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분석학회지제 14 권 ( 제 4 호 ) 249~256, 2011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울산지역대기중아황산가스의시공간적오염특성 (2005-2009) 이윤세 1,2 최성득 1,2 권혜옥 1 김철수 2 손희식 2 예진 2 1 울산과학기술대학교도시환경공학부, 2 울산과학기술대학교환경분석센터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ulfur Dioxide in Ulsan, Korea Yun-Se Lee 1,2, Sung-Deuk Choi 1,2, Hye-Ok Kwon 1, Chul-Su Kim 2, Hee-Sik Son 2, and Jin Ye 2 1 School of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Ulsan 689-798, Korea 2 UNIST Environmental Analysis Center (UEAC),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Ulsan 689-798, Korea Received August 10, 2011/Accepted December 30, 2011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 2 measured at 14 air pollution monitoring sites in Ulsan, Korea. The levels of SO 2 in Ulsan have continuously decreased since the 1990s, and a recent (2005-2009)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8 ppb is lower than the national guideline of 20 ppb. However, Ulsan has higher levels of SO 2 than any other mega-city in Korea. The average level of SO 2 at industrial sites (13.7 ppb) is 2.4 times higher than those at residential and commercial sit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ata, meteorological condition, and former air dispersion modeling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O 2 emitted from the industrial complex was transported to the residential area by sea-land breeze and southeastern seasonal winds. For the improved air quality in Ulsan, the current environmental policy permitting the use of high-sulfur oil (<4%)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and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as well as SO 2 from plants using the high-sulfur oil should be monitored. Furthermore, separated environmental policies for the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ar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pollution management. Key words: Sulfur dioxide, SO 2, Ulsan, Air pollution 1. 서론아황산가스 (SO 2 ) 는무색의자극성이있는수용성기체로서대표적인대기오염물질이다. SO 2 는화산활동과산불등자연활동에의해서도배출되지만, 대부분인위적배출원 ( 연소, 금속용융및제련, 황산제조, 석유정제등 ) 에서발생한다. 국내에서는주로산업, 난방, 수송, 발전시설의연료연소과정에서배출되는것으로알려졌다. 1) SO 2 는인체점막을자극하고호흡기질환을유발하며, 대기중수증기와반응하여산성비의원인이된다. 역사적으로유명한대기오염사건인뮤즈계곡사건 (1930), 도노라사건 (1948), 런던스모그 (1952) 등은 SO 2 가주요원인이었다. 울산광역시는 SO 2 로인한환경오염과주민건강피해사례가보고된대표적도시로서, 1962년특정공업지구로지정되어대규모국가산업단지 ( 울산 미포, 온산 ) 가조성되었다. 2009년 12월 31일현재울산시대기배출업소는 906개이며, 국가산업단지내에 429개가있다. 2) 특히, 국가산업단지내점오염원인 1-3종사업장이주요배출원인것으로보고되었다. 3-4) 국가산업단지인근에는주거지역이위치하므로공단에서배출된오염물질이주거지역으로확산될가능성이크며, 5) 실제로온산국가산업단지인근주거지역에서온산병으로일컬어지는환경문제가발생하여 1985년부터 7,467세대가집단적으로이주하였다. 6) 환경청에서는 1986년환경청고시 ( 제86-3호 ) 로울산 미포및온산국가산업단지를대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Tel: 82-52-217-2811, Fax: 82-52-2809, E-mail: sdchoi@unist.ac.kr
250 이윤세 최성득 권혜옥 김철수 손희식 예진 기특별대책지역으로지정하였다. 이후대기오염을개선하기위해다양한정책 ( 저황유와청정연료사용, 사업장의엄격한배출허용기준적용, 자율환경관리협약을통한오염물질감축, 지속적인방지시설의개선 투자유도등 ) 을추진한결과, 7) 1990년대초반부터 SO 2 농도가꾸준히감소하였다. 그동안국내에서수행된 SO 2 모니터링과모델링연구대부분은 1990-2000년대중반까지의연구로서수도권이나부산등일부지역에집중되었으며, 8) 울산에서도 SO 2 에대한연구가꾸준히진행되었다. 1990년대중후반에는대기확산모델 ISC3를이용하여공단지역굴뚝에서배출된 SO 2 가울산시로확산되는경향을파악하였으며, 9-10) 2002년에는대기질수치모델을이용하여해륙풍에의한대기오염물질분포경향을예측하였다. 4) 최근에는울산지역일최고농도를예측할수있는신경망모델을개발하여수치모델을보완할수있는연구도수행되었다. 11) 이와같은모델연구이외에도실측자료에근거한연구들도수행되었다. 2003년실측자료로오염장미 (Pollution rose) 를작성하고다중회귀분석을통해배출원을추정하고계절별농도변화를해석하였다. 5) 또한 2001-2004년도환경기준초과사례의원인을파악하고, 연료사용량과굴뚝 TMS 자료를이용하여황산화물저감방안을제시한연구도수행되었다. 8) 이외에도울산시와환경부차원의연구도수행되었다. 울산시는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를통해대기질개선목표를제시하고지역배출허용기준을설정하는연구를수행하였으며, 12) 기상조건에따른대기오염실태조사도수행하였다. 13) 환경부는울산지역대기질현황자료와대기확산모델을이용하여배출허용기준강화에따른농도저감효과를평가하였다. 14) 그러나울산지역기상조건에따른 SO 2 의시공간적장기변화에대한연구는여전히부족한실정이며, 2005년이후최근오염현황을보고한예를찾기어렵다. 울산시의노력에도불구하고최근수년동안 SO 2 연평균농도는감소하지않고, 여전히국내대도시중에서최고수준으로유지되고있다. 더구나지속적인도시개발과산업단지확장을계획하고있으므로대기오염배출원은더욱증가할것으로예상된다. 이러한이유로울산시에서는 2011년 1월에대기질개선중장기종합대책을마련하여다양한실무추진계획들을수립하였다. 15) 그런데이대책에는지역배출허용기준강화와고황유허용방안이포함되어있어최근많은논란이되고있다. 고황유를허용하면다양한대기오염물질의배 출량이증가한다는우려가있는반면, 상당수전문가들은연료종류에따른배출량시나리오와실측자료에근거하여대기질이개선될수있다는입장을취하고있다. 16) 따라서본연구에서는 2000년대중반이후의 SO 2 자료를수집하여농도수준, 공간적분포, 월별 시간별농도경향등을파악함으로써, 울산시의최근오염현황에대해종합적으로이해하고고황유허용에따른후속연구필요성에대해논의하고자한다. 2. 연구방법 2.1. 기상자료본연구에서는기상월보에수록된일평균풍향 (16방위 ) 과풍속자료를사용하였다. 17) 관측지점은지상기상관측 152지점 ( 울산기상대 ) 인울산광역시중구북정동 (35 33N, 129 19E) 이며, 노장의해발높이는 34.6 m, 풍속계의지상높이는 12.0 m이다. 기상월보에수록된일평균풍향자료를이용하여 2005-2009년도계절별 ( 봄 : 3 5월, 여름 : 6-8월, 가을 : 9-11월, 겨울 : 12-2월 ) 바람장미와연간바람장미를작성하였다. 울산지역의다소복잡한산악 / 해안지형으로인해내륙과해안지점에서기상조건이다를가능성이있다. 따라서울산기상대자료가울산전역의기상을대표할수있는지확인하기위해, 다섯지점의무인자동관측망자료 (2000-2009) 를추가로입수하여계절별주풍향을파악하였다. 내륙지점에서는계절풍영향이강하고, 해안지점에서는해안지형과해륙풍영향도많이받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울산전역에서계절풍영향이우세하고주거지점과공단지점의주풍향이상당히유사하므로, 오염물질의주거지역으로의이동측면에서는울산기상대자료를울산지역대표기상자료로사용해도큰무리가없을것으로판단하였다. 2.2. 대기오염자료울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은 14개소 ( 농소동 (A), 효문동 (B), 성남동 (C), 무거동 (D), 삼산동 (E), 신정동 (F), 신정동 ( 도로변 )(G), 야음동 (H), 여천동 (I), 대송동 (J), 부곡동 (K), 상남리 (L), 덕신리 (M), 화산리 (N)) 로구성된대기오염자동측정망을운영하고있으며, 기준성대기오염물질 (SO 2, CO, O 3, NO 2, PM 10 ) 의시간평균농도를제공하고있다. 18) 대기측정소의구체적인위치정보는 Table 1에나타내었으며, 농도자료와함께지도상에표시하였다 (Fig. 4). 본연구에서는 5년동안 (2005년 1월
울산지역대기중아황산가스의시공간적오염특성 (2005-2009) 251 Table 1. Information for the air pollution monitoring sites in Ulsan, Korea 19) Site Name Land use Longitude Latitude Address A Nongso Commercial 129 o 21'17.46"E 35 o 37'30.96"N Hogyedong 726, Bukgu B Hyomun Industrial 129 o 22'16.02"E 35 o 33'34.08"N Hyomundong 616-8, Bukgu C Seongnam Commercial 129 o 19'11.82"E 35 o 33'14.64"N Seongnamdong 219-10, Junggu D Mugeo Commercial 129 o 15'38.82"E 35 o 33'03.06"N Mugeodong 1555-2, Namgu E Samsan Residential 129 o 19'54.48"E 35 o 32'39.72"N Samsandong 1513-13, Namgu F Sinjeong I Residential 129 o 18'29.00"E 35 o 32'05.00"N Sinjeongdong 1210-9, Namgu G Sinjeong II Roadside 129 o 18'26.79"E 35 o 31'55.93"N Sinjeongdong 1670-2, Namgu H Yaeum Residential 129 o 19'33.00"E 35 o 31'34.00"N Yaeumdong 789-12, Namgu I Yeochoen Industrial 129 o 21'33.30"E 35 o 30'58.92"N Yeochoendong 250, Namgu J Daesong Residential 129 o 24'52.38"E 35 o 30'10.20"N Daesongdong 148-2, Donggu K Bugok Industrial 129 o 20'20.28"E 35 o 29'50.16"N Bugokdong 125-2, Namgu L Sangnam Residential 129 o 18'19.08"E 35 o 29'32.82"N Sangnamri 595-7, Cheongnyangmyeon, Uljugun M Deoksin Residential 129 o 18'52.26"E 35 o 26'05.22"N Deoksinri 36-4, Onsan-eup, Uljugun N Hwasan Industrial 129 o 20'15.48"E 35 o 26'17.16"N Hwasanri 22, Onsaneup, Uljugun 2009년 12월 ) 의측정소별 SO 2 농도자료를입수하여월별 시간별평균농도를계산하였다. 신정동 ( 도로변 ) (G) 측정소의 2005년 12월 10일이전자료와상남리 (L) 측정소의 2005년 11월 25일이전자료는누락되어본연구에서제외하였으며, 효문동 (B) 측정소는 2005년 11월 25일부터설치되어가동되었으므로그이후자료를사용하였다. 또한통신선로교체로인한자료전송중단, 노후장비교체, 정도관리, 장비수리등으로인해수시간에서 3일정도누락된자료를제외하였으며, 측정소당 1년에 8,000개이상의측정값을사 용하였다. 3. 결과및고찰 3.1. 기상자료 2005 2009년도연간바람장미에의하면, 가을 겨울철에는북동풍과북서풍, 봄 여름철에는남동풍이우세한것으로나타났다 (Fig. 1). 이러한계절풍변화는매년유사하며국가산업단지는동해안에위치하고있으므로, 공단에서배출된대기오염물질이주로봄과여 Fig. 1. Seasonal and annual wind patterns in Ulsan (2005 2009).
252 이윤세 최성득 권혜옥 김철수 손희식 예진 름철에내륙서편에위치한주거지역으로유입될것으로예상된다. 또한국지순환성해륙풍에의해공단지역에서배출된오염물질이일시적으로주거지역으로확산될것으로판단되며, 실제로울산지역에서해풍이우세한낮에 SO 2 농도가환경기준을초과하는경우가많은것이보고되었다. 8) 3.2. SO 2 농도수준울산의 SO 2 연평균농도는 1990년대중반이후에급격히감소하여 1997년이후로연간기준을만족하고있다 ( 환경기준 : 연간 20 ppb, 24시간 50 ppb, 1시간 150 ppb 이하 ). 2) 2000년대초반부터는 0.3% 이하저황유사용 (2001년 8월 1일시행 ) 과청정연료사용및환경개선투자유도를통해 SO 2 농도가지속적으로감소하였다. 2) 최근 5년 (2005-2009) 평균농도는 8 ppb로서연간기준의 40% 수준으로유지되고있으나더는감소추세가보이지않는다 (Fig. 2). 국내주요대도시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 의 2009년 SO 2 평균농도는 5.6 ppb( 표준편차 1.6 ppb) 이며, 19) 일반대도시의경우에는전반적으로고른분포를보이고있다 (Fig. 3). 그러나대규모국가산업단지를보유한울산의평균농도는 8 ppb로서가장높은수준을나타내며그뒤를인천이따르고있다. 이러한농도수준과경향은 2005년부터매년일정하므로, 국내대도시 SO 2 농도는안정기에접어들었다고판단된다. 또한, 전국 71개시 도에서측정한결과에의하면, 2002년이후로전국연평균농도는 6 ppb로거의변화가없다. 19) 즉, 정부의연료규제제도 ( 저황유와 LNG를포함한청정연료공급확대, 배출규제강화등 ) 가 2000년대초반까지는효과적이었지만, 이후급증하는차량대수와연료사용량으로인해 SO 2 배출저감이한계에도달한것으로판단된다. 19) 한편, 국가배경농도측정소 ( 강화도석모리, 옹진군덕적도, 태안군파도리, Fig. 2. Long-term trend of annual average levels of SO 2 in Ulsan. Fig. 3. Average levels of SO 2 in major Korean cities in 2009. 거제도저구리, 울릉도태하리, 제주도고산리 ) 의 2009 년 SO 2 평균농도는 2.8 ppb로서대도시평균농도의절반수준이었다. 19) 3.3. 공간적분포 SO 2 의주요오염원과주변영향을파악하기위하여 14개지점별평균농도를계산하였으며 (Table 2), 연도별농도가비교적일정하므로 ( 상대표준편차 : 4.1-27.4%), 5년평균분포도를작성하였다 (Fig. 4). 온산국가산업단지에위치한화산리 (N) 가가장높은농도 (17.3 ppb) 를보였다. 온산국가산업단지는 SO 2 를비롯한대부분의기준성대기오염물질이고농도로분포하는지역이다. 5) 화산리와인접한원산리에서는 SO 2 농도가증가함과동시에 CO와 PM 10 농도도증가했으므로고농도 SO 2 를유발하는오염원이온산국가산업단지내연소배출시설이라는보고가있다. 8) 2007년환경부대기정책지원시스템 (CAPSS) 자료에의하면, 울산에서는에너지 제조업분야의연소 (39.6%) 와생산공정 (44.4%) 이황산화물의주요배출원인것으로나타났다. 15) 한편,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에위치한여천동 (12.3 ppb) 과부곡동 (11.7 ppb) 에서도고농도 SO 2 가측정되었다. 그러나단지내효문지구에위치하고있는효문동측정소는일반주거지역이나상업지역과비슷한농도 (5.5 ppb) 를나타냈으며, 이는자동차부품등을생산하는효문단지의특성때문으로해석된다. 한편, 주거지역으로분류된대송동에서비교적고농도 (7.4 ppb) SO 2 가측정되었다. 대송동은울산시동구에위치한주거지역이지만공단으로둘러싸여있기때문인것으로해석된다. 효문동을제외한공단지역 SO 2 평균농도 (13.7 ppb) 는주거및상업지역평균농도 (5.7 ppb) 와비교할때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p<0.05) 를나타냈다. 울산시주거및상업지역의농도수준을전국대도시농도와비교하면인천다음으로높은수준이었다. 즉, 공단지역자료를
울산지역대기중아황산가스의시공간적오염특성 (2005-2009) 253 Table 2.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ppb) of SO 2 at each monitoring site in Ulsan Site Name Land use 2005 2006 2007 2008 2009 Mean RSD (%) A Nongso Commercial 5.0 4.2 4.2 5.8 7.0 5.2 22.9 B Hyomun Industrial 3.6 5.9 5.7 6.2 6.0 5.5 19.5 C Seongnam Commercial 4.5 5.2 5.5 5.9 4.7 5.2 11.4 D Mugeo Commercial 4.4 5.1 5.7 5.7 5.7 5.3 11.2 E Samsan Residential 6.0 5.8 6.2 5.6 6.7 6.0 6.9 F Sinjeong I Residential 5.8 5.5 6.0 6.8 5.2 5.9 10.7 G Sinjeong II Roadside 4.2 6.3 8.0 6.3 4.3 5.8 27.4 H Yaeum Residential 5.9 5.8 5.3 7.0 7.0 6.2 12.5 I Yeochoen Industrial 12.9 11.5 12.1 13.4 11.4 12.3 7.1 J Daesong Residential 6.6 6.2 8.0 9.2 7.0 7.4 16.0 K Bugok Industrial 11.9 12.2 12.0 12.5 9.8 11.7 9.1 L Sangnam Residential 7.3 4.0 4.7 5.7 5.5 5.4 23.3 M Deoksin Residential 5.7 5.6 8.8 6.6 7.6 6.9 19.6 N Hwasan Industrial 16.7 17.6 17.5 18.2 16.4 17.3 4.1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제외하더라도울산지역 SO 2 농도는전국대도시중에서최고수준이다. 지난 5년간 (2005-2009) 울산에서 SO 2 기준 (1시간기준 : 150 ppb) 을초과한횟수는 226회이다. 전체 14개측정소중에서 8개측정소에서환경기준을초과했으며, 비철금속사업장이많은화산리 (N) 에서전체의 82% 인 185회를초과하였다. 이중에서 121회는남동풍이우세한 4-6월에초과하였으므로, 계절풍이화산리 SO 2 농도에절대적인영향을미친다고할수있다. 화산리측정소서편 2.3 km에위치한덕신리 (M) 측정소에서는 25회의초과횟수를기록하였다. 기준초과는 5-7월에집중되었으며, 남동풍에의해온산단지에서배출 Fig. 4. Spatial distribution of five-year (2005-2009) average concentrations of SO 2 in Ulsan. Industrial areas are shaded in red. The location of a meteorological observatory (MO) is also shown. 된 SO 2 가덕신리로이동한것으로판단된다. 이전연구에서도주거지역인덕신리지점에서기준초과농도가발생하는것은남동풍의해풍이불때온산국가산업단지에서발생한오염물질이바람에의해직접이동한것으로해석하였다. 8) 또한연도별환경기준초과횟수는연료사용량의영향을받는것이보고되었다. 울산에서는 2003-2004년도에고황유사용량이줄었지만전체중유사용량은증가하여 SO 2 배출량이증가했고, 화산리지점에서기준초과횟수가갑자기증가한사례가있다. 8) 3.4. 월별 일별농도추세 SO 2 는주로화석연료연소에의해배출되는물질이므로난방연료사용량이많은겨울철에농도가높은 1 차오염물질의계절변화가예상된다. 국내대도시와배경농도지역에서이러한계절변화가관찰된다. 19) 그러나울산에서는이와는다른계절변화가나타났다 (Fig. 5). 공업지역인효문동 (B), 여천동 (I), 부곡동 (K), 화산리 (N) 에서는늦봄-여름철 (5-7월 ) 에 SO 2 농도가높으며 ( 평균 17 ppb), 가을-겨울철 (10-2월 ) 에는약절반 ( 평균 9 ppb) 수준이었다. 일반대도시에서는계절별로난방연료사용량변화가크지만, 울산에서는공단지역에서다량의산업용연료를연중일정하게사용하고있다. 그러므로울산지역에서의 SO 2 계절변화는난방연료사용량변화보다는공단배출과계절풍영향을주로받는것으로판단된다. 바람장미 (Fig. 1) 와공단의위치 (Fig. 4) 를고려할때, 가을 겨울철에는북서풍영향으로공
254 이윤세 최성득 권혜옥 김철수 손희식 예진 Fig. 5. Monthly variations of average concentrations of SO 2 in Ulsan. 단지역에서배출되는오염물질들이동해로이동하여내륙에서 SO 2 농도가감소하고, 봄 여름철에는남동풍으로인해 SO 2 가내륙으로유입되어농도가증가하는것으로해석된다. 대기확산모델링연구에의하면, 봄 여름철에는 SO 2 가울산전지역으로확산되며, 가을 겨울철에는울산외곽해안으로분산된다. 9) 비공단지역에서도강도에는차이가있지만공단지역에서와비슷한계절변화 ( 하고동저 ) 가나타난것으로볼때, 공단에서배출된 SO 2 가주변지역으로유입되는것을알수있다. 일반적으로해안지역에서는계절풍과함께해륙풍이오염물질확산에매우중요한역할을한다. 울산에서는산곡풍에이어해륙풍이발달하며, 해안지형에의한바람이해륙풍과합성되어강한흐름장을보인다. 4) 본연구에서는해륙풍영향을파악하기위해시간대별 SO 2 평균농도를파악하였다 (Fig. 6). 오전 9시부터오후 9시까지의농도 (14 ppb) 가이외시간의농도 (10 ppb) 보다확연하게높았으며, 공단지역의시간별농도변화가비 공단지역보다상대적으로크게나타났다. 이결과는바닷가에가까이위치한공단에서배출된 SO 2 가주간에우세한해풍에의해공단지역측정소와비공단지역으로이동하는것을의미한다. 울산에서는해풍전선이벽역할을하여오염물질이빨리확산되지않고축적되어내륙으로이동한다고보고되었다. 8) 반면, 야간에는육풍에의해 SO 2 가동해로이동하면서내륙에서는농도가낮아지는것으로보인다. 본연구에서는장기간시간평균농도를이용하여해륙풍효과를확인하였으며, 개별고농도사례를조사할경우에는고농도발생과정을보다명확히이해할수있을것이다. 이미울산지역에서해풍에의한국지수송과풍속약화에따른풍하측농도축적에의한개별고농도사례들이보고되었다. 13) 3.5. 후속연구필요성앞에서언급한바와같이이미울산시는대기질개선중장기종합대책을통해다양한대기오염저감대책을수립하여추진중이다. 15) 특히 2011년도울산지역
울산지역대기중아황산가스의시공간적오염특성 (2005-2009) 255 4. 결론 Fig. 6. Hourly variations of five-year (2005-2009) average concentrations of SO 2 in Ulsan. 환경기술개발센터연구과제로지역대기배출원특성조사및인벤토리구축연구가수행되었다. 울산시의종합대책이차질없이수행되면지역대기질이지속적으로개선될것으로보인다. 다만, 실효성있는대기오염관리대책을수립하고개선하기위해서는일반도시지역 ( 주거및상업 ) 과공업지역을분리해서농도수준을파악하고지역별관리대책을수립할필요가있다. 20) 예를들어, 개별관측소에서측정되는 SO 2 에대한오염원기여도를정량적으로평가하고, 이를반영하여각지역별, 공단지구별, 사업장별로구체적인관리대책이수립되어야할것이다. 한편, 울산시대기질관리의당면한과제는고황유허용이대기질개선에미치는영향을평가하는것이다. 울산시는 2009년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에서수행한용역과제결과 ( 방지시설이갖춰진사업장에고황유를허용할경우, SO 2 총배출량은오히려감소할것으로예상 ) 에근거하여, 21) 고황유를허용하고지역배출허용기준을강화하는정책을추진하고있다. 또한연료종류에따른오염물질배출량시나리오연구에의하면, 지금까지울산에서 SO 2 농도가지속적으로감소한이유는황을많이함유한연료의사용량을줄였기때문이지, 방지시설이면제된 0.3% 이하의저황유사용이확대되었기때문은아닌것으로판단된다. 16) 이러한선행연구들을바탕으로, 고황유를사용하는사업장굴뚝과주변지역의환경대기중 SO 2 농도를상시모니터링하여연료정책을평가하고보완할필요가있다. 또한고황유를사용하는사업장에서배출되는온실기체와유해대기오염물질 (HAPs) 등에대해서도면밀한조사가필요하다. 울산의 SO 2 농도는 1990년대이후꾸준히감소되어최근 5년 (2005-2009) 평균농도는기준치의 40% 수준으로유지되고있으나더는감소추세를보이지않는다. 현재울산시 SO 2 농도수준은전국대도시중최고수준이며, 공업지역농도를제외하더라도인천에이어서두번째로높은수준이다. 측정결과, 기상자료, 기존대기모델링결과를종합적으로고려하면, 국가산업단지가 SO 2 의주요배출원이며계절풍과해풍에의해공단에서배출된 SO 2 가주변주거지역으로확산되는현상을확인할수있었다. 현재울산시에서는 SO 2 배출량을저감하기위해지역배출허용기준을강화하고고황유를허용하는정책을추진하고있다. 향후, 이러한정책의실효성을확인하기위해일반도시지역 ( 주거및상업 ) 과공업지역을분리해서세부관리대책을수립할필요가있다. 또한고황유사용사업장에서배출되는 SO 2 이외의일반대기오염물질, 온실기체, 유해대기오염물질 (HAPs) 을주기적으로측정 분석하여대기질개선효과를검증해야한다. 감사의글 본연구는 2009-2010년울산과학기술대학교 (UNIST) 연구비지원으로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조병환, 1999. 대기환경관리, 향문사. 2. 울산광역시, 2010. 환경백서울산의환경. 3. 서정호, 김일배, 이학성, 대한환경공학회춘계학술연구발표회, 2001, 205-206. 4. 이화운, 원경미, 정우식, 오은주, 김민선, 도우곤, 한국환경과학회지, 2002, 11, 933-943. 5. 최봉욱, 정종현, 최원준, 손병현, 오광중,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06, 32, 324-335. 6. 국립환경과학원, 2009. 환경성질환의이해와국내동향. 7. 울산광역시, 2010. 시정백서. 8. 문윤섭, 한국환경과학회지, 2008, 17, 423-437. 9. 송덕만, 최청정, 대한환경공학회지, 1996, 18, 1217-1226. 10. 이병규, 서중근, 한국대기환경학회춘계학술대회논문집, 1999, 254-256. 11. 이소영, 김유근, 오인보, 김정규, 한국환경과학회지, 2009, 18, 129-139.
256 이윤세 최성득 권혜옥 김철수 손희식 예진 12. 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5. 지역대기환경용량평가및배출허용기준의효율적인적용방안. 13. 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3. 울산의대기오염기상조건과기상여건에따른대기오염실태조사. 14. 환경부, 2004. 울산 여수산단특별대책지역대기오염 (SO 2 ) 개선방안마련을위한연구. 15. 울산광역시, 2011. 대기질개선중장기종합대책. 16. B.-K. Lee, H.-S. Park, 2009. Environmental and economic issues from changing a major fuel type as energy resources in an industrial city, Korea. Global Warming: Engineering Solutions. Springer, 211-222. 17. 기상청, 2005-2010. 기상월보. 18. 울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2011. 대기정보시스템 (http:/ /air.ulsan.go.kr/). 19. 환경부, 2010. 대기환경연보 2009. 20. 변승혁, 이병규, 한국대기환경학회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8, 345-346. 21.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10. 대기오염도개선을위한종합분석평가및효율적인연료정책적용방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