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1 1) 김윤정 ( 와이즈만센터, 위스컨신주립대학 ) 김윤정.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2003, 제8권, 제1호. 168-182. 단음절반복과제 (AMR) 란대상단음절 (monosyllable) 을빠르고, 안정적으로반복하는과제로, 운동말장애 (motor speech disorder) 환자의유형을진단하고증상의정도를판단하는데매우유용한과제중하나로간주된다. 본연구에서는말실행증환자의 퍼, 터, 커 세음절 AMR 결과를, 특히시간에따른변화 (temporal variability) 에초점을맞추어과제수행특성을밝히고자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연구결과와같이음절반복속도는정상인보다다소느리고, 매우불규칙한것으로나타났으나, 반복횟수가거듭될수록음절길이및음절간길이평균, 표준편차등을포함한과제수행양상이비정상적으로변해, 점차음절반복속도도느려지고불규칙정도도심해졌다. 특히구간 1에서는정상인보다도더빠른음절반복속도를보여, 마비말장애환자와손상의기제가다름을알수있었다. 에너지강도는최대값과최소값모두정상인보다큰표준편차를보여역시에너지강도도불규칙적으로변화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실험결과를바탕으로말실행증환자의경우시간, 즉 AMR 반복횟수가다른환자군과달리과제수행에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로서기능하며, 따라서말실행증환자의 AMR 과제에서는시간영역 (time domain) 에대한고려가필수적임을밝혔다. 핵심어 : 말실행증, 단음절반복과제, 음절반복속도, 에너지강도 Ⅰ. 서론 단음절반복과제 (Alternating Motion Rates: AMR 또는 Diadochokinesis: DDK, 이하 AMR) 는턱, 입술, 혀의반복적인운동속도와규칙성을판단하는데유용하여, 말운동장애 (motor speech disorders) 의임상적판단에많이이용되고있으며, 또한전통적인환자평가도구들에도널리포함되어쓰이고있다 (Duffy, 1995; Tjaden & Watling, in press). 특히최근 Zigler (2002) 의연구에서는문장산출 (sentence production) 과제보다도 AMR 과제가환자유형이나손상정도등과더욱밀접한상관관계를보인다하여 AMR과제의유용성을강조 1 이논문은 2000 년도 BK21 고려대학교한국학교육연구단연구지원비에의하여연구되었음. 168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한바있다. AMR 과제란환자로하여금가능한한빨리, 정확하고오랫동안한음절을반복발화하도록하는것으로, 퍼, 터, 커 음절의반복이주로이용된다. 이과제는언어적요인을최소화한 (language-independent) 자극으로환자의말산출과관련된근육의협응 (coordination) 등을관찰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 많은연구들이 AMR 결과를이용하여말운동장애환자군을변별하고증상의정도 (severity) 를기술하고자대량의자료들을보고하였으며 (Duffy, 1995), 이들연구의결과로환자유형별특성이수량화된자료도다수제시되어있다. AMR 과제를통해서는주로음절의반복속도 (syllable rate) 와음절길이 (syllable duration) 및음절간길이 (inter-syllable duration), 그리고에너지의강도변화등을살펴볼수있는데, 이는 Kent et al. (1999) 에서제시한 AMR 분석원리 (protocol) 을기반으로한것이다. 선행연구들의결과를살펴보면일반적으로마비말장애나말실행증과같은말운동장애환자들의 AMR 속도는정상인보다느리다고알려져있다 (Duffy, 1995; Duffy & Folger, 1996; Portnoy & Aronson, 1982). 가령실조형마비말장애환자 (ataxic dysarthria), 경직형마비말장애환자 (spastic dysarthria), 그리고 UUMN (unilateral upper motor neuron) 마비말장애환자는정상인보다느린 AMR 속도를보인다고한다. 특히 Ozawa et al. (2001) 에서는속도뿐만아니라음절길이와음절간길이의비율에의해서도환자의유형을판단할수있다고주장하였다. 이들에따르면, 실조형마비말장애환자와경직형마비말장애환자는공통적으로 AMR을느리게수행하지만, 그원인은다르다. 실조형마비말장애환자의 AMR 결과를보면, 음절과음절사이의구간길이가늘어나는경향을보이는데반해, 경직형마비말장애환자는음절간길이가아닌, 음절자체의길이가길어지는경향을보여이두환자유형은구분된다는것이다. 그러나 AMR 수행결과로환자유형을구분하기힘든경우도있는데, 예를들어파킨슨씨병에주로나타나는저운동형마비말장애환자 (hypokinetic dysarthria) 의경우에는연구자에따라느리거나 (Canter, 1965; Ludlow, Connor & Bassich, 1987), 혹은정상인과같거나 (Ackermann, Hertrich & Hehr, 1995; Connor et al, 1989), 심지어빠른속도를보이기도한다고보고하고있다 (Caligiuri, 1989; Hirose et al., 1981). 따라서이경우 AMR 결과를환자의변별적진단에하나의기준으로삼기보다는환자증상의정도를평가하는데이용하는것이바람직할것이다. AMR 연구에서는환자의단음절반복속도뿐만아니라환자발화의시간적불규칙성 (temporal irregularity) 도하나의변별척도가된다. 시간적불규칙성에대해서는상대적으로단음절반복속도에비해연구자들의일치된견해를발견할수없다. 그러나일반적으로실조형마비말장애환자는정상인보다확연하게시간적불규칙성을보여실조형마비말장애환 169
언어청각장애연구 자의 AMR 수행특성중하나로간주하며 (Portnoy & Aronson, 1982; Zigler & Wessel, 1996), 경직형, 저운동형의마비말장애환자들도정상인보다는불규칙적으로반복발화한다고한다 (Ackermann, Hertrich & Hehr, 1995; Kent et al., 1999). 한편시간적길이로관찰하지못하는환자특성이 AMR 에너지강도변화를통해관찰되기도한다 (Kent et al., 1999). 저운동형마비말장애환자나경직형마비말장애환자의경우, AMR 과제의음절간구간에고주파수대의소음에너지를자주보이는데, Weismer (1997) 는이현상을마찰소음화 (spirantization) 현상이라하여이들환자군의특성으로첨가하였다. 이외에에너지최대값과최소값을보면말운동장애환자들은대체로최대값과최소값사이의에너지범위가정상인보다좁고, 표준편차, 특히최소값의표준편차가크게나타난다고한다. 아직논의가진행중이기는하지만, 마비말장애환자에대한수치자료가상대적으로많이제시되고있는반면, 말실행증환자에관한자료는거의찾기어렵다. 이는다른말-언어적장애를동반하지않은순수한말실행증환자의절대적수가적고, 말실행증의개념및언어병리학적위치, 그리고증상에대한의심이여전히지속되고있기때문으로볼수있다. 지금까지행해진대부분의연구도이러한이유로사례연구에그치고있으며, 따라서말운동장애환자의변별적진단과치료를위해서는지금보다많은자료가보고되어야할것이다. 이에본연구는말운동장애의하위유형에함께속하기는하지만, 근육의약화및마비가없다는점에서마비말장애와구분되고, 느린발화, 비정상적운율 등의특성을갖는다고알려진말실행증환자의단음절반복과제를통해길이및에너지와관련된수량적자료를제시하고자한다. 뿐만아니라이수량적자료를정상인과비교하고, 마비말장애환자들을대상으로했던선행연구의결과와비교함으로써말실행증환자만의특성을살펴보고자한다. 분석은 Kent et al. (1999) 등에서제시한 AMR 과제의원리를따르되, 여러각도에서환자의수행특성을살펴보았다. 즉음절반복속도, 음절및음절간길이의비율, 에너지강도, 그리고이들의표준편차를중심으로말실행증환자의 AMR 수행결과를제시하였다. Ⅱ. 실험방법 1. 피험자및녹음방법 피험자 J 는 62 세의미국인남성환자로, 영어를모국어로하는환자이다. 4 개월전발 170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병하여미국미네소타주의메이요클리닉 (Mayo Clinic) 에서다른언어적장애나마비말장애를동반하지않았으나, 비구어구강실행증 (non-verbal oral apraxia) 을가진말실행증환자로진단받았다. 발병즉시환자는자신의발화의명료도 (intelligibility) 에대한불만을표시했으나임상적으로는명료도가비교적높게나타났다. 피험자 J에대한정보는 < 표 - 1> 과같다. 정상인자료는 5명의신경손상이없는미국화자들로, 나이를통제한집단이었다, 이정상인자료는 Kent et al. (1999) 에서제시되었던것이나본연구자가정상인자료로이용한것과같은자료이다. 피험자의발화는조용한환경에서디지털녹음기 (TASCAM DA-P1) 에녹음되었으며 (sampling rate 44.1 khz, quantization 16 비트 ), 마이크 (SHURE SM58) 와피험자와의거리는 10인치를유지하였다. 녹음자료의분석은 TF 32 프로그램 (Milenkovic, 2001) 에의해이루어졌다. < 표 - 1> 피험자정보 성별나이발병후기간병인유형 J 남 62 4 개월좌측뇌졸중 (Lt.-CVA) 말실행증 2. 과제 본연구에서는여러자음중에서 퍼, 터, 커 를분석대상으로하였다. 음절 퍼, 터, 커 는 AMR 과제에서가장많이이용하는음절들로, 이는같은조음방법의파열음이지만각각양순, 치조, 연구개의다른조음위치를갖기때문에조음위치에따른경향성도발견할수있기때문이다. 실험자는피험자에게각음절을가능한한빨리, 정확하고오랫동안반복발화해줄것을요구했으며, 녹음에앞서실험자가몇차례시범을보였다. 3. 분석 음절길이및음절간길이는파형 (waveform) 을통해측정했으며, 분석이모호한경우광역스펙트로그램 (300-400 Hz) 을참고하였다. 에너지의최대값과최소값은 RMS 창을띄워서측정하였다. 171
언어청각장애연구 Ⅲ. 실험결과 1. 음절반복속도 (syllable rate) 와시간적길이 (temporal duration) 피험자의음절반복속도와음절길이, 음절간길이의평균및표준편차는 < 표 - 2> 와같다. 먼저음절반복속도를보면, 모든음절에서반복속도가정상인보다느리게나타났지만, 음절 커 를제외하고는그차이가마비말장애환자와정상인만큼크지않았다. 음절 커 의경우에는반복속도가정상인보다두배정도느렸는데, 이는후에다시논의하기로하겠다. 음절 커 를제외한 퍼 와 터 의경우정상인평균속도와큰차이를보이지않지만, 흥미로운점은음절길이평균은정상인보다다소짧게나타나는반면, 음절간길이평균, 즉음절과음절사이구간은정상인보다훨씬길게나타난다는것이다. 또한표준편차도음절길이의경우정상인보다도작아, 길이는짧지만안정적으로유지되는반면, 음절간길이의경우큰편차를보여음절간길이구간이매우불규칙적으로반복되었음을알수있다. < 표 - 2> 에나타난실험결과를토대로전구간에걸친평균수치를보면피험자 J는정상인보다 (1) 음절길 < 표 - 2> 피험자 J 의음절반복속도, 시간적길이결과및비교자료 피험자 J 음절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간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수 / 초 정상인 음절길이평균음절간길이평균음절수 / 초 음절반복속도비교자료 ( 음절수 / 초 ) 마비말장애 (Kent et al., 1999) 음절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간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수 / 초 Kent et al. (2000) 음절퍼터커 61 (16) 142 (123) 5.0 76 (19) 80 (11) 6.6 124 (44) 110 (86) 4.5 72 (18) 92 (75) 6.1 91 (25) 61 (23) 6.7 142 (44) 101 (65) 4.1 ( 단위 : ms) 93 (16) 202 (179) 3.4 110 (26) 55 (11) 6.3 170 (52) 108 (75) 3.6 실조형마비말장애 4.1 3.9 3.8 Ptacek et al. (1966) 정상노인 5.2 5.0 4.6 172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이는짧게, (2) 음절간길이는길게, 특히 (3) 음절간길이를불규칙하게반복하여 (4) AMR 속도가정상인보다다소느리고, 마비말장애환자보다는빠른결과를보인다고해석할수있겠다. 그러나환자 J가보인음절의시간적길이와관련해서평균수치만으로 느리다 는단정지어논할수는없는데, 그이유는반복이지속되면서수행양상이크게달라지기때문이다. 시간의흐름에따른피험자의 AMR 추이를보기위해구간을구간 1, 구간 2, 구간 3의세구간으로나누었으며, 구간별결과를보면 < 표 - 3> 과같다. 구간을세개로구분한이유는시간에따른수행결과의이질성을극대화하기위해서이다. 또한세구간은피험자의반복횟수를기준으로구분한것이다. < 표 - 3> 에서보는바와같이구간별환자의수행결과는매우다르다. 특히구간 1에서는음절 커 의음절간길이평균을제외한모든음절길이평균과음절간길이평균이정상인보다도짧아정상인보다도음절반복속도가더빠르게나타났다. 또한표준편차수치도특히음절길이의경우정상인보다짧아훨씬안정적인길이분포를보인다. 따라서구간 1은음절반복속도가오히려정상인보다도높고, 음절반복도규칙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할수있다. < 표 - 3> 피험자 J의구간별음절반복속도및시간적길이 ( 단위 : ms) 항목 음절퍼터커 구간 1 음절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간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수 / 초 66 (11) 72 (15) 7.4 88 (10) 53 (9) 7.2 101 (16) 76 (18) 5.8 구간 2 음절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간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수 / 초 60 (9) 127 (115) 5.4 75 (10) 72 (14) 6.9 90 (15) 184 (101) 3.9 구간 3 음절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간길이평균 ( 표준편차 ) 음절수 / 초 57 (28) 227 (143) 3.6 54 (12) 153 (108) 5.0 88 (17) 348 (226) 2.4 그러나구간 2부터는정상인의음절반복유형과크게다른양상을보인다. 우선음절의반복속도도구간 1보다현저히느려졌으며, 음절길이는짧아지고, 상대적으로음절간길이는크게늘어났다. 뿐만아니라음절길이의표준편차는여전히정상인보다도낮아짧은음절길 173
언어청각장애연구 이이지만안정적으로계속반복하는반면, 음절간길이는표준편차도높아긴음절간길이구간이매우불규칙적으로반복되고있음을알수있다. 이러한현상은구간 3에서가장극대화되어나타난다. 음절의반복속도는구간 1보다현저하게느려졌으며, 음절및음절간길이의평균과표준편차는구간 1에서구간 2로의변화보다더욱커졌다. 즉구간 1에서구간 3에이르는동안일관적으로피험자 J의 (1) 음절반복속도는느려지고, (2) 평균음절길이는짧아졌으며, 표준편차는커졌다. 또한 (3) 평균음절간길이는길어지고, 표준편차는커졌다. 특히음절길이의표준편차보다는음절간길이의표준편차가훨씬크게나타나음절길이보다음절간길이의불규칙성이크게나타난다. 이러한결과로 AMR 과제의마지막부분에이르면피험자의음절반복은심한시간적불규칙성 (irregularity) 을보인다. < 그림 - 1> 을보면이러한불규칙성을확인할수있다. < 그림 - 1> 은피험자 J의음절 퍼 의 AMR 결과를보인것으로시간이흐름에따라시간적길이및에너지강도의변화가불규칙적으로일어나과제마지막부분에서불규칙적반복이극대화되고있음을보여준다. 두개의원은각각음절의규칙적반복구간과불규칙적구간을예시한것이다. 조음위치별로 < 표 - 2> 와 < 표 - 3> 의결과를살펴보면공통적인현상을발견할수있는데, 조음위치가뒤로움직일수록, 즉음절 퍼 에서음절 커 로이동할수록음절길이가길어진다는것이다. 정상인의경우뒤로갈수록음절길이는길어지고음절간길이가짧아져, 결국이둘의상보적관계로인해초당음절수, 즉음절반복속도가일정하게유지된다. 가령 Kent 외 (1999) 에서제시한정상인결과를보면, 조음위치가뒤로이동할수록음절길이평균은길어지고, 대신상보적으로음절간길이평균은짧아지는현상을보여결국각음절의음절길이와음절간길이의합은각각 156ms, 152ms, 165ms으로, 일정한수준을유지하며, 따라서초당음절수도 6.5회, 6.7회, 6.3회로고른수치를보인다. 그러나피험자 J의결과는음절 커 의음절간길이가지나치게길어지고, 전반적인음절및음절간길이의비율이유지되지못해각음절의초당음절수도고르지못하게나타난다. 음절별로보면음절 커 가가장눈에띈다. 다른음절들은구간 1에서정상인보다도빠른속도를보이지만음절 커 만정상인보다느리게발화하며, 구간 1에서구간 3까지음절길이의변화는미미한반면, 음절길이의절대적수치및변화의크기가정상인과달리두드러진다. 2. 에너지강도 에너지강도의변화에서가장눈에띄는특징은표준편차가매우크다는점이다. 정상 174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 그림 - 1> 음절 퍼 의 AMR 에나타나는규칙성변화위부터아래로각각파형 (waveform), 에너지강도 (RMS), 스펙트로그램의시간적변화를보인다. 인의경우긴발화에서일관적으로에너지가커지거나작아질때에표준편차가종종커지는현상을제외하고는에너지최대값과최소값의표준편차는 2dB 미만이다 (Kent et al., 2000). 그러나피험자 J의표준편차는이보다매우커에너지강도의변화가매우불규칙적으로일어남을알수있다. 에너지강도변화의표준편차값을보이면 < 표 - 4> 와같다. < 표 - 4> 음절별에너지강도의최대값및최소값의표준편차 ( 단위 : db) 구간 최대값 최소값 최대값-최소값 전구간 4.9 3.7 5.1 퍼 구간 1 13.2 4.5 4.1 구간 2 21.9 1.5 2.5 구간 3 36.1 6.3 6.3 전구간 10.1 4.0 6.9 터 구간 1 13.0 2.5 1.9 구간 2 26.3 2.0 5.1 구간 3 32.6 2.2 3.0 전구간 3.9 3.6 5.0 커 구간 1 12.7 2.4 3.6 구간 2 23.3 3.4 4.8 구간 3 34.8 4.2 6.4 175
언어청각장애연구 에너지변화의폭이크다는것외에는뚜렷한에너지강도의경향성은보이지않는다. 기존에마비말장애환자들을대상으로했던연구들이보여준마찰소음화등의현상이나최소값의표준편차가최대값의표준편차보다현저히크다는등의차이는관찰할수없었다. < 표 - 4> 에서보는바와같이마비말장애환자를대상으로했던 Kent et al. (2000) 의선행연구와달리오히려에너지최대값의변화가최소값의에너지변화폭보다컸지만, 음절 터 의 2구간을제외하고는두값의차이가크지않다. 또한, 구간 3에서의에너지변화폭이다른구간에서보다상대적으로크지만구간 1에서구간 3까지이르는동안일관적인에너지변화경향을보이는음절은 커 뿐이다. 음절 퍼 와 커 는공통적으로구간 3에서의에너지변화폭이가장컸으며, 동시에최대값과최소값의차이도구간 3에서이들음절이큰차이를보였다. < 그림 - 2> 는음절별에너지최대값과최소값분포를보인것이며, 그래프내의검정선은에너지의평균을, 흰선은중앙값 (median) 을나타낸다. 전반적으로최소값보다최대값의분포가더넓게나타나고있다. < 그림 - 3> 과 < 그림 - 4> 는각각음절 퍼 와음절 터 의시간에따른에너지최대값과최소값분포를보인것으로시간에따른경향성을발견할수있다. 반복횟수가거듭될수록에너지최대값과최소값이점차줄어들고있으나수행마지막부분에이르면이러한에너지감소경향이크게일그러짐을확인할수있다. 이들에너지강도에서얻을수있는피험자 J의특성은 (1) 표준편차가크고, (2) 구간 1에서구간 2까지이어져오던경향성이구간 3에이르면크게일그러지며, (3) 최소값의변화 < 그림 - 2> 음절별에너지최대값과최소값의분포 176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10 0 0-10 에너지 (db) -10-20 -30-40 최대값최소값 에너지 (db ) -20-30 -40 최대값 최소값 -50-50 -60-60 시간 시간 < 그림 - 3> 음절 퍼 의에너지 < 그림 - 4> 음절 터 의에너지 최대값과최소값 최대값과최소값 보다는최대값의변화가다소크다는점이라하겠다. Ⅳ. 논의 본연구는말실행증환자의 AMR 과제수행결과를통해다음과같은결론을얻었다. 첫째, 말실행증환자의특성을기술하기위해서는시간적추이에대한정보가중요하다. 그간연구에서는말실행증환자의발화가대체적으로느리며, 이는조음운동에필요한근육들의협응 (coordination) 이효율적으로이루어지지않기때문이라는논의가지배적이었다 (Zigler & von Cramon, 1985). 그러나이들대부분의연구가문장읽기나자발화 (spontaneous speech) 를포함한문장산출과제 (speech production task) 에서얻은결론이어서말실행증환자의말속도에대한편향적의견을보였다. 최근말실행증환자의 AMR 수행결과에관해최초로보고한 Zigler (2002) 의연구는실험결과를통해 말실행증환자의경우, 정상인보다다소느린 AMR 속도를보이는데, 그러나정상인평균속도, 심지어정상인보다도더빠른 AMR 속도에이르는순간도있다 하여본연구의결과와일치하는결과를보였다. 이연구에서는속도변화에대한시간적분석을보이지않았으나, 본연구의결과에비추어이를시간축에놓고고려해보면, 음절반복의초기부분에이러한최대속도 (maximum rate) 를보일것이라예측된다. 또한 Zigler (2002) 에서는마비말장애환자와말실행증환자의 AMR 과제를문장산출과제와비교하여둘사이의 177
언어청각장애연구 상관계수를밝혔는데, 그결과, 마비말장애환자는 AMR 과제와문장산출과제에서모두느린속도를보였으며, 두과제간의상관계수가매우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에반해말실행증환자는 AMR 속도가마비말장애환자보다는빠르고, 정상인보다는다소느린속도를보였으며, 문장산출도정상인보다느린속도를보였지만, AMR 과제와문장산출과제의상관계수가매우낮아이두과제사이의관련성이없는것으로나타났다는점이주목할만하다. 이를본연구의결과와종합해보면, (1) 말실행증환자가매우불규칙한음절반복속도를보이지만, 적어도단음절을반복하는능력은손상되지않았으며, (2) McNeil et al. (1997) 에서설명한것과같이말실행증환자는자신이보유하고있는발화운동계획기제에도달 (access) 하는능력이손상되어문장발화시음절속도가느린것 (slowed delivery of syllables) 이며, 음절과같은작은단위의발화움직임을빠른속도로반복하는데에는문제가없다고할수있다. 이는후술할 음절단위 의발화운동계획과도상통하는부분이다. 결국정상인보다도빠른최대속도에도달한다는점은마비말장애환자와는명확히구분되는양상으로, 물론말실행증환자의손상되지않은반복속도는 SMR (Sequential motion rate) 과제에서는보이지않는 AMR과같은단음절 (monosyllable) 반복에만한정되는결과이긴하지만, AMR 발화모드 (DDK mode) 에필요한운동조절력은유지하고있다는사실을뒷받침한다. 단음절반복과제모드란 Zigler (2002) 에서일반발화와단음절반복발화가질적으로다른양상을갖는다고하여, 일반발화모드 (speech mode) 에대응하는개념으로사용한용어이다. 가령환자들에게단음절반복과제를요구하면이들은일반발화모드에서단음절반복과제모드로전화 (switch) 해주어야한다. 결국이런점들을고려해볼때말실행증환자의발화속도가운동조절능력의결여로인해 느리다 는기술이나 AMR 과제의수행속도가 느리며, 불규칙적 이라고하는것은전반적인말실행증환자의발화및 AMR 과제수행특성에대한설명으로불충분하다. 전술한것과같이음절 커 는나머지 퍼 와 터 와다소다른양상을보인다. 음절및음절간길이평균, 표준편차, 그리고이들의구간별변화를보면비정상의정도가다른음절보다더크게나타난다는사실을알수있다. 초당음절수도정상인보다현저히낮고, 구간별변화도다른음절보다크다. 잘알려진바와같이반복하는음절의어두자음 (onset) 의조음위치가뒤로이동할수록음절길이는길어지게되는데, 이는정상인과마비말장애환자를포함한실험에서도공통적으로나타난결과이다 (Portnoy & Aronson, 1982; Zigler, Hartmann & Hoole, 1993). 그러나환자 J는길어진음절길이에대한상보적음절간길이의변화가없어음절 커 의초당반복음절수가현저히낮아진것이다. 연구개음을어두자음으로포함한음절의어려움은새로운사실이아니다. 이는연구개자음이갖는조음의어려움이외에도몇 178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가지가능성을시사하는데, 구간 1에서구간 3에이르기까지전구간모두음절길이는정상인보다짧고, 음절간길이는정상인보다길며, 이러한정상인과의차이가구간 1에서구간 3에이르는동안점차커진다는사실을감안하면적어도 커 를발화하는동안보다는다음음절발화를위한준비기간동안에더큰어려움을겪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이현상은음절 커 에만해당하는것은아니며, 음절 퍼, 터, 커 모두음절길이가짧고음절간길이가길어다음음절발화를계획하고준비하는문제를갖는다는사실을알수있다. 음절간길이가특히길어지는현상은 Zigler & von Cramon (1986) 에서문장을대상으로했던연구에서도공통적으로보인현상으로, 이들은따라서발화운동계획의단위가음절을단위로해서이루어지고있음을주장한바있다. 또한환자 J의자료를통해환자의음절길이와음절반복속도가반드시반비례관계에있지않다고말할수있다. 일반적으로음절길이가길면음절반복속도는느려질것으로예상되지만, 음절길이와음절간길이의비율을고려해보면반드시그렇지는않다. 그러나환자 J 처럼음절길이가짧다해서환자의조음체 (articulator) 근육의움직임이빠르다고는해석할수없는데, 이와관련된논의는 DiSimoni & Darley (1977) 과 Itoh et al. (1979) 에서도찾을수있다. DiSimoni & Darley (1977) 에서는음절발화속도가느려도조음체근육의움직임은빠르다는실험결과를내놓았으나이결과에대해의심을품은 Itoh et al. (1979) 은음절길이가짧아져도조음체근육의움직임속도는느려질수있다는결과를보였다. 후에 DiSimoni & Darley (1977) 는연구방법상구간측정이잘못되었다는지적을받았다 (Kent et al, 1987). 에너지강도변화를살펴보면상대적으로에너지최대값의변화가최소값의변화보다크게나타났으나, 음절 터 의경우를제외하면최대값의변화가최소값의변화보다크다고결론내리기에는차이가작다. 그러나정상인이보이는 2dB 미만의표준편차보다큰환자의표준편차는에너지강도의불규칙적변화를반영하며, 특히길이와관련한특성과마찬가지로반복횟수가거듭될수록점차에너지강도의변화는심한불규칙성을보인다는사실은 AMR 과제가밝힐수있는또다른말운동장애환자의수량적자료로서기능한다. 이상 AMR 과제를통해본연구는말실행증환자의수행결과를수치로제시하고, 환자의특성을밝히고자하였다. 가장두드러진말실행증환자의 AMR 특성은정상인보다도음절반복속도가빠를수있다는사실과, 시간이흐를수록음절반복속도가느려지고불규칙성은커져시간영역 (time domain) 이중요한변수로서기능할수있다는사실이었다. 이외에도음절길이및음절간길이비율의비정상성, 시간적길이와에너지의높은표준편차등을논의하였다. 그러나본연구는실험대상자가한명이었다는통계적한계를갖고있어, 선행연구와 179
언어청각장애연구 상당부분결과가일치하고는있으나일반화하거나말실행증환자의잠재적특성 (potential) 을이끌어내는것에는무리가있다. 따라서앞으로더많은수량적자료가제시되고또검증되어야할것이며, 특히에너지강도의경우더많은환자들을대상으로할경우본연구보다여러경향성을발견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대부분의임상적진단이청지각적판단에의해이루어지기는하지만수량화된음향적특성에관한자료들을통해좀더정확하고변별적진단이가능할것이라본다 (Kent & Kim, in press). 특히말실행증환자는불규칙적인특성때문에상대적으로수량적특성을밝히기어려운것으로간주되어왔지만, 다양한변수 (parameter) 들을이용하여음향적특성을밝혀야할것이다. 본연구에서는말운동장애환자의명료도와환자유형, 증상의정도, 그리고비정상적운율 (dysprosody) 과도높은상관계수를보이는 AMR 과제를대상으로시간적변수를이용하였는데, 앞으로이연구결과를바탕으로말실행증환자의발화특성에영향을미치는다른요소들도살펴야하겠다. 참고문헌 Ackermann, H., Hertrich, I. & Hehr, T. (1995). Oral diadochokinesis in neurological dysarthria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a, 47, 15-23. Caliguiri, M. P. (1989). The influence of speaking rate on articulatory hypokinesia in Parkinsonian dysarthria. Brain and Language, 36, 493-502. Canter, G. J. (1965). Speech characteristics of a patient s with Parkinson s disease Ⅲ: Articulation, diadochokinesis and overall speech adequac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30, 217-224. Connor, N. P., Abbs, J. H., Cole, K. J. & Gracco, V. L. (1989). Parkinsonian deficits in serial multiarticulate movements for speech. Brain, 112, 997-1009. DiSimoni, F. G. & Darley, F. L. (1977). Effect on phoneme duration control of three utterance-length conditions in an apractic pati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2, 257-264. Duffy, J. R. (1995).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Philadelphia: Saunders. Duffy, J. R. & Folger, W. N. (1996). Dysarthria associated with unilateral central nervous systems lesions: A retrospective study.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4, 57-90. Hirose, H., Kiritani, S., Ushijima, T., Yoshioka, H. & Sawashima, M. (1981). Patterns of dysarthric movements in patients with Parkinsonism.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a, 33, 204-215. Itoh, M., Sasanuma, S., Tatsumi, I. & Kobayashi, Y. (1979). Voice onset time characteristics of apraxia of speech. Annual Bulletin, 13, 123-132. Tokyo: Research Institute of Logopedics and 180
말실행증환자 (Apraxia of Speech) 의 AMR 수행특성 : 사례연구 Phoniatrics, University of Tokyo. Kent, R. D., Duffy, J. R., Kent, J. F., Vorperian, H. K. & Thomas, J. E. (1999). Quantification of motor speech abilities in stroke: Time-energy analysis of syllable and word repetition.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7, 83-90. Kent, R. D., Duffy, J. R., Weismer, G. & Stuntebeck, S. (2000). Ataxic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 1275-1289. Kent, R. D., Kent, J. F. & Rosenbek, J. C. (1987). Maximum performance tests of speech produc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2, 367-387. Kent, R. D. & Kim, Y. J.(in press). Toward an acoustic typology of motor speech disorders.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Ludlow, C. L., Connor, N. P. & Bassich, C. J. (1987). Speech timing in Parkinson s and Huntington s disease. Brain and Language, 32, 195-214. McNeil, M. R., Robin, D. A. & Schmidt, R. A. (1997). Apraxia of speech: Definition,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 In M. R. McNeil (Ed.), Clinical management of sensorimotor speech disorders. New York: Thieme. Milenkovic, P. (2001). Time-frequency analysis for 32-bit windows( 컴퓨터프로그램 ). Madison: Wisconsin. Ozawa, Y., Shiromoto, O., Ishizaki, F. & Watamori, T. (2001). Symptomatic differences in decreased alternating motion rates between individuals with spastic and with ataxic dysarthria: An acoustic analysi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a, 53, 67-72. Portnoy, R. A. & Aronson, A. E. (1982). Diadochokinetic syllable rate and regularity in normal in spastic, and ataxic dysarthric subjec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7, 324-328. Tjaden, K. & Watling, E. (in press). Characteristics of diadochokinesis in multiple sclerosis and Parkinson diseas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a. Ptacek, P. H., Sander, E. H., Mahoney, W. H. & Jackson, C. C. (1966). Phonatory and related changes with advanced ag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9, 353-360. Weismer, G. (1997). Motor speech disorders. In W. J. Hardcastle & J. Laver (Eds.), The handbook of phonetic sciences. Cambridge, MA: Blackwell. Zigler, W. (2002). Task-related factors in oral motor control: Speech and oral diadochokinesis in dysarthria and AOS. Brain and Language, 80, 556-575. Zigler, W. & von Cramon, D. Y. (1985). Anticipatory coarticulation in a patient with apraxia of speech. Brain and Language, 26, 117-130. Zigler, W. & von Cramon, D. Y. (1986). Spastic dysarthria after acquired brain injury: An acoustic study. British Journal of Disorders of Communication, 21, 173-187. Zigler, W., Hartmann, E. & Hoole, P. (1993). Syllable timing in dysarthr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6, 683-693. Zigler, W. & Wessel, K. (1996). Speech timing in ataxic disorders: Sentence production and rapid repetitive articulation. Neurology, 47, 208-214. 181
언어청각장애연구 ABSTRACT Characteristics of AMR in Apraxia of Speech: A Case Study Yunjung Kim (Waisman Center,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MR (Alternating Movement Rate) is routinely used in the assess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and is central to many efforts to classify various types of motor speech disorders and to rate their severity. This study presents AMR data of AOS, focusing on temporal variabilities. Acoustic analyses were used to obtain quantitative information on several parameters including syllable rates, means, and variability for syllable duration and intersyllable gap duration and energy intensity. Regarding duration of AM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yllable rate was moderately slower than normal speech, and reached normal or even increased acceleration values, (2) when the whole du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MR performance at part 1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speech, especially syllable rate was faster than that of normal speech, and (3) during the task, syllable duration showed to become shorter while intersyllable durations became longer, and simultaneously standard deviation of both of these two durations became greater. Observations of the energy patterns in the syllable AMR task revealed considerable variations in both the energy maxima and the energy minima across a syllable train.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energy maxima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energy minima. These results are in many respects consistent with earlier findings, regarding slow speaking rate and maximum syllable repetition of AOS or the relation between syllable duration and intersyllable duration.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s to consider temporal aspects of AMR, especially in case of AOS, because the time parameter considerably affects the results of AOS s performance. Key Words: AOS (apraxia of speech), AMR (alternating motion rates), syllable rate, RMS 게재신청일 : 2003 년 2 월 5 일 게재확정일 : 2003 년 2 월 18 일 김윤정 : 위스컨신주립대학 ( 매디슨 ) 와이즈만센터연구원, e-mail: yikim@waisman.wisc.edue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