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태깅에서 관심사로 바라본 태그 특징연구

Similar documents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04서종철fig.6(121~131)ok

내지(교사용) 1-3부

정보기술응용학회 발표

슬라이드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FMX M JPG 15MB 320x240 30fps, 160Kbps 11MB View operation,, seek seek Random Access Average Read Sequential Read 12 FMX () 2

Output file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세종대 요람

À±½Â¿í Ãâ·Â

CMS-내지(서진이)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게임백서-상하-색인 목차

게임백서-상하-색인 목차

<332EC0E5B3B2B0E62E687770>

게임백서-상하-색인 목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Output file

학습영역의 Taxonomy에 기초한 CD-ROM Title의 효과분석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SchoolNet튜토리얼.PDF

감각형 증강현실을 이용한

슬라이드 1

Social Network

CSG_keynote_KO copy.key

06_ÀÌÀçÈÆ¿Ü0926

KD hwp


C# Programming Guide - Types

,.,..,....,, Abstract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design which tries to i

38이성식,안상락.hwp

about_by5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산업백서2010표지

PDF_Compass_32호-v3.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03-ÀÌÁ¦Çö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Software Requirrment Analysis를 위한 정보 검색 기술의 응용

2002 KT

* ~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1 외부 디바이스와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제2 외부 디바이스를 통신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외부 디바이스 및

160322_ADOP 상품 소개서_1.0

歯3이화진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_

IKC43_06.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45-51 ¹Ú¼ø¸¸

02 스트리밍서비스로 빠르게 변화! 음원가족 스트리밍서비스로 빠르게 변화! [표1] 1997년~2013년 세계음반시장 규모 (US 백만 달러) 글로벌 음악시장의 규모 2001년 이후부터 디지털 음악 서비스의 등 장과 온라인 불법 침해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줄어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0CCBCBCBFB52DC1A4B4EBBFF82DBCAEBBE7B3EDB9AE2D D382E687770>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2012북가이드-최종교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민속지_이건욱T 최종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Copyright 2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l 은 미국 및 다른 국가에서 Intel Corporation 의 상표입니다. Microsoft 및 Windows 는 Microsoft Corporation 의

Web Scraper in 30 Minutes 강철

위해 사용된 기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화와 자료구조를 동시에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가지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들을 살펴봄으로서 소셜네트워크의 분석을 위한 접근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인터넷 커뮤니티인 MLBPark 게시판

BibLaTeX을 이용한 한국어 참고 문헌 처리의 가능성

20(53?)_???_O2O(Online to Offline)??? ???? ??.hwp

0125_ 워크샵 발표자료_완성.key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습마트기기 활용 환경지킴이 및 교육 통합 서비스 개 발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 : 주관연구기관장 : 2015년 10월 주식회사 덕키즈 김 형 준 (주관)연구책임자 : 문종욱 (주관)참여연구원 : 김형준, 문병


04-다시_고속철도61~80p

OP_Journalism

ȲÁø°æ

슬라이드 1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CONTENTS 숭실사이버대학교 소개 총장 인사말 교육이념 및 비전 콘텐츠의 특징 숭실사이버대학교 역사 숭실사이버대학교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숭실사이버대학교 학과 소개 1 1 학과 소개 30 연계전공 & 신 편입생 모집안내 숭실사이버대학교 C

표현의 자유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위한 Adobe Experience Manager Mobile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11¹Ú´ö±Ô

step 1-1

<B9E6BCDBBFB5BBF3C4DCC5D9C3F7BBEABEF7BDC7C5C2C1B6BBE728352E37C1F8C2A5C3D6C1BE292E687770>


i4uNETWORKS_CompanyBrief_ key


AT_GraduateProgram.ke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Microsoft PowerPoint - XP Style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Contents Lotte Focus Lotte Life

Transcription:

학술대회 소셜태깅에서관심사로바라본태그특징연구 - 소셜북마킹사이트 del.icio.us' 의태그를중심으로 - A Study of User Interests and Tag Classification related to resources in a Social Tagging System 배주희, Joohee Bae*, 이경원, Kyungwon Lee** 요약최근소셜태깅(social tagging) 이화두로떠오르면서전문가집단에서이루어지던택소노미 (taxonomy) 에서점차사람들이만들어가는분류법인폭소노미 (folksonomy) 의형태로변화하고있다. 태그(tag) 는콘텐츠와의접근이직관적이기때문에원하는콘텐츠로의이동이용이하며그와관련된태그들을만나면서개인적인회상능력을증가시키고사회적영향력을높이며, 우연한정보의발견, 재미있는경험을얻을수있다. 점차네트워크형성이관심사로연결된형태로커지면서태그가다른형태의콘텐츠를한곳에묶어주는역할을담당하고있다. 따라서이연구는소셜태깅에서나타나는사용자 (user), 태그(tag), 리소스 (resource) 간의관계를정리하고사람들이자신의즐겨찾기목록에사이트를추가하는행위를관심사로보아, 이때입력한태그를어떠한특징으로나누어볼수있을지연구하였다. 이를위해, 리소스중심의태그분류를 7 가지로나누고, 이분류법를이용하여소셜북마킹 (social bookmarking) 사이트 'del.icio.us' 에서사용되고있는태그를중심으로음악, 사진, 게임의세가지관심사영역에서사람들이 URL 을등록할때에어떠한태그를선택하고있는지 7 가지특징에따라분석하였다. 이를통해사이트를바라보는사람들의관점을파악해볼수있고, 소셜서비스확장, 다양한비지니스모델을설정할수있는가능성을모색해볼수있을것이다. Abstract Currently, the rise of social tagging has changing taxonomy to folksonomy. Tag represents a new approach to organizing information. Nonhierarchical classification allows data to be freely gathered, allows easy access, and has the ability to move directly to other content topics. Tag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cluster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it is expand to network in the common interests among users. First, this paper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user, tags and resources in social tagging system and examine the circumstances of what aspects to users when creating a tag related to features of websites. Therefore, this study uses tags from the social bookmarking service del.icio.us to analyze the features of tag words when adding a new web page to a list. To do this, websites features classified into 7 items, it is known as tag classification related to resourc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classify method in the area of music, photography and game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in which users apply a tag to a webpage and establish the capacity of expanding a social service that offers the opportunity to create a new business model. 핵심어 : social tagging, tag, resource, user, interest, social bookmarking * 배주희 : 아주대학교미디어학과석사과정 e-mail: jooaya0211@ajou.ac.kr ** 이경원 : 아주대학교미디어학부교수 e-mail: kwlee@ajou.ac.kr

1. 서론 1.1 웹 2.0 과태그(Tag) 의등장 개방, 공유, 참여의정신이나타나는웹 2.0 시대는데이 터의소유자나독점자없이누구나손쉽게데이터를생산하 고인터넷에서공유할수있도록하는사용자중심의인터 넷환경이라할수있다. 즉, 소비자와생산자사이의경계 가허물어지면서사용자가직접만든콘텐츠를올리고누구 나손쉽게공유하고접근할수있게되었다 [1]. 이러한흐름 으로과거전문가집단에서만이루어지던택소노미 (taxonomy) 분류법에서점차사람들이만들어가는분류법인 폭소노미 (folksonomy) 의형태로바뀌게되고, 태그(tag) 가 이변화에한몫을했다. 태그는특정한분류법안에서콘텐 츠를나누는것이아니라콘텐츠를설명할수있는자신만 의키워드를입력하여콘텐츠를분류할수있도록한다. 1.2 태그(Tag) 의특징 Riddle(2005) 은태그가개인적인회상능력을증가시키고 사회적영향력, 우연한정보의발견, 재미있는경험을제공 하는특징을갖고있다고하였다 [2]. 따라서태그는기존방 식에비해사용하기쉽고, 태그를사용하는사람들은고정된 체계없이비교적자유로운형태나주관적인관점으로키워 드를만들수있어자율성을느낄수있다. 또한, 콘텐츠와 의접근이직관적이기때문에보고자하는콘텐츠로쉽게 이동할수있으며그와관련된태그들을만나면서우연한 정보도얻을수있다 [3]. 태그는정보분류의새로운방법으로여러사이트에서적 용하고있지만자율성에따른단어의표현방식이개인적이 고추상적일수있기때문에모호성에대한문제제기도있 다. 하지만태그는그림과같이말로표현하기어려운것들 의느낌을단어로표현함으로써메타검색에도움을준다. 기 존의카테고리분류나검색키워드로찾던방식에서, 태그 검색은콘텐츠의내용이나사람들의생각을기반으로하기 때문에사용자들에게맥락적인정보를전달해줄수있는 방법으로이용될수있다. 의관점을파악해보는데의의가있다. 2. 소셜태깅(Social Tagging) 소셜태깅(Social Tagging) 은특정대상에대해여러사 람들이다양한키워드로꼬리말을다는것이다. 이는특별한 범주없이만들어지기때문에비공식적으로사용자들만의 용어를만들어간다. 문서에태그를달거나묵언의규칙처럼 약속된태그로공유할수있으며 [3] 태그를이용한검색, 회 상, 공유가가능하다. 따라서이러한태그는전체사용자의 참여적인행동으로볼수있어믿을만한지표로생각해볼 수있으며여러시스템안에서흥미나선호도, 관심도를나 타내는척도로여길수있다. 데이비드웨인버거 (David Weinberger) 는태깅이사회적 그룹안에서그들의관심과관점의유사성을형성할수있 도록하며사용자와사용자가똑같은태그를사용한다면아 마도깊은공통성을공유하고있다고추측해볼수있다 [4] 고하였다. 태깅은개인적인자료를정리하려는목적뿐아 니라사람들과정보나생각을공유를하기위해서의목적이 크다. 이는곧태그가소통의매개체로사용되고있으며, 내 가갖고있는것을다른사람들이봐주길원하고반대로내 가필요한것을찾기위한도구로작용한다고말할수있 다. 최근에소셜태깅을이용한사이트가늘어나고있다. 소셜북마킹사이트인 del.icio.us(http://delicious.com) 와 Yahoo! MyWeb2.0(http://myweb.yahoo.com), 태그로음악 을검색하고추천받을수있는 Last.fm (http://www.last.fm), 사진에태그를달고공유할수있는 Flicker(http://www.flickr.com) 등이유명하며계속적으로 신생사이트들이나오고있다. 일반적으로이런사이트는사 용자에게태그를써서콘텐츠를공유하도록유도한다. 그래 서사용자로하여금정보를분류하게할뿐아니라다른사 람이분류한정보를볼수도있다. 즉, 개인적관심과공공 의관심을한꺼번에얻을수있는시스템이라할수있다 [5]. 1.3 연구목적이논문은소셜태깅에서나타나는구조를파악하고관심사를중심으로태그가어떻게구성되어있는지알아보고자한다. 즐겨찾기에사이트를추가하는행위를관심사로보아사용자들이어떤태그를선택하고있는지연구하고자한다. 이를위해 del.icio.us 의태그를이용하여사용자들이리소스의어떤특징을보고태깅을하는지분류해보고분석하는데목적이있다. 이분석을통하여각관심사별로사람들 2.1 소셜태깅의구조 소설태깅에는세개의주요한객체인사용자 (user), 태 그(tag), 리소스 (resource) 가있으며각객체의정의는표 1 과같다 [6].

표 1. 사용자, 태그, 리소스의정의및세부내용 객체 사용자 (User) 태그 (Tag) 리소스 (Resource) 정의 시스템을사용하는사람들로실질적으로태깅을하고있는사용자 자유롭게키워드로대상을지칭하는것 태그가달리는대상 세부내용 아이디 (ID), 이메일 (e-mail) 내용(contents), 주제(subject), 문서타입 (documents type), 업무(tasks), 의견(opinion), 목적(purpose) 등링크주소 (URL), 글, 비디오, 사진등여러가지콘텐츠 사용자들은태그가무엇을의미하는지에따라반응하거 나, 혹은관심있는리소스를접하고다른태그로옮겨가며 세가지객체가유기적으로연결된다. 그림 1을보면기존의정보와분류라는일대일관계를깨 고일대다로묶어주기때문에예상하지못했던콘텐츠가 태그를통해사용자와리소스와의관계를서로연결시켜 준다[6]. 그림 1에서점선은각요소로이동하는자율성을 이서비스에서는카테고리를만들어관리하는대신자유 롭게태그를사용해즐겨찾기를관리할수있다. 이러한태 그를이용하여사용자들끼리링크를공유하거나다른사용 자들의즐겨찾기리스트도볼수있다. 예를들어, 'design' 이라는키워드를검색하면 'design' 태그가달린웹사이트를 한번에볼수있고, 가장많이연관된태그도볼수있어 검색의영역을확장시킬수있다. 등록된사이트정보로이 동하면그사이트를선택한사용자리스트를볼수있기때 문에특정관심사가비슷한사용자들의즐겨찾기리스트도 함께검색해볼수있다. 이처럼서로비슷한관심사를가 진사용자들이추가한리스트를보는것이가능하기때문에 사용자와태그의연결, 리소스와태그의연결이어떻게되어 있는지관찰해볼수있다. del.icio.us 는최근등록된페이 지, 인기페이지를통해인터넷문화와트렌드를읽어낼수 있으며, 구름태그 (tag cloud) 를통해가장인기있는태그 목록을볼수있다. 그림 2 소셜북마킹사이트, del.icio.us (http://delicious.com) 그림 1. 사용자, 태그, 리소스의관계 의미한다. 우연히만난태그는새로운리소스를접하게되며 그리소스를작성한새로운사용자를만나게된다. 새로운 사용자가갖고있는또다른태그와리소스를통해이사용 자는끊임없는항해를계속할수있는것이다. 따라서자연 스럽게사용자와사용자간에는네트워크가형성되고태그 는그사이를엮어주는매개체역할을할수있다 [6]. 2.2.2 Last.fm Last.fm 은인터넷라디오방송과음악추천시스템을병합한웹사이트이다. 처음사용자가가입을하면서선호하는아티스트와관련된태그를입력하여로그인했을때밴드나앨범정보를첫화면으로연결해준다. 또한컴퓨터나 mp3 2.2 관련연구 2.2.1 del.icio.us del.icio.us 는조슈아샤흐터 (Joshua Schachter) 가만든소셜북마킹 (social bookmarking) 서비스로웹사이트에즐겨찾기를저장하고자유롭게키워드로링크를설명할수있다. 그림 3 음악추천사이트, Last.fm (http://www.last.fm)

플레이어에서듣는음악리스트를 Last.fm 으로전송하여프 로필을만들수있다. 이를이용하여각사용자의음악취향 을저장하고취향에맞는곡을추천해주거나같은취향을 가진다른사용자들을추천하여연결시켜준다. 같은음악 을듣는다른사용자를보여줌으로써공감대를형성하게하 고댓글을통해음악리뷰나, 다른사람들에게자신의생각 을알릴수있다. Last.fm 의각아티스트개인페이지에는 아티스트설명, 사진, 인기태그, 음악듣기, 비슷한아티스트 추천, 관련동영상, 인기앨범, 사람들이가장많이듣는노 래, 콘서트정보등종합적인내용을제공하고있다. 좋아하 는노래는개인라이브러리에추가하며맞춤라디오스테이 션을제공받을수있다. Last.fm 메인페이지에서는최근 음악동향을알수있고 다른나라사람들과의공유도가능하다. 12개국언어로서비스를하고있어 3.2 관심사네트워크구조 소설태깅의세가지객체인사용자 (user), 태그(tag), 리 소스(resource) 중사람들이읽고쓰고공유할수있는데이 터가리소스 (resource) 라면리소스와사용자를이어주는것 이태그라볼수있다. 이논문에서는사용자, 태그, 리소스 의관계를검색이나회상을목적으로한연결성 [6] 보다는 관심사로묶인연결성으로보고자한다. 이는네트워크의형 성이관심사로연결된형태로커지고있기때문이며다른 형태의콘텐츠를한곳에묶어주는역할을태그가담당하고 있다고생각하기때문이다. 3. 관심사네트워크와구조 3.1 관심사네트워크 관심사는사전적의미로 관심을끄는일 이라설명할 수있으며, 이논문에서말하는관심사는다른사람들과공 통의주제로소통하며즐길수있는대상을말한다. 과거에는학연, 지연, 혈연과관련된인맥이주를이루며 그영역을확장시켜나가고있었다면관심사네트워크는공 통된관심주제로묶인사람들의관계를말한다. 즉, 인맥 관계가형성되어있더라도공통된관심사를갖고있지않 다면관심사네트워크로연결되었다고할수없다. 최근네트워크의변화는학연이나지연이아닌개개인의 관심영역으로묶이고있다. 특정카페나커뮤니티에가입해 서활동하는것이아니라자신이만들어놓은영역을확장 시켜나가면서다른사람들이만들어놓은영역에점차가 까워지거나, 혹은비슷한사람들을찾아관계를맺으며자신 의영역을확장시키는현상이나타나고있다. 기존에있던 카페나커뮤니티처럼권한있는한사람이전체를운영해 가는방식이아닌개별로각자의활동을하면서관심있는 주제로서로모여그들끼리대화를주고받으며친분을쌓고 결과적으로커다란공동체를형성해가는방식이다. 즉, 관심 사는소셜네트워크를만들어가는원동력이며, 콘텐츠의형 태에관계없이사람들은모여서이야기할수있게되었다. 대표적인예로, 네이버의블링크 (http://blink.naver.com), 메 타블로그서비스인올블로그 (http://www.allblog.net), 관심 주제로같이리스트를작성해보는롤링리스트 (http://www.rollinglist.com) 그리고개인홈페이지로취향 이나취미가비슷한타인들과소통할수있는마이스페이스 ( h t t p : / / w w w. m y s p a c e. c o m ),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 등이있다. 그림 4 관심사네트워크구조 그림 4에서 R 은리소스 (resource), T 는태그(tag), U는 사용자 (user) 이다. 리소스에는태그들이붙어있고그주위 에수많은사용자들이존재한다. 사용자들은관심있는리소 스와태그주위로몰리게되고같은관심사를갖는유저들 끼리는서로모이게되어보이지않는영역을형성하게된 다. 점선으로묶인부분이세소요가연결되어만들어지는 관심사영역이라볼수있으며여러관심사를갖고있는사 용자들은서로다른영역과교집합을형성하며존재하게된 다. 사용자들은독립된개체로수시로다른영역으로침범하 거나속할수있기때문에자율적으로움직이며네트워크 를형성하거나파괴할수있다. 따라서태그를통해본관심영역은소셜서비스의확장, 다양한비지니스모델을설정하는데에의미가있다고생 각하며, 이연구에서는관심사에따라태그가어떻게구성되 어있는지알아보고자한다.

4. 태그로본관심사연구 4.1 태그는관심사를말해주는키워드 태그는사용자의성향을잘반영하고있고협업필터링 과정에서유사한성향을가지는사용자를찾아내는데효과 가있다[7]. 이는태그가사용자의관심사를잘보여주고있 으며, 공감대가형성되는사용자를연결하여네트워크의형 성도가능하다고할수있다. 사용자가태그를선택하며주 제를확장시켜옮겨가는행위는관심사가꼬리를물어점점 폭넓게분야를탐색하는것이라고볼수있다. 태그기능을 잘활용할경우콘텐츠의주제를쉽게파악할수있으며, 동 일한태그로묶인같은주제자료들을편리하게볼수있다. 점차사람들의관심사가세분화되면서공통주제를중심으 로편집된미디어보다는자기취향에맞는콘텐츠를소비 하려는욕구가강해지고있기때문이다 [8]. 4.2 태그분류하기 태그를통해콘텐츠를바라보는관점을어떻게관찰해볼 수있을까? del.icio.us 는여러사용자들이하나의사이트에 여러가지태그를입력함으로써소셜태깅이잘일어나고 있는곳중하나이다. 사용자들은새로운사이트를자신의 리스트로추가하기도하지만다른사람들이등록해놓은사 이트중에서관심분야라고생각되는사이트를자신의리스 트에추가시키고있다. 즐겨찾기는개인의선호도나취향을 한번에알아볼수있는개인화된리스트로사용자의웹사 용성을잘나타내고있으며즐겨찾기등록시입력한태그 는사용자의생각을잘반영하고있다. 따라서 del.ioic.us 에 서사용되는태그를중심으로사람들이사이트의어떤면을 보고태깅을하고있는지 표 2 리소스를중심으로한태그분류 분류기준 7 가지로분류해보았다. 이전연구로 Golder(2006) 는 del.icio.us 에서사용자들이 태그를달때에어떻게단어를만들고있는지기능적분류 를하였다 [5]. 표 2가이논문에서연구한리소스를중심으 로한태그분류이다. 이분류는사이트를등록할때에나 타나는태그의특징을위주로분류하였으며, 세부내용은표 2 와같다. 4.3 태그분석방법 관심주제에대한키워드를사람들은사이트의어떤면을 보고키워드를선정하고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표 2에서 정리한리소스중심태그분류를기준으로태그를분석해 보았다. 관심사주제를연구자의관심사인음악, 사진, 게임 으로선정하고 del.icio.us 에서이와관련된사이트의태그 가어떠한특징을갖고있는지알아보았다. 음악의대표태 그를 music, 사진을 photography, 게임은 games 로정하였다. 이것은인기단어가모든사람들의관심사를표현한단어라 는가정하에각항목별로가장인기있는단어로결정하 였다. 2008년 12월 31일까지 music 태그가달린사이트수 는 1727835 개, photography 는 688735 개, games 는 679936 개로인기태그인만큼상당히많은수의사이트가등록되 어있었다. 이중각각의대표태그가달린사이트 100개를 무작위로선정하여그에달려있는태그를추출하고표 2의 기준에따라나누었다. 중복된단어는한번씩만적용하였 지만, 같은단어일지라도다른의미로사용된경우는예외 적으로중복해서분류하였다. 태깅의기준은사람마다매우 다르기때문에양적분석이아니라의미상으로분류하기위 한방법을사용하였다. 같은태그라도사이트에따라의미가 다르기때문에이를분류하고자연구자관점에서분류를하 였다. 의미가불분명한것들은직접사이트에들어가보거나 사전검색을통해오차를줄이려고노력하였다. 세부설명 사이트주제및목적 (Subject and Topic) 사이트형태 (kinds of a webpage) 사이트명 (Name of resource) 사이트특징 (Page features) 콘텐츠타입 (Types of Contents) 느낌 (Impression) 사용목적 (Task) 무슨목적으로만들어진사이트인지에따라만든태그들. camera, tutorial, magazine 등주요서비스항목을말한다. 어떠한사이트형태를갖고있나에관한것으로어떤종류의것인지를말한다. blog, community, flash 등이있다. 사이트이름으로태그를한것. 기업, 회사명이나 URL 과관련해서단어를선택한것으로 nintendo, yahoo, stock 등이있다. 사이트가제공하는특질적인면을강조한것을의미하며, 전체데이터중사용자가필요로하는정보로태그어를정한것을뜻한다. reviews, history, wallpaper 와같이사이트내에서서비스하는세부적인내용을말한다. 사이트에서제공하는콘텐츠종류로된태그로 images, audio, midi, video 등이있다. 사이트를볼때느끼는감정으로페이지에서느껴지는인상을사용자들이태그로선택한것이다. nature, urban, technology 등이있다. 사용자입장에서사이트를사용하려는기능적인목적성을갖고있는태그를말한다. shopping, storage, benchmark, reference 등이있다.

5. 태그분석결과 음악, 사진, 게임과관련된각 100개의사이트에서추출 한태그의수는다음과같다. 표 3. 관심사항목에서추출한태그수 관심사 (tag) 사이트수 추출한태그수 음악 (music) 100 106 사진 (photography) 100 79 게임 (games) 100 105 추출한태그를 7가지분류에나누었으며관심사의특성 상나타나는특이단어들은기타로분류하였다. 표 4는추출 한태그에서각각의관심사를잘대변해줄수있는주요 한태그를뽑은것이다. 표 4 세가지관심사와관련된주요태그들 분류기준 사이트주제및목적 음악 radio, reviews, classical, records, download 사진 camera, tutorial, guide, portfolio, reviews 게임 emulator, puzzle, animation, education, abandonware 그림 5 음악에관련된태그분류 soundeffects, eletronica 와같이사이트가제공하는정보의 주체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다. 두번째는사이트가제 공하는특질적인면으로 streaming, free, discography 처럼 사이트안에서사용자들이특정페이지를선택하게된이유 로볼수있다. 사이트형태 blog,mp3blog, community blog, flash, photoblog, community blog, flash 사이트명 pandora, mtv, youtube, emusic, playlist, vinyl flicker, hdr, timelapse, candid, stock nintendo, brain, nes, phonics, bitorrent 사이트특징 streaming, free, sharing, online, discography free, howto, photoshop, sharing, learning, history, diy freeware, java, p2p, crowdsourcing, arcade, math 콘텐츠타입 느낌 사용목적 audio, mp3, video, sound, games, midi vintage, aggregator, culture storage, reference, shopping, player photos, images, digital, graphics nature, urban, inspiration, technology retouch, tools, resources, reference flash, music fun, interactive, humor, funny, health education, reading, programming, shopping, benchmark 7가지각항목을비교해보기위해 100분율로환산하여 본결과는다음과같다. 그림 5에서나온결과는 music 태그를나눈것으로무슨 목적으로만든사이트인가에더집중된태그들이많이나타 났다. 이는사이트의주제와관련된것으로 radio, mp3, 그림 6 사진에관련된태그분류 그림 6, 태그 photography 에서나온 1 순위는사이트특 징으로사진과관련된사이트에서제공하는특질적인정보 를위주로태깅한것을알수있다. wallpaper, panorama, forums 등큰주제보다는세부적으로필요한페이지로많 이등록해놓고있음을알수있다. 이것은사용자들이많은 사진을제공하는전문사이트보다는자신이좋아하는사진 위주로페이지링크를저장해놓는경우가더많기때문으 로생각된다. 사이트이름과관련된태그가음악과게임에 비해상대적으로적은것도이때문이라고볼수있다. 이 관심사에서나타나는기타적요소로지역과관련된태그가 주로나타났는데 hongkong, africa, asia 등특정지역에관

련된사진을기억하기위한것으로보인다. 태그가많았다. 음악은여러분야와다양하게융합되는특징 에따라콘텐츠타입에서도 movies, games, books, video 와 같은태그들이연관되어있었다. 사이트이름과관련해서는 mtv, music, yahoo 처럼전문적인서비스를제공하는회사이 름이많았는데사진에관련된사이트의경우는이에비해 적은수치를나타냈다. 사진은전문사이트보다는 magazine, portfolio, photoshop tutorial, 개인이운영하는갤 러리에치중해서관심을보이고있기때문이라할수있다. 사진과게임은음악에비해서상대적으로느낌관련항목이 더높게나타났는데음악에관련된사이트는포털처럼여러 정보를제시하고있는반면사진과게임은비교적좁은영 역의정보에치중한사이트를많이등록했기때문으로보인 다. 그림 7 게임에관련된태그분류 6. 결론 그림 7, 게임역시사진과비슷하게사이트특징과관련 한태그가주로나타났다. freeware, p2p, crowdsourcing, arcade 처럼사이트에서제공하는기술적인요소들로태깅을 하였다. 특히게임에서는사이트명과관련된태그들도많이 나타났는데게임이름이나특정게임의정보를공유하기위 해만들어진커뮤니티들이주를이루고있기때문이라생각 된다. 음악, 사진, 게임을 7가지항목으로비교한그래프는다음 과같다. 그림 8 음악, 사진, 게임을 7가지항목으로분류한그래프 그림 8의전체적추이를보면사이트주제와특징면에서 상대적으로많은태그들이몰려있음을알수있다. 하지만 음악, 사진, 게임의특성에따라 7가지항목에서특이점들이 보인다. 예를들어, 음악은사이트이름이나콘텐츠타입에 관련해서의미있는태그들이나타났다. del.icio.us 에서음악 이라는관심사는라디오, mp3 다운로드, 악보, 음반판매사 이트가주를이뤘고그밖에사운드효과, 애니메이션과클래 식, 락, 인디, 일렉트로니카와같은특정장르에목적이있는 소셜태깅(Social Tagging) 은웹기반인터페이스에서사 람들이태그를이용하여여러정보를분류하고공유할수 있도록하는시스템을말한다. 태그는기존접근방식을넘어 서사용자와태그, 태그와리소스, 사용자와리소스, 사용자 와사용자의관계를표현해볼수있고이로인해다양한 접근방식을만들어낼수있다. 이논문은소셜태깅에서나타나는현상을파악하고관심 사를중심으로태그가어떻게구성되어있는지알아보았다. 즐겨찾기는개인의선호도나취향을한번에알아볼수있 는개인화된리스트로사용자의웹사용성을잘나타내고 있으며즐겨찾기등록시입력한태그는사용자의생각을 잘반영하고있다. 따라서즐겨찾기에등록된태그를이용하 여사람들의관심사를관찰해보기위해 Golder(2006) 의연 구에서태그의기능적분류를바탕으로리소스 (resource) 중 심의태그분류표를만들었다. 이분류는사람들이자신의 즐겨찾기목록에사이트추가시어떠한특징적인면을보 고태깅을하고있는지분류한것으로사이트주제및목적, 사이트형태, 사이트명, 사이트특징, 콘텐츠타입, 느낌, 사 용목적의 7 가지항목으로나누었다. 이에따라소셜북마킹 사이트 "del.icio.us" 의태그를이용하여음악, 사진, 게임의 세가지관심사영역에서각각 100개의사이트를무작위로 선정한후, 추출한태그를 7 가지항목으로나누었다. 이를 통해각관심사영역별로 7가지항목에대한변화추이가 나타났으며, 관심사에따라사람들이주로등록한 URL 이어 떤특성을가진사이트인지태그분류를통해알수있었다. 태깅시, 단어의선택은사람마다기준이상이하므로태 그분석을통해사이트를바라보는사람들의관점을파악해 보는것은의미론적인의의가있다고생각한다. 특히, 최근 네트워크는비슷한관심사를가진사람들끼리모여자신의 영역을확장시키고있으며관심사에서나타난태그를분류

해보는것은소셜서비스확장, 다양한비지니스모델을설 정할수있는가능성을모색해볼수있을것이다. 참고문헌 [1] 김상범, 이희욱, 황치규, 도안구, 대한민국웹 2.0 트렌드, 행복한나무, 2007. [2] Prentiss Riddle, "Tags: What are They Good for?",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5. [3] Ruey-Ming Chao, Sheng-Wen Lo, Jia-Nan Chang, "Using Tags to Construct the Digit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Nin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ltimedia, 2007. [4] 정은종, " 미국인터넷사용자들의태그이용현황 ", 정보통신정책, pp. 48~49, 2007. [5] Scott A. Golder and Bernardo A. Huberman,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Information Dynamics Lab, Hp Lab, 2006. [6] Harry Halpin, Valentin Robu, Hana Shepherd, "The Dynamics and Semantics of Collaborative Tagging", Proceedings of the 1st Semantic Authoring and Annotation, 2006. [7] 이경종, 공기현, 이상구, " 사용자선호도와태그간상관 도분석을통한태그기반협력적필터링기법", 가을학 술발표논문집, 제34 권, 제2 호, 한국정보과학회, pp. 72~77, 2007. [8] 김익현, 웹 2.0 시대의온라인미디어, KT 문화재단,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