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일 : 2017. 9. 30 심사완료일 : 2017. 11. 9 게재확정일 : 2017.11. 9 -A 한복동호회사례를중심으로 - 주도경 ( 서울대학교인류학과석사 ) 1. 서론 2. 한복의역사적맥락 3. 한복입기의개인적실천 4. 한복입기의근거가되는전통성 5. 결론
1. 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최근몇년간한복은특히젊은층사이에서유행하고있다. 고궁이나한옥마을등지에서대여한한복을입고거니는모습은이제낯설지않은풍경이되었다. 2015년한두곳에불과했던한복대여점은 2년사이에 50곳이넘게생겼으며 1), 인사동에위치한한한복대여업체는하루평균 150-200명, 성수기에는 300-400명에가까운이용객이방문한다. 2) 한복대여는하나의새로운체험으로친구와의추억쌓기, 연인과의데이트코스등으로경험되고있다. 자주경험하지않는일인만큼대부분은인증사진을찍고이를 SNS에올린다. 이를반영하듯이사진을주로업로드하는 SNS인인스타그램에는한복과관련된게시물이 66만건, 한복과인스타그램의합성어인한복스타그램과관련된게시물은 12만건이검색된다. 3) 처음에는이색체험처럼여겨졌던한복대여는점차유행이확산되면서버킷리스트로까지자리잡았다. 한복은또한이렇게한시적인상황에서만이아니라패션아이템으로도소비되고있다. 2014년이후생활한복온라인쇼핑몰이급증했으며초기에철릭원피스나허리치마와같은한정적인품목만다루어졌던것과달리종류도다양해졌다. 한인터넷쇼핑몰은한달 (2017년 3월 27일 4월 26일 ) 동안패션및전통한복판매가전년동기대비 3배 (241%) 이상급증했다고한다. 4) 최근에는온라인만이아니라백화점팝업스토어등오프라인판매도증가하고있다. 이처럼한복은명절이나결혼식, 돌잔치나초등학교학예회등에서만입던옷에서색다른체험을위한옷, 인증사진을찍기위한옷, 유행하는패션아이템으로새롭게소비되고있다. 이와같은한복의유행은크게두가지를보여준다. 먼저전통이얼마나일상과유리되어있는지를보여준다. 대여한복이이색체험으로경험되듯이한옥스테이, 명절에개최되는전통놀이나공예체험행사등전통은체험의형태로나타나고있다. 이는전통이 우리나라 * 본논문은서울대학교인류학과석사학위청구논문 한복의재전유와전통성 A 한복동호회사례를중심으로 - 를요약및발췌한것이다. 1) 세계일보 2017.04.09 [ 심층기획 ] " 정말공주가된것같아요 " 한복에빠진사람들 (http://www.segye.com/newsview/ 20170407002392) 2) 조선비즈 2017.03.29 봄날맞은한복업계 고루한명절옷 에서 우아한일상복 으로탈바꿈 (http://biz.chosun.com/site/ data/html_dir/2017/03/29/2017032901688.html#csidx1251f6a8502c5a5940a25bd99e7006c ) 3) 한국경제매거진 2017.04.11 # 한복스타그램 인기폭발 일상을바꾼한복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 apps/news?popup=0&nid=01&c1=1003&nkey=2017041001115000231&mode=sub_view) 4) 국민일보 2017.05.01 [And 라이프 ] 고운커플한복입고남친과셀카찍기! 20 대女단골버킷리스트 (http://news.kmib.co.kr/ article/view.asp?arcid=0923739064&code=14110000&cp=nv) 201
의것임에도도리어이국적으로경험되고, 일상보다는일탈의형태로경험되고있음을말해 준다. 다음으로전통이개인들에의해, 개인적인목적으로행해지고있음을보여준다. 일상과 유리되어가는전통을되살리려는노력은주로국가주의이데올로기하에정치적인목적으 로, 혹은문화콘텐츠나관광자원으로활용하여수익을창출하기위한경제적인목적으로시 도되었다. 현재에도그러한경향성이지속적으로나타나고있으나국가보다는개인이주체가 되고, 영리적목적보다는비영리적인목적을지니는모습이생겨나고있으며현재의한복유 행도같은맥락아래있다. 202 위두모습에착안하여본논문에서는전통이마치이국적인것처럼새롭게경험되는모 습과국가와자본이아닌개인이주체가되는전통의실천에주목하고자한다. 전통과관련 된기존연구는정치적, 경제적차원에서논해진경향이있다. 국가와민족정체성의구축, 문화상품화혹은관광자원화와같은현재의필요에따라서전통이선택적이고해석적으로 구성되고활용된다는점을지적하고밝히는연구가많이수행되었다. 5) 이러한전통에대한 논의는전통발명의주체를국가혹은민족집단으로만설정하거나자본이가지는힘이개 별주체보다강조되는경향이있다. 6) 그러나민속현상의운반자 (carriers) 가누구인지에대한 질문을던져본다면, 국가의지배와공식적이고정치적인영향만이아니라실행해나가는주체 에도주목할필요성을알수있다. 7) 전통은집단뿐아니라개인의선택에서도발명되고 8), 집단의정체성과차별화되는개인의정체성을창출하기위해서선택될수있다. 9) 이와같은 문제의식을가지고전통과개인의관계에대한연구가이루어졌으나주로시, 노래, 이야기 등 말 에대한내용을다루고있다. 10) 본논문에서는말이아닌물질에초점을맞추고자한 다. 특히한복과같은옷은단일한형태를지닌것이아니기에다양한모양으로변화될수 있으며, 개별적몸에입혀지므로각자서로다른형태의옷입기실천을하는모습을보여줄 수있다. 이를통해개인들에게전통이어떻게새롭게실천되고있는지를알아볼수있을것 5) 지면의한계로몇가지만소개하면다음과같다. 대표적으로전통의발명을논한홉스봄 & 랑거, 박지향외역, 2006, 만들어진전통, 서울 : 휴머니스트 ; 하와이인들의정체성구축을위해형성된산물로서의전통을제시한 Linnekin, Jocelyn S., 1983, Defining Tradition: Variations on the Hawaiian Identity, American Ethnologist 10(2), pp.241~252; 무형문화재의내셔널한표상으로서의기능을논한정수진, 2009, 무형문화재의관광자원화와포클로리즘, pp.57~84 한국민속학 49; 강릉단오제가어떻게지역정체성과경제활성화에활용되는지를살펴본남근우, 2006, 민속의문화재화와관광화, 한국민속학 43, pp.205~253 6) 권혁희, 2014, 내셔널리즘과전통의발명, 비교문화연구 20(2), pp.95~138 참고 7) Bausinger, Hermann, 1969, Folklorimus in Europa: Ein Umfrage, Zeitschrift für Volkskunde 65, p.6, Šmidchens, Guntis, 1999, Folklorism revisited, Journal of Folklore Research 36(1), p.59 에서재인용 8) Mcdonald, Barry, 1997, Tradition As Personal Relationship,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435, pp.47~67 9) Jones, Michael Owen, 1995, Why Make (Folk) Art, Western Folklore 54, pp.253~276 10) Cashman, Ray, Tom Mould, Pravina Shukla, 2011, The Individual and Tradition: Folkloristic Perspective, Indiana University Press, p.5 이다. 한복은전통이기도하지만동시에의복이기도하다. 본논문에서는한복이전통이라는점 과더불어의복, 즉물질이라는점에도주목하고자한다. 한복을의복으로서다룬연구들은 대부분의복의물질성에만초점을맞추는경향이있다. 본논문에서는의복그자체보다는 의복이사용되는맥락에주목하여의복을입는사람들의행위를살펴보고자한다. 특히옷은 사람들의몸에입혀진다는점에서사람들이입는행위와불가분의관계이다. 전시된옷이입 혀진옷과는달리생명을잃은듯이보인다는패션전시기획자의비유 11) 에서알수있듯이 옷은사람들에게착용될때기능을발휘하고의미를가진다. 또한의복과같은물질은일방 적으로인간에의해사용되기만하는것이아니라물질에의해인간도영향을받는다. 사물 이사람으로하여금여러감정을느끼게하고생각을유발시키는등특정한효과를발생시 킨다는점에서물질은행위성을가지고있다고도할수있다. 12) 물질은인간문화를수동적 으로반영하고있다기보다는인간문화를재생산하고변화시키는매개체가된다. 본논문에 서살펴보고자하는한복의사례에서, 전통이한복이라는매개를통해서사람들에게어떻게 실천되고지속되는지를알아보고자한다. 2) 연구대상및방법 최근두드러지게나타나는한복입기는주로고궁근처에서의한복대여이지만대부분이 단발적인방문이기에지속적인관찰이어렵다는한계가있다. 따라서보다정기적인모임을 가지고있는한복동호회를대상으로현지조사를수행하였다. 연구대상한복동호회는 2012 년에설립되었고인터넷카페회원수만 5367 명 (2017.07.19 기준 ) 이다. 주된활동은오프 라인모임에서이루어지고있고매회 20 여명정도가참석한다. 20~40 대여성이가장높은 비율을차지하며여성과남성비율은 8:2 정도이다. 정기모임에서는고궁, 공원, 민속촌등 의장소를한복을입고방문하여산책을한다. 기타행사로는강강술래공연, 한복패션쇼, 플리마켓등이있다. 정기모임은가장큰목적이한복을입는것자체에있지만또한서로의 옷을구경하고한복관련정보를공유하는자리이기도하다. 현지조사는 2016 년 9 월부터 2017 년 4 월까지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으로는주로참여관찰과비공식면담, 심층면담을 활용하였다. 이를위해한복동호회에가입해서회원및연구자의자격으로활동을하였다. 11) 크레이크, 제니퍼, 2002, 패션의얼굴, 푸른솔. p.47 에서재인용 12) Hoskins, Janet, 2006, Agency, Biography and Objects, In Christopher Tilley ed. Handbook of Material Culture, SAGE Publications; Gell, Alfred, 1998, Art and Agency, Oxford University Press 203
정기모임과기타행사에참석하여참여관찰및비공식면담을진행하였고, 개별적인경험과 내면적인인식을파악하기위해서운영진및정기적으로참여하는회원을중심으로심층면담 을진행하였다. 이외에도 1895년 10월 8일작성된주한일본공사관기록 8권에서도 한복혹은일본복 이라는표현이나온다. 15) 조선잡기와주한일본공사관기록이일본인에의해작성된기록이라면, 1900년대부터는신문기사에서도한복이라는용어를살펴볼수있다. 여기서도한복은주로양복혹은일본복과대비되어쓰인다. 아래기사는이를명확하게보여준다. 2. 한복의역사적맥락 1) 한복과양복의이중구조 < 단발 ( 斷髮 ) 문제를논하다 > 단발을하고양복을입은사람을새로운것을추구하는파라말하며상투머리를하고한복을입은사람을수구파라말하는지 (< 申論斷髮問題 > 彼斷髮而洋服者를求新派라謂 며束髮而韓服者를守舊派라謂 지 ) 1905년 7월 26일자황성신문논설 16) 한복의역사는고대로까지거슬러올라갈수있지만 한복 이라는용어의사용은얼마되지않았다. 일상적으로입는옷이곧지금한복이라불리는옷이었으므로따로의복의종류중하나로한복이라는범주체계를만들필요가없었던것이다. 1884년고종에의해의복개혁 ( 갑신의제개혁 ) 이단행되었을때에도한복이아닌 의복 이라는용어를사용했다. 갑신의제개혁의경우에는국내적인맥락이기에따로국가정체성을드러낼필요가없었다고도할수있다. 그러나일본인의입장에서우리나라의옷을지칭할때에도 조선의 ( 朝鮮衣 ) 라는용어를사용했을따름이다. 그왜인은사학 ( 邪學 ) 을배우고자대구에같이가길원하였기때문에조선옷을갈아입고가다가양산에서잡혔다고하였습니다. ( 而彼倭欲學邪學, 願作同行於大邱, 故換着朝鮮衣樣, 到梁山, 以至被捉 云 ) 고종실록 18권, 고종 18년 (1881년) 5월 22일계미 2번째기사 13) 한복이라는용어는 1890년대부터양복혹은일본복과의대비에의해사용되기시작했다. 아래기록을보면양복과일본복 ( 和服 ) 과더불어한복이사용되고있다. 이상의자료들로미루어보아 1890년대말 1900년대초부터양복혹은일본복과대비되는존재로서한복에대한인식이생겨나고한복이라는용어가사용되었음을알수있다. 이를반영하듯이이때의한복은양복과의이중구조를보여준다. 갑신의제개혁에서는광수에서착수로의변형, 여러종류의포에서흑색두루마기로의통일등기존의 한복 형태내에서의복의변화가이루어졌다. 그러나 1895년무관복장의양복화를시작으로 1899년에는외교관복장이, 1900년에는문관복장이양복화되었다. 대례복은영국궁중예복을모방했으며소례복으로는연미복을착용했다. 17) 이처럼공식관복에서부터양복화가진행되면서점차의생활에양복이유입된다. 먼저남성의복부터살펴보면, 전통적인옷이서양에서도입된옷으로대체되는현상이나타난다. 1910년경부터는배자대신조끼를, 1920년경부터는속적삼대신셔츠를입었다. 18) 아래속옷은거의입지않다가팬티가유입되었다. 장갑이들어오면서는토시를착용하지않게되었고양말의등장으로버선도점차사라졌다. 19) 1920년대부터는본격적으로양복이확산되면서특히경성과대도시를중심으로일본인과조선인관리, 상인, 모던보이 가양복을입기시작했다. 그러나완전한양복화가이루어지지는않은것으로보인다. 1940년경에는 그들 ( 조선인 ) 이개고기를먹고기르는이유는반드시집을지키고도둑을잡기위해서가아니라대부분이그고기를그저즐겨먹기위할뿐이다. ( 중략 ) 그들 ( 조선인 ) 이기르는개는양복이나일본복, 아무튼한복이아닌옷을보면십중팔구짖는다. ( 彼の邦俗好んて狗肉を喰ふ 家家之を蓄ふものは必ずしも戶を守り盜を警しめんが爲にあらず 多くは其肉を喰はん爲のみ ( 중략 ) 彼の邦の狗は洋服和服等 苟も韓服と異なるものを服するを見るときは必す吠ゆ ) 조선잡기 ( 朝鮮雜記 ) 메이지 27년 (1894년) 5월 2일 14) 13)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id/kza_11805022_002) 14) 원문출처 :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6&itemid=prd&synonym= off&chinesschar=on&position=1&levelid=prd_130_0070) 15) 궁내에서소요가일어나고이때문에 2,3 명의사상자가있음을목격하였다. 그렇지만그것은전적으로한복혹은일본복을입은조선인등이이를저지른것이며, 또한당시조선인이칼을빼어들고사람을살해하는것을본사람이있다. ( 宮內ニ於テ騷擾興リ之カ爲メ二三ノ死傷者アルヲ目擊シタリ然レトモ右ハ全ク韓服若クハ和服ノ朝鮮人等之ヲ爲セシコトニテ且ツ現ニ朝鮮人ノ拔刀シテ人ヲ殺害スルヲ見タルモノアリ ) ( 국역및원문출처 :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22&itemid=jh&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0&levelid=jh_0 08_0040_0010) 16) 한국언론진흥재단뉴스라이브러리 (http://www.bigkinds.or.kr/mediagaon/gonewsview.do) 17) 안명숙, 2007, 우리옷이야기, 예학사 18) 임명미, 1997, 한국의복식문화, 경춘사, p.598 19) 최은수, 2006, 우리옷을밀어낸양장과양복, 국사편찬위원회편, 옷차림과치장의변천, 두산동아, p.342 204 205
바지저고리위에오버코트혹은망토를입거나, 지방에서는양복지로만든두루마기에흰 동정대신비로드나털을달아입는등 20) 한복과양복이혼재하는양상을보인다. 여성의복의경우에도남성의복과마찬가지로양복이전통적인옷을대신하는현상이나 타난다. 이르게는 1900 년경부터개화한고관부인이나사회활동에참여하는여성들을필두 로장옷과쓰개치마대신검은우산을쓰기시작했다. 21) 또한남성의복에서처럼 1920 년대 부터속적삼대신셔츠, 다리속곳과속속곳대신에팬티를입기시작했다. 22) 여성의복의양 장화는남성보다다소더디게나타났다. 1930 년대에들어여학생교복이양장화하면서일반 부녀자들도양장을많이입는계기가되었고, 양장의보급이일반화되었다. 23) 1945 년서울 거주 18-45 세여성 1716 명을대상으로한설문조사에따르면한복만입는사람이 24.5%, 양복만입는사람이 34.6%, 한복과양복을겸용하는사람이 40% 였다. 24) 서울에거주하는사 람만을대상으로했음을고려할때지방에서는양복을입는비율이더낮았음을추론해볼 수있다. 설문조사수치가보여주듯이양복화가전면적으로진행되었다기보다한복과양복이 공존하는형태였다. 2) 한복의예복화 1950 년의한국전쟁은우리나라의의생활을바꾸어놓는계기가되었다. 전후물자의부족 으로대일, 대마카오밀수품이나구호품등으로의류와직물을충당할수밖에없던상황은 서양복이확산되도록하였다. 특히일부특수층을제외하고는거의모든사람이착용했던구 호양복은양복착용의확산속도를가속화시키는한요인으로작용하였다 25). 1950-60 년대는 국민생활검소화운동과신생활운동, 재건국민운동이일어나던시기로, 의복간소화운동으로표 준간소복이제정되는등의복에있어서실용성과경제성이가장우선시되었다. 이러한흐름 속에서한복의일상복으로의개량시도가있었으나 한국고유의미를찾을수없고고전미 가상실되었다, 혹은 품위가없고경박해보인다 는이유로보편화되지못했다. 26) 20) 최은수, 2001, 5 장개화기및일제시대, 문화관광부한국복식문화 2000 년조직위원회편, 우리옷이천년, 미술문화, p.125 21) 남윤숙, 1990, 한국현대여성복식제도의변천과정연구, 복식 14, pp.100-101 22) 한국문화재보호협회편, 1982, 한국의복식,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440 23) 최은수, 2006, 우리옷을밀어낸양장과양복, 국사편찬위원회편, 옷차림과치장의변천, 두산동아, p.380; 최은수, 2001, 5 장개화기및일제시대, 문화관광부한국복식문화 2000 년조직위원회편, 우리옷이천년, 미술문화, p.132; 임명미 1997, 한국의복식문화, 경춘사, p.614 24) 김미진, 김혜영, 조우현, 2005, 근대이후여성생활한복의특징및변천, 7(2), p.147 25) 남윤숙, 1990, 한국현대여성복식제도의변천과정연구, 복식 14, p.110 26) 위의논문, p.112 한복이일상복으로정착하지못하면서한복은예복화되기시작했다. 1970 년대에들어서서 는한복이무대복이나파티복으로소비되면서장식성이극대화되는경향이생겨났다. 저고리 의길이는짧아지고치마는넓고길어졌으며, 패티코트를착용하거나하이힐을신기도했 다. 27) 이전에는한복이가내봉재로생산되었다면, 전문디자이너나한복연구가가중심이된 한복맞춤집이생겨나면서패션화가진행되었다. 당시진행된민속조사는이러한한복착용 현황을반영하고있다. 1968-69 년진행된전라남도에서의조사에따르면외출시, 즉특별한 상황에서입는나들이옷은주로나일론소재의치마저고리이지만, 그렇지않은상황에서 젊은여성은블라우스나통치마를입고, 젊은남성도남방셔츠에즈봉을입으며, 어린이도 무늬진런닝셔츠에반즈봉이나짧은치마를입고있다고서술하고있어현대기성복이대 부분이었음을알수있다. 28) 1970 년대이후에진행된조사에서도지역별차이는있지만한 복은보편적으로노인들이착용하고, 다른연령층에서는한복을착용한모습을잘발견할수 없음을보여준다. 29) 1980 년대에는일상복으로자리하지않은한복에전통이라는의미가부여된다. 이는생활 한복의활성화와전통한복형태로의회귀현상으로나타난다. 1980 년대는 1986 년아시안게 임과 1988 년올림픽으로외국에한국이알려질기회가증가하고수입품과외국상표가보편 화되면서한국적정체성을돌아보게되던시기였다. 한국전통에대한재인식은크게두가 지방향으로진행되었는데, 한편으로는민중론자들을중심으로한국의전통을민중의것, 서민적인것에서찾고자하는시도가생겨났고, 다른한편으로는전통을세련됨과민족의우 월성을나타내는고급문화중심으로추구하고자하는시도가있었다. 전자의경우거친옷감 과무채색에장식이나문양이없는농민들이입던의상을추구했고, 이러한시도가바탕이 되어생활한복이형성되었다. 30) 후자의경우궁중복식을응용하거나, 한복고유의미를살리 고자했다. 그래서이전의화려한금박이나날염과같은극단적인장식성보다는배색이나회 장으로장식하는한복이나타났다. 31) 1990 년대에도이러한흐름은이어져서조선시대사대 부의의상을중심으로한전통한복과는달리고구려나신라시대평민의의상을본딴생활 한복이등장하고, 전통한복을고증하여재현하려는시도가나타난다. 32) 생활한복은일상복으 27) 문옥표, 2012, 전통 의생산과소비 : 한복을중심으로, 한국인의소비와여가생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p.41 28)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남도편, 문화공보부, p.454 29) 문화재관리국, 1972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북도편, 문화공보부 ; 문화재관리국, 197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청남도편, 문화공보부 ; 문화재관리국, 1975,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청북도편, 문화공보부 ; 문화재관리국, 197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도편, 문화공보부 ; 문화재관리국, 1977,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도편, 문화공보부 30) 문옥표, 2012, 전통 의생산과소비 : 한복을중심으로, 한국인의소비와여가생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pp.45~46 31) 진미희, 1990, 한복변천에관한연구 - 1950 년대이후여자한복중심으로, 복식 15, pp.161~162 32) 문옥표, 2012, 전통 의생산과소비 : 한복을중심으로, 한국인의소비와여가생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p.50 206 207
로착용되었으나의복으로서의의미보다는전통에대한재인식의결과로서나타났으며전통 부흥이더큰목적이되었음에주목할필요가있다. 전통한복의경우도한국전통을대표하 는상징으로서의의미가강했다. 여기에생활한복수요의증가에따라저렴한가격으로대량 생산이일어나고, 옷의품질을보장하기힘들어지면서생활한복에대한전반적인이미지가 하락하게되었다. 33) 소비로이어지지못했다. 34) 208 그리고디자인과소재의한계, 민중한복이라는이미지의한계로대중적인 이렇게생활한복의소비는감소하고, 전통한복은예복의자리에 머물러있으면서한복은자주입혀지지는않는예복이자전통의상징으로존재하게된다. 3. 한복입기의개인적실천 35) 1) 옷으로경험되는한복 앞서살펴보았듯이현재한복은특정의례 (ritual) 나행사 (event) 에서입는예복으로입혀 지고있다. 출생, 돌, 결혼식, 환갑, 장례와상례등삶의분기점에서통과의례를거칠때한 복을입는다. 출생시신생아는배냇저고리를입고, 돌잔치에서는아기에게한복을입히는 것이보편적이다. 현재가장흔하게한복을볼수있는상황은결혼식이다. 본인의결혼식에 서와가족및친족의결혼식에참석할때한복을입는다. 장례시에입는상복은현재다소 변형된형태여서남성은검정색양복에두건과완장만착용하고여성은일본과서양등의 상복색인검정색한복을입고있으나 36) 한복의요소는남아있다고할수있다. 죽은사람 에게입히는수의도한복의형태를갖추고있다. 이처럼생애에서특별한의례를치를때한 복을입고있다. 한편행사에서도한복은입혀지고있다. 국악, 한국무용, 민속연희등전 통공연과한복을주제로한패션쇼등무대에서입는의상으로사용되고있고, 각종전통 체험행사에서입기도한다. 삶과죽음및삶의중요한고비에서한복을찾아입는다는점에서한복은삶의시작에서 부터끝까지함께하고있다고도할수있지만이는뒤집어말하면일생중입는횟수가정 33) 김미진, 김혜영, 조우현, 2005, 근대이후여성생활한복의특징및변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p.153 34) 강순제, 이영혜, 2006, 한복의시대적경향에대한연구 - 개화기이후 2000 년대를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26(1), p.14 35) 본논문에서서술하고있는한복입기의실천양상은동호회회원들의대체적인경향성을반영하고있으며, 예시로들고있는각각의사례는회원들이모두그러한인식과경험을하고있다기보다는한복입기실천의여러결을보여주기위해제시되었음을밝힌다. 36) 고부자, 2002, 우리생활 100 년, 현암사, p.328 해져있음을의미한다. 입는상황만정해져있는것이아니라입는사람이나입는옷의종류에도정해진규칙이있다. 예를들어결혼식의경우, 한복을입는사람은신랑신부의어머니와친척중결혼한여성으로한정되어있다. 또한옷의형태도배냇저고리, 수의, 상복등으로정해져있다. 다시말해옷을입는시기, 장소, 사람및입는옷의종류에정형화된규범이적용된다. 관혼상제와같은전통적인의례적상황과졸업식, 공연, 각종행사등현대에생겨난의례적상황에입는다는점에서현재한복은사람들에게의례복으로입혀지고있다. 옷을크게예복과일상복 ( 평상복 ) 으로나눈다면한복은예복의영역에속해있다. 다른한편으로한복은한국의전통과한국을대표하는국가적상징으로자리한다. 한복은 2006년문화관광부가선정한 100대민족문화상징에포함되었고, 2007년부터시행된한스타일진흥정책에서도한글, 한식, 한옥, 한지, 한국음악과더불어한복이선정되었다. 현재는한류, 즉 K-wave의영향으로한국문화를 K-culture로아우르면서하위범주로 K-Food, K-Spirit, K-Place 등을제시하고있는데그중하나인 K-style로한복이소개되고있다. 이에따라한복은민족성이나국가정체성을나타낼필요가있을때착용된다. 외국순방시에대통령이한복을입거나, 월드컵이나아시안게임이있을때 한복응원단 이조성되는것이그예이다. 이처럼한복은예복과일상복중예복으로, 국가적전통의상징으로인식되고경험되어왔다. 한복에대한일반적인인식과착용경험과는달리한복동호회회원들은한복을국가적전통의상징이라기보다는옷으로, 옷중에서도예복에국한시키기보다일상복이자동시에예복으로인식하며입는다. 우선그들에게한복은전통의상징처럼인식되기보다는옷으로서인식되는측면이강하다. 회장을비롯한운영진과몇회원들에게서는우리나라전통이기에계승해야한다는의무감이나당위, 목적의식이있는것이사실이다. 그러나다른다수의회원들은전통을지켜가기위한목적보다는옷으로서의매력으로인해한복을입기시작했음을면담을통해확인할수있었다. 전통계승의목적의식이있는경우라도그것이유일한동기나의미가아니라예뻐보이는옷으로서의의미도공존하고있음을알수있었다. 한복이옷으로서의의미를가지고있음은한복의디자인적요소들을중시함을통해서도알수있다. 회원들이한복을맞추고입는과정을살펴보면고름의너비와길이, 깃의모양, 치마주름의폭, 직물의색과종류등매우세세한부분까지고려한다. 만일한복을단순히이념적인전통으로착용한다면한복이라는큰범위내에해당하는형태만갖추고있다면구체적인요소들은그리중요하지않을것이다. 그러나자신이보았을때예쁘고또남들이보았을때예뻐보여야하는옷이기때문에미세한차이를간과할수없게된다. 전통보다는옷이라는점에서한복은한복동호회회원들에게일상에서입는옷그리고특 209
별한날입는옷으로경험되고있다. 전통 이라는의미가부착되어있는한복은다루기어렵고조심스러운것으로여겨지곤하지만회원들에게한복은마음편하게국밥집에서밥을먹을수도있는옷으로인식된다. 일례로동호회대상으로방송촬영이있어몇회원이한복을입고출연한후같이식사를할때방송관계자들은한복을입고밥을먹어도괜찮냐며안절부절못했지만회원들은자연스럽게식사를했다고한다. 실제로동호회정기모임이나행사, 소모임등에서한복을일상적으로착용하는모습을관찰할수있다. 한복을입고한식당은물론이고패스트푸드점, 카페, 인도음식점등에도가고, 경복궁에서만한복을입는것이아니라지하철이나버스를탈때도입는다. 한복을일반적으로제한된상황이나장소에서입고있다면한복동호회회원들은모든상황과장소에서한복을입는다. 국악공연자들이한복을 들고 와서무대에서만착용한후공연이끝나면바로갈아입는것과달리, 회원대부분은한복을집에서부터 입고 온다. 물론매일한복을입고생활하는것은아니다. 한복과관련된직업을가졌거나프리랜서나학생이라서복장에제한이없는경우주 3-4회에서매일입기도하지만대부분은주 1회에서월 1회정도의빈도로한복을입는다. 주중과주말중에서는주말에, 혹은친구를만나거나데이트를할때, 공연이나전시회를보러갈때등특별한날입는경우가많다. 한복을 위와같은분류에의거했을때, 한복은의례나행사와같이고정적인상황에서만입는예복으로의상 (costume) 과같은의미를지녀왔다. 그러나한복동호회회원들에게한복은차려입어야하는상황에서의예복 (formal wear) 과같은의미를지니고있다. 앞서국악공연자들이한복을들고오는반면회원들은입고오는것에서알수있듯이한복이각종의례혹은행사에서입는무대 의상 으로착용되어왔다면, 회원들에게한복은평상시에입는일상복이자특별한날입는예복으로경험되고있다. 지금까지한복이의상의영역에국한되어왔다면이들의실천에서는의복의영역으로도확장되어가고있다. 한복을일상복이자예복으로입는행위는한복대여와도차이점을가진다. 대여한복을입는사람들은기존에한복에부여된국가적전통의상징으로서의관념을가지기보다한복을옷으로인식한다는점에서는한복동호회와공통점을지닌다. 그러나특수한상황에서입는예복으로입혀진다는점에서는기존의한복의드레스코드가적용된다. 대여한복자체가가지는한계로인해입는시간이한정되어있고, 입을수있는장소도경복궁, 인사동, 한옥마을등으로한정적이며, 옷의종류도대여한복만의전형적인스타일로고정적이기때문이다. 위표의분류에따르면의복이라기보다는의상에가까운형태라고할수있다. 한복대여는전통으로서의의미는약하고의복으로서의의미는강하다는측면에서일종의이장 ( 異裝 ) 으로경험 특별한날입는것은한복을특수한상황에서입는옷으로국한시킨다기보다는도리어확장 되고있다. 과거의전통을마치 낯선나라 처럼인식하면서 39) 일상으로부터유리된전통을 이라고할수있다. 옷을일상복과예복으로구분했을때두영역에모두한복을적용하는것이다. 예를들어이전에는특별한날에원피스를입었다면지금은그대신한복을입는것이다. 이와같은한복동호회회원들의한복입기는다음과같은옷의범주구분에따라파악할수있다. 의류 (clothing) 를가장포괄적인용어라고한다면, 일상적인상황에서입는옷은의복 (dress), 의식 (ceremony) 이나의례 (ritual) 을위해입는옷은의상 (costume) 이라할수 이국적인대상으로소비하는것이다. 한복동호회회원들의한복입기는이장혹은코스프레와차이를보인다. 회원들에게한복은고정된상황에서착용하는고정된종류의의복이아니라특별한날을포함하여일상적인상황에서입는의복이다. 한복대여에서는한복이이국적인대상으로일회적으로소비되고있다면, 한복동호회에서는이국적으로여겨지고있는한복을일상에서소비하고자한다. 있다. 37) 이를표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38) < 표 1> 옷의범주구분 2) 자아표현으로서의한복 의류 (clothing) 의복 (dress) 의상 (costume) 일상복 / 평상복 (casual wear) 예복 (formal wear) 예복 (formal wear) 한복의옷으로의경험은개인과자아로연결된다. 옷은개별적인몸에입혀지고, 각개인은서로다른신체를가지고있기에옷입기는개인마다다르게나타난다. 한복동호회에서도한복을입는것은오롯이개인적선택과취향의문제로여겨진다. 전통을지키기위한목적 보다는옷으로서입었다는것에서알수있듯이한복이전통의상이기때문에, 우리나라옷이 37) Kuper, Hilda, 1973, Costume and Identity,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15(3), p.349 38) 쿠퍼 (Kuper) 는의식과의례를위한옷을설명하며양식화된세속적인의식에서입는옷을 uniform 으로, 신비화되고신성화된의례에서입는옷을 costume 으로구분했으나유니폼이주로제복이나단체복과같은의미로사용됨을고려하여혼란을면하고자의식과의례에서입는옷을모두 costume 의범주에포함했다. 기때문에입어야할필요는없다는인식이있음을면담을통해확인할수있었다. 한복을 39) 하틀리 (Hartley) 의책 The Go-Between 에서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과거는낯선나라다 ) 가첫문장으로등장한다.(Hartley, L. P., 2002, The Go-Between, New York Review Book) 210 211
입는것은의무라기보다선택이며, 현대기성복을입을때에도사람마다스타일이있듯이한복입기는개인적취향의문제로생각되고있다. 그래서한복을맞추고구매할때에도회원들은상호간에간섭을거의하지않는다. 본인이입을옷이기에본인의취향을반영해서선택해야한다고생각하기때문이다. 예를들어같은초록색직물이더라도이회원이선호하는초록색과다른회원이선호하는초록색은다르다. 채도와명도에있어존재하는색의미묘한차이는개인마다서로다른취향으로나타난다. 한복이옷으로인식되고경험된다는점은또한자아정체성및자아표현과관련이있다. 의복은단순히기호와상징을넘어서서정체성과긴밀한연관성이있으며 40), 자기상의성립이나자기고양 (self-enhancement) 의수단이되기도한다 41). 한복을입었을때주어지는예쁘다는피드백은한복을입게하는동력이된다. 일례로한회원은한복을입었을때주변으로부터예쁘다는피드백을계속받아서한복을입기시작했고, 또다른회원은 내가아니라옷에대한칭찬 이지만예쁘다는소리를많이들어서한복을계속입게됨을언급했다. 회원들이한복을입는이유로가장많이언급하는것은한복이 예쁘기 때문인데 42) 여기서예쁘다는것은한복그자체가예쁘다는의미이기도하지만자신이한복을입었을때의모습이예뻐보인다는의미이기도하다. 자아는스스로의규정으로만형성되는것이아니라다른사람들의눈에비친자기의모습까지흡수하여형성됨을고려해볼때 43), 한복입기는긍정적자아상형성에영향을주고있다. 주변사람들의평가만이아니라사회적환경도자아형성에영향을미친다. 인간의기능성이강조되는근대화된사회에서개인은무의식적으로자신을뒤에미루어놓고자신의효율성에대해더욱새롭게입증할것을요구받는다. 44) 조직화된생활방식으로인한속박과개별적인특성이무화되는상황에서개인성표현의욕구는강해지고, 그방법중하나로패션을사용하게된다. 회원들에게한복은차려입고뽐내고싶을때입는옷으로착용되고있다. 특히동호회모임은한복에특정한상황에서입는예복이라는드레스코드가부여되어있는지금한복을가장마음껏입을수있는기회의장이자다른곳에서라면알아보지못하는한복과관련된세부적인요소들을알아보고인정해주는곳이다. 따라서모임에참석하면저고리와치마는물론이고뒤꽂이와비녀, 다양한노리개와반지등모든장신구를동원하여꾸민 회원들의모습을볼수있다. 이렇듯회원들은자기표현의수단으로한복을입고있다. 한복을통한자기표현은한복동호회내에서내집단의인정을바탕으로일어나기도하지만다른사람들과의차별화를통해서도나타난다. 옷입기는한편으로는사회적규범에의동화가목적이면서다른한편으로는개인성의표현이목적이기도하다. 그래서패션은모방과차별화의두가지모습으로나타난다. 주어진집단혹은사회내에서표준적인행동의범주에순응하고그집단과사회에동화되고자모방을하고동시에다른사람들로부터구별되는개인이되기위해차별화를시도한다. 45) 이러한면에서한복입기는모방보다는차별화의시도라고할수있다. 일례로한회원은인터뷰중한복을자의식을느끼고싶어서입는다고언급하며일반사회속의자신은그냥일부일뿐인데한복을입으면특별해지는느낌을즐긴다고답했다. 또다른회원은한복을입을때다른사람으로바뀌는느낌이라며한복을입는제 1의목적으로개성표현을꼽았다. 이렇게한복입기는남들과차별되는자신의개성을표현하기위한수단이된다. 앞서한복을특별한날에많이입고, 현대기성복에서특별한날입는의복이주로원피스였다면그의복이한복으로대체되는현상이나타남을살펴보았다. 원피스도특별한날입는예복 (formal wear) 의범주에포함된다고했을때, 예복으로원피스가아닌한복을굳이선택하는이유는원피스는이미특별한날입는옷으로코드화되어다른사람과구별이지어지지않기때문이다. 한복이현재제한된상황에서입는예복으로인식되고있기때문에그러한상황에서입지않았을때코드가깨지면서한복을입는것만으로도특별해보일수있게된다. 한회원의표현대로 특별한걸특별하지않게 입는행위가도리어그사람을특별하게만들어준다. 만일한복을특수한상황에서만입는것이아니라보편적으로입는것이현재의옷입기규칙이라면한복을입었을때특별함은부여되지않을것이다. 동호회에서한복이일상복과다를것이없다는인식을가지고실천하고있으면서도개인성표현을위한한복입기는도리어한복이예복으로인식되는현실에기대고있다는점은역설적이다. 4. 한복입기의근거가되는전통성 40) Miller, Daniel, 2010, Stuff, Polity 41) 혼, 마릴린, 1988, 의복 : 제 2 의피부, 까치, p.161; Horn, Marilyn J.,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Houghton Mifflin, pp.141-142 42) 한복을예쁘기때문에입는다는대답은비단한복동호회회원만이아니라대여한복이나생활한복을입는사람에대한인터뷰기사혹은영상에서도자주언급된다. 43) 혼, 마릴린, 1988, 의복 : 제 2 의피부, 까치, p.154 참조 44) Sapir, Edward, 1931, Fashion,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6, New York: Macmillan, p.140 앞서살펴본것처럼한복동호회회원들에게한복은하나의옷으로, 자아표현의수단으로 입혀지고있다. 그러나단순한이장이나코스프레와달리한복에부착된전통성은다음세 45) Sapir, Edward, 1931, Fashion,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6, New York: Macmillan, pp.139-144; Simmel, Georg, 1904, Fashion, The International Quarterly 10, pp.130-155 212 213
가지측면에서한복입기를뒷받침해주는근거로작용하며지속되고있다. 214 1) 특별함의사회적용인 만일개인성의표현이목적이라면사실한복이아닌다른종류의의복으로도그목적을 이룰수있다. 예를들어중국의치파오나일본의기모노도다른사람과구별되는특별함을 부여해주는의복으로기능할수있다. 그러나한복이전통의복이라는점은특별함을사회적 으로용인해주는근거가된다. 자아의표현을위해서옷입기의보편적규칙을깨더라도기존 의사회적코드를지나치게벗어나기는어려우며, 사회적관습을완전히거부하지는않으면 서도개인적일탈을정당화하는방식을찾아야한다. 46) 레스코드와는다른방식의옷입기에정당성을부여해준다. 한복이가지는전통성은보편적인드 이는코스프레와의비교를통해서보다명확히드러난다. 코스프레의상과한복모두특별 함을부여해준다는측면에서는같지만평소에도입을수있는지여부에서차이가있다. 코스 프레와한복, 그리고현재일반적으로평소에입는옷인현대기성복간의관계를표로나타 내면다음과같다. < 표 2> 코스프레와한복, 기성복의차이 특별함여부 일상에서착용가능여부 코스프레 O X 한복 O O 현대기성복 X O 한복은일상에서도입을수있는이유는한국전통이라는가치혹은이념을보유하고있 기때문이다. 같은특별한옷이라도만일평소에중세시대드레스를입는다면사람들로부터 눈총을받을가능성이높지만한복을입는다면입는본인의의도와관계없이한국전통을 지켜나가고있다는인식으로인해긍정적인평가를받을가능성이높다. 실제로한복동호회 는내부적인다양성과개인들의동기와는상관없이외부미디어에의해 전통을지켜나가고 있는사람들 이라는이미지가부여된다. 한복동호회, 그리고넓게는현재젊은층을중심으로한한복입기는기존에한복에부여 된드레스코드 특정의례에서만착용하는 와는어긋나는방식이라는점에서옷입기규칙 을깨뜨리는것일수있으나이는한복은국가적전통이며지켜나가야할것이라는이념으 46) Sapir, Edward, 1931, Fashion,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6, New York: Macmillan, p.140 로상쇄된다. 한복은특별하다고여겨지는옷중에서사회적으로용인될수있는옷인것이 다. 전통이라는가치를지키고자하는의도로입지않더라도그전통이라는이념으로인해 한복입기가정당화된다는점은역설적이다. 따라서한복입기는입는그들이의식하지않거 나거부하고있는내셔널리즘적당위성에기대고있다. 한복에부여된전통성은한복이다른종류의의복과가지는차이점이다. 한복은의복으로 서의의미만이아니라전통으로서의의미도지니고있다. 한복동호회를포함하여현재한복 을입는젊은층은한복에부여된기존의전통의상징혹은예복이라는코드를반대하지만 이것이역으로사회적으로용인된특별함이가능하도록만든다. 전통이라는점은한복입기 에정당성을부여해주고, 예복이라는점은그와반대로의례적상황에한정하여입지않음으 로써개인적차별성을가져다준다. 2) 한복의기준 한복의유행과더불어다양하게변형된형태의한복이많이등장하면서한복업계및한복 학계에서는과연어디까지한복인지에대한논의가진행중이다. 전통성은한복동호회에서 무엇이한복인지결정하는기준이자 진정한 한복의기준이된다. 한복동호회에서설정하는한복에대한기준은그들이생각하는한복이 아닌것 을살펴봄 으로써알수있다. 우선그들은특정시대에국한된것만이한복이라고생각하지않는다. 한복진흥센터에서주관한 2016 한복포럼 < 이시대의한복, 전통일까? 패션일까?> 의논의에 서는한복을조선시대의복장으로한정짓기도했는데회원들은한복을어느한시대의범 주에포함시키는것은어렵다는입장을지님을단체인터뷰를통해알수있었다. 특히현재 소위 전통한복 이라여겨지는전형적인한복만이한복이라는인식에반대한다. 이전형적인 < 그림 1> 전형적인한복 의저고리 47) 저고리소매의아래부분 48) 치마가흘러내리지않도록조끼형태로어깨에걸치는끈을치마에단것 한복은주로 1970-80 년대에입혀지던것으 로붕어배래 47) ( 둥그런곡선형태의배래 ) 와 폭이넓고길이가긴고름 (< 그림 1> 참조 ), 조끼허리 48) 의치마를특징으로한다. 1970-80 년대에한복을입었던현재 60-70 대노년층은동호회회원에게전통한복을 입지않았다고지적하곤하지만광장시장에 215
서맞추는한복이나정모에서입는한복을통해서볼때이들은도리어직선의배래나폭이좁고길이가짧은고름의저고리를선호하는등전형적인한복의틀을고수하지않는다. 특정시대에의고정성과는반대극단이라할수있는한복모티프의옷도그들에게는한복이 아닌것 이라여겨진다. 단체인터뷰에서는한복과한복모티프의옷을구분하는방향으로의견이모아졌다. 한복모티프의옷은한복에있던한두가지의요소나처마선과같은전통적디자인의요소를한복에적용한옷이다. 이옷이한복이아닌이유는그들의표현을빌리자면 뿌리 혹은 코어 (core) 가없기때문이다. 다시말해한복이라할수있는요소가부재하다. 반대로한복모티프의옷중에서도러플, 프릴등한복이라고할수없는요소가더해진다면이역시한복이라하기어렵다는회원도있었다. 그러한점에서대여한복도한복이 아닌것 이라할수있다. 대여한복은사진을찍는것이주목적이기때문에화려함을위해금박을입히거나, 과장된실루엣을위해속치마대신에페티코트를착용하고, 마치서양드레스처럼등뒤에리본을묶은형태가많다. 그중에서도등뒤에묶는리본은일본옷의오비 49) 와유사하다고여겨져가장큰비판의대상이된다. 한복모티프의옷이뿌리나코어가없다는지적과유사하게, 여러회원에게서대여한복은 근본이없다 는표현을들을수있었다. 한복에존재하지않았던서양식페티코트나리본으로인한혼종성은한복의고유성과대비되는것으로여겨지고, 금박으로대표되는화려함은한복고유의미인단아함과대비되는것으로여겨진다. < 그림 2> 한복모티프의옷 < 그림 3> 대여한복 특정시대에국한된한복, 한복모티프의옷, 대여한복이모두한복이 아닌것 이라면한복의기준은무엇으로설정할것인가? 한복동호회회원이공통적으로지적하는한복의최소한의요소는깃과고름이다. 한복이라할수있으려면깃과고름둘중하나라도있어야한다거나깃, 고름, 동정세가지중에서두가지라도있어야한다는의견이지배적이다. 한복모티프의옷에한복이라할수있는요소가없다는것은깃이나고름이없다는의미이다. 한복모티프의옷에 뿌리 나 코어 가없다거나대여한복이 근본 이없다는인식은반대로한복에는깃혹은고름과같은본질적인요소를상정하고있음을말해준다. 이는쉴즈의전통에대한인식과도맞닿아있다. 쉴즈는전통의초기형태가전달과해석의과정에서수정및변화될수있으나이러한변화하는요소들과함께중심적이고근본적인요소는유지되며, 이는한사회를다른사회로부터구별시키면서시간이흘러도동일한정체성을유지하도록만드는요소라고해석했다. 50) 쉴즈의전통에대한관점처럼회원들은깃과고름이라는중심적이고근본적인요소가유지되어야하며이를한복모티프의옷이나대여한복과같은의복과구별시키는요소라고본다. 과거로부터전승되는본질로서의전통성은그본질이사라진한복모티프의옷이나본질과다른것이덧대어진대여한복과는구별되는한복에대한기준을설정하는근거가된다. 한복동호회에서설정한대로최소한의한복에대한기준이깃과고름이라면다수의생활한복도한복의범주에포함된다. 그러나가장진정하다고여겨지는한복은전통한복이다. 전통한복이단순히가장갖추어입는옷이기만한것이아니라최종종착지로이해되는모습은가장진정한한복이란전통한복이라는인식이암묵적으로존재함을보여준다. 회장에따르면회원들이 누가시키지도않았는데생활한복에서시작해서전통한복으로옮겨간다. 다른회원도지금은생활한복만입고있지만 마지막은전통한복이 될것이라고예상한다. 실제로여러차례모임에참석한결과, 신입회원은보통생활한복을입는반면, 활동한지오래되었거나운영진일경우에는전통한복을보다많이착용하고있음을관찰할수있었다. 전통한복의착용비율은매번모임마다조금씩다르지만아주적을때는 50%, 많을때는 90% 정도로평균적으로 70-80% 의비율로전통한복을입는다. 특히다른사람에게한복이보이는상황, 다시말해한복을입었음이다른사람들에의해인식되고, 주목을받는상황에서는전통한복을선호하는경향을보인다. 한복동호회에서는매년한차례인사동혹은남산골한옥마을의야외공연무대에서강강술래공연을한다. 인터넷카페를통해이전공연사진을찾아본결과매년모든사람이전통한복을착용하고있 49) 여성용기모노의허리부분을감싸는띠 50) 쉴즈, 김병서 신현순역, 1992, 전통, 서울 : 민음사 (Shils, Edward, 1981, Tradition, Faber & Faber) 216 217
음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한갤러리의협찬으로회원이모델로서는한복패션쇼에서도 모두전통한복을착용하였다. 강강술래는그자체가무형문화유산으로도등록된 전통 놀이 이기때문에전통한복을입어야만하는당위가있었다고도할수있다. 그러나패션쇼의경 우꼭전통과의연결성이있을필요가없고도리어여러다양한형태의변형이일어나고권 장되는행사이다. 이러한패션쇼의특성에도불구하고, 또미리회장에의해서공지가되거 나회원간에합의가이루어진적이없음에도, 회원모두전통한복을착용하고참석하였다. 이와같이공적인 (public) 장소에서이루어지는공식적인 (official) 행사에서전통한복이착 용된다는사실은역으로한복동호회내에서한복이공표 ( 公表, publicize/officialize) 될때 가장적합한한복이전통한복으로인식되고있음을말해준다. 쉴즈가과거가현재를살아가 는사람들에의해변형될수있다고생각했지만 가공의 전통과 진짜 전통을분리시킴으로 써전통에대한해석과구분되어존재하는본질적인전통을상정했듯이회원들은전통한복을 본질적이고진정한한복으로인식하고있다. 벤야민 (Benjamin) 은진정성을실재적지속성으 로부터역사적경험까지를포함하여원천으로부터전승될수있는모든것의본질 (essence) 이라정의했는데 51), 과거로부터전승된다는점, 본질을가정한다는점에서쉴즈의전통에대 한정의와맞닿아있다. 한복동호회회원들도한복의진정성을전통성으로부터찾으며, 한복 이라는전통에진짜 (genuine) 와가짜 (spurious) 를명확하게구분하고있다. 이처럼진정한 한복의기준은전통성으로부터비롯되고있다. 218 3) 현대기성복의대안 52) 한복이가지고있다고생각되는전통적고유성은현대기성복과는대비되는것으로인식 되면서회원들이한복을입는이유와근거가된다. 아래에서제시되는속성들은현대기성복 에서도가질수있는것들이지만회원들은경험적으로한복이그러한특성을가지고있다고 생각하고있다. 특히평소에옷입기에어려움이나한계를겪었던경우한복이현대기성복의 대안으로인식되고경험되는것을살펴볼수있었다. 한복은현대기성복, 보다넓게는현대 패션과반대되는속성과가치를지니고있는것으로인식되며대안적인의복으로경험된다. 51) Benjamin, Walter, 1969(1936),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n Walter Benjamin, Illuminations, Schocken, p.221 52) 본논문에서는한복에대비되는옷으로현대기성복을제시하였다. 전통의복인한복에대비되는옷은현대의복이라고할수있으나맞춤양복과같은현대식맞춤옷은사람들이일반적으로접하는옷이아니기때문에현대의복중에서도기성복만을다루었다. 한편 양복 은현재 정장 과유사한의미로사용되기에한복이라는범주가성립되던역사적인맥락에서만한복과대비되는의미로사용하였다. 가. 단조로움 vs. 다채로움색은가장많은회원이한복의매력이자한복을입는이유로꼽았던요소이다. 현대기성복에비해한복은상대적으로채도와명도가높은색위주로구성되어있기때문이다. 회원들에게한복은현대기성복에서는입지못하는색을마음껏시도할수있는옷이다. 회원들사이에서는현대기성복에서는시도할수없는화려하고튀는색을한복이기때문에입을수있다는인식이있다. 이러한시도를통해평소에모노톤위주로입던회원도다양한색이어울리는지알게되기도하고, 한복을맞추는과정에서다양한색을경험하기도한다. 여러색을지닌한복이현대기성복의대안이될수있는이유로는밀러의분석을참조해볼수있다. 53) 그에따르면런던의옷에서회색, 갈색, 검정색등만제외하고색이사라지고있다. 모노톤은다른사람들로부터욕을듣지않을수있는안전한색이기때문이다. 이에는옷입는방식에대한명확한사회적관습은이전에비해서약해져서각자의창의성을발휘할것이요구되고있으나자신의옷에대해사람들로부터직접적인피드백이주어지지는않기때문에적절하게스타일링하는일은어려워진배경이존재한다. 옷입기가개인의영역이되면서결국뒤에서어떤이야기를하는지에민감해지고, 칭찬은차치하고최소한욕을듣지않는것을추구하게된다. 이때모노톤은뒷이야기를듣지않을수있는무난한색이된다. 한국에서의옷입기도런던의상황과크게다르지않다고생각된다. 옷에서개인의창의성이요구되지만직접적인평가보다는간접적이고뒤에서이야기하는평가만이존재해결국무난한디자인과색을선택하게되는것이다. 그러나한복은현대기성복과는다른질서가적용되는영역이기때문에무난한모노톤이아닌다른여러색을시도해볼수있다. 물론현대기성복에도화려한색이없는것은아니지만이를욕을듣지않는방식으로입기는어렵다. 패션산업계에서제시하는패션은일상에서그대로입기힘들고, 유행하는패션을곧이곧대로따르는것보다는자기자신만의스타일을가질것이요구되기에더욱어려워진다. 또한화려한색은색자체로주목을끌기때문에만일적절하지않게스타일링한다면부적합성이더눈에띄게된다. 반면한복은저고리와치마라는일정한틀이존재하기때문에그범위내에서자신이원하는색으로배색만신경쓴다면한복이라는기준에서는적합한스타일링이가능하다. 특히평소에옷입기에관심이없었거나어려움을겪었던경우모노톤과같이안전한선택이아닌다른선택을보다손쉽게시도해볼수있는기회가된다. 53) Miller, Daniel, 2010, Stuff, Polity, pp.36~37 219
220 나. 긴장됨 vs. 편안함 현대적인미의기준이굴곡이있는, 다시말해 S 라인 의몸매라고했을때, 현대기성복 이몸에달라붙는방식으로몸의라인을드러낸다면한복은여러개의옷을덧입어서감추 는방식으로라인을형성해왔다. 허리에들어간절개선, 스타킹, 미니스커트, 스키니진등은 모두의복을몸에부착시켜몸이드러나도록만든다. 한편조선시대에도가는허리, 즉세요 와풍만한엉덩이를선호하여이것이옷에반영되었는데, 허리를가늘게하는데에는한계가 있으므로반대로엉덩이를부풀리는방식으로상대적으로허리가가늘어보이도록했다. 이 를위해치마안에다리속곳 - 속속곳 - 속바지 - 단속곳 - 무족치마 - 대슘치마의순서로속옷과속 치마를겹겹이입음으로써풍성함을더했다. 54) 현대기성복이몸에달라붙고라인을유지시키기위해몸을긴장시킨다고인식되는반면 한복은회장의말을빌리자면몸을옥죄지않기때문에훨씬편하다고인식된다. 예를들어 그는한복이불편함이없는것은아니지만몸에붙는원피스와하이힐을신고외출했을때 와한복에버선과미투리를신고외출했을때를비교하며후자가훨씬피로도가덜하다고 지적했다. 또한다른여러회원들도허리를조이는치마보다어깨에걸치는방식의전통한복 치마가더편함을언급했다. 1990 년대말한국에서서양복은파마와짙은화장, 코르셋과 하이힐로묘사되어인위성과건강하지않음과연결된반면, 한복은생머리와맑은피부, 단 정함으로묘사되어자연스러움과건강함과연결되었다. 55) 이처럼몸에달라붙고인위적으로 몸의라인을유지시키는현대기성복과는달리몸을조이지않는한복은편안함나아가건 강함이라는가치로까지연결된다. 물론현대기성복도전통한복처럼달라붙지않는형태의의복이많이있다. 그러나 S 라인 을아름답다고여기는인식속에서몸의굴곡을드러내지않는의복은미의기준에서멀어 지게된다. 반면한복은같은세요와풍만한엉덩이를만들더라도치마를풍성하게만들어 감추는방식이기에몸을조이지않아편하고나아가건강하다고인식된다. 회원들은현대기 성복과는다른방식으로건강함과동시에아름다움을획득하고자한다고할수있다. 다. 고정성 vs. 유연성 공장에서표준화된양식으로생산되는현대기성복과는달리한복은맞춤으로제작된다. 현대기성복은키가커지면가슴둘레와허리둘레등이모두같이커지는직선비례법의원리 54) 이민주, 2013, 치마저고리의욕망, 문학동네 55) Ruhlen, Rebecca N., 2003, Korean Alterations: Nationalism, Social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Clothing, In Sandra Niessen (eds.), Re-Orienting Fashion, Berg, pp.128-129 에따라사이즈가규정되어있다. 그러나키가크더라도가슴둘레가비례해서커지지않을수도있고, 키는같은데팔길이가다를수도있는등개인마다체형은다양하다. 적으면 3 가지 (S-M-L, 혹은 44-55-66), 많으면 5가지 (S-M-L에서 XS와 XL까지포함 ) 정도로구분된현대기성복사이즈체계는옷을구매하는사람들에게고충을불러일으킨다. 반면한복은상동 ( 가슴둘레 ) 과화장 ( 소매길이 ), 총장은물론진동 ( 팔뚝둘레 ), 고대 ( 목둘레 ), 수구 ( 소매둘레 ) 등세부적인신체치수까지반영해서만들수있다. 또한만든이후에도한복은기본적으로여밈형식이기때문에이에따라융통성 (flexibility) 을가지고있으며, 이는몇몇회원들에게서한복의매력적인부분으로지적되었다. 저고리와치마모두몸의변화에따라매듭을꼭맞게혹은느슨하게맬수있다. 그래서살이쪘을때와빠졌을때, 혹은밥을먹기전과후옷의품을조정할수있다. 현대기성복이옷에몸을맞춘다면, 한복은몸에옷을맞추는것이다. 맞춤옷이기때문에사이즈뿐아니라깃의모양, 고름의두께, 치마의폭, 직물의종류등도개인의취향에따라서결정할수있다. 심지어한복을다맞춘이후에도한복의부분적인요소를필요나취향에맞게바꿀수있다. 거들지는더러워지면교체하면되고, 고름도색이나길이, 두께가마음에들지않게되었을경우떼어내어바꾸면된다. 고정화된사이즈로현재유행하는스타일의옷만이공장에서대량생산되는현대기성복의질서에서, 한복은이질서에반대되어사이즈에있어서든취향에있어서든개인화된옷으로인식되며경험되고있다. 라. 가변성 vs. 지속성현대패션에서유행은끊임없이빠르게변화하지만한복은유행의영향을많이받지않고빠르게변화하지않는다. 이러한이유로한복을입기시작한회원들도있다. 코스프레를하다가한복을입기시작한두회원이한복을선택한이유는코스프레의상은한번입고다시입기어렵지만한복은나중에도입을수있고대대로물려줄수도있기때문이다. 한복은전통의복이라는특성상어느정도고정된형태가있어유행을타지않기에나이가들어서도입을수있는옷, 나아가나이가들수록더고상해보이는옷으로인식된다. 한회원의비유에따르면한복은 레드립스틱 과같다. 레드립스틱은지나치게어린여성이바르면촌스럽거나천박해보이지만 30대이상의여성이바르면우아함과고혹미가느껴진다는것이다. 다른회원도아예나이가마흔넘어가면한복을입어도곱게나이드는분이라생각할것같다고하며나이들면더많이입을것이라고언급했다. 이처럼한복자체에서비롯되는지속가치, 그리고한복을입는사람에게부여되는지속가치는한복을입도록하는이유가된다. 현대기성복이패션의영역에속한다면한복은안티패션 56) 이라고할수있다. 패션이 221
시간적으로빠르게변화하고, 이변화의속도가본질적특성인반면, 안티패션은시간적으로 천천히변화하고이러한영속성에의해서가치가부여된다. 앞서살펴보았듯이한복은회원 들에게다채로움, 편안함, 유연성, 지속성이라는측면에서현대패션의속성에반대되는하나 의대안적의복으로인식되고있다. 222 5. 결론 특정한종류의의복에속하지않고일상적으로입던의복이었던한복은다른나라의의복, 특히양복의유입으로 한복 으로분류되었다. 한복과양복은공존하는형태를보이다가전쟁 으로인한물자의부족, 실용성과경제성우선의의복선호등의이유로양복이보편화되었 다. 대신에한복은예복이자전통의상이되었다. 한복은옷으로서보다는한국의국가적전 통을상징하는것으로인식되거나전통의례나절기에입는예복으로서의드레스코드를가지 게되었다. 한복에대한전통의상징으로서의인식과달리한복동호회회원들은한복을하나의의복 으로인식하고경험하고있다. 그들에게한복은이념이라기보다실제생활에서입는옷이다. 일반적으로한복이특정한상황에서입는예복에국한되어소비되고있다면회원들에게한복 은특별한날을포함한일상에서입는예복이자동시에평상복으로경험되고있다. 한복이 옷으로경험된다는점은개인그리고자아와연결지어진다. 개개인의신체가모두다르듯이 개개인에게입혀지는옷도개별화되기에같은옷이라하더라도옷입기는전적으로 나 의경 험이된다. 한복을입을지, 입는다면어떤한복을입을지는개인적선택과취향의문제로여 겨진다. 근대화된사회에서사회규범에순응할것을요구받는개인은차별화의일환으로 패션을선택하고, 자아표현의수단으로옷을입는데 57), 한복동호회회원들도현재한복에부 여된드레스코드와반대되는방식으로한복을입음으로써다른사람들과구별되는자아를표 현할수있게된다. 특별하다고인식되는한복을특별하지않게입는행위가도리어특별함 을가져다주는것이다. 한복은하나의옷으로, 다른사람과의차별화와자아표현의수단으 로경험되고있다. 남들과구별되는개인이되기위한수단으로옷을입는다하더라도사회적관습에서의완 56) Polhemus, Ted, 2011, Fashion & Anti-fashion, lulu.com 57) Sapir, Edward, 1931, Fashion,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6, New York: Macmillan, pp.139-144; Simmel, Georg, 1904, Fashion, The International Quarterly 10, pp.130-155 전한이탈은수용되기어렵다. 개인들은사회적관습을거부하지않으면서개인적인일탈을정당화하는방식을찾아야한다. 한복이전통의복이라는점은현재한복에부여된드레스코드와어긋난방식의한복입기가사회적으로용인되도록뒷받침해주는근거가된다. 한복이우리나라전통옷이라는관념과우리나라전통은전승되어야한다는암묵적인사회적합의로인해한복입기는정당화된다. 그래서드레스코드차원에서는규칙을깨뜨리는것이지만국가주의질서에는합치하게된다. 전통을지키려는의무나사명감을가지고한복을입지는않지만전통을지켜야한다는당위성이한복입는행위를뒷받침해준다는점은역설적이다. 이처럼한복에부착된전통성은또한진정한한복을결정하는기준이된다. 깃혹은고름이라는요소로나타나는과거로부터전승되는본질로서의전통성은현재전통한복이라여겨지는 1970-80년대한복의전형성, 그리고한복모티프의옷및대여한복에서나타나는혼종성과는다른한복에대한기준을설정하는근거가된다. 이전통성이한복을결정하는최소한의기준이라면한복중에서도생활한복과같이변형된형태가아니라전통적인양식을그대로가지고있는전통한복이가장진정한한복이라여겨지고있다. 전통성은현대기성복이아닌한복을입는근거가되기도한다. 현대기성복에는없거나부족하다고여겨지는색상의다양함, 몸을조이지않는편안함, 개별화된맞춤, 지속가능성은한복이가지는전통적인고유함으로인식및경험되며, 한복을현대기성복의대안으로써입도록만든다. 본논문에서는전통, 그중에서도전통의복인한복이개인과개별집단에의해실천되는모습을한한복동호회를중심으로살펴보았다. 한복동호회의한복입기는국가에의해주도되거나국가적기획에의한것이아니다. 그리고이동호회는전통한복을주로착용함을고려할때, 패션산업의차원에서생산되는생활한복에대한상업적인소비라고하기도어렵다. 자발적인참여로이루어지는동호회차원에서, 개별적인몸에입혀지는옷으로한복은경험되고있다. 기존의전통성이지속되던방식이국가주의이데올로기였다면, 한복동호회의사례에서는일상생활이나개인적경험과같은다른양상의실천이어떻게전통을지속시켜나가는지를보여준다. 전통의개인과개별집단에의한실천이라는점에서본연구는전통을지켜가야겠다는거창한목표의식이없더라도보통사람에의해서전통이지속되어가는모습을살펴본연구들과같은맥락에있다고도할수있다. 그러나한복이옷이라는점은또다른차별점을준다. 동호회회원들이전통의지속을의도하지는않았으나전통이지속되는데에한복이옷이라는점이주요하게작용하고있다. 옷은언제나, 어디에서나입을수있고, 아무런기술이없이단순히입기만하면되기때문에누구나입을수있어일상적인실천의가능성이높아진다. 또한옷은자신의몸을통해서입기때문에가장가까이있고직접적으로경험된다. 특히한 223
복이맞춤옷이라는특성상자신의몸에맞게맞추어가는과정에서한복은몸으로경험된다. 이렇게일상적인상황에서몸을통해입으면서한복은하나의추상화된객체로인식되기보다존재적직접성으로경험된다. 한복은전통이라는관념과가치를수동적으로반영하거나재현하는것이아니라이를계속해서재생산하는매개체가된다. 회원들은한복을입음으로써전통을지속시켜나가고, 전통은한복을통해서그들에게체화된다. 현재유행하는한복은주로대여한복혹은생활한복으로전통과일상화간에거리를내포하고있다. 대여한복은이장혹은일탈로경험되고있고생활한복은전통적인요소가많이없다는바로그이유때문에사람들에게널리소비되고있다. 혼종적이라비판받는대여한복과전통적요소가많이결여된생활한복이주로소비되고있는현상황에서한복동호회의실천은참조점을준다. 전통이라는이념보다는반복적인한복입기의실천을통해서전통이지속되어가고, 전통은그들의실천을뒷받침해주는근거로작용하는과정은, 전통이유리된채로존재하지않고일상적으로실천될가능성을보여준다. 참고문헌국사편찬위원회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id/kza_11805022_002)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6&itemid=prd&synonym=off&chinesschar=on&positi on=1&levelid=prd_130_0070)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22&itemid=jh&synonym=off&chinesschar=on&positi on=0&levelid=jh_008_0040_0010) 한국언론진흥재단뉴스라이브러리 (http://www.bigkinds.or.kr/mediagaon/gonewsview.do) 국민일보 2017.05.01 [And 라이프 ] 고운커플한복입고남친과셀카찍기! 20대女단골버킷리스트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39064&code=14110000&cp=nv) 세계일보 2017.04.09 [ 심층기획 ] " 정말공주가된것같아요 " 한복에빠진사람들 (http://www.segye. com/newsview/20170407002392) 조선비즈 2017.03.29 봄날맞은한복업계 고루한명절옷 에서 우아한일상복 으로탈바꿈 (http://biz. 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9/2017032901688.html#csidx1251f6a8502c5a5 940a25bd99e7006c) 한국경제매거진 2017.04.11 # 한복스타그램 인기폭발 일상을바꾼한복 (http://magazine.hankyung.com/ 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3&nkey=2017041001115000231&mode=su b_view) 강순제, 이영혜, 2006, 한복의시대적경향에대한연구 - 개화기이후 2000년대를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26(1) 고부자, 2002, 우리생활 100년, 현암사권혁희, 2014, 내셔널리즘과전통의발명, 비교문화연구 20(2), pp.95~138 김미진, 김혜영, 조우현, 2005, 근대이후여성생활한복의특징및변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pp.137~158 남윤숙, 1990, 한국현대여성복식제도의변천과정연구, 복식 14, pp.99~117 문옥표, 2012, 전통 의생산과소비 : 한복을중심으로, 한국인의소비와여가생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남도편, 문화공보부, 1972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북도편, 문화공보부, 197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청남도편, 문화공보부, 1975,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청북도편, 문화공보부, 197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도편, 문화공보부, 1977,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도편, 문화공보부쉴즈, 김병서 신현순역, 1992, 전통, 서울 : 민음사 (Shils, Edward, 1981, Tradition, Faber & Faber) 안명숙, 2007, 우리옷이야기, 예학사이민주, 2013, 치마저고리의욕망, 문학동네임명미, 1997, 한국의복식문화, 경춘사진미희, 1990, 한복변천에관한연구 - 1950년대이후여자한복중심으로, 복식 15, pp.149~166 224 225
최은수, 2001, 5장개화기및일제시대, 문화관광부한국복식문화 2000년조직위원회편, 우리옷이천년, 미술문화, 2006, 우리옷을밀어낸양장과양복, 국사편찬위원회편, 옷차림과치장의변천, 두산동아크레이크, 제니퍼, 2002, 패션의얼굴, 푸른솔한국문화재보호협회편, 1982, 한국의복식, 한국문화재보호협회혼, 마릴린, 1988, 의복: 제 2의피부, 까치 Benjamin, Walter, 1969(1936),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n Walter Benjamin, Illuminations, Schocken Cashman, Ray, Tom Mould, Pravina Shukla, 2011, The Individual and Tradition: Folkloristic Perspective, Indiana University Press Gell, Alfred, 1998, Art and Agency, Oxford University Press Hartley, L. P., 2002, The Go-Between, New York Review Book Horn, Marilyn J.,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Houghton Mifflin Hoskins, Janet, 2006, Agency, Biography and Objects, In Christopher Tilley ed. Handbook of Material Culture, SAGE Publications Jones, Michael Owen, 1995, Why Make (Folk) Art, Western Folklore 54, pp.253~276 Kuper, Hilda, 1973, Costume and Identity,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15(3), pp.348~367 Mcdonald, Barry, 1997, Tradition As Personal Relationship,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435, pp.47~67 Miller, Daniel, 2010, Stuff, Polity Polhemus, Ted, 2011, Fashion & Anti-fashion, lulu.com Ruhlen, Rebecca N., 2003, Korean Alterations: Nationalism, Social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Clothing, In Sandra Niessen (eds.), Re-Orienting Fashion, Berg Sapir, Edward, 1931, Fashion,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6, New York: Macmillan, pp.139~144 Simmel, Georg, 1904, Fashion, The International Quarterly 10, pp.130~155 Šmidchens, Guntis, 1999, Folklorism revisited, Journal of Folklore Research 36(1), pp.51~70 국문초록본논문에서는한한복동호회의사례를통해한복이라는전통이이전과는다른방식과의미로실천됨과그과정에서전통성이지속됨을살펴보았다. 이를위해연구자는한복동호회에가입하여그곳에서활동하는 20-40대여성및남성을대상으로인류학적현지조사를수행하였다. 최근몇년간한복은젊은층을중심으로하나의이국문화처럼체험되고있다. 이와같은양상은전통이얼마나일상과유리되어있는지를보여준다. 일상과멀어진전통을되살리려는노력은주로국가와자본에의해정치적경제적목적으로전통을활용하고자하는모습으로나타났으며, 전통관련연구도이러한모습을주로다루었다. 본논문에서는국가와자본이아닌개인과개별집단이주체가된전통의실천에주목하고자하였다. 그사례로현재개인들에의해자발적으로행해지고있는한복입기에대해서다루었다. 한복은개별적몸에입혀진다는점에서도개인적실천이잘드러난다. 본논문에서는또한한복이전통일뿐아니라의복이라는점에도주목하고자하였다. 한복이의복이라는점에주목한연구들은한복의물질성에만집중하는경향을보인다. 본논문에서는물리적인물질성만이아니라물질을사용하는사람들의행위를고려하였다. 그리고물질이일방적으로인간에의해사용되기만하는것이아니라인간문화를재생산하고변화시키는등행위성을가지고있어서문화와인간을매개하는측면을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통해전통문화가한복이라는매개를통해서어떻게실천되고또지속되는지를알아보았다. 한복동호회의한복입기는국가적기획에의한것이거나국가적전통을지켜나가기위한목적으로이루어지지않는다. 패션산업의차원에서생산되는생활한복을소비하기보다는맞춤으로이루어지는전통한복을입는다는점에서상업주의적소비라고하기도어렵다. 그보다한복동호회의한복입기는개인적차원에서이루어진다. 한복을입는것은전적으로개인의선택이고, 한복맞춤도개인의취향에따른다. 현재한정된상황에서의의례복이라는드레스코드가부여된한복을그코드와어긋나는상황에서입음으로써다른사람과차별되는개인성을표현한다. 개인성의표현만이목적이었다면한복이아닌다른의복으로도그목적을달성할수있다. 그러나한복이전통의복이라는사실은드레스코드와어긋나는옷입기가사회적으로용인되는근거가된다. 옷입기차원에서는규칙을깨뜨리는것이지만이는한복이국가적전통이며지켜나가야한다는이념으로상쇄된다. 이처럼전통성은한복입기에근거가되며정당성을부여해준다. 전통성은또한한복이 아닌 의복과한복을구별하는근거가된다. 대여한복과한복모티프의옷은전통적이지않은요소가더해져있거나전통적인요소가없다는점에서한복이 아닌 옷으로분류된다. 그리고생활한복이아닌전통한복이가장 진정한 한복으로인식된다. 역시한복이아닌옷으로분류되는현대기성복과의대비를통해서는한복에고유성이라는의미와가치가부여되며이고유성은전통성으로부터비롯된다. 전통성은의식적으로든무의식적으로든한복동호회의한복입기에서작동하며지속되고있다. 여기서전통이지속되는데에는한복이옷이라는점이주요하게작용한다. 한복동호회에게한복은어떤상황에서든입을수있는옷으로인식되고경험되고있다. 옷은언제나어디에서나입을수있고, 아무런기술이없이단순히입기만하면되기때문에일상적인실천이가능하다. 또한옷은자신의몸을통해서입기때문에가장가까이있고, 직접적으로경험된다. 특히한복이맞춤옷이라는특성상자신의몸에맞게맞추어가는과정에서한복은몸으로경험된다. 이렇게일상적인상황에서몸을통해입으면서한복은하나의추상화된객체로인식되기보다존재적직접성으로경험된다. 한복은전통이라 226 227
는관념과가치를수동적으로반영하거나재현하는것이아니라이를계속해서재생산하는매개체가된다. 회원들은한복을입음으로써전통을지속시켜나가고, 전통은한복을통해서그들에게체화된다. 이상과같이본연구는한복이개별적으로실천되면서도전통성이지속됨과그과정에서한복이매개적역할을함을살펴보았다. 한복동호회는기존에한복이입혀지던방식과는다르게일상적인옷으로, 기존에한복에부여되던국가적전통으로서의목적과는다르게자아의표현을위해한복을입으며전통을새로운의미로실천한다. 그러나전통성은한복을기존과는다르게입는행위와한복의진정성및고유성의근거가되면서지속되고있으며그과정에서한복이라는물질은전통성을지속시키는매개로작용한다. 주제어한복, 개인적실천, 전통성, 전통의지속, 물질의매개성 Abstract Individual Practice of Tradition and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ity Through the Medium of Hanbok A Case Study of A Hanbok Club - Joo Dokyung (M.A., Dept. of Anthrop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how tradition of hanbok is practiced in different manners and meanings from the past and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ity in the process through the case of a hanbok club.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ethnographic study of a hanbok club, which mostly consists women and men in their 20s to 40s. In recent years, hanbok has been experienced as an exotic culture among young generation. This phenomenon indicates how alienated tradition is from daily life. There has been an effort to restore the tradition chiefly by the nation and the capital for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and researches concerned with tradition have tended to center around these issues.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on the practice of tradition by individuals and individual groups as main agents rather than the nation and capital. As a case, it deals with wearing hanbok, which is now conducted by individuals on their own accord. hanbok, which is worn to individual bodies, is appropriate for displaying individual practice. The present article also focuses on the point that hanbok is a clothing and a tradition at the same time. Many scholarly works addressing hanbok as a clothing have taken the materiality of hanbok as its focal point. This article takes consideration of behaviors of people using the material as well as physical materiality. With the viewpoint that material is not merely utilized by human in a unilateral way but has an agency which reproduces and transforms human culture, it presents the aspect the material mediates culture and human. Thereby it reveals how traditional culture is practiced and continues through the medium of hanbok. The empirical case of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observations. Hanbok wearing of hanbok club is not projected by the nation or intended to preserve national tradition. It is difficult to be interpreted as commercial consuming since club members generally wear custom-made traditional hanbok rather than ready-made hanbok which is manufactured as fashion merchandise. hanbok club members wear hanbok for individual purpose instead. Wearing hanbok entirely depends upon individual decision, and hanbok is customized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 As hanbok has a dress code such as a formal wear worn in limited situation, wearing hanbok in situations that conflict the 228 229
dress code distinguishes club members from others and allows them to express themselves. If individual expression was the only purpose, clothing other than hanbok can be employed. The fact that hanbok is traditional clothing operates as a ground of social approval of wearing clothes opposed to dress code. Wearing hanbok other than limited situations is breaking the code in a sense of clothes wearing, but this is counterbalanced by the ideology that hanbok is a national tradition and ought to be preserved. Traditionality provides a foundation and legitimacy to wear hanbok. Traditionality is also a standard distinguishing hanbok and clothes which is not hanbok. Rental hanbok and clothes designed with hanbok motif are not classified as hanbok because they add non-traditional elements or miss traditional elements. Besides, traditional custom-made hanbok, not ready-made hanbok, is considered as the most authentic hanbok. Through the contrast of ready-made clothes which is also not classified as hanbok, meaning and value of indigenousness is given which is derived from traditionality. Traditionality operates in wearing hanbok among hanbok club members 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he point that hanbok is cloth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arrying on tradition. To hanbok club members, hanbok is conceived and experienced as clothing that can be worn in any situation. Clothes, which can be worn in any time, in any place, without having specific technique, leads to everyday practice. In addition, since clothes are worn through one s own body, they adhere closely and is experienced directly. Especially for the reason that hanbok is custom-made clothes, it is experienced through the body in the process of customizing it to one s body. Wearing through the body in everyday situation, hanbok is experienced as existential immediacy rather than objectified abstraction. hanbok is the very medium through which tradition is continuously reproduced rather than a passive reflection or representation of tradition as a concept or value. Hanbok club members carry on tradition by wearing hanbok, and tradition is embodied to them through hanbok. In sum,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hanbok is individualy practiced while traditionality i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and that hanbok is playing the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Hanbok club practices tradition by wearing hanbok in a different way from the formerly established dress code of hanbok they wear it as a daily dress and to self-express which is far beyond the meaning given on hanbok as national tradition. Traditionality, however, remains as a basis of social approval of wearing hanbok in different ways, as well as authenticity and indigenousness of hanbok. In this process, hanbok serves as a medium maintaining traditionality. Keywords hanbok, individual practice, traditionality, carrying on tradition, mediation of material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