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자료 > 캄보디아에너지현황및정책 1. 에너지수급현황 ㅇ캄보디아바이오에너지의존도上 ㅇ캄보디아, 에너지의해외의존도上 ㅇ낮은수준의에너지자급률 에너지공급ㅇ 13년캄보디아의총 1차에너지공급량 (TPES) 은 5,974ktoe이나, 바이오연료및페기물이전체의 67% 를차지하

Similar documents
2009_KEEI_연차보고서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 3 지역 및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증가율 그림 4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에너지원별 점유율 시장 전망에서 세계 GDP 성장률은 연평균 3.4% 인 증가를 선도하겠지만 이후에는 인도가 지배적인 역할 구는 0.9% 증

< 참고자료 > 캄보디아에너지현황및정책 1. 에너지수급현황 ㅇ라오스정부, 2008 년국가기후변화위원회설립 ㅇ수력발전비중증가전망 ㅇ라오스내생산전력주변국으로수출 에너지공급ㅇ일차에너지의경우바이오매스및화석연료를통한에너지공급 - 에너지공급량중바이오매스를통한공급량이 71% 로대부

< 참고자료 > 방글라데시에너지현황및정책 1. 에너지수급현황 ㅇ방글라데시는주로바이오매스 (62%) 를활용하고, 천연가스 (25%) 사용량이점차증가 ㅇ방글라데시는증가하는전력수요량에비해공급시설이부족한실태 ㅇ신재생에너지에개발을위해적극적인정책을펼치고있음 에너지소비현황ㅇ 201

rr_ _대한민국녹색섬울릉도.독도프로젝트(수정).hwp

+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내외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천연 2 감축 로드맵 수립 원칙 및 방법 가스와 중유 순으로 배출 비중이 높다. 따라서 석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방안을 찾는 것이 발 감축 로드맵은 가장 현실적인 접근을 위해

Ⅰ Ⅰ II Ⅱ III

최종보고서-2011년_태양광등_FIT_개선연구_최종.hwp

에너지통계연보(2003)

최종본-방글예타최종보고_0218.hwp

<5B4B2DBAEAB8AEC7C B3E220C1A63233C8A35D204F C0DAB7E1B7CE20BBECC6ECBABB20BCBCB0E820BFA1B3CAC1F62020C7F6C8B228B0D4BDC3C8C4BCF6C1A4292E687770>

2016³â ¿¡³ÊÁöÅë°è ÇÚµåºÏ---.PDF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7-3호)

녹색요금과제 평가용 최종보고서.hwp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3-18호)

지역이슈분석 아랍에미리트전력산업 현황과전망 목차 Ⅰ. 전력수급현황 1 Ⅱ. 전력산업구조 3 Ⅲ. 전력산업의최근동향 6 Ⅳ. 전력부문의개발계획 11 Ⅴ. 향후전망 12 : ( )


?? 1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0 년 2 월 ( ) 미국신재생에너지산업동향 한국무역협회뉴욕지부 Ⅰ. 신재생에너지주요정책 o 미신재생에너지단체들, 의회의신재생에너지법안처리촉구 1 o 미행정부, 바이오연료, 청정석탄생산지원 1 o 미행정부, 빌딩에너지효율개선사업에 130백만불지원 3

CONTENTS CHAPTER 1 에너지수급현황 02 CHAPTER 2 주요에너지기관및정책 05 CHAPTER 3 에너지원별현황및정책 09 CHAPTER 4 평가및전망 13

01업체광고1407

한국에너지공단개도국이슈리포트 개도국이슈리포트 서남아시아이슈리포트 - 몰디브

July 2014 < 참고자료 > 스리랑카에너지현황및정책 1. 에너지수급현황 ㅇ스리랑카의주요에너지공급원은바이오매스, 화석연료및수력이며부문별에너지소비는산업, 교통, 가정순ㅇ발전및에너지부, 환경및신재생에너지부와석유산업부는에너지 환경분야총괄, 공공시설위원회는에너지, 석유및수

국내발전산업 ISSUE 및기술동향소개 이동현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7-42호)

2013 Energy Info. Korea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PEST_Analysis_Cambodia_KOTRA_GAC_2016FEB_Final

<30375FC7D8BFDCC1F6BFAAC1A4BAB83428C5C2B1B9292E687770>

GS건설채용브로셔-2011

월간뉴스

Microsoft PowerPoint - Reference list for De-NOx system(Korean)-Blue Bird ( ).ppt [호환 모드]

에너지수요ㅇ가정용에너지, 산업분야, 교통및수송분야가각각전체에너지소비량의 89%, 4.5%, 3.7% 를소비 ( 10 년기준 ) - 89% 의가정용에너지소비량중많은부분이조리용연료로사용됨 - 도시인구의약 33% 가조리를위해바이오매스, 석탄등의고체연료를사용하며, 농촌지역의경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김화현 / 중동아프리카통상과 / :11:24 우선협력대상국과의산업자원협력전략및실행프로그램연구 [ 알제리 ] 용역기관 ( 주 ) 이암허브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1. 세계석탄시장동향 제 10 호 ('17 년 10 월 ) Tohoku 전력과 Glencore, 톤당 달러에계약체결 2018 년 QLD 주석탄경쟁입찰계획발표 - 2 -

ㅇ과테말라의주요전력공급원은화력, 수력으로 13 년기준전체생산량의 83% 차지 년기준수력발전량은 4,630.8 GWh, 화력발전량은 3, GWh 임 <2013 년연료별발전비중 > 0.1% 17.3% 17.1% 12.8% 50.5% 수력지열바이오매스

Ⅰ. 들어가며 (Smart Grid) - -, IT, 2000, , ,,,, , 2012,, - -,

제745호

CONTENTS CHAPTER 1 인도네시아에너지현황 02 CHAPTER 2 인도네시아에너지기관및정책 08 CHAPTER 3 인도네시아에너지원별현황및정책 15 CHAPTER 4 평가및전망 30

제 6 차전력수급기본계획 (2013~2027) 지식경제부

2015 Energy Info Korea

1 이슈현황 - 미얀마전력소비량증가세, 민간과의협력을통한수력발전빠르게확장 - 미얀마는전력이부족하여, 대부분의지방거주자들은장작과가축분뇨를활용하여생활에필요 한전력을얻고있음. 낮은전기보급률은미얀마의산업발전을저해하고있으며, 미얀마의 1 인당 전력소비량역시동남아국가중최하위수준임


<BAA3C6AEB3B2C1F6BFF8BBE7BEF72DB1E8B3ADBFB52DC1FD2E687770>


<4D F736F F F696E74202D20325FBAA3C6AEB3B DBBE7BEF720C6F2B0A120BAA3BDBAC6AE20C7C1B7A2C6BCBDBA5FC7D1BDC2C8A32E707074>

KEMRI_전력경제_REVIEW_제16호( ).hwp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7-8호)

NGO _ 2011 NGO _ 기후변화의 대표적 피해 지역 남아시아 지원 그린아시아그랜트는 아시아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아시아지역 의 NGO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1년 8개국 9개 단체를 지 원하였으며, 현재까지 총16개 나라 18개 단체의 교육, 캠페인, 지

Science & Technology Policy 과학기술정책 2016 년 11 월호 ( 통권 220 호 ) Well-to-Wheel 과온실가스배출 Well-to-Wheel은에너지원채굴부터이를이용한차량주행까지자동차주행을위한에너지흐름의전과정을의미한다. 내연기관자동차의 W

에너지수급브리프 ( )

EU탄소배출거래제보고_ hwp

< 참고자료 > 우루과이에너지현황및정책 1. 에너지수급현황 ㅇ우루과이의주요전력공급원은수력으로전체생산량의 49% 차지 ㅇ풍력을중심으로한신재생에너지잠재력은풍부하나, 발전량은미비함 ㅇ에너지효율및기후변화대응정책은초기수립단계임 에너지공급 ㅇ 2013 년기준우루과이의주요 1 차에

한국에너지공단개도국이슈리포트 MDB 개도국에너지리포트 서남아시아파키스탄


질소산화물 감소정책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UDI 이슈리포트제 30 호 온실가스감축정책의문제점과대안 도시환경연구실이상현선임연구위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4 Ⅱ. 현황과문제점 7 Ⅲ. 울산시대응방안 15 Ⅳ. 결론 18

에너지수급브리프 (2016.5)

주요국가별對캄보디아원조동향

[ ] IR_Full

** ºÎb74öÇùÁß¾Óȸš

해외투자내지01(중국)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천연가스시장 수요 및 변화 전망

2018 년 12 월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하노이지사 KATI 수출뉴스 캄보디아, 조제분유시장현황 2018 년 12 월 10 일 키워드 : 조제분유 조제분유시장현황 현황 - 캄보디아의출산율은 2015년기준여성당 2.6명일정도로주변국인베트남 (1.96), 태국

에너지 포커스 (제2권 제2호 통권12호, ·4)

지열발전-지열을 이용한 에너지 공급, 전기 및 열공급을 위한 복합기술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8, Number 1, March 2019 : pp 에너지전환정책및고령화가국민경제에미치는영향 : 확률적중첩세대일반균형모형 (Stochastic Overlapping Genera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30.3%) 반도체 (8.4%) 승용차 (44.3%) 는증가, 석탄 ( 2.0%) 정밀기기 ( 1.9%) 는감소 ( 소비재 : 18.0% 증가 ) 승용차 (44.3%) 가전제품 (22.1%) 등은증가, 사료 ( 3.1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2/17-

석유개발 탐사의기술진보에따라기존의육상유정뿐만아니라셰일오일및해안가대규모유정개발이가능해짐 세계 차에너지소비전망 년 백만 년대비 년 년연평균증가율 년 년기간동안약 백만 증가전망 인도 중국이에너지소비증가가가장큰국가임 각각 백만 증가 지역별총 차에너지전망 백만 * mboe/d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제 3 호 ('17 년 3 월 ) [ 사업확장 ] - 2 -

달성산업단지산업폐수재이용사업 타당성분석

Y Z X Y Z X () () 1. 3

1. 세계석탄시장동향 제 8 호 ('17 년 8 월 ) Yancoal, 유상증자를통해 25억달러자금조달 COAL21 펀드, 2027년까지연장 - 2 -

< 참고자료 > 이집트에너지현황및정책 ㅇ Non-OPEC 회원국중아프리카최대원유생산국이며, 알제리에이어아프리카 2 위의건성천연가스생산국ㅇ수에즈운하와 Suez-Mediterranean(SUMED) 파이프라인을운영하며세계에너지시장에핵심적인역할수행ㅇ막대한에너지보조금으로인해재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54.1%) 기계류 (20.2%) 의류 (42.6%) 는증가, 제조용장비 ( 0.2%) 철광 ( 2.0%) 은감소 ( 소비재 : 34.9% 증가 ) 의류 (42.6%) 승용차 (8.2%) 담배 (98.8%) 등은증가,

주간_KDB리포트(Weekly_KDB_Report)_ 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3%) 반도체 (17.8%) 기계류 (11.7%)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3.2%) 승용차 ( 10.2%) 등은감소 ( 소비재 ) 의류 ( 1.8%) 승용차 ( 10.2%) 등은감소했으나, 조제식품 (11.9%) 가전 (9.9

untitled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157~168-라오스

2

2011_자주 찾는 에너지통계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24.2%) 반도체 (11.9%) 승용차 (52.1%)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9.1%) 의약품 ( 6.2%) 등은감소 ( 소비재 ) 사료 ( 7.3%) 소고기 ( 2.4%) 등은감소했으나, 승용차 (52.1%) 의류 (5.8%)

<B1B9BEEE412E687770>

Transcription:

< 참고자료 > 캄보디아에너지현황및정책 1. 에너지수급현황 ㅇ캄보디아바이오에너지의존도上 ㅇ캄보디아, 에너지의해외의존도上 ㅇ낮은수준의에너지자급률 에너지공급ㅇ 13년캄보디아의총 1차에너지공급량 (TPES) 은 5,974ktoe이나, 바이오연료및페기물이전체의 67% 를차지하고있는등에너지원이편중되어있으며전체공급량의약 32.6% 를수입에의존하여에너지자급률은저조한편 (IEA Statistics) - 캄보디아의총 1차에너지생산량은 4,087ktoe이나, 약 97% 에달하는 3,999ktoe의에너지를바이오연료및폐기물을활용하여생산하고있으며 87ktoe의에너지는수력을통해충당 - 해외에서수입되는에너지총량은전체의약 32.6% 인 1,952ktoe이며, 에너지원별로구분하면석탄 46ktoe(2.4%), 석유제품 (Oil Products) 1,665ktoe(91.6%), 전기 176ktoe(9.3%) 로집계ㅇ 13년캄보디아의최종에너지공급량은 5,221ktoe로, 1차에너지와의차이는전력생산활용분, 에너지변환에의한손실, 에너지공급자사용분, 송 / 변전손실등에의해발생 - 석탄과수력의경우 1차에너지전량이 ( 석탄 46ktoe, 수력 87ktoe), 석유제품은전체의약 10% 인 153ktoe, 바이오연료및폐기물은 4ktoe가전력생산에투입되어 153ktoe의전력을생산하며, 전력수입분 176ktoe와합산한 284ktoe의전력공급 < 13 년캄보디아의에너지밸런스 (1 차및최종에너지공급량 )> ( 단위 : ktoe) 석탄 석유제품 수력 바이오 전력 합계 자체생산 87 3,999 4,087 수입 46 1,730 176 1,952 항공유사용분 -65-65 전기생산활용 -46-153 -87-4 153 =137 에너지원변환 -571-571 공급자사용분 -2-2 송 / 변전손실 -43-43 최종에너지 1,512 3,425 284 5,221 12

에너지소비ㅇ 13년캄보디아의에너지소비비중은가정, 수송, 산업순으로높게나타나고있음 - 가정부문의에너지사용량은 2,915ktoe로가장높은비중을차지하고있으며, 에너지원별로는 13년석유제품 120ktoe, 바이오에너지 2,652ktoe, 전력 144ktoe를사용한것으로집계 - 수송부문은석유제품에서 1,170ktoe를소비하여두번째로높은에너지사용비중을보였으며, 산업부문은석유제품 77ktoe, 바이오에너지 773ktoe, 전력 52ktoe를사용하여주요국에비해산업부문의에너지사용비중이낮은특징을보이고있음 < 13 년캄보디아부문별에너지소비비중과 ( 왼쪽 ) 과가정부문에너지원별소비비중 ( 오른쪽 )> 공공 2% 기타 3% 산업 17% 전력 5% 바이오 91% 가정 56% 수송 22% 석유제 품 4% < 13 년캄보디아의에너지밸런스 ( 에너지소비량 )> ( 단위 : ktoe) 석유제품 바이오 전력 합계 산업부문 77 773 52 902 수송부문 1,170 0 0 1.170 가정부문 120 2,652 144 3,043 공공부문 0 0 79 79 기타 146 0 10 156 총사용량 1,512 3,425 284 5,221 전력수급현황 ㅇ 15년기준전기공급률은 31.1% 로저조한편이며, 캄보디아의전력요금은동남이시아지역에서가장높은수준으로알려져있음 - 11년기준평균전력요금 : 프놈펜지역 0.18~0.19 USD/kWh, 기타도시지역 0.25~0.4 USD/kWh, 농촌지역 0.5~1 USD/kWh (Energypedia 자료인용 ) 13

2. 주요에너지기관및정책 1) 에너지기관ㅇ캄보디아에서에너지관련업무를수행하는기관은광물에너지부 (MME, Ministry of Mines and Energy) 로, 에너지관련정책, 개발계획및표준개발등의활동을주관하고있음ㅇ캄보디아의에너지산업규제를담당하는기관은캄보디아전력청 (EAC, Electricity Authority of Cambodia) 으로, 라이선스발행, 전기가격검토및승인, 전력생산자및소비자에감시 감독 조율등의역할을수행하고있음 - 캄보디아전력청이발행하는라이선스종류는다음과같음 : 1) 발전 (Generation) 라이선스 2) 송전 (Transmission) 라이선스 3) 배전 (Distribution) 라이선스 4) 복합 (Consolidated) 라이선스 *1), 2), 3) 의결합라이선스 5) 파견 (Dispatch) 라이선스 6) 전력도매 (Bulk Sale) 라이선스 7) 전력소매 (Retail) 라이선스 8) 하청 (Subcontract) 라이선스 - 2014년말발행되어있었던유효라이선스의수는 360개임 ㅇ캄보디아광물에너지부와재정경제부공동소유의국영기업인캄보디아전력공사 (EDC, Electricite Du Cambodge) 는캄보디아내발전 송전 배전사업을책임지고있음 ㅇ그외전력시장주요참여자로는독립발전사업자 (IPP), 공공전기기업 (PEU), 지방전기업체 (REE) 가있음 - 독립발전사업자 (Independent Power Producers): 캄보디아내생산되는전력의 90% 를생산하여 EDC에판매 - 공공전기기업 (Public Electricity Utility): 국유발전소의소유자및운영자 - 지방전기업체 (Rural Electricity Enterprises): EDC가전력을공급하지않는지역에서주로활동하는민간발전및배전업체, EAC를통해라이선스를발급받는것이원칙이나, 라이선스없이활동하는 REE도다수존재 * REE에대한정확한통계는존재하지않으나, 50-5000명정도의소규모소비자를대상으로디젤발전기를이용한발전사업을수행하는것으로알려져있음 * 캄보디아정부는 2004년부터 시골전 ( 電 ) 화펀드 (REC, Rural Electrification Fund) 를운영하여, 디젤발전기 소형수력발전기 태양홈시스템 (solar home system) 등을이용한지방발전사업을수행하는 REE에보조금및기술지원을제공하고있음 14

* 아시아개발은행, 월드뱅크, Australian AID, KfW 은행, 중국수출입은행등다양한금융기관이 차관제공을통해시골전 ( 電 ) 화사업에참여해왔음 < 캄보디아전력분야구조 > ㅇ에너지분야외국인투자에대한별도의규제는없으나, 전력관련사업에참여하려면 캄보디아민간기업과동일하게 EAC 에서라이선스를취득해야함. 15

2) 에너지정책 국가에너지정책 1 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및목표 ㅇ캄보디아는 2007년개발한 2008-2021 캄보디아전력개발계획 (Cambodian Power Development Plan) 을바탕으로국가에너지정책을펼치고있음ㅇ캄보디아정부의국가에너지정책기본방향은다음과같음 - 캄보디아전역에합리적이고알맞은가격의전기를충분히공급 - 적절한가격의전기를안정적으로공급하여, 캄보디아에대한투자를촉진시키고국가경제를개발 - 환경적 사회통념적으로적합한에너지원의탐사와개발을장려하여캄보디아경제전분야에전기공급 - 에너지의효율적이용장려및에너지공급과소비활동의결과로생겨나는환경영향최소화ㅇ캄보디아정부의국가에너지정책목표는다음과같음 - 2020년까지캄보디아시골 100% 시골전 ( 電 ) 화 - 2030년까지캄보디아시골가정 70% 에양질의전기공급ㅇ상기정책목표달성을위한에너지전략은 1) 발전, 2) 송전, 3) 시골전 ( 電 ) 화 (rural electrification) 세분야로구분되어있음 - 발전 : 에너지수요충족및전력원의다양화 ( 대수력 석탄발전소건립, 전력수입, 바이오매스등신재생에너지이용확대를통한석유발전의존도감축 ) * 캄보디아광물에너지부는대수력발전을중심으로한 ( 전력생산 50% 이상 ) 자국내발전용량확대계획을수립, 2020년까지총 18건의발전용량확대프로젝트를완수할것을발표 * 확대예정발전용량 : 4,279 MW ( 수력 9건 / 석탄 8건 / 석탄혹은가스 1건 ) - 송전 : 국가송전선확대, GMS 및 ASEAN 전력망개발, 미니그리드최적화, MV MV LV 업그레이드 - 시골전 ( 電 ) 화 : 국가송전선및미니그리드를통한전력공급, 송전선연장및 stand-alone 시스템개발, 소수력발전및바이오매스발전확대등 ㅇ캄보디아정부는통합적이고구체적인에너지원별및에너지효율정책또는법안을제정하지않은상태임 * 캄보디아는 캄보디아전기법 (Electricity Law of the Kingdom of Cambodia) 을시작으로 2001년부터에너지관련법안을제정하기시작하여, 동분야정책및법규의역사는비교적짧은편 16

< 발전용량확대계획 (2008) 및현황 (2014)> No. 발전용량확대계획 에너지원 MW COD 현황 (2011) 1 Kamchay Hydro 수력 193 2011 완료 2 200 MW Coal Power Plant (I) in SihanoukVille - Phase 1 석탄 100 2011 완료 3 Kirirom III Hydro power Plant 수력 18 2012 완료 4 Atay Hydro Power Plant 수력 110 2012 완료 5 200 MW Coal Power Plant (I) in SihanoukVille - Phase 2 석탄 100 2012 완료 6 Tatay Hydro Power Plant 수력 246 2013 완료 7 Lower Stung Rusei Chhrum Hydro Power Plant 수력 338 2013 완료 8 700 MW Coal Power Plant (II) in SihanoukVille -Phase 1 석탄 100 2013-9 700 MW Coal Power Plant (II) in SihanoukVille -Phase 2 석탄 100 2014-10 700 MW Coal Power Plant (II) in SihanoukVille -Phase 3 석탄 100 2015-11 700 MW Coal Power Plant (II) in SihanoukVille -Phase 4 석탄 100 2016-12 Lower Sesan II + Lower Srepok II 수력 420 2016 PPA 체결 13 Stung Cheay Areng Hydro Power Plant 수력 108 2017 FS 완료 14 700 MW Coal Power Plant (II) in SihanoukVille -Phase 5 석탄 100 2017-15 700 MW Coal Power Plant (II) in SihanoukVille -Phase 6 석탄 200 2018-16 Steung Treng Power Plant 수력 980 2018-17 Sambor Hydro Power Plant 수력 2600 2019 MOU 스터디중 18 Coal Power Plant (III) or Gas Power Plant 석탄 / 가스 450 2020 - + Prek Laang Hydro 수력 90 - PFS 완료 * 2,8,9,10,11,14,15 항목의 Sihanouk Ville 석탄발전소의경우, 진행단계 (phase) 는파악할수없었으나, 2014년기준으로 240 MW 발전설비가개발중에있다고 EAC가발행한 2015년캄보디아전력분야에대한보고서 (Report on Power Sector of the Kingdom of Cambodia 2015 Edition) 에기재되어있음 * 캄보디아는독자적으로대규모수력발전소를디자인, 건설, 운영할기술및재정적능력을가지고있지않기에, 현재개발중인모든대수력발전소건립프로젝트는 BOT (Build-Operate- Transfer) 계약하에있음 < 추가 : MOU 스터디중인프로젝트 (2011)> No. 프로젝트 발전용량 (Installed Capacity, MW) IA/PPA/LA 회사 국적 COD 1 Battambong I 24 F/S Korea 2 Battambong II 36 F/S Korea 3 Stung Pursat I 75 F/S China 4 Stung Pursat II 17 F/S China 5 Prek Liang I 64 F/S Korea 6 Prek Liang II 64 F/S Korea 7 Stung Sen 40 F/S Korea * 상기언급된 EDC 보고서에는포함되어있지않으나, 캄보디아광물에너지부가발표한자료에 따르면, 2011 년기준위와같은프로젝트들이 MOU 스터디단계에있었음 < 송전선연장계획 (2009)> 17

No, 지방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Phnom Penh 2 Kandal 3 Kampong Speu 4 Takeo 5 Kampot 6 Kep 7 Sihanoukville 8 Kampong Cham 9 Banteay Meanchey 10 Battambang 11 Siemreap 12 Kampong Chhnang 13 Pursat 14 Koh Kong 15 Oddar Meanchey 16 Pailin 17 Prey Veng 18 Svay Rieng 19 Kratie 20 Stung Treng 21 Ratanak Kiri 22 Mondul Kiri 23 Kampong Thom 24 Preah Vihear < 송전선연장프로젝트현황 (2011)> No. 프로젝트 길이 (Km) 보조금 / 투자 Year 1 230 kv, Takeo Kompot, (construct substation in Kompot) 87 KfW 2011 2 115 kv, Steung Treng Loa PDR, (construct substation in Steung Treng) 56 WB 2012 3 110 kv, Kampong Cham Viet Nam (construct 3 substations: Kampong Cham, Soung, Pongnearkreak ) 68 WB 2010 4 230 kv, Kampot Sihanouk Ville, (construct 2 substations: Vealrinh Sihanouk Ville) 82 ADB & JBIC 2011 5 230 kv, Phnom Penh Kompong Chhnang Pursat Battambong (construct 3 substations: Kompong Chhnang, Pursat, Battambong) 310 CYC 2012 6 230 kv, Pursat Osom, (construct 1 substation in Osom Commune) 175 CYC 2012 7 230 kv, Kampong Cham Kratie 110 CUPL 2012 8 230 kv, Kratie Stung Treng 126 INDIA 2012 9 230 kv, Phnom Penh Kampong Cham 110 CUPL 2012 10 220 kv, Phnom Penh Sihanoukville, along national road 4 220 CHMC 2013 11 230 kv, East Phnom Penh Neakleung Svay Rieng, (construct 2 substations: Neakleung, Svay Rieng) 120 CHMC 2014 12 230 kv, Stung Tatay Hydro Osom substation 15 CHMC 2015 13 115 kv, West Phnom Penh East Phnom Penh ( construct substation GS4 at South Phnom Penh) 20 WB 2015 14 230 kv, Reinforcement of transmission line on the existing pole, Phnom Penh Kampong Cham (transmit power from Lower Sesan II + Lower Srepok II) 100 CUPL 2017 18

15 230 kv, Stung Chay Areng Osom substation 60 CSG 2017 16 230 kv, Kampong Cham Kampong Thom Siem Reap, (construct 1 substation in Kampong Thom) 250 KTC 2019 17 500 kv, Loa PDR (Ban Sok) Steung Treng Vietnam (Tay Ninh), (construct substation in Steung Treng) 220 ADB 2019 Total 2,106 <ASEAN 전력망연결계획 (2014)> 2 2014-2018 국가전략개발계획 (NSDP,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14-2018) ㅇ캄보디아정부는최근발표한 2014-2018 국가전략개발계획을통해, 경제적경쟁력증진, 지속적인경제성장, 에너지안보확립, 국민의생활조건향상등의목표달성을위해, 전력공급능력 (capacity) 을증대하고, 전력공급범위또한확대할계획을밝힘 - 2014-2018 국가전략개발계획에서술된에너지분야우선정책 (priority policy) 은다음과같음 : 1) 신재생에너지원을중심으로저비용-최첨단전기생산능력강화 2) 송전네트워크개발 3) 발전, 송전, 배전분야에대한민간투자장려 4) 2020 년까지 100% 시골전 ( 電 ) 화 달성을위한전략이행가속화 5) 시골전 ( 電 ) 화펀드 에추가적자금공급 ( 정부예산, 사회기금, 해외개발자금등이용 ) 19

6) 농업분야생산성및산업분야발전을위한전기소비합리화 ( 오프피크전기요금인하를통한생산 관개설비시스템부담완화 ) 7) 석유, 가스분야탐사및상업화가속화 8) 제도및인적역량강화등에너지분야기획및관리역량배양 9) 지역내에너지협력에적극적으로참여 - 에너지자원의효율적관리와사용을촉진하기위한법률및제도또한개발할예정임 3 국가에너지효율정책 (National Energy Efficiency Policy, 2013) ㅇ캄보디아광물자원부의요청으로 2013년 EU Energy Initiative Partnership Dialogue Facility (EUEI-PDF) 는캄보디아국가에너지효율정책초안을개발했으나, 정책적으로반영되지는않음ㅇ국가에너지효율정책초안에기재된에너지효율정책목표는다음과같음 1) 2035 년까지에너지수요를 BAU 대비 20% 축소 2) 2035 년까지이산화탄소배출량 3 백만톤감축 기후변화대응정책 1 UNFCCC 제출자발적감축목표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ㅇ캄보디아의의온실가스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BAU 대비 27% (3,100 CO2eq) 감축대상온실가스 : Carbon dioxide (CO2), methane (CH4), nitrous oxide (N2O) - 캄보디아는에너지산업과제조업부문에감축노력을집중시킬예정 - 캄보디아 NDC에기재된감축부문및부문별목표는다음과같음 부문 에너지산업 1) On-grid: 부문별목표 온실가스감축량 * 단위 : CO2eq (%) 1,800 (16%) - 신재생에너지이용발전확대 ( 태양에너지, 수력,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 - 신재생에너지분산전원그리드에연결 2) Off-grid: solar home system 및소형수력발전기보급 3) 최종소비자에너지효율개선장려 제조업 신재생에너지사용장려및의류 정미 벽돌공장에너지효율증진 727 (7%) 수송 1) 대중교통이용장려 390 (3%) 2) 친환경운전및자동차점검장려를통한자동차의사용및 정비방식개선 3) 하이브리드승용차, 전기자동차, 자전거이용장려 기타 1) 빌딩에너지효율개선장려및효율적인요리용스토브보급 155 (1%) 20

2) 폐기물처리중배출되는온실가스감축 ( 생물침지기및워터필터 이용 ) 3) 신재생에너지를이용한관개총감축량 3,100 (27%) 캄보디아는 2014-2023 기후변화전략계획 (CCCSP, Cambodia Climate Change Strategic Plan) 의시행을통해 NDC 목표를달성해나갈계획이며, 아래표에기재된부문별목표는 CCCSP 내용과일치함 3. 에너지원별현황및정책 1) 에너지원별현황및정책 석유및천연가스 ㅇ캄보디아는 98년캄보디아석유청 (Cambodian National Petroleum Authority, CNPA) 을설립하고캄보디아석유 / 가스광구에개발에나서고있으나, 사업자에대한채굴허가가말소되거나투자계획이전면취소되는등사업화에는난항을겪고있음 - 캄보디아는 6개해안권역, 19개내륙권역, 6개관할권중첩수역 (Overlapping claims area) 으로구분되며, 현재 6개해안권역과 3개내륙권역에대한개발이진행혹은계획중에있음 < 캄보디아의주요권역 > - 해안의 A 권역은가장사업성전망이높은구역으로알려져있으며, 당초미국의정유업체 Chevron 주도로 12 년상업생산을시작할계획이었으나글로벌경제위기등의이유로현재사업권은 21

싱가포르의 KrisEnergy 社로넘어간상태이며, 사업자는유가가배럴당 70달러수준을돌파해야채산성이확보될것으로보고있어 18년이후첫상업생산이이루어질것으로전망 - 그러나해안 B권역과 F권역의채굴계약이사업자의협약불이행을이유로 16년 1월취소되고, 캄보디아석유청과중국의국가자동화시스템공사및 Sino March 社합작으로추진중인대형정제공장건립계획이 14년에이어 15년에또다시연기되는등사업화에어려움이따르고있음ㅇ현재캄보디아는가스 (LPG 포함 ) 를전량수입하고있으며, 저유가기조의영향으로 15년석유수입량은전년대비 64% 증가한것으로집계되었음 - 15년캄보디아의석유수입량은 255만톤으로, 전년도의 155만톤에비해 64% 증가하였으나유가폭락으로수입총액은전년의 14억 6천달러보다 57% 하락한 926만달러기록ㅇ유형별로보면가스 / 디젤류가가장많은 918,000ton이수입되었고, 가솔린, 연료유, LPG의순으로집계되고있음 ( 단위 : 1,000 톤 ) 수요량 ( 전량수입 ) < 가스 / 석유류유형별소비량 ( 13 년, IEA 통계 )> Motor Other LPG Jet Kerosene Gas/Diesel Fuel Oil Gasoline Kerosene 99 392 16 3 918 166 ㅇ석유및가스자원탐사, 개발, 관리 감독, 상 하류부문의사업활동조정, 정책가이드라인개발, 수입, 판매등의역할전반은광물에너지부산하의 캄보디아국가석유위원회 (CNPA, Cambodian National Petroleum Authority) 가담당하고있음 - 1998년설립이후 CNPA 는캄보디아 (Council of Ministers) 의감독아래있었으나, 2013년광물에너지부산하로통합되었음ㅇ석유및가스산업은 1991년제정된 석유법령 (Petroleum Degree) 으로규제되고있음 - 캄보디아내석유산업운영을위한계약자선정의법적근거는석유법령으로, 프로덕션쉐어링 (PSC, Production Sharing) 계약을기본으로하며, 계약조건은개별적으로협상가능함ㅇ캄보디아석유및가스시장의투명성과경쟁력을확대하기위해서는현법령보다포괄적인규제체계가필요하며, 캄보디아정부는현재새로운법령을고안중임 - 2013년 캄보디아국가석유정책프레임워크 (National Petroleum Policy Framework) 초안이고안되었으며, 기본적정책목표는다음과같음 1) 석유자원개발혜택최대화 2) 안전보장및환경보호기술을보유한기업의투자장려 3) 명확한규제프레임워크개발 4) 국가재원확보를위한수익창출지원 22

5) 캄보디아국민을위한창출된투명하고책임감있는재투자보장 석탄 ㅇ현재캄보디아는석탄을전량수입하고있으나, Stung Treng 지방의 Phum Talat 등의지역에석탄이매장되어있는것으로추정되고있어향후매장량및타당성조사가필요한상황 - Phum Talat 지역에는 7백만톤의석탄이매장되어있는것으로보이며, 매장된석탄은시멘트생산및난방용연료로활용할수있을것으로기대ㅇ 13년현재석탄은전량수입에의존하고있으며, 주로수입하는석탄은아역청탄 (subbituminous coal) 으로알려져있음ㅇ또한캄보디아정부에서는총 3기의석탄화력발전소건설을추진중에있음 - 1번발전소 : 12년 100MW (1단계사업 ), 13년 100MW (2단계사업 ) 용량 - 2번발전소 : 14년 ~ 18년까지매년 100MW 규모증설, 19년 200MW 용량증설 - 3번발전소 : 20년 400MW 규모발전시설증설ㅇ캄보디아내석탄관리 감독및규제책임은광물에너지부가담당하고있음ㅇ캄보디아내석탄생산은 광물자원관리및개발법 (The Law on Mineral Resource Management and Exploitation) 으로규제되고있음 - 캄보디아헌법과광물자원관리및개발법은캄보디아내모든천연자원은국가의소유물임을명시하고있기에, 석탄산업에참여하고자하는기업상업등기 (commercially register) 후은광물에너지부를통해라이선스를발급받아야함 23

전력 ㅇ 13년기준캄보디아의총전력생산량은 1,778GWh 규모이나, 발전시설용량의부족으로인근국가에서 2,050GWh의전력을수입하는등대외의존도는 53% 에달함 - 원별생산량을보면수력발전이 1,016GWh로총자체생산량의 57% 를차지하고있으며, 그뒤를석유 (579GWh), 석탄 (169GWh), 바이오연료 (11GWh), 태양광 (3GWh) 가잇고있음 - 증가하는전력수요를충당하지못하여전력수입량은매년빠른속도로증가 < 캄보디아의총전력생산량 ( 적색 ), 자체생산량 ( 연두색 ), 수입량 ( 파란색 ) 추이 > ( 단위 : 백만 kwh) ㅇ 15년현재전력보급률 (Access to Electricity) 는 31.1% 로인근지역최하위권에머무르고있으며, 특히대부분의전력이수도프놈펜인근지역에만공급되고있어지역별편중문제가발생하고있음ㅇ전력난을타개하기위한캄보디아정부의노력으로 12년이후자체전력생산량은대폭증가하였으나, 수요증가율에발맞추기에는아직부족한상황 < 캄보디아의연도별전력생산용량추이 > ( 단위 : MW) 09 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 년 15 년 석탄발전 7 7 7 7 108 228 363 수력발전 11 11 11 223 512 927 927 석유발전 246 229 230 227 227 218 218 24

원자력 ㅇ캄보디아는지난해 11 월러시아와원자력협력에관한 MOU 를체결, 원전건립을고려하고있으나, 구체적사항은밝혀지지않음 신재생에너지ㅇ IEA 통계에따르면캄보디아의 13년신재생에너지전력생산량은 1,030GWh에달하나, 수력이절대다수인 1,016GWh의전력을생산하고있어수력을제외한재생에너지전력생산량은미미 - 고형생물연료 (solid biofuel) 발전량 11GWh, 태양광 3GWh 생산ㅇ열에너지부문에서는쌀겨, 캐슈열매껍질, 사탕수수및카사바등농업부산물을활용한바이오매스가주로활용되며, 바이오매스에너지생산량은캄보디아총 1차에너지공급량중절반이상을차지할정도로높은비중 정책1 신재생에너지를이용한시골전 ( 電 ) 화정책 (Rural Electrification by Renewable Energy Policy) ㅇ캄보디아정부는 2006 년신재생에너지를이용한시골전화정책을승인, 신재생에너지를이용한시골전 ( 電 ) 화마스터플랜 (Master Plan Study on Rural Electrification by Renewable Energy in the Kingdom of Cambodia) 을관련프로그램및프로젝트시행의가이드라인으로인정함 - 캄보디아에너지광물부는 2002-2012신재생에너지액션플랜 (Renewable Electricity Action Plan) 를수립하여시행한바있음 정첵 2 그외정책 - 2014-2018 국가전략개발계획 및 UNFCCC 제출 자발적감축목표 에신재생에너지원개발및활용을증진하겠다는정책목표가포함되어있음 - 시골전 ( 電 ) 화펀드 (REC, Rural Electrification Fund) 또한민간부문이 지속가능한방식으로 시골전력공급사업에투자할것을장려, 다수의시범신재생에너지프로젝트를시행해왔음 - 2009년부터캄보디아정부는민간부문의신재생에너지개발참여를촉진하기위해, Solar PV, 바이오매스, 태양열온수기 (solar water heating) 부품에대한수입세를감면해주는정책을펼치고있음 25

< 신재생에너지원별활용전략 > 에너지원대수력소수력,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풍력 지열및기타에너지원 활용전략국가적차원에서의전력공급증대시골전 ( 電 ) 화사업에중점적으로이용잠재역량은크지않으나, 적용가능지역중심으로개발 4. 평가및전망 캄보디아정부의직면과제는만성적인전력난해소와전력부문대외의존도감소 ㅇ캄보디아의대부분전력은수도프놈펜지역에편중되어공급되고있으며, 이에따라이외지역에서는안정적인전력을수급받지못하는동시에전력요금부담도높아지역간불균형문제가발생하고있음 캄보디아정부의전력확충계획은우리기업에게는기회 ㅇ캄보디아정부는 20년까지모든가정에마이크로그리드등다양한에너지원을활용하여전력을공급하고, 30년까지전체가정의 70% 를국가그리드망에연계한다는계획발표ㅇ캄보디아정부는앞으로지속적인증가가예상되는전력수요에대응하여자체발전시설을확충, 수요충당뿐만아니라전력의대외의존도문제까지해결하겠다는계획 < 캄보디아의연도별전력발전용량확충계획 > 26

ㅇ최근말레이시아의전력기반시설공급업체인 Pestech사가캄보디아를지역허브로선정하는등외국자본의진출이확대되고있으며, 정부역시민간부문의에너지투자를장려하는등자본유치에적극적으로우리기업에게도호재로작용할전망 - 국가정책동향을면밀히모니터링하여한국기업들이캄보디아시장에진출할기회를모색하는것이필요할것으로전망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