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의감성만족도모델개발 김현 한성호 * 김현경 박재현 박주환포항공과대학교산업경영공학과 * shan@postech.edu Development of the affective satisfaction model toward smartphone and application Hyun Kim, Sung H. Han, Hyun K. Kim, Jaehyun Park, Joohwan Park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POSTECH, Pohang, 790-784 ABSTRACT 감성이란사용자가상호작용하는대상에대해갖는느낌을일컫는것으로, 최근감성과관련된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다.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을대상으로감성만족도모델을개발하여, 감성하위항목을체계적으로검증하고또한그중요도를도출해보았다. 온라인평가를통해피실험자들은자신이사용하는스마트폰의외형에대한감성만족도와자주사용하는 3가지종류의어플리케이션에대한감성만족도를평가하였다. 이때총 6개의스마트폰외형과관련된평가항목과총 11개의어플리케이션과관련된평가항목이사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사용하여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의감성만족도모델이개발되었다. 본연구는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의감성항목을검증하고감성만족도모델을개발하였다는측면에서의의가있다. 감성만족도모델은추후스마트폰의개발및감성평가시참고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Keywords: Affect, Affective engineering, Smartphone, Application 1. 서론 최근감성에고조된관심과더불어관련연구들이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다. 특히감성은최근이슈화되는사용자경험에영향을미치는중요요소중하나이기때문에 ( 김현경등, 2009; Law and van Schaik, 2010), 감성연구에중요성이더욱부각되고있다. 감성은사용자가상호작용하는대상에대해갖는느낌및이미지를의미한다 (Han et al., 2000; Nagamachi, 1995). 인간의감성은개개인에따라매우주관적이며추상적이다 ( 차성희, 2006; Han et al., 2001). 이러한모호한감성의특성에 도불구하고감성이제품구매시중요한요소로인식됨에따라 ( 한성호, 2001; 황상민등, 2004), 휴대폰감성에관한연구가활발하게진행되어왔다 (Hong et al., 2008; Yun et al., 2003). 하지만스마트폰시대로변화되면서휴대폰의감성연구에변화가필요하다. 기존휴대폰감성연구에서는외형측면만고려하여감성연구가진행되었지만, 스마트폰의경우어플리케이션의감성측면또한추가하여연구되어야한다. 뿐만아니라기존감성연구들은감성어휘를수집하여감성하위항목을도출하는것에초점을맞추어진행되었다. 하지만도출된하위항목을검증하고, 각하위항목의
중요성을분석한연구는부족하다. 본연구에서는다중회귀분석을사용하여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의감성만족도모델을개발하였다. 스마트폰사용자들을대상으로온라인설문조사를통해스마트폰외형과어플리케이션에대한감성만족도를수집하였다. 이를통해감성하위항목을검증하고또한항목별중요도를분석하였다. 표1. 스마트폰외형의감성하위항목정의 하위항목 정의 색감 스마트폰외형의색으로부터받는느낌 재질감 스마트폰외형의재질로부터받는느낌 정교성 스마트폰외형이정교하고세밀하게만들어진정도 단순성 스마트폰외형이복잡하지않고단순해보이는정도 2. 실험계획 고급감 매력성 스마트폰외형의고급스러움이나화려한느낌 스마트폰외형에대해매력을느끼는정도 감성만족도모델을만들기앞서스마트폰외형과관련된총 6개의감성하위항목과어플리케이션과관련된총 11개의감성하위항목을도출하고정의하였다. 스마트폰외형의감성하위항목으로는색감, 재질감, 정교성, 단순성, 고급감, 매력성이사용되었다 (Park et al., 2011).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감성의경우, 이전연구가부족하였기때문에문헌조사와 Focus Group Interview(FGI) 를통해하위항목을도출하였다. 이과정을통해어플리케이션의감성하위항목으로는정교성, 단순성, 신속성, 현실감, 중독성, 적합성, 고급감, 우수성, 매력성, 신뢰성, 참신성이도출되었다. 표1, 표2는각감성하위요소별정의를나타낸다. 평가실험은불특정다수의피실험자를대상으로온라인에서진행되었다. 각피실험자는나이, 성별, 현재사용하는스마트폰기종정보와함께자주사용하는 3가지종류의어플리케이션을입력하였다. 이후현재사용하는스마트폰의외형및 3가지종류의어플리케이션에대한감성만족도를 100점만점으로평가하였다. 온라인평가는실험실평가와달리평가수행자격또는자질이부족한피실험자가평가에참여할수있다. 보다신뢰할수있는실험결과를위해객관적인기준에따라피실험자를검증하는과정을거쳤다. 본연구에서는객관적인피실험자검증기준으로유의하지않은점수기입한경우, 특정점수비중이 75% 이상으로너무높은경우, 같은점수를 10회이상연속적으로기입한경우, 기입한점수의종류가 3 종류이하로적은경우, 시간이 3분이내로너무짧은경우, 질문을잘못이해한경우를적용하여불성실한평가자를검증하였다. 또한주민등록인증모듈적용과 IP 주소정보수집을이용하여중복평가자를검증하였다. 표 2.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감성하위항목정의 하위항목 정교성 단순성 신속성 현실감 중독성 적합성 고급감 우수성 매력성 신뢰성 참신성 3.1 실험참여자 정의 어플리케이션의인터페이스가정교하고세밀하게만들어진정도 어플리케이션의인터페이스가복잡하지않고단순해보이는정도 어플리케이션의인터페이스의변화속도가빠른정도 어플리케이션에대한현실적이고실제같은느낌 사용자가어플리케이션에대해중독된정도 어플리케이션이사용자의요구및기대에적합한정도 어플리케이션의인터페이스의고급스러움이나화려한느낌 사용자가어플리케이션에대해우수하다고느끼는정도 어플리케이션에대해매력을느끼는정도 사용자가어플리케이션에대해신뢰가간다고느끼는정도 인터페이스가일반적인형태, 모양, 양식에비해두드러지게다른정도 3. 실험결과 일주일간의온라인평가를통해총 273명의피실험자가본실험에참여하였다. 이중피실험자검증절차를거친최종피실험자는 244명으로판별되었다. 피실험자의 85% 가남성이었으며, 15% 가여성이었다. 피실험자들은 Samsung, Apple, HTC, LG, Motorola, Blackberry, SKY, Sony Ericsson 등
다양한브랜드의스마트폰을소지한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카카오톡, 페이스북, 웹브라우저등총 211가지종류의어플리케이션을자주사용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3.2 스마트폰의감성만족도모델스마트폰외형의감성을분석하기위해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스마트폰외형의감성만족도모델의결과는다음과같다. 외형감성 = 9.55 + 0.12* ( 색감 ) + 0.13* ( 재질감 ) + 0.13* ( 정교성 ) (1) + 0.19* ( 단순성 ) + 0.11* ( 고급감 ) + 0.22* ( 매력성 ) Note : *p<0.05 종속변수로는스마트폰외형의감성만족도, 독립변수로는색감, 재질감, 정교성, 단순성, 고급감, 매력성의 6개항목이사용되었다. 분석결과, Adj R-sq 는 82.1% 를나타냈고, VIF(Variance Influence Factor) 는 10 이하의값을보여독립변수간다중공산성 (Multicollinearity) 이낮음을확인하였다. 또한 Cp 통계량을통해 6개의독립변수가모두포함될경우, 회귀모형의편의 (bias) 가가장작은것을알수있었다. 6개의항목모두유의한변수로도출되었다. 다음으로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감성을분석하기위해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감성만족도모델의결과는다음과같다. 어플리케이션감성 = 8.04 + 0.10* ( 정교성 ) + 0.05* ( 단순성 ) + 0.10* ( 신속성 ) + 0.02 ( 현실감 ) + 0.06* ( 중독성 ) (2) + 0.22* ( 적합성 ) + 0.04* ( 고급감 ) + 0.17* ( 우수성 ) + 0.07* ( 매력성 ) + 0.04* ( 신뢰성 ) + 0.04* ( 참신성 ) Note : *p<0.05 종속변수로는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의감성만족도, 독립변수로는정교성, 단순성, 신속성, 현실감, 중독성, 적합성, 고급감, 우수성, 매력성, 신뢰성, 참신성의 11개항목이사용되었다. 분석결과, Adj R-sq 는 82.6% 를나타냈고, 모든독립변수의 VIF는 10 이하를값을보였다. Cp 통계량에따라 11개의독립변수가모두포함될경우, 회귀모형의편의가가장작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11개의독립변수중현실감은유의하지않은변수로도출되었다. 4. 토의 본연구는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감성만족도모델을통해각감성하위항목들을실제실험을통해검증해보았다는측면에서의의가있다. 스마트폰외형을통한감성의경우, 6개의감성하위항목모두유의한항목으로도출되었다. 반면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을통한감성의경우, 10개의감성하위항목은유의한항목이었지만, 현실감은유의하지않은항목으로도출되었다. 이는현실감이게임등과같은특정어플리케이션에서만영향을줄뿐, 대다수의어플리케이션에는사용자의감성만족도에영향을주지않는항목이기때문이다. 이에따라현실감은어플리케이션의감성하위항목에서제외되어야한다. 또한스마트폰감성에중요한영향을끼치는주요감성하위항목을파악할수있었다스마트폰의감성만족도평가결과, 외형의경우단순성과매력성이, 어플리케이션의경우적합성, 우수성, 신속성이중요한항목임을확인하였다. 따라서훗날감성만족도가높은스마트폰및어플리케이션을개발하기위해서는각주요항목을특히고려해야할것으로분석된다. 5. 결론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에대한감성만족도를온라인설문을통해평가하고, 다중회귀분석을바탕으로감성만족도모델을분석하였다. 이를통해스마트폰외형및어플리케이션의감성에주요영향을미치는감성하위항목을도출할수있었다. 본연구에서개발된감성만족도모델은추후스마트폰의개발및감성평가시참고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또한주관적이고추상적인특징을가진감성의특성을이해하는데활용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감사의글 이논문은 2011년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o. 2011-0000115)
참고문헌 김현경, 한성호, 박재현, 박원규, 박용성, 조영석, 천재민, 오승환, 문헌분석을통한사용자경험의정의, 대한산업공학회추계학술대회, 2009. 차성희, 감성공학에의한디자인, 한국가구학회지, 17(2), 2006. 한성호, 제품디자인의감성만족도평가및예측모델개발, 대한인간공학회지, 20(1), 87-113, 2001. 황상민, 정지혼, 정선화, 김지연, 소비자선호와라이프스타일에기초한컨셉트제품의감성이미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5(1), 21-32, 2004. Han, S.H., Yun, M.H., Kim, K., Kwahk, J., Evaluation of product usabil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usability dimensions and design elements based on empirical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6, 477-488, 2000. Han, S.H., Yun, M.H., Kwahk, J., Hong, S.W., Usability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8, 143 151, 2001. Hong, S.W., Han, S.H., Kim, K., Optimal balancing of multiple affective satisfaction dimensions: A case study on mobile phon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8(3-4), 272-279, 2008. Law, E.L-C.and Van Schaik, P., Modelling user experience - An agenda for research and practice, Interacting with Computers, 22(5), 313-322, 2010. Nagamachi, M., Kansei engineering: a new ergonomic consumer-oriented technology for product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5, 3-11, 1995. Park, J., Han, S.H., Kim, H.K., Cho, Y., Park, W., Developing elements of user experience for mobile phones and services: survey, interview, and observation approaches,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 Service Industries, Accepted, 2011. Yun, M.H., Han, S.H., Hong, S.W., Kim, J., Incorporating user satisfaction into the look-and-feel of mobile phone design, Ergonomics, 13/14, 1423-144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