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언론정보대학원 한국대중매체사회문화사 2012. 12 수정 담당교수 : 이남표
1. 일제강점기의근대적신문 일제의무단통치시대 - 1910. 8. 28 일제강점. - 의외로조용한강점. 조선민중은체념상태. - 망국을체험하기시작한계기는 ' 토지조사사업 '. - 무단정치시대에언론는완전폐쇄. - 총독부 3대기관지 ( 경성일보, 매일신보, 서울프레스 ) 와지방 15개일문일간지중심. - 개화기항일언론인장지연조차매일신보에총독부지지대변내용게재.
1. 일제강점기의근대적신문 3.1 운동과문화통치 - 3.1 운동의이면에는항일 ' 지하신문 ' 의활약존재. - 3.1 운동이후일제는헌병경찰제폐지, 조선인관리임용, 언론집회출판자유고려, 조선문화관습존중등시정방침전환. - 친일지식인육성시작하여조선엘리트와민중의양극화추진. 일제의신문발행허가 - 허가이유는조선인세력의동정파악및유사시일망타진위하여 - 1920년 1월 6일, 동아일보, 조선일보, 시사신문등 3개만허가. - 동아는김성수등 ' 민족자본 ' 진영, 조선은친일단체대정친목회, 시사는신일본주의표방국민협회를배경으로함. - 1920. 3. 6. 조선일보창간, 1920. 4. 1. 동아일보창간.
1. 일제강점기의근대적신문 1930 년대부터일제전시체제 - 당시신문의권력과사회적인식은높은편. 지식인을가늠하는수단이 ' 신문을읽는것 '. - 1933년, 금광벼락부자방응모조선일보인수. - 1936년일장기말소사건. 실은여운형의조선중앙일보가먼저게재. - 1937년황국신민화운동. 조선일보일제찬양, 동아일보도일제에굴복.- - 1940. 8. 10. 조선과동아폐간. 폐간에관한 ' 친일 ' 여부논쟁.
2. 일제강점기, 방송의시작과발전 일제하방송의시작 - 조선총독부체신국, 1924년 11월실험방송실시. - 체신국에 11개민간단체방송사업허가신청. - 1924년 12월, 조선일보무선전화방송공개실험. - 1927년경성방송국설립. 조선인방송국불허. 조선총독부체신국산하. - 수신기방송국등록필. 청취허가장필요. 청취료수입으로운영. - 개국당시수신기 1,440대. 80% 가일본인소유. - 당시라디오는 ' 영업용 '. - 우리말과일본어혼용방송.
2. 일제강점기, 방송의시작과발전 일제하방송의발전 - 1933년이중방송실시. 1934년청취자 3만명돌파. 1940년에는 20만명돌파. - 1937년중일전쟁발발. 방송은국민동원과전시선전도구. - 1942년 ' 단파방송밀청사건 '. 일제하방송인의민족의식보여줌. - 1930년대백화점을필두로한소비대중문화범람. 당시서울인구 30만명. 미쓰코시백화점하루고객이 12만 6천명수준. - 이러한일제하소비문화는이른바 ' 식민지근대화론 ' 의왜곡된주장의근거로도제시됨.
3. 미군정시기의언론정책과방송 미군정의언론정책 1 - 여운형의건준과인공수립 (1945. 9. 6). - 박헌영계열의영향력강화와우익의한민당창당 (1945. 9. 16). - 미 24군인천상륙 (9. 8). 서울진주 (9. 9). 맥아더사령관의포고문은한국민을적대시. - 점령군사령관하지중장, ' 언론자유보장 ' 발표 (9. 11). 신문발행이허가제에서등록제로전환됨. - 미군정장관아놀드, 인공부인성명게재명령 (10. 10). 언론자유보장정책의변화조짐. - 당시신문들은政論紙.
3. 미군정시기의언론정책과방송 미군정의언론정책 2 - 미군정, 매일신보정간명령 (1945. 9. 25). 매일신보는일제하어용지. 그러나해방후자치위원회구성으로좌경화. - 미군정은좌파신문탄압, 우파신문에는적산불하통해육성. 그결과로동아일보와조선일보속간. - 동아일보는사주김성수와사장송진우등이한민당주도세력. 정보획득에가장유리. - 당시신문, 출판분야에전반적으로좌익세력이우세. - 미군정, 정기간행물허가를불허하는공보부령공포 (1947. 3. 26).
3. 미군정시기의언론정책과방송 미군정시기의방송 - 미군의경성중앙방송국접수. (1945. 9. 8). 서울중앙방송국으로개칭. 군정산하 (1945. 9. 15). - 콜사인 JODK에서 "This is the key statio of the Korea Broadcastig System, Seoul, Korea" 로변경. - 콜사인변경이유는 ITU 미가입. 이콜사인이 KBS의명칭유래. - 서울중앙방송국은 1947년 8월까지 ' 정당방송 ' 을배정했으나이후미군정에의해폐지됨. - 1947년 9월 3일, ITU 총회에서호출부호 HL 받음. 서울중앙방송국이새호출부호로방송시작 (10. 2). 1978년부터방송의날을 9월 3일로변경함.
4. 이승만정권의출범과언론 이승만정권의출범과좌익지소멸 - 1948년 5월 10일, 남한단독총선거. 동년 8월 15일대한민국정부수립. - 이승만대통령, 일제시대언론통제법 ' 광무신문지법 ' 이유효하다고밝힘. - 좌익신문의기자구속, 정간. 우익신문도친여지와친야지로나누어친야지탄압. - 동년 9월 22일, 언론단속지침발표. 12월 1일, 국가보안법공포. 1946년 6월초까지 56개신문 / 통신사정간및폐간. - 1948년 6월 1일, 미군정은조선중앙방송국을조선방송협회에돌려줌. 동년 8월 6일, 대한방송협회로개칭. 8월 7일, 정부조직법에서정부조직으로흡수.
4. 이승만정권의출범과언론 이승만정권과언론의관계 1-1954년 4월 30일, 정부가경향신문폐간. 경향은당시발행부수 2위 ( 동아 35만부, 경향 20만부, 한국 16만부, 조선 10만부 ). - 경향은 1946년미군정후원으로창간된가톨릭계신문. 1959년당시에는자유당정권의정적인민주당장면을지지하는당파성보유. - 이승만정권하의신문들은政論紙성격강함. 그이유로는 ' 상업주의일천 ', ' 뿌리깊은정론성 ', ' 대중의관심과기호가反정부성에있었음 ' 등. - 당시발행부수 1위동아일보도광고수입이 30% 전후에그침. 광고수입의존도가높을수록신문이권력에대해용감하기는어려움.
4. 이승만정권의출범과언론 이승만정권과언론의관계 2-1960년 3.15 대통령선거. 최악의부정선거라는평가. 항위시위발발. - 4월 11일마산앞바다에서마산상고 1학년김주열의눈에최루탄박힌시신발견. 마산시민격분, 시청과경찰서습격. 정권규탄시위로발전. - 자유당정권, 공산분자들의배후조정으로매도. - 이에동아일보는 14일자사설을통해 ' 마산시민을공산당으로몰지말라 ' 고정부를규탄함. - 이승만정권은수시로언론탄압을자행했으나보도의자유를어느정도보장했음. 따라서정권에불리한사건들이그때마다신문에크게보도되었음.
4. 이승만정권의출범과언론 이승만정권하방송의발전 1-1954년 12월 15일, 최초의민영방송인기독교방송 (CBS) 개국. - 1956년 12월 23일, 국제선교방송인극동방송개국. - 한국최초의민간상업방송 HLZK가 1956년 5월 12일부터최초의 TV방송시작함. 방송국명은한국RCA연합회사 (Korea RCA Distributor). - 당시국내 TV 수상기가 300여대로경영에어려움겪음. 1957년 HLKZ TV를장기영에도양도하여대한방송주식회사 (DBC) 로개칭. 1959년 2월, 화재로 DBC 폐사. - 그러나 TV방송은미군방송 AFKN에의해서지속되었음. AFKN은 1957년 9월 5일 TV방송시작함.
4. 이승만정권의출범과언론 이승만정권하방송의발전 2-1956년청취율은서울중앙방송 41%, 기독교방송 33%, 미군방송 17%, 일본방송 9% 등. - 1959년 4월 15일, 한국최초민간상업라디오방송으로부산문화방송 (HLKU) 개국. 자금난으로동년 9월 23일, 부산일보와조선견직주식회사사주김지태에게소유권이양함. - 1959년 11월 15일, 금성사최초로국산라디오대량생산시작함. - 라디오대중화시작. 1959년말, 전국라디오보급율 20.8%. 농촌지역은 7%, 서울은 61.5% 에달함.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5.16 쿠데타와언론 - 1961년 5월 16일, 쿠데타군은 KBS를통해서 ' 혁명 ' 선언. 동아일보와경향신문등신문들쿠데타지지주장. - 1961년 5월 23일, 군사정권이 ' 사이비언론인및언론기관정화 ' 방안발표. 미국의타임지, 한국신문들을 ' 벙어리신문 ' 이라비판. - 1961년 5월, 계엄사령부가민족일보폐간통고. 발행인조용수사장, 동년 12월에사형집행. - 조용수의죽음은 ' 박정희의사상적콤플렉스 ' 가원인이라는분석.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신문의성장과정치적길들이기 - 박정희정권은언론에특혜를제공하여오직상업적성장에몰두하도록유도함. - 1967년당시신문들에게저금리로대출특혜제공. 신문용지수입관세인하, 저리의차관도입등. - 1960년대말에들어서면서신문이과거의政論紙를벗어나기시작함. 1961년총발행부수 74만부, 인구 100명당 2.9부에서 1967년에는각각 150만부, 5.1부로증가함. - 1971년 4.27 대선이후, 박정희정권은 ' 프레스카드 ' 제도도입하여언론길들이기나섬. 이제도는언론통제수단임과동시에신문산업경영합리화수단으로활용. 이른바이윤을보장하면서특혜로포섭하는 ' 권언유착 ' 으로전환함.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방송의성장 1-1961년 12월 31일, ' 국영방송 ' KBS TV 개국. 1일 4시간정규방송. - 당시국내 TV 수상기는약 1만대. 1962년 2월부터 2만대의 TV를일본과미국에서긴급도입하여월부로배로함. TV 수상기확보하기위한치열한경쟁벌어짐. - 1963년 1월부터 KBS 시청료징수. 동년 3월 1일부터광고방송시작. - 1963년 4월 25일, 민영동아방송 (DBS) 개국. 모기업은동아일보. 라디오광고활성화. - 1964년라디오서울 (RSB) 개국. 9월 15일홍진기사장취임하면서삼성계열사로편입됨. 이후동양방송 (TBS) 로개칭. - 1964년 12월 7일, 한국최초민간상업동양TV 개국. 이후 DTV에서 TBC로개칭했으며, KBS보다인기. 그러나뛰어난오락성에도불구하고정부의홍보매체역할수행.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방송의성장 2-1960년대중반은라디오의전성시대. 동아방송은 1965년부터하루 21시간방송개시. KBS, CBS, MBC, DBS, TBC의경쟁체제돌입. - 코미디물의높은인기와함께정권홍보수단으로방송이활용됨. - 1966년 ' 한국비요밀수비호방송사건 ' 발생. 삼성계열사가사카린밀수. 당시동양방송등삼성산하언론매체가한동안밀수를옹호함. - 1960년대말, TV의인기상승과 ' 아폴로 11호 ' 중계. - 1969년 8월 MBC TV 개국. KBS, MBC, TBC 3사의본격적인시청률경쟁시작. 이를통해오락적기능에역점을둔상업주의현상발생함. - 1970년대에들어서면서 TV의대중화시작. 일일연속극붐발생. - 1970년 10월 5일, 한국뉴스최초로앵커맨이진행하는 ' 뉴스데스크 ' 방송시작함.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10 월유신과언론 - 1972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발표. 국민들들뜬분위기. - 1972년 10월 17일, 통일을목표로한다는핑계로 '10월유신 ' 선언. 전국에비상계엄령선포및국회해산. - 1972년 ' 대통령종신제 ' 헌법개정안발표. 11월 21일국민투표에서 91.5% 찬성으로통과함. 12월 15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99.99% 지지로 8대박정희대통령당선. - 대규모여론조작에신문, 방송동원. 10월 17일 ~11월 21일까지방송은단독해설 218회, 좌담 398회, 특별프로그램 58회, 유신관련스폿드라마 1268회방송.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유신방송법과영화법 - 1973년 2월 16일방송법개정. 방송윤리위원회법정기구화. 교양프로그램편성높이도록법적으로강제하고중간광고금지. - 유신방송법은외형과는달리방송자율성억압을위한것이었고, 매우자의적인판단으로내용규제. - 1972년 12월 30일, 한국방송공사법공포로 1973년 3월 3일 KBS가한국방송공사로개편되었으나사실은철저한정권홍보방송으로전락. - 1973년 2월, 영화법개정. 영화업을허가제로바꾸로한국영화 4편제작또는우수영화상수상시외국영화수입토록함. 이는졸속제작과반공영화붐을일으킴.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자유언론실천선언과동아투위 - 1974년 3월, 동아노조설립. 사측에서 13명해고. 동년 10월 24일동아일보구성원 180여명이 3층편집국에서 ' 자유언론실천선언 ' 채택. - 1974년 12월부터정권은동아일보광고탄압시작. 동아일보에는기업광고가끊기고대신에국민들의격려광고쇄도. - 1975년 3월, 조선일보기자들도선언문채택. 사측에서는농성 6일째에 32명기자해고. - 1975년 3월 17일, 동아일보농성강제해산. 모두 113명해고.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유신정권의언론정책 - ' 채찍과당근정책 ' 의새로운전개. 1973년부터언론인의정관계진출적극도모함. 11개부처대변인전원을언론계에서기용함. 9대국회에서 19명언론인을여당공천으로당선시킴. - 1975년 4월 30일, ' 베트남패망 ' 계기로긴급조치 9호발동. 유언비어날조금지, 집회및시위금지. - 1975뇬 5월, 신문협회와방송협회는 ' 언론부조리숙정결의문 ' 발표. 프레스카드제강화. 보도지침강화. - 1970년대후반, 신문등언론은상업적으로크게성장. GNP에서광고비비중크게증가. 신문사간및신문과방송사이의경쟁격화.
5. 박정희정권과미디어 유신정권하의문화 - 나민과나훈아의인기. 신중현과정치권력의보복. - TV 일일연속극의인기가속화. 그이유중하나는저렴한제작비와광고효과. - 호스티스문화와소설의인기. ' 통블진 ' 문화와대학가문화논쟁. - 긴급조치 9호에따른대중가요통제. 1975년에만 225곡금지곡지정. ' 거짓말이야 ', ' 왜불러 ', ' 아침이슬 ' 등. - 1974년, 정권차원의방송외래어추방캠페인. - 1975년영화 ' 바보들의행진 ', 영자의전성시대 ' 인기. - 1977년리영희교수필화사건. ' 사실보다반공 ' 이우선.
< 참고문헌 > - 강준만 (2007). < 한국대중매체사 >. 인물과사상사. - 유선영외 (2007). < 한국의미디어사회문화사 >. 한국언론재단. - 최창봉, 강현두 (2001). < 우리방송 100 년 >. 현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