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원문연구 42(2018.4.),45-67 ISSN 1226-5926 (print), ISSN 2586-2480 (online) DOI: https://doi.org/10.28977/jbtr.2018.4.42.45 https://dbpiaone.com/bskorea/index.do t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이승현 * 1. 들어가는말 고린도전서 11:23-26 에는바울이고린도교인들에게가르친성찬식의전 통에대한중요한정보가담겨져있다. 이성찬식에대한가르침은바울이 고린도교인들에게전한초대교회의오랜전통에속한다. 1) 바울에대해연 구하는학자들은바울이성만찬의전통을어디서받았는가에대해서질문 하고토론하였다 : (1) 예루살렘교회, (2) 안디옥교회, 2) 그리고 (3) 부활한 주로부터직접적으로. 3) 바울의성만찬전통에존재하는이러한전통의기 원의문제에더하여, 고린도전서 11:23 에등장하는 paradi,dwmi 의수동태형 paredi,deto 는또다른해석학적문제를야기한다. 사실이그리스어단어 paradi,dwmi 는 23 절에서두번발견된다. 첫번째경우에서바울은자신이 주로부터받은성만찬의전통을고린도인들에게그대로 전달했다 는것을 강조하기위하여능동태의형태로사용하고 (pare,dwka) 있다. 그러나두번 째경우에서는예수께서잡히시던날 배신당했다, 잡혔다, 혹은 넘겨졌 다 는사실을지칭하기위하여수동태의형태로사용한다 (paredi,deto). 물론 paredi,deto 는중간태로서 예수가스스로를내어주시던 이라고번역될수 * Harvard University 에서신약학으로박사학위를받음. 현재호서대학교신약학교수. shlee@hoseo.edu. 1) 두그리스어단어 paralamba,nw 와 paradi,dwmi 는유대인들의전통에서전통적인가르침의전달을의미하는기능적인언어들로쓰였다. 이유대인전통을따라바울은자신이고린도인들에게전달한성찬식에이두단어들을적용하고있다. 2) 참고. Robert D. Richardson, ed., Mass and Lord s Supper: A Study in the History of the Liturgy, Dorothea H. G. Reeve, trans. (Leiden: Brill, 1979), 204-208. 3) Francis Watson, I received from the Lord... : Paul, Jesus, and the Last Supper, Todd D. Still, ed., Jesus and Paul Reconnected (Grand Rapids: Eerdmans, 2007), 103-124.
46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도있으나, 대다수의주석서들과영어그리고한글성경들은예외없이수동태로번역하고있다. 4) 여기서본논문의주제는두번째경우에해당하는수동태 paredi,deto를어떻게해석할것인가의여부이다. 물론 paredi,deto에대한바른해석은바울이고린도전서 11장에서전달하고자하는성만찬의본질적인의미에대한가르침을가장잘표현하는것이어야한다. 놀라운사실은대다수의한글성경들에서발견되는 잡히시던 이라는번역은 paradi,dwmi 의사전적의미들에서전혀발견되지않는다는것이다. 이사실은 잡히시던 이라는한글번역이 paradi,dwmi의지나친의역임을알려주고, 이번역에대한재고가필요함을말해준다. 또한, 비록성만찬의배경을담고있는고린도전서 11:23의그리스어표현 evn th/ nukti. h- paredi,deto가이사건과연관된유다의배신행위에대한역사적인기억을담고있지만, 바울이고린도전서 11:17-34에서성만찬의전통을인용하는주된이유가유다의배신을통한예수의잡힘에대한단순한기념인지, 아니면또다른이유인지에대해서질문해보아야한다. 사실바울이성만찬의전통을인용하는가장중요한이유는고린도교회가멸시받는약한자들을돌보아야할근본적인이유가거기서발견되기때문이다. 성만찬에드러난예수의자기희생과, 나아가아들을내어주신하나님의자기희생은고린도교회의강한자들이약한자들을돌보기위해서자신을희생해야할이유를제공한다. 그러므로바울이인용하는성만찬의전통은유다의배신행위나, 혹은그배신행위로말미암은예수의붙잡힘그자체에대한역사적인기념이아니라, 그러한인간의배신행위들을통하여자신의목숨을내어준예수와하나님의희생적인사랑을기념하는초대교회의가장오래된의식이다. 바울은이희생적인사랑을고린도교인들상호간의섬김의근거로제시하고자한다. 그러므로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는 잡히시던 이라는의역대신, 바울이 (1) 고린도전서 11장에서전달하고자하는성만찬의의미를가장잘전달하는방식으로 (2) paradi,dwmi의의미장 (semantic field) 내에서, 그리고 (3) 바울이전의성만찬의전통에대한이해를참고로하여재번역되어야한다. 사실 paredi,deto의번역에서현재영미권의대부분의주석가들은과거영어성경들이채택했던 betrayed ( 배신하다, 혹은내어주다 ) 대신에, handed over ( 내어주다 ) 를채택하고있다. 여기서고린도전서 11:23의 evn th/ nukti, 라는표현은 paredi,deto의의미를결정하는결정적인요소가될 4) 물론예수의내어줌에는예수자신의주도적인결정이포함되었음에틀림이없다. 이결정은가룟유다의배신을통해서이루어질하나님의뜻에대한순종이다.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47 수없다. 왜냐하면복음서의전통은 nu,x. 대신저녁을의미하는평범한단어 ovyi,a를사용하기때문이다 ( 막 14:17). 본논문의목적은이런학문적흐름속에서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에대한최선의한글번역을찾아보고, 그번역이전달하는신학적메시지에대해서조사해보는것이다. 2.Paradi,dwmi 의어휘론적분석 대다수의영어성경들에서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는 배신당했다 / 내어주다 (betrayed) 로해석되는반면에 (NAU, NIV, NRS), 대다수의한글성경들에서는 잡히시던 으로해석된다 ( 개역, 개역개정, 표준, 공동, 공동개정, 새번역 ). 주예수께서잡히시던밤에떡을가지사 ( 개역 ) 주예수께서잡히시던밤에떡을가지사 ( 개역개정 ) 주예수께서잡히시던밤에, 빵을드시어서 ( 표준 ) 주예수께서잡히시던날밤에빵을손에드시고 ( 공동 ) 주예수께서잡히시던날밤에빵을손에드시고 ( 공동개정 ) 주예수께서잡히시던밤에, 빵을들어서 ( 새번역 ) 영어성경들이채택한 배신당했다 / 내어주다 라는해석은예수께서잡히시던날밤에일어난유다의배신행위를기억나게하는반면에, 한글성경들의 잡히시던 이라는해석은그결과로예수에게발생한붙잡힘의사건을기억나게한다. 그러나뒤에서자세히설명되겠지만, paradi,dwmi의가장기본적인의미는내어주다이고, 배신하다는부차적인의미에해당한다. 그러나내어줌의의미는그안에배신함을포함한다. 사실배신하다를의미하는주요그리스어단어는 prodi,dwmi이다. 5) 이사실은복음서저자들이예수에대해서 prodi,dwmi를사용하는대신에 paradi,dwmi를사용할때, 그들은유다의배신행위이외의다른메시지를강조하고자했다는사실을알려준다. 그러나영어성경의번역들보다도더문제가되는것은한글성경들에서발견되는 잡히시던 이라는번역이다. 잡히시던 이라는번역은 paradi,dwmi의사전적의미들에서전혀발견되지않고있다. 그러므로우리 5) W. Bauer, F. W. Danker, W. F. Arndt, and F. W. Gingrich,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Frederick William Danker ed., 3rd ed.(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761-763.
48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는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를어떻게한국어로재번역해야할지에대한문제에직면한다. 우리는과거영어성경들이채택했던 betrayed ( 배신당했다 / 내어주다 ) 를한글성경번역에채택할수도있고, 아니면최근의대부분의주석가들이선택한 내어주다 (handed over) 를한국어번역에채용할수있다. Paradi,deto에대한한국어번역을위해서우리는다음의세가지를함께고려해야한다 : (1) paradi,dwmi의의미장, (2) 예수에대한제자들의기억, 그리고 (3) 성만찬을포함한고린도전서의문맥적상황. 먼저, paradi,dwmi의의미장에대해서살펴보도록하자. 고전그리스어에대해서가장권위있는사전으로인정받는리델과스캇 (G. Liddell & R. Scott) 의사전에따르면, paradi,dwmi의가장기본적인의미는 주다, 타인에게넘겨주다, 전달하다 혹은 타인의손에양도하다, 내어주다 등이다. 6) 뮬턴과밀리간 (J. H. Moulton and G. Milligan) 도 내어주다 를 paradi,dwmi의가장기본적이고보편적인의미로제시한다. 7) BDAG사전도 paradi,dwmi의의미를 배신하다 혹은 붙잡히다 대신에법적인상황의경우는 넘겨주다, 그리고군사적인상황의경우는 항복하다 / 내어주다 로해석한다. 8) 과거영어성경들이채택했던 betrayed 라는번역은이미많은영미권학자들에의해서공격을받았다. 리델과스캇은이단어가때로 betrayed 라는의미를함축할수있다며제노폰 (Xenophon) 과포사니우스 (Pausanius) 의예를든다. 그러나윌리엄클라센 (William Klassen) 은리델과스캇이제시한제노폰과포사니우스의예들을모두상세하게검토한후에 betrayed 라는의미를찾을수없다고결론내린다. 9) 사실리델과스캇도 betrayed 에해당하는가장적합한그리스어단어로 prodi,dwmi를우선적으로제시한다. 10) 신약성경에서 prodi,dwmi는 3번등장하는데, 그중의한번은가룟유다를지칭하는데사용되고있다 ( 눅 6:16). 반면에 paradi,dwmi는영 (Young) 의컨코던스에따르면신약에서 94번정도등장하는데, 그중 40 번은 betrayed 로해석되고있다. 이러한번역에대해서클라센은신학적인입장이어휘론적해석을지배했다고경고한다. 11) 6)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1996), 1308. 7)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New Testament (Peabody: Hendrickson Publishers, 1997), 482-483. 8) W. Bauer, F. W. Danker, W. F. Arndt and F. W. Gingrich,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761-763. 9) William Klassen, Judas Betrayer or Friend of Jesus? (London: SCM, 1996), 47-59. 10)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1474-1475. 11) W. Klassen, Judas Betrayer or Friend of Jesus?, 47-59.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49 칠십인역에서 paradi,dwmi는대략 200번정도등장한다. 이중 3분의 2 이상의경우하나님이이동사의명백한주어로나타난다. 12) 하나님은이스라엘을그들의원수들에게넘겨주거나 ( 호 8:10; 렘 15:4), 그들의원수들을이스라엘의손에넘겨주는분이다 ( 창 14:20; 출 23:31). 하나님은의로운자욥을사탄에게넘겨주고 ( 욥 2:6), 어리석고악한자들을멸망에넘겨준다 ( 잠 11:8; 집회 4:19). 칠십인역에서 paradi,dwmi는대부분 넘겨주다 의의미를띄지, 배신당하다 혹은 붙잡히다 라는의미를띄지않는다. 1세기역사가요세푸스 (Josephus) 도이그리스어동사를 300여번사용한다. 요세푸스는이동사를 하나님이유대인들을로마인들의손에넘겨주었다 (War 4.370) 라는표현에서채용한다. 하나님은유대인들을배신하거나붙잡지않았고, 그들의불의한행위들에대한공의로운심판으로유대인들을로마인들의손에내어주었다. 헬라파유대인파일로 (Philo) 도 paradi,dwmi를거룩한일들에대한기억을후대에넘겨줄때 (Pot. 65), 하나님께서유한한인간들에게자신의불멸한지식을전해줄때 (Sac. 64, Imm. 1.92), 그리고지혜로운말들을후대에전승해줄때 (Pla. 127) 사용한다. 이모든경우들에서우리는 paradi,dwmi가결코배신당하거나, 그의결과로붙잡히는행동을지칭하지않고있음을알수있다. 오히려 paradi,dwmi는내어줌혹은넘겨줌이라는일반적인의미로사용되고있다. 이사실은우리의본문인고린도전서 11:23의 paradi,dwmi도 배신당하다 혹은 붙잡히다 의의미보다는, 가장보편적인의미로서의 내어주다 라는뜻으로사용될가능성이높다는것을암시한다. 물론예수가내어준 / 넘겨준사건은유다의배신을기본전제로하고있다. 현재많은영미권학자들은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를해석할때, betrayed 대신 handed over 를채택하고있다. 13) 왜냐하면학자들은유다를통한예수의내어줌의사건에서유다의배신행위의중요성보다도, 성만찬전통의의미에대해서복음서와바울이강조하는구원론적메시지를보기때문이다. 여기서그들이강조하는점은 paredi,deto가복음서와바울의성만찬전통에서사용되기에앞서, 이사야의고난받는종의희생을하나님의백 12) 여기서언급되는예들은 B.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Pro Ecclesia 20 (2011), 368 에서차용하였다. 13) Joseph A. Fitzmyer, First Corinthians (New Haven: Yale Univ. Press, 2008), 436; Richard B. Hays, First Corinthian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7), 198; Anthony C. Thiselt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 2000), 869; A. Eriksson, Traditions as Rhetorical Proof: Pauline Argumentation in 1 Corinthians (Stockholm: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998), 179-196.
50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성들의죄를위한내어줌으로묘사할때칠십인역에의하여채택된단어라는사실이다 ( 사 53:6, 12). 학자들은이단어를통하여성만찬의전통이기억하는예수의희생에대한묘사는예수의내어줌의기폭제가되는유다의배신행위를포함하지만, 그배신행위보다도더중요하게이사야의고난받는종에대한신학적인묵상에더깊이의존하고있다고주장한다. 14) 이에위어드포프키즈 (Wiard Popkes) 는, 클라센과대부분의주석가들과동의하면서, betrayed 라는의미보다도 handed over 라는의미를강조하고, 한걸음더나아가이내어줌의궁극적인주체, 곧 예수를내어준이가누구인지 에대해서질문한다 : 하나님, 예수자신, 유다, 빌라도, 혹은대제사장? 15) 물론고린도전서 11:23의 evn th/ nukti. h- paredi,deto라는표현은그날밤에발생한역사적인사건을기억하면서, 예수의내어줌이유다의배신에따른결과임을분명히한다. 그러나그날밤에예수를내어준이가유다인것은역사적인사실이지만, 복음서저자들과바울은예수의내어줌의의미는유다의배신에만국한되지않는다고주장한다. 가룟유다의배신을통한예수의내어줌의이면에는이사야의고난받는종으로서의예수의희생과그희생을요구하셨던하나님의구원론적결정이담겨있기때문이다. 그러므로이어지는부분에서우리는바울이초대교회전통의일부로물려받은성만찬전통과연관하여, 먼저복음서에서 paradi,dwmi가어떻게해석되고있는지를문맥적상황을고려하면서상세하게다루어보고자한다. 왜냐하면단어들의의미는그단어의의미장뿐만아니라, 그단어들이등장하는역사적, 문맥적상황에의해서도상당부분결정되기때문이다. 3. 복음서와 paradi,dwmi 먼저, 성만찬의직접적인배경이되는그날저녁 (ovyi,aj genome,nhj, 막 14:17) 에일어난사건을묘사하면서, 마가는가룟유다가예수를대제사장 들에게 paradoi/ 하기위하여그들에게갔다고전한다 ( 막 14:10). 그리고 14) Anthony C. Thiselt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869; R. B. Hays, First Corinthians, 198; J. Fitzmyer, First Corinthians, 436; Cilliers Breytenbach, The Septuagint Version of Isaiah 53 and the Early Christian Formula He Was Delivered for Our Trespasses, Novum Testamentum 51 (2009), 339-351. 15) W. Popkes, Christus Traditus: Eine Untersuchung zum Begriff der Hingabe im NT (Zurich: Zwingli Verlag, 1967), 159-169; Anthony Cane, The Place of Judas Iscariot in Christology (Aldershot: Ashgate, 2005), 21.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51 14:21에서마가는예수가가룟유다에의하여 paradi,dotai되었다고말한다. 위의 14:10의 paradoi/ 를우리는두가지방식으로번역해볼수있다 : (1) 유다가대제사장들에게예수를배신하다. 혹은 (2) 유다가대제사장들에게예수를넘겨주다. 첫번째번역은 paradi,dwmi의의미장에서약간벗어날뿐만아니라, 대제사장들에게 와문법적으로자연스럽게연결되지못한다. 두번째번역은 paradi,dwmi의의미장에서발견되는가장기본적인의미일뿐만아니라, 대제사장들에게 와문법적으로훨씬더부드럽게연결된다. 또한, 넘겨주다 의해석은그행동이전에발생한유다의배신행위를전제로하여배신행위를그의미에포함한다는장점도있다. 따라서모든한글성경들은마가복음 14:10의 paradi,dwmi를 배신하다 대신 넘겨주다 라고해석한다. 그러나 21절의 paradi,dotai에대한번역에서한글성경들은상호다른해석들을보여준다. 인자를파는그사람에게는 ( 개역개정 ) 인자를넘겨주는그사람에게는 ( 새번역 ) 사람의아들을배반한그사람은 ( 공동개정 ) 먼저개역개정의 파는 이라는의미는 paradi,dwmi의의미장에서발견되지않는다. 공동개정은유다의배신행위에초점을맞춘다. 그러나새번역은유다의배신행위의결과로발생한예수의넘겨줌에더초점을맞춘다. 여기서 21절은 14절의능동형을수동형으로표현하고있으므로, 가룟유다에의하여배신당한인자 라기보다는 가룟유다에의하여 ( 배신당하고 ) 넘겨준인자 라고번역하는것이마가복음 14장의전체적인문맥에더적합하다. 16) 여기서마가는인자의넘겨줌이성경에의하여이미예언된, 즉하나님께서계획한일의성취임을강조한다. 다시말하면, 마가가강조하는성경에예언된사건은유다의배신행위그자체가아니라, 그배신의결과로발생한예수의고난과죽음에로의넘겨줌이라는것이다. 또한, 마가는유다를예수를 pare,dwken한자라고소개하면서, 그를이동사의주어로제시한다 ( 막 3:19). 마가복음 3:19에서개역개정은 paradi,dwmi 를 판 이라고해석하고, 공동개정은 팔아넘긴 이라고해석한다. 우리는 판 혹은 팔아넘긴 은 paradi,dwmi에대한지나친의역임을부인할수없다. 한국어성경들은유다가예수를넘겨준행위이면에존재했던은 30냥에예수를판행위를이단어의번역에반영하고있다. 그러나공동번역은이 16) Adela Yarbro Collins, Mark: A Commentary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7), 620, 648.
52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단어를 넘겨준 이라고바르게해석한다. 마가복음 3:19은마가복음 14:10, 21에그근거를두고있으므로, pare,dwken을우리는 판 / 팔아넘긴자 보다는배신한이후에 넘겨준자 라고해석하는것이더옳다. 그러나마가는예수의수난이야기를다룬자신의복음서 15:1, 15에서예수를 pare,dwkan 한자들로가룟유다이외에도 대제사장들과서기관들, 장로들, 그리고본디오빌라도 를제시하고있다. 이경우에도그리스어동사 paradi,dwmi는 배신하다 혹은 판다 라는의미가아니라, 내어주다 라는의미로해석되어야함이자명하다. 따라서모든한글성경들은마가복음 15:1, 15에서 내어주다 라는번역을채택한다. 결국마가는자신의복음서전반에걸쳐서 paradi,dwmi를통해서예수를십자가에내어준행위가단순히가룟유다혼자만의결정이아니라, 다른많은인간들의연합된결정의결과였음을알려준다. 그리고이러한인간적인결정뒤에는하나님의계획과뜻이, 그리고그뜻에대한예수의순종이있었음도알려준다. 이에마가는 9:31(paradi,dotai) 과 10:33(paradoqh,setai) 에서 paradi,dwmi의수동형을통해예수가대제사장을포함한많은사람들을통해서 고난과죽음에로넘겨질 것이라고예언한다. 여기서수동태동사들은 배신당하다 혹은 팔리다 의의미라기보다는, 배신과판행위들을포함한여러인간들의결정으로예수가고난과죽음에넘겨진사건을지칭한다. 그러나마가는 8:31에서예수의내어짐혹은넘겨짐이면에는하나님의뜻이존재하고, 예수의자기희생의결정은하나님의뜻에대한그의순종의결과임을 dei/ 라는그리스어단어를통해서표현한다. 이사실은마가에게있어서예수의내어짐을표현하는수동태는가룟유다나대제사장들을주어로하는일반적인수동태가아니라, 하나님을주어로하는신적인수동태임을알려준다. 왜냐하면유다와다른인간들이예수를십자가에못박히도록내어준사건이면에는하나님의자기희생적인결정이있었기때문이다. 17) 이는인간들이예수를고난과죽음에로내어준행위들이하나님의뜻과결정을이루기위하여신비한방식으로사용되었음을알려준다. 사실우리는마가복음 9:31과 10:33에서예수가이미자신의고난과죽음에로의내어줌의필요에대해서알고있었다는것을부인할수없다. 그리고겟세마네동산에서의예수의마지막기도는자신의죽음의필요성에대한하나님의의지 17) Raymond Brown, The Death of Messiah (New Haven: Yale Univ. Press, 1998), 1:212; Wiard Popkes, Paradidomi, Gerhard M. Schneider and Horst Balz, eds.,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93), 3:19; B.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375-376.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53 에대한예수의자발적인순종을의미한다는것도부정할수없다. 따라서마가복음 14:21에서예수는자신이대제사장들에게내어짐이성경에기록된예언의말씀의성취이고, 그성취를위하여유다가사용되고있다고제자들에게가르친다. 이가르침을통하여예수는자신의죽음은한인간의배신의결과로내어준행위의결과에따른비극적인사건이아니라, 하나님의뜻을이루기위한자신의순종의행위였음을분명히한다. 마태의경우도누가와함께예수의내어짐사건에대한마가의이야기전개를전체적으로그대로따르고있다. 예수가잡히시던날밤에일어난사건을묘사하는마태복음 26:21, 23을한글성경들은다음과같이번역한다. 나를팔리라 ( 개역개정 ) 나를넘겨줄것이다 ( 표준 ) 나를배반할것이다 ( 공동개정 ) 마태복음 26:21, 23의번역에서한글성경들은마가복음 14:10의번역을그대로따르고있다. 따라서마태복음의경우에도우리는 paradi,dwmi가유다의배신행위의결과로그가은삼십냥을받고예수를대제사장들에게 넘겨준 사건을지칭한다고결론내릴수있다. 그러나흥미롭게도, 마태는가룟유다의회개의고백을통하여그가예수를배신한후에대제사장들에게내어준 (h[marton paradou.j) 행위에대하여자책하고있음을알려준다 ( 마 27:4). 여기서우리는마태가예수의고난과죽음에가룟유다가분명한책임이있음을명백하게알리고자함을알수있다. 그러나역시마태도자신의복음서 20:18에서예수의고난과죽음으로의내어짐을수동태동사 paradoqh,setai toi/j avrciereu/sin kai. grammateu/sin 를통해서묘사한다. 이본문에서수동태동사 paradoqh,setai는붙잡히다, 혹은내어주다로해석될수있다. 전자의해석의경우는이어지는여격표현 toi/j avrciereu/sin kai. grammateu/sin을 dative of agent 로해석해야한다. 그러나이러한문법적인표현을위해서는 u`po.+ 소유격 이훨씬더나을것이다. 나아가 대제사장들과서기관들에게내어주다 라는해석이예수의수난이야기에더잘부합한다. 그러나비록여기서도수동형동사는예수의죽음에관여한 대제사장들, 서기관들, 그리고로마인들 의존재를인정하고있지만, 이사건배후에는하나님의섭리를통해서표현된하나님의의지가있음을우리는부인할수없다. 18) 이사실은마태가자신의복음서 27:8-10에서유다의은 30냥을위
54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한배신행위가이미예레미야에의하여선포된예언의말씀의성취라고선포한다는사실에서입증된다. 마태복음에서예수도자신의제자들중의하나인유다가자신을배신하고넘겨줄것에대해서이미알고있었고, 심지어다른제자들에게그사실을공개적으로공포하며알려주었다 ( 마 26:21). 다시말하면, 마태도대제사장들과서기관들과로마인들에게예수가넘겨진사건에서유다가은삼십냥을받고예수를팔아넘긴행위보다도, 그행위의결과로예수가고난과죽음에로넘겨진사건이하나님에의하여미리계획된사건이었음을그의복음서전반에걸쳐서강조하고있다. 누가도마태와마찬가지로예수의수난과죽음에로의넘겨짐에대한묘사에서마가를그대로따르고있다. 누가복음 22:22의수동태동사 paradi,dotai를한글성경들은다음과같이번역하고있다 ( 비교. 22:48). 그를파는그사람 ( 개역개정 ) 그를넘겨주는그사람 ( 표준 ) 사람의아들을잡아넘기는그사람 ( 공동개정 ) 마가와마태의번역에서와마찬가지로, paradi,dotai를개역개정은 파는 으로, 표준은 넘겨주는 으로번역한다. 그러나공동개정은기존의 배반할 이라는해석을버리고, 대신 잡아넘기는 이라고해석한다. 누가는다른복음서저자들보다도더빈번하게 22:4, 6, 21, 22, 48에서 paradi,dwmi를사용하고있다. 프랑수아보봉 (François Bovon) 은누가가이단어의사용에서강조하고자하는바는유다의배신행위그자체가아니라, 그배신의결과로예수가죽음에로내어진사건이라고주장한다. 19) 흥미롭게도, 누가는가룟유다의배신행위를그의마음에들어간사탄과 ( 눅 22:3) 그의악함에로돌린다 ( 행 1:18). 여기서우리의주제를위해서중요한사실한가지는누가는예수를배신한유다의행위를지칭하면서 paradi,dwmi가아니라, prodo,thj( 배신자 ) 를사용한다는점이다. 다시말하면, 누가는 prodi,dwmi를통해서는유다의배신행위를, 그리고 paradi,dwmi를통해서는그의배신의결과로발생한예수의넘겨짐을표현하고있다. 마태와마찬가지로, 누가는예수의수난에유다가큰책임이있음을분명하게 18) Ulrich Luz, Matthew 8-20, Hermeneia: A Critical & Historical Commentary on the Bible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539; B.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377. 19) François Bovon, Luke, vol. 3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12), 172. 비교. W. Popkes, Christus Traditus: Eine Untersuchung zum Begriff der Hingabe im NT, 134-142, 174-181, 217-219.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55 인정한다. 그러나마가와마태와마찬가지로, 누가도수동태동사 paradi,dosqai를통해서예수의넘겨짐에관여한하나님의존재를간접적으로인정하고있다. 20) 사실누가는예수의고난과죽음이하나님의계획의일부였음을신적인 dei/ 뿐만아니라, boulh. qeou/( 행 2:23) 라는강한표현을통해서이중적으로강조한다. 21) 비록인간들은자신들의무지함속에서예수를못박았지만, 누가에게예수의죽음은이방인들과유대인들의구원을위하여예정된하나님의뜻과미리아신지식을따라행해진구원의사건이다 ( 행 3:17; 2:23; 눅 2:32). 이사실은비록유다의배신행위가예수의체포와고난의시발점이되었으나, 그의배신의행위는이미성경에기록된하나님의뜻을포함한예언의말씀의성취를위한것이라는누가의선포에의해서더분명해진다 ( 행 1:16). 누가는자신의복음서 1:1에서자신들가운데일어난모든일들이하나님의뜻에따른결과임을선포하고, 그일들의핵심은바로예수의죽음이라고강조한다. 누가는예수의입을통하여그의고난과죽음이이미성경에의하여예언된사건임을여러번강조한다 ( 눅 24:46; 9:31; 18:33). 요한의경우에도비록유다의악한배신행위가예수의수난이야기의중요한부분을차지하고있으나, 예수의죽음은하나님의뜻에대한예수의자발적인순종임이분명하다 ( 요 10:17-18). 요한은예수가제자들과마지막식사를나누던중, 사탄이유다의마음에들어가예수를팔결심을했다고말한다. 그런데여기서흥미로운것은, 예수가친히유다에게빨리그가마음에품고있는계획을실행하라고명령한다는것이다 (13:2, 26-27). 이사실은유다의배신과그에따른예수의넘겨짐, 심지어는유다를통하여예수를죽이고자하는사탄의계획조차도하나님의숨겨진구원의계획의일부로사용되고있음을우리에게알려준다. 22) 이처럼복음서의저자들은모두다예외없이예수의넘겨줌은유다의배신으로시작되었으나, 이모든것들은다하나님의계획의일부였음을강조하고있다. 따라서복음서의성만찬전통에서기념되는것은유다의배신행위그자체가아니라, 그로말미암아시작된예수의 고난과죽음에 20) Beverly R. Gaventa,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Todd D. Still, ed., Jesus and Paul Reconnected (Grand Rapids: Eerdmans, 2007), 140; François Bovon, Luke, vol. 3, 136. 21) Charles H. Cosgrove, The Divine dei/ in Luke-Acts: Investigation into the Lukan Understanding of God s Providence, Novum Testamentum 26 (1984), 168-190; John T. Squires, The Plan of God in Luke-Act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1993). 22) 참조. Tom Thatcher, Jesus, Judas, and Peter: Character by Contrast in the Fourth Gospel, Bibliotheca Sacra 153 (1996), 435-448.
56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로의내어짐 이인류의구원을이루기위한하나님의계획의핵심적인사 건이었다는사실이다. 4. 바울서신서와 paradi,dwmi 4.1. 고린도전서와 paradi,dwmi 복음서의경우예수의죽음은유다의배신행위를전제로하고있지만, 예수의고난과죽음에로의넘겨짐은분명히하나님의섭리안에서계획되고실행되어진사건으로묘사된다. 바울도자신의서신서여러곳에서예수를고난과죽음에로내어주신분은바로하나님이라고강조하고있다 ( 롬 8:32). 이사실은 paradi,dwmi의수동형을통해서복음서저자들과바울이유다혹은다른인간들의예수의내어줌혹은넘겨짐이면에있는하나님의섭리를더욱강조하고자했다고추론해볼수있게한다. 이런맥락에서우리는바울이고린도전서 11:23에서 paradi,dwmi를통해서강조하고자하는바가유다의배신행위인지, 아니면예수가대제사장들과로마인들에게붙잡힌사실인지, 아니면하나님의섭리속에서이러한인간들의행위를통하여예수가고난과죽음에로내어진것인지에대해서질문해보아야한다. 우리는앞에서 paradi,dwmi가 배신당하다 혹은 붙잡히다 로해석될경우 내어주다 라는그단어의가장보편적인의미를상실할뿐만아니라, 그단어안에함축된행위의주체가하나님과예수와무관하게, 가룟유다와대제사장들과서기관들그리고로마병사들로고정되어버린다는사실을살펴보았다. 또한만약이동사의수동태형이신적인수동태라면, 배신당함으로번역할경우그동사의행위의주체인하나님에대한강조도사라져버리고, 동시에인간들의행위이면에있는하나님의신적인계획과의지사이의긴장관계도송두리째없어져버린다. 23) 고린도전서 11:23의후반부에서바울은주예수가빵을들고마지막식사를제자들과나누던밤을묘사하면서, 그밤에예수가 paredi,deto되었다고말한다. 여기서바울은이수동태동사의주어로아무도언급하지않고있다. 이에모든한글성경들은이단어를 붙잡힌 이라고번역한다. 그러나우리는앞에서 붙잡힌 이라는의미는 paradi,dwmi의의미장에서발견되지 23) Anthony Cane, The Place of Judas Iscariot in Christology, 21; B.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363.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57 않는다는것을살펴보았다. 사실바울이이수동태동사를언급하면서유다의이름을빠트린것은매우의도적이라고볼수있다. 바울은성만찬의전통에서별로유다의역할에관심을두지않고있다는것이다. 또한고린도전서 11:23은이러한 paradi,dwmi의어휘론적의미의문제에덧붙여, 바울이 paradi,dwmi의수동형을통해서강조하고싶은것이유다의배신행위의결과로예수에게일어난붙잡힘의사건인지, 아니면예수의고난과죽음에로의내어짐이의미하는예수의희생을통한하나님의구원인지에대한신학적인질문도야기한다. 만약리차드헤이즈 (Richard Hays), 브라이언피터슨 (Brian Peterson), 그리고베벌리가벤타 (Beverly R. Gaventa) 가강조하듯이, 수동태동사 paredi,deto가신적인수동태로서이동사의행위의주체 (agent) 가유다가아니라하나님이라면, 이동사를통해서바울은예수를죽음에내어준하나님의사랑의표현으로서의자기희생과하나님의뜻에대한예수의자발적인순종을강조하기를원한다고볼수있다 ( 비교. 롬 4:25; 8:32). 24) 사실바울이고린도전서 11:17-34에서성만찬의전통을인용하는주된이유는고린도교회가약한자들에대한배려를소홀히하여분열되었기때문이다. 바울은고린도교회가멸시받는약한자들을돌보아야할이유로성만찬에드러난예수의자기희생과, 나아가하나님의자기희생을제시한다. 왜냐하면바울이인용하는성만찬의전통은유다의배신으로말미암는예수의붙잡힘에대한역사적인기념이아니라, 자기의이익을위하여예수를배신한유다와대조적으로자신의목숨을내어줌을통하여표현된예수와하나님의자기희생적인사랑을기념하기때문이다. 그러므로성만찬을통하여예수와하나님의자기희생을기념하는고린도교회는약한자들을돌보기위한강한자들의자기희생을자신들안에서실천해야한다. 이러한하나님과예수의자기희생을담은십자가의사건은유다의배신과유대인지도자들의불의, 그리고본디오빌라도의불공정한재판을통해서완성되었다고복음서저자들은주장한다. 이들의주장에동조하면서, 바울은 paredi,deto를통해서예수의수난에담긴인간들의불의한행위들을전제하고그의미에포함하는동시에, 그들의불의한행위들이하나님의계획의완성을위하여절묘하게사용되었다는자신의신학적관찰을강조한다. 이런측면에서, 우리는수동태그리스어단어 paredi,deto를 붙잡히던 대신 넘겨지던 이라고번역하는것이바울의신학적이해를더잘전달하는것이라는위의주석가들의주장에동조할수있다. 이새로운번역 24) Richard B. Hays, First Corinthians, 198; Brian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363; Beverly Roberts Gaventa,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138.
58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을통해서우리는이단어가낭송되는성만찬의사건때마다유다의배신행위나로마병사들의체포의이면에존재하는하나님의주권적인사랑과예수의자기희생이라는신학적메시지를더강조할수있기때문이다. 고린도전서 11:23-26에서바울은자신이 전달받고 (pare,labon) 전달한 (pare,dwka) 초대교회의성만찬에대한전통을재언급하고있다. 바울은고린도전서 11장에서예수의고난에대한새로운정보를제공하는것이아니라, 과거에그가고린도교인들에게가르쳤던성만찬에대한교훈을다시상기시키고자한다. 바울의성만찬에대한가르침의핵심에는분명하게예수의고난에대한이야기가존재한다. 비록바울이고린도전서를기록할당시에는아직복음서가글로기록되지않았지만, 예수의고난과죽음그리고부활에대한이야기는교회의시작부터초대교회전통의핵심을구성했다. 바울에게도예수의고난의이야기는그가전한예수의복음의핵심을이루기에, 그는고린도교인들에게고린도교회의시작부터예수의죽으심과부활에대한이야기를성만찬의전통과연관하여분명하게전달했다. 예수의고난이야기중 23절의 paredi,deto에대한해석에서대부분의한글성경들은 잡히시던 이라고번역한다. TDNT에서우리의주제어인 paradi,dwmi에대한논문을작성한프리드리히뷰크셀 (Friedrich Büchsel) 은고린도전서 11:23에서 paredi,deto는분명하게유다의배신과그로말미암는예수의붙잡힘을지칭하고있다고주장한다. 25) 왜냐하면예수가잡히던혹은넘겨주던사건은열두제자들중의하나인가룟유다와깊은연관이있기때문이다. 고든피 (Gordon Fee) 도이본문에서바울은복음서에보존된유다의배신의행위를기억하고있다고주장한다. 26) 바울이예수를내어준유다의배신행위를분명하게알고있었다는데에는의심의여지가없다. 왜냐하면성만찬의배경을담고있는그리스어표현 evn th/ nukti. h- paredi,deto 는이사건과연관된유다의배신에대한역사적인기억을담고있기때문이다. 그러나바울이그날밤을언급하면서 nu,x. 를사용하는데반하여, 복음서는저녁을의미하는평범한단어 ovyi,a를사용한다 ( 막 14:17). 이사실은바울이 nu,x에별다른신학적인중요성을부여하지않고있다는것을알려준다. 그러나우리는고린도전서 11:23에서바울이 paredi,deto를통해서유다의배신을, 혹은그결과로서의예수의붙잡힘을강조하고자하는지, 아니면 25) Friedrich Büchsel, paradidomi, G. Kittel, e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2 (Grand Rapids: Eerdmans, 1964), 169. 26) Gordon Fee,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Grand Rapids: Eerdmans, 1987), 549.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59 유다의배신의결과로예수가죽음에로넘겨진사실과그이면에놓인하나님의주권적인섭리를강조하고자하는지에대해서질문해보아야한다. 만약여기서바울이복음서의전통을따르고있다면, 그도역시고린도전서11:23에서예수의내어짐과그이면에담긴하나님의희생적인사랑을강조할것이라고우리는쉽게유추해볼수있다. 이와연관하여, 바울이자신이가르치는성만찬의전통어디에서도유다를언급하고있지않다는사실은시사하는바가매우크다. 27) 왜냐하면성만찬에대한자신의가르침의마지막에서바울은성만찬이단순히제자의배신으로예수에게발생한한가지비극적인사건에대한역사적인기억이아니라, 하나님의복음의핵심으로서의예수의죽으심에대한기념임을분명히하고있기때문이다. 바울의복음은유다라는한인간의배신과그에따른예수의생애에발생한비극적인죽음에대한단순한기억이아니라, 하나님이예수의피와살을통해서창조한, 즉예수의죽음의희생을통해서설립한새로운언약에그근거를두고있다 ( 고전 11:25). 28) 바울이전해준성만찬의전통에서하나님의새언약의핵심메시지는성도들을위하여자신의피를흘리고몸을내어준예수의자발적인희생이다 ( 고전 11:24). 이사실은그날밤예수가포도주와빵을통해서 너희들을위한나의몸과피 를기념하라고한명령에서분명해진다. 예수의자발적인희생에대한결정은가룟유다의어떠한인간적인행위, 곧그의배신과내어줌에선행하여이루어진사건이다. 따라서바울은고린도전서 11:23-26의성만찬의전통에서유다의배신행위의결과로발생한예수의붙잡힘이아니라예수의내어짐에담긴하나님의희생을강조함으로써, 고린도교회의강한자들이약한자들을돌보아야한다고가르친다. 이미위에서우리는이그리스어동사가구약성경이나칠십인역그리고바울당시의유대인들의문헌에서 배신당하다 혹은 붙잡히다 등의의미들을내포하지않고있음을살펴보았다. 그리고복음서전통에서이단어는인간들의악한행위들의결과로예수의내어짐을의미함도살펴보았다. 이사실은우리로하여금바울이고린도전서 11:23에서 paredi,deto를통하여표현하고자하는의미도당시의 paradi,dwmi의일반적인용례와복음서의전통을크게벗어나지않았을것이라고추측하게해준다. 물론이추측은바울의서신서들에서발견되는그리스어동사 paredi,deto의다양한용례들을살펴봄으로써더분명해질것이다. 27) 참조. Richard Hays, First Corinthians, 198. 28) B.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372.
60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먼저고린도전서 5:5에서바울은고린도교회에게계모와살고있는한불의한형제를사탄에게 paradou/nai하라고명령한다. 여기서 paradi,dwmi는분명하게붙잡힘이아니라, 사탄에게넘겨줌을의미한다. 또한고린도전서 13:3에서도바울은자신이비록자신의모든소유와몸을가난한자들을위하여 넘겨준다 (paradw/) 할지라도사랑이없으면아무것도아니라고가르친다. 여기서도 paradi,dwmi는붙잡힘과아무런상관이없다. 마지막으로, 고린도전서 15:24에서 paradi,dwmi는종말의마지막때에예수가모든권세와정사들을파괴한후에하나님께회복된자신의왕국을 넘겨주는 행위를지칭하는데사용된다. 우리의본문의직접적인배경이되는고린도전서전반에걸쳐서 paradi,dwmi는붙잡힘의의미가아니라, 내어준다 혹은 전달한다 의의미로쓰이고있다. 사실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를붙잡히다라고번역하는것은이단어의일반적인용례에포함되어있지않은의미를이단어에덮어씌우는어휘론적오류를범할뿐만아니라, 이단어이면에담긴예수의자기희생의의미를심각하게훼손하고, 나아가예수의자기희생너머에존재하는하나님의희생적인사랑을간과하는신학적오류를범하게된다. 이수동태동사를붙잡히다라고해석하는것은유다와대제사장의역할을지나치게강조하게되기때문이다. 사실초대교회뿐만아니라바울에게도예수에게행해진수동태동사의궁극적인주어, 혹은실행자는인간이아니라하나님이다. 이런측면에서, paredi,deto의수동태는신적인수동태로간주되어야한다는바렛 (C. K. Barrett), 헤이즈, 그리고가벤타의주장은매우설득력이높다. 29) 이사실은유다가예수를내어주기전에이미예수께서자신을스스로내어주기로결정했고, 예수의결정전에이미하나님께서예수를내어주기로결정했다는사실을의미한다. 30) 에릭슨 (A. Eriksson) 은바울이그의독자들에게특정한논지를만들때, 그와그의독자들이함께동의하는전통들을자신의논지의근거로자주사용했다는것을강조한다. 31) 바울의성만찬에대한전통을포함하고있는고린도전서 11:17-34에서바울의주된관심사는성만찬에서배제된약한자들을향한배려이다. 성만찬의가르침이고린도의약한자들을향한배 29) Beverly Robert Gaventa,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138. 30) C. K. Barrett, A Commentary 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Peabody: Hendrickson, 1968), 266; J. Fitzmyer, First Corinthians, 436; R. Hays, First Corinthians, 198; Raymond F. Collins, First Corinthians (Collegeville: Liturgical Press, 1999), 431. 31) A. Eriksson, Tradition as Rhetorical Proof: Pauline Argumentation in 1 Corinthians.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61 려의가장좋은근거가되는이유는성만찬이야말로예수의죽음에담긴의미를가장잘표현하는의식이기때문이다. 성만찬에서기념되는예수의죽음의의미는화해와구속을위한하나님의사랑을표현하기위하여예수께서자신을십자가에내어준자기희생의사건이다. 다시말하면, 성만찬을기념하는자리에서바울과고린도교회는유다의배신행위로말미암는예수의체포보다도, 약한자들곧죄인들을위하여자신을 자발적으로죽음에내어준 예수의자기희생을기념한다. 이런면에서, paredi,deto는붙잡힘이아니라내어짐, 혹은넘겨짐으로해석되는것이더타당하다. 32) 4.2. 바울의다른서신서들과 paradi,dwmi 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에대한위와같은해석은로마서에서더분명해진다. 로마서 4:25에서바울은예수는우리가범죄한것때문에 내어줌 (paredo,qh) 이되고우리를의롭다하시기위하여살아남을입으셨다 (hvge,rqh) 고선포한다. 흥미로운것은개역과개역개정은 paredo,qh를 내어줌 과 내줌 이라고각각해석하는반면에, 새번역, 은 죽임을당하셨고 로, 표준은 죽임을당하시고 로, 그리고공동과공동개정은 죽으셨다가 라고해석한다는것이다. 우리는 paredi,deto에 죽임을당하시고 의의미가없다는것을잘알고있다. 그러나더중요한사실은어떤한국어성경도로마서 4:25에서이단어를 배신당하다 혹은 붙잡히다 라고번역하지않는다는것이다. 로마서 4:25에서발견되는두개의수동태동사들 paredo,qh와 hvge,rqh의주어는하나님이심이너무도자명하기때문이다. 우리의의로움을위하여예수를부활시키신분이하나님이시므로, 우리의죄를인하여그를내어주신분도하나님이시다. 예수의희생이면에존재하는하나님의주권적인결정을바울은로마서 8:32에서능동태의형태로더분명하게설명한다 : 자기아들을아끼지아니하시고우리모든사람을위하여내주신 (pare,dwken) 이가어찌그아들과함께모든것을우리에게주시지아니 하겠느냐? ( 개역개정 ). 여기에등장하는 pare,dwken 을모든한국어번역본들은다 내주신 이라 고번역하고있다. 여기서바울은신적인수동태의주어인하나님을능동 32) Anthony C. Thiselt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970.
62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태의형태로분명하게아들예수를내어주신분이라고칭하고있다. 우리의죄를인하여아들을내어주신하나님의은혜로운행위는로마서 1장에서죄인들을죄악된욕망의권세에게로 내어주신 하나님의심판의행위와대조된다 ( 롬 1:24, 26, 28). 사실아들을내어주신하나님의사랑은죄와사망에게내어준바된인류를구원하고자함이다. 33) 이두본문들에서베벌리가벤타는 paradi,dwmi는내어줌을의미한다고분명하게강조한후, 더나아가 paradi,dwmi는내어준자에게영향을미치는죽음이나사탄과같은제 3의능력있는대상을전제하고있다고주장한다. 34) 바울은고린도전서 2:6, 8에서이세상의통치자들에게예수의십자가상에서의죽음의책임을넘기고있다. 만약가벤타의의견이옳다면, 예수의내어줌은단순히죄에대한희생의의미를뛰어넘어, 인류를죄와사망의권세로붙잡고있는사탄에대한하나님의공격을의미한다. 이의견은위에서이미언급된고린도전서 15:24의 paradi,dwmi의용법과일맥상통한다. 바울은갈라디아서 2:20에서도동일한그리스어동사 parado,ntoj를통해바울을위하여자신을내어주신예수그리스도의사랑에대해서이야기한다. 바울은, 하나님에의하여내어준바된예수는단순히하나님의뜻혹은유다의배신의행위로말미암는희생자가아니라, 자신스스로죄인들을위하여자신을내어주기로결정한분이라고선포한다 ( 비교. 갈 1:4). 결론적으로, 위의모든증거들을종합해볼때, 고린도전서 11:23의수동형동사 paredi,deto는붙잡힘대신에내어짐이라고해석하는것이더바람직하다. 그리고이수동형동사이면에는인간의배신행위이면에담긴하나님의사랑과예수의자기희생간의절묘한연합이라는신학적인메시지가담겨있다. 35) 바울에게있어서이수동태동사는단순히한인간의배신이나예수의붙잡힌사건에대한역사적인기억을넘어서, 예수의십자가상에서의죽음을설계하고실행한하나님의주도적인사랑과예수의자기희생에대한복음의소식을담고있다. 또한이수동형동사는인간을붙잡고있던죄와사망의권세와사탄에대한하나님의공격과그로말미암는 33) B. R. Gaventa,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130-136; B. R. Gaventa, God Handed Them Over: Reading Romans 1:18-32 Apocalyptically, Australian Biblical Review 53 (2005), 113-123. 34) B. R. Gaventa,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132; B. R. Gaventa, Our Mother Saint Paul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116-117. 참조. Gabriella Berényi, Gal 2,20: a Pre-Pauline or a Pauline Text?, Biblica 65 (1984), 490-537. 35) B. K. Peterson,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374.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63 사탄의패배의의미까지도포함하고있다. 36) 여기서우리는왜바울을포함한신약의저자들이가롯유다에의해서넘겨진예수를기억하면서그의미가분명하게배신을의미하는 prodi,dwmi 대신 paradi,dwmi의수동태인 paredi,deto를사용했는지에대해서질문해볼수있다. 이에대한해답으로많은학자들은예수의넘겨짐을이사야의고난받는종을통해서해석한초대교회의전통을제시한다 ( 사 53). 37) 이사야 53:6과 12절에서하나님의고난받는종은하나님에의하여 많은이들의죄 를위하여 넘겨줌을당하는것 으로묘사된다. 흥미롭게도, 이두곳에서칠십인역은 prodi,dwmi대신 paradi,dwmi를채용한다. 요아킴예레미아스 (Joachim Jeremias) 의의견에동의하면서, 리젠필드 (H. Riesenfeld) 도 주예수께서우리의죄들을위하여내어준바되었다 ( 롬 4:25) 와 하나님께서우리모두를위하여자신의아들을내어주셨다 ( 롬 8:32) 라는바울의고백은이사야의고난받는종의대속의죽음을위한내어줌의전통에깊이의존하고있다고주장한다. 38) 5. 나가는말 본논문은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를어떻게해석할것인지를재고해보는논문이다. 모든한글성경들이이단어를 붙잡힌 이라고번역하지만, 이의미는 paradi,dwmi의의미장에서발견되지않는다. 이그리스어단어의정확한번역을위해서우리는세가지를고려해보았다 : (1) paradi,dwmi 의의미장, (2) 성만찬에대한복음서전통, 그리고 (3) 고린도전서의문맥적인상황. 우리는 paradi,dwmi의가장보편적인의미가 내어주다 임을살펴보았다. 그리고복음서의성만찬의전통에서이단어는예수가유다의배신행위의결과로대제사장들과서기관들에게넘겨진사실을가리키고있음을살펴보았다. 고린도전서와다른서신서들에서바울도이단어를통하여예 36) B. R. Gaventa,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139. 37) Cilliers Breytenbach, The Septuagint Version of Isaiah 53 and the Early Christian Formula He Was Delivered for Our Trespasses, 339-351. 38) H. Riesenfeld, u`pe,r, G. Kittel, TWNT VIII (1969), 512. 참조. C. Breytenbach, The Septuagint Version of Isaiah 53 and the Early Christian Formula He Was Delivered for Our Trespasses, 351. 사실바울은갈 1:4 와 2:20 에서예수가 우리를위하여 자신을직접내어주었다고선포한다.
64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수가고난과죽음에로넘겨진사건을지칭하고있음을살펴보았다. 그러나복음서와바울은둘다예수의넘겨짐은유다의배신행위를전제로하고있으며, 그이면에는하나님의자기희생의결정과그결정에대한예수의순종이존재함을강조하였다. 이런측면에서, 복음서의저자들과바울에게수동태동사 paredi,deto는인간들의범죄행위들과그에따른예수의수난과하나님의섭리간의신학적인긴장을담고있다. 복음서저자들은인간의배신행위로말미암는예수의죽음이신적인 de/i와기록된예언의말씀의성취라는주장을통하여이사실을분명히한다. 바울은위의동사의능동태형이쓰이는곳들에서그행위의주체가하나님혹은예수임을분명하게명시하여, 예수의죽음이하나님의은혜로운구원계획과예수의사랑의순종의결과임을강조한다. 결론적으로, 고린도전서 11:23의 paredi,deto는유다의배신행위로말미암는예수의붙잡힘에대한단순한기억을의미하는것이아니라, 인간들의악한행위를통하여하나님의섭리속에서예수가고난과죽음에로내어진, 혹은넘겨진사건을지칭하는것으로보인다. 이새로운번역은성만찬의전통을통해서고린도인들에게전달하고자하는바울의가르침의의도, 즉성만찬이기념하는예수와하나님의자기희생을근거로한, 성도들상호간의돌봄의필요에대한바울의가르침의의도를가장잘드러낸다. < 주제어 >(Keyword) 내어주다, 붙잡히다, 성만찬, 신적인 dei/, 예수의수난. hand over, betrayal, Lord s Supper, divine dei/, Jesus suffering and death. ( 투고일자 : 2017 년 9 월 15 일, 심사일자 : 2018 년 3 월 12 일, 게재확정일자 : 2018 년 4 월 20 일 )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65 < 참고문헌 >(References) Bauer, W., Danker, F. W., Arndt, W. F. and Gingrich, F. W.,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Frederick William Danker ed., 3r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Barrett, C. K., A Commentary 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Peabody: Hendrickson, 1968. Berényi, Gabriella, Gal 2,20: a Pre-Pauline or a Pauline Text?, Biblica 65 (1984), 490-537. Bovon, François, Luke, vol. 3,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12. Breytenbach, Cilliers, The Septuagint Version of Isaiah 53 and the Early Christian Formula He Was Delivered for Our Trespasses, Novum Testamentum 51 (2009), 339-351. Brown, Raymond, The Death of Messiah, New Haven: Yale Univ. Press, 1998. Büchsel, Friedrich, Paradidomi, G. Kittel, e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2, Grand Rapids: Eerdmans, 1964, 166-173. Cane, Anthony, The Place of Judas Iscariot in Christology, Aldershot: Ashgate, 2005. Collins, Adela Yarbro, Mark: A Commentary,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7. Collins, Raymond F., First Corinthians, Collegeville: Liturgical Press, 1999. Conzelmann, Hans, 1 Corinthian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5. Cosgrove, Charles H., The Divine dei/ in Luke-Acts: Investigation into the Lukan Understanding of God s Providence, Novum Testamentum 26 (1984), 168-190. Eriksson, A., Tradition as Rhetorical Proof: Pauline Argumentation in 1 Corinthians, Stockholm: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998. Fee, Gord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Grand Rapids: Eerdmans, 1987. Fitzmyer, J. A., First Corinthians, New Haven: Yale Univ. Press, 2008. Gaventa, Beverly Roberts, God Handed Them Over: Reading Romans 1:18-32 Apocalyptically, Australian Biblical Review 53 (2005), 113-123. Gaventa, Beverly Roberts, Interpreting the Death of Jesus Apocalyptically: Reconsidering Romans 8:32, Todd D. Still, ed., Jesus and Paul Reconnected, Grand Rapids: Eerdmans, 2007, 125-144. Gaventa, Beverly Roberts, Our Mother Saint Paul,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116-117. Hays, Richard B., First Corinthian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66 성경원문연구 42 (2018. 4.), 45-67 1997. Klassen, William, Judas Betrayer or Friend of Jesus?, London: SCM, 1996. Liddell, Henry George and Scott, Robert,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1996. Luz, Ulrich, Matthew 8-20, Hermeneia: A Critical & Historical Commentary on the Bible,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Moulton, J. H. and Milligan, G., The Vocabulary of the Greek New Testament, Peabody: Hendrickson Publishers, 1997. Peterson, Brian K., What Happened on the Night? Judas, God,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Ambiguity, Pro Ecclesia 20 (2011), 363-383. Popkes, W., Christus Traditus; Eine Untersuchung zum Begriff der Hingabe im NT, Zurich: Zwingli Verlag, 1967. Popkes, Wiard, Paradidomi, Gerhard M. Schneider and Horst Balz, eds.,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93. Riesenfeld, H., u`pe,r, G. Kittel, ed., TWNT VIII (1969), 512. Richardson, Robert D., ed., Mass and Lord s Supper: A Study in the History of the Liturgy, Dorothea H.G. Reeve, trans., Leiden: Brill, 1979. Squires, John T., The Plan of God in Luke-Act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1993. Thatcher, Tom, Jesus, Judas, and Peter: Character by Contrast in the Fourth Gospel, Bibliotheca Sacra 153 (1996), 435-448. Thiselton, Anthony C.,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 2000. Watson, Francis, I received from the Lord : Paul, Jesus, and the Last Supper, Todd D. Still, ed., Jesus and Paul Reconnected, Grand Rapids: Eerdmans, 2007, 103-124.
고린도전서 11:23 의 paredi,deto 의번역재고 / 이승현 67 <Abstract> Reconsidering the Translation of paredi,deto in 1 Corinthians 11:23 SeungHyun Lee (Hoseo University) The Greek passive verb paredi,deto in 1 Corinthians 11:23 is translated in many English bibles as betrayed, while in most Korean Bibles as caught. However, the most basic meaning of this verb is to deliver or hand over. The reason English and Korean Bibles render this word as betrayed or caught is because of the memory of Judas betrayal in Jesus passion narrative. But in this article, the author argues that their rendering of paredi,deto as caught or betrayed hinders its deep theological complexity behind its lexical ambiguity and Paul s reasoning of quoting the Eucharist tradition in the Corinthian context.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passive verb implies Judas betrayal of Jesus, Paul believes that it has taken part in God s providential execution of salvation for the sinners. Paul expresses this belief in several places of his letters by making God the one who handed over Jesus to death, that is, the real agent of the passive verb paredi,deto. The Gospel writers express a similar idea through the divine passive and the divine de/i regarding Jesus death. According to them, Jesus was also aware of God s divine will regarding his death since he commanded Judas to execute quickly his heinous plan to betray Jesus. Similarly, Paul also claims that Jesus voluntarily gave himself up for the believers as an expression of his obedience to God s will. When the passive verb paredi,deto is translated as delivered rather than caught or betrayed, it can therefore fully express the theological profundity of the meaning of Jesus death which exists behind its lexical ambiguity. Furthermore, this new translation can explain better Paul s teaching of the Eucharist tradition as a divine basis for the strong s taking care of the weak in the Corinth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