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계통과형성 한국어의역사 2016. 3. 17.
우랄어족과알타이어족 19 세기및 20 세기초에유라시아대륙의매우넓은지역에퍼져있는우랄제어와알타이제어를모두포괄하는우랄 - 알타이어족을설정하는견해가있었으나 이견해는체계적음대응에기반을둔것이아니라우랄 - 알타이어공통특질론에기반을둔것이었음. 나중에는우랄어족과알타이어족을 2 개의어족으로나누고, 이둘사이의친족관계를증명하는증거는아직까지없는것으로보는것이定說이되었음. 그뒤에도알타이어족공통특질론은여전히알타이제어의친족관계에대한방증으로생각되어왔음.
우랄어족
Ramstedt 의알타이가설과그에대한비판 핀란드의언어학자겸외교관. 알타이제어 ( 튀르크어군, 몽골어군, 퉁구스어군 ) 의친족관계에대해실증적으로밝힘으로써알타이어학의기초를닦음. 駐日초대공사로일본에파견되어일본어의계통, 특히일본어가알타이어족에속할가능성에대해연구. 일본에와있던한국인을제보자로하여한국어에대해연구. 생애의마지막시기에는한국어연구에열정을쏟아부음. 한국어가알타이어족에속할가능성이높다고주장. 그뒤 Poppe, 이기문등이 Ramstedt 의주장을계승하여발전시킴. 그러나한국어, 일본어에대해서는알타이어족에속한다고볼증거가너무박약하다고보는입장도널리퍼져있음. 심지어, 알타이어족이하나의어족인지도불분명하다는회의론도많음. 튀르크어군, 몽골어군, 퉁구스어군사이에의미와음상이유사한단어들이꽤많이존재하기는하나, 이것이차용에의한것일가능성을전혀배제할수없기때문. 더구나이들언어를사용해온민족은대개유목민족이라지속적으로이동을하면서생활해왔고, 이러한이동과정에서서로접촉하고영향을주고받았을가능성이매우높음.
튀르크제어 (1) 추바시어 (Chuvash) l 2, r 2 가그대로 l, r 로남아있음 (2) 튀르크어군 (Turkic group): l 2 >s, r 2 >z (2).1. 南튀르크어군 (2).1.1. 튀르크어 (Turkish, Osman Turkish, Osmanli) (2).1.2. 아제르바이잔어 (Azerbaijan) (2).1.3. 투르크멘어 (Turkmen) (2).1.4. 가가우즈어 (Gagauz) (2).2. 西튀르크어군, 큽착어군 (Kypchak group) (2).2.1. 폰토 - 카스피어군 (Ponto-Caspian group) (2).2.1.1. 카라이어 (Karai) (2).2.1.2. 카라차이어 (Karachay), 발카르어 (Balkar) (2).2.1.3. 쿠뮉어 (Kumük) (2).2.2. 우랄어군 (Ural group) (2).2.2.1. 타타르어 (Tatar) (2).2.2.2. 크리미안타타르어 (Crimean Tatar) (2).2.2.3. 바시키르어 (Bashkir) (2).2.3. 아랄 - 카스피어군 (Aralo-Caspian group) (2).2.3.1. 카자흐어 (Kazakh), 카라칼팍방언 (Karakalpak) (2).2.3.2. 노가이어 (Nogay) (2).2.3.3. 키르기즈어 (Kirgiz) (2).3. 東튀르크어군, 위구르어군 (Uighur group), 차가타이어군 (Chaghatai group) (2).3.1. 우즈벡어 (Uzbek) (2).3.2. 현대위구르어 (Modern Uighur, East Turki) (2).3.3. 살라르어 (Salar) (2).4. 北튀르크어군 (2).4.1. 아랄 - 사얀어군 (Aral-Sayan group), 투바 - 카카스어군 (Tuva-Khakas group) (2).4.1.1. 알타이어 (Altaic, Oirot): 큽착어군에속하는것으로보기도함 (2).4.1.2. adaq 어군 (2).4.1.2.1. 투바어 (Tuva, Tuvinian, Soyot, Uriankhai) (2).4.1.2.2. 카라가스어 (Karagas, Tofa) (2).4.1.3. azaq 어군 (2).4.1.3.1. 아바칸어 (Abakan): Sagai 방언, Beltir 방언, Kacha 방언 - Khakas 어로통일 (2).4.1.3.2. 黃위구르어 (Yellow Uighur) (2).4.1.4. ayaq 어군 (2).4.1.4.1. 쇼르어 (Shor) (2).4.1.4.2. 출름어 (Chulym): Ketsik 방언, Küärik 방언, Chulym 방언 (2).4.1.4.3. 투바어 (Tuba): Tuba 방언 (Black Forest Tatars), Kumanda 방언, Chalkan 방언, Lebed 방언 (2).4.2. 北시베리아어군 : 야쿠트어 (Yakut), 古代튀르크어
몽골제어 (1) 東몽골어군 (1).1. 다구르어 (Dahur) (1).2. 몽구오르어 (Monguor) (1).3. 몽골어 (Mongol) (1).3.1. 칼카방언 (Khalkha, Xalxa): 몽골인민공화국의공용어 (1).3.2. Dariganga 방언 (1).3.3. Chakhar 방언 (1).3.4. Urat 방언 (1).3.5. Kharchin-Tumut 방언 (1).3.6. Khorchin 방언 (1).3.7. Ujumchin 방언 (1).3.8. Ordos 방언 (1).4. 부리야트어 (Buriat) (1).5. 산타어 (Santa) (2) 西몽골어군 (2).1. 모골어 (Mogol) (2).2. 오이라트어 (Oirat): 칼묵어 (Kalmuck) 를따로독립시키기도함
퉁구스제어 (1) 북방군, 퉁구스어군 (1).1. 네기달어 (Negidal) (1).2. 에벤키어, 어웡키어 (Evenki) (1).3. 에벤어, 어웡어 (Even) (1).4. 라무트어 (Lamut) (1).5. 솔론어 (Solon) (2) 남방군, 만주어군 (2).1. 女眞語 (Juchen, Jurchen) (2).2. 滿洲語 (Manchu) (2).3. 골디어 (Goldi), 나나이어 (Nanai) (2).4. 울차어 (Ulcha) (2).5. 오로치어 (Orochi) (2).6. 오로키어 (Oroki) (2).7. 우디허어 (Udihe)
( 우랄 -) 알타이어공통특질론 Winkler(1884, 1910), 藤岡勝二 (1908), 服部四郎 (1948, 1958), 이기문 (1972) < 음운 > 1. 어두에자음군이오지않는다. 2. 어두에 r 음이오지않는다. 3. 모음조화가있다. 특히구개적조화 ( 전설대후설의조화 ). < 형태법 > 4. 교착어이다. 5. 동사활용이오로지접미사, 어미의접합에의해이루어진다. 6. 그러한접미사, 어미의종류가많다. 7. 대명사의변화가인도유럽제어와다르다. 8. 모음교체및자음교체가없다. 9. 단어의형태가 2 음절이상인경우가많다. < 어순 > 10. 목적어, 보어가자신을지배하는동사의앞에온다. 11. 전치사가없고후치사가사용된다. 12. 수식어 ( 관형어, 부사어 ) 가피수식어 ( 체언, 용언 ) 의앞에온다. 13. 의문문에서어순의변화가없다. 의문표지가문말에온다. < 통사적측면 > 14. 관사가없다. 15. 관계대명사가없다. 16. 문법적인性 (gender) 이없다. 17. have 에해당하는단어가없고, 대신 있다 에의해소유를나타낸다. 18. 접속사의사용이드물다. 대신副動詞 (converb) 를사용한다. 19. 주어가생략되고술어만으로도문장을구성할수있다. 20. 비교구문에서, 탈격또는그에준하는후치사를사용한다.
( 우랄 -) 알타이어공통특질론비판 위에든공통점은단지 ( 우랄 -) 알타이제어와한국어, 일본어만의유사성이아니라, 전세계언어들가운데에서매우광범위하게관찰되는특징이어서, 계통관계의규명에는별도움이되지않는다. 전세계의언어들을폭넓게관찰하지못하고, 인도유럽제어만을바탕으로한, 매우시야가한정된관찰로부터나온것이라고평가할수있다. 오히려여러측면에서한국어, 일본어는알타이제어와는차이점이많고, 오히려태평양연안의언어들과유사한면이많다 ( 松本克己 2007). 박진호 (2014) 참조 http://www.koreantypology.org/
알타이제어와한국어의 ( 체계적?) 모음대응 1 2 3 4 5 6 7 8 9 알타이조어 *a *o *u *ï *e *ė *ö *ü *i 고대국어 a ㅏ ɔ(ʌ) ㆍ u(o) ㅗ i ㅣ ä(e,ə) ㅓ i ㅣ (ɨ,ɯ) ㅡ ü(u) ㅜ i ㅣ
모음대응사례 1 중세한국어ㅏ : 알타이조어 *a 중세한국어아래, * 아라 ( 下 ), 에벤키 ala-s( 脚, 腿 ), 몽골 ala( 內股 ), 古代튀르크 al( 下面, 前面 ), 中世튀르크 altïn( 아래 ), 야쿠트 al-ï-n( 下部, 下 ), 알타이조어 al 1 a( 下, 前面 ) 2 중세한국어ㆍ : 알타이조어 o 중세한국어 ( 馬 ), 만주 morin, 몽골 morin 중세한국어 -( 竝 ), 만주 holbo-( 연결하다, 짝짓다 ), 몽골문어 qolbo-( 합하다, 연결하다 ) 중세한국어 ( 狸 ), 만주 solohi( 족제비 ), 에벤키 soligā( 족제비 ) 2-1 중세한국어ㆍ : 알타이조어 u 중세한국어 ( 蘆 ), 몽골문어 qulusun( 蘆 ) 중세한국어 외 ( 袴 )<*, 몽골문어 qubčasun( 옷 ), 에벤키 qubtuw-( 옷입다 ) 3 중세한국어ㅗ : 알타이조어 u 중세한국어오라 -( 久 ), 에벤키 uri-pti( 이전에 ), 몽골 urida( 앞서 ) 3-1 중세한국어ㅗ : 알타이조어 o 중세한국어봄 ( 春 ), 몽골문어 on( 年 ), 칼묵 on( 年, 春 ), 만주 fon( 時候 ) 4 중세한국어ㅣ : 알타이조어 ï 중세한국어이럼, 이 ( 畦 ), 몽골 iraγa, 만주 irun, 츄바슈 yran<*ïran, 타타르 ïzan
모음대응사례 5 중세한국어ㅓ : 알타이조어 e 중세한국어 -( 折 ), 몽골 keseg( 조각 ), 튀르크 kes-( 折 ) 6 중세한국어ㅣ : 알타이조어 ė 중세한국어일, 이 -/ 이르 -/ 일ㅇ -, * 이륵 -( 早 ), 만주 erde, 몽골 erte, 츄바슈 ir, 투르크멘 īr, 아제르바이잔 ertä 7 중세한국어ㅡ : 알타이조어 ö 중세한국어믈 ( 水 ), 만주 mu-ke [ 만주 ö,ü>u], 에벤키 mū [ 에벤키 ö>u], 몽골 mören( 江 ) 7-1 중세한국어ㅡ : 알타이조어 ü,u 중세한국어 -( 注 ), 만주 fusu-( 撒水 ), 몽골 üsür-( 撒水 )<*püsür-, 몽구오르 fuzuru-( 注 ), 튀르크 üskür-( 입으로뿜다 ) 중세한국어그울 -( 轉 )<* 그 -, 만주 kurbu-( 輾轉 ), 몽골문어 körbö-( 輾轉 ) 중세한국어븕 -( 赤 ), 만주 fulgiyan( 赤 ), 몽골문어 ulaɤan<*pulaɤan( 赤 ) 7-2 중세한국어 ( ㅈ ) ㅡ : 알타이제어 i 중세한국어즐기 -( 樂 ), 만주 ʒǐrga-( 安逸 ), 몽골문어 ʒ irɤa-( 安逸 ) 8 중세한국어ㅜ : 알타이조어 ü 중세한국어불 -( 吹 ), 만주 fulgiye-, 몽골 üliye-, 중세몽골 hüli e-<*püligē- 9 중세한국어ㅣ : 알타이조어 i 중세한국어빌 -( 祈 ), 만주 firu-( 禱, 呪 ), 에벤키 hirug-, 몽골 irüge-( 祝, 禱 )
모음 i 의 breaking 語頭의 i 가제 2 음절모음 a, e 등의영향으로 ya, ye 등으로되는현상. 한국어와알타이제어의모음대응에서 i 와 ya, ye 등이대응하는사례들로부터 i 의 breaking 이있었다고추측하게됨. 중세한국어염 ( 羔 )<*ima, 만주 niman( 山羊 ), 골디 ima( 山羊 ), 에벤키 imagan( 山羊 ), 몽골문어 imaɤan( 山羊 ) 중세한국어열 ( 膽 ), 에벤키 ilen( 쓸개즙 ) 중세한국어돓 ( 石 )<*tulhu<*tïlhu<*tïla-hu, 몽골 čilaɤun<*tïla-gūn, 츄바슈 čul, 고대튀르크 taš<*tala<*tïl 2 a, 투르크멘 dāš, 퉁구스 ʒ olo
알타이제어와한국어의 ( 체계적?) 자음대응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알 조 p b t d k g č s m n ŋ r 1 r 2 l 1 l 2 튀 ø b t y k,q k,q č y s m,b y r z l š 몽 h,ø b t d k,q g,γ č s,ś m n r r l l 퉁 p,f,h b t d k g č s,h,ś m n r r l l 국어 ㅂ ㄷ ㄱ ㅈ ㅅ ㅁ ㄴㆁ ㄹ
자음대응사례 1 한국어ㅂ : 알타이조어 *p : 만주 f, 골디 p, 에벤키 h, 솔론 ø; 중세몽골 h, 몽구오르 f, 다구르 x, 기타몽골제어 ø; 튀르크어군의東南및西南제어 h, 기타튀르크제어 ø --- Ramstedt 법칙 중세한국어불 -( 吹 ), 만주 fulgiye-, 몽골 üliye-, 중세몽골 hüli e-<*püligē- 중세한국어빌 -( 祈 ), 만주 firu-( 禱, 呪 ), 에벤키 hirug-, 몽골 irüge-( 祝, 禱 ) 중세한국어 -( 注 ), 만주 fusu-( 물을뿌리다 ), 몽골 üsür-( 뿌리다, 솟다 ), 몽구오르 fuzuru-( 붓다 ), 튀르크 üskür-( 입으로뿜다 ) 성백인 (1978): 알타이조어의폐쇄음들간의대립을무성 유성의대립이아니라무기 유기의대립으로볼가능성제기 13 한국어ㄹ : 알타이조어 r 1 현대한국어 ( 눈 ) 보라, 몽골 boroɤan( 비 ), 중세몽골 boro an, 야쿠트 burxān( 눈보라 ) 14 한국어ㄹ : 알타이조어 r 2 중세한국어이럼, 이 ( 畦 ), 몽골 iraɤa, 만주 irun, 츄바슈 yəȓan<*ïran, 타타르 ïzan<*ir 2 an
자음대응사례 15 한국어ㄹ : 알타이조어 l 1 중세한국어아래, * 아라 ( 下 ), 에벤키 ala-s( 脚, 腿 ), 몽골 ala( 內股 ), 古代튀르크 al( 下面, 前面 ), 中世튀르크 altïn( 아래 ), 야쿠트 al-ï-n( 下部, 下 ), 알타이조어 al 1 a( 下, 前面 ) 16 한국어ㄹ : 알타이조어 l 2 중세한국어돓 ( 石 )<*tuluh<*tïlhu<*tïla-hu, 몽골 čilaγun<*tïla-gūn, 츄바슈 čul, 고대튀르크 taš<*tala<*tïl 2 a, 투르크멘 dāš, 퉁구스 ʒ olo 17 한국어ㅎ : 알타이조어 *s(*i) 중세한국어 ( 太陽 ), 만주 šun, 골디 siú, 솔론 šigun 중세한국어 ( 土 )<*horog<*hiroga<*široga, 골디 siru( 砂 ), 에벤키 sirugi( 砂 ), 솔론 širuktan( 砂 ), 몽골문어 širuɤai( 塵, 土 ) 17 한국어ㅅ : 알타이조어 *s(*i) 중세한국어실 ( 絲 ), 만주 siren, 에벤키 siren 중세한국어실에, 시 ( 架 ), 에벤키 sirikkn( 장대 ), 몽골문어 siruɤ( 장대 ) 17 과 17 을함께고려하면알타이조어에후두자음을재구할가능성을제기. 한국어를시야에넣음으로써비로소제기되는가능성
알타이제어와한국어의문법요소의유사성 (1) 곡용어미 ( 조사 ) (1).1. 중세한국어처격 애 / 에 <*-a, 알타이조어여격 *-a/-e (1).2. 중세한국어조격 로, 알타이조어향격 *-ru/-rü (1).3. 중세한국어 이리, 그리, 뎌리, 아 리 의 - 리, 알타이조어沿格 *-li (1).4. 중세한국어주제보조사 ( / 으 ) ㄴ, 몽골 ni < 3 인칭대명사속격형 inu( 단수 )/anu( 복수 ) (2) 활용어미 (2).1. 동명사어미 (2).1.1. 한국어 ㄴ, 알타이제어명사화접미사 ( 고대튀르크 aq- 흐르다, aqïn 水流, 流入, 몽골문어 singge- 녹다, 스미다, singgen 액체 ), 에벤키어 dug- 치다, dugin 打擊, təgənni( 네가앉는다 ) < *təgən-si, ŋəne- 가다, ŋənenni 네가갔다 (2).1.2. 한국어 ㄹ, 고대튀르크현재형 (olur-ur 앉아있는 ), 몽골제어명사화접미사 ( 몽골문어 amu- 쉬다, amu-r 安息 ), 퉁구스제어미래동명사 ( 솔론 wā- 죽이다 wār xonin 죽일羊 ) (2).1.3. 한국어 - ㅁ, 알타이제어명사화접미사 ( 고대튀르크 öl- 죽다, öl-üm 죽음, 몽골 naɤad- 놀다, naɤad-um 놀음, 先고전몽골문어 yubu-m 간다 ), 고대일본어 -mi (2).2. 부동사어미 : 동명사어미 + 사격어미 - 몽골 -ra/-re < 동명사 -r + 처격 -e 알타이조어에서모든문장은名詞文
Ramstedt 와이기문의논리와그에대한비판 어휘요소에비해문법요소는차용되기가매우어렵다. 알타이제어와한국어사이에의미와음상이유사한문법요소가꽤많이발견된다. 따라서, 알타이제어와한국어는친족관계에있다. 이런논리를최근에활발히발전시키고있는학자가 Martine Robbeets 비판 문법요소는제한된음소만사용하고길이가짧음. 음소구별이적고길이가짧을수록우연한일치의가능성이높아짐. 친족관계의증명에서중요한것은단편적인문법요소의의미, 음상의유사가아니라 형태론적구조전체의유사성임. cf. Ket Na Dene
알타이제어와한국어의동원어 (cognate word) 후보 (1) 한국어와퉁구스제어 중세한국어발 ( 足 ), 골디 palgan, 에벤키 halgan, algan, 일본琉球방언 pagi, fagi, 일본八丈島방언 hagi, 고대일본어 *palgi 중세한국어 ( 太陽 ), 만주 šun, 골디 siú, 솔론 šigun 중세한국어나랗 ( 國 ), * 나 - 랗, 만주 na, 골디 na( 地 ) (2) 한국어와몽골제어 중세한국어날 ( 日 ), 몽고 naran( 太陽 ) 중세한국어눈 ( 眼 ), 몽고 nidün<*nün-dün 한국어나 ( 我 ), 몽고사격형 *na( 처격 nadur, 대격 namayi), 고대일본어 na(1 2 인칭대명사 ) 한국어오 -( 來 ), 몽고 oru-( 入 ) 한국어가 -( 去 ), 몽고 ɤar-( 出 ) (3) 한국어와튀르크제어 중세한국어온 ( 百 ), 고대튀르크 on( 十 )
알타이제어와한국어의동원어 (cognate word) 후보 (4) 한국어와일본어 중세한국어셤 ( 島 ), 고대일본어 sima 중세한국어낟 ( 鎌 ), 고대일본어 nata( 鉈 ) 중세한국어밭 ( 田 ), 고대일본어 fata 중세한국어바닿 ( 海 ), 고대일본어 wata 한국어명사화접미사 - 이, 고대일본어 -i (5) 알타이제어와일본어 일본어 kata( 한쪽 ), 에벤키 kalta( 半 ), 몽골 qaltas( 半 ) 고대일본어대격 -wo, 퉁구스제어대격 -wa/-we 고대일본어연격 -yuri, 원시퉁구스 *-duli 고대일본어 yo( 四 ), 원시퉁구스 *dö 고대일본어 nana( 七 ), 원시퉁구스 *nadan 고대일본어 yo( 夜 ), 원시퉁구스 *dolbo
한국어가알타이어족에속한다는가설에대한평가 비교방법의핵심인체계적음대응이제대로수립되지못한상태이다. 제안된음대응규칙에어긋나는사례가너무나많음. 알타이어공통특질론은유럽어에바탕을둔편견의소산이다. 소위공통특질은알타이어외에도세계많은언어에서발견됨. 한국어는유라시아어뿐아니라환태평양어와의유사성도많음. 문법요소의대응은단편적인요소의대응이어서우연일가능성이있다. 단편적인요소보다형태론적구조전체의유사성이중요함. 동원어후보로거론되는것은차용어일가능성에대한고려가필요하다. 퉁구스제어중남방군, 특히만주어는한반도의언어들과의오랜접촉으로인해퉁구스어로서는매우특이한성질을많이갖게되었음. 한국어와퉁구스어사이의동원어로거론되어온것들중남방군에서만발견되고북방군에서는발견되지않는것들이많음. 그런것들은언어접촉 / 차용일가능성이높음.
고대한반도, 만주의언어상황에대한記事 만주와한반도에여러부족국가들이성립되고이들이기원전후에고구려, 백제, 신라의 3 국으로정립되어가는과정에있어서이들지역의언어상황이어떠했는가를어렴풋하게나마알려주는단편적기록들이남아있다. 1 東夷舊語以爲夫餘別種言語諸事多與夫餘同其性氣衣服有異 ( 三國志魏志東夷傳高句麗條 ) ( 고구려어는 ) 동이족의옛언어로서부여어의별종이다. 언어와기타제반일들중에부여와같은것이많으나, 성품이나의복에는차이가있다. 2 其言語與句麗大同時時小異 ( 三國志魏志東夷傳東沃沮條 ) 그언어가고구려와대체로같으나때때로약간다른점이있다. 3 其耆老舊自謂與句麗同種... 言語法俗大抵與句麗同衣服有異 ( 三國志魏志東夷傳濊條 ) 이부족의노인들은스스로말하기를고구려와같은종족이라고한다. 언어와규범, 풍습이대체로고구려와같으나의복은차이가있다.
고대한반도, 만주의언어상황에대한記事 4 挹婁 古肅愼國也 在夫餘東北千餘里濱大海南與北沃沮接未知其北所極其土地多山險其人形似夫餘言語不與夫餘句麗同 ( 三國志魏志東夷傳挹婁條 ) 읍루는예전의숙신국이다. 부여의동북쪽천여리에있으며바닷가까지이르고남으로는북옥저와접하고있다. 북쪽으로는그경계를알수없다. 지형은산이많고험하다. 사람들의외모는부여와비슷하나언어는부여, 고구려와같지않다. 5 勿吉國在高麗北舊肅愼國也 ( 魏書列傳勿吉條 ) 물길국은고구려북쪽에있는데예전의숙신국이다. 6 勿吉國在高句麗北一曰靺鞨 言語獨異 ( 北史列傳勿吉條 ) 물길국은고구려북쪽에있는데말갈이라고도한다. 언어는 ( 고구려와 ) 유달리다르다. 7 靺鞨在高句麗之北 卽古之肅愼氏也 ( 隋書列傳靺鞨條 ) 말갈은고구려북쪽에있다. 예전의숙신족이다.
고대한반도의언어상황에대한記事 8 韓有三種一曰馬韓二曰辰韓三曰弁辰 凡七十八國 地合方四千里東西以海爲限皆古之辰國也 ( 後漢書東夷傳韓條 ) 한에는세종족이있다. 이들을마한, 진한, 변진이라고한다. ( 삼한을통틀어서 ) 모두 78 개의소국이있다. 영토는삼한을합쳐서사방이천리이고동쪽과서쪽으로는바다와접하고있다. 모두예전의진국이다. 9 辰韓在馬韓之東其耆老傳世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馬韓割其東界地與之有城柵其言語不與馬韓同名國爲邦弓爲弧賊爲寇行酒爲行觴相呼皆爲徒有似秦人非但燕齊之名物也 ( 三國志魏志東夷傳辰韓條 ) 진한은마한의동쪽에있는데, 그노인들이대대로말해오기를 예전의우리조상이진나라의부역을피해한국에도망왔는데마한이그동쪽변방의땅을떼어서주었다 고한다. 성책이있고언어는마한과같지않다. 나라를邦이라부르고활을弧라하고도적을寇라하고술돌리는것을行觴이라하고자기들끼리부르기를徒라고한다. 秦나라사람과비슷한점이있으니비단연나라제나라의물건이름뿐만이아니다. 10 弁辰與辰韓雜居亦有城郭衣服居處與辰韓同言語法俗相似 ( 三國志魏志東夷傳弁辰條 ) 변진은진한과섞여산다. 역시성곽이있고의복과사는집이진한과같다. 언어와규범, 풍속도서로비슷하다. 11 [ 辰韓與弁辰 ] 言語風俗有異 ( 後漢書東夷傳 ) ( 진한과변진은 ) 언어와풍속이다른점이있다.
고대한반도의언어상황에대한記事 12 今言語服章略與高麗同 ( 梁書列傳諸夷百濟條 ) ( 백제는 ) 현재언어와복장이대체로고구려와같다. 13 語言待百濟而後通焉 ( 梁書列傳諸夷新羅條 ) ( 신라의 ) 언어는백제인을중간에두어야비로소 ( 중국인과 ) 통할수있다. 14 王姓夫餘氏號於羅瑕民呼爲鞬吉支夏言竝王也妻號於陸夏言妃也 ( 周書異域傳百濟條 ) ( 백제의 ) 왕의성씨는부여씨이고 ( 왕을 ) 어라하 라고부른다. 백성들은 ( 왕을 ) 건길지 라고부른다. 중국말로는모두왕이라는뜻이다. ( 왕의 ) 부인은 어륙 이라고하는데중국말로는왕비라는뜻이다. 15 旃檀梁城門名加羅語謂門爲梁云 ( 三國史記卷 44) 전단량 은성문의이름이다. 가라 ( 가야 ) 말로는문을 량 ( 돓 ) 이라고한다.
記事에대한해석 1~3 을종합하면부여어, 고구려어, 옥저어, 예어는모두부여계로서같은계통에속함을알수있다. 4~7 을종합하면숙신, 읍루, 물길, 말갈은같은종족의이름으로서이들은부여계와다른계통의언어를사용했음을알수있다. 8~11 은삼한의언어상태에대해이야기하고있는데서로모순되는측면이있다. 9 에서진한의노인들이하는이야기는진한종족전체에대한것이라고믿기어렵다. 아마도진한의일부계층 ( 아마도지배계급 ) 사람들이중국에서건너온것을말하는것으로보는것이좋을듯하다. 9 에서언어가중국어와유사하다고한것도이일부계층에한정된이야기일것이다.
記事에대한해석 10 과 11 도진한과변진의언어에대해서로엇갈리는증언을하고있다. 이것은변진 ( 뒤의가야 ) 어의위치에대해중대한암시를던져준다. 즉변진 ( 가야 ) 은한계제어에속하면서도북방의부여계의요소를지니고있는것이다. 15 도이런측면에서이해할수있다. 12 는백제의지배층의언어가고구려어와같다는뜻으로이해해야한다. 13 은백제어가중국어와비슷하다는뜻이아니라, 신라에비해백제가중국과교류가많아한문이나중국어에능한사람이많았다는뜻일것이다. 14 는백제의지배계급과피지배계급사이에언어의차이가있었음을단적으로말해주는증거
삼국사기지리지의고구려지명 三國史記地理志卷 35( 雜志第四地理二 ), 卷 37( 雜志第六地理四 ) 의지명자료에담겨있는고구려어에대한정보 권 35: 景德王이改名한지명 ( 漢譯名 ) 과고구려本地名, 고려때지명倂記 1 水城郡本高句麗買忽郡景德王改名今水州 2 瀑池郡本高句麗內米忽郡景德王改名今海州 3 重城縣本高句麗七重縣景德王改名今積城縣 4 潢川縣本高句麗橫川縣景德王改名今復故 권 37: 고구려본래의音讀名과釋讀名倂記 1 買忽一云水城 2 內米忽一云池城一云長池 3 七重縣一云難隱別 4 橫川縣一云於斯買 같은地名에대해音讀名과釋讀名이대응을보일때, 고구려어단어의音相과意味를얻을수있음. 이렇게해서알아낸단어가약 80 개. 80 개단어중 30 정도가중세한국어와대응, 일본어와도 30 정도대응, 퉁구스諸語와 15 정도대응.
고구려어의음운적특징 (1) 어말모음의탈락 ( 중세한국어, 신라어, 튀르크제어와공통 ) xol 忽 ( 城 ), 만주 holo( 谷 ) namïl 乃勿 ( 鉛 ), 일본어 namari( 鉛 ) tal 達 ( 山, 高 ), 일본어 take( 嶽 )<*talke tan 呑, 頓, 旦 ( 谷 ), 일본어 tani( 谷 ) kap 甲 ( 穴 ), kapi 甲比 ( 穴 ), 일본어 kafi( 峽 ), 고대튀르크 kapïɤ( 門 ) xolč 忽次 ( 口 ), koč 古次, 串 ( 口 ) uč 于次 ( 五 ) yač 也次 ( 母 ) (2) t 구개음화 xolč, kolč( 口 ), 고대일본어 kuti( 口 ) uč( 五 ), 고대일본어 itu( 五 ) (3) 모음간 d>n nanïn( 또는 nanan) 難隱 ( 七 ), 퉁구스제어 nadan( 오로치, 오로키 nada), 고대일본어 nana
고구려어의음운적특징 (4) 고대일본어와비교할때語末子音을유지하는경향 tək<?*təwək 德 ( 十 ), 고대일본어 töwo( 十 ) mil 密 ( 三 ), 고대일본어 mi( 三 ) pyəl 別 ( 重 ), 중세한국어 ( 重 ), 고대일본어 fä( 重 ) nanïn 難隱 ( 七 ), 고대일본어 nana( 七 ) (5) 퉁구스제어와일본어의 a 에대응하는모음이원순성을띠었던듯 谷 을의미하는단어 : tuan 또는 twan 旦 ( 中古音 tan), 呑 ( 中古音 t ən), 頓 ( 中古音 twən), cf. 村呑 ( 朝鮮館譯語 ), 일본어 tani( 谷 ) 壤 을의미하는단어 : nua 또는 nwa 內 ( 中古音 nuai), 奴 ( 中古音 nuo), 惱, 那, 신라어內 ( 世 ), 누리, 중세한국어뉘, 나랗 ( 國 ), 南方系퉁구스제어 na( 土地 ), 고대일본어 na( 土地 ) (6) *bi->*wi->i- *wi 位 ( 似 ) [ 高句麗呼似爲位 ( 三國志魏志東夷傳 )] cf. 이슷 -, 이셧 - *wi-si->isi-, cf. 퉁구스제어 bi-, bi-si-
고구려어와다른언어의어휘대응 (1) 알타이제어와의대응 mie 買 ( 中古音 mai), 米 ( 中古音 miei:), 彌 ( 中古音 myie:), 몽골문어 mören( 江 ), 중세몽골 mören( 江, 海 ), 에벤키 mu( 水 ), 만주 mu-ke( 水 ), 중세한국어믈 ( 水 ), 고대일본어 midu( 水 ) pak- 伯 ( 逢 ), 에벤키 baka-, 라무트 bak-, 골디 ba-( 發見 ), 만주 baha-( 得 ), 튀르크 bak-( 見 ) i- 伊 ( 入 ), 퉁구스제어 i-( 入 ), 몽골문어 ire-( 來 ), 고대일본어 ir-( 入 ) koi 古衣 ( 鵠 ), 중세한국어고해 ( 鵠 ), 고대일본어 kofu( 鵠 ), 중세튀르크어 qoγu( 鵠 ) mair 買尸 ( 蒜 ), 중세한국어마 ( 蒜 ), 고대일본어 mira( 韮 ), 몽골문어, 중세몽골 maŋgirsun (2) 퉁구스제어와의대응 ma 馬 ( 堅 ), 에벤키 maŋa, 라무트 maŋ, 만주 mangga( 堅 ) piryəl, piri 比里 ( 淺 ), 골디 biri( 淺 ) əl 於乙 ( 泉 ), 오로치 uli( 水, 江 ) (3) 퉁구스어군, 한국어, 일본어에공통적인색조를짙게보여줌 koŋ(?*kum) 功 ( 熊 ), 중세한국어곰, 백제어고마, 고대일본어 kuma, 에벤키, 라무트 kuma( 海豹 ), 에벤키어 kumaka( 牡鹿 ) na( 壤 ), 南方퉁구스제어 na( 地 ), 고대일본어 na( 地 ), 신라어內 ( 世 )
고구려어와한국어의어휘대응 əs 於斯 ( 橫 ), 중세한국어엇 -( 橫 ) kïmïl 今勿 ( 黑 ), 중세한국어검 -( 黑 ) kïnr(?kïr) 斤尸 ( 文 ), 중세한국어글 ( 文, 字 ) šul i, šulni 述爾, 述尒, 首泥 ( 峯 ), 중세한국어수늙 ( 嶺 ) šu 首 ( 新 ), 중세한국어새 ( 新 ) šu 首 ( 牛 ), 중세한국어쇼 ( 牛 ) 伊伐支 ( 隣 ), 중세한국어이웆 <* 이 ᄫᅳᆽ( 隣 ) əl 於乙 ( 泉 ), 신라어 ïl 乙 ( 泉 ) ka 加, 皆 ( 王 ), kan, han 干, 翰
고구려어와일본어의어휘대응 mie 買 ( 中古音 mai), 米 ( 中古音 miei:), 彌 ( 中古音 myie:), 몽골문어 mören( 江 ), 중세몽골 mören( 江, 海 ), 에벤키 mu( 水 ), 만주 mu-ke( 水 ), 중세한국어믈 ( 水 ), 고대일본어 midu( 水 ) 壤 을의미하는단어 : nua 또는 nwa 內 ( 中古音 nuai), 奴 ( 中古音 nuo), 惱, 那, 신라어內 ( 世 ), 누리, 중세한국어뉘, 나랗 ( 國 ), 南方系퉁구스제어 na( 土地 ), 고대일본어 na( 土地 ) nami 內米 ( 池, 長池 ), 고대일본어 nami( 波 ), 퉁구스제어 namu, lamu<*namu( 海 ) nanïn 難隱 ( 七 ), 고대일본어 nana( 七 ), 퉁구스제어 nadan( 七 ) tan 呑, 頓, 旦 ( 谷 ), 고대일본어 tani( 谷 ) poksa 伏斯 ( 深 ), 고대일본어 fuka( 深 ) sapi, sapok( 赤 ), 고대일본어 söfo( 赭 ) osaxan 烏斯含 ( 兎 ), 일본어 usagi, 길리약 ośśk( 兎 ) 특히기본數詞 (1~10) 의대응은매우인상깊음. mil 密 ( 三 ), 고대일본어 mi( 三 ), 고대튀르크어 biš( 五 ) uč 于次 ( 五 ), 고대일본어 itu( 五 ), 고대튀르크 uč( 三 ) nanïn 難隱 ( 七 ), 고대일본어 nana( 七 ), 퉁구스제어 nadan( 七 ) tək<?*təwək 德 ( 十 ), 고대일본어 töwo( 十 ), 고대튀르크 toquz( 九 )
고구려어의기타특징 길리약어 (Gilyak)/ 니브흐어 (Nivkh) 와의대응 čam 斬 ( 根 ), 길리약 tʃamγ( 根株 ) osaxam 烏斯含 ( 兎 ), 길리약 ośśk( 兎 ), 일본어 usagi əl 於乙 ( 泉 ), 길리약 ri, érri( 江 ), 오로치 uli( 水, 江 ), 신라어 ïl 乙 ( 井 ) paxe, pa i 波兮, 巴衣 ( 巖峴 ), 길리약 pax( 石, 崖 ), 중세한국어바회 ( 岩 ), 고대일본어 ifafo( 巖 ) 문법적특징 甲比古次 ( 穴口 ) 의 甲比 는명사 甲 ( 穴 ) 의곡용형일수도있다. 達 이 山 의뜻으로도 高 의뜻으로도쓰임. 형용사가명사에가까운알타이제어와의공통점. 목적어 - 동사의어순 : 王逢縣一云皆伯, 水入縣一云買伊縣 동사가어간만으로도쓰임. 동사 - 목적어의어순 : 山上王의諱인 位宮 ( 三國志魏志東夷傳 )
삼국사기지리지소위고구려지명에대한논란 이기문교수는삼국사기권 35, 37 의본고구려지명을고구려어자료로간주함. 도수희교수는이지명들이한강유역의중부지방지명임을지적. 삼국사기지리지에제시된지명들은기본적으로통일신라의판도안에있는지역임. 이지역은, 장수왕의남하정책으로고구려의판도에들어가기전에는백제의영토 / 발상지였음. 이지역에대한고구려의지배기간보다백제의지배기간이더긺. 어떤지역에대한정치적지배자가바뀌어도지명은그대로존속하는것이일반적임. 예 : 영국의켈트어지명, 미국의원주민지명 도수희의결론 : 삼국사기지리지본고구려지명은사실은백제어자료. 이기문교수는중부지명과압록강유역의지명이유사함을지적 고구려어와백제지배층언어는거의같으므로별상관이없다고생각할듯.
삼국사기지리지본백제지명 (1) 어휘는대체로신라어, 중세한국어와일치 *turak 珍惡 ( 石 ), 중세한국어돓 ( 石 ), 현대중부이남의방언형 tok<*tork *sa 沙 ( 新 ), 중세한국어새 ( 新 ) *mərke 勿居 ( 淸 ), 중세한국어 -( 淸 ) *muraŋ 毛良 ( 高 ), 중세한국어 / ㄹ <* ( 棟, 宗 ) (2) 語末母音보존경향 *püri 夫里, 신라어 *pr 火, 고구려어 xol 忽 熊津고 마 ( 龍飛御天歌 ), 중세한국어 : 곰, 일본어 kuma( 熊 ) (3) 신라어, 중세한국어에없는단어 *kï 己, 只 ( 城 ) --- 고대일본어 kï( 城, 柵 ) 는백제어로부터의차용 *kilci 吉支 ( 王 ), 王긔 왕 ( 光州版千字文 ) (4) 上層의夫餘系단어 *supi 所比 ( 赤, 赤鳥 ), 고구려어 *sapikən, sapuk( 赤 ) *eraha 於羅瑕 ( 王 ) *eryük 於陸 ( 妃 )
가야어의편린 돌梁 ( 門 )( 三國史記卷 44), 고대일본어 to( 門 ), 만주 duka( 門 ) 밀推 ( 三 )( 三國史記卷 34), 고구려어 mil 密 ( 三 ), 고대일본어 mi( 三 ) 토吐 ( 堤 )( 三國史記卷 34), 고구려지명吐 ( 堤 ) 와일치 단편적이나고구려어와의일치가인상적임. 기원전弁韓지역에夫餘系언어가존재했음을암시. 가야는제철기술을가지고있었음. 북방으로부터내려온부여계의고립된섬일가능성이있음.
삼국의언어적관계및국어의형성에관한이기문교수의견해 신라어와백제어는모두韓系언어로서방언적차이를지니고있었다. 다만백제의지배층은부여계언어를사용했다. 고구려어 ( 부여계 ) 는백제어, 신라어와방언적차이이상의언어적차이를지니고있었다. 변한 ( 가야 ) 의언어는부여계에속할가능성이높다. 일본어도부여계언어에속한다. 기원전 3 세기경일본北九州로이주하여야요이 ( 彌生 ) 문화를탄생시킨주역은바로이변한인들일가능성이높다. 고구려어는한국어와알타이어, 일본어와알타이어의사이에놓이는 missing link 이다. 신라가삼국을통일함에따라옛백제, 고구려영토에도신라어의세력이미치게되어한반도에언어적통일이이루어졌다. 즉, 고구려와백제의故土에언어의치환이이루어지게된것이다. 고려왕조가들어섬에따라한반도의언어상의중심지가경주 ( 동남지역 ) 에서개성 ( 중부지역 ) 으로옮겨지게되었다. 당시개성말은신라어의서북방언이었으므로중세국어는신라어의계통을잇는언어라할수있다. 그러나고구려어의영향도없지않았다. 언어의치환이일어날때사라지는옛언어가새언어에基層 ( 底層, substratum) 으로작용하여영향을미치는일은흔히있다. 그러나고려, 조선시대에걸쳐동남방언은줄기차게중부방언에영향을미쳐서고구려어의영향을점차없애버렸다.
알타이어와한국어의관계에대한이기문교수의견해 무라야마시치로 ( 村山七郞 ) 등몇몇일본학자들은일찍부터이기문의견해와비슷하게고구려어와일본어, 일본어와퉁구스어의친족관계를밝히려고노력한바있음.
북한김수경 (1918-1999) 의반론 경성제대철학과졸업 (1940). 1946 년월북. 김일성대학조선어문학부조선어학강좌장역임. 북한국어학의초석을놓음. 잘나가다가숙청되어고초를겪음. 남한학계를비판한책을내어권력자의눈에들어학계에복귀 세나라시기언어력사에관한남조선학계의견해에대한비판적고찰 ( 평양출판사, 1989) 이기문교수가주된비판의타겟. 민족분열론자의책동 탄탄한언어학적훈련을받은실력있는학자이나 동숭학술재단에서 2006 년올해의언어학자로선정 위책은정치적목적 / 편견의소산
이기문교수의견해에대한비판및다른견해들 (1) 三國史記地理志의高句麗地名들을과연고구려어자료로다룰수있을까? 이지역은장수왕때고구려의영토가되기전에백제의영토였으므로, 이들지명은백제의지명으로보아야한다. 고노로쿠로 ( 河野六郞 ), 崔鶴根 (1964), 김방한 (1983), 도수희 (2002) (2) 지금까지알려진고구려어단어 80 여개중신라어, 중세국어와대응을보이는예가 30 여개나되는데고구려어와신라어를서로다른언어로보아야하는가? 김수경 (1989) 등북한학자들, 金思燁 (1975) (3) 14 번의기사를중시하여고구려어와백제어의차이를지나치게과장하고있다. 같은언어를사용하는사회내에서도계급간의어휘의차이는흔히있는법이다. 김수경 (1989) 등북한학자들, 김방한 (1983) (4) 3 국언어의차이는그리큰것이아니며방언적차이에지나지않는다. 또는언어적차이라고까지주장할만한근거가없다. 북한학자들, 이숭녕 (1967), 김방한 (1983), 박병채 (1989,1996), 최남희 (1996) (5) 변한 ( 가야 ) 어에관한지극히박약한자료 ( 세단어 ) 를가지고고구려어와의관계, 일본어와의관계를논하기어렵다. --- 김수경 (1989) 등북한학자들 (6) 국어에보이는알타이적요소에만집착하고있다. 한반도에는알타이족이들어오기전에고아시아족이살고있었을가능성이높으며, 따라서고아시아어의기층이존재할지도모른다. 특히길리약어의요소가국어에보인다. --- 김방한 (1983 등 )
이기문교수의견해에대한비판및다른견해들 (7) 신라가삼국을통일하여고구려와백제의故土에신라어가세력을뻗친것은사실이겠지만언어의치환이그렇게쉽게일어나는것은아니다. 고구려방언은삼국통일후에도자신의특성을거의그대로간직하고있었을것이며, 개성은옛고구려의영토이므로고려어의형성에가장큰영향을끼친것은신라방언이아니라고구려방언이다. --- 김수경 (1989) 등북한학자들 (8) 국어는알타이어족이나기타다른어족의한분파 ( 곁가지 ) 가아니라그발생 발전의전과정이독자적인언어이다. 국어와알타이제어, 일본어사이에보이는유사성은친족관계에의한것이아니라후대의접촉에의한것이다. 김수경 (1989) 등북한학자들 (9) 숙신 읍루 물길 말갈에대해白鳥庫吉 (1914-6), 이기문 (1967) 은퉁구스족에속하는것으로보나김방한 (1983) 은고아시아족에속하는것으로봄. (10) 이기문은고대국어의범위를신라어로한정하고있는데고구려어와백제어도고대국어에포함시켜야한다. --- 북한학자들, 최남희 (1996) (11) 한국어나일본어는공통조상으로부터갈라진지너무오래되어서, 그계통은전통적인비교언어학의방법으로규명하기어렵다. --- 松本克己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