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40 1 1997 Abstract 경부강의지방종 최은창 권오휘 김은서 김창규 Lipoma of the Deep Neck Space Eun Chang Choi, M.D., Oh Hwi Kwon, M.D., Eun Seo Kim,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ensei University, Seoul, Korea Chang Kyu Kim,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Medicine, Ajou University, Suwon, Korea Lipoma is a common tumor throughout the body, but occurrence in the deep neck space is very rare, and only some cases have been reported by otolaryngologist and pathologist for the last century. In head and neck area, as elsewhere, the lipoma is mainly originated from the subcutaneum. But in deeper tissues,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ites of lipoma. Submucosal lipoma in the head and neck area usually occur in oral cavity and hypopharynx. Recently we hae experienced 3 cases of deep neck space lipoma, so we report our clinical experiences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Korean J Otolaryngol 401, 1997 KEY WORDSLipoma Deep neck space. 서 론 136
Korean J Otolaryngol 40 1, January 1997 신마취하에 종양을 적출하였다. 경부의 절개는 양측에 증 례 서 접근하기 위하여 Apron 피판을 올린후 우측 흉쇄 유돌근과 흉골설골근사이의 근막을 흉쇄유돌근의 전 연을 따라 절개하자 피낭형성이 잘 된 황색 연부 종괴 증 례 1 75세 남자환자로 약 3개월간의 인후두 불편감을 호소하여 본원 외래에 내원하였다. 내원당시 환자는 인후두 이물감 및 다빈도의 흡인, 경도의 호흡곤란을 동반하고 있었고 연하곤란은 없었다. 과거력 및 가족 력상 특이소견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구인두 후벽 에 평활한 팽대 소견이 있었으며 이는 구인두의 상연 에서 부터 시작하여 하방으로 확장 되었으며 점막은 정상 소견이었다. 이 점막하 종괴에 의하여 구인두 후 벽과 후두개의 상연이 거의 접해 있었으며 이로 인하 여 간접 후두경 검사상 후두의 정확한 관찰이 어려웠 다. 촉진되는 경부 종괴는 없으나 Valsalva시 양측 경 를 관찰할 수 있었다. 종괴의 뒤쪽 박리를 진행하여 경동맥초와 추전근막(prevertebral fascia)과 박리하 였고 내측으로는 협인두근막과 박리하였다. 이때 종괴 는 인두근의 근섬유 사이로 함입되어 있어 박리시 세 심한 주의를 요하였다. 이 종괴는 상부로는 구인두 상 연 위치와 하부로는 쇄골 상부까지, 인두후강을 통해 반대측 경부까지 뻗어 있었다. 우측의 종괴를 박리한 후 계속하여 둔한 박리를 진행하자 좌측의 종괴도 어 려움 없이 박리되어 약 15±15cm 크기, 210g 중량 의 피낭형성이 잘 된 연부종괴를 적출할 수 있었다 (Fig. 2). 술후 환자의 상태는 양호하였고 술후 8일째 부 팽대 소견이 있었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상 다엽의 지방질 밀도의 종괴가 후인두강(retropharyngeal space)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양측 흉쇄유돌근 과 경동맥초의 구조물을 외측으로 전위시키고 있었다 (Fig. 1). 종괴의 상연은 위로 구인두에서 아래로는 흉골 상부 위치까지 확장 되어서 식도 및 후두를 전반 적으로 전방전위 시키고 있었으나 비정상적인 조영제 증가 병소는 없었다. 입원 3일째 기관절개를 통한 전 Fig. 2. The specimen is about 15 15cm sized, 210gram weighted well encapsulated soft mass. Fig. 1. Neck CT shows multilobulated fatty density mass in retropharyngeal space, which displaces SCM muscle and carotid sheath laterally. Fig. 3. Neck CT(postop. 1 month) shows normal findings. 137
한이인지 제 4 0 권 제 1 호 1997 발사(stich out)와 기관절개봉합술 시행후 11일째 퇴 전신 마취하에 좌측 하악골 하연을 따라 2cm 간격 원하였다. 술후 1개월에 시행한 전산화 단층촬영소견 을 두고, 약 10cm 길이의 수평 피부절개를 한 후 활 을 정상이었다(Fig. 3). 적출된 종괴의 병리조직 소견 경근의 심부면을 박리한 후 거상하였다. 피부절개면과 은 양성 지방종이었다(Fig. 4). 평행하게 심경부근막을 절개하자 피낭이 잘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황색 종괴가 노출되었다. 종괴를 악하선 증 례 2 4세 남자 환자로 약 2년간의 이하선 부위의 종괴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특이소견 없었으 며 이학적 소견상 좌측 이하선 부위에 약 4 3cm 크 기의 유동성, 무통성 종괴와 좌측 하악골의 측부 편위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구강내 팽대, 안면신경마비, 저작곤란 등의 소견은 없었다. 초음파 검사상 비균질 성의 밝은 음영이 좌측 협부에서 관찰되었고 주위의 과 흉쇄유돌근으로 부터 박리하여 부인두강의 종괴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하였다. 외측의 종괴 는 이하선의 내면과 유착되어 있어 이하선과 안면신 경을 위로 견인한 후 이하선 및 주위조직으로 부터 박 리 하였다. 종괴는 하악골의 내, 외측면에 붙어 있었 고 좌측 부인두극까지 뻗어 있었다. 종괴의 상연은 외 이도의 연골하연가지 뻗어 있어 그 부위에서 종괴경 지방 조직과는 분리가 잘 되지 않으나 이하선과는 분 리가 되는 지방종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하선 부 C-T 촬영상 좌측 부인두강(parapharyngeal space) 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지방밀도의 병소가 좌측 이하선 심엽을 외측과 후방으로 전위 시키며 좌측 이 하선 협부까지 팽대 되어 있었고 좌측 저작근과 이하 선을 압박하여 종이장 모양의 얇은 두께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좌측 하악골과 하악골지의 후부가 좌측 편 위되어 있어 만성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 다(Fig. 5). 일반적 술전 검사는 정상잉서고 흉부 X선 검사상 좌측 기관지 페렴 소견 의심되어 있어 소아과 에서 야가 1주간 치료 받았으며, 완치후 수술적 치료 Fig. 5. Parotid CT shows that fatty density mass lesion in Lt. parapahryngeal space displace the deep lobe of the Lt. parotid gland postero-laterally, and extends to parotid isthmus portion. 를 하였다. Fig. 4. The pathology of the specimen confirms the benign lipoma adult fat cell grouped in lobules by vascular connective septa. Fig. 6. The specimen is about 7 5cm sized, well encapsulated soft mass. 138
Korean J Otolaryngol 401, January 1997 증례 3: Fig. 7. Neck CT shows fat density mass in retropharyngeal space and posterior to the esophagus. Fig. 8. The mass extends to posterior mediastinum and sternum inferiorly. 고안 139
40 1 1997 결론 References 1) 양초영 : 구개편도에발생한지방종 1례. 한이인지 24(3):408-410, 1981 2) Ashley DJB:Evans histological appearances of tumors. 3rd Ed. Edinburgh, Livingstone, 0054, 1978 3) Bennhoff DF, Wood JW:Infiltrating lipoma of the head and neck. Laryngoscope 88(5):839-848, 1978 4) Das Gupta TK:Tumors and tumor-like conditions of the adipose tissue(review) Curr Prob Surg pp1-60, 1979 5) Eisele DW, Landis GH:Retropharyngeal infiltrating lipoma-a case report. Head & Neck Wurg 10(6):416-421, 1988 6) Enzinger FM, Harvey DA:Spindle cell lipoma. Cancer 36(5):1852-1859, 1975 7) Hatziotis JC:Lipoma of the oral cavity. Oral Surg 31(4):511-523, 1971 8) Kenefick TC:Retropharyngeal lipoma. J Laryngol Otol 88(8):805-808, 1974 9) Lin JJ, Lin F:Two entities in angiolipoma. Cancer 34(3):720-727, 1974 10) Pelissier A, Sawaf MH, Shabana AH:Infiltrating (Intramuscular) benign lipoma of the head and neck. J Oral Maxillofac Surg 49(12):1231-1236, 1991 11) Younus M:Retropharyngeal lipoma. J Laryngol Otol 94:321-325, 1980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