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1):20-24 Print ISSN Online ISSN w

Similar documents
A 617

hwp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untitled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ORIGINAL ARTICLE J Korean Sleep Res Soc 2013;10:51-55 ISSN X Prevalence and Predicting Factors of Complex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Obstruc

DBPIA-NURIMEDIA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Lumbar spine


Jkafm093.hwp

139~144 ¿À°ø¾àħ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untitled

Contents 01 PART. [ 질문 1 ] 수면무호흡증은 어떤 병인가요? 6 [ 질문 2 ]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7 [ 질문 3 ] 수면무호흡증은 어떨 때 의심할 수 있나요? 8 [ 질문 4 ] 수면무호흡증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9 [ 질문 5 ]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16(1)-3(국문)(p.40-45).fm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7.ƯÁýb71ÎÀ¯È« š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30372DC0CCC8A3BFF828C6F3BCE2BCBA20BCF6B8E9B9ABC8A3C8EDC1F520C8AFC0DAC0C7292E687770>

<The natural sleep cycle of a healthy adult: Life Enhancement Magazine September 1999> (2) 수면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연령 수면단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연령이다. 신생아

<30372DB9DAB1E2C7FC28C6F3BCE2BCBA20BCF6B8E920B9ABC8A3C8EDC1F520C8AFC0DABFA1BCAD29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에서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의효과 으로분류하였다 대상 본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수도권지역 I 대학병원이비인후과에서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을시행한일련의환자30 명을대상으로하였다. 이중수술전야간수면다원검사를시행하지않은 7 명은제외하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untitle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2):61-71 보험회사의 합리적 선택은 무엇이게 되는가 그리고 그 합리 성을 넘어설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보험을 유지하는 또 다른 요소는 사회적 연대 - 이다 사회적 연대는 합리성과 대척

untitled

수면무호흡합본

레이아웃 1

<30325FBCF6B8E9C3B4B5B5B8A620C0CCBFEBC7D120BFDCB7A120B5CEC5EB20C8AFC0DAC0C720BCF6B8E920BEE7BBF320BFACB1B82E687770>

정상인수면단계와상기도변화 492 Fig. 1. The picture of EBT scanning on a patient under EEG monitoring. - - Korean J Otolaryngol 2003;46:491-5

untitled

001-학회지소개(영)

???? 1

歯1.PDF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untitled


서론 34 2

<30372DC6F3BCE2BCBA20BCF6B8E920B9ABC8A3C8EDBFA120B4EBC7D120BEE7BED020C0FBC1A4C0C720C1F6C4A72E687770>

지원연구분야 ( 코드 ) LC0202 과제번호 창의과제프로그램공개가능여부과제성격 ( 기초, 응용, 개발 ) 응용실용화대상여부실용화공개 ( 공개, 비공개 ) ( 국문 ) 연구과제명 과제책임자 세부과제 ( 영문 ) 구분 소속위암연구과직위책임연구원

<3034C0D3BBF3C3E1B0E8C7D0BCFABCBCB9CCB3AA2E687770>

The Window of Multiple Sclerosis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untitled

012임수진

황지웅

72 순천향의과학 : 제14권 2호 2008 Fig.1. Key components of the rehabilit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the rheumatic diseases. The ICF provides a good frame


DBPIA-NURIMEDIA

약수터2호최종2-웹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DOI: /jkaoms 폐쇄성수면무호흡환자에서확대구개수구개피판을이용한치험례 김지연 김성민 명훈 황순정 서병무 이종호 정필훈 김명진 최진영서울대학교치과대학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J Korean Assoc Oral Maxil

김범수

( )Jkstro011.hwp

<C7A5C1F620BEE7BDC4>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노인에서체위에따른수면무호흡증의인지비교 HC Kim, et al. 이하 가 비앙와위 수면시보다 배 이상인 경우를 로 정의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를 라고 한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중에서 가 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 특징으로 환자보다 주간졸림 증상이 덜하고 좀 더

<30332EBFF8C0FA2DC1A4B4EBBCF D E687770>

Rheu-suppl hwp

16(2)-7(p ).fm

<5BB0F8B0F8BFECC6ED5D20C3D6C1BEBAB8B0EDBCAD5F BFCF29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jaeryomading review.pdf

Can032.hwp

Influences of the Revised AASM Criteria for Scoring Apnea and Hypopnea 국수면의학회에서발표한무호흡및저호흡판독에대한권장기준으로 AHI가시간당 5 이상인성인환자를연구대상으로하였다. AHI의중증도에따라대상환자를 AHI가

<BAF1B8B8C3DFB0E8C7D0BCFAB9D7BFACBCF62D E E687770>

03-ÀÌÁ¦Çö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00약제부봄호c03逞풚

untitled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심장2.PDF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½Éº´È¿ Ãâ·Â

DBPIA-NURIMEDIA

자살률 감소와 미디어 보도 MH Ahn, et al. 리나라에서 질식에 의한 자살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 것은 목맴을 이용한 자살 보도에 대중들이 반복적으로 노출 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등 의 연구에서는 모방자살의 양적 지수 모형을 이용해 자살에 대한

Polysomnography in obstructive sleep apnea 의학강좌 적인검사방법으로알려져있는검사자관리하에검사실에서시행하는표준수면다원검사 (technician-attended, inlaboratory, overnight standard polysomno

<30372EC0CCC0AFC1F82E687770>

<30322DC0B1BDC2C7F65FC6F3BCE2BCBA2E687770>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14.531~539(08-037).fm

<30322EC6AFC1FD30342DC1A4B9AEC7F62E687770>


04_이근원_21~27.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Feb.; 29(2), IS

<30315FC7D1B1B9C0CE20C6F3BCE2BCBA20BCF6B8E9B9ABC8A3C8EDC1F520C8AFC0DAB0A12E687770>

Transcription:

https://doi.org/10.4306/jknpa.2020.59.1.20 SPECI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1):20-24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수면호흡장애진단과치료의최신지견 -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의과대학정신건강의학교실 이유진 Updat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Focusing on Obstructive Sleep Apnea Yu Jin Lee, MD, PhD Departm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Received January 20, 2020 Revised January 31, 2020 Accepted February 5, 2020 Address for correspondence Yu Jin Lee, MD, PhD Departm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Korea Tel +82-2-2072-2456 Fax +82-2-744-7241 E-mail ewpsyche@snu.ac.kr This paper reviews the updated findings, including the current clinical guidelines and recent research trends, on th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 common sleep disorder associated with medical and mental disorders. The pathophysiology of OSA is believed to be related not only to the anatomical causes of the upper airway but also to the comparative anatomical mechanisms, such as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arousal threshold, and loop gain. When OSA is suspected of being a clinical symptom or sign, a sleep study should be used for a diagnosis of OSA. Traditionally,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as been the most effective first-line treatment for OSA. On the other hand, there could be a limitation of long-term compliance and new therap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diverse mechanisms of OSA have been proposed or studied. In the future, the treatment of enhancing the effect through a mor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should be applied for OS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1):20-24 KEY WORDS Obstructive sleep apnea Diagnosis Treatment. 서론 수면호흡장애 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이하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수면 관련 저환기증후군 을 통칭한다 는 년 수면 중 반복적으로 무호흡을 보이는 환자를 기술하면서 최초로 보고된 진단명이다 이 중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고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과 연관되는 를 본 논문에서는 주로 다루고자 한다 는 수면 중 반복적인 기도의 제한으로 반복되는 무호흡 혹은 저호흡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저산소혈증 수면분절화 각성 교감신경 항진 등이 수면 중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일반 인구에서 유병률은 한국 남성에서 여성에서 정도로 흔하며 주간에 피로 졸림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등 일상생활의 장애를 일으킨다 환자에서의 수면 중 무호흡 및 저호흡은 저산소혈증 고이산화탄소혈증과 잦은 각성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환자는 야간 수면의 질 저하와 과도한 주간 졸림 인지기능 저하를 호소하게 된다 더 나아가 는 우울증을 비롯한 기분 장애 및 전신성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의 발생과 심혈관계 사망률 증가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 이러한 질병들을 어떻게 유발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수면 중 발생하는 저산소혈증과 수면분절이 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키고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이 그 주요한 기전으로 추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의 기전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에 대해 리뷰해보고자 한다 OSA 의기전 최근의 연구들은 가 다양한 소인 병태생리적 기전 임상 양상 호흡 이벤트로 인한 결과를 보이는 이형성 증후군 임을 제시하였다 상기도의 해부학적 허탈 이 무호흡 이벤트의 중요한 원인 20 Copyright 2020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진단과치료 YJ Lee 이기는 하지만 해부학적 원인의 결과가 아닌 부분도 있어 단일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 등 은 환자들을 주요 기전에 따라 상기도의 해부학적 허탈 각성역치 루프이득 에 따라 표현형을 분류하기도 하였다 먼저 의 기전으로서 상기도의 해부학적 허탈 을 살펴보면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 문제 비만 등으로 인한 인두부의 좁아짐 연조직과 혀 등에 지방이 쌓여 상기도가 좁아지는 경우이다 또한 복부비만과 같은 중심부 지방조직의 증가는 폐용적을 감소시켜 인두부의 허탈 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면 중 상기도의 허탈 은 임계 폐쇄압 이하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환자에서 의 범위가 다양하고 환자의 는 정상군과 비슷한 값을 보이기도 하여 가 상기도의 허탈 문제만은 아닐 것이라고 추론한다 이하 구강 내 장치 상기도 수술 체중 감량 자세 치료 등 흔히 사용되는 전통적인 의 치료는 이런 해부학적 허탈 을 해결하도록 하는 것들이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해부학적 기전 외에 비해부학적 기전이 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환자의 약 정도는 한 가지 이상의 비해부학적 기전이 의 발생에 기여한다고 주장한 보고도 있었다 이 비해부학적 기전으로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인두부 근육들의 조절과 기능이다 인두부 근육은 상기도가 개방되어 있도록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의 발생에 중요하다 음압 호흡자극에 대한 상기도 근육의 활성화를 근육 반응성이라고 정의하는데 이상의 환자에서 음압에 대한 상기도 근육의 반응성이 매우 떨어져 있다 또 다른 의 비해부학 기전은 각성역치 에 관한 것이다 각성역치란 흉강 내 음압 증가가 어느 역치에 이르게 되면 무호흡 이벤트 중 수면으로부터 피질 각성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각성을 일으킬 때의 호흡노력의 정도를 말한다 환자의 수면에서는 이러한 수면과 각성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이 호흡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깊은 수면을 방해하여 를 악화시킨다 마지막 비해부학적 기전은 호흡의 조절 기전인 루프이득 과 연관된다 수면 중 이산화탄소 분압 은 화학적 수용체를 통해 호흡을 조절하게 된다 이 호흡조절 체계 는 화학적 수용체인 조절이득 과 폐의 공장이득 이들 간의 혈 액 순환을 통한 연결로 구성된 루프이득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호흡반응 과 장애 의 비율로 정량화되는 루프이득이 높은 환자의 경우 호흡 조절 이 불안정하여 작은 의 변화에도 과도한 호흡반응 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과도한 반응이 를 유발하므로 호흡 를 떨어뜨려 무호흡을 악화시킬 수 있다 OSA 의진단 우리가 임상에서 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 및 징후를 살펴보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은 코골이이다 또한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췄다가 다시 호흡하는 무호흡이 동침자에 의해 관찰되기도 한다 환자의 약 정도는 주간 졸림을 호소하고 질식 혹은 헐떡거림 에 의한 수면 중 각성 야간 빈뇨 기상 후 두통 집중력 저하 예민함 우울감 불면 발기장애 등 다양한 증상 혹은 징후를 보일 수 있다 이학적 검사 소견은 허리둘레의 증가나 목둘레의 증가와 같은 중심비만을 관찰할 수 있고 비중격만곡 혹은 비갑개의 비대 혹은 평가 방법으로 편도의 크기나 상기도 제한 소견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의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간단한 검사 도구로는 베를린 설문지 설문지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환자들의 주간 졸림 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엡워스 졸림척도 가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의 진단보다는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간단한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의 진단을 위한 표준 검사는 수면다원검사이다 검사진행자가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수면다원검사가 가장 확실한 진단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년 월부터 코골이 등 를 시사하는 증상이 있고 심뇌혈관계 공존 질환이 있거나 혹은 이학적 검사 기준을 만족할 때 수면다원검사에 한하여 급여화가 되었다 미국수면의학회에서는 진단 가이드라인으로서 임상 증상과 징후로 중등도 이상의 를 의심할 수 있는 경우 수면다원검사 혹은 가정용 수면무호흡검사 를 시행하여 진단하도록 권장한다 하지만 심한 불면 증상 공존하는 다른 수면장애 신체 질환 등 가정용 수면무호흡검사 로부터 적절한 데이터의 수집이나 해석이 어려운 경우에는 반드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www.jknpa.org 2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1):20-24 제 판 국제수면장애 분류기준 에 의하면 는 수면검사상 시간당 회 이상의 호흡 이벤트가 있으면서 임상 증상 혹은 심혈관계 질환 등 공존 질환을 동반한 경우 수면검사상 시간당 회 이상의 호흡 이벤트를 보이는 경우 진단할 수 있다 시간당 호흡 이벤트 회는 경도 회는 중등도 회 이상은 심한 정도의 로 진단하게 된다 수면검사에서 호흡 이벤트란 통상적으로 수면검사를 통해 평가한 호흡장애지수 혹은 무호흡 저호흡지수 이하 로 표현하며 한 시간의 수면 동안 무호흡 저호흡 혹은 호흡노력과 연관된 각성과 같은 호흡 이벤트를 보이는 횟수를 의미한다 OSA 의치료 현재까지 의 치료는 지속적 양압술 치료로 귀결되어 왔다 의 진단과 심각도는 수면다원검사상 에 기반하고 심각도에 상관없이 차 치료로서 이 권장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년 호주의 내과 의사인 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되었고 현재까지도 상기도 폐쇄를 막는 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로 사용되고 있지만 장기적인 순응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과거 연구에 의하면 지난 년간 의 순응도는 약 중등도에 불과하다 의 치료 압력은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면서 압력적정화 검사를 통해 정하고 통상적으로 의 범위 내에서 정한다 공존 질환이나 합병증이 없는 환자의 경우 이하 기기를 활용하여 일정 범위 내의 압력을 환자의 무호흡 저호흡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적정화하면서 공급해주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년 월부터는 국내에서도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로 진단받은 환자들에 대한 혹은 치료는 급여화되어 치료의 문턱이 많이 낮아진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치료가 환자의 장기적인 심혈관 질환의 결과 및 사망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일관되지는 않다 등 이 시행한 전향적 관찰 연구에 의하면 치료는 남성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낮췄다 하지만 년대에 시행된 전향적인 무작위 통제실험 이하 연구들에 의하면 환자에서 치료는 고혈압의 발생이나 심혈관 질환 이벤트의 발생을 의미 있게 낮추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에 대한 연구자들의 의견은 여 러 의견으로 나뉘게 되었는데 진행된 연구들의 방법적인 제한점 때문에 치료가 보호 효과를 가지지 못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로 현행 임상 진료 를 바꿔서는 안 된다는 의견 과 현재까지의 근거는 환자에서 이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을 낮춘다는 주장을 지지할 수 없음을 주장하는 의견이 있다 구강 내 장치는 치료가 실패하였을 경우 즉 환자가 치료를 견디지 못하여 순응이 어렵거나 대체 치료를 선호하는 경우 시도해 볼 수 있다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보통 구강내과에 환자는 의뢰하여 구강 내 장치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보통 목젖입천장인두성형술 이하 수술을 이비인후과에서 시행하며 미국수면의학회에서는 편도절제술을 동반 혹은 동반하지 않은 수술은 중등도 이상의 성인 환자에서 를 정상화시키는 데에 신뢰도가 높은 방법이 아니므로 심한 환자에서서는 치료 초기부터 치료가 제공되어야 함을 권하고 있다 레이저 목젖입천장성형술 수술법은 메타 분석에서 를 호전시켰으나 의 환자에서 를 악화시킴이 보고되었고 권장되지 않는 수술법이다 여러 수술 방법을 포함하였을 때 상기도 수술의 성공을 가 이상 감소하거나 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로 정의하면 성공률은 로 매우 다양하다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최근에는 치료 효과와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비강 내 저항을 줄여주기 위한 방법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하 > 과체중은 중등도 이상의 환자의 를 설명하므로 체중 감량은 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를 정도 감소시키면 상기도의 허탈 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자세 치료 는 앙와위 에서 가 악화됨에서 착안하여 수면 중 앙와위를 막기 위해 등에 테니스 공이나 부피가 나가는 물건을 장착함으로써 측와위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단점은 이로 인해 요통 등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단독 요법으로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되었다 혀밑신경자극술 은 전극을 삽입하여 혀 근육을 조절하는 혀밑신경을 자극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수면 중 상기도 폐색을 막는 시술 치료이다 년의 추적 관찰 연구에서 이상 감소가 유지되었고 주간 졸림 등 주관적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아직 장기적인 연구 결과가 부족하고 상기도 수술과 마찬가지로 22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진단과치료 YJ Lee 상기도 폐색이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치료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 의 약물 치료는 상기도 인두 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 키기 위한 세로토닌성 항우울제 혹은 콜린성 효과를 갖는 옥시부틴 제제 상기도의 울혈을 막고 체액 저류 를 줄이기 위한 스테로이드 제제 루프이득의 증가나 과활성된 호흡조 절 체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아세타졸라마이드 칸나비노이드 제제 등 이 연구 진행 중인 시험적인 제제로 아직 임상에 사용되는 단계는 아니다 앞에 언급한 각성역치에 작용하여 역치를 증 가시키기 위한 수면제 등도 시도된 바가 있었으나 의 치료를 위해 차적으로 사용을 권장하지는 않는다 미국수 면의학회의 치료 가이드에서는 환자에서 주간 졸림의 치료에 모다피닐 제제를 비염이 있는 경우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이 비염을 호전시켜 를 호전시 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대규모의 환자들의 데 이터를 분류하여 같은 환자라도 그 발생 기전 임상 양 상 결과 등이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보다 개별화 된 치료 방법이 환자에게 적용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질환과 연관성이 높은 흔한 수면장애인 에 대해 발병 기전 진단 치료에 관해 현재 의 임상 가이드와 최근 연구 동향 등 최신 지견에 대해 리뷰 해 보았다 의 발병 기전은 상기도의 해부학적 원인뿐 아니라 상기도 근육 기능 각성역치 루프이득과 같은 비해 부학적 기전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 증상과 징후 로 가 의심되는 경우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이 필요 하다 치료는 전통적으로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장기적인 순응도의 문제가 있고 비해부학적 발병 기전에 적합한 다양한 치료 방법이 사 용되고 있거나 연구가 진행 중이다 향후에는 보다 개별화된 치료 방법을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 치료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 has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Guilleminault C, Tilkian A, Dement WC. The sleep apnea syndromes. Annu Rev Med 1976;27:465-484. 2) Kim J, In K, Kim J, You S, Kang K, Shim J, et al.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1108-1113. 3) Young T, Palta M, Dempsey J, Skatrud J, Weber S, Badr S.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4) Chen YH, Keller JK, Kang JH, Hsieh HJ, Lin HC. Obstructive sleep apnea and the subsequent risk of depressive disorder: a populationbased follow-up study. J Clin Sleep Med 2013;9:417-423. 5) Marin JM, Agusti A, Villar I, Forner M, Nieto D, Carrizo SJ, et al. Association between treated and untreated obstructive sleep apnea and risk of hypertension. JAMA 2012;307:2169-2176. 6) Marshall NS, Wong KK, Phillips CL, Liu PY, Knuiman MW, Grunstein RR. Is sleep apnea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revalent and incident diabetes in the Busselton Health Study? J Clin Sleep Med 2009;5:15-20. 7) Choi JW, Song JS, Lee YJ, Won TB, Jeong DU. Increased mortality in relation to insomnia and obstructive sleep apnea in Korean patients studied with nocturnal polysomnography. J Clin Sleep Med 2017;13: 49-56. 8) Yaggi HK, Concato J, Kernan WN, Lichtman JH, Brass LM, Mohsenin V. Obstructive sleep apnea as a risk factor for stroke and death. N Engl J Med 2005;353:2034-2041. 9) Young T, Finn L, Peppard PE, Szklo-Coxe M, Austin D, Nieto FJ, et al.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mortality: eighteen-year follow-up of the Wisconsin sleep cohort. Sleep 2008;31:1071-1078. 10) Tasali E, Ip MS. Obstructive sleep apnea and metabolic syndrome: alterations in glucose metabolism and inflammation. Proc Am Thorac Soc 2008;5:207-217. 11) Kohler M, Stradling JR. CrossTalk proposal: most of the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OSA are due to increased sympathetic activity. J Physiol 2012;590:2813-2815. 12) Schäfer H, Koehler U, Ploch T, Peter JH. Sleep-related myocardial ischemia and sleep struct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oronary heart disease. Chest 1997;111:387-393. 13) Eckert DJ, White DP, Jordan AS, Malhotra A, Wellman A. Defining phenotypic causes of obstructive sleep apnea. Identification of novel therapeutic targe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3;188:996-1004. 14) Carberry JC, Amatoury J, Eckert DJ. Personalized management approach for OSA. Chest 2018;153:744-755. 15) Eckert DJ. Phenotypic approaches to obstructive sleep apnoea - new pathways for targeted therapy. Sleep Med Rev 2018;37:45-59. 16) Eckert DJ, Younes MK. Arousal from sleep: implication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pathogenesis and treatment. J Appl Physiol (1985) 2014;116:302-313. 17) Tkacova R, Dorkova Z. Clinical presentations of OSA in adults. Eur Respir Monogr 2010;50:86-103. 18) Liu L, Kang R, Zhao S, Zhang T, Zhu W, Li E, et al. Sexu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Sex Med 2015;12:1992-2003. 19) Ustun B, Westover MB, Rudin C, Bianchi MT. Clinical prediction models for sleep apnea: the importance of medical history over symptoms. J Clin Sleep Med 2016;12:161-168. 20) Friedman M, Tanyeri H, La Rosa M, Landsberg R, Vaidyanathan K, Pieri S, et al. Clinical predictors of obstructive sleep apnea. Laryngoscope 1999;109:1901-1907. 21) Friedman M, Ibrahim H, Bass L. Clinical staging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2;127:13-21. 22) Netzer NC, Stoohs RA, Netzer CM, Clark K, Strohl KP. Using the Berlin Questionnaire to identify patients at risk for the sleep apnea syndrome. Ann Intern Med 1999;131:485-491. www.jknpa.org 23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1):20-24 23) Chung F, Abdullah HR, Liao P. STOP-Bang Questionnaire: a practical approach to screen for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 2016;149: 631-638. 24)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77-384. 25) Kapur VK, Auckley DH, Chowdhuri S, Kuhlmann DC, Mehra R, Ramar 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Sleep Med 2017;13:479-504. 26)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3rd ed. Darien, IL: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2014. 27) Sullivan CE, Issa FG, Berthon-Jones M, Eves L. Reversal of obstructive sleep apnoea by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nares. Lancet 1981;318:862-865. 28) Stepnowsky CJ Jr, Moore PJ. Improving CPAP use by patients with the sleep apnoea/hypopnoea syndrome (SAHS). Sleep Med Rev 2003;7:445-446. 29) Rotenberg BW, Vicini C, Pang EB, Pang KP. Reconsidering first-line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6;45:23. 30) Marin JM, Carrizo SJ, Vicente E, Agusti AG. Long-term cardiovascular outcomes in men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hypopnoea with or without treatment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 observational study. Lancet 2005;365:1046-1053. 31) Barbé F, Durán-Cantolla J, Sánchez-de-la-Torre M, Martínez-Alonso M, Carmona C, Barceló A, et al. Effect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on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events in nonsleepy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12;307:2161-2168. 32) McEvoy RD, Antic NA, Heeley E, Luo Y, Ou Q, Zhang X, et al. CPAP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in obstructive sleep apnea. N Engl J Med 2016;375:919-931. 33) Martinez-Garcia MA, Campos-Rodriguez F, Javaheri S, Gozal D. Pro: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d cardiovascular prevention. Eur Respir J 2018;51:1702400. 34) McEvoy RD, Kohler M. Co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d cardiovascular prevention. Eur Respir J 2018;51:1702721. 35) Aurora RN, Casey KR, Kristo D, Auerbach S, Bista SR, Chowdhuri S,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surgical modifications of the upper airwa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Sleep 2010;33:1408-1413. 36) Camacho M, Nesbitt NB, Lambert E, Song SA, Chang ET, Liu SY, et al. Laser-assisted uvulopalatoplast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2017;40:zsx004. 37) Dorrity J, Wirtz N, Froymovich O, Hamlar D. Genioglossal advancement, hyoid suspension, tongue base radiofrequency, and endoscopic partial midline glossectom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tolaryngol Clin North Am 2016;49:1399-1414. 38) Young T, Peppard PE, Taheri S. Excess weight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J Appl Physiol (1985) 2005;99:1592-1599. 39) Schwartz AR, Gold AR, Schubert N, Stryzak A, Wise RA, Permutt S, et al. Effect of weight loss on upper airway collapsibil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Am Rev Respir Dis 1991;144:494-498. 40) Strollo PJ Jr, Soose RJ, Maurer JT, de Vries N, Cornelius J, Froymovich O, et al. Upper-airway stimulation for obstructive sleep apnea. N Engl J Med 2014;370:139-149. 41) Woodson BT, Soose RJ, Gillespie MB, Strohl KP, Maurer JT, de Vries N, et al. Three-year outcomes of cranial nerve stimulation for obstructive sleep apnea: the STAR trial.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6;154:181-188. 42) Gaisl T, Haile SR, Thiel S, Osswald M, Kohler M. Efficacy of pharmacotherapy for OSA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Sleep Med Rev 2019;46:74-86. 43) Taranto-Montemurro L, Messineo L, Sands SA, Azarbarzin A, Marques M, Edwards BA, et al. The combination of atomoxetine and oxybutynin greatly reduces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rossover trial.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9;199:1267-1276. 44) Carley DW, Prasad B, Reid KJ, Malkani R, Attarian H, Abbott SM, et al. Pharmacotherapy of apnea by cannabimimetic enhancement, the PACE clinical trial: effects of dronabinol in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2018;41:zsx184. 45) Veasey SC, Guilleminault C, Strohl KP, Sanders MH, Ballard RD, Magalang UJ. Medical therap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 review by the Medical Therap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Task Force of the Standards of Practice 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Sleep 2006;29:1036-1044. 46) Zinchuk A, Yaggi HK. Sleep apnea heterogeneity, phenotypes, and cardiovascular risk. Implications for trial design and precision sleep medicin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9;200:412-41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