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C3B6C7D0BBE7BBF35F3531C8A35FC0FAC0DAB0CBC5E4BFCFB7E12E687770>

Similar documents
<B0A1C5E7B8AFC3B6C7D C8A32E687770>

<C7D1B1B9BCADBEE7B0EDC0FCC7D05F3238C8A32E687770>

- 4 -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토마스아퀴나스의 악론 (De Malo) 연구 박주영 ( 한국외국어대학교 ) [ 주요어 ] 선, 악, 결여, 죄, 부패 [ 요약문 ]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윤리학 에서공언하듯이모든사람은본성상 좋은것 을추구한다. 우리는우리에게유용한것, 우리에게즐거움을주는것과같이우리가필

내지-교회에관한교리

120~151역사지도서3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중세천사론의탈 ( 脫 ) 플라톤주의적성격 - 토마스아퀴나스의이존실체론 ( 離存實體論 ) 과 중세인의옷을입은아리스토텔레스 *44)- 정현석 ( 가톨릭대학교 ) [ 주요어 ] 토마스아퀴나스, 아리스토텔레스, 프로클루스, 원인론, 위디오니시우스, 천사론, 이존실체, 1) 신

< FC3B6C7D020BBE7BBF E687770>

178È£pdf

Bchvvhv[vhvvhvvhchvvhvvhvvhvvhvvgvvgvv}vvvgvvhvvhvvvhvvhvvhvvvbbhvvhvvvgvvgvvhvvhvvhv}hv,.. Bchvvhv[vhvvhvvhvvhvvbbhvvhvvhvvvhvvhvvgvvgvv}vvgvvhvvvhvv

152*220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3032B9E9C1BEC7F65BB1B3C1A45D2E687770>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Slide 1

02-출판과-완성

CC hwp

#7단원 1(252~269)교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세계 비지니스 정보


(......).hwp

5-9.hwp

È޴ϵåA4±â¼Û


What is the judgement like


행정학박사학위논문 목표모호성과조직행태 -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미치는 영향을중심으로 -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송성화

제5절 도덕과 수행평가 모델 개발의 실제

* pb61۲õðÀÚÀ̳ʸ

법학박사학위논문 실손의료보험연구 2018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법과대학보험법전공 박성민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철학탐구 1. 들어가는말,. (pathos),,..,.,.,,. (ethos), (logos) (enthymema). 1).... 1,,... (pistis). 2) 1) G. A. Kennedy, Aristotle on Rhetoric, 1356a(New York :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Print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CONTENTS.HWP

INDUS-8.HWP

2019달력-대(판형키워)

합본.hwp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82-대한신경학0201

Check 선지 판단 정답 36 노자와장자는타고난본성에따라살것을주장하였다. 37 노자와장자는타고난선한 ( 도덕적 ) 본성에따라살것을주장하였다. 38 장자는인간의감각을토대로분별지를극복할것을강조하였다. 39 노자는현실을떠나자연의질서에따를것을강조하였다. 40 노자와장자는도를

Jkafm093.hwp


[96_RE11]LMOs(......).HWP

왕께찬양합니다-R.Vader_&_J.Rouse._Arr.C._Kirkland)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313,.. A.D 361 ( ). ( 375 ) ( A.D ),., ( Arcadius; ), ( Honorius), ( Honorius; ). 9...,. 1, 2, 3,

00-1표지

- 2 -

~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2007년 6월 고2 모의고사 국어,언어 문제.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I 154

<BFB5BBF3B9AEC8AD3139C8A32DC0FCC3BCBFCFBCBABABB2E687770>

±¹Åä11-Ç¥Áö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10월추천dvd

08-임태평.hwp

JSRT ( ) ( ) ( ) (K. Barth) (Christological). (Christomonism).. (Christological-centric theology).. 1. (Calvin).., (reality), (realities). cf.,, ( :,

<30305F32C2F7BCF6C1A45FC1DFBCBCC3B6C7D E687770>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8.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 Programming Guide - Types

120330(00)(1~4).indd

DBPIA-NURIMEDIA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2001년 설교 모음

연구노트

Microsoft PowerPoint - CSharp-10-예외처리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DBPIA-NURIMEDIA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A1BAC3B6C7D0B3EDC1FDA1BB20C1A63431C1FD20C6EDC1FDBABB5FC3D6C3D6C1BEBCF6C1A4BABB2E687770>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공공기관기관장의전문성이 조직의성과에미치는영향 년 월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유진아

1 2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CR hwp

강의 개요

HANDONG G L O B A L UNIVERSITY 한 동 대 학 교 학 년 도 재외국민과외국인전형계획 재외국민 전형 1학기(3월 입학)만 선발 전교육과정 이수 재외국민 및 외국인 전형 1학기(3월 입학), 2학기(9월 입학) 선발 북한이탈주민 전형

01 02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Transcription:

논문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 - 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과그리스도교신앙의충돌을둘러싼 13 세기파리대학가의논쟁 -1) 손은실 주제분류 서양철학, 중세철학 주요어 원대한마음, 겸손,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아퀴나스, 보나벤투라, 시제브라방, 1277년단죄 요약문 원대한마음과겸손의양립가능성여부는 1277년전후로파리대학가에서격렬한논쟁의대상이되었던문제이다. 본고는 1270년대에이문제를다룬가장대표적인세학자, 즉토마스아퀴나스, 시제브라방, 보나벤투라의원전을엄밀하게분석하여 13세기파리대학이라는구체적인공간에서그리스도인신학자와철학자들이아리스토텔레스철학과그리스도교신앙이충돌하는문제에직면하여각각어떤입장을취했는지를밝힌다. 신학자였던토마스와보나벤투라와달리철학자였던시제는아리스토텔레스의철학을거의전적으로추종하여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의한개념과동일시하고원대한마음과양립가능하다고주장하였다. 이로인해겸손에관한그의주장은 1277년단죄목록제171조항의표적이되었다. 반면에보나벤투라는겸손에관한그리스도교의가르침에비추어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을노골적으로비판하였다. 이두사람과다른제 3의길을선택한토마스아퀴나스는성서의관점과아리스토텔레스의관점을연결시키는시도를함으로써겸손과원대한마음이양립가능하다고주장하였다. * 이논문은 2010 년정부재원 ( 교육과학기술부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 ) 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RF-2010-32A-A00050).

4 논문 Ⅰ. 들어가는말 1277년 3월 7일파리의주교에티엔탕피에는 라틴아베로에스주의 1) 혹은 이단적아리스토텔레스주의 2) 의혐의를받은 219개조항을단죄했다. 이것은중세의가장광범위하고중요한단죄사건이었다. 이 1277년의단죄 는 13세기에거의모든저작이라틴어로번역되어서방그리스도교세계에알려진아리스토텔레스철학과그리스도교신앙의만남으로야기된갈등의정점을극적으로보여주는사건이다. 219개조항으로구성된단죄목록가운데제171조항 3) 은 1277년전후로파리대학에서가장격렬한논쟁을불러일으킨윤리학적주제가운데하나에관한것이다. 그것은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에서다뤄진 원대한마음 (μεγαλοψυχία) 4) 과그리스도교의겸손개념은양립가능한가라는문제다. 13세기파리대학의저명한교수들이었던토마스아퀴나스 (1224/5-1274), 보나벤투라 (c.1217-1274), 시제브라방 (Siger de Brabant, c. 1241-1284) 은모두비슷한시기, 즉 1270년대에이문제를다루었다. 본고는이들의텍스트를분석함으로써 13세기파리대학이라는구체적 1) 라틴아베로에스주의 는중세라틴세계에서아베로에스의아리스토텔레스주석을추종하였던인문학부교수들 (magistri artium) 의철학유파를지칭한다. 중세철학사기술에서많은논쟁을불러일으킨이용어에대한보다자세한설명은다음논문을참조하라. 손은실, 보에티우스다치아의 최고선에관하여 -13 세기의신학적행복론과철학적행복론의충돌?, 철학사상, 41(2011), 308, n.2. 2) F. Van Steenberghen, La philosophie du XIIIe siècle, Louvain, Paris, 1991(2e édition), 357-358. 3) 겸손이라는것이누군가가자신이가진것을과시하지않고, 자신을과소평가하고낮추는것인한, 겸손은덕이아니다. - 만약이것이 겸손은덕도아니고, 덕스러운행위도아니다 라고이해된다면오류이다. [ Quod humilitas, prout quis non ostentat ea que habet, set uilipendit et humiliat se, non est uirtus. - Error, si intelligatur : nec uirtus, nec actus uirtuosus. ]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t. I, Articuli condemnati a Stephano Episcopo parisiensi anno 1277, a. 171. 4) μεγαλοψυχία 에대한역어 원대한마음 은곧출간될예정인 니코마코스윤리학,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번역 2 판에서채택한것이다. 이미출간된 1 판에서는 포부가큰것 으로번역하고있다. 미출간번역문일부를사용할수있도록기꺼이허락해주신역자들께감사드린다.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5 인공간에서그리스도인신학자들과철학자가아리스토텔레스의철학과그리스도교의신앙이충돌하는문제에직면하여각각어떤입장을취했는지살펴보고자한다. 토마스아퀴나스, 보나벤투라, 시제브라방이각각겸손과원대한마음을다룬텍스트들을본격적으로연구하기에앞서이들의논의의바탕에놓여있는그리스도교의겸손개념과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을차례대로간략하게살펴보자. Ⅱ. 논문의핵심개념에관한예비적고찰 1. 그리스도교의겸손 겸손은그리스도교가르침의거의전부이다. 5) 중세라틴그리스도교세계에서가장큰영향력을행사한아우구스티누스의주장이다. 그런데그리스도교의겸손이무엇을의미하는지알려면그일차적인전거인성서에서어떤의미로사용되는지를살펴보아야한다. 먼저구약성서에서겸손은가난이라는구체적인경험과연결되어있다. 히브리어에서 겸손한 의의미로사용되는두개의형용사 ani 와 anaw 는동일한어근 anah 에서나온다. anah 는 압제하다 라는의미의동사다. 이단어에서파생된두개의형용사 ani 와 anaw 는 가난한 혹은 구부러진 을의미하며사회적인조건과상태를표현한다. 이런의미로부터 겸손한 이라는의미가파생되었다. 6) 신약에서도겸손 (ταπείνωσις) 은구약에서처럼가난과연결되어있지만, 신약에나타난겸손의전형은 나는온유하고겸손하니, 내게서배워라. 7) 라 5) Augustinus, De sancta virginitate, 31, PL 40, 413, CSEL 41. 6)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II, Leiden, New York, Köln, 1995, 855-858 ; P. Adnès, Humilité, in: Dictionnaire de spiritualité VII/1, c. 1142-1148. 7) 마태복음 11: 29.

6 논문 고말씀하신예수그리스도의겸손에서발견된다. 위에서말한것처럼중세시대에가장큰영향을끼친교부인아우구스티누스는예수그리스도에게 겸손의스승 (magister humilitatis) 8) 혹은 겸손의박사 (doctor humilitatis) 라는호칭을붙이고다음과같이말한다.... 겸손의박사그리스도는첫째로 자신을비우시고종의형상을취하셨다...( 빌2: 7-8) 9) 그는구유에서십자가에이르기까지그리스도의삶전체가겸손을가르치셨다고주장한다. 10) 이러한아우구스티누스의설명은그리스도가보여준겸손은자기를비우고낮추는것에있음을분명하게보여준다. 그는이러한겸손이그리스도교의고유한덕이라고주장하고그리스도교신앙을모르는고전저자들의책이탁월한도덕적계명을포함할수는있지만, 에피쿠로스, 스토아, 플라톤과같은철학자들에게서겸손을찾는것은헛되다고말한다. 11) 그이유는자신을비우고낮추어인간이되신하나님의사랑에서기인하는겸손을인간의지성만으로는파악할수없었기때문이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아리스토텔레스는원대한마음 (μεγαλοψυχία) 을가진사람은 자신이가장큰일들을할만한사람이라고생각하며실제로도그런사람 12) 이라고말한다. 모름지기탁월성은두가지악덕, 즉모자람과지나침을피하고중용을따르는데있다. 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 (μεγαλόψυχος) 은 허영심을가진사람 (χαῦνος) -자신이큰일을할만한사람이라고생각하지만, 실제로는그렇지않은사람-과 소심한사람 (μικρόψυχος) -자신이실제로할수있는것보다작은것에적합하다고생각하는사람- 의지나침과모자람을피하고중용을취한사람이다. 8) Augustinus, Tractatus in Joannis Evangelium, 59, 1. 9) Augustinus, De sancta virginitate, PL 40, c. 413. 10) D.J. Macqueen, Pride in St. Augustine s Thought, Recherches augustiniennes IX(1973), 280-281. 11) En 2 in Ps. 31, PL 36, 270b; Contra Julianum IV, 3, Dictionnaire de spiritualité VII/1, 1153 에서재인용. 12) Ethica Nicomachea( 이하에서는 EN 으로약칭 )1123b16-17.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7 그런데원대한마음과관련되는큰일은외적인좋음가운데가장큰것인명예와주로관련된다. 그러니까 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 은 무엇보다도명예를받을만한가치가있다고스스로생각하며, 실제로도그런가치를가진사람이다. 13) 그런데 명예는탁월성에대한상이며탁월한사람들에게수여되는것이다. 14) 그러므로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은모든덕을완전하게최고로소유해야한다. 15) 이런도덕적탁월성과함께좋은운을곁들여가진사람은더많은명예를받을만한사람이라고생각된다. 왜냐하면부와권력을가진사람과좋은가문에서태어난사람들도명예를받을만한사람들로평가되기때문이다. 16) 이대목에서우리는원대한마음이아리스토텔레스시대에유행한귀족주의윤리의결정체라고불리는이유를엿볼수있다. 요컨대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은도덕적탁월성과좋은운을가지고있을뿐만아니라자신의우월성에대한자의식을가지고, 자신이명예를받을만한가치가있다고스스로생각하는사람이다. 17) 이와같은의미를가진원대한마음이중세그리스도세계에소개되었을때자기를비워종의형상을취하시고죽기까지복종한예수그리스도를겸손의모델로여기는그리스도교의겸손의덕과충돌을일으켰을것임을쉽게짐작할수있다. 18) 실제로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이중세그리스도교세계에소개되었을때, 작지않은갈등을불러일으켰다. 그러면이러한중세의반응을살펴볼수있는대표적인텍스트들을분석해보자. 13) EN 1123b22-23. 14) EN 1123b35. 15) EN 1124a1-2, 27-29. 16) EN 1124a21-26. 17) EN 1123b24-25. 18)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대한마음 은현대에도적지않은거부감을불러일으킨다. 그주된원인가운데하나는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이가장뛰어난덕을가진사람들로서존경받을만한사람이라는묘사에그치지않고, 도덕적행운 을가진사람으로그려지기때문이다. 출생환경이좋은사람은존경할가치가있는것으로생각되는것이그대표적인예다. J. Casey, Pagan Virtue. An Essay in Ethics, Oxford: Clarendon Press, 1990, 199-203; B. Williams, Moral Luck, Cambridge, 1981, 20-40.

8 논문 Ⅲ. 원대한마음과겸손의양립가능성문제와관련된 13세기파리대학교수들의텍스트분석 본고에서다루기로한세인물은동일한문제를다루지만, 서로접근방법이다르다. 그가운데가장먼저 1271년과 1272년사이에본고의주제와관련된글을쓴토마스아퀴나스는신학적관점에서겸손과원대한마음을다루지만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개념을많이사용한다. 반면에보나벤투라는성서와교부들의글을근거로겸손을다루고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은비판의대상으로서다룬다. 마지막으로시제는두개념을모두아리스토텔레스에의존하여설명한다. 이논문의주제에관해가장체계적으로다루고가장많은분량의글을남긴토마스아퀴나스의원전을제일먼저분석하고, 이어서그의저작의영향을받은시제브라방을토마스와체계적으로비교하면서다루며, 마지막으로이둘과다른독자적인접근법을가진보나벤투라를다루는것이이들의입장을이해하는데가장좋은순서일것이다. 1. 토마스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에나타난원대한마음과겸손 신학대전 에서원대한마음과겸손은도덕의특수한문제에할애된부분인 2부의 2부에서다뤄진다. 차례대로분석해보도록하자. (1) 원대한마음 (ST II-II, 129) 토마스가원대한마음을다루는텍스트는 니토마코스윤리학주석 과 신학대전 이다. 전자에서이덕을다루는것은당연한일이다. 하지만후자에서이덕을다루는것은의문을자아낸다. 앞에서언급한것처럼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은그리스도교신앙과충돌하는내용을가지고있는것으로보이기때문이다. 그렇다면토마스는이덕을자신의신학적윤리학체계안에과연어떤방식으로수용할까?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9 신학대전 에서원대한마음을다룬곳은 2부의 2부 129문이다. 129문 1절은원대한마음이명예에관한덕인가아닌가라는질문을다룬다. 이질문에토마스는아리스토텔레스를인용하며원대한마음의대상이명예라고대답한다. 하지만덕있는사람들은명예를탐해서가아니라, 명예를피하는것에서찬양을받는것이아닌가? 토마스는이런반론을모르지않으며, 이반론에대해다음과같이답변한다. 명예를얻기위해서어떤부적절한일도하지않는방식으로그리고명예를지나치게평가하지않는방식으로명예를멸시하는사람들은칭송받을만하다. 하지만누군가가명예의값어치가있는일을하는것에마음을쓰지않는방식으로명예를멸시한다면, 이것은비난받을일이다. 그래서원대한마음은이런방식, 즉명예를받을만한것을하려고노력하는방식으로명예에관련되는것이지, 인간적인명예를위대한것으로평가한다는점에서명예에관련되는것은아니다. 19) 이답변에서토마스는명예를추구하는것과명예를받을만한일을하려고노력하는것을구분하고원대한마음은후자의방식으로명예와관련된다고역설하고인간적인명예를높이평가하는것은아니라고설명한다. 그런데이런설명은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에대한설명과는거리가있는것으로보인다. 왜냐하면아리스토텔레스는명예를 외적인좋음가운데서가장큰것 이라고규정하기때문이다. 20) 여기서우리는토마스가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을자신의신학적윤리학의체계안에수용하지만신학적관점에서수정하는것을확인할수있다. 하지만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을그리스도교윤리학체계안에수용하는데걸림돌이되는문제는여전히남아있다. 그것은원대한마음에 19) ST II-II, 129, 1, ad3. illi qui contemnunt honores hoc modo quod pro eis adipiscendis nihil inconveniens faciunt, nec eos nimis appretiantur, laudabiles sunt. Si quis autem hoc modo contemneret honores quod non curaret facere ea quae sunt digna honore, hoc vituperabile esset. Et hoc modo magnanimitas est circa honorem, ut videlicet studeat facere ea quae sunt honore digna, non tamen sic ut pro magno aestimet humanum honorem. 20) EN 1123b20. 여기서아리스토텔레스가말하는 외적인좋음

10 논문 서그리스도교겸손개념과가장충돌하는것으로보이는내용, 즉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은다른사람을경시한다는것이다. 토마스는이점을잘알고있었고직접적으로이문제를거론한다. 원대한마음은겸손에대립된다. 왜냐하면윤리학 4권에서말하는것처럼, 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은자신이위대한것에걸맞다고생각하며, 다른사람을경시한다. 따라서원대한마음은덕이아니다. 21) 이반론에대해그는그리스도교신앙의관점에서해결을제시한다. 우선그는사람안에는하나님의선물인위대성이있고, 타락한인간에게서유래하는비참함이있다고밝히고다음과같이반론을해결한다. 원대한마음이타인을경시하는것은타인안에있는하나님의선물이아닌인간적결함에대해서다. 만약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이다른사람안에있는인간적결함을높이평가한다면그것은부적절한일일것이다. 22) 이와같이토마스는겸손과충돌하는것으로보이는원대한마음을제대로이해하면충돌하지않는다는것을보여주고자신의신학적윤리학체계안에하나의윤리적덕으로수용한다. (2) 겸손 (ST II-II, 161) 토마스는 니코마코스윤리학주석 에서는겸손에대해다루지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가겸손의덕을다루지않기에당연한일이다. 반면에 신학대전 에서는물론겸손의덕을다루며, 구체적으로 2부의 2부 161문에서여섯개의절에서여섯가지질문을다룬다. 이가운데서특히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의개념을사용하여겸손을설명하는 1절, 3절, 4절을분석하 21) ST II-II, 129, 3, obj. 4. 인용된아리스토텔레스구절은 EN. 1123 b 2, 1124 b 29. 22) ST II-II, 129, 3, ad4. 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은타인을경시한다 는구절을토마스는 니코마코스윤리학주석 에서는다음과같이구체적으로풀이한다. 덕이없는사람들이무차별적으로타인을경시하는것과달리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은정당하게악한사람을경시하고, 덕이있는사람을칭송한다. Sententia Ethic., lib. 4 l. 9. magnanimus iuste contemnit scilicet malos, et vere glorificat scilicet bonos, sed multi, scilicet qui carent virtute, contemnunt et glorificant indifferenter qualitercumque contingit, contemnendo scilicet interdum bonos, et glorificando malos.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11 겠다. 그가운데서도 1절을자세히분석할필요가있다. 이부분은다음에다룰시제브라방이많이차용하기때문에두사람의입장을비교하는데매우중요하다. 1 겸손은덕인가? (ST II-II, 161, 1) 토마스는가장먼저 겸손은덕인가 라는질문을다룬다. 이질문에답하기위해중세대학의토론형식을따라먼저겸손이덕이아니라고주장할수있는다섯가지근거를제시한다. 그가운데마지막세개즉반론 23) 3부터 5는모두아리스토텔레스철학에기초한논거며, 모두시제가그대로차용하는것이다. 여기서는세가지반론만차례대로살펴보고, 반론에대한답변은아래에서시제의답변과함께다룰것이다. 반론 3 : 어떤덕도다른덕에대립되지않는다. 하지만겸손은원대한마음의덕에대립되는것으로보인다. 원대한마음은큰것을지향하지만, 겸손은큰것을피하는것이니까. 그러므로겸손은덕이아닌것으로보인다. 24) 반론 4 : 자연학 7 권에서말하는것처럼, 덕은완전한것의성향이다. 그러나겸손은불완전한사람들의성향으로보인다. 그러므로겸손은덕이아닌것으로보인다. 25) 반론 5 : 모든도덕적덕은윤리학 2 권이말하는것처럼, 행위혹은정념에관한것이다. 그러나겸손은철학자가정념에관한덕가운데열거하지않고, 행위에관한정의의덕안에도포함시키지않는다. 그러므로그것은덕이아닌것으로보인다. 26) 이반론들은그리스도교의겸손과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의덕개념간의충돌을웅변적으로보여준다. 23) 여기서반론은 신학대전 의각절을구성하는한요소이며, 문제에대한정답과반대되는입장의논거를지칭한다. 중세대학의토론형식을사용한 신학대전 각절의구조에대해서는다음책을참고하라. 토마스아퀴나스, 신학대전 : 자연과은총에관한주요문제들, 손은실, 박형국옮김, 두란노아카데미, 2011, 46-48. 24) ST II-II, 161, 1, obj. 3. 25) ST II-II, 161, 1, obj. 4. 26) ST II-II, 161, 1, obj. 5.

12 논문 이반론들을제시한후에토마스는겸손이덕임을논증하기위해먼저이반론들과반대되는입장의권위에의한근거 27) 를성서에서가지고온다. 성모마리아의찬가에나오는구절- 그분께서자신의여종의비천함 (humilitatem 28) ) 을돌아보셨다 -과그리스도의말씀- 나는온유하고겸손하니 (humilis) 나에게서배우라 -이그것이다. 29) 그리스도와그의어머니를겸손의모델로제시함으로써, 겸손이덕임을간접적으로보여주는것이다. 여기서우리는토마스의겸손개념은일차적으로성서에근거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다. 하지만겸손이덕임을이성적으로논증하는부분에서그는겸손을성서의고유한개념보다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에견주어설명한다. 구체적으로그는겸손과원대한마음둘다어려운선에대한욕구와관련되는덕으로설명한다. 즉겸손이 과도하게높이있는선으로향하지않도록마음을절제시키고억제하는덕 이라면, 원대한마음은 절망에맞서마음을강화시켜주고, 바른이성에따라큰선을따르도록마음을움직이는덕 30) 이다. 하지만겸손에대한이런이해는토마스의겸손이해의절반만보여준다. 아래에서시제의텍스트와함께살펴볼반론에대한답변에서우리는토마스가겸손을일차적으로인간의하나님에대한순종과관련된덕이라고설명하는것을확인하게될것이다. 27) 이논거는 Sed contra 에나온다. 신학대전 의구조에대해서는각주 24 를참조하라. 28) 겸손을의미하는 humilitas 의대격형태이다. 여기서함께나오는겸손의형용사형 humilis 는 겸손한 이라고번역한데반해, 마리아의표현에서 비천함 이라고번역한이유는가난하고힘없는사회적조건과결부된성서의겸손개념을강하게반영하고있기때문이다. 29) 누가복음 1 장 48 절 ; 마태복음 11 장 29 절. 30) ST II-II, 161, 1, c. [...] Et ideo circa appetitum boni ardui necessaria est duplex virtus. Una quidem quae temperet et refrenet animum, ne immoderate tendat in excelsa, et hoc pertinet ad virtutem humilitatis. Alia vero quae firmat animum contra desperationem, et impellit ipsum ad prosecutionem magnorum secundum rationem rectam, et haec est magnanimitas. Et sic patet quod humilitas est quaedam virtus.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13 2 사람은겸손에의해자신을모든이아래에놓아야하는가? (ST II-II, 161, 3) 토마스는이질문에대해성서의한구절, 즉빌립보서 2장 3절, 즉 겸손하게서로 [ 상대방을 ] 자신보다우월하다고생각하고 라는말씀에기초하여긍정적으로대답한다. 하지만과연겸손한사람은자신을모든사람아래놓아야하는것일까? 토마스도물론이런반문을제기한다. 겸손은진리의편에위치해야지거짓의편에위치해서는안된다 라는아우구티누스의문장을인용하면서겸손에의해자신을위선적으로모든이아래놓는것의문제점을지적한다. 31) 그렇다면겸손한사람은어떻게위선적이지않으면서자신을모든이아래에놓을수있다는말일까? 이에대해토마스는다음과같이답변한다. 만약우리가이웃안에있는하나님에속하는것을우리안에있는우리의고유한것보다선호하면, 우리는거짓에떨어지지않을수있다. 32) 이말의의미를제대로이해하려면토마스가사람안에서두가지를구분한다는것을알아야한다. 하나님에게속한것과사람에게속한것이그것이다. 결함에해당하는것은무엇이든지인간에게속하고, 구원과완전함에해당하는것은무엇이든지하나님께속한다. [...] 그런데겸손은이미말한것처럼고유하게는하나님에게순종하는인간이하나님께돌리는존경과관련된다. 그러므로어떤사람이든지자기자신인한에있어서이웃안에있는하나님에게속한것에관해서는어떤이웃에게든지자신을그이웃아래놓아야한다. 33) 31) ST II-II, 161, 3, obj.2. 32) ST II-II, 161, 3, ad2. si nos praeferamus id quod est Dei in proximo, ei quod est proprium in nobis, non possumus incurrere falsitatem. 33) ST II-II, 161, 3, c. Hominis autem est quidquid pertinet ad defectum, sed Dei est quidquid pertinet ad salutem et perfectionem,... Humilitas autem, sicut dictum est, proprie respicit reverentiam qua homo Deo subiicitur. Et ideo quilibet homo, secundum id quod suum est, debet se cuilibet proximo subiicere quantum ad id quod est Dei in ipso.

14 논문 이문장은겸손을통해사람이모든사람아래에자신을놓아야한다는토마스의주장의의미를분명하게보여준다. 그것은사람이무조건적으로자신을모든사람아래두어야한다는것이아니라, 자신에게속하는것을모든사람안에있는하나님에게속한것아래놓아야한다는것이다. 3 겸손은절도 (moderatio) 혹은절제 (temperantia) 의한부분인가? (ST II-II, 161, 4) 이질문에서토마스는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의절제와키케로의절도개념과연결시키고자시도하였다. 먼저아리스토텔레스가말하는절제 (temperantia) 는정념의충동을제지하고억제하는것과관련된다. 따라서어떤정념의충동을제지하고억제하는것이거나행동을절제하는모든덕은절제의부분에속한다. 그런데겸손은위대한것으로향하는정신의움직임인희망의움직임을억제한다. 따라서겸손은절제의한부분이다. 그런데아리스토텔레스는명예와관련하여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과달리자신의한도에따라작은것으로향하는사람을 절제하는사람 (temperatus) 34) 이라고불렀다. 토마스는이절제하는사람을 겸손한사람 (humilis) 이라고부를수있다고말하며, 겸손을절제의의미로이해할수있다고주장한다. 35) 여기에덧붙여그는겸손이키케로가말하는일종의 정신의절도 (moderatio spiritus) 36) 외에다름아니라고주장한다. 34) EN 1123 b 5. 35) ST II-II, 161, 4, c. Et ideo omnes virtutes refrenantes sive reprimentes impetus aliquarum affectionum, vel actiones moderantes, ponuntur partes temperantiae. Sicut autem mansuetudo reprimit motum irae, ita etiam humilitas reprimit motum spei, qui est motus spiritus in magna tendentis. Et ideo, sicut mansuetudo ponitur pars temperantiae, ita etiam humilitas. Unde et philosophus, in IV Ethic., eum qui tendit in parva secundum suum modum, dicit non esse magnanimum, sed temperatum, quem nos humilem dicere possumus. Et inter alias partes temperantiae, ratione superius dicta, continetur sub modestia, prout Tullius de ea loquitur, inquantum scilicet humilitas nihil est aliud quam quaedam moderatio spiritus. 36) 키케로의절도에대해서는설명이없다. 신학대전 라틴어텍스트와불어번역에키케로저작의근거로다음전거를제시하고있다. Reth. II, 54.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15 이와같이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의절제와연결시킨토마스의시도는시제브라방의겸손이해에결정적인영향을끼쳤다. 그러면시제가겸손과원대한마음을어떻게다루는지토마스의입장과비교하면서살펴보자. 2. 시제브라방의 도덕문제 1 문에나타난원대한마음과겸손 ( 토마스아퀴나스와의비교 ) 시제는 1273년경도덕문제를다루면서제1문에서 겸손은덕인가? 라는문제를다루었다. 37) 철학자인그가도덕문제를다루면서겸손을다루는것부터의문을불러일으킨다. 왜냐하면그가그토록추종하였던철학자, 당대에철학자의대명사로불리던아리스토텔레스의윤리학에서겸손은하나의덕으로제시되지않기때문이다. 그럼에도그가겸손을철학적윤리에서다루는이유는고띠에 38) 의말처럼겸손한사람 (humilis) 을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의절제하는사람 (temperatus) 과연결시킨토마스의영향과밀접한관련이있다. 39) 도덕문제 1문에서시제는중세대학토론문제의형식을따라겸손은덕이라는자신의답변을제시하기전에그와반대되는입장, 즉겸손은덕이아니라고주장할수있는근거를제시한다. 그가제시한네가지반론가운데세가지는앞서말한것처럼토마스아퀴나스가제기한반론과내용이동일하다. 세반론은모두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에근거하고있다. 이것을한눈에볼수있도록시제와토마스의반론과반론에대한답변을나란히소개하고두학자의답변을비교분석해보자. 37) Quaestiones morales, q. 1. Utrum humilitas sit virtus, in: Ecrits de logique, de morale et de physique, ed. B. Bazan, Louvain, Paris, 1974, 98-99. 38) R.-A. Gauthier, Magnanimité: l idéal de la grandeur dans la philosophie païenne et dans la théologie chrétienne, Paris: J. Vrin, 1951, 475-480. 39) 시제에대한고전적연구를남긴반스텐베르겐은시제가토마스저작을이용하며, 시제에대한토마스의영향은매우잘감지된다고주장했다. F. V. Steenberghen, Maitre Siger de Brabant, Louvain, Paris, 1977, 396.

16 논문 (1) 토마스아퀴나스와시제의반론들과그에대한답변들 첫째반론 답변 둘째반론 답변 셋째반론 토마스아퀴나스 어떤덕도다른덕에대립되지않는다. 하지만겸손은원대한마음의덕에대립되는것으로보인다. 원대한마음은위대한것을지향하지만, 겸손은위대한것을피하는것이니까. 그러므로겸손은덕이아닌것으로보인다. 40) 겸손은욕구가바른이성을넘어서있는큰것으로향하지않도록욕구를억제한다. 반면에원대한마음은마음이바른이성에따라큰것을지향하도록움직인다. 그러므로원대한마음은겸손에대립하지않고, 둘다바른이성에따르는것이라는점에서두덕이수렴한다는것은분명하다. 42) 자연학 7 권에서말하는것처럼, 덕은완전한것의성향이다. 그러나겸손은불완전한사람들의성향으로보인다. 그러므로겸손은덕이아닌것으로보인다. 44) 이답변은길기때문에요약한다. 완전함은두가지방식으로말해진다. 하나는단적으로완전한것으로그안에어떤결함도발견되지않는완전함이다. 이경우오직신만이완전하다. 다른하나는어떤점에있어서완전하다고말해지는것으로덕이있는사람은이런방식으로완전하다. 하지만그의완전함은하나님과비교하면결함이발견된다. 이두번째방식으로겸손은어떤사람에게나적합할수있다. 47) 모든도덕적덕은윤리학 2 권이말하는것처럼, 행위혹은정념에관한것이다. 그러나겸손은철학자가정념에관한덕가운데열거하지않고, 행위에관한정의의덕안에도포함시키지않는다. 그러므로그것은덕이아닌것으로보인다. 49) 시제브라방 ( 겸손은덕이아니다.) 왜냐하면겸손은위대한것을지향하는원대한마음과같은덕에대립되기때문이다. 그런데겸손은위대한것을피한다. 41) 때때로덜어려운것을요구하는것이적합할때는욕구를억제하기위해겸손의덕이필요하다. 때때로어려운것을욕구하는것이적합할때는욕구를밀고나기위해원대한마음이필요하다. 43) 자연학 7권 45) 에나오는아리스토텔레스의말에따르면, 덕은최선을향한완전한것의성향이다. 그러므로덕은완전한자들 (perfectorum) 에게속하는것이다. 그러나겸손은불완전한사람들 (imperfectorum) 에게속하는것이다. 46) 겸손은덕이고원대한마음도덕이다. 하지만원대한마음은겸손혹은명예에대한절제보다더완전한덕이다. 왜냐하면아리스토텔레스가윤리학 4 권원대한마음에관한장에서이것을쓰고있기때문이다. 그러나겸손은비록원대한마음처럼그렇게완전한사람들에게속하는것은아니지만, 불완전한사람들에게속하는것은아니다. 48) 겸손이도덕적덕이라면행위에관한것이거나정념에관한것이다. 하지만겸손은어느것에도포함되지않는다. 윤리학책을검토하는사람에게분명하듯이. 50)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17 답변 철학자는덕을시민생활과관련해서다루려고의도했다. 시민생활에있어서한사람의다른사람에대한종속은법의질서에따라규정된다. 따라서이것은법률적정의아래포함된다. 그런데겸손은특수한덕이라는점에있어서, 무엇보다특히인간의신에대한종속과관련이있고, 그리고신때문에심지어다른사람에게도자신을낮춤으로써종속시키는것과관련이있다. 51) 겸손은명예에관한욕구와관련된감정적욕구의정념에관한것이다. 52) 40) nulla virtus opponitur alii virtuti. Sed humilitas videtur opponi virtuti magnanimitatis, quae tendit in magna, humilitas autem ipsa refugit. Ergo videtur quod humilitas non sit virtus. ST II-II, 161, 1, obj. 3. 41) nam [humilitas] opponitur virtuti ut magnanimitati, quae tendit ad magna, humilitas autem refugit magna.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7-8. 바로위의각주 42 에나오는토마스의반론과여기인용한시제의반론을라틴어로보면둘사이의유사성을더뚜렷이확인할수있다. 42) humilitas reprimit appetitum, ne tendat in magna praeter rationem rectam. Magnanimitas autem animum ad magna impellit secundum rationem rectam. Unde patet quod magnanimitas non opponitur humilitati, sed conveniunt in hoc quod utraque est secundum rationem rectam. ST II-II, 161, 1, ad3. 43)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37-42. 44) virtus est dispositio perfecti, ut dicitur in VII Physic. Sed humilitas videtur esse imperfectorum, unde et Deo non convenit humiliari, qui nulli subiici potest. Ergo videtur quod humilitas non sit virtus. ST II-II, 161, 1, obj. 4. 45) Physica 247a 1-5. 46)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9-10. 47) perfectum dicitur aliquid dupliciter. Uno modo, simpliciter, in quo scilicet nullus defectus invenitur, nec secundum suam naturam, nec per respectum ad aliquid aliud. Et sic solus Deus est perfectus, cui secundum naturam divinam non competit humilitas, sed solum secundum naturam assumptam. Alio modo potest dici aliquid perfectum secundum quid, puta secundum suam naturam, vel secundum statum aut tempus. Et hoc modo homo virtuosus est perfectus. Cuius tamen perfectio in comparatione ad Deum deficiens invenitur, secundum illud Isaiae XL, omnes gentes, quasi non sint, sic sunt coram eo. Et sic cuilibet homini potest convenire humilitas. ST II-II, 161, 1, ad4. 48) perfectior virtus est magnanimitas quam humilitas sive temperantia circa honorem. Sic enim notat eam Aristoteles in quarto Ethicorum, capitulo de magnaimitatae. Non tamen est humilitas imperfectorum, licet non sit tam perfectorum sicut magnanimitas.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44-47. 49) omnis virtus moralis est circa actiones vel passiones, ut dicitur in II Ethic. Sed

18 논문 (2) 토마스와시제의답변비교분석 시제가제기한세가지반론은토마스와내용뿐만아니라순서까지동일하다. 하지만반론에대한답변에서는첫째반론에대한답변을제외하고두사람이갈라진다. 두번째반론에대한두사람의답변을비교해보자. 겸손이불완전한사람들에게속하는것이기때문에덕이아니라고주장하는반론을반박하기위해시제는우선겸손과원대한마음을둘다명예와관련된덕이라고해석한다. 철학의한계안에서덕에관한논의를전개하는시제는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가말한 명예에관한절제 (temperantia) 와동일시한다. 그는계속아리스토텔레스를인용하면서원대한마음과겸손을비교하여전자가후자보다더완전한덕이라고말한다. 이렇게두덕간에서열을매기는것은두덕을소유하는사람들의서열화로귀결된다. 즉보다완전한사람들과덜완전한사람들이그것이다. 이를통해겸손은덜완전한사람들의덕이라고주장함으로써겸손은불완전한사람에게속하는것이기때문에덕이아니라는반론을반박한다. 이러한시제의겸손이해는겸손을단지덜완전한사람들뿐만아니라모든사람들의덕이라고보는그리스도교적겸손이해와충돌한다. 하지만시제는이런충돌에아랑곳하지않고아리스토텔레스의윤리학을추종한다. 반면에토마스는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의덕개념의틀이그리스도교의겸손개념에잘부합하지않을때아리스토텔레스덕개념을그리스도교 humilitas non connumeratur a philosopho inter virtutes quae sunt circa passiones, nec etiam continetur sub iustitia, quae est circa actiones. Ergo videtur quod non sit virtus. ST II-II, 161, 1, obj. 5. 50)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12-14. 51) philosophus intendebat agere de virtutibus secundum quod ordinantur ad vitam civilem, in qua subiectio unius hominis ad alterum secundum legis ordinem determinatur, et ideo continetur sub iustitia legali. Humilitas autem, secundum quod est specialis virtus, praecipue respicit subiectionem hominis ad Deum, propter quem etiam aliis humiliando se subiicit. ST II-II, 161, 1, ad5. 52)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49-50.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19 신앙의관점에서수정하는것을보여준다. 즉완전한것의성향이라는아리스토텔레스의덕개념을신앞에서모든인간은불완전하다는신앙의관점에서상대적으로완전한것의성향으로수정한다. 이를통해겸손은모든사람에게적용될수있는덕이라고주장하며, 겸손을불완전한사람들에게귀속시키며덕이아니라고주장하는반론을반박한다. 셋째반론을해결하는방식에있어서도두사람은차이를드러낸다. 두사람은모두겸손이덕이아니라는주장의근거로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에서도덕적덕은행위나정념에관한것인데, 아리스토텔레스는겸손을이두가지가운데어디에도포함시키지않았음을내세운다. 시제는이반론에대해겸손은명예욕과관련된정념에관한덕이라고답변한다. 반면에토마스는왜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에서겸손이덕목록에포함되지않았는지를설명한다. 그이유는그의윤리학은시민생활과관련된덕을다루기때문이라고말한다. 하지만겸손은신에대한인간의종속과관련된특수한덕이라고밝히며겸손은덕이아니라는반론을반박한다. 이와같은반론에대한답변에서우리는두사람의겸손이해에차이가있음을엿볼수있다. 그러면두사람이겸손을어떻게이해하는지좀더자세히살펴보자. (3) 토마스와시제의겸손개념 시제는겸손이아리스토텔레스의덕목록에는포함되지않았음을지적한다. 하지만그는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가말한명예에관한절제 (temperantia circa honorem) 와동일시한다. 53) 겸손에대해좀더자세히규정하기전에그는먼저겸손이라는단어의오용을지적한다. 이름은매우쉽게응용되기때문에우리는겸손이라는이름을그의미에있어서우리안에있는덕을보여주지않는어떤것에대해사용한다. 가령어떤이가자신안에있는것보다더작은선을보여줄때, 우리는때때로그가겸손하다고말한다. 그것은겸손이라는이름을변형한것이다. 그러나겸 53)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44-45.

20 논문 손자체는그이름을확장하지않을때덕을나타내는이름이다. 54) 시제는이인용문에서 자신안에있는것보다더작은선을보여주는것 은겸손의변형으로서덕이아니라고주장한다. 그리고이주장은바로 1277년단죄목록의 171 조항의표적이되었다. 55) 그러면시제는겸손이라는단어가덕을나타내는이름으로사용될때의의미를어떻게규정할까? 시제의말을들어보자. 어려운선의욕구와어렵기때문에도피하는것과관련하여, 두가지덕, 즉겸손과원대한마음이있다. 즉원대한마음은바른이성에따라어려운것으로나아가게하고, 겸손은바른이성을넘어서는위대한것으로향하지않도록혹은바른이성에따라위대하고너무어려운것을피하도록욕구를억제하는것이다. 56) 요컨대시제에따르면, 덕이라고불릴수있는겸손은바른이성에따라이성을넘어서는지나치게어려운것을피하도록욕구를억제하는것을의미한다. 토마스도겸손의이런의미를인정한다. 하지만그는이와다른차원의겸손의의미도말한다. 토마스는겸손이덕이아니라는반론들을반박하는과정에서겸손에대한두가지이해를보여주었다. 한편으로그는자연이성의차원에서겸손을설명한다. 이경우그는아리스토텔레스의덕윤리의틀속에서겸손은 54) cum nomina valde de facili accomodentur, bene possumus uti nomine humilitatis ad aliquid tale quod in illa significatione non praetenderet nobis virtutem; ut videlicet cum aliquis praetendit minora bona de se quam in eo sint, dicimus eum aliquando esse humilem, et hoc transmutando nomen humilitatis. Sed ipsa himilitas, non extendendo nomen eius, nomen virtutis est;...,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18-23. 55) R. Hissette, Enque te sur les 219 articles condamnés à Paris le 7 mars 1277, Louvain, Paris, 1977, 302; D. Piché, La condamnaiton parisienne de 1277, Paris: J. Vrin, 1999, 278. 56) Quaestiones morales, q. 1. lign. 32-36. circa appetitum boni ardui et fugam ipsius quia arduum, sunt duae virtutes, scilicet humilitas et magnaimitas; idest quod magnanimitas impellit ad ardua secundum rectam rationem et humilitas reprimit appetitum, ne tendat in magna extra rectam rationem, seu ut fugiat magna et nimis ardua secundum rectam rationem.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21 바른이성에따라지나치게큰것을지향하지않도록욕구를억제하는것이라고정의한다. 다른한편으로그리스도교신앙의관점에서겸손은무엇보다인간이하나님께순종하고하나님때문에다른사람에게도자신을낮추어서순종하는것이라고규정한다. 그러면이두가지겸손개념의관계를어떻게이해할수있을까? 은총은자연을제거하지않고완성한다 57) 는토마스의신학공리에비추어보면, 이성적차원에서이해되는겸손개념은신앙적차원의겸손개념에의해제거되지않고완성되는것으로이해할수있다. 시제는겸손을오직이성적차원에서논의함으로써아리스토텔레스의개념의틀을충실히추종하는데머물러있는반면, 토마스는아리스토텔레스의개념의틀을신학안에수용하지만, 그리스도교신앙의차원을통해보완한다. 두사람의겸손에대한상이한이해는겸손과원대한마음의대립문제를해결하는데서도나타난다. (4) 겸손과원대한마음은대립되지않는가? 토마스와시제의답변비교 원대한마음은위대한것을지향하지만, 겸손은위대한것을피하는것이므로둘이대립된다는주장에대해시제와토마스는표현만약간다를뿐같은대답을한다. 즉겸손은욕구가바른이성을넘어서있는위대한것으로향하지않도록욕구를억제하는반면에원대한마음은마음이바른이성에따라위대한것을지향하도록움직인다. 따라서둘은대립하지않고, 둘다바른이성에따르는것이라는점에서수렴한다는것이다. 하지만토마스는시제와달리겸손을단순히아리스토텔레스의명예에관련된욕구의절제와동일시하지않는다. 그는이것도겸손의한부분으로인정하지만, 겸손은보다고유하게는하나님에대한인간의순종과관련된덕으로본다. 이런그리스도교신앙의관점에서겸손과원대한마음이대립 57) Gratia non tollit naturam sed perficit. Sent. II, d. 9, q. 1, a. 8, arg. 3; ST I, 1, 8, ad 2, etc. 스콜라신학의격언이었던이신학공리에대한참고문헌은또렐이잘정리하고있다. J.-P. Torrell, Saint Thomas d Aquin, maître spirituel, Initiation 2, Fribourg (Suisse): Éditions universitaires, Paris: Cerf, 1996, p. 302, n. 2.

22 논문 하지않는가라는문제에대해토마스는다음과같이대답한다. 자신의힘을신뢰하면서보다위대한것으로향하는것은겸손에대립된다. 하지만누군가가하나님의도우심을신뢰하면서보다위대한것으로향하는것은겸손에대립되지않는다. 특히누군가가겸손하게하나님께자신을낮출수록하나님앞에서높여지기때문이다. 58) 이답변에서우리는두가지를발견할수있다. 하나는토마스가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과그리스도교의고유한겸손사이의대립을의식하고있다는것이다. 원대한마음은인용문에서겸손과대립되는것으로말해지는 자신의힘을신뢰하면서보다위대한것으로향하는것 과다른것이아니기때문이다. 다른하나는이대립을피하기위해원대한마음에그리스도교의세례를주어서하나님의은총에대한신뢰를바탕으로위대한것을추구하는것으로규정한다는것이다. 이모든것은결국토마스가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개념을많이차용하지만, 그렇다고그리스도교의겸손이해를상실한것은아님을보여준다. 3. 보나벤투라의 창조의 6 일강론 및 복음적완전에관한토론문제 에나타난원대한마음과겸손 보나벤투라가본고의주제를다루는주된저작은 창조의 6일강론 이다. 하지만이책에서는겸손은지나가면서언급하는것에그친다. 그가겸손을다루는주된텍스트가운데하나는 복음적완전에관한토론문제 1 문이다. 이두저작을차례대로살펴보자. (1) 창조의 6 일강론 59) 에나타난원대한마음 58) tendere in aliqua maiora ex propriarum virium confidentia, humilitati contrariatur. Sed quod aliquis ex confidentia divini auxilii in maiora tendat, hoc non est contra humilitatem, praesertim cum ex hoc aliquis magis apud Deum exaltetur quod ei se magis per humilitatem subiicit. ST II-II, 161, 2, ad2. 59) Collationes in Hexaemeron, in: S. Bonaventurae opera omnia, Quaracchi, 1891, t. V.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23 1270년전후로소위 라틴아베로에스주의 위기가파리대학에서심화되자보나벤투라는 1273년봄에교수와학생들을잘못된가르침에서돌아서게하고그리스도교의지혜로인도하기위해강론을시작했다. 이것이그의유명한 창조의 6일강론 (Collationes in Hexaemeron) 이다. 60) 이강론에서그는아베로에스주석을추종한당대의과격한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대해격렬한비판을시도하면서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도비판적검토의대상으로삼는다. 스물세개의강론으로구성된이강론중다섯번째강론에서보나벤투라는아리스토텔레스의 니토마코스윤리학 에서다뤄진 12개의덕을검토한다. 그가운데서짧은한문단에서원대한마음을다룬다. 그의말을직접들어보자. 여섯번째중용은원대한마음이다. 그것은위대한것을높이평가하고비천한것을경멸하는것이다. 그런가하면겸손은겉보기의위대한것을경멸하고작아보이지만진정으로위대한것을높이평가한다. 철학자는원대한마음을가진사람이명예를욕구한다고말한다. 그가뭐라고말하든, 그것이영원한것에대한명예에관련된것이아니라면, 그것은진리의가르침이아니다. 61) 보나벤투라는아리스토텔레스의 원대한마음 과그리스도교의겸손의대상을대비시킨다. 전자의대상이명예라면, 후자의대상은진정으로위대한것이다. 문맥에서진정으로위대한것은세속적명예가아닌영원한것에대한명예라는것이유추된다. 이런대비를통해그는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이영원한것에대한명예에관한것이아닌한진리의가르침에위배된다고단호하게비판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윤리학을비판적으로검토하는이강론에서그가겸손에대해따로설명하지않는것은당연한일이다. 따라서겸손에대한보나벤투라의이해를보기위해서는그가이문제를다루는다른저작을검토해야한다. 60) J.-G. Bougerol, Introduction à saint Bonaventure, Paris : Vrin, 1988, p. 236-236. 61) Collationes in Hexaemeron V, 10, 355.

24 논문 (2) 복음적완전에관한토론문제 62) 이토론문제는보나벤투라가 1255년에작성한것이다. 그배경은 1252 년부터파리대학에서발생한교구소속재속사제들로구성된재속교수들 (secular masters) 과탁발수도사 (mendicants) 출신의교수들간의갈등에있다. 보나벤투라는탁발수도사들의수도적삶의방식에대한재속교수들의공격에대항하기위해이토론문제를다뤘다. 63) 이토론문제제1문에서그는겸손을그행위에관하여다룬다. 64) 여기서그는 그리스도를위해자기자신을낮추는것 (vilificare) 이그리스도인의완전에속하는가 라는질문을제기한다. 그는모두성서와교부텍스트에서인용한무려 25개의근거를제시한다음에다음과같은결론을내린다. 그리스도인의모든완전의총체는겸손에있다. 겸손의행위는외적으로그리고내적으로자신을낮추는것이다. 65) 이텍스트에서우리는보나벤투라가겸손을다룰때동시대의토마스와시제와큰차이를보여줌을확인할수있다. 그것은그가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의덕개념을사용하여설명하지않는다는것이다. 그는덕 (virtus) 개념대신에완전함 (perfectio) 라는표현을사용하며겸손을그행위에관해다루는것이특징이다. 보나벤투라는왜이런선택을했으며, 그의미는무엇일까? 이질문에대한답변은차후의연구과제로남겨둔다. 62) Quaestiones disputatae de perfectione evangelica, S. Bonaventurae opera omnia, Quaracchi, 1891, t. V, 117-198. 63) J.-G. Bougerol, Introduction à saint Bonaventure, Paris : Vrin, 1988, p. 209-211. 64) De humilitate quoad actum ipsius. 65) summa totius christianae perfectionis in humilitate consistit, cuius actus est exterior et interior vilificatio sui. Quaestiones disputatae de perfectione evangelica, S. Bonaventurae opera omnia, Quaracchi, 1891, t. V, 120.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25 Ⅳ. 나가는말 지금까지 1277년전후로파리대학가에서격렬한논쟁의대상이되었던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 (μεγαλοψυχία) 과그리스도교의겸손개념의양립가능성여부문제를다루는가장대표적인텍스트들을분석하였다. 이를통해 13세기파리대학의교수들이아리스토텔레스의철학과그리스도교의신앙이충돌하는문제에직면하여어떤입장들을취했는지발견할수있었다. 토마스나보나벤투라와같은신학자와달리철학자였던시제는아리스토텔레스의철학을거의전적으로추종하는모습을보여주었다. 즉, 그는그리스도교의겸손이해에는거의관심을기울이지않고, 겸손을아리스토텔레스의명예에관한절제와동일시했다. 이를통해겸손과원대한마음이양립가능하다고주장하였다. 이로인해겸손에관한그의입장은 1277년단죄목록 171조항의표적이되었다. 반면에보나벤투라는그리스도교의겸손과인간적명예를대상으로하는아리스토텔레스의원대한마음을대립시키고, 원대한마음을진리의가르침이아니라며노골적으로비판했다. 그는겸손을다룰때도다른두사람과달리아리스토텔레스의덕개념을사용하지않았다. 이것은그가겸손을아우구스티누스처럼그리스도교의고유한개념으로이해한것을보여준다. 또한이것은이성을초월하는신앙문제에관하여철학을사용하는것을포도주를물로변화시키는 최악의기적 (pessimum miraculum) 66) 이라고불렀던자신의입장에충실했음을보여준다. 이두사람과는다른제 3의길을선택한토마스아퀴나스는성서의관점과아리스토텔레스의관점을연결시키려는시도를통해겸손과 원대한마음 이양립가능함을주장하였다. 다시말해그는 은총은자연을제거하지않고완성한다. 는자신의신학공리를적용하여그리스도교신앙의관점은아리스토텔레스의관점을제거하지않고완성한다는것을보여주려고시 66) Bonaventura, Collationes in Hexaemeron, XIX, 14, S. Bonaventurae Opera Omnia, Quaracchi, 1891, t. V, 422.

26 논문 도했다. 하지만이렇게상이한두전통을연결시키고자한그의시도는과연성공적인것으로평가될수있을까? 유대-그리스도교계시와그리스철학전통의양립가능성여부는중세철학해석의영원한질문으로남아있다. 투고일 : 2014. 02. 14. 심사완료일 : 2014. 02. 17. 게재확정일 : 2014. 02. 18. 손은실장로회신학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27 참고문헌 1. 고대및중세저자 Aristoteles, Ethica Nicomachea, I. Bywater, Oxford: Clarendon, 1986 (19쇄); 이창우ㆍ김재홍ㆍ강상진옮김, 서울 : 도서출판길, 2013., Aristoteles Latinus, 26/1-3(4), Ethica Nicomachea translatio Roberti Grosseteste Lincolniensis sive Liber Ethicorum B. Recensio Recognita, E. Leiden: E. J. Brill / Bruxelles: Desclee de Brouwer, 1973. Augustinus, De sancta virginitate, 31, PL 40 & CSEL 41. Bonaventura, Collationes in Hexaemeron, S. Bonaventurae Opera Omnia, Quaracchi, 1891, t. V., Quaestiones disputatae de perfectione evangelica, S. Bonaventurae Opera Omnia, Quaracchi, 1891, t. V. Siger de Brabant, Quaestiones morales, q. 1. Utrum humilitas sit virtus, in: Ecrits de logique, de morale et de physique, ed. B. Bazan, Louvain, Paris, 1974. Thomas de Aquino, Sententia libri ethicorum, Textum Leoninum, t. 47/1, 47/2, Rome, 1969., Summa theologiae, Textum Leoninum, t. 4-11, Rome, 1888-1906. 2. 현대저자 강상진, 아우구스티누스와고전적덕론의변형, 인간 환경 미래, 2010 가을, 135-156. 김율, 13세기이성의자율성과한계의식, 대동철학 61, 2012, 99-125. 박승찬, 서양중세의아리스토텔레스수용사-토마스아퀴나스를중

28 논문 심으로, 서울 : 누멘, 2010. 손은실, 토마스아퀴나스의아리스토텔레스주석- 니코마코스윤리학주석 을중심으로, 서양고전학연구 28, 2007, 여름, 173-198. Adnès, P., Humilité, in: Dictionnaire de spiritualité VII/1, c.1136-1188. Bougerol, J.-G., Introduction à saint Bonaventure, Paris : Vrin, 1988. Casey, J., Pagan Virtue. An Essay in Ethics, Oxford: Clarendon Press, 1990, Williams, B., Moral Luck, Cambridge, 1981. Gauthier, R.-A., Magnanimité: l'idéal de la grandeur dans la philosophie païenne et dans la théologie chrétienne, Paris, J. Vrin, 1951. Hissette, R., Enque te sur les 219 articles condamnés à Paris le 7 mars 1277, Louvain, Paris, 1977. Macqueen, D. J., Pride in St. Augustine s Thought, Recherches augustiniennes IX(1973), 237-259. Piché, D., La condamnaiton parisienne de 1277, Paris: J. Vrin, 1999. Steenberghen, F. Van, La philosophie au XIIIe siècle, Louvain, Paris, 1991(2e édition)., Maître Siger de Brabant, Louvain, Paris, 1977. Torrell, J.-P., Saint Thomas d Aquin, maître spirituel, Initiation 2, Fribourg (Suisse): Éditions universitaires, Paris: Cerf, 1996, p. 302, n. 2.

원대한마음과겸손은양립가능한가? 29 ABSTRACT Is Magnanimity Compatible with Humility? : Thirteenth Century Disputations at Paris University regarding the Conflict between Aristotle's Ethics and Christian Faith Son, Eunsil Is magnanimity compatible with humility? This is a question that caused violent disputations during the thirteenth century at Paris University regarding the conflict between Aristotle s magnanimity and Christian humility. This paper analyses relevant texts written by three professors of Paris University: Thomas Aquinas, Siger of Brabant, and Bonaventure. It elucidates the respective positions taken by each author faced with the conflict between Aristotelian philosophy and Christian faith. Siger of Brabant, who almost entirely followed Aristotle's philosophy, identified humility with the Aristotelian virtue of temperance by arguing that humility is compatible with magnanimity. His opinion about humility became a target of the condemnation of 1277. Contrary to Siger, Bonaventure openly criticized Aristotelian magnanimity in light of Christian humility. Thomas Aquinas position differed with Siger of Brabant and Bonaventure by trying to connect the Christian humility and Aristotelian magnanimity. Through this, he argued that the two virtues are compatible.

30 논문 Keywords: Magnanimity, Humility, Aristotle, Thomas Aquinas, Siger of Brabant, Bonaventure, Latin Averroism, Condemnation of 1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