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회지제 18 권제 6 호 Volume 18, Number 6, December, 2007 원 저 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서의항독소사용의효율성 충남대학교의과대학응급의학교실, 대전응급의료정보센터 1, 천안의료원 2, 서산의료원 3 한상균 김인수 유 @ 승 이진웅 김승환 유인술 유연호 1 박정수 2 민문기 3 The Effectiveness of Antivenin in Treating Snake Bites Resulting in Minimal Clinical Symptoms Sang Kyoon Han, M.D., In Soo Kim M.D., Seung Ryu, M.D., Jin Woong Lee, M.D., Seung Whan Kim, M.D., In Sool Yoo, M.D., Yeon Ho You, M.D., 1 Jeong Su Park, M.D., 2 Moon Gi Min, MD. 3 Purpose: Serious complications from snake bite envenomization are relatively rare in Korea. According to standrad treatment guidelines for local and systemic injuries, antivenin is not recommended for snake bite cases when victims show minimal clinical symptoms. However, there are no published stidi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antivenin treatment in such cases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actual documentation to support a standard for treatment,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ntivenin use by comparing clinical outcomes in snake bite patients exhibiting minimal clinical symptoms (traditional snake bite severity grades 0 and I).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40 snake bite cases of patients with minimal clinical symptom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eonan Medical Center, and Chungnam Seosan Medical Center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6. We categorized the patients into antivenin (group 1) and non-antivenin (group 2) treatment groups. We compared clinical outcom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Results: Neither demographic factors nor clinical outcomes 책임저자 : 김승환대전광역시중구대사동 640번지충남대학교의과대학응급의학교실 Tel: 042) 280-8006, Fax: 042) 280-8082 E-mail: emfire@cnuh.co.kr 접수일 : 2007년 7월 27일, 1차교정일 : 2007년 8월 30일게재승인일 : 2007년 10월 23일 577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In case of snake bite victims in Korea, antivenin treatment should not generally recommended as treatment for victims exhibiting minimlal clinical symptoms. Key Words: Snake bites, Antivenins, Treatment outcom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in Daejeon 1, Cheonan Medical Center 2, Chungnam Seosan Medical Center 3 서 전세계적으로분포하는독사의종류는약 200여종으로알려져있으며이중우리나라에서식하는독사는살모사, 까치살모사, 쇠살모사, 유혈목이등 4종으로보고되고있다. 우리나라에서식하는독사는그독성이강하지않고독사교상환자에서전신적증상이발생하는경우는드물며사망률도낮은것으로알려져있다 1). 독사교상환자에서나타날수있는증상으로는국소동통, 종창같은경미한증상부터신경학적증상, 혈액학적증상, 장기손상같은전신증상까지다양하며사망할수도있다 2). 이런교상환자의치료에이용되는뱀독에대한항독소는환자의중증도에따라 grade II 이상에서투여하는것을권고하고있다 3). 그러나이것은우리나라에서발생한독사교상환자에대한치료방침이아니며아직우리나라에서는독사에의한교상치료에대한연구가적어몇몇병원에서는 grade 0, I에서도뱀독에대한항독소를투여하고있는경우가있다. 또한우리나라에서발생한독사교상환자에대한한연구에서는 grade 0에서는항독소를투여하지않았으나, grade I 에서는 0.85viral을투여하였으며, 독사에의한교상이의심될경우 6~8시간이내로조기에뱀독에대한항독소를사용하면합병증없이잘회복될수있다고보고하고있다 1). 그러나이연구는경증과중증을모두포함한독사교상환자에대한연구였으며독사에의한교상후경한국소증상을나타내는환자에서뱀독에대한항독소사용효과에관 론
578 / 대한응급의학회지 : 제 18 권제 6 호 2007 한연구는아직없는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우리나라에서발생하는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서뱀독에대한항독소의효과를연구하고이런환자에서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가필요한지알아보고자한다. 대상과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충남대학교병원응급의료센터, 서산의료원응급의료센터, 천안의료원응급의료센터에독사에의한교상으로내원한환자중첫 24 시간동안환자의중증도가 grade 0, I으로전신적증상이없으며독아창이 2개이상관찰되고, 독사의외견에대한환자나보호자의진술에신빙성이있는환자들만을대상으로본연구를실시하였다. 또한치료중타병원으로전원된환자는이번연구에서제외하였다. 독사교상환자의정의는독사의외견에대한환자나보호자의진술과교상부위에독아창이있는경우로정의하였고 4), 횡문근융해증은 creatine kinase이정상의 5배이상증가한경우로정의하였다. 혈액응고이상소견은혈소판이 10 5 /μl 이하로감소하거나프로트롬빈시간 (prothrombin time) 이나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tin time), 섬유소원 (fibrinogen), 섬유소분해물 (fibrin degradation products), D-dimer가정상범위를벋어난경우로정의하였다. 독사에의한교상의중증도는 traditional snakebite severity grading scale을사용하여분류하였다 5). 또한전신증상은발열, 오심, 구토, 호흡곤란, 복통, 급성호흡부전, 의식장애, 혈액응고장애, 파종성혈관내응고, 객혈, 전신종창, 혼수, 장기손상, 쇼크등이있는경우로정의하였다 6). 환자에대한변수로나이, 성별, 키, 몸무게, 동반질환, 교상시기, 교상부위, 교상후병원도착까지의소요시간, 창상소독유무, 지혈대사용유무, 창상절개및흡인유무, 한랭요법유무, 항생제치료유무, 진통제사용유무, 항히스타민사용유무, 파상풍항독소사용유무, 파상풍백신사용유무, 스테로이드사용유무, 뱀독에대한항독소사용유무와사용방법및용량, 항독소합병증발생유무, 타병원에서이송유무, 봉와직염과수포형성및피부괴사유무, 종창및동통유무, 출혈반발생유무, 교상 24시간이후전신증상발생유무, 사망유무, 응급센터내원부터퇴원까지걸린재원기간을조사하였다. 또한내원후혈액검사로는혈소판수, 프로트롬빈시간 (prothrombin time),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tin time), 섬유소원 (fibrinogen), 섬유소분해물 (fibrin degradation products), D-dimer, creatine kinase의이상유무를조사하였다 7). 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유무에따라뱀독에대한항독 소를투여한군을그룹 1, 뱀독에대한항독소를투여하지않은군을그룹 2로나누웠으며항독소투여방식에따라직접항독소를투여한군 ( 그룹 A) 과수액에혼합한후투여한군 ( 그룹 B) 으로나누어연구를시행하였다. 또한독사교상후24시간내의종창및동통, 출혈반발생에대하여 local effect scoring system을사용하여각군의점수를비교하였다 8). 그룹 1과그룹 2, 그룹 A와 B의통계분석은연속변수의경우 T test와 Fisher exact t-test를이용하여비교하였고, 명목변수에대해선 Chi-square test 를이용하여비교하였다. 자료의통계처리는 SPSS 13.0을이용하였으며 p-value는 0.05미만일때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정하였다. 결 1. 독사교상환자의특징 본연구에서독사에의한교상으로세개병원에내원한환자중첫24시간동안환자의중증도가 grade 0, I으로전신적증상이없으며독아창이 2개이상관찰되고, 독사의외견에대한환자나보호자의진술에신빙성이있는환자들중타병원으로전원하지않은환자수는총 140명이었다. 독사교상의시기별분포는 7월에 22.1%, 8월에 25.0%, 9월 20.7% 로주로 7~9월사이에발생하는것으로나타났고독사교상의부위별분포는손이 67.9%, 손목이 2.9%, 발이 17.9%, 발목이 10.7%, 다리가 0.7% 로손부위에교상이가장많은것으로나타났다. 2. 뱀독에대한항독소를투여한군과항독소를투여하지않은군사이에 local effect scoring system, 재원기간및혈액검사상이상소견에대한비교 대상환자의평균나이는 52.83±18.94세로그룹 1에서 53.63±18.53세였고그룹 2에서는 47.39±21.24세로두그룹간의통계학적인차이는없었으며 (p=0.19), 그룹 1과그룹 2사이에성별차이도없었다 (p=0.73). 동반질환이있는경우도전체 140명환자중 27명으로그룹 1에서는 25명이었으며그룹 2에서는 2명으로나타났으나두군간의통계학적인차이는없었다 (p=0.53). 타병원에서연구에참여한병원으로전원된환자수도그룹 1에서 32명, 그룹 2에서 6명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는없었고 (p=0.35) 독사교상환자발생의시기별분포는두군간에통계학적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p=0.52). 뱀독에대한항독소를사용한그룹 1에속하는환자는 122명이었으며사용하지않은그룹 2에해당하는환자는 18명이었다. 뱀독에대한항독소는연구에참여한세병원 과
한상균외 : 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서의항독소사용의효율성 / 579 모두 Salmusa antivenom 6000 IU/vial( 동신제약, 한국 ) 을사용하였으며모두교상부위가아닌곳으로정맥내투여되었다. 뱀독에대한항독소는평균 0.88±0.35 vial을투여하였고 grade 0에서는 0.83±0.39 vial을, grade I에서는 0.88±0.35 vial을투여한것으로나타났다. 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방법은정맥내직접주사한경우 ( 그룹 A) 가 101명 (83.0%), 500 ml 생리적식염수에혼합하여정맥내주사를한경우 ( 그룹 B) 가 21명 (17.0%) 이었으며각각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용량은그룹 A의경우 1.00 ±0.00 vial, 그룹 B의경우 1.05±0.22 vial로투여방식에따른용량차이는없었다 (p=0.33). 항독소에대한합병증으로는두드러기와혈청병이각각 1명씩발생하였고, 두드러기는그룹A에서, 혈청병은그룹B에서발생하였다. 독사에의한교상후병원에도착할때까지걸린시간은평균 2.64±4.27시간으로 8시간이내에내원한경우가 104명 (93.7%) 으로나타났으며그룹 1의경우 2.30± 3.87시간, 그룹 2의경우 4.52±5.82시간이걸렸으나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는없었다 (p=0.15). 두그룹사이에독사교상환자의중증도는그룹 1의경우 grade 0는 10명이었고, grade I은 112명이었고그룹 2의경우 grade 0는 2명이었고, grade I은 16명으로두군사이에독사에의한교상의중증도는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가 없는것으로나타났다 (p=0.48). 현장에서소독을시행한경우는두군모두에서없었으며, 그룹 1에서지혈대를사용한경우는 2명, 그룹 2에서는없었다. 그룹 1에서창상절개를시행한경우는 17명, 그룹 2에서는 2명, 그룹 1에서교상부위에대한흡인을시행한경우는 7명, 그룹 2에서는 1명으로두군간의창상절개, 교상부위에대한흡인에대한통계학적차이는없었다 (p=0.54, 0.73). 140명의독사교상환자중한랭요법을시행한경우는없었으며, 항생제를사용한경우는그룹 1 에서 110명, 그룹 2에서는 15명으로나타났으나항생제사용에대하여두군사이에통계학적인차이점은없었으며 (p=0.41), 진통제를사용한경우도그룹 1에서 111명이었고그룹 2에서 16명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으로차이가없었다 (p=0.67). 그룹 1에서파상풍항독소를사용한경우는 22명이었고그룹 2에서는 2명으로두군에서통계학적차이는보이지않았으며 (p=0.74), 파상풍백신을사용한경우는그룹 1에서 86명, 그룹 2에서 12명으로두군의통계학적인차이점은없었다 (p=0.74). 스테로이드사용또한그룹 1의경우 25명 (96.2%), 그룹 2의경우 1명으로두군의통계학적인차이점은없었다 (p=0.20) (Table 1). 종창이발생한경우는그룹 1에서 119명, 그룹 2에서 Table 1. Comparison of demographic data between group 1 and 2 group 1 (n=122) group 2 (n=18) p-value Sex male 073 10 female 049 08 0.73 Age(year) 53.63±18.53 47.39±21.24 0.19 Height(cm) 161.86±10.580 158.42±9.8000 0.33 Body weight(kg) 55.72±14.79 55.50±10.11 0.96 Time from envenomation to treatment(hr) 2.30±3.87 4.52±5.82 0.15 Grade 0 010 02 0.48 I 112 16 Cormobid disease 025 02 0.53 *Pul. Tbc 001 00 DM 004 00 HTN 018 02 DM & HTN 002 00 Tourniquet 002 00 Incision 017 02 0.54 Suction 007 01 0.73 Antibiotics 110 15 0.41 Analgesics 111 16 0.67 Antihistamine 021 02 0.74 Antitetanus immunoglobulin 022 02 0.74 Tetanus vaccination 086 12 0.74 Steroid 025 01 0.20 * Pul. Tbc:Pulmonary Tuberculosis DM: Diabetes Mellitus HTN: Hypertension
580 / 대한응급의학회지 : 제 18 권제 6 호 2007 18명이었고, 동통이발생한경우는그룹 1에서 122명, 그룹 2에서 17명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으로차이는없는것으로나타났으며 (p=1.00, 0.13) 두군에서 local effect scoring system도그룹 1에서 2.57±0.67, 그룹 2에서 2.50±0.62이었고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는없었다 (p=0.66). 두군에서재원기간은그룹 1의경우 3.56±3.97일이었고그룹 2의경우 2.39±1.45일로두군사이에재원기간은통계학적차이가없었다 (p=0.22). 혈액응고이상소견은모두독사에교상된뒤 24시간이후에발생하였으며환자수는그룹 1에서는 3명, 그룹 2에서는 0명이있었다. 혈액응고이상소견으로는혈소판감소는그룹 1에서 2명이었고, 프로트롬빈시간 (prothrombin time),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tin time) 이증가된경우는그룹 1에서 2명, 섬유소원 (fibrinogen) 감소및섬유소분해물 (fibrin degradation products), D-dimer 증가는그룹 1에서 2 명이었다. 횡문근융해증이발생한경우는그룹 1에서는 6 명이었고, 그룹 2에서는 1명이었다 (p=1.00). 독사교상의합병증으로봉와직염은모든환자에서발생하지않았다. 수포형성은 6명, 피부괴사 12명이발생하였고, 모두그룹 1에서발생하였다 (Table 2). 수포형성과피부괴사는 24 시간내에발생한경우가 7명, 24시간이후발생한경우가 8명이었다. 3. 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방법에따른 local effect scoring system, 재원기간및혈액검사상이상소견에대한비교 동통은그룹 A에서 102명, 그룹 B에서 20명이발생하였다. 종창은그룹 A에서 99명, 그룹 B에서는 22명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점은없었다 (p=0.44). 출혈반은그룹 A에서 3명이발생하였고, 그룹 B에서는발생하지않았으며 24시간이후전신증상을보인환자수는그룹 A 에서 3명, 그룹 B에서는발생하지않았다. Local effect scoring system은그룹 A는 2.59±0.70, 그룹 B는 2.48 ±0.51이었으나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는없었다 (p=0.46). 수포형성은그룹 A에서 4명, 그룹 B에서 2명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점은없었으며 (p=0.26), 피부괴사는그룹 A에서 10명, 그룹 B에서 2명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점은없었다 (p=1.00). 혈액응고이상소견은그룹 A에서 3명이발생하였으나그룹 B에서는발생하지않았고횡문근융해증도그룹 A에서 6명이발생 Table 2.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group 1 and 2 group 1 (n=122) group 2 (n=18) p-value Swelling 119 18 1.00 Pain 122 17 0.13 Petechiae 003 00 - Skin necrosis 012 00 - Vesicle formation 006 00 - Coagulopathy 003 00 - Rhabdomyolysis 006 01 1.00 Local effect scoring system 2.57±0.67 2.50±0.62 0.66 Systematic symptoms after 24hrs 003 00 - Length of stay (day) 3.56±3.97 2.39±1.45 0.22 Table 3.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group A and B group A (n=101) group B (n=21) p-value Swelling 099 20 0.47 Pain 102 20 - Petechiae 003 00 - Skin necrosis 010 02 1.00 Vesicle formation 004 02 0.26 Coagulopathy 003 00 - Rhabdomyolysis 006 00 - Local effect scoring system 2.59±0.70 2.48±0.51 0.46 Systematic symptoms after 24hrs 003 00 - Length of stay (day) 3.85±4.25 2.14±1.53 0.07
한상균외 : 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서의항독소사용의효율성 / 581 했으나그룹 B에서는발생하지않았다. 환자의재원기간은그룹 A의경우 3.56±3.97일이었고그룹 B의경우 2.39± 1.45일로두군사이에통계학적차이가없었다 (p=0.07) (Table 3). 고찰뱀의독조직에는세가지종류를가지고있다. 뱀과중에독을가지고있는종류로유혈목이가있으며, 위턱안쪽에 2~3개의독이빨을가지고있다. 제 2의독조직은코브라과의뱀들이갖고있는것으로이들뱀에는위턱의앞쪽에 2개의짧은독이빨이있다. 제 3의독조직은살모사과의뱀들이갖고있는독으로이들뱀은위턱에앞쪽에 2개의긴관으로된독이빨을갖고있다. 따라서독이있는뱀들은 2~3개의독이빨을지니고있다. 대부분독사는삼각형의머리를지니고있으며우리나라의독사의경우그종류가많지않기때문에육안적으로독사에대한식별이비교적외국에비해가능하지만뱀의머리모양이삼각형이라고해도독이없는뱀들이있으며특히우리나라의독이없는무자치는화가나면머리를삼각형으로만들기때문에육안적으로독사를구분하는방법은힘들수도있다 4). 독사에대한교상에대한한연구에서는남녀비가 1.8:1 로남자가많이발생한다고하였으며연령은 50대에서많이발생한다고하였고시기별분포는 7월과 8월에가장많이발생한다고보고하고있다 9). 본연구에서는독사의종류를기록하지는않았으나독사의모양에대한환자나보호자의진술을토대로기록한의무기록을통해독사에의한교상을추정하였고독아창이 2개이상인환자를독사에의한교상으로정의하였다. 또한독사에의한교상은 50대에서가장많이발생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남녀비율은 1.5:1, 교상시기는 7월에서 9월사이에많이발생하는것으로나타났다. 독사는일회교상으로저장된독의 1/2가량인 1~2 ml의독을사출하며, 이후중독증상이나타날수있다 9). 중독증상은혈액에대한용혈이나신경계에대한작용, 세포에대한기능억제작용에의해나타날수있는데혈액에대한용혈로인해반상출혈, 수포형성, 피하출혈, 자반, 혈액응고이상등의증상이일어날수있고신경계에대한작용으로호흡장애, 심실세동, 심장정지, 안검하수, 복통, 시야혼탁, 언어장애, 경련, 경부강직등의증상이발생할수있다. 또한세포에대한기능억제작용으로종창, AST와 ALT 증가, 단백뇨, 혈당상승등이나타날수있으며 10) 독사교상의합병증으로는수포형성, 피부괴사, 봉와직염, 동통, 종창, 출혈반, 전신증상의발생등이있을수있다 11). 본연구에서 24시간이후전신증상이발생한경우는총 3 명으로모두혈액응고이상소견을보였으나신선동결혈 장및혈소판수혈등으로호전되었으며별다른합병증없이모두퇴원하였다. 봉와직염은모든환자에서발생하지않았으며수포형성은 6명, 피부괴사 12명, 동통 139명, 종창 137명, 출혈반은 3명에서발생하였다. 수포형성및피부괴사, 출혈반등은모두그룹 1에서발생하였고 24시간내에발생한경우가 7명, 24시간이후발생한경우가 8 명이었다. 독사에의한교상에대한처치로독의흡수를지연시켜주는방법으로지혈대사용이있을수있으나오히려뱀독의흡수를감소시키지못할뿐만아니라조직의괴사를일으키며허혈손상및횡문근융해증을발생시킬수있다 6,12). 창상절개및흡인은교상후 15분이내실시할경우사독의 50% 를제거할수있다고하며 30분후에는거의효과가없다고하며 13) 다른한연구에서도창상절개및흡인은독사에의한교상에대한치료효과가있다고보고하였으나 14), Bush 15) 등은창상절개및흡인은독사에의한교상에대한치료에효과가없는것으로보고하고있다. 그밖에뱀에의한교상환자에대한치료로는한랭요법, 진통제투여, 항생제투여, 파상풍항독소투여, 파상풍백신투여, 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등이있으며항히스타민과스테로이드는항독소사용시발생할수있는아나필락시스부작용을치료하기위해투여할수있다 6). 한동물실험에서한랭요법은장기간냉각상태를유지할경우조직괴사를일으켜사망률과합병증발생률을오히려더증가시킨다고보고하고있다 16). 다른한연구에서는독사교상환자에서이차적인감염을예방하기위해항생제투여를고려해야한다고하였지만 17), 최근연구에서는독사교상이후감염빈도는 5% 미만이며따라서예방적항생제투여는더이상고려되지않는다고보고하고있다 18). 본연구에서는지혈대를사용한경우가그룹1에서 2명있었으나이환자에서는횡문근융해증이발생하지않았고창상절개를시행한경우는 19명, 교상부위에대한흡인을시행한경우는 8명이었으며독사교상환자중한랭요법을시행한경우는없었으며항생제를사용한경우는 125명, 진통제를사용한경우도 127명, 파상풍항독소를사용한경우는 24명, 파상풍백신을사용한경우는 98명, 스테로이드사용한경우는 26명으로아직독사교상환자의치료로창상절개, 교상부위에대한흡인및항생제사용이많이사용되는것으로나타나독사교상환자치료에대한치침마련과이에대한교육이더욱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독사에의한교상환자의중증도를분류하는방법으로 Traditional snakebite severity grading scale이널리사용되고있는데이분류방법은독사에의한교상후국소및전신증상에따라 grade 0에서 grade IV까지 5단계로분류하고이에대한치료로써 grade II 이상부터는뱀독에대한항독소를투여하는것을권고하고있다 3). 뱀독에대한항독소는히스타민과다른싸이토카인등을분비시키는
582 / 대한응급의학회지 : 제 18 권제 6 호 2007 매개체인포스포리파제A 2s(phospholipaseA 2s) 와혈관벽을파괴시키는출혈소를중화시킴으로써사지의종창과통증을감소시키고조직의괴사를방지하며 19), 독사교상으로발생한혈소판감소증에도효과적이라고되어있다 7). 하지만뱀독에대한항독소는드물게혈청병을유발할수있고아나필락시스성쇼크도발생할수있으므로피부반응검사를한후투여해야하지만피부반응이정상이더라도아나필락시스나혈청병, 아나필락시스성쇼크가발생할수있으므로매우주의해야하며이런경우수액요법과약물요법이필요하다 20-22). 항독소의투여방법은대부분의연구에서뚜렷하게기준이나와있지는않으나, 한문헌에서는 100~250 ml의 crystalloid 수액에 1 vial을혼합하여정맥내로투여할것을권고하고있다. 또한항독소는교상부위로투여해서는안되며, 정맥내로천천히투여하되항독소에의한아나필락시스같은합병증이없는한투여속도를증가시킬수있다 7). 본연구에서는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대한항독소투여는 local effect scoring system, 재원기간감소및혈액응고이상예방에대해효과가없는것으로나타났으며뱀독에대한항독소를정맥내직접주사하거나생리적식염수에혼합하여정맥내주사해도 local effect scoring system, 재원기간감소에는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으며오히려뱀독에대한항독소를투여한환자중 2명에서항독소의합병증인두드러기와혈청병이발생하였고항히스타민과수액요법으로호전되었다. 이번연구의제한점으로는첫째, 후향적연구로진행되었다는점이다. 하지만향후전향적연구를통해경한독사교상환자에있어서항독소필요성에대한정확한분석을할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둘째로는항독소를사용한군이사용하지않은군보다상대적으로많았다는점이다. 하지만이후진행할전향적연구에서무작위추출방법을통해각그룹별환자분포를균일하게할수있으리라생각된다. 셋째, 각병원에서의환자기록방법에차이가있어자료가누락된경우가있었다. 하지만이역시전향적연구에서프로토콜등을이용하여보다정확한자료를얻을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넷째, 독사교상의증상비교로써 local effect scoring system을사용하였으나초기독사교상의증상과항독소를사용한군과항독소를사용하지않은군간의증상비교를정확히할수없었다는점이다. 이역시전향적인연구를통해두그룹간의증상비교를정확히할수있으리라생각된다. 다섯째, 횡문근융해증의발생시점에대한기록이없는경우가많아횡문근융해증이독사교상에의해발생하였는지뱀독에대한항독소에의해발생하였는지알수가없었다. 하지만이역시전향적인연구에서 creatine kinase를일정한시간에측정하고횡문근융해증과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에의해발생하였는지알수있으리라생각된다. 결 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서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는 local effect scoring system, 재원기간감소및혈액응고이상예방에대해효과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오히려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로인해두드러기나혈청병을유발할수있으므로우리나라에서발생한독사교상환자중경한국소증상을보이는환자에서는뱀독에대한항독소투여는불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론 참고문헌 01. Jang IS, Lee JA, Seung YK, Hyun SC, Park JS, Kim GT, et al. Clinical features in snake bite. J Korean Soc Emerg Med 1996;7:580-9. 02. Russell FE. Snake venom poisoning in the United States. Annu Rev Med 1980;31:247-59. 03. John AM, Robert SH, Ron MW, James GA.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6th ed. Philadelphia: Mosby Elsevier;2006.p.900-1. 04. Paik NK, Sim JH. Snakes. Jisungsa;1999.p.62-70. 05. Dart RC, Hurlbut KM, Gracia R, Boren J. Validation of a severity score for the assessment of crotalid snakebite. Ann Emerg Med 1996;27:321-6. 06. Tintinalli JE, Kelen GD, Stapczynski JS.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6th ed. New York: McGraw-Hill;2004.p.1200-2. 07. Peterson ME. Snake bite: pit vipers. Clin Tech Small Anim Pract 2006;21:174-82. 08. Jun DH, Lee DP, Choi WI. Initial assessment of the snakebites with local effects.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523-30. 09. Cho NS, Park J. A clinical analysis of snake bite injury. J Korean Soc Emerg Med 1996;7:405-14. 10. Nah KY. Clinical analysis on venomous snake bites in Korea. J Korean Surg Soc 1975;17:199-208. 11. Paik HJ, Son JR. The clinical character of Korean poisonous snake bite. J Korean Surg Soc 1996;51:119-27. 12. Trevett AJ, Nwokolo N, Watters DA, Lagani W, Vince JD. Tourniquet injury in a Papuan snakebite victim. Trop Geogr Med 1993;45:305-7. 13. Snyder CC, Pickins JE, Knoeles RP, Emerson JL, Hines WA. A definitive study of snake bite. J Fla Med Assoc 1968;30:386-92. 14. Kim OY, Kim WP. A clinical study of snake bite. J Korean Surg Soc 1986;30:386-92. 15. Bush SP, Hegewald KG, Green SM, Cardwell MD, Hayes WK. Effects of a negative pressure venom extraction
한상균외 : 경한국소증상을호소하는독사교상환자에서의항독소사용의효율성 / 583 device (Extractor) on local tissue injury after artificial rattlesnake envenomation in a porcine model. Wilderness Environ Med 2000;11:180-8. 16. Parrish HM, Khan MS. Bites by coral snakes: report of 11 representive cases. Am J Med Sci 1967;5:561-8. 17. Lim CY, Lee JH, Moon TI, Chu YS, Ko TI, Sohn SW, et al. A case of severe snake bites of the Genus Agkistrodon for pediatric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128-32. 18. Jurkovich GJ, Luterman A, McCullar K, Ramenofsky ML, Curreri PW. Complications of Crotalidae antivenin therapy. J Trauma 1988;28:1032-7. 19. Roinuckarin P, Chanthawibun W, Noiphrom J, Pakmanee N, Intragumtomchai T.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antivenom for local effects of green pit viper bites. Trans R Soc Trop Med Hyg 2006; 100:879-84. 20. Walker S, Sheikh A. Managing anaphylaxis: effective emergency and long-term care are necessary. Clin Exp Allergy 2003;33:1015-8. 21. Brown SG, Heddle RJ. Prevention of anaphylaxis with ant venom immonotherapy.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3;3:511-6. 22. Kemp SF, Lockey RF. Anaphylaxis: a review of causes and mechanisms. J Allergy Clin Immunol 2002;110:3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