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풍바루근대토속주거의유형분류에관한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Modern Vernacular Houses in Kampong Bharu, Malaysia 김민경 * 주서령 ** Kim, Min Kyoung Ju, Seo Ryeung Abstract In Kampong Bharu, located in the capital city of Malaysia, Kuala Lumpur, where the many valuable vernacular houses are preserved. According to the author s precedent studies (Ju et al, 2012), there are a variety of Malay housing typologies such as vernacular houses of Kampong Bharu can be classified into the traditional vernacular house I (Bumbung Panjang style), the traditional vernacular house II (Bumbung Perak style), the colonial vernacular house, and the modern vernacular house. In this study, we focus on classification of the modern vernacular houses in Kampong Bharu, respect with space organization and elevation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odern vernacular houses,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unique principle of modifying process of vernacular houses in Malaysia. Derived from the process in which vernacular houses change with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the modern vernacular house in Kampong Bharu is most of which were built in the 1940s to 1960s. As a consequence of research, Modern vernacular houses actively reflected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in the use of structure and building materials, but have maintained the traditional character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and elevation. Keywords : Modern Vernacular House, Vernacular House, Kampong Bharu, Classification 주요어 : 근대토속주거, 토속주거, 깜풍바루, 유형분류 I. 서론 깜풍바루 (K am po ng Bh ar u ) 는 18 99 년에형성된말레이인종보호거주지역으로말레이시아의수도인쿠알라룸푸르에위치하고있다. 수도의중심부에위치하였지만여전히말레이인들의전통적인생활방식이보존되고있는지역으로, 이곳에서는새로운문화의유입, 식민지배, 근대화의영향에토착화된다양한주거유형이발견된다. 선행연구 (Ju et al, 2012) 에서는깜풍바루의토속주거에대해 Tr a d i ti on al V er na cu la r H ou se I ( 판장지붕형토속주거 ), Tr a d i ti o na l Ver n ac u la r House II ( 페락지붕형토속주거 ), C olo ni a l Ver n ac u la r H ou se( 식민토속주거 ), Mod er n * 정회원 ( 주저자 ), 경희대학교주거환경학과박사수료 ** 정회원 ( 교신저자 ), 경희대학교주거환경학과교수, 공학박사, 생활과학연구소연구원본논문은 2012 년도경희대학교특별교비연구비의지원에의하여수행되었음. Ver na c ul ar H ou se( 근대토속주거 ) 의 4 가지유형으로분류한바있다. 본연구는말레이시아토속주거의근대화특성을추적하는연구의일환으로, 깜풍바루주거유형분류의후속연구로근대토속주거에초점을맞추고있다. 근대토속주거는근대화에따른생활방식의변화와건축기술및건축재료의발전으로인하여토속주거의근대화과정에서파생된유형으로써, 공간구성, 입면형태, 건축재료상다양성이발견되는데, 구조적인측면에서보다두드러지게나타난다. 따라서, 전통적토속주거와의차별성을파악하고, 근대적토속주거의독자성을파악하기위해서는다양하게나타나는근대토속주거유형에대한세부적유형분류의필요성이대두된다. 본연구의주요연구대상은 M.A.S 1).(Malay 1) M.A.S. 에는토지분할단위로 lot. number( 예 : lot.124) 를사용하여깜풍바루내모든 lot 에건축되는건물에대한도면및신축, 개축, 증축, 소유권이전과같은기록을소장하고있다.
Agricultural Settlement) 에소장된깜풍바루의주택도면이다. 이도면파악후, 현지사례조사를통하여대상주택의현재실존상황을파악하였다. 그림 1. M.A.S. 의깜풍바루주택에대한기록문서 사례 조사는 도면의 수집, 근대토속주거에 대한 현 존 상황에 대한 실태조사, 주민 및 전문가 2)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수집은 2010년 2월 27일부터 4월 23일에 걸쳐 수집한 540개 도면에 대한 사진촬영 과 스케치를 통해 수집하였다. 도면이 누락된 것 (75개) 과 주택 일부에 대한 개축 및 증축에 대한 도면만 수 록하고 있는 것 (209개) 을 제외하여 256개 사례에 대한 유형분류가 이루어졌다. 말레이시아 토속주거에 대한 연구서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총 80개 사례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근대 토속주거의 특성을 밝히기 앞서 선 행되는 세부적 유형분류로써 구조적 측면에서 유형을 분류하고, 이와 함께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성 및 입면 특성을 파악하였다. II. 말레이시아의토속주거 말레이시아의토속주거는용도별로분화된각채가연결되는평면을가지고있다. 공간구성은세람비 (serambi; 주로남자손님의접대와사회적, 종교활동장소 ), 루마이부 (rumah ibu; 가족의취침, 기도, 가사일, 가족활동장소 ), 다푸르 (dapur; 건물의후면에위치, 여자들의사적공간, 부엌 ) 를기본으로한다. 여기에안정 (anjung; 손님접대, 사교, 가족휴식공간, 현관 ) 과셀랑 (selang; 루마이부와다푸르를연결하는통로, 여자손님의접대공간 ) 이더해진다. 이때, 중심건물인루마이부의바닥높이를가장높게하여공간의중요성을나타낸다 3). 입면은주택의형태, 질서등을인체의질서에근거한다는신인동형론 (Anthropomorphism) 적철학에근거 2) 전문가인터뷰는 Malay Agricultural Settlement 의 honorable secretary 인 Mr. Shamsuri 에의해실시되었다. 3) 말레이시아토속주거의공간구성에대한 Ariffin(2001), Chen(1998), Ju et al(2012), Lim(1987), 고영은 (2010) 의분석을종합하여재구성하였다. 하고있다. 지붕 ( 머리 ), 벽 ( 몸 ), 기둥 ( 다리 ) 의세부분으로분류된다 (Ariffin, 2001). 먼저, 지붕은양끝이박공구조로높고가파른경사이며, 지붕재로아탑 (attap) 을사용하는것이초기방식이다. 형태에따라 4가지로분류하는데, 토착양식으로긴박공지붕인판장지붕 (Bumbung Panjang) 과외세의영향을받은양식으로맞배지붕인페락지붕 (Bumbung Perak), 모임지붕인리마지붕 (BumBung Lima), 피라미드형태로주택외모스크 (mosque) 나수라우 (surau, 기도실 ) 에사용되는리마스지붕 (Bumbung Limas) 로분류할수있다. 벽은수직, 수평의조합으로배열된목재패널을사용하며, 일반적으로세람비에는긴창인전델라 (jendela), 루마이부와다푸르에는짧은창인팅캅 (tingkap) 이사용된다. 말레이시아의토속주거는고상식주거로기둥 (tiang) 은주택의견고성과내구성을책임지고있는부분이다. 초기에는땅에묻힌형태였으나, 주춧돌 (pelapik tiang) 위에기둥을얹은구조로변화하였는데, 이두개의요소가기둥의주요구조라할수있다 4). III. 근대토속주거의유형 분석대상은총 80개사례로, M.A.S. 의기록에의하면 1940년대 (4), 1950년대 (46), 1960년대 (29), 1970년대 (1) 로주로 1950~60년대에신축된주택들이다. 표 1. 분석대상사례의개요 유형고상식 + 고상식년대지상식 지상식 다층 계 1940 449-b,504 515-a 250-a - 4 7,33,43,54,1 1950 13-a,113-b,1 2,10,13,18,9 14-a,229-b,2 93-c,111,159 2-b,312-a,38 33-b,270-a,3 -b,217-b,274 94-a,114-b,1 0-a,406-a-ii, 13-a,338-b,4 -a,316-a,317 24-a,150-a,3 441-a,453-c, 03-a,407,410 -b,332-a,728 25-b 557-a,1061- -b-i,439-b,50 -b b,1109 6,729-b,110 46 5 1960 20 64,269-c,318,323-b,328-b,342-b,475,5 58-a,1108-aii 3,49,66,115- b,163-b,231- b,270-b,279- b,288-b,339- b,403-c,456- a, 29,122-a,334 -a,342-a,390 -b,429-a,110 2 (Lot.no) 1970 - - 273-a - 1 계 16 29 23 12 80 고상식구조를특징으로하는말레이시아토속주거의구조적특성을기본으로하여유형분류를한결과을기준으로근대토속주거의유형을분류하여보면, 4) 말레이시아토속주거의입면에대한 Ariffin(2001), Chen(1988), Ju et al(2012), Lim(1987), 고영은 (2010) 의분석을종합하여재구성하였다. 29
토속주거를 따르고 있는 고상식 유형, 고상식과 지상 식이 혼합된 유형, 지상식 유형, 다층 유형의 4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1. 고상식유형말레이시아의토속주거는 고상식으로 일반적으로 루 마이부의 바닥높이가 가장 높고 다푸르가 가장 낮은, 각기 다른 바닥높이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비교적 토속주거를 따르는 경우는 2사례 (Lot.92-b, 1061-b) 에 불과했다. 모두 단독주택으로 루 마이부와 다푸르는 같은 바닥높이이며, 출입을 위한 부분만 낮게 구성된다. 고상식 유형에서는 전체 바닥이 단일한 높이로 구성 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유형은 건물 외벽을 세운 후 내벽으로 공간을 분리하는 근대적 건축기술이 사용된 것으로, 토속적인 건축수법과는 전혀 다른 방 식으로 지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바닥높이를 각기 다르게 하는 구법보다 기술적으로 비교적 쉬운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때 공간별로 별도의 지붕을 구성하거 나, 안정부분을 돌출되게 표현하여토속주거와 입면상 의 공통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파악된다. 부와후면부가각기다른평면을가지고있는데, 주택소유주의영역이전면부에위치하며보다넓은반면임대영역은후면에간소한평면으로구성되어영역이뚜렷하게구별된다. 주요공간인루마이부의지붕은페락 (7사례), 판장 (5 사례 ), 판장지붕이간소화된형태인박공 (4사례) 의순으로나타났다. 지붕재는아연과골함석이주로사용되고있었다. 토속주거에서는야생야자잎을엮어지붕재로만들어사용하였는데이를아탑 (attap) 이라고칭한다. 단독주택으로구성된박공지붕형 (lot.2, 449-b, 1061-b) 에서만아탑을지붕재로사용하였고, 페락지붕중공동주택인 1사례 (lot.504) 만타일이사용되었다. 토속주거는공간별로별도의지붕을가지고있지만하나의판장지붕으로만구성된사례 (lot.406-a-ii) 가나타나기도했다. 모든사례가토속방식에따른목재패널벽으로구성되어있었고, 콘크리트기둥를사용한 2사례 (lot.13, 20) 를제외하고모두토속방식에따른경목재 (hard wood) 를기둥으로사용하고있었다. 그림 2. 고상식유형의사례공간구성방식은 2사례 (lot.312-a, 1061-b) 를제외하고대부분안정-세람비-루마이부-다푸르의토속주거의공간위계방식을따르고있다. 공동주택로구성되는사례 (lot.312-a, 504, 1109) 도발견되었는데, 같은바닥높이로구성된유형에서만발견된다. 박공지붕형과판장지붕형의경우각유닛이동일한평면으로나란히배치하는방식을사용하고있다. 이러한평면의경우전체를임대로사용하여소득을내기위한목적이크다고한다. 반면, 페락지붕형은전면 그림 3. 고상식유형의건축요소간관계도 2. 고상식과지상식혼합유형가장두드러지는경향은주택의스타일에관계없이루마이부와루마이부전면에배치되는안정및세람비는고상식을유지하되, 다푸르를지상식으로건축하는고상식과지상식의혼합유형이다. 이유형역시공간구성은대체로토속주거의방식이고수되고있음이파악되었다. 2사례 (lot.232-b, 342-b) 만예외적인데, 루마이부와다푸르로만구성되며모두박공지붕형에서나타난다.
나타나게된유형이라할수있겠다. 또한, 전문가인터뷰를통해일반적으로이러한형태는좀더넓은공간의필요에의해증축행위를하는경우에주로나타난다고하는데, 신축주택에서도동일한양상이나타나는것은유사이웃주택의영향에의한것임이파악되었다. 그림 4. 고상식과지상식혼합유형의사례 지붕은페락 (13사례), 판장 (7사례), 박공 (7사례), 리마 (2사례) 의순으로나타나며, 재붕재로아연과골함석이가장많이사용된다. 이유형에서는알루미늄시트 (lot.233-b, 338-b), 석면 (lot.318), 타일 (lot.7, 64, 113-a) 과같이다양한지붕재의사용이파악된다. 아탑은판장 (lot.229-b, 407, 729-b) 과박공지붕 (lot.515-a) 에서만사용되며, 타일 (lot.7, 64, 113-a) 은페락지붕에서만사용되고있다. 공동주택은페락 (2사례), 판장 (3사례), 박공 (5사례) 로공동주택의경우비교적간소한형태인박공지붕이좀더선호되고있다. 또한, 지붕의형태에따라임대영역의구성방식의차이가발견되는점은앞서살펴본고상식유형과동일하다. 다푸르의벽을제외하고모두토속방식의목재패널로구성된다. 다푸르의벽은하부즉지면과닿는부분을일부만근대적건축재인콘크리트또는벽돌벽으로구성하고있었다. 그림 6. 고상식과지상식혼합유형의건축요소간관계도 3. 지상식유형지상식유형은고상식과지상식혼합유형과함께가장많은비중을차지한다. 공간구성및입면상토속주거와큰차이를보이지않으나지상식구조로지어진유형이다. 그림 5. 지면과닿는벽일부의콘크리트사용사례 창문의 형태는 주로 토속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페 락지붕형에서 덧창에 유리를 끼운 사례 (lot.318, 1105) 가 나타나기도 한다. 페락지붕형에서는 콘크리트 기둥 (10사례) 을 사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다른 지붕형 에서는 각 한 사례씩의 사용이 파악된다. 고상식 유형 에 비해 콘크리트 기둥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할 수 있다. 다푸르만 지상식으로 구성하는 것은 다푸르의 바닥 높이가 가장 낮은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관습의 영 향도 있지만, 주민 인터뷰에 따르면 장을 봐온 물건을 부엌으로 옮기는데 용이하기 때문이라 한다. 건축재 및 기술의 발달과 함께 주민의 생활 편의가 반영되어 그림 7. 지상식유형의사례대체로토속주거의공간구성을따르고있으며, 상기유형에서도나타난루마이부와다푸르로만구성된평면 (8 사례 ) 이다른유형에비해많이사용되고있다. 이유형은총 23사례중 17사례가공동주택이다. 다른유형에서는루마이부및다푸르내에서침실과거실의분리및부엌과식당의분리와같은용도에따른공간의분화가보편적이나, 이유형은반대로세람비- 루마이부 ( 침실 )-다푸르( 부엌 ) 으로만구성된간소한평면이보편적이다. 지붕의형태에서도간소화경향이파악되는데, 다른유형과달리박공지붕 (16사례) 이가장많이사용되고
있다. 지붕의 형태는 판장 (4사례), 페락 (2사례), 리마 (1 사례 ) 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다. 판장지붕에서만 아탑 (3 사례 ) 의 사용이 파악되며, 다른 유형과 같이 주로 아연 과 골함석의 사용이 보편적이다. 이와 함께 박공지붕 에 타일 (1사례), 석면이 사용되며 3사례에 불과하지만 아덱스 (ardex sheet) 의 사용이 나타난다. 목재패널을 벽재로 사용하지만 창문 아래부터는 벽 돌이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예 외적인 사례도 나타나는데, 판장지붕형에서만 지상식 임에도 전체 벽을 목재 패널로 구성 (2사례) 한 경우가 나타난다. 이러한 주택의 경우 고상식이 아닐뿐이지 토속주거의 입면적 특성이 그대로 고수되어 나타난다. 창문은 토속방식을 따르는 것이 보편적이며, 다른 유형에 비해 창의 면적이 넓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2사례에 불과하지만 루버창이 사용되고 있음이 파악된다. 지상식으로 건축하는 것은 근대적 건축재의 활용 및 수도시설 및 하수처리 시설 발달과 관계가 있다. 빗물 의 빠른 배수를 위하여 처마라인을 따라 배수로를 설 치하여 더 이상 침수 피해가 없고, 콘크리트를 사용하 여 지면을 다진 후 주택을 올리는 건축방식으로 지상 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콘크리트 기단이 있지만 고온 다습한 말레이시아의 기후 상 습기에 대한 목재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벽의 하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벽돌을 사용하지만 상부는 토속방식을 고수하며 목재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입면상 토속적인 속성을 내재하고 있어 근대토속주거 에 포함된다. 그림 9. 다층유형의사례 다층 유형은 크게 전층을 모두 한 가족을 위해 사용 하는 방식과 건축 당초부터 임대를 위하여 만들어진 공동주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임대를 위하여 만들어 진 경우는 동일 평면이 나열되어 구성되며, 한 가족을 위한 주택의 경우는 다푸르를 1층에 배치되어 주로 취 침, 독서, 가족거실로 사용되는 2층과 분리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한가족을 위한 주택에서는 주택 내부에 하나 이상의 층간 이동을 위한 계단이 배치되 어있다. 그림 10. 다층유형의건축요소간관계도 그림 8. 지상식유형의건축요소간관계도 4. 다층유형말레이시아의토속주거는단층으로구성되지만, 이유형은 2층으로구성된사례에대한것이다. 다층유형은 2층으로구성되고, 입면상방갈로와유사한점이있어식민토속주거에속할수있지만, 공간구성및 모두토속적공간구성방식이고수되고있으며, 이유형의경우모두페락지붕인것이특성이다. 지붕의재료는아연및골함석 (7사례), 석면 (2사례), 타일 (2사례 ), 아덱스 (1사례) 의순으로나타났다. 1층은높은콘크리트기둥에벽을세웠고, 2층은토속적입면형태가유지되고있다. 1층벽은지상식유형과같이벽의하부만벽돌이나콘크리트를사용하는
방식과 1층 전체 벽을 별돌이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나타난다. 반면 전체층의 벽이 목재 패널로 구 성된 사례 (lot.325-b) 가 나타나기도 했다. V. 결론 본 연구는 깜풍바루의 근대 토속주거에 대한 유형 분류에 대한 연구로써, 말레이시아토속주거의 근대화 특성을 밝히기 앞서 선행된 연구이다. 깜풍바루의 근대 토속주거는 주로 1 95 0~6 0 년대에 신축된 것으로, 구조적 측면에서의유형분류와 공간구 성 및 입면에 대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측면에서 근대 토속주거는 토속주거의 속성을 고수하고 있는 고상식 유형, 주택의 전면부는 고상식이되 일부 공간만 지상식으로 구성하는 고상식 과 지상식 혼합 유형, 지상식 유형, 다층 유형 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유 형의 등장은 수도 및 하수처리시설의 발달과 근대적 건축재료의 도입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모든 유형에서 토속주거의 공간배치 위계가 고수되고 있다. 또한, 임대 소득 발생을 목적으로 한 공동주택이 나타난다. 토속 지붕인 판장과 식민지 시 대 네덜란드와 영국의 영향으로 나타난 페락지붕이 주 로 사용되며, 페락지붕의 사용이 보다 두드러진다. 벽 은 고상식 유형만 목재 패널로 구성된다. 벽과 기둥은 주택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상식으로 건축되는 과정에 서 부분적인 벽돌과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변화가 나타 난다. 연구의 결과 구조와건축재료의 사용은 근대적 영향 을 적극 수용하였지만, 공간구성의 위계와 입면에 있 어서는 전통성이 고수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유형분류에 좀 더 비중을 두고 있어 아직 공간구성 및 입면적 특성을 명확히 정의내리기는 어렵 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한 후속 연구로써 근대 토속주 거의 공간구성 및 입면적 특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 연구를 통해 말레이시아토속주거의 근대화 특성에 대 한 명확한 정의가 완성될 것이라 기대한다. Vol. 5: Architecture. Singapore: Archipelago Press. 5. Ju, S. R. and Kim, M. K. (2011). A Study of Modern Vernacular Houses in Kampong Bharu, Malaysia. maan Seoul 2011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pp.89-101. 6. Ju, S. R. and Saari, B. O. (2010). A Typology of Modern Housing in Malaysi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1(1). pp.109-119. 7. Ju, S. R. and Saari, B. O. and Ko, Y. E. (2012). Modernization of the Vernacular Malay House in Kampong Bharu, Kuala Lumpur.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1(1). pp.95-102. 8. Lim, J. Y. (1987) The Malay House: Rediscovering Malaysia s Indigenous Shelter System. Malaysia: Institut Masyarakat. 9. Nasir, A. H.(1997). The Traditional Malay house. Malaysia: Kim Hup Lee Printing Co. Pte. Ltd. 참고문헌 1. 고영은 (2010). 말레이시아전통주택입면요소의근대화에관한연구. 경희대학교석사학위논문. 2. 주서령 김민경 (2010). 동남아시아토속주거의특성에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6). 19-29. 3. Ariffin, S. I. (2001). Order in Traditional Malay House Form. Oxford Brookes University.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4. Chen, V. F. (1998). The Encyclopedia of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