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전시경향과 전시주제 연구 : 본 논문에서는 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전시경향과 전시주제를 분석하고 자연사박물관에 있어서 중앙 홀 전시가 갖는 역할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전시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최근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COM에 등록된 국외 자연사박물관 중에서 중앙홀이 있는 박물관을 선별하여 전시 내 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형태를 (1) 개념중심 전시(Concept-oriented exhibition) (2) 전시물중심 전시(Object-oriented exhibition) (3) 스토리중심 전시(Story-oriented exhibition)의 세 가지 유 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의 주제는 지구환경의 중요성과 생물의 다양성과 보존이 라는 메시지를 강조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생대 척추동물에 국한되었던 중앙홀 전시 주제를 46억년 지질시대동안 출현했던 여러 종류의 고생물로 확대하고 이를 다양한 전시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사박물관, 중앙홀, 전시, 개념중심 전시, 전시물중심 전시, 스토리중심 전시 근래 들어 자연에 대한 개념은 인간의 목적에 따라 이용하는 자원이라기보다는 보존해야하는 유산으로서의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 가운데 자연사박물관은 전시와 교육이라는 도구를 통해 표본이 가 지고 있는 의미를 관람객에게 전하는 소통의 통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관람객은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를 통해서 지구의 탄생 이래 끊임없이 변화하며 진화해온 자연의 다양한 모습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다양한 대중매체가 발달하면서 단순히 표본을 진열하여 보여주는 전시로는 표본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관람객에게 전 달할 수 없게 되었다(Valdecasas et al., 2006). 전시물에 대한 관람자의 흥미유발은 박물관의 목표가 되어 왔으 며(김주연, 1999), 이와 같은 이유로 관람객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전시 관람을 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의 전시형태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세계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전시가 분류전 시에서 개념중심의 전시와 상호작용적 전시로(이상태와 임종덕, 2005) 교체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중앙홀은 관람객이 자연사박물관에 방문하여 가장 먼저 전시를 접하는 곳으로 단일 주제 전시로서 할애되 는 공간의 규모가 가장 큰 상설전시실이다(김소영, 2006). 중앙홀에 전시되는 표본 또는 복제품이 지니고 있 는 정보가 관람객의 시각에 의존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중앙홀은 시각적인 효과가 극대화 되는 공간이라는 특 징이 있다(김소영, 2006). 특히 중앙홀의 전시물은 자연사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에게 첫인상이 되기 때문에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관람동기나 흥미유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홀의 특징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에는 각 박물관의 대표적인 표본이나 특징적인 전시물을 전시하 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에는 코끼리와 같이 현생 동물 중에서 몸집이 큰 동물이 전 시되어 있기도 하고 공룡과 같은 대형 척추고생물의 골격이나 혹은 복제 모형이 전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룡은 흥미로우면서도 대중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관람객에게 자연사박물관 전시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 다. 이런 중앙홀 전시는 관람객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한다(김수현 외, 2006). 자연사박물관 전시는 지질, 동물, 식물 및 생명의 탄생에서 인류의 진화까지 지구의 역사와 자연 전체를 전
J. Paleont. Soc. Korea. Vol. 24, No. 1, 2008 시 주제로 다루고 있는 점에(이상태, 2001; 이상태와 임종덕, 2005) 비해 중앙홀 전시로는 주로 공룡 골격 전 시가 선호 되고 있다. 이는 현대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는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과 호기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는(Valdecasas et al., 2006) 명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룡 골격화석이 거대하고 특이하 다는 것 하나로도 관람객들의 눈을 사로잡는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임종덕, 2002). 기존의 자연사박물관의 연구에 있어서 중앙홀 전시에 관한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현황(김수현, 2004)이나 전시기본방향(이융남, 2002), 전시 공간 연구(김민제, 1997) 또는 공룡관 사례연구(이선경, 2005), 자연사박 물관과 화석(임종덕, 2002) 등에서 다루어졌었으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중앙홀에 대한 전시 경향 및 특성을 자 세하게 다루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자연사박물관 사례를 바탕으로 중앙홀 전시경향을 살펴보고, 중앙홀 전시의 새로운 방 향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자연사박물관은 동물, 식물, 광물, 고생물 등 자연에 관한 광범위한 주제로 박물관의 주요 기능(수집,보존, 연구,전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이상태와 임종덕, 2005). 그러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전 시관 형식으로 설립된 곳 뿐만 아니라, 식물원, 동물원 및 국립공원까지도 자연사박물관의 범주에 들어간다 (Mares, 1993; 이상태와 임종덕, 2005). 그러나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국외 자연사박물관은 좁은 의미의 자 연사박물관으로써 독립된 건물 내에 전시공간을 확보하고 전시활동에 있어서 다양한 자연사적 주제를 다루는 박물관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국제박물관회의(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에 등록되어 있는 세계 자연 사박물관 목록에서 박물관의 홈페이지 및 전시담당자 전자우편 주소가 확보되는 곳을 위주로 조사 대상 자연 사박물관을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130여 개의 자연사박물관을 선정한 후, 다음 세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자연 사박물관은 제외시켰다.. 평면도 상에 중앙홀 전시 공간이 없는 자연사박물관. 자연사보다도 타 분야 전시가 강조된 박물관. 해당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주제가 단일 주제인 곳: 예를 들면, 미국의 Dinosaur Depot Museum 과 같 이 한 가지의 주제만을 다룬 자연사박물관 이와 같은 방법으로 11개국 40개의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Table 1). 본 연구에서 130여 개의 자연사박물관 목록은 국제박물관회의(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의 웹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자연사박물관을 조사하여 정리한 것이다. 조사 대상 선정 후, 6개국 27개 자연 사박물관들에 대해서는 직접 방문하여 현장 조사를 하고 관장 및 전시담당 큐레이터와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외의 직접 방문조사를 하지 못한 나머지 13개 자연사박물관들은 해당 박물관의 홈페이지와 문 헌 자료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앙홀의 평면도 및 전시관 이미지, 박물관 설립과 전시교체에 관한 정보 를 수집하였다. 정보 수집의 과정에서 홈페이지와 문헌 자료를 통해 알 수 없는 내용은 해당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담당자 또는 큐레이터와의 전자우편 교신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앙 홀 전시교체가 이루어진 연도와 현재 중앙홀 전시내용을 살펴보고, 각각의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물에 대해서 전시물의 배열, 전시 시나리오, 표본 정보, 전시물의 수, 전시물의 표본 여부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정 보를 토대로 각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 특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Kim et al. - Study on the Trend and the Theme of the Main Hall Exhibition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s Table 1. Target museums for researching main hall exhibition Country Name of the Museu 1 Austria Haus der Natur 2 Belgium Royal Belgium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3 Canada Canadian Museum of Nature 4 Chile Museo Nacional de Historia Natural 5 China Tianjin Natural History Museum 6 China Beijing Museum of Natural History 7 France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8 Germany Senckenberg Museum Frankfurt 9 Japan Ibaraki Nature Museum 10 Japan Kanagawa Prefectural Museum of Natural History 11 Japan Kitakyushu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Human History 12 Japan Kurashiki Museum of Natural History 13 Japan Nakagawa Museum of Natural History 14 Japan National Science Museum 15 Japan Natural History Museum and Institute, Chiba 16 Japan Osaka Museum of Natural History 17 Japan Tokai Univ. Natural History Museum 18 Netherland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19 UK Natural History Museum 20 USA Academy of Natural Science, Philladelphia 21 USA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2 USA Carnegie Museum of Natural History 23 USA Denver Museum of Nature & Science 24 USA Exhibit Museum of Natural History(University of Michigan) 25 USA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26 USA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7 USA Kansas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28 USA Museum of Paleont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29 USA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30 US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31 USA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32 USA North Carolina State Museum of Natural Sciences 33 USA San Diego Natural History Museum 34 USA Santa Barbara Museum of Natural History 35 USA Sternberg Museum of Natural History 36 USA Texas Natural Science Center(texas memorial museum) 37 USA University of Nebraska State Museum 38 USA Utah Museum of Natural History 39 USA Virginia Museum of Natural History 40 USA Yal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국외 자연사박물관 40개의 중앙홀 전시내용을 조사해본 결과, 21개의 중앙홀 전시에서 공룡이 전시되고 있 었으며 10개의 중앙홀에서 신생대 척추동물이 전시되고 있었다. 신생대 척추동물로는 주로 매머드 (Mammuthus)와 매스토돈(Mastodon)이 전시되어 있었으며 샌디에고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경우에는 신생 대 상어인 메갈로돈이 전시되고 있었다. 40개의 조사한 자연사박물관 중 26개의 박물관이 1~2점의 전시물로 중앙홀 전시를 연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전시는 미국의 시카고 필드자연사박물관의 티라노사우루스 (Tyrannosaurus), 영국자연사박물관의 디플로도쿠스(Diplodocus), 오사카자연사박물관의 노먼코끼리 (Naumann's elephant)와 큰뿔사슴(Yabe's giant deer)과 같이 1점 또는 2~3점의 전시물을 배치하여, 전시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정보나 이미지를 관람객에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사박물관에 따라서 중앙홀 중심 에 있는 전시물 주위로 작은 화석표본이나 중앙홀 중심에 전시되어 있는 전시물과는 다른 종류의 척추동물을
J. Paleont. Soc. Korea. Vol. 24, No. 1, 2008 Table 2. Main hall exhibition of the world natural history museums(y1: Year of establishment, Y2: Year of changing exhibitions, : No information, R(year): Renovation plan(year), C: Concept-oriented Exibition, O: Object-oriented Exhibition, S: Story-oriented Exhibition) Country Name of the Museum Y1 Y2 Main Hall Exhibition Type Austria Haus der Natur 1924 Dinosaurs O Belgium Royal Belgium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1946 2007 Dinosaurs C Canada Canadian Museum of Nature 1988 R(2009) Tyrannosaurus Pteranodon longiceps O Chile Museo Nacional de Historia Natural 1830 Whale O China Tianjin Natural Science Museum 1914 1998 Dinosaurs C China Beijing Museum of Natural History 1951 2003 Dinosaurs C France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635 1994 Vertebrates in Savanna C Germany Senckenberg Museum Frankfurt 1821 2004 Dinosaurs Pterosaur O Japan Ibaraki Nature Museum 1994 1994 Mammoth Nueorosaurus O Japan Kanagawa Prefectural Museum of Natural History 1995 1995 Hadrosaur Pteranodon O Japan Kitakyushu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Human History 2002 2002 Vertebrates Fossil in Geologic eras C Japan Kurashiki Museum of Natural History 1983 Naumann's elephant (Palaeoloxodon naumanni) O Japan Nakagawa Museum of Natural History Elasmosaurus O Japan National Science Museum 1930 2004 Biodiversity C Japan Natural History Museum and Institute, Chiba 1989 Mammoth O Japan Osaka Museum of Natural History Naumann's elephant Yabe's giant deer O Japan Tokai Univ. Natural History Museum 1981 1981 Deinonychus O Netherland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1980 1998 Fossils C UK Natural History Museum 1881 1993 Diplodocus O USA Academy of Natural Science, Philladelphia 1812 Giganotosaurus, Hadrosaurus O USA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877 1991 Allosaurus Barosaurus S USA Carnegie Museum of Natural History R( ) Dinosaurs O USA Denver Museum of Nature & Science 1908 1987 Tyrannosaurus S USA Exhibit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1870 2005 Temporary Exhibition C USA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893 2000 Tyrannosaurus S USA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1891 1995 Mastodon Mammoth O USA Kansas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1866 1901 Mammal Panorama O USA Museum of Paleont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Tyrannosaurus Pteranodon idensis O USA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1910 1955 Elephant O US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1913 1996 Triceratops Tyrannosaurus S USA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Queztalcoatlus Rhamphorhynchus S USA North Carolina State Museum of Natural Sciences 1879 2000 Whale O USA San Diego Natural History Museum 1874 2002 Allosaurus Megalodon O USA Santa Barbara Museum of Natural History 1890s Mammoth O USA Sternberg Museum of Natural History 1907 1999 Mammoth O USA Texas Natural Science Center (texas memorial museum) 1939 Quetzalcoatlus northropi O USA University of Nebraska State Museum Mastodon Mammoth O USA Utah Museum of Natural History 1959 R(2010 ~2011) Butterfly O USA Virgini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 Allosaurus Whale O USA Yal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1876 1947 Dinosaur Marine Reptile O 전시하기도 한다. 또는 중앙홀 전시에 1점 또는 그 이상의 전시물을 하나의 스토리를 구성하도록 배치하여 전 시물 사이에 긴장감이 흐르거나 당시 상황이 전개되는 현장에 있는 듯이 연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LA카운
Kim et al. - Study on the Trend and the Theme of the Main Hall Exhibition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s Table 3. The era and various kinds of the exhibitions in main hall(m: Mesozoic, C: Cenozoic, P: Present, A: All Earth History, s: specimen, r: replica, m: model) Country Name of the Museum Main Hall Exhibition Era Kind Austria Haus der Natur Dinosaurs M m Belgium Royal Belgium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Dinosaurs M s, r Canada Canadian Museum of Nature Tyrannosaurus Pteranodon longiceps M - Chile Museo Nacional de Historia Natural Whale P s China Tianjin Natural Science Museum Dinosaurs M - China Beijing Museum of Natural History Dinosaurs M - France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Vertebrate in Savanna P s Germany Senckenberg Museum Frankfurt Dinosaurs Pterosaurs M s, r Japan Ibaraki Nature Museum Mammoth Nueorosaurus C M s, r Japan Kanagawa Prefectural Museum of Natural History Hadrosaur Pteranodon M r Japan Vertebrates Fossil in Kitakyushu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Human History Geologic eras A s, r Japan Kurashiki Museum of Natural History Naumann's elephant (Palaeoloxodon naumanni) C m Japan Nakagawa Museum of Natural History Elasmosaurus M s, r Japan National Science Museum Biodiversity P s Japan Natural History Museum and Institute, Chiba Mammoth C m Japan Osaka Museum of Natural History Naumann's elephant Yabe's giant deer C m Japan Tokai Univ. Natural History Museum Deinonychus M r Netherlands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Fossils A s, r UK Natural History Museum Diplodocus M r USA Academy of Natural Science, Philladelphia Giganotosaurus, Hadrosaurus M - USA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llosaurus Barosaurus M r USA Carnegie Museum of Natural History Dinosaurs M r USA Denver Museum of Nature & Science Tyrannosaurus M r USA Exhibit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Temporary Exhibition A - USA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Tyrannosaurus M s USA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Mastodon Mammoth C s USA Kansas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Mammal Panorama P s USA Museum of Paleont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Tyrannosaurus Pteranodon idensis M r USA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Elephant P s US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Triceratops Tyrannosaurus M r USA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Queztacoatlus Rhamphorhynchus M r USA North Carolina State Museum of Natural Sciences Whale P s USA San Diego Natural History Museum Allosaurus M r Megalodon C m USA Santa Barbara Museum of Natural History Mammoth C s USA Sternberg Museum of Natural History Mammoth C s USA Texas Natural Science Center (texas memorial museum) Quetzalcoatlus northropi M r USA University of Nebraska State Museum Mastodon Mammoth C s USA Utah Museum of Natural History Butterfly P s USA Virginia Museum of Natural History Allosaurus Whale M r P s USA Yal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Dinosaurs Marine Reptile M s, r 티자연사박물관의 티라노사우루스와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 경우, 각각 백악기 북미대륙에 서식했던 대 표적인 공룡으로 트리케라톱스를 공격하는 티라노사우루스와 머리의 뿔을 이용해서 방어하려는 트리케라톱
J. Paleont. Soc. Korea. Vol. 24, No. 1, 2008 스의 모습으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경우에도 용각류 공룡인 바로사우루스 (Barosaurus)가 공격해오려는 알로사우루스를 경계하여 앞다리를 들고 위협하는 모습으로 전시연출 되어 있 다. 덴버자연과학박물관의 티라노사우루스의 경우에는 골격 1점으로 전시되어 있지만, 박물관 안으로 들어오 는 관람객을 향하여 곧바로 공격할 것 같은 역동적인 모습으로 연출되어 있어 전시물과 관람객 사이의 이야기 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중앙홀에 소수의 전시물을 배치하는 경우와는 달리, 많은 수의 표본과 복제품을 배치하여 전시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정보 보다는 전체적으로 상징하는 의미를 전달하는 중앙홀 전시가 있다. 네덜란드 국립자 연사박물관, 북경자연사박물관, 일본의 키타큐슈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에는 수십 점의 척추동물 골격화석 표 본 및 그 복제품이 전시되고 있다. 네덜란드 국립자연사박물관은 지구의 탄생부터 인류의 출현까지 각 시기에 해당하는 골격 표본과 복제품(replica)이 줄을 지어 시대별로 전시되어 있다. 북경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 시는 중국에서 발견된 중생대 척추동물의 화석 표본과 복제품으로 전시연출 되어 있다. 중앙홀에 전시된 10여 종이 넘는 중국 공룡을 통해 중생대 중국의 다양한 생물상과 진화라는 주제가 관람객에게 전달되고 있다. 일 본의 키타큐슈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에는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를 대표하는 척추동물들의 골격이 시대별로 구분되어 전시되고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고생대 상어의 하악이 전시되어 있고 그 뒤로 중생대 공룡, 그 다음 은 매머드, 오레오돈트(Oreodont), 원시 말 등 신생대 멸종한 척추동물의 골격 화석과 현생 척추동물들의 골 격이 전시되고 있다. 이 세 곳의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는 많은 수의 표본들을 이용하여 생물의 다양성 (Biodiversity) 과 생물의 진화(Evolution of life) 라는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비슷하게 독일의 젠켄베 르그자연사박물관의 경우, 중생대 공룡이라는 전시 주제 아래, 15점 이상의 공룡과 익룡 골격을 각각 독립적 으로 배치하였다. 중앙홀에 전시된 각종 중생대 척추동물의 골격을 통해서 중생대 생물의 다양성을 나타내고 자 하였다. 국외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물을 살펴본 결과, 공룡, 익룡 등 중생대 척추동물의 골격 전시는 대부분 이 표본을 복제하여 전시되고 있었다. 진품 표본의 전시에 비해 복제품을 이용한 전시는 골격을 이용하여 전 시 연출을 하는데 있어서 역동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한 예로 미국 시카고 필드자연사박물관의 티라노사우루 스 골격은 실제 발굴된 화석 표본을 이용하여 조립한 것으로 단순히 서있는 형태로 전시되고 있었다. 반면 티 라노사우루스 골격 복제품으로 조립한 덴버자연과학박물관의 티라노사우루스는 뒷발을 들고 공격하려는 자 세로 전시되어 있어 전시물의 역동감이 보다 잘 표현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현생 생물을 포함한 신생대 척추 동물의 전시에서는 대부분이 실제 표본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40개의 외국 자연사박물관 중에서 5곳에 서는 실물 크기의 복원 모형으로 중앙홀 전시를 연출하였다. 중앙홀 전시물의 특징을 정리하여 분석한 결과, 중앙홀 전시연출에 있어서 중생대 표본 또는 복제품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생대 관련한 전시물 다음으로 신생대에 관련한 표본 또는 복제품 을 전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중앙홀 전시에 있어서 약 8%는 한 시기에 국한해서 연출하는 것이 아니라, 네덜 란드국립자연사박물관과 같이 지구의 전체 자연사를 다루거나 샌디에고자연사박물관의 알로사우루스 (Allosaurus)와 메갈로돈(Megalodon)의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두 시기의 전시물이 함께 전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기가 복합적으로 다뤄지고 있는 전시관을 고려한다면 중앙홀 전시에 있어서 중생대 전시물이 차지하 는 비율은 50% 이상이 될 것이다(Fig. 1). 40개의 외국 자연사박물관 중앙홀 전시에서 공룡이 차지하는 비율 은 55% 정도이다. 나머지 45%는 매머드, 현생 고래 골격, 익룡 등으로 전시 연출되고 있었다(Fig. 2). 자연사 박물관의 중앙홀에는 대부분 공룡 전시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Fig. 2에 따르면 외국 자연사박물관 중앙 홀 전시물에 있어서 공룡이 차지하는 비율은 50%가 조금 넘는 정도로 나타났다. 자연사박물관 중에서 중생대 척추동물로만 중앙홀 전시 연출한 경우, 전체의 85%가 공룡을 주제로 전시를 구성하고 있었다(Fig. 3). 중생 대 전시에서는 공룡에 대한 전시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공룡을 제외한 나머지 15%에는 익룡 및 수 장룡 등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퀘짤코아틀루스(Queztalcoatlus)나 엘라스모사우루스(Elasmosaurus)와 같이 골격이 큰 전시물이 중앙홀 전시를 구성하고 있었다. 중앙홀 전시 연출에 있어서 사용된 전시물이 진품 표본 인 경우가 34%, 복제품인 경우가 29%였다. 진품 표본과 복제품을 모두 이용하여 전시 연출한 경우도 23%에
Kim et al. - Study on the Trend and the Theme of the Main Hall Exhibition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s All Natural History (8%) Mesozoic + Cenozoic (8%) Present (17%) Mesozoic (50%) Cenozoic (17%) Fig. 1. The periodic classification of the main hall. Not Dinosaur (Pterosaur, Mammoth, etc.) (45%) Only Dinosaur (35%) Including Dinosaur (20%) Fig. 2. The classification of themes in the main hall. Not Dinosuar (Other Mesozoic Reptiles) (15%) Dinosaur (85%) Fig. 3. The ratio between dinosaur and non-dinosaur exhibits in the Mesozoic period.
J. Paleont. Soc. Korea. Vol. 24, No. 1, 2008 달했다. 나머지 14%는 중앙홀 전시물로 실물 크기 모형 또는 축소 모형을 복제품과 함께 전시 하고 있었다 (Fig. 4). Fig. 4에서와 같이, 중앙홀 전시에 이용되는 표본과 복제품의 비율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표본이 복제품보다 선호된다고 할수는 없다. 중앙홀 전시 내용을 살펴보면, 중앙홀의 전시 주제가 중생 대일 경우에는 주로 복제품을 이용하여 전시 연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중앙홀의 전시 주제가 신생 대일 경우에는 매머드나 현생 고래 골격을 이용하는 등 주로 진품 표본을 이용하여 전시 연출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특히 중생대 전시물을 전시연출 하는데 있어서 복제품이 사용되는 것은 전시물의 역동적인 자세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진품 골격을 전시하는 경우에 비해 공룡 골격의 복제품을 사용한 전시연출은 보다 역동적이다. 앞다리를 들거나, 뛰는 모습, 공격하려는 모습 등 당시 생활상을 반영하는 다양한 형태로 전시연 출이 되어 있다. 공룡 골격 화석은 전시 연출에 있어서 무거운 무게와 파손의 위험 때문에 전시 연출이 자유롭 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를 종합해보면, 중앙홀 전시 주제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전시물중심 전시(Object-oriented exhibition): 중앙홀의 중심 전시물은 전시물 자체적인 상징성을 띠고 있으며 표본 자체가 독립적으로 전시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전시물이 있을 경우, 전시물 사이에 상호 관련성이 미약하고 나열식 전시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전시물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형성되지 않는다.. 스토리중심 전시(Story-oriented exhibition): 전시물이 하나의 전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전시물이 1 점일 경우, 전시물이 연출된 모습을 통해서 전시물이 담고 있는 상황을 관람객이 이해할 수 있다. 2점 이상의 전시물 상호간의 생태적 관계를 연출하고 있으며 1점의 전시물일 경우라도 역동적인 모습을 통 해서 스토리가 있는 상황을 연출하게 된다.. 개념중심 전시(Concept-oriented exhibition): 표본 자체의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다수의 전시물을 통 해서 종다양성 또는 생명의 진화와 같은 자연사적 개념을 전달하고 있다. 외국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를 분석해 보면, 그 중 62%는 중앙홀에 1점 또는 2점 정도의 전시물을 전 시하고 있었으며, 25%의 경우에는 다수의 공룡골격, 또는 다수의 화석과 복제품을 함께 배치하여 지구 생명 의 진화 역사 및 종의 다양성 등을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나머지 13%는 육식공룡이 초식공룡을 위협하는 장 면을 연출하여 스토리를 강조하고 있었다(Fig. 5). 수치상으로는 전시물 중심의 전시가 주요한 경향으로 나타 났다. 하지만 위에서 정리된 전시 특징을 각 자연사박물관의 최근 중앙홀 전시교체 연도와 비교해 본 결과, 최 근 중앙홀 전시교체에 있어서 개념중심 전시로의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6). 2000년 전 후에 전시교체를 하는 자연사박물관에서 종 다양성과 진화를 주제로 전시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 결과를 정리해보면, 중앙홀 전시로 공룡이나 매머드와 같이 지금은 멸종했지만 지질시대를 대표하는 Specimen + Replica (23%) Model + Replica (3%) Specimen (34%) Model (11%) Replica (29%) Fig. 4. The classification of exhibits in main hall.
Kim et al. - Study on the Trend and the Theme of the Main Hall Exhibition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s Story-oriented Exhibition (13%) Concept-oriented Exhibition (25%) Object-oriented Exhibition (62%) Fig. 5. The pattern of exhibition themes in the main hall. Fig. 6. The exhibition trend in main hall or the natural history museums between 20th and 21st century: Shifting from concept-oriented to story-oriented exhibition. 거대한 척추동물의 골격이 선호되고 있었다. 현생 생물을 중앙홀 전시 주제로 나타낸 경우에도 코끼리나 수염 고래와 같이 몸집이 큰 척추동물이 배치되는 경향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중앙홀 전시내용으로 중 생대 육상 파충류인 공룡의 전신 골격 전시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공룡 중에서도 몸길이 10~20m 에 이르는 용각류나 대형 수각류의 골격이 전시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조사한 자연사박물관 중에서 캔사스 대학교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은 1901년에 북미에 서식하는 포유류라는 주제를 가지고 대형 디오라마를 전시 하였다. 이는 당시 북미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포유류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전시로 북미의 포유류들이 서식하 는 환경을 실제와 가깝게 재현하여 그 환경에서 살아가는 관련된 동물들을 박제 표본으로 전시하고 있다. 이 러한 대형 디오라마 전시를 통해서 북미의 자연환경과 북미에서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의 다양성을 시각적으 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봤을 때, 개념중심 전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캔사스 대학교자연사박물관 외의 다른 중앙홀 전시에서는 대부분 전시물 중심의 전시로 구성되었다. 1980년대에 들 어서서 공룡 골격 연출에 있어서 역동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골격 전시 이외의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전 시로 표현하게 되었다. 조사한 자연사박물관의 80%에서는 중앙홀전시를 전시물 중심으로 연출하고 있었 다. 수치적으로는 중앙홀 전시경향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최근 중앙홀 전시교체 시기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 과, 2000년 전후로 전시 교체를 한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에는 개념 중심의 전시 연출이 시도되었거나 예정
J. Paleont. Soc. Korea. Vol. 24, No. 1, 2008 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시는 백과사전과 같은 나열식 전시연출에서 전시물을 통해 진화, 생태계의 먹이 사슬, 생물의 다양성 등을 전달하는 개념위주의 전시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새로운 전시 경향이 나타나는 것과 동시에 전시물 중심 전시는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이는 전시물 중심의 전시 연출은 개념 중 심의 전시 연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으로 자연사 박물관의 상징 전시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중앙홀 전시 교체를 한 외국의 자연사박물관 중에서도 개념 중심적인 전시를 시도한 25%의 박물관의 4/5는 규모가 큰 국공립 자연사박물관이었다. 전시 특성에 따라 골격의 전시형태가 표현되는 것에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공룡 골격의 전시에 있어서 보다 생태적인 움직임이 표현될 수 있었던 것은 중앙홀 전 시골격을 진품 화석이 아닌 캐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룡 골격의 전시에 있어서, 진품 화석을 사용하여 전시연출을 하는 경우에는 화석을 보호하기 위해 역동적인 연출을 지양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내용을 분석하여, 각각의 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이 가지고 있 는 전시 특징을 찾아보았다.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다양한 중앙홀 전시 사례를 살펴보았을 때, 공통적으로 나타 나는 전시 특징이 있다면 최근 자연사박물관이 추구하는 중앙홀의 전시경향으로 생각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홀은 관람객이 자연사박물관에 방문하여 처음 전시를 접하는 곳으로 단일 주제 전시로서 전시공간이 가장 큰 상설전시이며 중앙홀의 전시는 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한 관람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최초의 전시물이 다. 전시되는 표본 또는 복제품이 지니고 있는 정보가 시각적인 면으로 전달되며 그 정보가 극대화 되는 전시 공간이 바로 중앙홀이다. 최근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추세는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라고 하여 체험전시 와 과학 기술이 이용되는 전시를 활용하여 관람객이 체험을 통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ayfield, 2005). 이러한 이유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장에서 표본을 손으로 직접 만져보는 등의 핸즈언 (hands-on)전시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해 중앙홀의 전시는 시각적인 면이 강조되는 특징이 있다. 중앙홀 전 시물은 몸길이가 20m에 이르는 용각류 공룡의 골격이나 수십 점의 표본들을 전시하여 자연의 신비함과 경이 로움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에듀테인먼트에 집중되는 전시는 관람객의 전시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는 하지만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표본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자연사 박물관의 중앙홀의 전시는 자연사박물관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표본을 부각시키고, 강조한다는 점 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40개의 자연사박물관 중앙홀 전시 내용을 조사하면서 자연사박물관 중앙홀 전시의 새로운 방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생물의 다양성을 주제로 한 중앙홀 전시에는 지질시대의 각종 화석 뿐만 아니라 현생 척추동물들까지 전시되고 있다. 중앙홀에 전시되어 있는 각 시대별 화석을 통해서 한 눈에 지구 자연사 안에서 얼마나 많고 다양한 생물들이 살았는지 알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전 지구 생물을 모두 다 루고 있지 않더라도 캔사스대학교자연사박물관의 경우처럼 박물관이 위치한 지역이나 이와 관련된 지역의 다 양한 생물상 또는 독특한 자연환경을 전시로 표현하는 방법도 구상해볼 수 있겠다. 미시건대학교자연사박물 관의 경우에는 중앙홀 전시가 기획전시실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관람객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해야하는 중 앙홀 전시의 기능에 비춰봤을 때, 새롭고 다양한 주제를 끊임없이 시도할 수 있고 다양한 전시 주제를 다룰 수 있으며 전시 내용을 자주 교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물론 전시 개편에 따른 예산확보 및 중앙홀 전시로서 유의미하게 기획해야한다는 숙제가 있다. 자연사박물관은 자연에 대한 대중의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동시에 자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연 에 보다 친숙해지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적 성격을 띤 기관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 시는 대중의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심과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중앙홀 전시의 주제가 공룡과 같은 특정 테마에 집중될 경우, 자연사박 물관 중앙홀 전시는 획일화될 수 있다. 특색있는 주제로 중앙홀 전시를 기획하고, 관람객에게 흥미와 호기심
Kim et al. - Study on the Trend and the Theme of the Main Hall Exhibition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s 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지구의 환경과 생태계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는 현 시대에서 자 연사박물관은 자연을 보존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자연사 박물관의 중앙홀 전시는 46억년이라는 지구 자연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물의 다양성과 보존이라는 메 시지를 강조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첨단 시대로 일컬어지는 현대 사회에서 자연사박물관이 강조해야하 는 점은 더 이상 자연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아니다. 이제 자연사박물관은 지구환경의 중요성, 생태계를 구성 하는 생물의 다양성과 자연 보전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공존이라는 개념을 대중에게 전달해야하는 새로운 임 무를 맡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을 면밀히 검토해주시고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신 충북대학교 이창진 교수님과 익명의 심사위원님 께 감사드립니다.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항상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시고 진정한 학자의 길로 이끌어주시는 성균관대학교 이상태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본 연구를 위해 정성껏 인터 뷰에 응해주시고 질문에 답해주신 11개국 40개 자연사박물관 학예사 및 관장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의 마무리에 큰 도움을 주신 캔사스대학교 이승연 선생님과 현장인터뷰와 자료조사를 도와 주셨던 김현주 선생님과 조민임 선생님께 고마움을 전합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trend and theme of how to exhibit the main hall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In order to do the analysis, total forty well-known natural history museums all over the world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Those forty natural history museums were selected from one hundred and thirty lists in ICOM, after we excepte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Museums that carry no main hall on the floor plan, the ones that exhibit themes other than natural history theme, and museums that exhibit only one theme-i.e. Dinosaur museum-in natural history. When scrutinizing, the features of main hall exhibi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concept-oriented exhibitions, object-oriented exhibitions, and story-oriented exhibitions. The exhibitions that are concept-oriented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which implies several exhibits are composed within one, single unit of natural history. The exhibitions that are object-oriented carry one or more specimens (or replicas) are independently exhibited and symbolized. The exhibitions that are story-oriented are organized as the way in which each exhibit is formulated within a story.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current exhibition trend is concept-oriented. The limitation of the main exhibitions in various natural history museums is that the theme of those museums is restricted to the Mesozoic vertebrates. The importance of earth's environment and Biodiversity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the 21st century. Natural history museums are responsible for building bridges of understanding speci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public.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the ways in which exhibiting main hall should be diversified so that those museums will be able to provide concepts of biodiversity and evolution of our lives. Keyword: natural history museum, main hall, exhibition, concept-oriented exhibition, object-oriented exhibition, story-oriented exhibition
J. Paleont. Soc. Korea. Vol. 24, No. 1, 2008 김민제. 1997. 자연사박물관의 전시공간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디자인 논문집, 4:27-43. 김소영. 2006.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경향과 발전방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5. 김수현, 2004. 한국 자연사박물관의 현황과 발전 방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94. 김수현, 김소영, 임종덕. 2006. 한국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발전방향. 한국고생물학회지 22:313-325. 김주연. 1999. 박물관 전시 평가 도구에 관한 연구. 디자인 논문집 4:27-42. 이상태. 2001. 자연사박물관은 설립해야하나?. 중앙일보, 2001년 2월 21일자. 이상태, 임종덕. 2005. 자연사박물관의 이해. 형설출판사, 서울. 60 p.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 2005. 비형식적 과학 학습 자료의 시나리오 및 논증 구조: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룡관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849-866. 이융남. 2002. 자연사박물관 고생물분야의 전시기본방향: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의 예.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5: 13-30. 임종덕. 2002. 자연사박물관과 화석.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5:81-94. Mares, M. A. 1993. Natural History Museum: Bridging The Past and the Futur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First World Congress on the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History Collections 3:367-404. Mayfield, M. I. 2005. Children's museums: purposes, practices, and play?, Early Development and Care 175:179-192. Valdecasas. A. G., Correia, V., and Correas, A. M. 2006. Museums at the crossroad: Contributing to dialogue, curiosity and wonder in natural history museums.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1:32-43. 투고일 : 2008년 6월 2일, 심사일 : 2008년 6월 3일, 심사완료일 : 2008년 6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