Á¦È¯ÁØ

Similar documents
(

ÃÖÇö¿í

012임수진

노영남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 8 : 경요골동맥중재술에서심좌법의유용성에관한연구 최해종 김무현 양창호 차광수 김혜진김성근 이수훈 김상곤 김영대 김종성 Usefulness of Deep Seating Tec

황지웅

( )Jkstro011.hwp

서론 대상 대상및방법 방법 1821

A 617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1999;29 9 : Bifurcated Stent-Graft Vanguard 를이용한 복부대동맥류의경관적치료 심원흠 1 최동훈 1 윤영섭 1 이도연 2 장병철 3 Bifurcated S

Lumbar spine

005송영일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637

±èÇ¥³â

Ȳ¼º¼ö

127~133특집_서준범

김범수

hwp

Kbcs002.hwp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 )Kjhps043.hwp

1..

Can032.hwp

³ëº´¼®


untitled

Case Reports Korean Circulation J 2002;32 5 : 말초동맥폐쇄환자에서경피적경혈관중재술시행후 발생한구획증후군 2 예 정재헌 민필기 구본권 권기환 고영국 변영섭 최동훈 Two Cases of Compartment Syndrome

( )Kju269.hwp

¼Û±âÇõ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313220C1F5B7CA D B9DABFB5C1D62DC0CCC7D1C3B62E687770>

¾ç½ÂºÎ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untitled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대한영상의학회지 2010;63: 천대퇴동맥스텐트골절발생의위험요인및임상적연구 : Prote ge GPS 스텐트 1 이다운 김재규 정혜두 허태욱 임남열 오현준 장남규 2 최수진나 3 목적 : 천대퇴동맥스텐트 (Prote ge GPS) 골절의발생빈도를평가하고,

590호(01-11)


139~144 ¿À°ø¾àħ

Microsoft Word - 순3-9.doc

<313920C1F5B7CA C1B6C7F6BFC12DC1B6C0B1B0E D E687770>

김준석외 : 슬와동맥 P2 와 P3 분절의협착및폐쇄병변에 Cutting Balloon 을이용한경피적혈관성형술의초기결과보고 1.0~1.1배정도를과측정 (oversizing) 하여풍선의직경을정하는것을원칙으로하는데 (12), 국내에서말초혈관용으로사용이가능한 cutting b

<313220BCD5BFB5B9CCC1B6BFF8C0CF2E687770>

Microsoft Word - 순7-8.doc

04조남훈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12.ÀÇÇа�ÁÂc10«±âõ-42~552

untitled

歯1.PDF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134~142특집_최병욱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3135C1F5B7CA C1B6BCB1BFB52DB0ADC5C2BCF D E687770>


Jkbcs012( ).hwp

<30372EC0CCC0AFC1F82E687770>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Kaes017.hwp

Jksvs019(8-15).hwp

Àå¾Ö¿Í°í¿ë ³»Áö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歯kjmh2004v13n1.PDF

untitled

DBPIA-NURIMEDIA

(49-54)Kjhps004.hwp

Trd022.hwp

untitled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박수영외 대상과방법 대상환자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는이연구를면제상태로인정하였다 년 10 월부터 2014 년 1월까지본원에서 SEAL 스텐트그라프트를삽입한환자는총 43 명으로이중에서외상성대동맥박리 (2명), 감

Microsoft Word - 순2-7.doc

untitled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서론 대상및방법 대상환자 스텐트시술방법 관동맥조영술상분석 추적검사및정의 997

( ) Jkra076.hwp

Case Reports Korean Circulation J 2000;30 11 : 심근경색후재발하는심실세동환자에서 삽입형심실제세동기치료 1 예 문원 1 김준수 1 허상택 1 이상 1 이성윤 1 권현철 1 박승우 1 김덕경 1 이상훈 1 홍경표 1 박정

16_이주용_155~163.hwp

ºÎÁ¤¸ÆV10N³»Áö

<313320C1F5B7CA C0CCB5BFC1D82DC8ABB8EDB1E D E687770>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Â÷¼øÁÖ

7 1 ( 12 ) 1998.,. 5 ( ) ( ) ( ) ( ) ( ) ( ). 4) ( )..,. 5) ( ).,, ( ) ( ). 6)., 2, ( )., ( ) ( ).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서 론 관찰대상및방법 Fig. 1. Construction of the Crosswire TM distal tip.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esion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Age year

44-4대지.07이영희532~

untitled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è¹ÎÁö

Jkbcs016(92-97).hwp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Jkbcs032.hwp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31312E20C1F5B7CA BEE7B9CCC1F82DB1E8BBF3C7CA2E687770>

03-ÀÌÁ¦Çö

Transcription:

129

제환준 외: 좌내유동맥-관상동맥 우회술 환자에서 동반된 좌측 쇄골하동맥 협착에 대한 중재적 치료 로가 있거나, 좌내유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 을 예정인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남자 15명, 여자 7명이었고 연령분포는 55-77 세, 평균연령은 69.3세였다. 시술 방법 쇄골하동맥 협착에 대한 중재적 시술은 방사선과 내의 혈관 조영실에서 국소 마취 하에 시행되었으며, 디지털감산 혈관촬 영기(ngiostar;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사용하였 다. 천자부위는 총대퇴동맥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쇄골하동맥 의 완전 폐색이나 총대퇴동맥을 통한 협착 부위의 접근과 통 과가 어려울 경우 필요에 따라 상완동맥이나 액와동맥을 천자 하였다. 모든 예에서 7 F 피포(sheath)를 사용하였으며, 총대 퇴동맥을 통해 접근 시에는 80 cm 길이의 피포(Shuttle introducer sheath; Cook, loomington, U.S..)를 사용하였다. 동맥 천자 후에는 3,000-5,000 단위의 헤파린을 투여하였다. 5 F 돼지꼬리(pigtail) 카테터를 삽입하고 디지털감산 혈관 촬영기를 이용하여 대동맥궁 혈관조영상을 얻어 쇄골하동맥의 협착 부위와 정도를 확인하였다. 혈관의 협착이나 폐쇄 부위 통과는 적절한 모양의 5 F 카 테터와 0.035 inch 유도철선을(Terumo, Tokyo, Japan) 이용 하였다. 유도철선이 병변 부위를 통과한 후 5 F 카테터를 유 도철선을 따라 통과시켜 병변의 전후 혈압차를 측정하였다. 병 변의 위치와 형태, 협착 정도를 고려하여 혈관성형술이나 스 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였으며, 협착 병변이 쇄골하동맥 기시부 위이거나, 편심성의 협착, 석회화 플라크가 동반된 경우에는 스 텐트 삽입술을 선택하였다. 혈관성형술은 병변 주위에 정상으로 보이는 혈관부위를 기 준 직경으로 하여 풍선과 혈관의 비율이 1 1 내지 1.1 1이 되게 풍선 카테터(Ultra-Thin; oston Scientific, Natick, U.S..)를 선택한 다음 0.035 inch Extra-stiff 유도철선(Cook, loomington, U.S..)을 통해 병변 부위를 통과시킨 후 팽창 기(Inflator; Guidant, Indianapolis, U.S..)를 이용하여 9-10 기압으로 확장하였다(Fig. 1). 스텐트 삽입시에는 병변의 길이, 혈관의 크기를 파악한 후 각 환자에서 적절한 크기와 길이의 스텐트를 선택하였다(Fig. 2). 원위부 색전이나 내막 박리 등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일 차적 스텐트 삽입술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완전 폐색 병변이 거나 협착 정도가 심해 스텐트가 협착 부위를 통과하기 어려 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4 mm 직경의 풍선 카테터 (Ultra-Thin; oston Scientific, Natick, U.S..)를 이용하여 스텐트 삽입 전에 혈관 성형술을 먼저 시행하였다. 스텐트 삽 입 후에는 혈관 조영을 시행하여 잔류협착이 남아 있는 경우 추가로 풍선 확장을 하여 20% 미만의 협착을 얻으려고 하였 다. 평가방법 및 추적 관찰 쇄골하동맥 협착에 대한 중재적 치료의 기술적 성공의 기준 C Fig. 1. 60-year-old woman presented with recurred angina due to subclavian artery stenosis. She underwent left internal mammary-coronary bypass graft operation 9 years ago.. rch aortography shows severe stenosis in the proximal left subclavian artery (arrow).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is not opacified on angiography probably due to reversed flow.. alloon angioplasty was performed using 8 mm 20 mm sized balloon catheter. C. Post-angioplasty aortography shows improved subclavian stenosis and left internal artery is well opacified (arrow). 130

대한영상의학회지 2006;55:129-135 은 혈관조영술상 잔존 협착이 20% 이내이거나 병소 전후의 수축기 압력차가 10 mmhg 이내인 경우로 하였다. 진료기록 을 통해 시술 전후의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추적 관찰은 외래진료를 통해 하였으며 필요할 경우 CT 혈 관조영술이나 추적 심도자 검사 등이 시행되었다. 추적 관찰 기간 중 쇄골하동맥의 재협착 여부나 그로 인한 흉통 등의 증 상 재발에 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및 시술의 특징 대상환자 중 좌내유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을 예정인 환자가 16명(관상동맥 우회술 전 그룹)이었으며, 이전에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아 좌내유동맥과 연결된 관 상동맥 우회로가 있었던 환자는 6명이었다(관상동맥 우회술 후 그룹). 관상동맥 우회술 전 그룹에서 쇄골하 동맥의 협착 은 심도자 검사(n=6)나 수술 전 CT 혈관촬영술(n=10)에서 발견되었으며, 임상적으로 뚜렷한 좌측 상지의 파행을 호소한 환자는 없었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 그룹에서 관상동맥 우회술과 좌측 쇄골 하동맥협착의 중재적 시술 사이의 기간은 평균 18개월이었으 나, 그 중 4명은 10일 미만이었으며 1명은 9개월, 1명은 103 개월이었다. 좌측 쇄골하동맥의 협착의 원인은 모든 예에서 동맥경화성 병변이었으며, 50% 이상의 쇄골하동맥 협착성 병변이 21예였 고, 쇄골하동맥의 완전 폐색이 1예 있었다. 병변의 위치는 쇄 골하동맥의 기시부가 8예 있었고, 쇄골하동맥의 근위부가 14 예 있었다. 천자부위는 상완동맥이 2예, 대퇴동맥이 18예였다. 나머지 2예에서는 대퇴동맥과 상완동맥 양쪽을 모두 천자하였는데, 그 이유는 5 F 카테터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심한 쇄골하동맥 협착이었기 때문에 상완동맥을 통해 협착 병변을 통과시킨 유 도철선을 대퇴동맥을 통해 낚아채어 양쪽에서 지지한 후 카테 터를 통과시킬 수 있었다. 스텐트 삽입술은 18예에서 시행되 었고, 나머지 4예에서는 경피적 혈관성형술만 시행되었다. 경피적 혈관성형술만 시행된 경우에는 모두 8 mm 직경의 풍선 카테터가 사용되었으며, 1예에서 혈관성형술 후 국소적 내막 박리가 발생하였으나 박리가 더는 진행하지 않고 혈류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아 스텐트 삽입 등의 추가 시술은 시행하 지 않았다. 스텐트를 삽입한 18예 모두에서 풍선확장형 스텐트를 사용 하였다. 사용한 스텐트는 Jostent (Jomed, Helsinborg, Sweden) 6예, Palmaz stent(cordis, Miami, U.S..) 2예, Genesis stent(cordis, Miami, U.S..) 10예였다. 스텐트의 직경은 6-10 mm였고, 길이는 17-40 mm였다. 쇄골하동맥의 완전 폐색이 있었던 1예와 95% 이상의 협착이 있었던 1예에서 4 mm 직경의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스텐 트 삽입 전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16예에서는 일 C Fig. 2. 74-year-old woman who was going to have left internal mammary artery-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Multiplanar reformatted image of CT angiography shows focal eccentric stenosis in the proximal subclavian artery (arrow).. ortography also shows focal stenosis in the proximal subclavian artery (arrow). C. fter deployment of 8 mm 24 mm sized balloon expandable stent, aortography shows excellent patency of the left subclavian artery. 131

Fig. 3. 55-year-old man who had a prior left internal mammary-coronary bypass graft.. rteriogram shows focal stenosis (arrow) in the left proximal subclavian artery and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is well opacified.. rteriogram obtained after placement of a stent shows improved subclavian stenosis, but stagnation of contrast media in the proximal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arrow) is also noted due to embolism occurred during the procedure. Immediate transcatheter intraarterial thrombolysis was performed with abciximab and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was successfully recanalized. 132

Fig. 4. 69-year-old man who has a left internal mammary artery-coronary artery bypass graft. He underwent a stent placement in the proximal left subclavian artery 29 months ago.. rteriogram shows in-stent stenosis in the proximal left subclavian artery (arrow).. rteriogram obtained after balloon angioplasty shows improved stenosis in the proximal left subclavian artery. 133

surgery. J m Coll Cardiol 1991;18:1120-1123 12. Herring M. The subclavian steal syndrome: a review. m J Surg 1977;43:220-228 13. Harjola PT, Valle M. The importance of aortic arch or subclavian angiography before coronary reconstruction. Chest 1974;66:436-438 1. Guidelines and indications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14. Cinar, Enc Y, Kosem M, akir I, Goksel O, Kurc E, et al. Carotidsubclavian bypass in occlusive disease of subclavian artery: more surgery. report of the merican College of Cardiology/merican Heart ssociation Task Force on ssessment of Diagnostic and important today than before. Tohoku J Exp Med 2004;204:53-62 Therapeutic Cardiovascular Procedures (Subcommittee on 15. Westerband, Rodriguez J, Ramaiah VG, Diethrich E. Coronary rtery ypass Graft Surgery). J m Coll Cardiol Endovascular therapy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ronarysubclavian steal. J Vasc Surg 2003;38:699-703 1991;17:543-589 2. Loop FD, Lytle W, Cosgrove DM, Stewart,RW, Goormastic M, 16. Olsen CO, Dunton RF, Maggs PR, Lahey SJ. Review of coronarysubclavian steal following internal mammary artery-coronary Williams GW, et al. Influence of the internal-mammary-artery graft on 10-year survival and other cardiac events. N Engl J Med artery bypass surgery. nn Thorac Surg 1988;46:675-678 1986;314:1-6 17. Gutierrez GR, Mahrer P, haronian V, Mansukhani P, russ J. 3. Kay HR, Korns ME, Flemma RJ, Tector J, Lepley D, Jr. Prevalence of subclavian artery stenosi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vascular disease. ngiology 2001;52:189-194 therosclerosis of the internal mammary artery. nn Thorac Surg 1976;21:504-507 18. Demir I, Yilmaz H, Sancaktar O. Coronary subclavian steal syndrome: treatment by stenting of the left subclavian artery. Jpn 4. Singh RN. therosclerosis and the internal mammary arterie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83;6:72-77 Heart J 2002;43:79-84 5. arner H. Double internal mammary-coronary artery bypass. 19. Ringelstein E, Zeumer H. Delayed reversal of vertebral artery rch Surg 1974;109:627-630 blood flow following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for 6. Green GE. Rate of blood flow from the internal mammary artery. subclavian steal syndrome. Neuroradiology 1984;26:189-198 Surgery 1971;70:809-813 20. Sullivan TM, Gray H, acharach JM, Perl J, Childs M, 7. Geha S, Krone RJ, McCormick JR, aue E. Selection of coronary bypass. natomic, physiological, and angiographic consideraclavian, innominate, and common carotid arteries in 83 patients. J Modzelewski L, et al. ngioplasty and primary stenting of the subtions of vein and mammary artery grafts. J Thorac Cardiovasc Surg Vasc Surg 1998;28:1059-1065 1975;70:414-431 21. Jones RD, Uberoi R. Subclavian artery angioplasty for the treatment of angina using a double balloon technique to protect a left 8. rown H. Coronary steal by internal mammary graft with subclavian stenosis. J Thorac Cardiovasc Surg 1977;73:690-693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Eur Radiol 2002;12:908-910 9. Tyras DH, arner H. Coronary-subclavian steal. rch Surg 1977; 22. ecker GJ, Katzen T, Dake MD. Noncoronary angioplasty. 112:1125-1127 Radiology 1989;170:921-940 10. Kugelmass D, Kim D, Kuntz RE, Carrozza JP, Jr., aim DS. 23. Henry M, mor M, Henry I, Ethevenot G, Tzvetanov K, Chati Z. Endoluminal stenting of a subclavian artery stenosis to treat ischemia in the distribution of a patent left internal mammary graft. Endovasc Surg 1999;6:33-41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of the subclavian arteries. J Cathet Cardiovasc Diagn 1994;33:175-177 24. Millaire, Trinca M, Marache P, de Groote P, Jabinet JL, Ducloux 11. Shapira S, raun SD, Puram, Patel G, Rotman H. Percutaneous G. Subclavian angioplasty: immediate and late results in 50 patients. Cathet Cardiovasc Diagn 1993;29:8-17 transluminal angioplasty of proximal subclavian artery stenosis after left internal mammary to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bypass 134

Endovascular Therapy of Left Subclavian rtery Stenosis in Patients with Left Internal Mammary-Coronary rtery ypass Graft 1 Hwan Jun Jae, M.D., Jae Hyung Park, M.D., Cheong Il Shin, M.D., yung Jin Lee, M.D., Young Kwon Cho, M.D., Jin Wook Chung, M.D. 1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stitute of Radiation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Research Center, and Clin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 and stenting of left subclavian artery (LS) stenosis in the patients with a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LIM)-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1998 to November 2005, significant proximal LS stenoses were treated with PT and stenting in 22 patients (15 men and 7 women) who had a prior LIM-coronary artery bypass graft or who were willing to undergo LIM-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 technical success rates, complications and restenosis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Six patients had a prior LIM bypass graft and 16 patients were treated before thei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The etiology of the LS stenosis was atherosclerosis in all patients.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PT only, and stents were placed in 18 patients.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n embolism in the proximal LIM occurred after stenting in one patient, and the LIM was recanalized with transcatheter thrombolysis. During a mean follow-up of 30 months, only one patient was found to have recurrent LS stenosis 29 months after stenting and this patient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angioplasty. Conclusion: Endovascular therapy is useful and efficacious for the treatment of LS stenosis in patients with a LIM-coronary artery bypass graft. Index words : Stents and prostheses rteries, internal mammary Coronary vessels, surgery ddress reprint requests to : Jae Hyung Park, M.D.,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8, Yongon-dong, Ch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2072-2512 Fax. 82-2-743-6385 E-mail: parkjh@radcom.snu.ac.kr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