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칸트학회논문집칸트연구제 25 집 2010. 6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백종현 *1) 논문개요 칸트의이론철학에서 아프리오리 (a priori) 와 트란첸덴탈 (transzendental) 은매우중요한기초개념이고, 그런만큼이를한국어로어떻게표현해내느냐하는문제는칸트철학을한국어로얼마만큼이해할수있느냐하는문제와거의직결된다. 두개념의용례에따른정확한의미들을새기고이를가장잘아우를수있는한국어표현을찾아본다. 먼저 아프리오리 (a priori) 는켤레말인 아포스테리오리 (a posteriori) 와함께그의미를새겨야한다. 칸트에서 아프리오리 란 단적으로모든경험으로부터독립적으로, 모든현실적인지각에앞서, 대상에대한모든지각에앞서, 모든감각인상들로부터독립적인 등을, 반면에 아포스테리오리 는 경험에근거한, 경험으로부터얻어진 혹은간단히 경험적 (empirisch) 을뜻한다. 그러므로어의상단순히 보다먼저 ( 로부터 ) 의 / 보다나중 ( 으로부터 ) 의 를뜻하는 아프리오리 / 아포스테리오리 가칸트에서는 경험 을기준내용으로가지며, 그러니까그충전된의미로볼때, 경험보다앞서 ( 의 ) / 경험보다나중 ( 의 ) 을뜻한다. 그렇기에 아프리오리 는 선험적 ( 先驗的 ) 으로그리고 아포스테리오리 는 후험적 ( 後驗的 ) 으로옮겨서사용하는것이그뜻에가장알맞다하겠다. 그러나칸트철학에서더본질적인성분이라할수있는 트란첸덴탈 (transzendental) 의용례는좀더복잡하다. 문맥에따라뜻하는바를크게세부류로나눠볼수있는데, 같은어원 ( transcendere ) 을갖는 트란첸덴트 (transzendent) 와의관계를 * 서울대학교철학과교수
2 칸트연구제 25 집 고려하여, 트란첸덴트 는 초험적 ( 超驗的 ) 으로, 트란첸델탈 은 초월적 ( 超越的 ) 으로옮기는것이가장적실하다. 이렇게옮겨놓고대표적사례들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첫째, 초월적이념 초월적사물 등의경우에서 초월적 과 초험적 은교환가능어로쓰인다. 둘째, 공간시간표상의 초월적관념성 등의경우에도 초월적 은 초험적 과거의구별되지않는다. 셋째, 그러나칸트자신도그렇게일컬었고또오늘날칸트이론철학의대명사가된 초월철학 에서의 초월적 의의미는 초험적 과충분히잘구별될뿐만아니라, 스콜라철학에서의용법이나내용과도판이하며, 이후의대개철학문헌에서는이칸트적의미가차용되고있다. 곧, 낱말 초월적 은 [ ] 모든경험을넘어가는어떤것을의미하는것이아니라, 모든경험에선행하면서도 ( 즉선험적이면서도 ), 오직경험인식을가능하도록하는데에만쓰이도록정해져있는어떤것을의미한다. (Prol 부록, 주 : AA Ⅳ, 373) 이같은의미의 초월적 인의식의자기활동에의해존재자가규정된다는칸트의 초월철학 은스콜라철학즉 옛사람들의초월철학 (Transzendentalphilosophie der Alten) 을코페르니쿠스적으로전복한결과이다. 칸트는동일한 초월철학 이라는말로써전혀다른내용을지칭함으로써 옛사람들의초월철학 을무효화하고있는것이다. 이제칸트와더불어 ( 그자체로있는 ) 객관은 ( 순전히수용적인 ) 우리를초월해있는것이아니라, ( 자기활동적인 ) 주관인우리가객관으로초월해나가객관을규정하는것이다. 그러므로이런저런용례를고려해 트란첸덴탈 을각기문맥에따라서 초월적, 초험적, 또는 초월론적 ( 감성학, 논리학등의경우 ) 으로옮기는방법도생각해볼수는있겠으나, 칸트이론철학의핵심술어를흩어버림으로써입는손실은더크므로, 그래도 초월 (Transzendenz) 초월하다 (transzendieren) 초월적 (transzendental: transzendierend, transzendent) 의어족을고려할때가장손실이적은 초월적 으로일관되게옮겨쓰고, 이말이문맥에따라서는 초월적 뿐만아니라때로는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3 초험적, 또때로는 초월론적 이라는뜻도갖는다고설명하는편이가장합당하다 고본다. 주제어 칸트, 초월철학, 선험적, 초월적 머리말 칸트 (I. Kant, 1724~1804) 의이론철학에서 아프리오리 (a priori) 와 트란첸덴탈 (transzendental) 은매우중요한기초개념이고, 그런만큼이를한국어로어떻게표현해내느냐하는문제는칸트철학을한국어로얼마만큼이해할수있느냐하는문제와거의직결된다. 지난 20여년에걸쳐필자가칸트의 3 비판서등을재번역하여펴내면서기존의역서와는다른어휘를선택한것이더러있는데, 그가운데서도저두용어를각기 선험적 과 초월적 으로고쳐쓴것에대해서는, 필자가역자로서나름대로해명하고칸트철학체계내의의미연관을거듭설명하였음 1) 에도불구하고워낙이해와어감의차이가큰까닭인지, 동학제현들이 < 서평 > 등을통해반복하여질정한바있어, 이에대한재해명을겸해서다시한번이주요한두개념의의미를새기고이를가장적합하게한국어로표현해내는문제를좀더포괄적으로짚어보고자한다. 1) 이에대해서는 1988 년 ( 광주 ) 제 1 회전국철학자대회 에서구두로발표한이래역자의칸트연구서번역서칸트. 비판철학의형성과정과체계 ( 서광사, 1992) 의부록 (311~319 면 ) 과칸트원저번역서실천이성비판 ( 아카넷 ) 의부록 ( 초판 : 518~534 면, 개정판 : 420~432 면 ) 에서그요점을이미밝힌바있다.
4 칸트연구제 25 집 1. 선험적 [ 성 ] 의개념 칸트철학에서 아프리오리 (a priori) 는 선험적 으로새기는것이가장무난하다. 어의 ( 語義 ) 상으로볼때, 라틴어 아프리오리 (a priori) 는 ( 보다 ) 이전으로부터 ( 의 ), 먼저의, 선차적, 선행적 등으로, 반면에이것의켤레말인 아포스테리오리 (a posteriori) 는 ( 보다 ) 이후로부터 ( 의 ), 나중의, 후차적, 후속적 등의뜻을갖는다할것이다. 이와같은의미로 아프리오리 / 아포스테리오리 가쓰인예를우리는이미옥캄 (William of Ockham, 1280 1349) 에서볼수있으며, 2) 어형 아프리오레 (a priore)/ 아포스테리오레 (a posteriore) 는이미둔스스코투스 (Duns Scotus, 약 1266 1308) 에서도등장하고, 3) 이에상응하는그리스어표현 프로테론 / 히스테론 (proteron/hysteron) 은훨씬전의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BC 384~322) 에서도발견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보다먼저의것 이란다른것없이도있을수있는어떤것이며, 반면에 나중의것 이란먼저의것없이는있을수없는것을뜻했다. 4) 그리고이말들이이와유사한뜻으로사용된예를우리는라이프니츠 (G. W. Leibniz, 1646~ 1716) 에게서도여러곳에서발견한다. 5) 아프리오리 를 선천적 ( 先天的 ) 으로 그리고이에상응해서 아포스테리오리 는 후천적 ( 後天的 ) 으로 이해하는사람들도있는데, 이는아마도데카르트 (R. Descrates, 1596~1650) 의 본유관념 (idea innata) 과이것에얽힌애매함을충분히살피지않은탓으로보인다. 주지하듯이데카르트는우리가가지고있는관념들을그것의근원에따 2)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hrsg. v, J. Ritter u. a. Bd. 1, Basel 1971, Sp. 464 참조. 3) Duns Scotus, Tractatus de primo principio, Ⅱ, 3 참조. 4) Aristoteles, Metaphysica, 1018b 9ff. 1019a 2ff.; Categoriae, 14a/b 참조. 5) Leibniz, Monadologie, 45 50 60 76 등참조.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5 라서 본유관념, 획득관념 (idea adventicia), 나자신이만든관념 [ 상상적관념 ](idea a me ipso facta) 으로구별한다. 6) 그는이가운데 사물, 진리, 의식 과같은 본유관념 에서의 본유적 (innatus) 을 나자신의자연본성으로부터의 (ab ipsamet mea natura) 라고설명함으로써, 7) 이에대한로크 (J. Locke, 1632~1704) 와라이프니츠의엇갈린두가지해석이가능할수있는소지를남겼다. 이것을라이프니츠는데카르트문맥의의미를새겨이성혹은 지성자체로부터유래하는 으로해석한 8) 반면에, 로크는라틴어 인나스키 (innasci: 태어나다 ) 의분사 인나투스 (innatus) 의낱말뜻그대로 물론 natura 의어원인 nasci 의본래뜻을생각해도그럴수있지만 생래적 ( 生來的 ) 혹은 태어나면서부터 [ 의 ](naturally) 라고이해했다. 9) 데카르트의 본유관념 이어떤식으로해석되든, 그것을 이데아인나타 (idea innata) 라고지칭하는한, 어의상의애매함은남는까닭에칸트는, 그의철학에서중요한용어인 아프리오리 를 생래적 또는 태어나면서부터 [ 의 ] 로해석될수있는 안게보렌 (angeboren. connatus. innatus) 과구별하여사용하려한다.(MSI, 8: Ⅱ, 395; KrV, A67=B91 A85= B118 참조 ; ÜE: Ⅷ, 221; Prol, 43: Ⅳ, 330) 칸트에서 아프리오리 란 단적으로모든경험으로부터독립적으로 (KrV, B3 A2 참조 ), 모든현실적인지각에앞서 (KrV, A42=B60), 대상에대한모든지각에앞서 (KrV, B41), 모든감각인상들로부터도독립적인 (KrV, B2) 등을의미하며, 반면에켤레말 아포스테리오리 는 경험에근거한, 경험으로부터얻어진 혹은간단히 경험적 (empirisch) (KrV, A2) 을뜻한다. 그러므로칸트에서는어의상단순히 보다먼저 ( 로부터 ) 의, 보다나중 ( 으로부터 ) 의 를뜻하는 아프리오리, 아포스테리오리 가 경험 을기준내용으로가지며, 그러니까그충전된의미로볼때, 6) Descartes, Meditationes, Ⅲ, 7. 7) 같은곳참조. 8) Leibniz, Nouveax essais, Ⅰ, 1, 2 참조. 9) Locke, Essay, Ⅰ, 1, sect, 5 참조.
6 칸트연구제 25 집 각각 경험보다앞서 ( 의 ), 경험보다나중 ( 의 ) 을뜻한다. 그러니까 아프리오리 는 선험적 ( 先驗的 ) 으로그리고 아포스테리오리 는 다소생소한표현이기는하지만 후험적 ( 後驗的 ) 으로옮겨서사용하는것이그뜻에가장알맞다하겠다. 다만주의할것은, 경험 (Erfahrung) 이라는말이칸트철학내에서다의 ( 多義 ) 적으로쓰이는바, 여기서 선험적 / 후험적 의기준이되는경험이란감관 ( 感覺器官 : Sinn) 에의한대상수용, 즉감각경험만을뜻한다는점이다. 그렇기에이때경험은 지각 (Wahrnehmung) 혹은 감각 (Empfindung) 을동반하는표상 (KrV, B147) 과동의어이다. 이런의미에서의 경험 은예컨대칸트철학에서또다른중요한용어인경험과학적인식과의교환어로서의 경험 과는구별되어야한다. 오늘날, 자료에의거한체계적인식을경험과학이라고부르는데, 이경우의경험이라는말은칸트의학적인식으로서의경험개념으로부터유래한다. 이경험의내용인 현상들의총체 가칸트에게서는 자연 이다.(KrV, B163 참조 ) 그러나칸트가 우리의모든인식이경험과함께시작된다는것은전혀의심할여지가없다. [ ] 그러므로시간상으로는우리에게어떠한인식도경험에선행하는것은없고, 경험과함께모든인식은시작된다. [/] 그러나우리의모든인식이경험과함께시작된다할지라도, 그렇다고해서우리의인식모두가바로경험으로부터생겨나는것은아니다. (KrV, B1) 고말할때의경험은감각경험 말하자면, 학적경험과구별해서원초적경험이라고칭할수있겠는 을의미한다. 이감각경험에앞서는것이 선험적 인것이며, 이감각경험에의존하는것이 후험적 인것이다. 이켤레개념 선험적 / 후험적 과내포외연이 ( 부분적으로 ) 겹치는칸트의또다른켤레개념이 순수한 (rein)/ 경험적 (empirisch) 이다. 경험적 이란 ( 대상의실제적현전을전제로하는 ) 감각을자기안에함유하 [ 는 ] 을, 순수한 이란 그표상에아무런감각도섞여있지않 [ 은 ] (KrV, A50 =B74 A20=B34 참조 ) 내지는 전혀아무런경험적인것도섞여있지않은 (KrV, B3) 을뜻한다. 후험적 이라고말할수있는것에대해서는그래서어느것에나 경험적 이라고말할수있다. 그러나 선험적 이라고말할수있는것모두에대해 순수한 이라고말할수는없는데, 그것은예컨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7 대명제 모든변화는원인을갖는다 에서보듯이, 이명제자체는선험적이나, 이명제안에는 변화 와같은경험을전제로하는개념이포함되어있어서, 전적으로 순수한 명제라고볼수는없기때문이다.(KrV, B3 참조 ) 칸트에서선험적인것은그러므로생리-심리적으로, 발생적- 시간적으로앞서는것이아니라, 논리적- 기능적 [ 정초적 ] 으로앞서는것이다. 이선험적인것이, 경험적으로얻어지는것이아닌한에서경험에앞서경험하는의식에예비되어놓여있는 (KrV, A66=B91 참조 ) 것이긴하지만, 이때경험에앞서예비되어있다함은, 모든 ( 경험적 ) 인식의 기초에놓여있 [ 다 ] (KrV, A24=B38 A31=B46 등등 ) 는것을, 그러니까이선험적인것없이는어떠한 ( 경험적 ) 인식도성립할수없다는것을함의한다. 그런뜻에서칸트는, 우리의모든인식이경험즉감각적수용과더불어시작되지만, 단지감각적수용만으로부터는나오지않는다고말하는것이다. 경험인식 이란칸트에게서는우리가감각인상을통해수용한것과우리자신이스스로산출해낸것의 합성 [ 물 ] (KrV, B1 A1 참조 ) 인데, 전자를그는질료 ( 質料 : Materie) 라고부르며, 후자를형식 ( 形式 : Form) 이라고부른다. 이형식적인것이바로선험적인것으로, 칸트의파악에따르면공간-시간표상과범주로서의순수지성개념등이그러한것이다. 이밖에도, 칸트의이해에따르면, 동일율 모순율과같은순수형식적사고의원리들도선험적이며, 순수실천이성의사실로서의윤리적인정언명령도선험적인것이다. 아프리오리 는적지않은사람들이 선천적 ( 先天的 ) 으로옮겨쓰고, 또일부의사람은번역어선택의어려움을모면하고자그냥 아프리오리 라고발음대로표기하기도하고, 어떤이는문자적으로 선행적 또는 선차적 이라번역하여쓰기도한다. 라틴어나그에상응하는그리스어의원뜻대로한다면 선차적 ( 先次的 ), 선행적 ( 先行的 ) 이라고옮겨도무방하겠지만, 칸트철학이나칸트철학의영향아래에서전개된철학적논의에서는 아프리오리 를 선험적 ( 先驗的 ) 으로옮겨쓰는것이한국어로칸트의원래개념을가장적실하게이해한것이라하겠다. 그리고철학사적의미가큰문헌에서 아프리오리 라는말이중요한철학적용어가된것은칸트로부터이
8 칸트연구제 25 집 니칸트적의미를중심으로이용어를사용하는것이합당한일일것이다. 2. 초월적 [ 성 ] 의개념 칸트의이론철학을이해하는데더욱관건이되는개념은 트란첸덴탈 (transzendental) 인데, 이는 초월적 으로 새기는 것이 가장 합당할 것 같다. 어원상으로 볼 때, 독일어 낱말 트란첸덴탈 (transzendental) 과 동근 어 ( 同根語 ) 트란첸덴트 (transzendent) 는 각각 초월하다 혹은 넘어가 [ 서 ] 다 의뜻을갖는라틴어동사 트란첸데레 (transcendere) 독일어직 역 hinübersteigen, überschreiten 에서 유래한 중세 라틴어 형용사 트란첸덴탈리스 (transcendentalis)( 초월한, 초월적 ) 와 분사 트란첸덴스 (transcendens)( 초월하는, 초월해있는 ) 의독일어형태이다. 이중형용 사 트란첸덴트 (transzendent) 는 라틴어 동사 임마네레 (immanere)( 안 에있다, 부착해있다 ) 의분사 임마넨스 (immanens) 의독일어형태 임 마넨트 (immanent)( 내재하는, 내재적 ) 와 켤레 말로도 자주 쓰인다. (KrV, A296=B352 참조 ) 그런데이러한어원적유래는칸트의 초월적 이라는개념을이해하는데도움이되는한편장애가되기도한다. 철학적문헌에서는처음스콜라철학에서 트란첸덴탈 과 트란첸덴트 가 상호교환가능한말로사용되었으니, 어의상으로나철학적관용으로보나 두낱말을굳이구별할것없이한국어로는 초월적 ( 超越的 ) 이라고옮겨 써도무방할성싶다. 그러나근대이후에는이두낱말이때때로차이나 게쓰이고, 또 트란첸덴트 와 임마넨트 가서로짝됨을고려하여, 트란첸 덴트 는 감각경험을벗어나 [ 넘어서 ] 있는 이라는의미에서 초험적 ( 超驗 的 ) 또는 초재적 ( 超在的 ) 이라고새기고, 트란첸덴탈 만을 초월적 이라고 옮겨서양자를구별해주는편이더나을것같다. 이때 초월적 이란의당 초월하는 기능 [ 작용 ] 과 초월한 [ 초월해있는 ] 상태두가지를모두지칭 할것이다.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9 스콜라철학에서 초월적인 것 즉 초월자 (transcendentia 또는 transcendentalia) 란, 모든범주들내지는유개념을넘어서모든존재자 에무제약적으로타당한사고내용 ( 개념 ), 바꿔말하면 모든개별존재자 들을넘어서있으면서도각개별자들에게필연적으로속하는규정들 을지 시했다. 10) 용어 트란첸덴치아 (transcendentia) 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Albertus Magnus, 약 1206 1280) 는 이런 것으로 존재자 (ens) 하나 (unum) 참임 (verum) 선함 (bonum) 을들었는데, 이것들은본래신에게만적용될수있는술어 ( 述語 ) 들로서, 여타의것들에는단지유비적으로만사용될수있다고보았고, 토마스아 퀴나스 (Thomas Aquinas, 약 1225 1274) 는 여기에 사물 [ 것 ](res) 과 어떤것 (aliquid) 을추가했다. 둔스스코투스에이르러이것을 트란첸덴 탈리아 (transcendentalia) 라고도 일컫기 시작했는데, 존재자 는 가장 보 편적인것이고, 나머지다섯가지는이것의불가결의상태로이해되었 다. 11) 존재자 는그자체로 사물 [ 것 ] 이며, 분할을거부함으로써 하나 [ 一 者 ] 이고, 그런점에서다른것과구별되는 어떤것 이며, 인식과관련해서 는 참 [ 眞 )] 이고, 의지와관련해서는 선 ( 善 ) 이라는것이다. 그리고이같 은용어사용은다소간 변용되어알스테드 (J. H. Alsted, 1588 1638), 샤르프 (J. Scharf, 1595 1660), 클라우베르크 (J. Clauberg, 1622 1665), 애피누스 (F. Aepinus, 1673 1750) 등 17 /18세기 독일 프로 테스탄트 스콜라철학자들을 거쳐 볼프 (Ch. Wolff, 1679 1754) 로 이어 졌다. 계몽주의자칸트는그의 모던 (modern) 철학을개진하는자리에서이 러한연원을가진개념 초월적 을인간의의식작용또는그작용결과의성 격으로 규정하였다. 그것은 칸트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KrV, BXⅥ 참조 ) 에 의해서, 아우구스티누스 (Augustinus, 354 430) 이래 신의세계창조원리를뜻하던 순수이성 (ratio pura) 이인간의의식을 10) Josef de Vries, Grundbegriffe der Scholastik, Darmstadt 1980, S. 90 이하참조. 11) Duns Scotus, Tractatus de primo principio, Ⅰ, 2 이하참조.
10 칸트연구제 25 집 지칭하게됨으로써일어난일이다. 이로부터 초월적인것 도코페르니쿠스적으로전환된의미를갖게된것이다. 칸트에게서는, 예컨대 초월적의식 (KrV, A117), 상상력의초월적작용 (KrV, B154), 초월적표상 (KrV, A56=B81) 에서보는것처럼, 초월적 은기본적으로는의식자체에대해서또는이의식의작용 [ 활동 ] 과표상내용에대해서사용된다. 그러나그것은때로는이로부터더나아가 초월 [ 적 ] 철학 (KrV, A13=B27 등 ), 초월적변증학 (KrV, A293= B349) 에서와같이초월적인것에대해논설하는철학 ( 메타이론 ) 에대해서도, 심지어는 초험적 이라고일컬어야마땅할이념이나대상에대해서도 (KrV, A247=B304 참조 ) 사용된다. 그런데예시에서보듯이칸트에서 초월 / 초월적 이라는용어는주로그의순수이성비판을중심으로한이론철학에서사용된다. 다른곳에서도쓰이기는하지만, 기타의용례는무시해도좋을정도이다. 칸트생전에출간된전체저작 (1900~2009 년사이에편집발행된베를린학술원판전집 [AA] 기준전29권 37책중 Ⅰ~Ⅸ권 ) 에서 초월적 (transzendental) 은총 948회사용되는데, 그중순수이성비판의 A판에 318회, B판에 503회 그러니까합해서 821회, 거기에다순수이성비판의요약해설서라할수있는형이상학서설에 23회정도가등장한다. 실천이성비판에서 16회, 판단력비판에서 36회, 기타에서는모두합해 47회정도만을볼수있다. 초월철학 의경우는총 68회사용되고있는가운데순수이성비판의 A판에 17회, B판에 32회, 기타저술에 19회정도등장한다. 12) 이것들도기본적으로는순수이성비판에서사용된의미에따라쓰이고있는것인만큼순수이성비판이외의저술에서쓰이고있는경우는실천이성비판에등장하는 초월적자유 (KpV, A4=V3) 외에는굳이괘념할필요가없는수준이라하겠다. 이제칸트문헌상에등장하는 초월적 이라는개념의몇가지대표적인용례를유심히살펴보면, 한편으로는 초월적 이 초험적 과구별없이쓰이 12) 이수치는글쓴이의칸트역서를토대로개산 ( 槪算 ) 하여얻은것으로서정확하지않을수도있다.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11 면서, 다른한편으로는칸트의이론철학을 초월철학 이라고부를때그의 미규정의핵심적요소를이루는, 바로그경우의 초월 ( 적 ) 의의미가다른 맥락에서의의미와분명하게구별되어또렷하게드러난다. 용례 1 칸트는 초월적 (traszendental) 이한낱 [ 경험의 ] 한계를넘어간다 (KrV, A296=B353) 라는의미를갖는 초험적 (transzendent) 과는 동일한것이아니다 (KrV, A296=B352) 고말하며, 그렇기때문에양자는구별되어야한다고스스로주장하면서도, 더러 ( 관행에따라서또는무심코 ) 초월적 을 초험적 과동의어로사용하는데, 예컨대 초월적이념 (KrV, A327=B383) 과 초월적사물 (KrV, A682=B710) 처럼특히 < 초월적변증학 > 의몇군데에서그러하다. 그뿐만아니라범주의경험적사용과 초월적 (KrV, A139=B178) 사용을대비시켜말할때도그러하다. 이런경우들에서 초월적 과 초험적 은의미상의차이는없다하겠으며, 이두말이오랫동안그렇게사용되어왔듯이칸트역시교환가능한말로쓰고있는것이다. 용례 2 초험적 과완전한동의어는아니지만, 거의그러한의미연상속에서사용되는 초월적 의예도있다. 가령, 공간 시간표상이경험적실재성과함께 초월적관념성 을갖는다 (KrV, A28=B44 A35 이하 =B52 참조 ) 고말할때, 이말은, 주관적인표상인공간 시간은가능한경험적대상즉현상과관련해서바로그대상의실재성즉대상성을이루지만, 경험의한계를벗어나있는초험적인것즉사물자체와관련해서는한낱관념에불과함, 그러니까아무것도아님을의미한다. 이경우 초월적 은 경험적인것을벗어나서 정도를의미한다하겠다. 그러니까이상의두용례들에서 초월적 은의식의선험성을조건으로갖
12 칸트연구제 25 집 지않으며, 어떤경험을가능하게하는근거를이루는것도아니다. 그런 한에서이같은 초월적 은칸트철학을 초월철학 이라고일컬을때의그의 미와는거의상관이없다. 용례 3 그러나칸트자신도그렇게일컬었고또오늘날칸트이론철학의대명사가된초월철학에서의 초월적 의의미는어원상으로친족어인 초험적 과충분히잘구별될뿐만아니라, 스콜라철학에서의용법이나내용과도판이하며, 이후의대개철학문헌에서는이칸트적의미가차용되고있다. 칸트는우선 대상들이아니라대상들에대한우리의인식방식을이것이선험적으로가능하다고하는한에서일반적으로다루는모든인식을초월적이라부른다. (KrV, B25) 이때 초월적 은결코우리인식의대상과의관계가아니라, 단지인식능력과의관계를지시한다. (Prol, 13, 주 Ⅲ: AA Ⅳ, 293) 그러니까초월적인식은그자체가하나의대상인식이아니라, 대상인식을가능하게하는정초적인식, 곧표상이나개념또는원리를말한다. 칸트는이를좀더일반화하여형이상학서설의부록을통해초월철학에서 초월적 의충전한의미를밝힌다. 낱말 초월적 은 [ ] 모든경험을넘어가는어떤것을의미하는것이아니라, 모든경험에선행하면서도 ( 즉선험적이면서도 ), 오직경험인식을가능하도록하는데에만쓰이도록정해져있는어떤것을의미한다. (Prol 부록, 주 : AA Ⅳ, 373) 그러니까 초월적 (transzendental) 은통상 모든경험을넘어가는어떤것 을뜻하는말이지만, 그러나칸트에게서는 1 모든경험에앞서는, 즉 비 ( 감각 ) 경험적 (FM: AA XX, 260 참조 ) 이고 선험적 (a priori) 이면서, 동시에 2한낱 경험을넘어 가버리는것 [ 초경험적 ] 이아니라, 오히려 경험인식을가능하게하는 (Erfahrungserkenntnis möglich machend), 요컨대 (1+2), 선험적으로경험인식을규정하는 (Erfahrungserkenntnis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13 apriorisch bestimmend) 을뜻한다. 그러므로인간의식이초월성을갖는다함은인간의식은본래선험적요소내지기능을갖는데, 이러한요소가한낱주관적임을뛰어넘어경험인식의정초적기능, 곧객관적타당성내지경험적실재성을갖는다함을말한다. 의식스스로가산출해낸, 따라서주관적이며그런한에서선험적인표상들인공간 시간이라는순수직관과상상력의종합작용, 순수지성개념인범주들, 통각의통일작용등이그틀 [ 형식 ] 로서기능함으로써경험인식은가능하게된다. 그리고경험적인식이성립할때에만, 그인식중에서인식되는것즉대상 [ 존재자 ] 이우리에게나타난다. 그리고이렇게우리에게나타나는대상 [ 존재자 ] 을칸트는문자의엄밀한의미에서 현상 이라고부른다. 이같은내용을, 칸트초월철학의핵심적명제는, 경험일반을가능하게하는조건들은동시에그경험의대상들을가능하게하는조건들 (KrV, A158=B197 A111 참조 ) 이라고표현한다. 바로이 조건들 이초월적인것이다. 그러니까당초에인간의식의요소들인, 다시말해주관적인것들인공간 시간표상이, 순수지성개념들이, 생산적상상력이, 의식일반으로서의통각이그주관성을넘어객관으로초월하며, 그런의미에서 초월성 을갖고, 초월적 이다. 이렇게초월적으로기능하는인식주관을 초월적의식 이라고일컬으며, 이러한초월적주관에의해대상은인식되는것이므로, 인식대상은초월적주관에서하나의존재자로규정되는것이다. 그렇기에의식의 초월적 기능은단지인식론적일뿐만아니라, 존재론적 (KU, BXXIX=V181) 인의미를갖는것이다. 이러한의미연관에서초월철학은대상인식에관한직접적관심 (intentio recta) 을갖는과학이아니라, 그런인식의가능원리에관한학곧인식론이자, 그런인식에서인식되는존재자의존재원리에대해반성하는학곧존재론이고, 그러니까철학이다. 초월적 내지 초월 ( 하다 ) 이이같은칸트적의미로사용된대표적인또다른예를우리는셸링 (F. W. Schelling, 1775~1854) 과후설 (E. Husserl, 1859~1938), 하이데거 (M. Heidegger, 1889 1976) 등에서도볼수있다. 셸링은이른바그의 동일철학 을전개하면서 초월철학 을 제일의절대적인것으로서의주관적인것으로부터출발해서, 이로부터
14 칸트연구제 25 집 객관적인것을발생시키려는 13) 철학의기본학으로파악한다. 후설의이른바 초월적현상학 의기본적인주장은, 나에대해서있는 [ ] 대상세계는, 모든그것의대상들과함께, 그것의전의미와그것이나에대해서갖는존재타당을나자신으로부터, 곧초월적자아로부터얻는다 14) 는것이다. 하이데거는 우리가존재자에대한모든태도를지향적이라고표현할때, 이지향성은오직초월 (Transzendenz) 의근거위에서만가능하다 15) 고말한다. 이러한예들에서보듯이 트란첸덴탈 이주관 [ 주체 ] 내지의식의기능이나의식내용을지칭할때, 그것은 선험적 이라는의식상태뿐만아니라, 한낱의식내지주관성자체이기를벗어나서대상을지향하고, 규정하고, 대상화하고, 즉대상의대상성을부여하며, 대상에대한인식을가능하게하는의식의활동작용을의미한다. 그리고또한이때이런기능을갖는주관 [ 주체 ] 내지의식은그것에의해서규정된대상 [ 현상 ] 세계에속하지않는다. 즉존재자들의세계에초월해있다. 이때문에칸트는때로 초월적 을비 초자연적 [ 형이상학적, 초험적 ] 일뿐만아니라비 자연적 [ 물리적 / 경험적 ] 이라고설명한다.(XXVIII, 556 참조 ) 초월적인것은존재하는것을가능하게하는것이기는하지만그자신이존재하는것은아니다. 초월적인것은존재적인것이아니라, 말하자면존재론적인것이다. 그러니까인간의식이초월성을갖는다함은, 또는인간의식이초월적이라함은이중적의미에서 초월적 임을말한다. 곧, 그것은한편으로는인간의식이주관적임을벗어나객관에로이월한다함을, 다른한편으로는그러한인간의식의활동요소들은존재하는것이아니라는점에서존재세계를벗어나있다함을뜻하는것이다. 이상간추려본용례에서와같이낱말 트란첸덴탈 은여러가닥의그리 13) Schelling, System des transzendentalen Idealismus, Einl. 1: SW Ⅰ/32, 342. 14) Husserl, Cartesianische Meditationen, 11: Husserliana Ⅰ, S. 65. 15) Heidegger, Vom Wesen des Grundes : GA 9, S. 135.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15 고중첩적인뜻으로쓰인다. 그때문에사람들은한편으로는상관어인 아프리오리 와차별화하면서다른한편으로는각자중시하는쪽의뜻을살리려는의도로 트란첸덴탈 을각기 정험적 ( 定驗的 ), 선험적 또는 선험론적, 초험적, 초월적, 초월론적 등으로새기고, 동족어 트란첸덴트 는 초월적, 초험적, 초재적, 초절적 ( 超絶的 ) 등으로옮기고있다. 이가운데사람들이 트란첸덴탈 의번역어로쓰기도하는 정험적 ( 定驗的 ), 선험적 또는 선험론적 은어원상으로는 트란첸덴탈 과는상관이없는일종의의역 ( 意譯 ) 16) 으로, 트란첸덴탈 용례 3 에서본그것의두가지의미요소, 곧 1 모든경험에앞서는 ( 선험적인 ) 과 2 경험인식을가능하게하는 중에서 정험적 은 2의뜻을, 반면에 선험적 은 1의뜻을살리고자한것이고, 선험론적 은그의도에서는 1+2를동시에뜻하는말로새롭게만들어쓰자는제안이라하겠다. 정험적 이야지금은쓰는사람이거의없으니그렇다치고, 선험적 은한때 트란첸덴탈 의번역어로가장널리사용되었지만, 17) 앞서검토해보았듯이, 모든감각경험으로부터독립적인, 그런한에서 경험에앞서는 [ 선차적인 ] 이라는뜻을갖는낱말인 아프리오리 의번역어로 한때널리쓰이던 선천적 보다도훨씬더 적 16) 의역 ( 意譯 ) 으로채택된낱말은으레문맥에서그뜻을얻는것이기때문에어떤대목에서는잘읽힐수있다. 그러나자주쓰이고문맥에따라다양한의미를갖는, 특히추상적인학술어를의역하면얻는것보다잃는것이많은경우가허다하다. 그대목그대목에서의의미전달로충분한대중번역에서는그래서의역이오히려장점을가질수있으나, 낱말하나로논쟁이크게일어나는고전적인학술문헌에서용어는, 특히중심적인용어는설령어떤대목에서는다소부드럽지못하게읽히더라도되도록원어의어원상의의미를살려충실하게직역함으로써일관성을유지하게하는것이전체적으로는더바람직하다. 정확히말하면 의역 은번역이라기보다는일종의 뜻풀이 로서, 해설서에서사용하는것은무방하겠으나번역서, 특히학술번역서에서는되도록피하는것이좋다고본다. 번역이란한언어로쓴글을또다른언어로바꾸는일로, 물론원문에대한해석을기초로해서이루어지는것이기는하지만, 그럼에도해설과는구별되어야한다. 17) 주지하듯이최재희역, 純粹理性批判 ( 박영사, 1972) 발간이후이번역어는학계에서통용되었다.
16 칸트연구제 25 집 합한것이니그렇게사용하는것이마땅하고, 이미상당히많은이들이그렇게바꿔사용하고있다. 18) 이런저런이유로이제 선험적 이 트란첸덴탈 의번역어로적합하지않다면 선험론적 또한당연히적합하지않다. 19) 선험론적 은 선험적 = 아프리오리 와의의미연관속에서만쓰일수있는말로, 선험론적 에서 선험론 이란 선험성에대한이론 또는 경험에독립적인선험적인식을주장하는학설 곧독일어로 아프리오리스무스 (Apriorismus) 을말하는것이고, 그러니까 선험론적 에상응해서는 아프리오리스티쉬 (aprioristisch) 라는독일어낱말이엄연히있기때문이다. 게다가 정험적, 선험적, 선험론적 과같은번역어는 용례 3 에서보는 트란첸덴탈 의뜻을반영하고있을뿐으로, 칸트철학을 트란첸덴탈철학 이라고일컬을때의바로그뜻에적중하는것이기는하지만, 칸트문헌에서 ( 더욱이철학문헌일반에서 ) 트란첸덴탈 이이러한사례에이런뜻으로만쓰이는것은아니기때문에, 이러한말보다는가능하다면어원상의의미를보존하면서도더많은용례에두루타당한낱말을번역어로찾는것이바람직한일이겠다. 이제 아프리오리 와는내용상으로도구별되고어원상으로도전혀다른 트란첸덴탈 에게는그에알맞은번역어를대응시켜그개념의의미와철학사상사적맥락을올바로드러내는편이합당한일이다. 대개가그러하듯이이경우도서양어개념을한국어개념으로포착하는것인만큼다소간의의미손실은불가피할것이나, 트란첸덴탈 은 초월적 으로, 동근어 트란첸덴트 는다시금이것과구별하여 초험적 [= 경험너머의 ]( 혹은필요한경우 초재적 [= 경험넘어있는 ]) 으로옮기는것이그나마큰의미손실없이연관개념들을살려내는길이라고본다. 그렇기는해도신학에서 트란첸덴트 로써 초월자 의정적인상태만이아니라동적인작용까지를지칭하고자할때는이역시 초월적 으로쓰는것을양해해야할것이다. ( 우리가 초월하 18) 한국칸트학회의학술지창간호 : 칸트연구 제 1 집 [ 칸트와형이상학 ]( 민음사, 1995) 게재논문 11 편을살펴보면그중 7 편이그렇게사용하고있다. 19) 이러한번역어는최인숙, 칸트의오류추리론, 수록 : 칸트연구 제 1 집, 257~292 면에서이미볼수있다.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17 다 는말은쓰고있지만, 초험하다 는말은사용하지않으니말이다.) 다시말하거니와 트란첸덴탈 곧 초월적 은칸트초월철학에서기본적으로 모든경험에선행하면서도 ( 즉선험적이면서도 ), 오직경험인식을가능하도록하는 을뜻하며, 그런만큼그것은경험인식의주관인인간의식의어떤기능의성격을지칭하는것이다. 그러니까 공간 시간표상의초월성 이란인간의선험적인공간 시간표상이순수형식으로서경험적직관을가능하게함을말하고, 통각의초월적통일 은 직관에주어진모든잡다를객관이라는개념에서합일되게하는것 (KrV, B139) 으로서그로써비로소하나의경험대상인식을완결하는의식작용을일컫는다. 이렇듯시간표상이나순수지성개념이, 또는통각이나상상력이 초월적 (transzendental) 이며, 초월하는 (transzendierend) ( 작용을하는 ) 것이다. 이러한기본적인의미를확장변양하면, 초월적진리 나 초월적가상, 또는 초월적감성학 이나 초월적논리학 에서 초월적 이지칭하는바도드러난다. 초월적진리 란 모든경험적진리에선행하면서그것을가능하게하는 (KrV, A146=B185) 진리 ( 곧지성과사물의일치 [adaequatio rei et intellectus]) 이다. 그러나칸트에서 초월적가상 이란 우리를전적으로범주들의경험적사용너머로이끌고, 우리로하여금순수지성의확장이라는환영 [ 幻影 ] 으로희망을갖게 (KrV, A295=B352) 하는것이다. 그러니까초월적가상은경험적가상을가능하게하는선험적이념은아니므로, 이경우 초월적 은 경험적인것을가능하게하는 대신에, 오히려경험적질료가없는그래서정당하게범주를적용할수없는, 말하자면 한낱공허한개념, 즉 어떤초험적인것을가능하게하는 의뜻을갖는다. 또한 초월 ( 적 ) 철학 이라는말에서도철학이초월하거나초월적인것은아니므로, 초월철학 이란 경험인식의가능원리인의식의초월성을밝히는철학 또는 경험인식을가능하게하는주관의초월적조건을해명하는철학 으로이해해야할것이다. 이러한초월철학을지칭하기위해 초월론또는초월주의 (Transzendentalismus) 20) 라는말을사용한다면, 그것은 20) 문화사적으로는 초월주의 (Transzendentalismus) 란 19 세기중엽미국에서
18 칸트연구제 25 집 주관의초월성을해명내지주창하는이론, 또는그러한주의주장이라고이해할수있겠으며, 그러므로만약누가 초월론적 굳이이에상응하는독일어를만든다면 transzendentalistisch 가될터인데 이라는말을쓴다면그것은 초월론의 를지칭하기위한신조어라할것이다. 그런가하면초월철학내에서 초월적감성학 이란 모든선험적감성원리들에대한학문 (KrV, A21=B35) 을말하고, 또 초월 ( 적 ) 논리학 은 우리가대상들을온전히선험적으로사고하는, 순수지성인식과순수이성인식의한학문이념을갖는 바, 그러한인식들의근원과범위와객관적타당성을규정하는그러한학문 (KrV, A57=B81) 을일컫는다. 이 초월논리학 의제1부인 초월적분석학 은 우리의선험적인전체인식을순수지성인식의요소들로분해하는작업 (KrV, A64=B89) 을수행하며, 제2부인 초월적변증학 은 자연스럽고불가피한순수이성의변증성 (KrV, A298=B354), 다시말해 초험적판단들의가상을들춰내고, 동시에그것이기만하지않도록방지하는것 (KrV, A297=B354) 을과제로갖는다. 이경우들에서 초월 ( 적 ) 은일의적으로사용되고있다고볼수없다. 초월적감성학 (Ästhetik) 의경우는 감성 (aisthesis) 의초월성에관한이론 으로새기면무난할것이나, 초월 ( 적 ) 논리학 (Logik) 의경우는 논리곧이성 (logos) 의초월성에관한이론 으로짝이되게새기면, 초월적분석학 의부문에는맞으나, 초월적변증학 에서는다르게이해되어야하기때문이다. 앞의경우들에는칸트초월철학적의미에서의 초월 ( 적 ), 곧 선험적인어떤것이경험을가능하게함 이지시되나, 마지막의경우에 초월 ( 적 ) 은 경험의한계를넘어서서, 곧초험적으로작동하는이성의한작용방식 을지시하고있는것이다. 그러니까칸트자신 초월 ( 적 ) 의개념을대개는코페르니쿠스적전환에따른의미로사용하지만, 때때로는 ( 부지불식간에또는자연스럽게 ) 코페르니쿠스적전환이전의의미로도사용 Kant, Schelling, Coleridge 의영향아래 R. W. Emerson, H. D. Thoreau, M. Fuller 등이주도한신이상주의운동을일컬을때이미쓰이고있다. 그러나이말을칸트적 초월철학 을지칭하는말로새롭게정의하여능히사용할수도있겠다.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19 하고있다고보아야하겠다. ( 인공어가아닌자연어의사용에서는용어사용이정의대로만되지않는경우가허다하다.) 또하나, 칸트는 한개념을, 그로부터다른선험적종합인식의가능성이통찰될수있는, 원리로설명함 (KrV, B40) 을 초월적해설 (Erörterung, expositio) 이라칭하고, 선험적개념이대상과관계맺을수있는가하는방식에대한설명 (KrV, A85=B117) 또는 선험적순수인식 의 객관적타당성을설명 (KrV, A87=B120) 함을 초월적연역 이라고일컫는다. 이경우 해설 이나 연역 이 초월하는 것일수는없으니, 저명칭들은좀더내용을생각해서풀이해야할것인즉, 공간시간개념의 초월적해설 이란 선험적표상인공간시간이라는순수직관의초월성에대한설명 이겠고, 범주들의 초월적연역 이란 선험적표상인순수지성개념들의초월성에대한설명 이겠다. 또해석하기에따라서는저 해설 과 연역 은심리학적이거나법학적인것이아니고, 초월철학적 인것이라는점을드러내기위한수식어로보아, 이때의 초월적 은 초월철학적 또는이를테면 초월론적 이라는의미로새길수도있겠다. 같은한자문화권의번역어용례를살펴보면, 일본인들은과거에는주로 트란첸덴탈 을 先驗的 ( 선험적 ) 이라고번역하다가 21) 최근에는이를대개 超越論的 ( 초월론적 ) 으로바꿔쓰고있는것같다. 22) 그반면에중국어번역본에서는 트란첸덴탈 이 超越的 ( 초월적 ) 이라고옮겨져있는것을본다. 23) 동일한한자어라해서어디서나동일한의미로사용되는것은아닐것이나참고할만은하다. 지금까지용례와관련하여그어원을검토하여뜻을새겼음에도불구하고, 누군가가 트란첸덴탈 을한국어로굳이 ( 일본인들처럼 ) 초월론적 으로옮기고자한다면, 24) 그것은 초월적 이라고할경우한국어 초월적 이라는 21) 篠田英雄 譯, 純粹理性批判 ( 上 )( 中 )( 下 ), 東京 岩波書店, 1961~1962 참 조. 22) 有福孝岳譯, 純粹理性批判 ( 上 )( 中 ), 東京岩波書店, 2001~2003; 有福孝岳 / 久呉高之譯, 純粹理性批判 ( 下 ), 東京岩波書店, 2006/2007 참조. 23) 牟宗三譯, 純粹理性批判 ( 上 )( 下 ), 臺灣學生書局, 1987 참조. 24) 몇해전부터상당히많은현상학연구자들이이러한번역어를사용하고있는
20 칸트연구제 25 집 낱말의일상적의미로인해칸트적 트란첸덴탈 의의미가상실될것같은우려가있어이를피하려는고육지책으로그렇게하는것이라고여길수도있겠다. 그러나 트란첸덴탈 을 초월론적 으로이해할수있는경우는기껏해야 초월철학적 을지칭하는경우뿐이고, 정확히말하면그가운데서도아주일부에국한되기때문에, 트란첸덴탈 을무차별적으로 초월론적 으로옮기면오히려의미왜곡이더크다. 감성학은 초월론적 이라할수도있겠지만, 공간 시간표상은 초월적 이지결코 초월론적 일수없으며, 분석학은 초월론적 이라할수도있겠으나, 순수지성개념은 초월하는 기능을갖는것이지, 결코 초월론적 기능을갖는것은아니니, 초월적 이라해야마땅하다. 통각, 상상력또한 초월적 인것으로서, 초월론적 이라일컬으면사태에맞지않는다. 더구나 초월적이념 (KrV, A327=B383) 같은경우에는 초월적 을 초험적 으로읽을수는있어도, 도저히 초월론적 ( 또는또다른신조어인 선험론적 ) 으로읽을수는없다. 그러므로이런저런용례를고려해 트란첸덴탈 을각기문맥에따라서 초월적, 초험적, 초월론적 으로옮기는방법도생각해볼수는있겠으나, 칸트이론철학의핵심술어를흩어버림으로써입는손실은더크므로, 그래도 초월 (Transzendenz) 초월하다 (transzendieren) 초월적 (transzendental: transzendierend, transzendent) 의어족을고려할때가장손실이적은 초월적 으로일관되게옮겨쓰고, 25) 이말이문맥에따라서는이러저러한뜻을 ( 즉 초월적 뿐만아니라때로는 초험적, 또때로는 초월론적 이라는뜻도 ) 갖는다고설명하는편이가장합당하다고본다. 일상어나학술어나자연언어에서는어느정도의다의성은있는것이고, 이러한다의성은혼동을초래하기도하지만해석의다양성을촉발함으로써 것으로관찰된다. 25) 한국칸트학회창립 (1990. 12) 이래공식적인학회모임에서도회원들간에두세차례토론을가졌지만, 학회지 칸트연구 를창간할때 (1995. 6) 까지도합의에는이르지못하여, 게재논문 11 편가운데, 손봉호 강영안 백종현 한자경 박채옥의논문만이 a priori = 선험 ( 적 ), transzendental = 초월 ( 적 ) 이라고일관되게사용하고있음을볼수있다.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21 말과사상을풍부하게해주는요인이기도하다. 이것은철학이자연언어를사용함으로써오히려얻는매우큰장점이다. 일상적인한국어사용에서뿐만아니라독일어에서도보통은, 초월 (Transzendenz) 이란 경험과감각지각의 [ 또는감각적으로인식가능한세계의 ] 한계를넘어서있음 (die Grenzen der Erfahrung und des sinnlich Wahrnehmbaren[oder der sinnlich erkennbaren Welt] überschreitend sein), 경험과의식의한계를넘어섬, 이세상을넘어섬 (das Überschreiten der Grenzen von Erfahrung und Bewußtsein, des Diesseits), 심지어는 저세상 (Jenseits) 을의미하고, 가령 초월적명상, 초월의식 등은 육체의속박을벗어나 시공간을떠나서불가사의한신비경으로들어가는의식 같은의미로쓰이고있다. 그러나 초월하다 (transzendieren) 는단지 경험세계를넘어선다 는뜻뿐만아니라, 또한더일반적으로 어떤영역의한계를넘어선다 (die Grenzen eines Bereiches überschreiten) 를뜻한다. 그리고이에서더나아가 초월적 (transzendental) 은 초험적 (transzendent) 이라는일상적인뜻과함께, 일체의주관적경험앞에놓여있으면서대상들의인식자체를비로소가능하게하는 (vor jeder subjektiven Erfahrung liegend und die Erkenntnis der Gegenstände an sich erst ermöglichend) 이라는뜻도갖는다. 26) 독일어 트란첸덴탈 의이러한의미전환내지확장은사실 코페르니쿠스적전환 으로표현되는칸트적세계인식으로인한것인만큼, 우리가칸트철학을한국어로옮기고논의하는자리에서도한국어 초월 ( 적 ) 이재래의관용적의미에서벗어나는경우또한받아들이는것이오히려칸트철학을철학사적맥락에서더잘이해할수있는길이라할것이다. 기실한국어 초월 ( 적 ) 의일상적의미는철학사적관점에서볼때는상식실재론에기반한것이다. 그런데칸트의초월철학은바로그상식실재론을전복시키는것이니, 무엇보다도용어 초월 부터전복시켜읽고사 26) 국립국어연구원 :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1999, 6086 면 ; Duden: Das große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Bd. 7, Mannheim Leipzig Wien Zürich 2 1995, S. 3431 참조.
22 칸트연구제 25 집 용하지않으면 초월철학 은제대로표현될수도없다. 보기에따라서는철학사상사는개념전복의역사라할수있다. 철학사상사의줄거리란동일한낱말 이성 ( 理性, logos, ratio), 주체 (subjectum) 또는 객관 (objectum), 실체 (substantia) 또는 실재 (realitas, Realität, reality) 로표현되는개념의변천과정내지전복과정이라고할수있으니말이다. 그렇기때문에뜻이달라졌다해서, 또는정반대의사태를지시하게되었다해서낱말자체를바꿔버리면, 오히려역사적맥락을잃게된다. 고전에대한교양과충분한지성을갖춘어떤후학이앞선이가그낱말로써무엇을지칭했는지를몰라서전혀다른의미로그낱말을사용하겠는가! 용어의의미전환은사태또는본질에대한시각의전환을요구하고있다할것이다. 예컨대, 칸트가스콜라철학을 옛사람들의초월철학 (Transzendentalphilosophie der Alten) (KrV, B113) 이라고지칭하고, 거기에서말하는이른바초월자들, 곧 一 (unum), 眞 (verum), 善 (bonum) 을일러 잘못생각된, 사물들의초월적술어들 (transzendentale Prädikate) (KrV, B113 이하 ) 이라고지칭하는대목에서의 트란첸덴탈 은 초월적 이라옮기고, 칸트철학내에서의 트란첸덴탈 은 초월론적 또는 선험적 또는 선험론적 이라고옮기면, 이미그것은논쟁점을없애버리는것으로써, 칸트가왜저것에관해언급하는지를알수없게만드는것이다. 칸트의 초월철학 은역사적맥락속에서, 즉 옛사람들의초월철학 과의대비속에서그의의가뚜렷하게드러난다. 칸트는동일한 초월철학 이라는말로써전혀다른내용을지칭함으로써 옛사람들의초월철학 을무효화하고있는것이다. 칸트의 초월론철학 또는 선험론철학 이 옛사람의초월철학 을타파하는것이아니라, 바로칸트의그 초월철학 이 옛사람의초월철학 을지양하는것이다. 이제칸트와더불어 ( 그자체로있는 ) 객관은 ( 순전히수용적인 ) 우리를초월해있는것이아니라, ( 자기활동적인 ) 주관인우리가객관으로초월해나가객관을규정하는것이다. 결론적으로말해당초에스콜라철학에서 모든범주들내지는유개념을초월하는규정 들을 초월적인것 이라고일컬었듯이, 칸트에서도기본적으로 초월적인것 은 규정 (Bestimmung) 곧 형식 ( 틀, Form) 을일컫는것이다. 다만칸트는이형식을모두인간의식에서선험적인것, 즉순수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23 주관적인것으로파악하고, 우리에게존재자는모두현상으로서, 이현상은무엇이든어떻게있든순수주관적인형식, 곧공간 시간이라는직관형식과지성개념이라는사고형식에서규정된다고보기때문에, 코페르니쿠스적전환 을말하는것이다. 그때문에칸트철학은근본적으로는관념론이라고일컬어진다. 이런근본적인 초월 ( 적 ) 의의미를생각하면, 다시한번말하거니와, 설령칸트의용례에서 초험적 또는 초월철학적 내지 초월론적 으로이해하는것이합당해보이는경우가없지않다하더라도, 트란첸덴탈 은칸트철학에서핵심적인용어인만큼일관되게 초월적 으로옮겨쓰고, 이용어가오랜역사를담고있는만큼사뭇다의적이어서칸트문헌에서도곳에따라서는이러저러한뜻으로도사용되고있다고해설하는편이사태에적합하다하겠다. 참고문헌 I. Kant, Gesammelte Schriften[AA], hrsg. v. der Kgl. Preuß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 // v. der Deut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 zu Berlin, Bde. 1~29, Berlin 1900~ 2009., Werke in sechs Bänden, hrsg. v. W. Weischedel, mit Übersetzung v. M. Bock / R. Hinske, Darmstadt 1975. 약호를사용한원논저 ( 및사용역본 ): 순수이성비판 : Kritik der reinen Vernunft[KrV], AA Ⅲ~Ⅳ( 백종현역, 아카넷, 2009). 형이상학서설 : Prolegomena zu einer jeden künftigen Metaphysik, die als Wissenschaft wird auftreten können[prol], AA Ⅳ. 실천이성비판 :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KpV],
24 칸트연구제 25 집 AA V( 백종현역, 아카넷, 2009). 윤리형이상학정초 :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GMS], AA Ⅳ( 백종현역, 아카넷, 2009). 윤리형이상학 : Die Metaphysik der Sitten[MS], AA Ⅵ. (Rechtslehre[RL]; Tugendlehre[TL]) 판단력비판 : Kritik der Urteilskraft[KU], AA Ⅴ( 백종현역, 아카넷, 2009). 판단력비판제1서론 : Erste Einleitung in die Kritik der Urteilskraft[EEKU], AA XX( 백종현역, 아카넷, 2009). 이성의한계안에서의종교 : Die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ßen Vernunft[RGV], AA Ⅵ. 자연과학의형이상학적기초 : Metaphysische Anfangsgründe der Naturwissenschaft[MAN], AA Ⅳ. 형이상학의진보 : Welches sind die wirklichen Fortschritte, die die Metaphysik seit Leibnizens und Wolf s Zeiten in Deutschland gemacht hat?[fm], AA XX. Ritter, Johachim u. a. 편,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e. 13, Basel Darmstadt 1971~2007. Vries, Josef de, Grundbegriffe der Scholastik, Darmstadt 1980. Aristoteles, Metaphysik, Griechisch-deutsche Parallelausg., 2 Bde., übers. v. H. Bonitz, Hamburg 1978 / 80., Categoriae // Liber de Interpretatione, Oxford 1949. Descartes, R., 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 hrsg. v. L. Gäbe, Hamburg 1977. Heidegger, M., Vom Wesen des Grundes, in : Wegmarken, GA 9, Frankfurt/M. 1976. Husserl, E., Cartesianische Meditationen und Pariser Vorträge, Huss 1, Den Haag 2 1973. Leibniz, G. W., Nouveaux Essais sur L'Entendement Humain,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25 hrsg. / übers. v. W. Engelhardt / H. H. Holz, Darmstadt 1959., Monadologie // Principes de la Nature et de la Grace fondés en Raison, hrsg. v. H. Herring, Hamburg 1982. Locke. J.,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ed. A. C. Fraser, N. Y. 1959. Schelling, F. W. J., Sämtliche Werke, hrsg. v. K. F. A. Schelling, Stuttgart 1856~1861. 국립국어연구원 :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1999. Duden: Das große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Mannheim Leipzig Wien Zürich 2 1995. 최재희역, 純粹理性批判, 박영사, 1972. 篠田英雄譯, 純粹理性批判 ( 上 )( 中 )( 下 ), 東京岩波書店, 1961~1962. 有福孝岳譯, 純粹理性批判 ( 上 )( 中 ), 東京岩波書店, 2001~2003. 有福孝岳 / 久呉高之譯, 純粹理性批判 ( 下 ), 東京岩波書店, 2006/2007. 牟宗三譯, 純粹理性批判 ( 上 )( 下 ), 臺灣學生書局, 1987. 한국칸트학회, 칸트연구 제 1집, 민음사, 1995.
26 칸트연구제 25 집 Kant s Concepts of a priori and transcendental, and the Problem of their Translation into Korean Chong-Hyon Paek [Abstract] Since the two concepts of a priori and transcendental are very important i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Kant s philosophy, how we mark these two concepts in Korean directly mirrors how we understand Kant s philosophy in Korean. With this in mind, I will seek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se two concepts by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m and suggest the most suitable expression of them in Korean. First of all, the concept of a priori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 to the concept of a posteriori, because these two concepts make a contrary pair. In Kant s philosophical text, the former concept is described as follows: absolutely independent of the all experiences, before the all actual perceptions, before the all perceptions about the object, independent of the all sensations and so on. In contrast, the latter concept implies that grounded on the experience, received by the experience, or more simply, empirical. From this, we can easily deduc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a priori (semantically it means before X ) / a posteriori (semantically it means after X ) concepts is based on the experience, and on each two concept s full meaning showing, ultimately, the former means before experience, and the latter means after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it is desirable that the concept of a priori is translated as seonheomjeok in Korean, and that the concept of a posteriori is translated as huheomjeok in Korean.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칸트철학에서 선험적 과 초월적 의개념그리고번역어문제 ( 백종현 ) 27 that embodies the quintessence of Kant s philosophy, because it includes a wide variety of examples. Nonetheless, the examples of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can be roughly grouped into three parts. Also, considering that both the two concepts of transcendent and transcendental are derived from the one concept of transcendere, it is more desirable that the former concept is translated as choheomjeok in Korean, and that the latter concept is translated as choweoljeok in Korean. With this in mind, let me clarify the three grouped examples of transcendental a little more. (1) In the cases of transcendental ideal and transcendental thing, the two concepts, transcendental and transcendent are reciprocal. In other words, the former s meaning is identical to the latter s meaning in these cases. (2)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cepts of transcendental and transcendent when we talk about the transcendental ideality of the representations of time and space. (3) However, as Kant himself determined earlier, and as most Kant scholars believe, the meaning of transcendental in Kant s theoretical philosophy - more specifically, in Kant s transcendental philosophy - is not only well distinct from the meaning of transcendent but also differentiated from the meaning of transcendental in Scholasticism. In addition, since Kant s era, most philosophers have shown a tendency to follow the concrete meaning of transcendental in Kant s text. The word transcendental [ ] does not signify something that surpasses all experience, but something that indeed precedes experience (a priori), but that, all the same, is destined to nothing more than solely to make cognition from experience possible. (See Prol: AA Ⅳ, 373 Note) This understanding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by Kant (it implies
28 칸트연구제 25 집 that the sense of being is determined by the self-activity of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is no more than the outcome of the Copernican turning on the old transcendental philosophy by the predecessors of Kant. In other words, Kant attempts to nullify the old transcendental philosophy by using the very same term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but at the same time, by inspiring a new idea into it. More specifically, Kant shows that the object is not an undetermined existence beyond our own perceptions and sensations but something objective determined by our own self-activity as the subject. Because of a wide variety of examples of transcendental, some people might argue that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should be translated as choweoljeok or choheomjeok or choweolonjeok (especially, in the cases of the Aesthetics and the Logics ) as the case may be. But if taking this view, we land us a terrible burden to disperse the important predicates in Kant s theoretical philosophy. In this regard, I believe that translating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as choweoljeok in Korean is more desirable, because, by doing so, we can avoid the error of the problem of unfixed translated concept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anguage familiarity between choweol (transcendence), choweolhada (transcend), and choweoljeok (transcendental), I believe that choweoljeok is the most appropriate candidate for the translation of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In conclusion, I suggest to translate the word transcendental into choweoljeok uniformly, and to emphasize that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at the same time, can be also considered as choheomjeok or choweolonjeok in Kant s text. Key words Kant, transcendental philosophy, a priori, transcendental 논문접수일 : 2010 년 4 월 21 일논문심사일 : 2010 년 5 월 14 일 -5 월 30 일게재확정일 : 2010 년 6 월 10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