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J Korean Sleep Res Soc 2013;10:51-55 ISSN X Prevalence and Predicting Factors of Complex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Obstruc

Similar documents
012임수진

1..

<5BB0F8B0F8BFECC6ED5D20C3D6C1BEBAB8B0EDBCAD5F BFCF292E687770>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A 617

(

Influences of the Revised AASM Criteria for Scoring Apnea and Hypopnea 국수면의학회에서발표한무호흡및저호흡판독에대한권장기준으로 AHI가시간당 5 이상인성인환자를연구대상으로하였다. AHI의중증도에따라대상환자를 AHI가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김범수

황지웅


<30372DB9DAB1E2C7FC28C6F3BCE2BCBA20BCF6B8E920B9ABC8A3C8EDC1F520C8AFC0DABFA1BCAD292E687770>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30372EC0CCC0AFC1F82E687770>

<30372DC0CCC8A3BFF828C6F3BCE2BCBA20BCF6B8E9B9ABC8A3C8EDC1F520C8AFC0DAC0C729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04조남훈

ORIGINAL ARTICLE J Sleep Med 2016;13(1):15-20 pissn / eissn The Utility of the McGill Overnig

590호(01-11)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노영남

untitled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35BFCFBCBA2E687770>

Lumbar spine

untitled

서론 34 2

????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05송영일

<30315FC7D1B1B9C0CE20C6F3BCE2BCBA20BCF6B8E9B9ABC8A3C8EDC1F520C8AFC0DAB0A12E687770>

歯14.양돈규.hwp

( )Jkstro011.hwp

DBPIA-NURIMEDIA

( )Kju269.hwp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12이문규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Polysomnography in obstructive sleep apnea 의학강좌 적인검사방법으로알려져있는검사자관리하에검사실에서시행하는표준수면다원검사 (technician-attended, inlaboratory, overnight standard polysomno

Can032.hwp

Rheu-suppl hwp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h 문화식.hwp

DBPIA-NURIMEDIA

untitled

untitled

16(2)-7(p ).fm

<30372DC6F3BCE2BCBA20BCF6B8E920B9ABC8A3C8EDBFA120B4EBC7D120BEE7BED020C0FBC1A4C0C720C1F6C4A72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ORIGINAL ARTICLE J Rhinol 2016;23(1): pissn / eissn 폐쇄성수면무호흡증환자에서신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139~144 ¿À°ø¾àħ

hwp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에서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의효과 으로분류하였다 대상 본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수도권지역 I 대학병원이비인후과에서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을시행한일련의환자30 명을대상으로하였다. 이중수술전야간수면다원검사를시행하지않은 7 명은제외하

7 1 ( 12 ) 199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6 ( ) ( ) ( ) ( ) ( ) ( ) ( ). 4). ( ) ( ) ( ),., 4-5, 6-7, 5) 6) (

16(1)-3(국문)(p.40-45).fm

심장2.PDF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ePapyrus PDF Document

(01) hwp

Àå¾Ö¿Í°í¿ë ³»Áö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Jksvs019(8-15).hwp

Jkbcs016(92-97).hwp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 1

약수터2호최종2-웹용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03-ÀÌÁ¦Çö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DBPIA-NURIMEDIA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Microsoft PowerPoint - 발표자료(KSSiS 2016)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Transcription:

ORIGINAL ARTICLE J Korean Sleep Res Soc 2013;10:51-55 ISSN 1738-608X Prevalence and Predicting Factors of Complex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Han Uk Ryu, Eun Mi Lee, Gha-Hyun Lee, Bomi Kim, Sang-Ahm Lee Department of Neur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환자에서복합수면무호흡의유병률및예측인자 류한욱, 이은미, 이가현, 김보미, 이상암 울산대학교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신경과학교실 Received October 8, 2013 Revised October 14, 2013 Accepted October 16, 2013 Address for correspondence Sang-Ahm Lee, MD, PhD Division of Epilepsy and Sleep, Department of Neur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138-736, Korea Tel: +82-2-3010-3445 Fax: +82-2-474-4691 E-mail: salee@amc.seoul.kr Objectives: Som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experience development of central sleep apnea (CSA) during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application (complex sleep apnea, compsa). We reviewed the prevalence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mpsa in patients with a primary diagnosis of OSAS. Methods: Total 198 patients with OSAS who performed CPAP titration at the Asan Medical Center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from year 2006 to 2009. compsa was defined as presenting central sleep apnea 5 /h, during CPAP titration to eliminate upper airway obstruction. Demographic profiles and polysomnography (PSG)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compsa and NoncompSA. Results: The prevalence of compsa was 17 of 198 (8.6%) with male predominance (n=17). Among compsa, 11 patients showed persistent CSA during entire titration and 6 patients showed newly developed CSA above certain pressure level (mean 7.2 cmh 2O). At near optimized CPAP levels, obstructive sleep apnea index (OA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mpsa; 0.52±0.74 /h vs. NoncompSA; 0.32±0.80 /h) but the level of apnea hypopnea index (AHI), mixed apnea index (MAI), central apnea index (CAI), and hypopnea index (HI) were greater in compsa than Non-compSA (compsa: AHI; 15.23±9.85 /h, MAI; 0.97±1.83 /h, CAI; 8.22±7.96 /h, HI; 5.52±4.98 /h vs. Non-compSA: AHI; 2.20±2.25 /h, MAI; 0.08±0.27 /h, CAI; 0.48±0.89 /h, HI; 5.52±4.98 /h). At baseline PSG, the value of CAI and MAI was higher in compsa (CAI; 3.78±3.92 /h vs. 1.03±1.97 /h, MAI; 6.71±7.50 /h vs. 4.33±9.59 /h)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HI, OAI, HI, and demographic profil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In this study, early indicators of developing compsa in baseline PSG was CAI and MAI. J Korean Sleep Res Soc 2013;10:51-55 Key Words: Complex sleep apnea,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olysomnography, Prevalence, Predicting factors.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게서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지속기도양압 요법이다 이는 지속기도양압 적정 을 통하여 적절한 기도압력을 맞추어 주면 환기가 개선되고 무호흡 저호흡지수 가 낮아지면서 수면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의 환자에서는 지속기도양압 적정 중에 수면다원검사상에서 보이지 않았던 중추수면무 호흡 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복합수면무호흡 이라 한다 현재 를 일으키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고 그 특징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되지 않았으며 하나의 질환으로 인정하지 않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환자 중 가 나타날 경우 지속기도양압으로 적절한 산소 공급을 하여도 로 인하여 지수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치료의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가 얼마나 발생하고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 조사하는 것은 환자에서 지속기도양압 치료를 받을 때 예 Copyright 2013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51

The Prevalence and Predicting Factors of Complex Sleep Apnea 후를 예측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의 경우 를 진단 받은 환자들 가운데 약 에서 까지 다양한 빈도로 가 나타난 보고들이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로 진단 받은 환자에서 가 얼마나 발생하는지 관찰하고 그 특징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년 월부터 년 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이상으로 중등도 및 중증 로 진단 받고 추가적으로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진단은 국제수면질환분류기준 판 - 에 의거하여 정의하였다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는 첫 수면다원검사 후 개월 이내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폐질환이나 약물 정신질환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고 기준에 적합한 환자는 명이었으며 이 중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를 적절하게 시행하지 못한 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총 명의 환자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평균연령은 세 ± 였으며 남자는 명 여자는 명 이었다 는 환자에서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를 통한 상기도폐쇄 교정 때 나타나는 로 그 중추무호흡지수 가 시간당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수면관련척도로는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피츠버그수면질지수 와 주간과다졸음을 평가하기 위한 엡워스졸음척도 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나쁘거나 주간졸음이 많은 상태를 의미한다 호흡노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흉곽과 복부에 교류저항 체적 변동기록법 을 사용하였다 수면과 그와 연관된 사건은 미국수면의학회의 규정집 을 따랐다 수면단계는 수면다원검사를 전담하고 있는 임상수면기사가 초 에폭 단위로 판독하였다 무호흡 은 호흡량 진폭이 이상 감소를 나타내면서 초 이상 완전히 호흡이 없는 것으로 정의하였고 저호흡 은 호흡량 진폭이 이상 감소를 초 이상 지속되면서 산소포화도가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는 시간당 무호흡이나 저호흡 사건발생 횟수로 정의하였으며 무호흡 동안 지속적인 호흡노력의 여부에 따라 와 로 구분하였으며 혼합수면무호흡 은 무호흡 동안 처음에는 호흡노력이 없다가 일정시간 후 다시 나타난 경우로 정의하였다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는 전문적인 임상수면기사에 의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표준 수면다원검사로 시행하였다 지속기도양압에 관한 임상지침에 근거하여 가장 낮은 효과적인 압력이 수동방식으로 적정되었다 시작 압력은 였으며 기도압력은 최소 분 이상의 간격으로 최소 씩 증가되었다 지속기도양압은 개의 개의 저호흡 또는 최소 분 이상의 큰 코골이가 있으면 증가되었다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 때 최선의 압력 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호흡장애지수 미만이면서 산소포화도 최소 이상 분 이상의 렘수면을 포함하면서 각성을 동반하지 않을 때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전부 만족 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경우의 압력을 근접최선압력 으로 정하여 기록하였다 환자 중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 때 가 시간당 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 이를 로 정의하였다 수면다원검사는 정해진 표준에 따라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임상수면기사가 시행하였다 수면다원검사에는 표준뇌파 안전도 근전도 심전도 수정된 유도 산소포화도 그리고 코골이 측정을 위한 목 마이크 등을 포함하였다 근전도는 턱과 양측 전경골근 에서 기록하였다 호흡량 측정을 위해서는 입코열전대 와 코압력변환기 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프로그램 을 사용하였다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 때 가 있는 환자군과 가 없는 환자군 으로 나누어 수면다원검사 결과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 - 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군 간의 수면다원검사 특성의 차이 및 환자 개별 특성의 차이는 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같은 군 내의 연속형 변수 분석에서는 를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에서는 52

Ryu HU et al. 를 이용하였다 통계는 p값이 미만이면 유의한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compsa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에서 가 나타난 환자는 총 명 중 명 이었고 모두 남자였다 - 가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에 나이 성별 고혈압 유무 체질량지수 주간과다졸음 수면의 질 등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군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p< 그러나 는 군에서 로 군에서의 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에서 최선 또는 근접최선 기도양압을 유지하고 있을 때의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했을 때 환자군에서의 는 평균 군의 는 였다 는 군과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 그리고 는 군에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 수면다원검사에서 및 는 군과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 러나 p 와 p< 는 환자군에서 각각 로 환자군에 비해 의미 있 게 증가되었다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에서는 가 환자군에 서 평균 로 군에서의 에 비해 증 가되었다 또한 등이 군에서 Table 1. Comparison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ex sleep apnea Non-compSA (n=181) compsa (n=17) p value Males 160 (88.4%) 17 (100%) 0.14 Age 49.6±10.0 48.4±12.3 0.79 HTN, n (%) 77 (42.5) 6 (35.3) 0.49 BMI 27.0±3.9 27.6±4.0 0.43 ESS 11.03±5.50 12.53±4.62 0.21 PSQI 7.37±2.91 8.18±3.19 0.35 Statistics represents as the means±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HTN: hypertension, BMI: body mass index, ESS: Epworth Sleepiness Scale,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본 연구에서는 총 명의 가 이상되는 중등도 및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를 시행하여 가 이상 발생하는 환자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등도 및 중증 환자의 가 환자임을 밝혔다 외국에서의 유병률 보고를 보면 등과 등은 환자의 지속기도양압 적정시 에서 등은 에서 를 관찰하였다 등과 등은 각각 와 로 이전의 연구자보다 다소 낮은 유병률을 보고하였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유병률이 로 대부분의 서양의 보고보다는 다소 낮았으며 일본에서의 보다는 조금 높았다 등은 증후군에서 체질량지수 감소를 등은 증후군에서 체질량지수 증가를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와 체질량지수를 포함해서 성별 나이 고혈압 유무 등 간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다 또한 임상적인 측면에서도 주간과다졸림이나 수면의 질 등과 간의 의미 있는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고 이는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Table 2. Polysomnographic findings Diagnostic PSG CPAP titration Non-compSA compsa p value Non-compSA compsa p value AHI (/h) 44.52±20.94 47.76±20.53 0.51 7.90±7.46 19.78±10.32 <0.001 OAI (/h) 22.42±18.67 15.97±10.31 0.33 1.55±3.96 1.12±1.23 0.07 MAI (/h) 4.33±9.59 6.71±7.50 0.02 0.27±1.03 1.40±2.70 <0.001 CAI (/h) 1.03±1.97 3.78±3.92 <0.001 0.73±0.95 8.25±5.74 <0.001 HI (/h) 16.74±12.16 21.30±10.45 0.66 5.34±4.67 9.01±5.58 0.005 AHI: apnea-hypopnea index, OAI: obstructive apnea index, MAI: mixed apnea index, CAI: central apnea index, HI: hypopnea index, PSG: polysomnography, compsa: complex sleep apnea,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www.sleepnet.or.kr 53

The Prevalence and Predicting Factors of Complex Sleep Apnea Table 3. At or near optimized CPAP levels Non-compSA (near) optimized CPAP levels 진단 목적의 수면다원검사 결과로부터 지속기도양압 치료 때 를 예측할 수 있는 검사 지표로는 와 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군과 군 간 에 수면다원검사의 무호흡지수들을 비교했을 때 와 가 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이는 기존의 등의 연구와 등의 연구에서 - 환자에게서 가 높게 보고되는 것과 일치하였고 등의 연구에서 군의 와 가 의미있 게 증가된 결과와 동일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환자에서 진단적 수면다원검사 결과 및 가 많으면 지속기도양압 치료 때 가 발생하는 환자일 소 지가 높아진다 이는 와 를 동시에 지닌 환자가 지 속기도양압 치료로 상기도 폐쇄가 교정되면서 내재되어 있 던 가 나타난다는 기존의 가설을 뒷받침해 줄 수 있다 한편 진단적 수면다원검사에서 가 있는 환자에서 가 의미있게 증가된 경우도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 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밖에도 마약 과 같은 약물 남용의 경우 가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조사된 예가 없다 환자에게서 차적으로 고려를 해야 하는 치료는 지속기도양압 치료이다 이는 약물 치료나 수술적인 방법보다 효과적인 것이다 하지만 지속기 도양압 적정치료를 하면서 발생하는 가 적지 않은 비율로 보고가 되어 있고 이런 환자들의 경우 지속기도양압 적정치료가 적합한지 고민을 하게 된다 환자를 추 적관찰한 연구결과 환자의 는 한 달에서 두 달 동안 지속기도양압 치료를 하면 적정 지속기도양압에 서 나타나는 가 사라졌으며 소수의 환자에서만 약 에서만 지속적으로 가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경우 추적관찰의 비율이 절반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compsa (near) optimized CPAP levels p value AHI 2.20±2.25 15.23±9.85 <0.001 OAI 0.32±0.80 0.52±0.74 0.055 MAI 0.08±0.27 0.97±1.83 <0.001 CAI 0.48±0.89 8.22±7.96 <0.001 HI 1.32±1.89 5.52±4.98 <0.001 AHI: apnea-hypopnea index, OAI: obstructive apnea index, MAI: mixed apnea index, CAI: central apnea index, HI: hypopnea index, compsa: complex sleep apnea,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흥미로운 것은 기존에 가 없던 환자에서 개월 후 다시 시행한 지속기도양압 적정검사에서 새롭게 를 보인 비율이 정도 되었다는 점이다 가 일어나는 기전은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몇 가지로 가정해 볼 수 있다 가장 먼저 생각 할 수 있는 기전으로는 지속기도양얍 치료로 인하여 갑작스 럽게 상기도 폐쇄 또는 환기 순환 부조화 - 가 호전이 되면서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이 무호흡역치 이하로 떨어지면서 발 생하는 것이다 둘째 적정압력보다 높게 지속기도양압 치료 를 하는 경우 팽창반사 에 의하여 연수의 호흡 중추가 억제되면서 나타날 수 있다 셋 째 일반적으로 각성일 때보다 수면시에 호흡종기 이산화탄 소 분압 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는데 지속기도양압 치료시 불편감으로 인하여 반복적으 로 깨는 경우 각성시의 이산화탄소 역치로 재교정이 일어나 면서 가 보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와 를 동 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가 지속기도양압 치료로 상기도 폐쇄 가 교정되면서 내재되어 있던 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표 본의 수가 적은 것이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 환자들의 수면다 원검사를 몇 개월 이후 추적하여 의 호전 여부를 살 펴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추적검사를 대부분 시행하지 못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에서 지속기도양얍 적정검사 때 확인된 환자는 였다 그리고 이러한 환자들은 수면다원검사에서 의미있게 또는 가 높게 관찰되 어 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생각된다 앞으로 가 하나의 특정 질환인지 아니면 지속기도양압 치료 때 보이는 일시적인 현상인지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 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Epstein LJ, Kristo D, Strollo PJ Jr, et al.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management and long-term care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9;5:263-276. 2. Morgenthaler TI, Kagramanov V, Hanak V, Decker PA.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is it a unique clinical syndrome? Sleep 2006;29:1203-1209. 3. Malhotra A, Bertisch S, Wellman A. Complex sleep apnea: it isn't really a disease. J Clin Sleep Med 2008;4:406-408. 4. Javaheri S, Smith J, Chung E. The prevalence and natural history of complex sleep apnea. J Clin Sleep Med 2009;5:205-211. 5. Yaegashi H, Fujimoto K, Abe H, Orii K, Eda S, Kubo K.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atients with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a retrospective compariso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tern Med 2009;48:427-432. 6. Lee SA.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sleep disordered 54

Ryu HU et al. breathing. J Korean Sleep Res Soc 2007;4:41-47. 7.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The Report of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Sleep 1999;22:667-689. 8.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9.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10. Schulz H. Phasic or transient? Comment on the terminology of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J Clin Sleep Med 2007;3:752. 11. Kuzniar TJ, Pusalavidyasagar S, Gay PC, Morgenthaler TI. Natural course of complex sleep apnea--a retrospective study. Sleep Breath 2008;12:135-139. 12. Lehman S, Antic NA, Thompson C, Catcheside PG, Mercer J, McEvoy RD. Central sleep apnea on commencement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patients with a primary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J Clin Sleep Med 2007;3:462-466. 13. Pusalavidyasagar SS, Olson EJ, Gay PC, Morgenthaler TI. Treatment of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a retrospective comparative review. Sleep Med 2006;7:474-479. 14. Teichtahl H, Prodromidis A, Miller B, Cherry G, Kronborg I.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stable methadone programme patients: a pilot study. Addiction 2001;96:395-403. 15. Walker JM, Farney RJ, Rhondeau SM, et al. Chronic opioid use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entral sleep apnea and ataxic breathing. J Clin Sleep Med 2007;3:455-461. 16. Dernaika T, Tawk M, Nazir S, Younis W, Kinasewitz GT. The significance and outcome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related central sleep apnea during split-night sleep studies. Chest 2007;132:81-87. 17. Cassel W, Canisius S, Becker HF, et al. A prospective polysomnographic study on the evolution of complex sleep apnoea. Eur Respir J 2011;38:329-337. 18. Hoffman M, Schulman DA. The appearance of central sleep apnea afte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 2012;142:517-522. 19. Krimsky WR, Leiter JC. Physiology of breathing and respiratory control during sleep.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5;26:5-12. www.sleepnet.or.kr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