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EB9DAB9AEBCBA5F E687770>

Similar documents
자연언어처리

2015년9월도서관웹용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ø±â¾Ð±â±â

step 1-1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철학탐구 1. 들어가는말,. (pathos),,..,.,.,,. (ethos), (logos) (enthymema). 1).... 1,,... (pistis). 2) 1) G. A. Kennedy, Aristotle on Rhetoric, 1356a(New York :

I 154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짚?

歯kjmh2004v13n1.PDF

32


¾ç¼ºÄÀ-2

DBPIA-NURIMEDIA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 D E687770>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Bchvvhv[vhvvhvvhchvvhvvhvvhvvhvvgvvgvv}vvvgvvhvvhvvvhvvhvvhvvvbbhvvhvvvgvvgvvhvvhvvhv}hv,.. Bchvvhv[vhvvhvvhvvhvvbbhvvhvvhvvvhvvhvvgvvgvv}vvgvvhvvvhvv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Microsoft PowerPoint Predicates and Quantifiers.ppt

본문01

C# Programming Guide - Types

04 형사판례연구 hwp

영남학17합본.hwp

120~151역사지도서3

영남학17합본.hwp

2003report hwp

<33C6E4C0CCC1F620C1A63139C8A320B8F1C2F7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The Participant Expe

<30352DC0CCC7F6C8F B1B3292DBFACB1B8BCD2B1B3C1A42E687770>

5장. JSP와 Servlet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 문법(완성-0421).hwp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서강대학원123호

초급산스끄리뜨 : 모음의연성 박영길

범어의 음성학적 체계 엄혜용* 1) 머리말 1. 소리 3. 자음 맺음말 모음 연성법 Abstract 머리말 범어에서 음성의 중요성은 베다 시대 말기(BC 500년경)에 제식 에 필요한 보조적인 지식으로서 6종의 보조학 (Vedāṅga)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03report hwp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I would like to ask you a favor. Can you pick me up at the airport? ASAP P.S. RSVP BTW IMO ATM ETA

최종ok-1-4.hwp

EA0015: 컴파일러

DBPIA-NURIMEDIA

- 2 -

???짚?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음주측정을 위한 긴급강제채혈의 절차와 법리, A Study on the Urgent Compulsory Blood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슬라이드 1

歯1.PDF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2),, 312, , 59. 3),, 7, 1996, 30.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hwp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앵커(20)를 이용한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옹벽패널에 있어서, 단위패널형태의 판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중앙부가 후방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전면이 오 목하게 들어가고 후면이 돌출된 결속부(11)를 형성하되, 이 결속부(11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152*22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歯49손욱.PDF

삼교-1-4.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 C7D0B3E2B5B520C0DABFACB0E8BFAD20B8F0C0C7C0FBBCBAB0EDBBE72020B9AEC1A62E687770>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74 한국문화 73

11¹Ú´ö±Ô

<32B1B3BDC32E687770>

KD hwp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레이아웃 1

(최종) 주안도서관 소식지_7호.indd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º´¹«Ã»Ã¥-»ç³ªÀÌ·Î

6 39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Ȳ¿ë¼®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변경금지. 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FTA 활용 종합 가이드북 cha Pte r04 원 楓 기준,:산지증명 Im 飇 10 chapte 硼 FTA 爵 x녠저 匡 모델01 FrA 상대국관세을인하를활용한수출확대 첫번째 모델은 우리가 F fa 를 체결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인 상대국의 관세을 인하를수출확대기회로활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ÀÌÁÖÈñ.hwp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31325FB1E8B0E6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Transcription:

1) 인도철학제 27 집 (2009), 53~90 쪽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 1) 파니니문법 (Aṣṭādhyāyī) 을중심으로 박문성 ** Ⅰ 서언. Ⅱ 복합미래의개요. Ⅲ 파니니문법 (Aṣṭādhyāyī) 에나타난복합미래의규칙들. Ⅳ 복합미래의용례구분. Ⅴ 결어. 요약문 [ 주요어 : 복합미래, 단순미래, 오늘, 내일, 미래, 경계 ( 境界 )] 오늘발생하지않는미래를표현할때사용되는복합미래는베다문헌에서사용되기시작하여브라흐마나문헌과서사시에서사용빈도가증가되었지만, 고전범어문헌들에서는그용례가거의발견되지않는짧은수명을지닌문법이다. 복합미래는명확한시기를지시하는 śvas( 내일 ) 와같은단어들과주로사용되면서, 화자로부터먼미래를표현한다. 그러나먼미래일지라도지금부터시작하는행위의경우, 행위의중단없는연속의경우, 낮과밤이아닌시간단위의단어가있는경우, 화자의단순한희망사항을표현하는경우는사용될수없다. 복합미래는시기가명확한경우, 현실화될것이분명한경우, 화자의강한의지를드러낼경우등에주로사용된다. Ⅰ. 서언 범어에서미래를표현하는방식은다양하다. 가장간단한방법은현재직설법 (laṭ) 을사용하는것이다. 1) 그러나미래시제를표 * 이논문은 2009 년도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교비연구비 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 가톨릭대학교신학과교수. plogos@catholic.or.kr 1) 가까운미래의경우현재직설법 (laṭ) 과단순미래 (ḷṭ) 가임의로사용될수있다. Siddhānta-kaumudī 에다음과같은실례가있다. kadā gamiṣyasi,

54 印度哲學제 27 집 현하는일반적인방식은복합미래 (luṭ) 와단순미래 (ḷṭ) 2) 이다. 3) 복합미래는그렇게자주사용되지는않지만 오늘이아닌미래시점을표현할때 (anadyatana-bhaviṣyat-kāle arthe) 사용된다. 그것은화자가말하는당일에일어날사건이아니면서, 시기의한계가명확하게표현되는경우에많이사용된다. 따라서모든미래를지시하는데사용될수없으며, 시제의형태도직설법능동태만있다. 4) 반면단순미래는 일반적인미래시점을표현할때 (sāmānyabhaviṣyat-kale arthe) 사용된다. 특히그것은화자로부터 멀지않는시점을표현할때 (sāmīpya-kale arthe), 시점이막연하게지시될때, 중단없는행위 (kriyā-prabandha) 가지속적으로행해질때주로사용된다. 하지만단순미래는발생할예정이있든지없든지, 가까운미래든먼미래든상관없이사용될수있다. 따라서원칙적으로복합미래는단순미래로대체될수있으나그역은성립하지않는다. 5) 단순미래를정의하는 sāmānya( 일반적인 ) 라는단어가의미하는바대로, 梵文을통해독자들이접하는미래표현대부분은단순미래이다. 복합미래는베다문헌에서사용되기시작하여브라흐마나 eṣa gacchāmi( 또는 gamiṣyāmi, 너는언제갈거니? 나는갈것이다 ). Āpte, V.S.(1984) p. 146( 213). 2) 梵字의로마자표기법에따라단모음 ḷ 은 lṛ 로표기되기도한다. 문법서에따라단순미래는 lṛṭ 로, 조건법은 lṛṅ 로표기되기도한다. 본논문에서는 ḷ 로표기하는표기법에따라 ḷṭ 와 ḷṅ 로표기하였다. Robert, P.G. & Sally, J.S.G.(1987) p. xxx 참조 ; Gune, J.A.(1978) pp. 76f 참조. 3) 파니니의주석가들은 luṭ 는 첫째 [ 미래 ] 라고, ḷṭ 는 둘째 [ 미래 ] 라고규정한다. 영어권문법학자들은전자는 Periphrastic future ( 조동사의도움을빌려활용하는미래, 迂言的미래 ) 로, 후자는 Simple future 로번역한다. 본논문에서전자는 복합미래 로, 후자는 단순미래 로번역한다. 4) Robert, P.G. & Sally, J.S.G.(1987) p. 274( 16.2) 참조 ; Gune, J.A.(1978) p. 76 참조 ; Meenakshi, K.(1983) pp. 169f 참조 ; Whitney, W.D.(2005) p. 335( 942.a) 참조 ; Speijer, J.S.(2006) pp. 259f( 341) 참조. 5) 각주 3) 참조. 그러나 Speijer 는원칙과달리兩者가대체되어사용되는실례들을 Sanskrit syntax 260 쪽 ( 341*) 에서제시하고있다.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55 문헌과서사시에서사용빈도가증가되었지만, 고전범어문헌들에서는그용례가거의발견되지않는다. 따라서복합미래는梵文을읽는독자들이자주접하는문법은아니다. 자주접하지않기때문에무시될수있는문법이기도하지만, 자주접하지않기때문에문장속에서만났을경우독자를당혹하게만드는문법이기도하다. 행위명사 (-tṛ) 의남성주격과 as동사의직설법현재형이결합된형태 6) 는독자로하여금미래시제가아닌현재시제로오독하게할여지가있다. 또한가장많이사용되는 3인칭 (prathamapuruṣa) 에서 as동사가탈락된다는점은독자를더욱당혹케한다. 3인칭으로사용된복합미래는명사적으로사용된행위명사와형태가동일하기때문에, 그둘의구분은오직문맥에따라판단할수밖에없기때문이다. 본논문에서는파니니문법 (Aṣṭādhyāyī) 과주석서들의복합미래에대한규정들을살펴봄으로써, 오독의여지가있는복합미래에대한명확한문법적이해를일차적으로시도하였다. 다음으로는리그베다로부터고전범어문헌들에나타난예문들을용례별로구분하여제시함으로써복합미래의사용법에대한구체적이해를시도하였다. 6) 복합미래를형성하는방법은다음과같다. 1 1 2 인칭의경우, 동사어근으로부터파생된행위명사의남성 단수 주격에, 행위주체 (kartṛ) 와數와人稱이일치하는 as 동사의현재직설 (laṭ) 형태를덧붙인다.( 복합미래 = 어근 + (tā/ itā) + as 의직설법현재 ) 2 as 동사는 Parasmaipada 이지만, 복합미래의조동사로사용될경우 Ātmanepada 로도활용된다. 3 as 동사의원망법 (liṅ) 을취하는유일한경우에대해서는 Withney(2005) p. 336( 944.c) 을보라. 4 3 인칭의경우, as 동사를생략하고행위명사의주격 ( 단수 : -tā, 양수 : -tārau, 복수 : -tāraḥ) 만을사용한다.

56 印度哲學제 27 집 Ⅱ. 복합미래의개요 복합미래는오늘이아닌 ( 혹은내일 ) 미래시점을 [ 표현하는것이다 ] (anadyatana( 혹은 śvastana) bhaviṣyat-kāle luṭ) 라고정의된다. 그것은베다문헌에서처음사용되기시작하였지만발견되는용례가많지않다. 베다문헌에서사용되는행위자명사는연계동사 (be 동사 ) 와함께사용되든지사용되지않든지, 어떤시제도내포하지않는서술적용법으로사용되는경우가많다. 7) 베다문헌에서발견되는복합미래의초기형태는다음과같다. anvāgantā yajñapatir vo atra(vājasameyi-saṁhitā, 18.59; Taittirīya -Saṁhitā, 5.7.7): 祭主는이와같이당신을따를것이다. anvāgantā yajamānaḥ svasti(atharva-veda, 6.123): 祭主는안녕을추구할것이다. 8) 복합미래는브라흐마나문헌에서보다널리사용되기시작한다. 단순미래만큼자주사용된적은없지만, 적어도 30종류의어근으로부터파생된행위명사가복합미래로사용되었다. 9) 브라흐마나문헌에서시도된새로운형태는 as동사의 Ātmanepada( 위자태 ) 어미가사용된것이다. 일반적으로 prayoktāsmi( 나는수행할것이다 ) 로사용되었던것이타이티리야상히타 14.6.2.3에서는 prayoktāse 로사용되었다. 샵타파타브라흐마나 11.5.1.11에서는 śayitāsi( 그대는잠들게될것이다 ) 대신에 śayitāse가사용된다. 10) 서사시에서도규칙의변형이발견된다. 문법규칙에따르면복 7) Whitney(2005) p. 337( 946) 참조. 8) Macdonell, A.A.(2007) p. 387 참조. 9) Whitney(2005) p. 337( 946). 10) Whitney(2005) p. 337( 947.a).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57 합미래의목적어는목적격을취해야하는데, 마하바라타 3.176.20에서는목적격적속격을취한다. 즉 bhūyo draṣṭā tavāsmi( 그때나는너를다시보게될것이다 ) 라는문장에서목적어 tava는속격이다. 비슷하게 Nāgānanda에나오는 kas trātā tava putraka( 아이야! 누가너를보호해주겠느냐?) 에서문맥상으로복합미래로사용된 trātā( 보호하다 ) 도목적어로속격을취하고있다. 11) 그밖에도서사시에서복합미래는다음과같이다양하게변형된형태로발견된다. 첫째, 3인칭에서도 as동사가사용된다. 아래의실례들에서 vaktāsti( 말하다 ), bhettāsti( 방해하다 ), pravaktāsti( 전하다 ) 는 3인칭복합미래임에도불구하고 as동사가사용되고있다. na tveha vaktāsti( 여기서그는너에게말하지않을것이다. Mhbh., 3.250.2) na ca vas tasya bhettāsti( 그는너희들을방해하지않을것이다. Mhbh., 7.50.20) nānyaḥ pravaktāsti( 다른사람은전하지않을것이다. Mhbh., 12.30 8.23). 둘째, 1 2인칭에서 as동사가생략되기도한다. ahaṁ draṣṭā brahmaloke sadeti( 나는언제나梵天에서볼것이다. Mhbh., 1.11.17) 라는구문에서 1인칭주어 (ahaṁ) 가있음에도 as동사 (asmi) 가생략된복합미래 (draṣṭā) 가사용된다. 다음은 as동사가생략된실례들이다. vyādhas tvaṁ bhavitā( 너는사냥꾼이될것이다. Mhbh., 3.294.32) hantāhaṁ gadayābhyetya duryodhanam amarṣaṇam( 나는곤봉으로내려쳐서참을수없는두르요다나를죽일것이다. Mhbh., 5.73.13). 11) Speijer(2006) p. 259( 340, Rem. 3) 참조.

58 印度哲學제 27 집 셋째, 행위명사와 as동사의순서가도치되기도한다. ahaṁ manye pūrvam eko smi gantā( 앞서서나혼자갈것이다 라고나는생각한다. Mhbh., 1.88.17) 라는문장에서파니니규칙에따르면 gantāsmi로표현되어야함에도불구하고, 행위명사와 as동사가도취된형태, 즉 asmi gantā로구문되었다. 넷째, 행위명사와 as동사사이에다른단어가삽입되기도한다. pratigrahītā tām asmi( 나는그녀를받아들일것이다. Mhbh., 1.42.7) 12) 에서행위명사와 as동사사이에목적어 (tām) 가삽입되어있다. kuruṣva kartā hy asi nātra saṃśayo( 그대는행하라! 왜냐하면이점에서너의성공에대한의심할어떤것도없기때문이다. 라마야나 7.61.18에서행위명사와 as동사사이에불변화사 hi가삽입된다. 다섯째, 여성형어미 (-trī) 가사용되기도하고, 여성명사주격과함께구문되기도한다. 다음과같은실례들이있다. gantrī( 그녀는갈것이다. Garuḍa-Purāṇa, 2.4.84) ekā janayitā putram([ 너의 ] 배우자중한여인이아들을낳을것이다. R., 1.38.8). 여섯째, 행위명사가수동태로표현되는경우도있다. yady ahaṃ tvayā vai dharṣitā balāt, śayitā tvaṃ hataḥ saṃkhye ( 네가만일힘으로나를내리누르려한다면, 전투에서너를죽여서잠들게할것이다. R., 3.56.5) 13) 에서 dharṣitā는동사 dhṛṣ( 내리누르다 ) 의수동활용에서파생된것이다. 12) Whitney(2005) p. 336( 943.b) 참조. 13) Speijer(2006) p. 258( 340, Rem. 1, 2) 참조.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59 Ⅲ. 파니니문법 (Aṣṭādhyāyī) 에나타난복합미래의규칙들 3.1. 복합미래에대한기본정의 (P., 3.3.15) 복합미래는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표현할때사용된다. 복주의실례에서볼수있듯이 śvas( 내일 ) 와같이시기를확정하는전치사와함께구문되는경우가많다. 그리고미래의사건에대한비탄의마음을표현할경우복합미래가사용되는것이원칙이다. 따라서복주의실례에서 iyaṁ nu kadā gamiṣyati( 그녀는실로언제갈까?) 를대신하여 iyaṁ nu kadā gantā( 그녀는실로언제나갈것인고?) 로구문된다. 1) 규칙 (pada) 복합미래는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 [ 표현할때사용된다.] (anadyatane luṭ//) 2) Kāśika의주석 (Vṛttiḥ) 14) 복합미래는오늘이아닌미래시점을표현할때 [ 사용되는 ] 어근의현재형에서 [ 파생된 ] 어미이다. 15) (bhaviṣyad-anadyatane 'rthe varttamānād dhātor luṭ pratyayo bha 14) Vasu, Ś. Ch. Ed., & trans.(1988) 의 The Ashṭādhyāyī of Pāṇini 의원문인용. 15) Kauṇḍabhaṭṭa 는주석서 (Lakārārthanirṇaya) 에서같은규칙을 [ 저자는 ] 복합미래의의미를말한다. [ 그것은 ] 내일발생할것을표현할때 [ 사용되는것 ] 이다. 오늘이아닌때발생할것 이의미하는것은 anadyatane luṭ( 복합미래는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 [ 표현할때사용된다 ]) 는규칙에의한것이다. 실례들은 śvo bhavitā( 그것은내일될것이다 ) 등으로시작하는것이다. (luḍ-artham āha/ śvo bhāviny arthaiti/ anadyatane bhāvinīty arthaḥ/ anadyatane luḍ iti sūtrāt/ yathā śvo bhavitā ity ādau//) 라고주석한다. Gune(1978) p. 76.

60 印度哲學제 27 집 vati//) 3) Vāmana와 Jayāditya의복주 (Vārttikam, 이하 Vārtti) 16) [ 여기서 ] 미래 의경우만그렇다. 복합미래는오늘이아닌미래시점을표현할때 [ 사용되는 ] 어근의현재형에서 [ 파생된 ] 어미이다. 단순미래는사용되지않는다. śvaḥ kartā( 그는내일행할것이다 ). śvo bhoktā( 그는내일먹을것이다 ). 오늘이아닌 (anadyatane) 은소유복합어이다. 따라서 [ 시간적요소가 ] 섞여있을경우는 [ 복합미래 ] 가사용되지않는다. adya śvo vā bhaviṣyati( 그것은오늘또는내일될것이다 ). 비탄의마음을표현하는경우, 미래를표현할때복합미래어미 (śvastanī) 를사용하는것이원칙이다. iyaṁ nu kadā gantā, yaivaṁ pādau nidadhāti( 저렇게 [ 천천히 ] 발걸음을내딛고있는그녀가실로언제나갈것인고?) ayaṁ nu kadā 'dhyetā, ya evaṁ anabhiyuktaḥ ( 저렇게성실하지않는그가실로언제나읽을것인고?) 17) 3.2. 복합미래의어미활용규칙 파니니는복합미래의어미활용규칙을일반적인것과예외적으로적용되는 3인칭을두규칙으로구분하여설명한다. 일반적인규칙 (1 2인칭) 은행위명사어미 tā(-itā) 에 as동사의현재직설법어미를결합한형태이다. 18) 이때 Parasmaipada( 위타태 ) 동사인 16) Vāmana and Jayāditya(1969-) 의 A commentary on Pāṇini's grammar 의원문인용. 17) bhaviṣyatīty eva/ bhaviṣyad-anadyatane 'rthe varttamānād dhātoḥ luṭ pratyayo bhavati/ ḷṭo 'pavādaḥ/ śvaḥ kartā/ śvo bhoktā/ anadyatanaiti bahuvrīhi-nirdeśaḥ/ tena vyāmiśre na bhavati/ adya śvo vā bhaviṣyati// paridevane śvastanī bhaviṣyad-arthe vaktavyā/ iyaṃ nu kadā gantā, yaivaṃ pādau nidadhāti/ ayaṃ nu kadā 'dhyetā, ya evam anabhiyuktaḥ//vārtti., 3.3.15// 18) 이형태에서복합미래어간은 어근 + tās 이다. 파니니규칙 (3.1.33) 을적용하여동사 kṛ( 하다 ) 를복합미래로활용하면다음과같다. kṛ +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61 as동사가 Ātmanepada 활용으로도사용된다. 예외적인규칙 (3 인칭 ) 은 as동사의결합을생략하고행위명사어미자체가 ḍā( 단수 ), rau( 양수 ), ras( 복수 ) 로활용되는것이다. 19) 이때 Parasmaipada 와 Ātmanepada 는동일한어미를취한다. 따라서복합미래에대한파니니규칙에따른어미활용표는아래와같다. 20) P. Ā. 단수 양수 복수 단수 양수 복수 1 tās-mi tās-vaḥ tās-maḥ tāhe tās-vahe tās-mahe 2 tās-i tās-thaḥ tās-tha tās-e tās-āthe tādhve 3 tā tārau tāraḥ tā tārau tāraḥ tās + 인칭어미 kar-tās-mi( 나는할것이다 ), kar-tās-vaḥ( 우리둘은할것이다 ), kar-tās-maḥ( 우리들은할것이다 ). Katre, S.M.(1989) p. 189 참조. 19) 파니니규칙 (2.4.85) 에제시된복합미래 3 인칭어미 ḍā( 단수 ), rau( 양수 ), ras( 복수 ) 가아래에제시된어미활용표에일치하지않는점이있다. 그것은아래에제시된어미형태가파니니의연성규칙들이적용된것들이기때문이다. 동사 kṛ( 하다 ) 를예로들면다음과같다. 파니니규칙 (3.1.33) 에따르면 kṛ + tās + ḍā 가복합미래 3 인칭단수의기본형태가된다. 그러나파니니규칙 6.4.143(ṭeḥ) 에따르면 ḍ 를갖는어미앞에서마지막모음은뒤따르는자음이어떤것이든이것과함께생략된다. 이규칙을적용하면복합미래 3 인칭단수는 kar + t + ā kar-t-ā ( 그는할것이다 ) 로된다. 반면 3 인칭양수와복수의경우는 kṛ + tās + rau(ras) 가기본형태이다. 여기에파니니규칙 1.1.55(an-ekā-l śit-sarvasya) 가적용되어어간의 s 가탈락하고, 규칙 7.4.51(r-i ca) 에따라그자리를어미의 r 가대신한다. 따라서 kar + tā + rau(ras) kar-tā-rau(ras)( 그들둘은할것이다, 그들은할것이다 ) 의형태로된다. ibid., p. 179 참조. 20) Ātmanepada 1 인칭단수어미 (tāhe) 는기본형태 tās + te 에, 2 인칭복수어미 (tādhve) 는기본형태 tās + dhve 에연성법칙이적용된것이다.

62 印度哲學제 27 집 3.2.1. 일반적규칙 (1 2 인칭의경우, P., 3.1.33) 규칙은복합미래어미활용의일반적규칙을언급한다. 규칙에서 복합미래어미는 tāsi이다 라고규정한다. 여기서 tāsi는어미 tās와단모음 i가결합된형태이다. 단모음 i는아누반다 (anubandha, 어근등에결합하여그것의기능과특성을나타내는부호 ) 21) 의하나로서어근의비음이복합미래어미 (tās) 앞에서탈락하지않는다는것을지시하는역할을한다. 예를들어어근에비음이있는동사 man( 생각한다 ) 과 saṁ gam( 만나다 ) 의 3인칭단수의경우, 복합미래어미앞에있는비음이그대로남아있는형태 mantā( 그는생각할것이다 ) 와 saṁgantā( 그는만날것이다 ) 로활용된다. 이것은내연성의경우어근의비음이자음으로시작하는접미사앞에서탈락하는경우가많다는것에대한예외규칙이다. 22) 1) 규칙단순미래 (ḷṭ) 와조건법에 (ḷṅ) 의 [ 어미는 ] sya이며, 복합미래의 [ 어미는 ] tāsi이다. (sya-tāsī ḷ-lūṭoḥ//) 2) 주석 21) 아누반다 (anubandha, 黙字 ) 는파니니문법에서중요한역할을함에도불구하고, 파니니가직접사용했던문법용어는아니다. 파니니는그것에해당하는것들을 it( 어근에붙는지시음소또는글자 ) 라는문법용어로표현하였다. 동사 anu bandh( 붙이다. 묶다 ) 에서파생된아누반다는문자적으로는 ~ 에붙여지는것 이라는의미이다. 파니니의주석가들에의해사용되기시작한이용어는어간 (prakṛti), 어미 (pratyaya), 접두모음 (āgama), 대용어형 (ādeśa, 예를들면, 반설음 ṣ 가齒音 s 의대용되는경우이다 ) 에첨가되어특정한문법적운용을지시하는역할을한다. 그러나그것들은단어가형성되는과정에서탈락된다. Bevasthali, G.V.(1967) pp. 1f. 22) 直四郞辻 (2005) p. 27 참조.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63 ḷ는 [ 단순미래와조건법의 ] 아누반다를축약한것으로하나가 [ 그것들에 ] 공통으로사용되는형태이다. 그것과복합미래를 [ 만들때 ] 어근다음에순차적으로상응하여열거되는 (yathā-saṁkhya) sya와 tāsi가 [ 각각의 ] 어미로된다. (ḷ-rūpam utsṛṣṭānubandhaṁ sāmānyam ekam eva/ tasmin luṭi ca parato dhātor yathā-saṁkhya-sya-tāsī pratyayau bhavataḥ //) 3) 복주 ḷ는 [ 단순미래와조건법의 ] 아누반다를축약한것으로하나가 [ 그것들에 ] 공통으로사용되는형태이다. 그것과복합미래를 [ 만들때 ] 어근다음에오는어미는순차적으로 sya와 tāsi이다. kariṣyati( 단순미래, 그는할것이다 ), akariṣyat( 조건법, 그가한다면 ), śvaḥ kartā( 복합미래, 내일그는할것이다 ). [ 어미 tāsi에 ] 단모음 i가있는이유는 [ 어근의 ] 비음이탈락되지않는것 을지시한다. 23) mantā( 그는생각할것이다 ), saṁgantā( 그는만날것이다 ). 24) 3.2.2. 예외규칙 (3 인칭의경우, P., 2.4.85) 규칙은 1 2인칭의복합미래에서 as동사가사용되는것과는달리 3인칭의경우 ḍā( 단수 ), rau( 양수 ), ras( 복수 ) 가 Parasmaipada 와 Ātmanepada 에대해동일하게어미로사용된다는예외규칙을 23) 단모음 i 는아누반다 (anubandha) 의하나로, 어근끝에올경우에는어미 (pratyaya) 앞에비음 (āgama num) 을갖는다는것을의미한다. 예를들면, kuḍi 의경우어근 kuḍ 가 tṛ, tum, tavya, ā 등과결합할때 kuṇḍitṛ, kuṇḍitum, kuṇḍitavya, kuṇḍā(p., 7.1.58) 등으로된다는것을지시한다. 본규칙에대한주석에서카쉬카 (Kāśikā) 는 tāsi 를어미 tās 에아누반다 i 가붙은것으로규정하고그것이비음의탈락을막는역할을한다고주석하고있다. Bevasthali, G.V.(1967) pp. 51f. 24) ḷ-rūpam utsṛṣṭānubandhaṃ sāmānyam ekam eva/ tasmin luṭi ca parato dhātor yathā-saṅkhyaṃ sya-tāsī pratyayau bhavataḥ/ kariṣyati/ akariṣyat/ śvaḥ kartā/ idit-karaṇam anunāsikalopa-pratiṣedha-artham/ mantā/ saṁgantā//vārtti., 3.1.33//

64 印度哲學제 27 집 언급한다. 1) 규칙 복합미래의 3인칭어미는 [ 각각 ] ḍā, rau, ras이다. (luṭaḥ prathamasya ḍā-rau-rasaḥ//) 2) 주석 3인칭의복합미래 [ 어미의 ] 대용어는 Parasmaipada와 Ātmanepada 에대해동일하게 ḍā, rau, ras이다. 그것들은순차적으로상응하여열거되면서대용어가된다. (luḍ-ādeśasya prathama-puruṣasya parasmaipadsyātmanepadasya ca ḍā rau rasety ete ādeśā bhavanti yathāsaṁkhyam//) 3) 복주 3인칭의복합미래 [ 어미의 ] 대용어는 Parasmaipada와 Ātmanepada 에대해동일하게 ḍā, rau, ras이다. 그것들은대용어가된다. kartā( 그는할것이다 ), kartārau( 그둘은할것이다 ), kartāraḥ( 그들은할것이다 ). Ātmanepada 의경우는 adhyetā( 그는읽을것이다 ), adhyetārau( 그둘은읽을것이다 ), adhyetāraḥ( 그들은읽을것이다 ). 왜 3인칭 이라고말하는가? [1 2인칭에서는] śvaḥ kartāsi( 내일너는할것이다 ), śvo 'dhyetāse( 내일너는읽을것이다 )[ 와같이활용되기때문이다.] 25) 3.2.3. 어근 kḷp 에대한규칙 (P., 1.3.93) 파니니는어근 kḷp( 성공하다 ) 의실례를통해, 복합미래어미에있어서임의적으로 Parasmaipada 활용이사용될수있음을설 25) luḍ-ādeśasya prathamapuruṣasya prasmaipadasya ātmanepadasya ca yathākramam ḍā rau ras ity ete ādeśā bhavanti/ kartā, kartārau, kartāraḥ/ ātmanepadasya adhyetā, adhyetārau, adhyetāraḥ/ prathamasya iti kim/ śvaḥ kartāsi/ śvo 'dhyetāse//vārtti., 2.4.85//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65 명한다. 따라서복합미래는 kalptā( 그는성공할것이다 ), kalptārau ( 그둘은성공할것이다 ), kalpatāraḥ( 그들은성공할것이다 ) 와같이활용된다. 1) 규칙 그리고동사 kḷp의복합미래어미도 [ 위와같다.] (luṭi ca kḷpaḥ//) 2) 주석 동사 kḷp에는단순미래어미 (sya) 또는의욕활용어미 (san) 에뿐아니라, 복합미래어미에도임의적으로 Parasmaipada [ 활용이 ] 사용된다. (luṭi ca sya-sanoś ca kḷpe parasmaipadaṁ vā bhavati//) 3) 복주 [ 앞규칙 (P., 1.3.92) 에서언급된 ] 동사 vṛt( 돌다 ) 로시작하는것들에속하는 [ 동사 kḷp의경우 ] 단순미래어미또는의욕활용어미에뿐아니라, 복합미래어미에도兩者 (Parasmaipada와 Ātmanepada) 의활용이합당하게사용된다. 규칙에삽입된불변화사 ca( 그리고 ) 는단순미래어미와의욕활용어미에대한앞규칙이 [ 이규칙에도 ] 적용된다는것 (anukarṣaṇārtha) 을말할필요없게한다. 이와같은방식으로이규칙이앞의규칙과교체된다. 그러므로불변화사 ca는단순미래어미와의욕활용어미에대한앞규칙이 [ 복합미래에도 ] 적용된다는것을나타내는역할을한다. [ 따라서 ] 동사 kḷp의경우단순미래어미또는의욕활용어미에뿐아니라, 복합미래어미에도임의적으로 Parasmaipada [ 활용이 ] 사용된다. [ 복합미래는 ] kalptā( 그는성공할것이다 ), kalptārau( 그둘은성공할것이다 ), kalpatāraḥ( 그들은성공할것이다 ), [ 단순미래는 ] kalpasyati( 그는성공할것이다 ), [ 조건법은 ] akalpsyat( 그가성공하면 ), [ 의욕활용은 ] cikḷpsati( 그는반드시성공할것이다 ) 이다. [Ātmanepada의경우복합미래는 ] kalitā, [ 단순미래는 ] kalpiśyate, [ 조건법은 ] akalpiśyata, [ 의욕활용은 ] cikalpiśate이다. 26) 26) vṛtāditvād eva sya-sanor vikalpaḥ siddho luṭi vidhīyate/ ca-kāras tarhi sya-sanor anukarṣaṇārtho na vaktavyaḥ, evaṃ tarhi iyaṃ

66 印度哲學제 27 집 3.3. 악센트에관한규칙 (P., 8.1.29) 이규칙은 정형동사가아닌동사가앞에올때, [ 정형동사에 ] 악센트가오지않는다 (tiṅa-tiṅaḥ) 는앞규칙 (8.1.28) 의적용범위를한정한다. 복합미래어미의경우, 앞규칙에대한예외이다. 따라서 śvaḥ kartā( 그는내일할것이다 ) 에서와같이 kartā( 할것이다 ) 의마지막모음 ā에악센트가온다. 1) 규칙 [ 정형동사가아닌단어가앞에올때도 ] 복합미래에는 [ 악센트가오지않는것은 ] 아니다. (na luṭ//) 2) 주석 [ 이것은 ] 앞규칙이지나치게 [ 광범위하게 ] 적용되는것을한정한다. [ 정형동사가아닌단어가앞에올때도 ] 복합미래어미에는 [ 앞규칙의경우처럼 ] 악센트가오지않는것은아니다. (pūrveṇātiprasakte pratiṣedha ārabhyate/ luḍ-antaṁ nānudāttaṁ bhavati//) 3) 복주 [ 이것은 ] 앞규칙이지나치게 [ 광범위하게 ] 적용되는것을한정한다. [ 정형동사가아닌단어가앞에올때도 ] 복합미래어미에는 [ 앞규칙의경우처럼 ] 악센트가오지않는것은아니다. śvaḥ kartā( 그는내일할것이다 ), śvaḥ kartārau( 그둘은내일할것이다 ), māsena kartāraḥ ( 그들은이달내에할것이다 ). 규칙 6.1.186에의해이전에 [ 언급된 ] 것 ( 복합미래표식 (tāsi) 다음에오는인칭어미와그대용어형 ) 이全語 prāptiḥ pūrvāṃ prāptiṃ bādheta, tasmāc ca-kāraḥ sya-sanor anukarṣaṇārthaḥ kriyate/ luṭi ca sya-sanoś ca kḷpeḥ parasmaipadaṃ vā bhavati/ kalptā, kalptārau, kalptāraḥ/ kalpsyati/ akalpsyat/ cikḷpsati/ kalpitā/ kalpiśyate/ akalpiśyata/ cikalpiśate//vārtti., 1.3.93//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67 根語尾 (lasārvadhātuka 27) ) 일경우에는악센트가오지않지만, 모든복합미래어미 (tās) 에는악센트가온다 (3.1.3 28) ). 마지막모음으로시작하는부분 (ṭi) 29) 이탈락하는곳, 그곳에서는모음생략에의해악센트가오게된다 (6.1. 161 30) ). 31) 3.4. 복합미래가사용되지않는경우 3.4.1. Kṣipra( 즉각적으로 ) 라는단어가올때 (P., 3.3.133) 파니니는규칙 3.3.133과 135-138에서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표현할때라도복합미래가아니라단순미래가사용되어야하는경우를명시한다. 규칙에따르면 kṣipra( 즉각적으로 ) 또는그동의어들이함께사용될때는단순미래가사용된다. kṣipra의동의어로는 śīghra, āśu, tvarita 등이있다. 복주의실례에서 kṣipram과함께사용된동사들은조건문과귀결문에서모두단순미래활용, 즉 27) 全語根語尾 (sārvadhātuka) 는인칭어미 (tiṅ) 와 [ 아누반다로 ] ś 음소를지닌어미이다. (tiṅ-śit-sārvadhātukam, P., 3.4.113) 아누반다 ś 음소는 ādeśa ( 代用語形 ), vikaraṇa( 어근과접미사사이에삽입되는접사또는활용특성을나타내는용어 ), kṛt(1 차어미, 1 차後接詞 ), sup( 격변화어미 ), tiṅ( 인칭어미 ) 등과함께사용된다. 이규칙은 kṛt 어미의경우에해당하는것으로, 아누반다 ś 은 kṛt 어미가全語根語尾 (sārvadhātuka) 에속한다는것을지시한다. Cf. Bevasthali, G.V.(1967) p. 154. 28) [ 동사어간또는명사어간다음에오는 ] 어미에는첫음절에악센트가온다. (ādy-udāttaś-ca) 29) [ 단어에서 ] 마지막모음으로시작하는부분은 ṭi 이다. (aco nty-ādi ṭi. P., 1.1.64) 30) 악센트가오지않는음절도악센트음절이생략되었을경우악센트가온다. (anudāttasya ca yatrodātta-lopaḥ) 31) pūrveṇātiprasakte pratiṣedha ārabhyate/ luḍ-antaṃ nānudāttaṃ bhavati/ śvaḥ kartā/ śvaḥ kartārau/ māsena kartāraḥ/ tāseḥ parasya la-sārvadhātukasya anudāttatve sati sarva-tāsir eva udāttaḥ/ yatra tu ṭi-lopaḥ, tatra udātta-nivṛtti-svaro bhavati//vārtti., 8.1.29//

68 印度哲學제 27 집 āgamiṣyati( 그가올것이다 ) 와 adhyeṣyāmahe( 우리는배울것이다 ) 가사용된다. 이문장에 kṣipram 이없다면귀결문에 adhyetāsmaḥ 가사용되는것이규칙이다. 1) 규칙 kṣipra( 즉각적으로 ) 와같은뜻을지닌단어가올때단순미래가 [ 사용된다.] (kṣipra-vacane ḷṭ//) 2) 주석단어 kṣipra 또는그것의동의어와함께구문되면서, 희망을표현하는것들의어근에단순미래어미가사용된다. (kṣipra-vacana upapade āśaṁsāyāṁ gamyamānāyāṁ dhātoḥ ḷṭ pratyayo bhavati//) 3) 복주 희망을표현하는것들에대해 다음과같다. [ 즉 ], 단어 kṣipra 또는그것의동의어와함께구문되면서, 희망을표현하는 [ 동사들의 ] 어근에단순미래어미가붙는다. 그리고과거시제가 [ 사용가능하다 ] (bhūtavac ca, P., 3.3.132) 는것에대해이것은예외이다. upādhyāyaś cet kṣipram āgamiṣyati, kṣipraṃ vyākaraṇam adhyeṣyāmahe( 선생님이금방오게되면, 우리는곧문법을배우게될것이다 ) 라는구문에서 vacana( 의미하는단어 ) 라는용어는동의어라는뜻을포함한다. kṣipram adhyeṣyāmahe( 우리는곧배우게될것이다 ). 32) 32) āśaṃsāyām ity eva/ kṣipra-vacana upapade āśaṃsāyāṃ gamyamānāyāṃ dhātoḥ ḷṭ pratyayo bhavati/ bhūtavac ca ity asya ayam apavādaḥ/ upādhyāyaś cet kṣipram āgamiṣyati, kṣipraṃ vyākaraṇam adhyeṣyāmahe/ vacana-grahaṇaṃ paryāya-artham/ kṣipram, śīghram, āśu, tvaritam, adhyeṣyāmahe/ na iti vaktavye ḷḍ-grahaṇaṃ luṭo 'pi viṣaye yathā syāt/ śvaḥ kṣipram adhyeṣyamahe//vārtti., 3.3.133//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69 3.4.2. 행위가연속되는경우 (P., 3.3.135) 규칙은 오늘발생하지않은과거와오늘발생하지않는미래에대하여각각반과거 (laṅ) 와복합미래가사용된다 는규칙에대한예외규정이다. 즉, 행위의연속과행위들의근접성을표현할경우 는오늘발생하지않는것이라도반과거와복합미래가아니라아오리스트와단순미래를사용한다. 여기서 행위의연속 은계속적으로행해지는것을, 행위들의근접성 은동일한종류에속하는행위들이규칙적으로반복하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실례에서일생동안아이들을가르쳐왔다는것을표현하기위해반과거 (adhyait, 가르쳤다 ) 대신아오리스트 (adhyāpipat) 가사용된다. 그리고미래는복합미래 (adhyetā) 대신단순미래 (adhyāpayiṣyati) 가사용된다. 그리고행위들의근접성에대한실례에서위자태반과거 (ādhatta, ayajata, adatta, 봉헌했다 ) 대신위자태아오리스트 (ādhita, ayaṣṭa, adita) 가사용된다. 그리고미래는복합미래 (ādhātā, yaṣṭā, dātā) 대신단순미래 (ādhāsyate, yakṣyate, dāsyate) 가사용된다. 1) 규칙행위의중단없는연속 (kriyā-prabandha) 과 [ 행위들의 ] 근접성 (sāmī pya) 을 [ 표현할경우 ] 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 (anadyatana) 표현하는 [ 복합미래 ] 를사용하지않는다. (na anadyatanavat kriyā-prabandha-sāmīpyayoḥ//) 2) 주석행위의중단없는연속과 [ 행위들의 ] 근접성을 [ 표현할경우 ] 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표현하는 [ 복합미래 ] 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다. (anadyatan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kriyā-prabandhe sāmīpye ca gamyamāne//)

70 印度哲學제 27 집 3) 복주오늘발생하지않은과거와오늘발생하지않는미래에대하여각각반과거와복합미래가사용된다는것이규칙이다. 이 [ 규칙은 ] 그것을부정한다. [ 즉 ], 행위의중단없는연속과 [ 행위들의 ] 근접성을 [ 표현할경우 ] 오늘발생하지않는것을표현하는 [ 복합미래 ] 어미법칙이적용되지않는다. 행위의중단없는연속 이라는말은 계속적으로행하는것 (sātatyena anuṣṭhāna) 을뜻한다. 시간의 근접성 은 같은종류에속하는것으로중단이없는것 (tuyajātīyena avyavadhāna) 을뜻한다. [ 다음과같은실례가있다.] yāvaj jīvaṃ bhṛśam annam adāt( 그는일생동안계속해서음식을주었다. 아오리스트 ), bhṛśam annaṃ dāsyati( 그는계속해서음식을줄것이다. 단순미래 ), yāvaj jīvaṃ putrān adhyāpipat( 그는일생동안아이들을가르쳐왔었다. 아오리스트 ), yāvaj jīvam adhyāpayiṣyati( 그는일생동안가르칠것이다. 단순미래 ). 근접성 의경우는다음과같다. yeyaṃ paurṇa-māsy atikrāntā, etasyām upādhyāyo 'gnīnādhita, somenāyaṣṭa, gām adita( 滿月에스승은불을봉헌하고, 소마를봉헌하고, 소를봉헌했다. 아오리스트 ) yeyam amāvāsyāgāminī, etasyām upādhyāyo 'gnīnādhāsyate, somena yakṣyate, sa gāṃ dāsyate( 초승달이뜨면스승은불을봉헌할것이고, 소마를봉헌할것이고, 소를봉헌할것이다. 단순미래 ) [ena avyava는 [ 시점을표현하는것 ] 이 [ 사용되지 ] 않는다 (na anadyatana)] 라고이중부정하는것은그와같이 [ 단순미래를사용하는것이 ] 합당하다는것을인정하기위한것이다. 33) 33) bhūtānadyatane bhaviṣyadanadyatane ca laṅ-luṭau vihitau, Ṵau r ayaṃ pratiṣeca vi anadyatan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kriyā-prabandhe sāmīpye ca gamyamāne/ kriyāṇāṃ atane ca ḥ sātatyenānuṣṭhānam/ kālānāṃ aṅ-luṭaṃ tulyajātīyenāvyavadhānam/ yāvaj jīvaṃ bhṛśam annam adāt/ bhṛśam annaṃ dāsyati/ yāvaj jīvaṃ putrān adhyāpipat/ yāvaj jīvam adhyāpayiṣyati/ sāmīpye ka lv api yeyaṃ paurṇa-māsy atikrāntā, etasyām upādhyāyo 'gnīnādhita, somenāyaṣṭa, gām adita/ yeyam amāvāsyāgāminī, etasyām upādhyāyo 'gnīnādhāsyate, somena yakṣyate, sa gāṃ dāsyate/ dvau pratiṣeca u yathā prāptasya abhyanujñāpanāya//vārtti., 3.3.135//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71 3.4.3. 이쪽 (avara) 에대한경계 34) 또는그동의어가사용되는경우 (P., 3.3.136) 파니니는 복합미래가사용되어야할경우일지라도행위의연속과행위들의근접성을표현하는경우단순미래를사용한다 는예외규정에이어서, 행위가연속되지않는경우라도, 이쪽 (avara) 의경계를나타내는단어, 또는그동의어가사용될경우는단순미래가사용된다는예외규정을명시한다. 복주의실례에서복합미래활용 bhoktāsmahe( 우리는먹을것이다 ), pātāsmaḥ( 우리는마실것이다 ) 대신단순미래활용 (bhokṣyāmahe, pāsyāmaḥ) 이사용된다. 앞규칙과의차이는반과거의경우아오리스트활용으로대신할수없다는것이다. 따라서실례에서반과거활용 adhyaimahi( 우리는나아갔다 ), abhuñjmahi ( 우리는먹었다 ), apibāma( 우리는마셨다 ) 가그대로사용된다. 복주는이와같은실례에덧붙여서미래가아닌경우, 경계를나타내는단어가없는경우, 이쪽 (avara) 이아닌경우의실례들을제시하면서규칙의의미를명확히밝힌다. 미래가아닌경우는, 예문에규칙의조건인 avara가있지만, 언급되는사건이 과거 이기때문에, 단순미래가아닌반과거 (adhyaimahi, abhuñjmahi, apibāma) 가사용된다. 경계를나타내는단어가없는경우는, 예문에규칙의조건인 avara가있지만, 경계를나타내는단어가아니라, 경계를알수없는단어 niravadhika( 제한이없는, 영원한, 무궁한 ) 가나오기때 34) 여기서 avara( 이쪽 ) 은 para( 저쪽 ) 의반대어로사용되고있는데, 이것은화자가발설하는시점과장소에밀접한관계가있다. 따라서 avara 에대한경계 는화자가발설하는시점으로부터미래의어떤시기까지의경계, 또는화자가발설하고있는장소로부터떨어진어떤장소까지의경계를의미한다. 반면 para 에대한경계 는화자가발설하는시점보다미래의어떤시점으로부터또다른미래의시기까지의경계, 또는화자가발설하고있는장소로부터떨어진어떤장소로부터또다른장소까지의경계를의미한다.

72 印度哲學제 27 집 문에, 단순미래가아닌복합미래 (bhoktāsmahe, pātāsmaḥ) 가사용된다. 이쪽 이아닌경우는, 예문에경계를나타내는단어는나오지만, 규칙의조건인 avara 대신 para( 저쪽 ) 가나오기때문에, 단순미래가아닌복합미래 (bhoktāsmahe, pātāsmaḥ) 가사용되었다. P., 3.1.138 규칙에따르면문장이 para와함께구문되는경우는단순미래와복합미래가선택적으로사용될수있다. 1) 규칙이쪽 (avara) 에대한경계를나타내는단어또는그동의어가사용될때단순미래가 [ 사용된다.] (bhaviṣyati maryādā-vacane 'varasmin//) 2) 주석떨어진장소에대해이쪽의경계를나타내는단어또는그동의어가사용될때미래시점에대해서오늘발생하지않는 [ 사건을표현하는것 ]( 복합미래 ) 의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다. (bhaviṣyati kāle maryādā-vacane 'varasmin pravibhāge 'nadyatan 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3) 복주 오늘발생하지않는 [ 사건을표현하는것 ] 이 [ 사용되지 ] 않는다 (na anadyatana) 라는문구는 [ 여기서도 ] 유효하다. [ 그러나 ] 행위의중단없는연속을표현하지도않고, [ 행위들의 ] 근접성을표현하지도않는다. 구분된장소에대해이쪽의경계를나타내는단어또는그동의어가사용될때미래시점은오늘발생하지않는 [ 사건을표현하는것 ] 의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다. yo 'yam adhvā gantavya ā-pāṭa liputrāt, tasya yad avaraṃ kauśāmbyāḥ, tatra dvir-odanaṃ bhokṣyā mahe, tatra saktūn pāsyāmaḥ( 파탈리푸트라로부터이길을걸어서, [ 길의 ] 끝인코삼비로향해가는우리들은그곳에서 [ 하루 ] 두번쌀죽을먹을것이다. 그곳에서사크투 (saktu) 를마실것이다 ). 왜 미래 [ 만적용된다 ] 고하는가? [ 다음문장을보라.] yo 'yam adhvā gataḥ ā-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73 pāṭaliputrāt, tasya yad avaraṃ kauśāmbyāḥ, tatra yuktā adhyaimahi, tatra dvir-odanam abhuñjmahi, tatra saktūn apibāma( 파탈리푸트라로부터이길을걸어서, [ 길의 ] 끝인코삼비로향했던우리들은그곳으로함께가면서, [ 하루 ] 두번쌀죽을먹었고, 그곳에서사크투를마셨다 ). 왜 경계를나타내는단어또는그동의어 [ 가있는경우만적용된다 ] 고하는가? [ 다음문장을보라.] yo 'yam adhvā niravadhiko gantavyaḥ, tasya yad avaraṃ kauśāmbyāḥ, tatra dvir-odanaṃ bhokt āsmahe, saktūn pātāsmaḥ( 시작을알수없는이길을걸으면서, 그길의끝인코삼비로향해가는우리들은, 그곳에서 [ 하루 ] 두번쌀죽을먹을것이다. 그곳에서사크투를마실것이다 ). 왜 이쪽 [ 의경우만적용된다 ] 라고하는가? [ 다음문장을보라.] yo 'yam adhvā gantavyaḥ ā-pāṭaliputrāt, tasya yat param kauśāmbyāḥ, tatra dvir-odanaṃ bho ktāsmahe, tatra saktūn pātāsmaḥ( 파탈리푸트라로부터이길을걸어서, 그것의반대편에있는코삼비로향해가는우리들은그곳에서 [ 하루 ] 두번쌀죽을먹을것이다. 그곳에서사크투를마실것이다 ). 이규칙에서경계는지역적인것을의미한다. 다음규칙은시간적것을설명한다. 그리고그곳에서 [ 일부 ] 특수한경우가언급될것이다. 35) 35) nānadyatanavat iti vartate/ akriya-prabandha-artham, asāmīpyārthaṃ ca vacanam/ bhaviṣyati kāle maryādā-vacane saty avarasmin pravibhāge 'nadyatan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yo 'yam adhvā gantavya ā-pāṭaliputrāt, tasya yad avaraṃ kauśāmbyāḥ, tatra dvir-odanaṃ bhokṣyāmahe, tatra saktūn pāsyāmaḥ/ bhaviṣyati iti kim/ yo 'yama dhvā gataḥ ā-pāṭaliputrāt, tasya yad avaraṃ kauśāmbyāḥ, tatra yuktā adhyaimahi, tatra dvir-odanam abhuñjmahi, tatra saktūn apibāma/ maryādā-vacane iti kim/ yo 'yam adhvā niravadhiko gantavyaḥ, tasya yad avaraṃ kauśāmbyāḥ, tatra dvir-odanaṃ bhoktāsmahe, saktūn pātāsmaḥ/ avarasmin iti kim/ yo 'yam adhvā gantavyaḥ ā-pāṭaliputrāt, tasya yat param kauśāmbyāḥ, tatra dvir-odanaṃ bhoktāsmahe, tatra saktūn pātāsmaḥ/ iha sūtre deśa-kṛtā maryādā, uttaratra kāla-kṛtā/ tatra ca viśeṣaṃ vakṣyati//vārtti., 3.3.136//

74 印度哲學제 27 집 3.4.4. 낮과밤을의미하는것이외의시간구분이올때 (P., 3.3.137) 규칙 3.3.137과 138은동일한문법내용을공간적인것과시간적인것을구분하여두규칙에나누어표현한것이다. 본규칙은낮과밤을표현하는것이아니면서, 화자가발설하는때로부터의 (avara) 시간적경계또는구분에관한단어와함께쓰일때단순미래가사용된다고규정한다. 복주의실례에서 올해가지나고, [ 다가오는 ] agrahāyaṇa달까지 라는표현이함께구문되는관계로복합미래 (adhetāsmahe, bhoktāsmahe) 대신단순미래 (adhyeṣyāmahe, bhokṣyāmahe) 가사용된다. 복주는낮과밤을표현하는세가지특수한실례도제시하면서규칙에서 낮과밤을표현하는것이아닌경우 라는구문의의미를밝힌다. 1) 규칙낮 (aho) 과밤 (rātra) 을표현하는것이아닐경우, 시간의구분 (kālavibhāga) 을표현할때는 [ 단순미래가사용된다.] (kāla-vihbhāge ca an-aho-rātrāṇām//) 2) 주석그것이낮과밤을표현하는것이아니면서, 떨어진 [ 시기에대해 ] 이쪽의시간적경계와구분하는 [ 단어가 ] 있다면, 미래시점에대해서오늘발생하지않는 [ 시점을표현하는것 ]( 복합미래 ) 의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다. (kāla-maryādā-vibhāge saty avarsmin pravibhāge bhaviṣyati kāle 'nadyatan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na ced aho- rātra-samba ndhī vibhāgas teṣāṁ ca vibhāge pratiṣedhaḥ//) 3) 복주 이쪽에대해경계를나타내는단어또는그동의어가사용될때단순미래가 [ 사용된다 ] 는규칙은 [ 여기서도 ] 유효하다. 그것이낮과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75 밤을표현하는것이아니면서, 떨어진 [ 시기에대해 ] 이쪽의시간적경계와구분하는 [ 단어가 ] 있다면, 미래시점에대해서오늘발생하지않는 [ 사건을표현하는것 ] 의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다. 이규칙은앞규칙에의해유효한것에낮과밤을제외한 [ 시간적경계 ] 에대해설명한다. 동일한문법내용을두규칙에구분하여표현한것 (yogavibhāga) 은다음문장들을위한것이다. yo 'yaṃ saṃvatsara āgāmī, ta tra yad av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ṣyāmahe, tatraudan aṃ bhokṣyāmahe( 올해가지나고, [ 다가오는 ] agrahāyaṇa달 ( 한해가시작되는달 ) 까지, 그곳에서우리는함께독경할것이다. 그곳에서우리는쌀죽을먹을것이다 ). [ 이것은 ] 미래 에만그렇다. [ 다음문장을보라.] yo 'yaṃ vatsaro 'tītaḥ, tasya yad av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aimahi, tatraudanam abhuñjamahi( 올해가끝났고, 그것의 agrahāyaṇa 달까지는우리는함께독경했다. 그곳에서우리는쌀죽을먹었다 ). 경계를나타내는단어, 또는그동의어 에만그렇다. [ 다음문장을보라.] yo 'yaṃ niravadhikaḥ kāla āgāmī, tasya yad av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tāsmahe, tatraudanaṃ bhoktāsmahe ( 알수없는시간이지나서, 그의 agrahāyaṇa 달까지, 그곳에서우리들을함께독경할것이다. 그곳에서는쌀죽을먹을것이다 ). 이쪽 에서만그렇다. 저쪽 (para) 의경우선택적임을 [ 다음규칙에서 ] 언급할것이다. 왜 낮과밤 이라고하는가? 세가지특수한실례가있다. yo 'yaṃ māsa āgāmī, tasya yo 'varaḥ pañca-daśa-rātraḥ( 이달이지나고, 그것의 15일밤까지는 ), [ 또는 ] yo 'yaṃ triṃśad-rātra āgāmī, tasya yo 'varo 'rdha-māsaḥ( 이 30일밤이지나고, 그것의달의반이 [ 지날때까지는 ]), [ 또는 ] yo 'yaṃ triṃśad-aho-rātra āgāmī, tasya yo 'varaḥ pañca-daśa-rātraḥ, tatra yuktā adhyetāsamahe, tatra saktūn pātāsmaḥ ( 이 30일밤 낮이지나고, 그것의 15일의밤까지, 그곳에서우리는함께독경할것이다. 그때까지사크투를마실것이다 ). [ 이와같이 ] 낮과밤을다루는모든경우는 [ 시간의구분을표현할경우라도단순미래가 ] 사용되지않는다. 36) 36) bhaviṣyati maryādā-vacane 'varasmin iti vartate/ kāla-maryādā-vibhāge saty avarsmin pravibhāge bhaviṣyati kāle 'nadyatan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na ced aho-rātra-sambandhī vibhāgaḥ, tais teṣāṃ ca vibhāge pratiṣedhaḥ/ pūrveṇaiva siddhe vacanam idam aho-rātra-niṣedha-artham/

76 印度哲學제 27 집 3.5. 복합미래가선택적으로사용되는경우 (P., 3.1.138) 앞두규칙이 이쪽 에관한규정이었다면, 본규칙은 저쪽 (para) 에관한규정이다. 파니니는저쪽의시간적경계를나타내는단어와함께구문될경우는단순미래와복합미래가선택적으로사용될수있다고규정한다. 주석과복주는낮과밤이아닌경우만, 미래의경우만, 경계를나타내는단어가있는경우만, 시간적구분에만이규칙이적용된다고밝힌다. 따라서과거시제와공간적구분의경우에는이규칙이적용되지않는다. 1) 규칙 저쪽 (para) 에대해서는 [ 단순미래와복합미래가 ] 선택적으로사용된다. (parasmin vibhāṣā//) 2) 주석낮과밤을표현하는구분이아니면서, 떨어진 [ 시기에대해 ] 저쪽의시간적경계와구분하는 [ 단어가 ] 있다면, 미래시점에대해서오늘발생하지않는 [ 시점을표현하는것 ]( 복합미래 ) 의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것은선택적인것이다. yoga-vibhāga uttarārthaḥ/ yo 'yaṃ saṃvatsara āgāmī, tatra yad av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ṣyāmahe, tatraudanaṃ bhokṣyāmahe/ bhaviṣyati ity eva/ yo 'yaṃ vatsaro 'tītaḥ, tasya yad av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aimahi, tatraudanam abhuñjamahi/ maryā-dāvacane ity eva/ yo 'yaṃ niravadhikaḥ kāla āgāmī, tasya yad av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tāsmahe, tatraudanaṃ bhoktāsmahe/ avarasmin ity eva/ parasmin vibhāṣāṃ vakṣyati/ aho-rātrāṇām iti kim/ trividham udāharaṇam/ yo 'yaṃ māsa āgāmī, tasya yo 'varaḥ pañca-daśa-rātraḥ, yo 'yaṃ triṃśad-rātra āgāmī, tasya yo 'varo 'rdha-māsaḥ, yo 'yaṃ triṃśad-aho-rātra āgāmī, tasya yo 'varaḥ pañcadaśa-rātraḥ, tatra yuktā adhyetāsamahe, tatra saktūn pātāsmaḥ/ sarvathā aho-rātra-sparśe pratiṣedhaḥ//vārtti., 3.3.137//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77 (kāla-maryādā-vibhāge sati bhaviṣyati kāle parasmin pravibhāge vibhāṣā anadyatanavat pratiya-vidhir na bhavati, na ced aho-rātrasambandhī pravibhāgaḥ//) 3) 복주 [ 이규칙은 ] 경계를나타내는단어, 또는그동의어가사용될때, 그리고낮과밤이아닌시간의구분에대한미래 에대한모든것을다룬다. 낮과밤을표현하는구분이아니면서, 떨어진 [ 시기에대해 ] 저쪽 [ 으로부터의 ] 시간적경계와구분하는 [ 단어가 ] 있다면, 미래시점에대해서오늘발생하지않는 [ 사건을표현하는것 ]( 복합미래 ) 의어미규칙이적용되지않는것은선택적이다. 우선적으로 이쪽 이라는단어가없는경우를다룬다. 앞에서 이쪽 이라는 [ 단어가있는경우복합미래가 ] 적용되지않는다고언급했다. 반대로 저쪽 이라는 [ 단어가 ] 온다면임의적이라고말했다. yo 'yaṃ saṃvatsara āgāmī, tasya yat p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ṣyāmahe( 또는 adhyetāsmahe), tatra saktūn pāsyāmaḥ( 또는 tatra saktūn pātāsmaḥ)( 올해가지나고, 그다음에 agrahāyaṇa 달까지, 그곳에서우리는함께독경할것이다. 그곳에서우리는함께사크투를말실것이다 ). 낮과밤이아닌경우 에만그렇다. [ 다음문장을보라.] yo 'yaṃ triṃśad-rātra āgāmī, tasya yaḥ paraḥ pañcadaśa-rātraḥ, tatra yuktā adhyetāsmahe, tatra saktūn pātāsmaḥ( 이 30일밤 낮이지나고, 그다음에 15일의밤까지, 그곳에서우리는함께독경할것이다. 그곳에서우리는사크투를마실것이다 ). 미래 의경우만그렇다. [ 다음문장을보라.] yo 'yaṃ saṃvatsaro 'tītaḥ, tasya yat p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aimahi, tatrau danam abhuñjmahi( 올해가지나갔고, 그다음에 agrahāyaṇa 달까지, 그곳에서우리는함께독경했고, 그곳에서우리는쌀죽을먹었다 ). 경계를나타내는단어또는그동의어 에만그렇다. [ 다음문장을보라.] yo 'yaṃ saṃvatsaro niravadhikaḥ kāla agāmī, tasya yat p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tāsmahe, tatra saktūn pātāsmaḥ( 올해가알수없는시간만큼흘러갔고, 그다음에 agrahāyaṇa 달까지, 그곳에서우리들은함께독경할것이다. 그곳에서우리들은사크투를마실것이다 ). 시간의구분 에만그렇다. [ 다음의문장을보라.] yo 'yam adhvā gantavya ā-pāṭaliputrāt, tasya yat paraṃ kauśāmbyāḥ, tatra yuktā adhyetāsmahe, odanaṃ bhoktāsmahe( 파탈리푸트라로부터이길을걸

78 印度哲學제 27 집 어서, 그것의반대편에있는저편의코삼비로향해가는우리들은그곳에서함께독경을할것이다, 우리는쌀죽을먹을것이다 ). 위에서언급한것이오늘발생하지않는 [ 시점을표현하는것 ] 어미의모든경우들이다. 37) Ⅳ. 복합미래의용례구분 4.1. 시기를확정하는전치사와함께사용하는경우 복합미래는오늘이아닌미래시점또는어느정도확정된시기에발생될것을표현하는데사용된다. 아래실례들에서복합미래는 prātar( 내일 ), śvas( 다음날 ), prabhāte( 새벽에, 아침에 ), ṣaṇmāṣan(6 개월동안 ) 등의단어들과함께사용된다. 38) 예를들면, 37) bhaviṣyati maryādā-vacane kāla-vibhāge ca an-aho-rātrāṇām iti sarvam anuvartate/ kāla-maryādā-vibhāge sati bhaviṣyati kāle parasmin pravibhāge vibhāṣā anadyatanavat pratyaya-vidhir na bhavati, na ced aho-rātra-sambandhī pravibhāgaḥ/ avarasmin varjaṃ pūrvam anuvartate/ avarasmin pūrveṇa pratiṣedha uktaḥ, samprati parasminn aprāpta eva vikalpa ucyate/ yo 'yaṃ saṃvatsarāpta eva vikalpa t p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ā adhyeṣyāmahe, adhyetāsmahe, tatra saktūn pāsyāmaḥ, tatra saktūn pātāsmaḥ/ an-aho-rātrāṇām ity eva/amprati parasminn aprāpta eva vikalpa ucyate/ yo 'yaṃ saṃvatsarāpta eva vikalpa t p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ukt/ bhaviṣyati ity eva/amprati pminn aprāpta eva vikalpa ucyate/ yo 'yaṃ saṃvatsarāpta eva vikalpa t param āgrahāyaṇyāḥ tatra y/ maryādā-vacane ity eva/amprati pminn aprāptaryādā-vacane ity eva/amprati pminn aprāptaryādā-vacane ity eva/amprati pminn aprāptaryādā-vacane ity / kāla-vibhāge ity eva/ yo 'yam adhvā gantavya ā-pāṭaliputrāt, tasya yat paraṃ kauśāmbyāḥ, tatra yuktā adhyetāsmahe, odanaṃ bhoktāsmahe/ iti sarvatra anadyatanavat pratyayā udāhāryāḥ//vārtti., 3.3.138//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79 아래의구문에서깨어나는시점을표현하는 ṣaṇ-māsān(6개월동안 ) 은복합미래 (śayitā) 와함께사용되고단순히기간을나타내는 ekāham( 하루동안 ) 은단순미래 (jāgariṣyati) 와함께사용된다. śayitā hy eṣa ṣaṇ-māsān ekāhaṃ jāgariṣyati(r., 6.61.28): 왜냐하면이사람은 6개월동안잠들었다가, 하루동안깨어날것이기때문이다. 아래에보다많은실례들이있다. sudhanvānaṁ ca māṁ caiva prātar draṣṭāsi saṅgatau(mhbh., 5.35. 9): 그대는내일아침수단반과나를함께볼것이다. iha rāmaḥ prabhāte śvo bhaviteti matir mama(mhbh., 5.175.13): 내일새벽에는라마가이곳에있을것 을나는믿는다. śvas tu gantāsi taṃ deśaṃ vasādya saha mantribhiḥ(r., 2.90.23): 그래서너는내일그곳 (citrakūṭa) 으로가야만한다. 오늘은 [ 이곳에서 ] 대신들과함께머물러라. yauvarājye niyoktāsmi prātaḥ puruṣa-puṅgavam(r., 2.2.12): 내일아침나는왕위계승식에서사람들의우두머리가될것이다. śvo nihantāsmi rāmaṁ lokasya paśyataḥ(r., 6.93.5): 내일나는세상 [ 사람들이 ] 보는앞에서라마를죽일것이다. 4.2. 당위 (~해야만한다 ) 와미래의사실 (~가성취될것이다 ) 을예견하는경우 복합미래는제사를바치게되면발생하게될당연한결과를표현할때자주사용된다. 그밖에도당연히 ~해야만한다 ( 당위 ) 는것을표현할때, 그리고당연히 ~성취될것이다 ( 예견 ) 는것을표현할때복합미래가사용된다. 따라서제사를바치게되면 38) Meenakshi(1983) p. 169.

80 印度哲學제 27 집 발생하게될당연한결과를표현할때자주사용되었다. 예를들면, 아래의구문에서 na bubhūṣatā는올바로살기를원하는사람이라면누구나따라야하는당위를나타낸다. śiṣyasyāśiṣyavṛttes tu na kṣantavyaṃ bubhūṣatā(mhbh., 1.79. 9): 그러나올바로살기를원하는사람은그와같이못배운사람처럼행동하는학자를받아들여서는안된다. 그리고아래구문에서 upetāsthā는화자의지시에따라불위에기름을붓게되면제자가되는것이기정사실이라는의미를내포한다. khalu nvā ahaṃ vaiśvānaraṃ vedābhyādhatta samidha upetāstheti (ŚB., 10.6.1.3): 실로나는바이슈바나라를정확하게알고있다. 불위에기름을부어라. 너희들은 [ 나의 ] 제자가될것이다. 아래에보다많은실례들이있다. nakir asya sahantya paryetā kayasya cit, vājo asti śravāyyaḥ(ṛv., 1.27.8): 그에게이겨서승리할수있는사람은없을것이라고누구나생각한다. 그는아주위대한힘을지녔다. sa gantā gomati vraje(ṛv., 1.86.3): 그는외양간에소를많이가진부자가될것이다. tvaṃ soma tanūkṛdbhyo dveṣobhyo 'nyakṛtebhya uru yantāsi(śb., 3.6.3.7): 소마여! 당신은원수들의적의를지닌 [ 공격으로부터 ] 생명의수호자되실것입니다. abhisaṃsāraṃ didṛkṣitāraḥ(śb., 12.8.3.7): 사람들은함께달려가서는보게될것이다. agniṣ ṭe pādaṃ vaktā(ch. Up., 4.6.1): 아그니가 [ 너에게 ] 네번째부분을말할것이다. ete unmūlitāraḥ kapiketanena(kirātārjunīya, 3.22): 그들은아르쥬나에의해서멸망할것이다. 39)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81 khinnaḥ khinnaḥ śikhariṣu padaṃ nyasya gantāsi yatra (Meghadhūta, 1.13): 그곳에서힘들고지쳤을때언덕꼭대기에발을올려놓고서 [ 쉬어 ] 갈수있을거예요. 4.3. 맹세 (~ 를할것이다 ) 를하거나의지를표명하는경우 누군가가어떤행위를맹세할때복합미래가사용된다. 예를들면, 아래의구문에서 anuvaktāsmi는화자가사미데니를계속해서암송할것을맹세하는표현이다. sāmidhenīr anūcya brūyād udayanīya evāto 'nuvaktāsmīti(śb., 9. 4.4.16): [ 제사지내는불에불을붙이면서암송하는게송인 ] 사미데니를반복해서암송하면서그대는 [ 예식을 ] 마무리짓는경문으로 (udayanīya) 이와같이말해야한다. 나는 [ 그것을다시 ] 암송할것이다. 미래에일어날사건들을언급하면서화자의강한의지를표현할때도복합미래가사용된다. 예를들면, 아래의구문에서화자는 goptā와 yotsye를통하여자신이목숨이있는한라마를대신하여싸울것이라는강한의지를표현한다. aham eva dhanuṣpāṇir goptā samaramūrdhani, yāvat prāṇān dharṣyāmi tāvad yotsye niśācaraiḥ(r., 1.20.5): 나는손에활을들고서전투의최전방에서방어를할것이다. 나는목숨이살아있는한, 그락샤사들과싸울것이다. 이와같이화자의강한의지와욕구를표현할때는먼미래가아니라당일에관한것도복합미래를사용할수있다. 예를들면, 39) Āpte(1984) p. 146 참조.

82 印度哲學제 27 집 아래의구문에서화자는전장 ( 戰場 ) 에서적을죽일것이라는강한의지를표현한다. hantāsmi tvāṃ sahāmātyaṃ saputra-jñāti-bāndhavam, nirudvignās trayo lokā bhaviṣyanti hate tvayi(r., 6.41.79): 나는너를대신들, 자녀들, 친지들, 친척들과함께죽일것이다. [ 그러면 ] 네가죽음으로써三界가고요하게될것이다. 아래에보다많은실례들이있다. eṣa vai yajāmānasya loka etāsmi(ch. Up., 2.24.5): 진실로청하라! 제사를지내는그사람의세계로나는갈것이다. suyodhanam imaṁ pāpaṁ hantāsmi gadayā yudhi(mhbh., 2.68.28): 나는전투에서이악당수요다나를 [ 나의 ] 곤봉으로죽일것이다. duḥśāsanasya rudhiraṁ pātāsmi mṛgarāḍ iva(mhbh., 2.68.29): 나는마치사자처럼두흐샤사나의피를마실것이다. yauvarājyena yoktāsmi prītaḥ puruṣa-puṃgavam(r., 2.2.12): 나는기쁘게인간들중의영웅 (Rāma) 을세자로책봉할것이다. kiṃ kāryaṃ brūta bhavatāṃ bhayaṃ nāśayitāsmi vaḥ(r., 7. 61.1): 그대들은말해보시오. 그대들에게무엇을해주어야하는지? 내가그대들의두려움을날려버리겠소. anyā sahito gatvā yoddhā 'haṃ tair niśācaraiḥ(r., 1.20.3): 나는다른병사들과함께가서그락샤사들과싸울것이다. 4.4. 전제와귀결문 ( 관계문 ) 에사용되는경우 전제문과귀결문이함께사용될때, 복합미래가전제문과귀결문양자에사용되는경우가있다. 예를들면, 아래의구문에서전제문과귀결문양자에복합미래 (bhavitā 와 āgantāsmi) 가사용된다. 그리고귀결문에만복합미래가사용되고, 전제문에는단순미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83 래가사용되기도한다. yarhi vāva vo mayārtho bhavitā tarhy eva vo 'ham punar āgantā smīti(aitareya Brāhmaṇa, 1.27.1): 너희들을위한일이나에의해완성될바로그때, 나는다시너희들에게올것이다. 그리고아래의구분에서귀결문에는복합미래 (bhavitā) 가사용되고전제문에는단순미래 (vakṣyati) 가사용되었다. so 'sya yadi vakṣyati, tasyāpi bhavitā mṛtyuḥ(kathāsaritsāgara, 28.131): 만일그가이사람에게말한다면, 그도죽게될것이다. 그러나그반대의경우도있다. 예를들면, 아래의구문에서전제문에복합미래 (pravaktāsi) 가사용되고귀결문에단순미래 (vimokṣyase) 가사용되었다. yadā tasmai kathām imāṃ, puṣpadanta pravaktāsi tadā śāpād vimokṣyase(kathāsaritsāgara, 1.60): 푸스파단타 ( 쉬바 ) 여! 당신이그에게이말을한다면, 그때나는저주로부터풀릴것이다. 또는단순미래가兩者에사용되는경우도있다. 40) 아래에전제와귀결문에사용되는복합미래의보다많은실례들이있다. ataś ced anyathā kartā dhārtarāṣṭro 'nupāyavit antaṁ nūnaṁ kari ṣyāmi kṣatriyāṇāṁ janārdana(mhbh., 5.81.53): 그러므로잘못된수단만을택했던드리타라슈트라의아들이달리행동한다면, 즉시나는크샤트리야들을전멸시킬것이다. 자나르다나여! a-rākṣasam imaṁ lokaṁ kartāsmi niśitaiḥ śaraiḥ na cec charaṇam abhyeṣi tām ādāya tu maithilīṁ(r., 6.41.67): 그대가그마이틸리 ( 시 40) Speijer, J.S.(2006) p. 260( 341*) 참조.

84 印度哲學제 27 집 타 ) 를 [ 계속 ] 붙들고서, [ 나에게 ] 보호받기를거부한다면, 나는예리한화살들로이세계를라크샤사로부터자유롭게만들것이다. yadā draṣṭā bhīmasenaṁ rathasthaṁ gadāhastaṁ krodha- viṣaṁ vamantaṁ durmarṣaṇaṁ pāṇḍavaṁ bhīmavegaṁ tadā yuddhaṁ dhārtarāṣṭro 'nvatapsyat(mhbh., 5.47.14): 전차에타고서, 철퇴로무장하고, 분노의독약을내뿜으며, 무서운속도로 [ 달려드는 ] 판다바인비마세나를본다면, 드리타라슈트라의아들 (Duryodhana) 은전쟁을 [ 시작한것을 ] 후회하게될것이다. 4.5. 의문문에사용되는경우. 복합미래는의문문에서도사용된다. 예를들면, 아래의구문에서의문대명사 kadā( 언제 ) 와함께동사 vad( 연주하다 ) 의사역활용에서파생된복합미래 (vādayitā) 가사용된다. ayaṁ tu komalāgrabhis tantrīr aṅgulibhiḥ spṛśan, kadā vādayitā vīṇāṁ veda-vedāṅga-pāragaḥ(bṛhatkathaslokasamgraha, 17. 135): 그러나베다와베다의支分을충실히공부한이사람이언제손가락이부드럽게되어줄을켜면서루트 (lute) 를연주할것인가? 다음은의문문에사용된복합미래의실례들이다. ko hantā lavaṇaṃ vīrāḥ kasyāṃśaḥ sa vidhīyatām(r., 7.62.8): 전사들이여! 누가라바나를죽일것인가? 그임무를맡을자를그대들이정해라. na jāne yātāras tava ripavaḥ kena ca pathā(bhojarājakavivarga, 55): 너의적들은고향으로가지않았다. 그러면어떤길로갔지?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85 Ⅴ. 결어 복합미래는베다문헌에서사용되기시작하여브라흐마나문헌과서사시에서사용빈도가증가되었지만, 고전범어문헌들에서는거의사용되지않은수명이짧은문법이다. 그럼에도그것은파니니문법과다양한문헌들의용례들을통해알수있었듯이, 자신의고유한역할을지니고문장속에서사용되었다. 따라서문장에서술된복합미래를통해, 독자는미래사건에대한화자의태도를일부추론할수있다. 본론에서살펴본실례들을종합해보면, 독자가추론가능한내용은다음과같다. 첫째, 화자의발설순간과복합미래로묘사된사건사이에는틈이있다. 여기서틈은단순한시간차를말하는것이아니다. P., 3.3.15에복합미래는 오늘이아닌 (anadyatana) 미래를나타내는것으로규정되지만, P., 3.1.135에서 오늘이아닌 미래에대해서도단순미래가사용될수있는경우들이열거된다. 화자가발설하는순간과현실화될순간사이틈이없는경우는단순미래가사용된다. 틈이없음을표현한것이 행위의중단없는연속 (kriyā-prabandha) 또는행위들의 근접성 (sāmīpya) 이라는용어이다. 즉, 유사한행위가평생을두고반복되는경우와여러행위가짧은시간차로순차적으로행해지는경우에관한것이다. 전자의경우는일정한간격으로반복되기만하면한행위와다음행위사이의시간적길이는크게문제시되지않는듯하다. 후자의경우는여러행위가짧은시간차로순차적으로행해지기만하다면, 화자가발설하는순간으로부터첫행위가행해지는순간과시간차는크게문제시되지않는듯하다. 여기서중요한것은단순한시간적인길이가아니다. 그것보다는화자가발설하는순간과사건이현실화될순간사이에, 이질적인것으로인해생기는틈이

86 印度哲學제 27 집 다. 따라서 10년후의사건에대해언급할지라도 오늘로부터 정기적으로계속되는행위이거나여러행위가근접성을지니고행해진다면복합미래가아닌단순미래가사용된다. 둘째, 화자가언급한미래는현실화될가능성이높다. 확정적인시기를밝히는것이그렇지않은경우보다현실화될가능성이높은것이일반적이다. 그런데복합미래구문에서화자는그사건이언제현실화될것인지분명히밝히는 śvas( 내일 ) 와같은용어를함께사용하는경우가많다. 화자의단순한희망을표현할경우단순미래가사용된다는 P., 3.3.133에대한복주의내용을통해서도복합미래가당연히현실화될사건을중심으로사용되었음을유추할수있다. 용례를통한관찰도당연히성취될미래에대한예언을묘사하는용례가많다는것을보여준다. 또한복합미래의초기적인형태가제식행위에대해祭主가받게될당연한결과, 또는제식행위에대한헌신을다짐하는내용이었다는사실에서도현실가능성이높은사건을묘사하고자할때그것이사용되었음을알수있다. 셋째, 화자와주어가동일인일경우, 화자가발설된행위의실천에대한굳은의지를지니고있음을드러내는경우가많다. 그것은특히서사시들의전투장면에서명확히드러난다. 서사시에서장수들은적을죽일것이라는말을할때복합미래를많이사용한다. 그것은반드시승리하겠다는스스로에게의다짐이면서, 적에대한분노의표출이기도하다. 반면, 브라흐마나문헌에서화자의의지표출은두가지방향에서사용된다. 하나는祭主, 또는司祭가神에게바치는제사안에서자신의의지를표현할때이다. 예를들어, 자신이계속해서제사를봉헌하거나경문을반복해서암송하겠다는약속을하는경우이다. 다른하나는제사의대상인神이祭主를향해축복을주거나, 보호를해주겠다는의지를표현할때이다. 神은祭主에게성실한제사봉헌을촉구하는한편, 그렇게만하면그에합당한보답을주겠다는약속을하는경우이다.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87 이와같은고유한역할을지니고사용되었던복합미래가고전범어시기에들어와서거의사용되지않게된이유는분명하지않다. 다만다음과같은추정이가능할뿐이다. 첫째, 추론적논리와주장이성행하는고전범어시기에미래의사태를확정적으로표현하는것에부담을갖게된학자들이복합미래의사용을주저하기시작했을것이다. 둘째, 복잡한구문구조로인한사용의어려움과행위명사로사용된경우와복합미래사이의구별의난해성으로인한혼돈을피하려는입장에서자연스럽게사용빈도가줄어들었을것이다. 참고문헌 Ch. Up. Chāndogya Upanīṣad Mhbh. Mahābhārata P. Aṣṭādhyāyī R. Rāmāyaṇa Ṛv. Ṛg Veda ŚB. Śatapatha Brāhmaṇa Āpte, V.S.(1984). Sanskrit Composition(the student's guide to), 24th ed., Varanasi, Chowkhamba Sanskrit Series Office. Bevasthali, G.V.(1967). Anubandhas of Pāṇini, Poona, University of Poona. Gune, J.A.(1978). The meaning of Tenses and Moods, Pune, M. S. Latkar at SMS Letter Press. Kale. M.R.(1993). The Meghadūta of Kālidāsa,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Katre. S.M.

88 印度哲學제 27 집 1967 Dictonary of Pāṇini, Poona, Deccan College. 1989 Aṣṭādhyāyī of Pāṇini, Delhi, Motilal Banarsidass. Macdonell, A.A.(2007). Vedic Grammar,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Meenakshi, K.(1983). Epic Syntax, Delhi, Meharchand Lachhmandas. Robert, P.G. & Sally, J.S.G.(1987). Devavāṇīpraveśikā : an introduction to the Sanskrit langua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Speijer, J.S.(2006). Sanskrit syntax,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Sukthankar & Belvalkar, ed.,(1937-1964). Mahābhārata-Saṃhitā, Vol.1-13, Poona. Vālmīki(2004). Rāmāyaṇa, Arya, R.P., Ed., Delhi, Parimal Publications. Vāmana & Jayāditya(1969-). Kāśika: A commentary on Pāṇini's grammar, Sharma, A. & Deshpande, K. & Padhye, D.G., ed., Hyderabad, Osmania University, Sanskrit Academy. Vasu, Ś.Ch., ed. & trans.(1988). The Ashṭādhyāyī of Pāṇini, Delhi, Motilal Banarsidass. Whitney, W.D.(2005). Sanskrit Grammar, 5th ed., Delhi, Motilal Banarasidass. 直四郞辻 (2005). サンスクリット文法, 東京, 岩波書店.

복합미래 (luṭ) 의용법에대한고찰 89 Abstract The Use of the Periphrastic Future(luṭ): According to Aṣṭādhyāyī Park, Moon Seo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anskrit has several ways of expressing future time. The simplest, which may be used to indicate immediate future, is simply to use the present indicative(laṭ). On the other hand, for more general expression of future time, Sanskrit has two distinct verbal conjugation, namely the periphrastic future(luṭ) and the simple future(ḷṭ). The periphrastic future is far less frequently used. It is used to express something that is going to happen not to-day (anadyatana-bhaviṣyat-kāle arthe). It denotes action that will take place at some more or less definite time or occasion in the future, but not of to-day. On the other hand, the simple future is used to express something that is going to happen in general future time (sāmānya-bhaviṣyat-kale arthe). It denotes generally uninterrupted action (kriyā-prabandha), indefinite future time, and proximity time (sāmīpya-kale arthe) that of the speaker. As the term sāmānya(general) is meant, the simple future could be used to denote any indefinite future action. So it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others. In the most of time, a reader meets the simple future in sanskrit sentences. While the periphrastic future use begins in Veda, and it grows in the common in Brāhmaṇas and Epics, but it is

90 印度哲學제 27 집 nowhere nearly so frequent as the simple future. And then it is so difficult that quotes from classical sanskrit. But as it could be understood in directions of Aṣṭādhyāyī and various quotable examples from Veda, Brāhmaṇas, and Epics, the periphrastic future was used to as the proper role in the sentence. So a reader could infer from the sentence that the speaker's standpoint on the future action, as below. Firstly, there is a gap between the time-point of a speaker's utterance and the action expressed by the periphrastic future. Secondl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ction, which is expressed by the periphrastic future, can be realized. Thirdly, if the speaker and the subject are the same person, in many cases, it indicates a strong will that the speaker will do the action expressed by the periphrastic future. Hence when a speaker swears to do an action, periphrastic future is employed. Key words : the periphrastic future(luṭ), the simple future(ḷṭ), today(adyatana), tomorrow(śvas), future, boundary. 투고일자 : 2009년 6월 26일심사기간 : 2009년 7월 30일~8월 10일게재확정일 : 2009년 8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