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nline ML Comm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DOI /kjorl-hns pissn / eissn

Similar documents
서론/사용시 유의사항/방법

13-09이성재

Herpes Zoster Oticus Park SY A B C Fig. 1. Variable extent of auricular vesicular eruptions of three different cases of typical Ramsay Hunt syndrome.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강북삼성병원이비인후과학교실이용우, 장선오, 김민범 J Korean Skull Base Society 12 권 2 호 : 47~52, 2017 경유양동상미로접근법을이용한안면신경감압술로회복된 Ramsay Hunt syndrome 1 례 A case of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79-83 연성 안면마비의 경우 대부분에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자연 회복된다고 한다 외상에 의한 안면신경 손상의 경우 슬신경절 부위가 가장 흔하게 다친다고 하며 최근에는 중두개와 접

A 617

hwp

(

Lumbar spine

12이문규

< D30362D B1E8BAB4C1B62DB1E8C8A3C1A4292E687770>

Microsoft Word doc

말초성 안면마비에서 중두개와 접근법에 의한 안면신경 감압술 : 3례 보고 에서는 완전하게 회복되지 않고 정지상태에서 입술모양의 작된 사람일수록 후유증이 남을 확률이 더 높다는 문제점 비대칭, 표정을 지을 때 입술모양의 뒤틀림, 눈이 완전히 감 이 있다. 그러므로 말초성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807_818의학강좌-이원상_김진

001-학회지소개(영)

황지웅

Microsoft Word doc

KISEP Abstract 안면신경초종의치료경험 전영명 박기현 이진석 전상훈 The Management of Facial Nerve Schwannoma Young-Myoung Chun, M.D., Keehyun Park, M.D., Jin-Suk Le

< FC1F8B9E6B1B3C0B02E687770>

untitled



139~144 ¿À°ø¾àħ

( )Kju269.hwp

김범수

노영남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Microsoft Word doc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 1

Jkss hwp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012임수진

440 /

( )Jkstro011.hwp

Continuing Education Column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of Cervical Spine Ki Hong Cho,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jou

The Window of Multiple Sclerosis

(conversion disorder),, (,,, 2000;,, 1996;, 2002; Kozlowska, Scher, & Williams, 2011; Uijen & Bischoff, 2011). (,, 1996;,, 2001;, 2004; Ruddy & House,

이철희 외 고실 골판의 형태를 분류하고 정상인에서의 분포 및 만성 중 평선에서 두위를 30 숙인 축상면에서 관찰하였고 1 mm 간 이염군 사이의 분포를 알아 봄으로써 전 상고실 골판의 형태 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전형적인 supratubal recess가 잘 관찰 와 특징

Fig. 1. Laryng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Yonekawa Fig. 2. possible etiologic factors. 2A Smoking, 2B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2C Skin

<B0A3C3DFB0E828C0DBBEF7292E687770>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433대지05박창용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DBPIA-NURIMEDIA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김한수 외 Type I Type IAA Type III AA IM Type IV Fig. 1. Kinds of procedures. Type I thyroplasty was the most commo

( )Kjhps043.hwp

DBPIA-NURIMEDIA


<303120C0CCBBF3B8F12DC0CCB1D4BFEB2E687770>

, 41 ( ) * 1) ***.,. I.,..., ( ) ( ).,. ( ) *. ** 1

Jkafm093.hwp

untitled

ÀÇÇа�ÁÂc00Ì»óÀÏ˘

7.ƯÁýb71ÎÀ¯È« š


untitled

지원연구분야 ( 코드 ) LC0202 과제번호 창의과제프로그램공개가능여부과제성격 ( 기초, 응용, 개발 ) 응용실용화대상여부실용화공개 ( 공개, 비공개 ) ( 국문 ) 연구과제명 과제책임자 세부과제 ( 영문 ) 구분 소속위암연구과직위책임연구원

16(1)-3(국문)(p.40-45).fm

<30322EBFF8C0FA5FB1E8B0E6C1FD2DBAA7B8B6BAF1C0C720C0D3BBF3C0FB20BAD0BCAE2E687770>

04조남훈

레이아웃 1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KISEP 돌발성난청의병인에서면역계의역할에관한연구 Abstract 여상원 박용수 김규식 장기홍 Role of Immune System in the Pathogenesis of Sudden Deafness Sang Won Yeo, M.D., Yong S

歯kjmh2004v13n1.PDF

Kjhps016( ).hwp

44-4대지.07이영희532~

이형석외

00약제부봄호c03逞풚

ok.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Ot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12): / pissn / eiss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歯1.PDF

09권오설_ok.hwp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외측반규관기원의양성발작성두위안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정운교 이원상 김문석 이주환 이세영 Direction Changing Positional Nystagmus fro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793-7 / pissn / eissn

109~120 õÃʾàħ Ä¡·á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석사논문.PDF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7-14 청신경종의크기에따른어지러움의양상및전정기능검사의특징 정원호 홍성화 조양선 김성민 장병찬 최재연 이승진 Characteristics of Vertigo Manifestations and


12È«±â¼±¿Ü339~3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ºÎÁ¤¸ÆV10N³»Áö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online ML Comm Ot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4;57(8):511-7 / pissn / eissn


Transcription:

Review online ML Comm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386-91 / DOI 10.3342/kjorl-hns.2011.54.6.386 pissn 2092-5859 / eissn 2092-6529 Acute Inflammatory Facial Nerve Paralysis Jong Dae Lee 1,2, Yang-Sun Cho 1,3, Ki Hong Jang 1,4, Ho Ki Lee 1,5 and Ki Han Kwon 6 1 The Facial Nerve Disorder Subcommittee, The Quality Control Committee of the Korean Otologic Society, Seoul; and 2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cheon; and 3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and 4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Seoul; and 5 Soree Ear Clinic, Seoul; and 6 Department of Neurology, Hallym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급성염증성안면신경마비 이종대 1,2 조양선 1,3 장기홍 1,4 이호기 1,5 권기한 6 대한이과학회정도관리위원회안면마비분과, 1 순천향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2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3 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4 소리이비인후과, 5 한림대학교의과대학신경과학교실 6 Received May 19, 2011 Accepted May 30, 2011 Address for correspondence Yang-Sun Cho,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50 Irwon-dong, Gangnam-gu, Seoul 135-710, Korea Tel +82-2-3410-3578 Fax +82-2-3410-3879 E-mail yscho@skku.edu Bell s palsy is the most common form of acute facial nerve disorder, which presents as an acute peripheral unilateral facial palsy of unknown cause. Ramsay-Hunt syndrome is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acute facial palsy, and is known to be caused by reactivation of latent varicella zoster virus. The main goal of treatment for acute inflammatory facial nerve paralysis is to speed up recovery, to facilitate the recovery more completely and to prevent other sequelae. However, some patients may have a poor recovery with permanent, disfiguring facial asymmetry despite of many kinds of treatments. Regarding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issues of the two common disorders, there still exist some controversies. This article reviewed recent evidences on several important issues i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cute inflammatory facial nerve paralysis, and intended to provide an evidencebased framework for decision-making in the clinic.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386-91 Key WordsZZFacial nerve ㆍ Facial paralysis ㆍ Bell s palsy ㆍ Herpes zoster oticus. 서론 안면신경은 우리 몸의 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좁은 골 조직을 통과해서 나오는 특이한 신경이며 신경마비도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안면신경의 마비가 생기면 다른 신경에 비하여 환자들은 특히 더 당황하게 되는데 이는 평상시에도 원래의 얼굴 모양을 유지할 수가 없으며 웃거나 찡그리면서 감정을 표현하게 되면 더욱 이상한 모습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성 안면신경마비가 생기면 환자들이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가지게 되고 심리적으로도 불안정해지며 이는 종종 부적절한 검사나 과잉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이과 분야에서 수술 기술과 도구들이 발달하면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 측면에서는 뇌간에서부 터 측두골 내의 안면신경의 모든 부위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고 안면신경 마비의 병태생리에 대해서도 많은 것이 밝혀졌다 벨마비 는 급성 안면신경마비의 모든 가능한 원인을 배제한 후 진단하게 되므로 특발성 안면신경마비라고 불린다 은 벨마비의 자연경과는 치료하지 않아도 에서 완전 회복이 되며 까지는 거의 정상에 가깝게 되지만 나머지 는 후유증이 있게 된다고 하였다 벨마비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년에 만 명당 명 정도의 발생률을 가진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통계를 우리나라 인구로 환산하면 년에 명 이상의 환자들이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후유증이 있을 수 있다고 추산이 된다 이성대상포진 은 두 번째로 흔한 급성 안면신경마 386 Copyright 2011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cute Inflammatory Facial Nerve Paralysis Lee JD, et al. 비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귀 주위에 수포를 일으키고 벨마비와 비교하여 더 심한 안면신경마비 증상을 보이며 예후도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 안면신경마비 즉 벨마비와 이성대상포진에 대해서는 진단에 필요한 검사 내과적 치료의 상세한 방법 그리고 수술적 치료의 필요성이나 적응증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안면신경마비에서 한방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으로서 치료과정이나 결과가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글은 급성 안면신경마비의 평가 및 치료에 있어서 임상의들이 표준적인 진료를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최근까지 발표된 근거자료를 중심으로 요약하였다 안면마비평가방법 안면신경 평가방법으로 등급 을 이용한 전체평가방법과 등급 등급 등의 국소평가방법이 있다 전체평가방법은 짧은 시간 안에 환자를 분류하는 장점이 있지만 같은 등급에도 차이가 있으며 분지 별로 마비에 차이가 있을 때에는 주관적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반면에 국소평가방법은 다양한 정도의 안면마비를 평가할 수 있고 정량적이며 객관적이지만 계산방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등급이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에서 등급을 이용한 전체평가방법에다 국소평가 및 연합운동 - 에 대한 평가를 추가한 을 발표한 바가 있다 전기생리학적검사 급성 안면신경마비의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신경 검사로는 신경흥분성 검사 최대자극 검사 등의 검사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안면신경전도 검사 와 안면근육의 침 근전도 검사 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등 은 명의 벨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전도 검사가 이상이 될 경우 의 환자가 개월 이내에 양호한 상태 등급 이상 로 회복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등 은 명의 벨마비 환자를 포함한 명의 급성 안면신경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전 도 검사가 이상이 될 때 의 환자가 호전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의 저자들은 안면신경전도 검사를 증상 발현 후 너무 짧은 시간에 실시하여 이로 인해 안면신경전도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침 근전도 검사는 세침전극을 근육내에 삽입하고 휴지기와 수의적 수축기간 중 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안면근에서 변성이 나타나는 주 이후에 의의가 있다 휴지기에 세동전위 가 없는 경우는 신경무전도증 으로 예후가 좋으며 세동전위가 있는 경우는 축삭절단증 또는 신경절단증 으로 판단된다 수의적 수축기간 중 다상성 신경재지배 활동전위 는 마비시작후 주에서 주 후 관찰되며 회복을 예견하여 좋은 예후를 의미한다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 전도검사가 이상 저하될 때에는 침 근전도 검사를 주 이내에 시행할 수 있으며 수의적 수축기간 중 자발 운동단위활동전위 가 관찰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급성 안면신경마비환자에서 안면신경전도 검사는 주에서 주 사이에 예후 판정에 가장 도움이 되고 완전마비로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는 수술의 결정 및 예후 판단을 위하여 발생 후 일부터 주까지 시행할 수 있다 안면근의 침 근전도 검사는 발병 주 후에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할 수 있으며 장기간 지속되는 안면신경마비의 경우에도 질환의 상태나 예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침 근전도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혈청학적검사 벨마비 의 에서 단순포진 바이러스 가 원인이며 수포가 없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가 검출되는 도 가 보고되고 있다 명의 벨마비 환자와 명의 이성대상포진 환자의 혈청을 이용한 연구에서 단순포진 바이러스의 양성률은 각각 에 불과하였으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양성률은 각각 이었다 명의 벨마비 환자에서 근육이나 뇌척수액에서 을 이용한 다른 연구에서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에서만 검출되었다 또한 명의 벨마비 환자에서 혈청 침 면봉 을 검사하였을 때 단순포진 바이러스나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는 에서만 확인이 되었다 www.jkorl.org 387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386-91 따라서 급성안면신경마비환자에서 바이러스 항체에 대한 혈청검사는 실제 진단적인 의미를 갖기 보다는 원인규명과 관련된 학문적인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방사선학적검사 급성 안면신경마비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 의 촬영은 이차적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지만 종양 등의 이차적인 원인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급성 안면신경마비환자에게서 예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공명영상를 시행한 연구에서 현재까지는 이 검사의 의미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수술을 시행한 명의 벨마비와 이성대상포진환자에게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주로 미로분절 의 조영 증강을 보이며 실제 수술소견에서도 같은 부분의 부종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명의 급성 안면신경마비를 대상으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예후가 나쁜 환자에게 내이도 - 의 조영 증강이 더 심하다고 한 보고도 있다 그러나 명의 벨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안면신경의 미로분절과 내이도의 조영 증가가 초기 안면마비 정도와 연관성이 있으나 향후 예후에는 영향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최근 급성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 에서 미로분절부위가 환측이 건측에 비하여 좁고 그것이 안면신경마비의 병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실제로 안면신경마비의 진단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벨마비의약물치료 년에 발표된 영국에서 전향적 연구에서는 명을 대상으로 군으로 분류하여 개월 개월에 등급을 이용하여 회복률을 평가하였다 스테로이드군이 군에 비해 개월 때 와 개월 때 와 로 회복률이 의미 있게 높았으나 투여의 차이는 증명할 수 없었다 년에 발표된 다른 전향적 연구에서는 명을 대상으로 군 군 군 군으로 나누어서 - 등급을 이용하여 개월까지 회복률을 평가 하였다 결과로 개월째 회복율이 스테로이드군이 비스테로이드군에 비해 회복률이 좋았으나 는 이 연구에서도 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년에 일본에서 발표된 연구에 서는 명을 대상으로 군으로 분류하여 개월에 점수를 이용하여 회복 률을 평가하였는데 군 의 회복률이 단독군 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 이 연구에서 는 중증도에 따라 나누었는데 완전마비의 경우 항바이러스제 의 효과가 높았다 또한 년에 독일에서 발표된 연구에서 도 명을 대상으로 단독군으로 분류하여 개월에 등급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는데 등급 이상의 완전마비환자에서 투여군이 스테 로이드 단독군에 비해 와 로 의미 있게 높았다 위의 연구들을 요약하면 모든 벨마비에서 스테로이드 치료 는 빠른 시간 내에 사용된 경우에 효과가 있었으며 항바이러 스제는 완전마비를 보이는 경우에 스테로이드와 같이 사용한 경우 효과가 있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이성대상포진 (Ramsay Hunt Syndrome) 의약물치료 이성대상포진 을 포함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서 항바이러스제가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으나 근거중심학적으로 효과는 증명되어 있지 않다 년에 명의 이성대상포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유일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 로 알려져 있으며 결과도 대조군에 비해 항바이러스제의 효과에는 차이 가 없다고 하였지만 년 일본에서 발표한 연구에서는 항 바이러스제를 포함한 치료가 스테로이드 단독치료보다 회복 률이 높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이성대상포진에서 스테로이 드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없다 통상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에 항바이러스 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단기간의 투여임을 고려할 때 근거중 심학적 자료는 부족하나 항바이러스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는 이성대상포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급성안면신경마비의물리치료 년까지 내에 언급된 개의 연구에서 전기자극 안면마사지 거울을 이용한 바이오 피드백 등의 안 면신경의 재활을 위한 물리치료가 대조군에 비해 효과가 있 다는 것을 입증할 수 없어서 급성안면신경마비에서 물리치료 는 이득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개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분석한 연구에서도 물리치료의 효과를 판정하기에는 근거가 미약하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현재까지 물리치료 388

Acute Inflammatory Facial Nerve Paralysis Lee JD, et al. 는 안면신경마비의 회복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근거중심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급성안면신경마비의한방치료 년까지 내에 언급된 개 연구에서 침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결론에 이르기에는 근거수준이 약하다고 평가하였다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가 대부분 중국에서 진행되었으며 대조군 선정이나 치료효과 판정에 있어서 기존 연구들과 많은 차이가 존재하므로 일반적인 근거의 기준에 의해 침을 포함한 한방치료의 효과를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급성안면신경마비의수술치료 아직 벨마비나 이성대상포진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 관련된 근거는 부족하다 등 은 명의 벨마비 환자에서 중두개와 접근법과 경유양동 접근법을 같이 이용하여 안면신경을 전장에 걸쳐 감압을 하였는데 슬신경절의 근위부에서 신경의 부종이 심한 것을 발견하였고 슬신경절 이전에서 전도장애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는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 전도검사가 이상 감소된 환자들은 정상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인데 이러한 환자에서 주 이내에 감압수술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등 은 경유양동 접근법을 이용한 안면신경 감압수술을 하였는데 처음엔 우수한 결과들을 발표하였으나 더 많은 환자를 분석하면서 경유양동 접근법을 이용해서 미로 분절의 근위부까지 감압해도 자연경과에 비해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종래 자신의 주장을 수정하였다 등 은 주 이내에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 전도검사가 이상 저하를 보이는 경우에 감압수술을 시행하면 거의 정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수술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우수하다고 하였다 안면신경마비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가장 최근의 보고로서 년에 등 은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 전도검사가 이상 감소된 환자 명을 대상으로 중두개와 감압술을 받은 경우를 수술하지 않은 경우와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는데 거의 정상으로 돌아온 우수한 결과는 수술을 받은 경우에 유의하게 많았다고 보고하면서 일 이내에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 전도검사가 이상 저하되고 침 근전도에서 자발 운동단위활동전위가 관찰되지 않을 때 세 이하의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는 벨마비는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염으로 한 곳에 국한된 염증과 부종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신경 전장에 걸친 염증과 탈수초화가 일어나는 것을 영상이나 부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수술을 반대하였다 최근에 정리되어 발표된 벨마비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 에서는 개의 관련 연구 중 무작위대조연구로서 분석의 범주에 들어간 두 가지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는데 근거의 질이 높지 못하여 수술의 득실을 평가할 수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분석대상이 된 두 연구 는 모두 년에 발표된 연구로 경유양동접근법에 의한 안면신경 감압술에 대한 효과를 판단한 것이고 최근 안면신경전도검사에 의거하여 행해지고 있는 중두개와 접근법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년에 미국 신경과학회의 소위원회에서 보고한 근거중심의 문헌 에서는 앞에 기술한 와 의 논문을 대조군이 있지만 무작위 배정이 되어 있지 않아 근거가 불충분한 논문 으로 기술했다 위의 근거들을 정리해 볼 때 벨마비에서 수술적 치료에 대한 연구들은 약물치료와는 달리 충분한 대상군을 모으기 힘든 연구에서 나온 결과로서 근거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적응증에 합당한 경우에 조기에 시행한다면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위의 근거들은 대부분 벨마비에 대한 것이므로 이성대상포진으로 생긴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근거는 더욱 불충분하며 벨마비에 대한 수술적 치료도 중두개와 접근법에 따른 출혈 난청 뇌척수액 이루 수막염 등의 합병증을 충분히 술전에 인지하고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및요약 벨마비와 이성대상포진을 포함하는 급성안면신경마비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므로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많은 연구와 함께 경험적인 치료방법들이 확립되어 왔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한방치료의 영향이 많은 편으로 안면신경마비환자의 치료시기 등에 대해 특히 고려할 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급성안면신경마비에 대한 근거 중심의 포괄적인 진료권고안은 그 동안 정리된 바가 없었으나 최근 대한이과학회정도관리위원회에서는 임상의들이 진료에 참고할 수 있도록 근거 중심의 진료권고안을 만들었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권고 1. 안면마비평가방법급성 안면신경마비에서 평가방법은 주로 - 등급을 사용한다 권고등급 권고 2. 전기생리학적검사 안면신경전도 검사 또는 는 급성안면신경 www.jkorl.org 389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386-91 마비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주로 주에서 주 사이에 시행하며 완전마비인 경우는 예후 예측 및 수술의 결 정을 위하여 일부터 주 이내에 시행할 수 있다 권고등급 침 근전도 검사 [ ] 는 초 기에는 예후를 예측할 수 없으나 주 이후에는 예후를 알아 보기 위해 시행할 수 있다 권고등급 권고 3. 혈청학적검사 급성안면신경마비환자에서 단순포진 바이러스 -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항 체에 대한 혈청검사는 진단적인 의의가 명확하지 않다 권고등 급 권고 4. 방사선학적검사 급성안면신경마비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를 제외하고는 방사선학적 검사 자기공명영상 컴퓨터단층촬 영 는 진단적인 의의가 명확하지 않다 권고등급 권고 5. 벨마비의약물치료 스테로이드 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시행한다 권고등급 치료시작시점은 가급적 일찍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권고등 급 용량 및 기간은 약 하루에 을 감량기간을 포함하 여 일 정도 사용한다 권고등급 항바이러스제는 스테로이드와 함께 치료를 시행할 수 있 으며 권고등급 특히 완전마비인 경우에는 치료를 시행한다 권고등급 권고 6. 이성대상포진 (Ramsay Hunt Syndrome) 의약물치료 항바이러스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위한 근거중심학적 자 료는 부족하나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권고등급 권고 7. 급성안면신경마비의물리치료 전기자극을 포함한 물리치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나 임상 적 이득이 명확하지 않다 권고등급 권고 8. 급성안면신경마비의한방치료 한방치료는 근거중심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 므로 효용성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다 권고등급 권고 9. 급성안면신경마비의수술치료 완전마비를 보이는 벨마비에서 건측대비 병변측의 안면신경 전도검사가 이상 저하된 소견을 보이고 침근전도에서 자 발 운동단위활동전위 가 관찰 되지 않을 때 조기에 주 이내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권고등급 REFERENCES 1) Peitersen E. Bell s palsy: the spontaneous course of 2,500 peripheral facial nerve palsies of different etiologies. Acta Otolaryngol Suppl 2002;(549):4-30. 2) Sweeney CJ, Gilden DH. Ramsay Hunt syndr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71(2):149-54. 3)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5;93(2):146-7. 4) Yanagihara N, Hato N, Murakami S, Honda N. Transmastoid decompression as a treatment of Bell pals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4(3):282-6. 5) Ross BG, Fradet G, Nedzelski JM. Development of a sensitive clinical facial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14(3):380-6. 6) Vrabec JT, Backous DD, Djalilian HR, Gidley PW, Leonetti JP, Marzo SJ, et al. Facial Nerve Grading System 2.0.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9;140(4):445-50. 7) Chow LC, Tam RC, Li MF. Use of electroneurography as a prognostic indicator of Bell s palsy in Chinese patients. Otol Neurotol 2002;23 (4):598-601. 8) Grosheva M, Wittekindt C, Guntinas-Lichius O. Prognostic value of electroneurography and electromyography in facial palsy. Laryngoscope 2008;118(3):394-7. 9) Hato N, Murakami S, Gyo K. Steroid and antiviral treatment for Bell s palsy. Lancet 2008;371(9627):1818-20. 10) Shin HW, Choi YS, Moon SJ, Song JJ, Kim CH, Lee JH, et al. Viral serologic test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acute peripheral facial paralysis: is it always necessary?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8;51(12):1088-92. 11) Stjernquist-Desatnik A, Skoog E, Aurelius E. Detection of herpes simplex and varicella-zoster viruses in patients with Bell s palsy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Ann Otol Rhinol Laryngol 2006;115(4):306-11. 12) Kawaguchi K, Inamura H, Abe Y, Koshu H, Takashita E, Muraki Y, et al. Reactivation of herpes simplex virus type 1 and varicella-zoster virus and therapeutic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with prednisolone and valacyclovir in patients with Bell s palsy. Laryngoscope 2007;117(1):147-56. 13) Kim IS, Shin SH, Kim J, Lee WS, Lee HK. Correlation between MRI and operative findings in Bell s palsy and Ramsay Hunt syndrome. Yonsei Med J 2007;48(6):963-8. 14) Kress B, Griesbeck F, Stippich C, Bahren W, Sartor K. Bell palsy: quantitative analysis of MR imaging data as a method of predicting outcome. Radiology 2004;230(2):504-9. 15) Song MH, Kim J, Jeon JH, Cho CI, Yoo EH, Lee WS,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quantitative analysis of facial nerve enhancement on MRI in Bell s palsy. Acta Otolaryngol 2008;128(11):1259-65. 16) Kefalidis G, Riga M, Argyropoulou P, Katotomichelakis M, Gouveris C, Prassopoulos P, et al. Is the width of the labyrinthine portion of the fallopian tube implicated in the pathophysiology of Bell s palsy?: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using computed tomography. Laryngoscope 2010;120(6):1203-7. 17) Sullivan FM, Swan IR, Donnan PT, Morrison JM, Smith BH, McKinstry B, et al. Early treatment with prednisolone or acyclovir in Bell's palsy. N Engl J Med 2007;357(16):1598-607. 18) Engström M, Berg T, Stjernquist-Desatnik A, Axelsson S, Pitkäranta A, Hultcrantz M, et al. Prednisolone and valaciclovir in Bell's palsy: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re trial. 390

Acute Inflammatory Facial Nerve Paralysis Lee JD, et al. Lancet Neurol 2008;7(11):993-1000. 19) Hato N, Yamada H, Kohno H, Matsumoto S, Honda N, Gyo K, et al. Valacyclovir and prednisolone treatment for Bell s palsy: a multicenter,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tol Neurotol 2007; 28(3):408-13. 20) Minnerop M, Herbst M, Fimmers R, Matz B, Klockgether T, Wüllner U. Bell s palsy: combined treatment of famciclovir and prednisone is superior to prednisone alone. J Neurol 2008;255(11):1726-30. 21) Ramos Macías A, de Miguel Martínez I, Martín Sánchez AM, Gómez González JL, Martín Galán A. [The incorporation of acyclovir into the treatment of peripheral paralysis. A study of 45 cases]. Acta Otorrinolaringol Esp 1992;43(2):117-20. 22) Kinishi M, Amatsu M, Mohri M, Saito M, Hasegawa T, Hasegawa S. Acyclovir improves recovery rate of facial nerve palsy in Ramsay Hunt syndrome. Auris Nasus Larynx 2001;28(3):223-6. 23) Teixeira LJ, Soares BG, Vieira VP, Prado GF. Physical therapy for Bell s palsy (idiopathic facial paralys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3):CD006283. 24) Cardoso JR, Teixeira EC, Moreira MD, Fávero FM, Fontes SV, Bulle de Oliveira AS. Effects of exercises on Bell s palsy: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tol Neurotol 2008;29(4):557-60. 25) Chen N, Zhou M, He L, Zhou D, Li N. Acupuncture for Bell s pals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8):CD002914. 26) Fisch U, Esslen E. Total intratemporal exposure of the facial nerve. Pathologic findings in Bell s palsy. Arch Otolaryngol 1972;95(4): 335-41. 27) Fisch U. Surgery for Bell s palsy. Arch Otolaryngol 1981;107(1):1-11. 28) May M, Klein SR, Taylor FH. Indications for surgery for Bell s palsy. Am J Otol 1984;5(6):503-12. 29) Sillman JS, Niparko JK, Lee SS, Kileny PR. Prognostic value of evoked and standard electromyography in acute facial par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2;107(3):377-81. 30) Gantz BJ, Rubinstein JT, Gidley P, Woodworth GG. Surgical management of Bell s palsy. Laryngoscope 1999;109(8):1177-88. 31) Adour KK. Decompression for Bell s palsy: why I don t do it.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2;259(1):40-7. 32) McAllister K, Walker D, Donnan PT, Swan I. Surgical intervention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Bell s pals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2:CD007468. 33) Mechelse K, Goor G, Huizing EH, Hammelburg E, van Bolhuis AH, Staal A, et al. Bell s palsy: prognostic criteria and evaluation of surgical decompression. Lancet 1971;2(7715):57-9. 34) Adour KK, Swanson PJ Jr. Facial paralysis in 403 consecutive patients: emphasis on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Bell s palsy.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1;75(6):1284-301. 35) Grogan PM, Gronseth GS. Practice parameter: Steroids, acyclovir, and surgery for Bell s palsy (an evidence-based review):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2001;56(7):830-6. www.jkorl.org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