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분야-연구자료 연구원 2007-102-1027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요약문 1 요 약 문 1. 과 제 명 :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연구 2. 연구기간 : 2007 1. 1 ~ 2007. 12. 31. 3. 연 구 자 : 연구책임자 장 재 길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정 광 재 (연구원) 4. 연구목적 및 필요성 작업환경 유해인자인 소음에 대한 노출기준 초과사업장은 기준초과 전체 사업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법적 작업환경측정 제 도의 도입 이후 20년 이상 측정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온 반면 개 별 측정자료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으며 측정결과와 소음성난청자 발생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도 연구가 시도되지 못 하였으므로 - 공단 연구원이 보유한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기간별로 분석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한편 작업공정별 측정결과와 소음성난 청 발생의 관련성을 추적하여 정책집행과 관련대책 추진의 우선 순위 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함. 한편, 국내에서 작업환경측정에 사용되는 누적소음노출량계 (noise dosimeter) 등 소음측정기는 전량 외국산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 으며 구입비용도 비교적 고가이어서 작업환경측정기관의 다량 보 유와 근로자 접근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 기존의 소음측정기기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낮 은 가격으로 보급이 가능한 디지털 녹음방식을 이용한 간이측정기를 개발하여 국내 작업환경시장에 보급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함.
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또한, 2005년도부터 시작된 고소음발생사업장에 대한 재정지원사업 은 중소규모사업장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소음노출 감소와 소음발생 저감을 목적으로 전국적으로 추진되었으므로 - 2006년도까지 2년간 추진된 동 사업의 추진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사업방향의 설정을 위한 자료로 삼고 개선 품목별 모델을 제시하 고자함. 5. 연구방법 및 내용 소음 발생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 결과와 건강진단 결과의 분석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간의 공단이 보유한 작업환경측정 자료 를 매년 상 하반기 8개 군으로 분류하여 - 측정사업장 및 측정 건수, 노출기준 초과 실태 및 소음수준의 분 포와 추세 등 분석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간의 소음성난청 요주의자, 난청 유소 견자 자료를 대상으로 - 연도별 발생 실태, 발생 규모, 발생추이 등을 분석 4년간의 공정별 년도별 작업환경측정 결과와 소음성 난청질환자 발생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 소음측정기의 소형화 기술 개발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MP3 Player 10대, Voice Recorder 5대 및 Cassette tape recorder 1대를 대상으로 - 정밀 소음측정기기(B&K사 Pulse model)를 기준으로 각 음향녹 음재생장치의 주파수 응답 및 녹음특성을 주파수 대역별 찌그러 짐과 평탄도로 분석하여 비교
요약문 3 시중에서 판매되는 마이크로폰 5종을 대상으로 - 녹음특성파악을 통해 기 선정된 MP3 Player를 이용하여 각 주파 수 응답특성과 측정 음압수준을 실험하여 소형콘덴서(1/4인치) 마이크로폰을 간이측정기용 마이크로폰으로 선정 선정된 MP3 Player와 1/4인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조합하여 디 지털녹음방식을 이용한 간이소음측정기 시제품을 개발 - 제작한 시제품을 정밀 소음측정기기(B&K사 Pulse model) 및 누 적소음노출량계와 동일 조건하의 소음을 녹음한 후 성능을 비교 재정지원사업 대상사업장 고 소음 발생공정 및 설비 실태조사 '05/06년 고소음 재정지원사업 중 '07년 상반기 보조금 지급완료 사업장 171개소 대상으로 - 전국의 지역본부와 지도원이 보유한 기술지원보고서를 입수하여 연도별, 지역별, 업종별, 금액별 지원현황을 분석하고 - 소음공정에 대한 소음개선의 정도를 지원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개선결과를 분석하고 모델을 제시 6. 연구결과 소음 발생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결과와 건강진단 결과의 분석 '02년~05년(4년)동안 1,009,371건의 작업환경측정결과 분석한 결과 - 상하반기별 8개군의 평균값은 85.0 db(a)(84.5~85.8 db(a))로 군별 로 수치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ANOVA 분 석을 실시한 결과 각 군의 측정값 수가 약 10만 단위로 매우 커서 산술평균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또한, 4년간 측정 결과 중 최고빈도는 80~85 db(a)가 33.4 %, 반기 별 노출기준초과 건수 비율은 16.2~22.9 %로 평균 18.5 %로 나타남.
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소음성난청 요관찰자수와 직업병유소견자의 년도별 발생자수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요관찰자의 발생비율도 큰 변화가 없음. 년도별 공정별 소음 발생수준과 난청 요관찰자와 유소견자의 발생간의 상 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요관찰자수의 경우 소음수준과 통계적으로 상관관계(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요관찰자의 경우 역의 상관성을 보여 작업환경측정 결과와 특수건강진단 결과의 관계설정이 곤란함. 소음측정기의 소형화 기술 개발 시판중인 녹음재생 장치에 대한 주파수 응답특성을 실험실에서 시 험 분석한 결과 - MP3 Player는 100 Hz~15 khz 이상의 주파수 응답범위를 가지고 있어 간이 소음측정 장치로서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실험대상 10종 중 가격과 녹음특성을 고려하여 MP3 Player 1개 기종을 선정 - Voice Recorder와 Magnetic cassette tape recorder는 300 Hz~5 KHz의 주파수 범위에서만 양호한 응답특성이 관측되었으며 100 db 이상의 음압레벨에서는 센서의 측정 포화현상에 의한 음의 왜곡현상 으로 고주파수 대역과 고음압 수준의 소음 녹음에는 부적합한 것 으로 판명됨. 마이크로폰 5종을 대상으로 정밀소음측정용 마이크와 특성을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 - 잡음레벨이 낮고 20 Hz~20 khz에서 응답 특성이 좋으며 MP3 Player의 임계신호 입력을 초과하지 않는 5~10 mv/pa의 감도범위 의 1/4인치 콘덴서 타입 마이크로폰을 시제품 개발대상으로 선정 선정한 녹음재생 장치 및 마이크로폰으로 전자적으로 조합하여 디 지털 방식의 간이소음측정기 시제품 5대를 제작하고 정밀소음 측정
요약문 5 기와 외국산 누적소음노출량계와 동시에 동일 신호를 8시간 녹음하여 전 체 음압수준과 주파수 대역별 음압수준의 차이를 분석 - 시제품 5대의 전체 음압수준 오차는 ±1.50 db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 개 발된 디지털녹음방식의 사용성을 입증함. - 실제 소음환경에서 개발된 시제품과 외국산 누적소음노출량계 각 5대를 대상으로 소음측정 특성을 비교한 결과 ±2.0 db로 누적소음노출량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명됨. 시제품은 소음 신호를 음원 압축 방식(MP3 파일 형태)으로 저장하고 녹음한 데이터를 실시 간으로 재생하여 정밀 소음분석 장치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음압 수준의 시간에 따른 추이 분석도 가능함 (Noise dosimeter는 전체소음노출량만을 표시). 재정지원사업 대상사업장 고소음 발생공정 및 설비 실태조사 '05/06년의 고소음 발생 환경개선자금 보조금 지급이 확정된 171 개 사업장의 지원결과를 분석한 결과 - 보조금 지원으로 소음 저감시설을 설치한 사업장은 2005년 77.4 % (111개 소 신청, 86개소 지원), 2006년 69.7 %(122개소 신청, 85개소 지원)으로, - 지역별 분포는 경북(19%, 31개소), 대구(16%, 28개소), 경기(16%, 28개소), 경남(9%, 15개소)과 인천(8%, 14개소)지역의 순서로 분포됨. 재정지원 대상 사업장을 산재보험 요율표상의 코드로 분류한 결과 - 지원대상 업종은 대부분 제조업(채석업 사업장 1개소를 제외)이며, - 업종은 수송기계기구제조업(17.5%, 30개소), 화학제품제조업(14%, 24개소), 섬유 섬유제품제조업(9%, 15개소), 비금속광물제조업 및 기계기구제조업(7%, 12개소), 전기기계기구제품제조업(6%, 11개 소), 전자제품제조업(5%, 9개소)으로 조사되었음. 소음 감소 및 차음효과는 평균 10dBA이상이었으며 재정지원이 이 루어진 공정의 품목은 소음발생장치의 대체, 소음전파 방지를 위한 차음 또는 방음시설의 설치, 그리고 근로자 보호를 위한 운전 및 휴게실의 방음으로 구분됨
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7. 활용계획 소음 작업환경측정 및 소음질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는 작업환경관 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함. 개발된 디지털 녹음방식의 간이소음측정기는 향후 현장적용 가능 성을 평가한 후 경제적인 국산 소음측정 평가 도구로 보급이 가 능함. 또한, 소음재정지원 사업에 대한 결과분석은 작업환경개선을 위해 실시되는 보조금과 융자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 8. 중심어 소음작업환경측정, 소음특수건강진단, 디지털녹음방식 간이측정기, 고소 음발생공정 재정지원
차 례 7 차 례 Ⅰ. 서론 11 1.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목표 13 3. 연구자 및 추진기간 13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4 1. 소음수준과 직업병자 발생현황의 분석 14 2. 간이 소음측정기의 개발 15 3. 고소음 발생공정 재정지원 결과 분석 16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7 1. 소음수준과 직업병자 발생현황의 분석 17 2. 간이소음측정기의 개발 31 3. 고소음 발생공정 재정지원 결과 분석 109 Ⅳ. 결론 129 참고문헌 132
8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표 차 례 <표 1-1> 년도별 작업환경 측정 사업장 및 측정건수의 추이 17 <표 1-2> 년도별 노출기준 초과 작업환경 측정사업장 및 측정건수의 추이 17 <표 1-3> 년도별 소음측정결과치의 추이 19 <표 1-4> 8개 소음작업환경 측정군의 산출평균치 간 t-test 결과 20 <표 1-5> 8개 소음측정군 자료의 도수분포표 21 <표 1-6> 8개 소음측정군 자료의 누적 도수분포 자료 21 <표 1-7> 년도별 소음 특수건강진단 실시 사업장수 및 유소견자수 24 <표 1-8> 소음특수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년도별 자료 25 <표 1-9>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2년도) 28 <표 1-10>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3년도) 28 <표 1-11>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4년도) 29 <표 1-12>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5년도) 29 <표 1-13>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2~2005년도/전체) 30 <표 2-1> 디지털 녹음방식을 이용한 간이소음기의 개발 목표 33 <표 2-2> 간이소음기 개발을 위한 실험대상 녹음장치 목록 37 <표 2-3> 실험대상 녹음장치의 주파수 응답특성 실험결과 44 <표 2-4> 실험대상 녹음장치에 대한 소음녹음 실험 결과 62 <표 2-5> 5종의 마이크로폰에 대한 특성 실험결과 87 <표 2-6> 개발된 간이소음측정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결과 105 <표 3-1> 소음재정지원사업장의 업종별 분포 현황 113 <표 3-2> 소음재정지원사업장의 소음감소 효과 118 <표 3-3> 소음의 발생형태별 관리대책 120 <표 3-4> 소음원 관리대책의 발생형태별 분류 121
차 례 9 그 림 차 례 [그림 1-1] 년도별 소음초과 사업장의 비율 18 [그림 1-2] 년도별 노출기준 초과 소음 건수의 비율 추이 18 [그림 1-3] 년도별 소음측정결과에 따른 산출평균치의 추이 19 [그림 1-4]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dBA 기준)의 도수분포도 22 [그림 1-5]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음압 기준)의 도수분포도 1 23 [그림 1-6]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음압 기준)의 도수분포도 2 23 [그림 1-7]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음압 기준)의 도수분포도 3 24 [그림 1-8] 소음에 의한 직업병 요관찰자수와 소음수준의 회귀분석 결과 26 [그림 1-9] 소음에 의한 직업병 유소견자수와 소음수준의 회귀분석 결과 26 [그림 2-1]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34 [그림 2-2] 주파수 분석장치의 모식도 39 [그림 2-3] 신호발생 및 분석 장치의 모식도 [그림 2-4] 콘덴서 형 마이크로폰의 모식도 41 [그림 2-5> 음향장치의 동적범위 측정-1 86 [그림 2-6] 음향장치의 동적범위 측정-2 86 [그림 2-7] 개발된 간이소음녹음장치의 모습 103 [그림 2-8] 선정된 1/4인치 콘덴서형 마이크로폰 104 [그림 2-9] 마이크로폰과 프리앰프의 연결 모식도 104 [그림 3-1] 소음 재정지원사업장의 지역별 분포 (전체) 109 [그림 3-2] 소음 재정지원사업장의 지역별 분포 (2005년도) 110 [그림 3-3] 소음 재정지원사업장의 지역별 분포 (2006년도) 110 [그림 3-4] 소음재정지원사업장의 근로자 규모별 분포 (전체) 111 [그림 3-5] 소음재정지원사업장의 년도별 근로자 규모 분포 111
10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그림 3-6] 소음 재정지원사업장 지원금액 분포 (전체) 114 [그림 3-7] 소음 재정지원사업장 년도별 지원금액 분포 114 [그림 3-8] 재정지원사업장 설비별 분포 (2005년도) 115 [그림 3-9] 재정지원사업장 설비별 분포 (2006년도) 116 [그림 3-10] 소음방지 설비별 소음감소 효과 (2005년도) 117 [그림 3-11] 소음방지 설비별 소음감소 효과 (2006년도) 118 [그림 3-12] 전파 경로 차단대책의 모식도 124
Ⅰ. 서 론 11 Ⅰ. 서 론 1. 필요성 및 목적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중 전체 노출기준 초과사업장에 대해 소 음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6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약 92.5%에 해당(노동 부1, 2007)하는 반면 실질적으로 근로자에 대한 노출 감소나 작업환경 개선은 쉽지가 않은 편이다. 반면에 소음성난청 질환자 수는 매년 증가 하거나 정체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노동부, 2006). 국내에서는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에 따라 작업환경측정이 법 제화되고 시행규칙이 1982년에 제정되는 한편 관련 고시인 작업환경측 정방법이 노동부 고시 제1호로 1983년에 제정된 이후 6개월을 단위로 작업환경측정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소음에 대한 측정은 매년 반 기별로 약 10만 건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부에서 이 작업환경측정결 과를 기준으로 매년 발표하는 자료는 소음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 의 비율과 추이 등으로 그동안 측정결과에 대한 전산화가 법제화되어 있지 않았고 자료의 축적도 부족하여 실질적인 개개의 작업환경결과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소음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에 대해서는 매년 대상사업장수, 수진 근로 자수, 소음성난청 요관찰자(C 1 ) 및 소음성난청 유소견자(D 1 )에 대한 자 료가 발표되고 있으며 소음성난청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장해 등급을 인정받은 근로자자의 수도 파악이 가능하다. 직업성 소음성난청 은 작업장에서 발생한 소음의 수준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되는 것이 과 학적으로 이미 증명되었다(US-NIOSH, 1972; 1998). 따라서 작업환경측 정결과에 대한 년도별 분석을 통해 국내 사업장의 소음발생 추이를 분 석하는 한편 공정별 소음발생 정도와 소음성 난청자의 발생 정도의 상 관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관련 정책입안과 대책수립에 필요한 자료 로 활용이 가능한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한편, 국내의 약 150여개 작업환경측정기관과 한국산업안전공단 (이 하 공단 이라 함)의 지역본부와 지도원 등에서 소음의 측정에 사용되 는 누적소음노출량계(noise dosimeter) 등 소음측정용 장비는 최근에 들 어 국내에서 개발이 되었으나 아직까지는 거의 전량이 국외에서 생산된 수입품일 뿐만 아니라 가격도 수십만원 대에서 백만원대에 육박할 정도 로 매우 고가인 것이 현실이다. 노동부 고시 제2007-45호 작업환경측 정 및 정도관리기준 은 (노동부2, 2007) 소음의 측정 시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 등 개인시료 채취방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 격부담 등으로 측정기관에서 충분한 장비를 보유하기가 부담스러운 편 이며 다수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면이 있어 왔다. 20세기 이후 반도체와 전자산업의 급속한 발달은 아날로그 방식이 아 닌 디지털방식의 음향기기 생산과 사용을 촉진시켜왔고 이미 MP3 Player 등 다수의 디지털 기기가 사회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우리나 라의 경우 반도체와 전자기술은 국제적으로 최상위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따라서 최신의 디지털기술을 응용하면서 소형화 등으로 근로자의 사용 편리성을 만족시키고 수입 외국산에 비해 가격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국산 소음측정장비의 개발을 시도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2005년도 이후 공단에서는 50인 이상~300인미만 중소규모 사 업장의 고소음발생 공정을 대상으로 재정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 고 5,000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한 동 사업은 초기의 의욕과 지역본부와 지도원에서의 노력에 비해 활성화가 대체로 미흡하였으며 대상 품목도 매우 한정되어 있는 편이다.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소음방지설비는 설치비가 매우 고가이고 공정에 따라 설치 형태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공정별로 시설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사업장 실정에 따라 특성을 나름대로 고려하여 설치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 로 현재 추진 중인 고소음발생 재정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실행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 사업의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향후의 추진방향 설 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Ⅰ. 서 론 13 2. 연구목표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의 소음저감을 통한 작업환경의 개선과 소음측 정기술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목표로 하였다. m 사업장의 소음수준과 직업병자의 발생현황 조사와 상호 상관성 분석 m 디지털 기법을 응용한 소형 간이소음측정기기 개발 m 고소음 발생공정 재정지원 사업에 대한 조사 및 효과의 분석 3. 연구자 및 추진기간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참여한 연구원과 연구의 추진기간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자 책임연구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위생연구센터 연구위원 장재길 공동연구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위생연구센터 연구원 정광재 참여연구자 :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위생연구센터 연구위원 정은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위생연구센터 연구위원 이나루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위생연구센터 연구원 박현희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위생연구센터 연구원 권지운 (2) 연구추진기간 - 2007년 1월 1일 ~ 2007년 12월 31일.
1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소음수준과 직업병자 발생현황의 분석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하 연구원 이라함)에서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개년간 매년 상 하반기 8개 군의 작업환경측 정 자료를 전산화하여 보관하고 있다. 이 자료는 지방노동관서 및 측정 기관으로부터 입수한 측정 개별데이터를 사업장과 공정 등을 중심으로 전산화한 자료로 해당 년도에 작업환경측정이 실시된 사업장의 전 자료 는 아니다. 즉, 법적으로 의무화하여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입수할 방법 이 현재로서는 없으므로 측정이 이루어진 차년도에 입수가 가능한 자료 만을 공단에서 모아서 집대성한 자료로 2002년도에는 전체 측정 자료의 약 75%정도가 수집되었으며 2005년도에는 약 90% 이상의 자료가 정리 되었다. 따라서 노동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작업환경관리 현황 자 료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전적으로 연구원이 보유한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약 100만여건에 이르는 모든 측정 자료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보관 된 것을 SAS 9.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년도별 및 반기별 로 측정사업장 및 측정 건수, 사업장 규모별 노출기준 초과 사업장의 수, 소음수준의 분포와 추세 등 분석하였으며 8개군 자료의 소음에 대 한 도수분포실태와 추이도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지방사무소별 및 사 업장 규모별 소음자료의 분석은 자료활용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하 여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역시 연구원이 보유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간의 소음성난청 요 주의자 및 난청 유소견자를 대상으로 년도별 발생 실태, 발생 규모, 발 생추이 등을 분석하였다. 4년간의 공정별 년도별 작업환경측정결과와 소음성 난청질환자 발생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은 소음성난청자가 발생 한 공정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5 2. 간이 소음측정기의 개발 간이 소음기측정의 개발은 현재 시중에서 상업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디지털 녹음장치를 기반으로 사업장의 소음을 실시간으로 녹음한 후 실 험실에서 별도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였다. 누적소음량측정기 등 상용화된 소음측정기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는 있으나 실제로 측정결과 가 즉시 근로자나 사업주에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추후에 작업환경측 정결과보고서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이러한 방식의 소음계를 개발하여도 현장에서의 사용에는 문제가 거의 없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실시간모니 터링이 가능한 소음계는 제품 가격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며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2007년도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실시간 녹음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시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연 구를 추진하였는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등 구체 적인 신제품의 설계와 제작에는 막대한 시간과 예산이 필요하므로 상업 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MP3 Player 등을 이용하여 개발가능성을 검증하 는 연구를 추진하고 시제품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상업화된 디지털 전 자제품을 사용한 시제품 개발 연구는 국내외 특허에 저촉되지 않는 것 으로 확인하였으며 완성품과 분석기기의 개발과 생산은 추후에 실시하 는 것으로 하였다. 1차적으로 녹음가능성을 검증하기위해 상업용으로 시판된 제품들을 검토한 후 MP3 Player 10대, Voice recorder 5대 및 Cassette tape recorder 1대를 대상으로 정밀 소음측정기기(B&K사 Pulse model)를 기 준으로 각 음향녹음별 주파수 응답 및 녹음특성을 주파수 대역별 찌그 러짐과 평탄도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가격과 성능 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개 제품을 선정하였다.
1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녹음장치는 마이크로폰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마이크로폰의 사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 이크로폰 5종을 대상으로 녹음특성파악을 통해 기 선정된 MP3 Player 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응답특성과 측정 음압수준을 실험하여 최종적으 로 소형콘덴서(1/4인치) 마이크로폰을 간이측정기용 마이크로폰으로 선 정하였다. 모든 시험은 전문성과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해 외부의 박사 급 소음진동전문가를 위촉하여 공동으로 추진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MP3 Player와 1/4인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조합한 후 디지털녹음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소음의 녹음이 가능한 간이소음측정기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제작한 시 제품 5대에 대해 정밀 소음측정기기(B&K사 Pulse model) 및 누적소음 노출량계(Larson Davis사 model Spark-706) 5대와 동일 조건하의 80~ 105dB(A)의 소음을 8시간 정도 3회 녹음한 후 정밀소음기를 기준으로 누적소음노출량계와의 성능을 상호 비교하는 방법으로 시제품의 성능을 최종적으로 비교였다. 3. 고소음 발생공정 재정지원 결과 분석 2005년도 및 2006년에 고소음 발생공정에 대해 재정지원을 받은 사업 장 중 '07년 상반기까지 보조금 지급이 완료된 사업장 171개소 대상으 로 전국의 지역본부와 지도원이 보유한 기술지원보고서를 입수하였다. 보고서를 기초로 연도별, 지역별, 업종별 및 지원금액별 현황을 분석하 였으며 소음개선공정을 품목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소음개선의 정도를 보고서에서 제시한 수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가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모든 데이터의 분석에는 Microsoft 사의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개별사업장에 대한 설문조사나 현 장 실측은 여러 가지 여건을 감안하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7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소음수준과 직업병자 발생현황의 분석 (1) 작업환경 측정자료의 분석 2007년 5월 현재 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작업환경 측정결과에 대한 D/B 자료 는 2002년도부터 확보되어 있으며 2005년도까지 활용이 가능하므로 4개년도 상 하반기 8개의 자료 군이 있다. 각 년도의 분기별 자료는 측정사업장 수를 기준 으로 평균 약 2만여 개(별도의 사업자등록번호 를 가진 경우 기준)이며 건수 를 기준으로 한 경우 평균 약 12.6만 건으로 4년간의 총 건수로는 약 100만 건 에 이르고 있다 (<표 1-1> 참조). 4년의 상하반기 8개 군의 자료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위해 소음수준이 한 개라도 노 동부의 현 노출기준인 90dBA를 초과한 사업장을 소음초과사업장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결 과는 <표 1-2>와 [그림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002년도 이후 2004년도까지 이렇다 할 큰 변화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1> 년도별 작업환경 측정 사업장 및 측정건수의 추이 년도 2002 2003 2004 2005 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평균 합계 측정 사업장수 18,799 21,143 21,831 25,344 18,719 15,424 21,068 18,946 20,157 161,256 측정 건수 88,135 134,375 128,561 156,101 119,744 98,951 151,030 132,474 126,171 1,009,371 <표 1-2> 년도별 노출기준 초과 작업환경 측정사업장 및 측정건수의 추이 년도 2002 2003 2004 2005 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평균 합계 측정 사업장수 18,799 21,143 21,813 25,344 18,719 15,424 21,068 18,946 20,157 161,256 초과 사업장수 4,487 5,059 4,946 6,350 5,036 4,558 5,888 5,441 5,221 41,765 초과사업장 비율(%) 23.9 23.9 22.7 25.1 26.9 29.6 27.9 28.7 26.1 25.9 측정 건수 88,135 134,375 128,561 156,101 119,744 98,951 151,030 132,474 126,171 1,009,371 초과건수 20,226 22,935 21,726 27,522 19,449 18,571 28,714 25,3 23,093 184,746 초과건수 비율(%) 22.9 17.1 16.9 17.6 16.2 18.8 19.0 19.3 18.3
18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초과율(%) 35 30 25 20 15 10 5 0 2002 상 2002 하 2003 상 2003 하 2004 상 2004 하 2005 상 2005 하 측정년도 및 반기 [그림 1-1] 년도별 소음초과 사업장의 비율 추이 소음 개개 자료의 노출기준초과건수의 비율의 경우는 역시 [표 1-2]와 [그림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002년도 상반기에 20%를 초과하던 것이 1 0%대로 낮아졌으나 2005년도까지 이렇다 할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25 20 초과율(%) 15 10 5 0 2002 상 2002 하 2003 상 2003 하 2004 상 2004 하 2005 상 2005 하 측 정 년 도 및 반 기 [그림 1-2] 년도별 노출기준 초과 소음건수의 비율 추이 각 반기의 개개 소음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평균치의 추이를 살펴 본 결과는 <표 1-3>과 [그림 1-3]에 도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9 <표 1-3> 년도별 소음측정결과치의 추이 (단위 : dba) 년도 2002 2003 2004 2005 전체 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n 1,009,371 88,135 134,375 128,561 156,101 119,744 98,951 151,030 132,474 범위 80.0 74.9 77.0 62.6 70.8 69.3 78.4 78.3 73.6 최소값.0 41.0 42.4 50.4 42.8 41.7.0.7.3 최대값 120.0 115.9 120.0 113.0 113.6 111.0 118.4 119.0 113.9 평균 84.98 85.82 84.89 84.95 84.87 84.53 84.89 85.05 85.08 표준편차 6.59 6.65 6.53 6.38 6.41 6.47 6.75 6.78 6.76 분산 43.47 44.20 42.58.68 41.11 41.90 45.54 45.93 45.74 8 8 년 도 별 작 업 환 경 측 정 결 과 에 따 른 소 음 수 준 의 추 이 소음수준 (dba) 8 6 8 4 8 2 8 0 2 0 0 2 상 2 0 0 2 하 2 0 0 3 상 2 0 0 3 하 2 0 0 4 상 측 정 년 도 및 반 기 2 0 0 4 하 2 0 0 5 상 2 0 0 5 하 [그림 1-3] 년도별 소음측정결과에 따른 산술평균치의 추이 [그림 1-3]의 결과를 살펴보면 노출기준 초과 건수에 대한 분석을 나타낸 [그림 1-2] 에서와 같이 2002년도 하반기의 하락을 기점으로 2005년도까지 큰 변화가 감지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소음에 대한 작업환경측정결과의 추이가 실질적으로 작업환경의 개선에 있지 못한 것인지 또는 측정 자체의 있는 지에 대해서는 현 재로서는 확인이 어려우므로 향후의 추이를 꾸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4개년도에 걸친 8개의 산술평균값이 수치상으로는 이와 같이 큰 차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통계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한
20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결과에서는 산술평균치는 8개의 결과값 간에 유의한 차이(p<<0.01]를 가지고 있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개의 자료를 1:1로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1-4>에 나타내었다. 평균치 간에 약 0.05dBA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5% 수준에서 상 호 유의하고 0.08 정도의 차이가 있어야 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치에서의 매우 미미한 변화가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는데 이는 각각의 측정 건수가 10만개 이상임에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 일부 사업장에서 작업환경의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 측정결과 가 양호해 진다고 하여도 평균치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기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다. <표 1-4> 8개 소음작업환경 측정군의 산술평균치 간 t-test 결과 회차 (평균소음) 02년 상 02년 하 03년 상 03년 하 04년 상 04년 하 05년 상 05년 하 02년 상 (85.82 dba)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2년 하 (84.89 dba) 0.025 0.305 0.000 0.946 0.000 0.000 03년 상 (84.95 dba) 0.001 0.000 0.033 0.000 0.000 03년 하 (84.87 dba) 0.000 0.385 0.000 0.000 04년 상 (84.53 dba) 0.000 0.000 0.000 04년 하 (84.89 dba) 0.000 0.000 05년 상 (85.05 dba) 0.307 05년 하 (85.08 dba) 한편 8개 군 소음 측정자료의 도수분표를 살펴보면 <표 1-5>에서의 년도 및 반기별 해당 도수에 대한 건수별 자료를 <표 1-6>에서 %비율로 종합하여 정리한 바와 같이 80~90dBA 사이의 소음이 64.6%로 전체의 약 2/3를 차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00dBA를 초과하는 건수도 1.3%가 존재하며 80dBA 미 만의 소음도 11.1%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4] 추가 참조).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1 구분 (dba) <표 1-5> 8개 소음측정군 자료의 도수분포표 2002 2003 2004 2005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소계 88,135 134,375 128,561 156,101 119,744 98,951 151,030 132,474 105 이상 344 379 302 297 134 224 550 474 105~100 1,1 1,334 1,178 1,211 751 875 1,922 1,432 100~95 5,776 6,722 6,343 7,282 4,748 4,972 7,733 6,869 95~90 12,946 14,500 13,903 18,726 13,816 12,500 18,509 16,828 90~85 27,579 42,242 41,595 48,814 37,482 30,452 46,704,501 85~80 26,901 45,082 42,972 52,230 41,099 32,774 51,071 44,997 80~75 8,969 15,933 15,050 18,373 13,816 10,597 15,843 13,692 75~70 3,126 5,615 4,988 6,229 5,049 4,045 5,314 4,659 70~65 901 1,613 1,450 1,861 1,656 1,395 1,829 1,672 65~ 313 717 567 781 766 752 914 844 미만 120 238 213 297 427 365 641 506 <표 1-6> 8개 소음측정군 자료의 누적 도수분포 자료 소음수준 (dba) 전체 2002 2003 2004 2005 빈도수 비율(%) 누적율(%) 상 하 상 하 상 하 상 하 소계 1,009,371 100.0 100.0 100.0 누적 % 누적 % 누적 % 누적 % 누적 % 누적 % 누적 % 누적 % 105 이상 2,704 0.3 0.3 100.0 0.4 0.3 0.2 0.2 0.1 0.2 0.4 0.4 105~100 9,869 0.9 1.2 99.7 1.7 1.3 1.2 1.0 0.7 1.1 1.6 1.4 100~95 50,445 5.0 6.2 98.8 8.3 6.3 6.1 5.6 4.7 6.1 6.8 6.6 95~90 121,728 12.1 18.3 93.8 22.9 17.1 16.9 17.6 16.2 18.8 19.0 19.3 90~85 315,369 31.2 49.5 81.7 54.2 48.5 49.3 48.9 47.5 49.5 49.9 49.9 85~80 337,126 33.4 82.9 50.5 84.8 82.1 82.7 82.4 81.9 82.7 83.8 83.9 80~75 112,273 11.1 94.1 17.1 94.9 93.9 94.4 94.1 93.4 93.4 94.2 94.2 75~70 39,025 3.9 97.9 5.9 98.5 98.1 98.3 98.1 97.6 97.5 97.8 97.7 70~65 12,377 1.2 99.2 2.1 99.5 99.3 99.4 99.3 99.0 98.9 99.0 99.0 65~ 5,654 0.6 99.7 0.8 99.9 99.8 99.8 99.8 99.6 99.6 99.6 99.6 미만 2,807 0.3 100.0 0.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0,000 300,000 315,369 337,126 측정결과(건) 200,000 100,000 0 105 이상 121,728 50,445 2,704 9,863 105-100 100-95 95-90 90-85 85-80 112,273 39,025 12,377 5,654 2,807 80-75 소음수 준(dBA) 75-70 70-65 65- 미만 [그림 1-4]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dbA 기준)의 도수분포도 소음은 에너지를 음압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대수를 취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림 1-4]에서 정리한 정규분포는 대수를 취하 지 않은 값을 사용한 경우 분포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 여 소음의 음압을 기준으로 4년간 측정된 약 100만건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그림 1-5]와 같다. 전반적으로 대수 정규분포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나 1~2 N/m 2 (Pascal) 에 해당하는 도수가 증가하는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음압은 db로 환산하는 경우 94~100dB에 해당하는 값으로 우리나라 작업환경측정에서 빈도가 많음을 알 수 있다. 1~2 Pascal의 측정 빈도가 갑자기 증가한 것은 앞의 도수 간격인 0.1 Pascal이 갑자기 1 Pascal로 늘어난 결과이기도 하다. 0.1 Pascal 간격은 약 1dB에 해당하며 1 Pascal 간격은 약 3dB에 해당한다. [그림 1-6]은 1~2 Pascal 의 범위를 0.5 Pascal로 세분한 경우의 그림이며 [그림 1-7]은 0.2 Pascal로 세 분한 경우이다. 한편 2 Pascal은 약 100 db에 해당하므로 이 이상의 소음은 국내에서 적은 부분을 차 지하여 1 Pascal 간격으로 구분하여도 분포 모양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자료는 1 Pascal(약 94dB) 이하는 0.2 Pascal 이하의 간격으로 구분 하여 도시하는 것도 적합하나 도수의 수가 20개 이상으로 너무 큰 것이 흠이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3 250000 200000 측정도수(건) 150000 100000 50000 0 0.01미만 0.1~0.01이하 0.1~0.2이하 0.2~0.3이하 0.3~0.4이하 0.4~0.5이하 0.5~0.6이하 0.6~0.7이하 0.7~0.8이하 0.8~0.9이하 2~3이하 1~2이하 0.9~1이하 음 압 ( N / m 2 ) 3~4이하 4~5이하 5~6이하 6~7이하 7~8이하 8~9이하 9~10이하 10초과 [그림 1-5]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음압 기준)의 도수분포도 1 250000 200000 도수( 건) 150000 100000 50000 0 0.1~0.01이하 0.01미만 0.1~0.2이하 0.2~0.3이하 0.3~0.4이하 0.4~0.5이하 0.5~0.6이하 0.7~0.8이하 0.6~0.7이하 0.9~1이하 0.8~0.9이하 1.5~2이하 1~1.5이하 음압수준( Pascal) 2~3이하 3~4이하 4~5이하 5~6이하 6~7이하 8~9이하 7~8이하 10초과 9~10이하 [그림 1-6]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음압 기준)의 도수분포도 2
2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250000 200000 도수(건) 150000 100000 50000 0 0.01미만 0.1~0.01이하 0.1~0.2이하 0.2~0.3이하 0.3~0.4이하 0.4~0.5이하 0.5~0.6이하 0.6~0.7이하 0.7~0.8이하 0.8~0.9이하 1~1.2이하 0.9~1이하 1.2~1.4이하 1.4~1.6이하 1.6~1.8이하 음 압 수 준 ( P a s c a l ) 1.8~2이하 2~3이하 3~4이하 4~5이하 5~6이하 6~7이하 7~8이하 8~9이하 9~10이하 10초과 [그림 1-7] 4년간 소음 작업환경 측정자료(음압 기준)의 도수분포도 3 (2) 건강진단자료의 분석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개년간의 소음에 대한 요관찰자수와 직업병유소견자 의 발생추이는 <표 1-7>과 같다. 2002년을 기준으로 요관찰자는 약 10%정도 감 소하였으나 유소견자수는 약 20% 증가하였다. 이 후 요관찰자 수는 증가하는 반 면 유소견자 수는 약간 감소하였다. 요관찰자와 유소견자의 발생추이를 발생 비 율로 보면 2003년도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어 숫자적인 증가가 특검 대상 사업장과 근로자 수 증가에 주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1-7> 년도별 소음 특수건강진단 실시 사업장수 및 유소견자수 년도 2002 2003 2004 2005 특검 사업장수 18,720 19,524 20,909 21,178 특검 인원수 336,800 318,895 380,478 0,517 사업장당 인원수 18.0 16.3 18.2 18.9 요관찰자수 53,912 48,474 55,889 61,436 요관찰자 비율(%) 16.0 15.2 14.7 15.3 유소견자수 1,720 2,108 1,994 2,007 유소견자 비율(%) 0.51 0.66 0.52 0.50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5 특검 대상자와 요관찰자 및 유소견자의 사업장 규모별 현황을 살펴보면 <표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대상 사업장의 경우 50인 미만 사업장이 전 체의 약 3/4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대상 인원수(28.6 %)나 요관찰자(34.3 %) 및 유소견자(30.2 %)의 경우 1/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중소규모 사업장 의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소음노출에 취약할 것이라는 가정과는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002년부터 2005년도까지 4개년간의 소음 작업환경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한 사업장의 소음 발생수준과 년도별 소음에 의한 요관찰자와 유소견자의 발생현 황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그림 1-8]와 [그림 1-9]에 나타내었다. 요관찰자수의 경우 소음수준과 아무런 상관성이 없는 것(p>0.05)으로 나타났으 며 유소견자의 경우 직선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소음수준과 직업병자 발생 수의 관계가 역의 상관성을 보여 의미 있는 결과를 가져다주지 못하고 있다. <표 1-8> 소음특수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년도별 자료 구분 규모 평균 비율(%) 2002 2003 2004 2005 특검 사업장수 특검인원수 요관찰자수 유소견자수 소계 20,083 100.0 18,720 19,524 20,909 21,178 5인 미만 3,053 15.2 1,933 3,586 3,203 3,491 5-50 12,115.3 11,778 11,386 12,569 12,725 50-300 4,376 21.8 4,469 4,0 4,568 4,427 300-1000 434 2.2 437 417 4 421 1000이상 105 0.5 103 95 109 114 소계 359,173 100.0 336,800 318,895 380,478 0,517 5인 미만 7,563 2.1 7,088 8,093 6,716 8,353 5-50 95,065 26.5 92,296 87,283 97,999 102,682 50-300 138,199 38.5 126,438 119,850 151,773 154,735 300-1000 48,861 13.6 50,197 46,086 51,583 47,577 1000이상 69,485 19.3,781 57,583 72,7 87,170 소계 54,928 100.0 53,912 48,474 55,889 61,436 5인 미만 1,597 2.9 1,441 1,580 1,448 1,918 5-50 17,2 31.4 16,9 15,124 17,829 19,398 50-300 20,445 37.2 19,507 17,162 21,575 23,535 300-1000 7,393 13.5 7,763 6,955 7,232 7,621 1000이상 8,254 15.0 8,592 7,653 7,805 8,964 소계 1,957 100.0 1,720 2,108 1,994 2,007 5인 미만 45 2.3 14 68 42 56 5-50 545 27.9 159 677 659 686 50-300 542 27.7 639 496 547 486 300-1000 324 16.6 752 217 143 184 1000이상 501 25.6 156 650 3 595
2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80,000,000 요관찰자수(건),000 20,000 R 2 = 0.0075 0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소음수준(dBA) [그림 1-8] 소음에 의한 직업병 요관찰자수와 소음수준의 회귀분석 결과 3000 요관찰자수(건) 2000 1000 R 2 = 0.51 0 84. 84.70 84.80 84.90 85.00 85.10 85.20 85.30 85. 소음수준(dBA) [그림 1-9] 소음에 의한 직업병 유소견자수와 소음수준의 회귀분석 결과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7 (3) 작업환경 측정자료와 특수건강진단 자료의 관련성 분석 소음에 대한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진단은 산업안전보건 사업에서 근로자 건강보호 를 위한 주요한 요소이다. 측정은 사업장의 소음수준을 파악하여 적절한 개선대책을 제시 하기 위한 것이며 건강진단은 소음에 노출된 근로자의 건강이상을 파악하여 작업전환 등 을 통해 해당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음수준의 증가는 소음성난청 발생자의 증가를 가져오며 80dB 이상의 소 음수준에서부터 소음도가 증가할수록 청력손실이 증가됨이 이미 선진국에서 증명된바 있 다(NIOSH 1972;1998). 본 연구에서는 소음이 발생하는 공정을 기준으로 작업환경측정의 결과와 청력이상의 정도를 비교하여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분석된 4년간 약 100만건의 작업환경측정 자료는 측정표 상에 작업공정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져 있으며, 소 음성난청 유소견자와 같은 소음성청력이상자에 대한 자료에도 해당 근로자가 작업하고 있 는 공정에 대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소음성난청 유소견자가 발생한 공정을 기준 으로 해당 공정의 소음수준과 난청 유소견자의 발생 빈도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단순한 빈도에 대한 자료만을 사용한 것으로 절대적인 수치만을 비교 하는 것이다. 보다 적확한 비교는 발생률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하는 것이나 이러한 경 우 소음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전체 근로자에 대한 공정을 파악하여 분모를 계수하고 해당공정에서 발생한 유소견자를 분자로 하여야한다. 실질적으로 분자(소음성난청 유소 견자)에 대한 파악은 가능하나 분모(공정별 소음 특수건강지단 인원)에 대한 자료를 파 악이 불가능하여 유소견자의 절대수치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2002년도부터 2005년도까지 4년간의 각 년도별 및 4년 전체의 자료에 대한 소음성난청 유소견자와 공정별 소음수준을 유소견자의 발생 빈도를 중심으로 <표 1-9> ~ <표 1-13>에서 정리하였다. 각 표에서는 소음성난청의 발생이 많은 공정을 중심으로 50인 이 상 발생, 10~49인 발생, 1~9인 발생 및 발생하지 않은 공정의 소음수준 측정결과를 정리 한 것이다. 공정별로 소음측정 건수가 많지 않은 경우가 있어 이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년간 측정건수가 20건 이하의 경우를 제외한 각 유소견자 군별 공정의 소음수준도 비 교하여 각 표의 하단에 정리하였다. 소음이 측정되지 않은 공정에서 일부 유소견자 발생 한 경우가 관찰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유소견자의 수치를 전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28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표 1-9>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2년도) 구분 유소견자 구분 총유소견자 (명/년) 측정건수 (건/년) 평균 (dba) 표준편차 (dba) 최소값 (dba) 최대값 (dba) 비고 50인 이상 1,089 63,554 84.54 5.55 44.2 115.9 전체 측정자료 (22,000건) 10~49인 364 34,789 86.16 5.85 41.0 113.9 1~9인 2,0 85. 5.88 47.0 120.0 0인 0 63,767 85.16 4.55 42.4 115.8 전체 자료 1,713 222,510 85.26 4.71 41.0 120.0 50인 이상 1,089 63,554 84.54 5.55 44.2 115.9 20건이상 측정자료 (21,000건) 10~49인 353 34,777 86.16 5.89 41.0 113.9 1~9인 246,324 85.61 5.49 47.0 120.0 0인 0 61,210 85.24 5.10 42.4 115.8 전체 자료 1,688 219,865 85.28 5.23 41.0 120.0 <표 1-10>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3년도) 구분 유소견자 구분 총유소견자 (명/년) 측정건수 (건/년) 평균 (dba) 표준편차 (dba) 최소값 (dba) 최대값 (dba) 비고 50인 이상 1,301 132,978 84.49 5.13 42.8 113.5 전체 측정자료 (22,000건) 10~49인 453 44,234 85.12 5.67 48.3 111.9 1~9인 333 65,434 85.85 5.13 45.5 113.6 0인 0 42,010 84.51 4.19 45.5 113.0 전체 자료 2,087 284,658 84.90 4.41 42.8 113.6 50인 이상 1,301 132,978 84.49 5.13 42.8 113.5 20건이상 측정자료 (21,000건) 10~49인 430 44,232 85.12 5.92 48.3 111.9 1~9인 296 65,300 85.85 5.28 45.5 113.6 0인 0 39,6 84.56 4.77 45.5 113.0 전체 자료 2,027 282,116 84.92 4.97 42.8 113.6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9 <표 1-11>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4년도) 구분 유소견자 구분 총유소견자 (명/년) 측정건수 (건/년) 평균 (dba) 표준편차 (dba) 최소값 (dba) 최대값 (dba) 비고 50인 이상 1,143 70,319 84.42 6.18 41.7 118.4 전체 측정자료 (22,000건) 10~49인 8 31,5 85.47 6.25 43.0 113.0 1~9인 300 45,885 84.82 5.17.0 114.6 0인 0 71,086 84.53 4.27 41.0 113.1 전체 자료 1,851 218,695 84.69 4.48.0 118.4 50인 이상 1,143 70,319 84.42 6.18 41.7 118.4 20건이상 측정자료 (21,000건) 10~49인 8 31,5 85.47 6.25 43.0 113.0 1~9인 2 45,685 84.82 5.46.0 114.6 0인 0 68,8 85.56 5.13 41.0 113.1 전체 자료 1,811 216,249 84.70 5.28.0 118.4 <표 1-12>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5년도) 구분 유소견자 구분 총유소견자 (명/년) 측정건수 (건/년) 평균 (dba) 표준편차 (dba) 최소값 (dba) 최대값 (dba) 비고 50인 이상 1,278 142,476 85.18 6.31.3 119.0 전체 측정자료 (22,000건) 10~49인 381 29,104 85.12 5.76 41.8 109.4 1~9인 320 42,098 84.50 4.85 41.7 115.5 0인 0 69,826 85.14 4.07 43.8 114.0 전체 자료 1,979 283,504 85.06 4.29.3 119.0 50인 이상 1,278 142,476 85.18 6.31.3 119.0 20건이상 측정자료 (21,000건) 10~49인 3 29,102 85.12 5.96 41.8 109.4 1~9인 275 41,973 84.51 5.09 41.7 115.5 0인 0 67,5 85.20 1.81 43.8 114.0 전체 자료 1,913 281,091 85.08 4.97.3 119.0
30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표 1-13> 유소견자수 구분에 따른 공정별 소음수준 (2002~2005년도/전체) 구분 전체 측정자료 (22,000건) 20건이상 측정자료 (21,000건) 유소견자 구분 총유소견자 (명/년) 측정건수 (건/년) 평균 (dba) 표준편차 (dba) 최소값 (dba) 최대값 (dba) 50인 이상 6,222 568,719 84.87 6.19.3 119.0 10~49인 1,007 154,5 85.26 5.63.0 120.0 1~9인 552 162,8 85.45 5.44 41.7 115.8 0인 0 123,435 84.53 4.67 41.0 113.0 전체 자료 7,781 1,009,367 84.98 4.91.0 120.0 50인 이상 6,222 568,719 84.87 6.19.3 119.0 10~49인 961 154,586 85.26 5.76.0 120.0 1~9인 517 162,448 85.45 5.58 41.7 115.8 0인 0 121,204 84.55 5.05.0 113.0 전체 자료 7,700 1,006,957 84.99 5.28.0 120.0 비고 이상의 자료를 분석하여보면 각 년도별 자료와 4년간을 종합한 자료 공히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의 발생빈도와 해당 공정의 소음치 사이에 상관관계가 뚜 렷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50인 이상의 유소견자가 발생한 공정의 소음 수준 이 10~49인의 유소견자 발생 공정보다 낮거나 오히려 유소견자가 발생하지 않 은 경우의 소음도가 유소견자가 발생한 공정보다 약간이나마 높은 경우도 있 다. 이러한 상관성 미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직업 이외(군 경력, 기왕력, 또는 취미성향 등)에 의한 소음성 난청발생 가능성, 작업환경 측 정결과가 공정별로 차이가 적을 가능성, 고소음 공정에서는 비교적 보호구의 사용이 잘 이루어졌을 가능성, 소음성난청 유소견자에 대한 작업전환이 이루어 졌을 가능성 등을 들 수 있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1970년과 1996년에 각각 소음성 난청과 소 음수준의 연관성을 분석하기위해 사용한 자료는 대개 19년대에 청력보호구가 사용되지 않은 시기의 자료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최근의 건강진단 표 상의 난청 및 소음수준 자료를 사용하여서는 두 인자간의 발생관계를 제대 로 규명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인섭(2005)도 소음의 발생과 난청자의 상관성 분석에서 유의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1 2. 간이소음측정기의 개발 (1) 개발 개요 디지털 녹음방식을 이용한 간이소음측정기의 개발은 기본적으로 현재 국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소음누적노출량계(noise dosimeter)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소형이며 근로자의 이용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추 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접근하였다. 시판되는 소음누적노출량계는 비교적 소형이고 현장에서 측정된 결과 에 대한 확인이 즉시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크기와 무게는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점차 작아지고 있는 반면 가격은 점차 상승하는 추세에 있어 최신형의 경우 국내가로 대당 100만원에 육박하는 경우도 있다. 개발을 목표로 하는 간이소음계는 가격과 근로자 이용성 증대를 위해 현장에서는 녹음기능을 이용하여 소음에 대한 녹음만을 실시하고 실험 실로 간이소음계를 옮겨 측정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소음 기의 개발은 소음에 대한 공학적 이해와 전자기기에 대한 고도의 기술 과 해석이 있어야만 가능하므로 제한된 예산과 시간 내에서 상업적 제 품을 생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소음진동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명성을 가지고 있는 덴마크 B&K사의 경우 100년 이상의 역사와 기술적 노하우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들어 소음계의 국산화를 이루었으나 국 제 시장에서의 상용성과 인지도는 아직은 매우 낮은 것이 현재의 실정 이다. 또한 소음계는 마이크로폰, 증폭기(amplifier) 및 지시계와 이를 전자적으로 제어 관리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이 따라야 하므로 기존의 상업적 제품을 일부 개조 또는 변경시켜 사용할 경우 국내외 적으로 특허를 침해하여 분쟁에 휘말릴 위험도 내 포하게 된다.
3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따라서 국제적인 특허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이용이 가능한 방법으로 접근하기위해 현재 국내 시장에서 상업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MP3 Player나 전자녹음기(voice recorder)를 이용하여 녹음을 실시하는 방법 을 기초로 개발을 시도하였다. 녹음기능과 분석기능을 분리할 경우 실 험실에서의 결과 처리에 대한 부담이 있기는 하나 소형화와 생산 단가 의 절감이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행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의한 측정의 경우에도 현장에서 결과를 바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추 후에 보고서로 제출되므로 측정결과를 근로자나 사업주에게 제공을 위 한 절차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디지털 녹음방식을 이용한 간이소음계의 개발이 이루어지는 경우 차 년도에 일반 개인용 컴퓨터에서 구동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를 별도로 개발하여 보급하게 된다면 작업환경 측정기관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며 근로자가 자신이 작업하는 작업장의 소음을 알고 싶은 경우 공단에 요청하여 간이소음계로 측정을 실시하고 간이소음계를 다시 공 단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소음노출에 대한 파악과 궁금증 해소가 가능하 다고 할 수 있다. 간이소음계의 구체적인 개발 목표는 <표 2-1>에서 정리된 바와 같이 표준소음측정기기(gold standard)와의 오차를 1.5dBA 미만으로 하였으 며 최대오차가 2.0dBA를 초과하지 않도록 추진하였다. 녹음 주파수는 일반소음계와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도록 20~20,000 Hz로 정하였으나 사업장에서 실제로 발생되는 소음의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의 비율이 비교적 크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소음치에 대한 목표 오차에 큰 영향이 없는 경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상업적 MP3 Player나 녹음기의 기능을 최대한 이용하기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3 <표 2-1> 디지털 녹음방식을 이용한 간이소음기의 개발 목표 항목 단위 개발 목표치 평가방법 주파수특성 Hz 20Hz~20kHz 실측 오차 db 1.5dB 이내 실측 Dynamic Range db db 이상 실측 작동시간 hour 10시간 이상 실측 무게 g 50그램 이하 실측 파일포맷 - MP3 또는 Wav 파일 실측 전송 방식 - USB 방식 실측 (2) 음향 장치의 이해 가) 디지털 녹음 소리는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양과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 키는 물리량으로써 아날로그 값이라 할 수 있다. 이 신호를 양자화란 방법을 통해 2진법의 0과 1의 부호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방식을 디지털 녹음이라 일컫 는다. 이 방법은 녹음 재생을 반복하여도 음질이 떨어지지 않아 고품질의 신호 를 녹음하고 재현할 수 있어 기존의 저장방법 및 매체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 다. 디지털 녹음방법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기 위해서 A/D (Analog/Digital) Converter가 필요한 데 이 중 대표적인 방법이 PCM(Pulse Code Modulation)방식이다([그림 2-1] 참조). PCM의 신호변환과정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신호의 진폭을 일정한 간격의 실수형태로 추출 하고 샤논의 샘플링 정리(Shannon's sampling theory)에 의해서 입력신호의 2배 이상의 빈도로 표본화한다. 이어서 표본화된 파동의 크기를 정수로 수치화 하여 이를 부호형태로 표시하는데 이를 양자화(quantization)이라 한다. 양자화 되어진 진폭의 수치 값을 0 과 1의 2진수로 변환하는 것이 디지털 신호 변환이 라 하며, 이 값을 저장하는 방법이 디지털 녹음이다(Udo Zoler, 1997).
3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그림 2-1]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디지털 녹음한 데이터는 전송이 빠르고 잡음이 없는 등의 장점이 많아 최근 에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나) 디지털 녹음의 응용 초기의 아날로그 방식이었던 자기테이프를 이용한 녹음 방법에서 Compact Disc에 기록하는 디지털 녹음 방법이 개발됨으로써 음향 처리 및 저장 분야 에서의 디지털화가 시작되었다. 음향 신호의 디지털 화에 따른 데이터의 형태 에 따라 DAT, WAV, MPEG-1 Audio Layer-3 등의 종류로 나뉘게 되는데 이것은 신호의 압축방법에 의한 분류로써 크기와 음질에 가장 큰 차이가 있 다. DAT 파일은 Digital Audio Tape에 기록되는 형식으로써 가장 좋은 음질 의 저장형태이며 그 크기 또한 가장 크다. 정밀 소음 측정 장치의 데이터 저 장 형태로써 널리 쓰이고 있으나 큰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WAV 파일 형태는 컴퓨터 음악에서 가장 많이 쓰이 는 오디오 파일 포맷의 하나로써 고음질의 신호로 저장이 가능하나, 이 역시 대용량의 공간을 요구하여 장시간의 신호녹음에는 적합하지 않다. MP3는 MPEG-1 Audio Layer-3의 줄임말로써 원음을 압축하는데 가장 적합한 파일 형태이다(David Miles Huber, 2005). 소음 신호를 8시간가량 디지털 녹음하면 기존의 CD 1장의 용량에 해당하는 700MB이상의 데이터 용량이 필요한데 이 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는 MP3 파일 포맷 형태가 가장 효과적이다. 디지털 데이터 압축의 하나인 MP3 압축방식은 ISO/IEC의 동영상 신호 와 관련한 압축을 연구하는 단체인 MPEG에 의해 발표된 표준으로써 오 늘날 가장 많이 쓰이는 압축 기술 표준 중의 하나이다. 이 방법은 손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5 압축이라고도 표현되며 인간의 심리적 음향 모델을 기준으로 인식 코딩 (Perceptive cod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어떤 신호가 다른 신호에 의해서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정보를 줄이는 방법으로 압축하 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장점은 데이터 량의 획기적인 감소라 할 수 있지만 아날로그 신호를 부호화 할 때 나타나는 음의 왜곡과 손실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IEC, 2006) 다) 음향 장치의 현황 본 연구에 응용이 가능한 음향 장치로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누어 오디 오 음향 재생장치인 MP3 Player, 음성 녹음장치로 널리 쓰이는 Voice Recorder, 어학용으로 많이 쓰이는 테이프 레코더를 선택할 수 있다. MP3 Player는 1997년 국내에서 출시한 모델이 세계 최초의 제품이며 반도체 기 술 및 제반 기술의 발전으로 세계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MP3 Player는 MPEG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 장치 및 방법(등 록번호 0287366, 1997)으로 처음 공개되었다. MP3 음원 압축방식의 개발 특허는 1989년 독일의 Fraunhofer Institute에서 자국 특허를 취득하였다. MP3는 원천기술을 제정한 ISO/MPEG에서 기술 표준을 제정하고 공개하였 지만, 특허권은 국내 업체가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미국의 음향기기 제작업 체에 소유권이 이전된 상태이다. 하드웨어의 경우 국내의 기업들이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며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나 관련 업체 또한 산업 재산 권 침해 소지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Voice Recorder는 음성의 녹취를 위해 고안된 제품으로써 개발 당시에는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소형 Magnetic tape을 이용하였으나 저장 메모리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현재는 경량의 소형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음성회화 영역을 녹음하는 장비이므로 8k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의 소리는 녹음할 수 없다고 알려있지만, 최근 에는 기존의 음향기기 업체들이 광대역의 음원을 녹음 재생할 수 있는 고 사양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3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3) 개발 실험 방법 1) 음향 장치 가) 시험 대상장치 선정 음원을 실시간으로 녹음하고 처리하는 장치의 선정을 위해 시판 중인 음향장치 중 녹음 재생이 가능한 장치를 파악하였다. 부피가 크지 않고, 디지털 녹음방식으로 음원을 처리하며 10시간 이상의 작동 시간을 가지 는 기기로는 현재 시판중인 MP3 Player, Voice Recorder 등이 있다. MP3 Player는 본래 음원의 재생을 위한 장비인데 전자기기의 Digital Convergence화에 따른 영향으로 최근에는 녹음 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기 능들이 추가되어 있다. Voice Recorder는 회의나 강의 등을 녹취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이며 녹음 방식은 MP3 Player와 큰 차이가 없으나 인간의 음 성주파수 영역을 녹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시험 대상 장치의 선 정을 위해서 시판중인 음향녹음재생장치의 제원을 파악하여 <표 2-2>와 같이 분류하였다. MP3 Player의 경우 제원에 공개된 규격 중 주파수 범위는 공히 20Hz ~ 20kHz이며, Voice Recorder는 기기별로 범위가 다르나 최대 13.5kHz 이상, 최소 80Hz 이하의 주파수 범위의 신호는 처리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주파수 응답 특성 실험을 위해 입력 신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음향 장치 모두 외부 입력단자를 가져야 하고 녹음한 데이터를 그대로 재생하여야만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므로 녹음 재생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선정을 하였 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MP3 Player 10대, Voice Recorder 5대를 실험장치 로 선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7 <표 2-2> 간이소음기 개발을 위한 실험대상 녹음장치 목록 연번 구분 제품명 장치규격 주파수범위 녹음방식 용량 전원 무게 (g) 비고 1 MP3P-1 Cowon F-2 20Hz~20KHz Voice,Line-in 2G Built-in 39 2 MP3P-2 Cowon I-7 20Hz~20KHz Voice,Line-in 8G Built-in 53 3 MP3P-3 Cowon U-3 20Hz~20KHz Voice,Line-in 2G Built-in 45 1.5V 4 MP3P-4 I-RIVER T30MT 20Hz~20KHz Voice,Line-in 2G (AAA) 5 MP3P-5 I-RIVER IFP-890 20Hz~20KHz Voice,Line-in 512M 1.5V (AAA) 6 MP3P-6 I-RIVER IFP-790 20Hz~20KHz Voice,Line-in 256M 1.5V (AAA) 62 단종 7 MP3P-7 MCODY MX-250M 20Hz~20KHz Voice,Line-in 2G Built-in 42 8 MP3P-8 MCODY MX-700M 20Hz~20KHz Voice,Line-in 2G Built-in 43 9 MP3P-9 Oracom UB950 20Hz~20KHz Voice,Line-in 2G Built-in 50 10 MP3P-10 CMTECH-C365 20Hz~20KHz Voice 2G Built-in 34 11 VR-1 CENIX-W0 500Hz~5.1KHz Voice,Line-in 128M 1.5V (AAA) 12 VR-2 SAFA-R200 0Hz~3.5KHz Voice,Line-in 512M 1.5V (AAA) 13 VR-3 Samsung yepp 100Hz~4.0KHz Voice,Line-in 32M 1.5V (AAA) 14 VR-4 SVR-S3 0Hz~3.5KHz Voice,Line-in 128M 1.5V (AAA) 15 VR-5 Sony ICD ST-25 80Hz~13.5KHz Voice,Line-in 32M 1.5V (AAA) 80 70 75
38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나) 주파수 응답특성 실험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인 20Hz ~ 20kHz의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기기를 선정하기 위해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실험을 실시하 였다. 주파수 응답은 신호의 진폭이 일정한 입력 신호를 음향 장치에 입력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거동을 살펴봄으로써 장치의 주파수 처리 능력을 분석할 수 있는 실험이다. 입력 신호 대비 출력신호의 반응의 크기(amplitude, db)를 관측 하여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 앰프나 스 피커 등의 음향 시스템 성능 실험에 쓰이는 기본적인 실험 방법이다. [그림 2-2 ]와 같이 분석기에서 정현파 신호를 발생 시키고 이를 음향장치의 외부 입력단자를 통해 직접 입력 시킨다. 입력 된 신호는 음향장치 고유의 신 호처리 방식에 의해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를 거쳐 주파수 대역 별 신호의 찌그러짐과 평탄 특성을 계측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음향장 치 별 주파수 대역범위를 파악하고 간이 소음녹음 장치에 적합한 기기를 선정 하였다. 실험에 사용 된 정밀 분석기(B&K 35C)는 분석과 동시에 다양한 종 류의 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표준 신호와 음향장치의 재 생 신호를 비교해야 하므로 단일 파형의 1V Peak(0dB) 정현파(Sine signal)를 이용하였다. 표준 신호의 계측을 위해서는 신호발생장치에서 만들어진 신호는 분석기로 직접 입력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분석기(Fast Fourier Transform analyzer: FFT)로 분석하였으며, 각 음향 장치에 입력된 신호는 출력단자를 통 해 분석 장치로 입력하여 표준 신호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음향 장치의 신호처리 주파수 대역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인 20Hz ~ 20kHz로 설정하고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장비는 개발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다) 소음 녹음 실험 정밀 분석 장치에 내장된 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20~20kHz의 랜덤 신호를 증폭기가 내장된 스피커의 입력단자에 인가하고, 음량조절 볼륨을 사용하여 -105dB정도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9 [그림 2-2] 주파수 분석 장치의 모식도 한국표준협회(2002; 2004)의 기준에 따라 [그림 2-3]과 같이 스피커에서 발생 되는 랜덤 방사 음원은 각각 표준 신호 측정 마이크로폰(B&K 4189 A021)과 음향 장치의 마이크로폰에 입력되어, 표준 신호는 정밀 분석 장치로 분석하고 음향장치에 녹음된 신호는 다시 재생 하여 정밀 분석 장치로 입력하여 분석하 였다. 소음을 녹음하기에 앞서 기준음향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입력하여 측정 및 녹음을 하였다. 이는 기존 사운드 레벨 미터의 음압 교정과 동일한 개념으 로써 신호 발생기에서 만들어내는 1kHz, 94dB의 기준음향 신호를 표준 신호 측정 마이크로폰으로 측정하여 지시하도록 하고, 동일한 음원이 녹음된 음향장 치를 재생하여 94dB의 음압수준을 지시할 수 있도록 감도를 조정하였다. 그리 고 일정 시간동안 발생되는 신호는 등가소음도(Equivalent-Continuous Sound Level, Leq)를 계산하기 위해 각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표시하도록 Overall Level Analyz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t) = sound pressure in pascal P 0 = reference sound pressure, 20μPa T = measurement period(run time or time history interval)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그림 2-3] 신호발생 및 분석 장치의 모식도 또한 표준 신호와 녹음 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편차를 측정하기 위해 Constant Percentage Bandwidth Analyzer를 사용하여 1/3 Octave band 별로 소음도를 분석하였다(브뤼엘 엔드 케아 코리아, 2007). 라) 동적 범위(Dynamic range) 실험 동적 범위(Dynamic range)는 신호의 최대 레벨과 최소레벨 혹은 잡음 레벨의 폭이며, 음향 재생장치에서는 신호의 출력 시 찌그러짐이 없이 처리 하는 범위를 말한다. 본 실험에서는 주파수 분석과 녹음 실험을 통해 선정 된 MP3 Player의 유효 입력신호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정현파 1kHz의 신 호를 직접 입력하였다. 10μV부터 1V까지의 전기 신호를 2dB 간격으로 순 차적으로 증가시켜 녹음 시킨 후 다시 재생 하여 동적 범위를 시험하였다. 동적 범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마이크로폰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 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이 시험을 통해 소음녹음장치에 적합한 음향장치의 동적범위를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1 녹음신호 전압(V) : 10μV, 13μV, 16μV, 20μV, 25μV, 32μV, μv, 50μV, 63μV, 79μV, 100μV, 126μV, 159μV, 200μV, 251μV, 316μV, 398μV, 501μV, 631μV, 794μV, 1mV, 1.3mV, 1.6mV, 2.0mV, 2.5mV, 3.16mV, 4.mV, 5.0mV, 6.3mV, 7.94mV, 10mV, 13mV, 16mV, 20mV, 25mV, 32mV, mv, 50mV, 63mV, 79.4mV, 100mV, 126mV, 159mV, 200mV, 251mV, 316mV, 398mV, 501mV, 631mV, 794mV, 1000mV 2) 음향 센서 실험 가) 마이크로폰의 선정 휴대형 녹음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은 센서와 증폭회로가 내장되 어있는 방식으로 Zero-Offset 및 이득의 조정이 되어 있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을 선정하였다. 간이 소음 측정 장치에는 저가의 부품 중에 측정의 정확도를 가진 마이크로폰이 채택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소음 측정 정밀 마이크로폰은 제 외하고 음향 시스템에 주로 쓰이는 소형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대상으로 마이 크로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림 2-4] 콘덴서 형 마이크로폰의 모식도
4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이 형태의 마이크로폰은 일렉트렛(Electrets)이라는 반영구적인 전하(Electric charge)를 가지는 후판과 환형 금속에 PET 필름을 접합하여 제작한 진동판 (Diaphrag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동판과 후판 사이에 정전기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판과 진동판사이에 형성된 정전기장의 정전용량은 진동판이 접근한 거리에 비례하는 양만큼 증가하게 되고, 음성신호가 마이크로폰의 음향공 (Sound hole)으로 입사를 하게 되면 그 입사 음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 진동판이 후판에 가까워 진만큼 정전용량은 증가하고, 진동판이 후 판에 멀어지는 만큼 정전용량은 감소한다. 이렇게 정전용량이 변화를 일으킨 만큼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전압을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증 폭하여 마이크로폰으로 사용한다. 이를 콘덴서 마이크로폰 또는 일렉트렛 콘덴 서 마이크로폰(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이라 한다. 나) 마이크로폰 특성 실험 마이크로폰의 특성 실험을 위해 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범위 는 20Hz ~ 20kHz 이며, 음압은 ~ 100dB 의 랜덤 신호를 발생하도록 측 정기를 구성하였다. 발생음원으로부터 표준 음향신호 측정 마이크로폰과 측정 마이크로폰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고 두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 는 고속 푸리에 변환 분석기에 입력하여 분석하였다. 신호발생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는 음압의 수준을 100dB로부터 5dB씩 감소시켜 65dB까지 조절하였으며, 각각의 음향레벨에 대한 표준 음향신호 측정 마이크로폰과 측정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비교하여 각 마이크로폰 별 기저 음압 수준과 측정 주파수 대역을 분석 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3 (4) 간이소음계 개발 결과 1) 주파수 응답특성 실험 선정된 17종류의 음향장치에 대한 주파수 응답특성 결과를 아래 <표 2-3> 에 나타내었다. 표준응답신호의 측정을 위해 정밀 소음 측정 장치인 DAT Recorder를 사용하여 음향장치와 비교하였으며, 아날로그 신호 녹음방식의 어 학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측정 하여 디지털 방식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주파수 응답특성 결과는 응답 대역 폭 외에 대역별 평탄 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신호 응답 범위가 20Hz ~ 20kHz에 이른다 하더라도 표준 입력신호 대비 출력신호의 찌그러짐이 ± 3dB 이상 관측되는 장치는 제외 하였다. 주파수 응답특성 실험의 표준장비로 사용된 DAT Recorder의 경우 횟수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음의 완벽한 재생이 가능하 다. DAT Recorder의 응답특성은 입력 신호 대비 주파수 대역폭은 20Hz ~ 20kHz 이며 평탄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MP3 Player는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이므로 저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정하거나 입체음을 만들어주는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고 측정하였다. 주파수 응답특성 범위는 최 소 20Hz에서 최대 20kHz 이었으며, 제작 사에 따라 일부 제품은 주파수 응답 최대 범위가 15kHz로 측정되어 소음녹음용으로 적합하였다. Voice Recorder의 주파수 응답특성실험 결과 응답대역은 최대 13.5kHz로 MP3 Player의 신호처리 주파수 대역폭에 미치지 못하며 평탄도가 고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향의 크기에 따라 이득이 자동으로 조절되 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고음압 신호의 입력 시 장치를 보호할 수는 있으 나 대체로 음이 찌그러지는 왜곡현상이 일어나 소음 녹음용으로는 적합하 지 않았다. 어학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쓰 고 지우는 방식이므로, 녹음 재생을 반복할 경우 녹음 신호의 재생에 왜곡
4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이 일어날 수 있다. 주파수 응답특성실험 결과 최소300Hz에서 최대 10kHz 의 주파수 대역폭이 측정되었으며, 평탄한 구간이 관측되지 않아 소음 녹음 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표 2-3> 실험대상 녹음장치의 주파수 응답특성 실험결과 연번 음향장치 용도 주파수대역 평탄도 적용성 1 DAT Recorder 정밀소음측정용 20Hz ~ 20kHz 0dB 적합 2 MP3P-1 MP3 Player 20Hz ~ 20kHz ±3dB 가능 3 MP3P-2 MP3 Player 20Hz ~ 20kHz ±3dB 가능 4 MP3P-3 MP3 Player 20Hz ~ 20kHz 0dB 적합 5 MP3P-4 MP3 Player 20Hz ~ 15kHz 0dB 가능 6 MP3P-5 MP3 Player 20Hz ~ 15kHz 0dB 가능 7 MP3P-6 MP3 Player 20Hz ~ 15kHz -0.2dB 가능 8 MP3P-7 MP3 Player 20Hz ~ 20kHz ±2dB 가능 9 MP3P-8 MP3 Player 20Hz ~ 20kHz ±0.5dB 가능 10 MP3P-9 MP3 Player 20Hz ~ 20kHz 0dB 적합 11 MP3P-10 MP3 Player 20Hz ~ 9kHz ±10dB 불가 12 VR-1 Voice recorder 20Hz ~ 7.7kHz ±0dB 불가 13 VR-2 Voice recorder 100Hz ~ 4kHz ±2dB 불가 14 VR-3 Voice recorder 100Hz ~ 3kHz ±0.5dB 불가 15 VR-4 Voice recorder 200Hz ~ 3kHz ±2dB 불가 16 VR-5 Voice recorder 20Hz ~ 13.5kHz ±1dB 불가 17 Cassette recorder 어학용 300Hz ~ 10kHz ±1.5dB 불가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5 1 DAT Recorder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db/1.00 V] -4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8-12 -16-20 -24 100 300 1k 3k 10k [Hz]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정밀 소음진동 측정 장비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 -in 특 성 : 전 주파수에 걸쳐 주파수 응답특성이 평탄하다.
4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2 MP3 player 가 MP3P-1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 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성 : 3,000Hz 이하 주파수 영역의 응답특성이 평탄하지 않으며, 특히 1,000Hz 영역의 신호처리에 적합하지 않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레벨 을 조절할 수 있는 Equalizer의 영향 및 3D surround효과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7 나 MP3P-2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3,000Hz 이하 주파수 영역의 응답특성이 평탄하지 않으며, 특히 1,000Hz 영역 의 신호처리에 적합하지 않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Equalizer의 영향 및 3D surround효과의 영향으로 판단됨. 동일 제조사의 타 제품과 비 슷한 특성이 나타남을 고려할 때 제조사 특유의 음향재생방법 및 기술로 여겨진다.
48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다 MP3P-3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db/1.00 V] 0 Autospectrum(Signal 2)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4-8 -12-16 -20 100 300 1k 3k 10k [Hz]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입력신호에 대해서 응답특성이 전 주파수 범위에 대해 고르 게 평탄하며 3KHz 이상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잔물결(ripple) 형상은 전 체 레벨 수준에 미미한 영향을 미칠 정도이다. 8dB 정도 낮게 재생되는 신호는 재생출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9 라 MP3P-4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입력신호에 대해서 응답특성이 전 주파수 범위에 대해 고르 게 평탄하며 소음 녹음 분석 실험에 적합하다. 전 주파수 영역에 대해 서 신호의 찌그러짐과 왜곡 없이 응답하므로, 4dB 정도 낮게 재생되는 신호는 재생출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
50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마 MP3P-5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db/1.00 V] 0 Autospectrum(Signal 2)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20 - - -80 100 300 1k 3k 10k [Hz]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입력신호에 대해서 응답특성이 전 주파수 범위에 대해 고르 게 평탄하며 소음 녹음 분석 실험에 적합하다. 전 주파수 영역에 대해 서 신호의 찌그러짐과 왜곡 없이 응답하므로, 8dB 정도 낮게 재생되는 신호는 재생출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51 바 MP3P-6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입력신호에 대해서 응답특성이 전 주파수 범위에 대해 고르 게 평탄하며 소음 녹음 분석 실험에 적합하다. 전 주파수 영역에 대해 서 신호의 찌그러짐과 왜곡 없이 응답하므로, 4dB 정도 낮게 재생되는 신호는 재생출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
5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사 MP3P-7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재생 주파수 범위는 20~2,000Hz 이나, 3KHz 이하 대역에서 의 응답특성이 떨어진다.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잔물결(ripple)형상이 관찰되므로 소음 녹음 분석 실험 시 오차를 유발 할 수 있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53 아 MP3P-8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재생 주파수 범위는 20~2,000Hz 이나, 3KHz 이상에서 잔물 결(ripple)이 관찰된다.
5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자 MP3P-9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입력신호에 대해서 응답특성이 전 주파수 범위에 대해 고르 게 평탄하며 소음 녹음 분석 실험에 적합하다. 전 주파수 영역에 대해 서 신호의 찌그러짐과 왜곡 없이 응답하므로, 4dB 정도 낮게 재생되는 신호는 재생출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55 차 MP3P-10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MP3 play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20kHz 입 력 : Voice-in 특 징 : 재생 주파수 범위는 20Hz ~ 9kHz이며, 전 범위에 걸쳐 응 답특성이 평탄하지 않다. 장치의 특성상 Line in 입력단자가 없어 내장 마이크단자에 신호를 직접 입력하여, 신호처리장치 내부의 증폭기의 영 향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왜곡현상이 관찰되었다.
5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3 Voice Recorder 가 VR-1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Voice Recorder 입력신호 : 20Hz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Hz ~ 7.7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재생 주파수 범위는 20Hz ~ 7.7kHz로 중분한 주파수 범위 를 갖지 못한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57 나 VR-2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Voice Recorder 입력신호 : 20 ~ 20kHz, 1V(0dB) 재생범위 : 100 ~ 4kHz 입 력 : Line-in 특 징 : 100~4,000Hz까지 재생되나 평탄하지 못함. 전 주파수 범위 에 걸쳐 평탄한 대역을 찾을 수 없으므로, 특정주파수 대역에 적합한 녹음장치로도 사용할 수 없다.
58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다 VR-3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20-24 -28-32 -36 100 300 1k 3k 10k [Hz]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Voice Recorder 입력신호 : 20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 ~ 3kHz 입 력 : Line-in 특 징 : 20~3,000Hz까지의 주파수범위에서 재생되며, 150Hz 부근에 서 -0.5dB 정도의 골(Dip)이 생긴다. 골의 크기는 작으므로 큰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3,000Hz의 주파수 범위는 소음 녹음용으로는 적 합하지 않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59 라 VR-4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Voice Recorder 입력신호 : 20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0 ~ 3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재생 주파수 범위는 200 ~ 3kHz로 전형적인 음성녹음기의 특성을 나타내며, 응답 특성 중 평탄한 범위가 300 ~ 1kHz로 소음 녹 음실험에 적합하지 않다.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마 VR-5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Voice Recorder 입력신호 : 20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 ~ 13.5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주파수 응답특성 범위가 20 ~ 13.5kHz로 Voice Recorder의 특성 중에서는 가장 좋으나, 10kHz 이상의 신호는 처리할 수 없는 것으 로 판단되었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61 4 어학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가 Cassette tape recorder [db/1.00 V] Autospectrum(Signal 1) - Input Working : Input : Input : FFT Analyzer 0-4 -8-12 -16 100 300 1k 3k 10k [Hz] 표준 입력신호 녹음/재생 특성 구 분 : 어학용 Cassette tape recorder 입력신호 : 20 ~ 20kHz, 1V(0dB) 재생범위 : 20 ~ 13.5kHz 입 력 : Line-in 특 징 : 재생 주파수 범위에서 평탄특성을 찾을 수 없으며, 1KHz ~ 3KHz 대역의 신호만 처리 할 수 있으므로 소음 녹음으로는 적합지 않 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62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2) 소음 녹음 실험 표준 신호 측정 마이크로폰(B&K 4189 A 021) 과 음향 장치의 소음도를 비 교 분석하기 위하여 소음의 시간 파형을 측정하였다. 표준 측정 장치와 음향 장치의 누적 소음도와 측정 시간에 대한 평균 소음도를 상호 비교하여 가장 오 차가 적은 음향장치를 선정하였다. Voice Recorder의 일부 모델의 경우 90dB 이상의 음이 포화되어 녹음이 되지 않았고, 가장 좋은 모델도 100dB 이상의 음 은 처리 되지 않아 시간 파형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MP3 Player의 경 우 주파수 응답특성이 양호한 3가지 모델이 평균 음압수준이 1dB 이내로 계산 되었다(<표 2-4> 참조). <표 2-4> 실험대상 녹음장치에 대한 소음녹음 실험 결과 연번 음향장치 누적소음도 등가소음도 보정오차 시간 파형 적합성 1 MP3P-3 1dB 1dB 0dB 적합 2 MP3P-4 0dB 0.6dB 0.6dB 비선형적 가능 3 MP3P-5 0dB 0.2dB 0.2dB 적합 4 MP3P-8 2dB 2.7dB 0.7dB 가능 5 MP3P-9 1dB 0.7dB 0.3dB 적합 6 MP3P-10-1dB -0.5dB 100dB이상 포화 불가 7 VR-1-4dB -4dB 100dB이상 포화 불가 8 VR-2-4dB -3.8dB 100dB이상 포화 불가 9 VR-3-7dB -7.4dB 90dB이상 포화 불가 10 VR-4-11dB -10.7dB 90dB이상 포화 불가 11 VR-5-8dB -7.9dB 90dB이상 포화 불가
Ⅲ. 연구결과 및 고찰 63 1 MP3 Player 가 MP3P-3 [db(a)/20.0u Pa] Exp(Signal 1) - Input1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00 80 Cursor Values Y = 98.8 db(a)/20.0u Pa Overall Z = 36.75 s Centre = 111.9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6:09:49.998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s] (Time) Delta Sum = 124dB(A)/20.0u Pa Mean = 96.4dB(A)/20.0u Pa 표준 음향 신호 [db(a)/20.0u Pa] Exp(Signal 2) - Input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20 100 80 Cursor Values Y = 99.4 db(a)/20.0u Pa Overall Z = 36.25 s Centre = 111.6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6:23:11.170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s] (Time) 녹음/재생 출력 신호 Delta Sum = 125dB(A)/20.0u Pa Mean = 97.4dB(A)/20.0u Pa 구 분 : MP3 Player 음향신호 : Random Noise 80~105dB 주파수범위 : 20Hz ~ 20kHz 입 력 : Line-in(외부 마이크로폰) 녹음시간 : 250 sec 적분시간 : 150 sec 시간평균값 : 표준음향신호(96.4dB), 출력신호(97.4dB) 신호레벨 차 : 1dB
64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나 MP3P-4 [db(a)/20.0u Pa] Exp(Signal 1) - Input1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00 80 Cursor Values Y = 101 db(a)/20.0u Pa Overall Z = 83.75 s Centre = 99.88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6:36:50.936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s] (Time) 표준 음향 신호 Delta Sum = 126dB(A)/20.0u Pa Mean = 97.8dB(A)/20.0u Pa [db(a)/20.0u Pa] Exp(Signal 2) - Input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00 80 Cursor Values Y = 105 db(a)/20.0u Pa Overall Z = 29.25 s Centre = 104.4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7:28:25.263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s] (Time) 녹음/재생 출력 신호 Delta Sum = 126dB(A)/20.0u Pa Mean = 98.4dB(A)/20.0u Pa 구 분 : MP3 Player 음향신호 : Random Noise ~105dB 주파수 범위 : 20 ~ 20kHz 입 력 : Line-in(외부 마이크로폰) 녹음시간 : 250 sec 적분시간 : 150 sec 시간평균값 : 표준음향신호(97.8dB), 출력신호(98.4dB) 신호레벨 차 : 0.6dB
Ⅲ. 연구결과 및 고찰 65 다 MP3P-5 [db(a)/20.0u Pa] Exp(Signal 1) - Input1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00 80 Cursor Values Y = 110 db(a)/20.0u Pa Overall Z = 51.75 s Centre = 95.88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7:04:31.999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s] (Time) Delta Sum = 126dB(A)/20.0u Pa Mean = 98.2dB(A)/20.0u Pa 표준 음향 신호 [db(a)/20.0u Pa] Exp(Signal 2) - Input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20 100 80 Cursor Values Y = 93.8 db(a)/20.0u Pa Overall Z = 20.00 s Centre = 94.87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7:10:07.138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s] (Time) 녹음/재생 출력 신호 Delta Sum = 126dB(A)/20.0u Pa Mean = 98.4dB(A)/20.0u Pa 구 분 : MP3 Player 음향신호 : Random Noise ~105dB 주파수범위 : 20 ~ 20kHz 입 력 : Line-in(외부 마이크로폰) 녹음시간 : 250 sec 적분시간 : 150 sec 시간평균값 : 표준음향신호(98.2dB), 출력신호(98.4dB) 신호레벨 차 : 0.2dB
66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라 MP3P-8 [db(a)/20.0u Pa] Exp(Signal 1) - Input1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00 80 Cursor Values Y = 96.3 db(a)/20.0u Pa Overall Z = 22.25 s Centre = 97.13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7:42:50.499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s] (Time) 표준 음향 신호 Delta Sum = 123dB(A)/20.0u Pa Mean = 94.8dB(A)/20.0u Pa [db(a)/20.0u Pa] Exp(Signal 2) - Input Working : Input : Multi-buffer 2 : Overall Analyzer 100 80 Cursor Values Y = 98.2 db(a)/20.0u Pa Overall Z = 34.50 s Centre = 109.4 s Width = 150.0 s Status 2007-09-06 17:50:47.858 Averaging time: 0.25 s Overload: 0.00 % 0 80 120 1 200 2 [s] (Time) 녹음/재생 출력 신호 Delta Sum = 125dB(A)/20.0u Pa Mean = 97.5dB(A)/20.0u Pa 구 분 : MP3 Player 음향신호 : Random Noise ~105dB 주파수범위 : 20 ~ 20kHz 입 력 : Line-in(외부 마이크로폰) 녹음시간 : 250 sec 적분시간 : 150 sec 시간평균값 : 표준음향신호(94.8dB), 출력신호(97.5dB) 신호레벨 차 : 2.7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