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科學 제 96 집 2012 년 9 월 祭泰夬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Ⅰ. 머리말 切韻 에는平 上 去聲운이서로대응되지않고去聲韻만있는祭 泰 夬 廢네개의운 ( 韻 ) 이있다. 대체로거성에운이있으면평성과상성에도대응되는운이있는데, 祭 泰 夬 廢운은특이하게대응되는평 상성운이없다. 네개의운이더있기때문에이운들이속한해섭 ( 蟹攝 ) 운들에대한학자들의재구음도매우복잡한양상을띤다. 해섭 1, 2, 3 等韻에 2개이상의주요모음이있었던것으로보고있다. 특히학자들은 2등운글자들에세개의서로다른주요모음, 예를들면 a, ɐ, ə 등을재구하였다. 1) 다른운섭 ( 韻攝 ) 의운모체계와비교하면해섭의이같은운모체계는매우복잡하다고할수있다. 바로이러한이유에서馮蒸 (1997) 은祭 泰 夬 廢운이 절운 에서자음운미를지니고있었기때문에따로거성으로분리되었다는설을제시했다. 1) 해섭의 1 등운咍운과泰운, 2 등운皆 佳 夬운처럼 1, 2 등운중에서개합 ( 開合 ) 과등 ( 等 ) 이같은운이한섭에두개이상있으면중운 ( 重韻 ) 이라고하는데, 山섭, 梗섭, 咸섭의경우에도중운이있어, 학자들은한등에두개의주요모음을재구하였다. 그러나山섭과梗섭은 2 등운에만, 咸섭은 1 등운에만두개의주요모음이있었던것으로본다.
68 人文科學 第 96 輯 그는 절운 음계에서음성운의경우평 상 거성의글자들이서로대응되고있는점을지적하고, 여러학자들의재구음으로는거성운에대응하는평성운과상성운이없는독특한음운구조를설명할수없다고덧붙였다. 何大安, 王力등의남북조 ( 南北朝 ) 시기압운에관한연구에의하면이네운들은남북조시기자음운미를가지고있었다. 2) 남북조시기는 42 0 589년이므로 절운 의간행시기 (601년) 와크게차이가나지않는다. 일반적으로운서 ( 韻書 ) 나운도 ( 韻圖 ) 보다는시인들의시에음운변화가더빠르게반영된다. 唐詩에이미입성이소실된, 적어도변화하기시작한흔적이보이는데, 입성운미의소실이반영된운서는元代 中原音韻 이다. 물론그이전에간행된운서나운도에도입성운미의변화가조금씩반영되어있지만, 그러나이운서나운도들은겉으로는입성을모두보존하고있었다. 유성음상성의글자들이거성으로변한탁상변거 ( 濁上變去 ) 도唐詩에반영되어있지만, 宋代에간행된운도에는그대로유성음상성자로수록되어있다. 그러므로 절운 에祭 泰 夬 廢운만거성운으로분리된것을주요모음의차이로볼수도있지만, 네운의글자들이상고중국어에서가지고있던자음운미가남북조시기에도흔적으로남아있었는데, 이흔적이 절운 에반영된것일가능성도있다. 본고에서는祭 泰 夬 廢운에 절운 당시자음운미가있었다는이학설을검토하여, 네운이따로거성으로분류된데에다른원인이있었는지살펴보려한다. Ⅱ. 蟹攝운의운모체계 < 표1> 에서볼수있듯이해섭에는 19개의운이있는데, 성조를따지지않은운의수는 9개이다. 해섭은 16섭중에서가장많은수의서성운 ( 舒聲 2) 王力, 南北朝詩人用韻考 龍蟲幷彫齋文集, 第 1 冊, 北京 : 中華書局, 1980, 51-55 쪽. 何大安, 南北朝韻部演變硏究, 臺灣大學中文硏究所博士論文, 1981. 馮蒸, 1997, 141 쪽에서재인용.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69 韻 ) 을포함하고있는섭이다. 1등운으로개구운 ( 開口韻 ) 인咍운 ( 평성으로상 거성까지포함 ) 과합구운 ( 合口韻 ) 인灰운이있는데, 또다른 1등운泰운이거성에존재한다. 2등에는개구운과합구운을모두포함한皆운이있는데, 역시개합 ( 開合 ) 을모두갖춘佳운이있고거성에夬운도있다. 3등에도개합을모두갖춘거성운祭운과廢운이있다. 4등운만하나뿐이다. 다음은최영애 (2000) 에재구되어있는해섭운에포함된중고중국어운모들이다. 평성상성거성재구음咍海代 ɒi 1등운灰賄隊 wɒi 泰 ɑi, wɑi 皆駭怪 ɐi, wɐi 2등운佳蟹卦 ai, wai 夬 əi, wəi 祭 iæi, iwæi/jæi, jwæi 3등운廢 iɐi, iwɐi 4등운齊薺霽 ei, wei 8개의주요모음을가정한위와같은재구는보기에는너무복잡하지만, 절운 에서분명히운을나누고있기때문에실제로음이달랐다고보고재구한것이다. 평 상 거성에 1등개구운咍운과이에대응되는합구운灰운이있음에도불구하고, 거성에만또다른 1등운泰운이존재하므로邵榮芬 (1982), 최영애 (2000) 등은咍운과泰운의주요모음을달리하여 ɒ와 ɑ로재구하였다. 드라구노프 (A. A. Dragunov) 는咍운 ( 重韻인覃운, 山운포함 ) 등이주요모음이 ə인글자들과동일한성부를공유하는예가많다는점을들어咍운의주요모음을 ə류로, 泰운의주요모음을 ɑ류로보았다. 3) 3) 예를들면咍운거성자인亥는刻 *kʰək 과동일한성부를공유한다. A. A. Dragunov( 龍果夫 ), 對於中國古音重訂的貢獻 ( A Contribution to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Chinese ), 通報, 제 26 期, 唐虞中譯, 歷史語言硏究所集刊, 第 3 本第 2 分. 楊劍橋, 1996, 25 에서재인용.
70 人文科學 第 96 輯 2등운의경우佳운외에도또다른 2등운인皆운이존재한다. 그런데또하나의 2등운거성夬운이존재하므로, 최영애 (2000) 에서는佳운의주요모음은 a, 皆운의주요모음은 ɐ로재구하였고, 夬운의주요모음은 ə로재구하였다. 邵榮芬 (1982) 은皆운을 ɐi, 佳운을 æi, 夬운을 ai로재구했다. 재구음은학자마다조금씩차이가있다. 3등운의경우중뉴 ( 重紐 ) 현상을보이는祭운이거성에있는데도廢운이또거성에존재한다. 중뉴는 3등운에속한글자들가운데성모가순음 ( 脣音 ), 아음 ( 牙音 ), 후음 ( 喉音 ) 인글자들의반절하자 ( 反切下字 ) 가개구, 합구의차이가아닌데도서로같은운류 ( 韻類 ) 로묶이지않는것을말하는데, 이글자들이같은운류로묶이지않는이유를학자들은운모가다르기때문이라고보고있다. 따라서위의표에서도祭운의재구음이 i- 개음 ( 介音 ) 을갖는글자들과 -j- 개음을갖는글자들로나뉜다. 廢운역시 3등운이므로 -i- 개음을갖는데, 운이다르므로위의표에서祭운과廢운의주요모음을 æ와 ɐ로다르게재구한것이다. 그러나 1등운과 2등운재구음 ɒi와 ɑi 또는 ɐi와 ai는매우비슷하게들리며, 발음상으로큰차이가나지않는다. 실제로칼그렌 (1985:59) 은한국한자음자료에근거하여 1등운咍운과 2등운皆운이같은모음을갖는것으로재구하였다. 한언어의음운체계에이처럼구분하기어려운운모가여러개동시에존재하지는않았을것이다. 그러므로祭 泰 夬 廢운이다른해섭운과구분된것은주요모음의차이가아닌운미의차이였을가능성도있다. 다음에서는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이현대중국어방언에서어떤운모로읽히는지간단히살펴보고, 또이글자들의한국한자음이해섭다른운의글자들의한국한자음과어떠한차이를보이는지비교하려한다.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71 Ⅲ. 蟹攝字들의현대중국어方音과한국한자음 해섭의글자들, 특히 1, 2등운글자들은吳방언등에서 ɛ( 揚州 ), ɒ( 蘇州 ) 등의단모음으로읽히는경우를제외하고, 현대중국어방언에서대부분 -i 운미를갖는이중모음으로읽힌다. 아래에 1등운인泰운과이에대응되는개구운代운 ( 咍운 ), 합구운隊운 ( 灰운 ) 자들의현대중국어운모를옮겨본다. 각방언의음은李珍華 周長楫의 漢字古今音表 (1999) 를참조하였다. 4) 吳방언은蘇州어, 湘방언은長沙어, 贛방언은南昌어, 客家방언은梅縣어, 粤방언은廣州어, 閩東방언은福州어, 閩南방언은厦門어의음이다. 北京 吳 湘 贛 客家 粤 閩東 閩南 泰개 ai(ei) /ɒ ai(ei) ai(i) ai(i) ai, ɔi ai(ui) ai/ua 泰합 uei, uai, ei, uai ui, uai ui, uai øy, ui œy, uei ue 代개 ai ai ai ɔi, ai ɔi, ai ai ai 隊합 uei(ei), ei, uei ui(i) ui, ɔi ui, øy uei, œy ue, ui 1등운인咍운자들의운모와泰운자들의운모는각방언에서크게다르지않고대체로같은것을알수있다. 다음은 2등운인夬운및이에대응되는怪운 ( 皆운 ) 과卦운 ( 佳운 ) 자들의현대중국어방음이다. 5) 4) 괄호안에있는운모는성모가순음일때의운모이다. /ɒ 처럼 / 로나뉘어진경우전자는독서음 ( 文言音 ), 후자는구어음 ( 白話音 ) 이다. 극소수글자에만출현하는운모는옮기지않았다. 5) 2 등운의경우괄호안에있는운모는성모가중고중국어시기후음이나아음일때의운모이다.
72 人文科學 第 96 輯 北京 吳 湘 贛 客家 粤 閩東 閩南 怪개 ai(ie) iɒ/ɒ ai ai ai(iai) ai ai ai 怪합 uai u /uɒ uai uai uai uai uai uai 卦개 ai(ie) ɒ, iɒ ai ai ai ai ai ai 卦합 ua o ua ua ua ua ua ua/ui 夬개 ai, ɒ ai ai ai ai ai ai 夬합 uai u /uɒ uai uai uai ai, ua uai uai 皆운과夬운의합구자들과는달리佳운합구자들의운미 i가탈락되어있다. 칼그렌 (1985:59) 은 1, 2등중운의차이를모음의장단 ( 長短 ) 의차이로보고, 佳운운미가탈락된것은佳운의모음이장모음이기때문이라고보았다. 반면皆운의모음은단모음이므로운미 -i가탈락하지않았다고보았다. 吳방언을제외한각중국어방언에서皆 佳 夬세운의개구와합구운모가일치하며서로대립하지않는것을알수있다. 따라서 절운 시기에도세운의운모가같거나적어도크게다르지않았을것이다. 그렇다면夬운글자들에자음운미가있어세운이구분되었을가능성도배제할수없다. 다음은거성운만있는 3등운祭운과廢운의현대중국어운모이다. 6) 北京 吳 湘 贛 客家 粤 閩東 閩南 祭개 i(ʅ) i(ɥ) ei, i(ɿ) i(ɿ) i(ɿ) ɐi ei, ie, a e 祭합 uei (y)ei ui ui(ɔi) øy uei ue 廢개 i iui i i ai ie e 廢합 ei(uei) i ei əi i ɐi ie (u)e, ui 廢운의경우글자수가적다. 성모가순음인경우성모의원순성으로인해 ei처럼합구개음 u가없고, 성모가순음이아닌경우 uei, ue로실현된 6) 3 등운에서괄호안에있는운모는중고중국어시기성모가정치음에속했던글자들의운모이다.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73 것을볼수있다. 1등운과 2등운의글자들에비해祭운과廢운의글자들은서로다른운모로실현된경우가있는데, 특히합구운의경우에이같은현상이두드러진다. 따라서거성운만있는이두운은중국어방음으로보았을때주요모음이달랐을가능성이높은데, 두운모두거성만있는사실자체가이를방증한다. 표에서볼수있듯이해섭의글자들은대부분 i운미를지니는데, 절운 당시이미 -i 운미를가진것으로추정된다. 다음에서해섭글자들의한국한자음을살펴보려한다. 먼저 1등개구운의 15~6세기한국한자음을살펴보면 1등개구운咍운은대부분 ㆎ 로표기되어있고소수의글자들만 ㅐ 로표기되어있다. 7) 반면泰운은대부분 ㅐ 로표기되어있고소수의글자들만 ㆎ 로표기되어있어, 咍운과泰운이대체로ㆎ와ㅐ로대립하고있다. ㆎ, ㅐ 의음가는확실히현대한국어에서와달리이중모음이었다. 요새 의본말이 요사이, 사내 의본말이 사나이 인것에서도알수있듯이고대국어의 아이 는 애 로단모음화하였다. 그러나합구운灰운의경우순음자들을제외하고대부분 ㅚ 로표기되어있고泰운합구자들도모두 ㅚ 로표기되어있어합구운에서는灰운과泰운이대립하지않고있다. 灰운순음자의경우성모자체의원순성으로인해합구개음이실현되지않고ㆎ로읽혔다. 한국한자음에서는순음성모를가진합구자들이성모자체의원순성으로인해개구자들과같은음으로실현되었다. 예를들면飯, 滿, 叛, 坡, 波, 畈은합구자로중고중국어시기운모가 uɑn, uɑ 등인데, 천자문 과 훈몽자회 에각각 반, 만, 반, 파, 파, 판 으로실려있다. 2등운의경우皆운의개구자는대부분 ㆎ 로, 佳운의개구자는대부분 ㅐ 로읽혀개구운의경우 1등운인咍운과泰운이대립하는것과비슷한양상을보이고있다. 따라서칼그렌 (1985:59) 은한국한자음자료에따라 1등운과 2등운의주요모음을똑같이재구하였는데, 다만咍운과皆운의 7) 임다영 (2010) 의 동국정운한자음과현실한자음의비교연구 에정리되어있는止섭과蟹섭글자들의한국한자음을참조하였다.
74 人文科學 第 96 輯 주요모음은단모음으로, 泰운과佳운의주요모음은장모음으로재구하였다. 夬운의개구자들은주로 ㅐ 로실현되어佳운과일치한다. 합구자들은용례가적다. 皆운합구자들은대체로 ㅚ 로실현되었다. 佳운합구자의경우다음과같은두용례가있다. 卦掛挂畫 괘화 지금은운미 -i가소실된卦, 掛, 挂가 절운 당시에 -i가있었음을보여준다. 그런데위현실음은夬운합구자의두한자음과일치한다. 快話 쾌화 1등합구운의한국한자음은대부분 ㅚ 이다. 2등은皆운의경우는 1등합구운의글자들과마찬가지로대체로 ㅚ 로실현되었지만佳운과夬운자들은예외로보아야하는 ㅘ 를제외하면 ㅙ 로실현되었다. 개구자이든합구자이든夬운글자들의한자음은佳운의한자음과같다. 3등운의경우祭운의개구자들은대부분 ㅖ 로실현되었고소수의글자들만 ㅕ 또는 ㅔ 로실현되었다. 합구자들의경우다음에서볼수있듯이 ㅠ, ㅖ, ㆋ, ㅞ 등으로실현되었다. 贅毳喙歲稅帨說帥蛻銳 훼셰셰슈예예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75 廢운의경우용례가매우적다. 개구자는 ㅖ, ㅐ 로실현되었다. 乂刈 예애 刈의조선시대한자음은 애 이지만현대한자음은 예 이다. 그러므로祭운개구자들의한자음과차이가없다고할수있다. 廢운합구자들역시용례가적다. 廢吠肺穢濊喙 폐폐폐예훼 廢, 吠, 肺는순음자들이라한국한자음에서합구개음이실현되지않아ㅖ로실현되었다고할수있다. 용례는적지만祭운의합구자와다르지않다. 해섭중운자들이한국한자음에서어떤모음으로읽혔는지정리해보면다음과같다. 1 등운 2 등운 3 등운 切韻운개구합구 咍 ( 灰 ) ㆎ ᅬ 泰 ᅢ ᅬ 皆 ㆎ ᅬ 佳 ᅢ ᅫ(ᅪ) 夬 ᅢ ᅫ(ᅪ) 祭 ᅨ ᅨ(ᅲ, ᆒ, ᅰ) 廢 ᅨ ᅨ(ᅰ)
76 人文科學 第 96 輯 佳운과夬운, 祭운과廢운합구자의경우에는용례가너무적어모음이출현한회수가비슷하므로, 가장많이쓰인모음을앞에적고한번이상쓰인모음을괄호안에넣었다. 다른운의한자음은대체로많이쓰인모음만표기하였다. 1등개구운에서는咍운과泰운이대립하고있지만합구운에서는 ㅚ 로대립하지않는다. 이에대해국어학자인박병채는운미 -i 앞에서泰운의주요모음이灰운에합류한것이라고설명했다 ( 임다영 2010:49-50). 보다정확히말하면평순모음 ɑ가개음인원순음 w의영향으로원순모음 ɒ로변했다 (ɑ ɒ/w i) 고할수있다. 2등운의경우皆운과佳운이개구운과합구운에서모두대립한다. 그러나夬운개 합구자의한자음은佳운자들의한자음과같다. 3등운인祭운과廢운의한국한자음도일치한다. 祭운은重紐이지만祭운자들의한국한자음은重紐현상을반영하지않고있다. 당시중국어와한국어의음운체계가달랐기때문에한국한자음이당시蟹섭자들의정확한음을반영하지못했다고할수도있고, 또중뉴자들의음의차이가다른 3등자들과구분하기어려울정도로작았다고도할수있다. 그러나祭운과廢운은둘다거성만있는운이고중국어방언에서는두운의운모가어느정도대립하고있는것으로보아주요모음이달랐기때문에구분된것으로추정된다. 夬운과佳운의경우에는한국한자음뿐만아니라중국어방언에서도같은음으로실현되었으므로, 두운의주요모음이같았을가능성이있다. 당시佳운과주요모음이같았던夬운에어떤자음운미가있었고 절운 이후이운미가 -i로대체되었을수있다. 다음에서는祭 泰 夬 廢운이상고중국어에서자음운미를가지고있었는지살펴보려한다.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77 Ⅳ. 祭 泰 夬 廢운의상고중국어운미 상고중국어자료에서는거성의글자들과입성의글자들이압운하고있어段玉裁는상고중국어에는평성, 상성, 입성만있었고, 거성은없었다고주장했다. 상당수의거성자들이상고중국어에서는입성의글자들과같은운부에속해있다. 예를들면罩는상고중국어의藥운부, 靠는覺운부에속했다. 何大安은 南北朝韻部演變硏究 (1981) 에서남북조시기평성과상성의글자들은입성의글자들과압운하지않았고, 거성의글자들만입성의글자들과압운한용례가있다고밝혔다. 8) 何大安에의하면당시 -p 입성자와거성자가압운한사례는한번, -k 입성자와거성자가압운한용례는네번뿐이었고, 거성자와 -t 입성자가압운한경우는 74번이었다. 馮蒸 (1997:143) 에의하면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은남북조시기에도여전히 -t 입성자와압운하였으며, 隋代에이르러비로소대응하는평 상성운이없는거성운이되었다. 이같은사실은이운들이상고중국어에서남북조시기에이르기까지 -t 입성자와같은운미를가졌을가능성을보여주는데, 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이 -t 입성자와동일한성부를공유하는사실역시이러한가능성을뒷받침한다. 다음은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이입성자들과해성 ( 諧聲 ) 편방을공유하는상황이다. 9) 祭 음성운자祭際穄傺 / 漈弊蔽幣斃敝獙獘鄨例世貰朑齛呭玴詍跇 입성자察擦嚓攃檫鑔瞥鱉鼈嫳彆徶憋撇潎蟞襒蹩鷩烈列裂洌冽咧姴栵茢蛚趔迾颲鮤鴷泄抴伳抴枻疶紲 8) 何大安, 위의책. 馮蒸, 1997, 141 에서재인용. 9) 兌를편방으로갖는글자들가운데蛻는泰운에도수록되어있고, 祭운에도수록되어있다. 害는泰운에속한글자지만害가편방인犗는夬운에수록되어있다. 最는泰운에수록되어있지만最와성부가같은嘬는夬운에수록되어있다. 네운의글자들의음이상고중국어에서매우가까웠음을알수있다.
78 人文科學 第 96 輯 逝誓 / 銴折浙晢晣䓆曳洩絏藝勢囈埶蓺爇褻奈捺蓋搕瞌闔嗑廅榼溘盍篕害 / 犗 ( 夬운 ) 割轄嗐搳瞎磍螛鎋泰藹靄謁兌駾蛻 / 銳稅說帨蛻 ( 祭 ) 脫侻敓梲莌鮵說最樶蕞 / 嘬 ( 夬 ) 撮繓夬快筷 / 袂 ( 祭 ) 決缺訣抉玦芵蚗觖鈌夬話舌廢廢癈發撥潑鏺蹳 위와같은해성현상과압운상황을토대로많은학자들은祭 泰 夬 廢네운을상고중국어에서 -t 입성자들과같은운부인月운부에넣었다. 다음에해섭각운들이상고중국어에서어떤운부에속했는지옮겨보았다. 10) 郭錫良 (1986) 을참조하였다. 평성 상성 거성 절운운 상고운부 절운운 상고운부 절운운 상고운부 齊 脂 薺 脂 霽 脂 祭 月 泰 月 佳 支 蟹 錫 卦 支 皆 脂 駭 之 怪 支 夬 月 灰 之 賄 之 隊 物 咍 之 海 之 代 職 廢 月 10) 祭 泰 夬 廢운은해섭의다른운들과달리상고중국어에서입성운과압운했으므로학자들은대체로이운들을입성운月운부 ( 韻部 ) 에넣었다. 그러나청대戴震은처음으로祭 泰 夬 廢운을月운부에서분리해祭운부에넣었는데, 칼그렌등은祭 泰 夬 廢운이속한祭운부와月운부를구분해야한다고본반면, 董同龢, 李方桂등은두운부를나눌필요가없다고보았다. 馮蒸, 1997, 137-138 쪽에서재인용.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79 상성의蟹운을제외하고평성과상성운은모두상고중국어에서도음성운 ( 陰聲韻 ) 운부에속해있다. 거성운가운데는祭 泰 夬 廢운을제외하고隊운과代운이상고중국어의입성운운부에포함되어있다. 상고중국어에서거성과입성의관계가매우밀접했음을알수있다. 그러나霽운과卦, 怪운은상고중국어에서음성운으로분류되어있어모든거성운이입성운으로분류된것은아니라는것을알수있다. 이같은사실은다른섭의거성운글자들이상고중국어에서어떤운부에속했는지살펴보아도알수있다. 效섭, 果섭, 假섭, 流섭의거성운은상고중국어에서모두음성운으로분류되었다. 다만遇섭의세거성운가운데暮운은상고중국어에서鐸운부로분류되었다. 반면止섭은네거성운가운데志운만이음성운之운부로분류되었고나머지寘운, 至운, 未운은아래에서볼수있듯이각각입성운錫, 質, 物운부로분류되었다. 거성운寘至志未 상고운부錫質之物 이같은사실은모든거성운이상고중국어에서입성운운부와압운한것은아니지만, 평성과상성에비해거성이입성과관계가밀접했다는것을나타낸다. 止섭과解섭글자들의공통점은모두 -i운미를갖는것이다. 확실히운미가 -i인중고중국어거성자가운데에는 -t 입성자와동일한성부를공유하는글자들이많다. 이글자들은상고중국어에서중고중국어로넘어오면서 -t 운미가 -i 운미로변화된것으로보인다. 사실이같은음운변화가불가능한것은아니다. 노먼 (1996:344) 에의하면, 閩방언에속하는邵武어의입성운미는독특한변화를보이는데, -p는 n으로, -t는
80 人文科學 第 96 輯 -i로변화했으며 -k는소실되어자취를감추었다. 그러므로많은학자들이위의해성현상에근거해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의상고음을 -t로재구했다. 그러나馮蒸은 -ts로재구했다. 이것은상고중국어에서거성의글자들이 -s 운미를지니고있었으며, -s가거성성조의발생과관련이있다는프랑스학자오드리쿠르 (Andre Haudricourt) 의학설을따랐기때문이다. 馮蒸 (1997:146) 은또한운미가 -ts인음절에서祭 泰 夬 廢운의주요모음 ( 아마도 a 부류의주요모음 ) 뒤의 -ts가가장늦게소실되었고, 다른주요모음뒤의 -ts는일찍소실되었다고주장했다. 그는다른섭에서는거성운만있는사례가발견되지않고, 오직해섭에만거성운인祭 泰 夬 廢운이세워진것은이 -ts 운미가 절운 당시어떤형태로든남아있었기때문이라고보았다. 馮蒸 (1997:145-146) 은중고중국어에서거성은내려가는성조 ( 下降調 ) 이므로祭 泰 夬 廢운의 절운 시기운미는 -ʔ이아닌 -h라고주장했는데, 江荻 (2007:459) 에의하면, -ʔ 운미도하강조이므로네운의운미를 -h라고단언할수없다. 馮蒸은또한 -h는운미 -ts에서 t가탈락한후 -s에서변화된것으로보았다. 그는 -s는변화과정에서 -ʔ나 -h로변하는데, 중국 티베트어족의언어들에서그예를찾아볼수있다고덧붙였다. 모든거성자들이 -s 운미를가지고있었다면, 祭 泰 夬 廢네운의글자들은상고중국어에서 -ts 를가지고있었을것이다. 왜냐하면이글자들은상고중국어에서 -t 입성의글자들과압운하기때문이다. 馮蒸은남북조시기까지는이러한운미가유지되다가 -t가소실되고 -s는 -h로변하였다고주장하였다. 운미 -ts를가정하면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이상고중국어에서입성자들과압운했던것과이글자들이거성으로변한이유를이와같이분명히설명할수있다. 그러나이같은주장이성립하려면거성의글자들이 -s 운미를가졌었다는설이가설이아닌정설이되어야한다. 오드리쿠르가거성자들이상고중국어에서 -s 운미를가졌었다는설을제안하자, 풀리블랭크 (Pulleyblank) 는거성의 -s 운미기원설을뒷받침할만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81 한자료를외국어를번역한초기중국어자료에서찾아냈고, 나아가상성자들은 -ʔ 운미에서비롯되었다는오드리쿠르의학설도보강하였다. 그는 절운 의상성과거성이각각 -ʔ와 -h(<s) 를보유하고있었다는설을정당화하고, 이시기에음성의높이 (pitch) 와음조곡선 (contour) 이결합된자질들이출현하였을것으로추정하였다. 11) 그러나노먼 (1996:85) 은 9세기에일본인승려圓仁 (Annen) 이당시중국어의성조가서로구분되던두음역으로나뉜곡선조였음을분명히밝힌점을들어짧은시간내에성조가생성되었을리없다고보았다. 江荻 (2007:458-462) 은여러지역의티베트어를대상으로 -s 운미가파열음운미 -ʔ로변했는지여부와자음운미가성조의발생에영향을미쳤는지를조사하고, 그같은운미변화는일부지역에국한된변화임을밝혔다. 또한운미가성조의발생에영향을미쳤는지는언어에따라다르므로똑같이취급할수없다고설명했다. 일례로티베트어에서는성조의발생과관련이있는것은성모 ( 聲母 ) 의청탁 ( 淸濁 ) 이고운미는성조의발달 ( 변화 ) 과관계가있다고밝혔다. 더군다나베트남어에운미가존재했다는것과운미로인해성조가발생했다는설은모두추정일뿐인이른바 思辨的 인설인데, 상고중국어에그대로적용할수는없다는것이다. 이와같이거성의 -s 운미설은확정된가설이아니다. 그러므로본고에서는네운이 절운 에서거성운으로분류된원인에대한힌트를 -s>-h에서찾기보다는현대중국어각방언의입성에서찾아보려한다. Ⅴ. 현대중국어방언의입성 현대표준중국어인北京어에서는입성운미가소실되어없어진지오래 11) E. G. Pulleyblank, The nature of the Middle Chinese tones and their development,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6, pp. 173-203. 노먼, 1996, 85 에서재인용.
82 人文科學 第 96 輯 되었고, 입성의글자들은평 상 거세성조로나뉘어들어갔다. 그러나일부방언에서는입성운미가보존되어있다. 다음은각방언에입성이보존된상황이다. 李珍華 周長楫의 漢字古今音表 (1999) 를참조하였다. 방언吳湘贛客家粤閩東閩南 운미 ʔ 소실 t, k p, t, k p, t, k ʔ p, t, k/ʔ 漢字古今音表 에는성문파열음 -ʔ을일률적으로 -h로표기하였는데, 본고에서는 -ʔ로바꾸어표기한다. 12) 吳방언에서입성자들은 -ʔ로읽히고있다. 湘방언에서는입성운미가소실되었으나다른성조와성조값이달라서여전히다른성조와구분된다. 贛방언에서는 -p가 -t에병합되어 -t와 -k만존재한다. 客家방언에서는 -p, -t, -k 세운미가모두존재하는데, -p가 -t에병합되기시작한것으로보인다. 예를들면乏이 [fat] 로읽힌다. 粤방언에서는 -p, -t, -k 모두존재하지만 -p가 -t에병합되는과정이상당히진척된것으로보인다. 乏, 法, 壓, 捷등다수의 -p 운미글자들이 [fat], [at], [ʧit] 으로읽히며, 押은 [at], [ap] 두독음으로읽힌다. 吳방언처럼閩東방언에서도입성자는모두 -ʔ 운미로읽힌다. 閩南방언은독서음에서는 -p, -t, -k 운미를모두보존하고있지만, 구어음에서는대부분의입성자가 -ʔ로읽혀입성운미가변화과정에있음을알수있다. 閩 입성운미 입성자 독서음 구어음 月 guat geʔ 八 pat pueʔ -t 脫 tʰuat tʰuaʔ 殺 sat suaʔ 12) -h 로성문파열음 -ʔ 을나타내는경우가있는데, 馮蒸은 -h 와 -ʔ 를구분하여썼으므로바꾸어표기한다.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83 -k -p 昨 tsɔk tsa 絡洛 lɔk loʔ 惡 ɔk oʔ 鶴 hɔk hoʔ 合 hap kap 塔 tʰap tʰaʔ 葉 iap iʔ 碟 tiap tiʔ 보다많은次방언을대상으로살펴보지는못했지만, 각방언에서입성운미의소실과관련해다음과같은경향을관찰할수있었다. 첫째, 중국어음운변화과정에서양순음운미는치조음운미에통합되는, 즉 -m>-n, -p>-t로변하는양상을보인다. 표준어에서양순음운미 -m은 -n으로통합되었고 -ŋ 운미만있는閩東방언을제외한다른방언에서도 -m>-n으로변화되었다. 양순파열음운미 -p도치조파열음운미 -t로변화되는양상을보인다. 客家방언, 粤방언, 閩방언에는 -p, -t, -k 세운미가모두보존되어있지만, 전술한대로粤방언에서는 -p 운미글자들상당수가 -t로읽히고있다. 客家방언역시粤방언만큼은아니어도 -p가 -t에병합되기시작한것으로보인다. 贛방언에서는이미모든 -p 운미글자가 -t 운미글자에병합되었다. 13) 13) 이처럼현대중국어방언에서볼수있는 -p>-t 로의변화는상고중국어에서도이미발생한것으로보인다. 예를들면李方桂 (1982:44)) 에의하면입성자訥은상고중국어에서중고중국어에이르기까지 *nəp>*nət>nuət 의변화를거쳤다. 상고중국어자료에서음성운글자들이 -t 입성자와압운하는예는많지만, -p 입성자와압운하는예는거의없어, 음성운글자에재구하는 *-b 운미는주로해성 ( 諧聲 ) 현상에근거한다. 李方桂는內가상고중국어에서중고중국어에이르기까지 *nəbh>*nədh>*nuədh>nuậi 의변화과정을거쳤다고보았는데, 이는유성의양순음운미 -b 가치조음운미 -d 로변화된것을나타낸다. d 뒤의 h 는거성을나타내는표지이다. 중고중국어자료에서는 -p 가 -t 에병합된자료도있고반대인경우도있다. 예를들면黃公紹의 古今韻會 에는 -p 가 -t 에병합되어있지만, 切韻指掌圖 와같은운도에는 -t, -k 입성자들만운미가소실되기시작한흔적을보이고 ( 즉이입성자들이음성운에도동시에수록되어있는데 ), -p 입성자들은그대로보존되어있다 ( 음성운에수록되어있지않다 ). 이에대해寧忌浮 (1997:20-22) 는 -p 입성자가음성운에대응되지않은것은변화된 -p 입성자를수록할음성운이없었기때문일뿐 -p 운미가남아있었던것으로볼수없다고언급했다.
84 人文科學 第 96 輯 둘째, 입성운미는소실되기전 -ʔ로통합되는양상을보인다. 閩南방언의입성운미 -p, -t, -k가구어음에서는 -ʔ로읽히는것은시사하는바가있다. 閩東어와吳방언등에서도입성운미는 -ʔ로읽힌다. 그러나모든입성운미가 -ʔ로변화되는과정을거치는것은아니다. 같은大방언내에서도입성운미는次방언에따라다양하게변하였다. 예를들면閩방언의경우, 永安, 將樂어에서는입성운미가완전히소실되었고, 전술한대로邵武어에서는 -k는소실되고 -p는 -n으로, -t는 -i로변화되었다 ( 노먼 1996:343-344). 湘방언에서는입성운미가소실되었는데, 王力 (1980:232) 에의하면湘방언의입성은北京어의양평 ( 陽平 ) 처럼읽힌다. 다만다른성조의값과여전히구분되기때문에과거에입성이었던것을알수있다. 앞에서馮蒸은해섭거성자들이 -ts의운미를가지고있었고 t가탈락된후 s가 h로변하였다고하였으나현대중국어방언에서는 -s라는중간형태를보여주는방언은없다. 따라서거성의 -s 운미기원설과는무관하게중국어방언에서얻을수있는성조변화패턴에따라입성운미에서직접 -ʔ로변화되거나운미가직접소실되는음운변화과정을가정할수있다. 이같은가정은馮蒸이祭 泰 夬 廢운의 절운 시기운미를 -h로재구한것과는거리가있다. 馮蒸은중고중국어에서거성은하강조 ( 下降調 ) 이므로, 네운의 절운 시기운미는절대 -ʔ이될수없다고주장했다. 그러나江荻 (2007:459) 의연구결과를소개하면다음과같다. 티베트어의파열음운미 -g, -d와마찰음운미 -s는라싸 (Lhasa) 어에서성문파열음운미 -ʔ로변했고, -b 글자일부도 -ʔ로변했다. ʔ은하나뿐인어말자음으로쓰였든復운미에서뒤의성분으로쓰였든, 항상성조를하강조로만들었다. 파열음이나마찰음이아닌운미의성조는높은성조 ( 高調 ) 가 55, 낮은성조 ( 低調 ) 의경우긴성조는 113, 짧은성조는 12였다. 반면파열음이나마찰음운미는높은성조가 53( 혹은 52), 낮은성조는 132였다. 이같은江荻의연구결과에의하면, 절운 시기祭 泰 夬 廢운이하강조라는이유만으로운미가 -ʔ이아닌 -h라고보는것은오류이다. -ʔ도하강조이므로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85 본고에서는중국어방언에보이는사례대로네운의운미는 -ʔ이거나소실되었을가능성이있다고본다. Ⅵ. 맺음말 祭 泰 夬 廢운의글자들이입성자들과동일한성부를공유하고있고남북조시기까지 -t 입성자와압운했다는학자들의연구결과에따르면, 네운의글자들은확실히 -t 운미를가진입성자였다. 본고에서는이 -t 운미가변화하면서네운의글자들의독음은다른해섭去聲字들과는다르게들렸으므로네운만대응하는평 상성운이없는거성운이되었고, 당시네운의입성운미는 -h였을것이라는馮蒸의설에대해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지금까지의고찰결과를토대로네운에자음운미가있었을것이라는설은어느정도긍정할수있는학설이라고본다. 다만그운미는있었다면 -h가아닌 -ʔ였던것으로추정한다. 馮蒸은네운의운미를 -h로보고이 -h가 -s에서변화된것이라고했지만, 중국어방언가운데 -s라는중간형태를보여주는방언도없고, 입성운미가 -s를거쳐 -h가되었음을보여주는중국어역사음운학자료도없다. 또한거성의 -s 운미기원설도검증할수있는확정된학설이아니므로, 본고에서는현대중국어방언에서확인할수있는사실에따라네운의글자들은당시 -t 운미가소실되면서 -ʔ와같은중간과정을거쳤고, 그것이 切韻 에반영되었을가능성이있다고본다. 물론이경우 -ʔ가운미인운이너무적어가깝게들리는해섭에넣어처리했다고가정해야한다. 湘방언처럼운미가소실된후, 다른운과동일한운모를가졌지만성조값이달라서분리되었을가능성, 예를들면한국한자음으로도현대중국어방언으로도전혀차이를보이지않는佳운과夬운이같은운모 ai, wai 를가졌지만성조값이달라서분리되었을가능성은크지않다고본다.
86 人文科學 第 96 輯 湘방언처럼입성이운미가소실된뒤다른성조의독음과차이나는경우보다北京어에서처럼운미가소실되면서입성이다른성조로완전히병합되어들어간경우가많기때문이다. 물론학자들의재구음대로네운의주요모음이달랐을가능성도크다. 閩방언가운데邵武어에서입성운미 -t가 -i로변한사례도있다. 그러므로네운의운미가다른해섭글자들과같이 -i로이미변했을가능성도크다. 다만한언어에변별하기힘든운모가여러개존재했을가능성은낮기때문에, 이경우에는다른지역의음이섞여들어갔다고보는것이옳을것이다. [ 주제어 ] 자음, 韻尾, 성조, 韻母, 入聲 [ 참고문헌 ] 馮蒸, 漢語音韻學論文集, 首都師範大學出版社, 1997.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江荻, 漢藏語言演化的歷史音變模型, 北京 :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7. 李方桂, 上古音硏究, 北京 : 商務印書館, 1982. 李珍華 周長楫, 漢字古今音表, 北京 : 中華書局, 1999. 寧忌浮, 古今韻會擧要及相關韻書, 北京 : 中華書局, 1997. 邵榮芬, 切韻硏究, 北京 : 社會科學出版社, 1982. 王力, 漢語史稿, 北京 : 中華書局, 1980. 楊劍橋, 漢語現代音韻學, 復旦大學出版社, 1996. 千字文, 서울 : 단국대학교출판부, 1995. 노먼 (J. Norman), 중국언어학총론, 전광진역, 서울 : 동문선, 1996. 버나드칼그렌, 古代漢語音韻學槪要, 1954, 최영애역, 서울 : 민음사, 1985. 임다영, 동국정운한자음과현실한자음의비교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2010. 최세진, 訓蒙字會, 1527, 서울 : 홍문각, 1985. 최영애, 중국어음운학, 서울 : 통나무, 2000.
祭 泰 夬 廢韻의자음韻尾설고찰 87 中文提要 夬 切韻 音素中, 祭泰夬廢這四韻只有去聲而沒有相配的平上聲 祭泰夬廢四韻字至南北朝時尙與 -t 尾入聲字相協, 直到隋代這四韻才與入聲字分家而獨用, 在 切韻 裏成爲無平上聲的去聲韻 所以中國學者馮蒸認爲這四韻在當時一定有一個從上古時期繼承下來的殘存的輔音韻尾 入聲字在吳方言 閩東方言和閩南方言的口語裏變成了 -ʔ 尾字, 因此如果考慮到入聲韻尾的變化過程, 我們不能否認這四韻字當時很可能帶有輔音韻尾 但是這四韻字也有可能當時已經失去了入聲韻尾 [ 主題語 ] 聲母, 韻尾, 聲調, 韻母, 入聲 논문접수일 : 2012.08.15 / 논문심사일 : 2012.08.21 / 게재확정일 : 2012.09.07 [ 저자연락처 ] drtkkim@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