우가 ( 五友歌 ) 50 읽을거리 어부사시사 ( 漁父四時詞 ) 53 작품 14 동지 ( 冬至 ) ㅅ달 기나긴 밤을 57 작품 15 두터비 파리를 물고 58 작품 16 관동별곡 ( 關東別曲 ) 59 읽을거리 사미인곡 ( 思美人曲 ) 66 읽을거리 한국의 한시 ( 漢詩 ) 68 제4강 설화 ( 說話 ) / 가전 ( 假傳 ) 설화, 장르적 특징 70 가전, 장르적 특징 72 읽을거리 패관문학 ( 稗官文學 ) 74 작품 17 단군신화 ( 檀君神話 ) 76 읽을거리 영웅 설화 7 단계 79 작품 18 바리공주 79 읽을거리 방이설화 ( 旁㐌說話 ) 84 2 목차 70
7 작품 19 공방전 ( 孔方傳 ) 86 읽을거리 한국의 심성가전(心性假傳) 과 천군소설(天君小說) 91 제5강 고전소설 ( 古典小說 ) 93 고전소설, 장르적 특징 93 작품 20 이생규장전 ( 李生窺墻傳 ) 98 작품 21 홍길동전 ( 洪吉童傳 ) 100 읽을거리 금서 ( 禁書 ) 가 되어버린 조선 최초의 한글소설 설공찬전 ( 薛公瓚傳 ) 105 작품 22 구운몽 ( 九雲夢 ) 106 읽을거리 김만중의 다른 소설 사씨남정기 ( 謝氏南征記 ) 110 작품 23 양반전 ( 兩班傳 ) 114 작품 24 허생전 ( 許生傳 ) 117 읽을거리 채봉감별곡 ( 彩鳳感別曲 ) 121 제6강 판소리 / 판소리계 소설 125 판소리, 장르적 특징 125 판소리계 소설, 장르적 특징 129 작품 25 흥부가 ( 興夫歌 ) 131 작품 26 춘향가 ( 春香歌 ) 136 읽을거리 심청전 ( 沈淸傳 ) 144 제2부 제7강 근대문학 ( 近代文學 ) 근대시 ( 近代詩 )1 151 한국 근대시의 흐름 152 개화기의 시 년대의 시 년대의 시 년대 ~ 해방 전의 시 158 목차 3
8 읽을거리 시, 장르적 특징 162 작품 1 해에게서 소년에게 165 작품 2 진달래꽃 169 작품 3 향수 ( 鄕愁 ) 171 제8강 근대시 ( 近代詩 )2 177 작품 4 모란이 피기까지는 177 작품 5 여승 ( 女僧 ) 180 작품 6 나그네 183 읽을거리 조지훈의 완화삼 ( 玩花衫 ) 과 나그네 의 비교 186 작품 7 절정 187 작품 8 서시 ( 序詩 ) 191 제9강 근대소설 ( 近代小說 )1 195 한국 근대소설의 흐름 196 개화기의 소설 년대의 소설 년대의 소설 년대 ~ 해방 전 소설 202 읽을거리 소설, 장르상의 특징 204 작품 9 금수회의록 ( 禽獸會議錄 ) 206 작품 10 무정 ( 無情 ) 214 작품 11 운수 좋은 날 221 작품 12 감자 227 읽을거리 한국 소설의 발전 과정 234 제 10 강 근대소설 ( 近代小說 )2 235 작품 13 무녀도 ( 巫女圖 ) 목차
9 작품 14 동백꽃 241 작품 15 메밀꽃 필 무렵 247 읽을거리 날개 254 제3부 제 11 강 현대문학 ( 現代文學 ) 현대시 ( 現代詩 )1 261 한국 현대시의 흐름 262 광복 직후 ~1949 년의 시 년대의 시 년대의 시 년대의 시 년대의 시 271 작품 1 사향 ( 思鄕 ) 274 작품 2 휴전선 ( 休戰線 ) 277 작품 3 꽃 280 작품 4 눈물 283 제 12 강 현대시 ( 現代詩 )2 287 작품 5 껍데기는 가라 287 작품 6 풀 291 작품 7 신부 ( 新婦 ) 294 작품 8 농무 ( 農舞 ) 297 제 13 강 현대시 ( 現代詩 )3 302 작품 9 귀천 ( 歸天 ) 302 읽을거리 천상병의 시 세계 305 작품 10 타는 목마름으로 305 작품 11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309 목차 5
10 제 14 강 현대소설 ( 現代小說 )1 312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 313 광복 직후 ~1949 년의 소설 년대의 소설 년대의 소설 년대의 소설 년대의 소설 322 작품 12 압록강은 흐른다 325 작품 13 수난이대 330 작품 14 소나기 335 읽을거리 황순원의 다른 소설 학 ( 鶴 ) 342 제 15 강 현대소설 ( 現代小說 )2 344 작품 15 광장 ( 廣場 ) 344 작품 16 무진기행 350 작품 17 장마 356 작품 18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362 제 16 강 현대소설 ( 現代小說 )3 370 작품 19 엄마의 말뚝 370 작품 20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376 읽을거리 길 위에서 길 찾기 선택이 미래를 만듭니다 383 제 17 강 희곡 ( 戱曲 ) 386 희곡, 장르적 특징 386 작품 21 명성황후 ( 明成皇后 ) 389 읽을거리 뮤지컬이란? 목차
11 제1부 고전문학( 古 典 文 學 ) 제1강 고대가요( 古 代 歌 謠 ) / 향가( 鄕 歌 ) 1
12 2 제1부 고전문학( 古 典 文 學 )
13 제1강 고대가요 ( 古代歌謠 ) / 향가 ( 鄕歌 ) 고대가요, 장르적 특징 1. 정의 고대 부족 국가 시대에서 삼국 시대 초기까지 향가 성립 이전에 불린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 대부분의 고대가요는 그에 대한 배경 설화 ( 背景說話 ) 를 가지고 있다. 2. 발생 및 발전 과정 농경 생활과 관련된 제천 의식 ( 祭天儀式 ) 에서 행해진 원시 종 합 예술에서 발생했으리라고보는 것이 통설 ( 通說 ) 이다. 집단적인 민속요 ( 民俗謠 ) 에 서 출발하여 개인적인 서정요 ( 抒情謠 ) 로 발전하였다. 3. 형식 현존하는 한국 고대가요는 한역시 ( 漢譯詩 ) 형태로 고대 문헌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4 언 4 구체 ( 四言四句體 ) 형식을 취하고 있다. 4. 현존 작품 구지가 ( 旨歌 ), 공무도하가 ( 公無渡河歌 ), 황조가 ( 黃鳥歌 ). 5. 문학사적 의의 고대가요는 처음에는 음악, 무용 ( 舞踊 ) 과 함께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로 전해지다가 점차 음악, 무용과 갈라져서 시가의 형태를 갖추고 발전하면서 한 국 고대시가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한편, 고대가요는 상고시기 한국인들의 정신 세계 ( 精神世界 ) 를 비롯하여 그들의 생활, 그들의 감정, 소원 등을 정서적으로, 상징적 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보여 주었다. 향가, 장르적 특징 1. 정의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려 만든 향찰(鄕札)로 신라(新羅)의 노래를 기 록한 한국 고유의 시가 양식으로, 신라 중기부터 고려(高麗) 초기에 걸쳐 창작되고 유행되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3
14 었다. 향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사뇌가(詞腦歌)이고 다른 하나는 민요(民 謠)이다. 그리고 향가의 범주(範疇)로는 향찰로 표기된 신라의 노래 전부를 지칭한다. 2. 발생 과정 삼국 시기 초엽부터 한국에서는 이미 한자로 글을 짓거나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만든 향찰로 한국어 노래를 표기 ( 表記 ) 하는 새 로운 방법이 나타났다. 이는 중국 시가와는 다른 한국 고유의 시가를 만들겠다는 자주 정신 ( 自主精神 ) 에서 나온 것이기도 했다. 또한 불교를 전파하는 데 사용되던 서역(西域)의 범패(梵唄)는 일정 부분 한계가 있 었다. 이에 한국의 고전음악과 한국어로 표현되는 노래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 다.이런 필요성에 의해 향가의 시형(詩形)이 새롭게 태어나 크게 융성(隆盛)하게 되었다. 3. 작가층 현전 ( 現傳 ) 하는 향가의 작가는 대부분이 승려 ( 僧侶 ) 이고 그밖에 화랑 ( 花郞 ) 이나 여류 ( 女流 ) 작가도 있다. 이들 작가들은 그 실존 여부 ( 實存與否 ) 를 밝히 기가 어렵다. 작가의 이름을 보면 이야기 속 주제나 작품 속의 내용과 맞아 떨어지는 예가 많기 때문이다. 4. 수록 문헌 승 (僧) 혁련정(赫連挺)이 지은 균여전(均如傳) 의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승 ( 僧 ) 일연 ( 一然 ) 이 지은 삼국유사 ( 三國遺事 ) ( 14 수 ). 5. 형식 향가는 형태상 4 구체, 8 구체, 10 구체 등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섯 편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10 구체 향가 ( 사뇌가 ) 형식이다. 따라서 향가를 한국 최초의 정 형시 ( 定型詩 ) 형식으 로 볼 수 있다. 4 구체 서동요(薯童謠), 풍요(風 도솔가 를 제외하고는 구전(口傳)되어 오던 민요 謠), 헌화가(獻花歌), 도 나 동요(童謠)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솔가(兜率歌) 8 구체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 4구체에서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 도기(過渡期)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제망매가(祭亡妹歌), 찬기 파랑가(讚耆婆郞歌) 외 향가의 가장 정제(精製)된 형식으로 향가의 완성된 형태이다. 전체가 3장(三章)으로 나뉘어 4-4-2의 구조를 가지며, 마지막 2구를 결구(結句) 또는 낙구 (落句)라 하고 이 첫머리에는 반드시 감탄사가 온다. 감탄사는 앞에서 전개된 내용의 정서적 고양(高揚) 과 전환을 보임으로써, 시의 내용적및 형식적 완결성 (完結性)을 보인다. 사뇌가(詞腦歌)라고도 한다. 10 구체 4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15 6. 내용 향가는 내용 면에서 신앙 ( 信仰 ), 축원 ( 祝願 ), 찬송 ( 讚頌 ) 등의 불교적 색 채가 짙은 노래와 서정적인 연모 ( 戀慕 ), 애원 ( 哀怨 ), 그리고 치국 ( 治國 ) 의 이상 ( 理 想 ) 등을 노래한 것들이 주류 ( 主流 ) 를 이루고 있다. 7. 표현 기법 상징 ( 象徵 ), 은유 ( 隱喩 ), 의인 ( 擬人 ), 돈호법 ( 頓呼法 ) 등 수사학적 방법을 통하여 경험이나 감정을 자연세계와 조화시켜 그 동일성 ( 同一性 ) 을 강조한다. 이는 자연물에 대한 감정이입 ( 感情移入 ) 으로서 자신을 외부 세계에 던지는 투사 ( 投 射 ) 에 의해 이루어진다. 8. 문학사적 의의 1)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 2) 소박하면서도 깊이 있는 수사 ( 修辭 ) 로 원만 ( 圓滿 ) 하고 차원 높은 신라인의 정신 세계를 반영. 3) 가사 ( 歌詞 ) 와 표기법은 신라어 ( 新羅語 )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됨. 9. 현존 작품 일람 작품명 작자 연대 형식 출전 서동요 ( 薯童謠 ) 서동 ( 薯童 ) 진평왕대 ( ) 4 구체 삼 국 유 사 권 2 무 왕 ( 武王 ) 혜성가 ( 彗星歌 ) 융천사 ( 融天師 ) 진평왕대 ( ) 10 구체 삼 국 유 사 권 5 융 천 사혜성가(融天師彗星 歌 ) 풍요 ( 風謠 ) 공동작 선덕왕대 ( ) 4 구체 삼 국 유 사 권 4 양 지 사석 ( 良志使錫 ) 원왕생가 ( 願往生歌 ) 광덕(廣德)이 나 그 아내 문무왕대 ( ) 10 구체 삼 국 유 사 권 5 광 덕 엄장 ( 光德嚴莊 ) 모죽지랑가 ( 慕竹旨郞歌 ) 득오 ( 得烏 ) 효소왕대 ( ) 8 구체 삼 국 유 사 권 2 죽 지 랑 ( 竹旨郞 ) 헌화가 ( 獻花歌 ) 견우노인 ( 牽牛老人 ) 성덕왕대 ( ) 4 구체 삼 국 유 사 권 2 수 로 부인 ( 水路夫人 ) 원가 ( 怨歌 ) 신충 ( 信忠 ) 효성왕 1 년 (737) 10 구체 ( 현존 8 구 ) 삼 국 유 사 권 5 신 충 괘관 ( 信忠掛冠 ) 도솔가 ( 兜率歌 ) 월명사 ( 月明師 ) 경덕왕 9 년 (760) 4 구체 삼국유사 권5 명월사 도솔가 (明月師兜率歌) 제 망매가 ( 祭亡妹歌 ) 월명사 ( 月明師 ) 경덕왕대 ( ) 10 구체 삼국유사 권 5 명월사 도솔가 ( 明月師兜率歌 )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5
16 续表 작품명 작자 연대 형식 출전 찬기파랑가 ( 讚耆婆郞歌 ) 충담사 ( 忠談師 ) 경덕왕대 ( ) 10 구체 삼 국 유 사 권 2 충 담 사 ( 忠談師 ) 안민가 ( 安民歌 ) 충담사 ( 忠談師 ) 경덕왕대 ( ) 10 구체 삼 국 유 사 권 2 충 담 사 ( 忠談師 ) 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희명 ( 希明 ) 경덕왕대 ( ) 10 구체 삼 국 유 사 권 3 분 황 사천수대비(芬皇寺千 手大悲 ) 우적가 ( 遇賊歌 ) 영재 ( 永才 ) 원성왕대 ( ) 10 구체 삼 국 유 사 권 5 영 재 우적 ( 永才遇賊 ) 처용가 ( 處容歌 ) 처용 ( 處容 ) 헌강왕 5 년 (879) 8 구체 삼 국 유 사 권 2 처 용 랑망해사(處容郞望海 寺 ) 균여대사 ( 均如大師 ) 신덕왕6년 고 려광종24 년 ( ) 10 구체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 사균여전 ( 大華嚴首座圓 通兩重大師均如傳 ) 예경제불가 ( 禮敬諸佛歌 ) 칭찬여래가 ( 稱讚如來歌 ) 광수공양가 ( 廣修供養歌 ) 참회업장가 ( 懺悔業障歌 ) 수희공덕가 ( 隨喜功德歌 ) 청전법륜가 ( 請轉法輪歌 ) 청불주세가 ( 請佛住世歌 ) 상수불학가 ( 常隨佛學歌 ) 항순중생가 ( 恒順衆生歌 ) 보개회향가 ( 普皆廻向歌 ) 총결무진가 ( 總結無盡歌 ) 6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17 읽을거리 향가계 가요 신라 시대에 꽃핀 향가는 고려 초기까지 계승되다가 한문에 밀려 향찰이 쓰이지 않게 되 자 더이상향유 ( 享有 ) 되지 않게 되었다. 향가가 사라져 가던 과정에 향가의 전통을 이은 작품들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들 가요를 향가계 가요 라고 한다. 도이장가 ( 悼二將 歌 ) 와 정과정곡 ( 鄭瓜亭曲 ) 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 도이장가 는 고려 예종 ( 睿宗 ) 15 년에 지어진 노래로, 향찰로 표기되어 있다. 8 구체 형식으로, 고려 태조 ( 太祖 ) 를 위해 죽은 김락 ( 金樂 ), 신숭겸 ( 申崇謙 ) 두 장군을 추도 ( 追 悼 ) 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정과정곡 은 고려 의종 ( 毅宗 ) 때의 문인 정서 ( 鄭敍 ) 가 유배지 ( 流配地 ) 인 동래에서 임금의 소환 ( 召喚 ) 을 기다리다가, 소식이 없자 지어 부른 작품이다. 이 노래는 향찰로 표 기되어 전해지는 향가 는 아니지만 형식 면에서 볼 때, 10 구체 향가의 전통을 잇고 있으 며, 3 단 구성이나 11 행의 아소 님하 와 같은 여음구 ( 餘音句 ) 는 모두 향가계 가요임을 증 명하는 부분이다. 또한 창작 동기와 내용면에서 10 구체 향가인 신충의 원가 ( 怨歌 ) 와 서로 통한다. 향가의 맥을 잇는 도이장가 와 정과정곡 은 한국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 고있다. 작품 1 구지가 ( 龜旨歌 ) 1. 작자 미상 2. 연대 42 년 ( 儒理王 19) 경 3. 출전 삼국유사 ( 三國遺事 ) 권 2, 기이 ( 紀異 ) 가락국기 ( 駕洛國記 ) 4. 갈래 고대가요 5. 배경 설화 먼 옛날, 이 땅에는 아직 나라도 없고 임금도 없었다. 백성들은 아홉 추장 ( 酋長 ) 의 통솔 하에 집단적인 생활을 영위 ( 營爲 ) 하고 있었다. 후한 ( 後漢 ) 세조 ( 世祖 ) 광무제 ( 光武帝 ) 건무 18 년 임인 ( 壬寅 ) 3 월, 액 ( 厄 ) 을 덜기 위해 목욕하고 술을 마시던 계욕 일 ( 禊浴日 ) 에 그들이 사는 북쪽 구지봉 ( 龜旨峰 ) 에서 누군가를 부르는 이상한 소리가 들려왔다. 2,3 백 명의 사람들이 몰려가 보니, 사람 모습은 보이지 않고 여기에 사람 이 있느냐? 하는 말소리만 들렸다. 구간 ( 九干 : 아홉 추장 ) 등이 우리들이 있습니다. 하자,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7
18 내가 있는 데가 어디냐? 라고 물었다. 구지입니다. 라고 대답하니, 하늘이 내게 명하여 이곳에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 라 하시므로, 너희는 이 봉우리의 흙을 파서 모으면서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 龜何龜何首其現也若不現也燔灼而喫也 ). 라고 노래 부르며 춤을 추면 이것이 대왕을 맞이하며 기뻐 날 뛰는 것이리라. 라고 하였다. 구간 등이 그 말대로 즐거이 노래하며 춤추다가 얼마 후 우러러보니 하늘에서 자주색 줄이 늘어져 땅에까지 닿았다. 줄끝을 찾아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을 싼 것이 있었다. 합을 열어보니 알 여 섯 개가 있었는데 태양처럼 황금빛으로 빛났다. 사람들이 모두 놀라 기뻐하며 백번 절 한 후 다시 싸가지고 아도간의 집으로 돌아갔다. 책상 위에 모셔 두고 흩어졌다가 그 다음날 아침에 다시 모여 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모두 사내애로 변해 있었다. 그 후 애들이 자라더니 키가 9 척이 되고 용모 또한 준수 ( 俊秀 ) 하여 가히 임금이 될 만하 였다. 그 중 하나가 그 달 보름날에 왕위에 오르니 그가 바로 수로왕 ( 首露王 ) 이고 나 라 이름을 가야국 ( 伽倻國 ) 이라고 지으니 그것이 바로 6 가야의 하나였다. 나머지 다섯 사내애도 기타 다섯 가야의 임금이 되었다. 6. 작품 원문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7. 형식 및 성격 1) 형식 : 4 언 4 구체 한역시. 2) 성격 : 제의 ( 祭儀 ) 적, 주술 ( 呪術 ) 적, 집단적. 8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현대역 거북아 머리를 내놓지 구워서 거북아 내어라. 않으면 먹으리.
19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고전 시가의 가장 원초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는 원시 민요 ( 原始民謠 ) 라고 할 수 있는 이 노래는, 가락국 ( 駕洛國, 일명 6 가야 ) 의 시조 ( 始祖 ) 인 수로왕의 강림 신화 ( 降臨神話 ) 속에 삽입 ( 揷入 ) 되어 전하고 있다. 이 노래는 수로왕을 맞이하기 위해 구지 봉의 흙을 파서 모으고 춤추는 과정에 불리었다는 점에서 고대 시가의 제의적, 주술적, 집단적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노래의 핵심인 거북 이 신령 ( 神靈 ) 스러운 존재를 상 징한다고 할 때, 거북의 머리는 생명을, 거북이 머리를 내놓는 것은 새로운 생명이 탄생 함을 뜻하는 것이다. 이는 하늘에서 내려온 알로부터 수로왕이 탄생하는 것과 일치한다. 이 노래는 노동요 ( 勞動謠 ) 로 보는 견해, 잡귀 ( 雜鬼 ) 를 쫓는 주술요 ( 呪術謠 ) 로 보 는 견해, 원시인들의 성욕 ( 性慾 ) 에 대한 은유 ( 隱喩 ) 적 표현으로 보는 견해, 영신제 ( 迎神祭 ) 의 절차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희생 무용 ( 犧牲舞踊 ) 에서 불린 노래로 보 는 견해 등의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원시 주술적 집단 무요 ( 巫謠 ) 로 보는 것이 제일 타당 ( 妥當 ) 하다. 또한, 마을 사람들이 흙을 파면서 불렀다는 점을 주목 ( 注目 ) 해 본다 면, 노동의 괴로움을 덜고자 하는 노동요의 성격도 지닌다. 2) 주제 : 새로운 생명 ( 신령스러운 임금 ) 의 강림을 기원. 그래서 이 가요는 일명 영 신군가 ( 迎神君歌 ), 영신가 ( 迎神歌 ), 가락국가 ( 駕洛國歌 ) 라고도 함. 9. 문학사적 의의 1) 현전 최고 ( 最古 ) 의 집단 무요. 2) 주술성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 생각해 볼 문제 1) 이 노래에서 주술적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낸 시구는? 2) 이 노래에서 신령스러운 존재와 군주를 상징하는 것은? 3) 이 노래는 어떤 어조를 사용하여 소망 성취(所望成就)의 의지(意志)를 강조하였는가? 보충 자료 명령과 위협의 어조 주술 ( 呪術 ) 에서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해서 일방적인 찬미와 순종 ( 順從 ) 만을 보이지는 않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9
20 고 때로는 회유 ( 懷柔 ) 와 투쟁, 혹은 강한 위협 ( 威脅 ) 을 가하기도 한다. 이 노래에서 머리를 내 어라. 라고 명령하고,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라고 위협하는 것은 주술적인 노래에서 흔히 발견되는 수법이다. 거북 과 머리 의 상징적 의미 거북은 예로부터 신령스런 동물의 하나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신령스러운 임금의 탄생을 거북 의 등장 ( 登場 ) 에 비유한 것은 자연스러운 발상 ( 發想 ) 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거북 에게 머리 를 내어줄 것을 요청하고 있는데, 이 때 머리 는 생명의 근원, 우두머리 등을 상징한다. 구지봉 의 의미 수로왕의 이야기를 신성 ( 神聖 ) 한 것으로 믿는 사람들에게 구지봉 은 신과 인간이 교통하는 지역, 즉 세계의 중심이 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비록 지상에 있지만 지상의 다른 지역과는 구 별되는 신성한 지역이다. 그들은 이 지역에서 자신들의 생각을 신에게 전달하고, 또 신의 응답 ( 應答 ) 도 여기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신화시대 ( 神話時代 ) 의 인간들은 자기들이 거주하 는 지역에 이런 특별한 지역을 설정하고, 자신들을 신과 교통하는 특별한 인간으로 생각한다. 단군신화 ( 檀君神話 ) 의 신단수 ( 神檀樹 ) 나, 그리스 신화의 신전 ( 神殿 ) 등도 바로 세계의 중 심 이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작품 2 공무도하가 ( 公無渡河歌 ) 1. 작자 백수 광부의 처. 또는 여옥 ( 麗玉 : 뱃사공 霍里子高의 처 ). 2. 연대 고조선 시대로 추정. 3. 출전 해동역사 ( 海東歷史 ) 4. 갈래 고대가요 5. 배경설화 뱃사공 곽리자고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 갔다. 그때 흰 머리를 풀어헤친 어떤 미 친 사람 ( 白首狂夫 ) 이 술병을 들고 비틀비틀 물을 건너가고, 그의 아내가 좇아가며 말 렸다. 그러나 그 남자는 아내의 말을 듣지 않고 결국 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그 아내는 공후 ( 箜篌 ) 를 타며 공무도하 ( 公無渡河 ) 라는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노랫소리가 매 우 구슬펐다. 노래가 끝나자 그녀도 스스로 몸을 던져 물에 빠져 죽었다.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 여옥에게 그가 본 광경 ( 光景 ) 과 노래를 이야기해 주었다. 여옥은 슬 퍼하며 공후를 안고 그 소리를 본받아 타니 듣는 자들은 모두 슬퍼했다. 여옥은 그 노 래를 이웃 여자 여용 ( 麗容 ) 에게 전해주었는데, 그때로부터 공후인 ( 箜篌引 ) 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10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21 6. 작품 원문 현대역 公無渡河 ( 공무도하 ) 公竟渡河 ( 공경도하 ) 墮河而死 ( 타하이사 ) 當奈公何 ( 당내공하 ) 그대여, 물을 건너지 마오. 그대 결국 물을 건너셨도다.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가신 임을 어이할꼬. 7. 형식 및 성격 1) 형식 : 4 언 4 구체 한역시 ( 漢譯詩 ). 2) 성격 : 서정적, 애상 ( 哀傷 ) 적, 개인적.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이 노래는 남편을 잃은 한 여인의 애타는 심정을 한탄조 ( 恨歎調 ), 또는 넋두리조로 부른 것으로, 고대 특유의 집단적이고 주술적이며 활동적인 시상 전개 ( 詩想展開 ) 를 탈피 ( 脫皮 ) 하여 개인적인 심정을 노래한 서정가요이다. 이 노래는 남 편이 물에 빠져 죽지 않기를 바라는 여인의 마음과 남편이 물에 빠져 죽었을 때의 여 인의 비통한 심정을 순차 ( 順次 ) 적으로 노래하였다. 구지가 의 경우, 개인적인 정 서나 감정보다는 집단적인 정서와 감정이 주조 ( 主調 ) 로 되고 있는 반면, 공무도하 가 는 작자 자신의 감정이 주조로 되어 개인의 특정한 감정을 노래하면서도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를 노래하고 있는 바, 개인 서정가요로서의 제반 ( 諸般 )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2) 주제 : 임을 여읜 슬픔. 9. 문학사적 의의 1) 한국 최고 ( 最古 ) 의 개인 서정가요. 2) 중국의 많은 문헌들에 기록되면서 후세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음. 생각해 볼 문제 1) 이 노래에서 물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말해 보세요. 2) 이 시의 마지막 연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에 대해 말해 보세요.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11
22 보충 자료 물의 상징성 물은 소멸성 ( 消滅性, 죽음 ), 재생성 ( 再生性 ), 모성성 ( 母性性 ) 등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백수광부 의 정체와 익사 ( 溺死 ) 의 의미 이 작품에 등장하는 백수광부 는 무당으로 볼 수 있다. 무당인 백수광부가 익사한 것은 강물 에 뛰어들어 죽음을 이기고 새로운 권능 ( 權能 ) 을 확인하는 의식 ( 儀式 ) 에서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공무도하가 는 주술적 효험 ( 效驗 ) 이 붕괴 ( 崩壞 ) 됨과 함께 이전의 신성 ( 神 聖 ) 하고도 숭고한 질서가 불신 ( 不信 ) 되기 시작하던 신화시대 ( 神話時代 ) 말기의 사회상을 반영 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설 ( 說 ) 도 가능하다. 한편 그와 아내의 죽음은 모태 회귀 ( 母胎回歸 ), 낙원 ( 樂園 ) 으로의 회귀, 그리고 부부의 영원 한 사랑 도모 ( 圖謀 ) 등의 뜻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작품 3 황조가 ( 黃鳥歌 ) 1. 작자 고구려 제 2 대 유리왕 ( 琉璃王 ) 2. 연대 B.C.17 년 ( 琉璃王 3) 3. 출전 삼국사기 권 13 고구려본기 ( 高句麗本紀 ) ㆍ유리왕 ( 琉璃王 ) 4. 갈래 고대가요 5. 배경 설화 고구려 유리왕 3 년 7 월에 왕은 골천에 별궁 ( 別宮 ) 을 지었다. 10 월에는 왕비 송씨가 죽었다. 왕은 다시 두 여자를 후실 ( 後室 ) 로 얻었는데 한 사람은 화희라는 골천 사람의 딸이고, 또 한 사람은 치희라는 한나라 사람의 딸이었다. 두 여자가 사랑 다툼으로 서로 화목 ( 和睦 ) 하지 못하므로 왕은 양곡 ( 凉谷 ) 에 동궁 ( 東宮 ) 과 서궁 ( 西宮 ) 을 짓고 따로 머물게 했다. 그 후 왕이 기산에 사냥을 가서 7 일 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두 여자가 크게 싸웠다. 화희가 치희에게 너는 한나라 집안의 종으 로 첩 ( 妾 ) 이 된 사람인데 왜 이리 무례 ( 無禮 ) 한가? 하면서 꾸짖었다. 치희 는 부끄럽고 분하여 집으로 돌아가 버렸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말을 채찍질하며 쫓 아갔으나, 치희는 성을 내며 돌아오지 않았다. 왕은 홀로 돌아오는 길에 나무 밑에 서 쉬다가 꾀꼬리들이 날아 모여드는 것을 보고 느끼는 바가 있어 이 노래를 지어 불렀다. 12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23 6. 작품 : 원문 현대역 翩翩黃鳥 雌雄相依 念我之獨 誰其與歸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울사 이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7. 형식 및 성격 1) 형식 : 4 언 4 구체 한역시. 2) 성격 서정적, 애상 ( 哀傷 ) 적, 개인적.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짝을 지어서 다정하게 노니는 꾀꼬리는, 사랑하는 여인과 이별하고 외롭게 돌아가야만 하는 화자의 신세를 더욱 서글프게 만드는 데 적절한 소재 ( 素材 ) 이다. 꾀 꼬리와의 대비 ( 對比 ) 를 통해서 화자의 서글픔은 더욱 확대 ( 擴大 ) 되며, 그것은 꾀꼬 리의 가벼운 날개짓과 화자의 무거운 마음의 대비로 이어져 더욱 인상 깊게 느껴진다. 나 꾀꼬리 정다움 대조 외로움 임에 대한 그리움의 심화(深化 ) 2) 주제 : 짝 잃은 외로움. 9. 문학사적 의의 현전하는 한국 최고 ( 最古 ) 의 연정 ( 戀情 ) 가요. 생각해 볼 문제 1) 이 시가 최초의 서정시로 꼽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2) 꾀꼬리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말해보세요.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13
24 작품 4 처용가 ( 處容歌 ) 1. 작자 처용 ( 處容 ) 2. 연대 신라 헌강왕대 ( 憲康王代 :875~886) 3. 출전 삼국유사 권 2, 기이 ( 紀異 ) 처용랑 ( 處容郞 ) 4. 갈래 향가 5. 배경설화 신라 제 49 대 헌강왕대에 서울로부터 바다 안쪽 ( 변두리 ) 에 이르기까지 집들이 즐비 하고 담이 이어져 있으며, 초가집은 한 채도 없이, 풍악 ( 風樂 ) 과 노래소리가 길에 끊 이지 않고, 비와 바람이 철마다 순조로웠다. 어느 날 대왕이 개운포 ( 開雲浦 ) 에 놀러갔다가 모래톱가에서 쉬고 있었다. 대왕이 장차 돌아가려 할 때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어둡게 끼어 길을 잃게 되었다. 대왕이 괴 이 ( 怪異 ) 하게 여겨 좌우의 신하 ( 臣下 ) 에게 물으니, 일관 ( 一官 ) 이 답하였다. 이것은 동해 용 ( 龍 ) 의 변괴 ( 變怪 ) 입니다. 좋은 일 ( 勝事 ) 을 행함으로써 그것을 해 결해야 합니다. 이에 대왕은 유사 ( 有司 ) 에게 명령을 내려 용을 위해 근처에다 절을 짓게 했다. 그러 자 구름이 걷히고 안개가 사라졌는데, 이로 인해 개운포 ( 開雲浦 ) 라 이름했다. 동해 용은 기뻐서 곧 일곱 아들을 거느리고 임금의 수레 앞에 나타나 대왕의 덕을 찬미하고 춤을 바치고 음악을 연주했다. 그 중 한 아들이 수레를 따라 서울로 들어가 왕정 ( 王政 ) 을 보좌 ( 輔佐 ) 하니, 처용이라 불렀다. 대왕은 처용의 마음을 잡아두고자 미녀를 그의 아내로 삼게 해주었고, 또한 급간직 ( 級 干職 ) 을 하사 ( 下賜 ) 했다. 그의 아내는 매우 아름다웠는데, 역신 ( 疫神 ) 이 흠모 ( 欽慕 ) 하여 사람으로 변하고는 밤에 그 집에 들어가 몰래 함께 잠자리에 들었다. 처용이 밖으로 부터 집에 도착하니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지라 곧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났다. 가사 생략 이 때에 귀신이 모습을 드러내 처용의 앞에 무릎을 꿇고 말했다. 제가 공 ( 公 ) 의 부인을 흠모하여 지금 범했습니다. ( 그런데도 ) 공이 노여움을 보이 지 않으시니 감동하고 찬미합니다. 맹세컨대 지금 이후로 공의 형용 ( 形容 ) 을 그린 것 을 보면 그 문에는 들어오지 않겠습니다. 이로 인하여 백성들은 문에다 처용의 모습을 그려 붙여 벽사진경 ( 辟邪進慶 ) 하였다. 14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25 6. 작품 원문 현대역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 隱吾下於叱古, 二 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서울 밝은 달밤에 밤늦도록 노닐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가랑이가 넷이어라. 둘은 내 것이고 둘은 뉘 것인고. 본디 내 것이지마는 빼앗아간 것을 어찌하리오. 7. 감상 및 주제 1) 감상 : 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라는 사람이 그의 아내를 범한 역신 ( 천연두를 앓게 하는 귀신 ) 을 물리치기 위해 지어 불렀다는 노래이다. 벽사진경 ( 요사스런 귀신을 물 리치고 경사를 맞아들임 ) 의 노래로, 주술적 성격이 강하다. 특히 이 노래의 절정 부분 인 마지막 두 구절에서 처용은 표면적으로는 체념 ( 諦念 ) 의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배 경설화를 고려해 보면 이 구절에는 일상인 ( 日常人 ) 의 생각과 감정을 뛰어넘는 처용의 초극 ( 超克 ) 적인 관용 ( 寬容 ) 의 태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 주제 : 초극적인 관용의 태도로 아내를 범한 역신을 물리침. 생각해 볼 문제 1) 이 노래에 담긴 시적 화자의 정서에 대해 말해 보세요. 2) 이 노래에서 처용의 초극적 이미지가 부각되어 있는 시구는? 보충 자료 처용가 의 표현상 특징 1) 제유 ( 提喩 ) 적 표현방식 사용. 가랑이가 넷이어라 : 신체의 일부분으로 사람을 나타냄. 2) 영탄 ( 詠嘆 ) 의 표현기법을 통해 분노와 슬픔, 체념과 관용의 상반된 감정을 동시에 드러냄. 본디 내 것이지마는, 빼앗아간 것을 어찌하리오. : 관용과 체념의 태도. 이런 태도는 한국 인의 보편적 정서로, 고려가요 가시리 와 근대시 진달래꽃 의 정서와 연관된다.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15
26 읽을거리 처용이 서역인 西域人 인 이유는? 서울 밝은 달밤에 밤늦도록 노닐다가 /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 둘은 내 것이었고 둘은 누구의 것인가 / 본래 내 것이지만 빼앗겼으니 어찌하리. 삼국유사 에 나오는 처 용가 이다. 주인공 처용은 역신이 미모의 아내와 동침하는 것을 보고도 이런 노래를 부르면서 물러간다. 그런가 하면무성한 눈 썹에 푹 패인 쌍거풀 눈, 우뚝 솟은 코, 밀쳐낸 듯한 주먹턱, 검 붉은 얼굴색 처용탈 속의 처용의 모습이다. 전승으로 굳어진 향가이고 탈이라고는 하지만, 너무나 이색적이다. 그래서 처용 에 관한 논란은 그치질 않고 있다.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거의 입체적으로 조명하다 보니, 같은 인물을 놓고 화랑이니, 호족 의 자제니, 무당이니, 호국호법의 용이니 하는가 하면, 외래의 무슬림 상인이라고까지 하 여 결국 각인각설의 난무장 에서 처용은 천의 얼굴 을 가진 인물로 비쳐지고 있다. 처용에 관한 삼국사기 의 사실적 기록과 그로부터 약 140 년이란 변이과정을 거쳐 나온 삼국유사 의 처용설화 내용을 비교하면, 우리는 사기 의 내용이 어떻게 설화로 가공 윤 색되었는가를 짐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인공인 처용이 생면부지라서 영물 로 오 해된 것뿐이지, 사실은 자연인이며 외래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을 방증하는 사료들을 고려와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삼국유사 가 나 온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사간대부로 있다가 울주에 귀양살이를 간 정포는 동국여지승람 에서 처용이 개운포의 푸른바다에서 나타났다는 현지 전문을 전하고 있다. 한국의 지리서로 서는 가장 오래된 경상도지리지 에도 울산 남쪽으로 37 리 떨어진 개운포에 처용암이 있 는데, 신라 때 그곳에서 모양이 기괴한 처용옹이란 사람이 출현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기록과 더불어 처용의 외인상을 말해 주는 증거의 다른 하나는 그가 지었다 고 하는 처용가의 내용이 이색적이라는 점이다. 고전 연구가들에 따르면 신라 향가는 일반 적으로 그 표현방법이 굴절되고, 내면적이며 형상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그런데 보다시피 처용가는 이와는 달리 감정 표현이 솔직하고 대담하며 직설적이다. 이러한 경향 은 중세 페르시아나 아랍 문학에서 쉽게 발견된다. 물론 이역간의 문학작품에서 어떤 공통적인 경향이나 요소가 포착되었다고 하여 그것을 무 턱대고 상관성의 소산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이며 논리의 비약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공통성은 어떤 매체나 교류, 특히 무역의 이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도 부정할 수는 없다. 이상에서 우리는 처용이 결코 용 같은 영물이나 내국인이 아니라, 동해로부터 울산에 상 륙한 처음 보는 외래인이라는 추단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면 어디에서 온 외래인일까? 그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처용이 출현한 개운포가 어떤 곳이며, 그러한 곳에 나타날 수 있는 외 래인들은 과연 어떤 사람들이었는가를 밝혀내야 할 것이다. 여러 가지 문헌 기록과 유물에 따르면, 울산은 수도 경주를 배후에 둔 ( 약 40km 정도 떨어져 있음 ) 산업 ( 철 생산 등 ) 과 상 업 ( 경상도 66 개 고을 중 유일하게 장사를 좋아하는 고을로 기록 ) 의 중심지였다. 게다가 천 연적인 양항과 내륙교통 요지로서의 조건도 두루 갖춘, 명실상부한 국제무역항이었다. 한겨레신문 2004 년 12 월 09 일 16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27 작품 5 제 망매가 ( 祭亡妹歌 ) 1. 작자 월명사 ( 月明師 ) 2. 연대 경덕왕대 ( 景德王代 :742~765 년 ) 3. 출전 삼국유사 권 2, 기이 ( 紀異 ) 월명사도솔가 ( 月明師兜率歌 ) 4. 갈래 향가 5. 작품 원문 현대역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 彌 刹良逢乎, 吾道修良待是古如. 삶과 죽음의 길은 여기에 있음에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 다 하고 갔는가?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저기 떨어지는 나뭇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서도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아아, 극락세계에서 만나 볼 나는 불도를 닦으며 기다리겠노라. 6. 감상 및 주제 1) 감상: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재[齋: 죽은 이의 넋이 정토(淨土)나 천상(天上)에 가도록 기원하는 법회(法會)]를 올리며 불렀다는 노래로, 불교 사상을 통해 슬픔과 무상감(無常感)을 극복한 서정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이 작품 의 묘미(妙味)는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남매를 한 가지에 난 나뭇잎 에, 누이의 때 이 른 죽음을 이른 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에 비유하여 표현한 데 있다. 여기에는 여름에 무성(茂盛)하던 나뭇잎도 가을이 되면 낙엽(落葉)이 되어 바람에 날려 떨어지듯이 인간 도 때가 되면 모두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을 지니고 태어난 존재라는 깨달음이 담겨 있다. 비유적 표현 함축적 의미 이른 바람 누이의 죽음을 초래한 모양 떨어지는 나뭇잎 유한한 존재, 누이의 죽음 한 가지 같은 부모 제1강 고대가요(古代歌謠) / 향가(鄕歌) 17
28 2) 주제 : 죽은 누이를 향한 추도가 ( 追悼歌 ). 이 노래의 화자는 누이의 죽음에 따른 충격적 슬픔과 그로 인해 느끼게 된 인생의 무상감이라는 문제를 종교적 신앙 ( 信仰 ) 에 기댐으로써 정서 ( 情緖 ) 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생각해 볼 문제 1) 이 노래에서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이 동기간임을 비유적으로 형상화한 시어는? 2) 이 노래에서 시적 화자의 슬픔이 종교적으로 승화 ( 昇華 ) 되고 있는 부분은? 보충 자료 제망매가 를 통해 본 신라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 1) 윤회 사상을 바탕으로 현세 ( 現世 ) 에서의 죽음을 종교적으로 승화시킴. 2) 신라인들은 불교의 영향으로 인해 현실 세계보다는 초월 ( 超越 ) 적 세계에 더 관심을 가지 고 있었다. 읽을거리 윤회 사상 ( 輪廻思想 ) 인간은 죽은 뒤에도 어떤 형태로든 존재한다는 불교 사상. 인간의 행위 (karma: 업 ) 는 나중에 영향을 끼치는 잠재적인 힘 (karma: 업력 ) 을 낳는다. 그리고 그 생전의 업 ( 業 ) 에 따라서 사후 ( 死後 ) 세계에 다시 태어난다. 이렇게 해서 삼계 육도 ( 三界六道 ) 를 돌고 돌며 생사를 반복한다고 보는 것이 윤회이다. 삼계는 중생이 돌고 도는 3 단계의 미망 ( 迷妄 ) 의 세계로, 욕계 ( 欲界 ) 색계 ( 色界 ) 무 색계 ( 無色界 ) 이다. 또한 육도는 깨달음을 얻지 못한 무지 ( 無知 ) 한 중생이 윤회전생 ( 輪廻 轉生 ) 하게 되는 6 가지 세계이다. 망자 ( 亡者 ) 가 죽어서 가게 되는 곳 중에 가장 좋지 못한 곳인 삼악도 ( 三惡道 ) 는 지옥도 ( 地獄道 ), 그 다음이 아귀도 ( 餓鬼道 ), 축생도 ( 畜生道 ) 이 며, 좋은 곳인 삼선도 ( 三善道 ) 는 아수라도 ( 阿修羅道 ) 또는 수라도, 인간도 ( 人間道 ), 천상 도 ( 天上道 ) 이다. 이를 보면, 인간으로 태어난 것도 전생에 큰 공덕 ( 功德 ) 을 쌓은 결과라 고 볼 수 있다. 18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29 제2강 고려가요 ( 高麗歌謠 ) / 경기체가 ( 景幾體歌 ) 고려가요, 장르적 특징 1. 정의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를 이른다. 그 운율이 아름답고 표현 이 소박하면서도 세련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 ( 眞率 ) 한 삶의 모습과 정서가 잘 나 타나 있다. 여요 ( 麗謠 ) 또는 장가 ( 長歌 ) 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2. 성격 고려가요는 민요에서 형성된 구비문학 ( 口碑文學 ) 으로서, 한글 창제 이후 문헌에 정착되었다. 3. 작가층 원 작가는 고려시대 평민이지만, 궁중의 속악가사 ( 俗樂歌詞 ) 로 수 용ㆍ개편되면서 문신이나 궁중의 악공 ( 樂工 ), 관기 ( 官妓 ) 등이 작가층으로 참여함으 로써, 이중 ( 二重 ) 적 성격을 띠고 있다. 4. 수록 문헌 오래 동안 구전되다가 조선 초에 악학궤범 ( 樂學軌範 ) ㆍ 악장가사 ( 樂章歌詞 ) ㆍ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 에 기록되어 정착되었다. 수록 문헌 수록 작품명 악학궤범 동동, 처용가 악장가사 정석가, 청산별곡, 서경별곡, 사모곡, 쌍화점, 이상곡, 가시리, 처용가, 만전춘 시용향악보 상저가, 유구곡 5. 형식 및 표현 기법 1) 대체로 유의어 ( 類義語 ) 4 구로 한 노래 ( 연 ) 가 완성된다. 2) 대부분이 분절식 ( 分節式 ) 으로 되어 있고, 분절마다 후렴구가 붙는 것이 보통이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19
30 다. 후렴구는 시적 감흥 ( 感興 ) 을 북돋우고 가무 ( 歌舞 ) 에서의 연행 ( 演行 ) 효과를 높이 는 구실을 한다. 이것은 고려에서부터 근대의 민요 아리랑 이나 도라지타령 에 이 르기까지 지속되는 한국 민요의 원형 ( 原型 ) 적 구조라고 할 수 있다. 3) 음수율 ( 音數律 ) 에서는 3 음절과 4 음절이 우세하고, 음보율 ( 音步律 ) 에서는 3 음 보가 많은데, 율조 ( 律調 ) 는 매우 유려 ( 流麗 ) 하다. 청산별곡 이나 가시리 등을 보 면 3 음보격에 의한 3 ㆍ 3 ㆍ 2 조가 주조 ( 主調 ) 를 이룬다. 4) 반복과 병렬의 표현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가시리 나 청산별곡 에서 보는 바와 같이, AABA형의 반복구조(反復構造)가 유형화(類型化)되어 가는 것도 볼 수 있다. 6. 내용 고려가요의 내용은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 禮讚 ),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숨김없는 인간성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허식 ( 虛飾 ) 이 없고 도 학 ( 道學 ) 적 제약 ( 制約 ) 을 받지 않은 풍부한 감정과 정서가 표현되어 있다. 그 중, 남 녀 간의 애정을 주제로 한 것은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 ( 男女相悅之詞 ) 라 하 여 문헌에서 삭제 ( 削除 ), 혹은 개작 ( 改作 ) 되기도 하였다. 7. 전체 작품 개관 성격 작품명 망부석 ( 望夫石 ) 사연 비고 정읍사 현전 유일 ( 唯一 ) 의 백제 ( 百濟 ) 가요. 사모곡 곡조명은 엇노리. 목주가 와 연관됨. 상저가 백결 선생의 대악 의 후신. 동동 월령체 ( 月令體 ) 노래의 효시 ( 嚆矢 ). 정석가 불가능한 상황 설정으로 만수무강 ( 萬壽無疆 ) 송축. 축사 ( 逐邪 ) 처용가 향가 처용가 에서 발전, 희곡적 노래. 현실 도피 ( 逃避 ) 청산별곡 비애, 고독, 도피, 체념. 가시리 이별의 한, 기다림의 전통적 여심 ( 女心 ). 서경별곡 강물의 공간에서 이루어진 극적 이별. 쌍화점 남녀상열지사 ( 男女相悅之詞 ) 만전춘 남녀상열지사, 시조 ( 時調 ) 의 형식. 이상곡 남녀상열지사. 유구곡 정치 풍자. 효심 ( 孝心 ) 송도 ( 頌禱 ) 이별의 정한 ( 情恨 ) 솔직 담백한 사랑 애조 ( 愛鳥 ) 20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31 8. 문학사적 의의 고려가요는 적나라 ( 赤裸裸 ) 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가 유려한 한 국어의 구사 ( 驅使 ) 속에 뛰어나게 형상화된 것으로서, 한국 국문문학 ( 國文文學 ) 의 중 요한 유산 ( 遺産 ) 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경기체가, 장르적 특징 1. 정의 한시문 ( 漢詩文 ) 에 익숙한 귀족 문인들 사이에서 발생한 독특한 형태의 정 형시로,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행위, 관념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취한 교술 ( 敎術 ) 적 성격의 노래이다. 끝부분에 景 긔 엇더 하니잇고 라는 독 특한 표현법의 후렴구를 사용하므로 경기체가라 불렀다. 고려 고종 ( 高宗 ) 조 한림별 곡 ( 翰林別曲 ) 에서부터 조선 선조 ( 宣祖 ) 대의 독락팔곡 ( 獨樂八曲 ) 까지 약 400 년 간 창작되고 전승되었다. 한림별곡체가 ( 翰林別曲體歌 ), 별곡체가 ( 別曲體歌 ), 경기하여가 ( 景幾何如歌 ) 등의 별칭 ( 別稱 ) 이 있다. 2. 산생 신흥 사대부 ( 新興士大夫 ) 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향락적인 여흥 ( 餘 興 ) 을 표현하기 위하여 창출 ( 創出 ) 한 시가 형식으로, 중국 사 ( 詞 ) 의 영향과 원시 민 요에서 발생하여 향가와 고려가요를 거쳐 전승되어 오던 한국적 운율 ( 韻律 ) 의 접합 ( 接合 ) 을 통해 이루어졌다. 3. 작가층 및 성격 1) 작가층 : 고려 ~ 조선조 귀족 문인. 2) 성 격 : 형태상이나 내용상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주조를 이룬 귀족 문학으로 볼 수 있다. 민중의 문학이 될 수 없었기에 오랫동안 향유되지 못했으며, 창조적 세계보다는 작품 외적 세계를 작품 내에 옮겨 놓은 교술 ( 敎術 ) 적 특성만 갖추어서, 내용보다는 형 식을 중요시한 운율 문학적 성격에 머물고 말았다. 4. 형식 1) 생경(生硬)한 한자 어구의 나열(羅列)과 이두식(吏讀式) 후렴구로 구성된 정형시. 2) 몇 개의 연이 중첩 ( 重疊 ) 되어 분절체 ( 分節體 ) 형식을 이루고, 한 연은 6 행으로 전대절 ( 前大節 ) 과 후소절 ( 後小節 ) 로 나뉨. 3) 음수율은 3 ㆍ 3 ㆍ 4 조가 중심, 음보율은 3 음보가 중심.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21
32 5. 내용 1) 고려시대 : 신흥 사대부의 득의만만 ( 得意滿滿 ) 한 생활 태도와 향락적이고 고답 ( 高踏 ) 적인 생활 정서, 그리고 긍정적이고 의욕 ( 意慾 ) 적인 생활상과 산수자연 ( 山水 自然 ) 을 즐기는 풍류적인 감흥을 표현. 2) 조선 초기 : 새로운 도읍 ( 都邑 ), 문물제도에 대한 찬양과 건국 이념 및 도덕적 이 념을 정중하고 엄숙하게 노래. 3) 조선 중기 : 개인의 생활과 정서를 주로 표현. 시가 형태도 파격형 ( 破格形 ) 경기체 가로 변모 ( 變貌 ). 6. 고려 후기 및 조선 초기 경기체가 작품 작품 작자 연대 표기 내용 출전 한림별곡 ( 翰林別曲 ) 한림 유 학자들 고려 고종 국문 시부, 서적, 명필, 명주, 화훼, 악장가사 음악, 누각, 추천. 전8장 구성. 관동별곡 ( 關東別曲 ) 안축 ( 安軸 ) 고려 충숙왕 이두 강원도 관찰사로 갔다 돌아오 근재집 는 길에 관동의 절경을 읊음. 죽계별곡 ( 竹溪別曲 ) 안축 고려 충숙왕 이두 고향인 풍기 땅 순흥 ( 죽계 ) 근재집 의 경치를 읊음. 전 5 연. 상대별곡 ( 霜臺別曲 ) 권근 ( 權近 ) 조선 세종 국문 조선 문물제도의 왕성함을 악장가사 칭송. 전 5 장. 변계량 화산별곡 ( 華山別曲 ) ( 卞季良 ) 조선 세종 국문 조선 건국 창업 찬양. 전 8 장. 세종실록 정극인 불우헌곡 ( 不憂軒曲 ) ( 丁克仁 ) 조선 성종 이두 전원(田園)의 한정(閑情)과 불우헌집 성은(聖恩)을 노래함. 전6장. 7. 문학사적 의의 경기체가는 그 작품이 별도의 문학성이 없이 단순 나열에 그치고 있기에 문학사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 하지만 고려시대 귀족들의 문학적 향유를 엿 볼 수 있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가진다. 보충 자료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비교 구분 차이점 22 제1부 고려가요 경기체가 평민 문학 귀족 문학 고유어의 구사. 한자 어구와 이두식 후렴구. 고전문학(古典文學)
33 续表 구분 고려가요 차이점 공통점 경기체가 3 ㆍ 3 ㆍ 2 조 중심. 3 ㆍ 3 ㆍ 4 조 중심. 분절체 ( 分節體 ) 가 많고, 후렴구가 발달. 3 음보가 중심. 여러 연이 중첩되어 작품 형성. 작품 6 가시리 1. 작자 미상 2. 연대 미상 3. 출전 악장가사 ( 樂章歌詞 ) - 제목은 가시리. 전문 수록ㆍ 시용향악보 ( 時用 鄕樂譜 ) - 제목은 귀호곡 ( 歸乎曲 ). 한 대목만 수록. 4. 갈래 고려가요 5. 작품 원문 현대역 가시리 가시리잇고나난 바리고 가시리잇고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 태평셩대 ) 가시겠습니까?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날러는 엇디 살라하고 바리고 가시리잇고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 태평셩대 ) 날더러는 어찌 살라고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잡사와 두어리마나난 선하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大平盛代 ( 태평셩대 )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서운하면 아니 올까 두렵구나. 셜온 님 보내압노니나난 가시난닷 도셔 오쇼셔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 태평셩대 ) 서러운 임 보내 드니니 가시는 것처럼 돌아서 오십시오.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23
34 6. 형식 전 4 연, 조, 3 음보, 분절체 ( 分節體 ). 7. 시상의 전개 주제 1연 이별의 안타까움 ( 애원과 탄식 ). 2연 절박한 심정 ( 애원의 고조 ). 3연 절제와 체념 ( 이별을 사실로 수용 ). 4연 인종 ( 忍從 ) 의 여심 ( 女心, 님이 돌아와 주기를 간절히 바람 ). 특징 심적 갈등 ( 감정의 전환 ). 주제가 암시되어 있음.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작자와 연대 미상의 민요풍의 고려가요이다.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을 노래 하면서도 자기 초월 ( 超越 ) 적 감정의 승화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뛰어난 이 별가 ( 離別歌 ) 의 하나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2) 주제 : 이별의 정한 ( 情恨 ). 생각해 볼 문제 1) 이 시에 드러난 시적 화자의 목소리와 그 전통성에 대해 말해 보세요. 2) 김소월의 진달래꽃 과 이 시를 비교해서 말해 보세요. 작품 7 청산별곡 ( 靑山別曲 ) 1. 작자 미상 2. 연대 미상 3. 출전 악장가사 ( 樂章歌詞 ) ( 전문수록 ) ㆍ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 ( 일부만 수록 ) 4. 갈래 고려가요 5. 시대적 배경 고려 말 무신 집권 ( 武臣執權 ), 몽골의 침입 ( 侵入 ), 척신 전횡 ( 戚臣 專橫 ) 으로 인하여 고려전체가 내우외환 ( 內憂外患 ) 으로 흔들리던 시기. 24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35 6. 작품 : 원문 현대역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 ( 靑山 ) 애 살어리랏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서 살겠노라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서 살겠노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서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시름이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울며 지내노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보았느냐 평원 지대로 날아가던 새 보았느냐 이끼 묻은 쟁기 가지고 평원 지대로 날아가던 새 보았느냐? 이링공 뎌링공 하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이럭저럭 하여 낮은 지내왔으나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하리오. 어듸다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어디에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 그 돌에 ) 맞아서 울고 있노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라래 살어리랏다 나마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라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살겠노라 바다에서 나문재랑 바다에서 제2강 살겠노라 살겠노라 굴 조개랑 먹고 살겠노라.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25
36 续表 원문 현대역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사미 짐대예 올아셔 해금 ( 奚琴 ) 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가다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가다니 배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매와 잡사와니 내 엇디 하리잇고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더니 불룩한 독에 진한 술을 빚는구나 조롱박꽃 모양의 누룩 냄새가 매워 ( 나를 ) 붙잡으니 나는 어찌하리오. 7. 표현상의 특징 1) 유려한 리듬감을 지닌 후렴구가 노래의 흥을 돋우고 있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ㄹ, ㅇ 음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명랑 ( 明朗 ) 한 분위기를 조성함. 2) 3 음보, 조의 음수율, AABA의 반복적 율조를 지녀 민요, 가시리 등 과의 연관성을 보임.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 ( 靑山 ) 애 살어리랏다 A A B A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A A B A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삶의 고뇌 ( 苦惱 ) 와 비애 ( 悲哀 ) 를 노래한 작자, 연대 미상의 작품. 형식 의 전형 ( 典型 ) 성과 내용의 서정성, 시어의 상징성 등으로 일찍부터 주목 ( 注目 ) 을 받았음. 2) 주제 : 삶의 고뇌와 비애. 삶의 터전을 상실 ( 喪失 ) 한 유랑민 ( 流浪民 ) 의 슬픔. 26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37 생각해 볼 문제 1) 이 시에서 청산과 바다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말해 보세요. 2) 이 시의 음악성에 대해 말해 보세요. 3) 시적 화자의 정체에 따른 시의 주제를 정리해 보세요. 보충 자료 시적 화자의 정체에 따른 시 해석 구절 청산 지식인 유랑민 실연한 사람 삶의 고뇌를 잊고자 하는 도피 공간. 연명하기 위한 공간. 슬픔을 잊고자 하는 도피 공간. 가던 새 속세에서의 자기 모습. 갈던 밭이랑. 나를 버리고 떠나가 는 임. 잉무든 장글 날이 무딘 녹슨 병기. 이끼 묻은 쟁기. 녹슨 은장도. 시적 화자에 따른 시 의 주제 삶의 고뇌와 비애. 삶의 터전을 잃어버 린 유랑민의 슬픔. 임을 잃은 여인의 슬 픔과 그리움. 읽을거리 서경별곡 ( 西京別曲 ) 1. 작자 미상 2. 연대 미상 3. 출전 악장가사 ㆍ 시용향악보 4. 갈래 고려가요 5. 작품 현대역 서경이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중수 ( 重修 ) 한 곳인 소성경 ( 小城京 : 서경 ) 을 사랑합니다만, 임을 이별하기보다는 차라리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27
38 续表 길쌈하던 베를 버리고서라도 저를 사랑해 주신다면 울면서 따라가겠습니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임과 떨어져 홀로 천 년을 살아간들 임을 사랑하고 있는 마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대동강이 넓은 줄을 몰라서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네 아내가 음탕한 짓을 하는 줄도 모르고 떠나는 배에 내 임을 태웠느냐? 사공아. ( 나의 임은 ) 대동강 건너편 꽃을 배를 타면 꺾을 것입니다. 6. 형식 전 3 연, 조, 3 음보, 분절체 ( 分節體 ). 7. 시상의 전개 주제 특징 1연 이별을 아쉬워하는 연모 ( 戀慕 ) 의 정. 여인의 목소리. 2연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믿음의 맹세 ( 盟誓 ). 남성의 목소리. 3연 떠나는 임에 대한 애원 ( 哀怨 ). 여인의 목소리.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골계미 ( 滑稽美 ) 를 함축하고 있는 이 노래는 가시리 와 함께 이별가 ( 離別歌 ) 의 쌍벽 ( 雙璧 ) 을 이루고 있다. 또한 서경 ( 西京 ) 과 대동강 ( 大洞江 ) 이라는 구체적 지명을 드러냄으로써 강한 향토애 ( 鄕土愛 ) 를 표현하고 있다. 대동강을 경계로 하여 미지의 세계, 나의 손길이 닿을 수 없는 세계가 펼쳐진다는 점에서 대동강 은 이별의 강 이라 할 수 있 고, 따라서 서경 은 이별이 없는 사랑의 세계 라는 의식 ( 意識 ) 을 담고 있다. 서정적 자아 의 목소리는 적극적이고 꾸밈이 없고 활달했던 당대 여인들의 모습을 소박하게 담고 있다. 2) 주제 : 이별의 한 ( 恨 ) 을 진솔하게 노래. 보충 자료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는 시적 화자의 목소리와 그 전통성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는 시적 화자의 목소리는 공무도하가 에서부터 시작하여 황조가, 가 시리, 서경별곡, 정지상의 송인 ( 送人 ) ( 漢詩 ), 황진이의 시조, 민요 아리랑, 김소월의 진 28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39 달래꽃 을 거쳐 지금까지도 문학 작품에서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 인 이별의 정한 ( 情恨 ) 이 하나의 전통으로 굳어져 작품을 통해 면면 ( 綿綿 ) 히 흐르고 있음을 말해 준다. 그리고 한국인의 이러한 전통적인 정한은 작품에서 대부분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표현된다. 가시리, 서경별곡 과 김소월의 진달래꽃 의 비교 세 작품은 이별의 정한을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노래하고, 기 - 승 - 전 - 결 ( 起承轉結 ) 의 구 성을 취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작품의 표현방법 및 이별을 대하는 서정적 주 인공의 태도 에서는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우선 표현방법에 있어서, 가시리 와 서경별곡 은 소박한 표현미를 바탕으로 감정이 자연 스럽게 드러나는 특징을 가진 반면, 진달래꽃 은 그리우면서도 임을 향해 돌아와 달라는 말을 절대 하지 않는 감정의 절제 ( 節制 ) 와 반어 ( 反語 ) 적 표현이 잘 드러나 있다. 다음, 이별을 대하는 서정적 주인공의 태도에 있어서, 서경별곡 은 서정적 주인공이 이별을 적극 적으로 거부하고 님과 함께 있는 행복과 애정을 강조하지만, 가시리 와 진달래꽃 은 서정적 주인 공이 자신의 희생과 절제를 통해서 님과의 재회(再會)를 기약(期約)한다. 특히 진달래꽃 의 경우, 서정적 주인공은 극한(極限)적인 감정의 절제와 희생의 자세로 님에 대한 사랑을 역설(力說)한다. 가시리 서경별곡 진달래꽃 표현방법 직서 ( 直敍 ) 적 직서 ( 直敍 ) 적 반어 ( 反語 ) 적 태 도 절망하지 않는 긍정적 자세.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 체념적, 소극적 작품 8 한림별곡 ( 翰林別曲 ) 1. 작자 한림학사 ( 翰林學士 ) 공동작 2. 연대 1216 년 ( 高宗 3) 3. 출전 악장가사 ( 樂章歌詞 ) ㆍ 고려사 ( 高麗史 ) 악지 ( 樂志 ) 4. 갈래 경기체가 5. 작품 현대역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 아, 과시장 ( 科試場 ) 의 모습 그 어떠합니까? ( 엽 ) 금의 ( 琴儀 ) 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금의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아, 나까지 모두 몇 분입니까?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29
40 续表 현대역 당서 한서, 장자 노자, 한유 유종원의 문집 이백 두보의 시집, 난대집, 백거이의 문집 시경 서경, 주역 춘추, 대대례 소대례를 아, 주 ( 註 ) 마저 줄곧 외운 일의 정경, 그 어떠합니까? ( 엽 ) 태평광기 400 여 권, 태평광기 400 여 권 아, 두루 읽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안진경체, 비백서, 행서 초서 전주체, 과두체, 우세남체를 양털붓, 쥐털붓 비껴들어 아, 내려찍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 엽 ) 오생 유생 두 선생의, 오생 유생 두 선생의 아, 붓 놀리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황금주, 백자주, 송주 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를 앵무잔, 호박잔에 가득 부어 아, 올리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 엽 ) 유영 도잠 두 선옹의, 유영 도잠 두 선옹의 아, 취한 모습 그 어떠합니까? 분홍모란, 흰모란, 진분홍모란 분홍작약, 흰작약, 진분홍작약 석류 매화, 노란 장미 자색 장미, 지지꽃 동백꽃들이 아, 사이사이 핀 모습 그 어떠합니까? ( 엽 )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 울리는 고운 두 분 아, 서로 바라보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아양의 거문고, 문탁의 피리, 종무의 중금 대어향, 옥기향이 타는 쌍가얏고 김선의 비파, 종지의 해금, 설원의 장고로 아, 밤 새워 노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 엽 ) 일지홍이 비낀 피리 소리, 일지홍이 비낀 피리 소리 아, 듣고서야 잠들고파라. 30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41 续表 현대역 봉래산, 방장산, 영주산의 삼신산 이 삼신산 붉은 누각에 신선아이 데리고 풍류객이 비단 장막 속에서 주렴을 반만 걷고 아, 산에 올라 오호를 바라보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 엽 ) 푸른 버들 푸른 대 자라는 정자 둔덕에, 푸른 버들 푸른 대 자라 는 정자 둔덕에 아, 지저귀는 꾀꼬리 반갑기도 하여라. 당당당 당추자 ( 호도나무 ), 조협 ( 쥐엄 ) 나무에 붉은 실로 붉은 그네를 매옵니다. 당기거라 밀거라, 정소년아! 아, 내가 가는 그곳에 남이 갈까 두려워 (엽) 옥을 깎은 듯 부드러운 두 손길에, 옥을 깎은 듯 부드러운 두 손길에 아, 손잡고 노니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6. 내용의 구성 1 연에서는 유원순ㆍ이인로ㆍ이공로ㆍ이규보ㆍ진화ㆍ유충기ㆍ민광 균ㆍ김양경의 장기 ( 長技 ) 인 창작 분야를 노래했고, 2 연에서는 서적 ( 書籍 ), 3 연에서 는 글씨, 4 연에서는 술, 5 연에서는 꽃, 6 연에서는 음악, 7 연에서는 경치, 8 연에서는 여럿이 그네뛰기를 하며 즐겁게 노는 정경 ( 情景 ) 을 노래했다. 1연 문학창작 5연 꽃 2연 서적 6연 음악 3연 글씨 7연 경치 4연 술 8연 그네뛰기 7. 표현상 특징 1) 설의(設疑)적 표현을 통해 득의만만(得意滿滿)한 자신감을 과시(誇示)하고 있다. 긔 엇더 하니잇고 과시의 설의적 표현. 2) 특정음 ( 特定音 ) 을 반복하여 리듬감을 살리고 있다. 唐唐唐 ( 당당당 ) 唐揪子 ( 당츄자 ) 음수율을 맞추기 위해 唐 을 반복적으로 사용함.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31
42 8. 감상 및 주제 1) 감상 : 경기체가의 선편 ( 先鞭 ) 이 되는 작품으로 경기체가류의 전형 ( 典型 ) 으로 평 가받고 있다. 무신정권 ( 武臣政權 ) 아래 신흥사대부 ( 新興士大夫 ) 들의 향락 ( 享樂 ) 적 이고 활기 ( 活氣 ) 찬 풍류 생활상 ( 風流生活相 ) 이 잘 드러나 있다. 이 노래에는 질탕하 게 노는 내용이 많은데, 이것은 퇴폐 ( 頹廢 ) 적이기보다는 새롭게 성장해 가는 신흥사 대부들의 득의에 찬 기상 ( 氣像 ) 을 그려냈다고 보는 것이 타당 ( 妥當 ) 하다. 가사의 기 본 음수율 ( 音數律 ) 은 3 ㆍ 3 ㆍ 4 조로 별곡체 ( 別曲體 ) 라는 독특 ( 獨特 ) 한 음률 ( 音律 ) 과 구법 ( 句法 ) 을 가지고 있다. 2) 주제 : 신흥사대부의 자긍심 ( 自矜心 ) 과 풍류. 생각해 볼 문제 1) 이 시의 창작 배경에 대해 말해 보세요. 2) 이 시에 나타난 표현상의 특징에 대해 말해 보세요. 읽을거리 한림별곡 ( 翰林別曲 ) 원문 <제1연> 元淳文 ( 원슌문 ) 仁老詩 ( 인노시 ) 公老四六 ( 공노사륙 ) 李正言 ( 니정언 ) 陳翰林 ( 딘한림 ) 雙韻走筆 ( 솽운주필 ) 冲基對策 ( 튱긔대책 ) 光鈞經義 ( 광균경의 ) 良鏡詩賦 ( 량경시부 ) 위 試場 ( 시댱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葉(엽) 琴學士(금학사)의 玉笋門生(옥슌뮨생) 琴學士(금학사)의 玉笋門生(옥슌뮨생) 위 날조차 몃 부니잇고. <제2연> 唐漢書 ( 당한서 ) 莊老子 ( 장로자 ) 韓柳文集 ( 한류문집 ) 李杜集 ( 니두집 ) 蘭臺集 ( 난대집 ) 白樂天集 ( 백락텬집 ) 毛試尙書 ( 모시상서 ) 周易春秋 ( 쥬역춘추 ) 周戴禮記 ( 쥬대례귀 ) 위 註 ( 주 ) 조쳐 내 외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葉(엽) 大平廣記(대평광기) 四百餘卷(사백여권) 大平廣記(대평광기) 四百餘卷(사백여권) 위 歷覽 ( 력남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제3연> 眞卿書 ( 진경셔 ) 32 제1부 飛白書 ( 비백셔 ) 行書草書 ( 행셔초셔 ) 고전문학(古典文學)
43 篆籒書 ( 뎐류셔 ) 蝌蚪書 ( 과두셔 ) 虞書南書 ( 우셔남셔 ) 羊鬚筆 ( 양슈필 ) 鼠鬚筆 ( 셔슈필 ) 빗기드러 위 딕논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吳生劉生 ( 오생유생 ) 兩先生 ( 량션생 ) 의 吳生劉生 ( 오생유생 ) 兩先生 ( 량션생 ) 의 위 走筆 ( 주필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제4연> 黃金酒 ( 황금쥬 ) 柏子酒 ( 백자쥬 ) 松酒醴酒 ( 숑쥬례쥬 ) 竹葉酒 ( 듁엽쥬 ) 梨花酒 ( 리화쥬 ) 五加皮酒 ( 오가피주 ) 鸚鵡盞 ( 앵무잔 ) 琥珀盃 ( 호박배 ) 예 가득브어 위 勸上 ( 권상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葉(엽) 劉伶陶潛(류령도잠) 兩仙翁(량션옹)의 劉伶陶潛(류령도잠) 兩仙翁(량션옹)의 위 醉 ( 취 ) 혼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제5연> 紅牧丹 ( 홍목단 ) 白牧丹 ( 백목단 ) 丁紅牧丹 ( 정홍목단 ) 紅芍藥 ( 홍작약 ) 白芍藥 ( 백작약 ) 丁紅芍藥 ( 정홍작약 ) 御柳玉梅 ( 어류옥매 ) 黃紫薔薇 ( 황자쟝미 ) 芷芝冬柏 ( 지지동백 ) 위 間發 ( 간발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葉 ( 엽 ) 合竹桃花 ( 합죽도화 ) 고온 두분 合竹桃花 ( 합죽도화 ) 고온 두분 위 相映 ( 상영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제6연> 阿陽琴 ( 아양금 ) 文卓笛 ( 문탁덕 ) 宗武中琴 ( 종무듕금 ) 帶御香 ( 대어향 ) 玉肌香 ( 옥긔향 ) 雙伽倻 ( 솽가야 ) ㅅ고 金善琵琶 ( 금션비파 ) 宗智稽琴 ( 종지해금 ) 薛原杖鼓 ( 셜원장고 ) 위 過夜 ( 과야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葉(엽) 一枝紅 ( 일지홍 ) 의 빗근 笛吹 ( 뎍취 ) 一枝紅 ( 일지홍 ) 의 빗근 笛吹 ( 뎍취 ) 위 듣고아 드러지라. <제7연> 蓬萊山 ( 봉뢰산 ) 方丈山 ( 방댱산 ) 此三山 ( 차삼산 ) 紅縷閣 ( 홍류각 ) 婥妁仙子 ( 쟉약션자 ) 綠髮額子 ( 록발액자 ) 瀛洲三山 ( 영쥬삼산 ) 錦繡帳裏 ( 금슈댱리 ) 珠簾半捲 ( 쥬렴반권 ) 위 登望五湖 ( 등망오호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葉(엽) 綠楊綠竹(록양록듁) 栽亭畔(재졍반)애 綠楊綠竹(록양록듁) 栽亭畔(재졍반)애 위 囀黃鸎 ( 뎐황앵 ) 반갑두셰라. <제8연> 唐唐唐 ( 당당당 ) 紅 ( 홍 ) 실로 혀고시라 唐揪子 ( 당츄자 ) 早莢 ( 조협 ) 남긔 紅 ( 홍 ) 글위 하요이다. 밀오시라 鄭少年 ( 뎡소년 ) 하 위 내 가논 데 갈셰라. 葉(엽) 削玉纖纖(샥옥셤셤) 雙手(솽슈)ㅅ 길헤 削玉纖纖(샥옥셤셤) 雙手(솽슈)ㅅ길헤 위 携手同遊 ( 휴슈동유 ) ㅅ 景 ( 경 ) 긔 엇더 하니잇고. 제2강 고려가요(高麗歌謠) / 경기체가(景幾體歌) 33
44 제3강 시조 ( 時調 ) / 가사 ( 歌辭 ) 시조, 장르적 특징 1. 정의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완성된 문학 형태로, 조선 시대를 거쳐 지 금까지 계승되고 있는 한국 고유의 정형시가이다. 유교적 충의 ( 忠義 ) 사상을 노래한 작품에서부터 자연 속의 한가 ( 閑暇 ) 롭고 평화로운 삶을 노래한 작품, 민중의 정서를 담은 사설시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이 존재한다. 2. 갈래 1) 형태상 갈래 : 평시조 ( 平時調 ): 기본 형식의 단형 시조 ( 短型時調 ). 사설시조 ( 辭說時調 ): 2 장 ( 章 ) 이상이 평시조에 비해 긴 장형 시조 ( 長型時調 ). 연시조 ( 聯詩調 ): 2 수 이상의 평시조가 하나의 주제 아래 서로 엮이어 한 편을 이 룬 시조의 형식. 2) 시대상 갈래 : 고시조 ( 古時調 ): 시조가 발생한 때로부터 갑오경장 ( 甲午更張, 1894 년 ) 이전까지 지어진 시조. 현대시조 ( 現代時調 ): 갑오경장 이후부터 지어진 시조. 3. 기본 형식 1) 평시조 : 3 4 조의 음수율을 가지고 3 장 6 구, 45 자 안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 음보격이다. 자수 ( 字數 ) 는 시조마다 1, 2 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종장 ( 終章 ) 첫째 구 ( 句 ) 만은 3 음절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34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45 보기: 초장(初章) 이런들 엇더하며 저런들 엇더하리 1 기(起) 2 중장(中章) 萬壽山 드렁칡이 얼거진들 긔 엇더하리 3 승(承) 4 종장(終章) 우리도 이가치 얼거져 百年까지 누리이라. 5 6 전(轉) 결(結) ( 李芳遠의 하여가 ( 何如歌 ) ) 2) 사설시조 : 종장은 비교적 평시조의 율격과 비슷하나, 초 중장은 평시조의 율격 에서 크게 벗어나 길어진 형태이다. 특히 중장이 거의 무제한 ( 無制限 ) 으로 길어진다. 논자에 따라서는 중장이 2 음보 정도 길어지는 경우를 엇시조 라 하여 사설시조와 구 분 ( 區分 )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크게 나누어 평시조와의 대비를 중요하게 여기고, 최근에는 모두 사설시조 로 통용 ( 通用 ) 하고 있다. 4. 등장 배경 1) 평시조 : 경기체가는 객관적 사실을 그리기에만 적합 ( 適合 ) 하였을 뿐 내면적 정 서를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 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 ( 轉換期 ) 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 ( 堪當 ) 할 수 없는 유교적 관념과 주관적 정서 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 ( 創案 ) 한 양식이 바로 평시조이다. 평시조 형식의 형성 과정에 대해 학계 ( 學界 ) 에는 여러 가지 영향설 ( 影響說 ) 이 존재 한다. 한시의 영향설 : 한시를 번역하면서 발견된 시형 ( 詩形 ). 민요 두 줄 형식의 영향설 : 6 구 3 절식 민요에서 파생 ( 派生 ) 된 것. 10 구체 향가 3 단 구조의 영향설 : 향가의 행과 구의 정형성, 낙구 ( 落句 ) 의 감 탄사. 고려가요 분절 형태의 영향설 : 만전춘 ( 滿殿春 ) 의 여음구 ( 餘音句 ) 를 제외하면 평시조형식과 동일 ( 同一 ). 2) 사설시조 : 정철 ( 鄭澈 ) 의 장진주사 ( 將進酒辭 ) 에서 처음 시작되어 조선중기까 지 드문드문 나타나다가 조선후기에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17 세기말부터 19 세기말 까지 존속 ( 存續 )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설시조는 주로 평민 가객 ( 歌客 ) 을 비롯하 여 부녀자 기생 상인 등 서민 ( 庶民 ) 계층에 의하여 창작되고 불리워졌다. 내용적인 제3강 시조(時調) / 가사(歌辭) 35
46 면에서 양반 귀족층의 시조처럼 관념적 고답적인 것이 아니라, 그들의 주변 ( 周邊 ) 생활이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형식에 구애 ( 拘碍 ) 받지 않고 자수 ( 字數 ) 가 자유로웠 다. 또한 형식상 민요, 가사, 대화 등이 섞여 통일성 ( 統一性 ) 이 없는 희롱사 ( 戱弄詞 ) 의 성격까지 띠게 되었다. 5. 작가와 향유 계층 1) 평시조 : 평시조는 한국 고전 국문시가 가운데 가장 많은 작품이 전하고 있으며 작가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들 중 대부분이 양반 사대부이다. 따라서 평시조는 사 대부 양반 계층을 중심으로 창작 향유된 갈래이다.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자의 분포가 다양해지는 것도 간과 ( 看過 ) 할 수 없다. 특히 기녀 ( 妓女 ) 작가들이 등장하 면서 관습화 ( 慣習化 ) 되어 가던 평시조에 생동감 ( 生動感 ) 을 불어 넣게 되었다. 연 희 ( 演戱 ) 나 잔치의 자리에서 사대부들의 흥을 돋우면서 여성 특유의 섬세 ( 纖細 ) 한 필치로 사랑과 이별, 그리움 등을 시조에 담아냄으로써 시조의 주제 영역 ( 領域 ) 을 확장 ( 擴張 ) 하게 되었다. 그리고 18 세기에 접어들면서 평민 가객들이 나타나서 활 발한 활동을 하게 되었다. 그들은 가단 ( 歌壇 ) 을 형성하고, 가집 ( 歌集 ) 을 편찬함으 로써 평시조 창작에 크게 공헌하였다. 18 세기에 와서 평민 가객을 비롯한 서민층이 평시조 창작에 활발하게 참여하였으나, 그 향유 계층은 여전히 사대부 계층이 중심 이었다. 2) 사설시조 : 사설시조는 주로 평민 가객을 비롯한 서민층에 속하는 사람들에 의해 지어지고 향유된 것으로 보인다. 현전하는 사설시조 작품도 이 부류 ( 部類 ) 의 작자들 이 지은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가 하면, 일부 양반 사대부들도 사설시조 창작에 나섰는 데, 현전하는 사설시조 가운데는 작자가 사대부로 명시 ( 明示 ) 된 작품도 상당수 ( 相當 數 ) 포함되어 있다. 그 밖에 시적 화자가 여성으로 설정 ( 設定 ) 된 작품이 꽤 많다는 것 도 주목되는 점이다. 요컨대, 사설시조를 짓거나 향유할 정도의 수준을 보일 수 있는 계층은 적어도 글을 아는 식자층 ( 識字層 ), 즉 주로 중인 ( 中人 )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 이었을 것이다. 6. 내용상의 특징 1) 평시조 : 작품의 주제가 전개되는 양상은 당대의 정치 사회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시기에 따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6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47 시기 특징 고려 말 길재, 이존오, 원천석, 이색, 이조년 등이 고려 멸망 ( 滅亡 ) 후 고려왕조의 지 난날을 되새기면서 옛 도읍지인 송도 ( 松都 ) 를 찾아 감회 ( 感懷 ) 를 읊은 회고 가 ( 懷古歌 ), 고려 충신 ( 忠臣 ) 들이 그들의 단심 ( 丹心 ) 을 노래하고 기울어져 가는 국운 ( 國運 ) 을 한탄한 절의가 ( 節義歌 ). 조선 초 새로운 왕조 ( 조선 ) 의 새 삶을 구가 ( 謳歌 ) 한 작품, 조선 초 세조의 왕위 찬탈 ( 簒奪 ) 을 배경으로 사육신 ( 死六臣 ), 생육신 ( 生六臣 ) 들의 절의 ( 節義 ) 를 읊 은 작품 ( 성삼문, 박팽년, 이개 등의 작품 ). 16 세기 전반 당쟁의 와중 ( 渦中 ) 에 나타난 유학자들의 심리적 갈등을 담은 시조, 자기 수행 ( 修行 ) 과정에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마련인 자성 ( 自省 ) 을 표현한 작품 ( 서경 덕, 권호문 등의 작품 ). 조선 전기의 시조의 양상은 16 세기 후반에 이르면서 세 가지 지향점 ( 指向點 ) 을 찾게 된다. 첫째는 자연과 조화를 이룬 고아 ( 高雅 ) 한 품격과 자연에 투영 ( 投影 ) 된 인생관 의 극치 ( 極致 ) 를 보여주는 시조로, 이황의 도산십이곡 ( 陶山十二曲 ), 이이의 고산구곡가 ( 高山九曲歌 ) 등의 시조가 이에 포함된다. 또한 정치적 소외 ( 疏 外 ) 와 유배 ( 流配 ) 로 자연 속에서 소일 ( 消日 ) 하며 지은 시조인 은일시조 ( 隱逸 時調 ) 가 창작되었는데, 이런 시조를 강호가류 ( 江湖歌類 ) 라 부르기도 하였다. 강호가는 자연 속에서 은거 ( 隱居 ) 하면서 스스로를 성찰 ( 省察 ) 하고, 자연미를 발견하고심성 ( 心性 ) 을 길러서 즐기는 강호가도 ( 江湖歌道 ) 로 발전하게 된다. 16 세기 후반 둘째는 유교적인 덕목 ( 德目 ) 인 오륜을 생활 속에서 실천할 것을 백성들에게 교화 ( 敎化 ) 하는 오륜가류 ( 五倫歌類 ) 시조로, 주세붕, 송순, 심상용, 박선장, 박인로 등의 오륜가, 정철의 훈민가 ( 訓民歌 ) 등이 이에 포함된다. 셋째는 황진이를 비롯한 기녀들의 작품으로, 주체적이고 인간적인 애정의 형 상화가 시조를 통해 이루어졌다. 기녀 작가들로는 황진이를비롯하여 이매창, 홍랑, 매화 등이 있다. 이들은 고려가요에 표현되었던 발랄한 애정 표현을 시 조를 통해서 재창조하였다. 이 시기 시조는 이와 같이 관념적인 유교 이념을 형상화하기도 하고, 구상(具 象)적인 인간성을 서정적으로 형상화하여 이원(二元)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17 세기 이 시기에도 앞선 시조의 이원적 성격이 지속되었다. 윤선도의 오우가 ( 五友歌 ) 와 어부사시사 ( 漁父四時詞 ) 는 한국어의 아름 다움을 마음껏 발휘하여 자연을 시로써 승화시킨 대표작이다. 오우가 는 기 발 ( 奇拔 ) 한 시상, 다양한 수사학적 표현수법이, 어부사시사 는 대구법 ( 對 句法 ), 자연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의 전개가 펼쳐 보이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가 주목할 만하다. 한편, 사대부들의 시조라도 전쟁을 겪으면서 우국 ( 憂國 ) 의 충정 ( 衷情 ) 을 토 로 ( 吐露 ) 하는 주제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덕일의 우국가, 김상헌의 시 조 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일상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작품도 새로 나타 나게 되었다. 18 세기 이후 순한국어 표현의 사실적 묘사와 함께 다양한 주제를 개척 ( 開拓 ). 애정을 노래 하고 귀양살이의 고달픔, 삼정 ( 三政 ) 의 문란 ( 紊亂 ) 으로 가혹 ( 苛酷 ) 한 수탈 ( 收奪 ) 에 시달리는 농민들의 괴로움과 관원 ( 官員 ) 들의 횡포 ( 橫暴 ) 를 대담 하게 묘사한 점은 전에 볼 수 없던 경향이었다. 이것은 실학사상 ( 實學思想 ) 등으로 인한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제3강 시조(時調) / 가사(歌辭) 37
48 2) 사설시조 : 사설시조는 내용적인 면에서 양반 귀족층의 시조처럼 관념적 고답적 인 것이 아니라, 중인을 비롯한 서민층의 현실적 삶을 주로 표현했다. 구체적으로 아래 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서민적, 시정 ( 市井 ) 적 삶의 소재 도입. 재담 ( 才談 ) 욕설 ( 辱說 ) 음담 ( 淫談 ) 애욕 ( 愛慾 ) 등을 서슴없이 대담하게 구 사. 골계미 ( 滑稽美 ) 와 해학미 ( 諧謔美 ) 를 통한 거리낌없는 자기 폭로 및 현실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 시정 ( 市井 ) 생활의 건강함과 발랄 ( 潑剌 ) 함 표현. 7. 시조 3 대 가집 ( 歌集 ) 가집명 편찬 시기 편저자 청구영언 ( 靑丘永言 ) 1728 년 ( 영조 4) 김천택 ( 金天澤 ) 해동가요 ( 海東歌謠 ) 1763 년 ( 영조 39) 김수장 ( 金壽長 ) 가곡원류 ( 歌曲源流 ) 1876 년 ( 고종 13) 박효관 ( 朴孝寬 ) 안민영 ( 安玟英 ) 8. 문학사적 의의 1) 한국 고유의 정형시. 2) 한문 ( 漢文 ) 문화가 한국 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던 시기에 한국어로 노래하 여 한민족의 주체성 ( 主體性 ) 을 살렸음. 3) 고려시대에 형성되어 현대시조로 전승 ( 傳承 ) 된 전통적 문학. 4) 양반과 평민 모두가 지었던 한국 국민문학 ( 國民文學 ). 보충 자료 평시조와 같은 4음보의 노래가 한국 사대부들의 취향과 잘 부합될 수 있었던 이유는? 평시조는 형식이나 운율이 매우 안정 ( 安定 ) 적이고 단아 ( 端雅 ) 하여 한국의 유학자나 사대부 들이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절제 ( 節制 ) 하여 표현하는 데에 가장 적합 ( 適合 ) 한 서정 갈래였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권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3 음보 중심이었던 고려가요가 주도권을 상실하 고, 4 음보 중심의 평시조가 새로운 주도적 시가 형식으로 자리 잡아 가는 조선 시가사 ( 詩歌史 ) 의 변모 과정은 시가의 주된 담당 계층이 서민층에서 사대부층으로 전환되었다는 사실과 맞물 려 있다.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 性理學者 ) 들에게 발랄하기는 하지만 사물을 깊이 있게 추구하기 에는 부적당 ( 不適當 ) 한 3 음보의 노래보다는 균형감 ( 均衡感 ) 과 안정감이 있는 4 음보의 노래가 그들의 사고방식 ( 思考方式 ) 에 더 적합했던 것이다. 38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49 3 장 구조의 시조가 구조적 안정 및 서정적 고양 ( 高揚 ) 과 완결 ( 完結 ) 을 이룰 수 있 었던 원인은? 첫째, 시조의 3 단 구성의 시상 전개 방식이 한국적 전통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시조 창작에서 고도 ( 高度 ) 의 비유와 상징적 수법이 많이 사용된다. 셋째, 초ㆍ중장은 율격 ( 律格 ) 적 개방성 ( ) 을 띠고, 종장은 호흡 ( 呼吸 ) 을 비대칭 ( 非對稱 ) 적으로 긴장시켰다가 풀어줌 ( ) 으로써 작품을 완결한다. 사설시조의 미의식 ( 美意識 ) 우아 ( 優雅 ) 한 기품 ( 氣品 ) 과 균형을 강조하는 평시조와는 달리 사설시조는 거칠면서도 활 기 찬 삶의 역동성 ( 力動性 ) 을 담고 있다. 사설시조를 지배 ( 支配 ) 하는 원리는 웃음의 미학 이 라 할 수 있다. 현실의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 중세 ( 中世 ) 적 고정관념 ( 固定觀念 ) 을 거리 낌 없이 추락 ( 墜落 ) 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에 대한 해학 ( 諧謔 ) 등이 그 주요 내용을 이룬다. 아울러, 남녀 간의 애정과 기다림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대개는 직설 ( 直說 ) 적인 언어를 통 해 강렬하게 표현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종래 ( 從來 ) 의 관습화된 미의식을 넘어서 서 인간의 세속 ( 世俗 ) 적 모습과 갈등을 시의 세계 안에 끌어들임으로써 사설시조는 문학의 관 심 영역을 넓히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미의식은 조선후기의 변모된 세계 관과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으로, 이후 한국 근대문학의 바탕을 이루기도 한다.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차이점 고시조 현대시조 내용 전기 : 귀족적 고아성 ( 高雅性 ). 후기 : 평민적 해학성ㆍ풍자성. 풍류적ㆍ관념적 성격을 지닌다. 인륜ㆍ도덕ㆍ충의와 자연친화 ( 自然親 和 ) 적 주제가 주를 이룬다. 주제가 명료하게 제시된다. 현대인의 생활과 감정, 사상을 표현. 탐미 ( 耽美 ) 적ㆍ지성 ( 知性 ) 적 내용이 많다. 승화된 시정신이 돋보인다. 개성적ㆍ암시적인 주제가 많다. 내적 감정과 심리 묘사가 있다. 형식 제목이 없고 고사 ( 故事 ) 의 인용이 많다. 장별로 배행한 3 행 시조이다. 음수율이 고정되고 상투어 ( 常套語 ) 가 많다. 평시조가 많다. 단형 ( 短型 ) 의 간결성 중시. 음악성이 중시된다. 제목이 있고 현대시적인 기교가 발달. 구별 배행 시조나 자유시와 비슷한 시형 을 시도. 음수율이 자유롭고, 개성적인 시어를 많이 사용. 연시조 형식이 많음. 장형(長型)의 복잡성이나 이미지를 중시. 가사, 장르적 특징 1. 정의 운문 ( 韻文 ) 과 산문 ( 散文 ) 의 중간 형태인 교술시가 ( 敎述詩歌 ) 이다. 두 마디 씩 짝을 이루는 율문 ( 律文 ) 의 구조만 갖추면 무슨 내용이든지 다룰 수 있었으므로 주제 및 길이가 자유롭고 향유층도 매우 다양했다. 조선전기에는 자연 속에 묻혀 사는 삶을 주 제3강 시조(時調) / 가사(歌辭) 39
50 로 노래했고, 조선후기에는 현실적인 세계관의 영향으로 내용과 작자층이 확대되었다. 2. 갈래 1) 형태상 갈래 : 정격가사 ( 正格歌辭 ): 4(3) ㆍ 4 조의 연속체 ( 連續體 ) 로 4 음보를 갖고 있으며, 시 조의 종장 ( 終章 ) 과 같이 끝을 맺는 가사. 변격가사 ( 變格歌辭 ): 낙구 ( 시조에서의 종장 ) 가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는 가사. 2) 창작 계층상 갈래 : 양반가사 ( 兩班歌辭 ): 양반 사대부들이 지은 가사를 말한다. 양반가사는 다시 자연 과의 합일 ( 合一 ) 을 강조하며 강호한정 ( 江湖閑情 ) 과 안빈낙도 ( 安貧樂道 ) 를 중시하 는 송순 ( 宋純 ) 의 면앙정가 ( 俛仰亭歌 ) 와 같은 강호가사 ( 江湖歌辭 ), 임금에 대한 그 리움을 중시하는 정철의 사미인곡 ( 思美人曲 ) 과 같은 연군가사 ( 戀君歌辭 ), 여정 ( 旅 程 ) 을 중심으로 견문 ( 見聞 ) 과 감회를 읊은 정철의 관동별곡 ( 關東別曲 ) 과 같은 기 행가사 ( 紀行歌辭 ), 전란 ( 戰亂 ) 의 참상 ( 慘狀 ) 과 이에 대한 비애와 울분을 다룬 박인로 ( 朴仁老 ) 의 선상탄 ( 船上嘆 ) 과 같은 전쟁가사 ( 戰爭歌辭 ), 귀양살이의 억울한 사연 을 다룬 조위 ( 曺偉 ) 의 만분가 ( 萬憤歌 ) 와 같은 유배가사 ( 流配歌辭 ) 등이 있다. 규방가사 ( 閨房歌詞 ): 부녀자들에 의해 향유된 가사로 내방가사 ( 內房歌辭 ) 라고 도 하는데, 시집살이의 힘겨움이나 결혼 생활의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허난 설헌 ( 許蘭雪軒 ) 의 규원가 ( 閨怨歌 ) 등이 대표적인 규방가사이다. 평민가사 ( 平民歌辭 ): 임진왜란 ( 壬辰倭亂 ) 이후 평민들의 각성 ( 覺醒 ) 속에서 창 작된 것으로, 그 내용들은 현실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민원가 ( 民怨歌 ) 등이 대표적인 평민가사라고 볼 수 있다. 3. 기본 형식 4(3) ㆍ 4 조의 연속체 ( 連續體 ), 4 음보. 4. 발생 시기 가사가 언제 발생하였는지에 대해서는 확언 ( 確言 ) 하기 어렵다. 지금 까지의 견해는 대체로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조선조 성종 때, 정극인(丁克仁)의 상춘곡(賞春曲) 을 그 효시(嚆矢)로 보는 것. 둘째, 고려 말의 나옹화상 ( 懶翁和尙 ) 이 지었다는 서왕가 ( 西往歌 ) 에서 비롯하였 다고 생각하는 것. 그런데 상춘곡 은 처음의 작품으로는 너무 완벽하고, 서왕가 는 오랫동안 구연 40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51 ( 口演 ) 되다가 부연 ( 敷衍 ) 된 것이므로 최초의 작품으로 보기 어렵다. 나옹화상의 승 원가 ( 僧元歌 ) 나 같은 시대에 살았던 신득청 ( 申得淸 ) 의 역대전리가 ( 歷代轉理歌 ) 가 발견되고 있어 이들이 실제 고려 말의 작품이라는 고증 ( 考證 ) 이 가능하다면 가사 의 발생은 고려 말로 돌아가야 함은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인다. 어떻든 가사의 발생은 종전의 세종 ( 世宗 ), 성종 ( 成宗 ) 연간 ( 年間 ) 발생설 ( 發生說 ) 에서 훨씬 더 시대를 거 슬러 올라간 고려 말 발생설을 중요시해야 하리라 생각된다. 5. 등장 배경 가사는 경기체가ㆍ고려가요가 쇠퇴 ( 衰退 ) 하면서, 시조가 형태를 갖 추어 갈 무렵을 전후 ( 前後 ) 하여 나타난 문학 장르이다. 문학적 환경이라는 점에서 볼 때, 간결하고 잘 짜인 노래양식으로 시조가 있었지만, 생활이란 그것으로는 다 표현할 길이 없을 만큼 복잡하므로 그런 것들을 두루 다 표현할 수 있는 길고 느슨한 양식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긴 형식의 경기체가나 국문악장 형식도 있었으나, 전자는 그 형태가 정형성이 워낙 견고 ( 堅固 ) 하고또 생경 ( 生硬 ) 한 한자 어구의 나열 ( 羅列 ) 로 되어 있어 삶의 이모저모를 마음껏 노래하기가 어려웠고, 후자는 왕실 ( 王室 ) 에 대한 찬양 ( 讚揚 ) 이나 기원 ( 祈願 ) 으로 제재가 한정 ( 限定 ) 되고 또 궁중 음악이라는 한계가 명백 ( 明白 ) 했으므로 널리 통용 ( 通用 ) 되기 어려웠다. 그래서 외형 ( 外形 ) 적으로는 다 소 느슨한 양식을 가진 가사가 등장했으며, 그런 느슨한 형식 때문에가사는 내용과 표 현의 자유로움을 지닐 수가 있었던 것이다. 6. 조선전기 가사 vs 조선후기 가사 조선전기 조선후기 시기 가사 작품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때로부터 임병양란 ( 壬丙兩亂 ) 이전까지의 시기. 임병양란 이후부터 19 세기에 이르는 시 기. 시대적 배경 정치ㆍ사회적으로 상대적으로 안정 되었 던 시기. 임병양란 이후 평민 의식 성장, 사회의 신분질서 동요 ( 動搖 ). 성리학을 극복 지양(止揚)하려는 새로 운사상으로 실학사상(實學思想)이 발생. 작가 율격 양반 사대부 중심. 음수율 :3 ㆍ 4 조 ( 短 - 長 ): 상승 리듬. 음보율 : 1 행 4 음보 원칙. 편구(片句) 현상: 4음보에서 일탈, 시 상 전환의 필요가 있을 때 많이 보임. 양반 사대부, 승려, 평민, 여성. 음수율 : 4 ㆍ 4 조 ( 長 - 長 ) 중심 : 수평 리듬. 음보율 : 1 행 6 음보 /1 행 2 ㆍ 3 음보. 후기 가사가 낭송 ( 朗誦 ) 위주로 되면 서 사 의 ( 詞意 ) 전달을 우선시 ( 優先 視 ) 하며 생긴 율격의 변동 ( 變動 ). 제3강 시조(時調) / 가사(歌辭) 41
52 续表 조선전기 형태 특징 주제 조선후기 후기 가사에 비해 단형 ( 短型 ): 가창 ( 歌唱 ) 위주의 가사. 결사 ( 結詞 ) 의 형태 : 정격가사인 경우, 시조의 종장 ( 終章 ) 과 같음. 서두에 산문적 사설 ( 辭說 ) 삽입 : 산문 화 ( 散文化 ) 경향. 장형가사 ( 長型歌辭 ) 등장 : 일동장유 가 ( 日東壯遊歌 ) 등. 분절형 가사 등장 : 농가월령가 ( 農家 月令歌 ) 등. 호남지역 중심, 상호간의 작품에 영 향 : 정극인 상춘곡 송순 면앙정 가 정철 성산별곡 ( 星山別曲 ). 양반사대부들이 향유하는 시가문학으 로서의 위상 ( 位相 ) 유지. 여류 작가가 처음으로 등장(허난설 헌 ). 사대부로 제한되었던 가사의 작가층이 확대됨으로써 가사 작품으로 형상화되 는 관심사 ( 關心事 ) 가 다양해지고, 그 것을 바라보는 시각 ( 視覺 ) 이 각자의 삶이 다른 만큼 다르게 변화. 정중 ( 鄭重 ) 하고 우아 ( 優雅 ) 한 표현 이 사라지고 일상적이고 상투 ( 常套 ) 적인 서민 언어가 가사에 등장. 전기 가사의 형식이 많이 파괴 ( 破壞 ) 되어 새로운 모습을 가진 작품들이 많 이 출현. 자연친화 ( 自然親和 ) 의 서정을 관념적 인 충의 ( 忠義 ) 이념과 결부시킨 내용 이 중심을 이룸. 사대부들의 생활체험이나 이념에 따라 소재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하여 주 제를 다양하게 표현. 강호한정 ( 江湖閑情 ). 유배ㆍ은일 ( 流配ㆍ隱逸 ). 충신연군 ( 忠臣戀君 ). 교훈 ( 敎訓 ). 기행 ( 紀行 ). 유일한 여성 작가인 허난설헌의 규원 가 에서는 조선 시대 여성들의 삶의 모습과 한을 담고 있음. 후기 가사의 작가들은 대부분 이념적인 삶보다는 현실적인 삶을 더 중요시함 으로써, 전기 가사가 체험을 관념화하 거나 신념 ( 信念 ) 으로 치환 ( 置換 ) 하는 경향과는 달리 체험의 구체성을 강조하 고 사실의 묘사와 전달을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후기 가사는 체험의 구체 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나아가면서 현 실의 문제를 가사의 제재 ( 題材 ) 로 전 면 ( 前面 ) 에 내세우게 되었다. 후기 가사는 바로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다양한 작가 계층에 의하여 다양한 주 제로 창작되었다. 전란 ( 戰亂 ) 을 소재로 한 전쟁가사. 외국 견문 ( 見聞 ) 에 구체적 느낌을 조 화시켜 시화 ( 詩化 ) 한 기행가사. 한국의 풍물(風物)을 구체적으로 묘사 한 풍속도(風俗圖)에 가까운 퉁물가사. 사회 모순을 고발하고 비판한 가사. 일상 생활의 현장을 실감나게 그린 가사.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가사. 7. 문학사적 의의 1) 시조와 함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시가 장르로 개화기 ( 開化期 ) 까지 주도적 역할 을 했음. 42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53 2) 한문 ( 漢文 ) 문화가 한국 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던 시기에 한국어로 노래하 여 한민족의 주체성 ( 主體性 ) 을 살렸음. 3) 양반과 평민 모두가 지었던 한국 국민문학 ( 國民文學 ). 보충 자료 개화기 가사의 특징 1) 최제우 ( 崔濟愚 ) 의 용담유사 ( 龍潭遺事 ) 에서 비롯됨. 2) 주제에 따라 동학 ( 東學 ) 가사, 개화가사, 의병 ( 義兵 ) 가사 등으로 나뉜다. 3) 애국 계몽, 자주독립, 부국강병 ( 富國强兵 ) 등 개화기의 사회 문제와 고민을 다룸. 4) 여타 개화기 문학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개화기 가사 역시 더욱 산문화 보편화되고 작가 층도 다양해졌다. 5) 가사의 가창화 ( 歌唱化, 4 ㆍ 4 조, 후렴구 ) 실현. 창가 형성에 영향 미침. 시조 vs 가사 장르적 성격 시조 가사 양반 사대부들의 내면 ( 內面 ) 적 감흥 과 풍류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한 서정 ( 抒情 ) 장르. 객관적 관념론자들인 성리학자들의 관념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 진 교술 ( 敎術 ) 장르. 공통점 차이점 고려 말 주로 신흥 사대부에 의해 창작되어 조선시대에 크게 발달. 4 음보의 율격. 종장은 의 율격 ( 가사는 정격가사인 경우 ). 귀족문학이며 기록문학. 형식상 3 장 6 구의 단형체 ( 短型體 ). 짧은 감동을 드러내기 를 지향함. 형식상 연속체, 장형체 ( 長型體 ). 긴 이야기를 들려주기 에 중점을 둠. 읽을거리 시조의 경우와 달리 가사가 현대에까지 계승되지 못한 이유는? 시조 ( 평시조 ) 와 가사는 모두 그 향유층이 조선조의 사대부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 장르를 형성시키고 발전시켰던 향유층과 시대 상황이 바뀌면 그 문학 형 식도 변화하거나 사라지는 것이 한국문학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그런데 시조는 1920 년대의 시조 부흥운동 ( 復興運動 ) 을 통하여 다시 소생 ( 蘇生 ) 했지만, 이 에 반해 가사는 현재에 와서는 거의 창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 시 조나 가사가 가진 가창성 ( 歌唱性 ) 때문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시조나 가사는 모두 제3강 시조(時調) / 가사(歌辭) 43
54 본래부터 노래로 불리어진 장르였다. 그런데 현대에 이르러 음영 ( 吟詠 ) 이나 낭송 ( 朗 誦 ) 등의 음악적 성격은 없어지고 독서가 위주인 문학으로 변모되었다. 그 과정에서 짧은 시조는 살아남은 반면, 가사는 그 형식적 한계를 버티지 못한 것이다. 즉, 시조 는 간결 ( 簡潔 ) 한 형식 속에 대상에 대한 감흥 ( 感興 ) 을 응축 ( 凝縮 ) 시켜 형상화함으 로써 시대적 적응 ( 適應 ) 에 성공하였다. 반면 가사는 장형 ( 長型 ) 의 형식 때문에 그것 이 가능하지 않았고, 가사가 담당하였던 기능은 논설 ( 論說 ) 등으로 이전 ( 移轉 ) 되었 다는 주장이다. 작품 9 단심가 ( 丹心歌 ) 1. 작자 정몽주 ( 鄭夢周 :1337~1392) 고려 말기의 문신 ( 文臣 ) 외교관이자, 정치가 교육 자 유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경상도 영천에서 출생. 초명은 몽란(夢蘭) 또는 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고려말 친명파 ( 親明派 ) 신진 사대부 ( 新進士大夫 ) 로 활동하는가 하면, 명나라에 외교관으로 다녀오기 도 했다. 역성혁명 ( 易姓革命 ) 과 고려개혁을 놓고 갈 등이 벌어졌을 때 온건개혁 ( 穩健改革 ) 을 선택하여, 역성혁명파의 조선건국에 반대하다가 1392 년 4 월 이성계 ( 李成桂 ) 의 문병 ( 問病 ) 을 다녀오던 길에 개성 선죽교 ( 善竹橋 ) 에서 이방원 ( 李芳遠 ) 에게 살해되었 다. 태종이 정도전 ( 鄭道傳 ), 남은 ( 南誾 ) 을 제거 ( 除 去 ) 한 후 정도전 등을 격하 ( 格下 ) 시키기 위해 조선 건국에 반대한 그를 의도적으로 충절 ( 忠節 ) 의 상징으로 격상 ( 格上 ) 시켰으며, 이는 사림파 ( 士林派 ) 가 집권한 후에 도 그의 문하생 ( 門下生 ) 이라서 그에 대한 현창 ( 顯彰 ) 과 성인화 ( 聖人化 ) 가 계속되 었다. 문집으로는 포은선생문집 이 있다. 2. 연대 고려시대 공양왕 ( 恭讓王 ) 대 3. 출전 해동악부 ( 海東樂府 ) 4. 갈래 평시조, 화답시조 44 제1부 고전문학(古典文學)
55 5. 작품 원문 현대역 이몸이 죽어죽어 일백번 ( 一百番 ) 곳쳐 죽어 백골 ( 白骨 ) 이 진토 ( 塵土 ) 되여 넉시라도 잇고업고 님향 ( 向 ) 한 일편단심 ( 一片丹心 ) 이야 가싈 줄이 이시라 이 몸이 죽고 또 죽어 백 번이나 다시 죽어, 백골 ( 白骨 ) 이 흙과 먼지가 되어 넋이야 있건 없건, 임금님께 바치는 충성심이야 변할 리가 있으랴? 6. 감상 및 주제 1) 감상 : 이 노래는 이방원이 정몽주의 마음을 돌려보려고 지어 부른 하여가 ( 何如 歌 ) 의 화답시 ( 和答詩 ) 로 단심가 ( 丹心歌 ) 라 한다. 정몽주는 이 단심가로 굳은 절 의 ( 節義 ) 를 보임으로써, 끝내 이방원의 무리에게 무참하게 죽음을 당하고 만다. 2) 주제 : 고려에 대한 충절 ( 忠節 ), 충성심 ( 忠誠心 ). 생각해 볼 문제 1) 이 시에서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수사법에 대해 말해 보세요. 2) 이 시의 시대적 배경에 대해 조사해 보세요. 작품 10 ( 한산 ) 閑山셤 달 밝은 밤의 1. 작자 이순신 ( 李舜臣 :1545~1598) 조선중기의 무관 ( 武官 ). 한성 ( 서울 ) 에서 출생. 본관은 덕수 ( 德水 ), 자는 여해 ( 汝諧 ), 시호 ( 諡號 ) 는 충무 ( 忠武 ) 년 ( 선조 9 년 ) 무과 ( 武科 ) 에 급제하여 만포첨사, 진도 군수, 전라좌도수 군절도사 등을 거쳐 관직은 정헌대부 삼도수군통제사 ( 三道水軍統制 使 ) 에 이르렀다. 본인 스스로에게 엄격한 생활을 행하고 효심 ( 孝心 ) 을 가진 선비의 모 범으로 평가된다. 장수 ( 將帥 ) 로서는 임진왜란 ( 壬辰倭亂 ) 때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부하 ( 部下 ) 들을 잘 통솔 ( 統率 ) 하는 지도력, 뛰어난 지략 ( 智略 ), 그리고 탁월 ( 卓 越 ) 한 전략과 능수능란한 전술로 일본수군과의 해전 ( 海戰 ) 에서 연전연승 ( 連戰連勝 ) 하 여 나라를 구한 성웅 ( 聖雄 ) 으로 추앙 ( 推仰 ) 받고 있다. 문집으로는 난중일기 가 있다. 제3강 시조(時調) / 가사(歌辭) 45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제2장 사천교육의 발자취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1. 근대 이전의 교육 가. 고대의 교육 인류( 人 類 )가 이 지구상에 살면서부터 역사와 함께 교육( 敎 育 )은 어떠한 형태로든 지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이곳에서 삶을 꾸려왔는지는 여 러 가지 유적과 유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당시 우리조상들의 생활을 미루어
More information<3230313320B5BFBEC6BDC3BEC6BBE74542532E687770>
58 59 북로남왜 16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흔든 계기는 북로남 왜였다. 북로는 북쪽 몽골의 타타르와 오이라트, 남왜는 남쪽의 왜구를 말한다. 나가시노 전투 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임진전쟁 전) (1) 명 1 북로남왜( 北 虜 南 倭 ) : 16세기 북방 몽골족(만리장성 구축)과 남쪽 왜구의 침입 2 장거정의 개혁 : 토지 장량(토지 조사)와
More information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새만금지역의 합리적인 행정구역 결정방안 이 양 재 원광대학교 교수 Ⅰ. 시작하면서 행정경계의 획정 원칙은 국민 누가 보아도 공감할 수 있는 기준으로 결정 되어야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모 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신생매립지의 관할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남도 당진군, 전라남도 순천시와 전라남도 광양시
More information???? 1
제 124 호 9 3 와 신시가지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나면 제일 먼저 이 도시에서 언제나 활기가 넘 쳐나는 신시가지로 가게 된다. 그 중심에 는 티무르 공원이 있다. 이 공원을 중심으 로 티무르 박물관과 쇼핑 거리가 밀집돼 있다. 공원 중심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영 웅, 티무르 대제의 동상이 서 있다. 우즈베 키스탄을 여행하다 보면 어느 도시에서나 티무르의 동상이나
More information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4.13 총선, 캐머런과 오스본, 영국 보수당을 생각하다 정 영 동 중앙대 경제학과 자유경제원 인턴 우물 안 개구리인 한국 정치권의 4.13 총선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 하지만 정당 간 정책 선거는 실종되고 오로지 표를 얻기 위한 이전투구식 경쟁이 심 화되고 있다. 정말 한심한 상황이다. 정당들은 각 당이 추구하는 이념과 정강 정책, 목표를 명확히 하고,
More information320110.PDF
*.. 1. 2. < > 3. 4...,.,.?. * - 150 - (, ),,,.,,.,,. 2-4.. 50. ( ),,.. - 151 - ., : : :,,,......, - 152 - .. 1.,,,,.... ( ) ( ) ( ) ( ),,,,.,,, - 153 - ,,. (BC 1 ),,. (BC 37 ),,,,,, (BC 18 ),,,,.. (, ),.,,,,.,,.,,.
More information145x205_향토사자료집책자_내지0121.indd
대구 동구의 대구 동구의 김기현 지음 대구 동구의 발행일 2013년 1월 21일 지은이 김기현 발행인 김성수 발행처 대구동구팔공문화원 주소 701-400 대구시 동구 백안동 656-8 전화 053-984-8774 팩스 053-984-8771 전자우편 80cul@hanmail.net 홈페이지 http://www.palgong.or.kr 편집디자인 제작 도서출판
More information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More information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More information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More information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More information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More information<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More information<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More information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More information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
More information<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173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More information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More information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More information<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More information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More information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More information177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2) 양주조씨 사마방목에는 서천의 양주조씨가 1789년부터 1891년까지 5명이 합격하였다. 한산에서도 1777년부터 1864년까지 5명이 등재되었고, 비인에서도 1735년부터 1801년까지 4명이 올라있다. 서천지역 일대에 넓게 세거지를 마련하고 있었 던 것으로
More information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여는말 풀꽃, 제주어 제주어는 제주인의 향기입니다. 제주인의 삶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삶의 향기이고, 꿈의 내음입니다. 그분들이 어루만졌던 삶이 거칠었던 까닭에 더욱 향기롭고, 그 꿈이 애틋했기에 더욱 은은합니다. 제주어는 제주가 피워낸 풀잎입니다. 제주의 거친 땅에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고, 비바람 맞고 자랐기에 더욱 질박합니다. 사철 싱그러운 들풀과 들꽃향기가
More information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More information¸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정보나눔 섭이와 함께하는 여행 임강섭 복지과 과장 여름이다. 휴가철이다. 다 들 어디론가 떠날 준비에 마음 이 들떠 있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여행 매니아까지는 아니 지만, 나름 여행을 즐기는 사 람으로서 가족들과 신나는 휴 가를 보낼 계획에 살짝 들떠 있는 나에게 혼자만 신나지 말 고 같이 좀 신났으면 좋겠다며 가족들과 같이 가면 좋은 여행 눈이 시리도록
More information01Report_210-4.hwp
연구보고서 210-4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 론 Ⅱ 국회 및 지방의회에서의 여성참여 Ⅲ 정당조직내 여성참여 및 정당의 여성정책 Ⅳ 여성유권자의 투표율 및 투표행태 Ⅴ 여성단체의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운동 Ⅵ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More information<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총선 이후 우리 교육의 방향 당 체제에서 우리 교육의 전망과 교육행정가들의 역할 박 호 근 서울시의회 의원 교육위원회 위원 서론 년 월 일 제 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선거는 바로 민의 의 반영이기 때문에 총선결과를 살펴보고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가를 분석해 본 후 년 월 일을 기점으로 제 대 국회의원들의 임기가 시 작되는 상황에서 우리 교육이 어떻게
More information목 차 營 下 面 5 前 所 面 71 後 所 面 153 三 木 面 263 龍 流 面 285 都 已 上 條 367 同 治 六 年 (1867) 正 月 日 永 宗 防 營 今 丁 卯 式 帳 籍 범례 1. 훼손 등의 이유로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는 로 표기함. 단, 비정 이 가능한 경우는 ( ) 안에 표기함. 2. 원본에서 누락된 글자는 [ ] 안에 표기함. 단, 누락된
More information639..-1
제639호 [주간] 2014년 12월 15일(월요일) http://gurotoday.com http://cafe.daum.net/gorotoday 문의 02-830-0905 대입 준비에 지친 수험생 여러분 힘내세요 신도림테크노마트서 수험생과 학부모 600명 대상 대입설명회 구로아트밸리서는 수험생 1,000명 초대 해피 콘서트 열려 구로구가 대입 준비로 지친
More information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2 와 같습니다. 3.
More information시험지 출제 양식
2013학년도 제2학기 제1차 세계사 지필평가 계 부장 교감 교장 2013년 8월 30일 2, 3교시 제 3학년 인문 (2, 3, 4, 5)반 출제교사 : 백종원 이 시험 문제의 저작권은 풍암고등학교에 있습니다. 저 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전재와 복제는 금지 되며, 이를 어길 시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전근대 시기 (가)~(라)
More information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통합 우리나라 ⑵ 조상님들이 살던 집에 대 해 아는 어린이 있나요? 저요. 온돌로 난방과 취사를 같이 했어요! 네, 맞아요. 그리고 조상님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에서 살았어요. 주무르거나 말아서 만들 수 있는 전통 그릇도 우리의 전통문화예요. 그리고 우리 옷인 한복은 참 아름 답죠?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남자는 바지와 조끼를 입어요. 명절에 한복을 입고 절을
More information상품 전단지
2013 2013 추석맞이 추석맞이 지역우수상품 안내 안내 지역우수상품 지역 우수상품을 안내하여 드리오니 명절 및 행사용 선물로 많이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경기동부상공회의소 임직원 일동 -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More information:::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시 민 문서번호 어르신복지과-1198 주무관 재가복지팀장 어르신복지과장 복지정책관 복지건강실장 결재일자 2013.1.18. 공개여부 방침번호 대시민공개 협 조 2013년 재가노인지원센터 운영 지원 계획 2013. 01. 복지건강실 (어르신복지과)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More information2
1 2 3 4 5 6 또한 같은 탈북자가 소유하고 있던 이라고 할수 있는 또 한장의 사진도 테루꼬양이라고 보고있다. 二宮喜一 (니노미야 요시가즈). 1938 년 1 월 15 일생. 신장 156~7 센치. 체중 52 키로. 몸은 여윈형이고 얼굴은 긴형. 1962 년 9 월경 도꾜도 시나가와구에서 실종. 당시 24 세. 직업 회사원. 밤에는 전문학교에
More information화이련(華以戀) 141001.hwp
年 花 下 理 芳 盟 段 流 無 限 情 惜 別 沈 頭 兒 膝 夜 深 雲 約 三 십년을 꽃 아래서 아름다운 맹세 지키니 한 가닥 풍류는 끝없는 정이어라. 그대의 무릎에 누워 애틋하게 이별하니 밤은 깊어 구름과 빗속에서 삼생을 기약하네. * 들어가는 글 파르라니 머리를 깎은 아이가 시린 손을 호호 불며 불 옆에 앉아 있다. 얼음장 같은 날씨에 허연 입김이 연기처럼
More informationÆòÈ�´©¸® 94È£ ³»Áö_ÃÖÁ¾
사람 안간힘을 다해 행복해지고 싶었던 사람, 허세욱을 그리다 - 허세욱 평전 작가 송기역 - 서울 평통사 노동분회원 허세욱. 효순이 미선이의 억울한 죽음에 대 해 미국은 사죄하라는 투쟁의 현장에 서 그 분을 처음 만났다. 평택 대추리 의 넓은 들판을 두 소녀의 목숨을 앗 아간 미군들에게 또 빼앗길 순 없다며 만들어 온 현수막을 대추초교에 같이 걸었다. 2007년
More information歯1##01.PDF
1.? 1.?,..,.,. 19 1.,,..,. 20 1.?.,.,,...,.,..,. 21 1,.,.,. ( ),. 10 1? 2.5%. 1 40. 22 1.? 40 1 (40 2.5% 1 ). 10 40 4., 4..,... 1997 ( ) 12. 4.6% (26.6%), (19.8%), (11.8%) 23 1. (?).. < >..,..!!! 24 2.
More information<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제3편 정 치 제3편 정치 제1장 의회 제1절 의회 기구 제2절 의회기구 및 직원 현황 자치행정전문위원회 자치행정전문위원 산업건설위원회 산업건설전문위원 제1장 의회 321 제3절 의회 현황 1. 제1대 고창군의회 제1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성 명 생년월일 주 소 비 고 322 제3편 정치 2. 제2대 고창군의회 제2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More information120229(00)(1~3).indd
법 률 국회에서 의결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을 이에 공포한다. 대 통 령 이 명 박 2012년 2월 29일 국 무 총 리 김 황 식 국 무 위 원 행정안전부 맹 형 규 장 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관) 법률 제11374호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 공직선거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제1항에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구국회의원
More information<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2012년 7월 17일 발행 통권 제112호 112 발행인:李圭衡/편집인:金尙勳/주간:金泰詢/발행처:社)退溪學釜山硏究院 (우614-743) 釜山市釜山鎭區田浦洞608-1 819-8587/F.817-4013 出處가 분명한 공직사회 인간이 가지는 인성은 그 특성이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판단 한 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므로 어떤 관점과 측면에서 논하느냐에
More information<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ACEB5BFBBEA3131342DB0ADB3B220C1A2B1D9BCBA20B0B3BCB1B5C7B4C220BDC5BFAABCBCB1C72E646F63>
강남 접근성 개선되는 新 역세권 어디? 부동산 114 리서치센터 2012.01 불황에도 교통호재 있는 지역은 관심 꾸준 강남 접근성 개선되는 분당선 연장, 7 호선 연장 관심 2009 년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교통호재가 있는 지역은 수 요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졌다. 교통호재라고 해서 효과가 모두 뛰어난 것은
More information<C0BBBAB4BFACC7E0B7CF20314F4B2E687770>
을병연행록 1 정훈식, 2012 1판 1쇄 인쇄 2012년 03월 10일 1판 1쇄 발행 2012년 03월 20일 지은이 홍 대 용 옮긴이 정 훈 식 펴낸이 양 정 섭 펴낸곳 _ 도서출판 경진 등 록_제2010-000004호 주 소_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1272번지 우림필유 101-212 블로그 _ http://kyungjinmunhwa.tistory.com
More information낙랑군
낙랑군( 樂 浪 郡 ) 조선현( 朝 鮮 縣 )의 위치 -낙랑군 조선현의 평양설 및 대동강설 비판-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1. 머리말 낙랑군의 위치는 오랜 쟁점이었고, 현재까지도 한 중 일 사이의 역사현안이기도 하다. 낙랑군 의 위치에 따라서 동북아 고대사의 강역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낙랑군의 위치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낙랑군의 치소( 治
More information<5BC1F8C7E0C1DF2D32B1C75D2DBCF6C1A4BABB2E687770>
제8편 사 회 제8편 사회 제1장 사회단체 제1절 개관(사회조직의 기능) 제2절 고창군의 사회단체 제1장 사회단체 619 고창군의 사회단체 내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고창군의 사회단체 현황 (2009년 7월 현재) 연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More information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34 정착부흥기 35 정착부흥기: 1884년 ~ 1940년 이 장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1884년 청국조계지가 설정된 후로 유입 된 인천 화교들의 생활사에 대한 이야기를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조사팀은 시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 번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인천 화교의 어제와 오늘 34 정착부흥기 35 정착부흥기: 1884년 ~ 1940년 이 장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1884년 청국조계지가 설정된 후로 유입 된 인천 화교들의 생활사에 대한 이야기를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조사팀은 시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1884년부터 1940년 까 지를 구분하여 정착 부흥기
More information포털만큼 좌판 깔기 에 좋은 곳은 없다. 적극적으로 블로그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 포털의 고객센터 나 문의하기 등을 통해 블로그 검색 등 록 요청을 해두자. 하고 싶다면 얼른 포털이나 회사에서 제공하는 블로 그 서비스를 이용해 계정을 만들어 보세요. 그런 다 음 자신의
I새기획I미래형 기자되기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곳에 글을 펼쳐 놓아라 명승은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 운영자 편집자주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제 기자도 기사만 잘 쓴다고 전부가 아니다. 변화를 따라잡지 않으면 뒤처지는 세상이다. 배워야 할 것은 많은데 가르쳐주지는 않는다. 월간 은 현장 기자들을 위해 미래형 기자 되기 연재를 시작한다.
More information<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檀 國 大 學 校 第 二 十 八 回 학 술 발 표 第 二 十 九 回 특 별 전 경기도 파주 出 土 성주이씨( 星 州 李 氏 ) 형보( 衡 輔 )의 부인 해평윤씨( 海 平 尹 氏 1660~1701) 服 飾 학술발표:2010. 11. 5(금) 13:00 ~ 17:30 단국대학교 인문관 소극장(210호) 특 별 전:2010. 11. 5(금) ~ 2010. 11.
More information11민락초신문4호
꿈을 키우는 민락 어린이 제2011-2호 민락초등학교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1 펴낸곳 : 민락초등학교 펴낸이 : 교 장 심상학 교 감 강옥성 교 감 김두환 교 사 김혜영 성실 근면 정직 4 8 0-8 6 1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로 159번길 26 Tel. 031) 851-3813 Fax. 031) 851-3815 http://www.minrak.es.kr
More information............
제2장 1. 모월곶, 석곶, 서곶, 개건너 검단지역이 편입되기 전, 인천의 서구 전체는 지난날 서곶으로 불리던 지역이었다. 1914년 4월 1일 부평군 모월곶면과 석곶면을 통합되어 서곶 면이 되었다. 서곶이라는 지명은 군 소재지인 부평에서 서쪽 해안에 길 게 뻗어있으므로 그렇게 지어졌다. 이 지명은 반세기 이상 사용되었다. 그래서 인천시가 구제( 區 制 )를
More information이용자를 위하여 1. 본 보고서의 각종 지표는 강원도, 정부 각부처, 기타 국내 주요 기관에서 생산 한 통계를 이용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각 통계표마다 그 출처를 주기하였음. 2. 일부 자료수치는 세목과 합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이 합계와 일 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3. 통계표 및 도표의 내용 중에서 전년도판 수치와 일치되지 않는 것은 최근판에서
More information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하 출 입 시 설 형태 및 특징 제2차 시기 : 건물 4면 중앙에 각각 1개소씩 존재 - 남, 서, 북면의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지의 흔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전면과 측면의 중앙칸에 위치 - 동서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 유인 계단우석( 階 段 隅 石 ) 받침지대석이 발견 - 계단너비는 동측면에서 발견된 계단우석 지대석의 크기와 위치를 근거로 약 2.06m - 면석과
More information??
한국공항공사와 어린이재단이 함께하는 제2회 다문화가정 생활수기 공모전 수기집 대한민국 다문화가정의 행복과 사랑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Contents 02 04 06 07 08 10 14 16 20 22 25 28 29 30 31 4 5 6 7 8 9 10 11 12 13 15 14 17 16 19 18 21 20 23 22 24 25 26 27 29 28
More information652
축 사 2003년 11월 5일 수요일 제 652 호 대구대신문 창간 39주년을 축하합니다! 알차고 당찬 대구대신문으로 지로자(指걟者)의 역할 우리 대학교의 대표적 언론매체인 대구대 신문이 오늘로 창간 서른 아홉 돌을 맞았습 니다. 정론직필을 사시로 삼고 꾸준히 언로 의 개척을 위해 땀흘려온 그 동안의 노고에 전 비호가족을 대표하여 축하의 뜻을 전하 는 바입니다.
More information歯20010629-001-1-조선일보.PDF
6. 29 () 11:00 ( ) 20 0 1. 6. 29 11( ).(397-1941) 1. 2. 3. 4. 5. 1. 28, 60() (,, ) 30 619(, 6. 29) () 6 (,,,,, ),,, - 1 - < > (, ), () < > - 2 - 2.,,, 620,, - 3 - 3. ( ) 1,614,, 864 ( ) 1,6 14 864 () 734
More information<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31313135292E687770>
제 1 부 제1소위원회 (2) 충남지역(1) 부역혐의 민간인 희생 -당진군ㆍ홍성군ㆍ서산군(2)ㆍ예산군- 결정사안 1950. 9ㆍ28수복 후~1951. 1ㆍ4후퇴경 충청남도 당진 홍성 서산(2) 예산군에서 군 경에 의해 발생한 불법적인 민간인 희생으로 진실규명대상자 33명과 조사과정에서 인지된 자 151명이 희생된 사실을 또는 추정하여 진실규명으로 결정한 사례.
More information<C1DFB1DE2842C7FC292E687770>
무 단 전 재 금 함 2011년 3월 5일 시행 형별 제한 시간 다음 문제를 읽고 알맞은 답을 골라 답안카드의 답란 (1, 2, 3, 4)에 표기하시오. 수험번호 성 명 17. 信 : 1 面 ❷ 武 3 革 4 授 18. 下 : ❶ 三 2 羊 3 東 4 婦 19. 米 : 1 改 2 林 ❸ 貝 4 結 20. 料 : 1 銀 2 火 3 上 ❹ 見 [1 5] 다음 한자(
More information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96 1 96 3 4 1 5 2 ( ),, TV,,,,, 96 5,,,, 3, ), ( :,1991) ), ), 13 1 3 96 23, 41, 4 68 (1) 11, 1223, (3/18 ) ( ) 6, 1 (4/2 ) 16, ( ), 1 (5/3 ), ( ) ( ) 1 (2) 96 8 33 41 (4/25 ), (9/24 ), ( ) 961 (5/27 )
More information<근대이전> ⑴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역사 학습의 목적, 선사 문화의 발전에서 국가 형성까지를 다룬다. 역사가 현재 우리의 삶과 긴밀하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 로 선사 시대의 삶을 유추해 본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국가가 형성되고 문 명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중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⑴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역사 학습의 목적, 선사 문화의 발전에서 국가 형성까지를 다룬다. 역사가 현재 우리의 삶과 긴밀하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 로 선사 시대의 삶을 유추해 본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국가가 형성되고 문 명이
More information2014년 화제작 박찬경 감독의 영화<만신>의 원작! 김새론, 류현경, 문소리가 헌사하는 만신 김금화의 파란만장한 생애! 만신이 된다는 것은 뭇사람들이 참지 못하는 고통을 숱하게 참아내는 것이다. 김새론, 류현경, 문소리 주연 의 <만신>은 국무( 國 巫 ) 김금화의
궁리의 새책 비 단 꽃 넘 세 김 금 화 자 서 전 인 간 세 상 에 핀 신 의 꽃 김새론, 류현경, 문소리가 헌사하는 만신 김금화의 파란만장한 생애! 2014년 화제작 박찬경 감독의 영화의 원작!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큰 무당 김금화의 삶은 한국 현대사 그 자체이자 치유의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마음의 고통도 시원하게 씻겨내려 갈 것이다.
More information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 3 5.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일부개정 4
More information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2014 7 18.hwp
차례 1~3쪽 머리말 4 1. 계대 연구자료 7 가. 증 문하시랑동평장사 하공진공 사적기 7 나. 족보 변천사항 9 1) 1416년 진양부원군 신도비 음기(陰記)상의 자손록 9 2) 1605년 을사보 9 3) 1698년 무인 중수보 9 4) 1719년 기해보 10 5) 1999년 판윤공 파보 10 - 계대 10 - 근거 사서 11 (1) 고려사 척록(高麗史摭錄)
More information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S I N S A G O 정답과 해설 채움 1. 마음을 나누는 삶 02 2. 효과적인 자료, 적절한 단어 11 3. 문학을 보는 눈 19 4. 보다 쉽게, 보다 분명하게 29 5. 생각 모으기, 단어 만들기 38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More information<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30323138292D28BCF6C1A4292E687770>
이 조사보고서는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제32조제1항 규정에 따라 2008년 7월 9일부터 2009년 1월 5일까지의 진실 화해를위 한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습 니다. 차례 제 3 부 인권침해규명위원회 사건 김세태 등에 대한 보안대의 불법구금 등 인권침해사건 11 오주석 간첩조작 의혹 사건 25 보안대의 가혹행위로
More information160215
[ 진경준, 대한민국 검사의 민낯! ] 진경준 검사 정봉주 : 진경준 검사장 사건이 충격적인가 봐요.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얘기도 나오는 걸 보니까. 왜 그래요, 느닷 없이? 김태규 : 공수처는 여러 검찰개혁안 중의 하나였죠. 검찰의 기 소독점주의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공수처를 도입해야 한다 는 얘기가 오래 전부터 나왔고. 그런데 지금 정권이 레임 덕에 막 빠지려고
More information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Ⅰ 가이드라인 개요 >>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지주회사법
More information<33C6E4C0CCC1F620C1A63139C8A320B8F1C2F72E687770>
종친회 순례 ④ 忠節과 禮의 名門 : 김녕김씨(金寧金氏) 高興 貫祖墓 奉安으로 金寧史를 새로 쓰다 金寧金氏中央宗親會 篇 金鍾彬 중앙종친회장 VS 김녕김씨중앙종친회가 지난 2013년 4월 6일 전남 고흥(高興)에 새로이 조성한 김녕김씨(金寧金氏) 관조(貫祖) 김녕군(金寧君) 시호(諡號) 문열공(文烈公) 휘(諱) 시흥(時興)님의 묘역을 봉안(奉安)함으로써 김녕종사(金寧宗史)에
More information000000038348.hwp
규범 폐쇄성 신뢰 호혜 < 그림1> 사회자본의 구조 D E B C B C A A 비폐쇄성 네트워크(a)와 폐쇄성 네트워크(b) 출처: Coleman, 1988. p. 106. 信 用 人 情 關 係 面 子 報 答 꽌시의 구조 지방정부 동향 공장장 공장장 청부책임제 향진기업 연변 백운(
More information<3036B3E231C7D0B1E220B0ED31B1E2B8BBB0EDBBE7B4EBBAF1C6AFB0AD20B1B9BEEE28BBF32931B0AD2D33B0AD2D5BB1E8C0AFB5BFBCB1BBFDB4D45D2E687770>
2006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EBS 고1 특강 국어-상 강의 교재 EBS 국어( 상) 특강 김유동 강의 전 일러두기 -------------------------------------------------------------------- 학습 범위는 교육부에서 지정한 수업 시간을 기준으로( 총 32 시간) '5. 능동적인 의사 소통 ~ 8. 언어와 세계'
More information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제11편 성씨 인물 579 제3장 인 물 1. 고려ㆍ조선시대 인물 강순 강열황 구계우 구상은 김감 김경상 김계백 김계환 김규 김광오 김광원 김극성 김극신 김근행 김낙항 김남호 김노기 김노영 김맹권 김명현 김문서 김백간 김상현 김생려 김선지 김성국 김성우 김수정 김수현 김숙 김시걸 김신행 김억 김여남 김영석 김영수 김영제 김용제 김우식 김위 김응순 김응의 김응정
More information3) 지은이가 4) ᄀ에 5) 위 어져야 하는 것이야. 5 동원 : 항상 성실한 삶의 자세를 지녀야 해. 에는 민중의 소망과 언어가 담겨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인간의 가장 위대한 가능성은 이처럼 과거를 뛰어넘고, 사회의 벽을 뛰어넘고, 드디어 자기를 뛰어넘 는
(가) 2) (가) 학년 고사종류 과목 과목코드번호 성명 3 2009 2학기 기말고사 대비 국어 101 ( ) 염창중 말할 수 있게 되어 어머니가 다시 주시거든 나에게 갚 아라. ꋯ먼저 답안지에 성명,학년,계열,과목코드를 기입하십시오. ꋯ문항을 읽고 맞는 답을 답란에 표시하십시오. ꋯ문항배점은 문항위에 표시된 배점표를 참고하십시오. (가) 우리 중에는 전쟁으로
More information행당중학교 감사 7급 12000001 ~ 12000616 성동구 왕십리로 189-2호선 한양대역 4번출구에서 도보로 3-4분 6721 윤중중학교 감사 7급 12000617 ~ 12000619 영등포구 여의동로 3길3 용강중학교 일반행정 9급 13000001 ~ 1300
2016년도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장소 시험장 교통편, 소요시간 등은 반드시 응시자 본인이 해당학교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꼭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장애편의지원 대상자는 별도로 첨부된 엑셀파일에서 본인의 최종 편의지원 내역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장애편의지원 시험장 : 윤중중학교, 서울맹학교) 경신중학교 일반행정 7급 10001741
More information<C1DFB0B3BBE7B9FD3128B9FDB7C92C20B0B3C1A4B9DDBFB5292E687770>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령 제1장 공인중개사제도 제2장 총칙 제3장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 제4장 중개업무 제5장 중개계약 및 부동산거래정보망 제6장 중개업자 등의 의무 제7장 중개보수 제8장 교육 및 업무위탁, 포상금 제9장 공인중개사협회 제10장 지도ㆍ감독 및 벌칙 제23회 완벽대비 제1장 공인중개사제도 1. 시험시행기관 (1) 원칙
More information0 한국사능력검정시험대비(/, 목) 쪽 문. 다음 선언문의 필자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점][ 회] 내정 독립이나 참정권이나 자치를 운동하는 자 누구이냐? 너희들이 동양 평화, 한국 독립 보전 등을 담보한 맹약이 먹도 마르지 아니하여 삼천리 강토를 집어먹힌
0 한국사능력검정시험대비(/, 목) 쪽 고급 0년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 목) 한림법학원 성명 수험 번호 본 문제의 소유권 및 판권은 ( 주) 윌비스 한림법학원 에 있습니다. 무단복사 판매시 저작권법에 의거 경고조치 없이 고발하여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자신이 선택한 등급의 문제지인지 확인하시오. 문제지에 성명과 수험 번호를 정확히 써넣으시오.
More informationad-200100008.hwp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여 성 부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론 Ⅱ. 성매매에 대한 시각과 성매매 유형 분류 Ⅲ. 성매매 관련 법 정책 및 사건처리 Ⅳ. 성매매 관련 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Ⅴ. 성매매 관련 법의 적용현황과 문제점 Ⅵ. 성매매 관련 의식조사 결과 Ⅶ. 외국의 입법례 Ⅷ. 개정법(안) 제안 Ⅸ. 정책제언 참고문헌
More information본문(153*209) 복사3
글 이진우 그림 우승우 노랗게 물든 아이들과 빨갛게 핀 어머니와 마른 나무 같은 아버지가 이 이야기를 만들었습니다. 저구마을 아침편지 초판 1쇄발행2004년 1월 27일 초판 2쇄발행2004년 2월 03일 지은이 이진우 펴낸이 정중모 펴낸곳 도서출판 열림원 주간 이영희 책임편집 박은경 디자인 강희철 제작 송정훈 영업 김석현 배한일 관리 김명희 김은성 정소연
More information국어부록표지
초등학교 국어 기초학습 프로그램 초등학교 국어 기초학습 프로그램 1권 한글 익히기 신나는 한글 놀이를 시작해요 5 1. 선을 그려요`(선 긋기) 6 2. 아야야!`(기본 모음 익히기) 11 이 동물의 이름은 무엇까요? 21 1. 구구구, 비둘기야`(자음 ㄱ, ㄴ 익히기) 22 2. 동동, 아기 오리야`(자음 ㄷ, ㄹ 익히기) 31 3. 아야, 모기야`(자음
More information.............._....
2014 ISBN978-89-97412-25-9 11 12 13 14 17 18 19 20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More information3. 은하 1 우리 은하 위 : 나선형 옆 : 볼록한 원반형 태양은 은하핵으로부터 3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2 은하의 분류 규칙적인 모양의 유무 타원은하, 나선은하와 타원은하 나선팔의 유무 타원은하와 나선 은하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 4.
4탄 지학 정복하기 1. 빅뱅 우주론 빅뱅과 동시에 시공간 및 물질 생성 물질 : 쿼크와 경입자 양성자와 중성자 헬륨원자핵 원자 생성[38 만년 이후] 자연계의 존재하는 힘 : 중력, 강한핵력, 전자기력, 약한핵력 빅뱅우주론의 증거 1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3:1 2 우주 배경 복사 발견 2. 별의 탄생과 진화 1 별의 탄생과정 성간운 형성 원시별과 원반
More information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공개)
문화재위원회(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 문 화 재 위 원 회 - 2 - - 3 - 안건번호 근대2012-04-001-4 - - 5 - - 6 - - 7 - - 8 - 안건번호 근대2012-04-002-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More information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인 천 광 역 시 의 회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More information<B3EDBCFABDC7B7C2BDD7B1E22E687770>
독서 훈련과 함께하는 논술 실력 쌓기 목 차 Ⅰ부 1. 문단 만들기 연습 5 가.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장 구별하기 7 나. 통일성을 적용하여 문단 쓰기 13 다. 일관성을 적용하여 문단 쓰기 19 2. 요약하기 연습 29 가. 중심 문장이 드러난 글 요약하기 30 나. 중심 문장이 드러나 있지 않은 글 요약하기 47 다. 재진술을 통한 요약문 쓰기 64
More information교육실습 소감문
컴퓨터교육과 2008312140 김경근 Ⅰ. 처음... 이번에 교육실습을 다녀온 곳은 서울에 위치한 노원고등학교, 나의 모교이다. 실 습 학교로 굳이 이 학교를 선택 지원한 이유는, 모교이기 때문 이 아니라 집에서 가까워서 라는 이유가 컸다. 물론 내가 졸업한 모교가 어떻게 변했을지도 궁금하기 도 했다. 실습을 시작하기 전만 해도 오로지
More information1
정의당 당규 2012.11.09. 제1차 전국위원회 제정 2013.02.28. 제4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06.16. 당대회 개정 2013.08.31. 2기 제1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0.20. 2기 제2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2.14. 2기 제3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2.31. 2기 제4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4.02.22. 2기
More information¼þ·Ê¹®-5Àå¼öÁ¤
Ⅴ. 육축 1. 개설 2. 1961년 수리 전의 육축 3. 육축의 구조 4. 지하유구 조사 5. 실측조사 6. 석축부재의 현황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崇禮門 精密實測調査報告書 사진 5-3. 태조 때의 축성형식 사진 5-4. 세종 때의 축성형식 사진 5-7. 성벽 철거 전(1880년대) 사진 5-5. 개축된 축성형식
More information109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김한용 구술 녹취문 129 III. 광고사진가로서의 활동 김: 아아 최: 그리고 신진자동차 퍼브리카도 선생님이 찍으셨대요? 김: 예? 최: 신진자동차에서 나왔던 퍼브리카 김: 퍼브리카. 예, 맞습니다. 최: 요렇게,
More informationkg242-1.ps
미래, 그리고 사람중심의 제242호 릲우리 구에 전통과 문화의 향 기를 한 데 아우르는 관광벨트가 생깁니다.릳 금정구는 국내 최장 금정산성 과 역사와 전통이 있는 범어사를 중심축으로 스포원과 회동수원 지를 연계하여 관광벨트로 구축 하는 야심찬 계획을 실행에 옮기 고 있다. 오는 2014년까지 모두 156억 2100만원의 예산을 들여 금정산 성과 범어사 구간은
More information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500 0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2013년도 본예산 일반회계 환경위생과 ~ 환경위생과 세 출 예 산 사 업 명 세 서 부서: 환경위생과 단위: 환경정책 환경위생과 8,231,353 3,622,660 4,608,693 국 2,472,543 기 144,000 도 976,102 시 4,638,708 자연환경보호(환경보호/환경보호일반) 5,910,247 1,462,545 4,447,702 국 1,817,800
More information歯20010629-003-1-동아일보(2-1).PDF
6. 29 ( ) 11:00 20 0 1. 6. 29 2 3 ( ).( 397-0781) 1. 2. 3. 4. 5. 1. ( : 2 ) 2 8607, 306 19, 7 6 28, 95 3 - (5 ) (,,,,,, ) - 1 - 2. -, - -, - 2 - 3.,, 1,700, 827 ( ) 1,700 8 27 803 469 560 227 289 117 48
More information<33352D2D31342DC0CCB0E6C0DA2E687770>
중국 명문가의 가정교육 * - 先 秦 에서 淸 末 까지- ** 1) 李 庚 子 1. 머리말 2. 孝 悌 를 통한 질서의 확립 3. 德 을 통한 품성 수양 4. 立 志 를 통한 자아 확립 5. 맺음말 1. 머리말 교육의 일차기관은 가정이다. 가정에서 자녀들은 가정의 문화를 배우고 사 물의 바른 질서를 배우며 그 사회와 시대의 문화 양식을 먼저 익힌다.
More information<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2011 어르신 생활문화전승프로그램 柯 亭 里 義 兵 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는다 주관 춘천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원 연합회 문화체육관광부 -차 례- 제1장 구술 자료의 가치 1. 역사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미래 삶의 터전 제2장 지명으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제3장 구술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1. 의암제를 준비하는 사람 류연창 2. 고흥 류
More information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금산 은 상위의 중부방언에 속한다. 충청남도의 핵방언권 중 (A)지역, 즉 충청 남도의 남부이며 전라북도와 주로 접경을 이루는 방언권이다. 그중 충청남도의 최 남단에서 전라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 금산 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 다. 금산 지역이 전라북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문화 등 제반 교류의 가능성 을 엿볼 수 있고, 이는 곧 금산과 전북방언과의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정신문화연구 2001 겨울호 제24권 제4호(통권 85호) pp. 75 96 企劃論文 退溪學派의 經濟的 基 : 財産 形成과 所有 規模를 중심으로 1) Ⅰ. 머리말 Ⅱ. 財産 形成 문 숙 자* Ⅲ. 財産 所有 規模 Ⅳ. 맺음말 Ⅰ. 머리말 退溪學派 는 지역, 당색, 학문상의 이론적 배경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 용어이 며, 시기에 따라서 지칭하는 의미에 차이가
More informationuntitled
中 部 地 域 粘 土 帶 土 器 文 化 의 時 空 間 的 正 體 性 1 中 部 地 域 粘 土 帶 土 器 文 化 의 時 空 間 的 正 體 性 李 亨 源 (한신대박물관 학예연구사) - 목 차 - Ⅰ. 머리말 Ⅱ. 硏 究 史 Ⅲ. 時 間 軸 設 定 Ⅳ. 空 間 的 分 布 樣 相 을 통한 몇 가지 問 題 提 起 Ⅴ. 맺음말 Ⅰ. 머리말 주지하는 바와 같이 남한지역의
More information1-1Çؼ³
14~15 1 2 3 4 5 6 8~9 1 2 3 4 5 1 2 3 4 5 1 3 5 6 16~17 1 2 3 11 1 2 3 1 2 3 1 2 18 1 2 3 4 5 12~13 1 2 3 4 5 6 1 2 3 4 5 6 19 1 2 3 4 5 6 1 2 3 4 5 19 1 19 1 2 3 4 20~21 1 2 3 4 5 1 2 3 4 5 6 1 2 3 4
More information내지4월최종
내 가 만 난 7 0 년 대 죽은 언론의 사회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2008년 촛불집회가 한창일 때 정동익은 오래 전 자신이몸담았던 동아일 보사 앞에 서 있었다. 촛불을든시민들은 동아일보는 쓰레기다! 라며 야유 를 보냈다. 한때 국민들이 가장 사랑했던 신문 동아일보는 젊은 시절 그와동 료 기자들이 목숨을 걸고 외쳤던 자유 언론 이 아니었다. 그는 차마더바라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