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82EC7CFC0CCB6F3C0CCC6AE30352DB1E8BDC2BEF72E687770>

Similar documents
( )Kju269.hwp

Jkbcs016(92-97).hwp


10김묘선

Jksvs019(8-15).hwp

농림수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팥의대사성질환개선및기능성규명 에관한연구의최종보고서로제출 합니다 년 2 월 11 일 - 1 -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김범수

A 617

γ

Lumbar spine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KOL Slidekit (Sep 2005)

2018- PG Course편집.hwp

<30322E535453BABBB9AE2DC6EDC1FD2E687770>

Kaes010.hwp

( )Kjhps043.hwp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05. Roadmap to final diagnosis.hwp

(01) hwp

The Window of Multiple Sclerosis

3Å׸¶(12¿ùÈ£)3053.ok

<30352EC0CCBFACC0E72E687770>

<30322E535453BABBB9AE2DC6EDC1FD2E687770>

α α α α α

03.본문-sms.hwp

<B0A3C3DFB0E828C0DBBEF7292E687770>

한계를보였다 [7]. 미국의보고에따르면새롭게 C형간염바이러스에감염되는빈도는낮아졌지만전체간경화환자가운데만성C형간염에서악화된경우의비율이높아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1]. 이러한만성C형간염환자에서다양한혈액검사수치로계산되는공식들의결과를비교하여간섬유화정도를어떤공식이가장잘반영하는지

Jkbcs030(10)( ).hwp

스포츠과학 143호 내지.indd

배시현 Clinical application of liver stem cells: Beyond research 범위간절제술후간부전상태의치료로줄기세포를이용한임상시험결과들이보고되고있다. 자가증식과특정장기로분화, 유지하는기능을보유한성체줄기세포로는골수, 제대혈, 말초혈액에존재

(02.STS\(\272\273\271\256\).hwp)

<30372EC0CCC0AFC1F82E687770>

Kaes025.hwp

구로구민체육센터 여성전용 기구필라테스 강좌 신설 구로구시설관리공단은 신도림생활체육관에서 2014년도부터 시행하여 주민의 큰 호응을 얻고있는 기구필라 테스 강좌를 일자로 구로구민체육센터에 확대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구로구 관내 고객들의 니즈를 반영한 기

요약문 ( 한글 )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원저 Lab Med Online Vol. 9, No. 3: , July 진단면역학 만성 B 형및 C 형간염환자의간섬유화진단을위한비침습적혈액표지자평가 Evaluation of

Kbcs002.hwp

DBPIA-NURIMEDIA

목차 1. 서론 줄기세포의간세포분화능평가시고려사항 간세포분화능평가시험법 분

???? 1

Jkbcs032.hwp

012임수진


<303120C2F7B7CA2E687770>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2018- PG Course편집.hwp

1 원자와 분자, 그리고 이온 3 불꽃 반응, 분광계 원소는 다소 왜곡해서 원자라고 이해하자. 원소는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 그래서 불꽃에 넣으면 고유의 색을 띤다. 예를 들어 불꽃 속에서 나트륨은 노란색, 구리는 청록색을 띤다. 이를 불꽃 반응이라고 한다. 또한 각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Current update on immunization in cirrhosis

<30332EBFF8C0FA30332DC1B6BCBABFF B0A3C7E0B1B3C1A4C3D6C1BE292E687770>

( )Jkstro011.hwp

歯간학회지6-2.PDF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2학기신문.hwp

*2007BT

추계 Single Topic Symposium-편집.hwp

<30322EC1BEBCB3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30322DC6F7BDBAC5CDC3CAB7CF28B8F1C2F7295B315D2DC3D6C1BE2E687770>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30332EBABBB9AE2E687770>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7.ƯÁýb71ÎÀ¯È« š

1-1Çؼ³

Clinical Ultrasound Vol. 1, No. 1, May 2016 으로들어오는지방의양이많아지거나, 간내지방대사의이상, 간세포로부터지방분비의이상을야기할수있는매우다양한조건이그원인이될수있다. 임상적으로흔히접하는지방간의원인은비만, 당뇨병, 알콜과다섭취등이며, 뚜렷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Jkafm093.hwp

진단, 표시・광고법 시행 1년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hwp

레이아웃 1

1..

Postgraduate Course 2012 카테터를간정맥에위치한후압력을재면간정맥자유압 (free hepatic venous pressure) 을구할수있다. 여기 서간정맥의작은가지까지더깊숙이삽입한후압력을재면, 간내문맥혈관의압력을반영하는간정맥쐐 기압 (wedged hep

untitled

Can032.hwp

<303220C6AFC1FD20B1E8B9AEBFB D E687770>

(지도6)_(5단원 156~185)

Kjhps016( ).hwp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SI-1304 부처명 기획예산처 연구관리전문기관 산업기술연구회 연구사업명 정부출연 일반사업 연구과제명 생명통합정보시스템 활용 독창적 신약개발협동연구사업 기 여 율 1/1 주관기관 한국화학연구원 연구기간

(

untitled

<30332E B4EBC7D1B0A1C1A4C0C7C7D0C8B820BCADBFEFC1F6C8B820C3E1B0E82DC3D6C1BE2E687770>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228C3D6C1BE292E687770>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한약치료와표적항암요법 ( 아피니토 ) 을병행하여부분관해된신세포암간전이환자 1 례 Abstract Sung-Hwan Chang 1, Ji-Hye Park 1,2, Hwa Seung Yoo,2*

Microsoft PowerPoint - Young Seok Kim.pptx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KGM 부처명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사업명 전북분원운영사업 연구과제명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한 바이오매스/에너지 개발 주관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기간 2009년 01월 01일 ~ 2009년 12월

untitled

<30322E535453BABBB9AE2DC6EDC1FD2E687770>


<C3D6C1BEBFCFBCBA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1C8A3292E687770>

<30352EB0A3BAB4B8AE2E687770>

Transcription: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2009 ; 15 : 563-569 2009 년미국간학회하이라이트 간섬유화관련분야 연세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 김승업 Topics related to liver fibrosis Seung Up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009년미국간학회에서는 parallel session 중 Hepatic stellate cell biology 라는제목으로 6개의구연이있었고 late-breaking abstracts 중 Experimental fibrosis 라는제목으로 6개의구연이추가로발표되었으며포스터는 Fibrosis 라는주제로총 94개가전시되었다. 하지만 fibrosis 로 abstract CD를검색하면임상연구를포함하여약 380여개연구가검색되어많은연구가이루어지고있음을알수있었다. 이번에발표된연제들의내용은주로간성상세포의작용기전, 약물이나골수세포주입을통한간섬유화의치료시도, 간섬유화의비침습적진단등이주를이루었다. 그중에서개인적인관심을모았던몇개의연구를정리해보고자한다. 1. 골수세포에서유래한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이간섬유화에관여하는가? 1 네개의구연을비롯하여많은연제가 stem cell 치료와관련해서보고되었다. 그중에서구연으로발표된것하나와우수포스터상을받은연제하나를소개하고자한다. MMP-9은간내에원래존재하고있거나보충된대식세포 (macrophage),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 HSC) 와수지상세포 (dendritic cell, DC) 등에의해서만들어진다. 이렇게여러가지세포에서나온 MMP-9의역할은잘알려져있지않다. 본연구는골수에서유래한세포들에서나온 MMP-9의간섬유화과정에서의역할을규명하고자함이다. 우선 wild type female FVB mice를방사선처리를하였고 MMP-9 knock-out mice(ko mice) 에서나온골수세포를이식하였다. 한달간의회복기간후에 3개월동안 CCl4를복강내로주입하여간섬유화를유도하였다. 간섬유화정도는 Sirius red 염색을이용하였고간섬유화와관련된유전자의발현은 real-time PCR을이용하였다. Gelatinase zymogaphy는단백분해활성 (proteolytic activity) 을측정하는데사용되었고간내 DCs의성분 (composition) 은 FACS를이용하여검사하였다. Wild type과 MMP-9 deficient mice에서 DCs를추출하였고이것들을 DC에서나온 MMP-9 의 HSC에대한영향을보기위해 serum starved mice HSC와동시배양을하였다. 16시간의동시배양후에 thymidine incorporation을이용하여 HSC의증식을확인하였고, HSC에서추출된 mrna를이용하여간섬유화표지자검사를하였다. MMP-9 deficient mice의골수를이식받은군은 - 563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15. No. 4. 2009 wild type mice의골수를이식받은군보다간섬유화가많이진행된것을 Sirius red morphometry 로확인하였다. 역시 MMP-9 deficient mice의골수를이식받은군은 real-time PCR에서 alpha- SMA, collagen 1, TGF-beta, PDGF-R 등의 mrna 발현이증가하는것을확인하였다. Gelatinase zymography에서 MMP-9 deficient mice의골수를이식받은군에서 MMP-9의활성이없는것을확인하였지만 MMP-2의활성은두군에서차이를보이지않았다. FACS에서는 MMP-9 deficient mice의골수를이식받은군에서간섬유화가진행되는동안간내에더많은 DC retention 소견을보였고 conventional DC(cDC) 보다는 plasmocytoid DC(pDC) 로의변화를보였다. 따라서 pfc/cdc 가 MMP-9 deficient mice의골수를이식받은군에서의미있게증가하는것을알수있었다. 처리되지않은정상 mice의간내 DC는 murine HSC와동시배양에서 MMP-9에의존적으로간섬유화를억제하는소견을보였고 alpha-sma와 collagen 1의 mrna 발현을감소시키는소견을보였다. 결론 : 조혈세포 (hematopoietic cell) 에서유래한 MMP-9은간섬유화의진행을억제한다. 이러한세포로부터의 MMP-9이없는경우간섬유화의진행과간내의 DC 침윤 (infiltration) 과관련성을보인다. 이러한결과는조혈세포에서나온 MMP-9, 간의 DC의이동 (migration) 및간섬유화의경중과관련성이있음을시사한다. 논평 : 골수세포주입을통한간섬유화의치료가최근많이시도되고있고국내에서도만성간질환환자를대상으로연구되고있다. 본연구는골수세포의간섬유화치유과정에서 MMP-9의역할을 MMP-9 knock-out mouse의골수를이용하여증명한것이의의라하겠다. 2. CCl4 를이용한간섬유화모델에서 MMP-9에의한주입된골수세포의수송 (trafficking) 증대 2 최근보고에따르면골수세포주입으로간섬유화가호전된다는보고가있다. 그러나어떻게골수 세포가손상받은간조직으로이동하는지생체내에서는어떻게작용하는지에대해서는아직명확히밝혀지지않았다. 본연구의목적은 MMP-9 (-/-) knock-out mice(ko mice) 의골수세포를이용하여 MMP-9이어떠한역할을하고있는지에대한것과간섬유화의퇴행 (regression) 에어떠한영향을주는지보는연구이다. 첫번째 in vitro 실험으로 MMP-9 KO mice와 MMP-9(+/+) wild type mice에서골수세포를수집하였고 Matrigel invasion activity를 transwell chamber에서측정하였다. 두번째 in vivo 실험으로 8주동안 1주일에두번씩 1 ml/kg의 CCl 4 를복강내로주입하여 female C57/BL mice에간섬유화를유발하였다. 4주째에 EGFP 양성 male WT 과 KO mice( 모두 EGFP 양성 ) 에서추출한골수세포 (1 10 7 /mouse) 를정맥주사하였다 ( 각각 WT- TP군, KO-TP군 ). 대조군에는생리식염수를주입하였다 (non-tp군 ). Real-time qpcr, collagen content assay, 면역조직화학염색등을시행하였다. 첫번째 in vitro 실험에서는 WT-BM 세포가 KO-BM 세포보다 transwell chamber의아래쪽 chamber로 2.5배더이동하는것을확인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WT-TP군에서 KO-TP군에서보다약두배정도 EGFP(+) 세포들이중심정맥 (central vein) 주변의섬유화된간조직에서나타나는것을확인하였다. Real-time qpcr 에서도 EGFP와 sex-related Y chromosome expression이 KO-TP 군에서보다 WT-TP 군에서의미있게높았다. Sirius red 염색을통하여섬유화정도를분석하였을때 non-tp군에서는간섬유화가뚜렷하였으며그에비해 KO-TP 군에서는 50% 감소, WT-TP 군에서는 70% 의감소를 VH analyzer를통하여확인하였다. Collagen assay도비슷한소견을보였다. Alpha1 collagen의 mrna는 KO-TP군과 WT- TP군에서 non-tp 군에서보다의미있게감소하였다. 그러나 MMP-13과 MMP-9의발현은 WT-TP 군에서 KO-TP 군에서보다의미있게증가하는소견을보였다. TP군에서면역형광현미경으로관찰하였을때 EGFP(+) 세포는대식세포의표지자인 - 564 -

Seung Up Kim. Topics related to liver fibrosis F4/80에함께염색되었고그들중에서대부분은 MMP-9 과 MMP-13도함께발현되었다. 면역전자현미경으로 EGFP(+) 세포들이대식세포와비슷하게부풀어진세포질내에많은 lysosome을가지고있는형태를띠고있는것을확인하였다. 결론 : MMP-9은손상된간조직에골수세포가이동하는데중요한역할을한다. 주입된골수세포는거의대부분대식세포로분화되는것으로보이며 type 1 collagen의 down-regulation과 MMP-9 과 MMP-13의 up-regulation으로간섬유화의퇴행에도움을주는것으로보인다. 논평 : 위의연구처럼 MMP-9의역할을 MMP-9 KO mice를통하여증명한것이중요한의의라하겠다. 3. 장으로부터유래한세균성산물 (bacterial product) 에의한 MDR2 -/- knock-out mice에서의간섬유화의진행 : LPS와 Toll-like receptor 4의관여 3 최근장으로부터유래한세균성산물인 LPS가간섬유화의진행을초래한다고보고되어왔다. 장벽에있는혈관의투과성증가와세균성산물에대한반응성증가가간의염증을초래하고간섬유화와관련된여러가지매개인자를만들어낸다고보고되었다. 따라서본연구에서저자들은항생제를이용하여장내세균총 (gut flora) 을조절하여 MDR2 -/- knock-out (KO) mice에서간섬유화의진행을조절할수있는지를조사하였다. MDR2 -/- KO mice는생후 8주이내에간섬유화가자발적으로일어나며이러한 MDR2 -/- KO mice에게 neomycin(200 mg/kg/day) 을주거나또는 neomycin(200 mg/kg/day) 과 polymyxin B (PMX-B: 100 mg/kg/day) 를함께 4주에서 8주동안먹는물을이용하여투여하였다 ( 각군은 5~6마리 ). 두가지의항생제는모두 G(-) 세균에게작용하며장내흡수가굉장히적기때문에 (<4%) 항생제에의한간에대한영향은배제할수가있다. 대조군은항생제를투여하지않은 MDR2 -/- KO mice를이용하였다. 8주후에간조직을확인하였을때항생제를투여하지않은군에서는간섬유화가진행된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간섬유화는항생제투여로감소하는것을 hydroxyproline의양을측정함으로써확인할수있었으며두가지항생제를모두투여한군에서는대조군에서보다의미있게감소하였고 (526±31 vs. 469±14 µg/liver, P<0.05), neomycin 단독으로투여한군에서는감소는하였지만통계적으로유의하지는않았다 (582±74 µg/liver, P=ns). Real-time PCR을이용하여 IL-8의 mrna 와 TNF-alpha 등염증물질들의농도를측정하였을때에도 neomycin 단독군에서대조군보다는감소하는소견을보였지만통계적인의미는없었고 neomycin과 polymyxin 병합투여군에서만대조군보다의미있게감소하는소견을확인할수있었다. 섬유화관련물질 (procollagen-1 alpha1, TIMP-1, MMP-2, TGF-beta1, TGF-beta2의 mrna) 과담도세포표지자 (ITGb-6) 도복합투여군에서의미있게감소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이용한분석에서는두가지의항생제를투여받은 MDR2 -/- KO mice에서대조군에서보다 Kupffer cell의활성도를반영하는 MHC class II와 Toll-like receptor 4(TLR4) 의표현이의미있게감소한것으로볼수있었고, 간성상세포의활성도를반영하는 desmin positivity가의미있게감소하는것을볼수있었다. 이러한것으로유추해볼때 neomycin 단독으로는효과가없거나있어도한계가있을가능성이있고, polymyxin이세균의 LPS에결합해야지효과가나타나는것을알수있었다. 결론 : 세균성부산물, 특히 LPS는 TLR4와 MHC class II를통하여 MDR2 -/- mice에서간섬유화를일으킨다. 따라서항생제의사용이장에서 LPS의생성을억제하거나또는결합하여 in vivo 에서간섬유화를개선시킬수있을것으로보인다. 논평 : 이전많은연구에서 TLR4를통한 LPSmediated signaling이간섬유화에중요한역할을한다는것은밝혀져왔다. 하지만 in vitro나 mice 를이용한 in vivo 실험이주를이루고있어임상적인유용성에대해서는향후더많은연구를통해 - 565 -

대한간학회지제 15 권제 4 호 2009 밝혀져야할것으로생각한다. 4. Choline-deficient L-amino acid-defined 식이로유발된간경변 rat에서 rosuvastatin 의간섬유화및 enzyme-altered lesion에대한효과 4 비알콜지방간염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은간섬유화를진행시키고결국간세포암종의발생까지조장할수있다. 고지혈증 (hyperlipidemia) 은 hydroxyl radical을생성함으로써지방간의위험성을높일뿐만아니라발암과정과도관련이있다고보고되었다. 이에현재까지사용가능한 statin 중에서가장효과가좋다고증명된 rosuvastatin을이용하여간섬유화억제효과를연구하였다. Rosuvastatin의효과는 choline-deficient L-amino acid-defined(cdaa) 식이를통해만들어진간섬유화모델을이용하였고, 일반식이군과 CDAA 식이군, CDAA와 rosuvastatin 병합식이군으로나누어서실험을진행하였다 ( 각군당 10마리씩 ). 간섬유화의평가는 Azan, Sirius-red, alpha-sma, TGF-beta, hydroxyproline을측정하였고 enzymealtered lesion의분석은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gst-p) 을이용하였고, type-1, 2 mrna는 Real-time PCR을이용하였다. 추가로간내의 IL-1b, 2, 4, 6, 10, MCP1, TNF-alpha, CRP, TGF-beta, ACRP30, PDGF-beta를측정하였다. 식이 12주후에 rosuvastatin은용량과비례 (dose-dependent) 하여 Azan, Sirius red, alpha- SMA, TGF-beta expression에서간섬유화를예방하는쪽으로작용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간의 hydroxyproline level은 CDAA 식이군에서는평균 12.1 µmol/wg였지만 CDAA와 rosuvastatin의병합식이군에서는 4.4 µmol/wg으로의미있는차이를보였다 (P<0.05). 추가로 rosuvastatis은 GST-P 염색에서전암병소 (pre-neoplastic lesion) 의감소효과도있는것으로나타났다 (P<0.01). 병합식이군에서 ALT(P<0.05), albumin(p<0.01), hyaluronic acid(p<0.01) 등의검사에서도 CDAA 단독식이군보다호전되는소견을보였다. 병합식이군에서 Type 1 procollagen, TIMP-1, 2, TGF- beta mrna 발현이의미있게억제되는것을확인하였고 ( 모두 P<0.01), IL-6의감소, IL-10과 ACRP30 의증가소견도확인하였다. 결론 : Rosuvastatin은 CDAA 식이로유발된간섬유화모델에서간섬유화를호전시키는것이확인되었다. 논평 : Statin, angiotensin-blocking agent들이간섬유화호전을위해서많은연구가되고있다. 하지만인간을대상으로한연구는많지않은것이현실이다. 앞으로이러한약물의간섬유화에대한역할과유용성에대해서많은연구가더진행되어야할것으로생각한다. 5. 만성알코올간질환환자에있어 angiotensin 억제제의간섬유화에대한효과 : 전향적연구 5 최근연구에따르면 renin-angiotensin system 이 in vitro와 in vivo에서간섬유화와관련이있다고보고되었다. 하지만만성알코올간질환환자에서그효과를조직학적으로증명한연구는없다. 따라서본연구자들은 aniotensin II 억제제를이용하여만성알코올간질환환자에그효과가어떤지연구하였다. 47명의환자를대상으로하였고두군으로나누어 6개월동안한군에게는 candesartan 8 mg을 ursodeoxycholic acid 200 mg과함께매일투여 (n=24) 하였고다른한군은대조군으로 ursodeoxycholic acid 200 mg만매일투여 (n=23) 하였다. 모든환자는약물투여전후에간조직검사를받았다. Trichrome 염색으로섬유화의변화를확인하였으며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alpha- SMA의변화를확인하였고 hydroxyproline 등을측정하였다. 간조직내의 TGF-beta, collagen, angiotensin type I receptor(at1), TIMP-1, Rac1, p22phox 등을 real-time PCR로확인하였다. 간섬유화의정도는두명의병리학자가평가하였고연구기간동안알코올의섭취에대해서면밀히조사되었다. - 566 -

Seung Up Kim. Topics related to liver fibrosis 6개월간의약물투여후에 candesartan을투여받은군은대조군보다간섬유화의면적이감소되는것을확인하였다 (11.2±6.0 to 8.2±5.1; P<0.05 vs. 8.7±4.8 to 9.6±6.5; P>0.05). Hydroxproline 의양도 candersartan을복용한군에서대조군보다의미있게감소하는것을확인하였다 (7.5±2.6 to 5.7±1.9; P<0.01 vs. 7.6±2.9 to 8.4±3.5; P>0.05). Oxidative stress를반영하는 Rac1과 p22phox, 간성상세포와관련된 TGF-beta, realtime PCR로측정한 collagen, AT1, TIMP-1 등모두 candesartan을복용한군에서의미있게감소하는것을확인하였다 ( 모두 P<0.05). 하지만 Child- Pugh 점수와 MELD 점수는치료시작전후에의미있는차이가없었다. 약물투여로인한심각한부작용은관찰되지않았다. 결론 : 만성알코올간질환이있는환자에게서 angiotensin II 억제제는간섬유화의호전을유도하는것으로보인다. 논평 : 본연구는앞의연구와마찬가지로약물을투여하여만성간질환에의한간섬유화의호전을유도하려는연구중하나이다. 특히, 인간을대상으로하고연속적인간조직검사를통해서간섬유화의호전을직접적으로증명했다는데중요한의의가있으며앞으로더많은연구가인간을대상으로시행되어야할것이다. 6.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arfi) 를이용한간섬유화의비침습적진단 6 총 7개의 ARFI에관한초록은모두포스터로발표되었다. 간섬유화의진단의 gold standard 이지만침습적인간조직검사를대신하기위한다양한방법들이최근소개되고있으며그중에서 transient elastography(fibroscan ) 에관한연구가많이되어왔다. 최근에는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arfi) 를이용한새로운기술이개발되었고간섬유화의비침습적진단에도입되고있다. 고전적인 B-mode 초음파에조직의탄성률을측정할수있는것이동시에장착되어있는것으로간섬유화뿐만아니라유방, 심장, 대장, 전립선등의장기 에도활용되고있다. 본연구는 38명의만성간질환을가진환자를대상으로 FibroScan 과 ARFI를비교한연구이다. 만성간질환의원인으로는 C형간염 19명, B형간염 2명, PSC 1명, PBC 1명, NASH 6명, druginduced liver injury(dili) 1명, 원인미상 8명이었으며남자는 22명, 여자는 16명이었다. ARFI를이용한탄성률측정은간의양쪽에서시행되었다 (ARFI-Rt, ARFI-Lt). FibroScan 의경우세명의환자에서는비만으로인하여측정이불가하였으나 ARFI는모두측정이가능하였다. ARFI-Lt 가거의모든경우 ARFI-Rt 보다높은경향을나타내었으나밀접한관련성을보였다 (r 2 =0.1098). 바이러스와관련된만성간질환환자만을대상으로분석하였을때 FibroScan 으로측정된것과 ARFI-Rt 와의관련성 (r 2 ) 은 0.512였고, ARFI-Lt 와의관련성 (r 2 ) 은 0.483이었다. F1 vs. F2 를구별하는 AUROC는 ARFI-Rt, ARFI-Lt, FibroScan 에서각각 0.698, 0.738, 0.656이었고, F2 vs. F3에서는각각 0.792, 0.862, 0.914였으며, F3 vs. F4에서는 0.848, 0.840, 0.985였다. ARFI의관찰자간일치계수는 0.98로높은소견을보였다. 결론 : 간섬유화를예측하는 ARFI의효과는전체적으로좋아보이지만특히, 간섬유화가심하지않은경우에 ARFI가 FibroScan 보다정확한것으로보이고, 간섬유화가심할경우는 FibroScan 의정확성이높아지는것으로보인다. 논평 : 최근 FibroScan, MR elastography, diffusion-weighted MRI, ARFI 등간섬유화를예측하기위한다양한 modality 들이연구되고있다. 그중 ARFI는탄성률을측정하고자하는부위를조정할수가있고실시간으로간조직을관찰하면서탄성률을측정할수있는장점이있지만아직많은연구가보고되어있지않아그유용성에대해서는앞으로많은연구를통해확인되어야할것이다. 7. 완치된만성 C형간염환자에서 FibroScan 을이용한간탄성률의변화 7 FibroScan 에관한연구는 2개의구연과 30여 - 567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15. No. 4. 2009 개의포스터발표가있었다. 그중구연으로발표된연구를하나살펴보고자한다. 본연구는덴마크의 4개의병원에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인터페론과리바비린의병합치료를받은 114명의환자를대상으로하였다. 간섬유화의퇴행의측정은 FibroScan 을이용하였다. 10명 (8.8%) 의환자에서측정이불가능하여남은 104 명의환자 ( 남자 65명 / 여자 39명, 중앙연령 53세, 중앙 BMI는 25.0 kg/m 2 ) 를분석하였다. 66명 (63.4%) 의환자는지속바이러스반응 (sustained virological response, SVR), 10명은치료후에재발 (relapse) 하였고 28명의환자는무반응 (non-responder) 을보였다. 중앙관찰기간은 SVR군에서 47( 범위 : 27~74) 개월, non-responder에서 48(31~73) 개월이었다 (P=0.44). 간탄성률수치에서 Metavir scale로의변환시 F2는 7.7 kpa, F4는 13.0 kpa을기준치로하였다. FibroScan 으로측정된탄성률수치는 SVR을보이는군에서그렇지않은군보다의미있게낮았다 (P<0.001). SVR을보인환자군에서중앙간탄성률은 5.6(4.8~7.1) kpa였고 SVR을보이지않은군에서는 11.1(7.2~24.8) kpa를보였다. 치료시작전에 F4 소견을보였고치료후에 SVR 을보인 19명의환자중에서 11명 (57.8%) 은치료후에 7.7 kpa보다낮아졌으며, 7명 (36.8%) 은 7.7 kpa에서 13.0 kpa 사이의소견을보였고, 한명 (5.3%) 만이 13.0 kpa보다높은수준을유지하였다. 치료시작전에 F2/3 소견을보였고치료후에 SVR을보인 28명의환자중에서 26명 (92.9%) 은치료후에 7.7 kpa 이하의소견을보였고, 나머지두명은 7.7 kpa에서 13.0 kpa 소견을유지하였다. 결론 : 만성 C형간염환자에서인터페론과리바비린의병합치료후에 FibroScan 으로측정된간탄성률은 SVR을보인환자에서 SVR을보이지않은환자에서보다의미있게낮았고이는성공적인만성 C형간염의치료는간섬유화의퇴행을유도한다는것을의미한다. 병합치료전에간경변소견을보였지만성공적인치료를받고 SVR을보였던환자중에서 57.8% 는치료후에정상간탄성률수치 를보였고단지 5.3% 에서만이간경변증을시사하는간탄성률수치로유지되는것을확인하였다. 논평 : 상기연구는이전에연속적인간조직검사를통해증명되었던항바이러스약물에의한간섬유화의퇴행에관한연구를바탕으로 FibroScan 을이용하여간접적으로간섬유화의퇴행을예측할수있는지에대한연구이다. 지금까지만성 C형간염의치료중또는치료후에 FibroScan 을이용하여측정된간탄성률의변화에대한연구는일부있었으나, 8,9 이러한연구들은모두연속적인간조직검사를통해서 FibroScan 의유용성이증명된것이아니라결과를신뢰하기는어려운실정이며, 만성 B형간염에대한자료는전무한실정이다. 연속적인조직검사의시행이현실적으로어려우나향후전향적으로연속적인간조직검사와 Fibro- Scan 의비교연구를통해그유용성이증명되어야하겠다. 참고문헌 1. Jiao J, Merad M, Sastre DA, Friedman SL, Aloman C. Matrix metalloproteinase 9 produced by bone marrowderived cells regulates hepatic fibrogenesis [Abstract]. Hepatology 2009;50(Suppl 4):384A. 2. Zhang W, Kawai K, Takahara T, Xue F, Han H, Kudo H, et al. MMP-9 promotes the trafficking of transplanted bone marrow cells that attenuate hepatic fibrosis in chronic CCL4 liver injury [Abstract]. Hepatology 2009; 50(Suppl 4):809A. 3. Poelstra K, Popov Y, Sverdlov DY, Sharma A, Schuppan D. Gut-derived bacterial products drive progression of liver fibrosis in MDR2 -/- mice: involvement of LPS and TLR4 [Abstract]. Hepatology 2009;50(Suppl 2):819A. 4. Yamamoto N, Uchida K, Terai S, Yamasaki T, Sakaida I. Rosuvastatin prevents liver fibrosis and enzyme-altered lesions in rat liver cirrhosis induced by a choline-deficient L-amino acid-defined diet [Abstract]. Hepatology 2009;50 (Suppl 4):832A. 5. Kim MY, Baik SK, Jang YO, Yea CJ, Won CS, Byun JW, et al. The beneficial effect of angiotensin-blocking agent on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bstract]. Hepatology 2009;50 (Suppl 4):812A. 6. Saito H, Ebinuma H, Ojiro K, Cho H, Umeda R, Usui S, et al. Efficacy of liver stiffness measurement using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 in comparison with fibroscan [Abstract]. Hepatology 2009;50(Suppl 4):742A. - 568 -

Seung Up Kim. Topics related to liver fibrosis 7. Andersen ES, Moessner BK, Christensen PB, Kjaer MS, Weis N. Significant decline in liver stiffness during four years of follow-up among patients cured for hepatitis C [Abstract]. Hepatology 2009;50(Suppl 4):404A. 8. Vergniol J, Foucher J, Castéra L, Bernard PH, Tournan R, Terrebonne E, et al. Changes of non-invasive markers and fibroscan values during HCV treatment. J Viral Hepat 2009;16:132-140. 9. Barreiro P, Labarga P, Martín-Carbonero L, Amor A, Ruiz-Sancho A, Castellares C, et al. Sustained virological response following HCV therapy is associated with non-progression of liver fibrosis in HCV/HIV-coinfected patients. Antivir Ther 2006;11:869-877. - 5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