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황 생명공학연구원 현병환 센터장 e-mail: bhhyun@kribb.re.kr 1. 정의 및 범위 BT산업이란 생명공학기술을 기반으로 인류 건강증진과 이에 필요한 서비스를 상업적 으로 생산해내는 산업을 지칭 바이오산업은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거나 이에 관련된 산업의 총칭을 말한다. 즉, DNA 단백질 세포 등 생명공학관련기술을 직접 활용하여 제품(바이오의약품 바이오디젤 등)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또한 바이오산업(bioindustry or biotechnology industry)의 범위는 산업연구원 기준에 따르면 의약, 화학, 환경, 식품, 에너지 등으로 구분한다(표 3-Ⅶ-1). 특히, 의약품 시장의 경우 생명공학 기술 및 의약화학 기술을 동시에 이용한 제품이 의 약품 시장의 90% 규모를 차지함에 따라 바이오산업에서 의약품 시장은 저분자 합 성의약을 포함하여 해석하고 있다. 표 3-Ⅶ-1 바이오산업 분류체계 분 야 범 위 바이오의약 항암제, 항생제, 면역제 등 치료제, 백신, 진단키트, 유전자요법 등 바이오화학 바이오환경 바이오식품 바이오에너지, 자원 바이오전자 바이오공정 및 기기 바이오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 바이오고분자, 산업용 효소 및 시약류, 바이오화장품, 바이오 농약 등 환경처리용 미생물제제, 미생물 고정화 소재 및 설비, 바이오롼경제제 및 시스템 등 건강기능식품, 아미노산, 식품첨가물, 발표식품 등 바이오연료, 인공종자 및 묘목, 실험동물, 유전자 변형 동-식물 등 DNA칩, 단백질칩, 세포칩, 바이오센서, 바이오맥스 등 바이오반응기, 생체의료기기 및 진단기, 바이오공정 및 분석기기 등 바이오검정서비스, 유전자관련 분석 서비스, 단백질 관련 분석 서비스 등 출처 :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47
표 3-Ⅶ-2 우리나라의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 (ʻ바이오산업 분류체계를 위한 기술분류 기준ʼ) 대분류(13개) 중분류(68개) 유전공학기술(A) - 5개 중분류 단백질공학기술(B) - 6개 중분류 기타 거대분자 공학 기술(C) - 3개 중분류 세포 및 조직공학 기술(D) - 6개 중분류 시스템생물학기술, 생물정보학기술(E) - 5개 중분류 대사공학기술(F) - 4개 중분류 생물공정기술(G) - 6개 중분류 생물자원 생산 및 이용기술(H) - 9개 중분류 환경생명공학 및 바이오에너지 기술(I) - 4개 중분류 나노바이오기술(J) - 5개 중분류 생물전자공학기술(K) - 5개 중분류 생물안전성 및 효능 평가기술(L) - 6개 중분류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공학기술(M) - 4개 중분류 유전자조작기술(A1), 유전자발현 및 조절기술(A2), 유전자응용기술(A3), 유전자치료기술(A4),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유전공학 기술(A0) 단백질구조분석기술(B1), 단백질기능분석기술(B2), 복합단백질공학기술(B3), 펩타이드공학기술(B4), 단백질응용기술(B5), 달리 분류되지 않는 단백질공학기술(B0) 지질공학기술(C1), 탄수화물공학기술(C2),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타 거대분자 공학기술(C0) 줄기세포 이용치료기술(D1), 생체환경조성기술(D2), 기능성생체재료개발기술(D3), 세포공학기술(D4), 조직공학기술(D5), 달리 분류되지 않는 세포 및 조직공학기술(D0) 유전체 염기서열 해석기술(E1), 기능유전체학기술(E2), 단백질체학기술(E3), 생물정보학기술(E4),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시스템 생물학 기술과 생물정보학 기술(E0) 대사산물 생산기술(F1), 대사공학응용기술(F2), 대사 및 대사경로의 이해기술(F3), 달리 분류되지 않는 대사공학기술(F0) 발효공학기술(G1), 세포배양공학기술(G2), 생물변환기술(G3), 생물분리공학기술(G4), 산업화기술(G5),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물공정기술(G0) 식물자원이용기술(H1), 동물자원이용기술(H2), 미생물자원이용기술(H3), 곤충자원이용기술(H4), 해양/담수생물기술(H5), 식품공학기술(H6), 생물소재화기술(H7), 생물다양성보존기술(H8),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물자원생산 및 이용기술(H0) 청정기술(I1), 환경오염제어 및 관리기술(I2), 바이오에너지기술(I3), 달리 분류되지 않는 환경생명공학기술 및 바이오에너지기술(I0) 나노바이오소자 제작기술(J1), 나노바이오재료기술(J2), 나노약물전달시스템기술(J3), 바이오넴스, 나노랩온어칩기술(J4), 달리 분류되지 않는 나노바이오기술(J0) 바이오센서 제작기술(K1), 생물전자소자 제작기술(K2), 바이오칩 제작기술(K3), 미세유체학 기술(K4),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물전자공학기술(K0) 안전성평가기술(L1), 안전성관리기술(L2), 환경영향평가기술(L3), 생물재해관리기술(L4), 효능평가기술(L5),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물안전성 및 효능평가평가기술(L0) 조합 생물학기술(M1), 약물전달기술(M2), 면역치료기술(M3),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술들(M0) 자료: 2007년도 바이오산업 분류체계(2007), 산업자원부. 548 2007 보건산업백서
표 3-Ⅶ-3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 분류체계 대분류(8개) 바이오의약산업 - 11개 중분류 바이오화학산업 - 6개 중분류 바이오식품산업 - 6개 중분류 바이오환경산업 - 5개 중분류 바이오전자산업 - 6개 중분류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 5개 중분류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 5개 중분류 바이오검정, 정보 서비스 및 연구개발 - 7개 중분류 중분류(51개) 1010 항생제 1020 항암제 1030 백신 1040 호르몬제 1050 면역제제 1060 혈액제제 1070 성장인자 1080 신개념치료제(유전자의약품, 세포치료제, 복제장기, 치료용항체 등) 1090 진단키트 1100 동물약품 1000 기타 생물의약제품 2010 바이오고분자 2020 산업용 효소 및 시약류 2030 연구실험용 효소 및 시약류 2040 바이오화장품 및 생활화학제품 2050 바이오농약 및 비료 2000 기타 바이오화학제품 3010 건강기능식품 3020 아미노산 3030 식품첨가물 3040 발효식품 3050 사료첨가제 3000 기타 바이오식품 4010 환경처리용 미생물제제 4020 미생물 고정화 소재 및 설비 4030 바이오환경제제 및 시스템 4040 환경오염측정시스템(측정기구 및 진단, 서비스) 4000 기타 바이오환경제품 및 서비스 5010 DNA칩 5020 단백질칩 5030 세포칩 5040 바이오센서 5050 바이오멤스 5000 기타 바이오전자제품 6010 바이오반응기 6020 생체의료기기 및 진단기 6030 바이오공정 및 분석기기 6040 공정 및 공정설계 6000 기타 바이오공정 및 기기 7010 바이오연료 7020 인공종자 및 묘목 7030 실험동물 7040 유전자변형 동식물 7000 기타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 8010 바이오정보서비스 8020 유전자관련 분석 서비스 8030 단백질관련 분석 서비스 8040 연구개발 서비스 8050 바이오안전성 및 효능평가 서비스 8060 진단 및 보관 서비스 8000 기타 바이오검정, 정보개발 서비스 출처 :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49
2. 생명공학 전망 생명공학기술은 미래 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 Red 바이오 에 포함되는 의약품 시장에서 치료용 단백질, 단일 클론 항체 등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성장 추세를 보임 현재의 인구증가 추세로 보면 미래 Green 바이오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 상되며 2배의 식량 생산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 미국 MIT에서 매년 초 발표하는 유망 10대 기술 은 10년 이내에 사회나 비즈니 스 분야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들이다. 2002년을 제외하고 2007년까지 선정된 60개 기술 중 넓은 범위의 생명공학 기술은, 2001년 2개에서 2006년 4개로 해가 갈수록 그 수가 증가하고 있어, 미래 유망기술에서 생명공학 기술이 차지하 고 있는 바는 크다고 할 수 있다(표 3-Ⅶ-4). 또한 미국 연구개발 연구소인 RAND에서 2006년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2020년 까지 사회 경제적으로 영향을 크게 미칠 16개의 주요 기술 중 넓은 범위의 생명 공학기술은 8개[유전자 개량 작물(Genetically Modified Crops), 급성 생물조사법 (Rapid Bioassays), 정수용 필터와 촉매(Filters and Catalysts for Water Purification and Decontamination), 특정부위 약물전달법(Targeted Drug Delivery), 친환경 제조법(Green Manufacturing), 침투형 센서(Pervasive Sensors), 조직공학 (Tissue Engineering), 개량된 진단법 및 수술법(Improved Diagnostics and Surgical Methods)] 등으로 생명공학 기술은 미래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측된다. 550 2007 보건산업백서
표 3-Ⅶ-4 MIT 선정 유망 10대 기술 2001년 2003년 2005년 2007년 Flexible transistor Quantum Cryptography Airborne Network P2P Peer Video Microphotonics Wireless Sensor Network Silicon Photonics Mobile Augmented Reality Data Mining Grid Computing Universal Memory Compressive Sensing Natural Langage Processing Software Assurance Environmatics Neuron Control Untangling Code Injectable Tissue Engineering Cell Phone Viruses Single-Cell Analysis Biometrics Glycomics Bacterial Factories Personalized Medical Monitor Microfluidics Nano Solar Cells Metabolomics Nano Healing Brain-Machine Interface Nano Imprint Lithography Quantum Wires Meta Materials Robot Design Digital Rights Management Molecular Imaging Magnetic Resonance Force Microscopy Optical Antennas Mechatronics Biomechatronics Quantumdot Solar Power 출처 : MIT, 10 Emerging Technologies, 연도별 Technology Review * 생명공학기술 해당 분야는 음영으로 표시 여기서부터는 다양한 생명공학 기술분야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산업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Red bio(제약), Green bio(농업), White bio(환경)에 대해서 설명하 고자 한다. 1) Red 바이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래 유망 분야로 손꼽히는 생명공학 기술은 질병진단, 예방 및 치료 분야 등으로 Red 바이오산업에 커다란 기여를 해왔다. 미국 FDA에 서 바이오 신약 혹은 새로운 적응증으로 승인 받는 약물의 수가 1995년 이후 태동 기를 거치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그림 3-Ⅶ-1). 또 Datamonitor 4) 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화학합성에 의한 저분자의약품의 비중은 2006년 83.3%에서 2012년까지 저분자의약품의 연평균 성장률이 0.6%로 2011년 이 후 시장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듯하다. 그러나 치료용 단백질, 단일 클론 항체 등 바이오의약품은 보다 높게 성장하며, 그 중에서도 백신은 연평균 19.1%로 성장하여 미래 시장요구가 더욱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표 3-Ⅶ-5). 4) Datamonitor: 영국의 시장조사 전문기관(www.datamonitor.com)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51
그림 3-Ⅶ-1 바이오신약과 새로운 적응증에 대한 FDA 승인 현황 출처 : 미국바이오산업협회(BIO), Guide to Biotechnology, 2007 표 3-Ⅶ-5 의약품 종류별 판매액 전망(백만 달러), 2006 2012년 Small molecule (저분자의약품) Therapeutic protein (치료용 단백질) Monoclonal antibody (단일클론 항체)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CAGR (%) 354,073 368,514 379,049 391,113 403,735 408,978 367,135 0.6 47,781 51,679 54,793 58,065 60,374 62,548 64,495 5.1 19,573 24,767 29,185 33,531 37,496 40,820 43,381 14.2 Vaccine(백신) 3,398 4,849 6,416 7,906 9,239 10,313 9,711 19.1 합 계 424,824 449,809 469,444 490,615 510,845 522,659 484,721 2.2 출처 : Datamonitor, Monoclonal Antibodies Report Part I, 2007 2) Green 바이오 1990년 초반 16억 명이던 세계 인구는 현재 60억 명을 넘었으며 2030년에는 100 억 명에 이를 전망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서는 이 같은 인구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재배 면적에서 2배의 식량을 생산해내야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 환경에서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 해충관리 및 물과 비료의 최소사용 등으로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1960년대 녹색혁명 이후 늘어 가기만 하는 식량 수요에 대한 새로운 대처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집계된 552 2007 보건산업백서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면적은 전 세계적으로 2005년 21 개국 8,800만 헥타르(ha)에서 2006년 22개국 1억 헥타르(ha)로 13% 증가하였으며, 세계적으로 5만 헥타르(ha)의 유전자변형 작물 재배면적을 소유한 Mega 국가는 14개 국가로 점차 재배 면적과 해당 국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그림 3-Ⅶ -2). 앞으로 Green 바이오에서 생명공학 기술은 작물생명공학, 산림생명공학, 농 림생명공학, 수경재배, 식품생명공학 등으로 나누어 형질전환 동식물을 이용한 질 병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농작물, 의약품 생산용 농작물 등 안전하면서도 생산성 이 향상된 농축산 식품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그림 3-Ⅶ-2 세계 각국의 유전자변형작물 재배현황 및 면적 출처 : ISAAA,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LM Crops: 2006, 2007 3) White 바이오 보건의료나 농축산 식품만큼 주목 받지 못하였으나 생명공학 기술의 제3의 물 결 로 산업 및 환경 분야(White 바이오) 응용에 커다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개발로 전통적 제조공정이 성공적으로 경쟁하고 있다. 산업적 지속가능성 은 끊임없는 혁신, 향상 및 청정기술의 사용으로 오염과 자 원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현대 생명공학을 통해 이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White 바이오에서 생명공학기술은 독성을 지닌 부산물, CO 2 등의 온실가스, 제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53
조 비용 감소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새로운 생물활성을 보이는 효소, 바이오에너 지, 친환경 플라스틱 및 환경 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주요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 상된다. 특히 2006년과 2007년은 바이오에너지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시기로, 바이 오에너지 시장의 유망한 미래에 대해서 사회 정치 경제 환경적 측면에서 관심 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2007년 연두 연설에서 2017년까지 재생 가능한 대체 에너지의 사용량을 5배로 늘리겠다 고 언급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인 미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바이오에너지 관련 육 성정책 등을 펴고 있다(그림 3-Ⅶ-3). 그림 3-Ⅶ-3 각국의 바이오에너지 육성 현황 출처 : Ernst & Young, Beyond Borders;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7, 2007 554 2007 보건산업백서
3.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 국내 바이오산업의 분야별 국내 생산 비중은 바이오식품과 바이오의약이 각각 43, 39% 로 대부분을 차지 국내 바이오산업 활동은 총종사자 규모가 50인 이하인 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 어지고 있는 실정임 바이오산업 종사인력 중 학사 이상 인력의 최종 학위 분포는 일반 주력 산업들과 대비 하여 차별화된 고학력자 위주의 인력구조를 보이고 있음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5) 규모는 3조 1,595억원으로 2005년의 2조 7,714억 원 대비 14% 증가하였다(표 3-Ⅶ-6). 세계적으로 바이오산업의 생산이 증가추세 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내의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도 증가추세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Ⅶ-6 국내 바이오산업의 수급규모 (단위: 억원, %) 공 급 수 요 생 산 수 입 계 내 수 수 출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5,879 8,198 9,130 11,795 13,950 18,934 20,791 24,199 27,714 31,595 80.9 83.0 81.2 78.1 76.9 80.8 80.2 79.2 77.8 77.2 1,385 1,702 2,114 3,306 4,196 4,493 5,132 6,730 7,912 9,354 19.1 17.0 18.8 21.9 23.1 19.2 19.8 21.8 22,2 22.8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7,264 9,900 11,244 15,101 18,146 23,427 25,923 30,929 35,626 40,949 4,246 5,085 6,701 9,000 11,783 14,232 15,985 19,584 23,315 27,447 58.5 51.0 59.6 59.6 64.9 60.8 61.7 63.3 65.4 67.0 3,018 4,815 4,543 6,101 6,363 9,195 9,938 11,345 12,311 13,502 41.5 49.0 40.4 40.4 35.1 39.2 38.3 36.7 34.6 33.0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의 99%는 2005년에 이어 2006년에 매출을 발 생 시켰던 업체들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과 2006년에 조사된 기업의 총 5) 생산이란, 국내에서 생산되어 매출(국내 매출 + 수출)을 유발시키는 판매 기준 금액.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55
생산액은 14%가 증가하였고 이중 국내 판매액은 17.4%, 수출액 증가율은 9.7%를 보이고 있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분야별 생산 비중을 살펴보면, 바이오식품(43%)과 바이오의 약(39%)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바이오화학(6%), 바이오환경(5%), 바이오검 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3%), 바이오공정 및 기기(2%)의 순서를 보이고 있다 (그림 3-Ⅶ-4). 표 3-Ⅶ-7 바이오산업 분야별 국내 판매, 수출 및 수입 현황 (단위: 백만원, %) 생산 대분류 국내판매액 수출액 수입 계 계 금액 비중 금액 비중 바이오의약산업 969,170 79.4 251.248 20.6 1,220,418 740,336 1,960,754 바이오화학산업 163,076 80.4 39,846 19.6 202,922 60,943 263,865 바이오식품산업 344,095 25.3 1,015,628 74.7 1,359,723 10,589 1,370,312 바이오환경산업 158,458 97.5 4,116 2.5 162,574 4,756 167,330 바이오전자산업 16,976 65.2 9,047 34.8 26,023 709 26,732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56,084 75.1 18,592 24.9 74,676 113,572 188,248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15,191 94.9 816 5.1 16,007 4,386 20,393 바이오검정, 정보 서비스 및 연구개발업 86,292 88.8 10,872 11.2 97,163 125 97,288 전체 1,809,342 57.3 1,350,164 42.7 3,159,506 935,416 4,094,922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556 2007 보건산업백서
A. 생산액 분야별 비중 A-1. 국내판매액 분야별 비중 A-2. 수출액 분야별 비중 B. 수입액 분야별 비중 그림 3-Ⅶ-4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의 분야별 비중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의 주요 산업 활동 분포를 살펴보면, 바이오산업 8개 분 야 중 바이오의약과 바이오식품 업종에 종사하는 산업체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 나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은 기업이 활동하고 있는 분야는 바이오의약산업 으로 2006년에는 292개 기업이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5년(280개 기업) 대비 12개 증가하였다.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57
그림 3-Ⅶ-5 국내 바이오산업활동 분포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바이오산업체 기업 중 37.8%가 2006년 말 기준매출이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55.7%가 기업 이 개발한 제품을 판매하여 매출이 발생하였고 나머지 6.5%의 기업은 수입 제품 만을 판매하여 매출이 발생한 기업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산업 제품의 특성상 개발단계에서부터 제품 판매단계까지의 연계가 쉽게 되지 않는 점이 반영된 것으 로 예측된다(그림 3-Ⅶ-6). 국내 바이오산업 투자비 현황을 살펴보면, 연구개발비는 5,405억원으로 2005년 대비 659억(13.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시설투자비는 3,135억원으로 2005 년 대비 515억(19.7%)이 증가하였다. 이는 그 동안 연구개발비가 꾸준히 안정적으 로 성장한 반면, 시설투자비의 경우 최근에 2003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한 결과이다. 표 3-Ⅶ-8 연도별 산업계 바이오산업부문 투자비 (단위: 억원) 구 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연구개발비 시설투자비 1,263 600 1,319 557 1,616 737 1,779 916 2,461 1,020 2,976 1,119 3,419 1,330 4,000 1,660 4,746 2,620 5,405 3,135 합 계 1,863 1,876 2,353 2,695 3,481 4,095 4,749 5,660 7,366 8,540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558 2007 보건산업백서
그림 3-Ⅶ-6 국내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비즈니스 추진 유형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의 지역 분포를 보면 국내에서 바이오산업체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경기(32.9%), 서울(21.5%), 대전(8.9%) 순으로 수도권과 대전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에 대비 0.2~1.7% 정도의 하락세를 보였 으나 여전히 수도권과 대전의 밀집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국내 의 바이오산업체들은 서울과 경기, 그리고 대전 지역에만 밀집되어 있어 향후 바 이오산업의 국가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산업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대전 8.9% 그림 3-Ⅶ-7 바이오산업체의 지역 분포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59
2 국내 바이오산업 활동은 총종사자 규모 50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 2006년 현재 주력업종별 총 종사자 규모와 창립년도를 살펴보면, 총 종사자 규모 50인 이하 기업이 전체의 62.6%, 1996년 이후 창업기업이 전체의 58.7%를 차지하고 있으며 90년대 후반 창업한 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선진국의 대규모 산업체와 비교하여 볼 때 상당히 대조적인 것으로 국내 에도 거대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체가 육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표 3-Ⅶ-9 주력업종 바이오산업체의 주력업종별 창립년도 분포 1950년 이전 1951~ 1980년 1981~ 1990년 1991~ 1995년 1996년~ 2000년 (단위: 개, %) 2001년 계 이후 바이오의약산업 13 67 31 17 78 45 251 바이오화학산업 2 13 11 7 56 12 101 바이오식품산업 10 36 21 17 62 41 187 바이오환경산업 0 14 12 11 47 25 109 바이오전자산업 0 0 0 2 9 9 20 바이오공정 및 기기산업 0 5 16 10 24 4 59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산업 0 6 1 4 7 7 25 바이오검정, 정보 서비스 및 연구개발업 0 1 0 1 28 12 42 전체 계 25 142 92 69 311 155 794 비율(%) 3.1 17.9 11.6 8.7 39.2 19.5 100.0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그림 3-Ⅶ-8 바이오산업체의 주력업종별 총종사자 규모 분포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560 2007 보건산업백서
2006년 국내 바이오산업부문에 투입된 인력은 총 17,316명으로, 2005년의 13,867 명 대비 2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연구직 6) 인력은 총 8,715명, 연구소 이외에 근무하는 생산직 인력은 총 8,601명으로 2005년 대비 각각 17.3%, 33.6% 증가하였다. 바이오산업 종사인력 중 학사 이상 인력의 최종 학위 분포는 박사학위 소지자 11.9%, 석사학위 소지자 44.4%, 학사학위 소지자 43.6%로 구성되었다. 이는 일반 주력산업들과 비교해 봤을때 차별화된 고학력자 위주의 인력구조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이오산업부분 종사 인력수 규모별 분포를 비교할 경우, 바이오산업부분 인력 11~50인 규모와 50~500인 규모 기업의 국내 전체 바이오산업 인력 10인 이 하 기업 비중은 2005년도 35.0%에서 2006년 27.1%로 감소하고, 11인 이상 500인 이하 기업 비중은 64.7%에서 72.8%로 증가하였다. 4.5 4 3.5 3 2.5 2 4.1 1.5 1 0.5 0.9 1.2 0.8 1.1 1.8 1.1 1.3 0 바이오의약 바이오화학 바이오식품 바이오환경 바이오전자 바이오공정 바이오에너지/ /기기 자원 바이오검정, 정보/연구개발 그림 3-Ⅶ-9 주력업종별 연구인력 대 생산인력 비율 자료: 2006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2007), 산업연구원 6) 연구개발 인력과 생명공학 전공 관리직 포함한다.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61
시장동향 생명공학연구원 현병환 센터장 e-mail: bhhyun@kribb.re.kr 1. 세계 바이오시장 동향 현재 미국, 유럽, 일본 등은 전 세계의 바이오산업의 우위를 점하고 치열한 경쟁을 벌 이고 있음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의 규모는 2020년 약 1조 3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바이오산업은 의약산업을 포함하여 농축수산 분야에서 식량문제 해결, 환경복원, 폐기물처리 기술개발을 포함한 환경문제 해결, 고갈되어 가고 있는 석유에너지 자 원을 대체할 바이오에너지 개발, 바이오전자산업 등 모든 산업군에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세계 바이오시장의 우위는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바이오산업의 규모(바이오산업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부가가치가 높은 의약품 산업 중심 통계임)는 2004년 5,400억 달러에서 2006년 6,000억 달러, 2020년에는 1.3조 달러(PricewaterhouseCooper, 2007)에 육박할 것으 로 예상되며, 이 중 의약품 시장이 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다(표 3-Ⅶ-10). 562 2007 보건산업백서
표 3-Ⅶ-10 바이오산업 및 예상 시장 규모 산업 부문 주요 제품 현재 단계 2010년 시장 예상 시장 규모 (억 달러) 주요 참여 기업 의약 생명공학 치료 U-Health 유전자변형 생물체 생명공학 기기 생명공학 환경, 에너지 생명공학 공정 콜레스테롤 저해제, 적혈구 성장 촉진제, 성장호르몬 세포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수혈제품 바이오칩, 운용체계 상용화 9,700 응용 연구 중 응용 기술 축적 Amgen, Genentech, Pfizer, GSK 562 Aastrom, ONYX, Vical 300 Affymetrics, Medtronics 작물, 동물, 어류 상용화 150 Monsanto, Syngenta 영상진단기, 분석기기 상용화 850 HP, GE, Agilent 미생물 분해, 생명공학 연료 기존 공정의 대체 상용화 초기 상용화 초기 160 Shell, BP 250 Cargill-Dow, BASF, Dupont 출처 :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IMS Health, Jain PhrmaBiotech Report, 2005 등 세계의 바이오산업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Ernst & Young사에 의하면 상장기업(Public Company) 중심의 수입(Revenues)은 735억 달러 규모이다(표 3-Ⅶ-11). 표 3-Ⅶ-11 세계 생명공학 시장 현황(ʼ06년, 상장기업 기준) 세계 미국 유럽 캐나다 아시아/태평양 <상장기업> 수익(백만$) 73,478 55,458 11,489 3,242 3,289 R&D비용(백만$) 27,782 22,865 3,631 885 401 순손실(백만$) 5,446 3,466 1,125 524 331 고용인력(명) 190,500 130,600 39,740 7,190 12,970 <총 기업수> 기업수(개) 4,275 1,452 1,621 465 737 - 상 장 710 336 156 82 136 - 비상장 3,565 1,116 1,465 383 601 출처 : Ernst & Youngʼs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7 미국이 세계시장 총수입(상장)의 75%, 고용인력의 69% 점유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63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 또는 저개발국도 바이오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 지원은 물론 인프 라 구축 등 국가전략산업 차원에서 각종 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 업 바이오(White-BT)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국가에 대 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표 3-Ⅶ-12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성장(ʼ05 ʼ06) 구분 2005 2006 증감률(%) 수익(백만$) 3,002 3,289 10% R&D비용(백만$) 312 401 28% 순이익(순손실)(백만$) 7 (331) - 종업원수(명) 12,490 12,970 4% 기업수(개) 716 737 3% - 상 장 139 136-2% - 비상장 577 601 4% 출처 : Ernst & Youngʼs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7 미국은 생명공학 산업 강국으로써 세계 최고의 기초과학적 인프라와 연구인력, 다양한 벤처캐피탈을 보유함으로써 생명공학분야에서 세계 선두의 경쟁력을 지속 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 중에 있다. 표 3-Ⅶ-13 미국의 2006년도 바이오산업 현황 구 분 내 용 상장기업 (Public Companies) (단위: 억 달러, 개사, 명, %) 산업체 합계 (Industry Total) 2006년 2005년 증감률 2006년 2005년 증감률 재정 제품 매출액 수입 연구개발비 순손실 453 555 229 35 397 485 166 14 14.2 14.3 38.1 151.4 477 588 271 56 421 518 208 36 13.4 13.4 30.2 58.5 산업 시장가치 총 조달자금 상장기업 수 기업 수 종업원 수 3,924 170 20 336 130,600 4,084 114 13 331 119,000-3.9 49.3 53.8 1.5 9.7-203 20 1,452 180,800-147 13 1,475 170,500-38.2 53.8-1.6 6.0 출처 : Beyond Borders ;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7, Ernst & Young, 2007 564 2007 보건산업백서
미국은 세계 1위의 기술우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차원의 집중적인 육성정 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미 2006년도에는 보건 분야에 296억 달러의 연 구 개발비를 투자하였고,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지원 및 규제완화정책, 2000년 제 정된 바이오매스 R&D법에 따른 바이오에너지 개발을 위한 정책도 본격적으로 추 진하고 있다. 주정부는 조세지원제도 시행은 물론 기술이전 및 투자유치를 적극적 으로 지원하고 있다. 2006년도 유럽 바이오산업의 수입(Revenues)은 133억 유로에 달한다(표 3-Ⅶ -14). 유럽의 바이오산업은 EU 회원국간 공동협력과 국가별 경쟁을 통해 발전하 고 있다. 표 3-Ⅶ-14 유럽의 2006년도 바이오산업 현황 (단위 : 백만유로, 개사, 명, %) 구 분 내 용 상장기업 산업체 합계 2006년 2005년 증감률 2006년 2005년 증감률 재정 수입 연구개발비 순손실 시장가치 9,150 2,892 876 62,165 7,993 2,559 1,395 43,374 14 13-37 43 13,307 5,695 2,541-11,765 5,259 3,280-13 8-23 - 산업 기업 수 종업원 수 156 39,740 122 34,250 28 16 1,621 75,810 1,613 68,440 0 11 출처 : Beyond Borders :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7, Ernst & Young, 2007. 2006년도 일본 바이오산업 분야 총 시장규모는 1조 8,465억 엔이다(표 3-Ⅶ-15). 경제산업성 등 6개 부처에서 투자하고 있는 바이오산업관련 예산은 2,648억 엔에 달한다.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65
표 3-Ⅶ-15 일본의 2006년도 바이오산업 총 시장규모 구 분 내 용 바 이 오 제 품 바 이 오 관련제품 및 서비스 유전자조작 제품 세포융합 제품 세포배양 제품 2005년 시 장 규 모 11,039.8 1,012.0 368.0 (단위 : 억엔) 2006년 11,538.2 1,001.9 358.9 소 계 12,419.8 12,899.0 의약 정밀화학 제품 식 품 기기 시약 생물정보 서비스 센서 환경 기타 출처 : 일경BP사, 일경바이오연감 2007, 2006. 12 1,528.0 1,368.0 1,272.5 1,274.4 1,601.0 1,323.5 1,287.5 1,354.0 소 계 5,442.9 5,566.0 합 계 17,862.7 18,465.0 전 세계적으로 제약 산업은 자동차, 전자, 소프트웨어 등과 함께 R&D 투자비의 70%를 점유하는 5대 업종에 랭크되었다(표 3-Ⅶ-16). 표 3-Ⅶ-16 영국 통상산업부 선정 R&D Top 톱50 주요 기업현황 전체 순위 업계 순위 기업명 국가명 2005년 순위 2003년 순위 2005 R&D 금액 1 - 포드자동차 미국 3 1 8조 4,113억원 2 1 화이자 미국 2 5 7조 8,157억원 7 2 존슨&존슨 미국 14 13 6조 6,424억원 9 - 삼성전자 한국 17 33 5조 7,219억원 10 3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영국 11 8 5조 6,677억원 13 4 노바티스 스위스 20 25 5조 901억원 16 5 사노피-아벤티스 프랑스 12 17 5조 179억원 19 6 로슈 스위스 19 26 4조 5,486억원 21 7 머크&컴퍼니 미국 21 30 4조 432억원 28 8 아스트라제네카 영국 24 27 3조 5,559억원 32 9 일라이릴리 미국 38 44 3조 1,768억원 36 10 와이어스 미국 44 45 2조 8,880억원 37 11 브리스톨마이어스 미국 42 40 2조 8,880억원 45 12 암젠 미국 50 68 2조 4,368억원 46 13 바이엘 독일 31 31 2조 3,465억원 출처 : 2006 글로벌 R&D 투자기업보고서, 영국 통상산업부, 2006. 10 566 2007 보건산업백서
영국 통상산업부(DTI)가 2006년 10월에 공개한 2006 글로벌 R&D투자기업 보 고서에 의하면 화이자(Pfizer)가 포드(Ford)에 이어 2005년에 총 7조 8,157억원을 R&D에 투자해 투자규모에서 전체산업 2위 및 제약부문 1위를 차지하였으며, 존 슨&존슨(Johnson&Johnson)이 6조 6,424억원을 R&D에 투자해 전체산업 7위 및 제약부문 2위에 올랐으며,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5조 6,677억원으로 전체산 업 10위, 제약부분 3위를 차지하여 제약 산업은 소프트웨어산업과 함께 R&D 투자 의 증가속도가 가장 빠른 양대 업종에 선정되었다(표 3-Ⅶ-16). 또한 현재 세계 20 대 제약기업들이 가장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분야는 저분자 합성신약 개발 분 야로 전체 연구개발비의 82%가 투자되고 있다. 생명공학 시장은 2006년 약 6,000억 달러에서 2020년 약 1조 3천억 달러로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바이오신약, 바이오장기, 바이오칩 을 포함하는 세계 바이오산업은 연평균 10%대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빠르게 성장 하고 있다. 공개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기준으로 했을 때 미국은 2005년 전 세계 총 수입의 77%, 고용 인력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2006년에 발표된 Ernst & Young 보고서에 의하면, 2005년 상장기업 기준 세계 바이오산업 규모를 6,000억 달러라고 했을 때 76%를 미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이 16%, 캐나다가 4%, 아 시아/태평양 국가가 5%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3-Ⅶ-10 생명공학 분야 상장기업 기준 주요국 매출 비중 출처:Ernst & Young 社, Global Biotechnology Reports 2006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67
세계적인 규모의 회계법인인 PricewaterhouseCoopers 7) 에 따르면 2020년에 이 르면 의약품시장에서 의사보다는 행정부와 수요자들에 의한 가격 결정권한이 강 화되고, E7 국가들(브라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러시아, 터키)의 경제 가 크게 성장하여 이들 국가들이 전 세계 바이오산업시장의 약 20%를 차지할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보건의료에 대한 치료정책보다는 금연캠페인 등을 통한 예방정책이 강화되 고, 현재까지는 주로 서방 선진국들에서 수행되어 온 기초과학 및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가 고비용 등으로 아시아 국가들로의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바이오 벤처들의 신속한 의사결정 및 연구개발 속도가 다국적 제약 기업들의 복 잡하고 느린 의사결정 시스템과 연구개발 문화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유전체 연구를 통한 바이오마커들의 발견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약을 더 빠르고 저렴하게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2020년 경이 되면 전 세계가 하 나의 임상 개발 규정(One global regulatory system)으로 통일되어 막대한 비용과 개발 기간을 대폭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약사 등의 공급사슬이 자동차 부문과 같은 제조 및 배송 시스템으로 혁신이 이루어지고, 공급측면의 블록버스터 판매 모델이 사라지고 수요측면에서 소비자 중심의 혁신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의약도매상이 사라지고 직접 제 조 업체에서 소비자에게 배달되는 배송 시스템의 혁신이 이루어 질 것이며, 혁신 적인 신약이나 백신 등 삶의 질을 높이고 예방할 수 있는 신약들에 대해서는 특허 기간을 현재보다 더 길게 하여 제조회사들을 보호하고, 모방의약(me-too medicine)이나 개량 신약들에 대해서는 특허기간을 축소하여 생명공학 및 제약사 들의 혁신 신약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7) Pharma 2020: The Vision, Which Path Will You Take (2007) 568 2007 보건산업백서
2. 국내 바이오시장 동향 국내의 바이오 시장 규모는 선지속적인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벤처 기업의 업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업종은 바이오의약 부문임 2000년을 전후로 바이오벤처 붐이 나타나 06년까지 한해 평균 27개의 기업이 창업 2007년 상반기 기준 국내의 코스닥 상장 바이오벤처 기업은 총 61개 미국과 유럽, 일본을 포함한 생명공학 기술분야의 선진국가들이 발전하는 추세 에 따라 국내 바이오 시장도 양적인 성장을 지속해왔다. (그림 3-Ⅶ-11)을 살펴보 면 2005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는 2조 7,714억원으로 1995년 약 2,400억원에 서 연평균 28%가량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Ⅶ-11 바이오 산업의 시장규모(ʼ94 ʼ05) * 출처 : 국내 생물산업 통계(최종갱신 : 2005년도 국내 생물산업 통계), ʼ06.12, 산업연구원 * ʼ94년 이후 ʼ05년까지 생산 규모는 연평균 28.7%의 높은 증가율 기록 국내 바이오 산업의 연도별 수요부문을 살펴보면 내수 부문이 2005년 약 2조 3 천억원을 기록하고 있고 수출 부문은 1조 2천억원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 한 결과는 2004년 대비 각각 19%, 8%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69
그림 3-Ⅶ-12 국내 바이오 산업의 연도별 수요부문(내수와 수출) 규모 * 출처 : 국내 생물산업 통계(최종갱신 : 2005년도 국내 생물산업 통계), ʼ06.12, 산업연구원 국내 바이오 벤처 기업의 업종별 분포를 살펴보면 바이오의약이 30%로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바이오식품(26%), 바이오화학(18%), 바이 오검정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현대 사회에 점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질병 치료에 대한 수요와 미래 식량 자원의 필요성에 따른 시대적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3-Ⅶ-13 바이오 벤처 기업의 업종별 분포(ʼ06) * 출처: 2007 바이오벤처총람(ʼ07), 한국바이오벤처협회 - 단, 생물공정/기기에는 바이오장비 및 기기가 포함되어 있음 570 2007 보건산업백서
연도별 바이오벤처 기업의 창업 추이를 살펴보면 2000년을 전후로 붐을 타기 시작 하여 벤처기업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99년 35개에서 00년 93개로 증 가하였으며 06년까지 한해 평균 27개의 기업이 창업하고 있다(그림 3-Ⅶ-13, 14). 그림 3-Ⅶ-14 연도별 바이오 벤처기업 창업 추이(ʼ95이전 ʼ06) 출처 : 2007 바이오벤처총람(ʼ07), 한국바이오벤처협회 2000년을 전후로 벤처 창업 붐이 조성된 이후에 2006년까지 꾸준한 감소추세 에 있는 걸로 보아 벤처 육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3-Ⅶ-15 코스닥 상장 생명공학 벤처기업 추이 자료: 2007 바이오벤처총람( 07. 07), 한국바이오벤처협회 코스닥 등록 벤처 기업 수는 총 61개(ʼ07년 상반기 기준) * ʼ00년 이전 8개 기업 등록 ʼ00년 이후 53개 기업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71
2007년 상반기 기준 코스닥 상장 바이오 벤처기업은 총 61개에 달하고 있다. 이중 2000년 이전 상장 기업은 8개인 반면 2000년부터 현재까지 상장기업은 53개에 달하 고 있어 최근 상장기업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상장실적을 보이고 있다(표 3-Ⅶ-17). 표 3-Ⅶ-17 코스닥 등록 바이오벤처 기업 현황(ʼ07.06 현재) NO 구분 업체명 분야 주력 제품 설립일자 등록일자 1 코스닥 네오팜 생물의약 아토피, 여드름 화장품 제조 ʼ00.09. ʼ07.01. 2 코스닥 농우바이오 생물농업 야채 종자(개량형) ʼ90.06. ʼ02.04. 3 코스닥 뉴로테크 ( 舊,이오리스) 생물의약 뇌질환 관련 신약개발 ʼ96,04. ʼ00,06. 4 코스닥 대성미생물연구소 생물의약 동물용 백신 ʼ66.02. ʼ00.04. 5 코스닥 대한뉴팜 생물농업 동물용 항생제 ʼ84.10. ʼ02.02. 6 코스닥 도드람B&F 생물농업 동물용 사료 ʼ91.04. ʼ96.07. 7 코스닥 도들샘 바이오식품 김치, 밤, 딸기, 꽃게 ʼ78.06. ʼ04.01. 8 코스닥 라이브코드 바이오식품 섹소스 맥시마, 올카바스, 나만, 피돌기 ʼ97.08. ʼ99.12. 9 코스닥 라이프코드 생물의약 제대혈은행, 산업용기계 ʼ85.10. ʼ96.07. 10 코스닥 렉스진바이오텍 바이오식품 건강기능성 식품 ʼ95.02. ʼ02.11. 11 코스닥 리젠바이오텍 생물의약 조직재생 및 항암 단백질 등 ʼ79.09. ʼ97.01. 12 코스닥 마크로젠 생물검정 DNA chip, 유전자분석서비스 ʼ95.06. ʼ00.02. 13 코스닥 메디포스트 생물의약 재대혈 은행 ʼ00.06. ʻ05.07. 14 코스닥 메디프론 생물의약 치매치료제 및 진통제 개발 ʼ97.03. ʼ03.01. 15 코스닥 바이넥스 생물의약 정장제, 소화제, 임신진단시약 ʼ85.06. ʼ01.08. 16 코스닥 바이로메드 생물의약 기술이전, 연구용 시료 ʼ96.11. ʼ05.12. 17 코스닥 바이오니아 생물기기 합성유전자, 시약, 유전자분석장비 ʼ92.08. ʼ05.12. 18 코스닥 바이오랜드 생물화학 화장품 소재, 미생물 배양제품 ʼ95.09. ʼ01.05. 19 코스닥 바이오메디아 (소리바다) 생물환경 수도용 및 원예용 상토 ʼ98.08. ʼ01.10. 20 코스닥 바이오스페이스 생물기기 정밀체성분 분석기 ʼ95.05. ʼ00.12. 21 거래소 부광약품 생물의약 의약용 약제품 제조업 60.10. 88.08. 22 거래소 비에이치케이 생물의약 심근재생 세포치료제 개발 ʼ64.08. ʼ06.08. 23 코스닥 산성피앤씨 생물화학 줄기세포이용 화장품개발 86.12. 03.01. 24 코스닥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생물기기 연구기기, 시약 ʼ94.04. ʼ05.10. 25 거래소 세원셀론텍 생물의약 관절염치료제 ʼ06.07. ʼ06.07. 26 코스닥 솔고바이오 생물기기 가정용 온열치료기, 의료기구 ʼ95.07. ʼ00.08. 27 코스닥 스카이뉴팜 생물의약 의약품 개발. 제조, 판매 ʼ01.08. ʼ01.08. 28 코스닥 신명B&F ( 舊,디지탈멀티텍) 생물농업 동물사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ʼ99.04. ʼ04.05. 29 코스닥 쎌바이오텍 바이오식품 유산균 원말 및 완제품 ʼ95.02. ʼ02.12. 30 코스닥 쓰리세븐 ( 舊,크레아젠 인수) 생물의약 암백신 및 관절염 세포치료제 개발 ʼ75. ʼ03.02. 31 코스닥 씨티씨 바이오 생물농업 동물항병원성제품, 생균효소 ʼ95.12. ʼ02.02. 32 거래소 알앤엘바이오 생물의약 줄기세포치료제, 항균제 등 ʼ61.07. ʼ76.06. 33 코스닥 에스디 생물화학 진단시약 ʼ99.02. ʼ03.01. 572 2007 보건산업백서
NO 구분 업체명 분야 주력 제품 설립일자 등록일자 34 코스닥 에스텍파마 생물의약 원료의약품 ʼ99.01 ʼ04.02. 35 코스닥 에코솔루션 생물환경 토양오염 진단, 복원 ʼ98.03. ʼ01.12. 36 거래소 오리엔트바이오 생물의약 백신, 생물, 진단, 신약 개발 등 ʼ59.04. ʼ76.12. 37 코스닥 오스코텍 생물의약 뼈치료용 신약개발 ʼ98.12. ʼ07.01. 38 코스닥 오스템임플란트 생물기기 치과용 임플란트 ʼ97.01. ʼ07.02. 39 코스닥 이-글벳 생물농업 사료첨가제(항생,영양) ʼ83.12. ʼ00.11. 40 코스닥 이노셀 생물의약 제대혈은행, 간암치료제 ʼ92.09. ʼ98.09. 41 코스닥 이지바이오시스템 바이오식품 발효식품,동물사료, 기능성소재 ʼ88.03. ʼ99.11. 42 코스닥 이큐스팜 생물의약 당뇨병 치료제 개발 ʼ94.01. ʼ02.02. 43 코스닥 인바이오넷 생물농업 미생물배양체 ʼ96.05. ʼ01.06. 44 코스닥 인포피아 생물기기 바이오센서 및 혈당측정기 ʼ96.04. ʼ07.06. 45 코스닥 자원메디칼 생물기기 의료정밀기기제조 ʼ93.03. ʼ00.06. 46 코스닥 제넥셀 생물의약 항체 및 단백질 치료제 개발 ʼ90.01. ʼ99.05. 47 코스닥 제일바이오 생물농업 사료첨가제 ʼ89.02. ʼ02.01. 48 코스닥 조아제약 생물의약 의약품, 의약부외품, 보건보조식품 ʼ96.03. ʼ99.08. 49 거래소 종근당바이오 생물의약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제조 01.11. 01.12. 50 코스닥 중앙바이오텍 생물농업 사료첨가제(항생, 영양) ʼ80.12. ʼ00.08. 51 코스닥 중앙백신 생물의약 동물용 백신 전문 제조업체 ʻ94.07 ʻ03.10. 52 코스닥 진바이오텍 생물의약 사료첨가제 및 기능성식품 ʼ84.06. ʼ06.04. 53 코스닥 진양제약 생물의약 의약품, 소부날, 옥티란 ʻ78.06 ʻ00.07 54 코스닥 코미팜 생물의약 동물용백신/한국미생물연구소 ʼ72.09. ʼ01.10. 55 코스닥 코바이오텍 생물기기 생물 반응기(발효기) ʼ87.04. ʼ01.10. 56 코스닥 크리스탈지노믹스 생물의약 신개념 항생제 ʼ00.07. ʼ06.01. 57 코스닥 티니아텍 (파마코디자인) 생물의약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ʼ95.01. ʼ01.05. 58 코스닥 폴리플러스 생물의약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ʼ86.04. ʼ02.12. 59 거래소 한국기술산업 (프로테오젠) 생물의약 단백질 칩 고정화 기술 ʼ57.05. ʼ89.09. 60 코스닥 한국콜마 생물의약 화장품, 연고제류 및 의약품 ʼ90.05. ʼ02.04. 61 거래소 한독약품 생물의약 의약용 약제품 제조업 54.04. 76.06. 62 코스닥 한서제약 생물의약 고덱스 등 의약품 ʼ84.12. ʼ04.11. 63 코스닥 해인I&C(제노프라) 생물의약 DNA chip, 암 질병관련 진단시약 개발 ʼ99.01. ʼ01.10. 64 코스닥 헤파호프 생물의약 인공간 개발 ʼ96.07. ʼ00.12. 65 코스닥 화일약품 생물의약 의약품원료, 암치료제 ʼ80.11. ʼ02.04. 66 코스닥 휴온스 생물의약 전문의약품, 비만치료제, 비타민제품 ʼ65.07. ʼ06.12. 67 코스닥 EBSI 바이오식품 건강기능식품 개발 ʼ72.01. ʼ02.07. 68 코스닥 EBT네트웍스 바이오식품 사료첨가제, 기능성소재 ʼ92.12. ʼ01.06. 69 거래소 LG생명과학 생물의약 전문의약품, 동물의약품 ʼ02.08. ʼ02.08. 70 코스닥 PW제네틱스 ( 舊,나래시스템) 생물농업 무균돼지 생산 ʼ92.03. ʼ03.01. 71 거래소 VGX인터 생물의약 신약개발 및 컨설팅 ʼ76.01. ʼ87.11.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73
연구개발동향 생명공학연구원 현병환 센터장 e-mail: bhhyun@kribb.re.kr 1. 연구개발 추세와 전망 생명공학 기술은 IT, NT 등의 기술과 융합되어 새로운 융합기술 창출과 제품개발에 기여하고 있음 바이오 산업 중 첨단 기반 기술과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의약품산업은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의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발전을 선도 생명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2020년 전후에는 바이오경제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이후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많 은 생물종에 대한 유전체 지도가 완성됨에 따라 생명 현상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 (시스템 생물학이라고 일컬음)을 통해 바이오 제품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이러 한 post-genome 시대에서 첨단 생명공학 기술의 활용 범위는 기초 연구개발 단계 에서 산업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생명공학 기술은 IT, NT 등 첨단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제품 개발에 기여하여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나노 바이오기술, 생물 정보학 등 새로운 융합기 술 제품들이 상업화되고 있다. 또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 염기변이), 약물 유전체학(Pharmacogenomics), 줄기세포 연구 등의 첨단 연구결 과들 역시 예방의학, 맞춤의약, 재생의약의 관점에서 시장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여 난치병 및 유전병 치료에서 새로운 돌파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점차 예방의학에 더 집중하여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산업, 특히 의약품 산업은 첨단 기반 기술과 함께 산업화를 위한 장기간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있으며, 선도 기업 간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미국을 포함한 상 위 6개국이 전 세계 연구 개발비 투자액의 88%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중심의 상위 20개 기업이 전체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574 2007 보건산업백서
미국 및 영국 중심의 대형 다국적 제약 및 바이오기업들은 연구 개발에 대한 투 자를 점차 강화하여, 2005년 미국 정부의 국립보건원은 연구 개발에 투자한 약 290억 달러보다 많은 약 400억 달러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의 금액을 투자하고 있 다. 그러나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증가에도 불구하고 임상 개발되어 식약 청의 허가를 받아 출시되는 제품의 수는 증가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기업운영 의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국적 제약 및 생명공학 기업들은 신기술 확보와 파 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소규모 벤처와의 제휴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가장 밀접하게 관계된 사회적 이슈는 인간 유전체 프로젝 트의 완성이며, 이에 따른 혜택을 가장 빨리,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분야는 바로 의약품산업이다. 현재 2006년의 의약품산업시장은 연간 6천억 달러 이상이며, 이 것이 앞으로 전개될 post-genome 시대(유전자 서열이 밝혀진 이후의 시대)에는 얼마나 증가할지 예측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곧 병을 치료하는 기존의 개념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방의학 및 신약 연구가 21세기에 인간 유전체 프로 젝트의 결과를 이용하여 가장 큰 경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라고 예견하고 있다. 인간 유전체의 서열은 밝혀졌으니, 이제 어떠한 연구가 필요한 것인가? 미국과 일본 정부는 다음 목표로써 중요 단백질들의 구조 및 기능에 주목하여 관련 분야 구조유전체학(Structural ge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시스템 생물학 (Systems biology) 및 화학 유전체학(Chemical genomics)등)에 막대한 투자를 하 고 있다. 생명공학 기술은 21세기 생명 중심 사회를 견인하는 핵심기술로서 급속한 고령 화에 따른 질병 발생의 예방 및 관리를 통한 국민의 건강 및 복지향상, 환경과 에 너지 문제 등의 해결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유도, 고품질 및 안전한 식품 공급을 통한 식량문제의 해결, 바이오테러 대응을 통한 국민의 안전 확보 등 직접 적인 경제적 효과의 창출은 물론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한 비경제적 효과도 크게 창 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생명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경제는 2020년을 전후하여 바이오 경제로 진입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8). 바이오 경제란 생명공학 발전으로 신제품의 보급이나 서비스의 향상을 통하여 인류에 편익을 가져다주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8)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 과학기술부, 2006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75
개념 (OECD, 2006)을 의미한다. 생명공학기술에 기초하는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표적 인 지식기반산업으로 IT의 뒤를 잇는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생명공학기술이 정보통신기술(IT)이나 나노기술(NT) 등 첨단신기술과 더 불어 미래 생활에 폭넓고 다양하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즉, 맞춤의 학 등의 발전으로 질병의 예방, 조기진단 및 치료 등이 가능해 질 수 있음은 물론, 식량 환경 에너지 등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각종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21세기 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2. 세계의 바이오산업 연구개발 동향 세계 의약품 시장 규모는 643조원으로 연평균 9%의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음 바이오신약은 화학적 신약에 비해 임상 소요 경비가 적게 들고 개발성공률도 높은 편 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 현재 급증하고 있는 장기 이식 수요에 비해 공급은 제한되어 있어 수급 불균형이 심한 실정이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이식용 바이오장기 연구는 관련 바이오산업의 동반 발전 및 응용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 여기서부터는 바이오 보건 산업 중에서도 가장 많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Red bio 즉, 제약 분야의 핵심적인 3가지 부문에 대한 연구개발 동향에 대해 설 명하고자 한다. 1) 합성신약 2006년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는 643조원(6,430억 달러)이고 전년 대비 약 7%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표 3-Ⅶ-18). 576 2007 보건산업백서
표 3-Ⅶ-18 Global Pharmaceutical Sales, 1999~2006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Total World Market (Bn $) 362 387 427 498 559 601 643 Growth Over Previous Year (%) 11.7% 11.8% 10.6% 10.4% 8.0% 6.8% 7.0% 출처 : IMS Health Market Prognosis (includes IMS Audited and Unaudited Markets), All information current as of March 2, 2007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10년에는 900조원(9,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합성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최근에 도입된 신기술로는 조합화학, CADD, ADME/Tox(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 and Toxicology) 평가기술 등이 있다. 2) 바이오신약 바이오신약개발은 화학적 신약과는 달리 전임상에서 요구되는 자료가 적은 편 이어서 전임상 시험기간이 짧다. 또한 임상시험에서 독성의 예측이 비교적 쉽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오신약은 실제 제품개발 및 임상에 소요되는 경비가 화학적 신 약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개발 성공률도 높은 편이다. 현재 바이오 의약품은 제 품의 발전주기가 도입기, 성장기에 속하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이 많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신약 개발이 화학적 신약 개발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 으며, 실제로 신약허가 건수도 바이오제품이 화학적 제품을 앞서고 있다. 바이오 신약 부문 중에 재조합단백질 의약품은 제1세대 바이오 의약품으로 Erythropoietin(EPO), G-CSF, Interferon 등이 속하며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품개발의 발전주기가 성숙기 단계에 접어들고 있 어 연간 매출이 약 10% 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표 3-Ⅶ-19).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77
표 3-Ⅶ-19 EPO 매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제품명 회사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10 Aranesp 326 1,065 1,645 2,167 2,747 4,245 6,090 Amgen Epogen 2,341 2,376 2,388 2,257 2,166 2,070 1,868 Procrit J & J 3,680 3,720 3,739 3,645 3,353 2,913 2,574 Dynepo Shire 0 0 165 254 391 915 1,264 Neo- Recormon Roche 507 582 662 699 734 709 488 Epogin Chugai 548 610 657 681 631 563 482 Espo Sankyo 196 204 190 179 156 133 109 Others 32 32 32 32 32 32 32 Total 7,631 8,589 9,478 9,913 10,212 11,581 12,907 출처 : Amgen 발표자료, Datamonitor, 2005 최근의 재조합단백질 의약품 개발동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제품의 투여횟수를 줄이고, 체내 반감기를 높이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활발하다는 것이며 둘째는 일부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오리지널 제품 의 바이오 복사제품(biogeneric)이 등장한 것이다. 화학적 의약품과 달리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 동일한 단백질이라 하더라도 생산하는 세포주의 특징 등에 따라 미 세한 당쇄 체인 등에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최종 제품의 효능 및 체내 동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제품을 바이오 유사제품(biosimilar)으로 정의하 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제품의 인허가 관련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는 인허가 제도를 먼저 정립하였으나, 미국의 경우는 아직 규정을 완전히 준비하지 않은 상 태이다. 바이오 신약부문의 또 다른 분류인 치료용 단클론 항체는 최근 몇 년간 해외에 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치료 의약품으로, 기존의 재조합단백질 관련 바이 오 의약품에 이어 거대 제품군으로 주목받고 있다(표 3-Ⅶ-20). 전 세계적으로 개 발 중인 바이오 의약품의 1/3 이상이 이에 해당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현재 20종의 치료용 항체가 출시된 상태이며, 전 세계적으로 270개의 회사가 700개의 항체를 개발하고 있다. 이중 400여 개의 항체 제품이 임상시험 중에 있으며, 2010 578 2007 보건산업백서
년까지는 100개 이상의 치료용 항체가 시장에 출현할 것으로 예측된다. 치료용 항 체 시장 규모는 매년 평균 20% 정도 성장하여 2010년까지 약 300억 달러 정도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표 3-Ⅶ-20 치료용 항체의 매출현황 Brand name (Generic name) Rituxan (Rituximab) Remicade (infliximab) Herceptin (trastuzumab) Synagis (palivizumab) Humira (adalimumab) Avastin (bevacizumab) ReoPro (abciximab) Erbitux (cetuximab) Xolair (omalizumab) Campath (alemtuzumab) Raptiva (efalizumab) Simulect (basiliximab) Zenapax (daclizumab) Mylotarg (gemtuzumab) Zevalin (ibritumomab) Orthoclone (muromonab) Cotara (n/a) Bexxar (tositomomab-i131) 분야 개발사 매출(백만 달러) 2003 2004 2007 2010 Oncology Biogen-IDEC 2,122 2,794 2,315 4,079 AIID Centocor/ Schering Plough 2,048 2,613-4,180 oncology Genentech 978 1,234 1,767 1,716 Infectious disease Medimmune 849 1,015-1,413 AIID Abbot 280 852 2,392 4,155 Oncology Genentech n/l 545 2,674 3,911 cardio-vascular oncology Repiratory Oncology AIID Centocor/ Eli-Lilly Imclone/ BMS Genentech/ Norvatis Millenium Ph/ Schering AG Xoma/ Genentech 364 363 - - n/l 356-1,359 25 189 600 789 78 84 - - 1 61 362 781 AIID Norvatis 34 46 - - Oncology oncology PDL/ Roche Celltech/ Wyeth -Ayerst 27 30 30 27 26 26 37 64 oncology Biogen-IDEC 20 23 57 79 AIID Oncology Ortho Biotech/ J&J Peregrine Pharmaceuticals inc. 12 17 - - n/a n/a - - Oncology Corixa/GSK n/a n/a - - 출처 : Datamonitor, 2005 * 일부 예측은 2006년 실제 매출과 크게 차이가 남 ( n/l:not launched, n/a:not available)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79
예방 및 치료용 백신 분야에 있어서는 Merck 및 GSK를 비롯한 주요 제약기업 들이 최근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개발에 성공하면서 주춤했던 예방백신의 연구개 발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AIDS 백신, 차세대 Influenza 백신, 조류독감 백신, 차세대 결핵 백신, 구제역 백신, 말라리아 백신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 구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전자 치료제 부문은 1990년 세계 최초로 치료 목적의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 이 실시된 이래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Journal of Gene Medicine에서 제공하는 세계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 데이터베이스 (http://www.wiley.co.uk/genmed/ clinical/)에 따르면 2007년 7월 누적기준으로 1,309건의 임상시험이 등록되어 있다.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의 대상 질환에는 암(66.5%), 심혈관 질환(9.1%), 유전 질환(8.3%), 감염성 질환(6.5%)과 같은 난치 및 불치성 질환이 전체 임상시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유전자 치료제는 두 건으로 2003년 시판이 허가된 Gendicine과 2005년 허가된 H101이다. 두 제품 모두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체 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두경부암을 대상으로 중국에서 시판 허가를 받았다. 선진 국 시장의 경우 Gendicine과 동일한 개념의 치료제인 Advexin이 조만간 미국 FDA 의 허가를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최근 일본에서도 폐쇄성 동맥경화증 유 전자 치료제가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시판 허가를 준비 중에 있다. 3) 바이오장기 전 세계적으로 장기이식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공급은 제한되어 이식대기자 수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그림 3-Ⅶ-16). 뇌사자 이식이 활성화 되어 있는 미국의 경우 연간 신규로 발생하는 장기이식 대기자 중 60%는 장기 공여를 통한 이식으로 새로운 삶을 살게 되지만, 매년 6,000여 명 이상은 이식을 받지 못한 채 사망하고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 이식대기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580 2007 보건산업백서
그림 3-Ⅶ-16 미국내 장기 이식 수요 및 공급 현황(UNOS 9) 2007 현재) 출처 : UNOS 2007 이와 같이 이식 장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로 수급 불균형은 점차 심화될 것으 로 예상된다. 아울러 장기 이식은 21세기 고부가가치 신( 新 )산업인 바이오산업의 제 분야가 결집되는 바이오산업의 총체이자 꽃 으로 관련 바이오산업의 동반 발 전 및 응용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장기 이식에 따른 면역억제제의 시장 규모만 해도 2001년 기준으로 3조 4,200억원 규모에 달하고 매년 6%씩 증가되어 2010년 경에는 5조 5,0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식용 장기에 대한 수요는 연평균 5% 성장률로 증가하여 2010년 경 세계시장 규모는 760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미국의 장기 및 조직 이 식 시장 규모는 2007년 현재 205억 달러로 추산하고 있다. 바이오장기의 주요 개발 분야인 당뇨병 치료용 췌도는 미국의 경우 1형 당뇨병 환자 1명의 1년 생존율 연장 비용이 28,700 달러가 소요(미국 UNOS 보고서, 2005년)되며, 호주는 1형 당뇨병 환 자 14만 명의 치료비용이 연간 25억 달러(2006)에 이르고 있으며, 전 세계의 1형 당 뇨병 환자 700만 명 중 10%가 췌도 이식 대상자라고 가정하고 다시 이 중 10%가 이종 췌도를 이식받는다고 볼 경우, 그 시장 규모는 17억 달러로 추산된다. 10) 9) UNOS(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 미국 장기이식센터 10) 바이오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산업연구원 발간, 2007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81
3. 국내 연구개발 동향 2006년 정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화 및 특성화를 위해 국가 R&D사업 Tot al Roadmap 을 수립하고 향후 15년 동안 생명공학 분야의 투자를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함 부처별 투자 실적을 살펴보면 과학기술부가 전체 생명공학 투자 중 가장 많은 32. 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초 및 응용부문은 과학기술부가, 개발연구는 산업자 원부가 가장 많은 투자를 하였음 1) 정부의 R&D 현황 21세기 지식기반경제가 심화되면서 세계 각국은 과학 기술력을 중심으로 국가 경쟁력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규모가 1990년 이후부터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참여정부는 과학기술부총리 체제 출범과 과학기 술혁신본부 신설 등 과학기술혁신체제를 구축하여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연 구개발성과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연계시키고자 하고 있다. 2006년도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화 및 특성화를 위한 중장기 투자전략인 국가 R&D사업 Total Roadmap 을 수립하여 기술 분야별로 정부 R&D투자 포 트폴리오를 제시하였는데, 생명 분야는 향후 15년 동안 투자를 강화하는 투자비 중 증가형 그룹에 포함되어 있다. 생명 분야에 대한 투자비중의 증가는 2020년을 전후하여 가시화될 것으로 여겨지는 바이오 경제(bioeconomy) 시대에 대한 적절 한 대비가 될 것이다. 2006년도 정부 연구개발 총 투자는 일반회계, 특별회계 및 기금을 포함해서 8조 9,096억원으로 2005년의 7조 7,996억원에서 1조 1,100억원(14.2%) 증가하였으며,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연평균 증가율은 13.4%로 나타났다. 일반회계를 기준으로 정부 연구개발 예산의 비중은 2006년 4.2%로 2005년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2006년 도 국가연구개발 사업에는 총 8조 7,639억원이 집행되었는데, 이는 2006년도 정부 연구개발예산에서 1,456억원이 미집행 되었음을 의미한다. 582 2007 보건산업백서
2) 부처의 생명공학 분야 연구개발 투자 현황 (1) 연구개발단계별 투자 현황 2006년도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부처별 투자현황을 살펴보면, 과학기술부가 4,213억으로 전체 생명공학 분야의 32.4%를 투자하였고 농촌진흥청 2,119억원 (16.3%), 산업자원부 1,858억원(14.3%), 보건복지부 1,755억원(13.5%) 순으로 투자 가 이루어졌다. 연구개발 단계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에 각각 34.9%, 30.0%, 31.5%가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및 응용연구는 과학기술부가 각각 2,464억원, 1,174억원을 투자하였고, 개 발연구는 산업자원부가 1,354억원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Ⅶ-21). 표 3-Ⅶ-21 연구 개발 단계 과학 기술부 교육 인적 자원부 생명공학 분야 부처별 연구개발단계별 투자 현황(2006년) 농림부 산업 자원부 보건 복지부 환경부 해양 수산부 방위 사업청 농촌 진흥청 산림청 중소 기업청 (단위 : 백만원) 식품 의약품 총합계 안전청 기초 연구 응용 연구 개발 연구 246,413 65,744 8,409 14,799 37,422 4,872 7,855-44,963 2,426 4,077 17,503 454,483 117,413 21,523 20,375 28,687 69,842 915 8,122-98,158 10,504 187 15,147 390,873 53,821 2,620 40,626 135,389 51,272-24,048 1,391 59,600 14,439 22,649 4,442 410,297 기타 3,649 9,140-6,913 16,969 - - - 9,180 - - 405 46,256 총합계 421,296 99,027 69,410 185,788 175,505 5,787 40,025 1,391 211,901 27,369 26,913 37,497 1,301,909 출처 : 200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관련 자료에서 산출, 2007 (2)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별 투자 현황 2006년도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투자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19개 대분류 기 준으로 살펴보면, 보건 의료 분야에 4,348억원(33.4%), 생명공학 분야에 3,871억원 (29.7%), 농림 수산 분야에 3,633억원(27.9%) 순으로 투자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 타났다. 생명공학 분야는 과학기술부가 2,344억원, 보건 의료 분야는 보건복지부 가 1,635억원, 농림 수산 분야는 농촌진흥청이 1,827억원으로 분야별로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Ⅶ-22).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83
표 3-Ⅶ-22 표준 분류 과학 기술부 생명공학 분야 부처별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별 투자현황(2006년) 교육 인적 자원부 농림부 산업 자원부 보건 복지부 환경부 해양 수산부 방위 사업청 농촌 진흥청 산림청 중소 기업청 (단위 : 백만원) 식품 의약품 안전청 총합계 수 학 799 474 1,273 물리학 3,590 700 189 144 130 4,753 화 학 15,123 3,713 8,864 375 120 300 1,151 190 29,836 생명공학 234,440 34,539 2,380 54,657 11,450 5,156 1,489 1,091 27,576 2,826 5,252 6,285 387,141 지구과학 2,139 2,139 기 계 5,419 477 968 5,225 1,111 13,200 재 료 2,459 633 4,875 45 981 8,993 화학공정 1,541 467 1,874 500 2,725 100 7,207 전기 전자 2,514 304 570 897 4,285 정 보 200 291 296 41 828 통 신 16 16 농림 수산 16,660 19,111 65,762 22,151 26,227 182,666 24,543 5,837 345 363,302 보건 의료 108,549 35,930 230 82,897 163,512 3,794 1,534 7,911 30,447 434,804 환경 600 1,989 70 442 631 620 90 739 5,181 에너지 자원 14 20 34 원자력 22,702 54 123 22,879 건설 교통 125 84 209 우주 항공 천문 해양 기술혁신 과학기술 정책 4,436 323 78 7,275 24 12,136 8 3,670 15 3,693 총합계 421,296 99,027 69,410 185,788 175,505 5,787 40,025 1,391 211,901 27,369 26,913 37,497 1,301,909 출처 : 200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관련 자료에서 산출, 2007 584 2007 보건산업백서
3) 생명공학 인력 현황 그림 3-Ⅶ-17 국내 생명공학분야 졸업자 현황 출처 : 교육인적자원통계서비스, 교육통계정보센터(www.std.kedi.re.kr)자료 정리(ʼ07.7) 전문대학 이상 생명공학 관련 졸업자는 2003년 25,556명에서 2006년 28,675명으 로 증가하고 있다. 신규 배출 인력 중 우수인력인 석 박사 비중은 33% 정도의 수 준으로 이와 같은 수치는 타주력 분야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여성의 비중은 1999년 29%에서 2006년 45%로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우수인 력 중 여성 비율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표 3-Ⅶ-23 국내 생명공학분야 졸업자의 학위별 성별 현황 구분 학사 석사 박사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총계 2003 9,303 7,646 16,949 3,709 2,553 6,262 1,798 547 2,345 25,556 2004 9,534 8,506 18,040 3,923 2,779 6,702 1,896 629 2,525 27,267 2005 9,521 8,548 18,096 3,998 3,030 7,028 1,970 684 2,657 27,781 2006 9,931 9,270 19,201 3,841 3,139 6,980 1,804 690 2,494 28,675 출처 : 교육인적자원통계서비스, 교육통계정보센터(www.std.kedi.re.kr)자료 정리(ʼ07.7)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85
4)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 현황 (1) 논문 성과 측면 그림 3-Ⅶ-18 바이오분야 논문 및 NSC 11) 논문 실적( 94~ 06) 출처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ʼ07) 생명공학 분야 SCIE 논문 수는 1994년 420건으로 29위에 머물렀으나, 2006년 한해 총 4,539건의 논문이 발표되어 12위로 크게 상승하는 등 양적인 성장을 이뤘 다. 또한 세계 유명저널인 NSC(Nature, Science, Cell) 게재 논문 수도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 생명공학 분야 논문이 양적 질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세계 상위 30개 국가 간 상대비교에서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분야 총 논 문 산출량 수준은 지속적으로 제고되고 있으나, 논문 피인용 지수로 본 질적 수준 에서는 경쟁국과의 격차가 존재하여 질적 도약이 필요하다. 11) NSC : Nature, Science, Cell 586 2007 보건산업백서
그림 3-Ⅶ-19 바이오분야 논문 및 NSC 논문 실적( 94~ 06) 출처 : KAIST 학술정보처(ʼ07) (2) 특허 성과 측면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tech 2000)이 착수된 이후 생명공학 분야 특허 는 1단계 기간 미미한 실적이 보이다가 2단계에 들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 였다. 미국 등록특허 기준 한국 생명공학 분야 특허건수는 1단계(1994~1997) 47 건, 2단계(1998~2001) 178건, 3단계(2002~2006) 312건으로 특허 창출 역량이 크 게 증가하였다. 또한 기술력지수에 의한 한국의 기술수준은 1단계(1994~1997) 21위, 2단계(1998~2001) 17위, 3단계(2002~2006) 15위로 상승하는 등 한국의 생 명공학 특허는 양적 질적 성장 추세에 있다. 3단계 기간 동안 응용 분야별 특허기술력은 농업 분야가 51.9로 가장 높으며, 그 뒤로 의약 분야 36.0, 공정 분야 31.7, 기초 분야 14.7순으로 분포되어 있다. 농업(2 단계 13위 3단계 7위) 및 환경 분야(1단계 22위 2단계 9위 3단계 4위)의 기술경쟁력 제고가 두드러진다. 한편, 국내 특허청에 출원된 생명공학 분야 특허는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Biotech 2000)의 시작 연도인 1994년 이후 외국인에 의한 특허출원이 우세하다가 1998년을 기점으로 내국인의 국내특허 출원이 외국인을 능가하기 시작하였다(표 3-Ⅶ-24).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87
표 3-Ⅶ-24 국가별 특허건수와 기술력 지수 국가 특허건수 특허영향지수(PII) 기술력(TS) ʼ94~ʼ97 ʼ98~ʼ01 ʼ02~ʼ06 ʼ94~ʼ97 ʼ98~ʼ01 ʼ02~ʼ06 ʼ94~ʼ97 순위 ʼ98~ʼ01 순위 ʼ02~ʼ06 순위 미국 10429 21289 22140 1.16 1.15 1.18 12111 1 24497 1 26107 1 독일 699 1282 1871 0.58 0.63 0.72 403 3 804 5 1355 2 영국 459 1031 1012 0.84 0.92 1.29 384 4 948 3 1310 3 일본 1455 2116 2326 0.47 0.50 0.48 687 2 1050 2 1124 4 캐나다 368 929 975 0.84 0.93 0.96 311 5 862 4 934 5 프랑스 403 859 926 0.55 0.60 0.72 223 8 519 6 663 6 네덜란드 390 703 1285 0.78 0.51 0.38 306 6 355 8 483 7 스위스 189 343 522 0.62 0.79 0.86 117 11 271 9 447 8 덴마크 163 465 669 0.74 0.88 0.52 120 10 408 7 351 9 벨기에 67 205 352 0.63 0.60 0.92 42 16 123 13 324 10 호주 142 358 448 0.61 0.46 0.63 87 12 164 12 280 11 스웨덴 107 246 289 1.23 1.08 0.89 131 9 265 10 257 12 이탈리아 127 186 167 0.48 0.52 1.43 61 14 97 15 239 13 이스라엘 112 245 334 0.64 0.85 0.56 71 13 207 11 186 14 대한민국 47 178 312 0.27 0.44 0.53 13 21 78 17 167 15 핀란드 49 101 76 0.73 0.78 1.78 36 17 79 16 135 16 인도 16 65 264 0.52 0.51 0.35 8 23 33 20 92 17 뉴질랜드 19 43 116 0.22 0.58 0.64 4 28 25 22 75 18 대만 30 80 193 0.50 0.36 0.38 15 20 29 21 73 19 오스트리아 52 84 64 0.52 0.72 0.83 27 18 61 18 53 20 출처 : 한국특허정보원(ʼ07) 588 2007 보건산업백서
정책동향 생명공학연구원 현병환 센터장 e-mail: bhhyun@kribb.re.kr 1. 주요국의 바이오 육성정책 1) 미국 바이오 기술의 산업화에 주력하면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투자 국립보건원과 같은 공공연구기관들이 미국의 생명공학 혁신 주체간 상호 작용을 증진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 우수한 인적자원 개발 및 확보에 주력 미국 생명 공학 혁신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생명공학혁신체제 하의 다양한 주체 들이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상호작용하여 우수한 결과물을 창출해 낸다는 것이다. 2007년도 미국 연방정부의 생명과학 R&D 예산은 약 307억 달러로 보건 분야는 290억 달러, 농업 분야는 17억 달러가 책정되었다(표 3-Ⅶ-25). 여기서 보 건 분야의 전체 대비 R&D 비율은 21.2%로 비국방 R&D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연방정부의 여러 부처들은 생명공학 연구개발활동의 자금 제공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생명공학 분야 발전의 강력한 후원자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국립보건원(NIH)과 같이 크고 중요한 공공연구기관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립보건원은 자체적인 기준 및 우선순위를 가지고 생명공학 분 야에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 수행을 해왔고 생명공학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 한 프로그램들을 제시하며 정책적으로 다른 주체들이 하지 못하는 부분을 해내어 미국의 생명공학 혁신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 내고 있다. 미국의 대학들은 생명공학분야의 발전에 있어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해내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미국 생명공학혁신체제의 근간은 막대한 기술혁신 역량을 보유하 고 있는 연구중심 대학들이며 실제로 많은 양의 연구들을 수행해오고 있다. 그 결 과 미국의 대학들은 세계적으로 특허와 지적재산권 보유량에 있어 상당한 수준의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89
우위를 점하고 있다. 또한 연구자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숙 련된 인력 양성에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대학들의 노력은 미국의 생명공학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표 3-Ⅶ-25 미국 연방정부의 기능별 연구개발 예산(2005~2007) 2007년 순위/기능 2005년 actual 2006년 preliminary 2007년 proposed (단위 : 백만 달러) 2007년 비중(%) 총액 131,259 135,205 136,850 100.0 1 National defence 74,641 77,630 78,388 57.3 2 Health 29,129 29,088 29,025 21.2 3 Space research and technology 9,656 10,411 11,478 8.4 4 General Science and basic research 5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7,477 7,495 8,321 6.1 2,245 2,202 2,043 1.5 6 Agriculture 2,094 2,128 1,711 1.3 7 Transportation 1,866 1,741 1,507 1.1 8 Energy 1,324 1,419 1,363 1.0 9 Administration of justice 779 1,011 895 0.7 10 Veterans benefits and services 742 765 765 0.6 11 Education, training, employment and social 495 522 519 0.4 services 12 Commerce and housing credit 475 457 486 0.4 13 International affairs 255 255 255 0.2 14 Community and regional development 45 55 68 15 Income security 35 27 27 주 : 연구(research), 개발(development), 연구개발 설비(R&D plant) 예산까지 모두 포함한 전체 연구개발 예산이 며, 법에 의해 정부의 지출의무(obligation)를 부담할 수 있도록 승인된 수권예산(budget authority) 기준임 출처 : Federal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 by Budget Function: Fiscal Years 2005~07, p.68 (Table 1, 3), NSF(2006.12) 590 2007 보건산업백서
2) EU 유럽 연합의 전략적 연구영역(ERA)의 기반 확립이 된 Framework program을 통해 BT분야에 지속적으로 관심과 연구를 진행 유럽 전체의 생명공학분야 연구개발 투자는 영국, 독일, 프랑스 3개국에 집중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전략적인 BT 산업 육성 FP7은 유럽에서 현재 진행 중인 프로그램으로써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년간 진행이 될 예정이고 전체 예산은 505억 유로이다. 7차 FP7은 4개의 특정 프로그램 (협력-324억 유로, 아이디어-74억 유로, 인적자원-47억 유로, 역량-42억 유로)과 1 개의 핵연구 프로그램(핵연구와 양성-47억 유로)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보 1,350 (4%) 우주 1,430 (4%) 나노 3,500 (11%) 환경 1,800 (6%) 인문사회 에너지 610 (2%) 2,300 (7%) 건강 6,050 (19%) 식품,농업 및 생명공학 1,935 (6%) 수송 4,180 (13%) 정보통신 9,110 (28%) 그림 3-Ⅶ-20 FP7 협력 프로그램의 중점추진 분야별 예산 (단위:백만유로) 출처 : P7-factsheets www.cordis.europa.eu/fp7 (1) 영국 현재 영국의 생명공학 산업 수준은 유럽에서 선두에 있으며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재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영국 은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그 결과 현재 세계 100대 약품 중 영국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91
에서 18개가 개발되었고, 영국 제조부문의 전체 연구비용의 1/4이 제약부문에서 사용되는 등 오늘날 생명공학 부문의 신약개발에 있어 영국은 선도적인 역할을 하 고 있다. (2) 독일 독일은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유럽의 선두주자로 손꼽히고 있으며 가장 많은 생 명 공학 기업을 보유한 국가이며, 유럽국가 중 가장 많은 생명공학 기업을 보유한 국가로서 300여개의 생명공학관련 기업이 존재하며 이중 20개 이상의 기업이 상 장되어 있음(표 3-Ⅶ-26). 표 3-Ⅶ-26 유럽 국가별 생명공학관련 상장기업수 국가 상장기업수 국가 상장기업수 영국 43 스웨덴 5 독일 21 네덜란드 4 스위스 13 노르웨이 3 프랑스 10 이탈리아 2 덴마크 6 아일랜드, 스페인 1 벨기에 6 오스트리아 1 출처 : European Biotechnology News(2007) 독일은 해외 생명공학 기업들에게 협력을 위한 문호를 자유롭게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학에서 제약까지, 산업 및 녹색생명공학에서 나노 생명공학까지 다양 한 생명산업 분야에서 제휴기회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3) 프랑스 프랑스에서의 생명공학은 건강과 관련된 산업뿐만 아니라 환경, 농업, 식품, 혁신 적 산업 공정 분야에서도 갈수록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건강 분야에 있어서, 질 병의 원인 연구,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역할은 생명공학에 의 존하고 있다. 생명공학 연구는 처음에 제약회사에서 시작되었으나 갈수록 생명공학 592 2007 보건산업백서
관련 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15%의 신약이 제약회사가 아닌 생명공학 회사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2010년도에는 4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약 분야를 넘어 서, 생명공학은 생명 산업 환경 및 농업 분야에서 갈수록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프랑스의 생명공학 분야는 첨단을 달리며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생명공학관련 회사는 대부분 최근에 만들어진 중소기업이며, 연구개발 과제에 중요하게 참여를 하고 있다. 2005년 현재 300여 개의 기업에서 10,00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는 것으 로 추정된다. 기업의 생명공학 관련 분야는 크게 10개로 나뉘며, 진단과 분석서비 스(21%), 약물전달(20%), 치료법(17%), 법률연구와 생산(10%), 유전체학과 단백 질체학(9%), 환경 농업 생명 식품(7%), 생물정보학 생물전자공학(7%)순이다. 프랑스 정부는 생명공학 분야 수준이 세계적 수준보다 뒤쳐진 것으로 판단하고 전략적으로 관련 기업들을 지원 발전시키려고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법규 개 정과 분위기를 조성하고 연구개발 과제들을 지원하고 있다. 2004년 6월에 만들어 진 건강 환경국가계획(PNSE, Plan National Santé Environment)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환경 악화에 기인한 건강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2007년 7월에 발간된 중간평가보고서에 의하면, PNSE를 통해서 주변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 뒤쳐져 있는 부분들을 따라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범부처간의 상호 협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지방도 활성화되고 있다. Drug Delivery 20% Diagnoatics and Analytical Services 21% Environment, AgroBio, Food 7% Genomics and Proteomics 9% Other Services and Suppliers 17% Pharmaceuticals and Chemicals 4% Reagents and Compounds 6% Therapeutics 17% Contract Research and Manufacturing 10% Bioinformatics and Bioelectronics 7% 그림 3-Ⅶ-21 프랑스 생명공학기업의 10개 주요 분야 출처 : www.france-biotech.org, 2005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93
3) 일본 산학 연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대학의 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도록 법적인 제도 시행 R&D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전략 수립 일본 본연의 강점 산업과 생명공학을 접목시켜 단기적 효과를 유인하는 전략 추진 일본의 바이오 산업 육성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의 수와 종업원을 늘리고, 기업의 규모를 확장시키는 전략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정부 차원의 연구비를 대폭 증액하는 한편, 연구소 신설 등 다양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고 산학연구의 확대를 통해 대학의 기술이 산업화로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대학의 독립 법인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 벤처 육성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2007년도 일본 정부의 바이오 산업 예산 총액은 2006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인 2,645억 엔이 책정되었으며 암 치료 관련 분야 및 임상시험 개혁 분야(후생노동성) 와 기초연구성과를 임상에 응용하는 목적으로 수행하는 연구(문부과학성) 등에 예 산이 증액되었다(표 3-Ⅶ-27). 표 3-Ⅶ-27 2007년 일본 정부의 바이오산업관련 예산 (단위 : 억 엔) 정부기관 명 2006년도 2007년도 경제산업성 256 220 농림수산성 282 264 후생노동성 1,308 1,315 문부과학성 684 688 환 경 성 109 145 경 찰 청 9 13 합 계 2,648 2,645 출처 : Nikkei Biotechnology & Business사, 일경바이오연감, 2007 594 2007 보건산업백서
4) 중국 중국의 생명공학의 연구개발 수준은 세계 선진기술 수준과 격차가 존재 세계 선진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우수 인재의 육성 및 발굴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2005년 발표한 중국의 생명공학 및 생물산업 전략계획을 통해 생명공학기술 강국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국의 생명공학 연구개발은 세계 선진기술 수준과 비교해 볼 때 여전히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핵심 기술과 우수 인재의 부족으로 분석 되고 있어 중국은 인재의 육성, 활용, 유치 등 3가지 측면으로 우수 인재팀을 구축 하여 첨단기술 인재규모 분야에서 선진국과의 차이를 축소하려 노력하고 있다. 2005년 9월 14일 중국 국가 과학기술부는 중국의 생명공학 및 생물산업 전략계 획 (마스터플랜)을 공식 발표하고 농업, 의약, 공업, 환경, 에너지, 해양, 중의약 등 중점 발전 분야를 확정함으로써, 기술 축적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발표하였 다. 이 전략에서는 향후 2020년도 중국의 생명공학 및 산업화 발전 전략 목표는 중국을 생명공학기술 강국과 바이오산업 대국으로 건설하는 것이며, 15년간의 노 력을 통해 중국의 생명공학과 산업화 수준을 세계 선진국 수준에 도달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라고 정리하고 있다(표 3-Ⅶ-28). 표 3-Ⅶ-28 중국의 생명공학 및 생물산업 전략계획(마스터플랜) 에 제시된 전략목표 단 계 기간(년) 세 부 목 표 1단계 (기술축적단계) 2단계 (산업발전단계) 3단계 (지속발전단계) 2005 2010 2010 2015 2015 2030 생명공학 연구개발 전체 수준을 개발도상국 중 제일 높은 수준으로 도달시킴 논문, 특허 수량 세계 6위 달성 바이오산업 총 생산액 8,000억위엔 달성 생명공학 연구개발 전체 수준을 세계 선진수준으로 도달시킴 논문, 특허 수량 세계 3~4위 달성 바이오산업 총 생산액 15,000억위엔 달성 생명공학 연구개발과 산업화 전체 수준을 세계 선진 국가 수준에 도달시킴 세계 생명공학과 기술 분야 최우수 인재를 유치하며, 세계 생명공학 연구 혁신의 중심지로 성장 바이오산업 총 생산액 25,000~30,000억위엔 달성 및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 7~8%로 향상 바이오산업을 중국의 기간산업으로 육성 출처 : 중국의 생명공학 및 생물산업 전략계획(마스터플랜), 중국국가과학기술부, 2005. 9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95
2. 우리나라 바이오 육성정책 정부의 생명공학 분야 예산 실적은 1994년 이후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부처별 투자 비율 면에서는 과학기술부(30%)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2000년대에 들어 IT, NT, ET, ST, CT와 함께 BT를 미래유망신기술로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투자 확대 1) 생명공학분야 정부 투자현황 정부의 생명공학분야 투자는 생명공학육성법 에 의해 1994년 수립된 생명공 학 육성기본계획(Biotech 2000) 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이 수립된 1994년 이후 정부예산은 연평균 25.6% 비율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그림 3-Ⅶ-22). 그림 3-Ⅶ-22 정부부문 생명공학 투자실적(ʼ94 ʼ06) 출처 : 2007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2007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에 따른 정부 투자는 총 8,515억 원이며 ( 06년 대비 3%증가) 연구개발부문은 6,903억 원으로 전년대비 6.52%(423억 원) 증가했고, 인프라부문은 1,252억 원으로 전년대비 23%(289억 원) 감소했다(표 3-Ⅶ-29). 596 2007 보건산업백서
표 3-Ⅶ-29 부처별 연구개발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ʼ07년 투자계획 부처 계 연구개발 시설 및 기반구축 인력양성 과학기술부 235,328 11,922-247,250 교육인적자원부 27,900-34,500 62,400 농림부 84,072 600 500 85172 산업자원부 73,333 97,085 970 171388 보건복지부 149,978 - - 149,978 환경부 22,179 - - 22,179 해양수산부 11,700 - - 11,700 정통부 22,199 4500-26,699 출연연 63,629 11,114-74,743 총계 690,318 125,221 35,970 851,509 * 출처 : ʼ07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부처별로는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농림부 등 4개 부처에서 생명 공학분야 투자가 활발하며, 과학기술부가 30%를 점유, 이어서 산업자원부가 21%, 보건복지부는 18%, 농림부가 10%를 점유하고 있다(그림 3-Ⅶ-23). 복지부, 18% 환경부, 2% 해양부, 1% 교육부, 7% 과 기 부, 30% 정통부, 3% 산자부, 21% 농림부, 10% 그림 3-Ⅶ-23 부처별 생명공학분야 정부 투자비율(2007)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10여 년 뒤쳐진 1980년대에 생명공학기술 연구기반 구축에 착수하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 IT, NT, ET, ST, CT와 함께 BT를 미래 유망신기술로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06년도 6T 분야 투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97
자액은 전년 대비 8,175억원 증가하여 총 8조 393억 원으로 정부연구개발 투자 중 61.4%를 차지하였다. 최근 3년간 미래유망신기술에 대한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Ⅶ-30). 표 3-Ⅶ-30 6T별 투자 추이(2004 2006년) (단위 : 억 원) 6T 2004년 2005년 2006년 증 감 금액 비중(%) 금액(A) 비중(%) 금액(B) 비중(%) B-A % IT 13,673 22.8 14,748 20.4 16,260 20.2 1,512 9.3 BT 7,717 12.9 10,967 15.2 13,019 16.2 2,052 15.8 NT 3,041 5.1 3,191 4.4 3,432 4.3 241 7.0 ET 5,468 9.1 6,842 9.5 9,440 11.7 2,599 27.5 ST 2,550 4.3 4,270 5.9 6,745 8.4 2,475 36.7 CT 531 0.9 541 0.7 483 0.6 58 12.1 소계 32,981 55.1 40,560 56.2 49,380 61.4 8,820 17.9 기타 26,866 44.9 31,658 43.8 31,013 38.6 645 2.1 합계 59,847 100.0 72,218 100.0 80,393 100.0 8,175 10.2 출처 : 200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투자를 살펴보면, 2006년도에 1조 3,019억원으로 정부 연 구개발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2%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년도 대비 15.8% 증가한 액수이다. 최근 3년 간의 추이를 살펴보면, 생명공학(BT) 분야에 대한 투 자액은 IT 분야보다 뒤지고 있으나, IT 분야 투자비중은 22.8%(2004년도)에서 20.2% (2006년도)로 낮아진 반면에 생명공학 분야는 12.9%에서 16.2%로 투자비중 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T, 19% (9,440) ST, 14% ( 6,745) C T, 1% ( 483) IT, 33% (16,260) NT, 7% ( 3,422) BT, 26% ( 13,019) 그림 3-Ⅶ-24 미래 유망 신기술(6T) 투자실적 및 분포(2006) 자료: 200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598 2007 보건산업백서
2) 주요부처별 투자현황 2006년도 생명공학 분야 투자액을 기준으로, 주요 부처(청 포함)의 생명공학 분 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3-Ⅶ-31). 표 3-Ⅶ-31 부 처 과학기술부 농림부 4개 부처 주요사업별 투자현황(2006년) 주요 연구사업명 (단위 : 백만원) 2006년 투자액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66,626 기반기술개발(나노 바이오), 특정기초연구지원 83,445 우수연구센터육성, 창의적 연구진흥사업, 국가지정연구실사업 55,275 동북아R&D허브기반조성 20,387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 장기) 15,500 농림기술개발 44,204 수의과학검역원, 바이오장기생산연구 25,206 원예연구, 작물연구 59,902 바이오그린21, 농업생명공학연구 41,560 농촌진흥청 축산연구 27,511 농업기초연구 20,616 고령지농업연구, 난지농업연구 17,527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기술개발 27,369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 안전청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123,197 국립암센터연구소지원 27,282 질병관리연구 16,780 독성연구개발, 독성연구소 22,900 의약품안전연구개발, 식품안전연구개발, 의료기기안전연구개발 13,708 차세대신기술 28,429 산업자원부 산업혁신기술개발-중기거점기술, 성장동력기술개발 22,775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 건립 16,500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19,068 출처 : 200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관련 자료에서 산출, 2007 제3부 2007 보건산업의 동향 599